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2216B1 - Display of dryer - Google Patents

Display of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216B1
KR100872216B1 KR1020070038076A KR20070038076A KR100872216B1 KR 100872216 B1 KR100872216 B1 KR 100872216B1 KR 1020070038076 A KR1020070038076 A KR 1020070038076A KR 20070038076 A KR20070038076 A KR 20070038076A KR 100872216 B1 KR100872216 B1 KR 100872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ree
blockage
dryer
display
flow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0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3831A (en
Inventor
김양환
고석호
오창훈
김성규
윤주한
허선일
배상훈
최연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216B1/en
Priority to CNA2007101609197A priority patent/CN101250805A/en
Priority to US12/104,744 priority patent/US8146265B2/en
Priority to AU2008201740A priority patent/AU2008201740B2/en
Priority to DE102008019564A priority patent/DE102008019564A1/en
Publication of KR2008009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21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filters or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기의 막힘정도 표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건조기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for a dryer, which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indication of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dryer.

본 발명인 건조기의 표시장치는 복수의 레벨부를 통하여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전원의 인가된 경우, 표시부를 제어하여 복수의 레벨부가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 표시되도록 한 이후에, 공기유로의 막힘정도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으로써, 표시부의 정상 동작 상태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의 표시가 연동하여 수행되도록 한다.The display device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through a plurality of level portion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and a plurality of level portions by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when power is applied. After the light is turned on and off,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so that the 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indication of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are interlocked.

Description

건조기의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FOR DRYER}Display of dryer {DISPLAY APPARATUS FOR DR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부분 절개도이다. 3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of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도 4의 감지회로의 실시예이다. 5 is an embodiment of the sensing circuit of FIG. 4.

도 6 및 7은 감지회로의 출력파형 그래프들이다. 6 and 7 are graphs of output waveforms of the sensing circuit.

도 8은 마이컴이 인식하는 온/오프 그래프이다.8 is an on / off graph recognized by the microcomputer.

도 9a 및 9b는 표시장치의 표시 실시예이다. 9A and 9B illustrate display embodiments of the display devic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표시방법의 순서도이다. 10 is a flow chart of the display method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내지 11d는 표시장치의 순차적인 점등 및 소등 실시예들이다. 11A through 11D illustrate sequential on and off embodiments of the display device.

도 12는 표시장치의 막힘정도 표시 실시예이다. 1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displaying a blockage degree of a display devi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히터 43: 송풍팬30: heater 43: blowing fan

80: 감지회로 72: 모터80: sensing circuit 72: motor

90: 마이컴90: micom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기의 막힘정도 표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건조기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for a dryer, which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indication of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dryer.

일반적으로 건조 세탁기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감싸며, 세척수가 집수되는 터브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과 연결되어 세척수 또는 상기 세제통의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과, 세탁행정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 끝단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강제로 배수시키기 위한 펌프 및 배수호스로 구성된다.In general, a dry washing machin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drum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 tub surrounding the drum and collecting wash water,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drum, and a detergent container for injecting detergent.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detergent container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or the washing water mixed with the detergent of the detergent container,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used in the washing stroke to the outside, and forcibly draining the washing wat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rain pipe. It consists of pump and drain hose.

이러한,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드럼속에 빨랫감과 세척수를 넣고 드럼이 회전될 때 빨랫감이 중력방향으로 낙하되면서 발생되는 세척수와의 마찰에 의하여 세탁하는 것이다. 이러한, 드럼 세탁기는 근래에 들어 그 기능이 부가되어 세탁뿐만이 아니라, 빨래감을 열풍에 의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Such a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is to wash laundry by friction with the washing water generated by dropping the laundry feeling and washing water into the drum and the washing feeling fall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when the drum is rotated. In recent years, such a drum washing machine has been added to its function to dry not only laundry but also dry laundry by hot air.

상기와 같은 건조 세탁기는, 다시 응축식과 배기식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응축식은 히터에서 발생된 열기를 송풍팬에 의하여 드럼측으로 보내어 드럼내의 빨랫감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빨래를 건조시킨 드럼내의 공기는 고온다습한 상태가 되며 터브와 연통된 배기구로 이동된다. 이때, 배기구의 일측에는 차가운 물을 분 사시키는 노즐이 부설되어 상기 고온다습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공기를 다시 송풍팬에 공급하게 된다.The dry washing machine as described above may be further divided into condensation type and exhaust type, and the condensation type sends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to the drum side by a blowing fan to dry the laundry in the drum. At this time, the air in the drum drying the laundry is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state and is moved to the exhaust port communicating with the tub. At this time, a nozzle for spraying cold water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exhaust port to remove moisture from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ir to supply dry air to the blower fan again.

그리고, 배기식은 드럼내의 빨래감에 히터와 송풍팬에서 발생된 열풍을 통과시킨 후 상기 열풍을 세탁기의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서 그대로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는 터브와 연결되는 주름진 호스로 연결되며,이 배기구는 유아나 애완동물등이 세탁기 내에 갇히었을 때 숨구멍의 역활을 하게 된다.In the exhaust type,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heater and the blower fan is passed through the laundry in the drum, and then the hot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exhaust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Here, the exhaust port is connected to the corrugated hose that is connected to the tub, the exhaust port serves as a pore when the infant or pet is trapped in the washing machine.

이러한, 배기식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건조시 빨랫감에서 린트(미세한 보푸라기)가 발생하게 된다. 린트는 세탁기 내의 드럼에서 열풍을 따라 순환하여 배기구를 따라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In such a washing machine having an exhaust type drying function, lint (fine lint) is generated in the dryness of the laundry. The lint circulates along the hot air from the drum in the washing machine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washing machine along the exhaust port.

세탁 후 빨랫감으로부터 발생되는 린트가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에 쌓이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린트를 수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세탁기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린트가 배기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구 내에 린트 필터가 장착된다. Lint filter in the exhaust port to prevent lint from blocking the exhaust port due to long-term use of the washing machine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can collect the lint regularly so that lint generated from the feeling of washing after washing does not accumulate in the exhaust outle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Is fitted.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의류 건조기 사용시마다 필터 청소를 권고하고 있으나, 청소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으로 인해 거의 필터 청소를 소홀히 하게 되어, 건조를 수행함에 따라 필터의 막힘 정도가 심해져서, 건조시간이 증가하게 되거나 전력소비가 증가하게 되며, 그 막힘 정도가 심할 수록 미세한 린트가 필터에 포집되지 않고 부유하다가 의류 및 건조기 내부에 달라붙어 의류를 오염시킬 수 있다. 더욱이, 배기식 건조기의 경우, 건조기 외부로 건조작용을 수행한 공기를 배 출하는 배기구 자체에 린트가 적층되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러한 배기구의 막힘을 확인하는 것을 상당히 곤란하다.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commends cleaning the filter every time the clothes dryer is used, but the filter cleaning is almost neglected due to the inconvenience and hassle of cleaning, and as the drying is performed,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filter increases, resulting in a drying time. This increases or increases the power consumption, the more the blockage is severe, the finer lint is not collected in the filter, it can float and cling inside the clothes and dryers to contaminate the clothes.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exhaust dryer, it is quite difficult for the user to confirm the blockage of such an exhaust port when lint is laminated on the exhaust port itself, which discharges the air that has been dried out of the dryer, and obstructs the flow of air. .

본 발명은 건조기에서 건조 동작이 수행되는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표시하는 건조기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of a dryer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air flow path in which the dry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dryer.

또한, 본 발명은 전원 인가시에 표시부가 정상 동작 중임을 표시하는 건조기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method of a dryer for displaying that the display unit is in normal operation when power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은 시각적으로 사용자를 유인하여, 공기유로의 막힘정도에 대한 인식 효과를 상승시키는 건조기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of a dryer that visually attracts the user and increases the recognition effect on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건조기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In the following, 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detail by taking a dryer as an example based on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부분 절개도이다. 본 발명은 배기식 건조기를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배기식 건조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exhaust type dryer as an embodime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haust type dryer.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식 건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 내측에 배치되어 포가 수용되는 드럼(10)과, 드럼(10)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설치된 흡입 유로(20)와, 흡입 유로(20) 상에 설치된 히터(30)와, 드럼(10)을 통과한 공기가 캐비닛(1) 외부로 배기되도록 설치된 배기 유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배기식 건조기가 설치되는 경우, 배기 유로(40)에 결합되어 건물의 내벽(60) 등을 관통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외부 배기덕트(50)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 the exhaust typ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rum 10 disposed inside the cabinet 1 to accommodate a fabric and a suction flow path 20 installed to suck air into the drum 10. And a heater 30 provided on the suction passage 20 and an exhaust passage 40 installe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rum 10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In addition, when the exhaust type dryer is installed, an external exhaust duct 50 coupled to the exhaust flow passage 40 and passing through the inner wall 60 of the building and the like to exhaust the air to the outside is installed.

송풍팬(43)은 흡입 유로(20)와 배기 유로(40) 중 일측에 설치되며, 이하에서는 배기 유로(4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blower fan 4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flow path 20 and the exhaust flow path 40, and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exhaust flow path 40.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은 베이스 팬(2)과, 베이스 팬(2)의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 본체(3)와, 캐비닛 본체(3)의 전면에 설치된 캐비닛 커버(4)와, 캐비닛 본체(3)의 배면에 설치된 백 패널(7)과, 캐비닛 본체(3)의 상면에 설치된 탑 커버(8)와, 캐비닛 커버(4)의 상단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abinet 1 includes a base fan 2, a cabinet main body 3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fan 2, and a cabinet cover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main body 3. (4), a back panel (7) provided on the back of the cabinet body (3), a top cover (8)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body (3), and a control panel (9) provided on the top of the cabinet cover (4).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캐비닛 커버(4)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가 드럼(10)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포 출입홀(5)이 형성됨과 아울러 포 출입홀(5)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6)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캐비닛 커버(4)의 상단에는 컨트롤 패널(9)이 설치된다. 이 컨트롤 패널(9)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9a)와, 건조기의 상태(예를 들면, 건조 진행 상태, 건조 진행 정도, 건조 남은 시간, 건조 모드의 선 택 등)를 표시하는 표시부(9b)가 구비된다. 또한, 캐비닛 커버(4)의 후방에는 드럼(10)의 선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11)가 장착된다.As shown in FIG. 2, the cabinet cover 4 is formed with a gun entry hole 5 so that the carriage drum 10 can enter and exit and a door 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un entry hole 5 is rotated. Possibly connected. In addition, a control panel 9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abinet cover 4. The control panel 9 includes an input unit 9a for acquiring a user's inpu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dryer (for example, drying progress, drying progress, remaining time of drying, selection of drying mode, etc.). 9b is provided. Moreover, the front supporter 11 which mounts the back end of the drum 10 rotatably is mounted in the back of the cabinet cover 4.

백 패널(7)의 전방에는 드럼(10)의 후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어 서포터(12)가 장착된다. 리어 서포터(12)에는 흡입 유로(20)를 통과한 공기가 드럼(10)의 입구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 유로(20)와 드럼(10)의 입구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13)이 형성된다.In front of the back panel 7, a rear supporter 12 is mounted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drum 10 in a rotatable manner. The rear supporter 12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13 for communicating the suction passage 20 and the inlet of the drum 10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assage 20 can be sucked into the inlet of the drum 10. .

드럼(10)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포가 수용됨과 아울러 공기가 전후방향로 통과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원형 통으로서, 후면 개구부가 드럼 입구부를 형성하고, 전면 개구부가 드럼 출구부를 형성한다. 드럼(10)은 회전시 포가 들어 올렸다가 낙하될 수 있도록 내둘레면에 리프트(14)가 돌출되게 설치된다.2 and 3, the drum 10 is a circular cylinder that is accommodated therein and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air pass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rear opening forms the drum inlet, and the front opening is the drum. Form an outlet. The drum 10 is installed so that the lift 14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fabric can be lifted and dropped during rotation.

흡입 유로(20)는 하단이 히터(30)의 후단과 연통하고 상단이 리어 서포터(12)의 연통홀(13)과 연통되게 설치된 흡입 덕트에 의해 형성된다.The suction passage 20 is formed by a suction duct installed so that the lower end communicates with the rear end of the heater 30 and the upper end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hole 13 of the rear supporter 12.

히터(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팬(2)의 상면에 설치되고 흡입 유로(20) 즉, 흡입 덕트(20)와 연통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배열된 발열 코일로 구성되어, 발열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면 히터 케이스의 내부 공간 및 히터 케이스가 가열되어 히터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고온 저습의 공기로 가열시킨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heater 3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an 2 and arranged in the heater cas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20, that is, the suction duct 20, and inside the heater case.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coil, the inner space of the heater case and the heater case are heated to he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eater case with high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ir.

배기 유로(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 내부의 공기가 배기될 수 있도록 드럼 출구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배기되는 공기 중의 실밥 등의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프론트 서포트(11)에 형성된 린트 필터(41)가 내부에 위치되는 린트 덕트(42)와, 린트 덕트(42)와 연통되고 송풍팬(43)이 내장되는 팬 하우징(44)과, 팬 하우징(44)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캐비닛(1)의 외부로 연장된 배기파이프(46)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배기 파이프(46)에는 캐비닛(1)의 외부로 배기된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외부 배기 덕트(50)가 연결된다. 이 외부 배기 덕트는 캐비닛(1)의 외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인도하는 것으로, 건물 내벽(60)을 통과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exhaust flow passage 40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drum outlet so that air in the drum 10 may be exhausted, and may filter foreign matter such as seams in the exhausted air. The lint duct 42 in which the lint filter 41 formed in the front support 11 is located, the fan housing 44 in communication with the lint duct 42 and the blowing fan 43 are built-in, and the fan housing ( One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44 and the other end is made by an exhaust pipe 46 extending out of the cabinet 1. The exhaust pipe 46 is connected to an external exhaust duct 50 for guiding outdoor air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e external exhaust duct is formed outside the cabinet 1 to direct air to the external space and can pass through the building inner wall 60.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기 유로는 흡입유로(20)와, 드럼(10)의 내부 공간, 배기유로(40) 및 외부 배기덕트(50)를 포함하는 것으로, 공기 유로의 막힘은 배기유로(40)의 린트필터(41)와, 외부 배기덕트(50)에서 주로 발생한다. 배기유로(40)의 린트필터(41)의 막힘에 따른 공기 흐름의 방해 정도는 외부 배기덕트(50)의 막힘에 따른 공기 흐름의 방해 정도에 비하여 그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다. The air flow path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flow path 20, an internal space of the drum 10, an exhaust flow path 40, and an external exhaust duct 50, and the clogging of the air flow path is the exhaust flow path 40. Mainly occurs in the lint filter 41 and the external exhaust duct 50. The degree of obstruction of air flow due to the blockage of the lint filter 41 of the exhaust passage 40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egree of obstruction of air flow due to the blockage of the external exhaust duct 50.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배기식 건조기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ryer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드럼(10)의 내부로 포를 투입한 후, 도어(6)를 닫고, 컨트롤 패널(9)을 조작하여 배기식 건조기를 작동시키면, 배기식 건조기는 히터(30)를 온시키고, 모터(72)를 구동시킨다.First, after the cloth is introduced into the drum 10, the door 6 is closed, and the control panel 9 is operated to operate the exhaust dryer, and the exhaust dryer turns on the heater 30 and the motor. Drive 72.

히터(30)의 온시 히터(30)는 내부를 가열하고, 모터(72)의 구동시, 벨트(70)와 송풍팬(43)은 회전된다. 벨트(70)의 회전시 드럼(10)은 회전되고, 드럼(10) 내의 포는 리프트(14)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되는 동작을 반복한다.When the heater 30 is turned on, the heater 30 heats the inside, and when the motor 72 is driven, the belt 70 and the blowing fan 43 rotate. When the belt 70 rotates, the drum 10 is rotated, and the artillery in the drum 10 is lifted up by the lift 14 and then repeatedly drops.

송풍팬(43)의 회전시, 캐비닛(1) 외부의 공기는 송풍팬(43)의 회전시 발생된 송풍력에 의해 백커버(7)의 공기 흡입홀(7a)로 흡입되어, 캐비닛(1)과 드럼(10)의 사이로 흡입된다. 캐비닛(1)과 드럼(10)의 사이의 공기는 히터(30)로 유입되어 가열됨에 따라 고온 저습하게 바뀌고, 이후 흡입 유로(20)와 리어 서포터(12)의 연통홀(13)을 통해 드럼(10)의 내부로 흡입된다.When the blowing fan 43 is rotated, air outside the cabinet 1 is sucked into the air suction hole 7a of the back cover 7 by the blowing force generated when the blowing fan 43 is rotated, and the cabinet 1 ) And the drum 10. The air between the cabinet 1 and the drum 10 changes into high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s it enters the heater 30 and is heated, and thereafter, the drum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 of the suction channel 20 and the rear supporter 12. It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10.

드럼(10)으로 흡입된 고온 저습한 공기는 드럼(10)의 전방을 향해 이동되면서 포와 접촉되어 다습하게 변하고, 이후, 배기 유로(40)로 배기된다.The high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ir sucked into the drum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loth while moving toward the front of the drum 10, and changes to high humidity. Then, the air is exhausted into the exhaust passage 40.

배기 유로(40)로 배기되는 공기는 배기 파이프(46)를 그대로 통과하여 외부 배기덕트(50)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Air exhausted to the exhaust flow passage 40 passes through the exhaust pipe 46 as it is and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ternal exhaust duct 5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는 외부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히터(30)에 공급되도록 하되, 히터(30)의 온도 또는 히터(30)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이하에서, '온도조절부재'로 통칭될 수도 있다)과, 마이컴(90)의 제어명령에 의해 온/오프됨으로써 히터(30)에 상용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스위치(SW)와, 입력부(9a)와, 표시부(9b)와, 히터(30)와, 송풍팬(43)과, 모터(72)와,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의 온/오프에 따라 히터(30)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회로(80)와, 감지회로(80)로부터의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의 동작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90)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용전원으로부터 마이컴(90) 및 입력부(9a) 및 표시부(9b) 등에 사용되는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당연한 정도의 기술에 불과하다.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of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4 receives first external commercial power and is supplied to the heater 30, but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30 or the temperature of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30. Commercial power is applied to the heater 30 by being turned on and off by the second thermostat TS1 and TS2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collectively as a 'temperature control member') and a control command of the microcomputer 90. Switch SW, input unit 9a, display unit 9b, heater 30, blower fan 43, motor 72, first and second thermostat TS1, A sensing circuit 80 that determines whether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30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S2, first and second thermostats TS1 according to a power supply state from the sensing circuit 80,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whether or not TS2 can be operated. However, although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DC power source used for the microcomputer 90, the input unit 9a, the display unit 9b, and the like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is not shown, such a power supply unit is natural to those familiar with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just a technique.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는 일종의 온도에 따른 조절부로서, 히 터(30)의 측면 또는 근방에 장착되어, 히터(30)의 온도 또는 히터(30)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에 반응하여, 소정의 과열온도에 도달하기 이전에는 온상태를 유지하고, 과열온도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오프상태로 변하여 히터(30)에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제1서모스탯(TS1)은 제2서모스탯(TS2)을 보완하기 위해, 한번 오프 상태로 되면 온 상태로 복귀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은 예를 들면, 히터(30)에 연결되는 흡입유로(20)에 장착된다. The first and second thermostats TS1 and TS2 are kinds of adjustment units according to a temperature and are mounted on or near the heater 30 to be hea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30 or by the heater 30.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of the air, the on-state state is maintained before reaching the predetermined overheating temperature, and when the overheating temperature is exceeded, the state is turned off so that commercial power is not applied to the heater 30. In particular, the first thermostat TS1 does not return to the on state once it is turned off to complement the second thermostat TS2. The first and second thermostats TS1 and TS2 are mounted to the suction passage 20 connected to the heater 30, for example.

또한, 스위치(SW)는 릴레이와 같은 소자로 구성되어, 마이컴(90)의 온 제어에 따라 건조 수행 중에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마이컴(90)의 오프 제어에 따라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In addition, the switch SW is configured of an element such as a relay, and maintains an on state during the dry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n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90, and maintains an off state according to the off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90.

또한, 입력부(9a)는 사용자로부터 건조 동작 등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마이컴(90)으로 인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9a receives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a drying operation from a user and applies it to the microcomputer 90.

또한, 표시부(9b)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건조 동작에 대한 입력과, 건조 동작의 진행 정도, 남은 시간뿐만 아니라,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 막힌 부분 등을 표시한다. 이 표시부(9b)는 LED 소자 또는 LCD 소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기유로는 흡입유로(20), 드럼(10) 내부, 배기유로(40) 및 외부 배기덕트(50)를 포함하며, 특히, 배기유로(40) 내의 린트필터(41)와 외부 배기덕트(50)를 지칭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9b displays not only the input for the drying operation input by the user, the progress of the drying operation, the remaining time, but also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the blocked portion,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9b may be implemented as an LED device or an LCD devi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ir passage includes a suction passage 20, a drum 10, an exhaust passage 40, and an external exhaust duct 50, and in particular, the lint filter 41 and the external exhaust in the exhaust passage 40. It may also refer to the duct 50.

또한, 표시부(9b)는 린트필터(41)의 막힘정도와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를 각각 분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portion 9b may separately display the blockage of the lint filter 41 and the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50, respectively.

이러한 막힘정도의 표시를 위해, 표시부(9b)는 적어도 2단계 이상의 막힘정 도를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레벨부로 이루어지며, 이 레벨부의 점등 및 소등을 통하여 막힘정도를 표시한다. In order to display the degree of blockage, the display portion 9b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vel portions to display the degree of blockage of at least two levels, and indicates the degree of blockage by turning on and off the level portion.

감지회로(80)는 노드(N1), (N2)에 각각 연결되어, 히터(30)를 포함하는 직렬회로에 전류가 흐르는지를, 즉 히터(30)에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을 위해, 감지회로(80)는 연결선(80a)와 (80b)에 의해 노드(N1) 및 (N2)에 각각 연결된다. 감지회로(80)는 마이컴(90)이 장착된 컨트롤 패널(9)에 장착되므로, 이 연결선(80a), (80b)는 드럼(10)과 캐비닛 본체(3) 간의 내부 공간 또는 캐비닛 본체(3)의 내측면을 따라 진행한다. The sensing circuit 80 is connected to the nodes N1 and N2, respectively, to determine whether a current flows through the series circuit including the heater 30, that is, whether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30. For this determination, the sensing circuit 80 is connected to the nodes N1 and N2 by the connecting lines 80a and 80b, respectively. Since the sensing circuit 80 is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9 in which the microcomputer 90 is mounted, the connecting lines 80a and 80b are formed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drum 10 and the cabinet body 3 or in the cabinet body 3. Proce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더욱 자세하게는, 감지회로(80)은 히터(30) 또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히터(30)에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물론, 스위치(SW)에 의해서도, 히터(30)로의 전원 공급이 제어되지만, 이 스위치(SW)는 마이컴(9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므로, 마이컴(90)이 스위치(SW)이 온 상태일 때, 감지회로(8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이 스위치(SW)이 마이컴(90)에 의해 오프 상태일 때, 마이컴(90)은 감지회로(8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고려하지 않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sensing circuit 80 supplies power to the heater 30 by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hermostats TS1 and TS2 operating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30 or air. Is to determine if it is supplied. Of course,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30 is also controlled by the switch SW, but since the switch SW is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90, the microcomputer 90 is in the switch SW state.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state is checked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sensing circuit 80.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by the microcomputer 90, the microcomputer 90 does not consider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ensing circuit 80.

감지회로(80)는 이 전원공급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마이컴(90)에 인가하여, 마이컴(90)이 히터(30)의 전원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감지회로(80)의 입력단은 도 5와 달리, 제1서모스탯(TS1)과 상용전원 사이와, 히터(30)와 스위치(SW) 사이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상용전원과,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과, 히터(30) 및 스위치(SW)로 이루어진 직렬회로에서, 상용전원 의 공급에 따라 히터(30) 양단의 전위차가 가장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으므로, 감지회로(80)는 항상 히터(30)가 포함되는 부분의 전위차를 감지하도록 연결된다.  The sensing circuit 80 applies different signals to the microcomputer 90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state, so that the microcomputer 90 can check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heater 30. Unlike FIG. 5, the input terminal of the sensing circuit 8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hermostat TS1 and a commercial power supply, and between the heater 30 and the switch SW. In the series circuit consisting of the commercial power source, the first and second thermostats TS1 and TS2, the heater 30, and the switch SW, the potential difference across the heater 30 is the most depending on the supply of the commercial power source. As can be clearly identified, the sensing circuit 80 is always connected to sense the potential difference of the portion in which the heater 30 is included.

마이컴(90)은 기본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입력부(9a)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 등에 따라 히터(30)와, 스위치(SW)와, 모터(72)를 제어하고, 모터(72)의 제어를 통하여 송풍팬(43)을 제어하여 건조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마이컴(90)은 이러한 제어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하며, 이 저장부는 예를 들면, EEPROM이 사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icrocomputer 90 basically controls the heater 30, the switch SW, and the motor 72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9a, and controls the motor 72. The blowing fan 43 is controlled to perform a dry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90 has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storing such a control algorithm, for example, the EEPROM may be used.

마이컴(90) 및 감지회로(80)는 상술된 컨트롤 패널(9)의 후면에 장착된다. The microcomputer 90 and the sensing circuit 80 are mounted on the rear of the control panel 9 described above.

또한, 마이컴(90)은 감지회로(80)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에 의한 전원 공급 및 차단에 대한 정보를 판단한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information on power supply and shutdown by the first and second thermostats TS1 and TS2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ing circuit 80.

도 5은 도 4의 감지회로의 실시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회로(80)는 노드(N1)로부터의 입력전압 중에서 양(+)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다이오드(D1)와, 노드(N1)로부터의 입력전압을 감압하는 저항(R1)과, 포토 커플러(PC)의 입력단(I1, I2)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에 포함된 노이즈 방지하는 다이오드(D2)와 캐패시터(C1)와, 입력전압에 따라 온/오프되는 포토 커플러(PC)와, 포토 커플러(PC)의 출력단(O1)에 연결되어 포토 커플러(PC)의 온/오프에 따라 마이컴(90)에 직류 전압인 기준전압(Vref) 이하의 상이한 전압 파형을 제공하는 저항(R2)과 캐패시터(C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준전압(Vref)은 마이컴(90)이 구비되는 회로에서 마이컴(90)의 구동전압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 기준전압(Vref)을 생성하는 전압공급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며, 이러한 기준전압(Vref)의 생성에 대해서는 본 발 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용이하게 인식되는 기술이다. 5 is an embodiment of the sensing circuit of FIG. 4. As shown in FIG. 5, the sensing circuit 80 depressurizes the diode D1 for applying a positive voltage from the input voltage from the node N1 and the input voltage from the node N1. The resistor R1, the noise preventing diode D2 and the capacitor C1 included in the input voltage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s I1 and I2 of the photo coupler PC, and the photo coupler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And a different voltage waveform below the reference voltage Vref, which is a DC voltage, to the microcomputer 90 when the photo coupler PC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1 of the photo coupler PC. It consists of a resistor R2 and a capacitor C2.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used as a driving voltage of the microcomputer 90 in the circuit in which the microcomputer 90 is provided, and a description of the voltage supply unit generating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omitted. The generation of Vref) is a technique easily recognized by a person familiar with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특히, 저항(R1)은 상용전원이 예를 들면 AC 240V인 경우, 노드(N1)과 (N2) 간의 전위차는 240V 정도이기때문에, 이 전압이 그대로 포토 커플러(PC)에 인가될 경우, 포토 커플러(PC)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 입력전압을 수십 V 이내로 감압하기 위한 것이다. In particular, since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node N1 and N2 is about 240V when the commercial power source is AC 240V, for example, the resistor R1 is a photocoupler when the voltage is directly applied to the photocoupler PC. This is to reduce the input voltage to several tens of volts since the PC may be damaged.

또한, 포토 커플러(PC)는 노드(N1)와 (N2) 간에 전위차가 있으면, 즉 히터(3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이 온된 경우, 이 전위차에 대응하는 전압이 입력단에 인가되며, 이 전압이 교류전압이므로, 내부의 포토 다이오드가 이 전압의 주기에 따라 발광하고, 이에 수광부인 트랜지스터가 온/오프되어, 마이컴(90)에는 구형파가 인가된다. 노드(N1)와 (N2) 간에 전위차가 없으면, 즉 히터(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1 또는 제2서모스탯(TS1), (TS2)이 오프된 경우, 감지 회로(80)의 입력단은 동전위가 되어 내부의 포토 다이오드가 발광하지 않게 되어, 수광부인 트랜지스터가 오프되며, 이에 마이컴(90)에는 기준전압(Vref)에 근접한 직류 전압 파형이 지속적으로 인가된다. In addition, the photo coupler PC has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node N1 and N2, that is, when the first and second thermostats TS1 and TS2 are turned on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30. Since th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potential difference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and this voltage is an AC voltage, the internal photodiode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is voltage, and the transistor which is a light receiving part is turned on / off, and a square wave is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90. do. If there is no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nodes N1 and N2, that is, when the first or second thermostat TS1, TS2 is turned off so that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heater 30, the input terminal of the sensing circuit 80 is turned off. Since the inside of the photodiode does not emit light, the transistor which is the light receiving part is turned off, and thus the DC voltage waveform close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90.

도 6 및 도 7은 감지회로의 출력 파형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이 온 상태인 경우, 히터(30)에 교류인 상용전원이 인가되므로, 노드(N1)와 (N2)는 이 상용전원에 대응하는 크기의 전압차가 야기되어, 이 전압차에 따라 포토 커플러(PC)가 온되되, 교류전압이므로, 상용전원의 주기에 대응하여 포토 커플러(PC)는 온/오프를 반복하여, 마이컴(90)에는 기준전압(Vref)보다 작은 구형파가 인가된다. 6 and 7 are graphs of output waveforms of a sensing circuit. As shown in FIG. 6, when the first and second thermostats TS1 and TS2 are in an on state, commercial power that is AC is applied to the heater 30, so that the nodes N1 and N2 A voltage difference of a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is commercial power source is caused, and the photo coupler PC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but since the AC voltage is applied, the photo coupler PC is repeatedly turned on and off in response to the cycle of the commercial power source. The square wave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9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서모스탯(TS1), (TS2)이 오프 상태인 경우, 히터(3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노드(N1)와 (N2)는 동전위가 되어, 포토 커플러(PC)가 항상 오프되며, 이에 기준전압(Vref)에 근접한 직류 전압(예를 들면, high 신호)이 마이컴(90)에 인가된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first or second thermostats TS1 and TS2 are in an off stat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heater 30, and the nodes N1 and N2 are coincident with each other. The photo coupler PC is always turned off, so that a DC voltage (for example, a high signal) close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90.

이에 따라, 마이컴(90)은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파형에 따라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의 오프 상태로 인한 히터(30)로의 전원 차단 시간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microcomputer 90 may calculate the power cutoff time to the heater 30 due to the OFF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thermostats TS1 and TS2 according to the waveform of the DC voltage applied thereto.

도 8은 마이컴이 인식하는 온/오프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5의 마이컴에서 인식하는 온/오프 그래프들이다. 도 8에서, R은 배기덕트(50)의 직경을 의미하며, 그 숫자의 단위는 inch이다. 즉, 직경이 R(2.0), R(2.3), R(2.625), R(2.88), R(3.0)일 때, 도 6 및 도 7과 같은 감지회로(8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컴(90)이 인식하는 히터(30)에 대한 전원공급상태의 온/오프를 나타낸다. 직경이 넓을 수록, 공기 유로의 상태(막힘 정도)가 약한 것이고, 직경이 좁을 수록, 공기 유로의 상태(막힘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 8 is an on / off graph recognized by the microcomputer. FIG. 8 is on / off graphs recognized by the microcomputer of FIG. 5. In Figure 8, R means the diameter of the exhaust duct 50, the unit of the number is inches. That is, when the diameter is R (2.0), R (2.3), R (2.625), R (2.88), R (3.0), the microcomputer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sensing circuit 80 as shown in Figs. 90 indicates on / off of the power supply state to the heater 30 recognized. The larger the diameter, the weaker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degree of blockage), and the narrower the diameter, the more severe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degree of blockage).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전원공급의 온/오프 듀티비를 산정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 듀티비(x'/y')와, 오프 듀티비(z'/y')가 모두 사용될 수도 있고, 그 중의 하나만이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오프 듀티비(z'/y')에 대해서 설명된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blocked state of the air flow path, a method of calculating and confirming an on / off duty ratio of a power supply is disclosed. In this embodiment, both the on duty ratio (x '/ y') and the off duty ratio (z '/ y') may be used, and only one of them may be used. The off duty ratio z '/ y' is described below.

먼저, R(2.0)의 오프 듀티비는 0.48(온 듀티비는 0.52)이고, R(2.3)의 오프 듀티비는 0.32(온 듀티비는 0.68)이고, R(2.625)의 오프 듀티비는 0.26(온 듀티비 는 0.74)이고, R(2.88)의 오프 듀티비는 0.13(온 듀티비는 0.87)이고, R(3.0)의 오프 듀티비는 0(온 듀티비는 1)이다. 즉, 직경이 감소될 수록 오프 듀티비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대적으로 온 듀티비는 감소된다. 따라서, 마이컴(90)은 오프 듀티비를 산정하여, 현재 공기 유로의 막힘 정도(특히, 린트 필터(41)의 막힘 또는 배기 덕트(50)의 막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하기의 표1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First, the off duty ratio of R (2.0) is 0.48 (on duty ratio is 0.52), the off duty ratio of R (2.3) is 0.32 (on duty ratio is 0.68), and the off duty ratio of R (2.625) is 0.26. (On duty ratio is 0.74), the off duty ratio of R (2.88) is 0.13 (on duty ratio is 0.87), and the off duty ratio of R (3.0) is 0 (on duty ratio is 1).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off duty ratio increases as the diameter decreases. The on duty ratio is relatively reduced. Therefore, the microcomputer 90 may calculate the off duty ratio to determine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current air flow path (in particular, the blockage of the lint filter 41 or the blockage state of the exhaust duct 50). These experiment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shown in Table 1 below.

오프 듀티비Off duty ratio 막힘 정도Degree of blockage 막힌 부분Blockage 0~0.300-0.30 -- -- 0.30~0.450.30-0.45 하(약함)Low (weak) 린트 필터Lint filter 0.45~0.600.45-0.60 중(중간)Medium 린트 필터(심한정도 막힘)/배기 덕트(중간정도 막힘)Lint filter (severe blockage) / exhaust duct (medium blockage) 0.60~0.60 ~ 상(심함)Severe 배기 덕트Exhaust duct

마이컴(90)은 상술된 온/오프 듀티비 등으로 이루어진 막힘정도를 포함하는 공기유로의 막힘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은 건조기의 건조 동작 횟수에 대응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건조기(1)가 최초로 설치되거나, 이사 등에 의해 재설치된 경우, 마이컴(90)은 공기유로의 초기막힘정도를, 더 정확하게는 배기덕트(50)의 초기막힘정도를 저장하고, 이후에 건조 동작의 수행에 따른 막힘정도를 추가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마이컴(90)이 저장하는 초기막힘정도(D0)이고, 이후의 막힘정도는 D1, D2, ..., Dn-1, Dn으로 저장된다. The microcomputer 90 stores the blockage information of the air flow path including a blockage degree of the on / off duty ratio and the like described above. This storage is ma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drying operations of the dryer. In particular, when the dryer 1 is first installed or reinstalled by moving, the microcomputer 90 stores the initial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more precisely, the degree of initial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50, and then the drying. The degree of blockag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operation is additionally stored. For example, the initial blockage degree D0 stored by the microcomputer 90 is stored, and the blockage degree thereafter is stored as D1, D2, ..., Dn-1, Dn.

도 9a 및 9b는 표시장치의 표시 실시예이다. 9A and 9B illustrate display embodiments of the display device.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9b)는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레벨부(L1 ~L4)로 이루어진다. 표시부(9b)는 레벨부(L1~L4)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이 가능하며, 특정 레벨부(L1~L4)가 점멸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9A, the display unit 9b includes a plurality of level units L1 to L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display portion 9b can turn on and off the level portions L1 to L4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nd may cause the specific level portions L1 to L4 to blink.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9b)는 복수의 레벨부(L1'~L4')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표시부(9b)는 레벨부(L1'~L4')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이 가능하며, 특정 레벨부(L1'~L4')가 점멸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9B, the display portion 9b includes a plurality of level portions L1 ′ through L4 ′ arranged in succession. The display portion 9b can turn on and off the level portions L1 'to L4'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nd may cause the specific level portions L1 'to L4' to blink.

도 9a 및 9b에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가 정상적일 때, 즉 표시할 막힘정도가 없는 경우에, 표시부(9b)의 레벨부(L1~L4),(L1'~L4')가 모두 소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 표시부(9b)가 정상 동작하여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표시하는지를 확인하기 어렵다. 즉, 표시부(9b)의 특정 레벨부(L1~L4),(L1'~L4')가 고장난 경우, 사용자는 표시된 막힘정도가 실제의 막힘정도인 것으로 오인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부(9b)의 정상 동작 여부를 사용자에게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것이 요구된다. 9A and 9B, when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is normal, that is, when there is no degree of blockage to be displayed, the level portions L1 to L4 and L1 'to L4' of the display portion 9b are turned off.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confirm whether the display portion 9b operates normally to display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That is, when the specific level portions L1 to L4 and L1 'to L4' of the display portion 9b have failed, the user may mistake that the displayed blockage is the actual blockag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xplicitly inform the user whether the display unit 9b is in normal operation.

하기의 도 10 내지 12에서는 도 9a의 표시부(9b)에 적용된 경우이다. In the following FIGS. 10 to 12, the case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9b of FIG. 9A.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표시방법의 순서도이다. 10 is a flow chart of the display method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자세하게는, 단계(S11)에서, 마이컴(90)은 상용전원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용전원이 인가된 경우 단계(S12)로 진행한다. In detail, in step S11,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whether commercial power is applied and proceeds to step S12 when commercial power is applied.

단계(S12)에서, 마이컴(90)은 표시부(9b)의 레벨부(L1~L4)가 순차적으로 점등하고, 이후에 순차적으로 소등되도록 표시하여, 사용자가 표시부(9b)가 정상적으로 동작 중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의 순차적인 점등은 예를 들면, 레벨부(L1)부터 레벨부(L4)까지 하나씩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점등하는 것이며, 순차적인 소등은 전체 레벨부(L1~L4)가 점등된 상태에서, 레벨부(L4)부터 레벨부(L1)까지 하나씩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소등하는 것이다. 또한, 소등의 경우, 레벨부(L1)부터 소등하여 레벨부(L4)가 소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마이컴(90)은 이러한 순차적인 점등 및 소등을 수회 반복할 수도 있다. In step S12, the microcomputer 90 displays the level units L1 to L4 of the display unit 9b to be sequentially turned on and then turned off sequentially, so that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display unit 9b is operating normally. Do it. At this time, the sequential lighting is lit at regular time intervals, for example, from the level portion L1 to the level portion L4, and the sequential light-off is in a state in which the entire level portions L1 to L4 are lit. The light is turned off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the level portion L4 to the level portion L1 one by one.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tinguishing, the level portion L4 may be extinguished by extinguishing from the level portion L1. The microcomputer 90 may repeat such sequential lighting and turning off several times.

단계(S13)에서, 마이컴(90)은 기저장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기저장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가 있으면, 단계(S1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5)로 진행한다. In step S13,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degree of blockage of the pre-stored air flow path. If there is a degree of blockage of the pre-stored air flow path,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4,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5.

단계(S14)에서, 마이컴(90)은 기저장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표시부(9b)를 통하여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9b)는 막힘정도에 대응하는 갯수의 레벨부(L1~L4)를 점등하여 표시한다. 단계(S12)에 연동하여, 막힘정도가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단계(S12)에 의해 시각적으로 유인된 이후에, 표시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막힘정도를 보다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In step S14, the microcomputer 90 display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pre-stored air flow path through the display unit 9b. At this time, the display portion 9b lights up and displays the number of level portions L1 to L4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clogging. Since the degree of blockage is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step S12, the blockage degree is displayed after the user is visually attracted by step S12,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degree of blockage more clearly.

단계(S15)에서, 마이컴(90)은 입력부(9a)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건조 동작의 개시 또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른 건조 동작 순서가 되면, 단계(S16)로 진행한다. In step S15, the microcomputer 90 proceeds to step S16 when the start of the drying operation from the user or the drying operation sequen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is reached through the input unit 9a.

단계(S16)에서, 마이컴(90)은 상술된 감지회로(8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온/오프 듀티비를 산정하여, 공기유로의 막힘정도 또는 막힘진행정도 또는 막힘 상태를 판단한다. In step S16,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the on / off of the temperature regul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sensing circuit 80 described above, calculates the on / off duty ratio accordingly, and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Or determine the degree of blockage or blockage.

단계(S17)에서, 마이컴(90)은 현재 표시된 막힘정도보다 판단된 막힘정도가 더 심한 경우, 이에 따른 막힘정도가 표시부(9b)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이전에 표시된 막힘정도가 없는 경우, 판단된 막힘정도가 표시부(9b)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In step S17, the microcomputer 90 causes the blockage degre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9b when the blockage degree determined is greater than the blockage degree currently displayed. The blocked degre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portion 9b.

단계(S18)에서, 마이컴(90)은 건조 동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건조동작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단계(S16)로 진행하여 지속적으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판단한다. 만약 건조동작이 완료되었으면, 단계(S19)로 진행한다. In step S18,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whether the drying operation is completed. If the drying operation is not comple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6 to continuously determine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If the dry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flow advances to step S19.

단계(S19)에서, 마이컴(90)은 최종적인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표시부(9b)를 통하여 표시하고, 이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저장한다. 또한, 마이컴(90)은 이러한 최종적인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상용전원이 차단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보다 장기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청소 등이 수행되도록 한다. In step S19, the microcomputer 90 display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final air flow path through the display portion 9b, and store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90 continuously display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path until the commercial power is cut off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path for a longer time, and the cleaning and the like are performed accordingly. do.

상술된 단계(S13), (S14)는 사용자가 이전 건조기의 사용이후에 공기유로를 청소할 수도 있으므로, 생략될 수도 있다.Steps S13 and S14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since the user may clean the air flow path after use of the previous dryer.

도 11a 내지 11d는 표시장치의 순차적인 점등 및 소등 실시예들이다. 이 실시예들은 단계(S12)에서의 순차적인 점등 및 소등의 실시예들이다. 11A through 11D illustrate sequential on and off embodiments of the display device. These embodiments are embodiments of sequential lighting up and off in step S12.

도 9a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고, 단계(S12)에 진입하여,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9b)는 먼저 레벨부(L1)이 점등되고, 레벨부(L2~L4)가 소등되도록 한다. FIG. 9A is a state where power is applied, and in step S12, as shown in FIG. 11A, the display portion 9b first turns on the level portion L1, and turns off the level portions L2 to L4. Be sure to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표시부(9b)는 레벨부(L1, L2)가 점등되고, 레벨부(L3, L4)가 소등된 상태이다. As shown in Fig. 11B,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display portion 9b is in a state where the level portions L1 and L2 are turned on and the level portions L3 and L4 are turned off.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표시부(9b)는 레벨부(L1~L3)가 점등되고, 레벨부(L4)가 소등된 상태이다. As shown in Fig. 11C,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level portions L1 to L3 are turned on and the level portion L4 is turned off.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표시부(9b)는 레벨부(L1~L4)가 모두 점등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11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display portion 9b causes all of the level portions L1 to L4 to light up.

이후에, 일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도 11c의 표시, 도 11b의 표시, 도 11a의 표시 그리고 초기 상태인 도 9a의 표시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Thereaft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display of FIG. 11C, the display of FIG. 11B, the display of FIG. 11A, and the display of FIG. 9A, which are in an initial state, are sequentially performed.

도 11d와 같이 레벨부(L1~L4)가 모두 점등된 이후에, 모든 레벨부(L1~L4)가 수회 점멸한 이후에, 상술된 순차적인 소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After all of the level parts L1 to L4 are turned on as shown in FIG. 11D, and after all the level parts L1 to L4 flash several times, the above-described sequential light-out can be performed.

도 12는 표시장치의 막힘정도 표시 실시예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90)은 단계(S14) 또는 (S17)에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막힘정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1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displaying a blockage degree of a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12, the microcomputer 90 display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in step S14 or S17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degree of blockage.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이하에서, 특허청구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에 대하여 기술한다.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루며,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의 예들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In the following, various aspects of the claimable invention are describe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s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understood from various viewpoints and examples of th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minimum description and not as a boundary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출원시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인 건조기의 표시장치는 복수의 레벨부를 통하여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전원의 인가된 경우, 표시부를 제어하여 복수의 레벨부가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 표시되도록 한 이후에, 공기유로의 막힘정도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으로써, 표시부의 정상 동작 상태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의 표시가 연동하여 수행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of the dryer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through a plurality of level portion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and when power is applied, After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plurality of level units are sequentially turned on and off,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so that the 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display portion and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are interlocked. To be performed.

출원시 청구범위 제2항에 따른 제어부는 레벨부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사용자가 레벨부의 정상 표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claim 2 of the application is to be turned on or off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normal display of the level.

출원시 청구범위 제3항에 따른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는 배기덕트의 막힘정도 및 린트필터의 막힘정도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air passage according to claim 3 at the time of filing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exhaust duct and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lint filter.

출원시 청구범위 제4항에 따른 각 레벨부는 일정 간격 이격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각 레벨부에 따른 표시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한다. Each level portion according to claim 4 at the time of filing i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display according to each level portion.

출원시 청구범위 제5항에 따른 표시장치는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감지부를 구비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5 of the claims has a sensing unit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출원시 청구범위 제6항에 따른 제어부는 기저장된 막힘정도 또는 판단된 막힘정도를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claim 6 at the time of filing shows the degree of clogging previously stored or the degree of blocking determined.

출원시 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된 본 발명인 건조기의 막힘정도 표시방법은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와, 전원 인가 단계에 연동하여, 복수의 레벨부를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 표시하는 제1 표시단계와, 제1 표시 단계 이후에,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표시하는 제2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레벨부의 정상 동작 여부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method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step of sequentially turning on and off a plurality of level parts in conjunction with a step of applying power and a step of applying power; After the first display step, a second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may be included to allow the user to check whether the level portion is normally operated and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출원시 청구범위 제8항에 따른 제1표시단계는 레벨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등 또는 점멸 표시한다. The first display step according to claim 8 at the time of filing, lights up or flashes the level par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출원시 청구범위 제9항에 따른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는 배기덕트의 막힘정도 및 린트필터의 막힘정도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air passage according to claim 9 at the time of filing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exhaust duct and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lint filter.

본 발명은 건조기에서 건조 동작이 수행되는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표시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dicating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air flow path in which the drying operation in the dryer.

또한, 본 발명은 전원 인가시에 표시부가 정상 동작 중임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표시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ndicates that the display unit is in normal operation when power is appli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display unit is in normal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시각적으로 사용자를 유인하여, 공기유로의 막힘정도에 대한 인식 효과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visually attracts the user,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recognition effect on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Claims (9)

복수의 레벨부를 통하여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channel through the plurality of level units;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저장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전원의 인가된 경우, 표시부를 제어하여 복수의 레벨부가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 표시되도록 한 이후에, 공기유로의 막힘정도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표시장치.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after the plurality of level units are sequentially turned on and off.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제어부는 레벨부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표시장치.The control unit is a display device of the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l unit is turned on or off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는 배기덕트의 막힘정도 및 린트필터의 막힘정도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표시장치.A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includes at least one of a degree of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and a degree of blockage of the lint filt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각 레벨부는 일정 간격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표시장치.Each level unit is a display device of the dryer,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표시장치는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표시장치.Display device of the d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ctor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제어부는 기저장된 막힘정도 또는 판단된 막힘정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표시장치.The control unit is a display device of the dryer,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pre-stored blockage degree or the determined blockage degree.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와; Power is applied; 전원 인가 단계에 연동하여, 복수의 레벨부를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 표시하는 제1 표시단계와; A first display step of sequentially turning on and off the plurality of level units in association with the power-on step; 제1 표시 단계 이후에,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표시하는 제2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표시방법.And a second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blockage degree of the air flow path after the first display step.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제1표시단계는 레벨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등 또는 점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표시방법. The first display step is a method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l portion lights up or flashes at regular intervals.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는 배기덕트의 막힘정도 및 린트필터의 막힘정도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표시방법.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air passag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exhaust duct and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lint filter.
KR1020070038076A 2007-04-18 2007-04-18 Display of dryer Expired - Fee Related KR1008722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076A KR100872216B1 (en) 2007-04-18 2007-04-18 Display of dryer
CNA2007101609197A CN101250805A (en) 2007-04-18 2007-12-15 Display apparatus of drier as well as blockage degree display method
US12/104,744 US8146265B2 (en) 2007-04-18 2008-04-17 Display device of dryer
AU2008201740A AU2008201740B2 (en) 2007-04-18 2008-04-18 Display device of dryer
DE102008019564A DE102008019564A1 (en) 2007-04-18 2008-04-18 Drying machine display device, has filter state display part displaying blocking degree of filter, and electrical device inputting general electrical source, and control part displaying blocking degree or blocking st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076A KR100872216B1 (en) 2007-04-18 2007-04-18 Display of dr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831A KR20080093831A (en) 2008-10-22
KR100872216B1 true KR100872216B1 (en) 2008-12-05

Family

ID=3995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0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2216B1 (en) 2007-04-18 2007-04-18 Display of dry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2216B1 (en)
CN (1) CN101250805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0702A (en) * 2017-04-10 2017-08-2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line bits display alarm method of washer/dry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6199A (en) 1990-09-17 1992-04-27 Hitachi Ltd Clothes-dryer
JPH0716398A (en) 1993-06-29 1995-01-20 Sanyo Electric Co Ltd Clothes-dryer
JP2000246000A (en) 1999-03-02 2000-09-12 Toshiba Corp Clothes dryer
KR100652782B1 (en) 2001-01-10 2006-12-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Clothes dryer with filter clogg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6199A (en) 1990-09-17 1992-04-27 Hitachi Ltd Clothes-dryer
JPH0716398A (en) 1993-06-29 1995-01-20 Sanyo Electric Co Ltd Clothes-dryer
JP2000246000A (en) 1999-03-02 2000-09-12 Toshiba Corp Clothes dryer
KR100652782B1 (en) 2001-01-10 2006-12-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Clothes dryer with filter clog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50805A (en) 2008-08-27
KR20080093831A (en)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218B1 (en) Control device of dryer
KR100872233B1 (en) dryer
KR100872234B1 (en) How to detect clogging of dryer
KR100867475B1 (en) How to check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dryer
US8146265B2 (en) Display device of dryer
CA2599353C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CA2610133C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KR100844617B1 (en) Safety device of dryer
KR101253179B1 (en) laundry dryer
KR101276041B1 (en) apparatus for drying laundary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150050856A (en)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872217B1 (en) Display of dryer
KR100735963B1 (en) dryer
KR100872216B1 (en) Display of dryer
KR100783229B1 (en) Clogging detection device of the dryer
KR100819594B1 (en) Safety device of dryer
KR100844618B1 (en) Drier Clogging Detection System
KR100819596B1 (en) Clogging detection device of the dryer
KR100844609B1 (en) Clogging detection device of the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11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12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