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623B1 -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Word, Symbol and Image of Physical Document - Google Patents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Word, Symbol and Image of Physical Docu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9623B1 KR100839623B1 KR1020070103137A KR20070103137A KR100839623B1 KR 100839623 B1 KR100839623 B1 KR 100839623B1 KR 1020070103137 A KR1020070103137 A KR 1020070103137A KR 20070103137 A KR20070103137 A KR 20070103137A KR 100839623 B1 KR100839623 B1 KR 1008396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image data
- target image
- document
- electron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04N1/00114—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with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digital transmiss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SMS or ISDN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6—Recombination of partial images to recreate the original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리문서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리문서상에서 사용자가 숙지하지 못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하는 단어, 심볼 및 이미지 등의 대상이미지를 입력장치로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기 저장하고 있는 전자정보를 검색하거나 기 저장하고 있던 인터넷상의 링크주소를 획득하여 접속함으로써 전자정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word, a symbol and an image of a physical docum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d, a symbol and an image for obtaining additional information without the user's knowledge on the physical document. Create the target image data by shooting the target image with the input device, and use the generated target image data to search the electronic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or obtain and access the link address on the Internet. to provide.
또한, 전자사전과 웹검색기를 이용하여 전자정보를 검색함으로써 건너뛰어 각주를 읽거나 또는 다른 문서를 참조하기위하여 읽기를 멈추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전자정보를 빠르고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문서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by searching electronic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dictionaries and web searchers, you can skip and read footnotes or refer to other documents by using words in physical documents that allow you to quickly and easily search for various forms of electronic information without stopping reading. An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symbol and an imag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아울러, 본 발명은 기준선 조명계와 기준바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물리문서상의 대상이미지를 명확하게 표시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정보 기기에 입력하고,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함에 있어서 촬영초점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촬영기기에 의하여 상기 대상이미지를 재촬영하는 경우에도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가 동일하게 생성되도록 하여 정보기기에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기기에서 보다 정확하게 정보검색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the target image data that clearly displays the target image on the physical document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by using a reference line illumination system and the reference bar to the information device, the shooting focus is always constant in taking the target image Even when the target image is re-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he target image data can be generated in the same manner so that the target image data can be input to the information apparatus.
일반적으로 물리문서는 단어, 심볼 및 이미지 등의 대상이미지가 기록된 오프 라인(off-line)상의 책, 신문 및 기타 모든 인쇄물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상기 물리문서로 된 인쇄물의 읽기 도중에 사용자가 숙지하지 못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하는 경우에, 읽기도중 건너뛰어 각주를 읽거나 또는 다른 문서를 참조하기 위하여 읽기를 멈추어야만 했다.In general, a physics document means an off-line book, newspaper, and all other printed materials in which a target image such as words, symbols, and images is recorded. Conventionally, when a user does not know while reading a physical document, and the user wants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the user has to skip reading and stop reading to read a footnote or refer to another document.
개인용 정보기기와 인터넷의 발전으로 하이퍼텍스트 형태의 전자문서를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불편함 없이 문서를 읽을 수 있게 되었다. 하이퍼텍스트는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가지 않으면 의미를 알 수 없는 책과는 달리 어떤 정보를 보고자 할 때 그것에 관련된 정보를 즉시 참조 할 수 있는 비선형의 문서를 말한다. 예를 들면 책을 읽을 때 “세종대왕”라는 인물이 나오고 그 인물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은 경우 끝까지 계속해서 읽어가거나 색인을 보아서 관련된 정보를 찾아야만 한다. 그러나 문서가 하이퍼텍스트의 방법으로 만들어져 있다면 세종대왕이라는 단어는 약력, 업적, 한글창제 등의 관련정보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링크를 찾아감으로서 세종대왕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간단하게 즉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효율 적인 읽기를 가능하게 하는 상기 하이퍼텍스트는 컴퓨터상의 전자문서에서만 활용 가능하였다. The development of personal information devices and the Internet has made it possible to read documents without this inconvenience by constructing hypertext-type electronic documents. Hypertext is a non-linear document that, when read from beginning to end, does not know its meaning, and when you want to see something, you can immediately refer to the information related to it. For example, when you read a book, a person named “Sejong the Great” comes up and you want to know more about that person. You have to read through the index or look up the index to find related information. However, if the document is made in the way of hypertext, the word King Sejong is linked to related information such as biography, achievements, and Hangeul creation, so you can get detailed information about King Sejong simply and easily by searching the link. However, the hypertext, which enables efficient reading as described above, has been available only in electronic documents on a computer.
또한, 정보기기에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종래에는 카메라나 스캐너 등의 입력기기로 이미지를 생성하여 정보기기에 입력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입력기기로 생성된 이미지는 입력기기의 촬영영역 또는 스캔영역 전체에 포함되는 다수의 단어, 이미지 및 심볼 등으로 인하여 특정 단어, 이미지 및 심볼을 주변의 이미지와 명확히 구분하여 입력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게다가, 이미지를 생성하여 정보기기에 입력하는 종래기술은 동일한 대상이미지를 재촬영하는 경우에도, 입력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에 따라서 또는 촬영 환경에 따라서 변하는 촬영배율 및 촬영초점에 의하여 동일한 결과물이 생성되기가 어려웠다. In addition, in the method of inputting to an information device, there has been a conventional method of generating an image with an input device such as a camera or a scanner and inputting it to the information device. However, the image generated by the input device has a limitation in clearly inputting a specific word, image, and symbol from the surrounding image due to the plurality of words, images, and symbols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area or the scan area of the input device. . In addition, the prior art of generating an image and inputting the same to an information device is that even when re-shooting the same target image, the same result is generated by the shooting magnification and the focusing point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ng the input device or the shooting environment. Was difficult.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보다 현실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해결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ore realistic and highly available solution is urgently need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이퍼텍스트로 구성된 전자문서의 편리함을 물리문서에 적용하여 물리문서상에서 사용자가 숙지하지 못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하는 단어, 심볼 및 이미지 등의 대상이미지를 입력장치로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기 저장하고 있는 전자정보를 검색하거나 기 저장하고 있던 인터넷상의 링크주소를 획득하여 접속함으로써 하이퍼텍스트 형태의 전자정보를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convenience of an electronic document consisting of a hypertext to a physical document words, symbols and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that the user does not know on the physical document By taking a target image such as an image by using an input device to generate target image data, and by using the generated target image data, searching for electronic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or obtaining and accessing a link address on the Internet previously stored. Provides electronic information in the form of hypertext.
또한, 상기 정보기기 내에 저장하고 있지 않은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는 전자사전과 웹검색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하여 즉각적으로 정보를 습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읽기 도중에 건너뛰어 각주를 읽거나 또는 다른 문서를 참조하기 위하여 읽기를 멈추지 않고도 다양한 형태의 전자정보를 빠르고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물리문서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information on the target image data not stored in the information device is skipped during reading, similarly to obtaining information using hypertext on the Internet by searching the information using an electronic dictionary and a web searcher. An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words, symbols and images in physical documents that can be used to quickly and easily search for various types of electronic information without stopping reading to read footnotes or refer to other documents. It is to provide.
아울러, 단어, 이미지 및 심볼이 기록된 물리문서에 기준선 조명계와 기준바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대상이미지를 명확하게 표시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정보기기에 입력하고,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함에 있어서 촬영초점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촬영기기에 의하여 상기 대상이미지를 재촬영하는 경우에도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가 동일하게 생성되도록 하여 정보기기에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기기에서 보다 정확하게 정보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hysical document in which words, images, and symbols are recorded, the target image data is clearly inputted to the information device using the baseline illumination system and the reference bar. Even if the target image is re-photographed by a photographing device that maintains a constant focus at all times, the target image data can be generated in the same manner so that the target image data can be input to the information device so that the information device can be searched more accurately. It provides an input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리문서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은, 물리문서상에 기록된 단어, 이미지, 심볼의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기 저장된 단어, 이미지, 심볼의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 검색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표시하는 정보기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word, a symbol, and an image of a physical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tures a target image of a word, an image, and a symbol recorded on the physical document. Receiving the target image data from the input device and the input device to generate and transmit, and compares the received target image data with the image data of the word, image, symbol stored in advance to obtain electron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image dat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ormation device for searching, extracting and displaying.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물리문서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은, 설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단부와, 상기 설치면과 수직방향으로 일측은 상기 상단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설치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하단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고정 배치되어 물리문서에 기록된 단어, 이미지, 심볼의 대상이미지를 조명하는 기준선 조명계와; 상기 본체의 하단부 저면에 상기 설치면과 평행하게 고정 배치되어 상기 대상이미지를 표시하는 기준바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기기, 및 상기 촬영기기에서 생성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다수의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다수의 상기 전자정보 및 다수의 상기 전자정보의 주소가 저장된 DB 저장부와,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DB 저장부에 저장된 다수의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 검색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자정보를 추출하고 이미지상의 문자를 판독·식별하여 문자로 전환하는 문자인식 기술에 의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인식하여 식별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인식부와, 상기 식별데 이터에 대한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는 정보검색부와, 상기 이미지 인식부 및 정보검색부에서 추출된 상기 전자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이미지 인식부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식별데이터에 대한 상기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도록 상기 정보검색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미지 인식부와 상기 정보검색부가 검색 및 추출한 상기 전자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기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the words, symbols and images of the physical docu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is disposed parallel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A main line consisting of a main body consisting of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 base line illumination system fixedly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illuminate a target image of a word, an image, and a symbol recorded in a physical document; A reference bar fixedly disposed at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in parallel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to display the target image; a photographing devic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photograph the target image to generate target image data; an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 input device including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target image data gener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information devic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target image data from the input device, a DB storage unit storing a plurality of the image data, a plurality of electronic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addresses of the electronic information, and storing the target image data in the DB storage unit The identification data is generated by recognizing the target image data by a character recognition technique that compares and searches the stored image data with electronic data corresponding to the target image data, and reads and identifies the characters on the image and converts them into characters. An image recognizing unit, an information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and extracting electronic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data,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electronic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mage recognizing unit and the information retrieval unit, and the image recognizing unit upon request Search and extract the electronic information for the identification data; Beam Search control sectio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the information device to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mage recognition unit and the search portion searches and the electronic information extrac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물리문서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촬영 및 송수신 기능을 갖춘 입력장치가 물리문서의 제목과 ISBN 및 쪽 번호를 촬영하여 문서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기기가 상기 문서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하이퍼링크정보 DB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가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기기가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DB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DB에서 검색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전자정보의 주소에 의하여 전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word, a symbol, and an image of a physical document includes an input device having a photographing and transmitting / receiving function that captures the title, ISBN, and page number of the physical document. Generating document information data and transmitting the document information data to the information device; receiving the document information data from the information device and searching the hyperlink information DB; Transmitting to the information device, receiving the target image data by the information device, retrieving the received target image data from the image DB, and electronic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image data retrieved from the image DB. Acquiring an address of and displaying electronic information by the obtained address of the electronic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본 발명은 물리문서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에 의하여 물리문서상에서 사용자가 숙지하지 못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하는 단 어, 심볼 및 이미지의 대상이미지를 입력장치로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기 저장하고 있는 전자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거나 기 저장하고 있던 인터넷상의 링크주소를 획득하여 접속함으로써 필요한 전자정보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상기 정보기기 내에 저장하고 있지 않은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는 전자사전과 웹검색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하여 즉각적으로 정보를 습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읽기 도중에 건너뛰어 각주를 읽거나 또는 다른 문서를 참조하기위하여 읽기를 멈추지 않고도 다양한 형태의 전자정보를 신속하면서도 쉽게 검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arget image of a word, a symbol, and an image of which a user wants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on a physical document by an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word, a symbol, and an image of a physical document is captured by an input device. By generating the data and using the generated target image data, it searches for and provides electronic information that is stored in advance, or obtains and accesses a link address on the Internet that was previously stored to provide necessary electronic information. Electronic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image data that is not stored in the device is searched and provided by using an electronic dictionary and a web searcher, so that the information is skipped during reading as if the information was immediately acquired by using hypertext on the Internet. Read or another document You can quickly and easily search for various types of electronic information without stopping reading for reference.
아울러, 단어, 이미지 및 심볼이 기록된 물리문서에 기준선 조명계와 기준바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대상이미지를 명확하게 표시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정보기기에 입력하고,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함에 있어서 촬영초점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촬영기기에 의하여 상기 대상이미지를 재촬영하는 경우에도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가 동일하게 생성되도록 하여 정보기기에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기기에서 보다 정확하게 정보검색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hysical document in which words, images, and symbols are recorded, the target image data is clearly inputted to the information device using the baseline illumination system and the reference bar. Even when the target image is re-photographed by a photographing device that maintains a constant focus at all times, the target image data can be generated in the same manner and input to the information device, so that the information can be searched more accurately. .
본 발명은 물리문서상에서 사용자가 숙지하지 못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하는 단어, 심볼 및 이미지의 대상이미지를 입력장치로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기 저장하고 있는 전자정보를 검색하거나, 기 저장하고 있던 인터넷상의 링크주소를 획득하여 접속함으로써 필요한 전자정보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상기 정보기기 내에 저장하고 있지 않은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는 전자사전과 웹검색기를 이용함으로써 건너뛰어 각주를 읽거나 또는 다른 문서를 참조하기 위하여 읽기를 멈추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전자정보를 빠르고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문서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에 정보기기가 설치되어 실시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arget image of a word, a symbol, and an image, which the user does not know on a physical document,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is photographed with an input device, and the target image data is generated, and the image is stored by using the generated target image data. The electronic information for the target image data which is not stored in the information device is not only provided with the necessary electronic information by searching the electronic information, or by obtaining and accessing a pre-stored link address on the Internet.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words, symbols, and images of physical documents, which makes it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search various types of electronic information without stopping to read footnotes or refer to other documents by using a web searcher.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n information apparatus is installed and implemented in an environment where the Internet is availa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리문서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은 입력장치(100), 정보기기(200), 물리문서(300) 및 인터넷(400)으로 이루어진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words, symbols, and images of a physical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cludes an
상기 입력장치(100)는 물리문서(300)의 제목과 ISBN 및 쪽 번호 등의 문서정보를 촬영하여 문서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물리문서(300)상에 기록된 단어, 심볼 및 이미지 등의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와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한다The
더욱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장치(100)는 본체(110), 기준선 조명계(120), 기준바(130), 촬영기기(140) 및 전송부(150)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본체(110)는 ㄱ자 형태의 구조물로 설치되는 설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단부와, 상기 설치면과 수직방향으로 일측은 상기 상단부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타측은 평평한 설치면에 접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하단부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기준선 조명계(120)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물리문서(300)에 기록된 단어, 이미지, 심볼 등의 대상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상기 물리문서(300)에 기준선(121)을 조명하여 표시한다. 상기 기준선(121)은 대상이미지의 하단에 적색 선으로 표시된다.The
상기 기준선 조명계(120)가 조명하는 광은 적외선 또는 레이저이며, 상기 기준선 조명계(120)가 조명하여 나타나는 기준선(121)의 길이는 상기 대상이미지의 너비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된다. 상기 대상이미지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가변적인 상기 기준선(121)의 길이에 의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서 대상이미지를 보다 명확하게 구분하여 조명할 수 있다. 상기 기준선 조명계(120)는 상기 대상이미지의 너비에 대응되어 조절된 기준선(121)의 길이를 인식하여 상기 촬영기기로 전송한다.The light illuminated by the reference
상기 기준바(130)는 상기 본체(110)의 하단부 저면에 상기 설치면과 평행하도록 고정 배치되어 상기 물리문서(300)에 기록된 대상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대상이미지의 좌측 하단에 상기 기준바(130)의 좌측 상단이 위치되도록 상기 기준바(130) 하부면에 상기 물리문서(300)가 배치된다. 상기 기준바(130)는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대상이미지를 보다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The
상기 촬영기기(140)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촬영기기(140)는 상기 기준선 조명계(120)에 의하여 조명되어 명확히 표시되고, 상기 기준바(130)의 하부면에 배치된 상기 물리문서(300)상에 기록된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전송부(150)로 전송한다. The photographing
상기 촬영기기(140)는 촬영초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대상이미지를 재촬영하는 경우에도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항상 일정하게 생성한다.Since the photographing
또한, 상기 촬영기기(140)는 상기 대상이미지의 너비가 상기 촬영영역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갖는 경우에, 기 저장하고 있는 촬영영역의 너비 단위로 상기 대상이미지를 각각 분할하고, 상기 본체(110) 상단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촬영영역의 너비 단위로 분할된 대상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촬영하여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준선 조명계(120)로부터 수신한 대상이미지의 너비와 상기 촬영기기(140)에 기 설정된 촬영영역의 너비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이미지의 너비가 촬영영역의 너비보다 큰 경우에, 상기 촬영기기(140)는 촬영영역의 너비 단위로 이동하며 상기 대상이미지를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촬영한다. 또한, 상기 촬영기기(140)는 상기 물리문서(300)의 제목과 ISBN 및 쪽 번호 등의 문서정보를 기준선 조명계(120)에 의하여 조명하여 촬영하는 경우에도 상기 대상이미지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물리문서(300)에 기준선(121)을 조명하여 표시하고, 기 설정된 촬영영역의 너비 단위로 상기 문서정보를 분할하고 순차적으로 촬영하여 생성한 문서정보 데이터를 전송부(150)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width of the target image has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hotographing area, the photographing
상기 전송부(150)는 상기 촬영기기(140)가 생성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정보기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촬영기기(140)가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생성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전송부(150)로 전송하면, 상기 전송부(150)는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단어, 이미지 또는 심볼 등의 대상이미지에 의하여 전자정보를 검색하고 제공하는 정보기기(2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전송부(150)는 상기 촬영기기(140)가 생성한 문서정보 데이터도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정보기기(200)로 전송한다.The
또한, 상기 전송부(150)는 상기 촬영기기(140)가 기 설정된 촬영영역의 너비 단위로 분할하고 순차적으로 촬영하여 생성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전송부(150)는, 상기 촬영기기(140)가 생성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USB(Universal Serial Bus),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WUSB(Wireless Ubiversal Serial Bus),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한다.The
따라서, 상기 입력장치(100)는 기준선 조명계(120)와 기준바(130)를 이용하여 단어, 이미지 및 심볼 등이 기록된 물리문서(300)로부터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대상이미지를 명확하게 표시하여 촬영하여 생성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정보기기(200)로 전송하고, 상기 촬영기기(140)는 촬영초점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조로서 상기 대상이미지를 재촬영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대상이미지 데이터가 생성하여 정보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정보기기(200)는 보다 정확하게 정보검색을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상기 정보기기(200)는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와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숙지하지 못하는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제목과 ISBN 및 쪽 번호에 관한 문서정보와 단어, 이미지 및 심볼 등의 대상이미지에 의하여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이를 제공한다.The
더욱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기기(200)는, 수신부(210), DB 저장부(220), 이미지 인식부(230), 정보검색부(240), 표시부(250) 및 제어부(260)로 이루어진다.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제목과 ISBN 및 쪽 번호 등이 기록된 물리문서(300)가 촬영되어 수신된 문서정보 데이터와,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에 이어서 단어, 이미지 및 심볼 등이 기록된 물리문서(300)가 촬영되어 수신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상기 물리문서(300)의 제목과 ISBN 및 쪽 번호 등의 문서정보 또는 상기 물리문서(300)에 기록된 단어, 이미지, 심볼 등의 대상이미지를 상기 입력장치(100)가 촬영하여 문서정보 데이터 또는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 또는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하면, 상기 정보기기(200)의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 또는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미지 인식부(230)로 전송한다The receiving
또한,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연속적으로 둘 이상 다수의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이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대상이미지 데이터의 수신이 종료되면 다수의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인식부(23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입력장치(100)가 생성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USB(Universal Serial Bus),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WUSB(Wireless Ubiversal Serial Bus),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등에 의하여 수신한다.The
상기 DB 저장부(220)는 상기 다수의 전자문서 이미지 및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롯한 상기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다수의 전자정보와, 상기 다수의 전자문서 이미지의 주소, 상기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의 주소, 상기 다수의 전자정보의 주소 및 상기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가 표시된 인터넷상의 URL주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수의 하이퍼링크표가 저장된다.The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DB 저장부(220)는, 전자문서 DB(221)와 이미지 DB(222)와 전자정보 DB(223) 및 하이퍼링크정보 DB(224)로 이루어진다. In more detail, the
상기 전자문서 DB(221)는 상기 다수의 물리문서(300)를 스캔하여 생성된 전자문서 이미지가 저장된다. 상기 전자문서 DB(221)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전자문서 이미지는 각 전자문서 이미지와 동일한 물리문서(300)에 기록된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전자정보를 표시할 때 상기 제어부(26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표시부(250)의 배경이미지로 사용된다. 즉,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에 해당되는 전자문서 이미지를 검색하여 검색된 전자문서 이미지를 배경이미지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배경이미지 위에 상기 대상 이미지 데이터를 참조하여 검색 추출된 전자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한다.The
상기 이미지 DB(222)는 상기 다수의 전자문서 이미지로부터 선택 추출한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이미지 DB(222)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전자문서 이미지로부터 선택 추출된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가 상기 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와 사이즈 및 초점이 동일하다. 상기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입력장치(100)의 촬영영역과 동일한 사이즈이며, 촬영영역 내에서 기준선(121) 및 기준바(130)와 항목의 위치관계를 고려하여 추출되므로,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는 입력장치(100)를 통하여 입력된 대상이미지 데이터와 동일한 형태가 된다. 이는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서 대상이미지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The
상기 전자정보 DB(223)는 상기 이미지 DB(222)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다수의 전자정보가 저장된다. The
마지막으로, 상기 하이퍼링크정보 DB(224)는 상기 다수의 전자문서 이미지의 주소와, 상기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의 주소와, 상기 다수의 전자정보의 주소 및 상기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되는 정보가 표시된 인터넷상의 URL주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이퍼링크표가 다수 저장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하이퍼링크표는 하이퍼링크헤더와 하이퍼링크리스트로 이루어진다. Finally, the
상기 [표 1]은 하이퍼링크헤더의 구조를 나타내는 표이다. [표 1]에서와 같이 하이퍼링크헤더는 문서의 고유 식별번호인 Doc ID, 문서의 제목, 문서의 저자, 국제표준도서번호인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해당 전자문서 이미지가 저장된 상기 전자문서 DB(221)내의 주소, 해당 전자문서에서 추출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 이미지 DB(222)내의 주소, 해당 전자문서에서 추출한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상기 전자정보 DB(223)내에 저장된 전자정보 및 해당 하이퍼링크표가 작성된 날짜-버전으로 이루어진다. [Table 1] is a table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yperlink header. As shown in [Table 1], the hyperlink header includes a Doc ID, a document's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 document's title, a document's author, a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and the electronic document in which an image of the electronic document is stored. The address in the
상기 [표 2]는 하이퍼링크리스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표이다.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하이퍼링크리스트는 해당 문서정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물리문서(300)의 페이지, 상기 이미지 DB(222)내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명, 이미지상의 문자를 판독·식별하여 생성된 문자, 인터넷상의 웹페이지 링크명을 의미하는 링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자정보의 인터넷상에서의 URL 또는 상기 정보기기(200)내에 자체적으로 제작한 전자정보가 저장된 파일명을 나타내는 UR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able 2] is a table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yperlink list. As shown in [Table 2], the hyperlink list is generated by reading and identifying the page of the
상기 [표 3]은 상기 하이퍼링크헤더와 상기 하이퍼링크리스트가 결합되어 완성된 하이퍼링크표의 구조이다.[Table 3] is a structure of a hyperlink table completed by combining the hyperlink header and the hyperlink list.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는,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제목과 ISBN 및 쪽 번호가 기록된 물리문서(300)가 촬영되어 수신된 문서정보 데이터를 판독 식별하여 문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문서정보가 상기 하이퍼링크정보 DB(224)의 하이퍼링크표에서 검색하여 상기 정보기기(200)가 상기 문서정보에 해당되는 기 저장된 물리문서(30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는 상기 수신부(210)가 수신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 내에서 대상이미지 주변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DB 저장부(220)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 검색하여 기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 데이터인지 판단한다.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자정보가 바로 추출되어 표시부(250)로 전송된다. 그러나, 상기 검색결과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DB 저장부(220)에 기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 내의 문자를 판독·식별하여 식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별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60)로 전송하여 상기 정보검색부(240)가 상기 식별데이터에 해당되는 전자정보를 검색하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는, 상기 수신부(210)가 수신하여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로 동회에 전송한 다수의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로 조합하여 인식한다. 상기 입력장치(100)에서는 대상이미지의 너비가 상기 입력장치(100)의 촬영영역의 너비보다 큰 경우에, 상기 입력장치(100)의 촬영기기(140)는 상기 대상이미지를 기 저장된 촬영영역의 너비 단위로 분할하고 촬영하여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한다. 이 경우에 상기 수신부(210)는 분할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여 임시 저장하였다가 수신이 종료되면 임시 저장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로 전송한다.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는 상기 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로 조합하여 인식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제목과 일련번호 및 쪽 번호가 기록된 물리문서(300)가 촬영되어 수신된 문서정보 데이터를 식별한 문서정보 및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 내에서 대상이미지 주변의 이미지를 함께 참조하여, 수신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에 구비된 DB 저장부 내의 이미지 DB(222)에서 검색함으로써 해당 대상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검색의 정확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a
예를 들어, 동일한 물리문서(300) 내에서 대상이미지인 "호랑이"가 다수 존재하고 각각 북방지역의 "호랑이"와 남방지역의 "호랑이"를 지칭하는 경우를 가정해 본다면, 호랑이라는 대상이미지는 같지만 실제적으로는 북방지역의 호랑이와 남방지역의 호랑이는 실제로 그 생김새와 포효하는 울음소리 그리고 주 생활 지역 등이 서로 상이하다. 즉, 대상이미지에 연결되어 표시되어야 하는 전자문서의 내용이 서로 상이하다. 그러므로 대상이미지 자체는 동일하더라도 그 내용이 상이한 경우에도 정확한 전자정보를 검색 및 표시할 수 있도록 대상이미지가 포함된 페이지 그리고 주변의 이미지를 참조하여 대상이미지를 좀 더 정확하게 구분함으로써 이미지 인식률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정확한 전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arget images "tigers" in the sam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정보기기(200)의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가 대상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대상이미지와 상기 입력장치(100)의 기준선(121)의 이미지와 기준바(130)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4 is a block diagram of the target imag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target image data includes the target image and the
상기 정보검색부(240)는 전자사전(241)과 웹검색기(2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별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한다.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가 입력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문서정보 데이터에 해당되는 문서정보가 상기 DB 저장부(220)내에서 검색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는 수신된 대상이미지 데이터 내의 문자를 판독 식별하여 식별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식별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로부터 전송된 상기 식별데이터에 해당되는 전자정보를 전자사전(241)이나 웹검색기(242)를 이용하여 검색하도록 상기 정보검색부(240)를 제어하고, 상기 정보검색부(240)는 검색된 전자정보를 다시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The
또한,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문서정보 데이터가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에 의해서 상기 DB 저장부(220)에서 검색되었지만,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대상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에 의해서 상기 DB 저장부(220)내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는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 내의 문자를 판독 식별하여 식별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식별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로부터 전송된 상기 식별데이터에 해당되는 전자정보를 전자사전(241)이나 웹검색기(242)를 이용하여 검색하도록 상기 정보검색부(240)를 제어하고, 상기 정보검색부(240)는 검색된 전자정보를 다시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document information data received from the
상기 표시부(250)는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 또는 정보검색부(240)로부터 검색 및 추출된 전자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250)는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가 상기 DB 저장부(220)내에서 추출한 전자정보 또는 상기 정보검색부(240)의 상기 전자사전(241) 및 웹검색기(242)가 검색한 전자정보를 상기 제어부(26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한다.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문서정보 데이터가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에 의해서 상기 DB 저장부(220)내에서 검색된 경우에, 검색된 문서정보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자문서 이미지를 표시부(250)에 배경이미지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배경이미지 위에 추후 검색 및 추출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하게 된다. The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식별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도록 상기 정보검색부(240)를 제어하고,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와 상기 정보검색부(240)가 검색 및 추출한 상기 전자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25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문서정보 데이터가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에 의해서 상기 DB 저장부(220)내에서 검색되지 않은 경우와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문서정보 데이터가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에 의해서 상기 DB 저장부(220)내에서 검색되었지만, 이어서 수신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DB 저장부(220)내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에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 내의 문자를 판독 및 식별하여 생성한 식별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6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식별데이터를 전자사전(241)이나 웹검색기(242)를 이용하여 전자정보를 검색하도록 상기 정보검색부(240)를 제어한다.The
또한,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와 상기 정보검색부(240)가 전송한 전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자정보를 표시부(25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상기 물리문서(300)는, 단어, 심볼 및 이미지 등의 대상이미지가 기록된 오프 라인(off-line)상의 책, 신문 및 기타 모든 인쇄물이다. The
상기 인터넷(400)은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하나의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이다. 상기 인터넷(400)상의 전자문서 내의 하나의 단어나 구, 기호, 이미지 및 심볼 등과 같은 요소와 상기 전자문서 내의 다른 요소 또는 다른 하이퍼텍스트 전자문서 내의 다른 요소 사이는 하이퍼링크에 의하여 연결된다. 사용자는 하이퍼텍스트 전자문서 내의 밑줄 쳐진 요소 또는 전자문서 내의 나머지 부분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링크된 요소를 클릭함으로써 하이퍼링크를 기동 또는 활성화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같은 하이퍼텍스트 전자문서 내의 한 요소와 다른 요소의 연결을 선택하여 해당 전자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다른 인터넷 호스트에 있는 월드 와이드 웹 서버상의 하이퍼텍스트 전자문서 내 다른 요소와의 연결을 선택하여 전자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인터넷(400)은 결국 하이퍼링크에 의하여 다수의 하이퍼텍스트가 연결됨으로써, 거대한 양의 전자정보 내용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리문서(300)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 흐름도로서, 상기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word, a symbol, and an image of a
제목과 ISBN 및 쪽 번호 등의 문서정보가 기록된 물리문서(300)를 촬영하여 문서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물리문서(300)상에 기록된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및 송수신 기능을 갖는 입력장치(100)와, 상기 입력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문서정보 데이터와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해당되는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표시하는 정보기기(200)로 이루어지는 물리문서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100)에 의하여 촬영되어 생성된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10)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수신부가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 내의 문자를 판독· 식별하여 문서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문서정보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하이퍼링크정보 DB(224)의 하이퍼링크표에서 검색하여 존재하는 문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20)와; 상기 문서정보가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하이퍼링크정보 DB(224)에 존재하는 기 저장된 문서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장치(100)에 의하여 촬영되어 생성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30)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수신부(210)가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40)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이미지 인식부(230)가 상기 수신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로 조합하여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이미지 DB(222)에서 검색하는 단계(S50)와; 상기 인식된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이미지 DB(222)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이미지 DB(222)에서 검색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의 주소를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하이퍼링크정보 DB(224)의 하이퍼링크표로부터 획득하는 단계(S60); 및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표시부(250)가 상기 획득한 전자정보의 주소에 의하여 전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70)로 이루어진다.The document information data is recorded by recording the document information such as the title, ISBN, and page number, and the docu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target image of the words, symbols, and images recorded on the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입력장치(100)에 의하여 촬영되어 생성된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10)는, 단어, 심볼 및 이미지 등의 대상이미지가 기록된 물리문서(300)의 제목과 ISBN 및 쪽 번호 등의 문서정보를 상기 입력장치(100)가 촬영하여 생성한 문서정보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한다. More specifically, the step (S10) of transmitting the document information data photographed and generated by the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수신부가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 내의 문자를 판독· 식별하여 문서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문서정보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하이퍼링크정보 DB(224)의 하이퍼링크표에서 검색하여 존재하는 문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20)는, 상기 정보기기(200)의 수신부(210)가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기기(200)의 이미지 인식부(230)로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는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상의 문자를 판독· 식별하여 상기 물리문서(300)의 제목과 ISBN 및 쪽 번호 등의 문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문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기기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하이퍼링크정보 DB(224)의 하이퍼링크표에서 검색하여 기 저장된 문서인지 확인한다. The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상기 문서정보가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하이퍼링크정보 DB(224)에 존재하는 기 저장된 문서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장치(100)에 의하여 촬영되어 생성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30)는, 상기 입력장치(100)에 구비된 기준바(130)의 좌측상단이 대상이미지의 좌측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대상이미지가 기록된 물리문서(300)가 배치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100)에 구비된 기준선 조명계(120)가 상기 대상이미지 하단에 상기 대상이미지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그 길이가 가변적인 기준선(121)을 조명하는 단계(S32)와, 상기 입력장치(100)의 촬영기기(140)가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3) 및 상기 입력장치(100)에 구비된 전송부(150)가 상기 생성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정보기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34)로 이루어진다. When the document information is a pre-stored document existing in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력장치(100)에 의하여 촬영되어 생성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30)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step (S30) of transmitting a plurality of target image data photographed and generated by the
더욱 상세하게는, 기준바(130)의 좌측상단이 대상이미지의 좌측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대상이미지가 기록된 상기 물리문서(300)가 배치되는 단계(S31)는, 상기 본체(110)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기준바(130)의 좌측 상단이 단어, 이미지, 심볼 등의 상기 대상이미지의 좌측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대상이미지가 기록된 상기 물리문서(300)가 구겨짐이나 흔들림 없이 상기 기준바(130)의 하단에 배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step (S31) in which the
기준선 조명계(120)가 상기 대상이미지 하단에 기준선(121)을 조명하는 단계(S32)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에 고정 배치된 상기 기준선 조명계(120)가 상기 물리문서(300)에 기록된 단어, 이미지, 심볼 등의 대상이미지 하단에 적색 선으로 기준선(121)을 조명하여 표시한다. 상기 기준선 조명계(120)가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조명하여 나타나는 기준선(121)의 길이는 상기 대상이미지의 너비에 따라 가변적이고, 이후에 촬영기기(140)가 촬영하여 생성하는 대상이미지 데이터 내에서 대상이미지를 보다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준선 조명계(120)는 상기 대상이미지의 너비에 따라 가변적인 기준선(121)의 길이를 인식하여 상기 촬영기기(140)로 전송한다.The step S32 of illuminating the
촬영기기(140)가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3)는, 상기 기준바(130)를 기준으로 배치된 상기 물리문서(300)에 기록된 상기 대상이미지를 상기 기준선 조명계(120)에 의하여 명확하게 표시되고 상기 촬영기기(140)가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전송부(150)로 전송한다. 상기 촬영기기(140)는 촬영초점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대상이미지가 재촬영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In step S33, when the photographing
촬영기기(140)가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3)에서, 상기 촬영기기(140)는 촬영영역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갖는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영역의 너비 단위로 분할하고 순차적으로 촬영하여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기준선 조명계(120)로부터 수신한 대상이미지의 너비가 상기 촬영기기(140)에 기설정된 촬영영역의 너비에 비하여 큰 경우에 상기 촬영기기(140)는 촬영영역의 너비 단위로 이동하며 상기 대상이미지를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촬영한다. In operation S33, when the photographing
전송부(150)가 상기 생성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정보기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34)는, 상기 촬영기기(140)가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생성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전송부(150)로 전송하면, 상기 전송부(150)는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단어 또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전자정보를 검색하고 제공하는 정보기기(200)로 전송한다. The transmitting
상기 전송부(150)는, 상기 촬영기기(140)가 상기 촬영영역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갖는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영역의 너비 단위로 분할 및 촬영하여 생성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정보기기(200)로 전송한다.The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수신부(210)가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40)는, 상기 정보기기(200)의 수신부(210)에서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가 다수인 경우에 다수의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하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로 인식한다.Receiving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이미지 인식부(230)가 상기 수신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로 조합하여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이미지 DB(222)에서 검색하는 단계(S50)는,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이미지 DB(222)에 기 저장 되어있는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The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와 사이즈 및 초점이 동일한 형태로 전자문서 이미지로부터 선택 추출된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입력장치(100)의 촬영영역과 동일한 사이즈이며, 촬영영역 내에서 기준선(121)과 기준바(130) 및 항목의 위치관계를 고려하여 대상이미지를 추출하므로,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는 실제 물리문서(300)로부터 입력장치(100)를 통하여 입력된 대상이미지 데이터와 동일한 형태이므로 보다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다.The image data is selectively extracted from the electronic document image in the same size and focus as the target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와 비교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순서는 상기 수신한 문서정보 데이터의 쪽 번호를 기초로 하여 정해진다. 비교 순서는 현재의 쪽 번호에 포함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시작으로 현재의 쪽 번호에서 가까운 순서로 진행된다. 만약, 동일한 차이의 쪽 번호를 갖는 페이지가 전후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현재의 쪽 번호보다 큰 쪽 번호의 이미지 데이터를 우선 비교한 후에 현재의 쪽 번호보다 작은 쪽 번호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한다.The order of the image data to be compared with the target image data is determined based on the page number of the received document information data. The comparison procedure proceeds in the order close to the current page number, starting with the image data included in the current page number. If pages with the same page numbers of the same difference exist before and after, image data of a page number larger than the current page number is first compared, and then image data of a page number smaller than the current page number is compared.
예를 들어,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물리문서(300)의 쪽 번호가 15이고 하이퍼링크표에서 쪽 번호 13과 쪽 번호 17이 모두 존재한다면, 쪽 번호 17에서 추출한 이미지 데이터를 먼저 비교하고 난 이후에 쪽 번호 13에서 추출한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page number of the
상기 인식된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이미지 DB(222)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이미지 DB(222)에서 검색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의 주소를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하이퍼링크정보 DB(224)의 하이퍼링크표로부터 획득하는 단계(S60)는, 상기 수신한 대상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이미지 DB(222)에 기 저장 되어있는 이미지 데이터와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하이퍼링크표에서 해당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의 주소를 획득한다. 상기 전자정보의 주소는 인터넷상의 URL주소인 경우와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상기 전자정보 DB(223)에 저장되어있는 파일명 두 가지 종류가 있다.When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target image data is stored in the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표시부(250)가 상기 획득한 전자정보의 주소에 의하여 전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70)는, 상기 획득한 전자정보의 URL 주소 또는 정보기기(200)내 전자정보 파일명에 의하여 상기 표시부(250)에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전자정보의 주소에 의하여 표시된 전자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추출된 전자문서 이미지를 검색하여, 검색된 상기 전자문서 이미지를 배경이미지로 표시한다.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리문서(300)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이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따른 물리문서(300)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단계(S10) 내지 단계(S20)는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다만,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수신부가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 내의 문자를 판독· 식별하여 문서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문서정보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하이퍼링크정보 DB(224)의 하이퍼링크표에서 검색하여 존재하는 문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20)에서,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에 해당하는 문서정보가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하이퍼링크정보 DB(224)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수신부가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문서정보 데이터 내의 문자를 판독· 식별하여 문서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문서정보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하이퍼링크정보 DB(224)의 하이퍼링크표에서 검색하여 존재하는 문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20) 이후에 상기 입력장치(100)에 의하여 촬영되어 생성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30)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수신부(210)가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40)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이미지 인식부(230)가 상기 수신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로 조합하여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이미지 데이터 내의 문자를 판독· 식별하여 식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80)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정보검색부(240)의 전자사전(241)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로부터 생성된 식별데이터에 해당되는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S90) 또는 상기 정보검색부(240)에 구비된 웹검색기(242)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로부터 생성된 식별데이터에 해당되는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S100)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the words, symbols and images of the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입력장치(100)에 의하여 촬영되어 생성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30)는, 상기 입력장치(100)가 상기 물리문서(300)상에 기록된 단어, 심볼 및 이미지 등의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로 전송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step S30 of transmitting the plurality of target image data photographed and generated by the
상기 입력장치(100)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상이미지의 너비가 상기 입력장치(100)의 촬영영역의 너비보다 큰 경우에,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영역의 너비 단위로 분할하고 촬영하여 다수의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모두 정보기기(200)로 전송한다.When the width of the target image intended by the user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hooting area of the
상기 입력장치(100)가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단계(S30)의 더욱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따른 물리문서(300)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생략하도록 한다.The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수신부(210)가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40)는, 상기 정보기기(200)의 수신부(210)는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입력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가 다수인 경우에, 다수의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하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로 인식한다.Receiving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이미지 인식부(230)가 상기 수신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로 조합하여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이미지 데이터 내의 문자를 판독· 식별하여 식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80)는,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가 다수의 수신된 대상 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로 조합하여 인식하고 인식된 대상이미지 데이터 내의 문자를 판독· 식별하여 문자변환에 의하여 식별데이터를 생성한다.The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정보검색부(240)의 전자사전(241)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로부터 생성된 식별데이터에 해당되는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S90)는,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에서 생성된 식별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가 상기 정보검색부(240)의 전자사전(241)에 의하여 검색되고, 검색된 상기 전자정보가 상기 표시부(250)에 표시된다.Searching, extracting, and displaying electron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data generated from the
상기 정보검색부(240)에 구비된 웹검색기(242)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로부터 생성된 식별데이터에 해당되는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S100),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에서 생성된 식별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가 상기 웹검색기(242)에 의하여 검색되고, 검색된 상기 전자정보가 상기 표시부(250)에 표시된다.Searching, extracting and displaying the electron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data generated from the
또한, 상기 정보검색부(240)에 구비된 웹검색기(242)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로부터 생성된 식별데이터에 해당되는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S100) 이후에는 상기 정보검색부(240)에 구비된 웹검색기(242)에 의하여 검색된 전자정보를 DB 저장부(220)에 저장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after searching, extracting and displaying the electron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data generated from the
상기 정보검색부(240)에 구비된 웹검색기(242)에 의하여 검색된 전자정보를 DB 저장부(220)에 저장하는 단계(S110)는 상기 정보검색부(240)에 구비된 웹검색기(242)에 의하여 상기 식별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식별데이터에 관한 전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100)에서 검색된 인터넷상의 전자정보의 URL과 상기 식별이미지와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DB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새로 저장된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사항을 상기 하이퍼링크표에 추가하거나 상기 하이퍼링크표가 존재하지 않는 물리문서(300)의 대상이미지 데이터인 경우에 하이퍼링크표를 새로 생성하여 저장한다.The step S110 of storing the electronic information searched by the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리문서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리문서(300)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이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따른 물리문서(300)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상기 단계(S10) 내지 단계(S50)는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다만,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이미지 인식부(230)가 상기 수신된 다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대상이미지 데이터로 조합하여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이미지 DB(222)에서 검색하는 단계(S50)에서, 상기 인식된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DB 저장부(220) 내의 이미지 DB(222)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가 상기 인식된 대상이미지 데이터 내의 문자를 판독· 식별하여 식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80)와; 상기 정보기기(200)에 구비된 정보검색부(240)의 전자사전(241)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로부터 생성된 식별데이터에 해당되는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S90) 또는 상기 정보검색부(240)에 구비된 웹검색기(242)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 인식부(230)로부터 생성된 식별데이터에 해당되는 전자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S100)로 이루어지며, 이후에는 상기 정보검색부(240)에 구비된 웹검색기(242)에 의하여 검색된 전자정보를 DB 저장부(220)에 저장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the words, symbols and images of the physical docu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so, the words, symbols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리문서(300)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물리문서(300)상에서 사용자가 숙지하지 못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하는 단어, 심볼 및 이미지 등의 대상이미지를 입력장치(100)로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기 저장하고 있는 전자정보를 검색하거나 기 저장하고 있던 인터넷상의 링크주소를 획득하여 접속함으로써 필요한 전자정보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상기 정보기기(200) 내에 저장하고 있지 않은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자정보는 전자사전(241)과 웹검색기(242)를 이용하여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하여 즉각적으로 정보를 습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읽기 도중에 건너뛰어 각주를 읽거나 또는 다른 문서를 참조하기 위하여 읽기를 멈추지 않고도 다양한 형태의 전자정보를 신속하면서도 쉽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the words, symbols and images of the
또한, 상기 입력장치(100)에 의하여 단어, 이미지 및 심볼이 기록된 물리문서(300)에 기준선 조명계(120)와 기준바(130)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대상이미지를 명확하게 표시한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정보기기(200)에 입력하고, 상기 대상이미지를 촬영함에 있어서 촬영초점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촬영기기(140)에 의하여 상기 대상이미지를 재촬영하는 경우에도 상기 대상이미지 데이터가 동일하게 생성되도록 하여 정보기기(200)에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기기(200)에서 보다 정확하게 정보검색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referenc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은 아님이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so far, but the embodiments mentioned in the proces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in the components that can be coped evenly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리문서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words, symbols, and images of a physical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기기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n inform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이미지 데이터의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arget imag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리문서의 단어, 심볼 및 이미지에 대한 전자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방법 흐름도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words, symbols, and images of a physical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가 대상이미지를 촬영하여 대상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step in which an input apparatus photographs a target image, generates target image data, and transmits the same to an inform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jor reference marks *
100 : 입력장치 110 : 본체100: input device 110: main body
120 : 기준선 조명계 121 : 기준선120: reference line illumination system 121: reference line
130 : 기준바 140 : 촬영기기130: reference bar 140: recording device
150 : 전송부 200 : 정보기기 150: transmission unit 200: information equipment
210 : 수신부 220 : DB 저장부210: receiver 220: DB storage unit
221 : 전자문서 DB 222 : 이미지 DB 221: Electronic document DB 222: Image DB
223 : 전자정보 DB 224 : 하이퍼링크정보 DB223: Electronic information DB 224: Hyperlink information DB
230 : 이미지 인식부 240 : 정보검색부 230: image recognition unit 240: information search unit
241 : 전자사전 242 : 웹검색기 241: Electronic Dictionary 242: Web Search Machine
250 : 표시부 260 : 제어부250: display unit 260: control unit
300 : 물리문서 400 : 인터넷300: Physics Document 400: Internet
Claims (2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03137A KR100839623B1 (en) | 2007-10-12 | 2007-10-12 |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Word, Symbol and Image of Physical Docu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03137A KR100839623B1 (en) | 2007-10-12 | 2007-10-12 |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Word, Symbol and Image of Physical Documen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39623B1 true KR100839623B1 (en) | 2008-06-19 |
Family
ID=3977186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1031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9623B1 (en) | 2007-10-12 | 2007-10-12 |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Word, Symbol and Image of Physical Docum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39623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1044000A3 (en) * | 2009-10-05 | 2011-09-29 | Sony Corporation | Mobile device visual input systems and methods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0017267A (en) * | 2001-08-24 | 2003-03-03 | (주) 시온텍 | Method of building the database using automatically file-storing system |
| KR20040074689A (en) * | 2003-02-18 | 2004-08-26 | 한국기계연구원 | Digital scanner for recording documents |
| KR20060036592A (en) * | 2004-10-26 | 2006-05-02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Search service provision method using image data |
| KR20070081507A (en) * | 2006-02-13 | 2007-08-17 | 주식회사 와이비엠시사닷컴 | Dictionary search system |
-
2007
- 2007-10-12 KR KR1020070103137A patent/KR10083962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0017267A (en) * | 2001-08-24 | 2003-03-03 | (주) 시온텍 | Method of building the database using automatically file-storing system |
| KR20040074689A (en) * | 2003-02-18 | 2004-08-26 | 한국기계연구원 | Digital scanner for recording documents |
| KR20060036592A (en) * | 2004-10-26 | 2006-05-02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Search service provision method using image data |
| KR20070081507A (en) * | 2006-02-13 | 2007-08-17 | 주식회사 와이비엠시사닷컴 | Dictionary search system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1044000A3 (en) * | 2009-10-05 | 2011-09-29 | Sony Corporation | Mobile device visual input systems and methods |
| US8374646B2 (en) | 2009-10-05 | 2013-02-12 | Sony Corporation | Mobile device visual input system and method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244037B2 (en) | Image-based data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 |
| US7305435B2 (en) | Internet access via smartphone camera | |
| US10192279B1 (en) | Indexed document modification sharing with mixed media reality | |
| US2018021800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existence of at least one object in an image | |
| US2007017148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 US9183224B2 (en) | Identifying matching canonical documents in response to a visual query | |
| US20170322932A1 (en) | Method for automatically taggin documents with matrix barcodes and providing access to a plurality of said document versions | |
| US20010053252A1 (en) | Method of knowledge management and information retrieval utilizing natural characteristics of published documents as an index method to a digital content store | |
| US20090150792A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sharing information search results | |
| US2011019132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representative media content from an online document | |
| JP2010072842A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 US7715625B2 (en) |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 |
| KR20100101204A (en) | Method for retrievaling ucc image region of interest based | |
| CN109344275B (en) | Image identification-based resource acquisition device and method | |
| US20090100023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 |
| KR101307325B1 (en) | System for dual-searching image using region of interest set | |
| US20050080818A1 (en) | Active images | |
| US20110305406A1 (en) | Business card recognition system | |
| KR100839623B1 (en) | Electron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Word, Symbol and Image of Physical Document | |
| JP5484113B2 (en) | Document imag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document image related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 |
| JP2009075678A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 |
| JP4246650B2 (en) | Image input device and image data management device | |
| JP5384315B2 (en) | SEARCH DEVICE, METHOD, AND PROGRAM | |
| JP5913774B2 (en) | Web site shar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 |
| US20090031203A1 (en) | Hyperlink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6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613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