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265B1 - Dental fixtures - Google Patents
Dental fixtur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0265B1 KR100860265B1 KR1020070113712A KR20070113712A KR100860265B1 KR 100860265 B1 KR100860265 B1 KR 100860265B1 KR 1020070113712 A KR1020070113712 A KR 1020070113712A KR 20070113712 A KR20070113712 A KR 20070113712A KR 100860265 B1 KR100860265 B1 KR 1008602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ne
- fixture
- screw thread
- vertex
- central axi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픽스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피질골과 해면골로 이루어진 골조직에 삽입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치과용 픽스쳐에 있어서, 상기 피질골에 이식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부분; 및 상기 해면골에 이식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부분을 가지되, 상기 제1나사산의 정점과 중심축사이의 수직거리는 상기 제2나사산의 정점과 중심축사이의 수직거리보다 작은 치과용 픽스쳐로서, 피질골에 압박을 적게 줄 뿐만 아니라 골흡수를 방지하고 픽스쳐와 골조직간의 골융합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fixtur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dental fixture is inserted into the bone tissue consisting of cortical bone and spongy bone as the rotation around the central axis to form an artificial tooth, a plurality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mplanted in the cortical bone A first portion in which a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And a second portion implanted in the cavernous bone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screw thread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wherein a vertical distance between a vertex of the first screw thread and a central axis is smaller than a vertical distance between a vertex and a central axis of the second screw thread. As a fixation fixture, it not only reduces the pressure on the cortical bone, but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bone resorption and promoting bone fusion between the fixture and bone tissue.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픽스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질골에 가해지는 압박을 해소하여 골흡수를 방지하고 골융합을 촉진시키기 위한 치과용 픽스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fix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fixture for reliev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ortical bone to prevent bone resorption and promote bone fusion.
치과에서 사용되는 스크류타입의 픽스쳐는 인공치근을 형성하도록 골조직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픽스쳐가 골조직에 삽입되어 주변 골조직과 융합되면 그 위에 어버트먼트를 결합하고, 여기에 인공치아인 보철물을 만들어 넣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픽스쳐는 주변 골조직과의 융합성 향상을 위하여 티타늄으로 구성되고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픽스쳐 몸통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치과 뿐만 아니라 정형외과의 보철물 등을 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로 사용된다. 한편, 픽스쳐가 삽입되어 식립되는 골조직은 피질골과 해면골로 이루어진다. 해면골은 뼈의 비교적 연한 골조직이며, 피질골은 해면골보다 단단하며 일반적으로 해면골을 둘러싸는 비교적 얇은 막을 형성한다. 픽스쳐가 골조직에 삽입되어 식립된 경우에는, 해면골에 접하는 부분의 길이가 피질골에 접하는 부분의 길이보다 길다.Screw-type fixtures used in dentistry are inserted into bone tissue to form an artificial tooth root. When the fixture is inserted into bone tissue and fuses with surrounding bone tissue, the abutment is combined thereon, and an artificial tooth prosthesis is made therein. Will be. The fixture is made of titanium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with the surrounding bone tissue,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body from the top to the bottom, it is used a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rosthesis of the orthopedic as well as dental. Meanwhile, the bone tissue into which the fixture is inserted is composed of cortical bone and spongy bone. The spongy bone is a relatively soft bone tissue of the bone, and the cortical bone is harder than the spongy bone and generally forms a relatively thin film surrounding the spongy bone. When the fixture is inserted into the bone tissue and placed, the length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ancellous bone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rtical bone.
일반적인 스크류타입의 픽스쳐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의 하나 가 골흡수이다. 골흡수란 픽스쳐가 식립된 주위의 골조직의 양이 줄어들면서 퇴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와 같은 골흡수는 픽스쳐의 고정력을 약화시켜 보철물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보철물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Bone absorption is one of the biggest problems when using common screw-type fixtures. Bone resorption refers to the phenomenon of degeneration as the amount of bone tissue around the fixture is reduced. Such bone resorption may weaken the fixation force of the fixture, thereby inhibiting the stability of the prosthesis and causing breakage of the prosthesis.
특히, 골흡수는 픽스쳐가 치과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픽스쳐를 둘러싸는 잇몸조직에 염증을 발생시키는 치석을 침착시키거나 픽스쳐의 노출단부를 따라 잇몸조직을 하향 성장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골흡수는 보철물의 안정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In particular, bone resorption may deposit inflammation-causing calculus in the gum tissue surrounding the fixture when the fixture is used for dental use, or may grow down the gum tissue along the exposed end of the fixture. Therefore, bone resorption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not only inhibits the stability of the prosthesis, but also does not look good.
골흡수의 생물학적인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고 있다. 다만, 픽스쳐의 인접골조직에 작용하는 응력이 불균등하게 분포하여 응력집중으로 인한 과자극 및 저자극 모두가 골흡수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The biological cause of bone resorption has not yet been elucidated. However, the stress acting on the adjacent bone tissue of the fixture is unevenly distributed, and both the condensation pole and the low pole due to the stress concentration are recognized to promote bone resorption.
또한 픽스쳐의 외주면을 이루는 나사산의 형상에 따라 식립시 피질골과 해면골에 압박을 많이 주었을 경우, 과도한 압박으로 인하여 골흡수에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hread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ture, when placing a lot of pressure on the cortical bone and the cancellous bone when implanted, it is recognized that the problem of bone absorption due to excessive compression.
특히 일반적인 픽스쳐는 외주면에 마련된 나사산이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동일한 간격으로 동일한 크기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픽스쳐는 단단한 피질골과 연약한 해면골의 특성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술한 골흡수의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골흡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71941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는 나사산을 제1축방향부분(110)과 제2축방향부분(120)으로 구분하고, 제1축분향부분(110)에서의 인접한 피크들의 정점들사이의 축방향 간격(la)이 제2축방향부 분에서의 인접한 피크들의 정점들사이의 축방향 간격(lb)보다 작도록 배치한 삽입물(100)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제1축방향부분(110)과 제2축방향부분(120)의 정점들사이의 간격을 서로 달리한 이유는 제2축방향부분(120)에서는 큰 나사산들이 비교적 연한 해면골(미도시)이 삽입되어 기초 고정의 역할을 수행하고, 제1축방향부분(110)은 작은 나사산이 단단한 피질골에 삽입되어 응력집중을 방지하고 인접한 골조직에 하중을 골고루 전달하여 골흡수를 방지하게 한다.In particular, in general fixtures, the thread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arranged in the same size at equal interval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However, such a general fixture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does not properly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rd cortical bone and the soft sponges, the problem of the above-mentioned bone absorption occurs serious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bone absorp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71941 (hereinafter referred to as "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6-0061415호(이하 "종래기술 2"이라 한다)에서는 피질골과 접촉하는 관형부(110)와, 해면골과 접촉하는 몸통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몸통부에는 높이가 서로 다른 제1요철부(121)와 제2요철부(122)를 상호 교번적으로 형성시켜, 골조직 내, 특히 해면골에서의 픽스쳐(100)에 의하여 가해지는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6-00614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
한편, 상술한 픽스쳐를 골조직에 삽입하기 위하여, 먼저 골조직에 드릴을 이용하여 적당한 크기의 매식홀을 형성시킨 후에 그 매식홀에 픽스쳐를 삽입하면서 그 매식홀의 내주면에 나사홈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매식홀의 외경은 삽입될 픽스쳐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골과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삽입편의성을 고려하여, 정점과 골사이의 중간지점에 대응되게 한다.(도 1의 ld 라인 참조) 한편, 삽입된 후에 픽스쳐의 나사산과 골조직간의 빈공간이 생기게 되는데(매식홀의 외경이 골과 대응되도록 골조직에 형성시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빈공간은 시간이 지나면서 골조직에 의하여 매워지면서 픽스쳐와 골조직이 서로 융합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sert the above-described fixture into the bone tissue, a drill hole of an appropriate size is first formed in the bone tissue using a drill, and then a screw groove is made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ss, while inserting the fixture in the hole. The outer diameter of the recess is not formed to correspond to the valley of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to be inserted, but to correspond to the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vertex and the valley in consideration of insertion convenience (see line ld of FIG. 1). After insertion, a void is created between the thread of the fixture and the bone tissue (because the outer diameter of the hole is not formed in the bone tissue so that it corresponds to the bone). This void is filled by the bone tissue over time, and the fixture and bone tissue become loose. Are fused to each other.
이러한, 종래기술 1 및 종래기술 2에 따른 픽스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Such a fixture according to the
먼저, 종래기술 1 및 종래기술 2는 모두 픽스쳐를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시키고, 상단측에는 작은 나사산을 배치시키며, 하단측에는 큰 나사산을 배치시키고 있다. 그러나, 픽스쳐를 골조직에 삽입할 때 큰 나사산이 삽입된 이후에 작은 나사산이 골조직에 삽입될 때에는 회전토크가 갑자기 무리하게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먼저 픽스쳐의 하단부가 매식홀의 내주면에 큰 나사홈을 형성시키고 나서, 픽스쳐의 상단부가 삽입되면서 미리 형성된 큰 나사홈의 주변에 새로운 작은 나사산을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때 회전토크가 갑자기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토크의 증가는 골조직에 상당한 정도의 압박을 가하게 되어 골융합을 저해시킬 뿐 만 아니라, 골흡수를 촉진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First, both the
또한, 종래기술에서의 매식홀은 그 외경이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산의 정점으로부터 골밑사이의 중간지점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게 되는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밑으로부터 매식홀의 외경까지의 이격거리(e)가 커서 빈공간이 많게 된다. 이에 따라 골조직이 골밑까지 성장하기까지 오랜시간이 소요되어 골융합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uried hole in the prior art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midpoint between the top of the thread and the bottom of the valley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valley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uried hole ( e) is large, so there is a lot of free space. Accordingly,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bone tissue to grow to the bottom of the bone, causing bone fusion to be delay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피질골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하면서 삽입되어 이식되는 치과용 픽스쳐를 제공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fixture that is inserted and implanted while minimizing the pressure on the cortical bon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픽스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피질골과 해면골로 이루어진 골조직에 삽입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치과용 픽스쳐에 있어서, 상기 피질골에 이식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부분; 및 상기 해면골에 이식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부분을 가지되, 상기 제1나사산의 정점과 중심축사이의 수직거리는 상기 제2나사산의 정점과 중심축사이의 수직거리보다 작은 것이 특징이다.Dental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erted in the bone tissue consisting of cortical bone and spongy bone as the rotation around the central axis to form an artificial tooth, implanted in the cortical bone and a pluralit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first portion of the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And a second portion implanted in the cancellous bone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screw thread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wherein a vertical distance between a vertex of the first screw thread and a central axis is smaller than a vertical distance between a vertex and a central axis of the second screw thread. It is characteristic.
상기 치과용 픽스쳐에서, 상기 제1부분의 각각의 나사산의 정점은 중심축으로부터 동일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ental fixture, the vertices of each thread of the first portion are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by the same distance.
상기 치과용 픽스쳐에서, 상기 제2부분의 각각의 나사산의 정점은 중심축으로부터 동일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ental fixture, the vertices of each thread of the second part are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by the same distance.
상기 치과용 픽스쳐에서, 상기 제2부분의 나사산의 정점과, 그 정점과 인접한 골 사이의 수직거리는 제1부분의 나사산의 정점과, 그 정점과 인접한 골 사이의 수직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ental fixture,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vertex of the thread of the second part and the valley adjacent to the vertex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vertex of the thread of the first part and the bone adjacent to the vertex.
상기 치과용 픽스쳐에서, 상기 제2나사산의 정점과 중심축 사이의 수직거리는 상기 제1나사산의 정점과 중심축 사이의 수직거리에 비하여 0.02 ~ 0.3mm 만큼 큰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ental fixture,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vertex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screw thread is preferably larger by 0.02 to 0.3 mm tha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vertex and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screw thread.
상기 치과용 픽스쳐에서, 제1부분의 복수의 나사산에서, 서로 인접한 나사산의 정점들 사이의 축방향거리는 0.1 ~ 0.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ental fixture, in the plurality of threads of the first portion, the axial distance between the vertices of the threads adjacent to each other is preferably 0.1 to 0.5 mm.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치과용 픽스쳐는, 피질골에 이식되는 나사산의 외경을 해면골에 이식되는 나사산의 외경보다 작게 함으로서, 피질골의 골조직에 무리를 주지 않아 압박을 적게 주고, 골흡수를 방지하며, 골흡수를 억제하면서 픽스쳐와 골조직간의 골융합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The dental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y reduc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implanted in the cortical bon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implanted in the spongy bone, less pressure on the bone tissue of the cortical bone, less pressure, and prevents bone absorption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promoting bone fusion between fixture and bone tissue while suppressing bone resorp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치과용 픽스쳐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종래기술에 따른 픽스쳐와 도 3에 따른 본 발명의 픽스쳐의 식립토크를 비교한 그래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ntal fix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graph comparing the mounting torque of the fix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Figure 1 and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10)는 피질골(미도시)과 해면골(미도시)로 이루어진 골조직(미도시)에 삽입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픽스쳐(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치과용 픽스쳐(10)가 그 중심축을 따라 회전되면 상기 피질골과 해면골에 삽입되면서 미리 드릴(미도시)에 의하여 골조직에 마련된 매식홀의 내주면에 나사홈(미도시)을 형성하면서 식립된다. 이때, 픽스쳐(10)로 사용되는 소재로는 일반적으로 치과용 픽스쳐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티타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것이라면 다른 종류의 금속소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픽스쳐(10)는 제1부분(20)과 제2부 분(30)을 포함한다. 제1부분(20)은 픽스쳐(10)가 삽입되었을 때 대부분이 피질골에 식립되는 부분(다만, 제1부분(20)의 하단 일부가 해면골에 식립되는 것도 가능하다.)을 말하는 것으로서, 픽스쳐(10)의 상측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부분(20)에는 정점(21a)과 골밑(21b)이 형성된 다수의 제1나사산(21)이 마련된다. The
상기 제1나사산(21)의 중심축(C)을 한 바퀴 돌렸을 때의 제1부분(20)이 삽입되는 식립깊이는 리드거리를 "L1" 이라한다. 제1나사산(21)의 어느 한 정점(21a)과, 그 정점(21a)과 인접한 골밑(21b)간의 수직거리는 제1높이(h1)이라 한다. 또한, 상기 제1나사산(21)의 중심축(C)으로부터 정점(21a)사이의 수직거리는 R1이라 하며, 제1나사산(21)의 외경은 D1 라고 한다. 이러한 제1나사산(21)의 정점(21a)은 중심축(C)으로부터 동일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어, 각각의 정점(21a)을 잇는 직선은 중심축(C)과 평행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ertion depth at which the
또한, 상기 제1부분(20)에서 서로 인접한 제1나사산(21)의 정점(21a) 사이의 축방향거리(l1)는, 0.1 ~ 0.5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4mm 인 것이 좋다. 축방향 거리(l1)가 0.1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부분(20)에 제1나사산(21)이 많게 되고 식립토크가 지나치게 증가되며 이에 따라 피질골에 과도한 압박을 주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축방향거리가 0.5mm 보다 큰 경우에는 제1나사산(21)의 수가 적어 제1나사산(21)의 정점(21a)이 피질골에 지나치게 큰 응력을 가하게 될 염려가 있다.(즉, 제1나사산(21)이 적정하게 마련되어야 피질골의 어느 한 부분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피질골 전체에 응력이 적절히 분산되 게 된다.)In addition, the axial distance l 1 between the vertices 21a of the
상기 제2부분(30)은 해면골에 이식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제2나사산(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부분(30)은 픽스쳐(10)의 하측을 형성한다. (다만, 어느 일부가 해면골에 식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2부분(30)의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여 한 바퀴 돌렸을 때의 제2부분(30)의 식립깊이는 리드거리 "L2"라고 한다. 제2나사산(31)의 어느 한 정점(31a)과, 그 정점(31)과 인접한 골밑(31b)간의 수직거리는 제2높이(h2)이라 한다.The
. 또한, 제2나사산(31)의 중심축(C)으로부터 정점(31a) 사이의 수직거리는 R2이라 하며, 제2나사산(31)의 외경은 D2라고 한다. 이러한 제2나사산(31)의 정점(31a)은 중심축(C)으로부터 동일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어, 각각의 정점(31a)을 잇는 직선은 중심축(C)과 평행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center axis C of the
한편, 제1부분(20)의 제1나사산(21)의 정점과 중심축(C) 사이의 수직거리(반경;R1)는 제2부분(30)의 제2나사산(31)의 정점과 중심축(C) 사이의 수직거리(반경;R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R1<R2). 이와 같이, 제1부분(20)의 수직거리(R1)를 제2부분(30)보다 더 작게 하는 이유는 픽스쳐(10)의 제2부분(30)이 삽입된 후에, 제1부분(20)이 삽입될 때 나사산 수의 증가로 인한 식립토크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종래기술과 같이 제2부분과 제1부분의 수직거리가 동일하다면 급격한 식립토크의 증가로 인하여 피질골에 과도한 응력을 집중시키게 될 것이다.(이러한 점은 후술할 실험에서 증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분(20)의 수직거리를 제2부분(30)에 비하여 작게 함으로서, 제2부분(30)이 삽입된 후 제1부분(20)이 삽입될 때 이러한 급격한 식립토크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rtical distance (radius R1) between the vertex of the
한편, 제1부분(20)의 수직거리(R1)는 제2부분(30)의 수직거리(R2)보다 0.02 ~ 0.3mm 만큼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0.15mm 만큼 작은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mm 만큼 작은 것이 좋다. 만약, 양 자간의 차이가 0.02 보다 작게되면, 제1부분(20)과 제2부분(30)과의 차이가 거의 없게 되어, 달성하고자 하는 식립토크의 감소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될 염려가 있다. 또한, 양 자간의 차이가 0.3mm 크게 되면, 제1부분(20)에서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나사산(21)의 정점과 골밑 사이의 거리(h1)이 작아서 나사로서의 기능이 많이 상실되고, 추후 골조직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화될 염려가 있으며, 식립후 제1부분(20)의 표면과 골조직 사이의 빈공간이 커서 추후에 제1부분(30)의 표면까지 성장해야 하는 골조직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시술후 회복까지 장시간이 걸리게 될 염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distance (R1) of the
또한, 제1부분(20)의 제1나사산(21)의 정점(21a)과, 그 정점(21a)과 인접한 골밑(21b) 사이의 수직거리인 제1높이(h1)는 제2부분(30)의 제2나사산(31)의 정점(31a)과, 그 정점(31a)과 인접한 골밑(31b) 사이의 수직거리인 제2높이(h2)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처음 삽입되는 제2부분(30)에는 제2나사산(31) 사이에 많은 양의 골조직을 흡수되어 초기 지지력을 견고히 하고, 추후에 삽입되는 제1부분(20)에는 상기 제2부분(30)에 비하여 적은 양의 골조직을 흡수하는 대신 응력을 골고루 피질골에 전달하여 응력집중을 막게 한다.Further, the first height h1, which i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apex 21a of the
제1부분(20)의 리드거리(L1)는 제2부분(30)의 리드거리(L2)와 같게 하여, 제 2부분(30)이 삽입된 후에 제1부분(20)이 삽입되어도 동일 회전수에 대하여 동일거리만큼 골조직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L1=L2)The lead distance L1 of the
이외에도 도면번호 40는 제3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제3부분(40)은 상기 픽스쳐(10)의 하단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대략 원추형의 외주면을 가지면서 다수의 제3나사산(41)이 배치되고,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통상적인 셀프 태핑나사와 같이 홈(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10)는 다음과 같이 인체의 골조직에 식립된다.The
먼저 드릴을 이용하여, 도 3의 드릴라인을 외경(Dd1)으로 하는 매식홀을 식립될 치조골에 형성한다. 이후, 소정의 공구를 이용하여 치과용 픽스쳐(10)의 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골조직의 매식홀 내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치과용 픽스쳐(10)는 셀프 태핑 기능을 하는 제3부분(40)이 먼저 삽입되면서 적정한 크기의 매실홀을 형성하고, 이후에 큰 나사산을 가지는 제2부분(30)이 매식홀에 삽입되면서 매식홀의 내주면에 소정크기의 나사홈을 형성시킨다. 제2부분(30)이 삽입된 후에는 제1부분(20)이 연이어 삽입되면서 제2나사산(31)이 형성시킨 나사홈에 새로운 작은 나사홈을 추가적으로 생성시키면서 매식홀에 삽입된다.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1부분(20) 또는 제2부분(30)의 표면과 매식홀의 내주면 사이에 적당한 빈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빈공간은 시간이 지나면서 해면골과 피질골의 조직들이 성장하여 충전되면서 식립된 픽스쳐(10)와 골조직은 서로 골융합된다.First, using a drill, a drilled hole having the drill line of FIG. 3 having an outer diameter Dd1 is formed in the alveolar bone to be implanted. Subsequently, a predetermined tool is used to be inserted into the implantation hole of bone tissue while rotating about the central axis C of the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10)는 제2부분(30)이 삽입된 후 다른 나사형상을 가지는 제1부분(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급격한 식립토크의 증가가 없어 피질골에 가해지는 압박이 적다. 즉, 제1부분(20)의 제1나사산(21)의 외경이 제2부분(30)의 제2나사산(31)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골에 가해지는 압박량이 최소화되어 골융합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At this time, the
한편, 본 출원인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이 종래기술에 비하여 피질골에 가해지는 압박이 적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nt has carried out the following experiment to prove that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less pressure on the cortical bone compared to the prior art.
<식립시 회전토크의 비교 실험><Comparison Experiment of Rotational Torque When Planting>
본 비교실험은 인체의 골조직과 유사한 환경에 본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10)와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픽스쳐(100)를 삽입할 때, 회전토크를 각각 측정 및 비교하여 전체적인 식립토크의 변화거동을 살피기 위하여 실행되었다.This comparison experiment is when inserting the
실험을 위하여 픽스쳐(10)가 식립된 식립대상(미도시)과, 상기 식립대상에 식립될 픽스쳐(10, 100)를 준비한다. 기타, 식립대상에 매식홀을 형성하는 드릴(미도시), 픽스쳐(10, 100)를 회전시키는 회전공구 및 회전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토크측정장치(미도시)도 동시에 준비한다.For the experiment, an implantation target (not shown) in which the
상기 식립대상은 피질골과 대응되는 상부부분(두께 : 3mm, 골밀도: 50 g/cm2 )과, 상기 상부부분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부분(두께 : 27mm, 골밀도: 30g/cm2 )으로 이루어져 있어 실체 인체의 골조직의 환경과 유사하도록 하였다.The implantation target consists of an upper portion (thickness: 3mm, bone density: 50 g / cm 2 ) corresponding to the cortical bone, and a lower portion (thickness: 27mm, bone density: 30g / cm 2 ) disposed below the upper portion. It is similar to the environment of the bone tissue of the actual human body.
또한, 픽스쳐(10, 100)는 2가지 타입을 준비하였다. 첫번째 타입은 본 실시예의 픽스쳐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픽스쳐(10)이고, 두번째 타입은 도 1에 도시 된 종래기술에 도시된 픽스쳐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픽스쳐(100)이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10)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The specification of the
- 상단부터 하단사이의 축방향길이(Lt1) : 11.5mm-Axial length from top to bottom (Lt1): 11.5mm
- 제1부분(20)의 외경(D1): 3.8mm-Outer diameter D1 of the first portion 20: 3.8 mm
- 제1부분(20)에서 제1나사산(21)의 리드(L1) : 0.8mm-Lead L1 of the
- 제1나사산(21)의 제1높이(h1) : 0.2mm-First height h1 of the first screw thread 21: 0.2 mm
- 제2부분(30)의 외경(D2): 4.0mm-Outer diameter D2 of the second portion 30: 4.0 mm
- 제2부분(30)에서 제2나사산(31)의 리드(L2) : 0.8mm-Lead L2 of the second threaded
- 제2나사산(31)의 제2높이(h2) : 0.35-Second height (h2) of the second screw thread (31): 0.35
또한,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픽스쳐(10)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specification of the
-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축방향 길이(Lt): 11.5mmAxial length (Lt) from top to bottom: 11.5mm
- 외경(D) : 4mmOuter diameter (D): 4mm
- 상기 제1부분(110)의 나사산(111)의 리드(L) : 0.8mmLead L of
- 제1부분(110)의 나사산(111)의 높이(h) : 0.2mm-Height (h) of
이러한 조건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Using these condition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s follows.
먼저, 골조직과 대응되는 식립대상에 3.6mm 의 직경(Dd, Dd1)을 가지도록 매식홀을 형성한다. 이후에, 본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10)와,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픽스쳐(10)를 각각 다른 매식홀에 삽입하면서 식립깊이에 따른 회전토크를 측정한다. 실험결과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First, a buried hole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Dd, Dd1) of 3.6mm in the implantation target corresponding to the bone tissue. Subsequently, while inserting the
도 4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픽스쳐(100)는 제2부분(120)이 삽입된 후 에, 제1부분(110)이 시작되는 8.5 mm 지점에서 급격하게 회전토크가 증가한다. (26Nm 에서 40Nm로 급격한 상승이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4, after the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10)는 제2부분(30)이 삽입된 후에, 제1부분(20)이 시작되는 8.5mm 지점에서 완만하게 상승이 이루어지며 그 이후에도 급격한 회전토크의 증가가 없이 완만하게 회전토크가 증가된다.(26Nm에서 27.5Nm으로 완만한 식립토크의 상승이 이루어진다.)On the contrary, after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기술과 달리 제2부분(30)과 제1부분(20)으로의 전이부 사이에 급격한 식립토크의 증가가 없으며, 그 이후에도 완만하게 회전토크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피질골에 급격한 토크의 증가는 없게 된다.이에 따라 식립시 피질골에 가해지는 압박이 현저하게 적다. 이에 따라 골조직에 무리없이 삽입되어 골조직 특히 피질골을 파손시킴이 없이 삽입될 수 있으며, 골융합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prior art, there is no sudden increase in the insertion torque between the transition portion to the
한편, 본 실시예는 상술한 효과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effec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먼저, 상기 매식홀의 직경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산의 정점과 골밑의 중간라인에 대응되게 형성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는 즉, 나사산의 골밑과 정점 사이의 대략 중간지점에 매식홀의 외경(Dd)이 위치되도록 구멍을 뚫게 된다.(도 1의 종래기술에서는 골밑으로부터 매식라인(ld)까지의 거리가 e 가 된다.) 따라서, 픽스쳐(10)가 골조직에 삽입되었을 때, 골밑으로부터 매식라인(ld)까지는 골조직이 채워지지 않고 빈공간이 형성된다는 점도 상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빈공간이 크게 되면 골조직이 성장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문 제점이 있다.First, the diameter of the buried hol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mid-point of the top of the screw thread and the valley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that is, a hole is drill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Dd of the buried hole is located approximately at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valley bottom and the vertex of the thread. Therefore, the distance to e) becomes e.) Therefore, when the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분(20)에 작은 나사산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나사산의 정점과 골밑사이의 중간지점을 외경(Dd1)으로 하는 매식홀을 골조직에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 비하여 골밑과 매식홀의 외경라인(ld1)까지의 거리(f)는 종래기술보다 짧게 된다.(f < e)On the contrary,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mall thread is provided in the
즉, 본 실시예에서는 매식홀의 외경라인(ld1)이 나사산의 골밑과 근접하게 위치하므로, 나사산과 골사이에 골조직이 차지않는 부분이 최소화된다. 이에 따라 골조직이 빠르게 픽스쳐(10)와 융합될 뿐만 아니라, 확실하게 픽스쳐(10)와 결합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outer diameter line ld1 of the buried hole is located close to the valley of the thread, the portion where the bone tissue is not occupied between the thread and the valley is minimized. Accordingly, not only the bone tissue is quickly fused with the
또한, 삽입되어 식립된 이후에는 제1부분(20)에서 부분적인 응력집중을 분산시켜 급흡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골융합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after being inserted and implanted, the partial stress concentration may be dispersed in the
또한, 상술한 장점을 가지면서도 골조직과 충분한 접촉면적을 가지고 있어 골조직에 대한 결합력이 뛰어난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while having the above-mentioned advantages and has a sufficient contact area with the bone tissue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binding force to the bone tissue.
또한, 피질골에 대한 응력집중을 해면골로 분산시켜 픽스쳐(10) 전체에 응력을 균등하게 분포하게 함으로서 피질골의 골흡수를 방지하고 골융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by dispersing the stress concentration on the cortical bone to the spongy bone to distribute the stress evenly throughout the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10)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Such, the
먼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나사산(21)의 정점(21a)이 중심축(C)으로부터 동일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거나, 제2나사산(31)의 정점(31a)이 중심축(C)으로부 터 동일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나, 축방향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갈수록 정점(21a, 31a)과 중심축(C)사이의 거리가 변화 또는 달라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같은 제1부분(20) 또는 제2부분(30) 내에서도 중심축(C)과 정점(21a, 31a) 사이의 거리가 서로 다른 나사산이 함께 배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Firs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ertices 21a of the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부분(20)의 모든 제1나사산(21)이 제2부분(30)의 모든 제2나사산(31)에 비하여 그 중심축(C)으로부터 정점 사이의 거리가 작게 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1부분(20)의 일부 제1나사산(21)이 제2부분(30)의 일부 나사산에 비하여 크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es C and the vertices of all the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나사산(21)이 1줄 나사산 인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2줄나사산 또는 그 이상의 다줄 나사산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부분(20)의 제1나사산(21)의 정점(21a)과, 그 정점(21a)과 인접한 골밑(21b) 사이의 수직거리는 제2부분(30)의 제2나사산(31)의 정점(31a)과, 그 정점(31a)과 인접한 골밑(31b) 사이의 수직거리보다 작은 것을 설명하였으나, 서로간의 수직거리가 서로 동일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부분(20)의 외경이 제2부분(30)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라면, 정점과 골밑 사이의 거리가 서로 동일한 경우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apex 21a of the
이상에서 실시예 및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Modification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Modification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픽스쳐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x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은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픽스쳐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fix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의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픽스쳐와 도 3의 픽스쳐의 비교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의 개략도.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experiment between the fixture of FIG. 1 and the fixture of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x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Drawings>
10... 픽스쳐 20... 제1부분10 ...
21... 제1나사산 30... 제2부분21 ...
31... 제2나사산31.2nd thread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13712A KR100860265B1 (en) | 2007-11-08 | 2007-11-08 | Dental fixtures |
| PCT/KR2008/006134 WO2009054650A1 (en) | 2007-10-22 | 2008-10-17 | Dental fix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13712A KR100860265B1 (en) | 2007-11-08 | 2007-11-08 | Dental fixture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60265B1 true KR100860265B1 (en) | 2008-09-25 |
Family
ID=4002365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113712A Active KR100860265B1 (en) | 2007-10-22 | 2007-11-08 | Dental fixtur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60265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0088213A3 (en) * | 2009-01-27 | 2010-12-02 | Intra-Lock International, Inc. | Self-clearing self-cutting implant |
| WO2010126343A3 (en) * | 2009-05-01 | 2011-03-03 | Osstemimplant Co., Ltd. | Implant fixture |
| CN102784009A (en) * | 2011-05-18 | 2012-11-21 | 国维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 Artificial tooth structure that can promote osseointegratio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668191A (en) | 1984-06-06 | 1987-05-26 | Feldmuehle Aktiengesellschaft | Jaw implant for receiving a replacement-tooth holder |
| US5000686A (en) | 1990-01-02 | 1991-03-19 | Implant Innovations, Inc. | Dental implant fixture |
| US6350126B1 (en) | 2000-09-01 | 2002-02-26 | Ricardo Levisman | Bone implant |
| US7210933B2 (en) | 2001-02-02 | 2007-05-01 | Friadent Gmbh | Implant system |
| KR20070057392A (en) * | 2005-12-02 | 2007-06-07 | 신태운 | Dental implant |
-
2007
- 2007-11-08 KR KR1020070113712A patent/KR10086026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668191A (en) | 1984-06-06 | 1987-05-26 | Feldmuehle Aktiengesellschaft | Jaw implant for receiving a replacement-tooth holder |
| US5000686A (en) | 1990-01-02 | 1991-03-19 | Implant Innovations, Inc. | Dental implant fixture |
| US6350126B1 (en) | 2000-09-01 | 2002-02-26 | Ricardo Levisman | Bone implant |
| US7210933B2 (en) | 2001-02-02 | 2007-05-01 | Friadent Gmbh | Implant system |
| KR20070057392A (en) * | 2005-12-02 | 2007-06-07 | 신태운 | Dental implant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0088213A3 (en) * | 2009-01-27 | 2010-12-02 | Intra-Lock International, Inc. | Self-clearing self-cutting implant |
| WO2010126343A3 (en) * | 2009-05-01 | 2011-03-03 | Osstemimplant Co., Ltd. | Implant fixture |
| KR200454191Y1 (en) | 2009-05-01 | 2011-06-21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Implant fixture |
| CN102784009A (en) * | 2011-05-18 | 2012-11-21 | 国维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 Artificial tooth structure that can promote osseointegratio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S2302833T5 (en) | Bone implant | |
| KR100931996B1 (en) | Dental Implant Fixtures | |
| KR200457402Y1 (en) | Dental Implant Fixtures | |
| RU2379004C2 (en) | Dental implant, elements, connected to dental implant, and internal connection between dental implant and each element | |
| US10543029B2 (en) | Self-clearing self-cutting implant | |
| CN102098977B (en) | Compact dental implant | |
| ES2973784T3 (en) | dental implant thread | |
| ES2698852T3 (en) | Self-tapping implant | |
| US8523568B2 (en) | Dental implant | |
| WO2007086622A1 (en) | Fixture | |
| US20170049539A1 (en) | Dental implant | |
| WO2009054650A1 (en) | Dental fixture | |
| KR100860265B1 (en) | Dental fixtures | |
| US20070190491A1 (en) | Out-of-round implant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 |
| ES2935342T3 (en) | Dental implant | |
| EP2482753B1 (en) | Dental implant having improved osseointegration characteristics | |
| KR100860356B1 (en) | A dendtal implant | |
| KR200454191Y1 (en) | Implant fixture | |
| ES2899424T3 (en) | Dental implant with improved threading | |
| KR100857425B1 (en) | Dental Fixtures | |
| KR100894986B1 (en) | Screw Type Dental Implant Fixtures | |
| US20190321142A1 (en) | Dental implant | |
| KR200362463Y1 (en) | Fixture | |
| KR100968338B1 (en) | Dental Implants with Vertical Blades | |
| KR20130032126A (en) | Implant fixtu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
|
| B701 | Decision to grant |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