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978B1 - Antenna assembly structure - Google Patents
Antenna assembly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9978B1 KR100829978B1 KR1020060084493A KR20060084493A KR100829978B1 KR 100829978 B1 KR100829978 B1 KR 100829978B1 KR 1020060084493 A KR1020060084493 A KR 1020060084493A KR 20060084493 A KR20060084493 A KR 20060084493A KR 100829978 B1 KR100829978 B1 KR 1008299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radiator
- connection terminal
- antenna base
- circuit boar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접속단자를 절곡시켜 안테나 베이스의 측면에 결합된 방사체와 접속시킴으로써, 무선 통신용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안테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ing structure of an antenna, and relates to an antenna assembling structure which can reduce a siz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y bending a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ing a radiator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an antenna base.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내에 고정되는 안테나 베이스; 상기 안테나 베이스의 상면 및 일측면을 감싸며 고정되고,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사체; 상기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 처리용 부품들이 실장된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 상부로 절곡되어 장착되며 상기 안테나 베이스의 일측부에 복개된 방사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클립 형태의 접속단자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ixed to the antenna base; A radiator configured to wrap around the top and one side of the antenna base and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A circuit board on which signal processing component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adiator are mounted; And a clip-shaped connection terminal that is bent and moun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adiator covered on one side of the antenna base.
안테나, 방사체, 접속단자, 무선 통신용 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Antenna, radiator, connec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uilt-in antenna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안테나 조립구조에서 안테나 분리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enna separation in the conventional antenna assembly structure.
도 2는 종래 안테나 조립구조에서 안테나 결합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combining the antenna in the conventional antenna assembly structur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조립구조에서 안테나 분리시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antenna is separated in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조립구조에서 안테나 조립시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enna assembly in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조립구조에서 안테나 조립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enna assembly in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201 : 방사체 202 : 안테나 베이스201: radiator 202: antenna base
203 : 융착돌기 204 : 회로기판203: fusion protrusion 204: circuit board
205 : 접속단자 205a : 고정부205: connecting
205b : 탄성 접속부 206 : 땜납205b: elastic connecting portion 206: solder
본 발명은 안테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단자가 안테나 베이스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무선 통신용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안테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assembly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assembly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size of the termi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by making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built-in antenna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antenna base.
최근에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어느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용 단말기가 대중화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can be easily used anywhere by anyone carrying it easily have been popularized.
이러한 무선 통신용 단말기는,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로부터 가까운 곳에 설치된 기지국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여 타인과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장치로써, 무선 통신용 단말기에는 공중파를 잡기 위한 안테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a base station installed near a place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and making a telephone call with another pers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essentially provided with an antenna for catching airwaves.
무선 통신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에는 헬리컬 안테나(Helical antenna)와, 헬리컬 안테나와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를 결합시킨 형태의 리트랙터블 안테나(Retractable antenna)가 있으며, 최근에는 단말기 내부로 실장되는 내장형 안테나(Inner antenna)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Antennas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e a helical antenna and a retractable antenna in which a helical antenna and a monopole antenna are combined, and recently, an internal antenna mounted inside the terminal. (Inner antenna) is used a lot.
그럼, 이하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안테나 조립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n,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안테나 조립구조에서 안테나 분리시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 안테나 조립구조에서 안테나 결합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antenna is separated in the conventional antenna assembly structur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combining the antenna in the conventional antenna assembly structure.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안테나는, 상부 및 하부 에 복수개의 융착돌기(103)가 형성된 안테나 베이스(102)와, 상기 융착돌기(103)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안테나 베이스(102)를 'ㄷ' 형태로 감싸고 있으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사체(101)와, 상기 방사체(101)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 처리용 부품(도면 미도시)들이 실장된 회로기판(104)과, 상기 회로기판(104)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안테나 베이스(102)의 하부에 복개된 방사체(10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클립 형태의 접속단자(105)로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n
이때, 상기 접속단자(105)는 고정부(105a)의 일측단부가 솔더링 등의 접착 방법으로 상기 회로기판(104) 상부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05a)의 일측으로 연장된 탄성 접속부(105b)가 상기 안테나 베이스(102)의 하면에 결합된 방사체(101)와 접속된다.In this case, th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안테나의 조립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105)가 솔더링 결합된 회로기판(104) 상부에 상기 안테나 베이스(102)가 안착되면서 상기 안테나 베이스(102)를 감싸고 있는 방사체(101)와 상기 접속단자(105)의 접촉이 이루어진다.2, the
이때, 상기 안테나 베이스(102)의 하면에 결합된 방사체(101)는 상기 접속단자(105)의 탄성 접속부(105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방사체(101)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회로기판(104)을 통해 다른 부품으로 전달된다.At this time,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안테나 장착 구조는, 상기 방사체(101)가 결합된 안테 나 베이스(102)가 상기 접속단자(105)의 상부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회로기판(104)에서 상기 안테나 베이스(102) 하면까지의 높이(L)가 상기 접속단자(105)의 높이만큼 높아지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무선 통신용 단말기에서 안테나가 차지하는 면적이 커져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ntenna mount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한, 상기 방사체(101)가 상기 안테나 베이스(102)의 상부, 하부 및 일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안테나 베이스(102)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융착돌기(103)가 형성될 수 밖에 없어, 상기 방사체(101)를 상기 안테나 베이스(102)에 결합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결합공정 또한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접속단자의 탄성 접속부를 상부로 절곡시켜 안테나 베이스의 측면에 결합된 방사체와 접속시킴으로써, 회로기판과 안테나 베이스를 밀착시킴에 의해서 안테나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는 안테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ose the circuit board and the antenna base by bending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of the antenna connection terminal upward and connecting the radiator coupled to the side of the antenna base. It is to provide an antenna assembly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area occupied by the antenna.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조립구조는, 단말기 내에 고정되는 안테나 베이스; 상기 안테나 베이스의 상면 및 일측면을 감싸며 고정되고,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사체; 상기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 처 리용 부품들이 실장된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 상부로 절곡되어 장착되며 상기 안테나 베이스의 일측부에 복개된 방사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클립 형태의 접속단자를 포함한다.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ntenna base is fixed in the terminal; A radiator configured to wrap around the top and one side of the antenna base and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A circuit board on which signal processing component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adiator are mounted; And a clip-shaped connection terminal that is bent and moun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adiator covered on one side of the antenna ba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베이스의 하면이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상기 접속단자 두께의 공간을 가지며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antenna b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on terminal has a space of the thickness of the close conta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90°이내의 예각을 가지는 범위 내에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in a range having an acute angle within 90 °.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베이스는 상부에 복수의 융착돌기가 형성되어 방사체가 유동없이 장착되며, 하면이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bas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usion projections on the top, the radiator is mounted without f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의 솔더링 강도는 상기 접속단자와 방사체 접촉시의 탄성 강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dering strength of the connection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arger than the elastic strength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radiator contact.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그럼, 이하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조립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조립구조에서 안테나 분리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조립구조에서 안테나 조립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antenna is separated in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antenna assembly in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무선 통신용 단말기에 내장되는 내장형 안테나로써, 상기 무선 통신용 단말기 내에 고정되는 안테나 베이스(202)와, 상기 안테나 베이스(203)의 상면 및 일측면을 감싸며 고정되고,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사체(201)와, 상기 방사체(201)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 처리용 부품(도면 미도시)들이 실장된 회로기판(204)와, 상기 회로기판(204) 상부로 절곡되어 장착되며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의 일측부에 복개된 방사체(20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클립 형태의 접속단자(205)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rnal antenna embedd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es an
여기서, 상기 접속단자(205)는 상기 회로기판(204)의 상면에 땜납(206)에 의해서 결합 고정되고, 상기 회로기판(204)의 상면과 접촉되는 고정부(205a)를 기점으로 일측이 상부로 절곡되어 클립 형태의 탄성 접속부(205b)가 수직 설치된다.Here, the
이때, 상기 접속단자(205)를 상기 회로기판(204)에 고정시키는 솔더링 강도는 상기 방사체(201)를 상기 접속단자(205) 방향인 'A'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단자(205)와 접속시키기 위한 접촉시의 탄성 강도보다 더 크게해야 한다.At this time, the soldering strength for fixing the
그 이유는, 상기 솔더링 강도보다 상기 접촉 탄성 강도가 더 작을 경우, 상기 방사체(201)를 접속단자(205)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일측으로 이동시킬때 상기 땜납(206)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접속단자(205)는 상기 회로기판(204)과의 결합을 유지하지 못하고 분리됨에 따라 상기 방사체(201)와 회로기판(204)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없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contact elastic strength is smaller than the soldering strength, the
이에 따라, 상기 방사체(201)가 상기 접속단자(205)와의 접속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솔더링 강도는 상기 접속단자(204)와 방사체(201)와의 접촉시의 탄성 강도보다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n order to enable the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205)의 탄성 접속부(205b)는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에 결합된 방사체(201)의 일면과 접속되어 상기 방사체(201)로부터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로기판(204)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회로기판(204)으로부터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방사체(201)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connecting
이때, 상기 방사체(201)는 상기 접속단자(205)가 회로기판(204)의 상부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의 하면까지 형성되지 않아도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접속단자(205)와 접속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ㄷ'자 형태 대신 안테나 베이스(202)의 상면과 일측면 즉, 탄성 접속부(205b) 접촉 측면만이 복개된 형태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이에 따라, 상기 방사체(201)를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해지며 상기 방사체(201)의 크기가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또한,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는 상면 및 하면에만 상기 방사체(201)가 결합되므로, 종래의 하면에 형성되었던 융착돌기(103, 도 1 참조)가 필요 없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방사체(202)와 결합될 수 있어 이들의 결합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한편,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는 상기 방사체(201)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융착돌기(203)를 상면에 형성시켜 상기 방사체(201)를 상기 융착돌기(203)를 통해 상면 및 일측면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방사체(201)는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에 고정결합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융착돌기(203)가 형성된 위치에 통공(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와 고정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상기 방사체(201)의 통공을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의 융착돌기(203)를 통해 관통시켜 결합한 후 상기 복수의 융착돌기(203)를 가열하거나 압착시켜 모양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방사체(201)가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킨다.Accordingly, the through-hole of the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안테나의 조립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204)의 상면에 솔더링 결합된 접속단자(205)의 방향인 'A' 방향으로 상기 방사체(201)가 결합된 안테나 베이스(202)를 이동시킨다. Assembly of the antenna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4, the radiator (A) in the direction of the bent and the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를 'A'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의 일측면에 결합된 방사체(201)는 상기 접속단자(205)의 탄성 접속부(205b)와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의 하면은 상기 접속단자(205)의 고정부(205a)의 두께와 땜납(206)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L')의 최소한의 공간을 가지며 상기 회로기판(204)의 상부와 밀착된다.When the
한편, 상기 접속단자(205)는, 상기 탄성 접속부(205b)가 고정부(205a)에 대하여 90°이내의 절곡 각도를 가지도록 하게 되면, 상기 안테나가 무선 통신용 단말기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가 구비되는 무선 통신용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siz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he antenna.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조립구조에서 안테나 조립시 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205)의 고정부(205a)를 상기 탄성 접속부(205b) 측으로 단축시켜 상기 고정부(205a)의 단축 공간만큼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 하면이 상기 회로기판(204)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탄성 접속부(205b)와 방사체(201)가 접촉 가능하도록 회로기판(204)에 솔더링 고정시킨다.Next,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when assembling the antenna in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hortening the
그런 다음,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의 일측을 상기 탄성 접속부(205b)와 접촉시키면,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 하면은 상기 회로기판(204) 상면에 밀착되어 서로 맞닿게 된다.Then, when one side of the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조립구조는, 앞선 도 4에서의 납땜(206)과 고정부(205a) 두께만큼의 높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안테나 베이스(202) 하면과 상기 회로기판(204) 상면과의 높이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ight can be reduced by the thickness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가 구비되는 무선 통신용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siz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he antenna.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such substitutions, changes and the like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난 조립구조는,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단자를 절곡시켜 안테나 베이스의 측면에 결합된 방사체와 접속시킴으로써, 무선 통신용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ntenna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iz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y bending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built-in antenna and connecting the radiator coupled to the side of the antenna base.
또한, 본 발명은, 방사체를 안테나 베이스의 상면 및 일측면에만 결합시킴으로써, 결합공정이 단순해져 생산공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coupling the radiator only to the top and one side of the antenna b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upling process is simplified to reduce the time spent in the production proces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84493A KR100829978B1 (en) | 2006-09-04 | 2006-09-04 | Antenna assembly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84493A KR100829978B1 (en) | 2006-09-04 | 2006-09-04 | Antenna assembly structur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21280A KR20080021280A (en) | 2008-03-07 |
| KR100829978B1 true KR100829978B1 (en) | 2008-05-16 |
Family
ID=3939580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844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9978B1 (en) | 2006-09-04 | 2006-09-04 | Antenna assembly struct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2997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89601B1 (en) * | 2010-05-19 | 2016-12-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 KR102118176B1 (en) | 2013-12-13 | 2020-06-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Contact Clip for Electric Apparatus and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07590A (en) * | 2004-07-20 | 2006-01-26 | 주식회사 팬택 | Built-in antenna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65324B1 (en) | 2005-12-01 | 2007-01-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ilt-in antenna assembly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2006
- 2006-09-04 KR KR1020060084493A patent/KR10082997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07590A (en) * | 2004-07-20 | 2006-01-26 | 주식회사 팬택 | Built-in antenna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65324B1 (en) | 2005-12-01 | 2007-01-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ilt-in antenna assembly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21280A (en) | 2008-03-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09249B1 (en) | Internal antenna assembly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714599B1 (en) | Built-in antenna assembly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 US6879849B2 (en) | In-built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 CN100385734C (en) | antenna | |
| US8711054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embedded antenna | |
| KR102794425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or and communication module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or | |
| KR100666047B1 (en) | Built-in antenna module with radiator for Bluetooth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 KR100829978B1 (en) | Antenna assembly structure | |
| WO2008082088A1 (en) | A multi-layered internal antenna | |
| KR101242676B1 (en) | Built-in antenna for portable terminal | |
| US7583986B2 (en) | Actuator modu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 |
| KR100701868B1 (en) | Built-in antenna for mobile terminal | |
| US6914569B2 (en) | Built-in antenna terminal part supporting device | |
| KR101047816B1 (en) | Intenna for Mobile Devices | |
| KR20170084794A (en) | Antenna Module | |
| KR20110132869A (en) | Mobile device with slide antenna | |
| KR20210047814A (en) | Antenna module for small device | |
| KR101295052B1 (en) | Portable terminal | |
| KR20140126079A (en) | Antenna pattern frame for manufacturing case of electronic device and case of electronic device | |
| KR200291156Y1 (en) | Terminal of Antenna for Hand Phone | |
| CN217522220U (en) | Antenna connection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 |
| KR200456331Y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Intenna | |
| KR100891792B1 (en) | Built-in antenna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200416001Y1 (en) | Terminal structure of the built-in antenna for mobile terminal | |
| KR20090090719A (en) | Antenna and antenna manufacturing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5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509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