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216B1 - 더블 패터닝 공정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더블 패터닝 공정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형성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0216B1 KR100850216B1 KR1020070065658A KR20070065658A KR100850216B1 KR 100850216 B1 KR100850216 B1 KR 100850216B1 KR 1020070065658 A KR1020070065658 A KR 1020070065658A KR 20070065658 A KR20070065658 A KR 20070065658A KR 100850216 B1 KR100850216 B1 KR 1008502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mask
- capping layer
- region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25—Imaging strategies, e.g. for increasing throughput or resolution, printing product fields larger than the image field or compensating lithography- or non-lithography errors, e.g. proximity correction, mix-and-match, stitching or double patterning
- G03F7/70466—Multiple exposures, e.g. combination of fine and coarse exposures, double patterning or multiple exposures for printing a single fe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2)
-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상에 피식각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1 영역에서는 제1 패턴 밀도를 가지고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제2 패턴 밀도를 가지는 복수의 제1 마스크 패턴을 상기 피식각막 위에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1 영역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1 마스크 패턴중 상호 인접한 2 개의 제1 마스크 패턴 사이의 스페이스를 채우는 제1 캡핑층 패턴을 형성하고, 제2 영역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1 마스크 패턴중 상호 인접한 2 개의 제1 마스크 패턴 사이의 스페이스 내에서 소정 폭의 리세스 영역이 남도록 상기 제1 마스크 패턴의 측벽을 덮는 제2 캡핑층 패턴과, 상기 제2 캡핑층 패턴상의 상기 리세스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마스크 패턴과 동일 레벨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2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1 캡핑층 패턴 및 제2 캡핑층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제1 패턴과, 상기 제1 마스크 패턴 및 제2 마스크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제2 패턴 중 선택된 하나의 패턴이 남도록 나머지 하나의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상기 선택된 하나의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피식각막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캡핑층 패턴, 제2 캡핑층 패턴, 및 제2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 계는상기 제1 영역에서만 상기 복수의 제1 마스크 패턴 및 이들 사이의 스페이스를 덮는 제1 캡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마스크 패턴중 상호 인접한 2 개의 제1 마스크 패턴 사이의 스페이스 내에 소정 폭의 리세스 영역이 남도록 상기 복수의 제1 마스크 패턴의 상면 및 측벽을 덮는 제2 캡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리세스 영역이 완전히 채워지도록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캡핑층 위에 제2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1 마스크 패턴이 노출될 때 까지 상기 제2 마스크층, 상기 제2 캡핑층, 및 상기 제1 캡핑층 각각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1 캡핑층 패턴과, 상기 제2 마스크 패턴과, 상기 제1 캡핑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2 마스크층, 제2 캡핑층, 및 상기 제1 캡핑층 각각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2 캡핑층은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형성되고,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캡핑층은 상기 제1 캡핑층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캡핑층 패턴, 제2 캡핑층 패턴, 및 제2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마스크 패턴중 상호 인접한 2 개의 제1 마스크 패턴 사이의 스페이스 내에 소정 폭의 리세스 영역이 남도록 상기 복수의 제1 마스크 패턴의 상면 및 측벽을 덮는 제3 캡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마스크 패턴중 상호 인접한 2 개의 제1 마스크 패턴 사이의 스페이스를 채우도록 제3 캡핑층 위에 제2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2 영역에만 상기 제2 마스크층이 남도록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마스크층을 제거하는 단계와,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리세스 영역을 완전히 채우도록 상기 제3 캡핑층 위에 제4 캡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1 마스크 패턴이 노출될 때 까지 상기 제4 캡핑층, 상기 제2 마스크층, 및 상기 제3 캡핑층 각각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4 캡핑층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캡핑층 패턴과, 상기 제2 마스크 패턴과, 상기 제3 캡핑층의 나머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 캡핑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4 캡핑층, 상기 제2 마스크층, 및 상기 제3 캡핑층 각각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CMP 공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3 캡핑층은 상기 제2 영역에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3 캡핑층은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형성되고,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4 캡핑층은 상기 제3 캡핑층 위에 형성되고,상기 제1 캡핑층 패턴은 상기 제4 캡핑층의 나머지 부분과 상기 제3 캡핑층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피식각막은 절연막 또는 도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마스크 패턴 및 제2 마스크 패턴은 각각 폴리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캡핑층 패턴 및 제2 캡핑층 패턴은 각각 산화막 또는 질화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피식각막 위에 과도식각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1 마스크 패턴은 상기 과도식각 버퍼층 위에 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1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과도식각 버퍼층 위에 제1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1 마스크층 및 상기 과도식각 버퍼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각각 제1 패턴 밀도 및 제2 패턴 밀도를 가지는 복수의 제1 마스크 패턴 및 복수의 과도식각 버퍼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과도식각 버퍼층은 상기 제2 캡핑층 패턴과 동일한 식각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과도식각 버퍼층은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피식각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피식각막 위에 하드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피식각막을 식각하기 전에 상기 선택된 하나의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하드마스크층을 식각하여 하드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피식각막을 식각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하나의 패턴 및 상기 하드마 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하드마스크층은 산화물, 질화물, SiON, ACL (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피식각막은 절연막이고,상기 피식각막을 식각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피식각막을 식각하여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피식각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개구 내에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금속막은 Cu, W 및 Al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개구 내벽에 배리어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배리어막 위에 Cu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절연막은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FSG (fluorine silicate glass), SiOC, SiLK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피식각막은 도전막이고,상기 피식각막을 식각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65658A KR100850216B1 (ko) | 2007-06-29 | 2007-06-29 | 더블 패터닝 공정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형성 방법 |
| US11/978,718 US7892982B2 (en) | 2006-03-06 | 2007-10-30 | Method for forming fine patterns of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a double patterning proce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65658A KR100850216B1 (ko) | 2007-06-29 | 2007-06-29 | 더블 패터닝 공정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형성 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50216B1 true KR100850216B1 (ko) | 2008-08-04 |
Family
ID=398811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656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0216B1 (ko) | 2006-03-06 | 2007-06-29 | 더블 패터닝 공정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형성 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50216B1 (ko)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24587A (ko) * | 2009-09-02 | 2011-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더블 패턴닝 기술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및 제조방법 |
| US8435876B2 (en) | 2010-12-02 | 2013-05-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US8618679B2 (en) | 2009-09-15 | 2013-12-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attern structures in semiconductor devices |
| KR101511159B1 (ko) * | 2008-12-31 | 2015-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
| US9012326B2 (en) | 2010-08-13 | 2015-04-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s for patterning microelectronic devices using two sacrificial layers |
| US9543155B2 (en) | 2015-01-23 | 2017-01-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forming minute patter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
| KR20190112821A (ko) * | 2017-02-23 | 2019-10-07 |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 실리콘 질화물의 유사 원자층 에칭 방법 |
| KR20210001109A (ko) * | 2019-06-26 | 2021-0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패턴 형성 방법과 집적회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332554A (ja) * | 2002-05-09 | 2003-11-21 | Fuji Film Microdevices Co Ltd |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
| KR20070070873A (ko) * | 2005-12-29 | 2007-07-04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 KR100827526B1 (ko) | 2006-12-28 | 2008-05-06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
2007
- 2007-06-29 KR KR1020070065658A patent/KR10085021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332554A (ja) * | 2002-05-09 | 2003-11-21 | Fuji Film Microdevices Co Ltd |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
| KR20070070873A (ko) * | 2005-12-29 | 2007-07-04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 KR100827526B1 (ko) | 2006-12-28 | 2008-05-06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Cited By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11159B1 (ko) * | 2008-12-31 | 2015-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
| KR20110024587A (ko) * | 2009-09-02 | 2011-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더블 패턴닝 기술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및 제조방법 |
| KR101654048B1 (ko) | 2009-09-02 | 2016-09-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더블 패턴닝 기술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및 제조방법 |
| US8618679B2 (en) | 2009-09-15 | 2013-12-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attern structures in semiconductor devices |
| US9558993B2 (en) | 2009-09-15 | 2017-01-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attern structures i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pattern structures in semiconductor devices |
| US9012326B2 (en) | 2010-08-13 | 2015-04-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s for patterning microelectronic devices using two sacrificial layers |
| US8435876B2 (en) | 2010-12-02 | 2013-05-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US9543155B2 (en) | 2015-01-23 | 2017-01-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forming minute patter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
| KR20190112821A (ko) * | 2017-02-23 | 2019-10-07 |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 실리콘 질화물의 유사 원자층 에칭 방법 |
| KR102537097B1 (ko) | 2017-02-23 | 2023-05-25 |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 실리콘 질화물의 유사 원자층 에칭 방법 |
| KR20210001109A (ko) * | 2019-06-26 | 2021-0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패턴 형성 방법과 집적회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744387B1 (ko) | 2019-06-26 | 2024-12-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패턴 형성 방법과 집적회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17088B1 (ko) |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미세 금속 배선 패턴형성 방법 | |
| US9209076B2 (en) | Method of double patterning lithography process using plurality of mandrels for integrated circuit applications | |
| KR100850216B1 (ko) | 더블 패터닝 공정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형성 방법 | |
| US11594419B2 (en) | Reduction of line wiggling | |
| US20060183280A1 (en) |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 |
| US20150047891A1 (en) | Integrated Circuit Features with Fine Line Space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 |
| US9786551B2 (en) | Trench structure for high performance interconnection lines of different resistivity and method of making same | |
| KR100833201B1 (ko) | 콘택 플러그 및 배선 라인 일체형 구조의 미세 패턴을가지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 CN100505210C (zh) | 制造半导体器件的存储节点接触孔的方法 | |
| KR20100001700A (ko)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 US10020379B2 (en) |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 using double patterning | |
| JP2007005770A (ja) | 半導体素子のコンタクトホール形成方法 | |
| KR20120056074A (ko) | 스토리지노드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커패시터 형성 방법 | |
| KR20090010399A (ko) | 더블 패터닝 공정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형성 방법 | |
| US20050280035A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 CN100530592C (zh) | 在半导体器件中制造存储节点接触的方法 | |
| KR102014197B1 (ko) | 반도체 장치 및 이의 형성 방법 | |
| US7476625B2 (en) |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 |
| US7714445B2 (en) |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with an electrostatic discharg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US6989317B1 (en) | Trench formation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ICs) | |
| US7651898B2 (en) |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 |
| US20060019489A1 (en) | Method for forming storage node contact of semiconductor device | |
| KR100832018B1 (ko)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 KR101043734B1 (ko) |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 |
| KR100744002B1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7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