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777B1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1777B1 KR100831777B1 KR1020060109894A KR20060109894A KR100831777B1 KR 100831777 B1 KR100831777 B1 KR 100831777B1 KR 1020060109894 A KR1020060109894 A KR 1020060109894A KR 20060109894 A KR20060109894 A KR 20060109894A KR 100831777 B1 KR100831777 B1 KR 1008317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air
- main body
- vacuum cleaner
- foreign mat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력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을 필터링하여 먼지통에 집진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on assembly of a vacuum clean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by centrifugal force to be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나선운동하는 원통 형상의 몸체(52)와; 상기 몸체(52)의 일단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오염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유입관(54)과; 상기 몸체(52)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공기 중의 이물질을 안내하는 이물안내관(56)과; 상기 이물안내관(56)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몸체(52) 내부를 유동하는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58)과; 상기 이물안내관(56)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을 보관하는 먼지유닛(6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증대되고 소음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52 of the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piral movement; An inlet pipe 54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52 in a tangential direction to guide the inflow of contaminated air; A foreign material guide tube 56 formed integrally with one end of the body 52 and guid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A discharge pipe 58 installed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guide tube 56 and guiding purified air flowing through the body 52 to the outside; 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reign matter guide tube 56, and consists of a dust unit 60 for sto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ction power of the vacuum cleaner is increased and the noise is reduced.
진공청소기, 원심력, 공기, 이물질, 집진, 먼지 Vacuum cleaner, centrifugal force, air, foreign substances, dust collection, dust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general vacuum cleaner.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통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Figure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Figure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먼지유닛의 본체와 커버의 착탈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Figure 6 is a use state showing the detachable state of the body and the cover of the dust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집진유닛 52. 몸체50.
54. 유입관 56. 이물안내관54.
58. 배출관 60. 먼지유닛58.
62. 본체 64. 커버62.
70. 체결수단70. Fastening means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심력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을 필터링하여 먼지통에 집진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on assembly of a vacuum clean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by centrifugal force to be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도 1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내장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바닥면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노즐(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vacuum clean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한편 상기 본체(1)는, 흡입수단이 수납되어 체결되는 하부몸체(5)와, 상기 하부몸체(5)에 내장된 부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도시 생략)가 내장되는 상부몸체(6)로 구성되어 진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본체(1)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몸체의 양측면에 바퀴(8)가 체결되고, 상기 바퀴(8)에는 흡입노즐(2)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공기가 본체(1)에서 토출되는 토출부(8a)가 구성되어 진다.In addition,
그리고 상기 본체(1)와 흡입노즐(2)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지는 흡입호스(3b)와, 상기 흡입호스(3b)의 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4)와, 상기 조작부(4)와 흡입노즐(2)을 연결하는 연장관(3a)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 어서,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Between the
따라서 상기 본체(1)에 내장되어 있는 전원부(도시 생략)와 연결된 전선(9)을 통하여 전기를 인가하면,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4)의 버튼을 이용하여 흡입단계를 조정하면, 각 단계에 적당한 흡입력이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된다. Therefore,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hrough the
상기 흡입수단을 통하여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연결부(3c)에 체결되어 있는 흡입호스(3b) 및 연장관(3a)을 거쳐 흡입노즐(2)로 전달된다.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중의 이물은 집진통(10)에 의하여 분리되며, 이물이 필터링된 공기는 토출부(8a)를 통하여 본체(1)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에 의해 청소가 수행된다.The suction force generated through the suction means is transmitted to the
도 2는 종래의 먼지필터(14)가 체결된 상태의 집진통(10)을 도시한 것으로, 일측에는 흡입연결부를 통하여 본체로 유입된 공기가 집진통의 내벽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흡입가이드(12)가 성형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입가이드(1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질량이 큰 먼지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멍(13a)이 성형된 분리판(13)이 조립되고, 상기 흡입가이드부(12)의 타측 외벽에는 본체(1)로부터의 착탈을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15)가 구비된다.2 shows a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집진통(10)의 상부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면커버(11)에는, 중앙에 토출구(11a)가 성형되고, 상기 토출구(11a)의 저면 가장자리에 먼지필터(14)가 체결된다.In addition, a
상기 먼지필터(14)의 필터몸체(14b)는 길이방향의 주름이 원주방향으로 반복 되게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몸체(14b)의 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하측고정부(14a) 테두리는 필터몸체(14b)의 저부를 감싸도록 상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어 있다.The
상기 먼지필터(14)의 필터몸체(14b)는, 공기가 강하게 유동되는 것을 고려하여 일정 이상의 강도가 확보되고 세척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의 것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섬유재로 활용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필터몸체(14b)의 상부와 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상측고정부(도시 생략)와 하측고정부(14a)도 필터몸체(14b)가 원기둥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세척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fixing portions (not shown) and the
상기 필터몸체(14b)가 길이방향의 주름이 다수개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유동하는 공기와의 접촉표면적을 넓혀줄 수 있게 되므로, 집진효율이 극대화 된다. 즉, 토출구(11a)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미세한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필터몸체(14b)에 의하여 걸러주게 되는 것이다. Since the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먼지필터(14)의 필터몸체(14b) 표면에 미세한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필터(14)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털어주거나 세척해야 한다.If fine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물질이 먼지필터(14)에 부착되므로, 일정 기간 사용 후에는 이러한 먼지필터(14)를 분리하여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oreign matter is attached to the
또한, 먼지가 부착된 상기 먼지필터(14)를 공기가 통과하여야 하므로, 흡입력이 현저히 저하되며, 소음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ir must pass through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와 이물질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안내하여 원심력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을 분리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dust collection assembly of a vacuum cleaner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by centrifugal force by guiding air and foreign matter in different direc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이 먼지통으로 용이하게 안내되고, 먼지통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on assembly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foreign matters are easily guided to the dust container and the foreign matters of the dust container are easily remov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와 이물질을 원심력 차이에 의해 분리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집진유닛과; 상기 집진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먼지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the air and foreign matter by the centrifugal force difference, the dust collecting unit for guiding to discharge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 dust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to accommodate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unit.
상기 집진유닛은,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나선운동하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접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오염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유입관과; 상기 몸체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공기 중의 이물질 유동을 안내하는 이물안내관과; 상기 이물안내관의 일면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몸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 cylindrical body in which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spiral moves; An inlet pipe protruding in one end of the body in a tangential direction to guide the inflow of contaminated air; A foreign material guide tube formed integrally with one end of the body and guiding foreign matter flow in the air; It is installed through one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guide tube, the discharge pipe for guiding the air flowing in the body to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이물안내관은 엘보우(elbow) 형상을 가지며,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감소 또는 증가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eign material guide tube has an elbow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or increases toward one side.
상기 배출관은, 상기 몸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몸체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pipe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body and is installed on the same center line as the body.
상기 먼지유닛은, 상기 집진유닛의 이물안내관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착탈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dust unit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guide tub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re stored, a cover for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hand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facilitate the user's grip. Consisting of; Th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detachable to the body.
상기 커버는, 상기 이물안내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on the lower end of the foreign material guide tube.
또한,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나선운동하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오염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유입관과; 상기 몸체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공기 중의 이물질을 안내하는 이물안내관과; 상기 이물안내관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몸체 내부를 유동하는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과; 상기 이물안내관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을 보관하는 먼지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ylindrical body in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piral movement; An inlet pipe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in a tangential direction to guide the inflow of contaminated air; A foreign material guide tube formed integrally with one end of the body and guid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A discharge pipe installed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guide pipe and guiding purified air flowing inside the body to the outside; 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guide tube,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dust unit for storing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상기 이물안내관은 엘보우(elbow) 형상을 가지며,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감소 또는 증가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eign material guide tube has an elbow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or increases toward one side.
상기 배출관은, 상기 몸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몸체와 동일 중심선 상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pipe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body and is installed on the same center line as the body.
상기 먼지유닛은, 상기 집진유닛의 이물안내관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 어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착탈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dust unit includes a main body that stores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foreign matter guide tub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 cover that shields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hand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facilitate the user's grip. Consisting of an inclusive configuration; Th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detachable to the main body.
상기 커버는, 상기 이물안내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on the lower end of the foreign material guide tub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하고,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simple structure has the advantage that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can be effectively removed and the foreign matter can be easily discharged.
진공청소기는 일반 가정에 많이 보급되어 있고, 특히 양탄자나 쇼파 청소의 필요성으로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크게 흡입구인 노즐부가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Canister type)과, 노즐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Upright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Vacuum cleaners are widely used in general households, and the demand is increasing due to the necessity of cleaning carpets and sofas, and a canister type in which a nozzle part, which is a suction por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and connected by a connecting pipe. And i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an upright method (Upright type) in which the nozzle un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는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캐니스터 방식(Canister type) 및 업라이트 방식(Upright type)은 물론 모든 타입의 청소기에 장착 가능한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ilter assembly of the vacuum cleaner performs the function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in the inhaled air. Hereinafter, the canister type and the upright type, as well as the cyclone dust collection that can be installed in all types of vacuum cleaners. The assembly will be described.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정면도 및 정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show a front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는, 크게 집진유닛(50)과 먼지유닛(60)으로 구분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상기 집진유닛(50)은 공기와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먼지유닛(60)은 상기 집 진유닛(5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집진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집진유닛(50)은,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나선운동하는 몸체(52)와, 상기 몸체(52) 내부로 오염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관(54)과, 상기 몸체(52) 내부로 유입되어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 유동을 안내하는 이물안내관(56)과, 상기 몸체(52)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58) 등으로 구성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몸체(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관(54)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공기와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가 나선 운동을 하면서 유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몸체(52)의 내부에서 오염공기가 나선운동을 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상기 유입관(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52)의 좌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접선방향으로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입관(54)은 상기 몸체(52)의 좌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된다.The
상기 이물안내관(56)은 상기 몸체(52)의 우측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이물안내관(56)은 상기 몸체(52)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 중 이물질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점차 그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진다.The foreign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물안내관은 엘보우(elbow)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단부는 좌측을 향하게 되고, 하단부는 하측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물안내관(56)은, 우측 또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직경(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 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이물안내관(56)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직경이 크도록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foreign material guide tube has an elbow shape. Thus, the upper end is directed to the left side, and the lower end is directed downward. The foreign
이처럼, 상기 이물안내관(56)은 하단의 직경이 제일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이물안내관(56)의 하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먼지유닛(60) 커버(64)의 먼지유입구(64')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안내관(56)의 상단 또는 좌측단은 상기 몸체(52)의 우측단에 일체로 결합되며, 몸체(52)의 우측단 직경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As such, the foreign
상기 배출관(58)은 상기 이물안내관(56)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몸체(52)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이물안내관(56)은 상기 몸체(52)와 대응되는 형상의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52)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배출관(58)의 좌측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5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Looking in more detail, the foreign
상기 배출관(58)은 상기 이물안내관(56)의 우측면(도 5에서)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관(58)의 좌측 부분은 상기 이물안내관(56) 및 상기 몸체(52)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관(58)의 우측 부분은 상기 이물안내관(56)의 우측 외부로 돌출된다.The
상기 먼지유닛(60)은 상기 집진유닛(50)에서 분리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수용하는 부분으로, 상기 이물안내관(56)의 하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52) 내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이물안내관(56)을 통해 안내되는 이물질이 상기 먼지유닛(60) 내부로 유입되어 보관된다.The
상기 먼지유닛(60)은, 상기 집진유닛(50)의 이물안내관(56)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본체(62)와, 상기 본체(62)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64)와, 상기 본체(62)의 우측(도 5에서)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66) 등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본체(62)는 상방이 개구된 원형의 용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본체(62)의 내부 공간에 이물질이 적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62)의 우측면에는 손잡이(66)가 우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한다.The
상기 커버(64)는 상기 본체(62)의 상단 크기와 대응되는 원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커버(64)의 중앙부에는 먼지유입구(64')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먼지유입구(64')는 상기 이물안내관(56)을 통해 유동되는 이물질이 상기 먼지유닛(60)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가 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유입구(64')의 직경 크기는 상기 이물안내관(56)의 하단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The
상기 커버(64)와 본체(62)는 슬라이딩 착탈에 의해 서로 결합 및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64)와 본체(62)에는 상기 커버(64)와 본체(62)가 서로 슬라이딩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수단(7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수단(70)은 상기 먼지유닛(60)의 좌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64)의 좌반부와 상기 본체(62)의 좌반부가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The
상기 체결수단(70)은 상기 커버(64)에 형성되는 체결홈(72)과 상기 본체(62)에 형성되는 체결돌기(74)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fastening means 70 includes a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커버(64)의 좌반부 테두리에는 하측으로 드리워진 가이드부재(76)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64)의 좌측 하단부에는 반원 형상의 가이드부재(76)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In more detail, the
그리고, 이러한 가이드부재(76)의 내주면을 따라서는 소정 크기의 체결홈(7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72)은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재(76)의 전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체결돌기(74)는 상기 본체(62)의 좌반부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돌기(74)는 상기 체결홈(7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62)의 좌측 상단부 테두리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62)가 우측(도 5에서)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커버(64)과 체결하면, 상기 체결돌기(74)는 상기 체결홈(72)에 삽입되어 수용된다.Meanwhile, the
상기 먼지유닛(60)의 커버(64)와 상기 이물안내관(56)은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커버(64)와 이물안내관(56)은 일체로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물안내관(56)의 하단에 상기 먼지유닛(60)의 커버(64)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The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작용을 살펴본다.It looks at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구비되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흡인력이 발생하면, 상기 유입관(54)을 통해 외부의 오염공기(먼지와 공기가 혼합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집진유닛(50)의 몸체(52) 내부로 유입된다.Although not shown first, when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the external contaminated air (outside air mixed with dust and air) through the
상기 몸체(52)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상기 몸체(52) 내부에서 나선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즉, 상기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생성되는 흡인력이 상기 배출관(58)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배출관(58)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려 한다. 따라서, 상기 유입관(54)을 통해 빠른 속도로 상기 몸체(52)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미처 방향을 전환하지 못하여 상기 몸체(52) 내부를 선회하면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도 5 참조)The polluted air introduced into the
상기 몸체(52) 내부를 선회하는 오염공기 중 공기는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58)을 통해 배출되고, 오염공기 중 이물질은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안내관(56)을 통해 안내되어 상기 먼지유닛(60)으로 유입된다.Air from the polluted air that rotates inside 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유입관(54)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오염공기는 상기 몸체(52)의 좌측단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오염공기 중 공기는 회전반경이 점차 감소하여 상기 배출관(58)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오염공기 중 공기 외의 이물질은 상기 몸체(52)의 내주면을 따라 우측으로 점차 이동하여 결국은 상기 이물안내관(56)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먼지유닛(60) 내부로 들어간다.In more detail, the outside pollu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상기 집진유닛(50) 내부에서 이물질(먼지)이 공기와 분리되는 과정은 원심력(遠心力, centrifugal force)의 차이에 의한다. 원심력은 원운동을 하고 있는 물체에 나타나는 관성으로, 구심력과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며, 원의 중심에서 멀어지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The process of separating foreign matter (dust) from the air in the
따라서, 질량 m인 물체가 반지름 r의 원주 상을 등속원운동하고 있을 때 원심력(구심력)의 크기 F는, F=mrω2=mv2/r (ω는 각속도의 크기, v=rω는 물체의 원운동 속도의 크기)가 되므로, 질량이 서로 다른 공기와 이물질(먼지)는 서로 분리된다.Therefore, when an object of mass m is moving in a constant velocity motion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radius r, the magnitude F of the centrifugal force (centripetal force) is F = mrω 2 = mv 2 / r (ω is the magnitude of the angular velocity and v = rω is the Size of circular motion), air and foreign matter (dust) having different mass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공기의 질량은 거의 무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몸체(52) 내부를 선회하는 공기의 원심력은 미세하여 공기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상기 배출관(58)으로 쉽게 배출된다. 반면, 상기 몸체(52) 내부를 선회하는 오염공기 중 이물질(공기)이 질량은 상대적으로 공기에 비해 훨씬 크므로, 상대적으로 큰 원심력을 갖게 된다.In more detail, the mass of air is almost negligible, so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air turning inside the
따라서,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몸체(52)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계속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에는 상기 이물안내관(56)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물안내관(56)으로 안내된 이물질은 하측으로 낙하하여 상기 먼지유닛(60)의 본체(62) 내부에 적치된다.Therefore, the foreign matter is continuously moved to the right while turn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다음으로, 상기 먼지유닛(60) 내부에 쌓인 이물질(먼지)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Next,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dust) accumulated in the
이때에는 상기 먼지유닛(60)의 본체(62)를 상기 커버(64)와 분리시켜야 한다. 즉 상기 손잡이(66)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우측으로 당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체결수단(70)의 체결돌기(74)가 상기 체결홈(72)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먼지유닛(60)의 본체(62)가 상기 커버(64)와 분리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상기 먼지유닛(60)의 본체(62)가 분리되면, 이를 뒤집어서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세척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한다.When the
그런 다음에는 상기 먼지유닛(60)의 본체(62)를 상기 커버(64)에 다시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의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체(62) 분리의 역순에 의한다.Then, the
구체적으로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62)가 상기 커버(64)의 우측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62)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체결돌기(74)의 선단과 후단부가 상기 체결홈(72)의 선단과 후단부에 각각 삽입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62)를 좌측으로 더 밀면 상기 체결돌기(74)가 상기 체결홈(72)에 삽입된 채로 슬라이딩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상기 본체(62)를 계속해서 좌측으로 밀면, 결국에는 상기 체결돌기(74)의 좌측단이 상기 체결홈(72)의 좌측단에 접하게 되어 상기 본체(62)는 상기 커버(64)에 완전히 체결된다. 이때의 상태는 도 4와 같다.When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관(54)이 상기 몸체(5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 외에 상기 유입관(54)이 상기 몸체(52)의 하단이나 전면 또는 후면에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또한, 본 발명의 집진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상기 집진유닛(50)과 먼지유닛(60)의 외형은 진공청소기의 본체(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타 구성부품과의 설치 관계상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에서는, 공기 중의 이물질(먼지)이 원심력의 차이에 의해 공기와 분리된다. 즉,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몸체와 동일 중심축 상에 위치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구성에 비해 심플하면서도, 압력손실이 최소화되어 흡입력이 종래기술에 비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로의 단순화로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도 있다.In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eign matter (dust) in the air is separated from the air by the difference in the centrifugal force. That is, the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s located on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body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Thus, while simpl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sure loss is minimized and the suction forc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addition, noise is reduced by simplifying the flow path.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공기와 분리된 이물질을 안내하는 이물안내관을 엘보우(elbow)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물질을 하측으로 안내하고, 이러한 이물안내관의 크기는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먼지유닛 내부로의 공기 유입 차단은 물론, 종래에 비해 먼지유닛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의 재 비산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material guide tube for guiding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air to form an elbow (elbow) to guide the foreign matter to the lower side, the size of the foreign material guide tube is configured to gradually de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bottom. . Therefore, as well as blocking the inflow of air into the dust uni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e-scattering of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dust unit.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먼지유닛이 커버와 본체로 구성되는 한편, 본체가 커버에 슬라이딩 착탈되도록 구성되므로, 본체에 쌓인 이물질의 제거가 보다 용이한 이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ust unit is composed of a cover and a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s configured to slide on and off the cover,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it is easier to remov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main body.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109894A KR100831777B1 (en) | 2006-11-08 | 2006-11-08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109894A KR100831777B1 (en) | 2006-11-08 | 2006-11-08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41812A KR20080041812A (en) | 2008-05-14 |
| KR100831777B1 true KR100831777B1 (en) | 2008-05-27 |
Family
ID=3964876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1098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1777B1 (en) | 2006-11-08 | 2006-11-08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3177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46687B1 (en) * | 2018-06-26 | 2020-08-21 | 동한테크(주) | 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95453U (en) * | 1992-04-23 | 1993-12-27 | 株式会社金星社 | Contaminant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 |
| KR20020060379A (en) * | 2001-01-10 | 2002-07-18 | 이충전 |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
| JP2003112082A (en) * | 2001-10-02 | 2003-04-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Cyclone dust collector |
| KR100407948B1 (en) * | 2001-04-10 | 2003-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yclone collector |
-
2006
- 2006-11-08 KR KR1020060109894A patent/KR10083177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95453U (en) * | 1992-04-23 | 1993-12-27 | 株式会社金星社 | Contaminant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 |
| KR20020060379A (en) * | 2001-01-10 | 2002-07-18 | 이충전 |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
| KR100407948B1 (en) * | 2001-04-10 | 2003-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yclone collector |
| JP2003112082A (en) * | 2001-10-02 | 2003-04-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Cyclone dust collect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41812A (en) | 2008-05-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709418B1 (en) | Vacuum cleaner | |
| KR100635668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0717441B1 (en) | Main body of vacuum cleaner | |
| KR100936065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0635667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0713285B1 (en) | Vacuum cleaner | |
| RU2314011C2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variants) | |
| KR102478855B1 (en) | Cleaner | |
| KR100713272B1 (en) | Vacuum cleaner | |
| KR100651295B1 (en) | Vacuum cleaner | |
| KR100831777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0782181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0782180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0693571B1 (en) | Vacuum cleaner | |
| KR100831776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0642360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1178371B1 (en) |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 |
| KR100831774B1 (en) | Vacuum cleaner | |
| KR100633617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0863858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0831778B1 (en) | Vacuum cleaner | |
| KR100633618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0638907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20070059299A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 KR20050119741A (en) |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5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517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