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3481B1 - 휴대 단말기, 통신 단말기, 이들을 이용한 소재 위치 통지시스템, 및 소재 위치 통지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통신 단말기, 이들을 이용한 소재 위치 통지시스템, 및 소재 위치 통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481B1
KR100883481B1 KR1020077017500A KR20077017500A KR100883481B1 KR 100883481 B1 KR100883481 B1 KR 100883481B1 KR 1020077017500 A KR1020077017500 A KR 1020077017500A KR 20077017500 A KR20077017500 A KR 20077017500A KR 100883481 B1 KR100883481 B1 KR 100883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losure
terminal
location
level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757A (ko
Inventor
신이찌 쯔지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48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자신의 소재 장소를 알리는 경우, 자신의 소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의 상세 정도를 공개 레벨로 나타내고, 공개 레벨에 기초하는 위치 정보로 알리도록 하여, 상대에게 필요 이외의 자신의 소재 위치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한다. 휴대 단말기(10)는, 통신 상대별, 시간대별, 소재 지역별로 대응하여 결정한 공개 레벨 L, 및 현재의 소재 장소에 대한 장소 정보나 그 장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도 정보의 제공에 기초하여, 공개 레벨 L02~L05로 규정된 공개 내용에 따라서,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에 송신하는 소재 장소 정보,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
인터넷, GPS 수신기,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 휴대 단말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 소재 위치 통지 시스템, 통지 공개 레벨 결정 수단,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통신 단말기, 이들을 이용한 소재 위치 통지 시스템, 및 소재 위치 통지 방법{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NOTIFYING SYSTEM USING THEM, AND LOCATION NOTIFYING METHOD}
본 발명은,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소재 위치를 알릴 수 있는 휴대 단말기, 이 휴대 단말기와 교신 가능한 통신 단말기, 이들을 이용한 소재 위치 통지 시스템, 및 소재 위치 통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의 보급에 수반하여,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있는 장소를 통지, 또는 상대가 있는 장소를 특정하는 기술이 고안되어, 실용화되어 있다.
특히, 긴급 통보 시에 자신의 소재 위치를 정확하게 경찰서, 소방서, 병원 등과 같은 긴급 통보처에 통지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에 GPS 기능을 이용한 소재 위치 특정 시스템을 탑재하는 것이 권고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를 소지하는 이용자의 입장에 서서 생각하면, 상대측의 소정 수속에 의해, 일방적 또한 무조건으로 자신이 있는 곳이 알려지는 것은, 이용자 자신의 프라이버시 보호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이용자의 입장을 배려하여, 일본 특개 2002-077975호 공보에는, 휴대 단말기(이동 통신 단말기로서의 간이 휴대 전화기)의 소재 위치를 모니터할 때에, 미리 정해진 대상 에리어에 한하여, 또한 휴대 단말기의 유저의 사전 양해를 조건으로 휴대 단말기의 소재 위치의 모니터가 행하여지는 위치 정보 통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 2002-353976호 공보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정보 통신 기기로서의 리스트 밴드 센서)에서, GPS 수신기에 기초하여 취득되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도 포함시켜, 휴대 단말기에 유지되거나 또는 휴대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각종 정보 중, 통신 상대에 따라서 공개하는 정보의 종류를 설정하는 공개 범위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은, 모두 자신의 소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상대에게 알릴지의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것 뿐으로, 자신의 소재 위치에 대하여 상대에게 알리는 위치 정보의 상세 레벨(소위 상대에게 알리는 위치 정보의 입도나 그 알리는 빈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상기 기술에 관련되는 문헌 예를 이하에 든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2-07797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2002-353976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은,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자신의 소재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서는, 자신의 소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상대에게 알리는 경우라도, 상세 즉 정밀한 위치 정보를 상대에게 알릴 필요가 있을 때와, 동일하게 알릴 필요가 있어도, 정밀한 위치 정보는 상대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자신의 소재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서는, 자신의 소재 위치의 위치 정보를 상대에게 알리는 것으로 해도, 알리는 상대의 친소의 정도에 따라서, 상대에게 알리는 위치 정보의 상세 레벨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강하게 요망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자신의 소재 위치를 상대에게 알릴지의 여부를 설정할 수 있을 뿐이기 때문에, 자신의 소재 위치를 정밀하게 나타내는 위치 정보는 상대에게 알릴 필요가 없는 경우라도, 자신의 소재 위치에 관하여, 필요 이상으로 정밀한 위치 정보가 상대에게 보내어지게 됨으로써, 프라이버시 보호가 도모되지 않는다. 따라서, 자신의 소재 위치를 상대에게 알리는 경우에는 모두, 자신의 소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정밀한 위치 정보로 알리지 않고, 프라이버시 보호의 관점에서 대략적인 위치 정보로 알리도록 해 두는 것도 생각되지만, 경찰서, 소방서, 병원 등과 같은 긴급 통보의 경우에는, 반대로 경찰서, 소방서, 병원 등에서는 정밀한 위치 정보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 대응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도 있다.
또한, 동일한 상대라도, 소재 지역/시간대에 따라서는, 자신의 소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상대에게 알려도 상관없는 경우와, 알리고 싶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프라이버시 보호의 관점에서, 자택 소재지의 소재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나, 근무 시간 외의 소재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는, 업무상의 상대에게는 비닉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소재 지역이나 요일을 포함시킨 시간대에 따라서, 자신의 소재 위치를 상대에게 알릴지의 여부, 또한 알려 둘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위치 정보의 상세 레벨로 알릴지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보호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신의 소재 장소를 알리는 경우, 자신의 소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의 상세 정도를 공개 레벨로 나타내고, 자신의 소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상대에게 알리는 경우, 상대에 따라서 설정한 공개 레벨에 기초하여 알리도록 하여, 상대에게 필요 이외의 자신의 소재 위치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한 휴대 단말기, 통신 단말기, 이들을 이용한 소재 위치 통지 시스템, 및 소재 위치 통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상대라도, 상대에게 알리는 자신의 소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소재 지역/시간대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상대에게 필요 이외의 자신의 소재 위치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한 휴대 단말기, 통신 단말기, 이들을 이용한 소재 위치 통지 시스템, 및 소재 위치 통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과,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공 개 레벨을 결정하는 공개 레벨 결정 수단과,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과,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의한 자단말기의 소재 지역에 따라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공개 레벨 결정 수단과,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과, 시간대에 따라서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공개 레벨 결정 수단과,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 단말기로서, 상대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개 레벨에 기초한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상대 위치 정보 취득 수단과, 상대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고지 출력하는 상대 단말기 위치 확인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재 위치 통지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의 소재 위치를 그 휴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 단말기로부터 고지 출력시키기 위한 소재 위치 통지 시스템으로서, 휴대 단말기 또는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휴대 단말기 위치 취득 수단과, 휴대 단말기 위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관하여, 통신 단말기로부터 고지 출력시킬 때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고지 공개 레벨 결정 수단과, 고지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로부터 고지 출력시키기 위한 그 휴대 단말기에 관한 고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고지 위치 정보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재 위치 통지 방법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스텝과,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공개 레벨 결정 스텝과, 공개 레벨 결정 스텝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출력하는 출력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이 휴대 단말기와 교신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소재 위치 통지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의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서의 공개 레벨의 일 실시예의 설명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서의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의 일 실시예의 설명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단말기간에서의 위치 정보의 송수신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서의 휘발성 메모리에 형성된 이력 축적 메모리 설명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공개 레벨에 기초하여 생성한 소재 장소 정보, 소재 표시 지도 정보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공개 레벨에 기초하여 생성한 소재 장소 정보, 소재 표시 지도 정보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공개 레벨에 기초하여 생성한 소재 장소 정보, 소재 표시 지도 정보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공개 레벨에 기초하여 생성한 소재 장소 정보, 소재 표시 지도 정보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 11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공개 레벨보다도 상세한 정밀도로, 이용자 A 자신의 소재가 통신 상대 B에게 파악되게 되는 현상에 대한 설명도.
도 12는, 이용자 A 자신의 상세한 이동 궤적이 이용자 A의 뜻에 반하여 통신 상대 B에게 파악되게 되는 현상에 대한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이 휴대 단말기와 교신 가능한 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이 휴대 단말기와 교신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소재 위치 통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는, 본체(11)에 조작부(12) 및 표시부(13) 등을 갖고, 안테나부(14) 등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작부(12)에는, 송수신을 지시하기 위한 키,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상대의 위치 정보의 취득이나 상대에의 위치 정보의 공급을 지시하기 위한 키, 카메라 촬영이나 메일 작성을 지시하기 위한 키 등이 구비되어 있다. 표시부(13)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에 의해 구성된 모니터 표시기를 갖고, 위치 정보를 포함시킨 각종 정보가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10)는, 안테나부(14)를 통하여 캐리어의 기지국(60)(60A)과 무선 접속되며, 또한 이 기지국(60)으로부터 캐리어의 회선망(61)이나 인터넷(70)을 통하여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와의 사이에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갖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설명을 간편히 하기 위해, 캐리어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겸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0)는, 자신 즉 휴대 단말기(10)를 소지하고 있는 이용자 A의 소재 위치를 취득하기 위해, GPS 위성(80)(80-1~80-4) 각각으로부터의 발신 신호를 안테나부(14)를 통하여 수신하고, GPS 위성(80) 각각으로부터의 발신 신호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자신 A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GPS 측위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는, 도시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10)와 마찬가지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고정 통신 단말기이어도 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52, 53은, 이 통신 단말기(50)의 본체(51)에 구비된 조작부, 및 표시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기(10) 및 통신 단말기(50)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에 의해 구성되며, 휴대 단말기(10)와 통신 단말기(50) 사이에서는, 캐리어의 기지국(60)(60A, 60B)이나 회선망(61)을 통하여, 통화나 정보 전송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휴대 단말기(10) 및 통신 단말기(50)는 각각 기지국(60)을 통하여 인터넷(70)에도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터넷(70)에는, 요구에 기초하여 원하는 위치 정보의 대응하는 지역의 지도 및 장소 정보를 요구원에게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 회사(90)가 콘텐츠 프로바이더로서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1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의 안테나부(14)는,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안테나(14-1)와, GPS 위성(80) 각각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 안테나(14-2)를 갖는다.
무선 통신 안테나(14-1)는, 기지국(60)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무선부(15)는, 수신 시에는, 기지국(60)으로부터 무선 통신 안테나(14-1)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수신 신호를 복조하고, 이 복조한 수신 신호를 통신 제어 부(16)에 공급한다. 또한, 송신 시에는, 통신 제어부(16)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송신 신호를 변조하여 증폭하고, 무선 통신 안테나(14-1)를 통하여 무선 송신 신호를 기지국(60)에 송신한다.
통신 제어부(16)는, 무선부(15)가 복조한 수신 신호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복호화하여 착신·수신 처리를 행한다. 통신 제어부(16)는, 취득한 자단말기앞의 수신 데이터를 주제어부(20)에 공급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6)는, 주제어부(20)나 화상 처리부(1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부호화하고, 이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를 무선부(15)에 공급한다.
주제어부(20)는, 불휘발성 메모리(ROM)(21)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전술한 무선부(15), 통신 제어부(16)를 비롯한 시스템 각 부를 제어하여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주제어부(20)는, 통신 제어부(16)에 의한 착신 검출에 기초하여, 발광부(19)를 점멸시키고, 휘발성 메모리(RAM)(22)에 축적되어 있는 착신 음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6)로부터 음성 출력하거나 하여, 착신 고지를 제어한다.
또한, 주제어부(20)는, 조작부(12)의 착신 조작(오프 훅) 등에 기초하여, 통신 제어부(16)로부터 공급되는 취득한 수신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나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로 분리화하고, 분리화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6)로부터 음성 출력하거나, 분리화된 화상 데이터나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RAM)(22)에 축적하거나, 또한 표시 드라이버(23)를 제어하여, 이 휘발성 메모리(RAM)(22)에 축적된 수신 화상 데이터나 수신 문자 데이터 등을 표시부(13)에 표시 출력하거나 하는 등과 같은 수신 제어 처리를 행한다.
또한, 주제어부(20)는, 마이크(25)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휘발성 메모리(22)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나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 중, 송신할 화상 데이터나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취출하거나 하여, 이들 송신할 음성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다중화함으로써 송신 데이터를 가공 생성하고, 통신 제어부(16)에 공급한다고 하는 송신 제어 처리를 행한다.
또한, 주제어부(20)는, 조작부(12)의 촬영 조작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부(17)를 제어하여 촬영 제어 처리를 행한다. 화상 처리부(17)에는, 촬상 렌즈 및 촬상 소자 등을 구비한 촬상부(18)가 접속되고, 화상 처리부(17)는, 촬상부(18)로부터 출력되는 피사체의 촬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화소의 보간 처리 등을 실시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 처리부(17)는, 주제어부(20)로부터의 제어 지시에 기초하여, 이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송신 데이터로서 통신 제어부(16)에 출력하거나, 휘발성 메모리(RAM)(22)에 축적 제어하거나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제어부(20)는, 조작부(12)로부터의 지시 등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주제어부(20)가 행하는 위치 정보 처리에 포함되는 각종 처리 중의, 자단말기의 위치 취득 처리에 대하여 우선 설명한다.
이 자단말기의 위치 취득 처리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주제어부(20)는, 상대와의 통신 중을 불문하고, 조작부(12)로부터의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확인 지시 조작 또는 보고 지시 조작에 기초하여 GPS 수신부(24)를 작동 제어하여, 자단말기에 관한 현재의 측위 데이터의 취득 처리를 행하게 한다. 이에 의해, GPS 수신부(24)는, 안테나부(14)의 GPS 수신 안테나(14-2)에 의해 수신되는 복수의 GPS 위성(80) 각각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이용하여 자단말기의 소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도 및 경도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현재 위치 데이터를 구한다. 이 취득한 현재 위치 데이터는, GPS 수신부(24)로부터 주제어부(20)에, 현재의 측위 데이터로서 공급된다.
주제어부(20)는, 이 GPS 수신부(24)로부터 취득한 측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단말기의 소재 장소나 그 지도 정보의 취득 요구, 즉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위치 정보의 취득 요구를 생성한다. 그리고, 전술한 통신 제어부(16) 및 무선부(15)에 의해, 무선 통신 안테나(14-1)를 통하여 기지국(60)을 향하여 송신한다. 또한, 이 위치 정보의 취득 요구는, 휴대 단말기(10)의 이용자 A가 다른 통신 단말기(50)의 이용자 B와의 사이에서 통신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이용자 B의 통신 단말기(50)에의 송신 데이터를 기지국(60)에 송신할 때에, 휴대 단말기(10)로부터 기지국(60)을 향하여 함께 송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소재 위치 통지 시스템에서는, 기지국(60)은, 휴대 단말기(10)로부터의 위치 정보의 취득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인터넷(70)을 통하여 콘 텐츠 프로바이더로서의 지도 서비스 회사(90)의 위치 정보 검색 서버(도시 생략)와 접속하고, 휴대 단말기(10)로부터의 위치 정보의 취득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측위 데이터에 대응하는 장소 정보나 그 대응 장소가 표시된 지도 정보의 송신 요구를, 지도 서비스 회사(90)에 송신한다. 지도 서비스 회사(90)의 위치 정보 검색 서버는, 기지국(60)으로부터 수신한 송신 요구에 포함되는 휴대 단말기(10)의 측위 데이터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0)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나 그 장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도 정보를 검색하고, 이들 검색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인터넷(70)을 경유하여, 송신 요구를 발신한 기지국(60)을 향하여 회신 회답한다. 기지국(60)은, 휴대 단말기(10)로부터의 위치 정보의 취득 요구에 대응한 장소 정보나 그 장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도 정보의 회신 회답을 지도 서비스 회사(90)로부터 수신하면, 취득 요구의 발신원인 휴대 단말기(10)에 대하여, 위치 정보의 취득 요구에 대한 회답으로서, 지도 서비스 회사(90)로부터 취득한 장소 정보나 그 장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도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이 장소 정보나 그 장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도 정보는, 휴대 단말기(10)의 이용자 A가 다른 통신 단말기(50)의 이용자 B와의 사이에서 통신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용자 B의 통신 단말기(50)로부터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10)에의 송신 데이터의 기지국(60)으로부터의 송신과 함께, 기지국(60)으로부터 휴대 단말기(10)를 향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전술한 무선부(15) 및 통신 제어부(16)에 의해 수신한 기지국(60)으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확인 지시 또는 보고 지시 조작에 대응한 휴대 단말기(10)의 소재 장소 정 보나 그 소재 장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도 정보의 수신을 판별하면, 이들 정보를 휘발성 메모리(RAM)(22)에 기억하고, 자단말기의 위치 취득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주제어부(20)가 행하는 위치 정보 처리에 포함되는 각종 처리 중의, 통신 상대 B에 대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한 공개 레벨의 설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에서는, 조작부(12)에 의한 소정의 설정 조작에 의해,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마다, 설정 등록한 시간대마다나 소재 지역마다, 또는 이들 통신 단말기(50), 시간대, 소재 지역을 적절히 조합하여, 통신 상대 B에게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고지하는 경우의 상세(소위 상대에게 알리는 위치 정보의 입도나 그 알리는 빈도)를 규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의 공개 레벨 L을 설정 등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서의 공개 레벨의 일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휴대 단말기(10)는, 통신 상대 B에게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고지하는 경우의 상세를 규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의 공개 레벨 L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벨 L01~L05의 5개의 공개 레벨 L에 의해 설정 등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공개 레벨 L은, 레벨 L01로부터 레벨 L05로 감에 따라서, 통신 상대 B에게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고지하는 상세가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레벨 L01은, 통신 상대 B에게 고지하는 자신의 위치 정보로서는 가장 낮은 레벨로, 통신 상대 B에게 고지하는 자신의 소재 장소(주소 표시) D01은 비공개이고, 그 소재 장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역을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 지도 D02도 비공개이며, 그 지도 상에서 자신의 소재 장소를 예를 들면 진원으로 나타내는 소재 표시 D03도 비공개이다.
또한, 레벨 L02는, 2번째로 낮은 레벨로, 소재 장소 D01은 도도부현 레벨의 공개이고, 표시 지도 D02는 도도부현 레벨의 지도이며, 소재 표시 D03은 직경 20Km의 진원 표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레벨 L03은, 소재 장소 D01은 도도부현의 시구 읍면 레벨의 공개이고, 표시 지도 D02는 도도부현의 시구 읍면 레벨의 지도이며, 소재 표시 D03은 직경 1Km의 진원 표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레벨 L04는, 소재 장소 D01은 도도부현의 시구 읍면에서의 지역 레벨의 공개이고, 표시 지도 D02는 도도부현의 시구 읍면에서의 지역 레벨의 지도이며, 소재 표시 D03은 직경 100m의 진원 표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레벨 L05는, 가장 상세한 공개 레벨 L로, 소재 장소 D01은 도도부현의 시구 읍면에서의 지역 레벨의 핀 포인트의 공개이고, 표시 지도 D02는 도도부현의 시구 읍면에서의 지역 레벨의 상세 지도이며, 소재 표시 D03은 GPS 수신부(24)의 측위 레벨에 기초하는 핀 포인트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의 경우, 미리 이용자 A에 의한 조작부(12)의 소정 설정 조작에 기초하여, 이와 같이 규정된 공개 레벨 L이,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마다, 사전에 설정 등록된 시간대마다나 소재 지역마다, 또는 이들 통신 단말기(50), 시간대, 소재 지역을 적절히 조합하여, 불휘발성 메모 리(ROM)(21) 또는 휘발성 메모리(RAM)(22)에 기억 백업되어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로서 등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서의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의 일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27)에서는, 통신 상대 B01~B04에 대해서는, 통신 상대마다의 공개 레벨 L이 설정 등록되고, 통신 상대 B05, B06에 대해서는, 시간대마다의 공개 레벨 L이 설정 등록되며, 통신 상대 B07에 대해서는, 소재 지역마다의 공개 레벨 L이 설정 등록되고, 통신 상대 B08에 대해서는, 통신 상대마다의 공개 레벨 L과 소재 지역마다의 공개 레벨 L이 조합된 공개 레벨 L이 설정 등록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조작부(12)를 이용한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에의 공개 레벨 L의 설정 등록의 방법은, 통신 상대 B마다, 통신 상대 B에 무관계하게, 통신 상대 B가 이용자 A에 대하여 고지하는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 L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설정 등록되는 등, 다양한 방법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에서는 구비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주제어부(20)가 행하는 위치 정보 처리에 포함되는 각종 처리 중의, 통신 상대 B에 대한 공개 레벨 L의 결정 처리, 이 결정된 공개 레벨 L에 기초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상대 통신 단말기(50)에의 출력 처리에 대하여, 이용자 A가 통신 상대 B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그 설명 시에는,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도, 전술한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 말기(10)의 시스템 구성과 마찬가지의 시스템 구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단말기간에서의 위치 정보의 송수신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하는 경우는, 이용자 A가 통신 상대 B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통신 상대 B로부터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이용자 A가 통신 상대 B의 공개 요구에 따라서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위치 정보를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에 출력 제어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이용자 A는, 조작부(12)를 조작하여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발신 개시 조작(오프 훅)을 행한다(스텝 SA11). 이에 의해, 휴대 단말기(10)에서는, 주제어부(20)가 통신 단말기(50)의 전화 번호에 대한 발호를 포함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신 제어부(16)가 무선부(15)를 통하여 무선 통신 안테나(14-1)로부터 그 송신 신호를 셀 서치된 기지국(60A)(도 1 참조)을 향하여 무선 송신한다.
기지국(60A)은, 휴대 단말기(10)로부터의 발호를 포함한 송신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면, 통신 상대 B가 속하는 기지국(60B)에 휴대 단말기(10)로부터의 통신 단말기(50)앞의 전화 번호의 발호가 전송되고, 기지국(60B)으로부터는, 통신 단말기(50)에 대한 호출호를 포함한 송신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 기지국(60B)으로부터의 자신에 대한 호출호를 포함한 송신 신호를 무선 수신한 통신 단말기(50)는, 통신 상대 B에 의한 송수신 개시 조작(오프 훅)이 행하여지면(스텝 SB11), 기지 국(60B)을 향하여 응답호를 포함한 송신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60A, 60B)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10)와 통신 단말기(50) 사이는, 통화 및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회선 접속 상태가 설정된다.
휴대 단말기(10)와 통신 단말기(50) 사이가 회선 접속 상태로 되면, 본 실시 형태의 통신 단말기(50)로부터는, 통신 상대 B의 조작부(52)에 의한 사전 설정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0)에 대하여 위치 정보의 공개 요구가, 휴대 단말기(10)로부터의 착신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송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통신 단말기(50)는, 이 휴대 단말기(10)에 대하여 위치 정보의 공개 요구를 송신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그 공개 레벨 L(도 4 참조)의 요구도 아울러 송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통신 상대 B에 의한 위치 정보의 공개 요구가, 회선 접속된 휴대 단말기(10)에 의해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이것을 불휘발성 메모리(ROM)(21) 또는 휘발성 메모리(RAM)(22)의 기억 백업되어 있는 이력 축적 메모리(28)에 축적 기억함과 함께,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로부터 위치 정보의 공개 요구가 있었다는 취지, 또한 그 때에 공개 레벨 L의 요구가 아울러 있었던 경우에는 그 요구 공개 레벨 L01~L05를, 표시 드라이버(23)를 제어 작동하여 표시부(13)에 표시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서의 불휘발성 메모리(ROM)(21) 또는 휘발성 메모리에 형성된 이력 축적 메모리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이력 축적 메모리(28)는,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 기(50)로부터의 위치 정보의 공개 요구의 수신 시각(수신순)을 기억하는 수신 시각 기록란(28-1), 공개 요구의 발신원의 통신 상대 B, 즉 통신 단말기(50)의 식별(예를 들면, 통신 단말기(50)의 전화 번호 등)을 기억하는 요구 발신원 식별 기록란(28-2), 그 공개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공개 레벨 L01~L05를 기억하는 요구 공개 레벨 기록란(28-3),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휴대 단말기(10)측에서 결정되는 공개 레벨 L01~L05를 기억하는 결정 공개 레벨 기록란(28-4)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공개 레벨 L의 데이터는,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휴대 전화)(10)의 전화부 데이터 중에, 데이터로서 갖고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화부 데이터를 입력할 때에, 이러한 종류의 공개 레벨 L을 설정 입력하는 것을 재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화부 데이터의 각 사람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전화부 데이터의 그룹마다 등, 레벨을 통일한 공개 레벨 L의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통신 상대 B로부터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자신의 위치 정보 취득 처리(스텝 SA12), 통신 상대 B에 대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의 결정 처리(스텝 SA13), 및 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의 상대 단말기(50)에의 출력 처리(스텝 SA14)를 행한다.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취득 처리(스텝 SA12)로서, 현재의 측위 데이터를 GPS 수신부(24)로부터 취득하고, 이 측위 데이터 에 기초한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소재 장소 정보나 그 지도 정보의 취득 요구, 즉 자신의 위치 정보의 취득 요구를 생성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통신 상대 B에 대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의 결정 처리(스텝 SA13)로서, 예를 들면 공개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공개 요구의 발신원의 통신 상대 B 또는 그 통신 단말기(50)의 식별에 해당하는 통신 상대 B가, 도 4에 도시한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27)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수신한 통신 상대 B로부터의 공개 요구에 공개 레벨 L의 요구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도 판정한다.
이 결과,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공개 요구의 발신원의 통신 상대 B 또는 그 통신 단말기(50)의 식별이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27)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후술하는 기지국(60A)에 대한, 측위 데이터에 기초한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소재 장소나 그 지도 정보의 취득 요구(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위치 정보의 취득 요구),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상대 단말기(50)에의 출력 처리를 실제로 행하지 않고 종료하여,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위치 정보를 통신 상대 B에게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공개 요구의 발신원의 통신 상대 B 또는 그 통신 단말기(50)의 식별이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27)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27)에 통신 상대 B 또는 그 통신 단말기(50)의 식별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는 공개 레벨에 따라서, 통신 상대 B에게 송 신하는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가결정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수신한 통신 상대 B로부터의 공개 요구에 공개 레벨 L의 요구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한, 수신한 통신 상대 B로부터의 공개 요구에 공개 레벨 L의 요구가 포함되어 있어도, 이 가결정된 공개 레벨 L과 공개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공개 레벨 L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가결정된 공개 레벨을, 실제로 통신 상대 B에게 송신하는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 L로서 최종 결정하고, 이 최종 결정한 공개 레벨 L을, 표시 드라이버(23)를 제어 작동하여 표시부(13)에 표시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수신한 통신 상대 B로부터의 공개 요구에 공개 레벨 L의 요구가 포함되어 있고, 이 가결정된 공개 레벨 L과 공개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공개 레벨 L이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 공개 레벨 L과, 양 레벨이 일치하고 있지 않아, 이용자 A에 의한 조작부(12)를 사용한 공개 레벨 L의 설정 조작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안내를, 표시 드라이버(23)를 제어 작동하여 표시부(13)에 표시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표시부(13)에 표시된 양 공개 레벨 L의 표시와, 공개 레벨 L의 설정 조작의 안내 표시에 기초하여, 이용자 A는, 실제로 통신 상대 B에게 송신하는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 L을 확인하고, 다시 설정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이용자 A에 의해 조작부(12)로부터 원하는 공개 레벨 L이 다시 설정 입력되면, 실제로 통신 상대 B에게 송신하는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 L로서 최종 결정하고, 이 최종 결정한 공개 레벨 L을, 표시 드라이버(23)를 제어 작동하여 표시부(13)에 표시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결정된 공개 레벨 L과 공개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공개 레벨 L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용자 A가 공개 레벨 L을 조작부(12)로부터 다시 설정 입력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프라이버시 보호의 관점에서 레벨의 값이 낮은 쪽의 공개 레벨 L이 자동적으로 실제로 통신 상대 B에게 송신하는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 L로서 선택되고, 최종 결정된 공개 레벨 L로서 표시 드라이버(23)를 제어 작동하여 표시부(13)에 표시하는 등의 제어 구성이어도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제로 통신 상대 B에게 송신하는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 L의 결정으로부터, 공개 레벨 L01 이외의 공개 레벨 L, 즉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위치 정보가 비공개가 아닌 것이 결정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자단말기의 위치 취득 처리로서, 생성한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위치 정보의 취득 요구를 기지국(60A)에 송신하고, 지도 서비스 회사(90)로부터 현재의 소재 장소에 관한 장소 정보나 그 장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도 정보의 제공을, 기지국(60A)을 통하여 받는다(스텝 SA12). 그 한편, 공개 레벨 L01 즉 휴대 단말기(10) 자신의 위치 정보가 비공개인 것이 결정된 경우에는, 지도 서비스 회사(90)로부터 현재의 소재 장소에 대한 장소 정보나 그 장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도 정보의 제공을 받지 않고,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상대 단말기(50)에의 출력 처리를 실제로 행하지 않고 위치 정보 처리를 종료하여, 휴대 단말기(10) 자 신의 위치 정보를 통신 상대 B에게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휴대 단말기(10)는, 최종 결정한 공개 레벨 L, 및 지도 서비스 회사(90)로부터 현재의 소재 장소에 관한 장소 정보나 그 장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도 정보의 제공에 기초하여,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상대 단말기(50)에의 출력 처리(스텝 SA14)를 행한다.
도 7~도 10은, 공개 레벨에 기초하여 생성한 소재 장소 정보, 소재 표시 지도 정보의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0)를 소지하는 이용자 A가 「도쿄도 분쿄구 혼고 4쵸메 ○방 ×고」에 현재 위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7은, 최종 결정한 공개 레벨 L이 도도부현 레벨의 공개 레벨 L02인 경우의,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에 송신하는 소재 장소 정보,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지도 서비스 회사(90)로부터 제공을 받아 휘발성 메모리(RAM)(22)에 기억된 현재의 소재 장소에 대한 장소 정보나 그 장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도 정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쿄도 분쿄구 혼고 4쵸메 ○방 ×고」로부터 「분쿄구 혼고 4쵸메 ○방 ×고」를 생략하고 「도쿄도」라고 하는 송신하는 소재 장소 정보를 생성하고, 「도쿄도」를 구획한 지도 상에 「도쿄도 분쿄구 혼고 4쵸메 ○방 ×고」를 포함하는 직경이 20Km에 상당하는 원형의 소재 영역을 표시한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휘발성 메모리(RAM)(22)에 각각 송신 소재 장소 정보, 송신 소재 표시 지도 정보로서 기억함과 함께, 표시 드라이버(23)를 제어 작동하여 이들을 표시부(13)에 표시하 여, 이용자 A가 그 내용에 관하여 프라이버시 등의 문제로 지장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이용자 A의 확인의 경우에서는, 이용자 A가, 송신 소재 장소 정보, 송신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확인하기 쉽도록, 동시에, 이용자 A가 현재 위치하는 소재 장소를 핀 포인트로 대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도 된다.
그리고,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이용자 A의 조작부(12)의 소정 조작 또는 이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에 의해,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이들 송신 소재 장소 정보, 송신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음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로서 다중화한 송신 데이터를 가공 생성하고, 통신 제어부(16)에 공급하여 무선부(15)를 통하여 무선 통신 안테나(14-1)로부터 송신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도 8은, 최종 결정한 공개 레벨 L이 도도부현 레벨의 공개 레벨 L03인 경우에, 「혼고 4쵸메 ○방 ×고」를 생략하고 「도쿄도 분쿄구」라고 하는 송신하는 소재 장소 정보를 생성하고, 「분쿄구」를 구획한 지도 상에 「혼고 4쵸메 ○방 ×고」를 포함하는 직경이 1Km에 상당하는 원형의 소재 영역을 표시한 송신하는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생성하였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최종 결정한 공개 레벨 L이 도도부현 레벨의 공개 레벨 L04인 경우에, 「○방 ×고」를 생략하고 「도쿄도 분쿄구 혼고 4쵸메」라고 하는 송신하는 소재 장소 정보를 생성하고, 「혼고 4쵸메」를 구획한 지도 상에 「○방 ×고」를 포함하는 직경이 100m에 상당하는 원형의 소재 영역을 표시한 송신하는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생성하였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0은, 최종 결정한 공개 레벨 L이 도도부현 레벨의 공개 레벨 L05인 경우에, 핀 포인트의 「도쿄도 분쿄구 혼고 4쵸메 ○방 ×고」라고 하는 송신하는 소재 장소 정보를 생성하고, 「혼고 4쵸메」를 구획한 지도 상에 「○방 ×고」를 핀 포인트로 표시한 송신하는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생성하였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소재 장소 정보나 소재 표시 지도 정보는, 휴대 단말기(10)로부터 기지국(60A)에 무선 송신되어, 캐리어의 회선망(61)을 통하여 기지국(60B)으로부터 휴대 단말기(10)와 회선 접속되어 있는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에 무선 송신된다.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는, 이용자 A로부터의 소재 장소 정보나 소재 표시 지도 정보의 수신을, 무선 안테나(54)로부터 수신되어, 무선부(15) 및 통신 제어부(16)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데이터 중으로부터 그 주제어부(20)가 검출하면, 소재 장소 정보나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휘발성 메모리(RAM)(22)에 축적하고, 또한 표시 드라이버(23)를 제어하여, 이 소재 장소 정보나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표시부(13)에 표시 출력하는 이용자 A의 위치 정보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스텝 SA14).
또한, 이 이용자 A의 위치 정보의 출력 처리에서, 소재 장소 정보는, 표시부(13)에 표시 출력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주제어부(20)가 스피커(26)로부터 음성 고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공개 레벨 L01~L05에 대응하여 「알려드릴 수 없습니다」, 「도쿄도」, 「도쿄도 분쿄구에 있습니다」, 「도쿄도 분쿄구 혼고 부근에 있습니다」, 「도쿄도 분쿄구 혼고 4쵸메 ○방 ×고에 있습니다」 등, 음성 고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10)로부터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에는, 이용자 A가 설정한 공개 레벨에 따른 이용자 A의 위치 정보밖에 공급되지 않으므로, 이용자 A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이용자 A가 통신 상대에게 송신하는 공개 레벨 L에 기초하여 생성한 자신의 소재 장소 정보나 위치 정보에 대하여, 도 4에 도시한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27)의 통신 상대 B05~B0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대별 공개 레벨이나 소재 지역별 공개 레벨을 설정하고 있는 경우, 또는 통신 상대별 공개 레벨, 시간대별 공개 레벨, 및 소재 지역별 공개 레벨을 적절히 조합하여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10) 및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의 작용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는, 시각의 경과에 의해 시간대별 공개 레벨의 적용이 변화되는 경우나, 이동에 의해 그 소재 지역별 공개 레벨의 적용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공개 레벨이 변화된 것을 이용자 A에게 고지하는 공개 레벨 변화 고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27)에 통신 상대 B01~B08에 관계없이, 시간대별 공개 레벨이나 소재 지역별 공개 레벨이 일률적으로 설정 적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미리 정해 진 소정 시간 간격으로 내부 타이머의 계시 시각이나 GPS 수신부(24)에 의한 측위 데이터의 취득 처리를 행하고, 취득한 계시 시각이나 측위 데이터에 의해 시간대별 공개 레벨이나 소재 지역별 공개 레벨의 값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통신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위치 정보의 출력 처리를 그 변화된 공개 레벨에 대응하는 처리로 절환함과 함께, 발광부(19), 표시부(13), 또는 스피커(26)를 이용하여, 이용자 A에게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이 변화되었다는 취지를 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 A는, 시각 경과 또는 이동에 의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통신 상대방에게 알리는 상세로서의 공개 레벨이 변화된 것을, 수동적으로 의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의 경우에는, 통신 상대 B로부터의 위치 공개 요구에 상관없이, 조작부(12)의 조작이나 전술한 내부 타이머에 의한 소정 시간마다의 계시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27)에 등록된 소정의 통신 상대 B에 대해서는, 그 설정되어 있는 시간대별 공개 레벨이나 소재 지역별 공개 레벨에 따라서, 도 7~도 10에 도시한 소재 장소 정보,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도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용자 A가 발호측인 경우에는, 스텝 SA11에 나타낸 통신 상대 B에의 발호 후에는, 통신 상대의 오프 훅에 상관없이, 스텝 SA12에 나타낸 자신의 위치 정보 취득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의 경우에는, 도 5에서는, 휴대 단말 기(10)의 이용자 A가 발호측, 통신 단말기(50)의 통신 상대 B가 착신(오프 훅)측으로서 설명하였지만, 통신 단말기(50)의 통신 상대 B가 발호측, 휴대 단말기(10)의 이용자 A가 착신측이어도, 도 5에서의 스텝 SA12 및 SB13 이후의 처리는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5에서는, 발호 또는 착신(오프 훅)에 기초하는 통화 상태에 한하지 않고, 통화를 수반하지 않는 메일 등의 패킷 발신 또는 수신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의 경우에는, 도 7~도 9에 도시한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미리 조작부(12)를 소정 조작해 둠으로써, 이용자 A 자신의 소재 영역을 지도 상에서 표시하는 원형의 소재 영역의 중심점을, GPS 수신부(24)에 의해 취득한 측위 데이터의 포인트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소재 영역을 생성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신 상대 B에게 자신의 소재를 지도 상에서 고지하는 경우라도, 원형의 소재 영역의 중심점과 이용자 A의 실제의 소재 장소가 어긋나 있으므로, 한층 더한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도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의 경우에는, 조작부(12)를 소정 조작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이력 축적 메모리(28)의 기록 내용이 표시부(13)에 표시되어, 종전의 통신 상대방으로부터의 위치 공개 요구, 또는 통신 상대에게 송신한 소재 장소 정보, 소재 표시 지도 정보의 공개 레벨에 따른 송신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번 설정한 공개 레벨 L을, 이용자 A가 그 후 변경 가능한 것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 및 통신 단말기(50)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통신 단말기(50)는, 휴대 단말기(10)와 마찬가지의 가반의 것이 아니라, 고정식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휴대 단말기(10)의 구체예로서는, GPS 측위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이어도 되고, 가변이며 통신 기능 및 측위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면, 적용 가능하다.
또한, 그 측위 기능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GPS 측위 기능에서 설명하였지만, 간이 휴대 전화기 등과 같이 기지국(60)과의 무선 송수신의 상태에서 측위를 행하는 등의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소재 표시 지도 정보의 취득에 대해서도, 정보 통신 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와 같이, 휴대 단말기(이동체 단말기)(10) 자신이 지도 정보 데이터를 소지하는 구성이어도, 통신 상대 B의 단말기(50)가 소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10)의 표시부(13)나 통신 단말기(50)의 표시부(53)에 표시하는 소재 장소의 내용도, 전술한 원형의 소재 영역을 지도 상에서 표시하여 소재 장소를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지도 상에서 「도쿄도」, 「도쿄도 분쿄구」 등의 지역을 그 주변 지역에 대하여 구별 표시하거나, 지도를 이용하지 않고 소재 장소의 위도 경도의 범위나, 소재 장소의 구체적인 주소 지명을 직접 문자 표시하는 등의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기(10)가 자신이 취득한 측위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도 정보를 취득하고,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휴대 단말기(10)가 자신이 취득한 측위 데이터를 공개 레벨에 따른 측위 소재 범위 데이터로서 통신 단말기(50)에 송신하고, 통신 단말기(50)측에서 이 측위 소재 범위 데이터에 대응한 지도 정보를 취득하고,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의 소재 위치를 그 휴대 단말기(10)와 통신 가능한 통신 단말기(50)로부터 고지 출력시키기 위한 소재 위치 통지 시스템에서는, 휴대 단말기(10) 또는 통신 단말기(50)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지시(요구)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휴대 단말기 위치 취득 수단(GPS 수신부(24)가 대응)과, 휴대 단말기 위치 취득 수단(24)에 의해 취득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관하여, 통신 단말기(50)로부터 고지 출력시킬 때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고지 공개 레벨 결정 수단(주제어부(20) 및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이 기록된 휘발성 메모리(22)가 대응)과, 그 고지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50)로부터 고지 출력시키기 위한 그 휴대 단말기에 관한 고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고지 위치 정보 생성 수단(주제어부(20)가 대응)을, 모두 휴대 단말기(10)측에 구비하고 있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소재 위치 통지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은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이들 휴대 단말기 위치 취득 수단, 고지 공개 레벨 결정 수단, 고지 위치 정보 생성 수단을, 기지국(캐리어)이나 콘텐츠 프로바이 더 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의 소재 위치의 취득은, 기지국(캐리어)이 휴대 단말기(10)의 GPS 수신부(24)로부터 취득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기지국(캐리어)이 휴대 단말기(10)의 셀 서치 등을 이용하여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재 위치 통지 시스템에서는, 특히 고지 위치 정보 생성 수단에 대해서는, 휴대 단말기(10), 기지국(캐리어)이나 콘텐츠 프로바이더, 통신 단말기(50) 중 어느 쪽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에서는, 통신 상대 B에게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고지하는 경우의 상세를 규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의 공개 레벨 L의 설정은, 미리 이용자 A에 의한 휴대 단말기(10)의 조작부(12)의 소정 설정 조작에 기초하여,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마다, 사전에 설정 등록한 시간대마다나 소재 지역마다, 또는 이들 통신 단말기(50), 시간대, 소재 지역을 적절히 조합하여, 위치 정보 제공측의 휴대 단말기(10)에서 설정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예를 들면 경찰, 구급·소방, 자택 등과 같은 특정한 통신 상대에게 제공하는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은, 휴대 단말기(10)의 조작부(12)의 소정 설정 조작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아도, 이들 특정한 통신 상대에 대한 발신, 또는 발신처의 이들 특정한 통신 상대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외부로부터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경찰, 구급·소방, 자택 등과 같은 특정한 통신 상대에 대한 긴급 발신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기지국(캐리어)이나 특정한 통신 상대측에서 특정한 통신 상대 자신에 대한 공개 레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 둠으로써, 긴 급 사태에 따른 위치 정보의 파악을 적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는, 미리 이용자 A가 경찰, 구급·소방, 자택 등과 같은 특정한 통신 상대에 대하여 발신한 경우에만, 그 수신측인 특정한 통신 상대 B측의 통신 단말기(50)로부터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10)에 대하여 그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 L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특정한 통신 상대 B측으로부터의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10)에의 특별 발신에 의해서도,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10)에 대해서 그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 L을 설정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용자 A는,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 L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상대 B에만 의한 설정 변경의 허가 조건을, 조작부(12)를 소정 설정 조작하여 휴대 단말기(10)의 공개 레벨 결정 수단 등에 미리 등록해 두는 구성을 채용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 A는, 이 특정한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발신원 전화 번호 등)를 허가 단말기로서 등록하고, 패스워드 등을 포함하는 설정 변경의 허가 조건을 이 허가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미리 공개 레벨 결정 수단 등에 등록해 둔다. 이 경우, 설정 변경의 허가 조건으로서는, 패스워드 정보, 및 이 패스워드 정보에 대한 시간이나 지역 등에 대응한 유효·무효 조건이 해당한다. 그리고, 이 특정한 통신 상대 B에게는, 미리 설정한 패스워드 정보를 별도로 알려 둔다.
따라서,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10)는, 특정한 통신 상대 B측의 통신 단말기(50)로부터 이용자 A의 위치 정보의 공개 요구를 수신하면, 그 발신원 전화 번호 로부터 특정한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로부터의 공개 요구인 것을 확인하고, 패스워드 정보의 공급을 특정한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에 대하여 재촉한다. 이에 응답하여, 특정한 통신 상대 B가 통신 단말기(50)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소정의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하면,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10)는, 공급된 패스워드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소정의 패스워드 정보인 것을 확인하면, 다시 유효·무효 조건을 확인한 후에, 그 공개 요구에 의해 지정된 공개 레벨 L로, 이용자 A의 소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 A로부터 특정한 통신 상대 B에 대하여 발신한 경우만에 한하지 않고, 특정한 통신 상대로부터의 공개 요구에 의해서도, 긴급한 경우 등에는, 이용자 A의 소재 위치 정보를 특정한 통신 상대 B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발신원의 통신 단말기를 특정하기 위해 허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또한 특정한 통신 상대 B인 것을 특정하기 위해 패스워드 정보를, 또한 이용자 A측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유효·무효 조건을 조합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발신원의 통신 단말기를 특정하기 위해 허가 단말기의 식별 정보, 특정한 통신 상대 B인 것을 특정하기 위해 패스워드 정보 중 어느 한쪽의 조건만으로, 이용자 A의 소재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특정한 통신 상대 B측으로부터 설정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긴급한 경우 이외에도, 통신 단말기측으로부터 공개 레벨을 상세 레벨로 변경할 수도 있으므로, 예를 들면 자단말기가 분실되었을 때에 자단말기를 찾는 경우 등에도 편리하다.
또한, 이 공개 레벨 L의 설정의 방법에 대해서도,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 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상대 B로부터의 위치 공개 요구의 수신에 기초하여 통신 상대 B에게 이용자 A 자신의 소재를 지도 상에서 고지하는 경우,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의 위치 공개 요구에 따라서 이용자 A 자신의 고지 위치 정보를 일단 공개한 후, 동일한 상대 단말기 B로부터 계속해서 재차 위치 공개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는, 미리 정한 특정한 조건 하에서는, 전회와 동일한 조건으로 이용자 A 자신의 고지 위치 정보를 통신 상대 B에게 공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로부터의 최초의 위치 공개 요구에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조작부(12)를 소정 조작해 둠으로써, 이용자 A 자신의 소재 영역을 지도 상에서 표시하는 원형의 소재 영역의 중심점을 GPS 수신부(24)에 의해 취득한 측위 데이터의 포인트 P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소재 영역을 생성하고, 통신 상대 B에게 고지 위치 정보로서 공개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 후, 동일한 상대 단말기 B로부터 계속해서 재차 위치 공개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이용자 A 자신의 소재가 동일하여 측위 데이터의 포인트가 변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측위 데이터의 포인트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생성한 지도 상에서 표시하는 원형의 소재 영역이 최초의 경우와 상이한 고지 위치 정보를 통신 상대 B에게 공개하게 된 경우에는, 전회 공개한 고지 위치 정보의 지도 상에서 표시한 원형의 소재 영역과 금회 공개한 고지 위치 정보의 지도 상에서 표시한 원형의 소재 영역의 상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공개 레벨보다도 상세한 정 밀도로, 이용자 A의 뜻에 반하여 자신의 소재가 통신 상대 B에게 파악되게 될 가능성이 발생한다.
도 11은, 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공개 레벨보다도 상세한 정밀도로, 이용자 A 자신의 소재가 통신 상대 B에게 파악되게 되는 현상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용자 A 자신의 소재가 동일하여 측위 데이터의 포인트 P가 변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측위 데이터의 포인트 P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생성한 지도 상에서 표시하는 원형의 소재 영역(통신 상대 B에 의해 파악되는 이용자 A의 위치 정보) D가, 1번째와 2번째의 위치 공개 요구에 대하여 영역 D1, D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르게 작성되게 된 경우에는, 설정한 공개 레벨보다도 실질적으로 상세한 공개 레벨로, 이용자 A가 영역 D1, D2의 중복되는 영역 D12 내에 소재하고 있는 것이, 통신 상대 B에게 파악되게 된다.
한편, 이용자 A 자신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 A 자신의 소재를 지도 상에서 표시하는 원형의 소재 영역의 중심점을, GPS 수신부(24)에 의해서 취득한 측위 데이터의 포인트로부터 어긋나게 하거나/어긋나게 하지 않는 것과는 관계없이,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로부터의 최초의 위치 공개 요구에 따라서 통신 상대 B에게 이용자 A 자신의 소재 영역을 공개한 후, 동일한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로부터의 반복의 위치 공개 요구에 대하여, 그 때마다, 무조건적으로 이용자 A 자신의 고지 위치 정보를 공개한 경우에는, 이번에는 이용자 A의 뜻에 반하여, 이용자 A 자신의 상세한 이동 궤적이 통신 상대 B에게 파악되게 될 가능성이 생긴다.
도 12는, 이용자 A 자신의 상세한 이동 궤적이 이용자 A의 뜻에 반하여 통신 상대 B에게 파악되게 되는 현상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2 중에서, T1~T4는, 동일한 통신 상대 B의 통신 단말기(50)로부터의 반복의 위치 공개 요구에 따라서, 그 때마다,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10)에 의해 통신 상대 B에게 고지 위치 정보를 공개한 타이밍 T를 나타냄과 함께, DT1~DT4는, 각 타이밍 T1~T4에서 통신 상대 B에게 각각 공개한 고지 위치 정보에 의한 지도 상에 표시한 이용자 A의 소재 영역의 내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통신 단말기(50)로부터의 위치 공개 요구의 반복이 빈번하게 행하여진 경우에는, 이용자 A의 휴대 단말기(10)에 의한 통신 상대 B에의 고지 위치 정보의 공개 간격이 짧아지게 되어, 통신 상대 B측에서, 그 때마다 T1~T4의 고지 위치 정보에 의한 지도 상에 표시한 이용자 A의 소재 영역 DT1~DT4를 서로 겹치게 함으로써, 이용자 A의 뜻에 반하여, 이용자 A 자신의 상세한 이동 궤적 DD가 통신 상대 B에게 파악되게 된다.
따라서,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10)의 주제어부(20)는, 전술한 도 5에 도시한 스텝 SA12의 자신의 위치 정보 취득 처리, 스텝 SA13의 통신 상대 B에 대한 자신의 공개 레벨의 결정 처리, 스텝 SA14의 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의 상대 단말기(50)에의 출력 처리에서, 더욱 특정한 조건을 부가하여 실행함으로써 대처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금회의 통신 상대 B로부터의 위치 공개 요구의 수신 시각이, 도 6에 도시한 이력 축적 메모리(28)의 기록 내용을 참조하여 얻어진 동일한 통신 상 대 B의 전회 위치 공개 요구의 수신 시각에 대하여, 이용자 A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회 위치 공개 요구의 수신에 대해서와 동일한 공개 조건(공개 범위)으로, 전회와 동일한 고지 위치 정보 내용을 통신 상대 B에게 공개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용이하게 그 해결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금회의 통신 상대 B로부터의 위치 공개 요구의 수신에 기초하여, 스텝 SA12의 자신의 위치 정보 취득 처리에서 취득한 위치 정보가, 금회의 통신 상대 B에 관계없이, 그 직전의 위치 공개 요구의 수신에 대하여 상대방에게 공개한 고지 위치 정보에 의한 지도 상에 표시한 소재 영역 D 내에 현재도 속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소재 영역 D 내에 현재도 소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직전의 위치 공개 요구의 수신에 대해서와 동일한 공개 조건(공개 범위)으로 동일한 고지 위치 정보 내용을 통신 상대 B에게 공개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도, 용이하게 그 해결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동일한 통신 상대 B로부터 계속해서 소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고 위치 공개 요구의 수신이 있었던 경우의 대응 처리, 직전의 위치 공개 요구의 수신에 대하여 상대방에게 공개한 고지 위치 정보에 의한 지도 상에 표시한 소재 영역 D 내에 현재도 소재하고 있는 경우의 대응 처리는, 각각 개별로 행하도록 해도, 또는 양자를 조합하여 함께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 처리를 더욱 겸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의 이용자 A 자신의 소재 위치에 대하여 상대에게 알리는 위치 정보의 상세 레벨(소위 상대에게 알리는 위치 정보의 입도나 그 알리는 빈도)을 낮추어,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더욱 도모할 수 있 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상대 B로부터의 위치 공개 요구에 상관없이, 이용자 A에 의한 휴대 단말기(10)의 내부 타이머에 의한 소정 시간마다의 계시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공개 레벨 등록 테이블(27)에 등록된 소정의 통신 상대 B에 대하여, 그 설정되어 있는 시간대별 공개 레벨이나 소재 지역별 공개 레벨에 따른 고지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라도, 예를 들면, 그 내부 타이머가 계시하는 소정 시간을 미리 조작부(12)의 조작으로 이용자 A가 설정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 둠으로써, 마찬가지의 대응이 가능하다. 이 경우, 통신 상대 B에게 알리는 이용자 A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은, 시간대별 공개 레벨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그 시간대 내에서 통신 상대 B에게 알리는 빈도도, 내부 타이머가 계시하는 소정 시간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이용자가, 자신이 있는 곳을 알리는 통신 상대에 따라서, 자신의 소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의 상세 정도를 공개 레벨에 의해 규정해 둘 수 있으므로, 자신이 있는 곳을 알리는 통신 상대에게 필요 이외의 자신의 소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프라이버시 보호가 도모되는 한편, 긴급 연락의 경우 등, 통신 상대에게 자신의 소재 위치에 관한 정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통신 상대가 필요로 하는 자신의 소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밀한 위치 정보를 빠짐없이 제공할 수 있어, 그 대응 작업의 신속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이용자가, 자신이 있는 곳을 통상은 알리는 통신 상대라도, 소재 지역/시간대에 따라서 제어하여, 상대에게 필요 이외의 자신의 소재 위치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프라이버시 보호를 도모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Claims (50)

  1.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과,
    상대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요구 공개 레벨을 포함하는 자신의 위치 정보에 대한 공개 요구를 수신하는 공개 요구 수신 수단과,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수신한 공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공개 레벨 결정 수단과,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출력 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서 소재 장소의 주소 정보를 표시하도록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서 소재 장소의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얻기 위한 지도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지도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지도 정보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로서, 상기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자신의 위치 정보에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을 부가하여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공개 요구를 발신해 오는 상대 단말기의 상대 단말기 정보에 각각 대응시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기록하는 상대 단말기별 공개 레벨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은, 상기 상대 단말기별 공개 레벨 기억 수단의 기록 내용과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수신한 공개 요구에 포함되는 상대 단말기의 정보에 따라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설정 등록하는 공개 레벨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은, 상기 공개 레벨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 등록된 입력 공개 레벨에 따라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대 단말기로부터의 공개 요구에 포함되는 요구 공개 레벨을 자신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요구 공개 레벨 확인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은, 상기 요구 공개 레벨 확인 수단에 의해 자신의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 공개 레벨의 승인에 기초하여, 상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 공개 레벨을 상대 단말기에 대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공개 레벨 확인 수단에 의해 자신의 표시부에 표시된 상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 공개 레벨의 불승인에 기초하여, 상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 공개 레벨을 설정 변경하는 요구 공개 레벨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은, 상기 요구 공개 레벨 변경 수단에 의해 상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 공개 레벨이 설정 변경된 경우에는, 해당 설정 변경된 공개 레벨을 상대 단말기에 대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상대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은, 상기 상대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에 맞추어 상대 단말기에 대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 또는 해당 공개 레벨에 기초하여 상대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자신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공개 정보 확인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정보 확인 수단에 의해 자신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자신의 위치 정보는,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소재 장소의 주소 정보 혹은 소재 표시 지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공개 정보 확인 수단에 의해 확인되는 공개 레벨, 혹은 자신의 소재 장소의 주소 정보 혹은 소재 표시 지도 정보의 승인에 기초하여,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상대 단말기에 전송한 자신의 위치 정보에 관련되는 공개 레벨의 이력을 축적하는 이력 축적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항에 있어서,
    공개 레벨은, 상대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자신의 위치 정보의 상세를 규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며, 파라미터 중에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 것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3항에 있어서,
    상대 단말기에서 자신의 소재 장소의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해서,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는, 상기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소재 범위 내에 포함함과 함께,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따라서 소재 범위의 크기가 가변 설정된 소재 범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이,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소재 장소의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서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자신의 위치 정보와, 소재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대 단말기에서 소재 표시 지도상에서 표시되는 자신의 소재 범위의 중심 위치 정보는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이,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소재 장소의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서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자신의 위치 정보와, 소재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대 단말기에서 소재 표시 지도상에서 표시되는 자신의 소재 범위의 중심 위치 정보는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과,
    상대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자신의 위치 정보에 대한 공개 요구를 수신하는 공개 요구 수신 수단과,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수신한 공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자단말기의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자신의 위치 정보에 의한 소재 지역에 따라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공개 레벨 결정 수단과,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출력 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소재 지역에 대응시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기록하는 지역별 공개 레벨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은, 상기 지역별 공개 레벨 기억 수단의 기록 내용과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공개 요구를 수신한 때에 취득된 자신의 위치 정보에 의한 소재 지역에 따라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소정의 공개 레벨에 대응하는 자신의 소재 지역을 상기 지역별 공개 레벨 기억 수단에 설정 등록하는 공개 레벨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은,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공개 요구를 수신한 때에 취득된 자신의 위치 정보가 상기 지역별 공개 레벨 기억 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소재 지역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자신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소재 지역에 대응한 소정의 공개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소정의 공개 레벨은,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는 공개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소정의 공개 레벨은,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금지시키는 공개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7. 제24항에 있어서,
    자신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공개 레벨이 변화될 때마다, 공개 레벨의 변화를 자신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공개 레벨 변화 확인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8.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과,
    상대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자신의 위치 정보에 대한 공개 요구를 수신하는 공개 요구 수신 수단과,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공개 요구를 수신한 공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공개 요구를 수신한 시간대에 따라서 결정하는 공개 레벨 결정 수단과,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출력 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9. 제28항에 있어서,
    공개 요구를 수신한 시간대에 대응시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기록하는 시간대별 공개 레벨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은,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공개 요구를 수신한 때의 수신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대별 공개 레벨 기억 수단의 기록 내용에 따라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소정의 공개 레벨에 대응하는 시간대를 상기 시간대별 공개 레벨 기억 수단에 설정 등록하는 공개 레벨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은,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공개 요구를 수신한 때의 수신 시각이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시간대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수신 시각이 범위 내 포함되는 시간대에 대응한 소정의 공개 레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소정의 공개 레벨은,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는 공개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2. 제30항에 있어서,
    소정의 공개 레벨은,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금지시키는 공개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3. 제29항에 있어서,
    시각의 경과에 따라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공개 레벨이 변화될 때마다, 공개 레벨의 변화를 자신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공개 레벨 변화 확인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4.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서,
    상대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자신의 위치 정보에 대한 공개 요구를 수신하는 공개 요구 수신 수단과,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에 의한 공개 요구의 수신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수신한 공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공개 레벨 결정 수단과,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출력 수단
    을 갖고,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에 의해 금회 수신한 공개 요구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범위 내에서의 동일한 상대 단말기로부터의 반복의 공개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공개 요구 판정 수단과,
    상기 공개 요구 판정 수단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금회 수신한 공개 요구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범위 내에서의 동일한 상대 단말기로부터의 반복의 공개 요구인 경우에는, 전회 공개 요구의 수신 시에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상대 단말기에 전송한 것과 동일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동일한 위치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시켜, 금회 수신한 공개 요구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범위 내에서의 동일한 상대 단말기로부터의 반복의 공개 요구가 아닌 경우에는, 금회 수신한 공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이 결정한 공개 레벨에 의해서 생성된, 새로운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전송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5.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서,
    상대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자신의 위치 정보에 대한 공개 요구를 수신하는 공개 요구 수신 수단과,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에 의한 공개 요구의 수신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수신한 공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공개 레벨 결정 수단과,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출력 수단
    을 갖고,
    금회 수신한 공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자신의 금회 위치 정보가, 전회 수신한 공개 요구에 기초하여 전회 출력 수단으로부터 상대 단말기에 전송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의 소재 범위에 속하고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과,
    상기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금회 위치 정보가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전회 전송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의 소재 범위에 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금회 수신한 공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전회 전송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위치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고, 금회 위치 정보가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전회 전송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의 소재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금회 수신한 공개 요구에 따라서, 금회 위치 정보 및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이 금회 공개 요구에 기초하여 결정한 공개 레벨로 생성한, 새로운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6.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서,
    상대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자신의 위치 정보에 대한 공개 요구를 수신하는 공개 요구 수신 수단과,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에 의한 공개 요구의 수신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수신한 공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자단말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공개 레벨 결정 수단과,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출력 수단과,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상대측으로부터 변경 가능한 미리 설정된 허가 조건이 기억되어 있는 허가 조건 기억 수단과,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대 단말기의 통신 상대가 상기 허가 조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허가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특정 통신 상대 판별 수단
    을 갖고,
    상기 공개 레벨 결정 수단은, 상기 특정 통신 상대 판별 수단이 허가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에는,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수단이 수신한 공개 요구에 의한 공개 레벨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허가 조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허가 조건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8.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공개시키기 위한 공개 요구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공개 요구 발신 수단과,
    상기 공개 요구 발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에 출력된 공개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개 레벨에 기초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취득하는 상대 위치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상대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공개 레벨에 기초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자신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상대 단말기 위치 확인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개 레벨에 기초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재 장소의 주소 정보 또는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 위치 확인 수단은, 상기 상대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소재 장소의 주소 정보 또는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자신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개 레벨에 기초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로서, 공개 레벨이 부가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 위치 확인 수단은, 상기 상대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이 수신하여 취득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공개 레벨이 부가된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재 장소의 주소 정보 또는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자신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1. 제40항에 있어서,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얻기 위한 지도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공개 레벨이 부가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지도 정보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3. 삭제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공개 요구에 포함되는 요구 공개 레벨을 지정 입력하는 공개 레벨 지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개 요구 발신 수단은, 상기 공개 레벨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요구 공개 레벨을 포함하는 공개 요구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5.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기 위치 확인 수단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재 장소 정보 또는 소재 표시 지도 정보를 자신의 표시부에 표시할 때, 상기 소재 장소 정보 또는 소재 표시 지도 정보 중의 소재 영역 정보의 정밀도 레벨을 공개 레벨에 따른 정밀도 레벨로써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관련되는 공개 레벨의 이력을 축적하는 이력 축적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에서 이용되는 자신의 소재 위치 통지 방법으로서,
    상대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요구 공개 레벨을 포함하는 자신의 위치 정보에 대한 공개 요구를 수신하는 공개 요구 수신 스텝과,
    상기 공개 요구 수신 스텝에 의한 공개 요구의 수신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 스텝과,
    수신한 공개 요구에 따라서, 취득한 자신의 위치 정보의 공개 레벨을 결정하는 공개 레벨 결정 스텝과,
    결정된 공개 레벨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공개 요구를 발신한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출력 스텝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위치 통지 방법.
KR1020077017500A 2004-12-28 2005-12-28 휴대 단말기, 통신 단말기, 이들을 이용한 소재 위치 통지시스템, 및 소재 위치 통지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83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81358 2004-12-28
JP2004381358 2004-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757A KR20070092757A (ko) 2007-09-13
KR100883481B1 true KR100883481B1 (ko) 2009-02-27

Family

ID=3661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5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3481B1 (ko) 2004-12-28 2005-12-28 휴대 단말기, 통신 단말기, 이들을 이용한 소재 위치 통지시스템, 및 소재 위치 통지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46004B2 (ko)
EP (1) EP1835771A4 (ko)
JP (3) JP4459238B2 (ko)
KR (1) KR100883481B1 (ko)
CN (1) CN101133668B (ko)
WO (1) WO2006070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4816B2 (en) 2004-12-01 2019-12-24 Uber Technologies, Inc. Enhanced user assistance
US10687166B2 (en) 2004-09-30 2020-06-16 Uber Technologies, Inc. Obtaining user assistance
US10445799B2 (en) 2004-09-30 2019-10-15 Uber Technologies, Inc. Supply-chain side assistance
US7809805B2 (en) 2007-02-28 2010-10-05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locating web-based social network members
US8358976B2 (en) 2006-03-24 2013-01-22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Wireless device with an aggregate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other devices
US8787937B2 (en) * 2006-09-30 2014-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net service based on user's location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615251B2 (en) * 2006-10-05 2013-12-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position data
KR100820027B1 (ko) 2006-11-30 2008-04-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위치 기반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8214746B2 (en) * 2007-03-15 2012-07-03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Establishment of message context in a collaboration system
EP2141903A4 (en) * 2007-03-22 2012-03-21 Nec Corp MOBILE TERMINAL WITH THE FUNCTION OF AUTOMATIC MESSAGE OF POSITION
JP2008252298A (ja) 2007-03-29 2008-10-16 Sony Corp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50087B2 (ja) * 2007-07-04 2010-09-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検索仲介システム
USD596191S1 (en) * 2007-07-10 2009-07-14 Sap Ag Computer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an icon for map navigation
US8583079B2 (en) 2007-08-14 2013-11-12 Mpanion, Inc. Rich presence status based on location, activity, availability and transit status of a user
US12439340B2 (en) 2007-08-14 2025-10-07 Mpanion, Inc. Real-time location and presence using a push-location client and server
US8489111B2 (en) 2007-08-14 2013-07-16 Mpanion, Inc. Real-time location and presence using a push-location client and server
US8050690B2 (en) * 2007-08-14 2011-11-01 Mpanion, Inc. Location based presence and privacy management
KR101435803B1 (ko) * 2007-10-15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기기 및 통신 기기의 이동 정보 전송 방법
KR101430452B1 (ko) * 2007-10-15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기기 및 이것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101430454B1 (ko) * 2007-10-16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기기 및 이것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20100114935A (ko) * 2008-02-20 2010-10-26 프랑스 텔레콤 객체의 위치추적
JP4840395B2 (ja) * 2008-04-18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9265771A (ja) * 2008-04-22 2009-11-12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提供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等
JP4548529B2 (ja) * 2008-08-18 2010-09-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撮像装置、情報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855665B2 (en) * 2008-12-17 2014-10-07 Avaya Inc. Location privacy enforcement in a location-based services platform
JP5139256B2 (ja) * 2008-12-22 2013-02-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位置取得システム
JP5175790B2 (ja) * 2009-03-17 2013-04-03 ヤフー株式会社 コミュニティ情報流通装置、コミュニティ情報流通方法、およびコミュニティ情報流通プログラム。
US20100318588A1 (en) * 2009-06-12 2010-12-16 Avaya Inc. Spatial-Temporal Event Correlation for Location-Based Services
JP5233940B2 (ja) * 2009-09-30 2013-07-1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監視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119027B2 (en) * 2009-10-06 2015-08-25 Facebook, Inc. Sharing of location-based content item in social networking service
KR101749992B1 (ko) * 2009-11-13 2017-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간 범위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방법
US20110201356A1 (en) * 2010-02-18 2011-08-18 Palm,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data to mobile devices
US20110244840A1 (en) * 2010-03-30 2011-10-06 Telenav, Inc. Communication system with caller identific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10111022A (ko) * 2010-04-02 2011-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정보보호 방법 및 장치
US8818350B2 (en) * 2010-06-21 2014-08-26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driven data sharing
JP2012015636A (ja) * 2010-06-29 2012-01-19 Navitime Japan Co Ltd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位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95630B1 (en) 2010-08-01 2015-03-31 Tulsa Holdings, Llc Telephony and applications communication in a non-mobile telephone system
EP2604048B1 (en) * 2010-08-13 2019-09-2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shared personal map layer
JP5548082B2 (ja) * 2010-09-27 2014-07-16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374628B1 (en) 2010-11-10 2013-02-12 Google Inc. Providing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on a telephone device
JP5611781B2 (ja) * 2010-11-12 2014-10-22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154564B2 (en) * 2010-11-18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Interacting with a subscriber to a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passive behavior of the subscriber
US20120172050A1 (en) * 2010-12-29 2012-07-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based on spatial trails
US8913552B2 (en) * 2011-01-24 2014-1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atiotemporal annotation of data packets in wireless networks
JP5863255B2 (ja) * 2011-02-25 2016-02-16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10336B2 (ja) * 2011-03-29 2015-04-30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近傍端末抽出システム、情報端末、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110639B1 (ko)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005351A1 (en) * 2011-06-30 2013-01-03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ing the location of a device
EP2712212A4 (en) * 2011-07-01 2014-10-29 Huawei Device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DELIVERY BASED ON LOCATION
JP2015057870A (ja) * 2011-12-01 2015-03-26 株式会社Geohex 位置データ加工サーバ、携帯通信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D679287S1 (en) * 2012-02-02 2013-04-02 Adam Matthew Root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79286S1 (en) * 2012-02-02 2013-04-02 Adam Matthew Root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79720S1 (en) * 2012-02-02 2013-04-09 Adam Matthew Root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8856238B2 (en) * 2012-02-09 2014-10-07 Microsoft Corporation Representing remotely available users through working elsewhere status
JP5936386B2 (ja) 2012-02-17 2016-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6012197B2 (ja) 2012-02-17 2016-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5438795B2 (ja) * 2012-03-27 2014-03-12 三菱スペース・ソフトウエア株式会社 仲介装置及び位置情報使用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仲介方法
JP5868253B2 (ja) * 2012-04-20 2016-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情報処理装置及びセンタ装置
JP6267636B2 (ja) * 2012-06-18 2018-01-24 エイディシ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音声応答装置
JP6017871B2 (ja) * 2012-07-24 2016-11-02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850819B2 (ja) * 2012-10-17 2016-02-03 株式会社 ゼネテック 携帯情報端末及び位置情報発信プログラム
JP5314184B1 (ja) * 2012-11-30 2013-10-16 株式会社ソフィア データ交換システム及びデータ交換方法
US9198002B2 (en) * 2013-03-15 2015-1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er-to-peer device movement communications
US20150065178A1 (en) * 2013-09-03 2015-03-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positioning assistance data
JP5742914B2 (ja) * 2013-11-05 2015-07-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制御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686600B (zh) * 2013-11-27 2017-04-05 深圳酷派技术有限公司 终端和信息保护方法
KR102092057B1 (ko) * 2013-12-13 202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공유 방법 및 장치
JP5782142B2 (ja) * 2014-01-06 2015-09-24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位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76968B2 (en) 2014-04-01 2019-1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a shared user experience of facilitate communication
CN103957502A (zh) * 2014-04-04 2014-07-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位置服务程序选择方法、装置及终端
JP6552160B2 (ja) * 2014-04-17 2019-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52559B2 (en) 2014-05-06 2017-01-24 Elwha Llc System and methods for verifying that one or more directives that direct transport of a second end user does not conflict with one or more obligations to transport a first end user
US9483744B2 (en) 2014-05-06 2016-11-01 Elwha Llc Real-time carpooling coordinating systems and methods
US10458801B2 (en) 2014-05-06 2019-10-29 Uber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vel planning that calls for at least one transportation vehicle unit
US11100434B2 (en) 2014-05-06 2021-08-24 Uber Technologies, Inc. Real-time carpooling coordinating system and methods
JP6372237B2 (ja) * 2014-08-15 2018-08-15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USD791144S1 (en) * 2014-08-21 2017-07-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lay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792120B (zh) * 2014-12-23 2019-10-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路径轨迹的获取方法及系统
WO2016121387A1 (ja) * 2015-01-29 2016-08-04 株式会社デンソー 画像生成装置及び画像生成方法
JP2015208039A (ja) * 2015-07-16 2015-11-19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6375993B (zh) * 2015-07-20 2021-08-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设备、电子设备搜寻系统及方法
KR102676115B1 (ko) * 2016-12-12 202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JP6840095B2 (ja) * 2018-01-24 2021-03-10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制御装置、情報制御方法及び情報制御プログラム
USD890789S1 (en) * 2018-08-23 2020-07-21 Embold Health,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22140274A (ja) * 2021-03-12 2022-09-26 日本電気株式会社 測位装置、測位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JP7319341B2 (ja) * 2021-11-12 2023-08-01 サイボウズ株式会社 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位置情報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8776A (ja) * 2000-11-20 2002-05-31 Casio Comput Co Ltd 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4201218A (ja) * 2002-12-20 2004-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9902B1 (en) * 1997-04-09 2001-01-0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terminal, processing method by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network system
JP3721001B2 (ja) 1999-03-12 2005-11-30 富士通株式会社 移動体発見/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移動体発見/案内情報提供方法,移動体発見/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の管理センタおよび移動体用端末,並びにそれら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6505048B1 (en) * 1999-12-30 2003-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cation privacy feature for wireless mobile stations and method of operation
JP3881167B2 (ja) 2000-09-01 2007-02-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位置情報通知方法、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端末
US6640184B1 (en) * 2000-11-10 2003-10-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JP2002189655A (ja) * 2000-12-20 2002-07-05 Kyocera Corp 位置情報送信装置、位置情報受信装置及び位置情報通信方法
JP4336062B2 (ja) 2001-05-30 2009-09-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通信機器および情報通信方法
JP3627696B2 (ja) * 2001-09-12 2005-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位置情報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296272A (ja) * 2002-04-08 2003-10-17 Hitachi Ltd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クライアント側通信端末
JP2004048357A (ja) 2002-07-11 2004-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システム
JP2004215079A (ja) 2003-01-07 2004-07-29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電話制御システム、携帯電話制御方法、携帯電話装置、プログラム
JP2004282201A (ja) * 2003-03-13 2004-10-07 Ntt Docomo Inc 測位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JP2004343346A (ja) * 2003-05-14 2004-12-02 Ntt Docomo Hokkaido Inc 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8776A (ja) * 2000-11-20 2002-05-31 Casio Comput Co Ltd 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4201218A (ja) * 2002-12-20 2004-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96674A (ja) 2009-12-17
JP4459238B2 (ja) 2010-04-28
WO2006070877A1 (ja) 2006-07-06
KR20070092757A (ko) 2007-09-13
EP1835771A1 (en) 2007-09-19
CN101133668A (zh) 2008-02-27
JP2009296673A (ja) 2009-12-17
CN101133668B (zh) 2012-05-30
EP1835771A4 (en) 2012-01-04
US8046004B2 (en) 2011-10-25
JPWO2006070877A1 (ja) 2008-06-12
US20080090592A1 (en)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481B1 (ko) 휴대 단말기, 통신 단말기, 이들을 이용한 소재 위치 통지시스템, 및 소재 위치 통지 방법
US8359048B2 (en) Close proximity aler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US9031603B1 (en) Communication device
US7058385B2 (en) Emergency call system with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7574194B2 (en) Emergency ca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707311B2 (ja) 移動体通信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1420906B1 (ko) Gps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조회 및 안심 서비스 방법
EP1988522A1 (en) Mobile object monitoring system and mobile object monitoring method
US20120003956A1 (en) Real time sound/image capture and distibution to end recipient
JP5603606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通信装置
KR20050098557A (ko)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JP2005039700A (ja) 緊急連絡システムおよび緊急連絡方法
JP2005064784A (ja) 緊急通報受信センタと該センタを備えた緊急通報発生場所映像取得システム
JP3746704B2 (ja) 位置探索システム
EP13336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of terminal location
JP2007074449A (ja) 通信装置の位置情報を利用する通信システム
JP2010177802A (ja) 携帯電話システム、携帯電話端末、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0800693B1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873850B2 (ja) プライバシー保護方法とシステム及びその携帯通信機器と固定局
KR20100020358A (ko) 위기 상황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KR100979542B1 (ko) 편의정보제공 기능이 부가된 방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서비스 제공 방법
JP5597612B2 (ja) プライバシー保護方法と携帯通信機器
KR20060035053A (ko) 위치정보 정확도 조절방법
JP2004104606A (ja) 位置情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2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20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