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062B1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6062B1 KR100856062B1 KR1020070030710A KR20070030710A KR100856062B1 KR 100856062 B1 KR100856062 B1 KR 100856062B1 KR 1020070030710 A KR1020070030710 A KR 1020070030710A KR 20070030710 A KR20070030710 A KR 20070030710A KR 100856062 B1 KR100856062 B1 KR 1008560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ck
- delay
- signal
- delay lock
- act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6—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 H03K5/1565—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the output pulses having a constant duty cycle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27—Standby or low power m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모되는 전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파워다운모드에 지연고정루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지연고정동작을 통해 지연고정된 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지연고정클럭 생성회로; 액티브 프리차지 파워다운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액티브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모드신호 생성부; 및 상기 액티브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신호에 응답하여, 예정된 주기마다 지연고정클럭 생성회로의 지연고정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상기 지연고정클럭 생성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지연고정동작 제어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at can control the delay locked loop circuit in the power-down mode in order to reduce the current consumed as much as possibl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ystem clock is delayed fixed through the delay lock operation A delay locked clock generation circuit for generating a clock; A mode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ctive precharge power down mode signal activated in an active precharge power down mode; And a delay lock operation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elay lock clock generation circuit to activate the delay lock operation of the delay lock clock generation circui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response to the active precharge power down mode signal. do.
Description
도1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럭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도2는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버퍼 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FIG.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buffer controller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도3은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버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buffer unit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1;
도4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럭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도4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버퍼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FIG. 5 is a circuit diagram of a buffer controller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4; FIG.
도6은 도4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버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FIG. 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buffer unit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4; FIG.
도7은 도6에 도시된 지연고정 동작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FIG.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delay lock operation control unit shown in FIG.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럭도.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showing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DLL 제어부 200: 클럭버퍼부100: DLL control unit 200: clock buffer unit
300: 버퍼제어부 400A: 제1 딜레이부300:
400B: 제2 딜레이부 500 : 모드제어부400B: second delay unit 500: mode control unit
600: 위상비교기 700: 지연모델600: phase comparator 700: delay model
800: 듀티보정회로 800: duty correction circui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지연고정루프(Delay Locked Loop, DLL)회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lay locked loop (DLL) circuit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다양한 기능을 동작하는 다수의 반도체 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에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처리장치, 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요구 장치로 출력하거나, 데이터 처리장치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그 데이터와 같이 입력된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위셀에 저장한다.In a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devices operating various functions,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a device for storing data.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utputs data corresponding to an address input from a data processing device,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to a data requesting device, or transmits data transferred from the data processing device to a data input devi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address inputted with the data. Store in the unit cell of the device.
시스템의 동작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그 시스템에 구비되는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요구하는 데이터 입출력속도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반도체 집적회로의 기술 개발과정에서, 데이터 처리장치의 동작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있는데, 데이터 처리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속도는 데이터 처리장치의 속도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As the operating speed of a system increases, the data input / output speed required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ncluded in the system also increases. However, until recently, in the process of technology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the operation speed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is getting faster and faster. The data input / output speed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at exchanges data with the data processing device does not depend on the speed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have.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속도를 데이터 처리 장치가 요구하는 수준까지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개발되었다. 최근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는 데이터 처리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클럭의 주기마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가 제안되었다. 동기식 메모리 장치는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고, 입력된 시스템클럭의 주기에 대응하여 데이터 처리장치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데이터 처리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시스템 클럭의 주기마다 입력받는다. 그러나, 동기식 메모리 장치로도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속도에 따라가지 못함에 따라, DDR 동기식 메모리 장치가 개발되었다. DDR 동기식 메모리 장치는 시스템 클럭의 천이마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입력받는다. 즉, 시스템클럭의 상승천이와 하강천이에 각각 동기시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출력한다. Various types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increase the data input / output speed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o a level required by the data processing device. Until recently, the most widely us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s been proposed a synchronous memory device for outputting data every cycle of a system clock equipped with a data processing device.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receives a system clock and outputs data to a data processing device in response to a cycle of the input system clock, or receives data from the data processing device every cycle of the system clock. However, even as a synchronous memory device does not match the operation speed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a DDR synchronous memory device has been developed. DDR synchronous memory devices output or receive data at every transition of the system clock. That is, data is input or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and falling transitions of the system clock, respectively.
그러나, 메모리 장치에 입력된 시스템 클럭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에 배치된 클럭입력버퍼, 클럭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라인등에 의해 필연적으로 지연시간을 가지고 데이터 출력회로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출력회로가 이미 지연시간을 가지고 전달된 시스템 클럭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데이터를 전달받는 외부의 장치는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 에지에 동기되지 않은 데이터를 전달받게 된다.However, the system clock input to the memory device inevitably arrives at the data output circuit with a delay time by a clock input buffer disposed i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a clock signal, and the like. Therefore, when the data output circuit outputs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ystem clock that has already passed the delay time, the external device receiving the output data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receives data that is not synchronized with the rising and falling edges of the system clock. You will be delivered.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클럭신호의 지연을 고정시키는 지연고정루프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지연고정루프 회로는 시스템 클럭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어 데이터 출력회로로 전달될 때까지 메모리 장치의 내부 회로에 의해 지연되는 값을 보정하기 위한 회로이다. 지연고정루프 회로는 시스템 클럭이 반 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입력버퍼 및 클럭신호 전송라인등에 의해 지연되는 시간을 찾아내고, 찾아낸 값에 대응하여 시스템 클럭을 지연시켜 데이터 출력회로로 출력한다. 즉, 지연고정루프 회로에 의해서, 메모리 장치에 입력된 시스템 클럭은 지연값이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로 데이터 출력회로로 전달되는 것이다. 데이터 출력회로는 지연고정된 클럭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출력하며, 외부에서는 시스템 클럭에 정확하게 동기되어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es a delay lock loop circuit which fixes a delay of a clock signal. The delay locked loop circuit is a circuit for correcting a value delayed by an internal circuit of the memory device until the system clock is input to the memory device and transferred to the data output circuit. The delay locked loop circuit finds a time at which the system clock is delayed by the clock input buffer and the clock signal transmission line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elays the system clock in response to the found value to output the data to the data output circuit. That is, the system clock input to the memory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data output circuit with the delay value fixed by the delay lock loop circuit. The data output circuit outputs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a delayed clock, and externally determines that data is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ystem clock.
실제 동작은 데이터가 출력되어야 하는 시점보다 한 주기 앞 선 어떤 결정된 시점에서 지연고정루프 회로에서 출력되는 지연고정클럭이 출력버퍼에 전달되고, 전달된 지연고정클럭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 클럭이 메모리 장치의 내부회로에 의해 지연되는 만큼보다 더 빠르게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것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메모리 장치의 외부에서는 메모리 장치에 입력된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에지에 각각 정확하게 동기되어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결국 지연고정루프 회로는 데이터를 얼마만큼 더 빨리 출력시켜야 메모리 장치의 내부에서 시스템 클럭의 지연값을 보정할 수 있는지 찾아내는 회로이다.In the actual operation, at a determined point before the data should be output, the delay lock clock output from the delay lock loop circuit is transferred to the output buffer, and the data is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lay lock clock. Therefore, the system clock outputs data faster than the delay of the internal circuit of the memory device. By doing so, it appears that data is output from the memory devic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and the falling edge of the system clock input to the memory device. After all, a delay locked loop circuit is a circuit that finds out how much faster data must be output to correct the delay of the system clock inside the memory device.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상태에 따라 최적의 동작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동작할 수 있는 동작모드도 다양해지고 있다. 파워다운모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데이터를 억세스하지 않을 때 파워를 절약하기 위한 동작모드이다. 최근에 개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파워다운모드는 프리차지 파워다운모드와 액티브 파워다운모드가 있다. 액티브 파워다원모드는 데이터를 억 세스하기 위한 워드라인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파워다운모드로 진입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고, 프리차지 파워다운모드는 프리차지 상태에서 파워다운모드로 진입하는 경우를 말한다.As technology advances, an operation mode in which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n operate to maintain an optimal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a system is also increasing. The power down mode is an operation mode for saving power whe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does not access data. Recently, the power down mode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s been developed into a precharge power down mode and an active power down mode. The active power multiple mode refers to a case of entering a power down mode while a word line for accessing data is activated, and the precharge power down mode refers to a case of entering a power down mode from a precharge state.
일반적으로 지연고정루프 회로는 액티브 파워다운모드에서는 지연고정된 클럭을 파워다운모드임에도 불구하고 출력하게 되고, 프리차지 파워다운모드에서는 지연고정된 클럭의 출력을 중단한다. 이는 프리차지 파워다운모드에서는 파워다운모드가 탈출한 뒤에 바로 지연고정된 클럭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지연고정된 클럭이 바로 필요없는데 반해, 액티브 파워다운모드에서는 파워다운모드를 탈출한 뒤에 바로 지연고정된 클럭이 필요하기 때문이다.In general, the delay locked loop circuit outputs a delay locked clock in the active power down mode despite the power down mode, and stops output of the delay locked clock in the precharge power down mode. In precharge power-down mode, the delayed clock is not needed immediately after the power-down mode exits. In the active power-down mode, delay lock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exiting the power-down mode. This is because a clock is needed.
액티브 파워다운모드에서는 일방적으로 지연고정루프 회로를 비활성화상태로 유지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액티브 파워다운모드는 파워다운모드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전류를 지연고정루프 회로 때문에 소모할 수 밖에 없다. In the active power-down mode, it is impossible to unilaterally keep the delay lock loop circuit inactive. Therefore, although the active power-down mode is a power-down mode, a lot of current is consumed due to the delay locked loop circuit.
본 발명은 동작모드에 따라 지연고정루프 회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controlling a delay locked loop circuit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mode.
본 발명은 소모되는 전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파워다운모드에 지연고정루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액티브 파워다운모드에서 지연고정루프 회로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delay locked loop circuit in a power-down mode in order to minimize current consumption.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elay locked loop circuit in an active power down mode.
본 발명은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지연고정동작을 통해 지연고정된 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지연고정클럭 생성회로; 액티브 프리차지 파워다운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액티브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모드신호 생성부; 및 상기 액티브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신호에 응답하여, 예정된 주기마다 지연고정클럭 생성회로의 지연고정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상기 지연고정클럭 생성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지연고정동작 제어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lay locked clock generation circuit for receiving a system clock to generate a delay locked clock through a delay lock operation; A mode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ctive precharge power down mode signal activated in an active precharge power down mode; And a delay lock operation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elay lock clock generation circuit to activate the delay lock operation of the delay lock clock generation circui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response to the active precharge power down mode signal. do.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기준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클럭버퍼부; 액티브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에서 상기 클럭버퍼부를 예정된 주기마다 활성화시키기 위한 클럭버퍼 제어부; 및 상기 기준클럭을 입력받아 지연고정동작을 통해 지연고정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지연고정루프 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lock buffer unit for generating a reference clock by receiving a system clock; A clock buffer controller for activating the clock buffer uni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n active precharge power-down mode; And a delay lock loop circuit configured to receive the reference clock and generate a delay lock clock through a delay lock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기준클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클럭과 피드백클럭의 위상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위상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클럭을 지연시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지연된 기준클럭을 모델링된 지연값으로 지연시켜 상기 피드백클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에서 예정된 주기마다 피드백클럭의 생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a reference clock by receiving a system clock; Comparing phases of the reference clock and the feedback clock; Delaying and outputting the reference clock in response to the phase comparison result; Generating the feedback clock by delaying the delayed reference clock to a modeled delay value; And controlling generation of a feedback clock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n active power-down mod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1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특히 지연고정루프 회로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particular, it is shown mainly in the delay locked loop circuit.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어클럭 생성부(5), DLL 제어부(10), 클럭버퍼부(20), 버퍼 제어부(30), 제1 딜레이부(40A), 제2 딜레이부(40B), 모드제어부(50), 위상비교부(60), 지연모델(70), 듀티보정회로(80), 클럭드라이버(90)를 구비한다. 제어클럭생성부(5)는 인에이블 신호(DCC_ENb)와 컨트롤 클럭(CONTCLK)을 입력받아 업데이트 기준클럭(P2)를 생성한다. DLL 제어부(10)는 제어신호(DLL_REDELB, CIS_DLL)를입력받아서 리셋신호(RST)를 생성한다. 클럭버퍼부(20)는 시스템클럭(CLK,CLKB)을 입력받아 버퍼링하여 제1 및 제2 내부클럭(CLKIN1,CLKIN2)과 기준클럭(REFCLK)과 컨트롤 클럭(CONTCLK)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버퍼제어부(30)는 내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_COM)와, 액티브 아이들신호(RASIDLE)와, MRS 셋팅신호(SAPC)를 입력받아 클럭버퍼부(20)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클럭버퍼 인에이블신호(CLKBUF_ENB)를 생성한다. 내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_COM)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입력되는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버퍼링한 신호이다. 액티브 아이들신호(RASIDLE)는 명령어 디코더(도시안되며)에서 외부에서 입력된 명령어신호를 디코딩하여 생성하는 신호로서, 액티브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신호이다. MRS 셋팅신호(SAPC)는 MRS 레지스터에 저장된 정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신호로서, 패스트 프리차지 모드와 슬로우 프리차지 모드중 어떤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지를 알려주는 신호이다.Referring to FIG. 1,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may include a
제1 딜레이부(40A)는 제1 내부클럭(CLKIN1)을 모드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지연시킨 클럭(MIXOUT_R)을 출력한다. 제2 딜레이부(40B)는 제2 내부클럭(CLKIN2)을 모드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지연시킨 클럭(MIXOUT_F)을 출력한다. 실제로 일반적인 지연고정루프 회로는 단위지연부를 체인으로 가지고 있는 코어스딜레이부와, 단위딜레이부가 가지는 지연시간보다 더 미세한 지연시간의 지연을 조절하기 위한 미세딜레이부와 위상비교기의 결과에 따라 코어스딜레이부와 미세딜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딜레이제어부를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는 편의상 코어스딜레이부와 미세딜레이부와 딜레이젱부를 제1 딜레이부(40A)와 제2 딜레이부(40B)와 같이 하나의 회로블럭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제1 딜레이부(40A)와 제2 딜레이부(40B)는 업데이트 기준클럭(P2)에 동기되어 지연고정된 클럭(MIXOUT_R,MIXOUT_F)의 지연고정된 값을 수정하게 된다.The first delay unit 40A outputs a clock MIXOUT_R obtained by delaying the first internal clock CLKIN1 under the control of the
모드제어부(50)는 패스트모드 제어신호(FM_PDOUT_R, FM_PDOUT_F)와 노멀모드 제어신호(CO_R, FI_R, CO_F, FI_F)를 입력받아 패스트 모드 락킹신호(ACT_MODE_END, ACT_MODE_ENDF)와 노멀 락킹신호(LOCK_STATE, LOCK_STATEF)를 생성한다. 패스트모드 락킹신호(ACT_MODE_END, ACT_MODE_ENDF)는 패스트 락킹동작의 시작과 종료를 제어하는 신호이고, 노멀 락킹신호(LOCK_STATE,LOCK_STATEF)는 제1 및 제2 딜레이부(40A,40B)에 각각 구비되는 코어스딜레이부와 미세딜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노멀 락킹신호(LOCK_STATE,LOCK_STATEF)는 코어스 제어신호(CO_R.CO_F)와 파인 제어신호(FI_R,FI_L)에 응답하여 생성되며, 패스트 모드 락 킹신호(ACT_MODE_END)는 패스트모드 제어신호(FM_PDOUTR)에 응답하여 생성된다. 리셋신호(RST)는 모드제어부(50)의 리셋동작을 위한 신호로서, DLL 제어부(1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이다. The
위상비교기(60)는 기준클럭(REFCLK)과 라이징 피드백클럭(FBCLKR)의 위상과 기준클럭(REFCLK)과 폴링 피드백클럭(FBCLKF)의 위상차리를 각각 비교하고, 그에 대응하는 결과신호를 생성한다. 위상비교기(30)는 기준클럭(REFCLK)과 라이징 피드백클럭(FBCLKR)의 위상을 비교하여, 패스트 락킹동작이 필요할 경우에는 패스트 락킹신호(FM_PDOUT)를 생성하고, 노멀 락킹동작이 필요할 경우에는 노멀락킹 신호(COARSE, FINE)를 생성한다. 패스트 락킹동작은 지연고정루프 회로가 지연고정동작을 수행할 때에 지연값의 조정을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것이고, 노멀 락킹동작은 지연값의 조정을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 내에서 변화시키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위상비교기(60)는 딜레이부(40A,40B)에 구비되는 코어스 딜레이의 지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어스신호(COARSE)와 미세딜레이의 지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파인신호(FINE)를 출력하는 것이다. 코어스 딜레이와 미세딜레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딜레이부(40A)와 제2 딜레이부(40B)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위상비교기(30)는 기준클럭(REFCLK)과 폴링 피드백클럭(FBCLKF)의 위상을 비교하여, 패스트 락킹동작이 필요할 경우에는 패스트 락킹신호(FM_PDOUTF)를 생성하고, 노멀 락킹동작이 필요할 경우에는 노멀락킹 신호(COARSEF, FINEF)를 생성한다. The
듀티보정회로(80)는 제1 딜레이부(40A)와 제2 딜레이부(40B)에서 출력되는 클럭(MIXOUT_R, MIXOUT_F)의 듀티비를 보정하여 지연모델(70)로 출력한다. 지연모 델(80)은 듀티가 보정된 클럭(IFBCLKR,IFBCLKF)을 모델링된 값만큼 지연시켜 라이징 피드백 클럭과 폴링 피드백 클럭(FBCLKR,FBCLKF)을 생성한다. 여기서 모델링된 값은 시스템 클럭이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어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회로에 전달될 때까지의 지연시간을 모델링한 것이다. 출력드라이버(90)는 듀티가 보정된 클럭(IFBCLKR,IFBCLKF)을 이용하여 지연고정클럭(IRCLKDLL, IFCLKDLL)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회로는 지연고정클럭(IRCLKDLL, IFCLKDLL)의 천이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지연고정클럭(IRCLKDLL, IFCLKDLL)의 천이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면, 시스템 클럭의 천이에 정확하게 동기되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외부로 출력되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The duty
도2는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버퍼 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제어부(30)는 내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_COM)와 액티브 아이들신호(RASIDLE)와 MRS 셋팅신호(SAPC)를 입력 받는 낸드게이트(ND1)와, 낸드게이트(ND1)의 출력을 반전하여 클럭버퍼 인에이블 신호(CLKBUF_ENB)를 출력하는 인버터(I1)를 구비한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buffer controller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2, the
도3은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버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버퍼부(20)는 클럭버퍼 인에이블신호(CLKBUF_ENB)에 활성화되어 시스템클럭(CLK,CLKB)을 입력받아 버퍼링하여 제1 및 제2 내부클럭(CLKIN1,CLKIN2)과 기준클럭(REFCLK)과 컨트롤 클럭(CONTCLK)을 생성하기 위해, 버퍼(21), 낸드게이트(ND2,ND3), 인버터(I2 ~ I5)를 구비한다.FIG.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buffer unit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3, the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억세스하지 않을 때에 파워다운모드가 되고, 파우다운모드에서는 액티브 파워다운모드와 프리차지 파워다운모드가 있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지연고정루프 회로는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에서는 파워다운모드임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지연고정 동작을 하고, 지연고정된 클럭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액티브 파워다운모드에서는 파워다운모드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전류를 소모하게 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nters a power down mode when data is not accessed, and there is an active power down mode and a precharge power down mode in the power down mode. The delay locked loop circuit shown in FIG. 1 performs a normal delay lock operation and outputs a delay locked clock despite the power down mode in the active power down mode. Therefore, in the active power down mode, even though the power down mode consumes a lot of current is a problem.
본 발명에서는 액티브 파워다운모드에서 지연고정루프 회로 소모되는 전류양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aximally reducing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by a delay locked loop circuit in an active power-down mode.
도4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어클럭 생성부(50), DLL 제어부(100), 클럭버퍼부(200), 버퍼 제어부(300), 제1 딜레이부(400A), 제2 딜레이부(400B), 모드제어부(500), 위상비교부(600), 지연모델(700), 듀티보정회로(800), 클럭드라이버(900)를 구비한다. 제어클럭 생성부(50), DLL 제어부(100), 제1 딜레이부(400A), 제2 딜레이부(400B), 모드제어부(500), 위상비교부(600), 지연모델(700), 듀티보정회로(800), 클럭드라이버(900)는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도시된 같은 명칭의 블럭들과 실질적으로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버퍼제어부(300)는 액티브모드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액티브 아이들신호(RASIDLE)와, 내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_COM)와, 패스트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인지 슬로우 프리차지 파워다운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MRS 레지스터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MRS 셋팅신호(SAPC)를 입력받아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신호(ACT_PD)와, 클럭버퍼 인에이블신호(CLKBUF_ENB)를 생성한다. 클럭버퍼부(200)는 시스템클럭(CLK,CLKB)을 입력받아 내부클럭(CLKIN1, CLKIN2)과, 기준클럭(REFCLK)과 컨트롤클럭(CONTCLK)과 업데이트 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클럭버퍼부(200)는 클럭버퍼 인에이블신호(CLKBUF_ENB)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내부클럭(CLKIN1, CLKIN2)과, 기준클럭(REFCLK)과 컨트롤클럭(CONTCLK)을 생성하지만, 액티브모드신호(ACT_PD)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예정된 일정한 주기마다 기준클럭(REFCLK)과 컨트롤클럭(CONTCLK)을 생성한다. 즉, 클럭버퍼부(200)는 모드신호(ACT_PD)가 활성화되어 입력되는 동안에는 기준클럭(REFCLK)과 컨트롤클럭(CONTCLK)을 항상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주기 마다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업데이트 신호(UPDATA_EN)은 파워다운모드에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인에이블시키는 신호이며, 여기서는 지연모델(700)의 활성화를 제어한다.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액티브 파워다운모드에서 항상 지연고정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예정된 주기마다 지연고정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전에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지연고정된 클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억세스 하는 도중에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하게 되더라도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동안과 같은 지연고정동작이 이루어졌었다. 그로 인해 불필요한 많은 전류가 낭비되었다. 그러나 본원발명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한 이후에 지연고정동작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예정된 주기마다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Therefore,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always perform the delay lock operation in the active power down mode. The delay lock operation is perform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Previously, even i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nters the active power-down mode while accessing data using the delayed clock, the same delay lock operation is performed as during the data access. This wastes a lot of unnecessary current. However,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ntinuously perform the delay lock operation after entering the active power-down mode, but may reduce the current consumed since it is performed at predetermined periods.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지연고정루프 회로는 지연고정된 클럭을 출력하고 있기 때문에,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에서는 지연고정된 클럭의 미세조정이 주로 이루어진다.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가 탈출되면, 지연고정루프 회로에서 지연고정된 클럭을 바로 출력할 수 있고, 이 지연고정된 클럭을 이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의 탈출시 데이터의 억세스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Before entering the active power down mode, the delay locked loop circuit typically outputs a delay locked clock, so in the active power down mode, fine tuning of the delay locked clock is mainly performed. When the active power down mode is released, the delay locked loop circuit can directly output the delayed clock and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n output data using the delayed clock so that the active power down mode can be exited. The access time of time data can be effectively reduced.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에서도 클럭드라이버(900)에서는 지연고정된 클럭(IRCLKDLL, IFCLKDLL)을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파워다운모드에서 클럭이 전달되는 경로에 있는 회로, 예를 들면 제1 딜레이부(400A), 제2 딜레이부(400B), 듀티보정회로(800), 클럭드라이버(900)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지만, 지연모델(700)과, 위상비교기(600)와 같이 지연고정동작을 위한 회로는 예정된 주기마다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액티브 파워다운모드에서 지연고정된 클럭은 출력이 되나, 지연고정동작은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액티브 파워다운모드에서 클럭버퍼부와 지연모델을 제어함으로서 지연고정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한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clock driver 900 outputs delayed fixed clocks IRCLKDLL and IFCLKDLL even in the active power-down mode. Therefore, a circuit 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clock is transmitted in the power-down mode, for example, the
한편,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에서 지연고정동작을 하는 주기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정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클럭의 1024 클럭마다 시스템클럭의 16주기 정도되는 구간동안 동작시키는 것으로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period of the delay lock operation in the active power-down mode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operate for about 16 cycles of the system clock every 1024 clock of the system clock It was.
도5는 도4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버퍼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 다.FIG.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buffer control unit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4.
도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버퍼제어부(300)는 클럭버퍼 인에이블 신호생성부(310)와, 모드신호 생성부(320)를 구비한다. 클럭버퍼 인에이블 신호생성부(310)는 액티브 아이들신호(RASIDLE)와, 내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_COM)와, MRS 셋팅신호(SAPC)를 입력받는 낸드게이트(ND4)와 낸드게이트(ND4)의 출력을 반전하여 출력하여 클럭버퍼 인에이블신호(CLKBUF_ENB)를 출력하는 인버터(I6)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모드신호 생성부(320)는 액티브 아이들신호(RASIDLE)를 반전하여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I7)와, 내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_COM)와 인버터(I7)의 출력을 입력받는 낸드게이트(ND5)와, 낸드게이트(ND5)의 출력을 반전하여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신호(ACT_PD)를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I8)를 구비한다. The
도6은 도4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버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FIG. 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buffer unit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4.
도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클럭버퍼부(200)는 시스템 클럭(CLK,CLKB)을 버퍼링하여 내부클럭(ICLK)를 출력하는 버퍼(210)와,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신호(ACT_PD)를 입력받아 업데이트 신호(UPDATA_EN)를 생성하는 지연고정 동작제어부(220)와, 클럭버퍼 인에이블신호(CLKBUF_ENB) 및 업데이트 신호(UPDATA_EN)에 응답하여 내부클럭(CLKIN1, CLKIN2, REFCLK, CONTCLK)을 전달하는 클럭전달부(23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도7은 도6에 도시된 지연고정 동작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지연고정 동작제어부(220)는 내부클럭(ICLK)을 이용하여 다양한 주기의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주기신호 생성부(221)와, 주기신호 생성부(221)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1024K)를 기준이 되는 클럭신호(16K)에 응답하여 업데이트 신호(UPDATA_EN)를 생성하는 업데이트 신호 생성부(222)를 구비한다. 특히 주기신호 생성부(221)는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신호(ACT_PD)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며, 첫단의 플립플롭이 내부클럭(ICLK)을 입력받으며, 앞단의 출력클럭을 입력받는 직렬연결된 다수의 T-플립플롭을 구비한다.FIG. 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delay lock operation control unit shown in FIG. 6. The delay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럭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showing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클럭버퍼부(1100)를 포함하는 지연고정루프회로(1000)와, 지연고정 동작제어부(2000)와, 모드신호 생성부(3000)와, 클럭버퍼 인에이블 신호(4000)를 구비한다. 클럭버퍼부(1100)는 도4의 클럭버퍼부(20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지연고정 동작을 위한 회로(1200)는 도4에 도시된 클럭버퍼부(200)를 제외한 나머지 회로를 모두 포함하는 회로이다. 지연고정동작제어부(2000)는 도6의 지연고정 동작제어부(22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모드신호 생성부(3000)는 도5의 모드신호 생성부(32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클럭버퍼 인에이블부(4000)는 클럭버퍼 인에이블 신호생성부(31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8,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lay locked
이렇게 도8에 도시된 각 블럭들은 앞에서 설명한 같은 명칭의 블럭들과 같은 동작을 하기 때문에 자세한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도8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도 도4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같이, 액티브 파워다운모드에서 예정된 주기마다 지연고정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파워다운 모드에서 항상 지연고정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Since each block shown in FIG. 8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the blocks of the same name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is omitted. Like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4,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8 performs a delay lock oper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active power-down mode, and thus consumes more energy than the case where the delay lock operation is always performed in the power-down mode. Current can be reduc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파워다운 모드에서 소모되는 전류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시스템이나 모바일 시스템에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적용하게 되면, 소모되는 전류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duce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in the power down mode. Therefore, whe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ow power system or a mobile system, current consumption can be greatly reduced.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30710A KR100856062B1 (en) | 2007-03-29 | 2007-03-29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30710A KR100856062B1 (en) | 2007-03-29 | 2007-03-29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56062B1 true KR100856062B1 (en) | 2008-09-02 |
Family
ID=4002228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307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6062B1 (en) | 2007-03-29 | 2007-03-29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56062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215664A (en) * | 1998-11-19 | 2000-08-04 | Fujitsu Ltd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KR20010064123A (en) * | 1999-12-24 | 2001-07-09 | 박종섭 | Delay Locked Loop reducing power consumption |
| KR20040095913A (en) * | 2003-04-29 | 2004-11-16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On Die Termination Mode Conversion Circuit and its Method |
| KR20070036548A (en) * | 2005-09-29 | 2007-04-03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Delay fixed loop circuit |
| KR20070036561A (en) * | 2005-09-29 | 2007-04-03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How to generate delayed loop and delayed loop clock |
-
2007
- 2007-03-29 KR KR1020070030710A patent/KR10085606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215664A (en) * | 1998-11-19 | 2000-08-04 | Fujitsu Ltd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KR20010064123A (en) * | 1999-12-24 | 2001-07-09 | 박종섭 | Delay Locked Loop reducing power consumption |
| KR20040095913A (en) * | 2003-04-29 | 2004-11-16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On Die Termination Mode Conversion Circuit and its Method |
| KR20070036548A (en) * | 2005-09-29 | 2007-04-03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Delay fixed loop circuit |
| KR20070036561A (en) * | 2005-09-29 | 2007-04-03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How to generate delayed loop and delayed loop clock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18706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KR100808052B1 (en) | Semicoductor memory device | |
| US7545189B2 (en) | Delayed locked loop circuit | |
| KR100834400B1 (en) | DLL for increasing frequency of DRAM and output driver of the DLL | |
| KR100329243B1 (en) | Integrated circuit device | |
| KR100810072B1 (en) |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delay locked loop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 |
| KR100815185B1 (en) | Delay locked loop i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JP2007097132A (en) | Delay locked loop circuit | |
| JP2007095265A (en) | Delay locked loop circuit | |
| KR100543937B1 (en) | Data output control circuit | |
| KR101123073B1 (en) | Delay locked loop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 |
| JP5105978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 US20020083289A1 (en) |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ffers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 KR100856070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KR100550633B1 (en) | Delayed fixed loop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ontrol method | |
| KR100856062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KR100507854B1 (en) | Register controlled delay locked loop having acceleration mode | |
| US7848163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 KR100529042B1 (en) | Register controlled delay locked loop having acceleration mode | |
| KR100801740B1 (en) | Delay fixed loop control circuit | |
| CN114141290A (en) | Delay locked loop circuit | |
| KR20080088187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 KR20100076766A (en) | Delay locked loop circui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8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828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