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8572B1 - 프레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572B1
KR100838572B1 KR1020070004442A KR20070004442A KR100838572B1 KR 100838572 B1 KR100838572 B1 KR 100838572B1 KR 1020070004442 A KR1020070004442 A KR 1020070004442A KR 20070004442 A KR20070004442 A KR 20070004442A KR 100838572 B1 KR100838572 B1 KR 100838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upling
coupling member
coupled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광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70004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57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프레임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 고정장치는: 일 측이 돌출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결합부재와, 결합부재에 대응되어 위치되며, 고정부에 대응되어 고정홈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피결합부재 및 결합부에 연결되고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이탈시키는 이탈유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발명과 달리, 패널의 외관손상이 줄어들게 되므로, 불량품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제품의 재료비가 감소할 수 있다.
패널, 고정, 외관 빨림

Description

프레임 고정장치{FRAME FIX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피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가 프론트마스크와 커버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결합부재 111: 단
115: 고정부 150: 피결합부재
151: 결합부 160: 이탈유발부
본 발명은 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 사용없이 결합할 수 있는 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씨디, 피디피와 같은 패널은 화상을 형성하는 영상부와, 영상부를 둘러싸는 커버 및 이러한 커버와 결합되며 패널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마스크를 구비한다.
이러한 패널은 일반적으로 스크류와 같은 조임 부재와 이를 수용하는 보스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된다. 프론트마스크와 커버를 나사와 같은 조립체를 이용하여 스크류 결합하는 경우, 스크류와 보스의 체결력에 의하여 보스가 형성된 부분이 스크류를 향하여 함몰되는 빨림 현상이 발생하여 스크류 체결은 외관을 손상시킨다. 패널의 외관 손상은 불량품을 발생하게 되므로 제품을 재생산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재료비는 상승하게 된다. 또한, 스크류 체결은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늘리게 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패널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으며 제품의 불량품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프레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프레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고정장치는: 일 측이 돌출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대응되어 위치되며, 상기 고정부에 대응되어 고정홈이 형성되는 결합부가 피결합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피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피결합판에 형성되는 이동홀을 관통하여 상기 피결합판의 타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이탈시키는 이탈유발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는 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와 마주 되는 면에 상기 고정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면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피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와 피결합부재가 프론트마스크와 커버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 고정장치는 결합부재(110)와, 피결합부재(150) 및 이탈유발부(160)를 구비한다.
결합부재(110)는 일 측이 결합판(118)에서 돌출되며 단(111)을 포함하는 고정부(115)를 구비한다.
피결합부재(150)는 결합부재(110)에 대응되어 위치되며, 고정부(115)에 대응되어 고정홈(153)이 형성되는 결합부(151)를 구비한다. 결합부(151)는 단(111)에 대응되는 턱(157)을 포함하며, 고정부(115)와 마주 되는 면에 고정부(115)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면(159)을 구비한다. 즉, 피결합판(158)의 일측으로 한 쌍의 가이드면(159)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연장되고, 이격된 공간에 해당하는 고정홈(153)에 고정부(115)가 삽입되면, 고정부(115)의 단(111)은 턱(157)에 걸려 결합부재(110)와 피결합부재(150)가 서로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면(159)에는 피결합판(158)에 형성되는 이동홀(170)을 통해 피결합판(158)의 타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이탈유발부(160)가 구비된다. 이러한 이탈유발부(160)의 끝단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이와 결합된 가이드면(159)이 벌어지도록 이동홀(170)은 충분한 공간을 갖는다.
이로써, 결합부재(110)에 돌출되는 고정부(115)의 단(111)이 피결합부재(150)의 가이드면(159)으로부터 가이드 되어 고정홈(153)에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홈(153)에 삽입되는 단(111)은 결합부(151)의 턱(157)에 대응되어 걸리게 되어 고정된다.
턱(157)에 걸린 단(111)으로 인하여 고정되는 결합부재(110)를 피결합부재(150)와 분리할 경우, 이탈유발부(160)의 상부 내측이 오므려짐으로써 이탈유발부(160)의 하측에 연결된 결합부(151)가 외 측으로 벌려지고 단(111)과 턱(157)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분리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10)와 피결합부재(150)는 프론트마스크(200)와 커버(300)의 결합에 적용될 수 있으며, 프론트마스크(200)에 결합부재(110)가 구비되는 경우, 커버(300)에 피결합부재(150)가 구비된다. 이러한 결합부재(110)와 피결합부재(150)는 설계에 따라 서로 위치가 변경되어 프론트마스크(200) 또는 커버(300)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프론트마스크(200)에 결합부재(110)가 구비되고 커버(300)에 피결합부재(150)가 구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마스크(200)에는 결합판(118)이 구비되며, 이러한 결합판(118)의 일측으로 고정부(115)가 돌출된다. 그리고, 커버(300)에는 피결합판(158)이 구비되며, 고정부(115) 방향으로 결합부(151)가 구비된다. 이때, 피결합판(158)에는 이탈유발부(160)를 작동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프론트마스크(200)와 커버(300)를 분해할 경우, 피결합판(158)과 커버(300) 사이의 공간으로 도구나 손을 넣고 이탈유발부(160)를 오므려준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스크류의 생산이 감소하며, 스크류를 돌리는 작업공수가 감소하여 이와 같은 작업에 따른 단가 경쟁력과 양산성 등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고정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프론트마스크와 커버 등과 같은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어, 스크류의 생산 및 프론트마스크 등을 고정하기 위한 돌림 등의 작업에 따른 단가 경쟁력과 양산성 등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류를 적용하지 않으므로 스크류 사용시 자주 발생하는 외관 빨림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Claims (3)

  1. 일 측이 돌출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대응되어 위치되며, 상기 고정부에 대응되어 고정홈이 형성되는 결합부가 피결합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피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피결합판에 형성되는 이동홀을 관통하여 상기 피결합판의 타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이탈시키는 이탈유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와 마주 되는 면에 상기 고정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고정장치.
KR1020070004442A 2007-01-15 2007-01-15 프레임 고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38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442A KR100838572B1 (ko) 2007-01-15 2007-01-15 프레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442A KR100838572B1 (ko) 2007-01-15 2007-01-15 프레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572B1 true KR100838572B1 (ko) 2008-06-19

Family

ID=3977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4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8572B1 (ko) 2007-01-15 2007-01-15 프레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5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4477A (en) 1993-09-30 1996-11-12 Sanyo Electric Co., Inc. Direct-vision/projection type liquid-crystal display
KR980006062U (ko) * 1996-06-27 199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제품의 패널고정장치
JPH10322625A (ja) 1997-05-20 1998-12-04 Fujitsu General Ltd 光学フィルタ取付構造
KR20000005513U (ko) * 1998-08-31 2000-03-25 전주범 착탈식 프론트 패널
KR20030024978A (ko) * 2001-09-19 2003-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케이블 고정 클립
KR20050083377A (ko) * 2004-02-23 200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체결 래치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4477A (en) 1993-09-30 1996-11-12 Sanyo Electric Co., Inc. Direct-vision/projection type liquid-crystal display
KR980006062U (ko) * 1996-06-27 199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제품의 패널고정장치
JPH10322625A (ja) 1997-05-20 1998-12-04 Fujitsu General Ltd 光学フィルタ取付構造
KR20000005513U (ko) * 1998-08-31 2000-03-25 전주범 착탈식 프론트 패널
KR20030024978A (ko) * 2001-09-19 2003-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케이블 고정 클립
KR20050083377A (ko) * 2004-02-23 200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체결 래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7159B2 (ja) 板金部品同士の固定構造
JP6518219B2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用の取付部材
CN110370904B (zh) 一种车门外水切与车身钣金的安装结构及车辆
KR10243049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KR100838572B1 (ko) 프레임 고정장치
KR20080045569A (ko) 공기조화기
CN103874365B (zh) 控制装置
JP5935213B2 (ja) 被位置決め物の保持手段の着脱機構
US20070018372A1 (en) Clamping mechanism
JP2017045883A (ja) 電気機器用防塵フィルタ
JP2023122786A (ja) 壁面開口部の閉塞構造
KR101823514B1 (ko)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CN109923602B (zh) 框架组件及显示设备
JPH08121431A (ja) 結合装置
KR100802543B1 (ko) 체결장치
JP6030499B2 (ja) フランジ付きボックス
KR100982279B1 (ko) 개폐장치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
KR20080001354A (ko)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갖는 케이스
JP5294911B2 (ja) マンコンベアの欄干装置
KR200150890Y1 (ko) 쿼터 클라스 마운팅장치
JP5908219B2 (ja) テンションメンバ固定具
KR100784689B1 (ko) 패널 고정 장치
JPH0779395A (ja) 金属板取付構造
CN110295484B (zh) 一种操作面板组件及洗衣机
JP2007037254A (ja) 配線器具取り付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6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61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