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694B1 - Heat pipe type heat sink - Google Patents
Heat pipe type heat si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5694B1 KR100895694B1 KR1020070100852A KR20070100852A KR100895694B1 KR 100895694 B1 KR100895694 B1 KR 100895694B1 KR 1020070100852 A KR1020070100852 A KR 1020070100852A KR 20070100852 A KR20070100852 A KR 20070100852A KR 100895694 B1 KR100895694 B1 KR 1008956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pipe
- unit
- heat pipe
- loo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336—Heat pipes, e.g. wicks or capillary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33—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the conduit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circular cross-section, ann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발열원의 크기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고 방열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무소음 또는 저소음으로 방열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There is disclosed a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a heat dissipating area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size of a heat source and capable of radiating noiseless or low noise.
이 개시된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는, 발열원에 인접 배치된 흡열파이프부와, 연통된 흡열파이프부로부터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파이프부를 포함하고, 흡열파이프부 및 방열파이프부 내에 작동유체가 주입되도록 된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를 포함하며,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는 발열원을 중심으로 서로 인접하게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losed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includes a heat absorbing pipe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a heat source and a heat radiating pip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 absorbing pipe portion communicated to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unit heat pipe loops to be injected, wherein the plurality of unit heat pipe loops are radiall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heat sou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 'CPU'라 한다), 비디오 카드의 칩셋, 파워트랜지스터,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한다) 등의 전자부품은 작동시 열을 발생한다. 상기 전자부품이 과열되면 작동오류가 발생되거나 손상될 수 있는 바,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방열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video card chipset, a power transistor, a light-emitting diode (LED) Generates heat during operation. I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overheated, an operation error may be caused or damaged, and a heat dissipating device for preventing overheating is indispensably required.
일반적으로 방열장치는 상기한 전자부품과 같은 발열원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하여, 발열원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Generally, the heat dissipating device dissipates heat generated from a heat source such as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component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heat source from being overheated.
상기한 전자부품에 적용되는 방열장치의 일 예로서 종래에는 히트싱크형 방열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As one example of the heat dissipating devic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component, a heat sink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has been conventionally known.
이 히트싱크형 방열장치는 흡열부와, 방열부를 포함한다. 흡열부는 발열원과 인접 배치되어 열전도를 통하여 발열원에서 방출된 열을 흡수한다. 방열부는 흡열부와 일체를 이루며 흡열된 열을 열교환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핀으로 구 성된다.This heat sink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includes a heat absorbing portion and a heat dissipating portion. The heat absorbing por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eat source and absorbs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 source through the heat conduction. The heat dissipating part is formed of a heat dissipating fin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t absorbing part and discharging the heat absorbed by heat exchange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구성된 히트싱크형 방열장치는 상기 흡열부와 상기 방열부 사이의 거리, 상기 방열핀의 방열면적 및 소재의 열전도도에 따라 방열 효율이 결정된다.The heat dissipating efficiency of the heat sink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 absorbing portion and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the heat dissipating area of the heat dissipating fin,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material.
한편, 상기한 히트싱크형 방열장치는 전자부품의 집적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히트싱크의 크기가 점차 작아져야 하는 상황에서 방열핀의 표면적을 넓게 유지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방열핀의 표면적을 넓히더라도 흡열부와 방열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방열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In the meantime,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keep the surface area of the heat dissipating fin wide in a situation where the size of the heat sink must be gradually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integration and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Further, even if the surface area of the heat radiating fin is widened,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 absorbing portion and the heat radiating portion is increased, so that there is a limit in improving the heat radiating efficiency.
또한 종래의 방열장치는 고속 회전되는 방열팬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방열팬을 구동하기 위한 전력 소모가 수반되며, 방열팬의 구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heat dissipa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heat-dissipating fan that is rotated at a high speed.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for driving the heat radiating fan is accompanied, and noise is generated when the heat radiating fan is driven.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방열장치는 구조적 안정성 확보 및 열전도도를 고려하여 방열핀의 두께를 얇게 하는데 한계가 있는 바, 제조원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 conventional heat dissipating device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heat dissipating fin is reduced in view of secur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히트 파이프형 열교환 구조를 채용하여 방열효율을 높이고, 흡열부와 방열부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제약 없이 방열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무소음 또는 저소음으로 방열할 수 있으며, 얇은 두께로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 pipe type heat exchange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heat radiation efficiency and secure the heat radiation area without restriction on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 absorption part and the heat radiation part, And to provide a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that can dissipate heat with low noise and can secure a high structural stability with a small thicknes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는, 발열원에 인접 배치된 흡열파이프부와, 상기 흡열파이프부와 연통되며 상기 흡열파이프부로부터 전달된 열을 방출하는 방열파이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열파이프부 및 방열파이프부 내에 작동유체가 주입되도록 된 복수의 진동세관형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는 상기 발열원을 중심으로 서로 인접하게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전체가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도록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absorbing pipe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a heat source, and a heat radiating pip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heat absorbing pipe portion and discharging heat transmitted from the heat absorbing pipe portion And a plurality of vibrating tubular unit heat pipe loops into which the working fluid is injected into the heat absorbing pipe portion and the heat radiating pipe por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unit heat pipe loops are radiall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heat generating source , And the whole is communicated so as to form one loop.
여기서, 상기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는 전체가 하나의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웃하는 단위 히트 파이프 루프 사이에 배치되어 방열을 보조하는 보조 히트파이프 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nit heat pipe loops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o form one closed loop.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heat pipe loop disposed between the neighboring unit heat pipe loops to assist heat dissip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에 결합된 방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부재는 방출된 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ng member coupled to the plurality of unit heat pipe loops. Here, the heat dissipating member may include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flow of the discharged hea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열원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방사상으로 인접되게 설치된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가 설치되는 마운트와; 상기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마운트에 결합되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 exchanger comprising: a mount provided adjacent to the heat sourc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dially adjacent unit heat pipe loops; And a holder coupled to the mount with the plurality of unit heat pipe loops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열파이프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방열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radiating fan installed adjacent to the heat radiating pipe portion.
또한, 상기 각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는, 각각 양단부를 가지는 제1파이프부재 및 제2파이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이프부재의 일 단부가 상기 제2파이프부재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파이프부재의 타 단부는 이웃하는 단위 파이프 루프의 제2파이프부재의 타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Each of the unit heat pipe loops includes a first pipe member and a second pipe member each having both ends, and one end of the first pipe membe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pipe member do. Here,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pe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pe member of the neighboring unit pipe loop.
또한, 상호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부재의 단부 중 어느 하나는 확관될 수 있고, 상호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부재의 단부는 솔더링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Further, any one of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ipe members that are mutually coupled can be expanded, and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ipe members that are mutually coupled can be coupled by soldering.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는 방열효율이 우수한 히트 파이프를 사용하므로, 발열원 주변 공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설계할 수 있다.Since the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ses heat pipes having excellent heat radiation efficiency, various sizes and shapes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space around the heat sources.
또한, 히트 파이프는 속이 빈 관상의 세관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의 방열핀에 비하여 두께를 얇게 하더라고,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열장치는 종래의 방열장치와 대비하여 볼 때, 원자재 소모량이 적으므로 재료 절감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 pipe has a hollow tube-like tubular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heat pipe is thinn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heat dissipation fin, and the rigidity can be maintained. Therefore, the heat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mall amount of raw material consumption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heat dissipating device, and thus has a material saving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는 발열원에 대하여 방사상 구조로 배치된 히트 파이프를 채용함으로써, 전방위로 열을 방출할 수 있어서, 소음 없이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방열팬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도 저소음으로 높은 방열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 the heat pipe type heat dissip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adiate heat in all directions by adopting a heat pipe arranged in a radial structure with respect to a heat source, so that heat radi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without noise. Further, even when the heat radiating fan is further included, high heat radiation efficiency can be ensured with low noise.
또한, 본 발명은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를 형성함에 있어서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파이프부재를 접합하므로, 방열장치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pipe memb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joined to each other in forming the unit heat pipe loop, productivity of the heat dissipating device can be improv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Hereinafter, a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different embodiments,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와 보조 히트파이프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와 보조 히트파이프를 보인 평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nit heat pipe loop and an auxiliary heat pipe of the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unit heat pipe loop and the auxiliary heat pipe of FIG. 2. FIG.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는 방사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를 포함한다. 즉, 각각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가 상기 발열원(도 1의 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인접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발열원(1)에서 발생된 열을 방사상으로 전방위적으로 방열할 수 있어서,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heat pipe type heat si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여기서, 상기 발열원(1)의 예로는 CPU, 비디오 카드의 칩셋, 파워트랜지스터, LED 등의 전자부품이 있으며, 상기 발열원(1)의 종류나 형상에 따라 상기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의 크기와 형상은 다양화 될 수 있다. The size and shape of the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a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type and shape of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는 흡열파이프부(21)와 방열파이프부(23)를 포함한다. 흡열 파이프부(21)와 방열파이프부(23)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13)와 함께 작동유체(15)가 주입되어 있다. 상기 흡열파이프부(21)는 상기 발열원(1)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발열원(1)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파이프부(23)는 상기 흡열파이프부(21)로부터 방사상 구조의 외측으로 연통되어 상기 흡열파이프부(21)로부터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상기 각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는 열전도도가 높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가 상기 발열원(1)에서 발생된 열을 빠른 속도로 전도 받음과 아울러 그 내부에 주입된 기포의 체적변화를 빠르게 유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3, each unit
상기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 각각은 개루프(open loop) 형상을 가지며, 이웃하는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와 연통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이웃하는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와 연통될 수 있다.Each of the unit
전부가 서로 연통된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는 설계상 필요에 따라전체적으로 개루프 또는 폐루프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개루프의 경우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의 양단부는 밀폐된다. A plurality of unit heat pipe loops, all of which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can have an open-loop or closed-loop shape as a whole as the design requires. In the case of an open loop, both ends of the unit
또한,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가 독립적으로 방열 기능을 수행하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구별되고, 각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가 상호 연통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the plurality of unit
또한, 이웃하는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 사이에는 발열원(1)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보조 히트파이프 루프(2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이웃하는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 사이에 길이가 다른 세 개의 보조 히트파이프 루프(25)가 배치된 예 를 도시한 것이다. 보조 히트파이프 루프(25)는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 사이에서 방열을 보조함으로써 방열효율을 높인다. 보조 히트파이프 루프(25)의 수와 길이는 설계상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는 진동세관형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방열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진동세관형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방열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원리를 살펴보기로 한다.Further, between the neighboring unit
이 진동세관형 히트 파이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관(11) 내부에 기포(13)가 소정 비율로 발생하도록 작동유체(15)를 주입한 후 세관(11)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킨 구조를 가진다. 이 히트 파이프는 기포(13) 및 작동유체(15)의 부피팽창 및 응축에 의하여 열을 잠열 형태로 대량으로 수송하는 열전달 메카니즘을 가진다. As shown in FIG. 2, the vibrating tubular heat pipe has a structure in which a working
기본적인 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흡열파이프부(21)에서는 흡수된 열량만큼 핵비등(Nucleate Boiling)이 일어나면서 상기 흡열파이프부(21)에 위치된 기포들이 부피 팽창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관(11)은 일정한 내부 체적을 유지하므로, 상기 흡열파이프부(21)에 위치된 기포들이 부피 팽창을 한 만큼 상기 방열파이프부(23)에 위치된 기포들은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세관(11) 내의 압력 평형상태가 붕괴되면서, 세관형 히트 파이프는 상기 작동유체(15) 및 기포(13)의 진동을 포함한 유동을 수반하게 되고, 기포(13)의 체적 변화에 의한 온도의 승강에 의하여 잠열 수송을 함으로써 방열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basic principle, in the heat absorbing
이 진동세관형 히트 파이프는 일반적인 히트 파이프와는 달리 윅(wick)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설치 방향 상의 제약이 없으므로, 반드시 방열부가 흡열부의 하부에 위치되어야 하는 구조의 서모사이폰(thermosyphon)식 히 트 파이프에 비하여 설치 상의 제약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히트싱크형 방열장치와는 열수송 방식을 달리하므로, 히트 파이프 자체의 구조적 한계에 의한 크기 제약은 받지 않으므로, 발열원의 종류나 형상에 따라 그 크기를 다양화 할 수 있다.This vibrating tubular heat pipe is easy to manufacture because it does not include a wick unlike a general heat pipe.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is less than that of the thermosyphon type heat pip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eat radiation portion must be positioned below the heat absorption portion. In addition, since the heat transfer typ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t sink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the size limit can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type and shape of the heat source since the size restriction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heat pipe itself is not received.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는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를 설치하기 위하여 마운트(40)와 홀더(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40)는 상면에 상기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가 끼워지는 설치홈(4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홈(41)에 맞추어 상기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방열장치가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열원(1)은 상기 마운트(4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heat pipe type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홀더(50)는 상기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마운트(40)에 결합되어 상기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를 지지하는 것으로, 저면에 상기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가 끼워지는 결합홈(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마운트(40)의 설치홈(41)과 상기 홀더(50)의 결합홈(51)에 맞추어 상기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를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가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
이웃하는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 사이에 보조 히트파이프 루프(25)가 배치되는 경우, 보조 히트파이프 루프(25)도 상기한 마운트(40)와 홀더(5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auxiliary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변형 예에 따른 마운트(140)는 원통형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외주면에 상기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가 끼워지는 설치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발열원(1')은 상기 마운트(14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는 도 1의 단위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와 비교할 때 방열장치의 형상과 발열원(1')의 형상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마운트의 형상은 방열장치의 형상이나, 발열원의 종류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웃하는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 사이에 보조 히트파이프 루프(25)가 배치되는 경우, 보조 히트파이프 루프(25)는 상기한 마운트(140)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의 요부를 보인 부분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FIG. 5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heat pipe type heat radi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VI-VI in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는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에 결합되어 방열을 보조하는 방열부재(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열부재(30)는 상기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가 끼워지는 그루브(31)를 가질 수 있다.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와 방열부재(30)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방열부재(30)는 가이드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5)는 상기 방열부재(3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열부재(30)의 방열면적을 확장시킴과 아울러 방열된 열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도 7은 상기 가이드부(35)가 방열부재(30)의 상면으로 돌출된 구조를 예로 들어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방열부재(30)의 판면을 따라 전달되는 열의 흐름을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열부재(30)의 상면 방향으로 바꾸어 줄 수 있 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열장치가 적용되는 장치의 배치 구조에 적합하도록 방열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방열부재(30)는 필요에 따라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 사이에도 설치될 수 있고, 보조 히트파이프 루프(25)에도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heat pipe type heat sin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의 요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복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120) 각각은 제1 및 제2파이프부재(121)(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파이프부재(121)는 개구된 양단부 즉, 제1 및 제2단부(121a)(121b)를 가지는 것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진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상기 제2파이프부재(125)는 개구된 양단부 즉, 제3 및 제4단부(125a)(125b)를 가지는 것으로, 마찬가지로 절곡된 구조를 가진다. 제2파이프부재(125)는 상기 제1파이프부재(121)와 결합되어 개루프를 형성한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파이프부재(121)의 제1단부(121a)는 동일한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120)의 제2파이프부재(125)의 제3단부(125a)에 결합되고, 제1파이프부재(121)의 제2단부(121b)는 이웃하는 다른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120)의 제2파이프부재(125)의 제4단부(125b)에 결합된다.More specifically, the
여기서, 상기 제1단부(121a)와 상기 제3단부(125a) 사이의 결합 및 상기 제2단부(121b)와 상기 제4단부(125b) 사이의 결합시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20)의 내부 공간을 밀봉함과 아울러 결합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파이프부재(121)의 단부는 블로우(blow) 가공 등을 통하여 상기 제2파이프부재(125)의 단부 가 끼워질 정도로 확관(擴管)되어 있다. Here,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제2파이프부재(125)의 단부의 외주연에는 접착부재(129)가 부착될 수 있다. 접착부재는 예를 들어 솔더 링(solder ring)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부재(121)(125)의 대향되는 단부를 솔더링(soldering)에 의하여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를 구성하게 된다.A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열장치에 따르면, 제1파이프부재(121) 및 제2파이프부재(125)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방열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열부재(130)는 상기 제1파이프부재(121)에 결합되는 제1방열부재(131)와, 상기 제2파이프부재(125)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8 and 9, according to the heat dissipating devic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131)(135)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부재(121)(125)가 끼워지는 그루브(131a)(135a)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131)(135)는 방열 면적을 확장하고 방열된 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단위 히트 파이프 루프(120)를 구성함으로써,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는 방열팬(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팬(60)은 방열파이프부(2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방열파이프부(23)에서 방사된 열의 확산을 촉진시킴으로써, 방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열팬(60)은 히트싱크 방식의 종래의 방열장치에 비하여 회전 속도를 감속한 상태로 회전 구동된다. 이는 상기 방열팬(60)의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함이다.By configuring the unit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와 보조 히트파이프 루프를 보인 부분 사시도.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unit heat pipe loop and an auxiliary heat pipe loop of a heat pipe type heat si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와 보조 히트파이프 루프를 보인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unit heat pipe loop and auxiliary heat pipe loop of Figure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변형예에 따른 마운트가 포함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moun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의 요부를 보인 부분 정면도.FIG. 5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heat pipe type heat sin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VI-VI in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의 단위 히트파이프 루프 구조를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FIG.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unit heat pipe loop structure of a heat pipe type heat sin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도 7의 제1파이프부재에 제1지지부재가 결합된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pipe member in Fig.
도 9는 도 7의 제2파이프부재에 제2지지부재가 결합된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pipe member in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형 방열장치를 보인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1': 발열원 13: 기포1, 1 ': heat source 13: bubble
15: 작동유체 20, 120: 단위 파이프 루프15: working
21: 흡열파이프부 23: 방열파이프부21: heat absorbing pipe portion 23: heat radiating pipe portion
25: 보조 히트파이프 루프 30, 130: 방열부재25: auxiliary
31, 131a, 135a: 그루브 35, 137: 가이드부31, 131a, 135a:
40, 140: 마운트 50: 홀더40, 140: mount 50: holder
60: 방열팬 121: 제1파이프부재60: heat dissipating fan 121: first pipe member
125: 제2파이프부재 131: 제1지지부재125: second pipe member 131: first support member
135: 제2지지부재135: second supporting member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7)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00852A KR100895694B1 (en) | 2007-10-08 | 2007-10-08 | Heat pipe type heat sink |
| CN200880002583.4A CN101622917B (en) | 2007-10-08 | 2008-06-25 | Heat dissipating device using heat pipe |
| PCT/KR2008/003629 WO2009048218A1 (en) | 2007-10-08 | 2008-06-25 | Heat dissipating device using heat pipe |
| JP2009548175A JP2010516996A (en) | 2007-10-08 | 2008-06-25 |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on device |
| US12/448,831 US20100212865A1 (en) | 2007-10-08 | 2008-06-25 | Heat dissipating device using heat pipe |
| EP08766588.1A EP2198681A4 (en) | 2007-10-08 | 2008-06-25 | Heat dissipating device using heat pipe |
| US14/190,763 US20140166239A1 (en) | 2007-10-08 | 2014-02-26 | Heat dissipating device using heat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00852A KR100895694B1 (en) | 2007-10-08 | 2007-10-08 | Heat pipe type heat sink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35845A KR20090035845A (en) | 2009-04-13 |
| KR100895694B1 true KR100895694B1 (en) | 2009-04-30 |
Family
ID=4076098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1008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5694B1 (en) | 2007-10-08 | 2007-10-08 | Heat pipe type heat sink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95694B1 (en) |
| CN (1) | CN101622917B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1049302A2 (en) | 2009-10-21 | 2011-04-28 | 주식회사 자온지 |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pipe-type heat-dissipat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79777B1 (en) * | 2009-11-12 | 2011-11-04 | 아이스파이프 주식회사 | LED lighting apparatus,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
| KR101081550B1 (en) * | 2010-02-25 | 2011-11-08 | 주식회사 자온지 | LED lighting apparatus |
| KR101217224B1 (en) * | 2010-05-24 | 2012-12-31 | 아이스파이프 주식회사 | Heat-dissipating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
| KR101081548B1 (en) * | 2010-09-06 | 2011-11-08 | 주식회사 자온지 | LED lighting device and street light device having same |
| KR101996554B1 (en) * | 2018-10-08 | 2019-10-01 | 아이스파이프 주식회사 | Led ligh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
| KR102166978B1 (en) | 2018-12-13 | 2020-10-16 | (주)메탈라이프 | A cooling component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91171A (en) * | 2003-04-19 | 2004-10-28 | (주)프라임테크 |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type heat pipe |
| KR20060035004A (en) * | 2004-10-20 | 2006-04-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eat shield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2636418Y (en) * | 2003-06-16 | 2004-08-25 |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 Pulse heat pipe type electron element heat radiation cooling device |
-
2007
- 2007-10-08 KR KR1020070100852A patent/KR10089569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6-25 CN CN200880002583.4A patent/CN101622917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91171A (en) * | 2003-04-19 | 2004-10-28 | (주)프라임테크 |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type heat pipe |
| KR20060035004A (en) * | 2004-10-20 | 2006-04-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eat shield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1049302A2 (en) | 2009-10-21 | 2011-04-28 | 주식회사 자온지 |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pipe-type heat-dissipa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35845A (en) | 2009-04-13 |
| CN101622917A (en) | 2010-01-06 |
| CN101622917B (en) | 2012-08-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95694B1 (en) | Heat pipe type heat sink | |
| KR101070842B1 (en) | Heat-dissipa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 |
| JP2010516996A (en) | Heat pipe type heat dissipation device | |
| US9255743B2 (en) | Finned heat dissipation module | |
| US20060144565A1 (en) | Heat dissipation devices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 |
| US8879261B2 (en) | Heat-dissipating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 |
| EP2541138B1 (en) | Led lighting apparatus | |
| US9151544B2 (en) | Liquid-cooling heat exchange module | |
| WO2014004909A1 (en) | Cooling system for led device | |
| KR101023823B1 (en) | Heat Pipe Heat Sink | |
| US9905495B2 (en) | Thermal module | |
| KR20090128684A (en) | Heat pipe type heat sink | |
| AU2017245461A1 (en) | LED lighting apparatus | |
| KR20150139139A (en) | Led lighting apparatus | |
| KR101439286B1 (en) | Heat sink | |
| WO2009088135A1 (en) | Heat dissipating device using heat pipe | |
| KR20160130008A (en) | Heat pipe connecting structure for silent heat dissipation | |
| KR101180494B1 (en) | Heat-dissipating device for graphic card | |
| CN101472445B (en) | Radiating device | |
| KR20090075980A (en) | Heat pipe type heat sink | |
| CA2897344C (en) | Led lighting apparatus | |
| KR20210142247A (en) | Efficient LED car headlight device | |
| KR101573394B1 (en) | Heat sink for led lighting device | |
| KR20090128691A (en) | Heat pipe type heat sink | |
| KR20180120946A (en) | Cooling Module For Lighting Equip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S14-X000 | 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4-lic-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15-X000 | Request for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5-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4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10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424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4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