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152B1 -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formed by electropl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formed by electropl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2152B1 KR100842152B1 KR1020070010384A KR20070010384A KR100842152B1 KR 100842152 B1 KR100842152 B1 KR 100842152B1 KR 1020070010384 A KR1020070010384 A KR 1020070010384A KR 20070010384 A KR20070010384 A KR 20070010384A KR 100842152 B1 KR100842152 B1 KR 1008421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in film
- electroplating
- type
- thermoelectric thin
- type thermoelectr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스무스 테류라이드계 p형 열전박막소자와 n형 열전박막소자들로 구성된 열전박막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전기도금액 내에서 도금전류밀도를 조절하여 조성이 서로 다른 p형 열전박막소자와 n형 열전박막소자들을 전기도금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열전박막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composed of a bismuth fluoride p-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device and an n-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by adjusting the plating current density in the same electroplating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formed by electroplating p-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nd n-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에 의해 조성이 서로 다른 p형 열전박막소자와 n형 열전박막소자들을 한 도금액에서 전기도금으로 형성함으로써, 소형화된 비스무스 테류라이드계 열전박막모듈을 빠른 공정속도와 낮은 공정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는 공정상의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nd n-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s are formed by electroplating in one plating solution, whereby miniaturized bismuth fluoride-based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s can be formed at a high process speed and a low process cost. There is a process advantage.
Description
도 1은 기존의 열전모듈의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thermoelectric modu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도금액에서 전기도금법으로 형성한 p형 열전박막소자와 n형 열전박막소자들로 구성된 열전박막모듈의 모식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composed of a p-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and an n-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formed by the electroplating method in the same plating 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전기도금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열전박막모듈의 공정흐름도 및 각 공정 단계의 단면 모식도로서, 도 3(a)는 기판에 전기도금 씨앗층을 형성한 모식도와 단면 모식도이며, 도 3(b)는 기판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모식도와 단면 모식도이며, 도 3(c)는 p형 열전박막소자를 전기도금으로 형성한 모식도와 단면 모식도이며, 도 3(d)는 동일한 도금액 내에서 n형 열전박막소자를 전기도금한 모식도와 단면 모식도이며, 도 3(e)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모식도와 단면 모식도이며, 도 3(f)는 p형 열전박막소자와 n형 열전박막소자에 고온단 전극과 저온단 전극을 형성한 모식도.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process flow of the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formed by using the electropl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ross-sectional view of each process step. FIG. 3 (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electroplating seed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Fig. 3 (b) is a schematic diagram and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a photoresist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Fig. 3 (c) is a schematic diagram and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a p-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formed by electroplating. A schematic diagram and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oplating n-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in a plating solution, FIG. 3 (e) is a schematic diagram and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with a photoresist pattern removed, and FIG. 3 (f) shows a p-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and an n-type thermoelectric element. Schematic diagram in which a high temperature end electrode and a low temperature end electrode are formed on a thin film element. .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
11. p형 열전소자 12. n형 열전소자11.p type thermoelectric element 12.n type thermoelectric element
13. 고온단 전극 14. 저온단 전극13. High
15. 기판15. Substrate
21. p형 열전박막소자 22. n형 열전박막소자21.p 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22.n 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23. 기판 24. 고온단 전극23.
25. 저온단 전극25. Low Temperature Electrode
31. 전기도금용 씨앗층 32. 포토레지스트 31. Seed layer for electroplating 32. Photoresist
비접촉식 온도센서는 물체에서 방출하는 적외선 등의 복사신호를 열에너지로 전환하고 이를 다시 전기신호로 2차 에너지 변환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가전, 사무자동화, 방범, 방재, 교통 및 빌딩 시스템 등의 다양한 분야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비접촉식 적외선 센서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법에 따라 양자형과 열형으로 구분된다.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is a sensor that detects temperature by converting radiant signal such as infrared rays emitted from an object into thermal energy and converting it into electrical energy again to electric energy. It is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home appliances, office automation, crime prevention, disaster prevention, traffic and building systems. It is widely applied in the field. Non-contact infrared sensors are classified into quantum type and thermal type according to a method of converting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이중 양자형은 광전도나 광기전력 효과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감도 및 응답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소자를 80K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기 위한 냉매가 요구되기 때문에 소형화가 어려우며 용도가 제한적이다. 이에 반해 초전체나 써모 파일을 이용한 열형 적외선 센서는 냉각이 필요없고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범용 온도센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The dual quantum type has advantages of excellent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by using photoconductivity or photovoltaic effect, but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and limited in use because a refrigerant for cooling the device to a temperature of 80K or less is required. On the other hand, a thermal infrared sensor using a pyroelectric element or a thermopile is generally used as a general-purpose temperature sensor because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without requiring cooling.
상기의 열형 적외선 센서 중에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는 이동하는 물체와 같이 변화하는 입력에 대해서는 응답하나, 움직임이 없는 물체에 대해서는 응답하지 않기 때문에 초퍼를 사용하여 입력신호를 주기적으로 단속하여야 한다. 따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는 초퍼 및 이의 구동모터 등이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소비전력이 크며 초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써모파일형 적외선 센서는 온도차에 의해 전압이 발생하는 지벡(Seebeck)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측정대상의 움직임이 없을 때에도 초퍼 및 구동모터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mong the thermal infrared sensors, the pyroelectric infrared sensor responds to an input that changes like a moving object, but does not respond to an object that does not move. Therefore, a chopper must be used to periodically interrupt an input signal. Therefore, the pyroelectric infrared sensor requires a chopper and a driving motor thereof,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power consumption is large, and the miniaturization is difficult. In contrast, the thermopile type infrared sensor uses Seebeck, which generates voltage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and can be measured without a separate device such as a chopper and a driving motor even when there is no movement of a measuring object.
써모파일형 적외선 센서의 최대출력(Pmax)은 써모파일의 지벡 계수(Seebeck coefficient) α의 제곱에 비례하고 전기저항 R에 반비례하며 고온단과 저온단 사이의 온도차 △T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Pmax = 로 표현된다. 현재 n형 실리콘(Si)이 써모파일형 적외선 센서를 구성하는 재료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지벡 계수가 낮기 때문에 출력되는 전기신호가 미약하여 응답감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The maximum output (P max ) of the thermopile infrared sensor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Seebeck coefficient α of the thermopil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electrical resistance R, and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ΔT between the hot and cold ends. Expressed as a formula, P max = It is expressed as Currently, n-type silicon (Si) is mainly used as a material for forming a thermopile-type infrared sensor, but since the Seebeck coefficient is low, the output electrical signal is weak and the response sensitivity is low.
따라서 써모파일형 적외선 센서의 출력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온에서 성능지수가 우수한 열전재료를 사용하여 열전모듈을 형성하고 이들을 전기적으 로는 직렬, 열적으로는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hermopile type infrared sensor, thermoelectric modules using thermoelectric materials having excellent performance index at room temperature should be formed, and they should be connected in series electrically and in parallel.
열전모듈을 구성하기 위한 재료로는 상온부근에서 지벡 계수가 높고 성능지수가 우수한 Bi2Te3계 열전재료가 적합하다. Bi2Te3계 p형 열전재료로는 p형 Bi2Te3와 더불어 Bi2Te3에 Sb2Te3를 고용체화 한 (Bi1 - xSbx)2Te3가 있으며, Bi2Te3계 n형 열전재료로는 n형 Bi2Te3와 더불어 Bi2Te3에 Bi2Se3를 고용체화 한 Bi2(Te1 - ySey)3가 사용되고 있다. As a material for constructing a thermoelectric module, a Bi 2 Te 3 -based thermoelectric material having a high Seebeck coefficient and a high performance index near room temperature is suitable. Bi 2 Te 3- based p-type thermoelectric materials include p-type Bi 2 Te 3 and Bi 2 Te 3 in solid solution of Sb 2 Te 3 (Bi 1 - x Sb x ) 2 Te 3 , and Bi 2 Te 3 -based n-type thermoelectric material to have a Bi 2 Te 3 Bi 2 Se 3 employs a Bi 2 embodied with the n-type Bi 2 Te 3 - a (Te 1 y Se y) 3 is used.
열전모듈은 도 1과 같이 p형 열전소자(11)와 n형 열전소자(12)들이 전기적으로는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열적으로는 병렬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열전모듈의 고온단(Th)과 저온단(Tc)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고온단 부위에서 저온단 부위로 열이 이동함에 따라, p형 열전소자(11)와 n형 열전소자(12)에서 각기 정공과 전자들이 고온단에서 저온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지벡 효과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as shown in FIG. 1, the p-type
이제까지 도 1에 나타낸 형상의 Bi2Te3계 열전재료를 이용한 열전모듈은 단결정 잉곳(ingot)을 절단하여 제조한 덩어리(bulk) 형태의 p형 열전소자(11)와 n형 열전소자(12)들로 구성하거나, 가압소결법이나 열간압출법으로 제조한 다결정 가압소결체나 열간압출체를 절단하여 제조한 덩어리(bulk) 형태의 p형 열전소자(11)와 n형 열전소자(12)들로 구성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덩어리 형태의 p형 열전소자(11)와 n형 열전소자(12)들은 단결정 잉곳을 절단하거나 또는 다결정 가압소결체나 열간압출체를 절단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열전소자의 크기 감소에 제한을 받는 다. 따라서 이들을 이용하여 소형 열전모듈을 제작하는 것이 어려우며, 따라서 소형 써모파일형 적외선 센서를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The thermoelectric module using the Bi 2 Te 3 -based thermoelectric material of the shape shown in FIG. 1 has a bulk p-type
상기와 같은 덩어리 형태의 열전소자(11,12)들을 사용하여 구성한 열전모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플래시 증착법(flash evaporation)이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제작한 Bi2Te3계 p형 열전박막소자와 n형 열전박막소자들로 구성된 열전박막모듈이 개발되었다. 열전박막모듈을 구성하는 열전박막소자들은 기존 덩어리 형태의 열전소자들에 비해 크기를 훨씬 미세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열전박막모듈의 크기를 기존 열전모듈에 비해 매우 작게 만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전박막모듈을 사용하여 구성한 써모파일형 적외선 센서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Bi 2 Te 3 -type p-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device manufactured by flash evaporation or magnetron sputtering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lumped
그러나 상기한 플래시 증착법이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한 열전박막 모둘의 제조공정은 진공증착 장비의 가격이 비싸 공정 단가가 비싸며, 공정에 필요한 진공도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 공정 속도가 느리고, 공정의 스케일 업이 어려워 대량 생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using the flash deposition method or the magnetron sputtering method is expensive because the cost of vacuum deposition equipment is expensive, and it takes a long time to reach the degree of vacuum required for the process. Difficult to scale up, there was a problem that mass production is difficult.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의 플래시 증착법이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 대신에 도 2와 같이 전기도금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Bi2Te3계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들로 구성된 열전박막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전기도금액 내에서 도금전류밀도를 조절함으로써 서로 조성이 다른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들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열전박막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i 2 Te 3 p-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formed using an electroplating method as shown in Figure 2 instead of the flash deposition method or the magnetron sputtering method of the prior art ( 21) and n-type thermoelectric
본 발명에 의해 상기한 기존 기술인 플래시 증착법이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한 열전박막모듈 공정의 문제점들이 해결되어, 공정 속도가 빠르고 스케일 업이 용이하며 공정 비용이 낮은 Bi2Te3계 열전박막모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s of the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process using the flash deposition method or the magnetron sputtering method described above are solve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i 2 Te 3 based thermo thin film module having a high process speed, easy scale-up, and low process cost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본 발명은 전기도금법을 이용한 열전박막모듈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비스무스(Bi) 이온공급원과 텔류륨(Te) 이온공급원을 함유하는 전기도금액 또는 비스무스(Bi) 이온공급원, 안티모니(Sb) 이온공급원과 텔류륨(Te) 이온공급원을 함유하는 전기도금액에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들의 전기도금용 씨앗층(31)이 형성된 기판(23)을 담그는 단계와, 소정의 도금전류밀도를 가하여 p형 열전박막소자(21)를 전기도금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동일한 도금액 내에서 도금전류밀도를 변화시켜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전기도금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이들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들에 고온단 전극(24)과 저온단 전극(25)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using an electroplating method, comprising an electroplating solution or a bismuth (Bi) ion source and an antimony (Sb) ion containing a bismuth (Bi) ion source and a tellurium (Te) ion source. Immersion of the
조성이 서로 다른 Bi2Te3계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전기도금법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조성이 서로 다른 두 도금액을 사용하여 각기 Bi2Te3계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전기도금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한 도금액에서 p형 열전박막소자(21)를 전기도금으로 형성한 후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도금하기 위해서는 기판(23)을 조성이 다른 n형 도금액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공정상의 불편함이 있다. 기판(23)을 한 도금액에서 다른 도금액으로 이동할 때 세밀한 기판 세척이 요구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두번째 도금액에 첫번째 도금액이 혼입되어 원하는 특성의 지벡 계수를 갖는 열전박막소자가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form Bi 2 Te 3 p-type thermoelectric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열전박막모듈 형성방법에서는 동일한 도금액 내에서 단순히 도금전류밀도를 변화시켜 조성이 서로 다른 Bi2Te3계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공정상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for forming a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i 2 Te 3 p-type thermoelectric
상기 비스무스 이온공급원, 텔류륨 이온공급원 및 안티모니 이온공급원이 될 수 있는 물질로는 전기도금에 통상적으로 사용가능한 어떠한 물질도 포함하며 특정한 종류의 물질로 한정될 것을 요하지 않는다. 비스무스 이온공급원이 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Bi2O3, Bi(NO3)3, Bi-EDTA 착물(complex), 금속 Bi 등이 있으며 텔류륨 이온공급원으로는 TeO2, 금속 Te 등이 있으며, 안티모니 이온공급원으로는 Sb2O3, SbCl3, 금속 Sb 등이 있다. 상기 이온공급원들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도금액의 조성은 이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며, 또한 원하는 p형 열전박막소자나 n형 열전박막소자의 조성에 따라 비스무스 이온이나, 텔류륨 이온 또는 안티모니 이온의 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material which may be the bismuth ion source, the tellurium ion source and the antimony ion source includes any material commonly available for electroplating and is not required to be limited to a specific kind of material. Examples of the bismuth ion source may include Bi 2 O 3 , Bi (NO 3 ) 3 , Bi-EDTA complex, and metal Bi.Telelium ion sources include TeO 2 and metal Te. Antimony ion sources include Sb 2 O 3 , SbCl 3 , and metal Sb. The composition of the specific plating solution containing the ion sources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desired p-type or n-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device, bismuth ions or tellurium may be used. It may be possi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concentration of ions or antimony ions.
또한 도금액의 pH 및 온도도 특정한 조건을 요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pH 2.0∼2.5 및 상온의 조건에서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의 전기도금을 실시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 블과할 뿐 도금액의 또 다른 pH와 온도 조건의 선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pH and temperature of the plating liquid do not require specific conditio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arried out the electroplating of the p-type thermoelectric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이 본 발명의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is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se do not limit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Bi2Te3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전기도금으로 형성하기 위한 도금액으로 1M의 질산(HNO3) 용액에 비스무스(Bi) 이온농도와 텔류륨(Te) 이온농도가 각기 40mM과 10mM이 되도록 Bi2O3 분말과 TeO2 분말을 칭량하여 넣고 24시간 동안 교반하며 용해시켜 전기도금액을 만들었다. Bi 2 Te 3 p-type thermoelectric
상기와 같은 Bi2Te3 전기도금액에서 도금전류밀도를 0.1mA/cm2에서 5.5mA/cm2로 변화시키며 전기도금한 Bi2Te3 열전박막의 지벡 계수를 표 1에 나타내었다.Sikimyeo changing the plating current density in plating Bi 2 Te 3, such as the electricity to 5.5mA / cm 2 at 0.1mA / cm 2 exhibited a Seebeck coefficient of electroplating a Bi 2 Te 3 Thermoelectric thin film are shown in Table 1.
표 1. 도금전류밀도에 따른 Bi2Te3 열전박막의 지벡 계수 Table 1. Seebeck coefficient of Bi 2 Te 3 thermoelectric thin film according to plating current density
표 1에서와 같이 비스무스 이온농도 40mM, 텔류륨 이온농도 10mM인 도금액에서 0.1mA/cm2의 낮은 도금전류밀도로 전기도금한 경우에는 양(+)의 지벡 계수를 갖는 p형 Bi2Te3 열전박막이 도금되었다. As shown in Table 1, when electroplating at a low plating current density of 0.1 mA / cm 2 in a plating solution having a bismuth ion concentration of 40 mM and a tellurium ion concentration of 10 mM, the p-type Bi 2 Te 3 having a positive Seebeck coefficient was obtained. The thermoelectric thin film was plated.
반면에 0,5mA/cm2에서 3.5mA/cm2 범위의 도금전류밀도를 인가하며 전기도금한 경우에는 표 1과 같이 음(-)의 지벡 계수를 갖는 n형 Bi2Te3 열전박막이 도금되었으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도금전류밀도 범위에서는 비스무스 이온보다 도금속도가 빠른 텔류륨 이온이 더 많이 전착되어 텔류륨 과잉 조성의 n형 Bi2Te3 열전박막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plating current density is applied in the range of 0,5 mA / cm 2 to 3.5 mA / cm 2 and electroplated, n-type Bi 2 Te 3 with negative Seebeck coefficient as shown in Table 1 The thermoelectric thin film was plated, because in this plating current density range, tellurium ions having a faster plating rate than the bismuth ions were electrodeposited to form an n-type Bi 2 Te 3 thermoelectric thin film having a tellurium excess composition.
상기와 같은 Bi2Te3 도금액 내에서 도금전류밀도를 4.5mA/cm2 이상으로 증가시킨 경우에는 표 1과 같이 양(+)의 지벡 계수를 갖는 p형 Bi2Te3 열전박막이 도금되었으며, 그 이유는 이와 같이 높은 도금전류밀도의 조건에서는 도금액 내에 훨씬 많이 존재하는 비스무스 이온의 전착되는 양이 크게 증가하여 비스무스 과잉 조성의 p형 Bi2Te3 열전박막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Bi 2 Te 3 as above When the plating current density was increased to 4.5 mA / cm 2 or more in the plating solution, a p-type Bi 2 Te 3 thermoelectric thin film having a positive Seebeck coefficient was plated as shown in Table 1, and the reason for this was high plating. This is because the electrodeposited amount of bismuth ions much more present in the plating solution was greatly increased under the condition of the current density to form a p-type Bi 2 Te 3 thermoelectric thin film having a bismuth excess composition.
이와 같이 동일한 Bi2Te3 도금액에서 도금전류밀도를 조절함으로써 p형 열전박막소자와 n형 열전박막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Bi2Te3 도금액에서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전기도금하여 열전박막모듈을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의 제조공정의 모식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Using that this way the same Bi 2 to form a p-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and the n-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by controlling the plating current density at Te 3 plating solution, p-type thermoelectric films on the same Bi 2 Te 3 plating solu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열전박막모듈을 형성하기 위한 기판(23)으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아세톤, 알콜과 증류수를 사용하여 각기 30초씩 초음파 세척하고 질소가스를 불어주며 표면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As the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기판(23)을 스퍼터 챔버내 기판 홀더에 장착후 10-5∼ 10-6 토르의 진공상태에서 150℃의 온도로 30분간 유지하여 폴리이미드 필름 기판(23)에 흡착된 수분을 제거하였다. 폴리이미드 필름과 전기도금용 씨앗층(31)으로 스퍼터링할 티타늄(Ti) 박막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이미드 필름 기판(23)의 표면을 알곤(Ar) 가스를 사용하여 RF 스퍼터링 처리하였다. 상기와 같은 폴리이미드 기판(23) 표면에 도 3(a)와 같이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전기도금용 씨앗층(31)인 티타늄 박막을 1㎛ 두께로 형성하였다. 10 -5 to 10 -6 after attaching the
상기와 같이 전기도금용 씨앗층(31)으로 티타늄 박막을 형성한 폴리이미드 기판(23)에 사진식각법(photolithography)을 사용하여 도 3(b)와 같이 전기도금용 씨앗층(31)의 위치가 오픈(open)된 포토레지스트 패턴(32)을 형성하였다. Position of the
1M의 질산(HNO3) 용액에 비스무스(Bi) 이온농도와 텔류륨(Te) 이온농도가 각기 40mM과 10mM이 되도록 Bi2O3 분말과 TeO2 분말을 칭량하여 넣고 24시간 동안 교반하며 용해시켜 만든 전기도금액 내에 상기한 포토레지트 패턴(32)이 형성된 폴리이미드 기판(23)을 음극에 설치하고 백금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하기와 같이 p형 Bi2Te3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의 전기도금을 실시하였다.Bi 2 O 3 powder and TeO 2 in a concentration of 40mM and 10mM of bismuth (Bi) and tellurium (Te) ions in 1M nitric acid (HNO 3 ) solution, respectively The
p형 열전박막소자(21)의 전기도금을 위한 티타늄 전기도금용 씨앗층(31)에 4.5mA/cm2의 전류를 인가하여 표 1과 같이 양(+)의 지벡 계수를 갖는 비스무스 과잉 조성의 p형 Bi2Te3 열전박막소자(21)를 도 3(c)와 같이 전기도금 하였다. p형 열전박막소자(21)의 전기도금이 완료된 후 n형 열전박막소자(22)의 전기도금을 위한 티타늄 전기도금용 씨앗층(31)에 1.5mA/cm2의 전류를 인가하여 표 1과 같이 음(-)의 지벡 계수를 갖는 텔류륨 과잉 조성의 n형 Bi2Te3 열전박막소자(22)를 도 3(d)와 같이 전기도금 하였다. By applying a current of 4.5 mA / cm 2 to the titanium
상기와 같이 동일한 Bi2Te3 도금액 내에서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들을 전기도금으로 형성하고 도 3(e)와 같이 포토레지스트(32) 패턴을 제거한 후, 도 3(f)와 같이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들이 전기적으로는 직렬, 열적으로는 병렬연결이 되게 열전박막소자(21,22)들의 일단에는 고온단 전극(24)으로 열증착법을 이용하여 Ni-Cr 전극을 형성하였으며 다른 일단에는 저온단 전극(25)으로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전극을 형성 하여 열전박막모듈을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열전박막모듈에서 고온단 전극(24)인 Ni-Cr 전극이 형성된 부위는 적외선을 흡수하는 고온단이며, 저온단 전극(25)인 알루미늄 전극이 형성된 부위는 저온단이 된다. Same Bi 2 Te 3 as above After forming the p-type thermoelectric
본 실시예에서는 고온단 전극(24)으로 작용하는 적외선 흡수전극으로 Ni-Cr 전극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더불어 고온단 전극(24)으로 전기화학법으로 형성한 다공질 백금흑체(Pt black) 또는 저진공 질소 분위기에서 증착한 금(Au), 은(Ag), 백금(Pt), 알루미늄(Al), 구리(Cu), 크롬(Cr), 니켈(Ni) 다공질 금속막 또는 이 금속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다공질 금속막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온단 전극(25)으로 알루미늄 전극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더불어 저온단 전극(25)으로 금, 은, 백금, 구리, 크롬, 알루미늄, 니켈 박막 또는 이 금속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막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a Ni-Cr electrode is used as the infrared absorption electrode serving as the high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하나의 n형 열전박막소자(22)로 열전박막모듈을 구성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Bi2Te3 도금액 내에서 여러 개의 p형 열전박막소자들 및 p형 열전박막소자들과 동일한 개수의 n형 열전박막소자들을 전기도금으로 형성하여 열전박막모듈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is composed of one p-type thermoelectric
본 실시예에서는 Bi2Te3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전 기도금하기 위한 전기도금용 씨앗층(31)으로 티타늄(Ti)을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전기도금용 씨앗층으로 전기전도체인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백금(Pt), 금(Au), 은(Ag), 철(Fe), 니켈(Ni), 크롬(Cr), 탄탈륨(Ta), 텅스텐(W)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금속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들 중에서 선택된 둘이나 그 이상의 금속들을 함유하는 합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백금(Pt), 금(Au), 은(Ag), 철(Fe), 니켈(Ni), 크롬(Cr), 탄탈륨(Ta), 텅스텐(W) 중에서 선택된 둘이나 그 이상의 금속들로 이루어진 다층구조의 전기도금용 씨앗층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itanium (Ti) was used as the
본 발명에서 상기 전기도금용 씨앗층(31)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본 실시예에 의한 스퍼터링법을 포함하여 진공증착, 전해도금, 무전해도금, 스크린프린팅, 전자빔 증착, 화학기상증착, MBE를 포함하여 어떠한 박막형성법이나 코팅법의 사용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forming the
본 실시예에서는 Bi2Te3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전기도금하여 열전박막모듈을 구성하기 위한 기판(23)으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열전박막모듈을 구성하기 위한 기판으로 테프론이나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 기판과 알루미나, 질화 알루미늄, 실리콘 카바이드, 산화 실리콘(SiO2) 등의 세라믹 기판과 실리콘(Si) 웨이퍼의 사용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olyimide film was used as the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Bi2Te3 도금액 내에서 p형 열전박막소자를 전기도금으로 형성한 후 도금전류밀도를 바꾸어 n형 열전박막소자를 전기도금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Bi2Te3 도금액 내에서 먼저 n형 열전박막소자를 전기도금으로 형성한 후 도금전류밀도를 바꾸어 p형 열전박막소자를 전기도금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same Bi 2 Te 3 After the p-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was formed by electroplating in the plating solution, the n-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was electroplated by changing the plating current density.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Bi 2 Te 3 It is also possible to electroplat the p-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by first forming the n-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 by electroplating in the plating solution and then changing the plating current density.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23)에 사진식각법을 사용하여 전기도금용 씨앗층(31)의 위치가 오픈(open)된 포토레지스트 패턴(32)을 형성한 후,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전기도금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포토레지스트 패턴(32)을 형성하지 않고 전기도금용 씨앗층(31)에 도금전류밀도를 인가하여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전기도금으로 형성하여 열전박막모듈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after forming the
<실시예 2><Example 2>
동일한 (Bi,Sb)2Te3 도금액 내에서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전기도금하기 위한 도금액으로 5M의 질산(HNO3) 용액에 비스무스(Bi) 이온농도, 안티모니(Sb) 이온농도와 텔류륨(Te) 이온농도가 각기 5mM, 15mM과 10mM이 되도록 Bi2O3 분말, Sb2O3' 분말과 TeO2 분말을 칭량하여 넣고 24시간 동안 교반하며 용해시키고 도금 첨가제로 60mM 농도가 되도록 EDTA를 첨가하여 전기도금액을 만들었다. 상기와 같은 (Bi,Sb)2Te3 전기도금액에서 전류밀도를 0.3mA/cm2에서 1.5mA/cm2로 변화시키며 전기도금한 (Bi,Sb)2Te3 열전박막의 지벡 계수를 표 2에 나타내었다.Bismuth (Bi) ions in a 5M nitric acid (HNO 3 ) solution as a plating solution for electroplating the p-type thermoelectric
표 2. 도금전류밀도에 따른 (Bi,Sb)2Te3 열전박막의 지벡 계수 Table 2. Seebeck coefficient of (Bi, Sb) 2 Te 3 thermoelectric thin film according to plating current density
표 2와 같이 비스무스 이온농도 5mM, 안티모니 이온농도 15mM, 텔류륨 이온농도 10mM인 도금액에서 0.3mA/cm2∼0.7mA/cm2 범위의 도금전류밀도를 인가하며 도금한 박막은 양(+)의 지벡 계수를 나타내어 p형 (Bi,Sb)2Te3 열전박막이 도금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는 0.3mA/cm2에서 0.7mA/cm2 범위의 전류밀도에서는 도금액 내에 더 많이 존재하는 비스무스 이온과 안티모니 이온이 텔류륨 이온보다 더 많이 전착되어 p형 (Bi,Sb)2Te3 열전박막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1.0mA/cm2 이상의 도금전류밀도를 인가한 경우에는 음(-)의 지벡 계수를 나타내어 n형 열전박막이 도금되었으며, 이는 도금속도가 빠른 텔류륨 이온이 더 많이 전착되어 텔류륨 과잉 조성의 n형 열전박막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As shown in Table 2, a bismuth ion concentration of 5mM, applying a plating current density of the antimony ion concentration 15mM, 10mM Tel ryuryum ion concentration of 0.3mA / cm 2 ~0.7mA / cm 2 range in the plating solution, and a thin film coating is a positive (+) Represents the Seebeck coefficient of p-type (Bi, Sb) 2 Te 3 The thermoelectric thin film was plat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t current densities ranging from 0.3 mA / cm 2 to 0.7 mA / cm 2 , more bismuth ions and antimony ions in the plating solution are electrodeposited than tellurium ions, resulting in p-type (Bi, Sb) 2 Te 3 This is because a thermoelectric thin film is formed. 1.0 mA / cm 2 on the other hand When the above plating current density was applied, the n-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was plated by exhibiting a negative Seebeck coefficient, which was more electrodeposited by the faster tellurium ions to form an n-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having a tellurium excess composition. Because
이와 같이 동일한 (Bi,Sb)2Te3 도금액에서 도금전류밀도를 조절함으로써 p형 열전박막소자와 n형 열전박막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Bi,Sb)2Te3 도금액에서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전기도금하여 열전박막모듈을 구성하였다. Like this (Bi, Sb) 2 Te 3 By controlling the plating current density in the plating solution, the p-type thermoelectric
열전박막모듈을 형성하기 위한 기판(23)으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아세톤, 알콜 및 증류수를 사용하여 각기 30초씩 초음파 세척하고 질소가스를 불어주어 건조시키며 표면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As a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기판(23)을 스퍼터 챔버내 기판 홀더에 장착후 10-5∼ 10-6 토르의 진공상태에서 150℃의 온도로 30분 유지하여 폴리이미드 필름 기판(23)에 흡착된 수분을 제거하였다. 폴리이미드 필름 기판(23)의 표면을 알곤(Ar) 가스를 사용하여 RF 스퍼터링 처리한 후, 폴리이미드 기판(23) 표면에 도 3(a)와 같이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전기도금용 씨앗층(31)인 티타늄 박막을 1㎛ 두께로 형성하였다. 10 -5 to 10 -6 after attaching the
상기와 같이 티타늄 전기도금용 씨앗층(31)을 형성한 폴리이미드 기판(23)에 사진식각법(photolithography)을 사용하여 도 3(b)와 같이 전기도금용 씨앗층(31)의 위치가 오픈(open)된 포토레지스트 패턴(32)을 형성하였다. The position of the
5M의 질산(HNO3) 용액에 비스무스(Bi) 이온농도, 안티모니(Sb) 이온농도와 텔류륨(Te) 이온농도가 각기 5mM, 15mM과 10mM이 되도록 Bi2O3 분말, Sb2O3' 분말과 TeO2 분말을 칭량하여 넣고, 도금 첨가제로 60mM 농도가 되도록 EDTA를 첨가하여 만든 전기도금액 내에 상기한 포토레지트 패턴(32)이 형성된 폴리이미드 필름 기판(23)을 음극에 설치하고 백금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하기와 같이 p형 열전박막소 자(21)과 n형 열전박막소자(22)의 전기도금을 실시하였다.Bi 2 O 3 powder, Sb 2 O 3 in 5M nitric acid (HNO 3 ) solution, so that bismuth (Bi) ion concentration, antimony (Sb) ion concentration and tellurium (Te) ion concentration are 5mM, 15mM and 10mM, respectively ' Weigh the powder and TeO 2 powder, and install the
p형 열전박막소자(21)의 전기도금을 위한 티타늄 전기도금용 씨앗층(31)에 0.5mA/cm2의 전류를 인가하여 표 2와 같이 양(+)의 지벡 계수를 갖는 p형 (Bi,Sb)2Te3 열전박막소자(21)를 도 3(c)와 같이 전기도금 하였다. p형 (Bi,Sb)2Te3 열전박막소자(21)의 전기도금이 완료된 후 n형 열전박막소자(22)의 전기도금을 위한 티타늄 전기도금용 씨앗층(31)에 1.0mA/cm2의 전류를 인가하여 표 2와 같이 음(-)의 지벡 계수를 갖는 n형 열전박막소자(22)를 도 3(d)와 같이 전기도금 하였다. A p-type (Bi) having a positive Seebeck coefficient as shown in Table 2 by applying a current of 0.5 mA / cm 2 to the
상기와 같이 동일한 (Bi,Sb)2Te3 도금액 내에서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들을 전기도금으로 형성하고 도 3(e)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32)을 제거한 후, 도 3(f)와 같이 p형 열전박막소자(21)와 n형 열전박막소자(22)들이 전기적으로는 직렬, 열적으로는 병렬연결이 되게 열전박막소자(21,22)들의 일단에는 고온단 전극(24)으로 열증착법을 이용하여 Ni-Cr 전극을 형성하였으며 다른 일단에는 저온단 전극(25)으로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전극을 형성하여 열전박막모듈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Same as above (Bi, Sb) 2 Te 3 After forming the p-type thermoelectric
본 발명에 의해 p형 열전박막소자와 n형 열전박막소자들을 서로 다른 두 도금액에서 각기 도금하는 것이 아니라 한 도금액에서 도금전류밀도를 변화시켜 p형 열전박막소자와 n형 열전박막소자들을 전기도금하여 열전박막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소형화된 비스무스 테류라이드계 열전박막모듈을 빠른 공정속도와 낮은 공정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는 공정상의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plating the p-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s and the n-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s in two different plating liquids, the plating current density is changed in one plating liquid, thereby electroplating the p-type thermal thin film elements and the n-type thermoelectric thin film elements. By constructing the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there is a process advantage that the miniaturized bismuth fluoride-based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can be formed at a high process speed and a low process cost.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10384A KR100842152B1 (en) | 2007-02-01 | 2007-02-01 |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formed by electropl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10384A KR100842152B1 (en) | 2007-02-01 | 2007-02-01 |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formed by electropl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42152B1 true KR100842152B1 (en) | 2008-06-27 |
Family
ID=3977275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103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2152B1 (en) | 2007-02-01 | 2007-02-01 |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formed by electropl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42152B1 (en)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08065B1 (en) | 2011-02-28 | 2012-12-05 | 한국기계연구원 |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rmolectric Semiconductor |
| KR101324257B1 (en) | 2011-11-22 | 2013-11-01 | 한국기계연구원 | A Thermolectric Semiconductor modu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402229B1 (en) * | 2012-10-30 | 2014-06-11 | 한국기계연구원 |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rmolectric Semiconductor |
| WO2014115909A1 (en) * | 2013-01-24 | 2014-07-31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for preparing electro conductive polymer, and thermoelement including thin film of electro conductive polymer prepared by preparation method |
| US10205205B2 (en) | 2015-12-11 | 2019-02-12 | Hyundai Motor Company | Battery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14540767A (en) * | 2022-01-24 | 2022-05-27 | 河南农业大学 | Preparation method of flexible aluminum electrode film |
| CN115274995A (en) * | 2022-06-08 | 2022-11-01 | 青岛大学 |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flexible wearable thermoelectric device |
| CN117417204A (en) * | 2023-10-18 | 2024-01-19 | 四川攀西碲铋产业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 Method for improving connection strength and conductivity of bismuth telluride-based thermoelectric material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22533A (en) | 1996-07-04 | 1998-01-23 | Citizen Watch Co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thermoelectric generator |
| JPH1070317A (en) | 1996-08-26 | 1998-03-10 | Citizen Watch Co Ltd | Manufacture of bismuth-antimony-tellurium compound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
| JP2001068746A (en) | 1999-08-24 | 2001-03-16 | Seiko Instruments Inc |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its manufacture |
-
2007
- 2007-02-01 KR KR1020070010384A patent/KR10084215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22533A (en) | 1996-07-04 | 1998-01-23 | Citizen Watch Co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thermoelectric generator |
| JPH1070317A (en) | 1996-08-26 | 1998-03-10 | Citizen Watch Co Ltd | Manufacture of bismuth-antimony-tellurium compound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
| JP2001068746A (en) | 1999-08-24 | 2001-03-16 | Seiko Instruments Inc |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its manufacture |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08065B1 (en) | 2011-02-28 | 2012-12-05 | 한국기계연구원 |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rmolectric Semiconductor |
| KR101324257B1 (en) | 2011-11-22 | 2013-11-01 | 한국기계연구원 | A Thermolectric Semiconductor modu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402229B1 (en) * | 2012-10-30 | 2014-06-11 | 한국기계연구원 |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rmolectric Semiconductor |
| WO2014115909A1 (en) * | 2013-01-24 | 2014-07-31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for preparing electro conductive polymer, and thermoelement including thin film of electro conductive polymer prepared by preparation method |
| US9484516B2 (en) | 2013-01-24 | 2016-11-01 |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 Method for prepar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polymer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
| US10205205B2 (en) | 2015-12-11 | 2019-02-12 | Hyundai Motor Company | Battery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10693202B2 (en) | 2015-12-11 | 2020-06-23 | Hyundai Motor Company | Battery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14540767A (en) * | 2022-01-24 | 2022-05-27 | 河南农业大学 | Preparation method of flexible aluminum electrode film |
| CN114540767B (en) * | 2022-01-24 | 2024-01-23 | 河南农业大学 | Preparation method of flexible aluminum electrode film |
| CN115274995A (en) * | 2022-06-08 | 2022-11-01 | 青岛大学 |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flexible wearable thermoelectric device |
| CN117417204A (en) * | 2023-10-18 | 2024-01-19 | 四川攀西碲铋产业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 Method for improving connection strength and conductivity of bismuth telluride-based thermoelectric material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42152B1 (en) |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 formed by electropl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US7851691B2 (en) | Thermoelectric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the same | |
| El Oualid et al. | Innovative design of bismuth-telluride-based thermoelectric micro-generators with high output power | |
| Hatsuta et al. | Effect of thermal annealing on the structural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electrodeposited antimony telluride thin films | |
| US9065014B2 (en) | Thermoelectric material including coating layers, method of preparing the thermoelectric material, and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thermoelectric material | |
| JP5526104B2 (en) | Thermoelectric conversion composite material, therm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paste using the same,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using the same | |
| EP2526573B1 (en) | Process for producing a nanocomposite therm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 |
| EP3467888B1 (en) | Thermoelectric leg and thermoelectric element comprising same | |
| KR101460880B1 (en) | Fabrication methods of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s using moulds consisting of via-holes and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s produced using the same method | |
| KR100993217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ntimony-teruride thermoelectric thin film device | |
| CN102113141B (en) | Therm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 |
| JP6167104B2 (en) | Method for producing therm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 |
| Ang et al. | Development of Cu2Se/Ag2 (S, Se)-Based monolithic thermoelectric generators for low-grade waste heat energy harvesting | |
| EP3553838B1 (en) | Thermoelectric module | |
| Fleurial et al. | Development of thick-film thermoelectric microcoolers using electrochemical deposition | |
| Kim et al. | Electrodeposition and thermoelectric characteristics of Bi2Te3 and Sb2Te3 films for thermopile sensor applications | |
| KR101268609B1 (en) | Fabrication methods of bismuth telluride-based thermoelectric thin films using co-evaporation of alloy composition source and tellurium source and thermoelectric thin films produced using the same method | |
| CN115096935A (en) | Silver-based chalcogenide metal insulator phase-change flexible semiconductor thermosensitive transmitter and application technology | |
| US20060283494A1 (en) | Therm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us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cooling device comprising the element | |
| WO2014073095A1 (en) |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 CN110230029B (en) | Preparation method of spinel-structured manganese-nickel oxide film | |
| JPH1070317A (en) | Manufacture of bismuth-antimony-tellurium compound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 |
| CN110319945B (en) | A kind of high temperature resistant and high sensitive flexible silicon carbide-based temperatur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 |
| KR20180091197A (en) | Thermo electric device | |
| KR20140110803A (en) | Fabrication methods of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s using moulds consisting of via-holes and thermoelectric thin film modules produced using the same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6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62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