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139B1 - Manufacturing method of crawler band, crawler band pin, crawler band bush and crawler band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crawler band, crawler band pin, crawler band bush and crawler b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7139B1 KR100877139B1 KR1020020049559A KR20020049559A KR100877139B1 KR 100877139 B1 KR100877139 B1 KR 100877139B1 KR 1020020049559 A KR1020020049559 A KR 1020020049559A KR 20020049559 A KR20020049559 A KR 20020049559A KR 100877139 B1 KR100877139 B1 KR 1008771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wler band
- crawler
- band
- metal
- bus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5—Connections between track links
- B62D55/21—Links connected by transverse pivot p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92—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lubricat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96—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noise re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주행시 크롤러밴드(crawler band)의 강도를 저감시키는 일 없이, 크롤러밴드부시(crawler bush)와 크롤러밴드핀(crawler pin)의 윤활성을 개선하여, 주행시 발생하는 삐걱거리는 소리나 녹아붙음을 방지한다.It improves the lubrication of the crawler band and the crawler band pins without reducing the strength of the crawler band during driving, thereby preventing squeaking or melting that occurs during driving.
외주부, 또는 외주부와 내주부가 표면경화된 원통상의 크롤러밴드부시 2 와, 그 크롤러밴드부시 2 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크롤러밴드핀 4 로 형성되는 틈새에 1층 이상의 금속부재가 배치되고, 이 금속부재중 적어도 1층이 윤활유 및/또는 윤활재로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금속계접동(摺動)부재 8 이다.
One or more layers of metal members are disposed in a gap formed by a cylindrical crawler band bush 2 whose outer circumferential part or an outer circumferential part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part are surface hardened, and a crawler band pin 4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rawler band bush 2. At least one layer of the metal member is a metal-based sliding member 8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stored as lubricant and / or lubrican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크롤러밴드의 부분단면도이다.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rawler b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g)는, 금속계접동부재의 예이다.2 (a) to 2 (g) show examples of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도 3은, 윤활유 공급방법의 설명도이다.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lubricating oil supply method.
도 4(a)(b)는, 금속계접동부재의 이동방지방법의 설명도이다.4 (a) and 4 (b) are explanatory views of the movement preventing method of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도 5(a)(b)는, 금속계접동부재를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에 압입(壓入) 또는 감합(嵌合)시킨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FIG.5 (a) (b)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which made the metal type sliding member press-fit or fit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 crawler band bushing.
도 6(a)∼(d)는, 크롤러밴드부시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홈가공이나 단면부에 설치되는 실(seal:밀봉)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6 (a) to 6 (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al device provided in a groove processing or an end fac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
도 7(a)∼(d)는, 크롤러밴드부시의 열처리경화패턴을 나타내는 도이다.7 (a) to 7 (d) show a heat treatment hardening pattern of the crawler band bush.
도 8(a)∼(c)는, 금속계접동부재의 형성방법의 설명도이다.8 (a) to 8 (c) are explanatory views of a method of forming a metal-based sliding member.
도 9는, 충격피로시험방법의 설명도이다.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hock fatigue test method.
도 10은, 크롤러밴드부시·핀의 틈새(간극)와 부시파손강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1)이다.10 is a graph (1)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p (gap) of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pin and the bush breaking strength.
도 11은, 크롤러밴드부시·핀의 틈새와 부시파손강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2)다.11 is a graph (2)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p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pin and the bush breaking strength.
도 12는, 인장시험편형상을 나타내는 도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a tensile test piece.
도 13(a)(b)는, 정속(正速) 마찰마모시험기의 개념도, 접동시험편홀더 및 접동시험조건을 나타내는 도이다.Fig. 13 (a) (b) is a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stant speed friction wear tester, a sliding test piece holder and sliding test conditions.
도 14는, 접동테스트에 제공한 시험편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est piece shape provided to the sliding test.
도 15는, 접동테스트의 시험장치의 개념도(a) 및 시험조건(b)이다.Fig. 15 is a conceptual diagram (a) and test condition (b) of the test apparatus for the sliding test.
도 16은, 크롤러밴드의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b) of the crawler band.
도 17(a)∼(d)는, 크롤러밴드부시의 열처리경화패턴을 나타내는 도이다.17 (a) to 17 (d) show a heat treatment hardening pattern of the crawler band bush.
도 18은, 녹아붙음 위치의 모식도이다.It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lting position.
도 19는, 동합금과 철의 경계 윤활 마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9 is a graph showing boundary lubrication wear of copper alloy and ir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 크롤러밴드 2 크롤러밴드부시1
3,5 크롤러밴드링크 4 크롤러밴드핀3,5
6 실장치 7 크롤러밴드슈(shoe)6
8 금속계접동부재 10 윤활유저장구멍8 Metallic sliding
11 윤활유공급구멍 12 홈형상
11
본 발명은, 유압삽, 불도저등의 건설, 토목용 기계에 이용되는 크롤러밴드, 크롤러밴드핀, 크롤러밴드부시 및 크롤러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rawler band, a crawler band pin, a crawler band bush and a crawler band used in construction of hydraulic shovels, bulldozers and the like, and civil engineering machines.
일반적으로, 건설기계의 크롤러밴드50은, 도 16(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크롤러밴드슈51과, 이 크롤러밴드슈51에 볼트로 고정된 한쌍의 크롤러밴드링크52, 53과, 이 크롤러밴드링크52, 53에 형성된 구멍부에 압입·감합되는 크롤러밴드부시54와, 이 크롤러밴드부시54내에 삽입되고, 또한 크롤러밴드링크52, 53의 구멍부에 압입·감합되는 크롤러밴드핀55로 이루어지져, 크롤러밴드링크52, 53 사이에 압입되는 크롤러밴드부시54에 구동륜의 톱니(齒)형상의 스프로킷(sprocket)이 맞물림으로서 크롤러밴드50을 회전시키고, 건설기계를 주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6(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크롤러밴드부시54의 단부와 크롤러밴드핀55 사이에 실장치56을 배치하여, 크롤러밴드부시54와 크롤러밴드핀55 사이에 토사나 흙탕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크롤러밴드부시54 내주면과 크롤러밴드핀55 외주면의 마모의 수명을 개선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또한, 상기 크롤러밴드부시는,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침탄담금질법이나 고주파담금질법에 의해 그 내외주면은 경화되어 있고, 예를 들면, 내외주를 고주파담금질하여, 단면부에 연질층이 출현하고, 후술할 건식 크롤러밴드에 쓰여지는 도면중의 (a)형, 외주면의 경화의 깊이를 현저하게 깊게 하여, 단면부에 연질층이 출현하지만, 외주면에서부터의 경화층의 폭을 넓게 두도록 하여, 후술할 습식 크롤러밴드에도 쓰여지는 도면중의 (b)형, 침탄담금질법등에 의해 내외주면, 단면부의 표면이 연속하여 경화되고, 후술할 습식 크롤러밴드에도 쓰여지는 도면중의 (c)형, 및, 담금질로 전체를 경화시킨 후에, 내주면에서부터의 고주파담금질을 실시함으로서 외주면측과 단면부 표면에 깊은 경화층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내주면에 이어지는 템퍼링(tempering) 연화층과 얇은 내주 경화층을 형성시켜, 후술할 습식 크롤러밴드에도 쓰여지는 도면중의 (d)형등이 이용되고 있다. 또, 크롤러밴드핀에 있어서도 그 외주면은 같은 열처리에 의해 경화되고 있으며, 크롤러밴드의 강화와 내마모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7, the crawler band bush is hardened by the carburizing quenching method or the high frequency quenching method. For example,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re hardened by high frequency quenching, and a soft layer appears in the cross section. In the drawing written on the dry crawler band to be described later, the depth of hardening of type (a)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emarkably deep, and a soft layer appears in the cross section, but the width of the hardened layer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widened. (B) in the drawing used for the wet crawler band to be described later, the surface of the cross-section is continuously hardened by the carburizing quenching method, and the like (c) in the drawing for the wet crawler band to be described later, and After hardening the whole with quenching, high-frequency quench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s a deep hardened lay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and the end face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temper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g) The softening layer and the thin inner circumferential hardening layer are formed, and the (d) type | mold etc. in the figure used also for the wet crawler band mentioned later are used. Also in the crawler band p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cured by the same heat treatment, and is intended to enhance the crawler band and to improve wear resistance.
또, 주행중의 구동륜과 유동륜 부위에 있어서는, 크롤러밴드부시54와 그 내주부에 삽입한 크롤러밴드핀55 사이에 있어서, 그들 크롤러밴드부시54와 크롤러밴드핀55의 원주방향에의 회전이 발생하고, 양자가 접촉하여 미끄러지는 상태(摺接狀態)에서는, 그 접접시의 울리는 소리, 녹아붙음의 소리등 소음(불쾌한 소리)이 발생하기 쉽고, 이들 소음의 발생이나 녹아붙음에 의한 크롤러밴드부시 및 크롤러밴드핀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크롤러밴드부시의 내경에 대하여 크롤러밴드핀의 외경을 보다 작게 조종하도록 되어 있다. Moreover, in the drive wheel and the flow wheel part which are running, between the
또한, 고속주행하는 불도저로는,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 사이에 윤활유를 봉입한 습식 크롤러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불쾌한 소리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크롤러밴드핀과 크롤러밴드부시 사이의 녹아붙음을 방지하는 것을 도모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습식 크롤러밴드 구조는 고가로 되기 때문에, 유압삽등과 같이 고속주행성의 필요성이 적은 크롤러밴드로는, 윤활유를 봉입하지 않는 건식 크롤러밴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high speed driving bulldozer uses a wet crawler band in which lubrication oil is enclosed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unpleasant sound and melt between the crawler band pin and the crawler band bush. Although it is possible to prevent seizure, such a crawler band structure is expensive, and a crawler band which does not enclose lubricant is generally used as a crawler band having a low need for high-speed driving such as a hydraulic shovel. have.
상술한 바와 같은 건설기계로는, 건식 및 습식 크롤러밴드를 불문하고, 크롤러밴드의 크롤러밴드핀과 크롤러밴드부시에는 매우 큰 편하중(偏荷重)이 작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한 세트의 크롤러밴드핀과 크롤러밴드부시에 차체중량(W)의 1배 이상의 하중이 빈번하게 작용하고, 또한, 딱딱한 장애물을 뛰어넘는 경우 등에서는 그 하중이 3배(3W) 이상에도 미치는 일이 있다.It is known that the construction machine as described above, regardless of dry and wet crawler bands, the crawler band pins and crawler band bushes of the crawler band have a very large unbalanced load, and a set of crawler band pins. In the case of excessive crawler band bushing, a load of one or more times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frequently acts, and in the case of surpassing a hard obstacle, the load may also be three times or more (3 W).
이 편하중이 걸리기 쉬운 부위에 있어서는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중요하며, 강도적인 관점에서부터는 그 클리어런스를 좁혀서 편하중을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양자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녹아붙음이 일어나고, 반대로 예를 들면,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에서부터의 파손이 일어나기 쉽게 되는 등이 문제가 된다. 또, 당연히,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과의 클리어런스를 크게 할수록 녹아붙음의 문제는 경감되지만, 크롤러밴드부시가 파손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또 크롤러밴드부시를 강화하기 위하여 크롤러밴드부시를 보다 대형화하지 않으면 안된다라는 문제가 생긴다.Clearance of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is important in the area where this load is likely to be applied,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strength, narrowing the clearance to support the unloading load with both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is important.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slippage occurs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crawler band pins, melting occurs, and conversely, for example, breakag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ing becomes a problem. As a matter of course, the larger the clearance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crawler band pin is, the less the problem of melting becomes, but the problem that the crawler band bushing is easily broken occurs, and the crawler band bushing is used to strengthen the crawler band bushing. The problem arises that must be made larger.
이와 같은 관점에서,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는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과의 틈새는 직경차가 0.4∼1.2㎜ 사이로 설정되어 있지만, 유압삽이 凸凹면을 연속 주행하는 경우나 불도저가 고속주행하는 경우와 같이 편하중이 크게 된 경우에는, 도 18에 모식적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은 녹아붙음이 일어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또 양자 사이의 틈새가 큰 경우에는 크롤러밴드부시의 절손되는 것이 다발 한다는 문제가 있다.From this point of view, in most cases, the gap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crawler band pin is set between 0.4 and 1.2 mm in diameter, but the hydraulic shovel continuously runs along the rear surface or when the bulldozer runs at high speed. In the case where the unloading load is large, melting as shown schematically in Fig. 18 cannot be avoided, and when the gap between them is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breakage of the crawler band bushing occurs frequently.
특히, 상기 편하중에 의한 접촉부에서는 고면압화(高面壓化)하면서 접동속도가 매우 늦고, 왕복 접동조건으로 쓰여지기 때문에, 윤활유를 봉입하고 있는 습식 크롤러밴드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녹아붙음이 발생하고, 때로는 과열로 인한 오일실(oil seal)의 파괴가 일어나며, 윤활유의 누출이라는 좋지 않은 상태나 녹아붙음부에서부터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절손한다는 문제가 있다.Particularly, in the contact portion caused by the unloading load, the sliding speed is very low while being high in surface pressure, and it is used as a reciprocating sliding condition, so that even in a wet crawler band encapsulating lubricating oil, melting occurs easily. Sometimes the breakage of the oil seal occurs due to overheat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are damaged from the bad state of lubricating oil leakage or the melted portion.
또, 이와 같은 녹아붙음 현상의 대책으로서, 크롤러밴드핀 및 크롤러밴드부시는 고주파담금질법이나 침탄담금질법에 의해 현저하게 접동면이 경화되어 있지만, 더 좋은 대책을 위해서는 크롤러밴드핀 표면이나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에 인산(憐酸)피막처리나 탄화물, 질화물, 초경(超硬), 고체윤활재(MoS2나 흑연)등의 코팅처리를 행하여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표면개질층(改質層)을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두께가 10㎛정도), 충분한 수명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또 고가로 된다는 것이 문제이다.In addition, as a countermeasure against such a melting phenomenon, the crawler band pins and the crawler band bushes are remarkably hardened by high frequency quenching or carburizing quenching. Phosphoric acid coating, carbide, nitride, cemented carbide, solid lubricant (MoS 2 or graphite), and the like can be considered to be used.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form these surface modification layers thickly (about 10 micrometers in thickness), it is a problem that it does not lead to sufficient lifetime improvement and becomes expensive.
한편, 윤활유를 봉입하고 있는 습식 크롤러밴드에 있어서는, 크롤러밴드핀에 오일구멍을 형성하여,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편하중이 걸리기 쉬운 위치에 우선적으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크롤러밴드핀의 편하중 최대 위치에 오일구멍를 뚫는 것은 크롤러밴드핀의 강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로 이어져, 크롤러밴드의 고강도화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가 있고, 크롤러밴드핀의 절손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wet crawler band which encloses lubricating oil, an oil hole is formed in a crawler band pin, and it is possible to preferentially supply lubricating oil to the position which is easy to apply a load as shown in FIG. However, drilling the oil hole at the maximum position of the unloading load of the crawler band pins results in lowering the strength of the crawler band pins, which is undesirable from the standpoint of the high strength of the crawler band pins, and causes the problem of cutting the crawler band pins. Doing.
또한, 일본국 특개2001-88755호 공보에 있어서는,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 사이에 토사가 침입했을 때에도,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과 크롤러밴드핀 외주면의 마모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그 내구성, 수명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1)크롤러밴드부시의 내주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이간(離間)하여 축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이물질포착홈을 설치한 크롤러밴드, 2)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에 경질의 수지재료를 사용한 수지층을 설치하고, 그 수지층에 원주방향으로 이간하여 축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이물질포착홈을 설치한 크롤러밴드, 3)크롤러밴드부시의 내주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이간하여 축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이물질포착홈에 경질의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접동자(子)를 설치하여, 그 접동자에 의해 크롤러밴드핀을 접동이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크롤러밴드 내주면과 크롤러밴드핀의 외주면 사이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공간부를 설치하는 구조로 한 크롤러밴드가 개시되어 있다.Further,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88755, even when earth and sand enters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wea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pin is minimized, and the durability and lifespan are minimized.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1) a crawler b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trapping grooves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crawler band bush, and 2) a hard resin material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 A crawler band provided with a used resin layer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trapping groove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part from the resin lay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3) A plurality of plurally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crawler band bush. A slider made of a hard resin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foreign substance trapping groove, and the crawler band pin is slid by the slider. Rotatably supported, and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crawler band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rawler band pin is at a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 is a crawler band fitting structure for a plurality of spaces is disclosed.
또한, 상기 공보에는, 상기 경질의 수지재료로서, 접동특성이 뛰어난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수지가 이용되는 것, 및 상기 복수의 이물질포착홈이나 공간부에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 사이를 윤활하는 그리스(grease)를 충전하여, 이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publication, an ultra-high molecular polyethylene resin having excellent sliding characteristics is used as the hard resin material, and grease for lubricating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in the plurality of foreign matter trapping grooves or spaces. grease)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이간하여 축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복수의 이물질포착홈을 설치한 크롤러밴드부시로는, 이 포착홈이 상술한 편하중에 의한 크롤러밴드부시의 둥근테 찌그러짐 파괴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홈부가 현저한 응력집중원으로 되기 때문에, 그 파손 강도를 현저하게 저하 시키는 것이 되어 버린다.However, with a crawler band bush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trapping grooves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 the trapping grooves of the crawler band bushes of the crawler band bushing due to the above-mentioned unloading load In parallel with the advancing direction, the groove portion becomes a remarkable stress concentration source, so that the breakage strength is remarkably lowered.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크롤러밴드부시에 1W 이상의 하중이 걸리는 경우에, 상기 경질의 수지층을 설치한 크롤러밴드부시로는, 수지층에 걸리는 압력이 과대하게 되어, 수지층이 충분한 경도와 강도를 가지 않는다는 점에서 영구변형을 방지할 수 없어서, 영구변형에 의해 비어져 나온 수지층이 크롤러밴드의 실장치의 밀봉성을 저해하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고면압하(下)에서의 크롤러밴드핀과의 미끄러짐에 의해 현저하게 마모하는 일이나, 수지층 자체가 크롤러밴드부시의 강도 향상에 거의 기여하는 않는다는 점에서, 수지층의 두께만큼, 크롤러밴드부시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가능한 한 크롤러밴드부시를 크게 하지 않고, 콤팩트한 크롤러밴드를 설계하는 것이 요구되어지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a load of 1 W or more is applied to one crawler band bush as described above, in the crawler band bush provided with the hard resin layer, the pressure applied to the resin layer becomes excessive, and the resin layer has sufficient hardness and Permanent deformation cannot be prevented in that it does not have strength,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resin layer protruded by the permanent deformation impairs the sealability of the seal device of the crawler band. In addition, since the wear and tear of the crawler band pin under high surface pressure are significantly reduced, the resin layer itself hardly contributes to the strength improvement of the crawler band bushing.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he strength of the bush.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o design a compact crawler band without increasing the crawler band bushing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주행시의 크롤러밴드 강도를 저감시키는 일 없이,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윤활성을 개선하고, 주행시 발생하는 삐걱거리는 소리나 녹아붙음을 방지할 수 있는 크롤러밴드, 크롤러밴드핀, 크롤러밴드부시 및 크롤러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으로 형성되는 틈새에 내마모성에 양호한 금속계접동부재를 배치하고, 주행시에 걸리는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에서의 파괴응력에 대하여 그 금속계접동부재를 개재하여, 접동하는 크롤러밴드핀으로부터의 반력으로 크롤러밴드부시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과, 또한, 주행시의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 사이의 접합에 의해 발생하는 울리는 소리, 녹아붙음의 소리를 방지하는 것과, 및, 스프로킷과 맞물릴 때등에 발생 하는 타격음을 흡음함으로서, 정적으로, 고강도, 내마모성에 뛰어난 크롤러밴드, 크롤러밴드핀, 크롤러밴드부시 및 크롤러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mproves the lubricity of the crawler band bushings and the crawler band pins without reducing the crawler band strength during driving, and prevents the squeaking or melting that occurs during driv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rawler band, a crawler band pin, a crawler band bush, and a crawler band. More specifically, a metal-based sliding member having good abrasion resistance is disposed in the gap formed by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crawler band pin, and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breakage stres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ing. To prevent damage to the crawler band bushing by reaction force from the crawler band pin, and to prevent the sound of ringing and melting caused by the joining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crawler band pin while driving, and the sprocket By absorbing the blow sound generated when engaged with the, and statically, to provide a crawler band, a crawler band pin, a crawler band bush and a crawler band excellent in high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발명에 의한 크롤러밴드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crawler band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외주부, 또는 외주부와 내주부가 표면 경화된 원통상 크롤러밴드부시와 그 크롤러밴드부시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크롤러밴드핀으로 형성되는 틈새에 1층 이상의 금속부재가 배치되고, 이 금속부재중 적어도 1층이 윤활유 및/또는 윤활재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금속계접동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One or more layers of metal members are disposed in a gap form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r the cylindrical crawler band bush whose surface circumferen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are surface hardened and the crawler band pins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rawler band bus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the lubricant and / or lubricant.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으로 형성되는 틈새에 윤활유 및/또는 윤활재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금속계접동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편하중이 걸리기 쉬운 부위에 있어서는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클리어런스가 좁아져, 편하중을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양자로 지지함으로서, 종래의 것 이상의 크롤러밴드의 강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고하중하에서의 크롤러밴드핀과 크롤러밴드부시 사이의 마손이나 녹아붙음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metallic contact memb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lubricating oil and / or lubricant is disposed in the gap formed by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the crawler band bush and By narrowing the clearance of the crawler band pins, by supporting both the crawler band bushes and the crawler band pins, the strength of the crawler band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is ensured, and the crawler band pins between the crawler band pins and the crawler band bushes under high loads are secured. Wear and tear can be prevented, whereby noise can be prevented.
보다 구체적으로,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과의 틈새는, 통상, 직경차가 0.4∼1.2㎜ 사이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편하중이 커졌을 경우에는 녹아붙음이 일어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문제와, 그 틈새가 커질수록 크롤러밴드부시의 절손되는 것이 다발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내(耐)녹아붙음성에 뛰어난 금속 계접동부재를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서 녹아붙음이 방지됨과 동시에, 편하중시에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에 걸리는 변형이 내주면에 접촉하는 금속계접동부재로 완화됨으로서 크롤러밴드부시의 파손이 방지된다.More specifically, the gap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crawler band pin is usually set between 0.4 and 1.2 mm in diameter, and when the unloading load increases, the problem that melted occurrence cannot be avoided is caused. The larger the problem is, the larger the breakage of the crawler band bushing,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rposing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crawler band pin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excellent in the melt resistance is prevent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deformation of the crawler band bush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loading load is alleviated by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by preventing the crawler band bushing from being damaged.
또, 상기 크롤러밴드부시와 스프로킷이 맞물릴 때등에 발생하는 타격음은, 크롤러밴드부시에 내접하는 상기 금속계접동부재가 진동함으로서 흡음되기 때문에, 정적성이 뛰어난 크롤러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 흡음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수층의 금속계접동부재 또는 금속계접동부재와 1층 이상의 제진재(制振材)를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부에 압입, 코킹(caulking), 접착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화함으로서, 금속계접동부재 사이 또는 금속계접동부재와 제진재 사이의 진동, 미세한 미끄러짐에 의해 보다 흡음효과가 높아지는 것은 명백하다.Further, the blow sound generated when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sprocket are engaged is absorbed by the vibration of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nscribed in the crawler band bush, thereby providing a crawler band with excellent staticity. In particular, in order to improve the sound absorption, a plurality of layers of metal-based sliding members or metal-based sliding members and one or more layers of vibration damping materials are integra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rawler band bush by a method such as press-fitting, caulking, or bonding. By doing so, it is apparent that the sound absorbing effect is further increased by vibration and minute sliding between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or between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and the vibration damping material.
또한,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부에 복수층의 금속계접동부재를 일체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크롤러밴드핀과 접동하는 측에는 금속계접동부재가 불가결하지만,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측의 접동하지 않는 측에는 접동특성이 뛰어나지 않아도 제진성(制振性)이 높은 금속계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In the case of integrating a plurality of metal-based sliding members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rawler band bushing,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s indispensable on the side sliding with the crawler band pin, but the sliding characteristic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rawler band bushing do not have to have excellent sliding characteristics. It is obvious that a metal-based material having high vibration damping property can be used.
특히, 건식 크롤러밴드로는 윤활유 또는 그리스등의 윤활재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의 금속계접동부재를 사용함으로서, 보다 금속계접동부재의 윤활성을 높이는 효과를 크게, 또한, 이 개선효과의 장기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윤활유 또는 그리스등의 윤활재를 장기에 걸쳐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In particular, as a dry crawler band, a metal-based sliding memb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lubricant such as lubricant or grease can be used to increas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lubricity of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and to prolong the improvement effect. Or it is clear tha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structure which can store lubricants, such as grease, over a long term.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계접동부재에는 구멍가공이 행하여져, 그 구멍 안에 윤활재가 보유되어 있는 것은, 접동면에서의 균일한 윤활성과 장기간의 윤활성의 확보에 유효함과 동시에, 상기 금속계접동부재의 흡음성을 높이는 것에 바람직하다(제 2 발명). 보다 구체적으로, 얇은 원통상의 금속접동부재에 각종 형상의 구멍을 뚫은 것이나 각종 형상의 구멍을 뚫은 판모양의 금속계접동부재를 둥글게 말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용면에서 본다면, 펀칭메탈(punching metal)이라고 하는 판모양의 각종 금속부재를 둥글게 말아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동특성의 관점에서 본다면 예를 들면 청동, 황동등의 동계재료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구멍부에 충전되는 윤활재로서는, 흡음특성이 뛰어난 저영률(低 Young`s modulus) 및/또는 다공질(多孔質)인 특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흑연, 경질왁스(wax), 플라스틱, 함유(含油)플라스틱등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s subjected to a hole, and the fact that the lubricant is retained in the hole is effective for ensuring uniform lubricity and long-term lubricity at the sliding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sound absorption of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raise (2nd invention).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ing which drilled the hole of various shapes in the thin cylindrical metal sliding member, or what rolled up the plate-shaped metal-based sliding member which made the hole of various shapes. In particular, from a cost point of view, it is preferable to roll and use various plate-shaped metal members, such as punching metals, and, in view of sliding characteristics, for example, copper-based materials such as bronze and brass are preferable. In addition, as the lubricant filled in the hole, it is desirable to have a low Young's modulus and / or a porous characteristic excellent in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and include graphite, hard wax, plastic, Containing plastics etc. are preferable.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계접동부재는, 5∼30체적%의 통기구멍이 있는 금속계소결접동재료로 이루어져, 이 통기구멍안에 윤활유가 함침(含浸)되어, 더욱 제진성을 높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3 발명). 이와 같이 상기 윤활유 및/또는 그리스등의 윤활재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의 금속계접동부재로서, 공기구멍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금속계소결접동재료를 사용하여, 그 공기구멍안에 윤활유를 함유시킴으로서, 접동면에서의 윤활성과 흡음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금속계소결접동재료의 공기구멍비율은, 각각의 공기구멍이 개공구멍화(開空孔化)되어, 소결체중에서의 윤활유의 이동이 순조롭게 일어나기 위하여 필요한 5체적% 이상으로 하고, 또 그 금속계소결체 강도의 관점에서 30체적%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s made of a metal-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 having a ventilation hole of 5 to 30% by volume, and lubricating oil is impregnated in the ventilation hole to further improve vibration damping. (Third invention). As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the lubricant and / or grease such as grease as described above, using a metal-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 in which air holes are uniformly dispersed, the lubricant is contained in the air holes, thereby providing Lubrication and sound absorption can be improved. Here, the air hole ratio of this metal-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 is 5 volume% or more necessary for each air hole to be open-hole and smoothly moving the lubricating oil in the sintered body.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30 volume% or less from a viewpoint of metal type sintered compact.
다만, 이 금속계소결접동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각종 형상의 구멍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그리스나 별도의 고체윤활재를 함유시키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얇은 원통상의 다공질 금속소결체에 구멍을 뚫어서 사용하는 것이나 판모양의 다공질 금속소결접동부재에 각종 형상의 구멍을 뚫은 것을 둥글게 말아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metal-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 the above-described holes of various shapes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but in order to contain grease or other solid lubricants, the above-mentioned thin cylindrical porous metal sintered body is drilled and It is preferable to roll and use what used the hole of various shapes in the plate-shaped porous metal sintering sliding member.
또한, 다공질의 동계소결접동재료는, 그 영률리 강(鋼)의 영률 약 1/2 이하로 낮다는 점에서, 편하중시의 응력에 의한 변형시의 크롤러밴드핀, 크롤러밴드부시와의 접촉응력을 현저하게 저감시켜, 녹아붙기 쉽다는 것을 줄이는 것에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강으로 제작되는 크롤러밴드부시, 크롤러밴드핀에 대하여 화학적으로도 녹아붙기 어려운 재료이며, 강에 대한 접동재료로서 가장 좋게 이용되고 있는 재료계로 가장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재료이다.In addition, the porous copper sintered contact material has a low Young's modulus of about 1/2 or less of the Young's modulus steel. Therefore, the contact stress between the crawler band pin and the crawler band bush during deformation due to stress under unloading is low. Is a material that is difficult to melt chemically against the crawler band bushes and crawler band pins made of steel,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ease of melting. Since it is most known by the material system used, it is the most suitable material in this invention.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밴드핀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윤활유 저장구멍과 그 반경방향으로 윤활유 공급구멍을 설치하고, 이들 윤활유저장구멍 및 윤활유공급구멍을 통하여 사용중에 소비되는 윤활유를 상기 금속계소결접동재료중에 보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4 발명). 또, 상기 제 2 발명∼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밴드핀 외주부 또는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부에 홈을 설치하고, 이 홈형상을 따르는 것 같은 형상을 가지는 상기 금속계접동부재를 사용함으로서, 크롤러밴드 주행시의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으로 구성되는 틈새로부터 축방향에의 금속계접동부재의 헐거워짐방지가 도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5 발명). 또한, 상기 금속계접동부재의 축방향에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크롤러밴드핀의 양단(兩端)이 압입되어 있는 크롤러밴드링크 측면이 스토퍼로서 작용하도록 되는 것이 좋다(제 6 발명).In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ubricating oil storage hole in an axial direction and a lubricating oil supply hole in a radial direction are provid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rawler band pin, and the lubricating oil consumed in use through these lubricating oil storage holes and a lubricating oil supply hole is used in the metal system. It is preferable to make it possible to replenish in a sintered sliding material (4th invention). Further, in the second to fourth inventions, a crawler band is formed by providing a groove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rawler band pin or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rawler band bush and using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having a shape that conforms to the groove shape. It is preferable to prevent loosening of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gap formed by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at the time of traveling (fifth invention). Further, in order to prevent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from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of the crawler band link in which both ends of the crawler band pin are press-fitted acts as a stopper (sixth invention).
또, 상기 금속계접동부재는, 상기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부에 압입 또는 감합되거나, 또는 상기 크롤러밴드핀 외주부에 감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7 발명). 여기에서, 상기 금속계접동부재는 상기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부에 압입 또는 감합된 크롤러밴드에 있어서, 그 양단부 근방 내주면에 실장치가 장착되는 것이 좋다(제 8 발명).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s preferably press-fitted or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rawler band bush or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rawler band pin (seventh invention). Here, in the crawler band in which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s press-fitted or fit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rawler band bush, it is preferable that a seal device is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near both ends thereof (eighth invention).
또,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밴드부시와 그 내주측에 배치되는 크롤러밴드핀으로 형성되는 틈새가, 양자의 직경차가 0.4∼2.2㎜로 되도록 하고, 그 틈새에 두께가 0.1∼1.0㎜의 금속계접동부재가 배치되고, 모든 틈새의 직경차가 1.0㎜ 이하로 좁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9 발명). 이 경우, 상기 금속계접동부재는, 영률이 강(鋼)보다도 낮고, 내녹아붙음성에 뛰어남과 동시에, 내마모성 및 내식성(耐食性)에 뛰어난 동계소결접동재료인 것이 좋다(제 10 발명).In each of the above inventions, the gap formed by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crawler band pin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has a diameter difference of 0.4 to 2.2 mm, and the gap has a thickness of 0.1 to 1.0 mm.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s arranged, and the gap in diameter of all the gaps is narrowed to 1.0 mm or less (ninth inven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s a copper-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 that has a Young's modulus lower than that of steel and is excellent in melting resistance and excellent in wear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10th invention).
또, 크롤러밴드부시, 크롤러밴드핀 사이에 삽입되는 동계접동재료가 용이하게 마모되는 경우에는, 그 마모분(粉)이 더스트실(dust seal)이나 오일실을 파손하는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강계접동재료 또는 동계접동재료로서는 도 19에 나타낸 종래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경도가 Hv130 이상의 경질의 내마모성에 뛰어난 재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은 명백하다.In addition, when the copper sliding material inserted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is easily worn, the wear powder is expected to damage the dust seal and the oil seal. As can be seen from the conventional results shown in Fig. 19 as the material or the copper-based sliding material, it is clear tha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is excellent in hard wear resistance of Hv130 or more.
예를 들면, 대표적인 내마모성 동계주조재료로서는, Cu-Zn을 기초로 한 고력 황동계(高力黃銅系) 및 Cu-Al을 기초로 한 Al청동계등의 재료가 널리 알려져 있다.For example, as a typical wear-resistant copper-based casting material, materials such as high-strength brass based on Cu-Zn and Al bronze based on Cu-Al are widely known.
그러나, 이들의 예를 들면 고력황동계를, 상기한 바와 같이 함유(含油)할 수 있는 소결재료로 하는 경우에는, 소결도중에서 Zn가 매우 증발하기 쉽고, 또 Al청동계에 대해서도, Al에 의해 소결시에 이상한 팽창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접동재료로서의 충분한 강도와 경질화를 달성하는 것에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such a high-strength brass system as a sintered material which can contain as described above, Zn is very easy to evaporate during the sintering degree, and Al is also Since swelling property is abnormal at the time of sintering, it is difficult to achieve sufficient strength and hardening as the sliding material.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계소결접동재료는, 5∼12중량%의 Al을 필수 원소로서 하여, 0.3∼5중량%의 Ti를 함유한 동계소결재료용 혼합분말을 압축형성하여 소결하고, 그것에 이어서 얻어진 소결체를 재압축 및 재소결하는 공정을 1회 이상 반복하여 얻어지는 Cu-Al-Ti계소결접동재료인 것이 가장 알맞다(제 11 발명). 또, 상기 동계소결접동재료는, 5∼12중량%의 Al과 3∼6중량%의 Sn을 함유하고, 또한, Ti, Ni, Co, Si, Fe, P의 1종류 이상이 0.5∼5.0중량%의 범위로 함유되어 있는 Cu-Al-Sn계소결접동재료인 것이 가장 알맞다(제 12 발명).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pper sintered sliding material is sintered by compression-forming a mixed powder for copper sintering material containing 0.3 to 5% by weight of Ti using 5 to 12% by weight of Al as an essential element. It is most preferable that it is a Cu-Al-Ti type sintering sliding material obtain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recompressing and re-sintering the obtained sintered compact once or more (Eleventh invention). The copper sintered sliding material contains 5 to 12% by weight of Al and 3 to 6% by weight of Sn, and at least one of Ti, Ni, Co, Si, Fe, and P is 0.5 to 5.0% by weight. It is most suitable that it is Cu-Al-Sn type sintering slid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range of% (12th invention).
상기 Cu-Al-Ti계소결접동재료는 소결에 의해 이상(異常) 팽창하는 재료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압 형성한 분말 성형체를 600℃ 이상의 온도로 일단 소결한 후, 그것을 재가압압축하여 900℃ 이상의 온도로 재소결하는 공정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함으로서, 상기 다공질성을 확보하면서 Hv130 이상의 고경도의 소결재료를 얻는다.The Cu-Al-Ti-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 is a material that is abnormally expanded by sintering,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der compact formed under pressure is once sintered at a temperature of 600 ° C or higher, and then recompressed and recompressed to 900 ° C or more. By repeating the step of resintering at a temperature at least once or more, a high hardness sintered material of Hv130 or more is obtained while ensuring the porosity.
또, 상기 Cu-Al-Sn-Ti계소결접동재료에 있어서는, Cu-Al-Ti계소결접동재료와 동일한 만드는 법이 가능하지만, Sn을 첨가함으로서, 소결시의 이상팽창현상을 억제하고, 그 소결체의 치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재료인 점에서, 재가압압축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얇은 원통상 소결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이나 크롤러밴드핀 외주면에 압입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에 그 얇은 원통소결체를 압입하는 경우, 크롤러밴드부시의 길이보다 짧은 그 얇은 원통소결체를 여러개로 나누어서 압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그 얇은 원통소결체 사이에 공간을 설치하도록 하여, 그 공간에 그리스등의 윤활재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Cu-Al-Sn-Ti-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 the same method as for the Cu-Al-Ti-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 is possible, but by adding Sn, abnormal expansion phenomenon during sintering is suppressed, and It is a material capable of densification of the sintered compact, so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thin cylindrical sintered compact without performing a recompression process, and to press and use i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pin for convenient use. It was. In the case where the thin cylindrical sintered body is press-fit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ing, it is preferable to press-fit by dividing the thin cylindrical sintered bod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rawler band bushing into several pieces, and to provide a space between the thin cylindrical sintered bodies. It is more preferable to be able to store lubricant such as grease in the space.
또한, 상기 Cu-Al-Ti계 및 Cu-Al-Sn-Ti계소결접동재료중에 경질의 β상을 출현시킨 경우에 있어서, 현저한 내녹아붙음성의 개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Cu-Al계 상태도에서 보여지는 (α+β) 이상(二相) 또는 (α+β) 이상(二相)으로부터의 냉각재료조직을 기본 조직으로서, 또는 그 위에, 이들에 적절한 경질입자나 흑연등의 고체 윤활재가 분산한 조직으로 하는 것으로 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hard β-phase appears in the Cu-Al-Ti-based and Cu-Al-Sn-Ti-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melt resistance is achieved. Hard particles or graphite suitable for or as a basic structure of the cooling material structure from (α + β) abnormality or (α + β) abnormality shown in the Cu-Al-based state diagram. It was set as the structure in which solid lubricants, such as these, disperse | distributed.
즉, 상기 제 11 발명 또는 제 1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계소결접동재료는, 그 소결조직에 있어서 적어도 경질의 β상 및 α상과 β상이 공존한 조직으로 되어 있고, 그 소결조직의 경도가 Hv1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제 13 발명). 여기에서, 상기 동계소결접동재료에는, 흑연, CaF2등의 고체윤활재료가 5중량% 이하의 범위에서 분산되어 있는 것이 좋다(제 14 발명).That is, in the eleventh invention or the twelfth invention, the copper sintered sliding material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hard β phase and α phase and β phase coexist in the sintered structure, and the hardness of the sintered structure is Hv13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bove (13th invention). Here, it is preferable that solid lubricating materials such as graphite and CaF 2 are dispersed in the copper sintered sliding material in a range of 5% by weight or less (fourteenth invention).
(Al의 영향)(Influence of Al)
Al은 β상을 출현시키는 주합금원소이며, 12중량% 이상에서는 합금전체가 β상화하여, 소결합금을 재가공할 때에 부서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으며, 5중량% 이하 에서는 β상이 출현하기 어려우며, 또, 상기 Hv130 이상의 경도가 달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그 첨가량을 5∼12중량%으로 하였다. 또, Al분말과 동분말을 사용하여 성형할 때에는, 성형체 강도가 매우 높아서 바람직하지만, 소결시에 있어서 현저한 팽창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Hv130 경도의 고경질의 재료로 되지 않는다. 그러나, 소결후에 재압축가공을 행하여, 재소결함으로서 고경질화가 도모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재압축가공과 재소결공정을 1공정 이상 반복하여 행하고, 최종의 재압축가공시의 가공량을 조종함으로서 재소결후의 공기구멍률의 제어를 행하도록 하였다.Al is a main alloy element that causes the β phase to appear, and at 12 wt% or m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hole alloy is β-phased and brittle when reprocessing the small alloy, and at 5 wt% or less, β phase hardly appears. Since the hardness of Hv130 or more is hard to be achieved, the addition amount was set to 5 to 12% by weight. In addition, when molding using Al powder and copper powder, the molded body strength is very high and preferable. However, since it exhibits remarkable expandability during sintering, it is not a hard material having the above-mentioned Hv130 hardness. However, since recompression processing is performed after sintering and resintering, high hardening can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compression processing and resintering are repeated one or more steps to control the processing amount during final recompression processing. The air porosity control after resintering was performed.
또한, Cu와 Al분말 이외에 0.3중량% 이상의 Ti를 첨가함으로서 현저하게 소결접동재료가 고경질화되어, 1회의 재압축가공과 재소결공정에서 목적의 경도가 얻어지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며, Ti첨가량으로서는 0.3중량% 이상으로 하였다. 또, 5중량%를 넘으면 취약한 금속간 화합물상이 다량으로 석출하는 것과, 재료자체가 고가로 된다는 점에서 상한의 첨가량으로 했다.In addition, by adding 0.3 wt% or more of Ti in addition to Cu and Al powders, the sintered contact material is remarkably hardened, and it is very effective to obtain the desired hardness in one recompression processing and resintering process. It was made into% or more. When the content exceeds 5% by weight, the weak intermetallic compound phase is precipitated in a large amount, and the material itself is expensive, so the upper limit is added.
또한, Ti와 같은 현저한 경화는 Al과의 석출경화성에 기인한다고 생각되어지기 때문에, 같은 작용을 나타내는 Mn, Ni, Co등도 그 범위에서 첨가되는 것은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remarkable hardening like Ti is considered to originate in precipitation hardenability with Al, it is preferable to add Mn, Ni, Co, etc. which show the same effect also in the range.
(Sn의 영향)(Influence of Sn)
Cu-Al에 Sn을 첨가시킬 경우, Al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경우에는 Sn이 소결체로부터 배출되는 경향이 강해지기 때문에, 상기 소결체가 보다 다공질로, 팽창성이 현저하게 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Al을 7중량% 이하로 저감하거나, 또는 Ti와 복합첨가하여, Sn의 배출성을 억제함으로서 용이하게 치밀화 및 경질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Sn의 첨가는 소결온도를 보다 저온화하는 것과 β상을 안정화하여 석출하기 쉽게 하고, β상을 출현시키기 위한 Al첨가량을 적게 하기 때문에 그 소결성을 유효하게 개선할 수 있지만, 그 이상으로 내녹아붙음성에 대하여 효과적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Cu-Al-Sn-Ti계합금소결재료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히 하였다.When Sn is added to Cu-Al, since Sn tends to be discharged from the sintered compact when Al is contained in a large amount, the sintered compact becomes more porous and the expandability becomes remarkable. It can be easily densified and hardened by reducing it to 7% by weight or less, or by adding it in combination with Ti and suppressing the dischargeability of Sn. In addition, since the addition of Sn lowers the sintering temperature further, stabilizes the β phase, makes it easier to precipitate, and reduces the amount of Al added for the β phase, the sintering resistance can be effectively improved. Since it is effective against melting property, in this invention, it became clear that Cu-Al-Sn-Ti type alloy sintering material is the most preferable.
또, Cu-Al-Sn-Ti계합금소결재료는 소결에 의한 치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Cu-Al-Ti계소결재료와 같은 1회 이상의 재가압압축과 재소결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since the Cu-Al-Sn-Ti alloy sintered material can be easily densified by sintering, one or more recompression and resintering processes such as the Cu-Al-Ti-based sintered material are required. It is characterized by not doing it.
(흑연등 그 외의 첨가물의 영향)(Influence of other additives such as graphite)
상기 Cu-Al-Ti 및 Cu-Al-Sn-Ti계소결접동재료로서는, 상기 성분이외에도 P, Zn, Fe, Ni, Co, Mn, Pb, Mo, W, Mg, Ag등의 종래의 동계소결접동재료에 포함되는 합금원소 및, 또는 WC, 흑연, 세라믹등이 상기 기능상의 문제가 없는 범위에서 첨가되는 것은 좋은 것이다. 특히, 흑연은 Ti와의 공존에 의해 상기 Cu-Al-Ti 및 Cu-Al-Sn-Ti계소결재료와의 접합성이 높아져, 고체윤활재로서뿐만 아니라, 윤활유의 함유(含油) 장소로서도 매우 유효함과 동시에, 매우 강도의 미끄럼에 의해 금속상소성유동(金屬相塑性流動)하고, 접동면에 있어서의 공기구멍의 폐색화하기 쉬운 상황에 대한 통기구멍의 확보에 효과적으로 이용된다.As the Cu-Al-Ti and Cu-Al-Sn-Ti-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conventional copper sintering such as P, Zn, Fe, Ni, Co, Mn, Pb, Mo, W, Mg, Ag, etc. It is good to add alloying elements and / or WC, graphite, ceramics,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sliding material within a range without any functional problem. Particularly, graphite is coexisted with Ti to increase the bonding property with the Cu-Al-Ti and Cu-Al-Sn-Ti-based sintered materials, and is very effective not only as a solid lubricant, but also as a lubricating oil-containing place. In addition, it is effectively used for securing vent holes for a situation in which the metallic plastic flow flows due to the sliding of very high strength, and the air holes on the sliding surface are easily blocked.
또한, 첨가되는 그 흑연분산입자의 평균입경은, 상기 폐색화 방지에 효과적인 크기의 0.05∼0.3㎜정도가 바람직하고, 그 첨가량은 소결재료강도의 점에서 5중 량% 이하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되어진다.In addi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graphite dispersed particles to be added is preferably about 0.05 to 0.3 mm of the size effective for preventing the occlusion, and the addition amount is considered to be 5% by weight or less in terms of sintered material strength.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속계접동부재는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틈새에 삽입되어 있으면 그 기능이 달성되기 때문에, 반드시 그들 재료가 크롤러밴드부시의 내주측에 압입 또는 감합되어 있거나, 크롤러밴드핀 외주부에 감합되어 있을 필요는 없지만, 주행시의 크롤러밴드에는 크롤러밴드핀과 크롤러밴드부시 사이에 축방향에의 근소한 스러스트힘(thrust力)이 작용하여, 상기 금속계접동부재에도 축방향에의 헐거워지는 힘(loose力)이 작용하는 것도 생각되어지는 일이나, 크롤러밴드의 조립시의 간편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그들 재료가 크롤러밴드부시의 내주측에 압입 또는 감합되어 있거나, 크롤러밴드핀 외주부에 감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unction is achieved when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s inserted in the gap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crawler band pin, the material must be press-fitted or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rawler band bushing, or It is not necessary to fit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pin, but a slight thrust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is applied between the crawler band pin and the crawler band bush in the crawler band during driving, and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s loosened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 force acts, or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crawler band, these materials are press-fitted or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rawler band bushing or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rawler band pi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re is.
또, 상기 편하중에 의한 최대 응력이 걸리기 어려운 크롤러밴드핀 외주의 중앙부 또는 크롤러밴드부시 내주의 중앙부에 홈을 설치하고, 그 홈형상을 따르는 것 같은 형상의 금속계접동부재를 가공함으로서, 홈부에서 스러스트힘에 의한 헐거워짐을 방지하는 것이나, 크롤러밴드핀을 압입하고 있는 크롤러밴드링크측면에서 그 스러스트를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groove is provid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rawler band pin outer periphery of the crawler band pin or the center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crawler band bush which is hard to be subjected to the maximum stress caused by the unloading load, and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having a shape that conforms to the groove shape is processed to provide a thrust force in the groove portion. It is preferable to prevent loosening due to, and to receive the thrust from the crawler band link side in which the crawler band pin is press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크롤러밴드부시 양단변부내에 립실(lip seal)등의 (오일)실장치를 배치하고, 크롤러밴드핀 외주면에서 실(seal)함으로서, 상기 그리스나 윤활유의 장기적인 보유성을 높이는 것과 동시에 외부에서부터의 토사나 흙탕물의 침입에 의한 크롤러밴드부시의 마모수명을 개선하는 구조로 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a (oil) seal device such as a lip seal in the both ends of the crawler band bush and seal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pi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ong-term retention of the grease or lubricant. At the same time, it was designed to improve the wear life of crawler band bushes due to infiltration of soil and muddy water from the outside.
특히, 종래의 건식 크롤러밴드로는, 논 등의 진흙, 진흙땅에서 주행할 때,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틈새부에 흙탕물이 침입하기 쉽고,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과 크롤러밴드핀 표면의 마모에 의해 크롤러밴드의 수명이 짧아지기 쉽기 때문에, 크롤러밴드의 긴수명화(長壽命化)를 도모하기 위하여 고가의 습식 크롤러밴드가 이용되는 일이 많지만, 본 발명에서는,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 사이의 틈새에 금속계접동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진흙이나 흙탕물이 침입하는 틈새를 채우는 것, 및/또는 금속계접동부재를 발수성(發水性)의 윤활유를 함유할 수 있는 구조의 소결체로 함으로서, 상기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과 크롤러밴드핀 표면의 마모가 경감했다. In particular, in the conventional dry crawler band, muddy water easily penetrates into the gap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when traveling in mud or muddy ground such as paddy field, and wear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surface of the crawler band pin. Since the life of the crawler band tends to be shortened due to this, an expensive wet crawler band is often used to achieve a long service life of the crawler ban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The crawler band portion is formed by inserting a metal-based sliding member into a gap between the gaps and filling the gap where the mud or muddy water invades, and / or by using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as a sintered body that can contain a water-repellent lubricant. Wea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urface of the crawler band pin was reduced.
또, 본 발명에서는, 크롤러밴드의 수리에 관해서도, 고가의 크롤러밴드부시나 크롤러밴드핀의 교환이 아니라, 값이 싼 상기 금속계접동부재의 교환으로 재이용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air of the crawler band can be reused by replacing the inexpensive crawler band bushes or the crawler band pins instead of replacing the inexpensive metal-based sliding members.
또, 크롤러밴드부시와 그 내주부에 배치되는 크롤러밴드핀으로 형성되는 틈새는, 상술한 크롤러밴드부시의 파손성으로부터 허용되는 최대의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명백하며, 본 발명에서는, 그들 틈새의 직경차가 0.4∼2.2㎜로 되도록 하고, 그 틈새에 두께가 0.1∼1.0㎜의 윤활유 또는 그리스등의 윤활재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의 금속계접동부재를 설치하고,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과의 틈새로부터 금속계접동부재의 두께를 뺀 나머지 틈새의 직경차가 1.0(0.4)㎜ 이하로 좁히는 것으로 하였다.Moreover, it is clear that the clearance gap formed by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ner peripheral par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largest dimension allowable from the damage of the crawler band bush mentioned above, In this invention, these clearances The gap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is provided with a metal-based sliding memb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a lubricant such as a lubricant having a thickness of 0.1 to 1.0 mm or a lubricant such as a lubricant having a thickness of 0.1 to 1.0 mm. The diameter difference of the remaining gap after subtracting the thickness of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was narrowed to 1.0 (0.4) mm or less.
또한, 본 발명에서는, 크롤러밴드핀 및 크롤러밴드부시에 대하여, 이하의 각 발명으로 규정함과 동시에, 크롤러밴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규정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크롤러밴드핀은, 상기 제 1 발명∼제 14 발명의 어느 하나의 크롤러밴드를 구성하는 복층의 크롤러밴드핀이며, 적어도 그 외주면이 HRC50 이상으로 경화되어, 그 외주면에 적어도 1층 이상의 윤활유 및/또는 윤활재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금속계접동부재를 코킹, 압입, 접착등으로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밴드핀이다(제 15 발명).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a crawler band pin and a crawler band bush are prescribed | regulated by each of the following inventions, and it is prescribed abou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rawler band. That is, the crawler band pin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multilayer crawler band pin which comprises the crawler band of any one of said 1st invention-14th invention, At leas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hardens to HRC50 or mor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at least 1 A crawler band pin comprising a metal-based sliding memb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more than one layer of lubricating oil and / or lubricating material by coking, press-fitting, or bonding (15th invention).
또, 본 발명에 의한 크롤러밴드부시는,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14 발명중 어느 하나의 크롤러밴드를 구성하는 복층의 크롤러밴드부시이며, 적어도 그 외주면이 HRC50 이상으로 경화되어, 그 내주면에 적어도 1층 이상의 윤활유 및/또는 윤활재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이면서 제진성이 있는 금속계접동부재를 코킹, 압입, 접착등으로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밴드부시이다(제 16 발명).The crawler band bu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ple-layer crawler band bush constituting the crawler ban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eenth inventions, and at leas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is hardened to HRC50 or more and at least on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thereof. A crawler band bush characterized in that a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lubricating oil and / or lubricating material of a layer or more and having a vibration damping metal-based contact member is integrated by caulking, pressing, bonding, or the like (16th invention).
상기 제 16 발명에 있어서, 양단면부 표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외주면에서부터 두께 1/2 이상의 거리의 범위가 HRC50 이상으로 경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7 발명). 또, 단부 내주면측에 실장치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8 발명).In the sixteenth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ange of th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크롤러밴드의 제조방법은,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rawl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14 발명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크롤러밴드의 제조방법으로, 적어도 상기 크롤러밴드부시의 외주면이 HRC50 이상으로 경화되거나, 또는, 또한 그 양단면부 표면에 있어서의 외주면에서부터 두께1/2 이상의 거리의 범위가 HRC50 이상으로 경화되어, 이 크롤러밴드부시의 내주면에 상기 금속계접동부재를 코킹, 압입, 접착등으로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제 19 발명).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crawler ban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e fourteenth inventions, at leas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 is hardened to HRC50 or more, or a thickness is forme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both end surface surfaces thereof. The range of two or more distances is hardened to HRC50 or more, and the said metal type contact member is integrat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is crawler band bushing by caulking, press-fitting, etc. (19th invention).
상기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밴드부시의 외주면에서부터의 고주파가열, 담금질에 의해 그 외주면에는 HRC50 이상의 경화층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크롤러밴드부시의 내주면이 HRC50 미만의 연질의 페라이트(ferrite), 펄라이트(pearlite), 베이나이트(bainite) 및 템퍼링마텐자이트(tempering martensite)의 1종류 이상의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0 발명). 여기에서, 상기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에 홈가공을 행하고, 이 홈에 대하여 상기 금속계접동부재를 코킹, 압입, 접착등으로 일체화하고, 또한 상기 크롤러밴드부시 단부 내주면에 실장치를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1 발명).In the nine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rdened layer of HRC50 or mor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high-frequency heating and quench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 is soft ferrite of less than HRC50,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one or more types of structures of pearlite, bainite and tempering martensite (20th invention). Her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groove process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 to integrate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nto the groove by coking, press-fitting, bonding, and the like, and to integrate the seal devic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ing end. 21 invention).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크롤러밴드, 크롤러밴드핀, 크롤러밴드부시 및 크롤러밴드의 제조방법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rawler band, a crawler band pin, a crawler band bush, and a crawler band by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도 1에,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크롤러밴드의 부분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1, the partial cross section of the crawler band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shown.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밴드 1 에 있어서, 크롤러밴드부시 2 의 양단이 크롤러밴드링크 3 에 압입되고, 이 크롤러밴드부시 2 의 내주측에 크롤러밴드핀 4 가 삽입되어, 이 크롤러밴드핀 4 의 양단부가 크롤러밴드링크 5 에 압입됨으로서 크롤러밴드링크 3 , 5 가 연결되어 있다. 또, 크롤러밴드부시 2 의 양단부에는, 외부에서부터의 토사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실장치 6 이 배치되고, 크롤러밴드링크 3, 5 가 크롤러밴드슈 7 에 볼트로 고정됨으로서 크롤러밴드 1 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크롤러밴드부시 2 의 내주면과 크롤러밴드핀 4 의 외주면 과의 사이에 윤활유 및/또는 그리스등의 윤활재를 보유할 수 있는 구조의 금속계접동부재 8 이 배치되고, 크롤러밴드부시 2 내주면과 크롤러밴드핀 4 외주면과의 틈새를 가능한 한 좁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함으로서, 크롤러밴드의 주행시에 크롤러밴드부시 2 외주면에 걸리는 하중(편하중이나 충격적인 하중)을 크롤러밴드핀 4 에도 분담시켜, 보다 과혹한 주행시에 있어서의 절손피로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크롤러밴드부시 2 내주면과 크롤러밴드핀 4 외주면과의 슬라이딩(摺接)에 의한 녹아붙음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또한, 상기 금속계접동부재 8 은, 복수층의 금속계접동부재 또는 금속계접동부재와 1층 이상의 제진재를 겹치거나, 그들의 일부를 접합하거나, 전체를 일체화함으로서, 금속계접동부재사이 또는 금속계접동부재와 제진재 사이의 진동, 미세한 미끄러짐에 의해 보다 흡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The metal-based sliding
상기 크롤러밴드부시 2 로서는, 탄소강, 붕소(boron)강, 저합금강이 사용되고, 내외주부가 고주파담금질이나 침탄담금질법에 의해 표면층이 경화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기름 담금질등에 의해 크롤러밴드부시 2 의 두께 전역을 담금질 경화하여 사용한다.As the
또, 크롤러밴드핀 4 에 대해서도, 그 절손피로강도를 높이기 위함이나 크롤러밴드부시 2 내주면과의 접접에 의한 녹아붙음이나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탄소강, 붕소강, 저합금강이 사용되고, 내외주부가 고주파담금질법, 침탄담금질법, 침탄침질담금질법, 질화법 및 담금질법등의 표면경화처리에 의해 표면층을 경화하여 사용한다.
Also, for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윤활유 및/또는 그리스등의 윤활재를 보유할 수 있는 구조의 금속계접동부재8을 배치함으로서, 유성(油性) 윤활성이 주어져, 크롤러밴드부시 2 내주면과 크롤러밴드핀 4 외주면의 미끄러짐(접접)에 의한 녹아붙음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크롤러밴드 4 외주면에 TiN 코팅, 침유질화(浸硫窒化), 인산염(燐酸鹽)피막처리, Cr 도금등의 각종의 표면처리방법을 행하고, 접접시의 내녹아붙음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metal-based sliding
상기 금속계접동부재 8 의 윤활유 및/또는 그리스등의 윤활재를 보유할 수 있는 구조를 얻기 위해서는, 제 1의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계접동부재 8 에 각종 형태의 구멍을 뚫은 것을 이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얇은 원통상의 금속계접동부재에 대해서는 기계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각종 형상의 구멍을 프레스가공으로 뚫은 판모양의 금속계접동부재를 둥글게 말아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도 2(a)∼(g)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소위 펀칭메탈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장입수성이 뛰어나고, 저코스트로 가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order to obtain a structure capable of holding a lubricant such as lubricating oil and / or grease of the metal-based sliding
상기 금속계접동부재 8 의 윤활유 및/또는 그리스등의 윤활재를 보유할 수 있는 구조를 얻는 제 2의 방법으로서는, 통기성이 확보되는 것 같은 공기구멍을 5∼30체적%을 갖은 금속계소결접동재료에 윤활용의 기름을 함유시켜서 이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제 2의 방법은 접접하는 면전체에 윤활유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점으로 제 1의 방법에 비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량의 그리스등의 윤활재를 보유하기 위해서는, 이 소결접동재료로 이루어지는 접동부재에 상술과 같은 구멍가공을 행하여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a second method of obtaining a structure capable of holding a lubricant such as lubricating oil and / or grease of the metal-based sliding
또한, 상기 소결접동재료를 쓰는 제 2의 방법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크롤러밴드핀 4 중심부에 그 축방향에 윤활유 저장구멍 10 과 그 반경방향에 윤활유공급구멍 11 을 설치하고, 사용중에 소비되는 소결접동부재료중의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윤활유저장구멍 10 을 작게 할 수 있다는 것, 상기 소결접동재료의 구멍가공비를 저코스트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습식 크롤러밴드법에 있어서는, 실장치가 열화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윤활유가 유출하는 것에 대하여, 다공질의 소결접동재료가 윤활유를 저장하는 능력이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second method using the sintered sliding material, as shown in Fig. 3, a lubricating
또한, 상기 금속계소결접동재료로서는, 그것과 접촉하는 경질의 크롤러밴드부시 2 나 크롤러밴드핀 4 에 대하여 연질이며, 주행시에 관련되는 충격적인 하중에 대한 인성(靭性)에 뛰어남과 동시에, 크롤러밴드부시 2 와 크롤러밴드핀 4 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에서 접촉하는 것이, 접접시의 면압(面壓)을 완화하고, 나아가서 녹아붙음 현상을 억제하도록 작용하기 위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금속계소결접동재료는 강(鋼)으로 할 수 있는 크롤러밴드부시나 크롤러밴드핀에 비해, 보다 연질로, 영률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화학적으로도 강에 대하여 녹아붙기 어려운 동계접동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urther, the metal-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 is soft with respect to the hard
상기 금속계접동부재(소결접동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함)에는, 주행시 에 있어서 크롤러밴드부시 2 나 크롤러밴드핀 4 의 축방향에의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금속계접동부재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크롤러밴드핀 4 를 압입하고 있는 크롤러밴드링크5 측면에 금속계접동부재8의 단면이 접하도록 그 길이를 조정하는 일이나, 도 4(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크롤러밴드부시 2 내주부 또는 크롤러밴드핀 4 외주부(의 중앙부 근방)의 원주방향에 홈형상 12 를 만들어, 그 홈형상 12 를 따르도록 금속계접동부재를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또, 크롤러밴드부시 2 , 크롤러밴드핀 4 등의 조립시의 편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5(a)(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크롤러밴드부시 2 내주부에 금속계접동부재 8 을 압입 또는 감합하는 일이나, 크롤러밴드핀 4 의 외주부에 감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assembling the
또한, 금속계접동부재 8 을 압입 또는 감합한 크롤러밴드부시 2 에는, 그 양단면부에 간편한 실장치 6 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보유하는 윤활유나 그리스등의 윤활재의 장기보존성을 높이는 동시에, 외부에서부터의 토사나 흙탕물의 침입을 현저하게 높여서, 나아가서는 크롤러밴드의 내마모성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크롤러밴드부시 2 와 크롤러밴드핀 4 와의 틈새(간극)에 금속계접동부재8을 삽입하고, 크롤러밴드부시 2 에 걸리는 하중에 대하여 금속계접동부재8을 개재하여 크롤러밴드핀 4 와 함께 분담하여 받는 구조로 함으로서 내절손성을 높이고, 접접시의 녹아붙음을 방지하는 구조로 하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계접동부재 8 을 크롤러밴드부시 2 내주부에 압입 또는 감합시켜, 크롤러밴드부시 2 와 금속계접동부재8 사이의 접동을 없애는 구조로 함으로서, 크롤러밴드부시 2 내주부에 담금질 경화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 크롤러밴드부시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즉, 외주면에서부터의 고주파담금질만으로 외주면 경화층이나 단면부 표면경화층을 형성시킨 크롤러밴드부시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렇게 하여, 도 17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크롤러밴드부시의 열처리코스트와 그 생산성에 대하여 현저하게 우위로 되었다. 또한,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크롤러밴드부시 2 내주면에 형성되는 홈가공이나 단면부에 설치되는 실장치를 위한 내주면 가공이, 상기 외주면에서부터의 고주파담금질후의 크롤러밴드부시에 대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은, 상기 금속계접동재료의 압입, 감합등의 기계가공정밀도를 확보하는 데에 매우 바람직하다. 또, 금속계접동부재 8 의 크롤러밴드부시 2 에서 헐거워 빠짐이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부의 홈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크롤러밴드부시 2 에 대한 금속계접동부재 8 의 감합력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다는 것도 제조상의 큰 장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metal-based sliding
또,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각종의 경화패턴을 크롤러밴드부시에 부여하는 열처리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종래의 열처리기술을 응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도 7의 (a)형은 도 17의 (d)형을 형성하는 기술을 응용하고, 일단 전체 경화 담금질을 실시한 후에, 양단부의 내주부 근방을 남겨, 내주부를 고주파에 의해 템퍼링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지만, 이중의 열처리를 필요로 하여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As the heat treatment method for applying the various curing patterns to the crawler band bush as shown in Fig. 7, the conventional heat treatment technique as shown in Fig. 17 can be applied. Here, for example, Fig. 7A applies the technique of forming Fig. 17D, and once all hardening hardening is performed, the inner periphery of both ends is left near the inner periphery at high frequency. Although it can form also by the method of tempering by, it is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because it requires double heat processing.
본 발명과 같이,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부에 경화층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나, 또한, 단면부 표면에 경화층을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도 7중의 (c)형의 경화패턴은 외주부에서부터의 이동 고주파담금질을 실시하여, 크롤러밴드부시 양단면부의 가열보냄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서 단면부 표면에 담금질 경화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도 7의 (c)형 보다도 보다 경화층을 깊게 한 (d)형은, 외주부에서부터의 고주파 가열조건을 보다 깊게 하고, 또한, 그 가열후의 냉각에 있어서 깊게 경화되는 것 같은 강재(鋼材)성분을 적정하게 유지함으로서 형성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다.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hardened lay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rawler band bush, or when a hardened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nd face portion, the hardened pattern of type (c) in FIG. It is preferable to form a hardened hardened layer on the surface of the end face by performing moving high frequency quenching and slowing down the heating sending speed of both end faces of the crawler band bush. In addition, the (d) type in which the hardened layer is deeper than the type (c) in FIG. 7 makes the high-frequency heating condition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deeper, and the steel material hardens deeply in cooling after the heating. ) Is preferably formed by keeping the component appropriately.
또한, 상기 금속계접동부재를 크롤러밴드 내주부에 압입, 감합 및 배치하는 방법은, 원통상 또는 대략 원통상의 금속계접동부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각종의 방법이 적용된다. 도 8의 (a)형은, 판모양의 접동부재를 원통상으로 둥글게 말아 가공하고,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부에 세트할 때에, 단면부에서 돌출하여 맞추는 감합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도 8의 (b)형은, 판모양의 접동부재를 원통상으로 둥글게 말아 가공하고, 돌출하여 맞추어서 용접한 것이며, 도 8의 (c)형은, 판모양의 접동부재의 양단면을 둥글게 말아 가공한 후에 크린치(clinch)접합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ess-fitting, fitting, and disposing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rawler band is a method of forming a cylindrical or substantially cylindrical metal-based sliding member, and various methods as shown in FIG. 8 are applied. Fig. 8A is a cylindrical rolling member that is roll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processed to generate a fitting force that protrudes from the end face when set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rawler band bush. b) The rolled cylindrical member is rolled into a cylindrical shape, processed and protruded and welded. Fig. 8 (c) shows that the plate-shaped sliding member is rolled and rounded to form a clean sheet. The clinch joins.
또한, 상기 금속계접동부재를, 내주부에 홈이 있는 크롤러밴드부시에 배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원통상 또는 대략 원통상의 금속계접동부재를 확장 가공하도록 해도 좋다.As the method of disposing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n the crawler band bushing having a groove in the inner circumference,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may be expanded.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실시예 1; 크롤러밴드부시∼크롤러밴드핀 틈새와 파괴강도의 관계)Example 1 Relationship between Crawler Band Bush and Crawler Band Pin Clearance and Fracture Strength
본 실시예에서는 외경 59.4, 내경 38.6, 길이 138.5㎜의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을 사용하여,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충격피로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충격피로시험을 실시하고, 크롤러밴드부시 파손강도에 대한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 틈새의 영향을 조사함과 동시에, 크롤러밴드부시 파손강도에 대한 금속계접동부재의 삽입작용에 대하여 조사했다. 또한, 크롤러밴드부시는 SCr440재를 사용하고, 그 외주면, 내주면 모두 고주파담금질에 의해 HRC45 위치의 경화 깊이가 약 3㎜로 되도록 담금질하고, 180℃, 3hr의 템퍼링처리를 행한 것이다. 또, 크롤러밴드핀은 S45BC재를 850℃부터 물담금질을 행하여, 180℃, 3hr의 템퍼링처리를 행한 것으로, 그 경화깊이는 약 4㎜이다.In this embodiment, an impact fatigue test is conducted using an impact fatigue test apparatus as shown in FIG. 9 using a crawler band bush and a crawler band pin having an outer diameter of 59.4, an inner diameter of 38.6, and a length of 138.5 mm. The effects of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clearance on the cracker band bush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rawler band bushing is made of SCr440 material, and the outer a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are quenched by high-frequency quenching so that the curing depth at the HRC45 position is about 3 mm, and the tempering treatment is performed at 180 ° C. for 3 hours. In addition, the crawler band pin was water-quenched at 850 ° C. for S45BC material and subjected to a tempering treatment at 180 ° C. for 3 hr, and its curing depth is about 4 mm.
또, 충격피로시험은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에 차체하중W(이 경우는 18.5ton)를 기준으로 하여, 1.5∼4W의 응력이 걸리도록 조정하여 실시하였다.In addition, the impact fatigue test was carried ou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ing with a stress of 1.5 to 4 W based on the vehicle load W (18.5 tons in this case).
본 실시예의 결과를 도 10에 정리하여 나타냈지만, 크롤러밴드부시만으로의 파속강도에 대하여,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 틈새를, 크롤러밴드부시의 내경을 조정하여 직경차가 1.0㎜, 0.4㎜, 0.2㎜로 한 경우에는 약 3배, 10배, 20배의 피로강도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Although the result of this Example was put together in FIG. 10, the diameter difference was 1.0 mm, 0.4 mm, and 0.2 by adjusting the inner diameter of a crawler band bush and the clearance of a crawler band bush with respect to the wave strength only to a crawler band bush. In the case of mm, fatigue strengths of about 3 times, 10 times, and 20 times were found to be improved.
또한 도 11에는, 크롤러밴드부시의 내경을 조정하여,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틈새가 직경차로 2.0㎜로 되는 것에, 인청동(燐靑銅)(Cu9Sn)과 S45C의 판재(0.9㎜두께)를 삽입하고, 상기 틈새를 약 0.2㎜로 좁힌 결과를 나타냈지만, 금속계접동부재의 삽입에 의해, 크롤러밴드부시의 파손강도가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 은 명백하다.In Fig. 11, the inner diameter of the crawler band bush is adjust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crawler band pin is 2.0 mm in diameter difference, so that the plate of phosphor bronze (Cu9Sn) and S45C (0.9 mm thickness) is shown. Although the result of narrowing the gap to about 0.2 mm was shown, it is apparent that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crawler band bushing is remarkably improved by the insertion of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또한, 충격피로시험후에 삽입한 금속계접동부재는 강도의 하중에 의해 변형의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적어도,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틈새가 직경차가 2.0㎜로 되는 것에 금속계접동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틈새를 약 0.2㎜로 좁힌 본 시험조건 범위내라면, 강도적인 문제가 없는 범위라는 것을 알았다. 또, 상기 금속계접동부재를 삽입한 후의 틈새에 관해서는, 종래의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틈새가 0.4∼1.2㎜를 허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도 1.0㎜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nserted after the impact fatigue test tends to deform due to the load of strength, at least,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s insert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crawler band pin is 2.0 mm in diameter. It was found that within the range of this test condition in which the gap was narrowed to about 0.2 mm, there was no problem of strength.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conventional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allows 0.4 to 1.2 mm for the gap after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is inser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uppress the gap to 1.0 mm or les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그리고, 또한 상기 크롤러밴드부시의 내주면을 고주파담금질을 하지 않고, 외주면의 고주파담금질을 행한 크롤러밴드부시에 대해서도, 도 11의 예와 같이 0.9㎜ 두께의 인청동(Cu9Sn)을 삽입하여 그 충격피로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도 11중에 □표로 표시했지만, 상술한 종래의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틈새가 0.4∼1.2㎜를 허용하고 있는 결과와의 비교에 있어서 강도적으로도 문제없이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a 0.9 mm-thick phosphor bronze (Cu9Sn) was also inserted into the crawler band bushing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 was not quenched, but the high frequency quenching was per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though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1 in Fig. 11, it can be seen that the conventional crawler band bushings and the crawler band pin clearances can be used without problems in terms of strength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allowing 0.4 to 1.2 mm. Can be.
(실시예 2; CuAl계소결판의 제조와 접동시험결과)Example 2 Preparation and Sliding Test Results of CuAl-based Sintered Plates
300메시(mesh) 이하의 Al분말, Sn분말, TiH분말, Si분말, Mn분말, Ni분말, 인철분말과 전해동분말(후쿠다금속(福田金屬)CE15)을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낸 혼합분말을 도 12에 나타내는 JIS의 인장시험편용 금형으로 형성압력 4ton/㎠로 형성하고, 그 시험편을 진공소결로를 사용하여 0.01torr의 진공도, 850, 900, 960℃로 1hr 소결한 후에, 그 시험편이 부서지지 않는 범위에서 압연하고, 같은 온도로 1hr 재소결한 것(2S1R재)의 경도를 측정하고, 또한, 그들의 재료를 정속마찰마로시험법으로, 마찰계수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면압과 접동속로부터 녹아붙음의 한계치(PV값)와 그 시점에서의 마모량(△W, mm)을 측정하여 접동특성을 평가하였다.The mixed powder shown in Table 1 using Al powder, Sn powder, TiH powder, Si powder, Mn powder, Ni powder, iron powder and electrolytic copper powder (Fukuda Metal CE15) of 300 mesh or less. The mold for tensile test piece of JIS shown in 12 was formed at a forming pressure of 4 ton /
<표 1>TABLE 1
도 13에는, 정속마찰마모시험기의 개념도, 접동시험편홀더 및 접동시험조건이 나타나 있다. 접동시험편은 판두께 2㎜로, 5㎜각으로 가공한 후, 접동시험편홀더에 세트하여 시험에 제공하였다. 접동시험의 면압은 100㎏/㎠에서 개시하고, 5분동안에 마찰계수의 이상(異常)이나 마모의 이상이 없으면 50㎏/㎠마다 승압하면서 최대 800㎏/㎠까지 부하하였다.13, the conceptual diagram of a constant speed friction abrasion tester, sliding test piece holder, and sliding test conditions are shown. The sliding test piece was processed to a plate thickness of 2 mm and formed at a 5 mm angle, and then placed in the sliding test piece holder to be used for the test. The surface pressure of the sliding test was started at 100 kg /
각 시험편의 비커즈경도(Vickers hardness) Hv, PV값 및 마모량의 측정결과는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이 결과, 주로 이하의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Vickers hardness Hv, PV value, and wear amount of each test piece are summarized in Table 1. As a result, the following became clear mainly.
1) Cu-Al에 대한 Sn첨가에 의한 경도업(up)의 기여는 거의 없으며, 근소하게 Al 농도가 짙어짐에 따라 경화하지만, β단일조직이 되면 압연하기 어렵게 되어, 결과적으로 경도가 낮아진다.1) There is little contribution of hardness up by Sn addition to Cu-Al, and it hardens as the Al concentration increases slightly, but when it becomes β single structure, it becomes difficult to roll, resulting in low hardness.
2) Cu-Al, Cu-Al-Sn계소결체의 경도업에 대한 Ti의 첨가의 영향은 매우 현저하며, 그 작용은 소결온도가 높을수록 커지지만, 이것은 Ti의 합금화의 촉진에 의한 것이지만, 같은 작용은 Mn, Ni, Si에 있어서도 관찰된다.2)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Ti on the hardness up of Cu-Al and Cu-Al-Sn-based sintered bodies is very remarkable, and its effect increases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but this is due to the promotion of Ti alloying, The action is also observed in Mn, Ni and Si.
3) 정속마찰마모시험에 의한 접동특성을 평가한 결과, α상, (α+β)2상(二相), β상의 각 조직재에 있어서도 Sn의 첨가에 의해, 접동특성은 보다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3)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sliding characteristics by the constant friction wear test, the sliding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more by addition of Sn in the α, (α + β) 2, and β phases. Could know.
4) 또한, 연질의 α상 조직재료에 비하여, (α+β)2상(二相) 및 β상 조직재료의 접동특성은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4) It was also found that the sliding characteristics of the (α + β) 2-phase and β-phase tissue materials were remarkably improved compared to the soft α-phase tissue materials.
5) 또, Ti, Si, Mn, Ni등의 첨가에 의해, 내마모성이 개선되는 것도 명백해졌다.5) Moreover, it became clear that abrasion resistance improved by addition of Ti, Si, Mn, and Ni.
또한, 표 1중의 No.53∼No.55에는 900℃에서의 진공소결시간을 5분으로 짧게 하고, 압연과 소결을 두 번 반복한(3S2R재) 수준을 나타냈지만, No.54에서는 비평형상태에서의 β상이 입계(粒界)를 따라 미세하게 석출하는 것이 확인되며, 접동특성을 개선하는 것에도 그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In addition, in No. 53 to No. 55 in Table 1, the vacuum sintering time at 900 ° C. was shortened to 5 minutes and rolling and sintering were repeated twice (3S2R material). It is confirmed that the β phase in the state is finely deposited along the grain boundaries, and its influence is also shown to improve the sliding characteristics.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소결체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최대의 압연률을 행하고 있지만, 그 때의 상대소결밀도는 98 이상으로까지 달하는 것이 많고, 따라서, 최종 압연률을 콘트롤함으로서, 본 발명이 희망하는 상대밀도 95∼70%의 소결판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maximum rolling rate is performed in the range which a crack does not generate | occur | produce in a sintered compact, the relative sintered density at that time often reaches 98 or more, Therefore, by controlling a final rolling rate, this invention It is apparent that this desired sintered plate having a relative density of 95 to 70% can be produced.
그리고,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Al분말을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산포(散布)분말의 상태에서 진공소결한 경우에 있어서도, 치밀화는 일어나지 않고, 반드시 일단 압밀화한 상태로 소결하는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when Al powder is directly us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densification does not occur even in the case of vacuum sintering in the state of a scattering powder, and it is necessary to sinter in a state where it is once compacted.
(실시예 3; 함유(含油)할 수 있는 구조의 금속계접동재료)Example 3 Metal-Based Sliding Material of Containable Structure
본 실시예에서는, 편하중하(下)에서의 내녹아붙음성을 개선할 목정으로, 사용하는 금속계접동재료의 검토를 행하였다. 상기 금속계접동재료의 접동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접동시험편을 사용하여, 도 15에 나타나는 시험방법에 의해, 마찰계수가 현저하게 상승하거나, 소음이 발생하거나, 이상 마모가 진행한 시점에서의 면압에 의해 그 내녹아붙음성을 평가하였다.In the present Example, the metal-based sliding material used was examined in order to improve the melt resistance under the unloading load. In order to evaluate the sliding characteristics of the metal-based sliding material, by using the sliding test piece shown in Fig. 14, the test method shown in Fig. 15 significantly increases the friction coefficient, generates noise, or abnormal wear progresses. The melt resistance was evaluated by the surface pressure at.
또한, 본 실시예에 이용한 금속계접동재료를 표 2에 나타냈지만, No.1∼No.5는 Al청동계소결접동재료, No.6, No.7은 청동의 용제재(溶製材)와 소결재료이다. 그리고, 또한 비교를 위하여, S45C 고주파담금질재료의 접동특성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In addition, although the metal-based sliding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Example is shown in Table 2, No. 1 to No. 5 are Al bronze-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s, No. 6 and No. 7 are bronze solvent materials and sintering. Material. And also, for comparison, the sliding characteristics of the S45C high frequency quenching material were investigated.
<표 2>TABLE 2
본 실시예의 결과는, 표 2중에 정리하여 나타냈지만, 분명히, 철계접동재료에 비하여 동계접동재료가 바람직하며, 또한, 함유(含油)할 수 있는 동계소결재료가 바람직하고, 특히, Al청동계소결재료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No.2∼No.5의 β상을 함유하는 소결재료는 내녹아붙음성에 뛰어남과 동시에, 매우 경질이 되어 있으며 내마모성에도 뛰어난 것은 용이하게 상상된다.Although the results of this example are summarized in Table 2, apparently, copper-based sliding materials are preferable to iron-based sliding materials, and copper-based sintering materials that can be contained are preferable, and in particular, Al bronze-based sintering It can be seen that the material is excellent. In particular, a sintered material containing β phases of Nos. 2 to 5 is easily imagined to be excellent in melt resistance and extremely hard, and also excellent in wear resistance.
하나의 크롤러밴드부시에 걸리는 최대의 편하중은 3.5W정도로 추정되지만, 그것은 매우 단시간의 현상이며, 크롤러밴드의 수명을 좌우하는 최대 빈도의 하중이 1W정도의 것임을 고려하면, 접동재료에 걸리는 면압으로서는 500㎏/㎠에 견디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면압성에 뛰어난 Cu-Al계의 소결접동재료가 바람직한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주지(主旨)에서 알 수 있듯이, 상술한 바와 같이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틈새에 금속계접동부재를 삽입한 후의 틈새를 조정함으로서, 그 접동부재에 걸리는 면압을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삽입하는 금속계접동부재의 재질에 관해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aximum unbalance load on one crawler band bushing is estimated to be about 3.5W, but it is a very short time phenomenon, and considering that the maximum frequency load that affects the life of the crawler band is about 1W, the surface pressure applied to the sliding material is It is more preferable to endure 500 kg / cm <2>, and as shown in Table 2, it is clear that the Cu-Al type sintered sliding material excellent in surface pressure resistance is preferable. As can be seen from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surface pressure applied to the sliding member by adjusting the clearance after inserting the metallic sliding member into the clearance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 and the crawler band pin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material of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to be inserted is not limited.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시의 크롤러밴드 강도를 저감시키는 일 없이,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의 윤활성을 개선하고, 주행시 발생하는 삐걱거리는 소리나 녹아붙음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ubricity of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crawler band pins without reducing the crawler band strength at the time of running, and to prevent the squeaking or melting that occurs during the running.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으로 형성되는 틈새에 내마모성에 양호한 금속계접동부재를 배치하고, 주행시에 걸리는 크롤러밴드부시 내주면에서의 파괴응력에 대하여 그 금속계접동부재를 개재함으로써, 접동하는 크롤러밴드핀으로부터의 반력으로 크롤러밴드부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주행시의 크롤러밴드부시와 크롤러밴드핀 사이의 접합에 의해 발생하는 울리는 소리, 녹아붙음의 소리를 방지할 수 있고, 스프로킷과 맞물릴 때등에 발생하는 타격음을 흡음함으로서, 고강도, 내마모성에 뛰어난 크롤러밴드, 크롤러밴드핀, 크롤러밴드부시 및 크롤러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A metal-based sliding member having good abrasion resistance is disposed in the gap formed by the crawler band bushing and the crawler band pin, and interposed between the metal-based sliding member and the fracture stres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and bushing during traveling, thereby providing Reaction forces can prevent damage to the crawler band bushings, and can also prevent ringing and melting sounds caused by the joining between the crawler band bushings and the crawler band pins when driving, and when engaging the sprockets. By absorbing the generated blow sou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rawler band, a crawler band pin, a crawler band bush and a crawler band excellent in high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Claims (2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JP-P-2001-00251942 | 2001-08-22 | ||
| JP2001251942 | 2001-08-22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30017386A KR20030017386A (en) | 2003-03-03 |
| KR100877139B1 true KR100877139B1 (en) | 2009-01-07 |
Family
ID=3741686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2004955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7139B1 (en) | 2001-08-22 | 2002-08-21 | Manufacturing method of crawler band, crawler band pin, crawler band bush and crawler ban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77139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3086U (en) * | 1991-01-08 | 1993-01-19 | 油谷重工株式会社 | Track link |
| JPH08105444A (en) * | 1993-10-22 | 1996-04-23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Slide bearing assembly |
| JPH10167131A (en) * | 1996-12-13 | 1998-06-23 | Komatsu Ltd | Tracked equipment for tracked vehicles |
-
2002
- 2002-08-21 KR KR1020020049559A patent/KR10087713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3086U (en) * | 1991-01-08 | 1993-01-19 | 油谷重工株式会社 | Track link |
| JPH08105444A (en) * | 1993-10-22 | 1996-04-23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Slide bearing assembly |
| JPH10167131A (en) * | 1996-12-13 | 1998-06-23 | Komatsu Ltd | Tracked equipment for tracked vehicle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30017386A (en) | 2003-03-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604304B2 (en) | Crawler, crawler pin, crawler bush, and crawler manufacturing method | |
| KR101222882B1 (en) | Sintered sliding material, sliding member, connection device and device provided with sliding member | |
| JP5380512B2 (en) | Sintered sliding member and work machine coupling device | |
| KR20100010046A (en) | Connecting mechanism | |
| JP4705092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Fe-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liding member | |
| JP4326216B2 (en) | Wear-resistant sintered sliding material and wear-resistant sintered sliding composite member | |
| KR101113130B1 (en) | Material for spray coating, slide member, slide parts and apparatus using the slide member | |
| EP2357258B1 (en) | Sliding bearing with improved wear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 US20080146467A1 (en) | Sintered Material, Ferrous Sintered Sliding Material, Producing Method of the Same, Sliding Member, Producing Method of the Same and Coupling Device | |
| CN105555445B (en) | Sliding par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JP4823183B2 (en) | Copper-based sintered sliding material and sintered sliding member using the same | |
| KR100813484B1 (en) | Hybrid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 US7018107B2 (en) | Rolling bearing comprising a powder metallurgical component | |
| KR100877139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rawler band, crawler band pin, crawler band bush and crawler band | |
| JP2003342700A (en) | Sintered sliding material, sintered sliding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JP4619302B2 (en) | Slide bea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JP6228409B2 (en) | Sliding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JPS5931851A (en) | Vane of rotary compressor | |
| JP2015148249A (en) | sintered bearing | |
| JP6606214B2 (en) | Sintered bearing | |
| KR101211798B1 (en) | Method of producing wear resisting machine part | |
| JP2001088755A (en) | Track | |
| KR20080002664U (en) | Modular High Performance Powder Forming Bush | |
| GB2441482A (en) | Sintered sliding member and connect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1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122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