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142B1 - Car Booster - Google Patents
Car Boos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0142B1 KR100890142B1 KR1020070106406A KR20070106406A KR100890142B1 KR 100890142 B1 KR100890142 B1 KR 100890142B1 KR 1020070106406 A KR1020070106406 A KR 1020070106406A KR 20070106406 A KR20070106406 A KR 20070106406A KR 100890142 B1 KR100890142 B1 KR 1008901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booster
- vacuum pipe
- coupled
- sw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casing or by its strengthen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in vacuum systems or vacuum booster 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부스터의 커버에 결합되어 있는 베큠파이프의 각도를 차량을 조립시 발생되는 레이아웃에 따라 조절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boo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obile booster that can be used while adjusting the angle of the vacuum pipe coupled to the cover of the booster according to the layout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assembled.
일반적으로 차량을 조립시에는 공기압 이나 유압 및 전압등을 승압 시키거나 증폭 확대시키도록 하는 수개의 부스터를 엔진의 차이(가솔린, 디젤), 밋션의 종류(오토미션, 매뉴얼), 안티롤브레이크시스템(Anti-lock brack system)의 유무 및 전자제어서스펜션(Electronic controlled suspension)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개수로 엔진룸에 설치하여 조립하고 있다.In general, when assembling a vehicle, several boosters for boosting or amplifying air pressure, oil pressure, voltage, etc. can be used for different engines (gasoline, diesel), type of mission (auto mission, manual), anti-roll brake system ( It is assembled and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in an appropriate number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nti-lock brack system and the type of electronic controlled suspension.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용 부스터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승압이 이루어지거나 증폭된 유압이 통과하는 통과공(111)이 관통되어 형성된 커버(110)와, 상기 커버(110)에 형성된 통과공(111)을 통해 통과되는 유압이 호스로 전달되도록 하는 베큠파이프(120)로 구성되어 있다.Here, the conventional car booster includes a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부스터는 통과공(111)이 형성된 커버(110)의 외측부에 베큠파이프(120)의 일측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베큠파이프(120)의 타측부에는 차량에 설치된 각종장치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있는 호스(200)의 타측부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통과공을 통해 커버(110)의 외부로 승압이 이루어지거나 증폭된 유압이 빠져나오면서 니뿔파이프(120)로 전달되고, 상기 니뿔파이프(120)로 전달된 승압이 이루어지거나 증폭된 유압은 호스를 통해 상기 호스(200)의 타측부가 결합되어 있는 차량에 설치된 각종장치로 공급되어지게 된다.The conventional automotive booster is coupled to one side end of the
그러나 종래 자동차용 부스터는 통과공(111)과 연통되도록 커버(110)에 고정되게 베큠파이프(120)의 일측단부가 결합되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엔진룸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차량의 사양에 알맞은 각도로 베큠파이프(120)가 커버(110)에 결합되어 있는 부스터를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한다.However, the conventional car booste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차량에 알맞은 상태로 각각의 부스터(100)를 제작한 후 작업라인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차량의 조립라인에 알맞게 제작된 각각의 부스터를 보관하기 위한 각각의 보관창고를 필요로 하게 됨은 물론, 니뿔파이프(120)의 각도가 조립라인과 상이하게 커버(110)에 결합되어 있는 부스터(100)가 조립라인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조립라인 전체가 정지하게 됨으로써, 차량을 제작시 제작단가가 상승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in order to use the work line after manufacturing each
본 발명의 목적은 부스터의 커버에 결합되어 있는 베큠파이프의 각도를 차량을 조립시 발생되는 레이아웃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조절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공용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부스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oster for automobiles by allowing the operator to directly adjust the angle of the vacuum pipe coupled to the cover of the booster according to the layout generated during assembly of the vehicle. There is.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승압이 이루어지거나 증폭된 유압이 통과하는 통과공(111)이 관통되어 형성된 커버(110)와, 상기 커버(110)에 형성된 통과공(111)을 통해 통과되는 유압이 호스로 전달되도록 하는 베큠파이프(120)로 구성된 부스터(100)에 있어서, 상기 통과공(111)이 형성된 커버(110)의 내측면에 각도조절판(130)이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판(130)에 결합 및 분리되는 고정판(140)이 베큠파이프(120)에 형성되며, 상기 베큠파이프(120)에는 커버(110)의 외측면에 접하며 고정판(140) 이 각도조절판(13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는 스위치(150)가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the pressure is made or passed through the
한편, 상기 스위치(150)는 스프링(160)에 의해 탄력지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스위치(150)를 가압시키는 경우에는 스위치(150)가 스프링(160)을 압축 변형시키면서 베큠파이프(120)의 내부로 인입되어 커버(110)의 외측면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상기 스위치(15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제시키는 경우에는 스프링(16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150)가 베큠파이프(120)의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커버(110)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록킹력을 제공하게됨을 밝혀 둔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을 조립시 부스터의 커버에 결합되어 있는 베큠파이프의 각도를 조립라인에 알맞게 작업자가 변경시킨 상태에서 조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을 제작시 부품의 공용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차량을 제작시 제작단가가 절감되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ssembling the vehicle can be 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changed the angle of the vacuum pipe coupled to the cover of the booster in accordance with the assembly line when assembling the vehicle, making the parts common when manufacturing the vehicle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when the vehicle is manufactured.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3 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부스터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부스터의 커버에 니뿔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부스터의 커버로부터 니뿔파이프의 구속력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부스터의 각도조절판에 고정판이 결합되도록 인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ster for automob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ymph pipe is coupled to the cover of the boo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training force of the nipple pipe is released from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booster,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plate is coupled to the angle contro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ooster.
본 발명의 자동차용 부스터는 도 3과 도 5 및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승압이 이루어지거나 증폭된 유압이 통과하는 통과공(111)이 관통되어 형성된 커버(110)와, 상기 커버(110)에 형성된 통과공(111)을 통해 통과되는 유압이 호스로 전달되도록 하는 베큠파이프(120)로 구성된다. 3 and 5 and 6, the booster for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한편, 상기 통과공(111)이 형성된 커버(110)의 내측면에 각도조절판(130)이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판(130)에 결합 및 분리되는 고정판(140) 이 베큠파이 프(120)에 형성되며, 상기 베큠파이프(120)에는 커버(110)의 외측면에 접하며 고정판(140) 이 각도조절판(13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는 스위치(150)가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스위치(150)는 스프링(160)에 의해 탄력지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스위치(150)를 가압시키는 경우에는 스위치(150)가 스프링(160)을 압축 변형시키면서 베큠파이프(120)의 내부로 입입되어 커버(110)의 외측면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상기 스위치(15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제시키는 경우에는 스프링(16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150)가 베큠파이프(120)의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커버(110)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록킹력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고정판(140) 은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개의 삽입돌기(141)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141)가 인입출되는 인입출홈(131)이 각도조절판(130)에 형성됨을 밝혀 둔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자동차용 부스터는 커버(110)의 내측면에 결합된 각도조절판(130)의 인입출홈(131)에 베큠파이프(120)에 형성된 고정판(140) 의 삽입돌기(141)가 인입됨과 동시에 스위치(150)가 커버(11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큠파이프(120)가 유동되지 않으며 고정되게 커버(110)의 통과공(111)과 연통되도록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automobile booster of the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이때, 차량을 조립중인 조립라인에서 베큠파이프(120)의 각도를 차량을 조립시 발생되는 레이아웃에 따라 조절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스위치(150)에 압력을 가해주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angle of the
이때, 상기 스위치(150)를 턴지하고 있는 스프링(160)은 상기 스위치(15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압축변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스프링(160)이 압축 변형된 양만큼 스위치(150)는 베큠파이프(120)의 내부로 인입되어 커버(110)의 외측면과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스위치(150)가 커버(110)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베큠파이프(120)의 구속력을 해제시킨 후에는 작업자가 다시 베큠파이프(120)를 커버(110)의 내부 방향으로 밀어 고정판(140) 이 각도조절판(130)과 분리되도록 한다.In this way, after the
상기와 같이 고정판(140) 을 각도조절판(130)으로 분리시킨 후에는 베큠파이프(120)를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통과공(111)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베큠파이프(120)를 커버(110)의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각도조절판(130)의 인입출홈(131)으로 고정판(140) 의 삽입돌기(141)가 인입되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베큠파이프(120)에 설치된 스위치(150)는 스프링(16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베큠파이프(12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After the
이때, 상기 스위치(150)는 커버(110)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베큠파이프(120)가 커버(110)의 내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In this case, the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부스터를 보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r booster
도 2는 종래 자동차용 부스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r booster
도 3 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부스터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oster for automob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본 발명인 부스터의 커버에 니뿔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ymph pipe is coupled to the cover of the inventor booster
도 6은 본 발명인 부스터의 커버로부터 니뿔파이프의 구속력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training force of the nymph pipe is released from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booster
도 7은 본 발명인 부스터의 각도조절판에 고정판이 결합되도록 인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plate is coupled to the angle adjus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oost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부스터 110 : 커버100: booster 110: cover
111 : 통과공 120 : 베큠파이프111: through hole 120: Benin pipe
130 : 각도조절판 131 : 인입출홈130: angle control plate 131: draw-out groove
140 : 고정판 141 : 삽입돌기140: fixing plate 141: insertion protrusion
150 : 스위치 160 : 스프링150: switch 160: spring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06406A KR100890142B1 (en) | 2007-10-23 | 2007-10-23 | Car Boos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06406A KR100890142B1 (en) | 2007-10-23 | 2007-10-23 | Car Boost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90142B1 true KR100890142B1 (en) | 2009-03-20 |
Family
ID=406986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1064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0142B1 (en) | 2007-10-23 | 2007-10-23 | Car Boos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90142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224410A (en) | 1989-12-02 | 1993-07-06 | Graichen Kai Michael | Power booster with vacuum supply passage in position sensor housing |
| JPH0737844U (en) * | 1993-12-24 | 1995-07-14 | 自動車機器株式会社 | Check valve locking device |
| KR20000009946A (en) * | 1998-07-29 | 2000-02-15 | 오상수 | Vacuum connecting pipe fixing device of break booster for vehicle |
| KR20000005828U (en) * | 1998-09-03 | 2000-04-06 | 밍 루 | Vacuum connection pipe fixing device for vehicle brake booster |
-
2007
- 2007-10-23 KR KR1020070106406A patent/KR10089014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224410A (en) | 1989-12-02 | 1993-07-06 | Graichen Kai Michael | Power booster with vacuum supply passage in position sensor housing |
| JPH0737844U (en) * | 1993-12-24 | 1995-07-14 | 自動車機器株式会社 | Check valve locking device |
| KR20000009946A (en) * | 1998-07-29 | 2000-02-15 | 오상수 | Vacuum connecting pipe fixing device of break booster for vehicle |
| KR20000005828U (en) * | 1998-09-03 | 2000-04-06 | 밍 루 | Vacuum connection pipe fixing device for vehicle brake boost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853231A (en) | Pressure control device | |
| CN101489845B (en) | Valve unit, brake control device, automobile brake equipment and automobile | |
| EP1733941B1 (en) | Anti-lock brake system | |
| EP0352261B1 (en) | Unitary poppet valve assembly for a proportioning valve | |
| US10730500B2 (en) | Parking brake device for a utility vehicle | |
| US10502329B2 (en) | Reservoir purge valve | |
| US20160251008A1 (en) |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 |
| US10328919B2 (en) | Brake apparatus and brake system | |
| US20030071431A1 (en) | Suspension structure as accumulator for vehicle air systems | |
| US20190193706A1 (en) | Solenoid valve assembly for a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mounting a solenoid valve assembly for a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 |
| CN104973032A (en) |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 |
| CN112744198A (en) | Hydraulic block for a hydraulic unit of a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 |
| EP1439105B1 (en) | Brake traction control valve | |
| AU2018285930B2 (en) | Solenoid valve with an integrated check valve functionality for an air braking system of a heavy vehicle | |
| KR100890142B1 (en) | Car Booster | |
| US10408339B2 (en) | Hydraulic control module and solenoid assembly included therein | |
| US6846408B2 (en) | Filter assembly for a control valve in a vehicular brake system | |
| KR20180092606A (en) | Combining structure of master cylinder | |
| JP7397168B2 (en) | Hydraulic blocks for hydraulic units of hydraulic auxiliary power vehicle braking systems | |
| CA2383271A1 (en) | Solenoid clamp | |
| US20050023888A1 (en) | Control device for brake systems | |
| US6360778B1 (en) | Modulator body and fluid accumulator for use in vehicle brake system | |
| US20140217809A1 (en) | Actuator for controlling brake fluid pressure | |
| US10131337B2 (en) | Relay valve module of a pneumatic brake system | |
| JP5810001B2 (en) | Brake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for vehicl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3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31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