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8410B1 - 수정 진동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정 진동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410B1
KR100878410B1 KR1020070069563A KR20070069563A KR100878410B1 KR 100878410 B1 KR100878410 B1 KR 100878410B1 KR 1020070069563 A KR1020070069563 A KR 1020070069563A KR 20070069563 A KR20070069563 A KR 20070069563A KR 100878410 B1 KR100878410 B1 KR 10087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package
crystal oscillator
package wafer
crys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호
김태훈
전종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410B1/ko
Priority to DE102008032233A priority patent/DE102008032233A1/de
Priority to JP2008178856A priority patent/JP4930924B2/ja
Priority to US12/171,106 priority patent/US784506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41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or supports
    • H03H9/10Mounting in enclosures
    • H03H9/1007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 H03H9/1014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the enclosure being defined by a frame built on a substrate and a cap, the frame having no mechanical contact with the BAW device
    • H03H9/1021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the enclosure being defined by a frame built on a substrate and a cap, the frame having no mechanical contact with the BAW device the BAW device being of the cantilever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groups H01L21/18 - H01L21/326 or H10D48/04 - H10D48/07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02Containers; Seals
    • H01L23/10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arrangement of seals between parts, e.g. between cap and base of the container or between leads and walls of the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93Batch processes
    • H01L24/94Batch processes at wafer-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wafer comprising a plurality of undiced individu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68Erbium [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8Platinum [P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61Cap
    • H01L2924/162Disposition
    • H01L2924/16235Connecting to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ap-to-ch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2Piezoelectric device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5Acoustic transduc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7Indicating transduc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8Acoustic transduc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47Assembling terminal to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수정 진동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하부단이 상,하부면으로 각각 노출되는 복수개의 내외부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패키지 웨이퍼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의 상단에 높이규제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높이규제부재상에 여진전극이 구비된 수정편의 일단부를 접합하는 단계 ; 상기 수정편이 탑재된 패키지 웨이퍼의 상부면에 하부로 개방된 캐비티를 구비하는 캡 웨이퍼의 하부면을 적층하여 양극접합하는 단계 ; 및 상기 패키지 웨이퍼와 캡 웨이퍼가 서로 접합되는 접합부위를 따라 절단하여 복수개의 수정진동자를 개별적으로 분리하는 단계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의 두께와 크기를 줄여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일괄공정으로 패키지의 제조가 가능하여 공정 리드타임 및 공정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수정진동자, 패키지 웨이퍼, 캡 웨이퍼, 높이규제부재, 양극접합, 패키지

Description

수정 진동자 제조방법{A Crystal Device Fabr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수정진동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실리콘 또는 유리 웨이퍼를 상,하부의 패키지로 사용하는 웨이퍼 레벨(Wafer Level) 패키징 공법을 통하여 제품의 두께와 크기를 줄여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일괄공정으로 패키지의 제조가 가능하여 공정 리드타임 및 공정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패키지 공정중 여진전극이 접합된 수정편의 주파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고, 높은 기밀성과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정진동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정진동자는 외부에서 전압을 가하면, 수정편의 압전현상에 의해 수정편이 진동을 하고, 그 진동을 통해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정진동자는 안정된 주파수를 얻을 수 있어 컴퓨터, 통신기기의 발진회로에 사용되어지며, 한단계 더 응용된 전압조정형 수정진동자(VCXO), 온도보상형 수정진동자(TCXO), 항온조정형 수정진동자(OCXO)등의 제품은 보다 세밀하게 주파수 조정을 가능하게 하며, 이와 같은 이유로 모든신호의 기준이 되는 핵심부품으로서 사용되 기도 한다.
최근 휴대폰과 같은 휴대통신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복합화됨에 따라 이에 구비되는 부품도 소형화, 박형화를 요구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정진동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이러한 수정진동자(1)는 복수개의 세라믹시트를 적층하여 상부로 개방된 캐비티를 형성하는 세라믹 패키지(2)와, 상기 세라믹 패키지(2)의 단턱에 형성된 연결전극(3)과 페이스트(3a)를 매개로 접착되는 수정편(4) 및 상기 세라믹 패키지(2)의 상부에 도전성 접착제(5a)를 매개로 덮어져 상기 캐비티를 밀봉하는 리드(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수정진동자(1)를 제조하는 공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세라믹시트를 적층하여 바닥면에 내부전극이 형성되고, 상부로 개방된 캐비티를 형성하는 세라믹 패키지(2)를 제공하고, 이러한 세라믹 패키지(2)의 내부에는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에는 상기 수정편(4)의 일단을 접착하기 위한 연결전극(3)을 구비한다.
이어서, 상부면과 하부면에 여진전극(4a)이 각각 패터닝된 사각판상의 수정편(4)은 상기 세라믹 패키지(2)의 연결전극(3)에 일단이 도전성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하여 탑재하고, 상기 수정편(4)의 여진전극(4a)은 얻고자 하는 공진 주파수에 맞추어 트리밍된다.
그리고, 상기 수정편(4)이 탑재된 세라믹 패키지(2)는 상부단 테두리에 구비되는 코바링(Kovar Ring) 이나 Au/Sn과 같은 실링용 금속접착제(5a)를 매개로 하여 리드(5)를 접합함으로서, 상기 수정편(4)이 탑재되어 진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외 부환경과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진동자를 제조하는 공정은 세라믹 시트가 적층된 세라믹 패키지에 수정편을 탑재한 다음, 금속으로 이루어진 리드(5)를 개별적으로 접합해야만 하기 때문에, 적층형 세라믹 패키지의 제조시의 그린시트(Green sheet)의 적층 및 소성공정상의 치수 오차등으로 인하여 일정 값, 대략 200 micron 이상의 폭을 필요하게 되어 패키지 완제품을 소형화 및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소형화 제품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금속리드와 세라믹 패키지를 서로 접합하는 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이들간의 정렬이 용이하지 않아서 접합후에 기밀이 보장되지 않아 제품불량의 주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웨이퍼를 접합하면서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고, 제품의 두께와 크기를 줄여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일괄공정으로 패키지의 제조가 가능하여 공정 리드타임 및 공정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정진동자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하부단이 상,하부면으로 각각 노출되는 복수개의 내외부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패키지 웨이퍼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의 상단에 높이규제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높이규제부재상에 여진전극이 구비된 수정편의 일단부를 접합하는 단계 ; 상기 수정편이 탑재된 패키지 웨이퍼의 상부면에 하부로 개방된 캐비티를 구비하는 캡 웨이퍼의 하부면을 적층하여 양극접합하는 단계 ; 및 상기 패키지 웨이퍼와 캡 웨이퍼가 서로 접합되는 접합부위를 따라 절단하여 복수개의 수정진동자를 개별적으로 분리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수정진동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키지 웨이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패키지 웨이퍼의 하부면에 제1 패턴마스크를 형성한 다음 상기 패키지 웨이퍼의 하부면을 식각하여 상단이 밀폐된 블라인드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블라인드 비아홀을 에워싸는 제2 패턴마스크를 형성한 다음 상기 블라인드 비아홀 및 패키지 웨이퍼의 하부 면에 도전성 금속막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퍼 패키지의 상부면을 연마하여 상기 블라인드 비아홀의 상부단을 상부로 외부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도전성 금속막을 코팅하는 단계는 상기 블라인드 바아홀의 내부공간에 도전성 충진제를 충진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규제부재는 상기 패키지 웨이퍼의 상부면에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의 상단을 외부노출시키는 제3 패턴마스크를 형성하고 이를 노광시켜 도금패턴을 형성한 다음, 상기 도금패턴상에 일정두께로 구비되는 제1금속막과, 상기 제1금속막의 상부면에 일정두께로 구비되는 제2금속막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규제부재의 상단에 상기 수정편의 일단을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높이규제부재의 상단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규제부재와 수정편은 초음파 방식에 의해서 서로 접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키지 웨이퍼에 접합된 수정편은 상부면에 형성된 여진전극을 건식식각에 의해서 일부 제거하면서 상기 수정편의 주파수를 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정진동자의 전체 두께를 줄여 박형화하기 위해 상기 캡 웨이퍼의 상부면을 연마하여 박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 웨이퍼의 상부면을 연마하여 박형화하는 단계는 상기 캐비티를 형성한 후에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 웨이퍼의 상부면을 연마하여 박형화하는 단계는 상기 패키지 웨이퍼와 캡 웨이퍼가 접합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외부 연결단자에 수정편을 탑재한 패키지 웨이퍼의 상부면에 하부로 개방된 캐비티를 구비하는 캡 웨이퍼를 적층하여 접합한 다음, 패키지 웨이퍼와 캡 웨이퍼가 서로 양급접합되는 접합부위를 절단하여 복수개의 수정진동자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제조함으로서, 웨이퍼 레벨 패키징 공정에 의하여 제품의 두께와 크기를 줄여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대량생산에 의해 제조원가를 절감할 있으며, 일괄공정으로 패키지의 제조가 가능해져 공정 리드타임 및 공정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패키징 공정중 웨이퍼 상태에서 탑재된 수정편의 주파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고, 패키지 웨이퍼상에서 경박단소화된 수정진동자의 불량을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정밀도 및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b)(c)(d)(e)(f)(g)(h)(i)(j)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진동자의 제조공정중 패키지 웨이퍼에 수정편을 탑재하는 순서도이다.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는 제조하고자 하는 수정진동자(100)의 하부기판에 해당하며, 저가의 유리 또는 실리콘을 소재로 이루어지는 원반형상의 기판부재이다.
이러한 패키지 웨이퍼(110)에는 후술하는 수정편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 되는 내외부 연결단자(112)를 복수개 구비하는바, 이러한 내외부 연결단자(112)의 상부단과 하부단은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외부노출된다.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에 복수개의 내외부 연결단자(11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하부면에 제1 패턴마스크(111)를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하부면을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ing)과 같은 건식식각방식 또는 에칭액을 이용한 습식식각방식에 의하여 식각처리함으로서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은 개방된 일정깊이의 블라인드 비아홀(blind via hole)을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하부면에 복수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블라이드 비아홀(112a)을 형성한 후에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하부면에 잔류하는 제1 패턴마스크(111)는 에싱(ashing)처리공정 등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된다.
연속하여,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하부면에는 상기 블라이드 비아홀(112a)을 에워싸는 제2 패턴마스크(113)를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하부면에는 도전성 금속을 코팅하게 되면, 상기 제2 패턴마스크(113)가 형성되지 않은 블라이드 비아홀(112a)의 내부면과 패키지 웨이퍼(110)의 일부 하부면에는 일정두께의 도전성 금속막(112b)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가 실리콘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블라이드 비아홀(112a)의 내부면과 패키지 웨이퍼(110)의 일부 하부면에 상기 도전성 금속을 코팅하기 전에 추가 SiO2 , SiN 과 같은 절연코팅막을 코팅한 후에, 상기 도전성 금속을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금속막(112b)을 형성한 후에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하부면에 잔류하는 제2 패턴마스크(113)는 에싱(ashing)처리공정에 의하여 제거된다.
이어서,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전성 금속막(112b)이 일정두께로 코팅된 블라이드 비아홀(112a)의 내부공간에는 일정량의 도전성 충진제(112c)를 충진한다.
이때, 상기 블라이드 비아홀(112a)에 충진되는 도전성 충진제(112c)의 하부면은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하부면에 코팅된 외부단자의 금속막(112b)과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충진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전성 금속막(112b)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 비아홀(112a)에 도전성 충진제(112c)가 충진된 후에는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상부면을 점선으로 도시된 두께위치까지 연마하여 일정두께 제거함으로서 상기 블라이드 비아홀(112a)에 도전성 금속막(112b)이 코팅되거나 이에 더하여 도전성 충진제(112c)가 충진된 내외부 연결단자(112)의 상단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상부면을 연마하는 공정은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112)를 구성하는 블라인드 비아홀(112a)의 내부면에 형성된 도전성 금속막(112b)이 외부로 노출될 때까지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블라인드 비아홀(112a)의 내부에 충진되는 도전성 충진제(112c)가 도전성 금속막(112b)과 더불어 외부로 노출될 때까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상부면에는 도 3(f)(g)(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112)의 상단에 일정높이로 구비되는 높이규제부재(115)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높이규제부재(115)에 일단이 탑재되는 수정편(130)의 타단이 진동시 패키지 웨이퍼(11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112)의 상단을 외부노출시키는 제3 패턴마스크(114)를 형성하고 이를 노광시켜 도금패턴을 형성한 다음, 상기 도금패턴상에 일정두께의 제1금속막(115a)을 형성하고, 상기 제1금속막(115a)의 상부면에 일정두께의 제2금속막(115b)을 형성함으로서 수십 ㎛의 높이규재부재(115)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높이규제부재(115)를 형성한 후에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상부면에 잔류하는 제3 패턴마스크(114)는 에싱(ashing)처리공정에 의하여 제거된다.
여기서, 상기 제1금속막(115a)은 Cu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금속막(115b)은 Au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하여, 도 3(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과 하부면에 여진전극(131,132)을 각각 형성한 수정편(130)은 상기 높이규제부재(115)의 상단에 일단이 초음파 융착에 의해서 접착되어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정편(130)은 상기 높이규제부재(115)에 의해서 상기 패키지 웨이퍼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유지하면서 타단에 자유단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규부재(115)의 상단에 수정편(130)의 일단을 초음파 방식으로 용착하여 탑재하기 전에, 초음파 접합강도를 높이고 상기 수정편의 설치높이를 보다 높일 수 있도록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높이규제부재(115)를 매개로 하여 내외부 연결단자(112)에 전기적으로 탑재된 수정편(130)은 도 3(j)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에 형성된 여진전극(131)이 상부로 외부노출되어 있는 바, 상기 수정편(130)의 직상부로부터 이온빔(ion beam)을 조사하여 상기 여진전극(131)의 일부를 제거하는 이온 빔 에칭과 같은 건식식각을 수행함으로서 상기 수정편(120)의 주파수를 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112)를 통하여 수정편(120)의 여진전극(131)에 전원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주파수를 조정하는 작업은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112)에 선단부가 접촉되는 프로브(미도시)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도 4(a)(b)(c)(d)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 진동자의 제조공정중 캡 웨이퍼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순서도이다.
상기 캡 웨이퍼(120)는 제조하고자 하는 수정진동자(100)의 상부기판에 해당하며, 저가의 유리 또는 실리콘을 소재로 이루어지는 원반형상의 기판부재이다.
이러한 캡 웨이퍼(120)에는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와의 접합시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에 탑재된 수정편(130)을 외부환경과 차단하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캐비티(C)를 형성하는바, 이러한 캐비티(C)는 상기 캡 웨이퍼(120)의 하부면에 하부로 개방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캡 웨이퍼(120)의 하부면에는 도 4(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마스크(121)를 형성하고, 상기 캡 웨이퍼(120)의 하부면을 샌드 블라스팅과 같은 건식식각방식 또는 에칭액을 이용한 습식식각방식에 의해서 식각처리함으로서 하부로 개방된 캐비티(C)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C)을 형성한 후에 상기 캡 웨이퍼(120)의 하부면에 잔류하는 보호마스크(121)는 에싱(ashing)처리공정에 의하여 제거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마스크(121)는 포토 레지스트(photo resist),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dry film resist)를 사용하고, 패턴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메탈 마스크(metal mask)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캐비티(C)가 하부면에 형성된 캡 웨이퍼(120)는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키지의 두께를 보다 박형화하기 위해서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캡 웨이퍼(120)의 상부면을 연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b)(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진동자를 제조하는 공정중 캡 웨이퍼와 패키지 웨이퍼를 접합하는 순서도이다.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와 캡 웨이퍼(120)간의 접합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정편(130)을 탑재한 패키지 웨이퍼(110)를 하부부품으로 하여 하측에 배치하고, 상기 캐비티(C)를 형성한 캡 웨이퍼(120)를 상부부품으로 하여 상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캡 웨이퍼(1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캐비티(C)는 상기 수정편(130)과 대응하고, 상기 캡 웨이퍼(120)의 하부 접합면은 상기 패키지 웨이퍼(120)의 상부 접합면과 서로 마주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에 캡 웨이퍼(120)를 적층하게 되면, 상기 수정편은 상기 캡 웨이퍼(120)의 캐비티(C)와 패키지 웨이퍼(110)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상부 접합면과 상기 캡 웨이퍼(120)의 하부 접합면은 서로 맞닿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접합면은 상기 수정편(130)의 외측을 에워싸도록 연속되는 밀폐라인으로 구비된다.
연속하여, 상기 캡 웨이퍼(120)와 패키지 웨이퍼(110)중 어느 하나가 실리콘 웨이퍼로 구비되고 나머지 유리 유리웨이퍼로 이루어지는 경우, 대기중 또는 진공에서 가열한 실리콘 웨이퍼와 고전압으로 유리웨이퍼를 가열함으로서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상부 접합면과 상기 캡 웨이퍼(120)의 하부 접합면을 일체로 접합하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의 상부 접합면과 상기 캡 웨이퍼(120)의 하부 접합면이 양극접합방식에 의해서 일체로 접합하게 되면, 상기 수정편(130)의 외측을 따라 연속되는 실링라인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수정편(130)은 외부환경과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양극접합된 패키지 웨이퍼(110)와 캡 웨이퍼(120)는 패키지의 전체두께를 줄여 보다 박형화하기 위해서 상기 캡 웨이퍼(120)의 상부면을 연마하여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캡 웨이퍼(120)의 상부면을 연마하여 박형화하는 공정은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와 캡 웨이퍼(120)를 서로 접합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캡 웨이퍼(120)의 하부면에 캐비티(C)를 형성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와 캡 웨이퍼(120)가 서로 접합되어 실링라인을 형성하는 접합부위를 절단라인으로 하여 이를 따라 절단하게 되면,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정편(130)이 탑재된 패키지 웨이퍼(110)를 하부기판으로 하고, 캐비티(C)를 형성한 캡 웨이퍼(120)를 상부기판으로 하고, 상기 수정편(130)이 양극접합되는 접합면에 의해서 밀봉처리되는 복수개의 수정진동자(100)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캐비티(C)가 형성되는 캡웨이퍼(120)가 실리콘을 소재로 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112)를 구비하여 수정편(130)이 탑재되는 패키지 웨이퍼(110)는 유리소재로 하여 이루어져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와 캡 웨이퍼가 서로 접하여 양극 접합된다.
반면에, 상기 캐비티(C)가 형성되는 캡웨이퍼(120)가 유리를 소재로 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112)를 구비하여 수정편(130)이 탑재되는 패키지 웨이퍼(110)는 실리콘 소재로 하여 이루어져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와 캡 웨이퍼가 서로 접하여 양극 접합되며, 이때, 상기 패키지 웨이퍼(110)는 절연성을 확보하기 우해서 고절연 웨이퍼를 사용하거나, 외부면에는 절연막을 코팅하고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정진동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수정진동자를 제조하는 공정 순서도이다.
도 3(a)(b)(c)(d)(e)(f)(g)(h)(i)(j)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진동자의 제조공정중 패키지 웨이퍼에 수정편을 탑재하는 순서도이다.
도 4(a)(b)(c)(d)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 진동자의 제조공정중 캡 웨이퍼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순서도이다.
도 5(a)(b)(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진동자를 제조하는 공정중 캡 웨이퍼와 패키지 웨이퍼를 접합하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패키지 웨이퍼 112 : 내외부 연결단자
112a : 블라인드 비아홀 115 : 높이규제부재
120 : 캡 웨이퍼 121 : 보호마스크
130 : 수정편 131,132 : 여진전극

Claims (10)

  1. 상,하부단이 상,하부면으로 각각 노출되는 복수개의 내외부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패키지 웨이퍼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의 상단에 높이규제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높이규제부재상에 여진전극이 구비된 수정편의 일단부를 접합하는 단계 ;
    상기 수정편이 탑재된 패키지 웨이퍼의 상부면에 하부로 개방된 캐비티를 구비하는 캡 웨이퍼의 하부면을 적층하여 양극접합하는 단계 ; 및
    상기 패키지 웨이퍼와 캡 웨이퍼가 서로 접합되는 접합부위를 따라 절단하여 복수개의 수정진동자를 개별적으로 분리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수정진동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웨이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패키지 웨이퍼의 하부면에 제1 패턴마스크를 형성한 다음 상기 패키지 웨이퍼의 하부면을 식각하여 상단이 밀폐된 블라인드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블라인드 비아홀을 에워싸는 제2 패턴마스크를 형성한 다음 상기 블라인드 비아홀 및 패키지 웨이퍼의 하부면에 도전성 금속막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퍼 패키지의 상부면을 연마하여 상기 블라인드 비아홀의 상부단을 상부로 외부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금속막을 코팅하는 단계는 상기 블라인드 바아홀의 내부공간에 도전성 충진제를 충진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규제부재는 상기 패키지 웨이퍼의 상부면에 상기 내외부 연결단자의 상단을 외부노출시키는 제3 패턴마스크를 형성하고 이를 노광시켜 도금패턴을 형성한 다음, 상기 도금패턴상에 일정두께로 구비되는 제1금속막과, 상기 제1금속막의 상부면에 일정두께로 구비되는 제2금속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규제부재의 상단에 상기 수정편의 일단을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높이규제부재의 상단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규제부재와 수정편은 초음파 방식에 의해서 서로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웨이퍼에 접합된 수정편은 상부면에 형성된 여진전극을 건식식각에 의해서 일부 제거하면서 상기 수정편의 주파수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진동자의 전체 두께를 줄여 박형화하기 위해 상기 캡 웨이퍼의 상부면을 연마하여 박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 웨이퍼의 상부면을 연마하여 박형화하는 단계는 상기 캐비티를 형성한 후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 웨이퍼의 상부면을 연마하여 박형화하는 단계는 상기 패키지 웨이퍼와 캡 웨이퍼가 접합된 상태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제조방법.
KR1020070069563A 2007-07-11 2007-07-11 수정 진동자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7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563A KR100878410B1 (ko) 2007-07-11 2007-07-11 수정 진동자 제조방법
DE102008032233A DE102008032233A1 (de) 2007-07-11 2008-07-09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ristallvorrichtung
JP2008178856A JP4930924B2 (ja) 2007-07-11 2008-07-09 水晶振動子の製造方法
US12/171,106 US7845064B2 (en) 2007-07-11 2008-07-10 Method for manufacturing cryst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563A KR100878410B1 (ko) 2007-07-11 2007-07-11 수정 진동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410B1 true KR100878410B1 (ko) 2009-01-13

Family

ID=4017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5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8410B1 (ko) 2007-07-11 2007-07-11 수정 진동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45064B2 (ko)
JP (1) JP4930924B2 (ko)
KR (1) KR100878410B1 (ko)
DE (1) DE102008032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2751A (ja) * 2006-02-09 2007-08-23 Nippon Dempa Kogyo Co Ltd 球状又は半球状の結晶体の製造方法及び球状saw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1113251B1 (ko) * 2009-08-28 2012-02-20 (주)와이솔 Smd형 소자의 lid 패키징 공법과 이를 위한 장치
JP5479874B2 (ja) * 2009-12-10 2014-04-2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及びパッケージ
JP5485714B2 (ja) * 2010-01-07 2014-05-0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5129284B2 (ja) * 2010-03-09 2013-01-30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圧電振動子及び圧電振動子の製造方法
JP2011193290A (ja) * 2010-03-15 2011-09-29 Seiko Instruments Inc 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圧電振動子、発振器、電子機器および電波時計
JP2011249424A (ja) * 2010-05-24 2011-12-08 Daishinku Corp 電子部品パッケージの封止部材、電子部品パッケージ、及び電子部品パッケージの封止部材の製造方法
CN102983826A (zh) * 2012-12-04 2013-03-20 四川环州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石英晶体振荡器贴片及其生产工艺
FR3009649B1 (fr) * 2013-08-09 2016-12-2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Interconnexion de plusieurs niveaux d'un empilement de supports de composants electroniques
JP2015109633A (ja) * 2013-10-22 2015-06-11 株式会社大真空 圧電振動素子と当該圧電振動素子を用いた圧電デバイスおよび、前記圧電振動素子の製造方法と当該圧電振動素子を用いた圧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20036063A (ja) 2018-08-27 2020-03-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振動デバイス、振動デバイスの製造方法、電子機器、および移動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4735A (ja) 2004-02-27 2005-09-08 Kyocera Kinseki Corp 水晶振動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水晶振動子
JP2006339749A (ja) 2005-05-31 2006-12-14 Kyocera Kinseki Corp 水晶振動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水晶振動子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55423GA3 (ko) * 1984-02-15 1986-04-30
JPH0210907A (ja) * 1988-06-28 1990-01-16 Matsushima Kogyo Co Ltd At振動子の周波数調整方法
DE69104349T2 (de) * 1990-02-14 1995-05-24 Endevco Corp Oberflächenmontierbarer piezokeramischer beschleunigungsmesser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5747857A (en) 1991-03-13 1998-05-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components having high-frequency ele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for
JPH06343017A (ja) * 1993-04-09 1994-12-13 Citizen Watch Co Ltd 圧電振動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341042A (ja) * 1999-05-26 2000-12-08 Mitsumi Electric Co Ltd 発振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24845A (ja) * 2000-08-07 2002-04-26 Nippon Sheet Glass Co Ltd 水晶振動子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46866A (ja) * 2001-02-20 2002-08-30 Citizen Watch Co Ltd 表面実装型圧電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
JP2003008381A (ja) * 2001-06-25 2003-01-10 Seiko Epson Corp 圧電振動片の実装方法、圧電振動片の実装治具および圧電振動子
TW554498B (en) 2001-08-17 2003-09-21 Citizen Watch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US20040108588A1 (en) 2002-09-24 2004-06-10 Cookson Electronics, Inc. Package for microchips
JP2004134852A (ja) * 2002-10-08 2004-04-30 Seiko Epson Corp 圧電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圧電デバイスを利用した携帯電話装置および圧電デバイスを利用した電子機器
US7034441B2 (en) 2002-11-13 2006-04-25 Nihon Dempa Kogyo Co., Ltd Surface mount crystal unit and surface mount crystal oscillator
JP2004166006A (ja) * 2002-11-13 2004-06-10 Nippon Dempa Kogyo Co Ltd 表面実装用の水晶振動子
JP4157371B2 (ja) * 2002-11-27 2008-10-01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表面実装用の水晶発振器の製造方法
DE10331322A1 (de) 2003-07-10 2005-02-03 Epcos Ag 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JP2005051495A (ja) 2003-07-28 2005-02-24 Nippon Dempa Kogyo Co Ltd 水晶振動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09400A (ja) * 2004-09-13 2006-04-20 Seiko Epson Corp 電子部品、回路基板、電子機器、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6173557A (ja) * 2004-11-22 2006-06-29 Toshiba Corp 中空型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7407826B2 (en) * 2005-03-21 2008-08-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Vacuum packaged single crystal silicon device
JP2007013608A (ja) * 2005-06-30 2007-01-18 Kyocera Kinseki Corp 圧電振動子の製造方法及び圧電振動子
KR101149561B1 (ko) 2005-12-28 2012-05-29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실리콘 단결정 잉곳 성장장치용 시드 척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4735A (ja) 2004-02-27 2005-09-08 Kyocera Kinseki Corp 水晶振動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水晶振動子
JP2006339749A (ja) 2005-05-31 2006-12-14 Kyocera Kinseki Corp 水晶振動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水晶振動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3519A1 (en) 2009-01-15
US7845064B2 (en) 2010-12-07
DE102008032233A1 (de) 2009-02-05
JP4930924B2 (ja) 2012-05-16
JP2009022003A (ja)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410B1 (ko) 수정 진동자 제조방법
JP5554092B2 (ja) 電子デバイス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US826956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iezoelectric vibrator, piezoelectric vibrator, and oscillator
JPWO2010079803A1 (ja) 圧電振動デバイスの製造方法
TW201724587A (zh) 一種具有圓形晶片結構的石英晶體諧振器及其製作方法
US2010020769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sealed packag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glass-sealed package, and oscillator
JP2017139717A (ja) 圧電発振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5213614B2 (ja) 圧電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50373B2 (ja) 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2025119040A (ja) 水晶振動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5720152B2 (ja) 振動子の作製方法、振動子および発振器
TWI539560B (zh) Package manufacturing method, piezoelectric vibrator and oscillator
KR20140095003A (ko)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JP2012186709A (ja) 圧電振動片及び圧電デバイス
US8686621B2 (en) Piezoelectric devic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7819450A (zh) 一种改进封装结构的全石英晶体谐振器及其制备方法
US9985198B1 (en) High Q quartz-based MEMS resonator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KR100856293B1 (ko) 수정 진동자 제조방법
JP3543786B2 (ja) 圧電振動片及び圧電振動子の製造方法
JPWO2018116651A1 (ja) 音叉型振動片、音叉型振動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078606B2 (ja) 圧電振動子の構造と製造方法
JP2009225220A (ja) 圧電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78395B1 (ko) 수정 소자의 제조 방법
JP2010187268A (ja) ガラスパッケージ、圧電振動子、ガラスパッケージのマーキング方法および発振器
JP2024100359A (ja) 振動デバイ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1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10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