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632B1 - Office chair with posture correction - Google Patents
Office chair with posture corr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6632B1 KR100876632B1 KR1020080036401A KR20080036401A KR100876632B1 KR 100876632 B1 KR100876632 B1 KR 100876632B1 KR 1020080036401 A KR1020080036401 A KR 1020080036401A KR 20080036401 A KR20080036401 A KR 20080036401A KR 100876632 B1 KR100876632 B1 KR 1008766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rest
- seating
- backrest
- seat
- sen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47C7/465—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by pulling an elastic c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ice chair having a posture correction function.
본 발명의 의자는,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감지용 센서가 구비되는 착석부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와; 머리를 뒤로 기댈 수 있는 머리받침부와;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팔걸이부와; 상기 착석부와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를 하나로 연결하되 착석부와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가 동시에 뒤로 젖혀지거나 앞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몸체와; 착석부와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가 강제적으로 뒤로 젖혀지도록 하기 위한 자동각도조절장치와; 상기 머리받침부(30)의 위쪽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머리감지용 센서(31)에 의해 상기 머리받침부(30)와 그 앞쪽에 위치된 머리 사이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감지되는 경우 자동각도조절장치를 작동시켜 착석부, 등받이부, 머리받침부가 뒤로 젖혀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unit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seating to detect seating; A backrest portion capable of leaning on the back; A headrest capable of leaning the head back; An armrest for placing an arm; A body which connects the seating part, the backrest part and the headrest part to one side, so that the seating part, the backrest part and the headrest part can be folded back or returned to the front at the same time; An automatic angle adjusting device for forcibly tilting the seat,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The interval between the headrest part 30 and the head located in front of the headrest part 30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headrest part 30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automatic angle control device when the excess is detected so that the seat, the backrest, the head restraint.
따라서 본 발명의 의자를 사용하면, 시력저하, 근골격계 질환, 허리 및 목의 형태변형, 허리 및 목의 디스크 발생 등 컴퓨터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들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by using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caused by computer use, such as decreased vision, musculoskeletal disorders, morphology of the back and neck, disk generation of the back and neck.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석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하도록 하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ice chair having a posture correcting function to induce a seated person to take a correct posture.
컴퓨터를 사용하는 업무가 증가하면서 사무용 의자에 앉아있는 시간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As the use of computers increases, the time spent sitting in office chairs increases significantly.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는,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부와 착석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와, 상기 착석부와 등받이부를 하나로 연결하는 몸체를 갖는 형태로 구현된다. In general, the office chair is implemented in a form having a seating portion that can be seated and a backrest portion on which a seated person can lean back, and a body connecting the seating portion and the backrest to one.
상기와 같은 몸체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달려 있기도 한다. The body may also have a wheel for easy movement.
한편, 컴퓨터를 이용하는 업무가 증가하면서 눈의 피로 증가 및 시력저하, 근골격계 질환의 증가, 척추의 형태변형 및 허리디스크 환자의 증가, 목의 형태변형 및 목디스크 환자의 증가 등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use of computers increases, problems such as increased eyestrain, decreased vision, increas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creased spinal morphology and lumbar disc patients, and increased neck morphology and neck disc patients are emerging as problems. .
눈의 피로증가 및 시력저하는, 컴퓨터를 사용할 때 시선이 모니터에만 오래도록 머물러 눈의 깜빡이는 횟수가 크게 줄고 초점의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Eye fatigue and visual acuity, because when using a computer, the gaze stays on the monitor for a long time, greatly reducing the number of blinks and no change in focus.
또, 근골격계 질환의 증가는 팔이 키보드나 마우스에 지속적으로 올려져 있는데 동일한 자세를 오래도록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서서히 근골격계에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increase in musculoskeletal disorders is because the arm is continuously placed on the keyboard or mouse, because the same posture is often maintained for a long time, so that problems with the musculoskeletal system gradually occur.
또, 척추의 변형 및 허리디스크 환자의 증가는 시선이 모니터에 집중되면서 앉은 상태에서 상체가 앞쪽으로 오랫동안 구부러져 있게 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deformity of the spine and the increase in the patient of the herniated disc is because the upper body is bent forward for a long time while sitting with the eyes focused on the monitor.
또, 목의 형태변형 및 목디스크환자의 증가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보기 위해 목을 앞으로 내미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 형태를 오래도록 유지하게 되면서 목뼈에 변형이 발생되기 때문이다.(일명 "거북이 목"이라 칭함)In addition, neck deformity and the increase of neck disc patients cause the neck to come forward to see what is displayed on the monitor, because it keeps the shape for a long time and deforms the neck bone. Neck ")
상기와 같은 현상들은 서서히 진행되는 것이어서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된 경우에 비로소 그 사실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Such phenomena are slowly progressing and are often found only when they are irreversibly deteriorated.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사무용 의자에 앉을 때 바른 자세를 취하고, 20분∼30분 단위로 휴식을 하도록 의사들의 충고가 이어지고는 있으나 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고,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의사의 충고를 따르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In order to avoid the above problems, doctors are advised to take a proper posture when sitting in an office chair and to rest every 20 to 30 minutes, but they often do not know this. The case is extremely rare.
이는 바른 자세를 취하고 휴식을 반복하는 것을 습관화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it a habit to take the right posture and repeat the re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지 않은 경우 강제적으로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컴퓨터의 사용으로 인한 시력저하, 근골격계 질환, 허리 및 목의 변형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ore specifically, by inducing the occupant to take the correct posture when not in a correct posture, visual acu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back and neck deformation due to the use of a comput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ffice chair having a posture correction function that prevents the same problem.
본 발명에서는 착석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지 않을 경우와 오랫동안 한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 착석부와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가 동시에 뒤로 젖혀지도록 함으로써 착석자가 쉬도록 하는 동시에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ted person does not take the correct posture and maintains one posture for a long time, the seated part, the back part, and the head restraint are simultaneously turned back, thereby inducing the seated person to rest and at the same time inducing the right posture.
이러한 본 발명의 자세교정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는, 쿠션을 가지며 앉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감지용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착석부를 갖는다. The office chair having a posture correc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ating portion, which is provided with a cushion, and has a seating sensor for detecting seating.
또, 착석한 상태에서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쿠션을 갖는 등받이부를 갖는다. Moreover, it is possible to lean on a back in a seated state and has a backrest part which has a cushion.
또, 착석한 상태에서 머리를 뒤로 기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쿠션을 갖는 머리받침부를 갖는다. It is also possible to lean the head back while seated and has a headrest with a cushion.
또, 착석한 상태에서 팔을 걸쳐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 하 높이조절 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팔걸이부를 갖는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st the arm in a seated state and has an armrest that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또, 착석부와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를 하나로 연결하되 착석부와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가 동시에 뒤로 젖혀지거나 앞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있으며,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를 갖는 몸체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headrest portion are connected to one, but the seating portion,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headrest portion are connected so that they can be flipped backward or returned to the front at the same time, and have a body having wheels to be movable.
또, 착석자가 몸을 뒤로 젖히지 않더라도 착석부와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가 강제적으로 뒤로 젖혀지도록 하기 위한 자동각도조절장치를 갖는다. In addition, even if the seated person does not lean back, there is an automatic angle control device for forcing the seat, the back and the headrest to be forcibly leaned back.
또, 머리받침부와 그 앞쪽에 위치된 물체 사이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될 경우 자동각도조절장치를 작동시켜 착석부, 등받이부, 머리받침부가 뒤로 젖혀지도록 하되 착석부에 위치된 센서에 의해서 착석자가 있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만 뒤로 젖혀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In additio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rest and the object located in front of it continues beyond the preset value for more than the preset time, operate the automatic angle control device so that the seating part, the back part and the headrest part are flipped back. It has a control unit which flips back onl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a seated person by a sensor located in the unit.
본 발명에서는 착석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지 않을 경우와 오랫동안 한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 착석부와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가 동시에 뒤로 젖혀짐으로써 착석자가 휴식할 수밖에 없도록 하는 동시에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ted person does not take a correct posture and maintains one posture for a long time, the seated part, the back part, and the head restraint are simultaneously turned back, thereby inducing the seated person to rest and at the same time inducing the right posture.
따라서 본 발명의 의자를 사용하면, 시력저하, 근골격계 질환, 허리 및 목의 형태변형, 허리 및 목의 디스크 발생 등 컴퓨터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들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by using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caused by computer use, such as decreased vision, musculoskeletal disorders, morphology of the back and neck, disk generation of the back and neck.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examples illustrated to more specifically describ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업무 등에 사용되는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ice chair used for work using a computer.
따라서 본 발명의 사무용 의자도 종래와 같이 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착석부(10)를 갖는다. Therefore, the offic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또, 착석한 상태에서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등받이부(20)를 갖는다. Moreover, it has the
그런데 본 발명은 착석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지 않거나 오래 앉아있는 경우 강제적으로 바른 자세를 취하고 잠깐의 휴식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seated person does not take a correct posture or sits for a long time to take a correct posture and have a brief res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착석부(10)와 등받이부(20)가 강제적으로 뒤로 젖혀지도록 한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착석부(10)와 등받이부(20)는 쿠션을 갖도록 하여 착석자가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즉, 착석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지 않거나 오래 앉아 있는 경우 착석부(10)와 등받이부(20)가 뒤로 젖혀지도록 하는 것이므로 이와 같이 착석부(10)와 등받이 부(20)가 뒤로 젖혀질 때 착석자와 접촉되는 면이 쿠션을 가짐으로써 편안한 자세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seated person does not take a correct posture or sits for a long time, so that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착석부(10)와 등받이부(20)가 뒤로 젖혀지도록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의자에는 착석한 상태에서 머리를 뒤로 기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쿠션을 갖는 머리받침부(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lean back the head in a seated state, it is preferable to have a
또, 강제적으로 착석부(10)와 등받이부(20)를 뒤로 젖혀주는 것이므로 뒤로 젖혀지는 과정에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는 팔걸이(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since the
즉, 착석한 상태에서 뒤로 젖혀질 때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t is to be able to put the arm up when it is bent back in a seated state.
이러한 팔걸이(40)는 착석자가 불안정한 자세로 착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매우 유용하다. This
즉, 착석자가 한쪽으로 기울어진 자세 등 불안전하게 앉아있는 상태에서 착석부(10)와 등받이부(20)가 뒤로 젖혀질 경우 자칫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착석부(10)의 좌, 우측에 위치된 팔걸이(40)를 통해 착석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이러한 팔걸이(40)는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는 착석자가 편안한 자세로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착석 자의 신체크기 등을 고려하여 팔걸이(40)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본 발명은 통상의 의자와 같이 착석부(10)와 등받이부(20)와 머리받침부(30)를 하나로 연결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51)가 달린 몸체(50)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상기와 같은 몸체(50)는 착석부(10)와 등받이부(20)와 머리받침부(30)가 동시에 뒤로 젖혀지거나 앞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이다. The
상기와 같은 구조의 몸체(50)는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착석부(10)와 등받이부(20)와 머리받침부(30)를 동시에 강제적으로 뒤로 젖혀주기 위한 것이다. By the wa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cibly back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의자는, 착석자가 몸을 뒤로 젖히지 않더라도 착석부(10)와 등받이부(20)와 머리받침부(30)가 강제적으로 뒤로 젖혀지도록 하기 위한 자동각도조절장치(60)를 갖는다. Therefore,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utomatic
이러한 자동각도조절장치(60)는 도 1과 같이 몸체(50)의 뒤쪽에 연결된 와이어(61)와, 동력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와이어(61)를 선택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된 모터(62)를 갖는 구조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 automatic
또, 착석부(10)의 뒤쪽을 끌어당기거나 밀어주는 실린더를 갖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In addition,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having a cylinder that pulls or pushes the rear of the seat 10 (not shown).
또, 볼스크류가 감속기에 의해 회전되면서 전, 후진되어 착석부의 뒤쪽을 끌어당기거나 밀어주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In addition, the ball screw is rotated by the reducer, the front and the revers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ulling or pushing the rear of the seat (not shown).
본 발명은 착석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지 않거나 오래 앉아있는 경우 착석부(10), 등받이부(20), 머리받침부(30)를 뒤쪽으로 젖혀주는 것이므로, 착석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는지의 여부 및 오래 앉아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When the seated person does not take a correct posture or sits for a long time, so that the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착석부(10)에는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감지용 센서(11)가 구비된다. For this reason, the
또, 착석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머리받침부(30)에는, 그 앞쪽에 위치된 물체와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머리감지용 센서(31)가 구비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whether the seated person is in a correct posture, the
또, 자동각도조절장치(60)를 작동시켜 착석부(10), 등받이부(20), 머리받침부(30)가 뒤로 젖혀지도록 하는 제어부(7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상기 제어부는 착석부(10)에 위치된 착석감지용 센서(11)에 의해서 착석자가 있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만 뒤로 젖혀지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is turned back onl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a seated person by the
이는 착석자가 없는 경우에는 착석부(10), 등받이부(20), 머리받침부(30)가 뒤로 젖혀질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re is no seated person, the
전술한 착석감지용 센서는 압력센서, 열감지센서, 접지센서 등 이미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압력센서가 가장 바람직하다. The above-mentioned seating sensor may be a variety of known forms such as pressure sensor, heat sensor, grounding sensor, but the pressure sensor is most preferred.
또, 머리받침부(30)에 설치되는 센서는 설정된 거리 이내에 물체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nsor installed in the
물론, 도면에서와 같이 머리받침부(30)의 위쪽에서 전방으로 머리감지용 센 서(31)를 돌출시켜 머리감지용 센서(31)의 하부에 물체(머리)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Of course, as shown in the figure by protruding the
그런데 머리받침부(30)와 그 앞쪽에 위치된 물체 사이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유지된다고 하여 곧바로 착석부(10), 등받이부(20), 머리받침부(30)가 뒤로 젖혀지도록 해서는 안된다. However,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이는 착석자가 모니터나 책상 위의 서류 등을 자세히 보기 위하여 몸을 앞으로 내미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seated person may come forward to see the monitor or the documents on the desk in detail.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제어기는, 상기 머리받침부(30)의 위쪽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머리감지용 센서(31)에 의해 상기 머리받침부(30)와 그 앞쪽에 위치된 머리 사이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감지되는 경우 자동각도조절장치(60)를 작동시켜 착석부(10), 등받이부(20), 머리받침부(30)가 뒤로 젖혀지도록 한다. For this reason,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between the
위에서 "간격이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이란 센서가 감지하도록 설정된 거리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인체의 구조를 고려할 때 6cm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terv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means above the distance set by the sensor to sense, it is preferable to be 6cm or more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미리 설정된 시간'이란 의자의 제작과정에서 셋팅되는 시간으로서 5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set time' is a time se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hair is preferably set to about 5 minutes.
즉, 머리받침부(30)로부터 머리가 6cm를 초과하여 위치되는 시간이 5분 이상 지속되면 착석부(10), 등받이부(20), 머리받침부(30)가 동시에 뒤로 젖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time for which the head is positioned beyond 6cm from the
물론, 상기 간격이나 시간은 의자의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 가능하도록 구현 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interval or time may be implemented to be set by the user of the chair.
그런데 머리받침부(30)와 그 앞쪽에 위치된 물체 사이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이 되면서 그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착석자가 없는 경우에는 착석부(10), 등받이부(20), 머리받침부(30)가 뒤로 젖혀지도록 할 필요가 없다. By the way, even if the interval betwe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부(70)는, 착석부(10)에 위치된 센서에 의해서 착석자가 있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만 착석부(10), 등받이부(20), 머리받침부(30)가 뒤로 젖혀지도록 한다. Therefore, the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착석자가 허리에 무리가 가는 잘못된 자세를 취하는 경우 이를 바로잡아 주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need for the seated person to correct it when taking a wrong posture to the waist.
허리에 무리가 가는 잘못된 자세의 대부분은 착석자의 허리가 등받이부(20)에 밀착되지 않는 자세이다. Most of the wrong posture that goes to the waist is a posture of the seated person's waist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rest (20).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착석자의 허리에 대응되는 등받이부(20)의 하부에 허리의 밀착 여부를 감지하는 허리감지용 센서(21)를 구비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rt of the
또, 제어부는 착석감지용 센서(11)에 의해 착석자가 있는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허리감지용 센서(21)에 의해 등받이부(20)에 허리가 밀착되지 않은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에는 착석부(10), 등받이부(20), 머리받침부(30)가 뒤로 젖혀지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detects that the waist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는 착석감지용 센서(11)를 통해 착석자가 앉은 것으로 검출되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착석부(10), 등받이부(20), 머리받침부(30)가 동시에 뒤로 젖혀지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는 동일한 자세로 동일한 업무(컴퓨터를 보는 업무 등)를 계속하면 눈의 피로와 근육의 피로가 심해져 시력저하 및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if you continue the same tasks (such as looking at the computer) in the same posture, eye fatigue and muscle fatigue become severe, causing vision los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위 '설정된 시간 간격'이란 의자의 제작과정에서 미리 셋팅되는 시간으로서 통상 20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t time interval' is a time set in advanc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hair is preferably set to about 20 minutes.
물론 사용자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Of course, you can also implement the user to set the time.
본 발명의 의자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컴퓨터의 사용 중에 주기적으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습관화된다. Continued use of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a habit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and to periodically rest during the use of the computer.
본 발명은 각종 사무용 의자에 적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office chairs.
도 1은 본 발명의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의 착석부, 등받이부, 머리받침부가 뒤로 젖혀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backrest, headrest of the office chair having a posture corr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olded back.
도 2는 본 발명의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가 자동각도조절장치에 의해 착석부, 등받이부, 머리받침부가 뒤로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ffice chair having a posture correc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part, the backrest, the head restraint portion by the automatic angle adjustment device.
〈도며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ogo>
10. 착석부 11. 착석감지용 센서10. Seating
20. 등받이부 21. 허리감지용 센서20.
30. 머리받침부 31. 머리감지용 센서30.
40. 팔걸이 50. 몸체40.
51. 바퀴 60. 자동각도조절장치51.
61. 와이어 62. 모터61.
70. 제어부 70. Control part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36401A KR100876632B1 (en) | 2008-04-18 | 2008-04-18 | Office chair with posture corr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36401A KR100876632B1 (en) | 2008-04-18 | 2008-04-18 | Office chair with posture correc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76632B1 true KR100876632B1 (en) | 2008-12-31 |
Family
ID=4037338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3640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6632B1 (en) | 2008-04-18 | 2008-04-18 | Office chair with posture corre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76632B1 (en)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6109535A1 (en) * | 2014-12-29 | 2016-07-07 | Herman Miller, Inc. | System architecture for office productivity structure communications |
| KR101645859B1 (en) * | 2015-03-10 | 2016-08-08 | 설효정 | A chair for rectifing the spine |
| CN107411395A (en) * | 2017-03-28 | 2017-12-01 | 广西南岜仔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body-building office seats |
| KR101816685B1 (en) | 2016-10-17 | 2018-01-10 | 현대다이모스(주) | Apparatus for automatic height regulating of headrest |
| KR20210029510A (en) | 2019-09-06 | 2021-03-16 | 이상필 | Correction device of turtle neck for backrest mounted type |
| KR102457066B1 (en) * | 2022-05-03 | 2022-10-24 | 주식회사 양지에이치앤 | Mesh type back chair with posture correction function |
| KR20250030694A (en) | 2023-08-25 | 2025-03-05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correcting a hunched back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68727Y1 (en) | 1999-08-18 | 2000-02-15 | 최근섭 | Chair having sitting posture correction function |
| KR200204865Y1 (en) | 2000-07-13 | 2000-12-01 | 전선영 | Chair |
| KR200245181Y1 (en) | 2001-05-11 | 2001-10-29 | 손정훈 | Chair for posture reform |
| KR200431495Y1 (en) | 2006-08-16 | 2006-11-23 | 김상현 | Chair with correction function |
-
2008
- 2008-04-18 KR KR1020080036401A patent/KR10087663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68727Y1 (en) | 1999-08-18 | 2000-02-15 | 최근섭 | Chair having sitting posture correction function |
| KR200204865Y1 (en) | 2000-07-13 | 2000-12-01 | 전선영 | Chair |
| KR200245181Y1 (en) | 2001-05-11 | 2001-10-29 | 손정훈 | Chair for posture reform |
| KR200431495Y1 (en) | 2006-08-16 | 2006-11-23 | 김상현 | Chair with correction function |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6109535A1 (en) * | 2014-12-29 | 2016-07-07 | Herman Miller, Inc. | System architecture for office productivity structure communications |
| US10398233B2 (en) | 2014-12-29 | 2019-09-03 | Herman Miller, Inc. | System architecture for office productivity structure communications |
| US10750873B2 (en) | 2014-12-29 | 2020-08-25 | Herman Miller, Inc. | System architecture for office productivity structure communications |
| US11517113B2 (en) | 2014-12-29 | 2022-12-06 | MillerKnoll, Inc. | System architecture for office productivity structure communications |
| US12004662B2 (en) | 2014-12-29 | 2024-06-11 | MillerKnoll, Inc. | System architecture for office productivity structure communications |
| KR101645859B1 (en) * | 2015-03-10 | 2016-08-08 | 설효정 | A chair for rectifing the spine |
| KR101816685B1 (en) | 2016-10-17 | 2018-01-10 | 현대다이모스(주) | Apparatus for automatic height regulating of headrest |
| CN107411395A (en) * | 2017-03-28 | 2017-12-01 | 广西南岜仔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body-building office seats |
| KR20210029510A (en) | 2019-09-06 | 2021-03-16 | 이상필 | Correction device of turtle neck for backrest mounted type |
| KR102457066B1 (en) * | 2022-05-03 | 2022-10-24 | 주식회사 양지에이치앤 | Mesh type back chair with posture correction function |
| KR20250030694A (en) | 2023-08-25 | 2025-03-05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correcting a hunched back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76632B1 (en) | Office chair with posture correction | |
| AU2020200236B2 (en) | An orthopedic chair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 |
| EP2802241B1 (en) |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 |
| KR200447924Y1 (en) | Functional chair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by stretching the waist and adjusting the angle | |
| CN204599876U (en) | A kind of new sitting posture healthy chair and cushion | |
| CN202312287U (en) | Spine healthy chair | |
| KR20210015181A (en) | Office chair with correct posture correction function | |
| WO2008042663A2 (en) | Forward-biased postural chair | |
| JP2011527927A (en) | Posture calibration chair | |
| KR20090047590A (en) | Chiropractic Furniture | |
| JP4889877B2 (en) | Chair | |
| CN201005296Y (en) | Adjustable chair linkage mechanism | |
| DK174580B3 (en) | Chair, preferably wheelchair, with swivel backrest | |
| KR100846733B1 (en) | chair | |
| KR20210040530A (en) | Backrest tilting chair | |
| JP2006296960A (en) | Chair having massage function | |
| CN207075770U (en) | A kind of health-care chair | |
| JP2633787B2 (en) | Seat equipment | |
| CN208550617U (en) | A kind of back cushion | |
| JP2012041031A (en) | Cushion-material support mechanism and seat | |
| CN223081345U (en) | Chair back with waist support function and office chair comprising same | |
| KR20120061581A (en) | The chair for waist support | |
| KR20170029145A (en) | Posture correcting device for desk | |
| JP3197066U (en) | Orthodontic chair to prevent spine and spinal cord diseases | |
| CN210077123U (en) | Reset correction chair back and chai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9-X000 | Request for party data change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9-oth-X000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12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122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