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377B1 - Height adjustment device of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ment device of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3377B1 KR100833377B1 KR1020060103795A KR20060103795A KR100833377B1 KR 100833377 B1 KR100833377 B1 KR 100833377B1 KR 1020060103795 A KR1020060103795 A KR 1020060103795A KR 20060103795 A KR20060103795 A KR 20060103795A KR 100833377 B1 KR100833377 B1 KR 1008333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frame
- elastic force
- coil spring
- frame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고, 내구성이 향상되고, 기기 간의 호환성이 향상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lifetime of a product is extended, durability is improved, and compatibility between devices is improved.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는 제 1 수직 프레임;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수직 프레임;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 및 제 2 수직 프레임 사이에 개입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 및 제 2 수직 프레임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의 고정 위치가 유지되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 부재;가 포함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vertical frame; A second vertical fram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the second vertical frame being form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in and drawn out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to provid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a fri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to provide a frictional force to maintain the fixed position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의 공용화가 가능해짐으로써, 제품 개발 비용이 감소되고 및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proposed,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be used in common, thereby reducing the product development cost and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영상표시기기, 높이 조절, 코일 스프링 Image display device, height adjustment, coil spr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도 2는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일정 높이로 신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에 외력이 가하여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ess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 110 : 제 1 수직 프레임100: height adjustment device of a video display device 110: first vertical frame
120 : 제 2 수직 프레임 130 : 마찰 부재120: second vertical frame 130: friction member
140 : 제 1 수평 프레임 150 : 제 2 수평 프레임140: first horizontal frame 150: second horizontal frame
160 : 롤러 170 : 힌지 결합부160: roller 170: hinge coupling part
180 : 베이스 결합부 190 : 탄성 부재180: base coupling portion 190: elastic member
200 : 와이어 210 : 탄성력 조절부200: wire 210: elastic force adjusting portion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고, 내구성이 향상되고, 기기 간의 호환성이 향상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음극선관(CRT)은 텔레비전을 비롯하여 계측기기, 정보 단말기 등의 모니터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음극선관은 자체 무게와 부피로 인하여 전자 제품의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Generally, cathode ray tubes (CRTs) are mainly used for monitors such as televisions, metering devices, and information terminals. However, cathode ray tubes have become a big obstacle to downsizing, thinning, and lightening of electronic products due to their weight and volume.
전자제품은 갈수록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음극선관을 대체하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EL(Electro-Luminescence)디스플레이장치, 플라즈마(Plasma) 디스플레이장치 등의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되어 현재 대중화되었다.In order to meet these demands, electronic products have been increasingly demanded for miniaturization, thinness, and light weight. In order to meet such demands, a flat panel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EL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popularized at present.
도 1은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일정 높이로 신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and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is extended to a certain height.
일반적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소정의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화면표시부와, 상기 화면표시부의 배면에 연결되어 그 화면표시부를 전후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피벗부와, 상기 피벗부에 연결되어 상기 화면표시부를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하는 스탠드부와, 상기 스탠드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로 구성된다.In general,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es a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video signal on a screen, a pivot unit connected to a back surface of the screen display unit and capable of rotating the screen display unit forward, backward and leftward, A stand portion for vertic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creen display portion, and a base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tand por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탠드부(1)는 피벗부의 하부를 고정하는 슬라이더 컬럼(2)과, 상기 슬라이더 컬럼(2)을 수납되게 안내하는 베이스 컬럼(3)으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컬럼(3)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높이에서 영상표시기기의 화면표시부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더 컬럼(2)의 하단과 접하는 일정 탄성력의 판 스프링(4)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그 판 스프링은 일정크기의 보조플레이트(5)를 통해 상기 베이스 컬럼(3)의 내측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1 and 2, the
그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의 화면표시부를 상방향으로 올리거나 하방향으로 내릴 때, 그 화면표시부의 하중이 슬라이더 컬럼(2)의 하단과 접촉되는 베이스 컬럼(3)의 내측 판 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영상표시기기, 즉 화면표시부의 높이가 일단 설정되어지면 화면표시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그 높이에서 위 로 튀어 오르거나 아래로 처지게 되는 현상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screen display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lifted upward or downward, the load of the screen display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한편, 상기 베이스 컬럼(3)의 외측에는 영상표시기기를 취급 또는 운반시 상기 슬라이더 컬럼(2)이 의도하지 않게 상하방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잠금부(6)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 컬럼(2)의 외주변에는 그 슬라이더 컬럼이 상기 베이스 컬럼(3) 내에서 상하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호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두 개의 플라스틱커버(21,22)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side of the
다른 한편, 상기 슬라이더 컬럼(2)의 외측 하부에는 화면표시부의 최대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측 플라스틱커버(22)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부 스토퍼(7)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슬라이더 컬럼(2)의 상부 스토퍼(7)는 화면표시부와 함께 상승되다가 상기 베이스 컬럼(3)측 잠금부(6)의 하부 모서리에 걸리게 되며, 이 지점은 영상표시기기의 최대높이가 된다. On the other hand, an upper stopper (7) protruding through the rear side plastic cover (22) is provided at a lower outer side of the slider column (2) so as to set a maximum height of the screen display part, The
또한, 상기 베이스 컬럼(3)의 내측 하부에는 화면표시부의 최소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2개소의 하부 스토퍼(8)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슬라이더 컬럼(2)의 하단부는 화면표시부의 하강시 상기 베이스 컬럼(3)의 하부 스토퍼(8)에 걸리게 되며, 이 지점은 영상표시기기의 최소높이가 된다. In addition, two
한편, 상기 베이스 컬럼(3)의 외측에는 두 개의 플라스틱커버(31,32)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두 플라스틱커버중 한쪽에는 영상표시기기용 신호케이블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케이블보호커버(33)가 더 끼워져 있다. On the other hand, two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는 하기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However,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image display devic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기기가 갈수록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됨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 또한 소형화, 박형화 되어가며, 따라서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에 사용되는 판 스프링의 두께도 얇아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판 스프링은 그 내구성에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높이 조절 장치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내구성(예를 들면, 상하왕복 2000회 이상)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is becoming smaller, thinner, and lighter,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also downsized and thinned.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leaf spring used in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image display device is thin Loses.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leaf spring has a limit in its durability,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durability (for example, up to 2,000 reciprocations or more) required basically in the height adjusting apparatus as the thickness of the leaf spring is thinner .
둘째, 상기와 같이 판 스프링은 높이 조절 장치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내구성을 만족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고,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의 판 스프링이 요구되기 때문에, 모델별로 별도의 높이 조절 장치 제작되어야 하므로 부품의 공용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Secondly, since the plate spring is not easy to satisfy the durability required basically in the height adjusting device, the plate spring of different size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 weight of the display par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arts can not be shared.
셋째, 상기와 같이 높이 조절 장치의 공용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제품 신규 개발 시마다 높이 조절 장치가 새로 제작되어야 하고 따라서, 모델 변경 시마다 설계 및 테스트 비용과 시간이 추가로 소요된다.Third, since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is not used in common,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must be newly manufactured for each new product development. Therefore, the cost and time for designing and testing each additional model change are required.
넷째, 상기와 같은 판 스프링의 경우, 장시간 방치시 피로 누적에 의하여 탄성력의 급격한 강하가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제품의 고장율이 높아지고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Fourth,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plate spring, a sudden drop of the elastic force may occur due to accumulation of fatigue during a long time of leaving, thus increasing the failure rate of the product and increasing the maintenance / repair cost.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코일 스 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수명이 연장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urability and prolonged life span of a product by using coil springs.
또한, 종래의 판 스프링에 비하여 내구성이 월등히 우수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크기 및 중량과 무관한 높이 조절 장치가 구현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모델에 공용화가 가능한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by using a coil spring which is superior in durability compared to a conventional leaf spring, a height adjusting device irrespective of the size and weight of the display portion can be realized, and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video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models is provided .
또한,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을 위한 탄성력 조절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모델에 적용 가능한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applicable to various models by providing an elasticity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an elastic force of a coil spring.
또한, 상기와 같은 공용화를 통하여 제품 개발 시마다 별도의 높이 조절 장치를 위한 설계 및 테스트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설계 및 테스트 비용과 시간이 감소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video display device, which does not require designing and testing for a separate height adjusting device every time a product is develop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mon use, .
또한, POM 등의 마찰 부재가 사용됨으로써,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video display device which is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and reduces manufacturing cost by using a friction member such as POM.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수직 프레임;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수직 프레임;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 및 제 2 수직 프레임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이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으로 인입 시에 신장되어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 및 제 2 수직 프레임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의 고정 위치가 유지되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 부재;가 포함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vertical fram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vertical fram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the second vertical frame being form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in and drawn out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vertical frame is elongated and contracted when the second vertical frame is drawn into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a fri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to provide a frictional force to maintain the fixed position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 측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제 1 수직 프레임;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측부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되는 제 2 수직 프레임;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과 제 2 수직 프레임의 함몰부 사이에 삽입되는 마찰 부재;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 및 제 2 수직 프레임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 외측에 제 1 수직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제 1 수평 프레임;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 내측에 제 2 수직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과 함께 상하 이동되는 제 2 수평 프레임;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이 제공하는 탄성력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롤러; 및 상기 코일 스프링 및 제 2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이 제공하는 탄성력을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에 전달하는 제 1 와이어;가 포함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video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vertical fram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depression at one side; A second vertical frame formed with depressions on a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drawn in and drawn out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A friction member inserted between the depressions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A coil spring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A first horizontal frame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vertical frame; A second horizontal frame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econd vertical frame; A roller coupled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coil spring; And a first wire coupled to the coil spring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to transmit an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coil spring to the second horizontal frame.
한편,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소정의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결합되고, 탄성 부재 및 마찰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 부재 및 마찰 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상하 이동이 수행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 장치; 상기 탄성부재가 제공되는 탄성력을 크기를 조절하는 탄성력 조절부; 및 상기 높이 조절 장치 및 높이 조절 장치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베이스부;가 포함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signal; A height adjusting device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including an elastic member and a friction member so that the display unit is moved up and down by the interaction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friction member and the display unit is kept stationary; An elastic forc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a base portion for supporting the display portion coupled to the height adjusting device and the height adjusting device.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의 공용화가 가능해짐으로써, 제품 개발 비용이 감소되고 및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proposed,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be used in common, thereby reducing the product development cost and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용이 부가, 삭제, 추가 및 변형에 의해서 쉽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소정의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3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배면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3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 조절 장치(100)와,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 및 높이 조절 장치(10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30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3,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서는 소정의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본 발명의 높이 조절 장치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 이 장치에 적용 가능함은 본 발명의 사상에 비추어 볼 때 당연하다 할 것이다.In detail, the
상세히,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영상표시기기는 사용 위치, 사용자의 특성, 사용 환경 등에 따라 그 높낮이가 조절되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는 그 길이가 신장 가능하며, 그 고정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30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In detail,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100)는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의 뼈대를 이루어 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높이 조절 시 높이 조절의 중심축 역할을 수행하는 제 1 수직 프레임(110)과,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수직 프레임(120)과,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 및 제 2 수직 프레임(120)의 사이에 개입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190)와,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 및 제 2 수직 프레임(120)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을 상쇄시키 는 방향의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 부재(1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4 and 5, the
또한,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의 외측에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제 1 수평 프레임(140)과,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의 내측에 제 2 수직 프레임(120)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과 함께 상하 운동하는 제 2 수평 프레임(150)과,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14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롤러(160)와, 상기 탄성 부재(190) 및 제 2 수평 프레임(150)과 결합되어 상기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을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150)에 전달하는 제 1 와이어(2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A first
또한,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결합부(170)와,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400)가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베이스 결합부(1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베이스 결합부(18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탄성력 조절부(210)와, 상기 탄성 부재(190) 및 탄성력 조절부(210)와 결합되어 상기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을 상기 탄성력 조절부(210)에 전달하는 제 2 와이어(205)가 더 포함될 수 있다.An elastic
상세히,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장치(100)의 높이 조절 기능이 수행되는 데 있어, 높이 조절의 중심축을 이룬다. 즉,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은 영상표시기기를 지지하는 베이스부(40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In detail, the first
한편,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은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은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을 하도록 형성된다.Meanwhile, the second
여기서,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은 전체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이 별도로 제작되어 베이스 결합부(180)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도 전체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이 별도로 제작되어 힌지 결합부(170)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한편,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 및 제 2 수직 프레임(120)은 각각 막대 형상의 프레임(110)(120)의 중심부가 주변부에 비해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로 접촉하는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 및 제 2 수직 프레임(120)은 길이 방향의 중심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과 제 2 수직 프레임(120)이 결합되었을 때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110)(120)의 함몰부 사이에는 마찰 부재(130)가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마찰 부재(130)는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와 제 2 수직 프레임(120)의 함몰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공부에 삽입됨으로써, 제 1 수직 프레임(110)에 대하여 상하 운동하는 제 2 수직 프레임(120)에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마찰 부재(130)는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의 정지 위치가 고정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A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 부재(130)는 POM(Poly Oxy Methyle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POM은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세탈, 아세탈수지라고도 불리며, 내피로성, 강인성, 내마모성 등 다른 재료에서는 볼 수 없는 우수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속한다. 따라서, 기계적인 성질이 좋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각종 플라스틱 기어/베어링류, 화스너류, 전자제품의 구동부품, 가방의 버클의 소재로 많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부품의 형상이 간단해지고,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Preferably, the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 부재(130)는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과 제 2 수직 프레임(120)의 함몰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보다 일정 정도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과 제 2 수직 프레임(120)에 억지 끼워 맞춤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 및 제 2 수직 프레임(120)에 일정 정도 이상의 마찰력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의 정지 위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한편, 상기 탄성 부재(190)는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 및 제 2 수직 프레임(120)의 사이에 개입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높 이 조절 장치의 경우, 탄성 부재로서 판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영상표시기기가 소형화, 박형화 되어감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 장치에 사용되는 판 스프링의 두께 또한 얇아지게 되고, 따라서 판 스프링이 제공할 수 있는 탄성력이 감소하여 높이 조절 장치에서 요구되는 강도 내지는 내구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Meanwhile,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90)로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Therefore, i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height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il spring is used as the
상세히, 상기 코일 스프링은 가느다란 봉재(棒材)를 식물의 덩굴처럼 감아 만든 스프링으로서, 승용차의 서스펜션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스프링이다. 스프링의 강도는 주로 두께로 정해지며 굵을수록 딱딱해지고, 감는 회수가 많을수록 부드러워지며, 코일의 지름이 클수록 부드러워진다. 스프링의 굵기를 차츰 변화시키거나 코일의 지름을 다르게 하여 하중이나 노면의 충격 정도에 따라 스프링의 강도가 달라지는 유형도 있는데, 이를 비선형스프링 또는 프로그레시브 스프링이라 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의 종류에는 원뿔 코일 스프링, 드럼형 코일 스프링, 배럴형 코일 스프링 등이 있다.Specifically, the coil spring is a spring formed by wrapping a thin bar material like a vine of a plant, and is a spring most commonly used as a suspension of a passenger car. The strength of the spring is mainly determined by the thickness. The thicker the coil, the harder it becomes, and the more coiled, the smoother the larger the diameter of the coil becomes. There is a type in which the strength of the spring va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mpact of the load or the road surface by gradually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spring or changing the diameter of the coil. This is called a nonlinear spring or a progressive spring. Types of the coil spring include a cone coil spring, a drum coil spring, and a barrel coil spring.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제품에 일괄적으로 적용 가능할 정도의 강한 탄성력이 제공되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됨으로써, 높이 조절 장치의 공용화가 이루어지고 따라서 제품 개발 시의 노력 및 비용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By using the coil spring, which is provided with a strong elastic force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display products of various sizes collectively, it is possible to use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n common, thereby reducing effort and cost in product development There are advantages.
한편, 제 1 수평 프레임(140)은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의 외측에서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140)은 대략 속이 비고 상하가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140)은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의 외측에 결합되어 높이 조절 장치(1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140) 내부에는,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축(165)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롤러(160)가 상기 회전축(165)에 관통 삽입된다. A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140)은 제 1 수직 프레임(11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165) 및 롤러(160)는 제 1 수평 프레임(140)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140), 회전축(165) 및 롤러(160)는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의 상하 운동과 관계없이 그 형성 위치가 고정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한편, 제 2 수평 프레임(150)은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의 내측에서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150)은 대략 속이 비고 상하가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150)은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의 내측에 결합되어 높이 조절 장치(1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150)은 제 2 수직 프레임(120)과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이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과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Meanwhile, the second
여기서,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15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165)이 통과할 수 있는 홈(15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150)의 상하 이동 시,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140)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165)에 의하여 제 2 수평 프레임(150)의 상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수평 프레임(150)에는 홈(15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150)의 상하 이동은 상기 회전축(165)에 의하여 제한되지 아니한다.In the second
한편,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150)과 탄성 부재(190)는 제 1 와이어(2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190)에서 연장된 제 1 와이어(200)는 상기 롤러(160)의 주위를 회전하여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150) 내부 일 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와이어(200) 및 롤러(160)에 의하여 상기 탄성 부재(190)에 의하여 제공되는 탄성력의 방향이 전환된다.Meanwhile, the second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90)가 항상 압축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할 경우(즉, 압축 스프링일 경우), 상기 탄성 부재(190)에 결합된 쪽의 제 1 와이어(200)는 도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당겨지는 방향의 힘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와이어(200)의 타측, 즉 제 2 수평 프레임(150)과 연결된 쪽의 제 1 와이어(200)는 도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당겨지는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한편, 상기 베이스 결합부(180)의 일 측에는 상기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탄성력 조절부(210)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결합부(18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볼트(211)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211)의 나사산에는 탄성력 조절 플레이트(212)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력 조절 플레이트(212)의 양 단은 절곡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탄성 부재(190)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2 와이어(205)가 결합된다. On one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볼트(21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탄성력 조절 플레이트(212)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탄성력 조절 플레이트(212)의 높낮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제 2 와이어(205) 및 이와 연결된 탄성 부재(190)의 인장력(Tension)이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탄성 부재(190)의 탄성력이 탄성력 조절부(210)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조절 가능해 짐으로써, 높이 조절 장치의 공용화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The height of the elastic
상기되는 구조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내지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최대한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에 외력이 가하여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최대한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ximally stretched,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compress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최대한 신장된 상태는 제 2 수직 프레임(120) 및 이와 결합된 제 2 수평 프레임(150)이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으로부터 최대한 인출된 상태이다. Referring to FIG. 6,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extended, the second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최대한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에 작용하는 힘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자중에 의한 중력(W)이 지면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과 마찰 부재(130) 사이에는 마찰력(P1)이 작용한다. 여기서, 마찰력(P1)은 항상 주어지는 힘과 동일한 크기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에 작용하는 마찰력(P1)은 상기 중력(W)과 동일한 크기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상기 중력(W)과 마찰력(P1)이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는 그 고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In a state where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maximally stretched, the distribution of the force acting on the second vertical frame is as follows. First, gravity W due to the weight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일정 정도 이상의 외력(F)이 주어질 경우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는 그 외력(F)이 주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Referring to FIG. 7, when an external force F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is given, the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자중에 의한 중력(W)이 지면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외력(F) 또한 지면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탄성 부재(190)의 길이가 신장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탄성 부재(190)는 압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P2)을 제공하고, 상기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P2)은 제 1 와이어(200)에 의해 제 2 수평 프레임(150) 및 이와 결합된 제 2 수직 프레임(120)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P2)은 롤러(160)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므로, 제 2 수직 프레임(120)에 작용하는 힘(P2)은 지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과 마찰 부재(130) 사이에는 마찰력(P3)이 작용한다. 여기서, 마찰력(P3)은 운동 방향 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에 작용하는 마찰력(P3)은 상기 외력(F)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In detail, gravity W due to the weight of the
결론적으로, 지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디스플레이부의 자중(W)과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F)의 합이고, 지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P2)과 제 2 수직 프레임(120) 및 마찰 부재(13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P3)의 합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F)이 (탄성력(P2) + 마찰력(P3) - 자중(W)) 보다 클 경우 상기 높이 조절 장치는 지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force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is the sum of the weight W of the display unit and the external force F applied by the user, and the force a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is the elastic force P2 provided by the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최대한 압축된 상태는 제 2 수직 프레임(120) 및 이와 결합된 제 2 수평 프레임(150)이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110)에 대하여 최대한 인입된 상태이다. Referring to FIG. 8, in the state where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compressed, the second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가 최대한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에 작용하는 힘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자중에 의한 중력(W)이 지면 방향으로 작용한다. The distribution of the force acting on the second vertical frame in the state where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compressed as much as possible is as follows. First, gravity W due to the weight of the
그리고, 탄성 부재(190)의 길이가 신장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탄성 부재(190)는 압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P4)을 제공하고, 상기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P4)은 제 1 와이어(200)에 의해 제 2 수평 프레임(150) 및 이와 결합된 제 2 수직 프레임(120)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190)가 제공하는 탄성력(P4)은 롤러(160)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므로, 제 2 수직 프레임(120)에 작 용하는 힘(P4)은 지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The
그리고,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과 마찰 부재(130) 사이에는 마찰력(P5)이 작용한다. 여기서, 마찰력(P5)은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상기 중력(W)과 탄성력(P4) 중 크기가 작은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중력(W)의 크기가 탄성력(P4)의 방향보다 클 경우, 상기 마찰력(P5)은 지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상기 중력(W)의 크기가 탄성력(P4)의 방향보다 작을 경우, 상기 마찰력(P5)은 지면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120)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중력(W), 탄성력(P4) 및 마찰력(P5)이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높이 조절 장치(100)는 그 고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A frictional force P5 acts between the secon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종래의 판 스프링에 비하여 탄성력 및 내구성이 월등히 우수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크기 및 중량과 무관한 높이 조절 장치가 구현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by using a coil spring which is superior in elasticity and durabilit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leaf spr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height adjusting device independent of the size and weight of the display portion can be realized.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에 의해서 영상표시기기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extends the service life.
또한, 종래의 판 스프링에 비하여 내구성이 월등히 우수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크기 및 중량과 무관한 높이 조절 장치가 구현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모델에 공용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Further, by using a coil spring which is superior in durability compared to a conventional leaf spring,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height adjusting device irrespective of the size and weight of the display portion, and thus it is possible to use the same in various models.
또한,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을 위한 탄성력 조절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모델에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elastic forc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is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models.
또한, 상기와 같은 공용화를 통하여 제품 개발 시마다 별도의 높이 조절 장치를 위한 설계 및 테스트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설계 및 테스트 비용과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mon use, there is no need for designing and testing for a separate height adjusting device every time a product is developed, thereby reducing the designing and testing cost and time.
또한, POM 등의 마찰 부재가 사용됨으로써,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using a friction member such as POM,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excellent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103795A KR100833377B1 (en) | 2006-10-25 | 2006-10-25 | Height adjustment device of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103795A KR100833377B1 (en) | 2006-10-25 | 2006-10-25 | Height adjustment device of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37141A KR20080037141A (en) | 2008-04-30 |
| KR100833377B1 true KR100833377B1 (en) | 2008-05-28 |
Family
ID=3957518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1037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3377B1 (en) | 2006-10-25 | 2006-10-25 | Height adjustment device of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3337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94033A (en) * | 2020-12-28 | 2022-07-05 | 주식회사 엠엠피 | Posture variable kiosk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8974469A (en) | 2022-08-22 | 2024-11-15 | 三星电子株式会社 | Monitor stan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monitor stand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35232B1 (en) | 2002-08-09 | 2004-06-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and structure for lcd monitor |
| KR20050092239A (en) * | 2004-03-15 | 2005-09-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and for display system |
| KR20060024855A (en) * | 2004-09-15 | 2006-03-20 |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 Lift device of stand for LCD monitor |
| KR20060133854A (en) * | 2005-06-21 | 2006-12-27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
-
2006
- 2006-10-25 KR KR1020060103795A patent/KR10083337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35232B1 (en) | 2002-08-09 | 2004-06-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and structure for lcd monitor |
| KR20050092239A (en) * | 2004-03-15 | 2005-09-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and for display system |
| KR20060024855A (en) * | 2004-09-15 | 2006-03-20 |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 Lift device of stand for LCD monitor |
| KR20060133854A (en) * | 2005-06-21 | 2006-12-27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94033A (en) * | 2020-12-28 | 2022-07-05 | 주식회사 엠엠피 | Posture variable kiosk device |
| KR102468400B1 (en) | 2020-12-28 | 2022-11-17 | 주식회사 엠엠피 | Posture variable kiosk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37141A (en) | 2008-04-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365585B2 (en) | Window regulator | |
| KR100553972B1 (en) | Lifting device of display | |
| US11136806B2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and various opened and closed bodies having the same | |
| US7764491B2 (en) | Support stand for flat-panel display monitor | |
| US11132019B1 (en) | Display apparatus | |
| US8267360B2 (en) | Height adjustable holding apparatus | |
| US20100006725A1 (en) |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 |
| JP4578548B2 (en) | Monitor position adjustment device | |
| KR101481289B1 (en) | Apparatus for operating avn monitor of vehicle | |
| KR100833377B1 (en) | Height adjustment device of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 |
| US7851741B2 (en) | Height adjustment device having a screw axially moveable relative to a rotary plate adapted in a projection apparatus and projec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 |
| US8916757B2 (en) | Lid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 |
| US8655226B2 (en)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 |
| JPWO2006035757A1 (en) | Hinge device and opening / closing mechanism using the hinge device | |
| CN102431479A (en) | Cup holder assembly having a pair of lids and a single release button | |
| US20050258334A1 (en) | Display apparatus | |
| KR20090030849A (en) | Display device | |
| CN101013605A (en) |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flat type monitor | |
| KR100767845B1 (en) |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 |
| KR20100021392A (en) | Holder for terminal using tilt type sliding hinge | |
| US7478784B2 (en) | Mechanism for enabling a single hand adjusting a viewing angle of flat display | |
| CN209960117U (en) | Vertical vibration damper | |
| EP2456177A1 (en) | Guide device for sliding unit of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 |
| US11788672B2 (en) | Display apparatus | |
| US11898689B2 (en) | Angle adjustment mechanism, desktop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angle adjustment mechanis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5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