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946B1 -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 Google Patents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3946B1 KR100833946B1 KR1020060130819A KR20060130819A KR100833946B1 KR 100833946 B1 KR100833946 B1 KR 100833946B1 KR 1020060130819 A KR1020060130819 A KR 1020060130819A KR 20060130819 A KR20060130819 A KR 20060130819A KR 100833946 B1 KR100833946 B1 KR 1008339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
- slider member
- sliding
- sliding structure
- par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인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고,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이 적은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제1 슬라이더 부재;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2 슬라이더 부재; 상기 각 가이드부에 배치되고, 자기극의 배열 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인 제1 자석부; 상기 각 가이드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각 수용부에 배치되고, 자기극의 배열 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자석부와는 상호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자석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부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이, 상기 제2 자석부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자석부와 상기 제2 자석부가 배치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sliding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table sliding operation and low friction during sliding oper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lider member having a pair of guide part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 A second slider member having a pair of receiving portions for receiving the guide portion to be slidable to the first slider member; A first magnet part disposed in each of the guide parts and having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ic poles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A pair of arranging parts arranged in the receiving part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guide part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gnetic poles are arranged perpendicularly to the sliding direction, and the pair of the first magnet parts arranged to act on each other; A virtual vertical line including second magnet portions and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ic poles whi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first magnet portion,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 pole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econd magnet portion; Disclosed is a sliding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first magnet part and the second magnet part are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a virtual vertical line.
Description
도 1a는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휴대전화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having a sliding structure.
도 1b는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 투시 측면도이다.1B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liding structure.
도 1c는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C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sliding structure.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다.3 is a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들의 상호 배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tual arrangement of the first magnet part and the second magnet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는 제2 슬라이더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second slider member is in the initial position.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도 7은 제2 슬라이더 부재가 중간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second slider member is in an intermediate position.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다.FIG. 8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7.
도 9는 제2 슬라이더 부재가 최종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second slider member is in the final position.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다. FIG. 10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9.
도 11은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 이다.1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12는 도 11의 XⅡ-XⅡ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다.12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XII of FIG. 11.
도 13은 도 11의 XⅢ-XⅢ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of FIG. 11.
도 14는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들의 상호 배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utual arrangement of the first magnet part and the second magnet parts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15는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1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16은 도 15의 XⅥ-XⅥ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다.FIG. 16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of FIG. 15.
도 17은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의 상호 배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tual arrangement of the first magnet part and the second magnet part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200, 300 : 슬라이딩 구조체 110, 210, 310 : 제1 슬라이더 부재100, 200, 300:
111, 211, 311 : 지지부 112, 212, 312 : 가이드부111, 211, 311: Support
113 : 보조수용부 120, 220, 320 : 제2 슬라이더 부재113:
121, 221, 321 : 기저부 122, 222, 322 : 수용부121, 221, 321:
130, 230, 330 : 제1 자석부130, 230, 330: the first magnet portion
141, 142, 241, 242, 341, 342 : 제2 자석부141, 142, 241, 242, 341, 342: second magnet part
251, 252, 351, 352 : 강자성체 부재251, 252, 351, 352: ferromagnetic material member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정적인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고,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이 적은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ing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table sliding operation and low friction during sliding operation.
최근 들어, 간편한 조작성과 높은 디자인 선호성 등의 이유로, 휴대전화,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슬라이딩 구조가 많이 도입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sliding structures have been introduced in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camer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and the like due to their ease of operation and high design preference.
도 1a는 종래의 휴대전화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휴대전화의 개략적인 부분 투시 측면도이다.Fig. 1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and Fig. 1B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side view of the conventional cellular phone shown in Fig. 1A.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의 휴대전화(10)는 표시부(2)가 형성되어 있는 수화부(20)와, 번호키 등의 조작부(3)가 형성되어 있는 송화부(3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한 종래의 휴대전화(10)는 통화나 메시지 등의 송수신을 위해 수화부(20)를 밀어 올려 사용하는데, 사용시 슬라이딩 작용을 위해 슬라이딩 구조체(40)를 구비하고 있었다. As shown in Figs. 1A and 1B, a conventional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37649호에 개시된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40)는, 제1 슬라이더 부재(41)와, 제1 슬라이더 부재(41)에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2 슬라이더 부재(42)를 구비하고 있었다.As shown in FIG. 1B, the conventional
여기서, 제1 슬라이더 부재(41)는 제1 자력발생수단(43)을 구비하고 있으며,제2 슬라이더 부재(42)는 한 쌍의 제2 자력발생수단(44a)(44b)을 구비함으로써, 자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작동을 보조하고 있었다. Here, the
상기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40)는, 슬라이딩 작동시 종종 제1 슬라이더 부재(41)와 제2 슬라이더 부재(42)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슬라이딩 작동이 어렵게 되어 조작감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슬라이딩 작동 중에, 제1 자력발생수단(43)과 제2 자력발생수단(44a)(44b)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마찰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조작력이 많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슬라이딩 작용이 더욱 어려워지고, 조작감이 더욱 나빠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conventional
한편, 도 1c에는, 종래의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구조체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c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89584호에 개시된 슬라이딩 구조체(50)가 도시되어 있는데, 슬라이딩 구조체(50)는, 제1 슬라이더 부재(51)와, 제1 슬라이더 부재(51)에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2 슬라이더 부재(52)를 구비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 1C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sliding structure used i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That is, in FIG. 1C, the
여기서, 제1 슬라이더 부재(51)는 말굽 자석 형상의 제1 자기부재(53)를 구비하고, 제2 슬라이더 부재(52)도 말굽 자석 형상의 제2 자기부재(54)를 구비하며, 제1 자기부재(53)와 제2 자기부재(54)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됨으로써, 슬라이딩 작동을 돕고 있다. Here, the
그러한 슬라이딩 구조체(50)는, 슬라이딩 작동 중에, 제1 자기부재(53)의 N극과 제2 자기부재(54)의 N극 사이와, 제1 자기부재(53)의 S극과 제2 자기부재(54)의 S극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나, 그와 동시에, 제1 자기부재(53)의 S극과 제2 자기부재(54)의 N극 사이에는 인력도 작용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슬라이딩 과정 중에 작용하는 인력의 존재로 인하여 조작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슬라이딩 이 매끄럽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또한, 그러한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50)는, 두 개의 말굽 자석 형상의 제1 자기부재(53) 및 제2 자기부재(54)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됨으로써, 배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전체 슬라이딩 구조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제1 자기부재(53) 및 제2 자기부재(54)의 부분 중 직접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지 않는 굴곡 부분에서는, 상호간의 척력이 저하됨으로써, 슬라이딩 작용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또한, 그러한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50)는, 상기 제1 자기부재(53) 및 제2 자기부재(54) 각각의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었다. 이 경우, 상기 척력이 발생하는 구간에서 자력의 세기가 정확히 균형을 이루지 않거나 또는 자기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의 균형을 깨뜨리는 외부 요인(예를 들면, 강자성체의 접근 등)이 발생할 경우, 슬라이딩 구조체(50)의 진행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척력 작용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슬라이딩 구조체(50)의 진행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의 척력 작용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불균형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구조체(50)가 진행 방향으로부터 이탈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구조체(50)의 진행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측부 가이드 수단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구조체(50)와 측부 가이드 수단이 반복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측면 가이드부가 마모되고 나아가서는 가이드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Further, such a conventional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안정적인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고,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이 적은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which is capable of stable sliding operation and has low friction during sliding operation.
또한, 각 자성체의 수직 방향 중심선이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좌우 방향의 척력이 항상 일정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측부 가이드 수단이 불필요해지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vertical center lines of the magnetic bodie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repulsive for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ways act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또한, 상기와 같이 별도의 측부 가이드 수단이 불필요해짐으로써 측부 가이드 수단의 마모 및 파손이 방지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side guide means becomes unnecessary as described above, thereby preventing wear and damage of the side guide means.
본 발명은,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제1 슬라이더 부재;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2 슬라이더 부재; 상기 각 가이드부에 배치되고, 자기극의 배열 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인 제1 자석부; 상기 각 가이드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각 수용부에 배치되고, 자기극의 배열 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자석부와는 상호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자석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부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이, 상기 제2 자석부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자석부와 상기 제2 자석부가 배치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lider member having a pair of guide portion; A second slider member having a pair of receiving portions for receiving the guide portion to be slidable to the first slider member; A first magnet part disposed in each of the guide parts and having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ic poles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A pair of arranging parts arranged in the receiving part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guide part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gnetic poles are arranged perpendicularly to the sliding direction, and the pair of the first magnet parts arranged to act on each other; A virtual vertical line including second magnet portions and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ic poles whi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first magnet portion,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 pole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econd magnet portion; Disclosed is a sliding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first magnet part and the second magnet part are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a virtual vertical line.
여기서, 상기 제1 자석부들과 상기 제2 자석부들의 배치는, 상기 슬라이딩 구조체의 폭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magnet parts and the second magnet parts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width of the sliding structure.
여기서,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슬라이딩 구조체의 폭 방향의 어느 일 측으로의 소정 간격일 수 있다. Here, 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a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any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iding structure.
여기서, 상기 제1 자석부와 상기 제2 자석부의 폭이 상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석부와 상기 제2 자석부의 일 측면이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소정의 가상 수직선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width of the first magnet portion and the second magnet portion is formed to be different, one side of the first magnet portion and the second magnet portion in a line along a predetermined virtual vertical lin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magnetic poles It can be formed to be aligned.
여기서, 상기 제1 자석부와 상기 제2 자석부의 폭이 동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석부와 상기 제2 자석부의 일 측면이 각각 별도의 가상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magnet part and the second magnet part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nd one side of the first magnet part and the second magnet part may be formed on separate virtual vertical lines.
여기서,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더 부재의 폭 방향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일 측의 가이드부에 배치된 제1 자석부와 상기 일 측의 수용부에 배치된 제2 자석부들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의 폭 방향의 성분과, 타 측의 가이드부에 배치된 제1 자석부와 상기 타 측의 수용부에 배치된 제2 자석부들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의 폭 방향의 성분이 서로 상쇄되는 위치에, 상기 제1 자석부 및 상기 제2 자석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between the first magnet portion disposed in the guide portion on one side and the second magnet portion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on the one side so that the flo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slider member and the second slider member is prevented. The compon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pulsive force acting and the compon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pulsive force acting between the first magnet portion disposed on the guide portion on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 magnet portions disposed on the receiv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cancel each other out. In the position, the first magnet portion and the second magnet portion may be formed.
여기서, 상기 제1 자석부 및 상기 제2 자석부의 자기극의 배열 방향은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ic poles of the first magnet portion and the second magnet portion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자석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체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ferromagnetic membe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guide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 par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들의 상호 배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3 is a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first magnet part and the second magnet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tual arrangement.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제1 슬라이더 부재(110), 제2 슬라이더 부재(120), 제1 자석부(130) 및 제2 자석부들(141)(142)을 포함한다.2 and 3, the sliding
제1 슬라이더 부재(110)는 비자성체인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데, 지지부(111), 가이드부(112) 및 보조수용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지지부(111)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상부의 양측부에는 가이드부(112)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지지부(111)의 하부의 양측부의 가장자리에는 보조수용부(113)가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보조수용부(113)는 가이드부(11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ㄴ』자의 형상을 가진다. 그러한 보조수용부(113)의 형상에 의해, 보조수용부(113)와 가이드부(112) 사이에는 제1 수용홈(114)이 위치하게 된다.At the edges of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11)에는 보조수용부(113)가 연장되어 형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에 보조수용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11), 가이드부(112) 및 보조수용부(113)의 형상 가공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다이캐스팅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고, 판상의 소재를 절곡하여 소성 변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hape processing method of the
한편, 제2 슬라이더 부재(120)는 비자성체인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저부(121) 및 수용부(122)를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슬라이더 부재(110) 및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슬라이더 부재 및 제2 슬라이더 부재의 소재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1 슬라이더 부재 및 제2 슬라이더 부재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제1 슬라이더 부재 및 제2 슬라이더 부재는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기저부(121)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양측부에는 수용부(122)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수용부(122)의 형상은 『ㄷ』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수용부(122)는 제1 수용부(122a), 제2 수용부(122b) 및 연결부(122c)로 구성되어 있다.The shape of the
제1 수용부(122a)와 제2 수용부(122b)는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부(122c)는 제1 수용부(122a) 및 제2 수용부(122b)를 연결한다. The first
제1 수용부(122a), 제2 수용부(122b) 및 연결부(122c)는 제2 수용홈(123)을 형성하는데,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조립시 제2 수용홈(123)에 가이드부(112)가 끼워짐으로써, 슬라이딩 작동시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first
수용부(122)의 부분 중 제2 수용부(122b) 및 연결부(122c)의 일부는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조립시 제1 수용홈(114)에 끼워짐으로써, 슬라이딩 작동시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 portion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기저부(121) 및 수용부(122)의 형상 가공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다이캐스팅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고, 판상의 소재를 절곡하여 소성 변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hape processing method of the
한편, 가이드부(112)의 표면, 수용부(122)의 안쪽 표면, 보조수용부(113)의 안쪽 표면 등 슬라이딩 작동시에 접촉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부분에는, 마찰을 추가적으로 줄이기 위해, 윤활 물질을 코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딩 작동시에 접촉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부분에 세라믹 물질을 코팅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of the
한편, 제1 자석부(130)는 가이드부(11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된다.Meanwhile, the
본 실시예의 제1 자석부(130)는 하나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제1 자석부는 영구자석 외에 전자석 등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The
본 실시예의 제1 자석부(130)는 가이드부(11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자석부는 가이드부의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제1 자석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12)의 부분 중 전체적인 슬라이딩 행정 거리의 중간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슬라이딩 작용을 돕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부(130)의 길이(L1)는 제2 자석부들(141)(142)의 길이(L2)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 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제1 자석부의 길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As shown in FIG. 4, the length L 1 of the
제1 자석부(130)는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극의 배열 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제1 자석부(130)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는, N극이 상부에 있고, S극이 하부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자석부(130)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는, N극이 상부에 있고, S극이 하부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자석부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는, S극이 상부에 있고, N극이 하부에 있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그 경우는, 대응하는 제2 자석부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를, 변경되는 제1 자석부의 자기극들의 배열 형태에 맞추어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rangement of the magnetic poles of the
한편, 제1 자석부(13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자력선 차폐제(134)가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본 실시예에 따른 자력선 차폐제(134)의 배치는 제1 자석부(130)의 상면과 하면에만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력선 차폐제는 추가로 제1 자석부(130)의 측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력선 차폐제는 제1 자석부에 직접 배치되지 않고, 제1 자석부들이 배치되는 가이드부의 일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그 경우에는 먼저 가이드부의 일부의 적절한 위치에 자력선 차폐제를 배치한 후, 가이드부에 제1 자석부를 배치하게 된다.The
자력선 차폐제(134)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져, 제1 자석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선을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AD-MU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Magnetic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력선 차폐제(134)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 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자력선 차폐제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한 쌍의 제2 자석부들(141)(142)은 수용부(12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된다.Meanwhile, the pair of
본 실시예의 제2 자석부들(141)(142)을 이루는 자석들은 모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제2 자석부들은 영구자석 외에 전자석 등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The magnets forming the
본 실시예의 제2 자석부들(141)(142)은 수용부(12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자석부들은 수용부의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즉, 제2 자석부들(141)(142)은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제2 수용부(122b)와 제1 수용부(122a)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제1 자석부(13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됨으로써, 제1 자석부(130)와 자기력의 상호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제2 자석부들(141)(142)은, 각각의 자기극의 배열 방향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자기극의 배열 형태가 모두 동일하도록 배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석부(141)(142)들은 각각 모두 상부쪽이 S극이며, 하부쪽이 N극이 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The
상기와 같은 제2 자석부(141)(142)들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는, 제1 자석부(130)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와 반대가 된다. 그 이유는, 제2 자석부들(141)(142)과 제1 자석부(130) 사이에는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슬라이딩 작용을 돕기 위한 것이다.The arrangement of the magnetic poles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작동의 전 과정을 통하여, 제2 자석부들(141)(142)의 상호간에 마주보는 면들을 연결하는 수직 가상선이, 제1 자석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가도록, 제1 자석부(130)와 제2 자석부(141)(142)들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한 구성을 가지게 되면, 제1 자석부(130)와 제2 자석부들(141)(142) 상호간에는 항상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자석부들(141)(142)을 구비한 제2 슬라이더 부재(120)는 제1 자석부(130)를 구비한 제1 슬라이더 부재(110)에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이 최소화된다. 이는, 척력에 의해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제1 슬라이더 부재(110)로부터 부상(浮上)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 경우 부상(浮上)의 정도는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와 관련이 있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적용되는 자석의 크기 및 성질에 관련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vertical virtual line connecting the mutually facing surfaces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작동의 전 과정을 통하여, 제2 자석부들(141)(142)의 상호간에 마주보는 면들을 연결하는 수직 가상선이, 제1 자석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가도록, 제1 자석부(130)와 제2 자석부(141)(142)들이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자석부들의 상호간에 마주보는 면들을 연결하는 수직 가상선이, 제1 자석부를 지나가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들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급적 줄임으로써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들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을 줄이기 위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vertical virtual line connecting the mutually facing surfaces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슬라이딩 구조체(100)에서는 상기 제1 자석부(130)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과 제2 자석부(141)(142)들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에서는 제1 자기부재 및 제2 자기부재 각각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슬라이딩 구조체의 진행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척력 작용이 발생하였고, 따라서 슬라이딩 구조체의 진행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측부 가이드 수단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딩 구조체(100)에서는 제1 자석부(130)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과 제2 자석부(141)(142)들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좌우 방향의 척력이 항상 일정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측부 가이드 수단이 불필요해지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sliding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11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는 상기 제1 자석부(130)는 상기 수용부(12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자석부들(141)(142)에 대하여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3에서 보았을 때, 좌측의 제1 자석부(130)는 제2 자석부들(141)(142)에 대하여 소정 간격 오른쪽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우측의 제1 자석부(130)는 제2 자석부들(141)(142)에 대하여 소정 간격 왼쪽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자석부(130)와 제2 자석부들(141)(142) 사이에 작용하는 좌우 방향의 척력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 자석부(130)는 제2 자석부들(141)(142)에 대하여 항상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중심 방향으로 척력을 받게 된다. In detai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와 같이 좌우 방향의 척력 작용의 불균형을 유도하여, 한 쌍을 이루는 3열 자성체(141)(130)(142)에서 상호 간 작용하는 힘이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제1 슬라이더 부재(11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별도의 측부 가이드 수단이 없어도 좌우로 이탈하지 않고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진행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서는, 측부 가이드 수단이 불필요해지고 그 마모 및 파손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고,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By inducing an imbalance of the repulsive force a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force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the pair of three-column
한편, 제2 자석부(141)의 하면과 제2 자석부(142)의 상면에는 각각 자력선 차폐제(143a)(143b)가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magnetic line shields 143a and 143b ar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자력선 차폐제(143a)(143b)의 재질 및 기능은 전술한 자력선 차폐제(134)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material and function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자력선 차폐제(143a)(143b)의 배치는 제2 자석부(141)의 하면과 제2 자석부(142)의 상면에만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력선 차폐제는 추가로 제2 자석부(141)의 상면과, 제2 자석부(142)의 하면에도 배치될 수 있고, 제2 자석부들(141)(142)의 측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력선 차폐제는 제2 자석부에 직접 배치되지 않고, 제2 자석부들이 수용되는 수용부의 일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그 경우에는 먼저 수용부의 일부의 적절한 위치에 자력선 차폐제를 배치한 후, 수용부에 제2 자석부를 배치하게 된다.The magnetic force line shields 143a and 143b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re disposed on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제1 슬라이더 부재(110) 및 제2 슬라이더 부재(120) 중 하나가 휴대전화, 카메라, PMP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 칩셋, 배터리 등의 전자부품이 집중되어 있는 메인 바디(main body)에 장착되고, 나머지 하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서브 바디(sub body)에 장착됨으로써, 슬라이딩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In the sliding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메인 바디를 직접 가공하여 직접 제1 슬라이더 부재(110)나 제2 슬라이더 부재(120)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서브 바디를 직접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데, 그 경우에는 설치에 필요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한 박형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구현할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main body may be directly processed to form one of the
이하, 상기와 같이 설명한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내부 구조를 참고로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100)가 작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도 5는 제2 슬라이더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며, 도 7은 제2 슬라이더 부재가 중간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며, 도 9는 제2 슬라이더 부재가 최종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second slider member is in an initial position, FIG. 6 is a diagram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5, and FIG. 7 is a diagram of a case in which the second slider member is in an intermediate position. 8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7,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second slider member is in the final position, and FIG. 10 is a VII-VII line of FIG. 9. This is a drawing cut along.
먼저, 도 5 및 도 6의 상태는,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초기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 슬라이더 부재(120)는 제1 슬라이더 부재(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First, the state of FIG. 5 and FIG. 6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ase where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석부들(141)(142)의 사이에는 제1 자석부(130)의 일부분이 위치하고 있다. 그 경우, 제2 자석부들(141)(142)과 제1 자석부(130)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에 의해, 제2 자석부들(141)(142)과 제1 자석부(130)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 a portion of the
그렇게 되면,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안정적으로 초기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제1 슬라이더 부재(110)로부터 어느 정도 부상함으로써, 추후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을 적게 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사용자가, 도 5 및 도 6의 상태에서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위로 밀어올리게 되면, 점차로 제2 자석부들(141)(142)의 사이에는 제1 자석부(130)의 전체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2 자석부들(141)(142)과 제1 자석부(130)간의 척력이 점차 크게 작용하게 된다.When the user pushes up the
이 경우, 만약,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밀어올리게 되더라도, 제2 자석부들(141)(142)과 제1 자석부(130)간의 척력이 작용하게 되어 제2 슬라이더 부재(120)의 급격한 이동이 방지됨으로써, 슬라이딩 구조체(100)에 작용하는 충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제1 슬라이더 부재(110)로부터 부상함으로써,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pushes up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자석부(130)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과 제2 자석부(141)(142)들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자석부(130)와 제2 자석부들(141)(142) 사이에 작용하는 좌우 방향의 척력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 슬라이더 부재(11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별도의 측부 가이드 수단이 없어도 좌우로 이탈하지 않고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진행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i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사용자가 계속하여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위로 밀어올리게 되면,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도 7 및 도 8의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If the user continues to push the
도 7은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중간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 자석부들(141)(142)의 사이에는 제1 자석부(130)의 대부분이 위치하게 되어, 제2 자석부들(141)(142)과 제1 자석부(130) 사이에는 척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사용자가 계속하여 도 7 및 도 8의 상태에서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되면, 제2 자석부들(141)(142)과 제1 자석부(130)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사용자는 적은 힘을 주거나 힘을 주지 않고도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밀어올릴 수 있게 된다. If the user continues to push up the
즉, 이 경우, 사용자는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밀어 올리는데 있어 특별 히 힘을 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슬라이딩 구조체(100)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제1 슬라이더 부재(110)로부터 부상함으로써,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is case, the user does not need to apply a special force to push up the
사용자가 계속하여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위로 밀어올리게 되면,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도 9 및 도 10의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If the user continues to push the
도 9의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상태는, 제2 자석부들(141)(142)과 제1 자석부(130)의 자기극의 배열 형태에 의해, 제1 자석부(130)와 제2 자석부들(141)(142)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In the state of the sliding
그렇게 되면,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2 슬라이더 부재(120)는 안정적으로 최종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2 슬라이더 부재(120)가 제1 슬라이더 부재(110)로부터 어느 정도 부상함으로써, 추후 사용자가 다시 아래쪽으로 슬라이딩을 할 경우, 마찰을 적게 할 수 있게 된다.If so,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위로 밀어 올리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도 9 및 도 10의 최종 위치에 위치한 제2 슬라이더 부재(120)를 아래로 밀어 내리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작동의 내용 중 방향만 바뀌어 그대로 적용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case of pushing up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 운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 다.As described above, the sliding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구조는, 메인 바디를 직접 가공하여 직접 제1 슬라이더 부재(110)나 제2 슬라이더 부재(120)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구조는 상기 서브 바디를 직접 가공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에 필요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박형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sliding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부상이 가능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작동시 마찰을 줄여 조작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에 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liding structure according to one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but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focused on matter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XⅡ-XⅡ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1의 XⅢ-XⅢ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며, 도 14는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들의 상호 배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12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XII of FIG. 11, and FIG. 13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of FIG. 11.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utual arrangement of the first magnet part and the second magnet par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200)는, 제1 슬라이더 부재(210), 제2 슬라이더 부재(220), 제1 자석부(230) 및 제2 자석부들(241)(242)을 포함한다.11 and 12, the sliding
제1 슬라이더 부재(210)는 비자성체인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데, 지지 부(211) 및 가이드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지지부(211)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양측부에는 가이드부(212)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가이드부(212)의 형상은 『ㄱ』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가이드부(212)와 지지부(211) 사이에는 제1 수용홈(213)이 위치하게 된다.The shape of the
한편, 제2 슬라이더 부재(220)도 비자성체인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데, 기저부(221) 및 수용부(222)를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슬라이더 부재(210) 및 제2 슬라이더 부재(220)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슬라이더 부재 및 제2 슬라이더 부재의 소재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기저부(221)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양측부에는 수용부(222)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수용부(222)의 형상은 『ㄷ』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수용부(222)는 제1 수용부(222a), 제2 수용부(222b) 및 연결부(222c)로 구성되어 있다.The shape of the
제1 수용부(222a)와 제2 수용부(222b)는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부(222c)는 제1 수용부(222a) 및 제2 수용부(222b)를 연결하며, 기저부(221)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제1 수용부(222a), 제2 수용부(222b) 및 연결부(222c)는 제2 수용홈(223)을 형성하는데, 슬라이딩 구조체(200)의 조립시 제2 수용홈(223)에는 가이드부(212)가 끼워짐으로써, 슬라이딩 작동시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first
수용부(222)의 부분 중 제2 수용부(222b)는 슬라이딩 구조체(200)의 조립시 제1 수용홈(213)에 끼워짐으로써, 슬라이딩 작동시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한편, 제1 자석부(230)는 가이드부(21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며, 제2 자석부들(241)(242)은 각각 제2 수용부(222b)와 제1 수용부(222a)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된다.Meanwhile, the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제1 자석부(230)는, 본 실시예의 제1 자석부(130)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르는 제1 자석부(230)는 전술한 제1 자석부(130)의 형상, 자기극들의 배열 방향 및 배열 형태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The
한편, 도 11,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강자성체 부재(251)(252)들이 가이드부(212)에 배치되는데, 한 쌍의 강자성체 부재(251)(252)들 사이에는 제1 자석부(230)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1, 13, and 14, a pair of
강자성체 부재(251)(252)들은 철과 같은 강자성의 성질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되,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각각 제1 자석부(23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The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강자성체 부재(251)(252)의 개수는 한 쌍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강자성체 부재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제1 자석부의 일측 방향으로 단일의 강자성체 부재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자석부의 일측 방향 또는 양측 방향으로 3개 이상의 강자성체 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number of
강자성체 부재(251)(252)들은 모두 동일한 길이(L5)를 가지고 있으며, 제1 자석부(230)의 길이(L3)보다 짧도록 구성된다.The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강자성체 부재(251)(252)들의 길이(L5)는 제1 자석부(230)의 길이(L3)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강자성체 부재의 길이는 제1 자석부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L 5 of the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강자성체 부재(251)(252)들은 안정적인 슬라이딩 작용을 돕기 위한 것이다. 즉, 제2 자석부들(241)(242)과 강자성체 부재(251)(252)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슬라이딩 작용이 구현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작용은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제2 자석부들(241)(242)은, 본 실시예의 제2 자석부들(141)(142)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르는 제2 자석부들(241)(242)은, 전술한 제2 자석부들(141)(142)의 형상, 자기극들의 배열 방향 및 배열 형태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2 자석부들(241)(242)이 길이(L4)는 제1 자석부(230)의 길이(L3)와 동일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제2 자석부의 길이는 제1 자석부의 길이보다 길거나 짧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length L 4 of the
한편,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200)에서는 상기 제1 자석부(230)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과 제2 자석부(241)(242)들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좌우 방향의 척력이 항상 일정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측부 가이드 수단이 불필요해지도록 하였다.Meanwhile, in the sliding
상세히,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21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는 상기 제1 자석부(230)는 상기 수용부(22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자석부들(241)(242)에 대하여 슬라이딩 구조체(200)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12에서 보았을 때, 좌측의 제1 자석부(230)는 제2 자석부들(241)(242)에 대하여 소정 간격 왼쪽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우측의 제1 자석부(230)는 제2 자석부들(241)(242)에 대하여 소정 간격 오른쪽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자석부(230)와 제2 자석부들(241)(242) 사이에 작용하는 좌우 방향의 척력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 자석부(230)는 제2 자석부들(241)(242)에 대하여 항상 슬라이딩 구조체(200)의 외측 방향으로 척력을 받게 된다. In detail, according to on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와 같이 좌우 방향의 척력 작용의 불균형을 유도하여, 한 쌍을 이루는 3열 자성체(241)(230)(242)에서 상호 간 작용하는 힘이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제1 슬라이더 부재(21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제2 슬라이더 부재(220)가 별도의 측부 가이드 수단이 없어도 좌우로 이탈하지 않고 슬라이딩 구조체(200)의 진행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서는, 측부 가이드 수단이 불필요해지고 그 마모 및 파손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고,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By inducing an imbalance of the repulsive force a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force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the pair of three-row
한편, 제1 자석부(23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자력선 차폐제(234)가 배치되고, 제2 자석부(241)의 하면과 제2 자석부(242)의 상면에는 각각 자력선 차폐제(243a)(243b)가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자력선 차폐제(234) 및 자력선 차폐제(243a)(243b)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져, 제1 자석부(230) 및 제2 자석부들(241)(242)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선을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AD-MU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제1 슬라이더 부재(210) 및 제2 슬라이더 부재(220) 중 하나는 휴대전화, 카메라, PMP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 칩셋, 배터리 등의 전자부품이 집중되어 있는 메인 바디에 장착되고, 나머지 하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서브 바디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작용을 하게 된다.One of the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메인 바디를 직접 가공하여 직접 제1 슬라이더 부재(210)나 제2 슬라이더 부재(220)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서브 바디를 직접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데, 그 경우에는 설치에 필요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한 박형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구현할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main body may be directly processed to form on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200)의 슬라이딩 작동 과정은, 전술한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작동 과정과 대동소이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operation process of the sliding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르면, 강자성체 부재(251)(25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2 슬라이더 부재(220)의 슬라이딩 위치 중 제2 자석부들(241)(242) 사이에 강자성체 부재(251)(252)가 위치하는 초기 위치 및 최종 위치에서는, 제2 자석부들(241)(242)과 강자성체 부재(251)(252)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제2 슬라이더 부재(220)가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according to one modification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또한, 제2 슬라이더 부재(220)의 슬라이딩 과정 중에서도, 제2 자석부들(241)(242)과 강자성체 부재(251)(252)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제2 슬라이더 부재(220)의 슬라이딩 작동을 더욱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제2 슬라이더 부재(220)를 중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밀어 올리는 경우에는, 제2 자석부들(241)(242)과 제1 자석부(230) 사이에 척력이 작용할 뿐만 아니라, 제2 자석부들(241)(242)과 강자성체 부재(252)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적은 힘을 주거나 힘을 주지 않고도, 제2 슬라이더부재(220)를 밀어올릴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during the sliding process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200)는,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 구조체(100)가 구비하는 보조수용부(113)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그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As mentioned above, since the sli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200)는, 강자성체 부재(251)(25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2 자석부들(241)(242)과 강자성체 부재(251)(252)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슬라이딩 작동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liding
이상과 같이 살펴본 구성, 작용 및 효과 이외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의 구성, 작용 및 효과와 동일하므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li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li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description it will be omitted.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에 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li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7, but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focused on matter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XⅥ-XⅥ선을 따라 자른 도면이고, 도 17은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의 상호 배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1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16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of FIG. 15, and FIG. 17 is a first magnet par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utual arrangement of the second magnet parts.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300)에서는 상기 제1 자석부(330)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과 제2 자석부(341)(342)들의 폭의 중심을 지나면서 자기극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선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좌우 방향의 척력이 항상 일정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측부 가이드 수단이 불필요해지도록 하였다.As shown in FIGS. 15 to 17, the sliding
상세히,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31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치되는 상기 제1 자석부(330)와 상기 수용부(322)의 내부에 매립되어 배 치되는 한 쌍의 제2 자석부들(341)(342)은 서로 길이가 다르도록 형성되고,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측으로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서로 길이가 다른 제1 자석부(330)와 제2 자석부(341)(342)의 일측면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정렬시킴으로써, 제1 자석부(330)의 수직 방향 중심선과 제2 자석부(341)(342)들의 수직 방향 중심선이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 자석부(330)와 제2 자석부(341)(342) 사이에 작용하는 좌우 방향의 척력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한다.In detail,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agents embedded and disposed in the
상기와 같이 좌우 방향의 척력 작용의 불균형을 유도하여, 한 쌍을 이루는 3열 자성체(341)(330)(342)에서 상호 간 작용하는 힘이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제1 슬라이더 부재(31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제2 슬라이더 부재(320)가 별도의 측부 가이드 수단이 없어도 좌우로 이탈하지 않고 슬라이딩 구조체(300)의 진행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서는, 측부 가이드 수단이 불필요해지고 그 마모 및 파손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고,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By inducing an imbalance of the repulsive force a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force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the paired three-row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는, 박형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슬라이딩 작동시 상호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조작력을 줄임으로써 조작감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li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alizing a th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lso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tion feeling by reducing the friction between each other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또한, 각 자성체의 수직 방향 중심선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좌우 방향의 척력이 항상 일정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측부 가이드 수단 이 불필요해지고, 따라서 측부 가이드 수단의 마모 및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ertical center lines of the magnetic bodie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repulsive for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ways act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separate side guide means is unnecessary, and thus, wear and breakage of the side guide means is prevented. hav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130819A KR100833946B1 (en) | 2006-12-20 | 2006-12-20 |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130819A KR100833946B1 (en) | 2006-12-20 | 2006-12-20 |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33946B1 true KR100833946B1 (en) | 2008-05-30 |
Family
ID=3966573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1308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3946B1 (en) | 2006-12-20 | 2006-12-20 |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33946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62263A (en) * | 2003-12-20 | 2005-06-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lide type open/clo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ing magnet |
| KR20050089584A (en) * | 2004-03-05 | 2005-09-08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Magnetic levitation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056022A (en) * | 2004-11-19 | 2006-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utomatic slide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102223A (en) * | 2005-03-23 | 2006-09-27 | 한 상 이 | Sliding switchgear and application device employing it |
| KR100652734B1 (en) | 2005-06-29 | 2006-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emi-automatic slide hinge device using magnet of slide phone |
-
2006
- 2006-12-20 KR KR1020060130819A patent/KR10083394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62263A (en) * | 2003-12-20 | 2005-06-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lide type open/clo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ing magnet |
| KR20050089584A (en) * | 2004-03-05 | 2005-09-08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Magnetic levitation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056022A (en) * | 2004-11-19 | 2006-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utomatic slide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102223A (en) * | 2005-03-23 | 2006-09-27 | 한 상 이 | Sliding switchgear and application device employing it |
| KR100652734B1 (en) | 2005-06-29 | 2006-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emi-automatic slide hinge device using magnet of slide phon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64607B1 (en) | Sliding structur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 |
| KR101050854B1 (en) |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 |
| KR100781165B1 (en) | Sliding Structur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 KR101181385B1 (en) | Magnetic levitation sliding structure | |
| KR101114211B1 (en) | Magnetic levitation sliding structure | |
| KR100833946B1 (en) |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 |
| KR101170750B1 (en) | Sliding structur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 |
| KR100819814B1 (en) |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 |
| KR101141714B1 (en) | Sliding structur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 |
| KR101091915B1 (en) | Sliding structur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 |
| KR101170751B1 (en) | Sliding structur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 |
| KR101091918B1 (en) | Slid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 |
| KR20080057480A (en) |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 |
| KR101143831B1 (en) | Sliding structur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 |
| KR101164594B1 (en) |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 |
| KR101187896B1 (en) | Magnetic levitation sliding structure | |
| KR101184055B1 (en) | Sliding structure using magnetic levitation | |
| KR100833945B1 (en) | Sliding Structur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 KR101187895B1 (en) | Slid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 |
| KR20080057479A (en) |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 |
| KR101184054B1 (en) | Fixing structure for magnetic, and sliding structure for magnetic levitation using it | |
| KR20080041313A (en) | Sliding Structur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 KR20080065869A (en) | Maglev Sliding Structure | |
| KR20080057096A (en) |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 |
| KR20080073149A (en) |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13-X000 |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
|
| U15-X000 |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5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527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