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187B1 -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method and device therefor - Google Patents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method and device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1187B1 KR100821187B1 KR1020060109280A KR20060109280A KR100821187B1 KR 100821187 B1 KR100821187 B1 KR 100821187B1 KR 1020060109280 A KR1020060109280 A KR 1020060109280A KR 20060109280 A KR20060109280 A KR 20060109280A KR 100821187 B1 KR100821187 B1 KR 1008211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communication terminal
- mobile communication
- synchronization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06010048669 Terminal stat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정보와 콘텐츠 제공 장치를 동기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던 콘텐츠 데이터가 손실 또는 삭제되어 재전송 받아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되었던 콘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동기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동기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을 확인한 다음, 상기 방법에 따라 동기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콘텐츠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므로써 동시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ent information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ntent providing device. In particular, when an event that needs to be retransmitted occurs due to a loss or deletion of content data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perform, when a synchroniza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llected,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whether or not synchronization is necessary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nchronization is necessar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thod for synchroniz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dentified, and synchronizing by collecting and providing the content data necessary for synchronizing according to the metho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로부터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necessary contents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through a wireless Interne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정보와 콘텐츠 제공 장치를 동기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던 콘텐츠 데이터가 손실 또는 삭제되어 재전송 받아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 동기화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ent information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ntent providing device. In particular, when an event that needs to be retransmitted occurs due to a loss or deletion of content data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method that can be performed, and an apparatus therefor.
최근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기술이 혁신적으로 개발되면서 전자상거래 및 각종 상업광고 등과 같은 일반 자료뿐만 아니라 음악, 뉴스,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컨텐츠 자료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Recently,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r intranet technology, various contents such as music, news, video, etc. as well as general data such as e-commerce and various commercial advertisements can be easily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wired or wireless Internet. These contents materials are increasing in volume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할 수 있는 콘텐츠의 종류가 증가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 있어서도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이러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수도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개인용 컴퓨터(PC)와 데이터통신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PC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직접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As such, as the type of content that can be execu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reases, demand for various contents also increas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s. Accordingly, the number of service providers that provide such contents is increasing. Currently available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data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 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stored in the PC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wired network using a personal computer (PC) and a data communication cable, and mobile communication. A method of accessing wireless Internet directly from a terminal and providing necessary content is generally used.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로부터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necessary contents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through a wireless Internet.
도 1을 참조하면, 제어서버(210), 데이터베이스 서버(220) 및 다운로드 서버(230)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요청받은 콘텐츠 데이터 또는 외부 요청이나 내부 설정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 기(100)로 제공할 필요가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의 제어 서버(210)는 다운로드 서버(230)에게 해당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S100). 이때, 상기 S100단계에서 제어 서버(210)의 요청은 바람직하게는 이전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 제공 요청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content providing
상기 요청을 수신한 다운로드 서버(2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할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 다음(S101), 데이터베이스 서버(220)에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S102). 이에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20)는 해당 콘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하였다는 콘텐츠 제공 정보를 기록한 다음(S103),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 서버(230)에게 제공하면(S103), 다운로드 서버는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게 제공한다(S105).After receiving the request, the
이처럼 제공받은 콘텐츠 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 별도의 저장장치에 기록된다. 그러나,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키패드 조작 실수와 같은 내부적인 요인이나, 외부에서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 바이러스 프로그램에 의한 감염 또는 누수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삭제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분실 또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등의 이유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새로운 단말기로 교체하였지만 기존에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았던 콘텐츠 데이터를 새로운 단말기로 옮기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았던 콘텐츠를 재전송 받아 기 존에 제공받았던 상태와 동기화시켜야하는 이벤트(이하, '동기화 이벤트'라 함)가 발생하면,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여 각각의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받는 작업을 개별적으로 반복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The provided content data is recorded in a separate storage device exist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the stored data may be deleted or changed due to internal factors such as a user's keypad manipulation mistake, or external factors such as an impact applied to the terminal from outside, an infection or a leak by a virus program, and the like. Alternatively, although a user replac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new terminal due to loss or digital right management (DRM), a user may not be able to transfer content data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to a new terminal. As such, when an ev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nchronization event") that needs to be re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and synchronized with the state provided in the past occurs, the user of the
또한, 상기 동기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 데이터를 재전송 받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상태를 확인하고, 새로이 재전송 받아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종류를 결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user to directly retransmit the content data according to the synchronization event occurs, the user directly checks the state of the content data currently stored in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았던 콘텐츠를 재전송 받아 기존에 제공받았던 상태와 동기화시켜야 하는 동기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필요한 콘텐츠를 용이하게 재전송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hat, when a synchronization event that needs to be retransmitted and synchronized with a state previously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eds to It is to provide a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be easily retransmitt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콘텐츠 동기화 서비스 방법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단계;A first step of receiving a synchronization request message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되었던 콘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제 2단계;A second step of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 2단계에서 수집된 콘텐츠 제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동기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3단계;A third step of checking whether synchronization is necessary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providing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second step;
상기 제 3단계에서 동기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을 확인하고, 상기 방법에 따라 동기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콘텐츠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4단계; 및A fourth step of identifying a method for synchroniz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collecting the synchronization in the third step and collecting content data necessary for synchronizing according to the method; And
상기 수집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동시화시키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a fifth step of synchronizing the provided content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콘텐츠 동기화 서비스 장치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 장치들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 게이트웨이 및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수된 동기화 요청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와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간을 동기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동기화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서버; A control server including a communication gateway in charge of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and a synchronization module configured to perform necessary tasks for synchroniz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synchroniz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및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되었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A database server including a content storage unit for storing content data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ent providing information storage unit including information on content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제어 서버의 요청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동기화를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여 동기화시키는 다운로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a download server for synchronizing by providing content data for synchronization to a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 ser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 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접수한다(S200).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잔존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동기화 방법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2,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synchroniza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00). In a preferred embodiment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sage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content remain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on a synchronization metho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S200단계의 메시지를 접수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발신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동기화 서비스의 정당한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01).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S201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의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사용자 인증 서버에 의뢰하는 형태로 진행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that receives the message of step S200 check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sent the request message is a legitimate subscriber of the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201). In a preferred embodiment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S201 may be performed by requesting a separate user authentication server existing outside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이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화 요청 메시지는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 상태 정보는 해 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남겨져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목록, 콘텐츠 데이터가 변경된 시간, 손상된 데이터의 목록 및 손상된 정조 등에 관한 정보를 들 수 있다. At this time, in an embodiment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chronization request message preferably includes stat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stat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about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information on a list of content data left in the storage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ime at which the content data is changed, a list of damaged data, and damaged tuning may be given.
상기 S201단계의 확인 결과 정당한 가입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였던 이력정보인 콘텐츠 제공 정보를 수집한다(S20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정보는 도 1의 S103단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였던 콘텐츠의 종류, 유형, 크기, 시간, 목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scriber is a legitimate subscriber in step S201, content providing information, which is historical information of providing the content to the user, is collected (S20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ing information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type, type, size, time, list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obile terminal as shown in step S103 of FIG.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is preferably stored separately in a database server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다음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와 동기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3). 이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었던 콘텐츠가 손상 또는 변경되었거나, 삭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200단계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았던 단말기 상태 정보와, 상기 S202단계에서 수집한 콘텐츠 제공 정보를 비교하는 것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별도의 전송기준, 예컨대 최신 콘텐츠 데이터만 다운로드 또는 연제 콘텐츠 전부를 다운로드 하는 등의 전송기준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이를 참고하여 상기 S203단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한다. Next, it is checked whether the content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ynchronized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S203). This is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is damaged, changed, or deleted. Preferably, the step may be performed by comparing the terminal stat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step S200 with the content providing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S202. In this cas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eparate transmission criterion for receiving the content, for example, only the latest content data is downloaded or all the retarded content is provided,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o synchronize in step S203. do.
상기 S203단계를 통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손상, 변경되거나 삭제되지 않고, 콘텐츠 서비스 장치와 동기화 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이러한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를 종료한다(S204).If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step S203 that the content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damaged, changed or deleted and is synchronized with the content service device, a message indicating the status i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rvice ends (S204).
그러나, 상기 S203단계를 통하여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간의 동기화를 진행시키는데, 이를 위해, 먼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확인한다(S205).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동기화 방법의 예로는 3시간 이내에 발표된 뉴스 또는 3시간 이내에 발표된 날씨 정보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기간 내의 최신 콘텐츠 동기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초기상태(default)에 해당하는 콘텐츠만을 제공하는 초기상태 동기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운로드 받았던 콘텐츠 이력에 기초하여 연재 만화 등과 같은 연속성이 있는 콘텐츠 모두를 제공하는 히스토리 동기화; 또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운로드 받았던 콘텐츠 이력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에 받은 특정 갯수의 콘텐츠만을 제공하는 제한 히스토리 동기화 방법을 들 수 있다.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ynchronization is not synchronized through the step S203, synchroniz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proceeds. For this, first, a method for synchronizing is checked (S205). Examples of the synchronization method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latest content synchronization within the period requested from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news released within 3 hours or weather information released within 3 hours; Initial state synchronization for providing only content corresponding to an initial state set by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istory synchronization for providing all of the content having continuity such as comic strip based on the content history downloa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limited history synchronization method of providing only a specific number of contents most recently received based on the contents history downloa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때, 상기 상기 S205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콘텐츠 제공 장치 사이의 불일치에 관한 정보와 함께 동기화 방법에 관한 정보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그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동기화 방법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tep S205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ynchronization method with the information on the mismatch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llects information on the synchronization method based on the response This can be done through the process.
상기 S205단계를 통하여 동기화 방법이 확인되면, 상기 동기화 방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해 주어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수집한 다음(S206), 상기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한다(S207). When the synchronization method is confirmed through the step S205, the content data to be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llected according to the synchronization method (S206), and the data i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07).
이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S206단계와 S207단계 사이에, 동기화를 위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여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크기 및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추가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재전송 받는 콘텐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a preferred embodiment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content data to be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ime required for transmission, etc. between the step S206 and S207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selecting the content data to be re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콘텐츠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Hereinafter, a process of providing a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의 제어 서버(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300). 상기 메시지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는 동기화 방법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메시지를 접수한 제어 서버(210)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발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동기화 서비스의 정당한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01).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S301단계 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의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사용자 인증 서버에 의뢰하는 형태로 진행될 수 있다. The
상기 S301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본 발명의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가입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 서버(210)는 해당 이통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콘텐츠 제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서버(220)에게 요청한다(S30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정보는 도 1의 S103단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였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S301 that the user of the
데이터베이스 서버(220)는 상기 S302단계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저장되어 있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콘텐츠 제공 정보를 제어 서버(210)에게 제공한다(S303). The
다음으로, 상기 S300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았던 단말기 상태 정보와, 상기 S303단계에서 수집한 콘텐츠 제공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와 동기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4). 이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되었던 콘텐츠가 손상 또는 변경되었거나, 삭제 또는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Next, the content data stored in the
상기 S304단계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손상, 변경되거나 삭제되지 않고, 콘텐츠 서비스 장치(200)와 동기화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이러한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를 종료한다(S305).If the content data stored in the
그러나, 상기 S304단계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와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간의 동기화를 진행시키는데, 이를 위해, 먼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확인한다(S306).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step S304 that the content data stored in the
이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동기화 방법의 예로는 3시간 이내에 발표된 뉴스 또는 3시간 이내에 발표된 날씨 정보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기간 내의 최신 콘텐츠 동기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초기상태(default)에 해당하는 콘텐츠만을 제공하는 초기상태 동기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운로드 받았던 콘텐츠 이력에 기초하여 연재 만화 등과 같은 연속성이 있는 콘텐츠 모두를 제공하는 히스토리 동기화; 또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운로드 받았던 콘텐츠 이력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에 받은 특정 갯수의 콘텐츠만을 제공하는 제한 히스토리 동기화 방법을 들 수 있다. At this time, examples of the synchronization method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latest content synchronization within the period requested from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news released within 3 hours or weather information released within 3 hours; Initial state synchronization for providing only content corresponding to an initial state set by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istory synchronization for providing all of the content having continuity such as comic strip based on the content history downloa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limited history synchronization method of providing only a specific number of contents most recently received based on the contents history downloa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S306단계를 통하여 동기화 방법이 결정되면, 제어 서버(2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20)에게 상기 동기화 방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해 주어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요청하여 제공받는다(S307, S308). When the synchronization method is determined through the step S306, the
다음으로, 동기화에 필요한 콘텐츠 데이터가 모두 수집되고 나면, 다운로드 서버(230)에게 상기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게 제공하여 동기화시켜줄 것 을 요청하고(S309), 다운로드 서버(230)는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하여 동기화를 완료한다(S310).Next, after all of the content data required for synchronization is collected, the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 게이트웨이(211) 및 동기화 모듈(212)을 포함하는 제어 서버(210), 콘텐츠 데이터 저장부(221) 및 콘텐츠 제공 정보 저장부(222)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20) 및 통신 게이트웨이(231) 및 다운로드 모듈(232)을 포함하는 다운로드 서버(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tent providing
상기 제어 서버(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의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동기화 작업을 진행시킨다. 이때, 상기 통신 게이트웨이(21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외부 사용자 인증 서버(미도시)와 같은 외부 장치들과의 통신을 담당하고, 동기화 모듈(212)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접수된 동기화 요청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간을 동기화 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The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2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데이터 저장부(221)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콘텐츠 제공 정보 저장부(222)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 스 장치(200)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에게 제공하였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정보를 저장한다. The
상기 다운로드 서버(230)는 제어 서버(21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에게 동기화를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통신 게이트웨이(231)는 재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을 담당하고, 다운로드 모듈(212)은 상기 제어 서버(21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재전송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기록되어 있던 콘텐츠 데이터가 사용자의 키패드 조작 실수와 같은 내부적인 요인이나, 외부에서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 바이러스 프로그램에 의한 감염 또는 누수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삭제되거나 변경, 또는 사용자가 분실 등의 이유로 콘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았던 콘텐츠를 재전송 받아 기존에 제공받았던 상태와 동기화시켜야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더라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필요한 콘텐츠를 용이하게 재전송 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data recorded in the storage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n internal factor such as a user's keypad manipulation mistake, an external factor such as an impact applied to the terminal from outside, an infection or a leak by a virus program, etc. By the use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easily retransmits the necessary content even if an event occurs that requires the user to retransmit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due to the deletion or change, or the user's loss. I can receive it.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109280A KR100821187B1 (en) | 2006-11-07 | 2006-11-07 |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method and device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109280A KR100821187B1 (en) | 2006-11-07 | 2006-11-07 |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method and device theref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21187B1 true KR100821187B1 (en) | 2008-04-14 |
Family
ID=3953447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109280A Active KR100821187B1 (en) | 2006-11-07 | 2006-11-07 |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method and device theref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21187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13232A (en) * | 2004-08-06 | 2006-0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synchronize data between mobile terminal and personal information server |
| KR20060022527A (en) * | 2004-09-07 | 2006-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an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WO2006059179A1 (en) | 2004-12-03 | 2006-06-08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device for re-dispatching specifically coded access objects from a server to a mobile terminal device |
| KR20070073323A (en) * | 2006-01-04 | 2007-07-10 | 와이더댄 주식회사 | Push gateway of wireless network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push gateway |
-
2006
- 2006-11-07 KR KR1020060109280A patent/KR10082118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13232A (en) * | 2004-08-06 | 2006-0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synchronize data between mobile terminal and personal information server |
| KR20060022527A (en) * | 2004-09-07 | 2006-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an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WO2006059179A1 (en) | 2004-12-03 | 2006-06-08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device for re-dispatching specifically coded access objects from a server to a mobile terminal device |
| KR20070073323A (en) * | 2006-01-04 | 2007-07-10 | 와이더댄 주식회사 | Push gateway of wireless network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push gateway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921363B2 (en) | Software program synchronization method | |
| US801055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 over a network | |
| US734292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 peer-to-peer network | |
| EP1215596A2 (en) | Information collection server with content conversion and synchronization for mobile clients | |
| JPH09265456A (en) | Pay-per-use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onless communication | |
| US20100211861A1 (en) | Content distribution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program,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 |
| CN101682635A (en) | Multiplexed data stream protocol | |
| JP2007140910A (en) | Content display system | |
| JP2010273045A (en) | Server apparatus | |
| CN101778134A (en) | Data synchroniz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CN109167850A (en) | A kind of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of determining CDN service operator | |
| EP1811391A1 (en) | File transferring system,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apparatus | |
| US2004004002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just-in-time provisioning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at a communication device | |
| CN101478754B (en) | Media file download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based on copyright management | |
| EP1298531A2 (en) | Capacity management | |
| KR100821187B1 (en) |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method and device therefor | |
| KR20020055347A (en) | Contents relay service apparatus for reducing the quantity of data of web contents on internet and transmitting the reduced data | |
| KR100766567B1 (en) | Content update rela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pdate information to a wireless terminal | |
| JP4887129B2 (en) | Update information generation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updat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update method and program | |
| KR100812394B1 (en) | Data management servic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pparatus for same | |
| US8316149B2 (en) |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server, content holding device, content receiv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 US20120136963A1 (en) | Content transmission method, connection-target storage, and content transmission program | |
| JP2008282072A (en) | Content hol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 KR20050076431A (en) | Method of processing charging message to prevent double charging, and server therefor | |
| JP2007512593A (en) | File transfer protocol for mobile computer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