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0689B1 - Charge / discharge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e / discharge method - Google Patents

Charge / discharge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e / discharg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689B1
KR100870689B1 KR1020077017577A KR20077017577A KR100870689B1 KR 100870689 B1 KR100870689 B1 KR 100870689B1 KR 1020077017577 A KR1020077017577 A KR 1020077017577A KR 20077017577 A KR20077017577 A KR 20077017577A KR 100870689 B1 KR100870689 B1 KR 100870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upled
charge
capacitor
switch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5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08165A (en
Inventor
요시호 세오
가즈시게 다카기
다다요시 고사카
하지메 이노우에
고이치 사키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플라즈마 페이턴트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플라즈마 페이턴트 라이센싱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플라즈마 페이턴트 라이센싱
Priority to KR102007701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689B1/en
Publication of KR2007010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1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689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09G3/2965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using inductors for energy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G09G3/294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by introducing variations of the frequency of sustain pulses within a frame or non-proportional variations of the number of sustain pulses in each subfiel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5Applications of charge pumps; Boosted voltage circuits; Clamp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8Details of driving circuits arranged to drive both scan and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Cp)를 충전하는 충방전 장치(602)는, 제 1 전원(GND)에 제 1 스위치 수단(SW11)을 통하여 한 단자가 결합되고 제 2 전원(Vs+Vo)에 제 2 스위치 수단(SW12)을 통하여 다른 단자가 결합된 전기적 에너지 회수용의 회수용 커패시터(Cr1)와, 제 2 전원과 회수용 커패시터의 다른 단자의 접속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에 다른 단자가 결합되어, 제 1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공진 인덕터(L1)를 통하여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충전하는 제 1 경로 형성 수단(D11)과, 제 1 전원과 회수용 커패시터의 한 단자의 접속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에 다른 단자가 결합되어, 제 2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공진 인덕터(L1)를 통하여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방전시켜 회수용 커패시터에 전기적 에너지를 회수하는 제 2 경로 형성 수단(D12)을 구비한다.In the charge / discharge device 602 that charges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Cp,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first power source GND through the first switch means SW11, and the second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ource Vs + Vo.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recovery capacitor Cr1 for recovery of electrical energy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supply and recovery capacitor, and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through the switch means SW12. The terminals are coupled to the first path forming means D11 for charging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through the resonant inductor L1 when the first switch means is turned on, and at a connection point of one terminal of the first power supply and the recovery capacitor. One terminal is coupled, and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and when the second switch means is turned on,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is discharged through the resonant inductor L1 to electrically recover the capacitor. Recovering the second comprises a path forming means (D12).

충방전 장치, 전력 회수 회로, 클램프 회로, 제어 신호 발생 회로, 회수용 커패시터 Charge / discharge device, power recovery circuit, clamp circuit,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recovery capacitor

Description

충방전 장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충방전 방법{CHARGING/DISCHARGING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ING/DISCHARGING METHOD}Charge / discharge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ing / discharging method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ING / DISCHARGING METHOD}

본 발명은, 커패시턴스에 축적된 전기적 에너지의 회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스마 패널 디스플레이(PDP)의 화면을 구성하는 셀에 형성되는 용량에 펄스 형상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축적되는 전하를 회수하는 장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충방전(充放電)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recovery of electrical energy accumulated in capacitance, and in particular, an apparatus for recovering charge accumulated by applying a pulsed voltage to a capacitance formed in a cell constituting a screen of a plasma panel display (PDP), a plasma. A display panel and a charging / discharging method are provided.

PDP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셀 내에 형성되는 용량에 서스테인 펄스 전압의 인가에 의해 축적되는 전하를 전기적 에너지 회수용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회수 함으로써, 인가 펄스의 전기적 에너지를 회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 회수된 전하는, 다음의 서스테인 펄스 전압의 인가에 사용된다. 그 기술에서는, 1개의 인가 펄스의 상승에서 셀에 축적된 전하가, 그 펄스의 하강에서 회수된다.The technique of recovering the electrical energy of an applied pulse is collect | recovered by the electrical energy collection capacitor collect | recovering the electric charge accumulate | stored by application of the sustain pulse voltage to the capacitance formed in the some cell which comprises the screen of a PDP. The recovered charge is used for application of the next sustain pulse voltage. In the technique, the charge accumulated in the cell in the rise of one application pulse is recovered in the fall of the pulse.

1998년 4월 24일자로 공개된 일본국 공개특허 평10-105114호 공보(A)에는, 부(負)전압에 대하여도 전력의 충방전을 가능하게 한 PDP의 전력 회수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전력 회수 장치는, 정(正)전압을 충전하여 다음의 전극방전시에 충전 정전압을 방전 전극에 방전하는 정전압 충방전부, 부전압을 충전하여 다음의 전 극방전시에 충전 부전압을 방전 전극에 방전하는 부전압 충방전부, 및 외부전압의 입력과 정/부전압 충방전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다.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05114 (A) published on April 24, 1998, describes a power recovery device of a PDP that enables charging and discharging of electric power even with respect to a negative voltage. The power recovery device is a constant voltage charging and discharging unit which charges a positive voltage and discharges a charging constant voltage to the discharge electrode at the next electrode discharge, and charges a negative voltage to discharge the charging negative voltage at the next electrode discharg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negative voltage charging and discharging unit and the input of the external voltage.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평10-10511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05114

2000년 1월 6일자로 공개된 국제공개 WO 00/00956(A)에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의 전력 회수 회로의 스위칭 타이밍을 가변적으로 정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가 개시된다. 가변 범위 펄스 발생부는, 회수 전력 제공 시간의 허용 가능한 최대 가변 범위를 정하는 가변 범위 펄스를 발생하고, 제 1 카운터는 가변 범위 펄스에 의해 이네이블(enable)되어 클록 신호를 카운트하여 카운트 값을 주기적으로 출력한다. 제 2 카운터와 제 3 카운터는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의 스위칭 횟수를 각각 카운트하여 제 1 기준 값과 제 2 기준 값을 설정한다. 상승 펄스 발생부는 카운트 값과 제 1 기준 값을 주기적으로 비교하고, 양쪽이 동일해질 때, 출력 신호의 논리 레벨을 로(low)에서 하이(High)로 반전시킨다. 하강 펄스 발생부는 카운트 값과 제 2 기준 값을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양쪽이 동일해질 때, 출력 신호의 논리 레벨을 하이에서 로로 반전시킨다. AND 게이트는 상승 펄스 발생부와 하강 펄스 발생부의 출력 신호를 논리적(論理積)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제어 신호의 펄스 지속 기간은 제 1 기준 값과 제 2 기준 값에 의하여 정해지고, 이들 2개의 기준 값은 외부에서 가변적으로 정할 수 있다.International publication WO 00/00956 (A), published January 6, 2000, discl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apable of variably determining the switching timing of a power recovery circuit of a plasma display panel television. The variable range pulse generator generates a variable range pulse that defines the maximum allowable variable range of the recovery power providing time, and the first counter is enabled by the variable range pulse to count the clock signal to periodically count the count value. Output The second counter and the third counter set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by counting the number of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respectively. The rising pulse generator periodically compares the count value with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when both become equal, inverts the logic level of the output signal from low to high. The falling pulse generator periodically compares the count value with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inverts the logic level of the output signal from high to low when both become equal. The AND gate generates a control signal by logically outputt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rising pulse generator and the falling pulse generator. The pulse duration of the control signal is determined by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se two reference values can be determined externally.

특허문헌 2 : WO 00/00956Patent Document 2: WO 00/00956

PDP에 있어서, 셀 내에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극에 인가되는 펄스 파형으로서, 비대칭인 파형의 서스테인 펄스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통상 의 전력 회수 회로에서는, 전력 회수용 커패시터의 전위가 한쪽 극성(極性) 방향으로 서서히 시프트하거나, 또는 표시 전극 커패시터에 인가된 전력을 충분히 회수할 수 없다.In the PDP, as a pulse waveform applied to an electrode for generating a discharge in a cell, an asymmetric waveform waveform may be used in some cases. In this case, in the ordinary power recovery circuit, the potential of the power recovery capacitor gradually shifts in one polarity direction, or the power applied to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annot be sufficiently recovered.

발명자들은, 비대칭인 파형을 포함하여 임의의 파형의 주기적 펄스 형상 전압이 표시를 위한 전극에 인가되어도, 공급된 전기적 에너지를 충분히 회수할 수 있는 회로를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했다.The inventors have recognized that it is desirable to realize a circuit capable of sufficiently recovering the supplied electrical energy even when a periodic pulse-shaped voltage of any waveform including an asymmetric waveform is applied to the electrode for display.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파형의 주기적 펄스 형상 전압에 의해 커패시턴스에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충분히 회수할 수 있는 회로를 실현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a circuit capable of sufficiently recovering electrical energy supplied to a capacitance by a periodic pulsed voltage of an arbitrary waveform.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충전하는 충방전 장치는, 제 1 전원에 제 1 스위치 수단을 통하여 한 단자가 결합되고 제 2 전원에 제 2 스위치 수단을 통하여 다른 단자가 결합된 전기적 에너지 회수용의 회수용 커패시터와, 그 제 2 전원과 그 회수용 커패시터의 그 다른 단자의 접속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그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에 다른 단자가 결합되어, 그 제 1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공진 인덕터를 통하여 그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충전하는 제 1 경로 형성 수단과, 그 제 1 전원과 그 회수용 커패시터의 그 한 단자의 접속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그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에 다른 단자가 결합되어, 그 제 2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공진 인덕터를 통하여 그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방전시켜 그 회수용 커패시터에 전기적 에너지를 회수하는 제 2 경로 형성 수단과, 그 제 1 및 제 2 스위치 수단과, 그 제 1 및 제 2 경로 형성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harge / discharge device for charging a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by applying a voltage, one terminal is coupled to a first power source through a first switch means and an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a second power source through a second switch means.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recovery capacitor for recovery of electrical energy, the second power supply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recovery capacitor, and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the capacitance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first path forming means for charging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through the resonant inductor when the switch means is turned on, and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and the one terminal of the recovery capacitor, and the charge and discharge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the target capacitance, and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is passed through the resonant inductor when the second switch means is turned on. The discharges to a second-path forming means, and that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mean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the second path forming means for recovering the electric energy to the recovery capacitor.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장치의 기능을 실현하는 충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harge / discharge method for realizing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파형의 펄스 형상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커패시턴스에 공급된 전기적 에너지를 충분히 회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energy supplied to the capacitance can be sufficiently recovered by applying a pulse shape voltage of an arbitrary wavefor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형예의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of a typical example by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PDP(10)의 전형예의 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ell structure of a typical example of the PDP 1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X 드라이버 회로, Y 드라이버 회로 및 A 드라이버 회로의 출력 구동 전압 파형의 개략적인 구동 시퀀스를 예시하는 도면.3 illustrates a schematic driving sequence of output drive voltage waveforms of an X driver circuit, a Y driver circuit, and an A driver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는 서스테인 회로에 있어서, 전압원에 의해 표시 장치의 용량에 전하가 축적될 때의 저항에 있어서의 에너지 손실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도면.Fig. 4A is a diagram useful in explaining an energy loss in resistance when charge is accumulated in a capacitance of a display device by a voltage source in a sustain circuit.

도 4의 (b)는 공진 인덕터를 갖는 종래의 개선된 서스테인 회로에 있어서, 전압원에 의해 공진 인덕터를 통하여 표시 전극의 용량에 전하가 축적될 때의 저항에 있어서의 에너지 손실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도면.Fig. 4B is a diagram useful in explaining the energy loss in resistance when charge is accumulated in the capacitance of the display electrode through the resonant inductor by the voltage source in the conventional improved sustain circuit having the resonant inductor. .

도 5의 (a)는 서스테인 회로에 사용되는, 전기적인 에너지 회수, 즉 전력 회수 기능을 갖는 종래의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Fig. 5A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having an electrical energy recovery, that is, a power recovery function, used in a sustain circuit.

도 5의 (b)는 펄스 인가시의 도 5의 (a)의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를 사용했을 때의 표시 전극 커패시터 양단(兩端) 간의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FIG. 5B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voltag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when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of FIG. 5A is used when a pulse is applied. FIG.

도 6은 자주 사용되는 서스테인 펄스 전압의 개략적인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Fig. 6 shows a schematic waveform of a frequently used sustain pulse voltag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1쌍의 표시 전극에 펄스 전압을 인가하는 펄스 전압 인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7 illustrates a puls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for applying a pulse voltage to a pair of display electr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DP의 표시 전극 간의 용량에 인가되는 펄스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8A is a diagram showing waveforms of pulses applied to capacitances between display electrodes of a PD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 7의 제어 신호 발생 회로의 제어 신호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8B is a diagram showing on / off states of control signals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of FIG. 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9의 (a) 내지 도 9의 (f)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다양한 펄스의 파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9 (a) to 9 (f)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waveforms of various puls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형예의 표시 장치(6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 장치(60)는, m×n개의 셀의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면을 갖는 3 전극 면 방전형 PDP(10)와, 셀의 어레이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유닛(50)을 구비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모니터 등에 이용된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60 of a typical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60 includes a three-electrode surface discharge type PDP 10 having a display surface composed of an array of m × n cells, and a drive unit 50 for selectively emitting an array of cells. For example, it is used for a television receiver, a monitor of a computer system, and the like.

PDP(10)에서는, 표시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극쌍을 구성하는 표시 전극(X 및 Y)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들 표시 전극(X 및 Y)과 직교하도록 어드레스 전극(A)이 배치되어 있다. 표시 전극(X)은 서스테인(유지) 전극이며, 표시 전극(Y)은 스캔(주사) 전극이다. 표시 전극(X 및 Y)은, 전형적으로는 화면의 행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어드레스 전극(A)은 열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In the PDP 10, display electrodes X and Y constituting electrode pairs for generating display discharge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address electrodes A are arrang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se display electrodes X and Y. . The display electrode X is a sustain (hold) electrode, and the display electrode Y is a scan (scan) electrode. The display electrodes X and Y typically extend in the row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creen, and the address electrodes A extend in the column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드라이브 유닛(50)은, 드라이버 제어 회로(51), 데이터 변환 회로(52), 전원회로(53), X 전극 드라이버 회로 또는 X 드라이버 회로(61), Y 전극 드라이버 회로 또는 Y 드라이버 회로(64), 및 어드레스 전극 드라이버 회로 또는 A 드라이버 회로(68)를 포함하고 있고, 경우에 따라 ROM을 포함할 수 있는 집적회로의 형태로 실장(實裝)된다. 드라이브 유닛(50)에는, TV 튜너 또는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R, G 및 B의 3 원색의 발광 강도를 나타내는 필드 데이터(Df)가 각종 동기(同期)신호와 함께 입력된다. 필드 데이터(Df)는 데이터 변환 회로(52) 중 필드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데이터 변환 회로(52)는, 필드 데이터(Df)를 계조 표시를 위한 서브 필드 데이터(Dsf)로 변환하여 A 드라이버 회로(68)에 공급한다. 서브 필드 데이터(Dsf)는, 1셀당 1비트의 표시 데이터의 집합이며, 그 각 비트의 값은 해당하는 1개의 서브 필드(SF)에 있어서의 각 셀의 발광의 필요/불필요를 나타낸다.The drive unit 50 includes a driver control circuit 51, a data conversion circuit 52, a power supply circuit 53, an X electrode driver circuit or an X driver circuit 61, a Y electrode driver circuit or a Y driver circuit 64. And an address electrode driver circuit or an A driver circuit 68, and are mount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ircuit which may optionally include a ROM. In the drive unit 50, field data Df indicating the light emission intensities of three primary colors R, G, and B are input together with various synchronization signals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TV tuner or a computer. The field data Df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field memory of the data conversion circuit 52. The data conversion circuit 52 converts the field data Df into subfield data Dsf for gray scale display and supplies it to the A driver circuit 68. The subfield data Dsf is a set of display data of 1 bit per cell, and the value of each bit indicates the necessity / unnecessity of light emission of each cell in the corresponding subfield SF.

X 드라이버 회로(61)는, PDP 표시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셀의 벽전압을 균등하게 하기 위하여 표시 전극(X)에 초기화를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리셋 회로(62)와, 셀에 표시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표시 전극(X)에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하는 서스테인 회로(63)를 포함하고 있다. Y 드라이버 회로(64)는, 표시 전극(Y)에 초기화를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리셋 회로(65)와, 어드레싱에 있어서 표시 전극(Y)에 스캔 펄스를 인가하는 스캔 회로(66)와, 셀에 표시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표시 전극(Y)에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하는 서스테인 회로(67)를 포함하고 있다. A 드라이버 회로(68)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서브 필드 데이터(Dsf)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 전극(A)에 어드레스 펄스를 인가한다.The X driver circuit 61 includes a reset circuit 62 for applying a voltage for initialization to the display electrode X and the display discharge to the cells in order to equalize the wall voltages of a plurality of cells constituting the PDP display surface. And a sustain circuit 63 for applying a sustain pulse to the display electrode X for generation. The Y driver circuit 64 includes a reset circuit 65 for applying a voltage for initialization to the display electrode Y, a scan circuit 66 for applying a scan pulse to the display electrode Y in addressing, and a cell. And a sustain circuit 67 for applying a sustain pulse to the display electrode Y in order to generate display discharge. The A driver circuit 68 applies an address pulse to the address electrode A designated by the subfield data Dsf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data.

드라이버 제어 회로(51)는, 펄스 전압의 인가 및 서브 필드 데이터(Dsf)의 전송을 제어한다. 전원 회로(53)는 유닛 내의 소요 부분에 구동 전력을 공급한다. 드라이버 제어 회로(51)는, 서브 필드 데이터(Dsf)에 의한, 점등 셀 및 비(非)점등 셀을 나타내는 정보를 데이터 변환 회로(52)로부터 받아들여, 점등 셀 및 비점등 셀에 관련되는 표시 전극(X 및 Y)을 결정하고, 그 중 비점등 셀에 관련되는 표시 전극(X 및 Y)에 관한 데이터를 서스테인 회로(63 및 67)에 공급해도 된다.The driver control circuit 51 controls the application of the pulse voltage and the transfer of the subfield data Dsf. The power supply circuit 53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required portion in the unit. The driver control circuit 51 receive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lit cell and the non-lighted cell by the subfield data Dsf from the data conversion circuit 52, and displays the display associated with the lit cell and the non-lighted cell. The electrodes X and Y may be determined, and the data regarding the display electrodes X and Y related to the non-lighting cell may be supplied to the sustain circuits 63 and 67.

도 2는, PDP(10)의 전형예의 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PDP(10)는 1쌍의 기판 구체(構體)(유리 기판 위에 셀 구성요소를 설치한 구조체)(1OO 및 2O)로 이루어진다. 전면(前面) 측 유리 기판(11)의 내면에, n행 m열의 표시면(ES)의 각 행에 1쌍씩 표시 전극(X 및 Y)이 배치되어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표시 전극(X 및 Y)의 첨자(j)는 임의의 행의 위치를 나타내고, 어드레스 전극(A)의 첨자(i)는 임의의 열의 위치를 나타낸다. 표시 전극(X 및 Y)은, 면 방전 갭을 형성하는 투명 도전막(41)과 그 단연부(端緣部)에 겹쳐진 금속막(42)으로 이루어지고, 유전체(誘電體)층(17) 및 보호막(18)으로 피복되어 있다. 배면 측 유리 기판(21)의 내면에 1열에 1개씩 어드레스 전극(A)이 배열되고 있고, 이들 어드레스 전극(A)은 유전체층(24) 으로 피복되어 있다. 유전체층(24) 상에 방전 공간을 열마다 구획하는 격벽(29)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의 격벽의 패턴은 스트라이프 패턴이지만, 격자 형상이나, 지그재그형(미앤더(meander)) 또는 형상사다리꼴 형상이어도 되고, 본 발명이 격벽 형상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전체층(24)의 표면 및 격벽(29)의 측면을 피복하는 컬러 표시용 형광체층(28R, 28G 및 28B)은, 방전 가스가 발하는 자외선에 의해 국부적으로 여기(勵起)되어 발광한다. 도면 중의 이탤릭 문자(R, G, B)는 형광체의 발광 색을 나타낸다. 색 배열은 각 열의 셀을 동색(同色)으로 하는 R, G 및 B의 반복 패턴이다.2 shows a cell structure of a typical example of the PDP 10. The PDP 10 is composed of a pair of substrate spheres (structures in which cell components are provided on a glass substrate) 100 and 2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ide glass substrate 11, display electrodes X and Y are arrange | positioned one by one in each row of the display surface ES of n rows m columns. In this figure, the subscript j of the display electrodes X and Y represents the position of an arbitrary row, and the subscript i of the address electrode A represents the position of an arbitrary column. The display electrodes X and Y ar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41 forming a surface discharge gap and a metal film 42 superimposed on the edge thereof, and the dielectric layer 17. And a protective film 18. The address electrodes A are arranged one by one i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side glass substrate 21, and these address electrodes A are covered with the dielectric layer 24. A partition wall 29 is provided on the dielectric layer 24 to partition the discharge space for each column. Although the pattern of the partition of FIG. 2 is a stripe pattern, a grid | lattice form, a zigzag shape (meander), or a trapezoidal shape may be sufficient, an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a partition shape. The color display phosphor layers 28R, 28G, and 28B covering the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24 and the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29 are locally excited by the ultraviolet light emitted by the discharge gas and emit light. Italic letters R, G, and B in the figure indicate light emission colors of the phosphors. The color arrangement is a repeating pattern of R, G, and B in which the cells of each column are the same color.

1개의 픽처(화면)는 전형적으로는 1프레임 기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터레이스(interlace)형 주사에서는 1프레임이 2개의 필드로 구성되고,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형 주사에서는 1프레임이 1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PDP(10)에 의한 표시에서는, 2치(値)의 발광 제어에 의해 컬러 재현을 행하기 위하여, 전형적으로는 그와 같은 1 필드 기간의 입력 화상의 시계열의 1개의 필드(F)를 소정수(q)의 서브 필드(SF)로 분할한다. 전형적으로는, 각 필드(F)를 q개의 서브 필드(SF)의 집합으로 치환한다. 종종, 이들 서브 필드(SF)에 순차적으로 20, 21, 22,... 2q-1 등의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서브 필드(SF)의 표시 방전의 횟수를 설정한다. 서브 필드 단위의 발광/비발광의 조합에 의해 R, G 및 B의 각 색마다 N(=1+21 +22+...+2q-1)단계의 휘도설정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드 구성에 맞춰 필드 전송 주기인 필드 기간(Tf)을 q개의 서브 필드 기간(Tsf)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필드(SF)에 1개의 서브 필드 기간(Tsf)을 할당한다. 또한, 서브 필드 기간(Tsf)을,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TR), 어드레싱을 위한 어드레스 기간(TA), 및 발광을 위한 표시 기간(TS)으로 나눈다. 전형적으로는, 리셋 기간(TR) 및 어드레스 기간(TA)의 길이가 가중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것에 대해, 표시 기간(TS)에 있어서의 펄스 수는 가중치가 클수록 많고, 표시 기간(TS)의 길이는 가중치가 클수록 길다. 이 경우, 서브 필드 기간(Tsf)의 길이도, 해당하는 서브 필드(SF)의 가중치가 클수록 길다.One picture (picture) is typically composed of one frame period, one frame consists of two fields in interlace scanning, and one frame consists of one field in progressive scanning. It is. In the display by the PDP 10, in order to perform color reproduction by binary emission control, one field F of a time series of an input image of such one field period is typically a predetermined number. The data is divided into subfields SF of (q). Typically, each field F is replaced with a set of q subfields SF. Often, in order for the sub-fields (SF) 2 0, 1 2, 2 2, to give different weights, such as ... 2 q-1 and sets the number of times of display discharge in each subfield (SF). By the combination of light emission / non-emission in subfield units, luminance can be set in steps of N (= 1 + 2 1 +2 2 + ... + 2 q-1 ) for each color of R, G and B. In accordance with such a field configuration, the field period Tf, which is a field transfer period, is divided into q subfield periods Tsf, and one subfield period Tsf is assigned to each subfield SF. The subfield period Tsf is further divided into a reset period TR for initialization, an address period TA for addressing, and a display period TS for light emission. Typically, while the lengths of the reset period TR and the address period TA are constant regardless of the weight, the number of pulses in the display period TS increases as the weight increases, and the length of the display period TS The larger the weight, the longer.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subfield period Tsf also increases as the weight of the corresponding subfield SF increase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X 드라이버 회로(61), Y 드라이버 회로 (64) 및 A 드라이버 회로(68)의 출력 구동 전압 파형의 개략적인 구동 시퀸스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파형은 일례이며, 진폭, 극성 및 타이밍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3 illustrates a schematic drive sequence of the output drive voltage waveforms of the X driver circuit 61, the Y driver circuit 64, and the A driver circuit 6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waveform shown is an example, and can change various amplitude, polarity, and timing.

리셋 기간(TR), 어드레스 기간(TA) 및 서스테인 기간(TS)의 순서는, q개의 서브 필드(SF)에 있어서 동일하고, 구동 시퀸스는 서브 필드(SF)마다 반복된다. 각 서브 필드(SF)의 리셋 기간(TR)에 있어서는, 모든 표시 전극(X)에 대하여 부(負)극성의 펄스(Prx1)과 정(正)극성의 펄스(Prx2)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모든 표시 전극(Y)에 대하여 정극성의 펄스(Pry1)와 부극성의 펄스(Pry2)를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펄스(Prx1, Pry1 및 Pry2)는 미소(微小)방전이 발생하는 변화율로 진폭이 점증하는 램프 파형 또는 둔파 펄스이다. 최초에 인가되는 펄스(Prx1 및 Pry1)는, 전(前) 서브 필드(SF)에 있어서의 발광/비발광에 관계없이 모든 셀에 동일 극성의 적당한 벽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인가된다. 적절한 벽전하가 존재하는 셀 에 펄스(Prx2 및 Pry2)를 인가함으로써, 벽전압을 방전 개시 전압과 펄스 진폭의 차에 상당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셀에 가해지는 구동 전압은, 표시 전극(X 및 Y)에 인가되는 펄스의 진폭의 차를 나타내는 합성 전압이다.The order of the reset period TR, the address period TA, and the sustain period TS are the same in q subfields SF, and the driving sequence is repeated for each subfield SF. In the reset period TR of each subfield SF, the negative polarity pulse Prx1 and the positive polarity pulse Prx2 are sequentially applied to all the display electrodes X, The positive pulse Pry1 and the negative pulse Pry2 are sequentially applied to all the display electrodes Y. The pulses Prx1, Pry1, and Pry2 are ramp waveforms or obtuse pulses whose amplitude increases at a rate of change at which small discharges occur. The pulses Prx1 and Pry1 initially applied are applied to all cells to generate an appropriate wall voltage of the same polarity regardless of light emission / non-light emission in the previous subfield SF. By applying the pulses Prx2 and Pry2 to the cells with proper wall charges, the wall voltage can be adjusted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charge start voltage and the pulse amplitude. The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cell is a synthesized voltage indicating the difference in the amplitude of the pulses applied to the display electrodes X and Y.

어드레스 기간(TA)에 있어서는, 발광시키는 셀에만 발광 유지에 필요한 벽전하를 형성한다. 모든 표시 전극(X) 및 모든 표시 전극(Y)을 소정 전위로 바이어스한 상태에서, 행 선택 기간(1행 분의 스캔 시간)마다 선택 행에 대응한 표시 전극(Y)에 부극성의 스캔 펄스(-Vy)를 인가한다. 이 행 선택과 동시에 어드레스 방전을 발생시켜야 하는 선택 셀에 대응한 어드레스 전극(A)에만 어드레스 펄스(Va)를 인가한다. 즉, 선택 행(j)의 m열 분의 서브 필드 데이터(Dsf)에 의거하여 어드레스 전극(A1~Am)의 전위를 2치 제어한다. 선택 셀에서는 표시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A) 사이의 방전이 발생한다. 그 어드레스 방전이 트리거(trigger)가 되어, 그 후의 표시 전극(X-Y) 사이의 면 방전이 발생한다.In the address period TA, wall charges necessary for sustaining light emission are formed only in cells to emit light. Negative scan pulses are applied to the display electrodes Y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rows for every row selection period (scan time for one row) while all the display electrodes X and all the display electrodes Y are biased to a predetermined potential. Apply (-Vy). Simultaneously with this row selection, the address pulse Va is applied only to the address electrode 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cell which should generate the address discharge. That is, the potential of the address electrodes A 1 to A m is binary-controlled based on the sub-field data Dsf for m columns of the selection row j. In the selected cell, discharge between the display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A occurs. The address discharge triggers, and subsequent surface discharge occurs between the display electrodes XY.

서스테인 기간(TS)에 있어서는, 최초에 모든 표시 전극(Y)에 대하여 소정 극성(도면의 예에서는 정극성)의 서스테인 펄스(Ps)를 인가한다. 그 후, 표시 전극(X)과 표시 전극(Y)에 대하여 번갈아 서스테인 펄스(Ps)를 인가한다. 서스테인 펄스(Ps)의 진폭은 유지 전압(Vs)이다. 서스테인 펄스(Ps)의 인가에 의해, 소정의 벽전하가 잔존하는 셀에 있어서 면 방전이 발생한다. 서스테인 펄스(Ps)의 인가 횟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필드(SF)의 가중치에 대응한다. 또한, 서스테인 기간(TS) 전체에 걸쳐 불필요한 대향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드레스 전극(A)을 서스테인 펄스(Ps)와 동(同)극성의 전압(Vas)으로 바이어스한다.In the sustain period TS, a sustain pulse Ps of a predetermined polarity (positive polarity in the example in the drawing) is first applied to all the display electrodes Y. FIG. Thereafter, the sustain pulse Ps is applied to the display electrode X and the display electrode Y alternately. The amplitude of the sustain pulse Ps is the sustain voltage Vs. By application of the sustain pulse Ps, surface discharge occurs in a cell in which a predetermined wall charge remains. The number of times of applying the sustain pulse Ps corresponds to the weight of the subfield SF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counter discharge throughout the sustain period TS, the address electrode A is biased with the voltage Vas of the same polarity as the sustain pulse Ps.

도 2에 있어서, 1쌍의 표시 전극(Xj와 Yj)으로 형성되는 커패시터는 용량(C)을 갖는다. 도 1의 서스테인 회로(63 및 67)에 의해 1쌍의 표시 전극(Xj와 Yj) 사이에 도 3의 2개의 계열의 서스테인 펄스(Ps)의 전압(Vs)이 인가된다.In FIG. 2, a capacitor formed of a pair of display electrodes Xj and Yj has a capacitor C. In FIG. The sustain circuits 63 and 67 of FIG. 1 apply the voltage Vs of the two series sustain pulses Ps of FIG. 3 between the pair of display electrodes Xj and Yj.

도 4의 (a)는, 서스테인 회로(63 및 67)에 있어서, 전압(Vs=V)의 전압원(V)에 의해 표시 전극(Xj와 Yj)의 용량(C)에 전하(q=CV)가 축적될 때의 1행(1라인)에서의 저항(R)에 있어서의 에너지 손실을 설명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전압원(V)으로부터 공급되는 전하는 q=CV이고,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E)는 CV2이고, 용량(C)에 축적되는 전기적 에너지는 E=CV2/2이며,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의 1/2이 저항(R)에 의해 소비되어 없어진다.4A shows charge (q = CV) in the capacitor C of the display electrodes Xj and Yj by the voltage source V of the voltage Vs = V in the sustain circuits 63 and 67. It is helpful to explain the energy loss in the resistance R in one row (one line) when is accumulated. And the charge supplied from the voltage source (V) q = CV, the energy (E)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CV 2, and the capacity of electric energy accumulated in the (C) is E = CV 2/2, and the electrical energy supplied 1 / 2 is consumed by the resistor R and disappears.

도 4의 (b)는, 공진 인덕터(L)를 갖는 종래의 개선된 서스테인 회로에 있어서, 전압(Vs=V/2)의 전압원(V/2)에 의해 공진 인덕터(L)를 통하여 표시 전극(Xj와 Yj)의 용량(C)에 전하(q=CV)가 축적될 때의 저항(R)에 있어서의 에너지 손실을 설명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공진 인덕터(L)와 용량(C)은 공진 회로를 형성하고, 저항(R)에 있어서의 에너지 손실은 CV2/2보다 충분히 작다.4B shows the display electrode through the resonant inductor L by the voltage source V / 2 of the voltage Vs = V / 2 in the conventional improved sustain circuit having the resonant inductor L. FIG. It is helpful to explain the energy loss in the resistance R when the charge q = CV is accumulated in the capacitance C of (Xj and Yj). Resonant inductor (L) and a capacitor (C) forms a resonant circuit, and energy loss in the resistance (R) is sufficiently smaller than the CV 2/2.

도 5의 (a)는, 서스테인 회로(63 및 67)에 사용되는, 전기적 에너지 회수, 즉 전력 회수 기능을 갖는 종래의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b)는, 펄스 인가시의 도 5의 (a)의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0)를 사용했을 때의 표시 전극 커패시터(용량)(C)의 양단(兩端) 간의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FIG. 5A shows a conventional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0 having electrical energy recovery, that is, a power recovery function, used for the sustain circuits 63 and 67. FIG. 5B shows a voltage between both ends of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apacitance) C when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0 of FIG. 5A is used when a pulse is applied. The change is shown.

도 5의 (a)에 있어서,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2)는, 한쪽 표시 전극이 접지되어 큰 용량을 갖는 전력 회수 커패시터(Cr)와, 커패시터(Cr)에 직렬로 각각의 한쪽 단자가 결합되어 스위치(SW1 및 SW2)를 각각 통하여 서로 반대 극성으로 병렬로 결합된 다이오드(D1 및 D2)와, 다이오드(D1 및 D2)의 다른 단자의 접속점에 한 단자가 결합되어 다른 단자가 용량(C)의 1쌍 또는 복수 쌍의 표시 전극의 각 쌍의 한쪽 전극에 결합된 공진 인덕터(L)와, 공진 인덕터(L)의 다른 단자와 그 표시 전극의 각 쌍의 한쪽 전극과의 접속점에 스위치(SW4)를 통하여 소정 전압(V)의 정(定)전압원(V)을 결합하고 그 접속점을 스위치(SW5)를 통하여 접지점(GND)에 결합하는 클램프 회로(14)를 포함하고 있다.In FIG. 5A,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2 includes a power recovery capacitor Cr having a large capacitance with one display electrode grounded, and one terminal thereof in series with the capacitor Cr.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diodes D1 and D2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opposite polarity through the switches SW1 and SW2, respectively, and the other terminals of the capacitors C Switch at a connection point between a resonant inductor L coupled to one electrode of each pair of display electrodes of one pair or a plurality of pairs, the other terminal of the resonant inductor L, and one electrode of each pair of display electrodes thereof. A clamp circuit 14 is coupled to couple the positive voltage source V of the predetermined voltage V through SW4 and couple its connection point to the ground point GND via the switch SW5.

도 5의 (a)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최초에 커패시터(Cr)에 전압(V/2)의 전하가 축적되어 있고, 표시 전극 커패시터(C)에는 전하가 축적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펄스(P)의 상승기간의 개시에 있어서, 스위치(SW1)가 턴온되면, 커패시터(Cr)로부터 스위치(SW1)와 공진 인덕터(L)를 통하여 표시 전극 커패시터(C)에 공급 전류가 흐르고, 전하(q~CV)가 커패시터(C)에 축적되어, 커패시터(C)의 전압이 상승하고, 펄스(P)의 상승이 형성된다. 커패시터(C)의 전압이 거의 피크 전압에 도달했을 때, 클램프 회로(14)의 스위치(SW4)가 턴온된다. 또한, 다이오드(D1)에 의해 상기 공급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SW1)는, 상기 피크 전압으로의 도달 후부터 스위치(SW4)의 턴오프 타이밍까지의 기간 동안 임의의 타이밍에서 턴오프된다. 또한, 상기 피크 전압은 전압(V)보다 약간 낮다. 클램프 기간에 있어서, 클램프 회로(14)의 전압원은, 커패시터(C)의 전압을 전압(V)으로 클램프하고, 표시 전극 커패시터(C)의 전압을 전압(V)으로 유지한다. 그 후, 스위치(SW4)가 턴오프된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charges of the voltage V / 2 are initially stored in the capacitor Cr, and charges are not accumulated in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 FIG. Shall be. At the start of the rise period of the pulse P, when the switch SW1 is turned on, a supply current flows from the capacitor Cr to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 through the switch SW1 and the resonant inductor L, and the charge (q to CV) is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C,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 rises, and a rise of the pulse P is formed. When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 has almost reached the peak voltage, the switch SW4 of the clamp circuit 14 is turned on. In addition, no current flow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ly current by the diode D1. Thus, the switch SW1 is turned off at any timing for a period from reaching the peak voltage until the turn-off timing of the switch SW4. In addition, the peak voltage is slightly lower than the voltage (V). In the clamp period, the voltage source of the clamp circuit 14 clamps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 to the voltage V, and maintains the voltage of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 to the voltage V. FIG. After that, the switch SW4 is turned off.

펄스(P)의 하강기간의 개시에 있어서, 스위치(SW2)가 턴온되면, 커패시터(C)로부터 스위치(SW2)와 공진 인덕터(L)를 통하여 회수 커패시터(Cr)에 환류 전류가 흐르고, 전하(q~CV)가 커패시터(Cr)에 추가적으로 축적되어, 커패시터(C)의 전압이 하강하고, 펄스(P)의 하강이 형성된다. 커패시터(C)의 전압이 부(負) 방향의 피크 전압에 거의 도달했을 때, 스위치(SW5)가 턴온된다. 그 피크 전압은 접지 전위(0V)보다 약간 높다. 하강기간에 있어서, 클램프 회로(14)의 접지점(GND)은, 커패시터(C)의 전압을 접지 전위(OV)로 클램프하고, 표시 커패시터(C)의 전압을 접지 전위(0V)로 유지한다. 또한, 다이오드(D2)에 의해 상기 환류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SW2)는, 상기 피크 전압으로의 도달 후부터 스위치(SW5)의 턴오프 타이밍까지의 기간 동안 임의의 타이밍에서 턴오프된다. 그 후, 스위치(SW5)가 턴오프된다.At the start of the falling period of the pulse P, when the switch SW2 is turned on, a reflux current flows from the capacitor C to the recovery capacitor Cr through the switch SW2 and the resonant inductor L, and the charge ( q to CV are additionally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Cr, so that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 drops, and a drop of the pulse P is formed. When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 has almost reached the peak voltage in the negative direction, the switch SW5 is turned on. Its peak voltage is slightly above ground potential (0V). In the falling period, the ground point GND of the clamp circuit 14 clamps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 to the ground potential OV and maintains the voltage of the display capacitor C at the ground potential 0V. In addition, no current flow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lux current by the diode D2. Therefore, the switch SW2 is turned off at any timing for a period from reaching the peak voltage until the turn-off timing of the switch SW5. After that, the switch SW5 is turned off.

이와 같이 하여, 커패시터(Cr)로부터 커패시터(C)에 공급된 전하, 즉 전력의 대부분이 회수된다. 클램프 회로(14)는 커패시터(C)의 전압을 소정 전압(V)이 되도록 보상한다. 이렇게 펄스(P)의 파형이 상승 및 하강에 관하여 대칭인 경우에는, 커패시터(C)에 공급된 전력이 충분히 회수된다.In this way, most of the electric charge, that is,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capacitor Cr to the capacitor C is recovered. The clamp circuit 14 compensates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 to be a predetermined voltage (V). In this way, when the waveform of the pulse P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ising and fa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capacitor C is sufficiently recovered.

도 6은, 자주 사용되는 서스테인 펄스 전압의 개략적인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 파형은, 펄스의 상승(PR)에 있어서, 표시 전극 간의 전압이, 접지 전 위(0V)로부터 거의 전위(Vs+Vo)로 상승하고, 클램프 기간(PCL1)에 있어서 전위(Vs+Vo)로 유지되며, 방전 하강(PF1)에 있어서 전위(Vs+Vo)로부터 전위(Vs)로 저하하고, 클램프 기간(PCL2)에 있어서 전위(Vs)로 유지되고, 펄스의 하강(PF2)에 있어서 전위(Vs)로부터 거의 접지 전위(0V)로 하강하고, 클램프 기간(PCL3)에 있어서 접지 전위(0V)로 유지된다. 전압(Vs)=전압(Vo)이어도 된다.6 shows a schematic waveform of a sustain pulse voltage which is frequently used. In the waveform, when the pulse PR rises, the voltage between the display electrodes increases from the ground potential (0V) to almost the potential (Vs + Vo), and the potential (Vs + Vo) in the clamp period PCL1. Is maintained at, the potential is lowered from the potential (Vs + Vo) to the potential (Vs) in the discharge drop (PF1), maintained at the potential (Vs) in the clamp period (PCL2), and the potential at the drop (PF2) of the pulse. It falls to almost ground potential (0V) from (Vs), and is maintained at ground potential (0V) in clamp period PCL3. The voltage Vs may be a voltage Vo.

도 5의 (a)의 전력 회수 회로(12)에 있어서, 도 6과 같은 파형의 펄스가 사용되면, 펄스의 상승에서 커패시터(Cr)로부터 커패시터(C)에 공급되는 전하보다, 펄스의 하강에서 커패시터(C)로부터 커패시터(Cr)에 회수되는 전하가 대폭 적고, 전력 회수 커패시터(Cr)에 축적되는 전하의 전압이 V/2로부터 서서히 정극(正極) 방향으로 어긋난다. 따라서, 도 6의 파형의 펄스에 대하여, 도 5의 전력 회수 회로(12)는 사용할 수 없다. 대체 구성으로서, 접지 전위(GND)와 전위(Vs) 사이에서 표시 전극 커패시터(C)에 공급된 전력의 일부만을 회수하도록 도 5의 (a)의 회로를 변형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전력의 회수가 충분하지 않다.In the power recovery circuit 12 of FIG. 5A, when a pulse having a waveform as shown in FIG. 6 is used, at the falling of the pulse, rather than the charge supplied from the capacitor Cr to the capacitor C at the rising of the pulse. The charge collected from the capacitor C to the capacitor Cr is significantly small, and the voltage of the charge stored in the power recovery capacitor Cr gradually shifts from V / 2 toward the positive electrode. Therefore, the power recovery circuit 12 of FIG. 5 cannot be used for the pulse of the waveform of FIG. As an alternative arrangement, the circuit of Fig. 5A may be modified to recover only a portion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 between the ground potential GND and the potential Vs. However, the recovery of power is not enough.

펄스의 상승에서 커패시터(Cr)로부터 공급된 전하의 대부분이, 커패시터(Cr)에 회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st of the electric charge supplied from the capacitor Cr at the rise of the pulse is preferably recovered to the capacitor Cr.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용량(Cp)을 갖는 1쌍 또는 복수 쌍의 표시 전극(X 및 Y)에 펄스 전압을 인가하는 펄스 전압 인가 회로(602)를 나타내고 있다. 펄스 전압 인가 회로(602)는, 1쌍의 펄스(P1 및 P2)의 상승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하고 회수하는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10)와, 1쌍의 펄스(P1 및 P2)의 최후의 하강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하고 회수하는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20)와, 표시 전극(X 및 Y) 사이의 전압을 소정 전압으로 클램프하는 클램프 회로(140)와,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10 및 120) 및 클램프 회로(140)에 있어서의 스위치(SW11∼SW45)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 회로(604)를 포함하고 있다. 펄스 전압 인가 회로(602)는, 1쌍의 펄스(P1 및 P2)의 최초 하강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하고 회수하는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30)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스위치(SW11∼SW45)는 트랜지스터여도 된다.FIG. 7 shows a puls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602 for applying a pulse voltage to a pair or a plurality of pairs of display electrodes X and Y having a capacitor C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s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602 includes a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10 for supplying and recovering power when the pair of pulses P1 and P2 rises, and the last of the pair of pulses P1 and P2. A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20 for supplying and recovering electric power in the fall of the circuit, a clamp circuit 140 for clamping the voltage between the display electrodes X and Y to a predetermined voltage, and a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A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604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es SW11 to SW45 in the 110 and 120 and the clamp circuit 140 is included. The puls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602 may further include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30 for supplying and recovering electric power in the initial drop of the pair of pulses P1 and P2. The switches SW11 to SW45 may be transistors.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DP(10)의 표시 전극 간의 용량(Cp)에 인가되는 주기적 펄스 중 1쌍의 펄스(P1 및 P2)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SW11∼SW45)를 제어하기 위한 도 7의 제어 신호 발생 회로(604)의 제어 신호(CSW11∼CSW45)의 온/오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FIG. 8A shows waveforms of a pair of pulses P1 and P2 among the periodic pulses applied to the capacitor Cp between the display electrodes of the PDP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shows on / off of the control signals C SW11 to C SW45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604 of FIG. 7 for controlling the switches SW11 to SW4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e state of.

도 7의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10 및 120)에서는, 회수 커패시터(Cr1)를 사용하여 1쌍의 펄스(P1 및 P2)의 한쪽 상승 부분에서 전력을 공급하고 그 다른 쪽 상승 부분에서 전력을 회수하며, 회수 커패시터(Cr2)를 사용하여 1쌍의 펄스의 한쪽 하강 부분에서 전력을 공급하고 그 다른 쪽 하강 부분에서 전력을 회수하도록 동작한다.In the pulsed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s 110 and 120 of FIG. 7, the recovery capacitor Cr1 is used to supply power at one rising portion of the pair of pulses P1 and P2 and to draw the power at the other rising portion. And recovers power at one falling portion of the pair of pulses and recovers the power at the other falling portion using the recovery capacitor Cr2.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10)는, 한 단자가 스위치(SW11)를 통하여 접지점(GND)에 결합되고 다른 단자가 스위치(SW12)를 통하여 정전압원(Vs+Vo)에 결합된 전력 회수 커패시터(Cr1)와, 커패시터(Cr1)의 한 단자와 스위치(SW12)의 접속점 에 스위치(SW13)를 통하여 애노드(anode)(양극)가 결합된 다이오드(D11)와, 커패시터(Cr1)의 다른 단자와 스위치(SW11)의 접속점에 스위치(SW14)를 통하여 애노드가 결합된 다이오드(D12)와, 다이오드(D11 및 D12)의 캐소드(cathode)(음극)의 접속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용량(Cp)의 1쌍 또는 복수 쌍의 표시 전극(X 및 Y)의 각 쌍 중 한쪽(X 또는 Y)의 표시 전극에 다른 단자가 결합된 공진 인덕터(L1)를 포함하고 있다.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10 includes a power recovery capacitor having one terminal coupled to the ground point GND through the switch SW11 and the other terminal coupled to the constant voltage source Vs + Vo through the switch SW12. Cr1), diode D11 having an anode (anode) coupled via switch SW13 to one terminal of capacitor Cr1 and switch SW12, and another terminal and switch of capacitor Cr1. One terminal is coupled to a connection point of a diode D12 having an anode coupled to a connection point of SW11 through a switch SW14, and a cathode (cathode) of the diodes D11 and D12 and connected to 1 of the capacitance Cp. The resonant inductor L1 having the other terminal coupled to the display electrode of one (X or Y) of each pair of the pair or plural pairs of display electrodes X and Y is included.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20)는, 한 단자가 스위치(SW21)를 통하여 정전압원(Vs)에 결합되고 다른 단자가 스위치(SW22)를 통하여 접지점(GND)에 결합된 전력 회수 커패시터(Cr2)와, 커패시터(Cr2)의 한 단자와 스위치(SW22)의 접속점에 스위치(SW23)를 통하여 캐소드가 결합된 다이오드(D21)와, 커패시터(Cr2)의 다른 단자와 스위치(SW21)의 접속점에 스위치(SW24)를 통하여 캐소드가 결합된 다이오드(D22)와, 다이오드(D21 및 D22)의 애노드의 접속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용량(Cp)의 1쌍 또는 복수 쌍의 표시 전극(X 및 Y)의 각 쌍의 한쪽에 다른 단자가 결합된 공진 인덕터(L2)를 포함하고 있다.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20 has a power recovery capacitor Cr2 having one terminal coupled to the constant voltage source Vs through the switch SW21 and the other terminal coupled to the ground point GND through the switch SW22. And a switch (D21) having a cathode coupl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one terminal of the capacitor Cr2 and the switch SW22 via the switch SW23, and a connection point of the switch (SW21)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capacitor Cr2.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diode D22 having the cathode coupled to the diode D21 and the anode of the diodes D21 and D22 via SW24, and each of the pair of display electrodes X and Y of the capacitor Cp is connected. One side of the pair includes a resonant inductor L2 having the other terminal coupled thereto.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30)는, 한 단자가 스위치(SW31)를 통하여 정전압원(Vs+Vo)에 결합되고 다른 단자가 스위치(SW22)를 통하여 정전압원(Vs)에 결합된 전력 회수 커패시터(Cr3)와, 커패시터(Cr3)의 한 단자와 스위치(SW32)의 접속점에 스위치(SW33)를 통하여 캐소드가 결합된 다이오드(D31)와, 커패시터(Cr3)의 다른 단자와 스위치(SW31)의 접속점에 스위치(SW34)를 통하여 캐소드가 결합된 다이오드(D32)와, 다이오드(D31 및 D32)의 애노드의 접속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용 량(Cp)의 표시 전극(X 및 Y)의 각 쌍의 한쪽에 다른 단자가 결합된 공진 인덕터(L3)를 포함하고 있다.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30 has a power recovery capacitor in which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constant voltage source Vs + Vo through the switch SW31 and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the constant voltage source Vs through the switch SW22. (Cr3), the diode D31 having a cathode coupl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one terminal of the capacitor Cr3 and the switch SW32 through the switch SW33,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witch SW31 with the other terminal of the capacitor Cr3. A terminal is coupled to a junction point of a diode D32 having a cathode coupled thereto via a switch SW34, and an anode of diodes D31 and D32, and each pair of display electrodes X and Y of the capacity Cp is connected. It includes a resonant inductor (L3) coupled to the other terminal on one side.

클램프 회로(140)는, 공진 인덕터(L1, L2 및 L3)의 접속점과 그 한쪽의 표시 전극과의 접속점에 스위치(SW41)를 통하여 결합되는 소정 전압(Vs+Vo)의 정전압원과, 그 접속점에 스위치(SW42)를 통하여 결합되는 소정 전압(Vs)의 정전압원과, 그 접속점에 스위치(SW45)를 통하여 결합되는 접지점(GND)을 포함하고 있다.The clamp circuit 140 includes a constant voltage source of a predetermined voltage (Vs + Vo) coupled through a switch SW41 to a connection point of the resonant inductors L1, L2, and L3 and one display electrode thereof, and the connection point thereof. And a constant voltage source of a predetermined voltage Vs coupled through the switch SW42, and a ground point GND coupled through the switch SW45 to its connection point.

동작을 설명하면, 도 6의 (a)의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2)에 있어서, 도 1의 표시 장치(60)의 전원을 투입하여 커패시터(Cr1 및 Cr2)가 충방전을 반복한 후의 정상동작 상태에 있어서, 커패시터(Cr1)에 대략 전압((Vs+Vo)/2)의 전하가 축적되어 있고, 커패시터(Cr2)에 전압(Vs/2)의 전하가 축적되어 있어, 표시 전극 커패시터(Cp)에는 전하가 축적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커패시터(Cr1 및 Cr2)는 커패시터(Cp)보다 충분히 큰 용량을 갖는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in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2 of FIG. 6A, after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60 of FIG. 1 is turned on, the capacitors Cr1 and Cr2 repeat charging and discharging. In the normal operating state, the charge of the voltage (Vs + Vo) / 2 is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Cr1, and the charge of the voltage Vs / 2 is stored in the capacitor Cr2. It is assumed that no charge is accumulated in (Cp). Capacitors Cr1 and Cr2 have a sufficiently large capacitance than capacitor Cp.

펄스(P1)의 상승기간(PR)에 있어서, 제어 신호 발생 회로(604)로부터의 제어 신호(CSW11 및 CSW13)에 따라 스위치(SW11 및 SW13)가 턴온되면, 커패시터(Cr1)로부터 경로 1을 형성하는 스위치(SW13), 다이오드(D11) 및 공진 인덕터(L1)를 통하여 표시 전극 커패시터(Cp)에 전류가 흐르고, 커패시터(Cr1)의 양단 간의 전압이 약간 저하하고, 펄스(P1)의 상승이 형성된다. 커패시터(Cp)의 전압이 피크 전위(Vp1)에 도달했을 때, 제어 신호(CSW41)에 따라 클램프 회로(140)의 스위치(SW41)가 턴온된다. 또한, 다이오드(D11)에 의해 상기 공급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 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SW11 및 SW13)는, 상기 피크 전압으로의 도달 후부터 스위치(SW41)의 턴오프 타이밍까지의 기간 동안 임의의 타이밍에서 턴오프된다. 그 피크 전압(Vp1)은 Vs+Vo보다 약간 낮다. 이 상승기간(PR)에 있어서, 커패시터(Cr1)로부터 전하(q~Cr1(Vs+Vo)/2), 즉 전력이 커패시터(Cp)에 공급된다. 클램프 기간(PCL1)에 있어서, 클램프 회로(140)의 전압원(Vs+Vo)은, 커패시터(Cp)의 전압을 전압(Vs+Vo)으로 클램프하고, 표시 전극 커패시터(Cp)를 전위(Vs+Vo)로 유지한다. 그 후, 제어 신호(CSW41)에 따라 스위치(SW41)가 턴오프된다. 펄스(P1)의 최초 하강기간(PF1)에 있어서, 제어 신호(CSW42)에 따라 스위치(SW42)가 턴온되어, 펄스(P1), 즉 커패시터(Cp)의 전압은 전압(Vs)으로 하강한다. 그 후의 펄스(P1)의 최후의 하강기간(PF2)에 있어서, 펄스(P1), 즉 커패시터(Cp)의 전압은 접지 전위(GND)로 하강한다.In the rising period PR of the pulse P1, when the switches SW11 and SW13 ar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s C SW11 and C SW13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circuit 604, the path 1 from the capacitor Cr1 is route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p through the switch SW13, the diode D11, and the resonant inductor L1 forming a voltage, the voltage between both ends of the capacitor Cr1 decreases slightly, and the pulse P1 rises. Is formed. When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p reaches the peak potential Vp1, the switch SW41 of the clamp circuit 140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C SW41 . In addition, no current flow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ly current by the diode D11. Thus, the switches SW11 and SW13 are turned off at any timing for a period from reaching the peak voltage until the turn-off timing of the switch SW41. The peak voltage Vp1 is slightly lower than Vs + Vo. In this rising period PR, charges q to Cr r (Vs + Vo) / 2, that is, electric power, are supplied from the capacitor Cr1 to the capacitor Cp. In the clamp period PCL1, the voltage source Vs + Vo of the clamp circuit 140 clamps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p to the voltage Vs + Vo, and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p to the potential Vs +. Vo). After that, the switch (SW41) is turned off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C SW41). In the first falling period (PF1) of the pulse (P1), switch (SW42)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C SW42) is turned on, the voltage of the pulse (P1), i.e., the capacitor (Cp) is lowered to a voltage (Vs) . In the last falling period PF2 of the subsequent pulse P1, the voltage of the pulse P1, that is, the capacitor Cp, drops to the ground potential GND.

펄스(P2)의 상승기간(PR)에 있어서, 제어 신호 발생 회로(604)로부터의 제어 신호(CSW12 및 CSW14)에 따라 스위치(SW12 및 SW14)가 턴온되면, 커패시터(Cr1)로부터, 경로 2를 형성하는 스위치(SW14), 다이오드(D12) 및 공진 인덕터(L1)를 통하여 표시 전극 커패시터(Cp)에 전류가 흐르고, 커패시터(Cr1)의 양단 간의 전압이 약간 상승하고, 펄스(P2)의 상승이 형성된다. 커패시터(Cp)의 전압이 피크 전위(Vp1)에 도달했을 때, 제어 신호(CSW41)에 따라 클램프 회로(140)의 스위치(SW41)가 턴온된다. 또한, 다이오드(D12)에 의해 상기 공급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SW12 및 SW14)는, 상기 피크 전압으로의 도달 후부터 스위치(SW41)의 턴오프 타이밍까지의 기간 동안 임의의 타이밍에서 턴오프된다. 이 상승기간(PR)에 있어서 커패시터(Cp)로부터 커패시터(Cr1)에 전하(q~Cr1(Vs+Vo)/2), 즉 전력이 회수된다. 클램프 기간(PCL1)에 있어서, 클램프 회로(140)의 전압원(Vs+Vo)은, 커패시터(Cp)의 전압을 전위(Vs+Vo)로 클램프하고, 표시 전극 커패시터(Cp)는 전위(Vs+Vo)를 유지한다. 그 후, 제어 신호(CSW41)에 따라 스위치(SW41)가 턴오프된다. 펄스(P2)의 최초 하강기간(PF1)에 있어서, 제어 신호(CSW42)에 따라 스위치(SW42)가 턴온되고, 펄스(P2), 즉 커패시터(Cp)의 전압은 전압(Vs)으로 하강한다. 그 후의 펄스(P2)의 최후의 하강기간(PF2)에 있어서, 펄스(P1), 즉 커패시터(Cp)의 전압은 접지 전위(GND)로 하강한다.In the rising period PR of the pulse P2, when the switches SW12 and SW14 ar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s C SW12 and C SW14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circuit 604, the path from the capacitor Cr1 is route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p through the switch SW14, the diode D12, and the resonant inductor L1 forming two, and the voltage between both ends of the capacitor Cr1 slightly increases, A rise is formed. When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p reaches the peak potential Vp1, the switch SW41 of the clamp circuit 140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C SW41 . In addition, no current flow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ly current by the diode D12. Thus, the switches SW12 and SW14 are turned off at any timing for a period from reaching the peak voltage until the turn-off timing of the switch SW41. In this rising period PR, the charges q to Cr r (Vs + Vo) / 2, that is, power, are recovered from the capacitor Cp to the capacitor Cr1. In the clamp period PCL1, the voltage source Vs + Vo of the clamp circuit 140 clamps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p to the potential Vs + Vo, and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p is the potential Vs +. Vo). After that, the switch (SW41) is turned off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C SW41). In the initial falling period PF1 of the pulse P2, the switch SW42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CSW42 , and the voltage of the pulse P2, that is, the capacitor Cp, drops to the voltage Vs. . In the last falling period PF2 of the subsequent pulse P2, the voltage of the pulse P1, that is, the capacitor Cp, drops to the ground potential GND.

펄스(P1)의 접지 전위(GND)로의 최후의 하강기간(PF2)에 있어서, 제어 신호(CSW21 및 CSW23)에 따라 스위치(SW21 및 SW23)가 턴온되면, 표시 전극 커패시터 (Cp)로부터, 경로 1을 형성하는 스위치(SW23), 다이오드(D21) 및 공진 인덕터(L2)를 통하여 커패시터(Cr2)에 전류가 흐르고, 커패시터(Cr2)의 양단 간의 전압이 약간 저하하고, 펄스(P1)의 최후의 하강이 형성된다. 커패시터(Cp)의 전압이 피크 전위(Vp3)에 도달했을 때, 제어 신호(CSW45)에 따라 클램프 회로(140)의 스위치(SW45)가 턴온된다. 또한, 다이오드(D21)에 의해 상기 공급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SW21 및 SW23)는, 상기 피크 전압으 로의 도달 후부터 스위치(SW45)의 턴오프 타이밍까지의 기간 동안 임의의 타이밍에서 턴오프된다. 그 피크 전압(Vp3)은 전위(GND)보다 약간 높다. 이 하강기간(PF2)에 있어서, 커패시터(Cr2)로부터 전하(q~Cr2Vs/2), 즉 전력이 커패시터(Cp)에 공급된다. 클램프 기간(PCL2)에 있어서, 클램프 회로(140)의 접지 전위(GND)는, 커패시터(Cp)의 전압을 전위(GND)(0V)로 클램프하고, 표시 전극 커패시터(Cp)를 접지 전위(GND)로 유지한다. 그 후, 제어 신호(CSW45)에 따라 스위치(SW45)가 턴오프된다.In the last falling period PF2 of the pulse P1 to the ground potential GND, when the switches SW21 and SW23 ar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s C SW21 and C SW23 , from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p, A current flows in the capacitor Cr2 through the switch SW23, the diode D21, and the resonant inductor L2 forming the path 1, the voltage between both ends of the capacitor Cr2 decreases slightly, and the end of the pulse P1. Of descent is formed. When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p reaches the peak potential Vp3, the switch SW45 of the clamp circuit 140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C SW45 . In addition, no current flow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ly current by the diode D21. Thus, the switches SW21 and SW23 are turned off at any timing for a period from reaching the peak voltage until the turn-off timing of the switch SW45. The peak voltage Vp3 is slightly higher than the potential GND. In this falling period PF2, the charge q-C r2 Vs / 2, that is, electric power is supplied from the capacitor Cr2 to the capacitor Cp. In the clamp period PCL2, the ground potential GND of the clamp circuit 140 clamps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p to the potential GND (0V), and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p to the ground potential GND. Keep). After that, the switch (SW45) is turned off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C SW45).

펄스(P2)의 접지 전위(GND)로의 최후의 하강기간(PF2)에 있어서, 제어 신호(CSW22 및 CSW24)에 따라 스위치(SW22 및 SW24)가 턴온되면, 표시 전극 커패시터(Cp)로부터, 경로 2를 형성하는 스위치(SW24), 다이오드(D22) 및 공진 인덕터(L2)를 통하여 커패시터(Cr2)에 전류가 흐르고, 커패시터(Cr)의 양단 간의 전압이 약간 상승하고, 펄스(P2)의 최후의 하강이 형성된다. 커패시터(Cp)의 전압이 피크 전위(Vp3)에 도달했을 때, 제어 신호(CSW45)에 따라 클램프 회로(140)의 스위치(SW45)가 턴온된다. 또한, 다이오드(D22)에 의해 상기 공급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SW22 및 SW24)는, 상기 피크 전압으로의 도달 후부터 스위치(SW45)의 턴오프 타이밍까지의 기간 동안 임의의 타이밍에서 턴오프된다. 이 하강기간(PF2)에 있어서 커패시터(Cp)로부터 커패시터(Cr2)에 전하(q~Cr2Vs/2), 즉 전력이 회수된다. 클램프 기간(PCL2)에 있어서, 클램프 회 로(140)의 전위(GND)는, 커패시터(Cp)의 전압을 접지 전위(GND)로 클램프하고, 표시 전극 커패시터(Cp)를 접지 전위(GND)로 유지한다. 그 후, 제어 신호(CSW45)에 따라 스위치(SW45)가 턴오프된다.In the last falling period PF2 of the pulse P2 to the ground potential GND, when the switches SW22 and SW24 ar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s C SW22 and C SW24 , from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p, A current flows in the capacitor Cr2 through the switch SW24, the diode D22, and the resonant inductor L2 forming the path 2, the voltage between both ends of the capacitor Cr rises slightly, and the end of the pulse P2. Of descent is formed. When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p reaches the peak potential Vp3, the switch SW45 of the clamp circuit 140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C SW45 . In addition, no current flow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ly current by the diode D22. Thus, the switches SW22 and SW24 are turned off at any timing for a period from reaching the peak voltage until the turn-off timing of the switch SW45. This from the capacitor (Cp) in a falling period (PF2) in the capacitor (Cr2) charge (q ~ C r2 Vs / 2 ), i.e. the power is recovered. In the clamp period PCL2, the potential GND of the clamp circuit 140 clamps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p to the ground potential GND, and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p to the ground potential GND. Keep it. After that, the switch (SW45) is turned off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C SW45).

상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제어 회로(51)는, 비점등 셀에 관련되는 표시 전극(X 및 Y)에 관한 데이터를 서스테인 회로(63 및 67)에 공급하고, 서스테인 펄스의 최초 방전의 하강기간(PF1)에 있어서 그 비점등 셀에 관련되는 표시 전극(X 및 Y) 사이의 용량(Cp)에 대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공급하고 회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30)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제어 신호 발생 회로(604)는, 서스테인 기간에 있어서, 저부하 시, 즉 표시 전극의 셀 총수 중 소정 비율, 예를 들면 2분의 1 보다 많은 셀이 발광하지 않는, 즉 그 어드레스 방전이 행하여지지 않는 행의 표시 전극에만, 커패시터(Cr3)로부터 인가전압을 가하도록 스위치(SW31~SW42)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당연히, 표시 부하에 관계없이 서스테인 펄스의 최초 방전의 하강기간(PF1)에 있어서 전기적 에너지를 전(全) 라인에서 일괄하여 공급하고 회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30)가 설치되어 있고, 전(全) 표시 전극에 커패시터(Cr3)로부터 인가전압을 가하도록 스위치(SW31~SW42)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커패시터(Cr3)에 전압(Vo/2)의 전하가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er control circuit 51 supplies data concerning the display electrodes X and Y associated with the non-lighting cell to the sustain circuits 63 and 67, and the falling period of the initial discharge of the sustain pulse ( In PF1, electrical energy may be supplied to and recovered from the capacitance Cp between the display electrodes X and Y associated with the non-lighting cell. In this case, when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30 is provided,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604 is in a sustain period during a low load, that is,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total number of cells of the display electrode, for example, two. The control signals are supplied to the switches SW31 to SW42 so as to apply an applied voltage from the capacitor Cr3 only to the display electrodes of the rows in which more than a quarter of the cells do not emit light, that is, the address discharge is not performed. As a matter of course, the electrical energy may be collectively supplied and recovered from all the lines in the falling period PF1 of the initial discharge of the sustain pulse regardless of the display load. In this case, a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30 is provided, and a control signal is supplied to the switches SW31 to SW42 so as to apply an applied voltage from the capacitor Cr3 to all the display electrodes. It is assumed that the charge of the voltage Vo / 2 is stored in the capacitor Cr3.

펄스(P1)의 전위(Vs)로의 최초 하강기간(PF1)에 있어서, 제어 신호(CSW31 및 CSW33)에 따라 스위치(SW31 및 SW33)가 턴온되면, 표시 전극 커패시터(Cp)로부터, 경 로 1을 형성하는 스위치(SW33), 다이오드(D31) 및 공진 인덕터(L3)를 통하여 커패시터(Cr3)에 전류가 흐르고, 커패시터(Cr3)의 양단 간의 전압이 약간 저하하고, 펄스(P1)의 최초 하강이 형성된다. 커패시터(Cp)의 전압이 피크 전위(Vp2)에 도달했을 때, 제어 신호(CSW42)에 따라 클램프 회로(140)의 스위치(SW42)가 턴온된다. 또한, 다이오드(D31)에 의해 상기 공급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SW31 및 SW33)는, 상기 피크 전압으로의 도달 후부터 스위치(SW42)의 턴오프 타이밍까지의 기간 동안 임의의 타이밍에서 턴오프된다. 그 피크 전압(Vp2)은 전위(Vs)보다 약간 높다. 이 하강기간(PF1)에 있어서, 커패시터(Cr3)로부터 전하(q~Cr3Vo/2), 즉 전력이 커패시터(Cp)에 공급된다. 클램프 기간(PCL2)에 있어서, 클램프 회로(140)의 전위(Vs)는, 커패시터(Cp)의 전압을 전위(Vs)로 클램프하고, 표시 전극 커패시터(Cp)를 전위(Vs)로 유지한다. 그 후, 제어 신호(CSW42)에 따라 스위치(SW42)가 턴오프된다. In the initial falling period PF1 of the pulse P1 to the potential Vs, when the switches SW31 and SW33 ar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s C SW31 and C SW33 , the path from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p is increase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apacitor Cr3 through the switch SW33, the diode D31, and the resonant inductor L3 forming one, the voltage between both ends of the capacitor Cr3 decreases slightly, and the initial drop of the pulse P1 occurs. Is formed. When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p reaches the peak potential Vp2, the switch SW42 of the clamp circuit 140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C SW42 . In addition, no current flow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ly current by the diode D31. Thus, the switches SW31 and SW33 are turned off at any timing for a period from reaching the peak voltage until the turn-off timing of the switch SW42. The peak voltage Vp2 is slightly higher than the potential Vs. In this falling period PF1, charges q to Cr r Vo / 2, that is, electric power, are supplied from the capacitor Cr3 to the capacitor Cp. In the clamp period PCL2, the potential Vs of the clamp circuit 140 clamps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p to the potential Vs and maintains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p at the potential Vs. After that, the switch (SW42) is turned off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C SW42).

펄스(P2)의 전위(Vs)로의 최초 하강기간(PF1)에 있어서, 제어 신호(CSW32 및 CSW34)에 따라 스위치(SW32 및 SW34)가 턴온되면, 표시 전극 커패시터(Cp)로부터, 경로 2를 형성하는 스위치(SW34), 다이오드(D32) 및 공진 인덕터(L3)를 통하여 커패시터(Cr3)에 전류가 흐르고, 커패시터(Cr3)의 양단 간의 전압이 약간 상승하고, 펄스(P2)의 최초 하강이 형성된다. 커패시터(Cp)의 전압이 피크 전위(Vp2)에 도달했을 때, 제어 신호(CSW42)에 따라 클램프 회로(140)의 스위치(SW42)가 턴온된다. 또 한, 다이오드(D32)에 의해 상기 공급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SW32 및 SW34)는, 상기 피크 전압으로의 도달 후부터 스위치(SW42)의 턴오프 타이밍까지의 기간 동안 임의의 타이밍에서 턴오프된다. 이 하강기간(PF1)에 있어서, 커패시터(Cp)는 방전되고 있지 않으므로, 커패시터(Cp)로부터 커패시터(Cr3)에 전하(q~Cr3Vo/2), 즉 전력이 회수된다. 클램프 기간(PCL2)에 있어서, 클램프 회로(140)의 전위(Vs)는, 커패시터(Cp)의 전압을 전위(Vs)로 클램프하고, 표시 전극 커패시터(Cp)를 전위(Vs)로 유지한다. 그 후, 제어 신호(CSW42)에 따라 스위치(SW42)가 턴오프된다.In the first falling period (PF1) to pulse (P2) the potential (Vs) of, when the switches (SW32 and SW34) turned on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C SW32 and C SW34), from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p), the path 2 Current flows in the capacitor Cr3 through the switch SW34, the diode D32, and the resonant inductor L3 forming a voltage, the voltage between both ends of the capacitor Cr3 rises slightly, and the initial drop of the pulse P2 Is formed. When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p reaches the peak potential Vp2, the switch SW42 of the clamp circuit 140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C SW42 . In addition, no current flow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ly current by the diode D32. Thus, the switches SW32 and SW34 are turned off at any timing for a period from reaching the peak voltage until the turn-off timing of the switch SW42. In this falling period PF1, since the capacitor Cp is not discharged, the charges q to Cr r Vo / 2, that is, power, are recovered from the capacitor Cp to the capacitor Cr3. In the clamp period PCL2, the potential Vs of the clamp circuit 140 clamps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p to the potential Vs and maintains the display electrode capacitor Cp at the potential Vs. After that, the switch (SW42) is turned off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C SW42).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10)에 있어서, 스위치(SW13)와 다이오드(D11)는 1개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스위치(SW14)와 다이오드(D12)는 1개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20)에 있어서, 스위치(SW23)와 다이오드(D21)는 1개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스위치(SW24)와 다이오드(D22)는 1개의 트랜지스터에서 실현해도 된다.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3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다이오드(D11, D12, D21, D22, D31, D32)등은 생략해도 상관없다. 그 경우에는, 각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접속된 스위치의 턴오프 타이밍은, 각 경로의 과정에서의 피크 전압에 도달한 시간으로 할 필요가 있다.In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10, the switch SW13 and the diode D11 may be realized by one transistor, and the switch SW14 and the diode D12 may be realized by one transistor. Similarly, in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20, the switch SW23 and the diode D21 may be realized by one transistor, and the switch SW24 and the diode D22 may be realized by one transistor. . The same applies to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30. The diodes D11, D12, D21, D22, D31, and D32 may be omitted. In that case, the turn-off timing of the switch connected to the anode of each diode needs to be the time which reached the peak voltage in the process of each path | route.

공진 인덕터(L1)는, 2개의 경로 1과 경로 2에 공통 요소로서 설치되는 대신에, 경로 1과 경로 2의 각각에 따로따로 직렬로 설치해도 된다. 공진 인덕터(L2) 는, 2개의 경로 1과 경로 2에 공통 요소로서 설치하는 대신에, 경로 1과 경로 2의 각각에 따로따로 직렬로 설치해도 된다.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3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대체 구성으로서,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10, 120 및 130)에 있어서, 공진 인덕터(L1, L2 및 L3)의 인덕턴스 중 동일한 값의 일부의 인덕턴스를, 공통되는 1개의 인덕터로 치환해도 된다. 대체 구성으로서, 공진 인덕터(L1, L2 및 L3) 대신에, 공통되는 1개의 인덕터를 설치해도 된다.The resonant inductor L1 may be provided in series separately in each of the path 1 and the path 2 instead of being provided as a common element in the two paths 1 and 2. The resonant inductor L2 may be provided in series separately in each of the path 1 and the path 2 instead of being provided as a common element in the two paths 1 and 2. The same applies to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30. As an alternative configuration, in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s 110, 120, and 130, a part of the inductance of the same value among the inductances of the resonant inductors L1, L2, and L3 may be replaced with one common inductor. As an alternative configuration, instead of the resonant inductors L1, L2 and L3, one common inductor may be provided.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10)에 있어서, 스위치(SW13 및 SW14) 대신에, 한 단자가 커패시터(Cp)에 결합되고, 다른 단자가 경로 1과 경로 2 사이에서 바뀌는 전환 스위치를 설치해도 된다.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20 및 13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In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110, instead of the switches SW13 and SW14, a switching switch in which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capacitor Cp and the other terminal is switched between the path 1 and the path 2 may be provided. The same applies to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s 120 and 130.

이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1쌍의 펄스에 있어서 커패시터(Cr1 및Cr2)로부터 표시 전극의 커패시터(Cp)에 전력을 공급하고 커패시터(Cp)로부터 커패시터(Cr1 및 Cr2)에 대부분의 전력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서스테인 방전에 있어서 소비된 전력을 제외하고, 표시 전극(X 및 Y)에 공급된 전력 중 어느 정도는 커패시터(Cr3)에 회수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표시 장치(10)의 소비전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power is supplied from the capacitors Cr1 and Cr2 to the capacitor Cp of the display electrode in a pair of pulses, and most of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capacitors Cp to the capacitors Cr1 and Cr2. Can be recovered. Besides the power consumed in the sustain discharge, som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display electrodes X and Y can be recovered to the capacitor Cr3. As a resul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reduced.

다른 실시예에서는,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110, 120 및 130) 중 1개 또는 2개만을 서스테인 회로(63 및 67)의 각각에 설치해도 된다.In another embodiment, only one or two of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s 110, 120, and 13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sustain circuits 63 and 67.

본 발명은, 비대칭인 파형의 1쌍의 펄스뿐만 아니라, 통상의 대칭인 파형의 1쌍의 펄스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이 분야의 전문가이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 다.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pair of pulses of an asymmetric waveform but also to a pair of pulses of a normal symmetric waveform.

도 9의 (a) 내지 도 9의 (f)는, 본 발명에 의한 펄스 전력 공급 및 회수 회로가 적용가능한 다양한 펄스의 파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의 펄스는, 상승의 경사가 급하고, 하강의 경사가 완만하다. 도 9의 (b)의 펄스는, 상승의 경사가 완만하고, 하강의 경사가 급하다. 도 9의 (c)의 펄스는, 상승이 계단(step)형이다. 도 9의 (d)의 펄스는, 하강이 계단형이다. 도 9의 (e)의 펄스는, 상승 및 하강이 모두 계단형이다. 도 9의 (f)의 펄스는, 하강이 반대 극성까지 도달하고, 그 후에 접지 전위까지의 상승을 갖는다.9 (a) to 9 (f) show examples of waveforms of various pulses to which the pulse power supply and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As for the pulse of FIG.9 (a), the inclination of a rise is abrupt and the inclination of a fall is gentle. As for the pulse of FIG.9 (b), the inclination of a rise is moderate and the inclination of a fall is urgent. As for the pulse of FIG.9 (c), a raise is a step type. As for the pulse of FIG.9 (d), descending is stepped. In the pulse of Fig. 9E, both the rising and falling steps are stepped. The pulse of Fig. 9F has a fall reaching the opposite polarity, and then rising to the ground potential.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PDP를 전형예로서 든 것에 불과하며, 그 각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조합시키는 것, 그 변형 및 변경(variation)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 및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상술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을 행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무기 EL이나 전압의 인가에 의해 전하를 축적함으로써 문자 등을 표시시키는 전자 페이퍼에도 응용가능하다.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merely a typical example of the PDP, the combination of the components of each embodiment, it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inciples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electronic paper for displaying characters by accumulating electric charges by application of inorganic EL or voltage.

Claims (10)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충방전(充放電) 대상 커패시턴스를 충방전하는 충방전 장치로서,A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a capacitance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by applying a voltage, 제 1 전원에 제 1 스위치 수단을 통하여 한 단자가 결합되고 제 2 전원에 제 2 스위치 수단을 통하여 다른 단자가 결합된 전기적 에너지 회수용의 회수용 커패시터와,A recovery capacitor for recovering electrical energy in which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first power supply via the first switch means and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via the second switch means; 상기 회수용 커패시터의 상기 다른 단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에 다른 단자가 결합되어,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공진 인덕터를 통하여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충전하는 제 1 경로 형성 수단과, A first terminal coupl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recovery capacitor and another terminal coupled to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to charge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through a resonant inductor when the first switch means is turned on; Means for forming paths, 상기 회수용 커패시터의 상기 한 단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에 다른 단자가 결합되어, 상기 제 2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공진 인덕터를 통하여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방전시켜 상기 회수용 커패시터에 전기적 에너지를 회수하는 제 2 경로 형성 수단과,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one terminal of the recovery capacitor, and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to discharge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through a resonant inductor when the second switch means is turned on. Second path forming means for recovering electrical energy to the receiving capacitor;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경로 형성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 means and the first and second path forming means,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경로 형성 수단을 활동 상태로 하여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의 전위를 제 1 펄스에 있어서의 제 1 전위로부터 제 2 전위로 변화시키고, 다음에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을 턴오프하며, 또한, 상기 제 2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경로 형성 수단을 활동 상태로 하여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의 전위를 상기 제 1 펄스와 그에 이어지는 파형이 동일한 제 2 펄스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상기 제 2 전위로 변화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장치.The control means changes the potential of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from the first potential in the first pulse to the second potential by making the first path forming means active when the first switch means is turned on, Next, the first switch means is turned off, and when the second switch means is turned on, the second path forming means is made active and the potential of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is changed to the first pulse and the subsequent waveform. Th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which is changed from the first potential to the second potential in the same second puls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수용 커패시터는,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보다 큰 용량을 가지고, 충방전이 반복된 후의 안정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의 전위와 상기 제 2 전원의 차의 2분의 1 전압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장치.The recovery capacitor has a capacity larger than the capacitance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and is charged at a voltage equal to hal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tential of the first power supply and the second power supply in a stable state after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의 한 단자는 제 3 스위치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 2 전원에 결합되고,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의 상기 한 단자는 제 4 스위치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결합되며, One terminal of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is coupl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through a third switch means, and the one terminal of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is coupled to the first power supply through a fourth switch means,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스위치를 턴온한 후에 상기 제 3 스위치 수단을 턴온하여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상기 제 2 전원의 전위로 클램프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를 턴온한 후에 상기 제 4 스위치 수단을 턴온하여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상기 제 2 전원의 전위로 클램프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장치.The control means, after turning on the first switch, turns on the third switch means to clamp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to the potential of the second power supply, and after turning on the second switch, the fourth switch means.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to turn on to clamp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target capacitance to the potential of the second power suppl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전원은 접지 전위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경로 형성 수단은 각각 정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경로 형성 수단의 상기 한 단자와 상기 제 2 경로 형성 수단의 상기 한 단자의 극성이 제 1 극성이며, 상기 제 1 경로 형성 수단의 상기 다른 단자와 상기 제 2 경로 형성 수단의 상기 다른 단자의 극성이 상기 제 1 극성과 반대인 제 2 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장치.The first power source is a ground potential, and the first and second path forming means each includes rectifying means, and the polarity of the one terminal of the first path forming means and the one terminal of the second path forming mean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polarity of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path forming means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path forming means is a second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polarity.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충전하는 충방전 장치로서, A charge and discharge device for charging a charge and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by applying a voltage, 제 1 전원에 제 1 스위치 수단을 통하여 한 단자가 결합되고 제 2 전원에 제 2 스위치 수단을 통하여 다른 단자가 결합된 전기적 에너지 회수용의 제 1 회수용 커패시터와, A first recovery capacitor for electrical energy recovery, wherein one terminal is coupled to a first power source via a first switch means and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a second power source via a second switch means; 상기 제 2 전원과 상기 제 1 회수용 커패시터의 상기 다른 단자의 접속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에 다른 단자가 결합되어,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공진 인덕터를 통하여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충전하는 제 1 경로 형성 수단과,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power supply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recovery capacitor, and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the capacitance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so that the first switch means is turned on through the resonant inductor. First path forming means for charging a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1 회수용 커패시터의 상기 한 단자의 접속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에 다른 단자가 결합되어, 상기 제 2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공진 인덕터를 통하여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방전시켜 상기 제 1 회수용 커패시터에 전기적 에너지를 회수하는 제 2 경로 형성 수단과, One terminal is coupled to a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power supply and the one terminal of the first recovery capacitor, and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the capacitance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so that the second switch means is turned on through the resonant inductor. Second path forming means for discharging a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to recover electrical energy to the first recovery capacitor; 제 3 전원에 제 3 스위치 수단을 통하여 한 단자가 결합되고 제 4 전원에 제 4 스위치 수단을 통하여 다른 단자가 결합된 전기적 에너지 회수용의 제 2 회수용 커패시터와, A second recovery capacitor for electrical energy recovery, wherein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third power source via the third switch means and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the fourth power source via the fourth switch means; 상기 제 3 전원과 상기 제 2 회수용 커패시터의 상기 한 단자의 접속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에 다른 단자가 결합되어, 상기 제 3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공진 인덕터를 통하여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충전하는 제 3 경로 형성 수단과,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hird power supply and the one terminal of the second recovery capacitor, and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the capacitance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so that the third switch means is turned on through the resonant inductor. Third path forming means for charging a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상기 제 4 전원과 상기 제 2 회수용 커패시터의 상기 다른 단자의 접속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에 다른 단자가 결합되어, 상기 제 4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공진 인덕터를 통하여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방전시켜 상기 제 2 회수용 커패시터에 전기적 에너지를 회수하는 제 4 경로 형성 수단과,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ourth power supply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recovery capacitor, and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the capacitance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so that the fourth switch means is turned on through the resonant inductor when the fourth switch means is turned on. Fourth path form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capacitance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to recover electrical energy to the second recovery capacitor;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경로 형성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장치.And sai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said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witch means and said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ath forming means.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4 전원은 동일한 전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장치.Charge and dischar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ower supply and the fourth power supply is the same potential.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방전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7,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는 표시 화면을 구성하는 1 개 이상의 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the charge /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comprises one or more cells constituting a display screen. 전기적 에너지 회수용의 회수용 커패시터로부터 화면을 구성하는 셀에 전하를 이동시키는 충전과, 상기 셀로부터 상기 회수용 커패시터에 전하를 이동시키는 전력 회수를 행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A plasma display panel for performing charge charging to transfer charges to a cell constituting a screen from a recovery capacitor for recovery of electrical energy and power recovery to transfer charges from the cell to the recovery capacitor, 제 1 전원에 제 1 스위치 수단을 통하여 한 단자가 결합되고 제 2 전원에 제 2 스위치 수단을 통하여 다른 단자가 결합된 상기 회수용 커패시터와, The recovery capacitor having one terminal coupled to a first power source via a first switch means and another terminal coupled to a second power source through a second switch means; 상기 회수용 커패시터의 상기 다른 단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상기 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에 다른 단자가 결합되어,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공진 인덕터를 통하여 상기 셀을 충전하는 제 1 경로 형성 수단과, A first terminal coupl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recovery capacitor and another terminal coupled to an electrode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cell to charge the cell through a resonant inductor when the first switch means is turned on Means for forming paths, 상기 회수용 커패시터의 상기 한 단자에 한 단자가 결합되고, 상기 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에 다른 단자가 결합되어, 상기 제 2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공진 인덕터를 통하여 상기 셀을 방전시켜 상기 회수용 커패시터에 전기적 에너지를 회수하는 제 2 경로 형성 수단과, One terminal is coupled to the one terminal of the recovery capacitor, and the other terminal is coupled to an electrode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cell, and discharges the cell through a resonant inductor when the second switch means is turned on. Second path forming means for recovering electrical energy to the receiving capacitor;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경로 형성 수단을 활동 상태로 하여, 상기 셀로의 제 1 인가 펄스에 있어서의 제 1 전위로부터 제 2 전위로 변화시키고, 다음에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을 턴오프하고, 또한, 상기 제 2 스위치 수단이 턴온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경로 형성 수단을 활동 상태로 하여 상기 셀로의 상기 제 1 인가 펄스와 그에 이어지는 파형이 동일한 제 2 인가 펄스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상기 제 2 전위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When the first switch means is turned on, the first path forming means is brought into an active state to change from the first potential to the second potential in the first application pulse to the cell, and then the first switch means is changed. The first in a second application pulse that is turned off and that the first application pulse to the cell and the subsequent waveform are the same with the second path forming means active when the second switch means is turned on. The plasma display panel is changed from a potential to the second potentia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구성하는 셀을 충방전시키기 위한 충방전 방법으로서,As a charging / discharging method for charging / discharging cells constituting the screen of a plasma display panel, 상기 셀에 인가된 제 1 펄스의 상승기간에 있어서, 제 1 전원에 회수용 커패시터의 한 단자를 결합시키고 상기 회수용 커패시터의 다른 단자로부터 공진 인덕터를 통하여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충전하며,In the rising period of the first pulse applied to the cell, one terminal of the recovery capacitor is coupled to the first power supply, and the charge and discharge target capacitance is charged from the other terminal of the recovery capacitor through the resonant inductor, 상기 셀에 인가된 상기 제 1 펄스와 그에 이어지는 파형이 동일한 제 2 펄스의 상승 기간에 있어서, 제 2 전원에 회수용 커패시터의 상기 다른 단자를 결합시키고 상기 회수용 커패시터의 상기 한 단자로부터 공진 인덕터를 통하여 상기 충방전 대상 커패시턴스를 방전시켜 상기 회수용 커패시터에 전기적 에너지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방법.In a rising period of a second pulse having the same waveform as the first pulse applied to the cell, coupling the other terminal of the recovery capacitor to a second power source and removing a resonant inductor from the one terminal of the recovery capacitor. Discharge the charge-discharge target capacitance through the charge and discharg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recover the electrical energy in the recovery capacitor.
KR1020077017577A 2007-07-30 2005-01-31 Charge / discharge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e / discharge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08706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7577A KR100870689B1 (en) 2007-07-30 2005-01-31 Charge / discharge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e / discharg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7577A KR100870689B1 (en) 2007-07-30 2005-01-31 Charge / discharge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e / discharg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165A KR20070108165A (en) 2007-11-08
KR100870689B1 true KR100870689B1 (en) 2008-11-27

Family

ID=3906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5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0689B1 (en) 2007-07-30 2005-01-31 Charge / discharge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e / discharg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68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666A (en) * 1999-08-20 2001-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riving circuit,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666A (en) * 1999-08-20 2001-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riving circuit,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165A (en)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3089C (en) Plasma display screen and its drive device and method
US70060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can electrodes of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
US68066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EP1755101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10084136A (en) Energy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of Addressing Cells using the same in Plasma Display Panel
KR100330032B1 (en) Energy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of Addressing Cells using the same in Plasma Display Panel
JP4324629B2 (en) Charge / discharge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e / discharge method
KR100870689B1 (en) Charge / discharge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e / discharge method
US20080007489A1 (en) Apparatu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US7474278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560503B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357564B2 (en)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display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ing / discharging method
JP4372191B2 (en)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display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ing / discharging method
KR100730153B1 (en) Power recovery device of display panel and driving device of display panel having same
KR100748983B1 (en) Plasma display device
EP1708161A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20659B1 (en) Plasma display device
KR20040087420A (en) Method and Apparatus of Energy Recovery
JPWO2006100722A1 (en)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display device, plasma display panel, and charging / discharging method
KR100452690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46218B1 (en) Driving device of plasma display panel
US20080036389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40098265A (en) Plasma Display Panel Module
US20080111495A1 (en) Energy recovery circuit of display panel and apparatus for driving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US20100026672A1 (en) Circuit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11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112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