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351B1 - IGVIS UPS System - Google Patents
IGVIS UPS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0351B1 KR100830351B1 KR1020070092355A KR20070092355A KR100830351B1 KR 100830351 B1 KR100830351 B1 KR 100830351B1 KR 1020070092355 A KR1020070092355 A KR 1020070092355A KR 20070092355 A KR20070092355 A KR 20070092355A KR 100830351 B1 KR100830351 B1 KR 1008303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input
- power
- voltage
-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지비티 유피에스(IGBT UPS: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입력전원이 부하측으로 원활히 출력되는지를 감시하고, 안정된 전원이 입력되는 동안 인터버를 통해 내장된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며, 불안정한 전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전원을 차단하고 충전된 직류전압을 직류/교류 변환수단을 통해 교류전압으로 변환시켜 부하측으로 출력전원을 무순단(無瞬斷)으로 공급함으로써 작업중인 데이터를 보호하고 부하측에 연결된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종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정시간 안정된 전원을 공급한 후에도 계속하여 입력전원이 불안정하거나 정전이 유지되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출력차단수단을 통해 부하측에 연결된 시스템을 강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지비티 유피에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GBT UPS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 microprocessor to monitor whether input power is smoothly output to the load side, The power is charged to the built-in battery through the burr, and when an unstable power input is detected, the input power is cut off and the charged DC voltage is converted into an AC voltage through a DC / AC converting means, thereby making the output power unstable. I) to protect the data in operation and to ensure that the system connected to the load side can be reliably shut down.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ISI UPS system forcibly terminating a system connected to a load side through a microprocessor and an output interrupting means when input power is unstable or power failure is maintained even after supplying stable power for a certain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이지비티 유피에스(IGBT UPS: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입력전원이 부하측으로 원활히 출력되는지를 감시하고, 안정된 전원이 입력되는 동안 인터버를 통해 내장된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며, 불안정한 전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전원을 차단하고 충전된 직류전압을 직류/교류 변환수단을 통해 교류전압으로 변환시켜 부하측으로 출력전원을 무순단(無瞬斷)으로 공급함으로써 작업중인 데이터를 보호하고 부하측에 연결된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종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정시간 안정된 전원을 공급한 후에도 계속하여 입력전원이 불안정하거나 정전이 유지되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출력차단수단을 통해 부하측에 연결된 시스템을 강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지비티 유피에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중대형 정보처리장치의 경우에는 정전사태와 같은 전원공급의 중단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ed Power Supply; 이하 UPS라 칭한다)의 전 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작업중인 데이터가 유실되는 문제를 대비하고 있다.In the case of medium and larg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when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such as a power failure, the data of the uninterrupted power supp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PS) is supplied so that data in operation in an emergency such as a power failure is lost. I am preparing for a problem.
이를 위하여, 대형 컴퓨터와 같이 중요한 작업을 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를 설치하여 전력회사로부터의 전원이 공급 중단되는 경우가 발생되어도 컴퓨터에는 계속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o this end, in a computer system that performs important tasks such as a large computer,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is installed so that the compute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with power even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company is interrupted.
한편, 개인용 컴퓨터(PC)에서도 작업 도중 정전으로 인한 불의의 사고에 대처하기 위한 UPS의 필요성은 동일하지만, 기존의 UPS는 가격이 비싸고 부피가 커서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여 쉽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하여 사무실 및 가정에서도 상기한 UPS의 필요성 및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even in a personal computer (PC), the need for a UPS to cope with unforeseen accidents due to power outages during the operation is the same, but the existing UPS is expensive and bulky and requires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is not easily used to be. However, in recent years, due to the rapid spread of personal computers, the necessity and utilization of the above-mentioned UPS are increasing in offices and homes.
또한,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은 입력 전압의 변동에 의해 생기는 불규칙한 전압을 일정하게 출력하는 장치로서, 주로 상기한 UPS와 함께 사용되어 정전보상기능과 전압조정기능 등을 동시에 활용하게 되므로, 최근에는 이러한 UPS와 AVR의 기능을 함께 갖는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the AVR (Automatic Voltage Regulator) is a device that constantly outputs irregular voltage caused by the change of the input voltage. It is mainly used with the UPS, and thus the power failure compensation function and the voltage regulation function are used simultaneously. Various products having the functions of the UPS and the AVR are being developed.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UPS/AVR 복합전원장치의 블록도이다.1 and 2 is a block diagram of a UPS / AVR combined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UPS/AVR 복합전원장치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A/D컨버터(4)와, 상기 직류전원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D/A인버터(7)와, 상기 상용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BATT)를 충전시키는 충전기(5)와, 정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DC-DC컨버터(6)와, 상기 D/A인버터(7)의 이상시 또는 과부하시에 대비하여 상용교류전원 또는 D/A인버 터(7)의 교류전원을 출력교류전원으로 하여 선택적으로 외부 시스템으로 인가하는 동기절체 스위치부(8) 및 입력전원을 감시하여 상기 동기절체 스위치부(8)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1)으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는 배터리(BATT)의 충전상태와 전원공급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전면 패널, 3 및 9는 노이즈 필터, 그리고 D는 다이오드이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UPS / AVR composite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n A /
이하, 상기와 같은 종래 UPS/AVR 복합전원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UPS / AVR combined power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먼저, 입력단자를 거쳐 입력된 상용교류전원은 정상동작시에 A/D컨버터(4)에서 직류전원으로 변환되고, 이는 충전기(5)에 구비된 다수의 배터리(BATT)를 충전한다. 또한, 상기 A/D컨버터(4)의 직류전원은 다시 D/A인버터(7)에서 교류전원으로 변환되어 동기절체 스위치부(8) 및 복수의 출력단자를 통해 외부의 시스템에 인가된다. 이때, DC-DC컨버터(6)는 단계적으로 저전압과 과전압을 조정하여 입력 전압의 변동에 의해 생기는 불규칙한 전압을 일정하게 하여 출력한다.First, the commercial AC power input via the input terminal is converted from the A /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용교류전원이 정전되면 상기 소정의 전압을 충전한 배터리(BATT)의 직류전원이 DC-DC컨버터(6) 및 다이오드(D)를 거친 후, D/A인버터(7)에서 교류전원으로 변환되고, 동기절체 스위치부(8)를 통해 외부의 시스템으로 인가됨으로써, 그 외부의 시스템은 정전에도 불구하고 안정된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When commercial AC power is interrupted in the above state, the DC power of the battery BAT charged with the predetermined voltage passes through the DC-
이와 같은 동작중에 다시 상용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충전기(5)는 다시 배터리(BATT)를 충전하게 된다.If the commercial AC power is applied again during this operation, the
또한, 상기 D/A인버터(7)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CPU(1)에서 이를 감지하 여 동기절체 스위치부(8)의 절체 동작에 의해 상용 교류전원을 직접 외부의 시스템에 바이패스(bypass)시켜 인가하게 되며, 이때는 전면 패널(2)에 축전지상태를 보아 사용자가 이상이 발생함을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 / A inverter 7, the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에 의하면, 컴퓨터 한대의 시스템에서도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 프린터, 디지타이저, 허브, 플로터, 외장형 모뎀 등이 있는데, 이중에는 정전시에 전원 보상을 필요로 하는 것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있는 한편, 전원이 불규칙한 것에는 약한 장비가 있기 때문에 UPS와 AVR 기능이 함께 사용함으로써, UPS와 AVR을 따로 구입하지 않아 비싼 비용을 치르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re is a computer main body, a monitor, a printer, a digitizer, a hub, a plotter, an external modem, and the like even in one computer system.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weak equipment in the irregular power supply, because the UPS and the AVR function is used toge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do not have to pay expensive costs because you do not purchase the UPS and AVR separately.
그러나, 종래의 무정전 전원장치에서는, 상용라인 측면에서 보면 무정전 전원장치로 말미암아 상용라인의 효율저하, 고조파 노이즈 발생, 역률왜곡등 도리어 전원라인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일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발생하는 용량성 부하 증가로 말미암아 고조파 전류로 인한 발전소에 장애가 나타나고 있으며, 피크 전력의 문제가 심각해져 무정전 전원장치 자체로 말미암은 문제에 대한 대책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causes a lot of deterioration in the reliability of the power supply line, such as deterioration of efficiency of the commercial line, generation of harmonic noise, and power factor distortion. In particular,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capacitive loads, there are disturbances in power plants due to harmonic currents, and the problem of peak power is so severe that there is a need for countermeasures caused by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tself.
또한, 부하측면에서 보면, 비선형 부하시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왜율로 말미암아 인접기기에 나쁜 영향을 주어 고품질의 사용전원 공급을 방해하는 면이 있어 이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In addition, from the load side, the output distortion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in a non-linear load adversely affects the neighboring devices, thereby hindering the supply of high-quality used power, which necessitates the need for fundamental improvement.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출력 전압의 단전을 방지하고 전기적인 외부 환경에 강한 유피에스가 개시되었는데,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기존의 또 다른 유피에스 장치를 설명한다. In order to improve such a problem, the UPS has been disclosed to prevent the disconnection of the output voltage and to be strong in the electrical external environment. Hereinafter, another UPS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UPS/AVR 복합전원장치는, 입력스위치(511)를 통해 입력된 입력전원을 1차 코일을 통해서 부하측으로 출력하되, 입력에 대해 출력을 제어하여 부하측으로 출력하는 제1트랜스포머(513)와, 상기 제1트랜스포머(513)의 2차측 코일의 전압/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제1트랜스포머(513)의 입력에 대한 부하측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필터회로(514)와, 상기 필터회로(514)의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인버터(515)와, 무정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516)와, 정전시 상기 배터리(516) 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부하측에 출력하거나, 정상시에 부하측으로부터 상기 입력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516)에 충전시키기 위한 제2 인버터(517)와, 상기 제2 인버터(517)와 상기 제1 트랜스포머(513)의 출력 부하측 사이에 연결되어 정상전원시 부하측 출력전원을 상기 제2 인버터(517) 측으로, 정전시 상기 제2 인버터(517)의 출력을 상기 부하측 전원으로 출력하는 제2 트랜스포머(518)와, 상기 입력스위치(511) 후단에서 입력전압(Vi)과 입력전류(iS)를, 상기 부하측 연결단에서 출력전압(VO)과 출력전류(iP)를, 상기 배터리(516)에서 직류전압(Vd)을 각각 검출하되, CT 및 PT를 이용해 검출된 신호를 저항회로에 의해 지연시간 없이 고속으로 검출하기 위한 고속 검출부(80)와, 상기 고속검출부(80)에 의해 검출되는 입/출력 전압 및 전류와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키입력에 의해 각종 기능을 설정하여 무정전 제어와 자동전압제어(AVR)기능 및 각종 감시 및 표시와 보호 기능등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9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0)의 PWM제어신호에 의거하 여 상기 제1 인버터(515)와 상기 제2 인버터(517)의 PWM제어를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70)와, 각종 기능설정 및 모니터링 제어와 설정치 제어등을 위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100)와, 각종 상태 표시와 아울러 기능 설정시의 메뉴표시와 설정치 표시등을 위한 LCD(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UPS / AVR composit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outputs the input power input through the
하지만,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복합전원장치에서는, 상기 입력스위치(511)와 부하선에 1개의 SCR(512)을 사이에 연결하여 과전류를 제어하였다.However, in the composite power supply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overcurrent is controlled by connecting one
이에 따라서, 상기 SCR(512)이 단선 및 기능 불능으로 인해 유피에스 시스템에 과전류 및 이상 발생을 제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정상시에도 유피에스 시스템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as follows.
첫째, 주 제어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사용하여 인버터 PWM 발생 및 바이패스 전력반도체 스위칭 펄스신호 발생을 포함하여 모든 기능이 소프트웨어화되어 시스템에 관련된 여러 가지 변수들을 키패드로 설정시켜 기억되게 함으로써 고기능화한 유피에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First, using the main controller as a microprocessor, all functions, including inverter PWM generation and bypass power semiconductor switching pulse signal generation, are software-programmed so that various parameters related to the system can be set and memorized by the keypad. To provide.
둘째, 키패드 입력신호 처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LCD 제어는 8-BIT PIC 마이크로-콘트롤러를 사용하여 주제어기와 통신으로 처리되어 전기적인 외부 환경에 강하고 분리 운용할 수 있도록 한 유피에스를 제공하는데 있다.Secondly, the LCD control for keypad input signal processing and monitoring is to provide a UPS that can be processed in a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ler using the 8-BIT PIC micro-controller to be strong and separate operation in the electrical external environment.
셋째, 라인 전압의 빠른 감지 기술을 통하여 라인 전압과 연계하여 출력전압의 단전됨이 없도록 출력되고 절체 시간이 무시되는 온라인 유피에스를 제공하는데 있다.Thirdly, through the fast sensing technology of the line volt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n-line PUS that is output so that the output voltage is not disconnected in connection with the line voltage and the transfer time is ignored.
넷째, 정상적인 라인 전압하에서는 라인을 통하여 부하에 고효율로 에너지를 공급하며 인버터는 라인 전압과 거의 동일한 전압을 발생시켜 충전을 하면서 비정상적인 전압에 대응하도록 한 유피에스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Fourthly, under normal line voltage, energy is supplied to the load through the line with high efficiency, and the inverter generates a voltage almost equal to the line voltage to provide a UPS to cope with abnormal voltage while charging.
다섯째, SCR 단선 및 기능 불능으로 인한 유피에스 시스템의 과전류 및 이상 발생을 제어하고, 정상시에도 유피에스 시스템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있다.Fifth, it is to control overcurrent and abnormal occurrence of the UPS system due to SCR disconnection and malfunction, and to detect an overcurrent flowing in the UPS system even in normal operation.
본 발명에 의한 유피에스는, 한전 전원 또는 배터리에 연결되어 교류 또는 직류 입력전원을 인가하는 제1a,1b 입력차단수단과, 상기 제1a 입력 차단수단의 출력부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입력전원의 과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양방향성 SCR로 구성된 입력스위칭수단과, 상기 입력스위칭수단을 통해 입력된 입력전원을 1차 코일을 통해서 부하측으로 출력하되, 상기 입력스위칭수단의 입력에 의해 상기 1차 코일을 통과시켜 출력을 제어하여 부하측으로 출력하는 제1 트랜스포머와,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전압/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제1트랜스포머의 입력에 대한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필터회로와; 상기 필터회로의 출력부에 연결되어 전압, 전류 및 주파수를 제어하며, 과부하, 단락, 지락의 이상 발생으로부터 회로 보호 및 부하변동에 따른 IGBT 펄스폭변조(PWM) 제어로 안정된 전원을 부하측에 공급하는 제1 인버터와; 상기 제1b 입력차단수단에 연결되어 무정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정전시 상기 배터리 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부하측에 출력하거나, 정상시에 부하측으로부터 상기 입력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기 위한 제2 인버터와; 상기 제2 인버터와 제1b 출력스위칭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정상전원시 부하측 출력전원을 상기 제2 인버터 측으로, 정전시 상기 제2 인버터의 출력을 상기 제1b 출력스위칭수단을 통해 상기 부하측 전원으로 출력하는 제2 트랜스포머와; 상기 제2 트랜스포머 또는 상기 제1a 입력 차단수단의 출력부에 양방향성 SCR를 연결하여 부하측으로 흐르는 교류 출력전원의 과전류를 제어하는 제1a,1b 출력스위칭수단과; 상기 제1a 출력스위칭수단의 출력부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부하측으로 흐르는 교류 출력전원을 출력하는 제1a 출력차단수단과; 상기 제1a 입력차단수단의 입력부와 상기 제1a 출력차단수단의 출력부에 메인터넌스 바이패스 스위치(MBS)를 병렬로 연결하여 전원이 전혀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유피에스 고장 수리나 비상시에 유피에스 운전을 회피하기 위한 제1b 출력차단수단과; 상기 입력스위칭수단 후단에서 입력전압(Vi)과 입력전류(iS)를, 상기 부하측 연결단에서 출력전압(VO)과 출력전류(iP)를, 상기 배터리에서 직류전압(Vd)을 각각 검출하되, 변류기(CT;current transformer) 및 변압기(PT;potential transformer)를 이용해 검출된 신호를 저항회로에 의해 지연시간 없이 고속으로 검출하기 위한 고속검출부와; 상기 고속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입/출력 전압 및 전류와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키입력에 의해 각종 기능을 설정하여 무정전 제어와 자동전압제어(AVR)기능 및 각종 감시 및 표시와 보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펄스폭변조(PWM)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인버터와 상기 제2 인버터의 펄스폭변조(PWM)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와; 각종 기능설정 및 모니터링 제어와 설정치 제어를 위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 및 각종 상태 표시와 아울러 기능 설정시의 메뉴표시와 설정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LCD);를 포함하여 키입력 처리와 표시제어 기능을 분담하는 8-bit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입력제어기 및 출력제어기로서 사용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통신하게 하여 상기 키패드와 디스플레이(LCD)를 독립적인 콘트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U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KEPCO power source or a battery, and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and second input blocking means for applying AC or DC input power, and the output of the first input blocking means. Input switching means composed of bidirectional SCR and the input power input through the input switching means to control the output to the load side through the primary coil, the output by passing the primary coil by the input of the input switching means A first transformer for controlling the output to the load side, and a filter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input of the first transformer by controlling the voltage / current of the secondary coil of the first transformer;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part of the filter circuit to control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and to supply stable power to the load side by IGBT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according to the load protection and the circuit protection from abnormal occurrence of overload, short circuit and ground fault. A first inverter; A battery connected to the first b input blocking means for supplying uninterruptible power; A second inverter for converting the battery power into an AC power and outputting it to a load side during power failure, or receiving the input power from the load side in normal operation, converting the battery power into a DC power, and charging the battery;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inverter and the 1b output switching means for outputting the load side output power to the second inverter side during normal power supply, and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second inverter to the load side power through the first b output switching means during power failure. A second transformer; First and second output switching means for controlling an overcurrent of an AC output power flowing to the load side by connecting a bidirectional SCR to an output of the second transformer or the first a input blocking means; First a output blocking means connected in series with an output of said first switching output means and outputting an AC output power flowing to said load side; Maintenance bypass switch (MBS)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input portion of the input blocking means 1a and the output of the output blocking means 1a to prevent the power supply from being applied at all, thereby avoiding the operation of the U.S. troubleshooting or emergency operation. 1b output blocking means for; An input voltage Vi and an input current iS are detected at the rear end of the input switching means, an output voltage VO and an output current iP are respectively detected at the load side connection terminal, and a DC voltage Vd is detected at the battery. A high spee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ignal detected using a current transformer (CT) and a potential transformer (PT) at high speed without a delay time by a resistance circuit; Receiving input / output voltage and current and DC voltage detected by the high speed detector,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by key input to control uninterruptible control, automatic voltage control (AVR) function, and various monitoring, display and protection functions. A microprocessor for; A gate driver configured to output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signal of the first inverter and the second inverter based on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signal of the microprocessor; A keypad for operating by a driver for various function setting and monitoring control and set value control; And a display (LCD) for displaying menus and setting values at the time of function setting, as well as displaying various statuses, using an 8-bit microcontroller that shares key input processing and display control functions as an input controller and an output controller. The keypad and display (LCD) are configured as independent controllers by communicating with a microprocessor.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자동전압제어(AVR) 기능을 위하여 상기 제1 인버터를 제어하여 필터회로를 통해 제1 트랜스포머의 2차측을 제어하여 출력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전압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부와, 입력 및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이에 대한 표시제어와 아울러 경보제어를 하기 위한 라인 전압 모니터링부와, 각종 모드별 설정값을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모드별 설정부와, 상기 출력전압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와, 상기 라인 전압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드별 설정부의 제어와 아울러 시스템 운전 조건의 선택과 경보제어, 각종 보호기능 및 바이패스를 제어하기 위한 주 제어부와, 상기 출력전압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와, 상기 라인 전압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드별 설정부의 제어기능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인버터와 상기 제2 인버터의 게이트 제어를 위한 펄스폭변조(PWM)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로 출력하는 펄스폭변조(PWM)신호 발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micro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voltag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utput voltage by controlling the first inverter through a filter circuit to control the first inverter for an automatic voltage control (AVR) function; Battery charg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charging voltage and charging current, line voltage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input and output voltages and alarm control, and mode-specific mode for storing and managing setting values for various modes. Note for controlling the setting unit, the output voltage control unit, the battery charging control unit, the line voltage monitoring unit and the setting unit for each mode, the selection of system operating conditions, alarm control, various protection functions and bypass. A control unit, the output voltage control unit, the battery charging control unit, and the line voltage monitoring unit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generating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for controlling the gate of the first inverter and the second inverter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ontrol function of the mode setting unit, and outputt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to the gate driver.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ignal generator.
삭제delete
또한, 상기 제1b 출력스위칭수단은, 상기 제1a 입력 차단수단의 출력부와, 상기 제1a 출력스위칭수단의 출력부에 양방향 스위치를 병렬 연결하여 부하측으로 흐르는 출력전원의 검출, 측정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b output switch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detect, measure, and control an output power flowing to the load side by connecting a bidirectional switch in parallel with an output of the first a input blocking means and an output of the first a output switching means. It features.
또한, 상기 제1a,1b 출력스위칭수단은, 트랜스포머, 스위치, 차단 기기, 정류 기기나 충전 기기 및 인버터의 장애로 인하여 유피에스 기능이 정상동작 하지 못할 경우 부하측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양방향성 SCR로 구성하여 과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1a, 1b output switching means, the bidirectional SCR to supply the power stably to the load side when the UPS function does not operate normally due to the failure of the transformer, switch, blocking device, rectifier device or charging device and inver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vercurrent by configuring.
상기한 과제해결 수단을 구비하는 본 발명은, 아이지비티 유피에스 시스템으로서, 라인 전압에서는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AVR기능을 겸할 수 있으며, 무정전 전원 장치로서 인버터 기능들은 모든 기능제어를 소프트웨어화된 고효율, 고역 율, 고기능의 유피에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mention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s an IGP UPS system, can combine the AVR func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at the line voltage, the inverter functions as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ll the function control software high efficiency,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high power factor, high performance PU system.
또한, 유피에스 기능에서 부하측으로 흐르는 출력전원을 검출 및 측정을 하거나 출력 제어를 하여 원활한 출력전원이 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utput power flowing to the load side in the UPS function can be detected and measured or output control to be a smooth output pow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보인 유피에스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내부 기능 블록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유피에스 시스템의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간략 회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의한 유피에스 시스템의 각 동작모드별 전원 흐름 경로를 보인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피에스 시스템의 키패드 및 LCD의 콘트롤판넬 예시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UPS system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internal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microprocessor of FIG. 3, and FIG. 5 is a simplified diagram of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of a UP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F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power flow paths of respective operation modes of the UP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panel of a keypad and an LCD of the UP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아이지비티 유피에스 시스템은, 제1a 입력차단수단(211)을 통해 한전(미도시) 전원과 연결하여 교류 입력전원을 인가하고, 제1b 입력차단수단(212)을 통해 배터리(40)와 연결하여 직류 입력전원을 인가받는다. 이때, 상기 제1b 입력차단수단(212)은 정상시에 부하측으로부터 입력받는 전원을 상기 배터리(40)에 충전할 수 있게 하며, 정전시 상기 배터리(40) 전원을 부하측에 출력할 수 있게 스위칭 차단 또는 연결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iGIS UP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KEPCO (not shown) power source through a first input blocking means 211 to apply an AC input power, and the first bb of FIG. It is connected to the
여기서, 상기 제1a 입력 차단수단(211)의 출력부에 입력스위칭수단(12)을 직렬 연결하고, 상기 입력수위칭수단(12)에 제1 트랜스포머(10)를 직렬로 연결한다. 이 때, 상기 입력스위칭수단(12)은 양방향성 SCR로 구성하여 입력전원의 과전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put switching means 12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output of the first input blocking means 211, and the
상기 제1 트랜스포머(10)는 상기 입력스위칭수단(12)을 통해 입력된 입력전원을 1차 코일을 통해서 부하측으로 출력하되, 상기 입력스위칭수단(12)의 입력에 의해 상기 1차 코일을 통과시켜 출력을 제어하여 부하측으로 출력한다.The
아울러, 상기 제1 트랜스포머(10)의 2차측 코일에 필터회로(20)를 연결하여 상기 제1트랜스포머(10)의 입력에 대한 전압/전류를 제어하여 출력을 제어한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또한, 상기 필터회로(20)에 연결된 제1 인버터(30)에 의해 전압 , 전류 및 주파수를 제어하며, 과부하, 단락, 지락의 이상 발생으로부터 회로 보호 및 부하변동에 따른 IGBT 펄스폭변조(PWM) 제어로 안정된 전원을 부하측에 공급한다.In addition,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are controlled by the
그리고,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제1b 입력차단수단(212)에 연결되어 무정전 전원을 공급한다. 정상시에 부하측으로부터 입력받는 전원을 상기 배터리(40)에서 충전하며, 정전시 상기 배터리(40) 전원을 부하측에 출력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제1 인버터(30)에 직렬 연결된 제2 인버터(50)는 상기 정전시 상기 배터리(40) 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부하측에 출력하거나, 정상시에 부하측으로부터 상기 입력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킨다. The
아울러, 상기 제2 인버터(50)와 제1b 출력스위칭수단(311) 사이에 제2 트랜스포머(60)를 직렬 연결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트랜스포머(60)는 정상 전원시에는 부하측 출력전원을 상기 제2 인버터(50) 측으로, 정전시에는 상기 제2 인버 터(50)의 출력을 상기 제1b 출력스위칭수단(311)을 통해 상기 부하측 전원으로 출력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 제2 트랜스포머(60) 또는 상기 제1a 입력 차단수단(211)의 출력부에 제1a 출력스위칭수단(311) 또는 제1b 출력스위칭수단(312)을 양방향성 SCR로 연결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a,1b 출력스위칭수단(311,312)은 부하측으로 흐르는 교류 출력전원의 과전류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b 출력스위칭수단(312)은, 상기 제1a 입력 차단수단(211)의 출력부와, 상기 제1a 출력스위칭수단(311)의 출력부에 양방향 스위치를 병렬 연결하여 부하측으로 흐르는 출력전원을 검출, 측정 및 제어한다. The first
아울러, 상기 제1a, 제1b 출력스위칭수단(311,312)은, 트랜스포머, 스위치, 차단 기기, 정류 기기나 충전 기기 및 인버터의 장애로 인하여 유피에스 기능을 정상동작을 하지 못할 경우 부하측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양방향성 SCR로 구성하여 과전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1a, 1b output switching means (311, 312), if the failure of the transformer, switch, blocking device, rectifier device, charging device and inverter due to failure of the normal operation of the UPS function,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side stably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bidirectional SCR to provide overcurrent control.
여기서, 상기 제1a 출력스위칭수단(311)의 출력부에 직렬 연결된 제1a 출력차단수단(213)은 상기 부하측으로 흐르는 교류 출력전원을 출력한다.Here, the first a output blocking means 213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output of the first a output switching means 311 outputs an AC output power flowing to the load side.
이 때, 상기 제1a 입력차단수단(211)의 입력부와 상기 제1a 출력차단수단(213)의 출력부에 메인터넌스 바이패스 스위치(MBS)를 병렬로 연결하여 전원이 전혀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유피에스 고장 수리나 비상 시에 유피에스 운전을 회피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maintenance bypass switch (MBS) is connected in parallel to an input portion of the first a input blocking means 211 and an output portion of the first a output blocking means 213 so that no power is applied to the UE failure.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avoid the operation of the UE in the case of repair or emergency.
아울러, 상기 제1a 입력차단수단(211)의 출력부에서 입력전압(Vi)과 입력전류(iS)를, 상기 부하측 연결단에서 출력전압(VO)과 출력전류(iP)를, 상기 배터리(40)에서 직류전압(Vd)을 각각 검출하되, CT 및 PT를 이용해 검출된 신호를 저항회로에 의해 지연시간 없이 고속으로 검출하기 위한 고속 검출부(80)와, 상기 고속검출부(80)에 의해 검출되는 입/출력 전압 및 전류와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키입력에 의해 각종 기능을 설정하여 무정전 제어와 자동전압제어(AVR)기능, 각종 감시 및 표시와 보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9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0)의 PWM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인버터(30)와 상기 제2 인버터(50)의 PWM제어를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70)와, 각종 기능설정 및 모니터링 제어와 설정치 제어를 위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100)와, 각종 상태 표시와 아울러 기능 설정시의 메뉴표시와 설정치 표시를 위한 LCD(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nput voltage Vi and the input current iS at the output of the first a input blocking means 211, the output voltage VO and the output current iP at the load sid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battery 40. ) Is detected by the
여기서, 도면에서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압 전류 검출을 위한 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 등은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으나 유피에스 시스템 회로에서 이러한 검출은 당업자라면 당연히 쉽게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생략한다.Here, in the drawing, a transformer (PT), a current transformer (CT), and the like for detecting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such detection in a UPS system circu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ince it is a matter, it is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of the drawings.
그리고, 상기 제1 트랜스포머(10)와 병렬로 두 전원선 중 다른 측 전원 선에 입력스위칭수단(12)의 SCR이 설치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90)에 의해 비상차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CR of the input switching means 12 is installed on the other power line of the two power lines in parallel with the
한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0)는, 본 발명의 핵심기능들을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하는 것으로 그 기능을 블록으로 표시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Meanwhile, the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0)는, AVR기능을 위하여 상기 제1 인버터(30)를 제어하여 필터회로(20)를 통해 제1 트랜스포머(10)의 2 차측 코일을 제어하여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전압 제어부(92)와, 상기 배터리(40)의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부(94)와, 입력 및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이에 대한 표시제어와 아울러 경보 제어를 하기 위한 라인 전압 모니터링부(95)와, 각종 모드별 설정값을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모드별 설정부(96)와, 상기 각부의 제어와 아울러 시스템 운전 조건의 선택과 테스트 운전, 경보제어, 각종 보호기능 및 바이패스를 제어하기 위한 주 제어부(93)와, 상기 각부의 제어기능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93)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인버터(30)와 상기 제2 인버터(50)의 게이트 제어를 위한 PWM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70)로 출력하는 PWM발생부(91)로 구성된다. 상기 각부는 상기 출력전압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와, 상기 라인 전압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드별 설정부를 의미한다.The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와 LCD(100,110)를 독립된 제어기로 구성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8-bit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입/출력제어기(120)로서 사용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90)와 통신하게 함으로써 독립적인 구성이 가능하고 아울러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키입력 처리와 표시제어 기능을 분담 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keypad and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 장치로서의 기능과 아울러 AVR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주 제어를 소프트웨어화 시켜 고효율 고기능 온라인 유피에스로서 동작한다. 사용이 가능한 라인 전압에서는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인버터는 출력전압을 정전 압으로 제어하면서 출력전력은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도록 출력과 입력과의 완충전압을 제어하는 AVR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모든 기능이 소프트웨어화되어 있으며 시스템에 관련된 여러 가지 변수들은 키패드로 설정되어 기억된다.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performs the function as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an AVR function, and operates as a highly efficient high-function online UPS through software main control.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at the available line voltage, the inverter performs an AVR function that controls the output voltage by the electrostatic voltage while controlling the buffer voltage between the output and the input so that the output power is supplied from the line. The various parameters related to the system are stored in the keypad.
먼저, 도 3 및 도 5의 회로를 참조해서 기본 흐름을 설명하면, 입력전원(Vi)은 제1a 입력차단수단(211)과 입력스위칭수단(12)을 통해서 입력되어 제1 트랜스포머(10)의 1차측 코일을 통해서 부하측에 출력된다. 이 때, 필터회로(20)에 의해 상기 제1 트랜스포머(10)의 2차측 코일의 전압 및 전류가 제어되어 출력전압(Vo)의 제어가 이루어져 AVR기능을 수행한다. First, the basic flow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ircuits of FIGS. 3 and 5, and the input power source Vi is input through the first a input blocking means 211 and the input switching means 12 to provide the
상기 필터회로(20)는 제1 인버터(30)에 의해 제어되며, 제1 인버터(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90)의 제어에 의해 PWM 제어된다. 이때, 상기 제1 인버터(30)에 의해 전압, 전류 및 주파수를 제어하며, 과부하, 단락, 지락 등의 이상 발생으로부터 회로 보호 및 부하변동에 따른 SCR의 위상각을 변화시켜 안정된 전원을 부하측으로 공급한다.The
이 경우, 상기 변환된 직류전압만 제1b 입력차단수단(212)을 통과시켜 배터리(40)에 충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제1b 입력차단수단(212)에 연결되어 무정전 전원을 공급한다. In this case, only the converted DC voltage passes through the first b input blocking means 212 to charge the
즉, 입력전원이 정전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인버터(50)가 제어되어 상기 배터리(40)의 직류전원이 교류전원으로 변환되며 제2 트랜스포머(60)와 제1a 출력스위칭수단 및 제1a 출력차단수단을 통해서 출력 부하측에 공급되어 무정전 전원장치로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input power is out of power, the
본 발명의 PWM 제어는 인버터 정현파 전압제어를 위해 사용되며, 기존 바이폴라 PWM 방식보다 제어방식에 있어서는 더욱 복잡하지만, 리플 전압이 2배 정도 줄어들수 있는 유니폴라(unipolar) PWM방식을 사용하며, 이는 도 4의 마이크로프로세서(90)의 내부 프로그램상에서 PWM발생부(91)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정현파 주파수는 키패드(100)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으며, 라인 주파수와는 다르게 운전될 수도 있다. 즉, 고속 검출부(80)에서 입력 전압(Vi)을 검출할 때 전압의 제로크로싱에 의해 주파수를 감지하고, 입력주파수와 출력주파수가 다른 경우 설정된 출력 주파수에 맞게 PWM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출력주파수를 설정된 주파수로 맞출 수 있게 된다.The PWM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inverter sinusoidal voltage control, but more complicated in the control method than the conventional bipolar PWM method, but uses a unipolar (unipolar) PWM method that can reduce the ripple voltage by about 2 times, It is controlled by the
출력전압 제어부(92)는, 측정된 출력전압과 기준출력전압을 일치시키는 자동전압제어(Automatic voltage regulator : AVR)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부하에 대한 응답성과 안정성을 얻을 수 있도록 전압제어 및 출력전류 보상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속 검출부(80)를 통해서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와,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를 검출하여 설정된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를 일치시키도록 연산처리하여 상기 제1 인버터(30)를 PWM 제어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필터회로(20)를 통해서 상기 제1 트랜스포머(10)의 2 차측 코일의 전압 및 전류가 제어되어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 보상이 이루어져 AVR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output
배터리 충전 제어부(94)는, 일반적인 부동충전전압(float charging voltage)까지 충전시키는 부동충전과, 처음 설치시나 배터리 저전압까지 방전된 후의 충전시 최대 충전전압까지 충전하는 균등충전을 수행하며, 충전 전류는 최대 충전전류 로 제한된다. 균등충전시 충전전류가 최대 충전전류 값의 10% 이하에 도달하면 부동충전으로 들어가게 된다. The battery
충전전류의 제어는 입력전류와 출력전류의 차에 의해 실효치 전류를 계산하여 배터리 충전 전류를 검출하며, 최대 충전전류 값으로 제한하여 충전하고 만충전시에 도달할때는 정전압 제어기능으로 충전전류가 감소되고, 충전전류 응답성은 충전 제어 이득으로 결정한다. 균등충전 전압의 온도보상에 있어서 기온이 상온보다 떨어지면 충전전압을 올리며, 상온보다 올라가면 충전전압을 내린다. 상온보다 높은 기온에서의 온도 보상은 양온도보상을 사용하며, 낮은 기온에서의 보상은 음온도 보상을 사용한다.The charging current control calculates the effective curren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current and the output current to detect the battery charging current.When charging by limiting to the maximum charging current value and reaching full charge, the charging current is reduced by the constant voltage control function. Charge current responsiveness is determined by the charge control gain. In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of the even charging voltage, if the temperature drops below room temperature, the charging voltage is increased. Temperature compensation at temperatures above room temperature uses positive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compensation at low temperatures uses negative temperature compensation.
라인전압 모니터링부(95)에서는, 라인전압의 정상과 비정상 유무를 정상적인 전압과의 전압차이로 결정하며, 이 값이 지정된 값보다 크면 인버터들 동작시킨다. 이는 입력전압을 감시하여 제어하는 것이며, 라인 전압 검출시 라인 전압 강하의 경계치에서 히스테리시스 전압을 통하여 라인 운전과 인버터 운전과의 빈번한 변화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The line
라인 전압이 비정상적인지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라인 전압의 검출 시정수를 사용하여 라인 전압의 감도를 둔감시킬 수 있고, 라인 전압의 주파수가 지정된 값에서 변화 허용치 이상 벗어나게 되면 라인으로 운전하지 않고 인버터만 동작시켜 배터리 전압으로 출력을 보내게 된다.In detecting whether the line voltage is abnormal, the sensitivity of the line voltage can be desensitized by using the detection time constant of the line voltage. If the frequency of the line voltage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from the specified value, the inverter is operated without operating the line. The output is sent in voltage.
즉, 전압 감시는 계통 히스테리시스 전압을 적용하고, 계통전압 시정수를 사용하여 빈번한 변화를 줄이며, 계통이상 주파수 또는 계통이상 전압 밖으로 벗어나 는 경우 라인 전압으로 운전하지 않고 인버터만 동작시킨다. 라인 전압으로 운전하지 않고 인버터만 동작시키는 것은, 마이크로프로세서(90)의 제어에 의해 SCR(12)을 차단함으로써 라인전압 즉 입력전압이 출력 부하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인버터(50)를 작동시켜 배터리(40)의 충전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부하측 출력전압(Vo)으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In other words, voltage monitoring applies the system hysteresis voltage, reduces the frequent change by using the system voltage time constant, and operates only the inverter without operating with the line voltage when it is out of the system abnormal frequency or the system abnormal voltage. Operating only the inverter without operating at the line voltage cuts off the
모드별 설정부(96)는 각종 설정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키패드(100)의 메뉴 선택에 의해 각종 설정치를 설정하여 저장시켜둔다. 그리고, 선택기능으로서, 시스템의 운전주파수가 60Hz인지 50Hz인지를 선택하게 하고, 인버터 운전에 의하여 배터리 전부가 방전되었다가 라인 전압이 들어오게 되면 시스템을 자동으로 운전할 것인지를 선택하며, 제어보드의 릴레이 접전 단자(a 접점 및 b접점) 운전 방식을 선택한다. 또한, 파인 케리브레이션(Fine calibration)을 위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로부터 수치를 받아들이거나 출력할 때 변환이득이 정확하게 되어 있지 않으면 프로세서에서 오차가 생기므로 변환이득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The setting
이는 파인 켈이브레이션 파라메타에서 조정할 수 있으며, 배터리 전압이득은 배터리 전압의 측정이득을, 출력 전압 이득은 출력전압의 측정이득을, 출력전류 이득은 출력전류의 측정이득을, 충전 전류 이득은 충전전류의 측정이득을, 입력 전압이득은 입력전압의 측정이득을 조절한다. 이러한 변수들은 정격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LCD(120)에 나타낸다. 출력전압이득이 증가되면 라인 모드에서는 LCD에 나타나는 값은 증가하며 인버터 모드의 정전압 제어에서는 감소된다.This can be adjusted in the fine calibration parameter, where the battery voltage gain is the measurement gain of the battery voltage, the output voltage gain is the measurement gain of the output voltage, the output current gain is the measurement gain of the output current, and the charge current gain is the charge current. The measured gain of the input voltage gain adjusts the measured gain of the input voltage. These variables are displayed on the
주 제어부(93)는, 상기 각부를 제어함과 아울러 각부의 제어기능에 따라 PWM 발생부(91)를 제어하여 실제 유피에스 시스템의 주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The
경보기능은, 정상적인 라인전압에서는 부저가 울리지 않으며, 비정상적인 라인 전압에서 인버터가 동작될 경우 부저가 울리게 된다. 부저의 울림은 인버터 운전, 보호기능에 의한 이상발생, 배터리 로우 상태 등을 구별하여 서로 다르게 울리도록 한다.In the alarm function, the buzzer does not sound at normal line voltage, and the buzzer sounds when the inverter is operated at abnormal line voltage. The buzzer sounds differently by distinguishing inverter operation, abnormality caused by protection function, and battery low status.
인버터 동작시 부저가 울리게 되며, 키패드(100)의 알람 무음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부저가 울리지 않고 이 스위치를 다시 누르면 부저는 울리게 된다. 이상 상태인 경우는 부저가 지속적으로 울리게 되며, 이상 상태가 아닌 순간적인 과부하시 부저가 지속적으로 울리고 과부하가 해제되면 부저는 울리지 않는다. 또한 유피에스 시스템이 정지되어 있을 상태에서 부저가 울린다.When the inverter is operating, the buzzer sounds, and when the alarm silent switch of the
보호기능은, 배터리 저전압 상태와, 과전류, 과부하, 배터리 이상, 바이패스 과전류를 보호기능로서 제어하게 된다.The protection function controls the battery undervoltage condition, overcurrent, overload, battery fault, and bypass overcurrent as a protection function.
배터리 저전압은 배터리 전압이 정격전압의 85%까지 방전되면서 출력전압을 허용치까지 유지시키지 못하면, 배터리 저전압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인버터의 운전은 최대 30초이며 배터리 저전압에서 라인 전압이 복구되면 정상적인 운전으로 회복된다.The battery undervoltage generates a battery undervoltage signal if the battery voltage is discharged to 85% of its rated voltage and fails to maintain the output voltage to an acceptable level. At this time, the inverter operates for 30 seconds at maximum. When the line voltage is restored from the battery low voltage, the inverter returns to normal operation.
과전류는, 인버터 운전에서 출력전류가 부하상태의 이상으로 과전류가 300%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인버터를 보호하기 위하여 시스템이 정지한다.The over current stops the system in order to protect the inverter when the overcurrent is continuously generated by 300% or more because the output current exceeds the load state in the inverter operation.
과부하는, 인버터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출력전류가 정격전류 이상 운전 시 설정된 과부하로 1분까지의 누적된 양보다 크면 과부하로 인식한 다.Overload is to protect the inverter from overload. If the output current exceeds the accumulated amount up to 1 minute due to the overload set when the rated current is over the rated current, it is recognized as overload.
배터리 이상은, 인버터 운전에서 배터리 전압이 정격전압의 85%까지 방전되면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며 인버터를 정지시킨다. 입력전원이 인가되었을 경우 배터리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도 배터리 이상을 경보하며 이 경우에는 인버터를 계속 운전하며 배터리가 연결되면 정상상태로 회복된다.The battery abnormality generates an abnormal signal and stops the inverter when the battery voltage is discharged to 85% of the rated voltage in the inverter operation. If the input power is applied, the battery will be alarmed even when the battery is open. In this case, the inverter will continue to run and will return to normal when the battery is connected.
바이패스 과전류는, 라인 전압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 출력단락 혹은 이상이 발생하여 바이패스 스위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바이패스 스위치를 오프시킨다. 이상 전류의 기준치는 과전류 값이다.Bypass overcurrent causes an output short or fault when operating at line voltage to turn off the bypass switch to protect the bypass switch. The reference value of the abnormal current is an overcurrent value.
초기화 기능은, 고장(fault) 초기화, 파라메타 초기화, 시스템 초기화가 있으며, 고장 초기화는 과거 발생된 고장 기록들을 제거하여 준비상태를 만드는 것이며, 파라메타 초기화는 모든 변수나 선택기능을 디폴트 값으로 정한다. 시스템 초기화에서는 시스템을 재시작한다.Initialization functions include fault initialization, parameter initialization, and system initialization. Fault initialization removes past fault records and prepares them for readiness. Parameter initialization sets all variables or selection functions to their default values. In system initialization, restart the system.
한편, 키패드와 LCD를 독립적인 콘트롤러로 구성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90)와 통신하는 8-비트 마이크로 콘트롤러인 입/출력 제어기(120)를 더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키패드 및 LCD에 의한 콘트롤판넬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시스템의 흐름을 나타내는 상태도와 2개의 LED를 구비하여 입력전원의 정상을 나타내는 "Line"과, 인버터로 운전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Inverter"와, 입력전원이 출력으로 공급되는 "Bypass", 시스템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Fault", "Overload"를 구비하여 구성된다.Meanwhile, when the keypad and the LCD are configured as independent controllers, an input /
LCD(110) 구성에서는, 첫째줄은 유피에스의 전체적인 상황을 나타내며, 둘째 줄은 유피에스의 각종 내부 변수를 나타낸다. 배터리 전압용량, 배터리 전압, 배터리 전류, 출력전압, 출력전류, 입력전압, 입력전류, 출력주파수, 온도, 상태 표시 및 정전횟수, 날짜 및 시간 등을 표시하며, 표시 선택은 키패드(100)의 상하키를 이용하여 값을 읽을 수 있도록 한다.In the
키패드(100)의 "Mode"는 메뉴에 들어가거나 나오게 되고 변수의 자리이동을 제어하며, 상하 이동키는 변수 수치의 증/감 메뉴의 종류 및 디스플레이 변수를 바꾸는 역할을 하며, 알람은 알람의 온/오프 상태를 바꾸고, "O", "I"는 메뉴가 선택되거나 변수가 설정되며, 시스템을 정지 및 운전하고, 고장시 시스템을 다시 시작한다.The "Mode" of the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작동되는 본 발명의 유피에스 시스템에서는, 라인 운전과, 인버터운전 및 바이패스 제어를 하게 되는데, 그 상태를 살펴보면 도 6a 내지 도 6f와 같다.In the UP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d by a microprocessor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line operation, inverter operation, and bypass control are performed, and the state thereof is as shown in FIGS. 6A to 6F.
정상 동작은 라인 운전 모드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원이 부하측으로 출력되되, 제1 인버터(30)에 의해 필터회로(20)를 통해 제1 트랜스포머(10)의 2차측 코일을 제어하여 AVR 기능만 제어되며, 아울러 제2 인버터(50)의 기능에 의해 배터리(40)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정상운전이다.The normal operation is a line operation mode, in which input power is output to the load side as shown in FIG. 6A, and the secondary coil of the
정전 동작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원의 정전이 감지되면 제2 인버터(50)를 제어하여 배터리(40)의 전원이 부하측으로 출력되는 인버터 모드로서 운전된다.As illustrated in FIG. 6B, the power failure operation is operated as an inverter mode in which the power of the
정전 복귀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이 부하측에 출력되고, 출력으 로부터 피드백되는 전원이 제2 인버터를 통해 배터리(40)에 충전모드로서 동작되며 제1 인버터(30) 및 필터회로(20)를 통해 제1 트랜스포머(10)의 2차측이 제어되어 AVR기능으로 정상운전으로 복귀된다.In the power failure return, as shown in FIG. 6C, the input is output to the load side, and the power fed back from the output is operated as the charging mode to the
바이패스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를 제어하지 않고서 즉, 유피에스는 동작하지 않고 입력 전원이 그대로 부하측에 전달되는 바이패스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다.Bypass, as shown in Fig. 6D, does not control the inverter, that is, the UPS does not operate and controls the bypass function in which the input power is transferred to the load side as it is.
비상 바이패스는,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피에스 시스템과 병렬로 메인터넌스 바이패스 스위치(MBS)가 구비되어 그 비상 스위치를 통해서 부하측에 입력전원이 전달되는 것이고, SCR을 차단시켜 유피에스측에는 전원이 전혀 인가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서 유피에스 고장수리나 기타 비상 시에 유피에스 운전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Emergency bypass is a maintenance bypass switch (MBS)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UP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e is to transmit the input power to the load side through the emergency switch, and cut off the SCR It is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PS in case of troubleshooting or other emergency.
과부하 또는 기기 이상에서도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 운전을 하지 않음으로써 자동으로 바이패스 경로로 입력전원이 부하측에 출력되는 것으로서, 유피에스 시스템 내부에서 감당 할 수 없는 상태일 때 운전된다.6F, the input power is automatically output to the load side by the bypass path by not operating the inverter as shown in FIG. 6F, and is operated when it cannot be handled within the system.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UPS/AVR 복합전원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UPS / AVR combined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UPS/AVR 복합전원장치의 간략 회로도.2 is a simplified circuit diagram of yet another conventional UPS / AVR combined power supply.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보인 유피에스 시스템 구성도.Figure 3 is a configuration of a UPS system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내부 기능 블록도.4 is an internal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microprocessor of FIG.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피에스 시스템의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간략 회로도.5 is a simplified circuit diagram of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of a UP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의한 유피에스 시스템의 각 동작모드별 전원 흐름 경로를 보인 설명도.6A to 6F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power flow paths for respective operation modes of the UP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피에스 시스템의 키패드 및 LCD의 콘트롤판넬 예시도.Figure 7 is an exemplary control panel of the keypad and LCD of the UP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제1 트랜스포머 12 : 입력스위칭수단10: first transformer 12: input switching means
20 : 필터회로 30 : 제1 인버터20: filter circuit 30: first inverter
40 : 배터리 50 : 제2 인버터 40: battery 50: second inverter
60 : 제2 트랜스포머 70 : 게이트 드라이버 60: second transformer 70: gate driver
80 : 고속검출부 90 : 마이크로프로세서80: high speed detection unit 90: microprocessor
91 : PWM발생부 92 : 출력전압 제어부91: PWM generator 92: Output voltage controller
93 : 주제어부 94 : 배터리 충전제어부93: main controller 94: battery charge control unit
95 : 라인 전압모니터링부 96 : 모드별 설정부 95: line voltage monitoring unit 96: mode setting unit
100 : 키패드 110 : LCD 100: keypad 110: LCD
120 : 입/출력 제어기 211 : 제1a 입력차단수단120: input / output controller 211: 1a input blocking means
212 : 제1b 입력차단수단 213 : 제1a 출력차단수단212: 1b input blocking means 213: 1a output blocking means
214 : 제1b 출력차단수단 311 : 제1a 출력스위칭수단214: first b output blocking means 311: first a output switching means
312 : 제1b 출력스위칭수단 312: 1b output switching mean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92355A KR100830351B1 (en) | 2007-09-12 | 2007-09-12 | IGVIS UPS System |
| CN2007101516192A CN101388557B (en) | 2007-09-12 | 2007-09-24 |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92355A KR100830351B1 (en) | 2007-09-12 | 2007-09-12 | IGVIS UPS System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30351B1 true KR100830351B1 (en) | 2008-05-20 |
Family
ID=3966454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92355A Active KR100830351B1 (en) | 2007-09-12 | 2007-09-12 | IGVIS UPS System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30351B1 (en) |
| CN (1) | CN101388557B (en) |
Cited B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46048B1 (en) * | 2011-07-29 | 2013-04-03 | 이플러스주식회사 | System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 KR101260619B1 (en) * | 2009-04-30 | 2013-05-07 |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 Battery-based power station |
| CN104701969A (en) * | 2013-12-05 | 2015-06-10 | 通用电气公司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system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 KR101643705B1 (en) * | 2015-09-11 | 2016-07-29 | 성신전기공업(주)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s |
| CN108494039A (en) * | 2018-04-02 | 2018-09-04 | 惠州三华工业有限公司 | Stand-by power supply battery management system |
| KR101959776B1 (en) * | 2018-07-12 | 2019-03-19 | 국제통신공업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
| US10796619B2 (en) | 2017-01-17 | 2020-10-06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CN114270657A (en) * | 2020-07-16 | 2022-04-01 |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
| KR102510108B1 (en) | 2022-11-04 | 2023-03-14 | 주식회사 이온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 KR102785674B1 (en) * | 2024-06-13 | 2025-03-26 | 성신전기공업(주) | ESS INTEGRATED UPS USING SiC ELEMENTS WITH DUAL OVERCURRENT PROTECTION FUNCTION AND DUAL OVERCURRENT PROTECTION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803361B2 (en) * | 2011-01-19 | 2014-08-12 |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
| CN103647278B (en) * | 2013-12-18 | 2016-04-20 | 国家电网公司 | A kind of Large Copacity Unified Power disturbing generating device |
| JP6436028B2 (en) * | 2015-09-17 | 2018-12-12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Power supply device and switch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6712272A (en) * | 2015-11-18 | 2017-05-24 |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 Uninterrupted power source system |
| GB2546117B (en) * | 2016-01-11 | 2021-11-24 | Tridonic Gmbh & Co Kg | Emergency lighting unit with AC power charging |
| KR102281416B1 (en) * | 2017-03-10 | 2021-07-23 |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and test methods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
| CN116111714B (en) * | 2023-04-11 | 2023-07-07 | 浙江德塔森特数据技术有限公司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and readable medium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00038849A (en) * | 1998-12-09 | 2000-07-05 | 김진한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0665540B1 (en) * | 2006-06-14 | 2007-01-09 | 국제통신공업 주식회사 | 3-Phase I / O All IGBIS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2530378Y (en) * | 2002-01-10 | 2003-01-08 | 赵海 | Network controlling UPS |
-
2007
- 2007-09-12 KR KR1020070092355A patent/KR100830351B1/en active Active
- 2007-09-24 CN CN2007101516192A patent/CN101388557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00038849A (en) * | 1998-12-09 | 2000-07-05 | 김진한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0665540B1 (en) * | 2006-06-14 | 2007-01-09 | 국제통신공업 주식회사 | 3-Phase I / O All IGBIS System |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60619B1 (en) * | 2009-04-30 | 2013-05-07 |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 Battery-based power station |
| KR101246048B1 (en) * | 2011-07-29 | 2013-04-03 | 이플러스주식회사 | System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 CN104701969A (en) * | 2013-12-05 | 2015-06-10 | 通用电气公司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system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 KR101643705B1 (en) * | 2015-09-11 | 2016-07-29 | 성신전기공업(주)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s |
| US10796619B2 (en) | 2017-01-17 | 2020-10-06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CN108494039A (en) * | 2018-04-02 | 2018-09-04 | 惠州三华工业有限公司 | Stand-by power supply battery management system |
| CN108494039B (en) * | 2018-04-02 | 2024-03-22 | 惠州三华工业有限公司 | Standby power supply battery management system |
| KR101959776B1 (en) * | 2018-07-12 | 2019-03-19 | 국제통신공업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
| CN114270657A (en) * | 2020-07-16 | 2022-04-01 |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
| KR102510108B1 (en) | 2022-11-04 | 2023-03-14 | 주식회사 이온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 KR102785674B1 (en) * | 2024-06-13 | 2025-03-26 | 성신전기공업(주) | ESS INTEGRATED UPS USING SiC ELEMENTS WITH DUAL OVERCURRENT PROTECTION FUNCTION AND DUAL OVERCURRENT PROTEC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01388557A (en) | 2009-03-18 |
| CN101388557B (en) | 2012-01-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30351B1 (en) | IGVIS UPS System | |
| KR100875530B1 (en) | Transformerless Power Inverter Using Chopper Technology | |
| KR100665540B1 (en) | 3-Phase I / O All IGBIS System | |
| US9257829B2 (en) | Grounding apparatus | |
| US9793753B2 (en) | Power quality detector | |
| JP4410670B2 (en) |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 |
| JP2019187107A (en) | Power supply system | |
| JP6076499B2 (en) | Electronic circuit breaker | |
| US5789928A (en) | Circuit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source of waveform distortion in an electric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 |
| TWI701890B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 |
| KR100923333B1 (en) | Instantaneous power failure and power factor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 |
| KR102157700B1 (en) | Power conversion device with protection circuit and control method of power conversion device | |
| KR101568154B1 (en) | Intelligent Switching Module For Capacitor | |
| KR100574695B1 (en) | Digital uPS system | |
| KR100653284B1 (en) | 3-phase digital PC system | |
| KR20170116697A (en) | Fail-safe control apparatus of the connection switch for the applicable High-voltage at the time of discharge | |
| JP2005245136A (en) | Reverse power flow prevention type grid interconnection system | |
| JP2016136815A (en) | Power supply device | |
| KR20190093405A (en) | Battery control unit compatible for lithium ion batte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CA3060181C (en) | Method for detecting formation of a separate system | |
| JP5008465B2 (en) |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 |
| JP7659162B2 (en) | Power System | |
| KR102286629B1 (en) |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fire prediction algorithm and blocking function | |
| WO2013179731A1 (en) | Storage cell system | |
| CN201075712Y (en) | Energy-saving uninterrupted power supply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9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03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8032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3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0509 Appeal identifier: 2008101002619 Request date: 20080327 |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3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1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 B701 | Decision to grant |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805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429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