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240B1 - Prefab Scaffolding For Building - Google Patents
Prefab Scaffolding For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1240B1 KR100841240B1 KR1020070029816A KR20070029816A KR100841240B1 KR 100841240 B1 KR100841240 B1 KR 100841240B1 KR 1020070029816 A KR1020070029816 A KR 1020070029816A KR 20070029816 A KR20070029816 A KR 20070029816A KR 100841240 B1 KR100841240 B1 KR 1008412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uts
- ladder member
- support
- ladder
- str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04G2001/244—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mechanically operated
- E04G2001/246—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mechanically operated human pow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식 비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수의 입설용 지주대와 그 지주대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횡지지대 및 착탈 가능한 다수의 교차보강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물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및 접속시켜 높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된 사다리부재와, 지주대 하단에 각각 접속되어 사다리부재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 또는 고정 가능하도록 해주는 다수의 캐스터와, 각 지주대 외측에 장착되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지지해주는 다수의 아우트리거와, 다수의 입설용 지주대와 그 지주대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횡지지대 및 일측면에 내측 일방향으로만 선회식으로 개폐되며 잠금 고정되는 난간도어를 구비하고 사다리부재의 상부에 접속되어 설치되는 펜스부재와, 좌우양측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횡지지대 간에 걸림 고정되는 다수의 발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비계의 높이를 원하는 길이로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으며, 현저한 작업 편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caffolding for construction, the configura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anding posts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supports and a plurality of removable cross reinforcing bars connecting the struts and at least one or more of such structures laminated and connected Ladder member that can be extended to the height, and a plurality of casters that ar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trut respectively to move or fix the ladder member to a desired position, and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each strut to support a stable settlement without shaking It has a plurality of outriggers, a plurality of standing posts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supports connecting between the holding posts and a handrail door that is pivotally opened and locked only in one direction on one side, and the top of the ladder member Between the fence member and the pair of transverse supports facing both sid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caffold member is fixed to the rim, according to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the field, so that the carrying and install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the height of the scaffolding It can be freely extended to a desired length,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xhibit remarkable work convenienc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비계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nded state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비계에 적용되는 상측 펜스부재의 도어락을 도시한 도 1의 A부 확대사시도 및 일부 확대단면도이다.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and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oor lock of an upper fence member applied to the scaffol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비계에 적용되는 사다리부재의 교차보강대 단부체결구를 도시한 B부 확대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ion B showing the cross reinforcing rod end fasteners of the ladder member applied to the scaffol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비계에 적용되는 사다리부재의 교차보강대 중앙측 긴장조절링에 의한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 1의 C부 확대단면도이다.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 portion of Figure 1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y the cross-strengthening center tension control ring of the ladder member applied to the scaffol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비계에 적용되는 지주대간 높이확장 접속부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 1의 D부 확대단면도이다.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D of FIG. 1 showing embodiments of the inter-strand height expansion connecting portion applied to the scaffol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비계에 적용되는 사다리부재의 지주대 하단에 고정되는 캐스터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 1의 E부 확대도이다.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E portion of Figure 1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aster fixed to the bottom of the strut of the ladder member applied to the scaffol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비계에 적용되는 발판부재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 1의 F부 확대단면도이다.Figure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F of Figure 1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caffold member applied to the scaffold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 ; 사다리부재 11 ; 지주대10;
11a ; 너트관부 11b ; 체결구11a;
12 ; 횡지지대 13 ; 교차보강대12; Transverse
13a ; 나사부 13b ; 너트13a; Threaded
13c ; 로크너트 14 ; 단부체결구(후크형 원터치 체결구)13c; Locknut 14; End fastener (hook type one-touch fastener)
14a ; 단부체결구 본체 14b ; 가동후크14a;
14c ; 힌지축핀 15 ; 긴장조절링14c; Hinge
16 ; 걸림돌기 17 ; 삽입축관부16; Jamming 17; Insert Shaft Tube
17a ; 체결구 18 ; 조인트핀17a; Fasteners 18; Joint pin
19 ; 구명줄 고정링 20 ; 펜스부재19; Lifeline retaining
21 ; 지주대 22 ; 횡지지대21; Shore
23 ; 난간도어 23a ; 락핀23; Handrail door 23a; Lacfin
23b ; 도어힌지 24 ; 도어락(후크형 원터치 체결구)23b; Door
24a ; 도어락 본체 24b ; 가동후크24a;
24c ; 힌지축핀 30 ; 아우트리거(Outrigger)24c; Hinge
31 ; 프레임 32 ; 고정체결부31;
33 ; 지지각 40 ; 발판부재33;
41 ; 프레임 42 ; 답판41;
43 ; 후크 50 ; 캐스터43; Hook 50; Caster
51 ; 바퀴 52 ; 지지대51;
53 ; 바퀴축 54 ; 스토퍼 55 ; 접속봉53;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식 비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비계의 높이를 원하는 길이로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으며, 현저한 작업 편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량된 건축용 조립식 비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caffold for construction, and in particular, i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the field, so that the carrying and installation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height of the scaffold can be freely extended to a desired length, and a remarkable work convenience can be exhibi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caffold for construction.
비계는 건축공사현장 등의 고소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자재를 운반하거나 건축물의 유지, 보수 및 설치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길고 짧은 여러 개의 금속관을 결합시켜 제작한 가설물로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겠으나, 일반적으로, 네 모서리에 각각 입설되는 다수의 지주대와, 좌우양쪽 인접측의 한 쌍의 지주대 간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지주대를 따라 등간격으로 횡배열 고정된 다수의 횡지지대(사다리부재)와, 상기 각 한 쌍의 지주대의 전후양측 간에 각각 'X'자로 교차 배열된 다수의 교차보강대와, 좌우양측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횡지지대 간에 고정되는 다수의 발판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Scaffolding is a temporary product made by combining several long and short metal pipes so that workers can easily transport materials or perform maintenance, repair, and installation at the heights of construction sites. However, in general, a plurality of struts respectively placed at the four corners and a pair of struts of adjacent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supports horizontal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struts ( A ladder member), a plurality of cross reinforcing bars intersected by 'X' betwee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each pair of struts, and a plurality of scaffold members fixed between a pair of transverse supports facing left and right sides. It is.
그러나, 현존하는 건축용 비계들은 상기의 각 금속관 부재들을 용접하여 일체화한 구조이거나, 운반 및 설치 작업을 어느 정도 용이하게 수행하고자 그중 일부 부재들을 조립식으로 개량한 정도의 구조를 갖는 것이 고작이었고, 상기의 조립식 비계조차도 전(全) 부품을 건축현장에서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정도의 구조를 구현하고 있지 못하여 운반 및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는 한 계가 있었다.However, existing construction scaffolds have been constructed by welding each of the above metal tube members, or have a structure in which some of the members are prefabricated to facilitate carrying and installation operations to some extent. Even prefabricated scaffolds did not implement a structure that could easily assemble and disassemble all parts at the construction site, so there was a limit to efficiently carrying and installing.
또한, 이러한 종래의 건축용 조립식 비계들은 강도 면에서 취약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계의 높이를 원하는 길이로 확장할 수 없으며, 특히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경우에 그 작업 자체가 수월치 않을 뿐만 아니라, 임의의 위치에서 견고히 정착시킬 수 있는 안정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여 작업자가 비계 상에서 작업 중 상기 비계가 제 위치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거나 전복할 수 있는 위험성이 상존하였다.In addition, these conventional prefabricated scaffolds are not only weak in strength, but also cannot extend the height of the scaffold to a desired length, and may not be easy in the case where the assembly is required to move to a desired position. In addition, there is a risk that the operator can not be provided with a stabilizer that can be firmly settled at any position, the operator can slip off or overturn the scaffold during operation on the scaffold.
또한, 비계의 상부구조에 있어서, 도어 등과 같은 개폐 가능한 장치가 마련되어있지 아니하여 작업자가 비계 상부로 올라서는데 불편함이 있어 작업 편의성을 저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upper structure of the scaffol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for the operator to climb to the upper scaffold becaus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uch as a door is not provide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work convenienc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발판 등의 모든 부품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비계의 높이를 원하는 길이로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으며,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도 원하는 위치까지 쉽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위치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작업자가 상부의 펜스부재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종래에 비해 현저한 작업 편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된 건축용 조립식 비계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is that all parts, such as scaffolding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the field, so that carrying and install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scaffolding The height can be freely extended to the desired length, not only can be easily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even when the assembly is completed, but also can be stably settled in the position as well as the operator can easily enter into the upper fence member By providing a structure to provide a prefabricated scaffold for construction that can exhibit a significant work convenience compared to the prior ar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비계는, 네 모서리에 각각 입설되는 다수의 지주대와, 좌우양쪽 인접측의 한 쌍의 지주대 간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지주대를 따라 등간격으로 횡배열 고정된 다수의 횡지지대와, 상기 각 한 쌍의 지주대의 전후양측 간에 각각 'X'자로 교차 배열되어 그 각각의 단부가 상기 지주대의 걸림돌기에 착탈됨에 의해 이들간의 연결·보강 및 상호 분리 가능케 함과 아울러, 체결 후 긴장조절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그 중앙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긴장조절링을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배열되는 4개의 절단된 강관으로 구성하되 상기 각 강관의 중앙측 절단부에는 상기 긴장조절링을 관통하여 각각 너트 및 로크너트로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교차보강대를 포함하는 구조물로서, 이러한 구조물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및 접속시켜 높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된 사다리부재; 최하부에 위치한 상기 사다리부재의 각 지주대 하단에 각각 접속되어 자체의 회전 및 정지 조작에 의해 상기 사다리부재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 또는 그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도록 해주는 다수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가 결합된 사다리부재의 각 지주대의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각 지주대가 사방으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지지해주는 다수의 아우트리거; 상기 사다리부재의 각 지주대와 대응되는 네 모서리에 각각 입설되는 다수의 지주대와, 상기 각 지주대의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세 인접측면을 따라 둘러쳐져 고정되는 다수의 횡지지대와, 개방된 나머지 일측면에 내측 일방향으로만 선회식으로 개폐되며 잠금 고정되는 난간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최상부에 위치한 상기 사다리부재의 상부에 접속되어 설치되는 펜스부재; 및 상기 사다리부재의 좌우양측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횡지지대 간에 후크의 형태로 걸림 고정되는 다수의 발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Building prefabricated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between a plurality of struts respectively placed in four corners, and a pair of struts respectively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struts. A plurality of transverse supports fixed horizontally in a row,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each of the pair of props are arranged crosswise by 'X', and each end thereof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ocking projections of the props. In addition, to enable the tension control after the fastening, it is composed of four cut steel pipes arranged in all directions around the tension control ring of the metal material placed in the center of the central cut portion of each steel pipe A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cross reinforcing bar made of a threaded portion through the tension control ring and fastened to the nut and lock nut, respectively, Ladder member to extend the height by stacking and connecting at least one such structure; A plurality of casters connected to a lower end of each strut of the ladder member positioned at the lowermost part to allow the ladder member to be moved or fixed at a desired position by its own rotation and stop operation; A plurality of outriggers mounted on the lower ends of the struts of the ladder member to which the casters are coupled to support the struts to be stably settled without shaking in all directions; A plurality of struts respectively placed at four corners corresponding to each strut of the ladder member, a plurality of transverse supports enclosed and fixed along three adjacent sides formed by the arrangement of the respective struts, and the remaining work A structure comprising a handrail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only in one direction to the inside and locked to a side, the fence member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adder member located at the top; And a plurality of scaffold members fixed in the form of a hook between a pair of transverse supports fac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dder member.
또한, 상기 사다리부재 및 펜스부재의 각 지주대 단부에는, 상기 지주대 간을 맞대어 연결하여야 할 경우에 그 양 지주대간 접속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들을 상호 접속시켜주는 조인트핀이 개재되고, 상기 양 지주대의 접속단부에는 상 기 조인트핀의 삽입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체결하여 고정토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nds of each strut stand of the ladder member and the fence member are interposed with joint pin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end portions of the strut stands between the strut stands to interconnect them. It is preferable to fasten at least one fastener to the connection end of the support so as to maintain the insertion state of the joint pin.
삭제delete
또한, 상기 사다리부재의 지주대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와 인접하는 각 교차보강대의 양단과, 상기 난간도어 일측에 형성된 락핀이 맞닿는 펜스부재의 지주대에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그 개방부를 통해 본체내부로 상기 걸림돌기 또는 락핀이 진입되었을 때 상기 본체 내에서 자중에 의해 선회하며 상기 개방부를 폐쇄시켜주는 가동후크를 구비하여서 된 후크형 원터치 체결구가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oth ends of each of the cross reinforcing bar adjacent to the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support of the ladder member, and the support of the fence member contacting the lock pin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rail door, is hinged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formed with an opening on one side Preferably, the hook-type one-touch fasteners are each provided with a movable hook that swings by its own weight in the main body and closes the opening when the locking protrusion or the lock pin enters the main body through the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비계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abricated building scaffo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비계의 각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비계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비계에 적용되는 상측 펜스부재(20)의 도어락(24)을 도시한 도 1의 A부 확대사시도 및 일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비계에 적용되는 사다리부재(10)의 교차보강대(13) 단부체결구(14)를 도시한 B부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비계에 적용되는 사다리부재(10)의 교차보강대(13) 중앙측 긴장조절링(15)에 의한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 1의 C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비계에 적용되는 지주대(11)(21)간 높이확장 접속부(17)(18)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 1의 D부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비계에 적용되는 사다리부재(10)의 지주대(11) 하단에 고정되는 캐스터(5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 1의 E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비계에 적용되는 발판부재(40)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 1의 F부 확대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1 to 7 are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each part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scaffo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Part A enlarged perspective view and part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showing the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비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입설용 지주대(11)와 그 지주대(11)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횡지지대(12) 및 착탈 가능한 다수의 교차보강대(13)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물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및 접속시켜 높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된 사다리부재(10)와, 상기 지주대(11) 하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사다리부재(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 또는 고정 가능하도록 해주는 다수의 캐스터(50)와, 상기 각 지주대(11)의 외측에 장착되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지지해주는 다수의 아우트리거(30)와, 다수의 입설용 지주대(21)와 그 지주대(21)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횡지지대(22) 및 일측면에 내측 일방향으로만 선회식으로 개폐되며 잠금 고정되는 난간도어(23)를 구비하고 상기 사다리부재(10)의 상부에 접속되어 설치되는 펜스부재(20)와, 좌우양측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횡지지대(12) 간에 걸림 고정되는 다수의 발판부재(40)를 포함하는 구조를 이룬다.Building prefabricated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 plurality of
상기 사다리부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모서리에 각각 입설되 는 다수의 지주대(11)와, 좌우양쪽 인접측의 한 쌍의 지주대(11) 간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지주대(11)를 따라 등간격으로 횡배열 고정된 다수의 횡지지대(12)와, 상기 각 한 쌍의 지주대(11)의 전후양측 간에 각각 'X'자로 교차 배열되어 그 각각의 단부가 상기 지주대(11)의 걸림돌기(16)(도 3 참조)에 착탈됨에 의해 이들간의 연결·보강 및 상호 분리 가능케 함과 아울러 체결 후 긴장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교차보강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이러한 구조물을 지주대간 높이확장 접속부(도 5 참조)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및 접속시켜 높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참고적으로, 상기 사다리부재(10)의 지주대(11)의 횡지지대(12)는, 2단 이상으로 사다리부재(10)를 조립시 상기 횡지지대(12)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균등하게 유지되도록 최하부 횡지지대(12)의 위치를 적정하게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reference, the
또한, 상기 펜스부재(20)는 최상부에 위치한 상기 사다리부재(10)의 상부에 접속되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부재(10)의 각 지주대(11)와 대응되는 네 모서리에 각각 입설되는 다수의 지주대(21)와, 상기 각 지주대(21)의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세 인접측면을 따라 둘러쳐져 고정되는 다수의 횡지지대(22)와, 개방된 나머지 일측면에, 도어힌지(23b)로 연결되어 내측 일방향으로만 선회식으로 개폐되며 도어락(24)에 의해 잠금 고정되는 난간도어(23)를 포함하는 구조를 이룬다.In addition, the
상기 사다리부재(10) 및 펜스부재(20)의 각 지주대(11)(21)에는, 작업자의 몸에 연결되는 구명줄을 고정할 수 있는 구명줄 고정링(19)이 형성되어 있다.Each
상기 사다리부재(10)의 지주대(11)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6)와 인접하는 각 교차보강대(13)의 양단과, 상기 난간도어(23) 일측에 형성된 락핀(23a)이 맞닿는 펜스부재(20)의 지주대(21)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호 동일 구조의 단부체결구(14) 또는 도어락(24)이 일체로 형성되어 양 대응부재간 원터치 조작에 의해 가동후크(14b)(24b)가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단부체결구(14) 또는 도어락(24)의 본체(14a)(24a)와 힌지축핀(14c)(24c)에 의해 각각 힌지 결합되어 그 개방부를 통해 본체(14a)(24a)내부로 상기 걸림돌기(16) 또는 락핀(23a)이 진입되었을 때 상기 본체(14a)(24a) 내에서 자중에 의해 선회하며 상기 개방부를 폐쇄시켜주는 가동후크(14b)(24b)를 구비하여서 된 후크형 원터치 체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Fence member contacting both ends of each
상기 한 쌍의 교차보강대(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긴장조절링(15)을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배열되는 4개의 절단된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강관의 중앙측 절단부에는 상기 긴장조절링(15)을 관통하여 각각 너트(13b) 및 로크너트(13c)로 체결되는 나사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4개의 강관 중 일측 2개의 강관의 중앙측 절단부에 나사부(13a)를 형성하지 않고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2개의 강관의 중앙측 절단부에만 나사부(13a)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나사부(13a)가 없는 2개의 강관의 중앙측 절단부와 상기 긴장조절링(15) 간을 용접 등으로 영구 고정되도록 하면 되고, 나머지 2개의 강관의 나사부(13a)에 대해서만 너트(13b) 및 로크너트(13c)를 조절하여 체결함으로써 그 긴장상태를 조절하게 된다.The pair of
상기 사다리부재(10) 및 펜스부재(20)의 각 지주대(11 또는 21) 단부에 구비되는 높이확장 접속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대(11 또는 21) 간을 맞대어 연결하여야 할 경우에, 양단부 중 어느 한 쪽에 삽입축관부(17)를 형성하여 그 삽입축관부(17)가 나머지 한 쪽 단부에 삽입되도록 한 후 체결구(17a)로 고정하거나(도 5(a) 참조), 또는 그 양 지주대(11 또는 21)간 접속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들을 상호 접속시켜주는 조인트핀(18)이 개재되고, 상기 양 지주대(11 또는 21)의 접속단부에는 상기 조인트핀(18)의 삽입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17a)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도 5(b) 참조).Height-expansion connecting portions provided at the ends of each
한편, 상기 아우트리거(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스터(50)가 결합된 사다리부재(10)의 각 지주대(11)의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각 지주대(11)가 사방으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지지해주는 장치로서, 상기 지주대(11)에 체결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결부(32)를 구비한 지지용의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지지각(33)으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발판부재(4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부재(10)의 좌우양측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횡지지대(12) 간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 중 이동할 수 있는 디딤판으로서, 프레임(41) 상에 답판(42)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41)의 양단부에는 횡지지대(12) 걸이용의 후크(43)가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발판부재(40)의 폭은 약 400mm 정도로 제작하면 유용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캐스터(5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부에 위치한 상기 사다리부재(10)의 각 지주대(11) 하단에 각각 접속되어 자체의 회전 및 정 지 조작에 의해 상기 사다리부재(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 또는 그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도록 해주는 이동수단으로서, 상기 지주대(11)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는 접속봉(55)이 형성된 지지대(52)와, 바퀴축(53)을 매개로 상기 지지대(52)에 연결된 구름용 바퀴(51)와, 상기 바퀴(51)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54)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지주대(11)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너트관부(11a)를 통해 체결구(11b)를 체결하여 상기 접속봉(55)을 가압함으로써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 설명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다리부재(10)와, 상기 사다리부재(10)에 조립될 수 있는 펜스부재(20), 캐스터(50), 아우트리거(30) 및 발판부재(4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손쉽게 원하는 형태로 비계를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얼마든지 높이확장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By having at least one o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비계에 의하면, 전(全) 부품을 규격화하여 공장에서 대량으로 프리캐스팅하여 생산해낼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각 부품들을 건축현장까지 용이하게 운반한 후 발판 등을 포함한 모든 부품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완전한 현장설치형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비계의 높이를 원하는 길이로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으며, 사다리부재의 지주대 하단에 장착된 바퀴 회전고정용 스토퍼를 구비한 캐스터 및 아우트리거의 유효 적절한 조작에 의해 비계가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도 원하는 위치까지 쉽게 이동시킨 후 그 위치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상 부 펜스부재에 마련된 일방향 선회 개폐식의 난간도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상기 펜스부재 내부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종래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안정성 및 작업 편의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scaffold for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tandardize all parts and produce them by precasting them in large quantities at the factory, thereby easily carrying each of these parts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n scaffolding. It is possible to create a complete field installation work environment where all parts including the assembly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the field, the height of the scaffold can be freely extended to the desired length, and the wheel rotation fixing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ladder stand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casters and outriggers with stoppers makes it easy to move the scaffold to a desired position even after the scaffold is assembled, and to stably settle in that position. The operator uses the handrail door to enter the fence member. As a structure that will be allowed yirum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xert a considerably improved reliability and ease of operations compared to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may be regarded as exemplary,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conceiv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29816A KR100841240B1 (en) | 2007-03-27 | 2007-03-27 | Prefab Scaffolding For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29816A KR100841240B1 (en) | 2007-03-27 | 2007-03-27 | Prefab Scaffolding For Building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41240B1 true KR100841240B1 (en) | 2008-06-25 |
Family
ID=3977245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298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1240B1 (en) | 2007-03-27 | 2007-03-27 | Prefab Scaffolding For Build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41240B1 (en) |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65039Y1 (en) * | 2010-11-03 | 2013-02-05 | 남웅건설주식회사 | High scaffolding pole installation work |
| CN104295075A (en) * | 2014-09-29 | 2015-01-21 | 无锡市安捷脚手架有限公司 | Simple supporting rack |
| KR101621868B1 (en) * | 2014-11-10 | 2016-05-17 | 김영록 | A working desk for building |
| KR101884626B1 (en) * | 2017-09-28 | 2018-08-02 | 유남호 | Scaffold connected by the rack method |
| CN109853992A (en) * | 2018-12-27 | 2019-06-07 | 苏州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 Height can random adjustable type ladder cage |
| KR102032305B1 (en) * | 2019-05-09 | 2019-10-14 | 박기훈 | Folding type system scaffolding |
| JP2020045649A (en) * | 2018-09-18 | 2020-03-26 | 日鉄建材株式会社 | Holding member for handrail and lifting type mobile scaffold |
| KR102300833B1 (en) | 2020-11-24 | 2021-09-09 | 정옥순 | Safety device for construction workbench |
| CN113978652A (en) * | 2021-11-10 | 2022-01-28 |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 Assembled mobile plat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102481730B1 (en) * | 2021-10-05 | 2022-12-29 | 주식회사 그루 | Mobile Scaffolding Device |
| CN117552607A (en) * | 2024-01-12 | 2024-02-13 | 河南珏峻建筑装饰有限公司 | Quick-assembly scaffold for building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053927U (en) | 1973-09-11 | 1975-05-23 | ||
| JPS5469726U (en) | 1977-10-27 | 1979-05-17 | ||
| JPH0842131A (en) * | 1994-08-02 | 1996-02-13 | Aruinko Kk | Handrail frame for scaffold |
| JPH0960288A (en) * | 1995-08-28 | 1997-03-04 | Maki Tekkosho:Kk | Folding scaffold |
| KR19990007677A (en) * | 1998-10-20 | 1999-01-25 | 이순숙 | Mobile working frame for construction |
| JPH11241499A (en) | 1997-12-26 | 1999-09-07 | Tatsuo Ono | Timbering |
| KR200163251Y1 (en) * | 1999-07-01 | 2000-02-15 | 최문호 | Movable structure for construction work |
-
2007
- 2007-03-27 KR KR1020070029816A patent/KR10084124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053927U (en) | 1973-09-11 | 1975-05-23 | ||
| JPS5469726U (en) | 1977-10-27 | 1979-05-17 | ||
| JPH0842131A (en) * | 1994-08-02 | 1996-02-13 | Aruinko Kk | Handrail frame for scaffold |
| JPH0960288A (en) * | 1995-08-28 | 1997-03-04 | Maki Tekkosho:Kk | Folding scaffold |
| JPH11241499A (en) | 1997-12-26 | 1999-09-07 | Tatsuo Ono | Timbering |
| KR19990007677A (en) * | 1998-10-20 | 1999-01-25 | 이순숙 | Mobile working frame for construction |
| KR200163251Y1 (en) * | 1999-07-01 | 2000-02-15 | 최문호 | Movable structure for construction work |
Cited By (1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65039Y1 (en) * | 2010-11-03 | 2013-02-05 | 남웅건설주식회사 | High scaffolding pole installation work |
| CN104295075A (en) * | 2014-09-29 | 2015-01-21 | 无锡市安捷脚手架有限公司 | Simple supporting rack |
| KR101621868B1 (en) * | 2014-11-10 | 2016-05-17 | 김영록 | A working desk for building |
| KR101884626B1 (en) * | 2017-09-28 | 2018-08-02 | 유남호 | Scaffold connected by the rack method |
| JP2020045649A (en) * | 2018-09-18 | 2020-03-26 | 日鉄建材株式会社 | Holding member for handrail and lifting type mobile scaffold |
| JP7191607B2 (en) | 2018-09-18 | 2022-12-19 | 日鉄建材株式会社 | Retaining member for handrail frame and elevating mobile scaffolding |
| CN109853992A (en) * | 2018-12-27 | 2019-06-07 | 苏州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 Height can random adjustable type ladder cage |
| KR102032305B1 (en) * | 2019-05-09 | 2019-10-14 | 박기훈 | Folding type system scaffolding |
| KR102300833B1 (en) | 2020-11-24 | 2021-09-09 | 정옥순 | Safety device for construction workbench |
| KR102481730B1 (en) * | 2021-10-05 | 2022-12-29 | 주식회사 그루 | Mobile Scaffolding Device |
| CN113978652A (en) * | 2021-11-10 | 2022-01-28 |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 Assembled mobile plat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
| CN117552607A (en) * | 2024-01-12 | 2024-02-13 | 河南珏峻建筑装饰有限公司 | Quick-assembly scaffold for building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 CN117552607B (en) * | 2024-01-12 | 2024-03-22 | 河南珏峻建筑装饰有限公司 | Quick-assembly scaffold for building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41240B1 (en) | Prefab Scaffolding For Building | |
| US10329781B2 (en) |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 |
| US9528285B2 (en) |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 |
| US20080264725A1 (en) | Hook-On Scaffold | |
| US4602470A (en) | Dismountable framework | |
| RU2400609C2 (en) | Complex system of accident prevention support in construction | |
| JPH10280669A (en) | Scaffolding unit | |
| JPH08284439A (en) | Heavy load type form timbering and member thereof | |
| WO2012014581A1 (en) | Strut-equipped tie member and temporary scaffold | |
| KR200413590Y1 (en) | Scaffold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of | |
| CA1216728A (en) | Dismountable framework | |
| JP5809955B2 (en) | Temporary scaffold | |
| CN203947769U (en) | Cooling tower bottom ring beam concrete cast-in-situ steel truss form bracing system | |
| CN100419191C (en) | scaffold | |
| JP2013124541A5 (en) | ||
| KR100509622B1 (en) | Roof frame of warmth keeping cover for constructing a structure | |
| AU2007254713A1 (en) | Scaffolding System | |
| JPH05163833A (en) | Erected frame with safety net | |
| JP7424694B1 (en) | temporary stage | |
| JPH0711181B2 (en) | Portable walkway for construction | |
| JP3538511B2 (en) | Temporary handrail for temporary scaffolding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emporary scaffolding | |
| WO2007012107A1 (en) | Hook-on scaffold | |
| JPS624124Y2 (en) | ||
| CN108412206B (en) | Construction method of truss operation platform suitable for high and large space construction | |
| KR200344388Y1 (en) | Structure of movement workbench for construc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6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62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