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143B1 - One-touch piping connection - Google Patents
One-touch piping conn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5143B1 KR100855143B1 KR1020070023827A KR20070023827A KR100855143B1 KR 100855143 B1 KR100855143 B1 KR 100855143B1 KR 1020070023827 A KR1020070023827 A KR 1020070023827A KR 20070023827 A KR20070023827 A KR 20070023827A KR 100855143 B1 KR100855143 B1 KR 1008551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tube
- ring
- touch
- fastening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16L37/091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원-터치 배관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1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ne-touch pipe connector.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2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one-touch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에서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도면 및 조립상태의 단면 도면이다.3 and 4 is an exploded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pipe fastener assembly in the one-touch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에서 스토퍼 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면이다.FIG. 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stopper member taken from the one-touch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단면 도면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state for explaining the use example of the one-touch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에서 록킹-클로 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면이다.FIG. 7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locking-claw member in the one-touch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에서 컬러-링을 발췌하여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면이다.FIG. 8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ract of a color ring from a one-touch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단면 도면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state for explaining the use example of the one-touch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메인 소켓 11: 제1 관체10: main socket 11: first tube
12: 제1 확관부 13: 제2 확관부12: 1st expansion part 13: 2nd expansion part
14: 단부 14a: 밴딩 부14: end 14a: bending portion
20: 스토퍼 부재 21: 제2 관체20: stopper member 21: second tube
22: 제3 관체 23: 공간부22: third tube 23: space part
24: 리브 30: O링 부재24: rib 30: O-ring member
40: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 pipe fastener assembly
50: 백(back)링 51: 내주 경사면50: back ring 51: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52: 제1 체결부 53: 백 링 단면52: first fastening portion 53: back ring cross section
60, 60a: 록킹-클로(lock claw) 부재 61: 클로(claw) 모서리60, 60a: locking claw member 61: claw edge
64: 절곡 관체64: bending tube
70: 슬리브 71: 제4 관체70: sleeve 71: fourth tube
72: 제1 단턱 73: 제2 체결부72: first step 73: second fastening portion
74: 선단면 75: 후단면74: front section 75: rear section
80, 80a: 컬러 링 81: 제5 관체80, 80a: color ring 81: fifth tube
82: 제6 관체 83: 제2 단턱82: sixth tube 83: second step
84: 제3 체결부 85: 제3 단턱84: third fastening portion 85: third step
88: 미세 돌기 90: 캡-링88: fine protrusion 90: cap ring
91: 제4 체결부 92: 제4 단턱91: fourth fastening portion 92: fourth step
본 발명은 원-터치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형체의 파이프를 한 번의 동작(원-터치)으로 장착하거나 분리시키도록 하는 원-터치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ne-touch tubing connections, and more particularly to one-touch piping connections for mounting or detaching a solid pipe in one operation (one-touch).
일반적으로 유체가 이동되는 경로로서 파이프 배관이 이용된다.In general, pipe piping is used as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moves.
특히 두 개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시켜주어 하나의 경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하는데, 이때 파이프의 재질이 금속일 때에는 용접하여 관이음 하였다.In particular, two or more pipes should be connected to be made in one path. When the material of the pipe is metal, the pipe is welded.
그러나 용접에 의해 관이음 할 때에는 차후에 이어진 관을 분리시킬 수없는 영구이음으로서 사후관리(A/S)가 무척 불편하고, 또한, 시공에 있어서도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하며 시공자체에도 무척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pipe joint is welded, it is a permanent joint that cannot be separated afterwards, which is very inconvenient for after-sales management, and also requires a skilled technician for construction and has a very complicated problem in the construction itself. .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관체를 소켓에 직접 삽입하는 한번의 동작에 의해 관이음 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고 이러한 기술을 원-터치 배관 연결구로 알려져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 recent years,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that allows a pipe to be connected by a single operation of directly inserting a pipe into a socket.
종래의 원-터치 배관 연결구는 첨부도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소켓(1)의 내주 면에 여러 개의 부속품이 삽입되는 구성이다.Conventional one-touch piping connector is a configuration in which several accessories are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socket (1)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술한 여러 개의 부속품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토퍼 부재(2), O링 부재(3), 백(back)링(4), 롤킹 클로(lock-claw)(5), 작동 슬리브(6) 및 칼 라(collar) 링(7)으로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above-described various accessories are described as a stopper member (2), an O-ring member (3), a back ring (4), a locking claw (5), and an operating sleeve (6). ) And a collar ring (7).
즉 6개의 부속품을 메인 소켓(1)의 내주 면에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고, 메인 소켓(1)의 단부는 밴딩 부를 형성하여 칼라 링(7)이 임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That is, six accessories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술한 스토퍼 부재(2)는 관체의 내경 안쪽에는 제1 걸림 턱(2a)이 형성되고, 관체의 외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관체의 외표면에는 돌기(2b)가 형성된다.The above-mentioned
또한, 상술한 스토퍼 부재(2)는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상술한 O링 부재(3)는 밀폐 및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소재이다.The O-ring member 3 described above is a material for keeping hermetic and hermetic.
상술한 백 링(4)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되 내경은 내측이 좁고 외측이 넓은 테이퍼 면을 이루고, 외측에 제2 걸림 턱이 형성된다.The above-mentioned
상술한 록킹-클로(5)는 내주에 여러 개의 탄성 편(5a)이 메인 소켓(1)의 안쪽을 향하여 내향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In the above-described locking-
상술한 탄성 편(5a)에 외압을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가하면 탄성 편(5a)의 모서리가 벌려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편(5a)의 복원력에 의해 모서리가 중심 방향으로 오므라든다.When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상술한 작동 슬리브(6)는 제2 관체(6a)의 바깥 표면에 제3 걸림 턱(6b)이 형성된다.The
상술한 칼라 링(7)은 내주 표면에 제4 걸림 턱(7a)이 형성된다.The
이하 첨부도면 종래의 원-터치 배관 연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one-touch piping connector will be described.
메인 소켓(1)의 제1 확관부(1b)에는 스토퍼 부재(2)와 O링 부재(3)가 순차적 으로 삽입되고, 메인 소켓(1)의 제2 확관부(1c)에 백 링(4), 록킹-클로(5), 작동 슬리브(6) 및 칼라 링(7)이 삽입된다.The
상술한 스토퍼 부재(2)는 외표면에 형성된 돌기(2b)가 기초 관부(1a)와 제1 확관부(1b)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에 밀착되어 스토퍼 부재(2)가 메인 소켓(1)의 깊이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The
상술한 O링 부재(3)는 스토퍼 부재(2)와 백 링(4)사이에서 배치된다.The O-ring member 3 described above is disposed between the
상술한 백 링(4)은 제1 확관부(1b)와 제2 확관부(1c)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에 밀착되어 메인 소켓(1)의 일정 깊이 이상으로 진입하지 않는다.The
상술한 록킹-클로(5)는 상술한 백 링(4)에 닿고, 탄성 편(5a)은 백 링(4)의 테이퍼 면 내에 위치한다.The locking-
상술한 작동 슬리브(6)는 상술한 록킹-클로(5)와 칼라 링(7)사이에 배치되고 특히 제3 걸림턱(6b)은 제4 걸림턱(7a)에 걸리도록 하여 작동 슬리브(6)가 메인 소켓(1)에서 임의로 분리/이탈되지 않는다.The
또한, 메인 소켓(1)의 제2 확관부(1c)의 단부는 칼라 링(7)의 바깥쪽에서 절곡되어 밴딩 부를 이루고 밴딩부는 상술한 칼라 링(7)이 임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xpansion pipe 1c of the
배관을 하기 위한 관체는 작동 슬리브(6)의 내경을 통하여 삽입되고, 관체의 단부는 스토퍼 부재(2)의 제1 걸림턱(2a)에 걸려 그 이상으로 삽입 진행되지 않게 된다.The pipe for pipe is inserted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working
또한, O링 부재(3)는 관체의 외표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한다.In addition, the O-ring member 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to maintain airtightness.
또한, 록킹-클로(5)의 탄성 편(5a)이 관체의 외표면에 파고드는 형태로 밀착되어 관체의 외표면에 가압되는 형태로 눌려지며 관체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즉 메인 소켓(1)에 관체를 삽입하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해 관체의 배관이 이루어진다.In other words, the pipe is piped by a single operation of inserting the pipe into the
또한, 관체(P)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작동 슬리브(6)를 메인 소켓(1)의 내측 방향으로 가압한다.In addition, when removing the pipe | tube P, the
이때 작동 슬리브(6)는 상술한 탄성 편(5a)의 면을 밀쳐서 탄성 편(5a)의 모서리가 관체의 외표면 으로부터 벌려지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즉 록킹-클로(5)의 탄성 편(5a)이 벌려진 상태에서 관체를 후퇴시켜 분리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tube is retracted and separated in the state where the
그러나 상술한 작동 슬리브(6)를 가압시킬 때에는 작동 슬리브(6)의 외측 단면을 밀어주어야 하는데, 이때 외측 단면은 겉으로 드러나는 표면적이 무척 좁기 때문에 전용공구를 사용하여야만 가압할 수 있다.However, when pressing the
즉, 배관이 이루어진 관체(P)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전용공구를 반드시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용공구가 구비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관체(P)를 전혀 해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dismantle the pipe (P) made of piping, it is inconvenient to use a separate dedicated tool,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carry a dedicated tool, the pipe (P) in the state that the dedicated tool is not provid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disassembled at all.
다른 한편으로, 종래의 원-터치 배관 연결구는 반드시 필요한 부속품으로 메인소켓 내에 삽입되는 6개의 부품들을 취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one-touch piping connector has the inconvenience of dealing with six parts inserted into the main socket as a necessary accessory.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터치 배관 연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 소켓에 삽입될 부속품을 조립체로 사전에 조립하여 조립고정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고, 또한, 배관된 관체를 해체할 때에 별도의 전용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터치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ssemble the accessories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socket in advance in the assembly of the one-touch piping connector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ssembly fixing, and also when dismantling the pip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one-touch piping connection that can improve convenience by eliminating the need for special tool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는, 제1 관체의 외측에 제1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확관부의 외측에 제2 확관부가 형성되는 메인 소켓; 상기 제1 확관부에 삽입되는 스토퍼 부재; 상기 제1 확관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O링 부재; 및 상기 제2 확관부에 밀착 삽입되어 배관될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소켓의 단부에 밴딩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One-touch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irst expansion pip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pipe body and the second expansion pip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expansion pipe Main socket; A stopper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expansion pipe; An O-r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expansion pipe and disposed outside the stopper member; And a pipe fastener assembly tightly inserted into the second expansion pipe part to support the pipe to be piped, and a banding part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main socket.
또한, 상기 제1 확관부의 내경의 크기는 제1 관체의 내경 보다 지름이 0.5mm 내지 6mm만큼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expansion pipe may be formed to be larger by 0.5mm to 6mm in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tube.
또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제2 관체; 상기 제2 관체의 외주면에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 관체; 상기 공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관체와 상기 제3 관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여러 개의 리브; 및 상기 제2 관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stopper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ube body; A third tube bod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pace par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ube body; A plurality of ribs formed in the space part to maintain the second tube body and the third tube body at regular intervals; And a step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ube body.
또한, 상기 제3 관체의 끝 부분은 단면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portion of the third tube may be formed in a cross-sectional inclined form.
또한, 상기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는, 내주면은 외측의 지름이 크고 내측의 지름이 작도록 내주 경사면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백-링(back-ring); 상기 백-링의 외측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며 내측 방향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여러 개의 클로(claw) 모서리를 갖는 록킹-클로(lock-claw) 부재; 상기 록킹-클로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주에 제1 단턱이 형성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턱에 걸리도록 제5 관체의 내주에 제2단턱이 형성되고 제5 관체의 내주면에 제3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와 상기 록킹-클로 부재가 상기 제5 관체의 내주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백-링의 제1 체결부와 상기 제3 체결부가 체결 고정되는 컬러-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ipe fastener assemb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inclined surface such that the outer diameter is large and the inner diameter is small, the outer circumferential back-ring (back-ring) is formed; A lock-claw member disposed outside the back-r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claw edges which are elastic and inclined inwardly; A sleeve having a first stepped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cking-claw member; And a second stepped portion formed at an inner circumference of a fifth tube and disposed at an outer side of the sleeve and hanging on the first stepped portion, and a third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fifth tube, wherein the sleeve and the locking-claw member are disposed on the first step. And a color ring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of the back-ring are fastened and fixed in a state of being embedd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ube.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3 체결부는, 어느 한쪽이 환상형태의 요홈이고 다른 한쪽은 환상형태의 돌출선인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either one of the annular groove and the other may be an annular projection line;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3 체결부는, 어느 한쪽이 돌기이고 다른 한 쪽은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요홈인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one of which is a projection and the other may be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3 체결부는, 어느 한쪽이 수나사이고 다른 한쪽은 암나사인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one of which is a male screw and the other is a female screw; may be.
또한, 상기 컬러-링의 외측에서 상기 슬리브의 외측 단부에 체결되는 캡-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 ring is fastened to the outer end of the sleeve in the outer side of the color ring;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컬러-링은, 외주연의 내측에 미세 돌기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or ring, fine protrusions may be formed inside the outer periphery.
또한, 상기 록킹-클로 부재는, 외주연에 내측 방향으로 절곡 관체가 더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claw member may be a tubular body further bent in the inner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y.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the same components as the conventional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ne-touch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에서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도면 및 조립상태의 단면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에서 스토퍼 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단면 도면이다.FIG. 2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one-touch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pipe fastener assemblies in the one-touch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state, Figure 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stopper member in the one-touch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state for demonstrating the use example of the one-touch piping connector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는 메인 소켓(10)의 내주에 스토퍼 부재(20), O링 부재(30) 및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가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구성 된다.As shown in FIG. 2, the one-touch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상술한 메인 소켓(10)은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가 되는 제1 관체(11)의 외측에 제1 확관부(12)가 형성되고, 그 제1 확관부(12)의 외측에 제2 확관부(13)가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6, the
특히 제1 확관부(12)의 내경의 크기는 제1 관체(11)의 내경 보다 지름이 0.5mm 내지 6mm만큼 더 크게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상술한 지름의 수치 범위는 최소한 0.5mm 이상이 되어야 단차가 확연하게 형성되어 스토퍼 부재(20)가 제1 확관부(12)내에 머무르고 제1 관체(11)의 내주로 진입하지 않게 된다.The numerical value range of the above-mentioned diameter should be at least 0.5 mm or more so that the step is clearly formed so that the
또한, 상술한 수치 범위에서 내경의 차이가 6mm일 때 반지름의 차이는 3mm 이하가 되고, 이렇게 반지름이 3mm 이하이어야 제1 확관부(12)를 형성시킬 때에 단일 공정에 의해 확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fference in the inner diameter is 6mm in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range, the difference in the radius is 3mm or less, and thus the radius may be 3mm or less so that the
만약 반지름의 차이가 3mm 이상 차이 날 때에는 단일 고정에 의해 확관시키는 것은 무척 어렵고 강제적으로 확관시킬 때에는 관체의 특정부위가 터지거나 찢어지는 등의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하지 못할 수도 있다.If the difference in radius is more than 3mm, it is very difficult to expand by a single fixation and when forced to expand, it may not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such as bursting or tearing certain parts of the tube.
상술한 스토퍼 부재(20)는 상술한 제1 확관부(12)에 삽입되어 제1 관체(11)와 제1 확관부(12)가 이루는 단차에 밀착된다.The
상술한 스토퍼 부재(20)는 첨부도면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스토퍼 부재(20)는 제2 관체(21)의 외주면에 공간부(23)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제3 관체(22)가 형성되며. 상술한 공간부(23)에는 여러 개의 리브(24)가 형성되고, 제2 관체(21)의 내주면에 단턱(25)이 형성된다.The
상술한 여러 개의 리브(24)는 제2 관체(21)와 제3 관체(23)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상술한 제3 관체(22)의 끝 부분은 단면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시켜 줄 수 있고, 이렇게 경사진 단면은 상술한 메인 소켓(10)의 내주에 장착될 때에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는 작용을 하고 특히 공간부(23)는 제3 관체(22)가 변형될 때에 유연하게 변형되도록 한다.The end portion of the third
상술한 단턱(25)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될 파이프(P)의 단면(Pa)이 닿도록 하여 파이프(P)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상술한 O링 부재(30)는 상술한 메인 소켓(10)의 내주에 삽입되어 상술한 스토퍼 부재(20)의 외측에 밀착되어 삽입된다.The O-
상술한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는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는 백-링(50)과 컬러-링(80) 사이에 록킹-클로 부재(60)와 슬리브(70)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백-링(50)과 컬러-링(80)을 체결한 것이다.The
상술한 백-링(50)은 내주에 외측의 지름이 크고 내측의 지름이 작도록 내주 경사면(51)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제1 체결부(52)가 형성된다.The above-described back
상술한 제1 체결부(52)는 돌출되거나 또는 오목하게 형성 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형성시키거나 부분적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시켜 줄 수도 있다.The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1 체결부(52)는 수나사로 형성시켜 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상술한 록킹-클로 부재(60)는 탄성력을 갖고, 여러 개의 클로 모서리(61)를 갖으며, 특히 재질은 배관될 파이프의 재질에 비교하여 경도(硬度)가 더 높은 것이 좋다.The above-described locking-
또한, 클로 모서리(61)는 도 4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술한 경도는 파이프가 배관될 때에 록킹-클로 부재(60)의 클로 모서리(61)가 배관된 파이프(P)의 표면에 파고들 수 있어 파이프가 임의로 후퇴 및 분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hardness described above allows the
상술한 슬리브(70)는 제4 관체(71)의 외주 한쪽에 제1 단턱(72)이 형성되고, 제1 단턱(72)과 이격된 위치에 제2 체결부(73)가 형성된다.The
상술한 제2 체결부(73)는 돌출되거나 또는 오목하게 형성 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형성시키거나 부분적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시켜 줄 수도 있다.The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2 체결부(73)는 수나사로 형성시켜 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후단면(75)에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플랜지를 더 형성시켜 줄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the flange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상술한 컬러-링(80)은 제5 관체(81)의 외측에 단차를 형성하여 제6 관체(82)가 형성되고, 제5 관체(81)와 제6관체(82)의 내주에는 제2 단턱(83)이 형성되며, 제5 관체(81)의 내주에는 제3 단턱(85)이 형성되고 제5 관체(81)의 내주면에는 제3 체결부(84)가 형성된다.The above-mentioned
상술한 제3 체결부(84)는 상술한 제1 체결부(52)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예를 들어 제1 체결부(52)가 환상형상의 돌출선이 형성되면 제3 체결부(84)는 환상 형상의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다른 예로서 제1 체결부(52)가 환상형상의 요홈이 형성되면 제3 체결부(84)는 환상 형상의 돌출선이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또 다른 예로서 제1 체결부(52)가 환상형상처럼 연속되지 않는 돌기가 형성되면 제3 체결부(84)는 그에 상응하는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protrusions in which the
또 다른 예로서 제1 체결부(52)가 환상형상처럼 연속되지 않는 요홈이 형성되면 제3 체결부(84)는 그에 상응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recess is formed in which the
또 다른 예로서 제1 체결부(52)가 수나사로 형성되면 제3 체결부(84)는 그에 상응하는 암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또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백-링(50)의 바깥지름과 제5 관체(81)의 안쪽지름은 치수공차가 허용되는 범위내로 형성하며, 서로 억지 끼움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utside diameter of the back-
또한, 백-링(50)과 컬러-링(80)은 접착제 또는 용접 등의 수단으로 영구 결합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상술한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의 조립상태를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assembling state of the
록킹-클로 부재(60)는 백-링(50)의 백 링 단면과 컬러-링(80)의 제3 단턱(85)사이에 배치되고, 클로 모서리(61)는 내주 경사면(51)내에 배치된다.The locking-
슬리브(70)는 제4 관체(71)가 컬러-링(80)의 제6 관체(82)에 삽입되고 특히 슬리브(70)의 선단면(74)은 록킹-클로 부재(60)를 향하며 슬리브(70)의 제1 단턱(72)은 컬러-링(80)의 제2 단턱(83)을 향한다.The
상술한 슬리브(7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선 단면(74)는 록킹-클로 부재(60)를 밀어내어 록킹-클로 부재(60)를 확장시킬 수 있고, 또한, 슬리브(70)가 외측으로 이동되면 컬러-링(80)의 제2 단턱(83)에 걸려 임의로 분리/이탈되지 않는다.When the
또한, 제1 체결부(52)와 제3 체결부(84)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특히 임의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상호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In addition, the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슬리브(70)의 후단에는 캡-링(90)을 더 구비해 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end of the
상술한 캡-링(90)은 내주면에 제4 체결부(91)를 형성시켜 줄 수 있다.The cap-
상술한 제4 체결부(91)는 상술한 제2 체결부(73)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above-mentioned
예를 들어 제2 체결부(73)가 환상형상의 돌출선이 형성되면 제4 체결부(91)는 환상 형상의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다른 예로서 제2 체결부(73)가 환상형상의 요홈이 형성되면 제4 체결부(91)는 환상 형상의 돌출선이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또 다른 예로서 제2 체결부(73)가 환상형상처럼 연속되지 않는 돌기가 형성되면 제4 체결부(91)는 그에 상응하는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또 다른 예로서 제2 체결부(73)가 환상형상처럼 연속되지 않는 요홈이 형성되면 제4 체결부(91)는 그에 상응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recess is formed in which the
또 다른 예로서 제2 체결부(73)가 수나사로 형성되면 제4 체결부(91)는 그에 상응하는 암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또한, 슬리브(70)의 바깥지름과 캡-링(90)의 안쪽지름은 치수공차가 허용되는 범위내로 형성하며, 서로 억지 끼움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또한, 슬리브(70)와 캡-링(90)은 접착제 또는 용접 등의 수단으로 영구 결합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캡-링(90)은 내주면 외측에 제4 단턱(92)을 더 형성시켜 줄 수 있고, 제4 단턱(92)은 슬리브(70)의 후단면(75)이 닿도록 하여 후단면(75)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감출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상술한 바와 같은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는 첨부 도면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소켓(10)의 제2 확관부(13)의 내주에 삽입되고, 제2 확관부(13)의 단부(14)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딩 부(14a)를 형성하여 메인 소켓(10)에서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이하 첨부도면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의 작용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state of the one-touch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6.
배관을 하기 위한 관체(P)는 슬리브(70)의 내주를 통하여 삽입되고, 관체(P)의 단부(Pa)는 스토퍼 부재(20)의 단턱(25)에 걸려 더 이상 삽입이 진행되지 않는다.Pipe body P for piping is inserted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또한, O링 부재(30)는 관체(P)의 외표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한다.In addition, the O-
또한, 록킹-클로(60)의 클로 모서리(61)가 관체(P)의 외표면에 가압되는 형태로 눌려지며 관체(P)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한다. Further, the
즉 메인 소켓(10)에 관체(P)를 삽입하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해 관체(P)의 배관이 이루어진다.That is, piping of the pipe body P is performed by one operation | movement which inserts the pipe body P into the
또한, 관체(P)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슬리브(70)를 메인 소켓(10)의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킨다.In addition, when removing the tubular body P, the
상술한 슬리브(70)는 선단면(74)이 록킹-클로 부재(60)의 면을 밀쳐서 클로 모서리(61)가 관체(P)의 외표면으로부터 벌려지도록 한다.The
즉 록킹-클로 부재(60)의 클로 모서리(61)가 벌려진 상태에서 관체(P)를 후퇴시켜 분리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state where the
특히 슬리브(70)를 가압/이동시킬 때에 캡-링(90)은 외부로 들어나게 구성되므로 별도의 전용공구 없이 캡-링(90)에 곧바로 가압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pressing / moving the
따라서 종래의 원-터치 배관 연결구는 관체(P)를 해체할 때에 반드시 전용공구를 필요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에서는 관체(P)를 해체할 때에 별도의 전용공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인 아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one-touch piping connector requires a dedicated tool when dismantling the pipe (P), but in the one-touch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dedicated tool when dismantling the pipe (P). May be used but is not required.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소켓(10)에 부속품을 삽입 순서에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ne-touch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ssemble by inserting the accessories in the insertion order to the
특히, 사전에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를 별도로 조립함으로서 실질적으로 메인 소켓(10)에 부속품을 조립할 때에는 스토퍼 부재(20)와 O링 부재(30) 및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의 3개의 개체를 조립하는 것으로 3개의 개체의 부속품을 공급하는 공급 유닛을 갖추게 되고, 원-터치 배관 연결구를 조립하는 자동화 기계를 단순화 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by assembling the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ne-touch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예로서 특히 록킹-클로 부재(60a)와 컬러-링(80a)를 변형한 예이고, 그 외의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a modification of the locking-
상술한 록킹-클로 부재(60a)는 첨부도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locking-
록킹-클로 부재(60a)는 탄성력을 갖고, 여러 개의 클로 모서리(61)를 갖으며, 외주연에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 관체(64)가 형성된다.The locking-
상술한 록킹-클로 부재(60a)의 재질은 배관될 파이프의 재질에 비교하여 경도(硬度)가 더 높은 것이 좋다.The material of the locking-
또한, 클로 모서리(61)는 도 7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술한 경도는 파이프가 배관될 때에 록킹-클로 부재(60)의 클로 모서리(61)가 배관된 파이프(P)의 표면에 파고들 수 있어 파이프가 임의로 후퇴 및 분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hardness described above allows the
상술한 록킹-클로 부재(60a)는 제1 실시예에서 처럼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의 구성요소로서 체결된다.The locking-
이를 첨부도면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록킹-클로 부재(60a)는 백-링(50)의 백 링 단면과 컬러-링(80)(80a)의 제3 단턱(85)사이에 배치되고, 클로 모서리(61)는 내주 경사면(51)내에 배치된다.9, the locking-
특히 절곡 관체(64)는 외주면이 컬러-링(80)(80a)의 내주연에 닿도록 배치되는데 슬리브(70)가 이동되어 록킹-클로 부재(60a)의 클로 모서리(61)를 확장시킬 때에 절곡 관체(64)와 컬러-링(80)(80a)의 내주연은 면(面) 접촉을 하게 되므로 서로 긁히거나 파고들지 않고 원활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bending
상술한 컬러 링(80a)은 첨부도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컬러-링(80a)은 제5 관체(81)의 외측에 단차를 형성하여 제6 관체(82)가 형성되고, 제5 관체(81)와 제6관체(82)의 내주에는 제2 단턱(83)이 형성되며, 제5 관체(81)의 내주에는 제3 단턱(85)이 형성되고 제5 관체(81)의 내주면에는 제3 체결부(84)가 형성되며, 외주연의 내측에는 미세 돌기(88)가 형성된다.The
상술한 미세 돌기(88)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복수 개의 미세 돌기(88)는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상술한 미세 돌기(88)는 첨부도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소켓(10)의 제2 확관부(13) 내에 배치된다.The
특히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를 메인 소켓(10)에 삽입 장착하였을 때에 미세 돌기(88)는 제2 확관부(13)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가 제2 확관부(13)내에서 일시적으로 고정되고 이렇게 일시적으로 고정됨으로 인하여 반대쪽에 메인 소켓(10)의 반대쪽이나 다른 쪽에 또 다른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를 삽입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특히 메인 소켓(10)의 반대 쪽에 다른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를 삽입시킬 때에 먼저 삽이시킨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는 상술한 미세 돌기(88)에 의해 압착되어 임의로 흘러내리거나 분리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더욱 편리하게 조립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inserting the other
다른 한편으로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메인 소켓(10)은 양방향 직관형태일 수 있고, T관, U관, Y관, 등 다양한 관이음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관이음에 소켓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켓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2 실시에에 의한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40)를 삽입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s,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구는 메인 소켓에 3개 개체의 부속품(스토퍼 부재, O링 부재,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을 순차적으로 삽입하는 과정에 의해 조립이 완성되므로 조립공정이 무척 쉽고 특히 자동화 기계에 조립이 이루어질 때에 부속품의 공급 유닛을 3개만 구비함으로서 자동화 기계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one-touch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assembled by a process of sequentially inserting three object accessories (stopper member, O-ring member, pipe fastener assembly) into the main socket. Since this is completed, the assembly process is very easy, and in particular, when the assembly is performed on the automated machine, only three supply units of accessories are provided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ed machine.
다른 한편으로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를 사전에 별도로 조립하도록 함으로서 파이프 조임구 조립체가 완성된 상태로 별도로 외주 업체에 의뢰할 수도 있고, 이렇게 특정한 부속품(파이프 조임구 조립체)를 분업하여 조립하도록 함으로서 조립공정을 전문화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채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ipe fastener assembly may be separately assembled in advance, so that the pipe fastener assembly may be completed and commissioned by a subcontractor separately. Thus, the assembly process may be performed by specially arranging a specific accessory (pipe fastener assembly). It can be specialized and the assembly process can be done quickly to improve profitability and to expect quality improvement.
또 다른 한편으로 종래의 배관된 관체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용공구를 필요로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공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관체를 해체할 수 있으므로 전용공구를 구비해야한다는 부담감을 갖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고, 쉽게 관체를 해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ismantle the conventional piped body, a dedicated tool is necessary,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ipe can be dismantled without a separate tool, there is an advantage of not having the burden of having a dedicated tool. And the pipe can be easily dismantled to improve work efficiency.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23827A KR100855143B1 (en) | 2007-03-12 | 2007-03-12 | One-touch piping conn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23827A KR100855143B1 (en) | 2007-03-12 | 2007-03-12 | One-touch piping connec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55143B1 true KR100855143B1 (en) | 2008-08-28 |
Family
ID=3987887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23827A Active KR100855143B1 (en) | 2007-03-12 | 2007-03-12 | One-touch piping conne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55143B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38312B1 (en) * | 2016-04-19 | 2016-07-21 |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 Pipe joint adapter |
| WO2023033225A1 (en) * | 2021-08-30 | 2023-03-09 |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 Insertion-type pipe connection device |
| CN116075665A (en) * | 2021-08-30 | 2023-05-05 | 正友金属工业株式会社 | Plug-in pipe connection device |
| KR20230001131U (en) * | 2021-11-26 | 2023-06-02 | 김환영 | connection device for air-conditioner pip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0723103A2 (en) | 1995-01-19 | 1996-07-24 | Legris S.A. | Device for rapidly connecting a tube to a rigid element |
| EP1178255A2 (en) | 2000-06-28 | 2002-02-06 | Pegler Limited | Tube coupling |
| KR20040103771A (en) * | 2003-05-23 | 2004-12-09 |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 Tube Joint |
| KR20060011765A (en) * | 2004-07-29 | 2006-02-03 | 닛타.무어가부시키카이샤 | Pipe joint |
-
2007
- 2007-03-12 KR KR1020070023827A patent/KR10085514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0723103A2 (en) | 1995-01-19 | 1996-07-24 | Legris S.A. | Device for rapidly connecting a tube to a rigid element |
| EP1178255A2 (en) | 2000-06-28 | 2002-02-06 | Pegler Limited | Tube coupling |
| KR20040103771A (en) * | 2003-05-23 | 2004-12-09 |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 Tube Joint |
| KR20060011765A (en) * | 2004-07-29 | 2006-02-03 | 닛타.무어가부시키카이샤 | Pipe joint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38312B1 (en) * | 2016-04-19 | 2016-07-21 |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 Pipe joint adapter |
| WO2023033225A1 (en) * | 2021-08-30 | 2023-03-09 |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 Insertion-type pipe connection device |
| CN116075665A (en) * | 2021-08-30 | 2023-05-05 | 正友金属工业株式会社 | Plug-in pipe connection device |
| KR20230001131U (en) * | 2021-11-26 | 2023-06-02 | 김환영 | connection device for air-conditioner pipe |
| KR200497198Y1 (en) * | 2021-11-26 | 2023-08-25 | 김환영 | connection device for air-conditioner pip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1443252B1 (en) | Tube joint | |
| EP2213928B1 (en) | Push lock pipe connection system | |
| JP5765887B2 (en) | Quick connector with seal assembly and retainer | |
| US20100078934A1 (en) | Connector | |
| KR100855143B1 (en) | One-touch piping connection | |
| JP6289122B2 (en) | Detachment prevention fitting | |
| CN103486373A (en) | Push type rapidly-connected pipe fitting | |
| US10030799B2 (en) | Pipe joint | |
| JP5417589B2 (en) | Pipe fitting | |
| EP1432943B1 (en) | Connections | |
| JP2005188705A (en) | Pipe detaching tool for pipe joint | |
| JP5312181B2 (en) | Detachment prevention fitting and lock ring centering member | |
| CN216307049U (en) | Novel pipeline connecting piece | |
| CN216009926U (en) | Buckle formula sleeve pipe connection spare | |
| JP4740219B2 (en) | Pipe connection structure | |
| JP2005195065A (en) | Pipe connector | |
| JP6971194B2 (en) | Inner surface joint Expansion device for joining pipe joints, attachments and pipe joining methods | |
| JP2012189135A (en) | Pipe joint structure and centering ring | |
| KR100736878B1 (en) | Hose connecting structure | |
| KR100493329B1 (en) | Pipe coupler | |
| JP7058313B2 (en) |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removal tool | |
| JP6490910B2 (en) | Removal jig | |
| CN213018257U (en) | Fast inserting structure and pipeline structure with same | |
| JP5507902B2 (en) | Pipe joint mechanism, pipe joint, pipe connection method using pipe joint, pipe connection and separation method using pipe joint, and piping structure | |
| JP5581097B2 (en) | Sealing tool and joint connec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