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9968B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968B1
KR100889968B1 KR1020070040723A KR20070040723A KR100889968B1 KR 100889968 B1 KR100889968 B1 KR 100889968B1 KR 1020070040723 A KR1020070040723 A KR 1020070040723A KR 20070040723 A KR20070040723 A KR 20070040723A KR 100889968 B1 KR100889968 B1 KR 100889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entity
entity
control circuit
packet
program c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898A (ko
Inventor
삼 시아우-시앙 지앙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1692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8996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05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9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2Details of sliding window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7Evaluation or update of window size, e.g. using information derived from acknowledged [ACK]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Abstract

무선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수신단에서의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제2 프로토콜 엔티티(entity)에서 확인모드를 조작할 때, 제1 프로토콜 엔티티의 수신윈도우를 푸시방식(push type)으로 설정하고, 그 수신윈도우의 크기를 상기 제2 프로토콜 엔티티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로토콜 엔티티가 복호화 기능을 실행한다. (A method of deciphering parameter synchronization in a reception end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includes setting a receiving window of a first entity as a push type when a second entity operates in Acknowledged Mode and the size of the receiving window of the first ent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ize of the receiving window of the second entity. The first entity performs deciphering function.)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eciphering parameter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도 1은 무선통신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 중 프로그램코드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 주요부의 설명>
100: 이동통신 장치 102: 입력장치 104: 출력장치 106: 제어회로 108: 중앙처리장치 110: 메모리장치 112: 프로그램 코드 114: 송수신기 200: 응용프로그램층 202: 제3층 인터페이스 206: 제2층 인터페이스 218: 제1층 인터페이스 220: 수신윈도우 설정 프로그램코드 224: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 226: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화 방법 및 관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이퍼 프레임넘버가 잘못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성을 유지함으로써 무선리소스 사용효율을 제고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와 모종의 시그널링 정보(Signaling Information)가 중간에 도용되어 악용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송단과 수신단 사이의 패킷에 대해 암호화를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무선 통신시스템의 암호화 방식은, 전송단에서 암호화 키(Ciphering Key), 암호화 시퀀스넘버(Ciphering Sequence Number) 등 파라미터 내지는 변수를 근거로 특정 알고리즘에 의해 키스트림(Keystream) 데이터를 얻은 후, 키스트림 데이터로 평상문(Plain Text)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문(Cipher Text) 데이터를 얻는다. 반대로 복호화는, 수신단이 상술한 방식의 역순으로 처리한다. 이 중 암호화 시퀀스넘버(Ciphering Sequence Number)는 시퀀스넘버에 의해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암호화 시퀀스넘버는 20 비트의 무선링크제어 하이퍼 프레임넘버(Radio Link Control Hyper Frame Number, RLC HFN) 및 12비트의 무선링크제어 시퀀스넘버(Radio Link Control Sequence Number, RLC SN)로 구성된다. 이들을 약칭하여 완전 시퀀스넘버(whole SN)라 하는데, 총 32비트가 된다. 따라서 무선통신시스템의 암호화 보호 메커니즘에 있어서는, 암호화 키가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암호화 시퀀스넘버의 정확성 여부 역시 상당히 중요하다.
이론적으로, 완전 시퀀스넘버(whole SN)는 각 전송 패킷의 헤드에 부가되어 평상문으로 전송됨으로써 전송단과 수신단 사이의 신호 교환의 동기성 및 정확성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무선 리소스를 절약하고 전송 효율 저하를 늘리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완전 시퀀스 넘버를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있다. 하나는 전송 패킷 헤드에 삽입되는 패킷 시퀀스넘버이고, 다른 하나는 전송단과 수신단에 저장되는 하이퍼 프레임넘버이다. 하이퍼 프레임넘버는 패킷 시퀀스넘버의 자리올림수(carry digit)와 유사하여, 패킷 시퀀스번호의 표시 비트수가 표시할 수 있는 수치를 초과할 경우, 패킷 시퀀스넘버는 시작값으로부터 다시 누적되며, 동시에 하이퍼 프레임넘버에 1이 더해진다. 예를 들면, 패킷 시퀀스넘버가 7개의 비트로 표시될 때, 패킷 시퀀스넘버는 순서대로 1에서 127까지 카운트된다. 일단 패킷 시퀀스넘버가 127을 초과하면 하이퍼 프레임넘버에는 1이 더해지고, 패킷 시퀀스넘버는 다시 0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각 패킷마다의 패킷 시퀀스넘버를 근거로, 전송단과 수신단은 각각 적당한 시기에 하이퍼 프레임넘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호간에 하이퍼 프레임넘버의 동기성을 유지시키고, 암호화 및 복호화의 순조로운 진행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하이퍼 프레임넘버의 동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만약 하층이 「아웃어브시퀀스 전송」(out of sequence delivery)을 지원할 경우에, 종래에는 하나의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를 사용하여 패킷 전송을 더욱 효율적이게 함으로써 잡신호의 간섭으로 인해 전송 패킷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록 하고 있다. 응용 상황에 따라, 슬라이딩 윈도우는 푸시 방식(Push Type)과 풀 방식(Pull Type) 두 종류로 분류된다. 푸시 방식의 슬라이딩 윈도우는 범용 이동통신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중 확인 모드를 조작하는 무선링크제어유닛의 수신 윈도우와 유사하며, 이는 하단에 대응되는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거나 또는 삭제를 통지 받을 때에만 수신 윈도우의 범위를 진전시키게 된다. 만약 하나의 패킷의 시퀀스넘버가 푸시 방식의 슬라이딩윈도우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패킷은 삭제된다. 반대로, 풀 방식의 슬라이딩 윈도우는 범용 이동통신시스템 중 고속다운링크 패킷 엑세스(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에 응용되는 재배열 엔티티(Reordering Entity)의 수신 윈도우와 유사하며, 이는 수신 윈도우 범위를 벗어난 시퀀스넘버를 지닌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을 때, 수신 윈도우의 범위를 진전시키고, 수신 윈도우의 상단을 상기 패킷의 시퀀스 넘버로 설정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복호화 엔티티에는 하이퍼 프레임넘버의 값을 판별하는데 사용되는 슬라이딩윈도우의 유형이 명확히 규범화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약 정확한 슬라이딩윈도우의 유형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송단과 수신단 사이의 하이퍼 프레임넘버의 비동기화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령 범용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단 중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의 수신윈도우의 크기가 10이고, 무선링크제어유닛의 수신윈도우 크기가 16이며, 패킷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의 복호화 엔티티의 수신윈도우는 풀 방식의 슬라이딩윈도우이고 그 수신윈도우 크기가 10이라고 가정한다. 만약 0에서 9까지의 시퀀스넘버를 지닌 패킷 중에서 시퀀스넘버가 0인 패킷 이외에 나머지 패킷이 모두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면, 복호화 엔티티의 수신윈도우 범위는 0에서 9까지이다. 동시에, 만약 HARQ 자동반복요청 유닛이 잔여오류(Residue Error), 예를 들어 「미수신확인을 수신확인으로 오인하는」(NACK_to_ACK) 오류 또는 「미전송을 수신확인으로 오인하는」(DTX_to_ACK) 오류 등에 의하여, HARQ 자동반복요청 유닛이 시퀀스넘버가 0인 패킷을 전송할 수 없게 되면, 즉 시퀀스넘버가 0인 패킷의 재전송은 무선링크제어유닛을 통하여 실행된다. 만약 시퀀스넘버가 0인 재전송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복호화 엔티티가 이미 시퀀스넘버가 10인 패킷을 수신하였다면, 그 수신윈도우가 풀 방식의 슬라이딩윈도우이므로, 수신윈도우의 범위가 1에서 10까지로 전진하게 된다. 그런데, 복호화 엔티티가 시퀀스넘버가 0인 재전송 패킷을 수신할 경우, 시퀀스넘버 0이 수신윈도우 범위를 벗어나게 되기 때문에 다음번 시퀀스넘버가 순환되는 시퀀스넘버 0으로 간주되고, 하이퍼 프레임넘버에 1을 더하게 되므로, 수신단과 전송단의 하이퍼 프레임넘버가 동기성을 잃게 되고, 복호화 엔티티가 정확하게 암호를 해독할 수 없게 되므로 후속 데이터의 전송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으로, 가령 수신단의 복호화 엔티티의 수신윈도우가 푸시 방식의 슬라이딩윈도우이고, 그 수신윈도우의 크기가 10이라고 가정하면, 만약 0에서 9까지의 시퀀스넘버를 지닌 패킷 중에서, 시퀀스넘버가 0인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패킷이 모두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면, 복호화 엔티티의 수신윈도우 범위는 0에서 9까지가 된다. 만약 수신단이 시퀀스넘버가 10인 패킷을 수신할 경우, 시퀀스넘버 10은 수신윈도우 범위를 벗어나게 되므로, 시퀀스넘버가 10인 패킷은 복호화 엔티티에 의해 삭제되어 무선 리소스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더욱 심할 경우, 만약 하층에서 재전송을 지원하지 않으면, 수신윈도우가 정체되어 후속 작동을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단에서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화 방법 및 그 관련 장치를 제공코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수신단에서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는 제2 프로토콜 엔티티가 확인모드에서 조작될 때, 제1 프로토콜 엔티티의 수신윈도우를 푸시 방식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윈도우의 크기를 상기 제2 프로토콜 엔티티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밖에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어,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통신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 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제2 프로토콜 엔티티가 확인모드에서 조작될 때, 제1 프로토콜 엔티티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를 푸시방식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윈도우 크기를 상기 제2 프로토콜 엔티티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의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일종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단에서 복호화 파라 미터를 동기화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제2 프로토콜 엔티티가 비확인모드 또는 트랜스페런트 모드(Transparent Mode)에서 조작될 때, 제1 프로토콜 엔티티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를 풀 방식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통신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 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제2 프로토콜 엔티티가 비확인모드 또는 트랜스페런트 모드에서 조작될 때, 제1 프로토콜 엔티티가 사용하는 수신윈도우를 풀 방식으로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단에서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는 제1 프로토콜 엔티티의 수신윈도우를 풀 방식으로 설정하고, 수신윈도우의 크기를 제2 프로토콜 엔티티가 사용하는 수신윈도우의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통신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 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제1 프로토콜 엔티티의 수신윈도우를 풀 방식으로 설정하고, 그 수신윈도우의 크기를 제2 프로토콜 엔티티가 사용하는 수신윈도우의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도 1은 무선통신장치(100)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도 1에서는 무선통신장치(100)의 입력장치(102), 출력장치(104), 제어회로(106), 중앙처리장치(108), 메모리장치(110), 프로그램코드(112) 및 송수신기(114)만 표시하였다. 무선통신 장치에서 제어회로(106)는 중앙처리장치(108)를 통하여 메모리장치(11)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112)를 실행시키고, 무선통신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이는 입력장치(102)(예를 들어 키보드)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출력장치(105)(예를 들어 모니터, 스피커 등)를 통하여 영상이나 음성 등 신호를 출력한다. 송수신기(114)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발송하는데 사용되며, 수신한 신호를 제어회로(106)로 전송하거나 혹은 제어회로(106)에서 형성된 신호를 무선전신 방식으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통신프로토콜의 구조로 말하면, 송수신기(114)는 제1층의 일부로 볼 수 있고, 제어회로(106)는 제2층 및 제3층의 기능을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무선통신장치(100)는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프로그램코드(112)의 설명도이다. 프로그램코드(112)는 응용프로그램층(200), 제3층 인터페이스(202) 및 제2층 인터페이스(206)를 포함하고, 제1층 인터페이스(218)와 연결된다. 제2층 인터페이스는 두 개의 서브(sub)층을 포함하는데, 각각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 및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를 포함한다.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는 암호화 키, 암호화 시퀀스넘버 등 파라미터 또는 변수를 근거로 암호화 또는 복호화를 처리하여 정보의 보안을 강화하는데 사용된다.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는 무선링크제어유닛, 미디어 액세스 제어유닛 또는 양자의 결합일 수 있으며, 주요 기능은 각기 다른 전송품질 및 채널 처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만약 하층에서 「아웃어브시퀀스 전송」을 지원할 경우,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 및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는 슬라이딩윈도우를 사용하여 패킷 전송을 더욱 효율적이게 함으로써 잡신호의 간섭으로 전송되는 패킷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은 수신윈도우 설정 프로그램코드(220)를 제공하여,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 및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의 수신윈도우를 설정하는데 이용함으로써, 수신단과 전송단 사이의 시퀀스넘버가 비동기화하는 것을 방지하여 무선전송 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플로우(3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플로우(30)는 무선통신장치(100)에서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하는데 사용되고, 이는 수신윈도우 설정 프로그램코드(220)로 컴파일링될 수 있으며,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0): 시작.
단계(302):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가 확인모드에서 조작될 때, 제 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를 푸시방식으로 설정하고, 그 수신윈도우의 크기를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가 사용하는 수신윈도우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
단계(304): 종료.
도 3의 플로우(30)에 따르면,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가 확인모드에서 조작될 때,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는 패킷이 삭제된 정보를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로 전송하게 되는데,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는 푸시방식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즉 그 하단에 대응되는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거나 또는 삭제를 통지 받았을 때에만 수신윈도우의 범위를 진전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가 푸시방식의 수신윈도우를 사용할 때,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 역시 푸시방식의 수신윈도우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가 그 수신윈도우 하단에 대응되는 패킷 또는 상기 패킷을 수신할 필요가 없다고 통지된 경우에만,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가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플로우(30)는 하이퍼 프레임넘버가 잘못 증가됨으로 인하여 복호화 파라미터가 비동기화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령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와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의 수신윈도우 크기가 10이고,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가 확인모드에서 조작되며, 플로우(30)를 근거로,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가 푸시 방식으로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만약 0에서 9까지의 시퀀스넘버 를 지닌 패킷 중에서, 시퀀스넘버가 0인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패킷은 모두 성공적으로 수신될 경우,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는 0인 시퀀스넘버를 삭제하라는 명령을 받아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에게 전달하고,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 및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의 수신윈도우 범위가 모두 10에서 19로 전진하게 된다. 이후 만약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가 시퀀스넘버가 10인 패킷을 수신할 경우, 그 수신윈도우가 푸시 방식의 수신윈도우이기 때문에 시퀀스넘버가 10인 패킷이 복호화되면서, 수신윈도우 범위가 11에서 20까지 전진하게 되지만, 하이퍼 프레임넘버는 그대로 유지된다.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가 0인 시퀀스넘버를 삭제하라는 명령을 수신하기 전, 만약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가 시퀀스넘버가 10인 패킷을 수신하였다면, 이는 수신윈도우 범위 밖에 위치하므로, 이를 버리고, 아직 수신하지 않은 시퀀스넘버가 0인 패킷을 재전송하도록 요청한다. 다시 말해,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가 시퀀스넘버가 0인 패킷을 삭제하라는 통지를 수신하기 전에는 시퀀스넘버가 10인 패킷을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가 시퀀스넘버가 10인 패킷을 삭제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하층(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에서도 역시 시퀀스넘버가 10인 패킷을 재전송하도록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윈도우가 정체되어 후속 운행을 진행할 수 없게 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플로우(30) 역시 하층(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에 적용되어 「패킷의 순차적인 전송」 상황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로우(30)를 통하여,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가 확인모드에서 조작될 때,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는 푸시 방식으로 설정되어야 하고, 또한 그 수신윈도우의 크기는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되어야만, 하이퍼 프레임넘버가 잘못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플로우(4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플로우(40)는 무선통신장치(100) 중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시키는데 사용되며, 이는 수신윈도우 설정 프로그램코드(220)로 컴파일링될 수 있고,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00): 시작.
단계(402):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이 비확인모드 또는 트랜스페런트 모드에서 조작될 때,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를 풀 방식으로 설정하는 단계.
단계(404): 종료.
플로우(40)에 따르면,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가 비확인모드 또는 트랜스페런트 모드에서 조작될 때,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는 유실된 패킷의 재전송을 요구하지 않으며, 또한 패킷이 유실되거나 삭제된 정보를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로 전송하지도 않는다. 즉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는 풀 방식으로 설정하여야 시퀀스넘버가 수신윈도우 범위를 벗어난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될 때 수신윈도우의 범위를 늘려나가게 되며, 아울러 수신윈도우의 상단을 상기 패킷의 시퀀스넘버로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서 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가 비확인모드 또는 트랜스페런트 모드에서 조작될 때, 일단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가 수신윈도우 범위를 벗어난 시퀀스넘버를 구비한 패킷을 수신한 경우,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가 전진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플로우(40)는 패킷이 불필요하게 삭제되거나 또는 수신윈도우가 정체되어 운행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령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와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의 수신윈도우 크기가 10이고,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가 비확인모드에서 조작되며, 재전송이 지원되지 않고, 즉 플로우(40)를 근거로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가 풀 방식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만약 0에서 9까지의 시퀀스넘버를 구비한 패킷 중에서, 시퀀스넘버가 0인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패킷이 모두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범위는 0에서 9까지이다. 이어서, 만약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가 시퀀스넘버가 10인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시퀀스넘버 10은 수신윈도우 범위를 벗어나므로,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 범위는 1에서 10까지로 전진하게 된다. 이러한 식으로,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는 후속되는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로우(40)를 통하여,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가 비확인 모드 또는 트랜스페런트 모드에서 조작될 경우,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를 풀 방식으로 설정하여야만 패킷이 불필요하게 삭제되거나 또는 수신윈도우가 정체되어 운행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플로우(5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플로우(50)는 무선통신장치(100)에서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하는데 이용되며, 이는 수신윈도우 설정 프로그램코드(220)로 컴파일링될 수 있고,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500): 시작.
단계(502):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를 풀 방식으로 설정하고, 그 수신윈도우 크기를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
단계(504): 종료.
플로우(50)에 따르면,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는 풀 방식으로 설정하고, 그 수신윈도우의 크기를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해야 한다. 즉 시퀀스넘버가 수신윈도우 범위를 벗어난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될 때, 수신윈도우 범위를 진전시키고, 수신윈도우의 상단을 상기 패킷의 시퀀스넘버로 설정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 크기가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의 수신윈도우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기 때문에,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의 수신윈도우 범위가 전진될 때,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 범위 역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가 재전송하는 패킷이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로우(50)를 통하여, 제1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4)의 수신윈도우를 풀 방식으로 설정하고, 그 수신윈도우 크기를 제2 서브층 프로토콜 엔티티(226)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게 설정해야만 하이퍼 프레임넘버가 잘못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일 뿐,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에 의거하여 진행한 동등한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이 포괄하는 범위 내에 속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하이퍼 프레임넘버가 잘못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성을 유지함으로써 무선리소스 사용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Claims (36)

  1.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단에서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프로토콜 엔티티가 확인모드에서 조작될 때, 제1프로토콜 엔티티의 수신윈도우를 푸시 방식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윈도우 크기를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토콜 엔티티는 복호화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상기 제1프로토콜 엔티티의 하층 프로토콜 엔티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무선링크제어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의 수신윈도우는 푸시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가 확인모드에서 조작될 때,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가 패킷이 삭제된 정보를 상기 제1 프로토콜 엔티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정하도록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저장장치가 포함되되,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제2프로토콜 엔티티가 확인모드에서 조작될 때, 제1프로토콜 엔티티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를 푸시 방식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윈도우의 크기를 제2프로토콜 엔티티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토콜 엔티티는 복호화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상기 제1프로토콜 엔티티의 하층 프로토콜 엔티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무선링크제어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미디어액세스제어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의 수신윈도우는 푸시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가 확인모드에서 조작될 때,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가 패킷이 제거된 정보를 상기 제1프로토콜 엔티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5.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단에서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프로토콜 엔티티가 비확인모드 또는 트랜스페런트 모드에서 조작될 때, 제1프로토콜 엔티티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를 풀 방식(pull type)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토콜 엔티티는 복호화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상기 제1 프로토콜 엔티티의 하층 프로토콜 엔티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무선링크제어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가 비확인모드 또는 트랜스페런트 모드에서 조작될 때,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가 패킷이 유실 또는 삭제된 정보를 상기 제1프로토콜 엔티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시키는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정하도록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제2프로토콜 엔티티가 비확인모드에서 조작될 때, 제1프로토콜 엔티티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를 풀 방식으로 설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토콜 엔티티는 복호화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상기 제1프로토콜 엔티티의 하층 프로토콜 엔티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무선링크제어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가 비확인모드 또는 트랜스페런트 모드에서 조작될 때,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패킷이 유실 또는 삭제된 정보를 상기 제1프로토콜 엔티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7.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단에서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제1프로토콜 엔티티의 수신윈도우를 풀 방식으로 설정하고, 그 수신윈도우 크기를 제2프로토콜 엔티티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토콜 엔티티는 복호화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제1 프로토콜 엔티티의 하층 프로토콜 엔티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무선링크제어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하나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복호화 파라미터를 동기화시키는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정하도록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제1 프로토콜 엔티티의 수신윈도우를 풀 방식으로 설정하고, 그 수신윈도우 크기를 제2 프로토콜 엔티티에 사용되는 수신윈도우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토콜 엔티티는 복호화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상기 제1프로토콜 엔티티의 하층 프로토콜 엔티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무선링크제어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엔티티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20070040723A 2006-04-27 2007-04-2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화 방법 및장치 Active KR100889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575006P 2006-04-27 2006-04-27
US60/745,750 2006-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898A KR20070105898A (ko) 2007-10-31
KR100889968B1 true KR100889968B1 (ko) 2009-03-24

Family

ID=3816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723A Active KR100889968B1 (ko) 2006-04-27 2007-04-2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081619B2 (ko)
EP (2) EP2051430B1 (ko)
JP (1) JP4729000B2 (ko)
KR (1) KR100889968B1 (ko)
CN (1) CN101064594B (ko)
AT (1) ATE441258T1 (ko)
DE (1) DE602007002101D1 (ko)
ES (2) ES2389848T3 (ko)
PL (1) PL1850523T3 (ko)
TW (1) TWI3347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3442B2 (en) * 2004-07-30 2008-02-19 M-Stack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ciphering i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090016334A1 (en) * 2007-07-09 2009-01-15 Nokia Corporation Secured transmission with low overhead
CN101651536A (zh) * 2008-08-13 2010-0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序列号的同步实现方法和系统
US8228938B2 (en) * 2009-02-02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 miss-detection of duplicated packets and an out-of-sequence delivery to the higher layer in unacknowledged mode operation
CN102857356A (zh) * 2011-06-27 2013-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数据包、超帧号更新和维护、数据处理的方法及装置
FR2981231B1 (fr) * 2011-10-07 2013-11-08 Cassidian Sas Procede de transmission de paquets de donnees
US20140219451A1 (en) * 2013-02-07 2014-08-07 Mediatek Inc. Adaptive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security parameter
EP3542484B1 (en) * 2016-11-18 2021-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transferring data in a radio communication
US11463547B2 (en) * 2019-12-12 2022-10-04 Google Llc Reliable transport protocol and hardware architecture for datacenter network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3610A (ja) 2004-06-22 2006-01-12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WO2006002677A1 (en) 2004-07-02 2006-01-1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rrangement and method for dual mode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023C (fi) * 1995-05-09 1997-03-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Liukuvaan ikkunaan perustuva datavuonohjaus, joka käyttää säädettävää ikkunakokoa
FI106498B (fi) * 1999-03-16 2001-02-1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siirtoikkunan valinnassa ja matkaviestin
WO2001022646A1 (en) * 1999-09-20 2001-03-29 Nokia Corporation Cumulative acknowledgement transmission in an automatic repeat request
US6798842B2 (en) * 2001-01-10 2004-09-28 Asustek Computer Inc. Retransmission range for a communications protocol
US6987981B2 (en) * 2001-11-13 2006-01-17 Asustek Computer Inc. Robust RLC reset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65123B1 (ko) * 2002-02-16 200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Srns 재할당 방법
EP1361707B1 (en) * 2002-05-06 2007-02-07 Innovative Sonic Limited Abnormal case handling for acknowledged mode transmission and unacknowledged mode transmission
SE0201758D0 (sv) * 2002-06-05 2002-06-05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system of failure avoidace
US6859449B2 (en) * 2003-05-19 2005-02-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enhanced radio link control acknowledgment
KR101000699B1 (ko) * 2004-04-19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링크 제어계층에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ATE409991T1 (de) * 2004-05-19 2008-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funkbetriebsmittelzuweisung
US7525908B2 (en) * 2004-09-24 2009-04-28 M-Stack Limited Data unit management in communications
TWI299620B (en) * 2005-04-05 2008-08-01 Innovative Sonic Ltd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reconfiguring size of a receiving window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228917B2 (en) * 2005-04-26 2012-07-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iphering and re-ordering pack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3610A (ja) 2004-06-22 2006-01-12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WO2006002677A1 (en) 2004-07-02 2006-01-1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rrangement and method for dual mode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81619B2 (en) 2011-12-20
CN101064594A (zh) 2007-10-31
JP4729000B2 (ja) 2011-07-20
EP1850523A2 (en) 2007-10-31
TW200742385A (en) 2007-11-01
EP2051430B1 (en) 2012-06-20
EP1850523A3 (en) 2007-12-12
US20070253401A1 (en) 2007-11-01
ES2332428T3 (es) 2010-02-04
ES2389848T3 (es) 2012-11-02
EP1850523B1 (en) 2009-08-26
JP2007300621A (ja) 2007-11-15
ATE441258T1 (de) 2009-09-15
KR20070105898A (ko) 2007-10-31
CN101064594B (zh) 2011-04-20
TWI334720B (en) 2010-12-11
PL1850523T3 (pl) 2010-02-26
EP2051430A1 (en) 2009-04-22
DE602007002101D1 (de)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968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호화 파라미터의 동기화 방법 및장치
US20190373455A1 (en) Operation of control protocol data units in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US20090319850A1 (en) Local drop control for a transmit buffer in a repeat transmission protocol device
US20160241685A1 (en) RoHC OPTIMIZATIONS FOR BURST LOSSES
KR20060086273A (ko) 순환 중복 검사 잔류 오류 검출 및 처리 방법
US20100304733A1 (en) Method of Detecting and Handling and Endless RLC Restransmission
US109799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synchronization in connectionless transmissions
US200801016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rotocol error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07029168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packet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100027538A1 (en) Re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receiving side apparatus
US2008005621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frame handover or assignment messages
JP200721516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rlcリセット方法及び装置
KR10092798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삭제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801375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data deli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0801481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protocol error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070115787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80039322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로토콜 에러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US8631313B2 (en) Method of error detect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KR2008005323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재정렬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801376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eorde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5309712B2 (ja) 通信装置、秘匿解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