[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2756B1 - 아릴아민 중합체를 갖는 전기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아릴아민 중합체를 갖는 전기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756B1
KR100802756B1 KR1020010032909A KR20010032909A KR100802756B1 KR 100802756 B1 KR100802756 B1 KR 100802756B1 KR 1020010032909 A KR1020010032909 A KR 1020010032909A KR 20010032909 A KR20010032909 A KR 20010032909A KR 100802756 B1 KR100802756 B1 KR 10080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carbon atoms
heteroaryl
aryl
rea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2635A (ko
Inventor
쉬지안민
젱쉬잉
Original Assignee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filed Critical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1011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75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4Poly-phenylenevinylene;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51Copoly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08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416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08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433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3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indium oxides, e.g. IT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전기발광 소자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된 중합체 발광 물질을 포함하며, 아릴아민 잔기를 갖는 상기 중합체 발광 물질은 하기 화학식 1을 갖는다:
Figure 112001013992021-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1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기; 6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4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시아노 기이고;
Ar1, Ar2, Ar3, Ar4 및 Ar은 각각 독립적으로 6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4 내지 40개의 탄소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Description

아릴아민 중합체를 갖는 전기발광 소자{ELECTROLUMINESCENT DEVICES HAVING ARYLAMINE POLYM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는 2층 전기발광(EL) 소자의 횡단면을 예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는 변형된 2층 EL 소자의 횡단면을 예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는 단일 층 EL 소자의 횡단면을 예시한 것이며;
도 4는 중합체 22의 흡수, 방출 및 광발광(photoluminescence) 스펙트럼 및 중합체 22로부터 제조된 단일 층 EL 소자의 전기발광 스펙트럼을 예시한 것이고;
도 5는 중합체 17의 흡수, 방출 및 광발광 스펙트럼 및 중합체 17로부터 제조된 단일 층 EL 소자의 전기발광 스펙트럼을 예시한 것이며;
도 6은 중합체 22로부터 제조된 단일 층 EL 소자의 전압-전류 밀도 및 발광 특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판 20: 양극 층,
30: 정공 수송 층 40: 전자 수송 층
50: EL 매체 60: 음극
100: 기판 200: 양극
300: 정공 수송 층 400: 발광 층
500: 전자 수송 층 600: EL 매체
700: 음극 1000: 기판
2000: 양극 3000: 발광 층
4000: 음극
본 발명은 아릴아민 중합체를 갖는 전기발광(electroluminescent, EL) 소자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같은 전기발광(EL) 소자는 전기장의 적용시 빛을 방출하는 광전자 소자이다. 중합체 및 저분자를 비롯한 유기 물질을 사용하여 LED를 제조하여 왔다. 이들 물질로부터 제조된 LED는 제조법의 간소화, 작동전압의 저하 및 면적이 큰 완전-컬러 디스플레이의 생산 가능성과 같은 기타 기술에 대해 몇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유기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중합체 필름을 용액으로부터 주조에 의해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면적이 큰 EL 디스플레이의 경우 저분자에 비해 현저한 가공 이점을 제공한다.
폴리(페닐비닐렌)(PPV)과 같은 공액 중합체는 1990년에 부로우스 등(Burroughes et al.)에 의해 EL 물질로서 처음 도입되었다[Burroughes, J. H., Nature, 347, 539-541(1990)]. 기타 공액 중합체로는 폴리디알킬플루오렌(PF)[Ohmori, Y. et al., Jpn. J. Appl. Phys. Part 2, 20, L1941-L1943(1991)], 폴리(p-페닐렌)(PPP)[Grem, G. et al., Adv. Mater., 4, 36-37(1992)] 및 폴리(티오펜)을 포함한다. 그러나, PPV 및 그의 유도체는 LED, 포토다이오드, 유기 트랜지스터, 및 고체 레이저 물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영역에 응용될 수 있는 높은 가능성으로 인해 가장 많이 연구된 공액 중합체 중의 하나이다. 알콕시 치환된 PPV와 같은 전자 도너는 LED 용도에서 치환되지 않은 PPV 보다 높은 효율을 나타낸다. 아민 기는 알콕시 기보다 강한 전자 도너이고, 또한 아미노-치환된 PPV가 제조되어 LED 효율에 미치는 아미노 기의 효과를 연구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디알킬아민만을 치환기로서 PPV 내로 혼입시켜 왔다[Stenger-Smith, J. D. et. al., Macromolecules 31, 7566-7569]. 디알킬아미노 기는 산화되기 쉬운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합체 EL 소자에 유용한 발광성 중합체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범위한 색을 방출하는 다양한 에너지 띠 간격의 발광성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된, 아릴아민 잔기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의 중합체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에 의해 달성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01013992021-pat0000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1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기, 6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4 내지 40개의 탄소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시아노 기이고;
Ar1, Ar2, Ar3, Ar4 및 Ar은 각각 독립적으로 6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4 내지 40개의 탄소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용해도, 효율 및 안정성을 포함하는 많은 이점을 갖는 발광 물질을 제공한다. 중합체의 방출 색은 목적하는 Ar 기의 혼입에 의해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더욱이, 기타 전기-광학 특성도 Ar 기를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 다.
본 발명은 우수한 용해성, 효율 및 안정성을 갖는 아릴아민 잔기를 함유한 발광 중합체를 제공한다. 높은 정공 수송 이동성, 화학적 및 전기적 안정성으로 인해, 유기 발광 소자에서 정공 수송 물질로서 아릴아민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아릴아민 잔기는 발광 중합체의 정공 주입 및 수송 이동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강한 전자 도너이다. 더욱이, 발광 중합체 내의 아릴아민 잔기의 혼입은 용해성을 향상시키고, 중합체 전도성을 개선시키며, 중합체 산화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발광 중합체 내의 Ar의 혼입은 하기 특징을 갖는다:
(1) 우수한 균형잡힌 전자-정공(electron-hole) 주입 및 전하 운반체의 재결합을 달성함으로써 EL 효율을 개선시키고;
(2) 중합체의 용해도를 더욱 개선시키고;
(3) 중합체의 방출 색을 조정한다.
본 발명은 아릴아민 잔기를 함유하는 하기 화학식 1의 발광 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1013992021-pat00003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1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기, 6 내지 2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4 내지 40개의 탄소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시아노 기이고, 바람직한 R1 및 R2는 수소 또는 시아노 기이고;
Ar1, Ar2, Ar3, Ar4 및 Ar은 각각 독립적으로 6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이거나; 또는
Ar1, Ar2, Ar3, Ar4 및 Ar은 각각 독립적으로 4 내지 40개의 탄소를 갖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이다.
예를 들어, Ar1, Ar2, Ar3 및 Ar4
Figure 112001013992021-pat00004
,
Figure 112001013992021-pat00005
,
Figure 112001013992021-pat00006
또는
Figure 112001013992021-pat00007
을 나타내고,
상기 식에서,
R은 치환기이고, 수소, 1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기, 6 내지 2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4 내지 40개의 탄소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시아노 기, 니트로 기, 염소, 브롬 또는 불소 원자일 수 있고;
또는, Ar1 및 Ar2 그리고 Ar3 및 Ar4는 화학적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Ar1 및 Ar2 그리고 Ar3 및 Ar4는 함께 12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1 및 Ar2는 화학적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제 1 기를 형성하고, Ar3 및 Ar4는 화학적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제 2 기를 형성하며, 여기서 제 1 기 및 제 2 기 각각은 식
Figure 112001013992021-pat00008
Figure 112001013992021-pat00009
으로 주어지고, 카바졸 및 카바졸 유도체:
Figure 112001013992021-pat00010
,
Figure 112001013992021-pat00011
,
Figure 112001013992021-pat00012
,
Figure 112001013992021-pat00013
,
Figure 112001013992021-pat00014
또는
Figure 112001013992021-pat00015
를 포함한다.
Ar은 하기 기 1을 나타낸다.
기 1:
Figure 112001013992021-pat00016
상기 식에서,
R은 치환기이고, 수소, 1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기, 6 내지 2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4 내지 40개의 탄소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시아노 기, 니트로 기, 염소, 브롬 또는 불소 원자일 수 있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하기 기 2 내지 24에서, R은 기 1에서와 동일한 치환기이다.
기 2:
Figure 112001013992021-pat00017
기 3:
Figure 112001013992021-pat00018
기 4:
Figure 112001013992021-pat00019
기 5:
Figure 112001013992021-pat00020
기 6:
Figure 112001013992021-pat00021
기 7:
Figure 112001013992021-pat00022
기 8:
Figure 112001013992021-pat00023
기 9:
Figure 112001013992021-pat00024
기 10:
Figure 112001013992021-pat00025
상기 식에서, X는 O 또는 S 원자이고;
기 11:
Figure 112001013992021-pat00026
상기 식에서,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기 12:
Figure 112001013992021-pat00027
상기 식에서, X는 O 또는 S 원자이고,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기 13:
Figure 112001013992021-pat00028
기 14:
Figure 112001013992021-pat00029
기 15:
Figure 112001013992021-pat00030
상기 식에서, X1은 O 원자 또는 2개의 시아노 기이고;
기 16:
Figure 112001013992021-pat00031
상기 식에서, R1은 치환기이고, 수소, 1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기, 6 내지 2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4 내지 40개의 탄소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고;
기 17:
Figure 112001013992021-pat00032
상기 식에서, R1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X2는 질소원자 또는 CH이고;
기 18:
Figure 112001013992021-pat00033
상기 식에서, R1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기 19:
Figure 112001013992021-pat00034
기 20:
Figure 112001013992021-pat00035
기 21:
Figure 112001013992021-pat00036
기 22:
Figure 112001013992021-pat00037
기 23:
Figure 112001013992021-pat00038
상기 식에서, X는 O 또는 S 원자이고,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기 24:
Figure 112001013992021-pat00039
상기 식에서, R1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p는 0 내지 2의 정수이다.
하기 분자 구조식은 본 발명의 필요조건을 만족시키는 바람직한 중합체의 특정 예를 구성한다.
Figure 112001013992021-pat00040
Figure 112001013992021-pat00041
Figure 112001013992021-pat00042
Figure 112001013992021-pat00043
Figure 112001013992021-pat00044
Figure 112001013992021-pat00045
Figure 112001013992021-pat00046
Figure 112001013992021-pat00047
Figure 112001013992021-pat00048
Figure 112001013992021-pat00049
Figure 112001013992021-pat00050
Figure 112001013992021-pat00051
Figure 112001013992021-pat00052
Figure 112001013992021-pat00053
화학식 1:
Figure 112001013992021-pat00054
에서, Ar은 상기 분류된 기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한 분자 구조는 상기 도시된 구조들 중 임의 구조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중합 방법 및 생성된 중합체의 분자량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중합체는 비티그(Wittig) 반응, 호너-에몬스(Horner-Emmons) 반응, 크노에베나겔(Knoevenagel) 축합, 헥크(Heck) 반응 또는 전구체 방법[Science, 269, 376(1995)]과 같은 축합 중합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호너-에몬스 반응 또는 크노에 베나겔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언급한 중합체는 방향족 디카복시알데하이드와 디포스페이트 사이의 호너-에몬스 반응에 의해, 또는 칼륨 t-부톡사이드 또는 수소화 나트륨과 같은 강염기의 존재하에 방향족 디카복시알데하이드 및 디시아노 화합물을 사용하는 크노에베나겔 반응에 의해 제조되었다. 중합체 및 단량체에 대한 합성 반응식은 반응식 1 내지 6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기본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구조는 정공 수송 층(30) 및 전자 수송 층(40)을 포함하는 2층 구조이다. 전자 수송 층(40)은 또한 그로부터 전기발광이 발생되는 발광 층이다. 이들이 함께 EL 매체(50)를 형성한다. 양극 층(20)은 정공 수송 층(30)에 인접하고, 음극(60)은 전자 수송 층(40)에 인접한다. 기판은 층(10)이다. 상기 도면은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각각의 층 두께는 실제 두께에 따라 축척한 것이 아니다.
도 2는 EL 소자의 대체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구조는 변형된 2층 구조이다. EL 매체는 정공 수송 층과 전자 수송 층 사이에 발광 층을 함유한다. 상기 발광 층은 전기발광이 발생되는 층이다. 따라서, 층(300)은 정공 수송 층이고, 층(400)은 발광 층이며, 층(500)은 전자 수송 층이고, 이들은 함께 전기발광 매체(600)를 형성한다. 층(200)은 양극이고, 층(700)은 음극이다. 기판은 층(100)이다. 상기 도면은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각각의 층 두께는 실제 두께에 따라 축척한 것이 아니다.
2층 EL 소자는 높은 발광 효율 및 낮은 작동 전압을 제공하는 기본 구조이다. 대체 EL 소자 구조는 개선된 소자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들 대체 구조들은 기본 2층 구조 이외에 하기 구조와 같은 특징들을 포함한다: (A)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356,429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정공 주입 층; (B)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776,622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알칼리 또는 알칼리 할라이드를 이용한 음극 변형; (C)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출원 제 09/191,705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플라즈마-침착된 플루오로카본을 이용한 양극 변형; 및 (D)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769,292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정공 수송 및 전자 수송 층 사이에 삽입된 도핑된 발광 층.
도 3은 EL 소자의 또 다른 대체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구조는 양극(2000)과 음극(4000) 사이에 삽입된 발광 층(3000)을 포함하는 단일 층 구조이다. 발광 층(3000)은 또한 전하 운반 층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단일 층(3000)은 전기발광 매체이다. 기판은 층(1000)이다. 상기 도면은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각각의 층 두께는 실제 두께에 따라 축척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EL 소자 구조는 양극, 음극 및 전기발광 매체의 단일 층을 포함하는 단일 층 구조이다. 상기 전기발광 층은 발광 층이며, 또한 전자 뿐 아니라 정공도 수송할 수 있다. 상기 층의 주기능은 전기발광을 위한 효과적인 발광 중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층은 상기 언급한 중합체들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중합체들의 블렌드, 또는 하나 이상의 형광 염료(FD) 또는 다른 발광 물질로 도핑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염료는 통상적으로 대략 호스트 중합체의 수몰%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며, 이것은 EL 발광이 주로 형광 염료의 발광이 되도록 하기에 충분하다.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매우 효과적인 EL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동시에, 상이한 방출 파장의 형광 염료를 이용하여 EL 소자의 색을 조정할 수 있다. 형광 염료의 혼합물을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형광 염료의 혼합 스펙트럼의 EL 색 특성이 산출된다. 상기 도판트 도식은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769,292 호에서 EL 소자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호스트 물질에 존재하는 경우 발광 색조를 조절할 수 있는 도판트로서 형광 염료를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은 그의 에너지 띠 간격을 비교하는 것이다. 호스트로부터 도판트 분자로의 효과적인 에너지 전달을 위해, 필수 조건은 도판트의 에너지 띠 간격이 호스트 중합체의 에너지 띠 간격보다 작아야 하는 것이다. 발광 층에 도판트로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형광 염료로는 쿠마린, 스틸벤, 디스트릴스틸벤, 안트라센 유도체, 테트라센, 페르렌, 로다민 및 아릴아민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EL 소자의 발광 층에 바람직한 형광 염료의 분자 구조는 다음과 같이 열거된다:
Figure 112001013992021-pat00055
Figure 112001013992021-pat00056
Figure 112001013992021-pat00057
상기 언급한 중합체들은 중합체 용액을 회전-도포 또는 잉크젯 인쇄함으로써 고품질의 투명한 박막으로 침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도포 기술을 이용하여 층(3000)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중합체만을 전기발광 매체의 단일 층으로 침착시킨다.
플루오로카본에 의해 변형된 양극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바람직한 물질은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9/191,705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EL 소자의 음극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바람직한 물질은 미국 특허 제 5,429,884 호 및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776,622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Mg, Li, 또는 상기 물질들의 합금이다.
실시예
본 발명 및 그 이점들은 하기의 특정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된다.
단량체의 합성
본 발명에 사용될 단량체들을 단지 예시하는 것이다. 생성된 중합체가 화학식 1을 만족시키는 한 어떠한 단량체도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인 단량체 및 중합 체 합성을 하기 반응식 1 내지 6에서 예시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1013992021-pat00058
Figure 112001013992021-pat00059
Figure 112001013992021-pat00060
Figure 112001013992021-pat00061
Figure 112001013992021-pat00062
Figure 112001013992021-pat00063
Figure 112001013992021-pat00064
실시예
실시예 1: 2,6-비스(2-에틸헥실옥시)안트라퀴논(화합물 1)의 합성
2,6-디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100.0 g, 0.42 몰) 및 2-에틸헥실 브로마이드(165.0 g, 0.86 몰)를 1 ℓ의 DMF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무수 K2CO3(120.0 g, 0.87 몰)를 가하였다. 반응물을 90 ℃에서 하룻밤동안 가열하였다. 대부분의 DMF를 제거하고, 500 ㎖의 물을 가하였다. 반응물을 에테르(3 x 400 ㎖)로 추출하고, 염수(1 x 200 ㎖)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하고, 조 생성물을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황색 분말 생성물 125.21 g(65%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92-0.98(m, 12H, CH3), 1.34-1.54(m, 16H), 1.75-1.81(m, 2H, CH(CH3)), 4.02(d, J = 5.5 Hz, 4H, OCH2), 7.19(d, J = 8.4 Hz, 2H), 7.70(s, 2H), 8.19(d, J = 8.5 Hz, 2H); 13C NMR(CDCl3): 11.12, 14.06, 23.04, 23.88, 29.08, 30.51, 39.34, 71.34, 110.64, 120.84, 127.00, 129.62, 135.88, 164.29, 182.27. 융점 49 내지 51 ℃; FD-MS: m/z 464(M).
실시예 2: 4-브로모-2-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벤젠(화합물 2)의 합성
1 ℓ 환저 플라스크에 4-브로모벤질 알콜(100.0 g, 0.53 몰), 이미다졸(91.0 g, 1.34 몰), 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TBDMS-Cl)(96.5 g, 0.64 몰) 및 DMF 100 ㎖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질소하에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에 붓고 에테르로 3회 추출하고, 수거된 유기상을 물로 3회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한 후에, 생성물을 연한 황색 액체로서 154.2 g(62% 수율)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07(s, 9H), 0.91(s, 6H), 4.65(s, 2H), 7.17(d, J = 8.3 Hz, 2H), 7.42(s, J = 8.3 Hz, 2H); 13C NMR(CDCl3): 11.71, 21.93, 29.48, 67.89, 124.13, 131.27, 134.82, 144.02; FD-MS: m/z 301(M).
실시예 3: 2,6-비스(2-에틸헥실옥시)-9,10-디(4-하이드록시메틸페닐)안트라센(화합물 3)의 합성
화합물 2(67.2 g, 0.22 몰)를 300 ㎖의 무수 THF에 용해시키고 -78 ℃로 냉각시켰다. 상기 용액에 -60 ℃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n-BuLi(헥산 중의 2.5M, 86 ㎖, 0.22 몰)을 서서히 가하였다. 첨가 후에, 오렌지-황색 용액을 -78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화합물 1(30.0 g, 0.065 몰)을 200 ㎖의 무수 THF에 용해시키고 상기 냉각시킨 용액에 적가하였다. TLC 분석 결과 반응 완료를 나타내었다. 반응물을 약간 가온시키고 HI 용액(물 중의 57%, 145 g, 0.65 몰)을 서서히 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키고 TBDMS 기를 탈보호시켰다. 진한 갈색 반응물을 10 분간 가열 환류시키고 용매의 대부분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3회 추출하였다. 수거된 유기상을 포화 나트륨 메타비설페이 트 용액,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갈색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고 용리액으로 20:80 에테르:헥산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생성물을 연한 녹색-황색 고체로서 20.2 g(48% 수율)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82-0.89(m, 12H, CH3 ), 1.26-1.43(m, 16H), 1.60-1.66(m, 2H), 1.85(s, br, 2H, OH), 3.72(d, J = 5.5 Hz, 2H, OCH2), 4.89(s, 4H, 벤질성), 6.84(d, J = 2.0 Hz, 2H), 7.00(dd, J1 = 9.3 Hz, J2 = 2.2 Hz, 2H), 7.47(d, J = 7.9 Hz, 4H, 페닐 고리), 7.52(d, J = 9.7 Hz, 2H), 7.61(d, J = 7.8 Hz, 4H, 페닐 고리); 13C NMR(CDCl3): 11.17, 14.03, 23.00, 23.89, 29.08, 30.64, 39.16, 65.37, 70.17, 103.90, 127.07, 126.98, 127.13, 128.07, 129.56, 131.46, 134.74, 138.95, 139.85, 155.71. 융점 110 내지 112 ℃; FD-MS: m/z 646(M).
실시예 4: 2,6-비스(2-에틸헥실옥시)-9,10-디(4-브로모메틸페닐)안트라센(화합물 4)의 합성
화합물 3(4.40 g, 6.8 밀리몰)을 25 ㎖의 무수 THF에 용해시키고 0 ℃로 냉각시켰다. PBr3(1.3 ㎖, 17 밀리몰)를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한 후 물로 중단시키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 수거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용리액으로 15:85 CH2Cl2 :헥 산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90 g의 황색 결정(74%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82-0.88(m, 12H, CH3), 1.23-1.42(m, 16H), 1.61-1.69(m, 2H), 3.71(d, J = 5.7 Hz, OCH2), 4.67(s, 4H, 벤질성), 6.78(d, J = 2.4 Hz, 2H), 7.00(dd, J1 = 9.5 Hz, J2 = 2.4 Hz, 2H), 7.43(d, J = 8.0 Hz, 4H, 페닐 고리), 7.49(d, J = 9.5 Hz, 2H), 7.62(d, J = 8.0 Hz, 4H, 페닐 고리); 13C NMR(CDCl3): 11.15, 14.06, 23.04, 23.88, 29.03, 30.62, 33.46, 39.06, 70.36, 103.83, 120.29, 126.81, 127.98, 129.27, 129.53, 131.68, 134.40, 136.91, 139.84, 155.80. 융점 105 내지 107 ℃; FD-MS: m/z 772(M).
실시예 5: 2,6-비스(2-에틸헥실옥시)-9,10-디(4-메틸렌디에틸포스페이트 페닐)안트라센(화합물 5)의 합성
화합물 4(3.80 g, 4.9 밀리몰) 및 트리에틸 포스파이트(95 ㎖, 29 밀리몰)를 50 ㎖ 환저 플라스크에 넣고 4 시간동안 100 ℃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생성물을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3.94 g의 크림색 미세 침상 결정(90%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83-0.89(m, 12H, CH3), 1.27-1.43(m, 28H), 1.59-1.66(m, 2H), 3.34(d, J = 41.7 Hz, 4H, 벤질성), 3.71(d, J = 5.3 Hz, 4H, OCH2), 4.08-4.18(m, P(O)OCH2, 8H), 6.84(d, J = 2.3 Hz, 2H), 6.99(dd, J1 = 9.5 Hz, J2 = 2.4 Hz, 2H), 7.42(d, J = 7.8 Hz, 4H, 페닐 고리), 7.48(d, J = 9.5 Hz, 2H), 7.55(dd, J1 = 8.0 Hz, J2 = 2.2 Hz, 4H, 페닐 고리); 13 C NMR(CDCl3): 11.21, 14.04, 16.46, 16.54, 23.01, 23.92, 29.14, 30.66, 32.89, 34.72, 39.37, 62.20, 62.29, 70.02, 103.95, 120.00, 127.00, 128.06, 129.56, 129.99, 130.08, 130.71, 130.83, 131.44, 131.47, 134.67, 138.12, 138.17, 155.76. 융점 94 내지 96 ℃; FD-MS: m/z 886(M).
실시예 6: 2,6-비스(2-에틸헥실옥시)-9,10-디(4-포르밀페닐)안트라센(화합물 6)의 합성
화합물 3(10.0 g, 0.015 몰)을 180 ㎖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PCC)(8.0 g, 0.037 몰)를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100 ㎖의 물로 중단시키고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진한 갈색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키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3회 추출하였다. 수거된 유기상을 묽은 HCl,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용리액으로 1:1 CH2Cl2:헥산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선명한 황색 결정으로 7.0 g(70% 수율)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82-0.88(m, 12H, CH3), 1.20-1.43(m, 16H), 1.60-1.68(m, 2H), 3.70(d, J = 5.5 Hz, OCH2), 6.73(d, J = 2.2 Hz, 2H), 7.04(dd, J1 = 9.5 Hz, J2 = 2.4 Hz, 2H), 7.44(d, J = 9.5 Hz, 2H), 7.67(d, J = 8.0 Hz, 4H, 페닐 고리), 8.15(d, J = 8.0 Hz, 4H, 페닐 고리), 10.21(s, 2H, 알데하이드); 13C NMR(CDCl3): 11.13, 14.02, 22.97, 23.87, 29.07, 30.59, 39.12, 70.22, 103.37, 120.80, 127.59, 129.12, 130.00, 132.03, 134.01, 135.69, 146.38, 156.10, 192.00. 융점 125 내지 127 ℃; FD-MS: m/z 642(M).
실시예 7: 디메틸 2,5-비스(디페닐아미노)-3,6-디하이드로테레프탈레이트(화합물 7)의 합성
디메틸 숙시닐로 숙시네이트(DMSS, 50 g, 0.22 몰)를 환저 플라스크에 넣었다. 아닐린(100 ㎖)을 용매로서 과량 사용하고 반응 혼합물을 2 시간동안 100 ℃로 가열하였는데, 이때 고체가 용액으로부터 침전되었다. TLC 분석(CH2Cl2:헥산, 1/1) 결과 DMSS의 존재가 확인되어 반응 온도를 120 ℃로 상승시키고 4 시간동안 더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EtOH를 가하였다. 생성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수거하였다. 세척물이 거의 무색이 될 때까지 조 생성물을 추가의 EtOH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오븐 건조시켜 오렌지색 고체 82 g(정량적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3.39(s, 4H), 3.65(s, 6H, COOCH3), 7.09-7.38(m, 10H, 방향족), 10.62(s, 2H, NH); 13C NMR(CDCl3): 27.65, 50.84, 88.71, 124.63, 124.75, 129.12, 139.35, 156.74, 169.31. 융점 236 내지 238 ℃; FD-MS: m/z 378(M).
실시예 8: 디메틸 2,5-비스(디페닐아미노)테레프탈레이트(화합물 8)의 합성
화합물 7(80 g, 0.21 몰)을 CH2Cl2에 용해시키고 서서히 가열하면, 이 동안 용액의 색이 진한 적색으로 변화되었다. TLC(CH2Cl2:헥산, 1/1)를 이용하여 반응을 관찰하였다. 일단 모든 출발 물질이 사라지면, CH2Cl2를 회전 증발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EtOH로 대체하였다. 일단 CH2Cl2가 모두 제거되면, 적색 고체를 고온 진공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세척물이 거의 무색이 될 때까지 EtOH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수거하고 오븐 건조하여 73 g의 적색 고체(92% 수율)를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3.83(s, 6H, COOCH3), 7.00-7.34(m, 10H, 방향족), 8.00(s, 2H, 방향족), 8.56(s, br, 2H, NH); 13C NMR(CDCl3): 52.20, 118.58, 118.96, 119.71, 122.06, 129.38, 137.71, 141.88, 167.78; 융점 164 내지 166 ℃; FD-MS: m/z 376(M).
실시예 9: 디메틸 N,N,N',N'-테트라페닐 2,5-디아미노테레프탈레이트(화합물 9)의 합성
화합물 8(40 g, 0.11 몰), 요오도벤젠(200 ㎖, 1.79 몰), K2CO3(20 g, 0.14 몰) 및 구리(1.4 g, 0.022 몰)를 모두 N2하에 환저 플라스크에 넣었다. 혼합물을 185 ℃에서 24 시간동안 가열하였다. TLC(CH2Cl2:헥산, 1/1) 결과 반응 완료를 나타내었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CH2Cl2를 가하였다. 여과하고 CH2Cl2 로 세척한 후에, 여액을 농축시켜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EtOH를 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EtOH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오븐 건조하여 황색 고체 45 g(80%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3.35(s, 6H, COOCH3), 6.96-7.28(m, 20H, 방향족), 8.44(s, 2H, 방향족); 13C NMR(CDCl3): 51.94, 122.69, 123.00, 129.18, 131.00, 132.47, 142.17, 147.32, 166.76; 융점 249 내지 251 ℃; FD-MS: m/z 528(M).
실시예 10: 1,4-디하이드록시메틸-2,5-비스(N,N-디페닐아미노)벤젠(화합물 10)의 합성
LiAlH4(6.4 g, 0.17 몰)를 N2하에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환저 플라스크에 넣었다. 플라스크에 무수 THF(400 ㎖)를 채우고 현탁액을 0 ℃로 냉각하였다. 화합물 9(40 g, 0.076 몰)를 60 분에 걸쳐 조금씩 가하였다. 혼합물을 15 분동안 실온으로 가온시킨 후 45 분동안 환류시켰다. TLC(CH2Cl2:헥산, 1/1) 결과 반응 완료를 나타내었다. 반응물을 0 ℃로 냉각하고 물로 조심스럽게 중단시켰다. 30 분간 교반한 후에, 에테르를 가하였다. 수성 층을 에테르로 4회 추출하였다. 수거된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갈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고체를 톨루엔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황색 고체 34 g(95% 수율)을 수득하였다. AA8790-138. 4.36(s, 4H, 벤질성), 7.00-7.50(m, 22H, 방향족); 융점 208 내지 210 ℃; FD-MS: m/z 472(M).
실시예 11: 2,5-비스(N,N-디페닐아미노)테레프탈디카복시알데하이드(화합물 11)의 합성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PCC, 30 g, 0.064 몰) 및 무수 CH2Cl2(350 ㎖)를 N2하에 플라스크에 넣었다. 화합물 10을 조금씩 가하면, 이 동안 혼합물이 흑색으로 변하였다. TLC(CH2Cl2:헥산, 1/1) 결과 90 분 후에 출발 물질이 사라지고 새로운 적색 반점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반응 혼합물을 프릿 깔때기 상의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켰다. 깔때기를 세척물이 거의 무색이 될 때까지 CH2Cl2로 완전히 세척하였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2Cl 2:헥산, 1/1)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컬럼으로부터 순수 분획을 농축시킨 후에, 헥산을 가하고 생성물을 진공 여과시켜 수거하고 추가의 헥산으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오븐 건조시켜 진한 적색 결정성 고체 21.5 g(72%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δ(ppm): 7.01-7.06(m, 12H), 7.24-7.29(m, 8H), 7.61(s, 2H), 10.13(s, 2H); 13C NMR(CDCl3): 123.13, 123.53, 129.10, 129.80, 136.49, 146.49, 148.34, 189.51; 융점 260 내지 262 ℃; FD-MS: m/z 468(M).
실시예 12: 1,5-비스(헥실옥시)나프탈렌(화합물 12)의 합성
500 ㎖ 환저 플라스크에 1,5-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15.0 g, 0.094 몰), 탄산 칼륨(27.2 g, 0.2 몰), n-헥실브로마이드(32.5 g, 0.2 몰) 및 200 ㎖의 DMF를 가하였다. 반응물을 하룻밤동안 90 ℃로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한 다음, 700 ㎖의 물에 부었다. 진한 갈색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조 생성물을 메탄올 중에서 환류시킨 후 여과시켜 연한 녹색 고체 25.2 g(80%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δ(ppm): 0.92(t, J = 6.5 Hz, 6H), 1.35-1.41(m, 8H), 1.52-1.57(m, 4H), 1.85-1.92(m, 4H), 4.10(t, J = 6.4 Hz, 4H), 6.81(d, J = 7.6 Hz, 2H), 7.30-7.36(m, 2H), 7.84(d, J = 8.3 Hz); 융점 92 내지 93 ℃.
실시예 13: 1,5-비스(브로모메틸)-4,8-비스(헥실옥시)나프탈렌(화합물 13)의 합성
화합물 12(10.0 g, 0.030 몰) 및 파라포름알데하이드(1.92 g, 0.064 몰)를 10 ㎖의 아세트산 및 아세트산 용액 중의 HBr(아세트산 중 33%, 12.3 ㎖, 0.064 몰)에 용해시켰다. 반응물을 50 ℃에서 5 시간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녹색을 띠는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물 및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회백색 침상 결정 14.7 g(94%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δ(ppm): 0.92(t, J = 6.5 Hz, 6H), 1.36-1.41(m, 8H), 1.51-1.57(m, 4H), 1.99-2.09(m, 4H), 4.13(t, J = 6.4 Hz, 4H), 5.31(s, 4H), 6.84(d, J = 8.2 Hz, 2H), 7.37(d, J = 8.2 Hz, 2H); 융점 105 내지 107 ℃.
실시예 14: 4,8-비스헥실옥실-1,5-비스(메틸렌디에틸포스페이트)나프탈렌(화합물 14)의 합성
50 ㎖ 환저 플라스크에 화합물 13(9.0 g, 0.017 몰) 및 트리에틸 포스파이트(7.5 ㎖, 0.044 몰)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4 시간동안 100 ℃로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조 생성물을 용리액으로 10:90 아세톤: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연한 갈색 고체를 수득하고, 이것을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순수한 생성물을 회백색 침상 결정으로서 6.5 g(59% 수율)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92(t, J = 6.8 Hz), 1.08(t, J = 7.1 Hz), 1.36-1.41(m, 8H), 1.47-1.54(m, 4H), 1.95-2.05(m, 4H), 3.75-3.91(m, 8H), 4.06-4.14(d 및 t 중복, 8H, 벤질성 및 OCH2), 4.14(s, 4H), 6.80(d, J = 8.2 Hz, 2H), 7.23-7.27(m, 2H); 13C NMR(CDCl3): 13.94, 16.23, 16.31, 22.52, 25.94, 28.84, 31.60, 33.92, 35.76, 61.34, 61.43, 68.84, 106.28, 106.29, 119.77, 119.92, 130.14, 130.24, 156.04. 융점 80 내지 82 ℃; FD-MS: m/z 628(M).
실시예 15: 2,6-비스(헥실옥시)나프탈렌(화합물 15)의 합성
2,6-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30.0 g, 0.19 몰)을 90 ℃에서 400 ㎖ DMF 중의 탄산 칼륨(81.6 g, 0.59 몰)의 존재하에 n-헥실브로마이드(97.5 g, 0.59 몰)와 하룻밤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700 ㎖의 물에 붓고,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물 및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시켜 연한 회색 고체 41.3 g(67%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91(t, J = 6.9 Hz, 6H), 1.32-1.40(m, 8H), 1.44-1.54(m, 4H), 1.77-2.86(m, 4H), 4.02(t, J = 6.6 Hz, 4H), 7.06-7.12(m, 4H), 7.60(d, J = 8.8 Hz, 2H); 융점 78 내지 79 ℃.
실시예 16: 1,5-비스(브로모메틸)-2,6-비스(헥실옥시)나프탈렌(화합물 16)의 합성
화합물 15(9.0 g, 0.030 몰) 및 파라포름알데하이드(1.87 g, 0.062 몰)를 40 ㎖의 아세트산 및 아세트산 용액 중의 HBr(아세트산 중 30%, 12.4 ㎖, 0.062 몰)에 용해시켰다. 반응물을 50 ℃에서 5 시간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연한 자주색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물 및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조 생성물을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회백색 침상 결정 9.0 g(58%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93(t, J = 6.9 Hz, 6H), 1.37-1.42(m, 8H), 1.51-1.61(m, 4H), 1.84-1.93(m, 4H), 4.18(t, J = 6.4 Hz, 4H), 5.07(s, 4H), 7.35(d, J = 9.3 Hz, 2H), 8.03(d, J = 9.3 Hz, 2H); 융점 110 내지 112 ℃.
실시예 17: 2,6-비스(헥실옥시)-1,5-비스(메틸렌디에틸포스페이트)나프탈렌(화합물 17)의 합성
50 ㎖ 환저 플라스크에 화합물 16(8.0 g, 0.16 몰) 및 트리에틸 포스파이트(13 ㎖, 0.078 몰)를 가하였다. 화합물을 4 시간동안 100 ℃로 가열하였다. 과량의 트리에틸 포스파이트를 증류시켰다. 조 생성물을 용리액으로 10:90 아세톤: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연한 오렌지색 고체를 수득하고, 이것을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순수한 생성물을 회백색 침상 결정으로 5.0 g(51% 수율)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92(t, J = 7.0 Hz, 6H), 1.15(t, J = 7.0 Hz, 12H), 1.34-1.53(m, 12H), 1.79-1.89(m, 4H), 3.71(d, J = 22.0 Hz, 2H), 3.91-3.96(m, 8H), 4.10(t, J = 6.6 Hz, 4H), 7.28(d, J = 9.5 Hz, 2H), 8.02(d, J = 9.5 Hz, 2H); 13C NMR(CDCl3): 13.99, 16.25, 16.33, 22.60, 25.78, 29.68, 31.64, 61.75, 61.84, 69.41, 113.73, 113.88, 114.66, 114.70, 125.12, 125.20, 128.78, 152.81. 융점 101 내지 102 ℃; FD-MS: m/z 628(M).
실시예 18: 2,6-디브로모-1,5-비스(헥실옥시)나프탈렌(화합물 18)의 합성
1,5-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20.0 g, 0.125 몰)을 400 ㎖의 아세트산에 용해시키고 0 ℃로 냉각하였다. 상기 용액에 브롬(40.1 g, 0.250 몰)을 적가하였다. 첨가 후 1 시간동안 반응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빙욕에서 냉각시켰다. 결정을 여과시켜 수거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연한 회색 고체 2,6-디브로모-1,5-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36.1 g(90% 수율)을 수득하였다. 생성물(36.0 g, 0.114 몰)을 나트륨 메톡사이드(13.0 g, 0.24 몰), 및 320 ㎖ 메탄올 중의 요오도헥산(50.0 g, 0.24 몰)과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하룻밤동안 환류시키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거무스름한 고체를 수거하고 물 및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메틸 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킨 후 실리카겔의 짧은 층에 통과시켜 거무스름한 극성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생성물을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시켜 백색 박편 결정 25.5 g(60%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93(t, J = 6.8 Hz, 6H), 1.36-1.41(m, 8H), 1.55-1.60(m, 4H), 1.88-1.98(m, 4H), 4.06(t, J = 6.6 Hz, 4H), 7.58(d, J = 9.0 Hz, 2H), 7.73(J = 9.0 Hz, 2H); 13C NMR(CDCl3): 14.03, 22.61, 25.69, 30.23, 31.69, 74.62, 113.73, 119.31, 130.11, 131.03, 148.04, 152.86. 융점 41 내지 43 ℃; FD-MS: m/z 486(M).
실시예 19: 1,6-비스(헥실옥시)나프탈렌-2,6-디카복스알데하이드(화합물 19)의 합성
화합물 18(13.0 g, 0.027 몰)을 110 ㎖의 무수 THF에 용해시키고 무수 질소하에 -78 ℃로 냉각하였다. 상기 용액에 nBuLi 용액(헥산 중 2.5M, 32 ㎖, 0.080 몰)을 주사기를 통해 서서히 가하여 온도를 -60 ℃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첨가 후에 용액을 -78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무수 DMF(17 ㎖, 0.21 몰)를 주사기를 통해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중단시키고 에테르(3 x 100 ㎖)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한 후에 조 생성물을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6.72 g의 생성물을 연한 황색 분말(65%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93(t, J = 6.7 Hz, 6H, CH3), 1.37-1.42(m, 8H, 알킬), 1.55-1.60(m, 4H, 알킬), 1.95-2.00(m, 4H, 알킬), 4.15(t, J = 6.7 Hz, 4H, OCH2), 7.92(d, J = 8.8 Hz, 2H, 나프틸), 7.89(d, J = 8.8 Hz, 2H, 나프틸), 10.60(s, 2H, CHO); 13C NMR(CDCl3): 14.01, 22.59, 25.65, 30.25, 31.63, 79.50, 119.53, 123.69, 127.51, 133.19, 161.56, 189.51. 융점 50 내지 52 ℃; FD-MS: m/z 384(M).
실시예 20: 1,5-비스(헥실옥시)-2,6-비스(하이드록시메틸)나프탈렌(화합물 20)의 합성
0 ℃에서 30 ㎖의 메탄올 및 20 ㎖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나트륨 붕소 하이드라이드(1.90 g, 50 밀리몰)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10 분간 교반하고, 10 ㎖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킨 디알데하이드 화합물 19(3.25 g, 8.4 밀리몰)를 첨가 깔때기를 통해 서서히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하고 30 ㎖의 1M KOH로 중단시키고 3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3회 추출하고 물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은 회백색 고체(2.91 g(88% 수율))였고, 다음 단계에 사용될 만큼 충분히 순수하였다. 1H NMR(CDCl3)δ(ppm): 0.93(t, J = 6.8 Hz, 6H, CH3), 1.37-1.42(m, 8H, 알킬), 1.51-1.58(m, 4H, 알킬), 1.87-1.97(m, 4H, 알킬), 2.19(s, br, 2H, OH), 4.00(t, J = 6.7 Hz, 4H, OCH2), 4.88(s, 4H, 벤질성), 7.50(d, J = 8.6 Hz, 2H, 나프틸), 7.84(d, J = 8.6 Hz, 2H, 나프틸).
실시예 21: 2,6-비스(브로모메틸)-1,5-비스(헥실옥시)나프탈렌(화합물 21)의 합성
디알콜 화합물 20(2.90 g, 7.5 밀리몰)을 15 ㎖의 무수 THF에 용해시키고 0 ℃로 냉각하였다. 상기 용액에 5 ㎖ THF 중의 PBr3(1.7 ㎖, 18 밀리몰)를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하고 물로 중단시키고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조 생성물을 용리액으로 5:95 에테르:헥산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연한 황색 결정 2.61 g(68%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94(t, J = 6.8 Hz, 6H, CH3), 1.39-1.44(m, 8H, 알킬), 1.55-1.62(m, 4H, 알킬), 1.92-2.01(m, 4H, 알킬), 4.10(t, J = 6.6 Hz, 4H, OCH2), 4.73(s, 벤질성, 4H), 7.49(d, J = 8.7 Hz, 2H, 나프틸), 7.84(d, J = 8.7 Hz, 2H, 나프틸). 융점 58 내지 60 ℃.
실시예 22: 1,5-비스(헥실옥시)-2,6-비스(메틸렌디에틸포스페이트)나프탈렌(화합물 22)의 합성
디브로모 화합물 21(2.50 g, 4.9 밀리몰) 및 트리에틸 포스파이트(2 ㎖, 12 밀리몰)를 혼합하고 100 ℃에서 4 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조 생성물을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백색 결정을 수득하고 모액을 용리액으로 20:80 아세톤:헥산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총 수율 2.34 g(76% 수율). 1H NMR(CDCl3)δ(ppm): 0.94(t, J = 6.8 Hz, 6H, CH3), 1.26(t, J = 7.1 Hz, 12H, CH3), 1.38-1.43(m, 8H, 알킬), 1.53-1.63(m, 4H, 알킬), 1.88-1.98(m, 4H, 알킬), 3.39(d, J = 21.7 Hz, 4H, OCH2), 3.99-4.12(m, 8H, POCH2), 7.55(d, J = 8.8 Hz, 2H, 나프틸), 7.79(d, J = 8.8 Hz, 2H, 나프틸); 13C NMR(CDCl3): 13.98, 16.28, 16.35, 22.59, 25.77, 26.14, 27.99, 30.40, 31.72, 61.97, 62.06, 75.09, 118.14, 120.62, 120.72, 128.30, 129.12, 153.51, 153.53, 153.64; 융점 48 내지 50 ℃; FD-MS: m/z 628(M).
실시예 23: 9,9'-디헥실플루오렌(화합물 23)의 합성
플루오렌(23.0 g, 0.14 몰)을 200 ㎖의 무수 THF에 용해시키고 -78 ℃로 냉각하였다. 상기 용액에 n-BuLi(헥산 중 2.5M, 65 ㎖, 0.16 몰)을 서서히 가하고, 적색 용액을 저온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20 ㎖의 THF에 용해시킨 n-헥실 브로마이드(27.4 g, 0.17 몰)를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물을 저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고 n-BuLi(헥산 중 2.5M, 65 ㎖, 0.16 몰)을 다시 가하고 반응물을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n-헥실 브로마이드(27.4 g, 0.17 몰)를 가하고 반응물을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녹색 반응물을 물로 중단시키고, 황색 용액을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수거된 유기상을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진공 증류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 42.3 g(93% 수율)을 투명한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57-0.66(m, 4H), 0.75(t, J = 6.7 Hz, 6H), 0.86-0.90(m, 4H), 1.02-1.11(m, 8H), 1.91-1.97(m, 4H), 7.28-7.34(m, 6H), 7.67-7.69(m, 2H); 13C NMR(CDCl3): 13.97, 22.57, 23.74, 29.73, 31.50, 40.42, 55.02, 119.62, 122.83, 126.67, 126.96, 141.13, 150.69.
실시예 24: 2,7-비스(브로모메틸)-9,9'-디(헥실)플루오렌(화합물 24)의 합성
화합물 23(15.0 g, 0.045 몰) 및 파라포름알데하이드(13.5 g, 0.45 몰)를 아세트산 중 30% HBr 90 ㎖에 용해시켰다. 반응물을 70 ℃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200 ㎖의 물에 붓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 조 생성물을 용리액으로 헥산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1.2 g의 연한 황색 점성 오일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58-0.65(m, 4H), 0.75(t, J = 6.7 Hz, 6H), 1.03-1.11(m, 12H), 1.92-1.98(m, 4H), 4.57(s, 4H), 7.32-7.35(m, 4H), 7.61(d, J = 7.7 Hz, 2H); 13C NMR(CDCl3): 13.96, 22.45, 23.65, 29.51, 31.34, 34.32, 40.07, 55.14, 120.02, 123.66, 127.98, 136.91, 140.74, 151.66.
실시예 25: 2,7-비스(시아노메틸)-9,9'-디(헥실)플루오렌(화합물 25)의 합성
화합물 24(6.85 g, 0.013 몰)를 50 ㎖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탄산 칼륨(4.55 g, 0.033 몰), 디메틸시아노 하이드린(3.0 ㎖, 0.033 몰) 및 0.15 g의 크라운-18-6을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조 생성물을 용리액으로 10:90 에 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백색 결정으로 2.8 g(51% 수율)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58-0.65(m, 4H), 0.75(t, J = 6.7 Hz, 6H), 1.05-1.15(m, 12H), 1.93-1.99(m, 4H), 3.84(s, 4H), 7.28-7.32(m, 4H), 7.68(d, J = 7.7 Hz, 2H); 13C NMR(CDCl3): 13.96, 22.54, 23.73, 23.91, 29.58, 31.46, 40.23, 55.46, 120.43, 122.42, 126.81, 128.93, 140.32, 151.97; 융점 70 내지 72 ℃; FD-MS: m/z 412(M).
실시예 26: 3-(2-에틸헥실)티오펜(화합물 26)의 합성
무수 마그네슘 파편(10.2 g, 0.42 몰) 및 40 ㎖의 무수 THF를 3구 환저 플라스크에 넣었다. 요오드 결정을 가하여 그리나드(Grinard) 반응을 개시하였다. 이어서, 100 ㎖ 무수 THF 중의 2-에틸헥실 브로마이드(79.0 g, 0.41 몰)를 마그네슘 파편에 적가하였다. 첨가 후에, 반응물을 1 시간동안 가열 환류시킨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00 ㎖의 THF로 희석하였다. 또 다른 플라스크에 3-브로모티오펜(50.0 g, 0.31 몰),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디클로로니켈(1.7 g, 0.003 몰) 및 100 ㎖의 THF를 가하고 플라스크를 빙욕에서 냉각시켰다. 그리나드 시약을 캐뉼러를 통해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실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한 후, 반응을 2N HCl로 중단시키고 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수거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 켰다. 조 생성물을 용리액으로 헥산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7.5 g의 순수한 생성물을 연한 황색 액체(46%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84-0.89(m, 6H), 1.19-1.33(m, 8H), 1.53-1.57(m, 1H), 2.56(d, J = 6.8 Hz, 2H), 6.87-6.90(m, 2H), 7.19-7.23(m, 2H); 13C NMR(CDCl3): 10.86, 14.12, 23.05, 25.70, 28.95, 32.58, .34, 40.46, 120.64, 124.79, 128.80, 141.93; FD-MS: m/z 196(M).
실시예 27: 2,5-비스(브로모메틸)-3-(2-에틸헥실)티오펜(화합물 27)의 합성
화합물 26(7.0 g, 0.036 몰) 및 파라포름알데하이드(2.57 g, 0.086 몰)를 3 ㎖의 아세트산에 용해시키고 HBr 용액(아세트산 중 30%, 0.088 몰, 18 ㎖)에 용해시켰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질소하에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200 ㎖의 에틸 에테르로 희석하고 물, 포화 NaHCO3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에, 9.6 g의 연한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는데(70% 수율), 이것은 거의 순수하였고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 반응에 사용되었다. 1H NMR(CDCl3)δ(ppm): 0.84-0.91(m, 6H), 1.19-1.33(m, 8H), 1.53-1.61(m, 1H), 2.45(d, J = 7.2 Hz, 2H), 4.63(s, 4H), 6.81(s, 1H); 13C NMR(CDCl3): 10.89, 14.09, 23.01, 25.33, 25.89, 26.66, 28.90, 32.73, 40.25, 130.49, 135.51, 140.00, 141.96; FD-MS: m/z 380(M).
실시예 28: 2,5-비스(메틸렌디에틸포스페이트)-3-(2-에틸헥실)티오펜(화합물 28)의 합성
화합물 27(9.6 g, 0.025 몰) 및 트리에틸 포스파이트(10.8 ㎖, 0.063 몰)를 100 ㎖ 환저 플라스크에 넣고 4 시간동안 100 ℃로 가열하였다. 조 생성물을 용리액으로 25:75 아세톤:헥산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9.0 g의 연한 황색 오일(72%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ppm): 0.82-0.89(m, 6H), 1.25-1.31(m, 20H), 1.47-1.55(m, 1H), 2.42(d, J = 7.1 Hz, 2H), 3.19-3.29(m, 4H), 4.01-4.11(m, 8H), 6.70(s, 1H); 13C NMR(CDCl3): 10.90, 14.10, 16.38, 16.45, 16.46, 23.08, 25.70, 28.98, 32.66, 32.69, 32.70, 40.48, 125.63, 129.37, 129.47, 139.91; FD-MS: m/z 496(M).
중합체의 합성
실시예 29: 호너-에몬스 반응에 대한 일반적 절차
동몰량의 디카복시알데하이드 및 디포스페이트 단량체를 질소하에 무수 THF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2.5 당량의 NaH를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질소하에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소량의 벤즈알데하이드를 가하여 포스페이트 말단 기를 말단 캡핑하였다. 중합체를 메탄올 중에 침전시키고 여과시키고 클로로포름에 재용해시킨 다음 메탄올로부터 2회 더 침전시켰다. 생성된 중합체를 진공하에 45 ℃에서 하룻밤동안 건조시켰다.
실시예 30: 크노에베나겔 반응에 대한 일반적 절차
동몰량의 디카복시알데하이드 및 디시아노 단량체를 질소하에서 1:1 무수 THF 및 t-부틸 알콜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촉매량의 칼륨 t-부톡사이드를 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하에 실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중합체를 메탄올 중에 침전시키고 여과시키고 클로로포름에 재용해시킨 다음 메탄올로부터 2회 침전시켰다. 생성된 중합체를 진공하에 45 ℃에서 하룻밤동안 건조시켰다.
EL 소자 제작 및 성능
실시예 31
본 발명의 필요조건들을 충족시키는 EL 소자를 다음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유기 EL 매체는 단일 층의 중합체 박막을 갖는다.
(a) 인듐-주석-옥사이드(ITO) 코팅된 유리 기판을 연속하여 시판 세제 중에서 초음파처리하고, 탈이온수로 헹구고, 톨루엔 증기 중에서 탈지시키고, 자외선 및 오존에 수분간 노출시켰다.
(b) 중합체의 톨루엔 용액(용매 30 mL 중 30 mg)을 2 ㎛ 테플론(Teflon) 필터를 통해 여과시켰다. 이어서, 중합체 용액을 제어된 회전 속도하에서 ITO 위에 회전-도포하였다. 중합체 막의 두께는 500 내지 700 Å이었다.
(c) 중합체 막의 상부에 10:1 원자 비의 Mg와 Ag로 이루어진 2000 Å 두께의 음극 층을 침착시켰다.
상기 순서로 EL 소자의 침착이 완료되었다. 이어서, 소자를 주위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무수 글로브 박스에서 밀봉 포장하였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중합체의 특성을 요약한 것이다. 합성된 중합체는 높은 Tg 및 Td를 나타낸다. 흡수 및 방출 스펙트럼은 묽은 용액으로부터 얻었고, 광발광(PL) 스펙트럼은 중합체의 고체 박막으로부터 얻었으며, EL 스펙트럼은 ITO/중합체/Mg:Ag EL 소자로부터 얻었다. EL 소자 제작은 실시예 31에서 예시하였다. 도 4 및 5는 각각 중합체 22 및 중합체 17의 흡수, 방출, PL 및 EL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중합체 22의 EL 소자의 전압-전류 특성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중합체들의 특성
중합체 Mw a Tg (℃) Td (℃) 흡수 (λmax㎚)b 방출 (λmax㎚)b EL (λmax㎚)
4 32000 121 412 509 555 556
1 67200 225 448 362 562 NDc
5 34700 237 454 403 521 ND
30 2580 210 420 421 577 ND
18 204000 175 390 430 530 572
22 31100 149 395 404 664 668
34 5710 120 388 515 591 620
14 2740 105 290 408 506 572
9 36300 123 351 449 543 ND
17 2180 79 329 421 527 572
a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사용하여 트리클로로벤젠 중에서 크기별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중량 평균 분자량. b 용액에서 측정. c 관찰되지 않음.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된, 아릴아민 잔기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의 중합체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EL 소자에 발광 층으로 사용된 화학식 1의 중합체 물질은 매우 형광성이며 효과적인 발광성 물질로서, 이를 포함한 EL 소자는 높은 작동 안정성 하에 광범위한 색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Claims (6)

  1.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된, 아릴아민 잔기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의 중합체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
    화학식 1
    Figure 112001013992021-pat00065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1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기; 6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4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시아노 기이고;
    Ar1, Ar2, Ar3, Ar4 및 Ar은 각각 독립적으로 6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4 내지 40개의 탄소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Ar1 및 Ar2가 화학적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제 1 기를 형성하고, Ar3 및 Ar4가 화학 적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제 2 기를 형성하는 전기발광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Ar1 및 Ar2가 화학적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제 1 기를 형성하고, Ar3 및 Ar4가 화학적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제 2 기를 형성하되, 제 1 기 및 제 2 기 각각이 식
    Figure 112001013992021-pat00066
    Figure 112001013992021-pat00067
    으로 주어지고, 카바졸 및 카바졸 유도체:
    Figure 112001013992021-pat00068
    ,
    Figure 112001013992021-pat00069
    ,
    Figure 112001013992021-pat00070
    ,
    Figure 112001013992021-pat00071
    ,
    Figure 112001013992021-pat00072
    또는
    Figure 112001013992021-pat00073
    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Ar이 하나보다 많은 Ar 기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Ar이 하기 식의 기 1 내지 24를 포함하되, 각각의 식에서 R은 치환기이고, 수소; 1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기; 6 내지 2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4 내지 40개의 탄소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시아노 기; 니트로 기; 또는 염소, 브롬 또는 불소 원자일 수 있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인 전기발광 소자:
    기 1:
    Figure 112007054800952-pat00074
    기 2:
    Figure 112007054800952-pat00075
    기 3:
    Figure 112007054800952-pat00076
    기 4:
    Figure 112007054800952-pat00077
    기 5:
    Figure 112007054800952-pat00078
    기 6:
    Figure 112007054800952-pat00079
    기 7:
    Figure 112007054800952-pat00080
    기 8:
    Figure 112007054800952-pat00081
    기 9:
    Figure 112007054800952-pat00082
    기 10:
    Figure 112007054800952-pat00083
    상기 식에서, X는 O 또는 S 원자이고;
    기 11:
    Figure 112007054800952-pat00084
    상기 식에서,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기 12:
    Figure 112007054800952-pat00085
    상기 식에서, X는 O 또는 S 원자이고,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기 13:
    Figure 112007054800952-pat00086
    기 14:
    Figure 112007054800952-pat00087
    기 15:
    Figure 112007054800952-pat00088
    상기 식에서, X1은 O 원자 또는 2개의 시아노 기이고;
    기 16:
    Figure 112007054800952-pat00089
    상기 식에서, R1은 치환기이고, 수소; 1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기; 6 내지 2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또는 4 내지 40개의 탄소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고;
    기 17:
    Figure 112007054800952-pat00090
    상기 식에서, R1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X2는 질소원자 또는 CH이고;
    기 18:
    Figure 112007054800952-pat00091
    상기 식에서, R1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기 19:
    Figure 112007054800952-pat00092
    기 20:
    Figure 112007054800952-pat00093
    기 21:
    Figure 112007054800952-pat00094
    기 22:
    Figure 112007054800952-pat00095
    기 23:
    Figure 112007054800952-pat00096
    상기 식에서, X는 O 또는 S 원자이고,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기 24:
    Figure 112007054800952-pat00097
    상기 식에서, R1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p는 0 내지 2의 정수이다.
  6.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형광 염료 또는 다 른 발광 물질로 도핑되고 아릴아민 잔기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의 중합체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
    화학식 1
    Figure 112001013992021-pat00098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1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기; 6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4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시아노 기이고;
    Ar1, Ar2, Ar3, Ar4 및 Ar은 각각 독립적으로 6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4 내지 40개의 탄소를 갖는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KR1020010032909A 2000-06-13 2001-06-12 아릴아민 중합체를 갖는 전기발광 소자 Expired - Lifetime KR100802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93,127 US6329086B1 (en) 2000-06-13 2000-06-13 Electroluminescent devices having arylamine polymers
US09/593,127 2000-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635A KR20010112635A (ko) 2001-12-20
KR100802756B1 true KR100802756B1 (ko) 2008-02-12

Family

ID=2437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909A Expired - Lifetime KR100802756B1 (ko) 2000-06-13 2001-06-12 아릴아민 중합체를 갖는 전기발광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29086B1 (ko)
EP (1) EP1164178B1 (ko)
JP (2) JP2002083683A (ko)
KR (1) KR100802756B1 (ko)
DE (1) DE60100688T2 (ko)
TW (1) TW5300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5274A (ja) * 2000-08-21 2002-05-28 Sumitomo Chem Co Ltd 高分子蛍光体および高分子発光素子
TW511394B (en) * 2000-08-21 2002-11-21 Sumitomo Chemical Co Polymeric fluorescent substance and polymer light emitting device
AU2001287939A1 (en) * 2000-09-26 2002-04-08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Polymer and uses thereof
TW555833B (en) 2000-12-06 2003-10-01 Sumitomo Chemical Co Polymeric fluorescent substance and polymer light-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US6869696B2 (en) 2002-05-10 2005-03-22 Sensient Imaging Technologies Gmbh Organic red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a heterocyclic emitter
US6844089B2 (en) 2002-05-10 2005-01-18 Sensient Imaging Technologies Gmbh Organic red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dopant
US6723828B2 (en) * 2001-05-23 2004-04-20 Sri International Conjugated electroluminescent polymers and associate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DE10141266A1 (de) * 2001-08-21 2003-03-06 Syntec Ges Fuer Chemie Und Tec Elektrolumineszierende Derivate der 2,5-Diamino-terephthalsäure und deren Verwendung in organischen Leuchtdioden
KR100478521B1 (ko) * 2001-10-29 2005-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고분자 발광 혼합 조성물 및 그를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TWI238816B (en) * 2002-02-27 2005-09-01 Hirose Engineering Co Ltd Luminescent compound emitting yellow ligh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luminescent element emitting yellow light, and luminescent element emitting white light
US6818919B2 (en) * 2002-09-23 2004-11-1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Light emitting layers for LED devices based on high Tg polymer matrix compositions
WO2004106458A1 (en) * 2003-05-21 2004-12-0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Blend of viscosity modifier and luminescent compound
US20050186444A1 (en) * 2004-02-25 2005-08-25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s having conjugated arylamine polymers
US6899963B1 (en) * 2004-02-25 2005-05-31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s having pendant naphthylanthracene-based polymers
WO2007095062A2 (en) * 2006-02-09 2007-08-23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lt-extruded polyvinyl alcohol with improved optical and olfactory properties
KR102173046B1 (ko) * 2013-12-06 2020-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축합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WO2015117100A1 (en) 2014-02-02 2015-08-06 Molaire Consulting Llc Noncrystallizable sensitized layers for oled and oeds
US20170001417A1 (en) * 2014-03-31 2017-01-05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interlayer for luminescent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10749118B2 (en) 2014-06-26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476435B2 (en) 2017-08-24 2022-10-18 Kyushu University,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Film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ontaining perovskite-type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
CN108084407B (zh) * 2017-12-13 2019-12-03 华南协同创新研究院 含9,9,10,10-四氧-噻蒽七元稠环单元的聚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751837A (zh) * 2022-03-22 2022-07-15 唐继勇 一种中间体2,5-二芳胺基-对苯二甲酸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9394A1 (de) * 1995-09-04 1997-03-13 Hoechst Research & Technology Deutschland Gmbh & Co. Kg Polymere mit triarylamin-einheiten als elektrolumineszenzmaterialien
EP0765106A2 (en) * 1995-09-25 1997-03-26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 Light-emitting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for which the light-emitting material is adapted
EP0827366A2 (en) * 1996-08-27 1998-03-04 Hewlett-Packard Company Heat-resistant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429A (en) 1980-07-17 1982-10-26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cell
US4769292A (en) 1987-03-02 1988-09-06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modified thin film luminescent zone
US5429884A (en) 1992-01-17 1995-07-0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US5776622A (en) 1996-07-29 1998-07-07 Eastman Kodak Company Bilayer eletron-injeting electrode for use in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US5817430A (en) * 1996-11-13 1998-10-06 Xerox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polymer compositions and processes thereof
US6309763B1 (en) * 1997-05-21 2001-10-30 The Dow Chemical Company Fluorene-containing polymers and electroluminescent devices therefrom
US5904990A (en) * 1997-05-28 1999-05-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mino functional poly (para-phenylene vinylene)s as protective coatings
GB2328212B (en) * 1997-08-12 2000-11-29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polymer for light emitting diode
US5972247A (en) 1998-03-20 1999-10-26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s for stable blue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5935721A (en) 1998-03-20 1999-08-10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s for stable electroluminescent
KR20010112634A (ko) * 2000-06-13 2001-12-20 로버트 디. 크루그 디페닐안트라센-기재 공액 중합체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9394A1 (de) * 1995-09-04 1997-03-13 Hoechst Research & Technology Deutschland Gmbh & Co. Kg Polymere mit triarylamin-einheiten als elektrolumineszenzmaterialien
EP0765106A2 (en) * 1995-09-25 1997-03-26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 Light-emitting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for which the light-emitting material is adapted
EP0827366A2 (en) * 1996-08-27 1998-03-04 Hewlett-Packard Company Heat-resistant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00688D1 (de) 2003-10-09
TW530076B (en) 2003-05-01
JP2002083683A (ja) 2002-03-22
JP5662403B2 (ja) 2015-01-28
JP2013051427A (ja) 2013-03-14
DE60100688T2 (de) 2004-07-22
US6329086B1 (en) 2001-12-11
EP1164178A1 (en) 2001-12-19
KR20010112635A (ko) 2001-12-20
EP1164178B1 (en)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2403B2 (ja) 電界発光デバイス
KR101424836B1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용 신규 물질
US5814244A (en) Polymers comprising triaylamine units as electroluminescence materials
KR101554750B1 (ko) 진청색 발광 용도를 위한 크라이센
US5879821A (en) Electroluminescent polymer compositions and processes thereof
KR101434632B1 (ko) 아릴아민 화합물 및 전자 장치
RU2419648C2 (ru) Соединения для органических электронных устройств
KR100826364B1 (ko) 안트라센 유도체 정공 수송층을 갖는 전자발광 소자
KR100843819B1 (ko)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사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101267854B1 (ko) 카르도 구조를 갖는 π-공역 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RU2434836C2 (ru) Конденсированное циклическое ароматическ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органического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одержащее его органическое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20010050735A (ko) 페닐안트라센계 중합체를 갖는 전자 발광 소자
US6824890B2 (en) Soluble tetrahedral compounds for use in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20070038110A (ko) 유기 전계발광 장치
KR101495396B1 (ko) 청색 또는 녹색 발광 용도를 위한 크라이센 화합물
WO1996010617A1 (de) Poly(paraphenylenvinylen)-derivate und ihre verwendung als elektrolumineszenzmaterialien
KR20100119077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KR20150061033A (ko) 발광 응용을 위한 크라이센 화합물
JP2001181619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装置
KR20100024451A (ko) 녹색 발광 용도를 위한 크라이센
KR100925323B1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101720399B1 (ko) 발광 응용을 위한 중수소화된 화합물
Thangthong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9, 10-substituted anthracene derivatives as blue light-emitting and hole-transporting materials for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20030134147A1 (en) Dendrimers
KR20010112634A (ko) 디페닐안트라센-기재 공액 중합체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6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6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121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