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1781B1 - Cooling structure for continous variable transmission of motorcycle - Google Patents

Cooling structure for continous variable transmission of motorcy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781B1
KR100891781B1 KR1020070084244A KR20070084244A KR100891781B1 KR 100891781 B1 KR100891781 B1 KR 100891781B1 KR 1020070084244 A KR1020070084244 A KR 1020070084244A KR 20070084244 A KR20070084244 A KR 20070084244A KR 100891781 B1 KR100891781 B1 KR 100891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transmission
engine
case
continuously vari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2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28273A (en
Inventor
히데노리 나구라
신 나베야
사토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8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2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78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16H57/0415Air cooling or ventilation; Heat exchangers; Thermal insulations
    • F16H57/0416Air cooling 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venting gearboxes, e.g. air breat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87Friction gearings
    • F16H57/0489Friction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e.g. belt CV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및 후륜 간에 설치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적어도 갖는 전동 장치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에, 무단 변속기를 수용하는 변속기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변속기실 내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와, 변속기실로부터 외부로 냉각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설치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충분한 레벨의 방수 성능을 얻는 동시에 배치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으로서, 일단이 배출구(150)에 액밀하게 접속되는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전동 케이스(59)의 상방으로 개방된다.

Figure R1020070084244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mission chamber for accommodat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 a transmission case accommodating a transmission including at least a belt-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rovided between an engine and a rear wheel, and an introduction port for introducing cooling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transmission chamber. In the cooling structure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 vehicl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cooling air from the transmission chamber to the outsid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50 in a liquid-tight manner by obtaining a sufficient level of waterproof performance and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arrangement.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passage 151 to be opened is opened above the transmission case 59.

Figure R1020070084244

Description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COOLING STRUCTURE FOR CONTINOUS VARIABLE TRANSMISSION OF MOTORCYCLE}Cooling structure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 {COOLING STRUCTURE FOR CONTINOUS VARIABLE TRANSMISSION OF MOTORCYCLE}

본 발명은, 엔진 및 후륜간에 설치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적어도 갖는 전동 장치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에, 상기 무단 변속기를 수용하는 변속기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변속기실 내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와, 상기 변속기실로부터 외부에 냉각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설치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on chamber for accommodating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s formed in a transmission case accommodating 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t least a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rovided between an engine and a rear wheel, and at the same time, cooling air is introduced into the transmission chamber from the outside. It relates to a cooling structure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 vehicle provided with an inlet for the outlet,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cooling air from the transmission chamber to the outside.

전동 케이스의 상부에, 변속기실 내로 통하는 배출구가 설치되고, 변속기실에 도입되어 무단 변속기를 냉각한 후의 냉각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A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ooling structure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 which an outlet opening through a transmission chamber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se and introduced into the transmission chamber to discharge cooling air after cooling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rom the discharge opening to the outside. have.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3-4227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42270]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냉각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 경우, 배출구로부터 변속기실 내 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벨은, 전동 케이스의 상부벽의 위치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보다 높은 레벨의 방수 성능을 원하면, 변속기실의 상부벽을 높게 설정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차량의 중심 위치에 영향을 주거나, 레이아웃의 제약을 초래하는 등, 배치의 자유도가 낮아진다. By the way,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when cooling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charge port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se, the level that can prevent the intrusion of water into the transmission chamber from the discharge port is the upper wall of the transmission case. Is affected by the position of. Therefore, if a higher level of waterproof performance is desired, it is necessary to set the upper wall of the transmission chamber high, and as a result, the degree of freedom of arrangement is lowered, such as affecting the center position of the vehicle or causing layout constraints.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충분한 레벨의 방수 성능을 얻음과 동시에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ling structur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 vehicle in which a sufficient level of waterproof performance can be obtained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arrangement can be increa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엔진 및 후륜간에 설치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적어도 갖는 전동 장치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에, 상기 무단 변속기를 수용하는 변속기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변속기실 내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와, 상기 변속기실로부터 외부에 냉각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설치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배출구에 접속되는 배출관로의 타단이, 상기 전동 케이스의 상방에서 개방되고, 상기 엔진은 냉각팬에 의한 냉각풍으로 엔진 본체를 냉각하는 강제 공냉 엔진, 또는 상기 냉각팬에 의한 냉각풍으로 라디에이터를 냉각하는 수냉식 엔진으로, 상기 냉각팬에 의한 냉각풍의 유통 방향에 따라 상기 냉각팬보다 상류측에서 엔진 슈라우드(shroud) 또는 라디에이터 슈라우드 내에, 상기 배출관로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of claim 1 is a transmission case for accommodating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s formed in a transmission case containing 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t least a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rovided between an engine and a rear wheel, In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 vehicle provided with an inlet for introducing cooling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transmission chamber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cooling air from the transmission chamber to the outside,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xhaust pipe. The engine is opened above the transmission case, and the engine is a forced air cooling engine cooling the engine main body with cooling wind by a cooling fan, or a water cooling engine cooling a radiator with cooling wind by the cooling fan. Engine shrou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cooling fan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wind by ud) or in the radiator shroud, the discharge line is in communication.

또한,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배출구가, 차체의 폭방향 중심측을 향해 상기 전동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로의 타단이, 상기 차체의 폭 방향 중심에 대해 상기 배출구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vention of claim 2 is that,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case toward the widthwise center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line i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utlet with respect to the center.

삭제delete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엔진 슈라우드 또는 라디에이터 슈라우드에, 윗쪽으로 돌출한 돌출 통부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로가 상기 돌출 통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4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1, a protruding tube portion protruding upward is provided in the engine shroud or the radiator shroud, and the discharge pipe passage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tube portion.

또한, 청구항 5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4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전동 케이스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후륜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배출관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vention of claim 5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1 or 4, the discharge pipe line is arranged to be accommodated between rear wheels dispos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nsmission case.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전동 케이스의 형상에 영향받지 않고, 변속기실로부터의 냉각 공기의 배출단을 차체의 적합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레벨의 방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배치 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냉각팬에 의해 슈라우드 내에 생기는 부압을 이용하여 변속기실로부터의 냉각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since the discharge end of the cooling air from the transmission chamber can be set at a suitabl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hape of the transmission case, a sufficient level of waterproof performance can be obtained and the degree of freedom in arrangement can be achieved. The cooling air from the transmission chamber can be efficiently discharged by using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shroud by the cooling fan.

또한,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비 등의 차량 측면으로부터의 물이 배출관로에 닿는 것을 막아, 전동 케이스 내로의 물의 침입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the vehicle side, such as rain, from reaching the discharge pipe path, thereby more reliably preventing the ingress of water into the transmission case.

삭제delete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슈라우드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한 돌출 통부에 배출관로를 연결함으로써, 배출관로 내로의 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discharge pipe passage can be suppressed by connecting the discharge pipe passage to the protruding cylinder portion projecting upward from the shroud.

또한,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좌우 한쌍의 후륜간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배출관로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5, the exhaust pipe can be arranged in a compact manner by efficiently using the spa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rear wheels.

도 l∼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살표 3에서 본 도면, 도 4는 펜더 및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3에 대응한 도면, 도 5는 펜더, 커버 및 에어 클리너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3에 대응한 도면, 도 6은 펜더, 커버 및 후륜을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3의 6-6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7-7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8-8선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7의 9-9선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10-l0선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3의 11-11선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3의 12-12선 확대 단면도, 도 13은 도 3의 13-13선 단면도, 도 14는 도 6의 화살표 14에서 본 확대도, 도 15는 도 14의 15-15선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16-16선 단면도이다.1 to 16 show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side view of a rocking type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 of FIG. 1, and FIG. 4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3 with the fender and the cover removed, FIG. 5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3 with the fender, the cover and the air cleaner removed, and FIG. Figure 6-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6 with the fender, the cover and the rear wheel omitted, Figure 7 is a section 7-7 of Figure 3, Figure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line 8-8 of Figure 6, Figure 9 9-9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FIG. 3, FIG. 10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line 10-0 of FIG. 3, FIG. 11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line 11-11 of FIG. 3, FIG. 12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line 12-12 of FIG. 1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3-13 of FIG. 3, FIG. 14 is an enlarged view seen from arrow 14 of FIG. 6, FIG. 1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5-15 of FIG. 14, and FIG. 1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6-16 of FIG.

우선, 도 1에 있어서, 소형 차량인 요동식 자동 삼륜차가 구비하는 차체(B)의 중앙부에는, 전면에 윈드스크린(21)을 배치한 루프 부착 캐빈(22)이, 저면을 저상식의 플로어(23)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빈(22)의 전방벽에 조향 핸들(24)이 지지되고, 차량 운전자를 앉히기 위한 승차용 시트(25)가 상기 캐빈(22) 내에서 조향 핸들(24)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차체(B)의 전방부에는, 상기 조 향 핸들(24)로 조향되는 단일 전륜(WF)이 조향 가능하게 현가되어 있고, 상기 승차용 시트(25)의 하방에서 차체(B)에는 파워 유닛(P)의 전방부가 요동 연결 기구(26)를 통해 연결되고, 좌우 한쌍의 후륜(WR …)이 파워 유닛(P)의 후방부에 축 지지되어 있다. First, in FIG. 1, in the center part of the vehicle body B with which the swing-type three-wheeled vehicle which is a small vehicle is equipped, the roof cabin 33 with the windscreen 21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urface has a low floor type floor ( 23, the steering wheel 24 is supported on the front wall of the cabin 22, and the riding seat 25 for seating the vehicle driver is the steering wheel 24 in the cabin 22. Is placed in the rear of the. Further, a single front wheel WF which is steered by the steering wheel 24 is suspen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body B so as to be steerable, and power is applied to the vehicle body B under the riding seat 25. The front part of the unit P is connected via the rocking | coupling connection mechanism 26,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WR ... are axially supported by the rear part of the power unit P. As shown in FIG.

상기 요동 연결 기구(26)는, 차체(B)의 후방측 하부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는 링크(27)와, 파워 유닛(P)에 설치된 브래킷(29) 및 상기 링크(27)의 타단사이를 연결하는 죠인트(28)로 이루어지고, 죠인트(28)는, 상기 링크(27)의 타단에 전단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죠인트 케이스(30)와, 상기 죠인트 케이스(30)에 전방부가 회전 자유롭게 삽입되는 동시에 후방부가 상기 브래킷(29)에 부착되는 죠인트축(31)과, 죠인트 케이스(30) 및 죠인트축(31)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부(32)를 가진다.The swing coupling mechanism 26 includes a link 27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B so as to swing back and forth, the bracket 29 provided on the power unit P, and the link 27. A joint 28 is formed between the other ends, and the joint 28 includes a joint case 30 in which a front end is swing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27, and a front part is connected to the joint case 30. It has a joint shaft 31 which is inserted freely rotatably and whose rear part is attached to the bracket 29, and a damper part 32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joint case 30 and the joint shaft 31.

이러한 요동 연결 기구(26)에 의해 파워 유닛(P)은 차체(B)에 대해 상하로 요동 자유롭고, 또한 좌우로 롤링 자유롭게 지지되게 되고, 상기 죠인트 케이스(30) 및 차체(B) 사이에는 쿠션 유닛(33)이 설치된다. The oscillation coupling mechanism 26 allows the power unit P to swing freely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B, and to be rolled freely to the left and right, and a cushion unit between the joint case 30 and the vehicle body B. 33 is installed.

도 2에 있어서, 상기 파워 유닛(P)은 4사이클인 엔진(E)과, 상기 엔진(E)의 동력을 양 후륜(WR, WR)에 전달하는 전동 장치(T)로 구성된 것이며, 전동 장치(T)는 상기 엔진(E)의 출력을 무단계로 변속하여 전동축(36)에 전달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37)와, 무단 변속기(37) 및 전동축(36) 사이에 설치되는 원심 클러치(38)와, 전동축(36)의 회전 동력을 감속하는 기어열(39)과, 좌우의 후륜(WR, WR)에 개별로 대응한 좌, 우측 차축(41L, 41R) 및 상기 기어열(39) 사이에 설치되는 차동 기어(40)를 구비한다. In Fig. 2, the power unit P is composed of an engine E that is four cycles and a transmission device T that transmits power of the engine E to both rear wheels WR and WR. (T) is a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37 for continuously transmitting the output of the engine E to the transmission shaft 36, and a centrifugal clutch provided between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37 and the transmission shaft 36. (38), the gear train 39 for reduc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electric shaft 36, the left and right axles 41L and 41R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WR and WR, respectively, and the gear train ( And a differential gear 40 interposed between 39.

상기 엔진(E)은, 예를 들면 수냉식 단기통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엔진 본체(42)는, 크랭크 케이스(43)와, 실린더 축선(C1)을 차체(B)의 전후 방향을 따르게 한 대략 수평으로 크랭크 케이스(4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블록(44)과, 실린더 블록(44)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45)와, 실린더 헤드(45)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46)를 구비한다. The engine E is configured of, for example, a water-cooled single cylinder, and the engine main body 42 is substantially horizontal, having the crankcase 43 and the cylinder axis C1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B. The cylinder block 44 extending forward from the crank case 43, the cylinder head 45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cylinder block 44, and the head cover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cylinder head 45 ( 46).

크랭크 케이스(43)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크랭크 샤프트(47)의 일단부는,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우측에서 크랭크 케이스(43)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 크랭크 샤프트(47)의 일단부에는 AC 발전기(48)가 연결된다. 또한, AC 발전기(48)의 외측에 상기 크랭크 샤프트(47)에는 냉각팬(49)이 고정된다. One end of the crankshaft 47 rotatably supported by the crankcase 43 protrudes from the crankcase 43 on the right side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oscillating tricycle, and has one end of the crankshaft 47. AC generator 48 is connected. In addition, a cooling fan 49 is fixed to the crankshaft 47 outside the AC generator 48.

한편, 수냉식인 엔진(E)으로부터의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라디에이터(50)가,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해 엔진 본체(42)에 있어서의 실린더 블록(44) 및 실린더 헤드(45)의 우측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AC 발전기(48) 및 냉각팬(49)을 덮는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가 상기 클리너 케이스(43)에 결합되고, 이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에는, 상기 라디에이터(50)에 후방에서 접속되 도록 하여 전방으로 뻗은 도풍부(51a)가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고, 라디에이터(50)는 도풍부(51a)의 전방부에 결합, 지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adiator 50 for cooling the cooling water from the water-cooled engine E is the cylinder block 44 and the cylinder head 45 in the engine main body 42 toward the front of the oscillation-type tricycle. Is placed in the right side of the. In addition, a radiator shroud 51 covering the AC generator 48 and the cooling fan 49 is coupled to the cleaner case 43, and is connected to the radiator shroud 51 from the rear of the radiator 50. The light guide part 51a extended forward is integrally installed, and the radiator 50 is coupled and supported by the front part of the light guide part 51a.

또한, 크랭크 샤프트(47)와 함께 냉각팬(49)이 회전하는데 따라, 전방에서부터 라디에이터(50)를 통과하도록 외부로부터의 냉각풍이 도 2의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 내에 흡인되고, 엔진 본체(42)의 실린더 헤 드(45)로부터 라디에이터(50)로 안내되는 냉각수가 상기 라디에이터(50)에서 냉각풍에 의해 냉각된다. In addition, as the cooling fan 49 rotates together with the crankshaft 47, the cooling air from the outside is sucked into the radiator shroud 51 as indicated by the arrow of FIG. 2 so as to pass through the radiator 50 from the front. The cooling water guided from the cylinder head 45 of the engine main body 42 to the radiator 50 is cooled by the cooling wind in the radiator 50.

또한, 상기 실린더 헤드(45)에 설치되는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개폐 구동하는 동변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 헤드(45)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캠 샤프트(54)와, 상기 AC 발전기(48) 부근의 크랭크 샤프트(47) 사이에는, 조시(調時) 전동 장치(55)가 설치되고, 크랭크 샤프트(47)의 회전 동력은 상기 조시 전동 장치(55)에 의해 1/2로 감속되어 상기 캠 샤프트(54)에 전달된다. In addition, a camshaft 54 rotatably supported by the cylinder head 45 by constituting a part of a valv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ake valve and the exhaust valve (not shown) provided in the cylinder head 45; Between the crankshaft 47 in the vicinity of the AC generator 48, a roughening transmission device 55 is provided, and the rotational power of the crankshaft 47 is controlled by the above-mentioned rolling transmission device 55. Deceleration to 1/2 is transmitted to the camshaft 54.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에 따라 좌측에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43)에는, 상기 크랭크 케이스(43)로부터 후방으로 뻗은 케이스 주몸체(56)가 연결되어 있고, 이 케이스 주몸체(56)의 우측에 체결되는 우측 커버(57)와, 상기 케이스 주몸체(56)의 좌측에 체결되는 좌측 커버(58)와, 상기 케이스 주몸체(56)로 전동 케이스(59)가 구성된다. A case main body 56 extending rearward from the crank case 43 is connected to the crank case 43 on the left sid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wing type tricycle, and to the right side of the case main body 56. The transmission case 59 includes a right cover 57 to be fastened, a left cover 58 to be fastened to the left side of the case main body 56, and the case main body 56.

또한, 상기 전동 장치(T) 중, 벨트식 무단 변속기(37) 및 원심 클러치(38)는, 케이스 주몸체(56) 및 좌측 커버(58) 사이에 형성되는 변속기실(60)에 수용되고, 상기 전동 장치(T) 중, 기어열(39) 및 차동 기어(40)는, 상기 케이스 주몸체(56) 및 우측 커버(57) 사이에 형성되는 기어실(61)에 수용된다. In addition, among the said transmission apparatus T, the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37 and the centrifugal clutch 38 are accommodated in the transmission chamber 60 formed between the case main body 56 and the left cover 58, Of the transmission device T, the gear train 39 and the differential gear 40 are accommodated in the gear chamber 61 formed between the case main body 56 and the right cover 57.

그런데 좌우 한 쌍의 후륜(WR, WR)은, 상기 전동 케이스(59)의 양측에 배치되고, 좌, 우측 차축(41L, 41R)은, 차동 기어(40)로부터 좌우로 연장 설치되는 것으로, 전동 케이스(59)로부터의 상기 좌, 우측 차축(41L, 41R)의 돌출 단부에 후 륜(WR, WR)이 각각 연결되고, 이들 후륜(WR, WR)에는 드럼 브레이크(BR, BR)가 각각 장착된다. By the way,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WR and WR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ansmission case 59, and the left and right axles 41L and 41R extend from the differential gear 40 to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WR and WR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rotruding ends of the left and right axles 41L and 41R from the case 59, and drum brakes BR and BR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se rear wheels WR and WR. do.

도 3∼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엔진 본체(42)에 있어서의 실린더 헤드(45)의 상부 측면에는, 후방측으로 만곡한 흡기관(62)의 하류단이 접속되어 있고, 이 흡기관(62)에는 연료 분사 밸브(63)가 부착된다. 또한, 흡기관(62)의 상류단은 스로틀 보디(64)에 접속되고, 스로틀 보디(64)는 전동 케이스(59)의 후방부 상방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66)에, 커넥팅 튜브(65)를 통해 접속된다. 3-7, the downstream end of the intake pipe 62 curved to the rear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head 45 in the engine main body 42, and this intake pipe 62 is connected. ), A fuel injection valve 63 is attached. In addition, the upstream end of the intake pipe 62 is connected to the throttle body 64, and the throttle body 64 is connected to the air cleaner 66 disposed above the rear part of the transmission case 59, and the connecting tube 65 is connected. Connected via

한편, 상기 실린더 헤드(45)의 하부 측면에는, 실린더 헤드(45)의 하방에서 헤드 커버(46)의 좌측 측방에 걸쳐 만곡된 배기관(67)의 상류단이 접속된다. 한편, 전동 케이스(59)의 전방부 상방에는 직렬로 접속되는 동시에 전동 케이스(59)에 지지된 제1 및 제2 촉매 컨버터(68, 69)가 배치되어 있고, 양 촉매 컨버터(68, 69) 중, 상류측의 제1 촉매 컨버터(68)에 상기 배기관(67)의 하류단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에어 클리너(66)의 후방에는, 좌, 우측 차축(41L, 41R)과 평행하게 뻗은 배기 머플러(71)가 전동 케이스(59)로 지지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고, 양 촉매 컨버터(68, 69) 중, 하류측의 제2 촉매 컨버터(69)가 배기관(70)을 통해 상기 배기 머플러(71)에 접속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stream end of the exhaust pipe 67 curved over the left side of the head cover 46 below the cylinder head 45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head 45. On the other hand, above the front part of the transmission case 59, the 1st and 2nd catalytic converters 68 and 69 connected in series and supported by the transmission case 59 are arrange | positioned, and both catalytic converters 68 and 69 are arrange | positioned. The downstream end of the exhaust pipe 67 is connected to the first catalytic converter 68 on the upstream side. In addition, the exhaust muffler 71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left and right axles 41L and 41R is disposed behind the air cleaner 66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transmission case 59. Both catalytic converters 68, Of the 69, the downstream second catalytic converter 69 is connected to the exhaust muffler 71 through the exhaust pipe 70.

또한, 차체(B)의 좌우 방향에서 상기 엔진 본체(42) 및 상기 라디에이터(50)에 끼워지는 영역에, 상기 라디에이터(50)에 접속되는 리저버 탱크(72)가 배치되어 있고, 이 리저버 탱크(72)는,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Moreover, the reservoir tank 72 connected to the said radiator 5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ea | region which is fitted to the said engine main body 42 and the said radiator 50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B, and this reservoir tank ( 72 is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to make the cooling water stored therein visible from the outside.

상기 양 후륜(WR, WR)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펜더(73)로 상방에서 덮어지는 것으로, 이 펜더(73)는, 양 후륜(WR, WR)을 개별로 상방에서부터 덮는 차륜 커버부(73a, 73b)와, 엔진 본체(42)의 상방에서 상기 양 차륜 커버부(73a, 73b)의 전방부간을 연결하는 전방측 연결부(73c)와, 상기 양 차륜 커버부(73a, 73b)의 후방부간을 연결하는 후방부 연결부(73d)로 이루어지고, 전방부 연결부(73c)는, 상기 엔진 본체(42)의 일부 및 상기 리저버 탱크(72)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The rear wheels WR and WR are covered from above by a fender 73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fender 73 covers the rear wheels WR and WR separately from above. 73b) and the front side connection part 73c which connects between the front parts of the said both wheel cover parts 73a and 73b above the engine main body 42, and the rear part of the said both wheel cover parts 73a and 73b. It consists of the back connection part 73d which connects, and the front part connection part 73c is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said engine main body 42 and a part of the reservoir tank 72 may be covered.

상기 양 차륜 커버부(73a, 73b) 중, 우측의 차륜 커버부(73b)는, 라디에이터(50)도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라디에이터(50)의 전방에서 상기 차륜 커버부(73b)에는, 전방으로부터의 주행풍을 라디에이터(50)를 향해 유통시키기 위한 루버(88)가 부착된다.Of the both wheel cover portions 73a and 73b, the right wheel cover portion 73b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radiator 50, and the front of the radiator 50 is forward to the wheel cover portion 73b. A louver 88 is attached to distribute the traveling wind from the radiator 50 toward the radiator 50.

또한, 펜더(73)에는, 상기 양 차륜 커버부(73a, 73b), 전방측 연결부(73c) 및 후방부 연결부(73d)로 주 가장자리부가 규정되도록 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74)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74)는, 상기 흡기관(62), 연료 분사 밸브(63), 스로틀 보디(64), 에어 클리너(66), 제1 및 제2 촉매 컨버터(68, 69), 배기관(70) 및 배기 머플러(71)의 일부, 리저버 탱크(72)의 일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 개구부(74)는, 커버(80)로 개폐 가능하게 닫혀진다. In addition, the fender 73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opening 74 so that the main edge portion is defined by the both wheel cover portions 73a and 73b, the front connection portion 73c and the rear connection portion 73d. The opening 74 has the intake pipe 62, the fuel injection valve 63, the throttle body 64, the air cleaner 66, the first and second catalytic converters 68 and 69, and the exhaust pipe 70. And a part of the exhaust muffler 71 and a part of the reservoir tank 72, and the opening 74 is closed by the cover 80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상기 펜더(73)에 있어서의 양 차륜 커버부(73a, 73b) 중, 좌측의 차륜 커버부(73a)의 전방부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59)에 있어서의 좌측 커버(58)에 지지된다. As shown in FIG. 8, the front part of the left side wheel cover part 73a among the both wheel cover parts 73a and 73b in the said fender 73 is the left cover (in the transmission case 59). 58).

즉, 상기 좌측 커버(58)에 돌출 설치된 한쌍의 지지 보스(81, 81)에 볼 트(83, 83)를 통해 스테이(82)가 체결되어 있고, 이 스테이(82)에 고정된 웰드 너트(84)에 조여지는 볼트(85)로 상기 차륜 커버부(73a)가 스테이(82)에 부착된다. That is, the stay 82 is fastened to the pair of support bosses 81 and 81 protruding from the left cover 58 through the bolts 83 and 83, and the weld nut (fixed to the stay 82) The wheel cover portion 73a is attached to the stay 82 with the bolts 85 tightened to 84.

또한, 상기 펜더(73)에 있어서의 양 차륜 커버부(73a, 73b) 중, 우측의 차륜 커버부(73b)의 전방부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에 있어서의 도풍부(51a)에 지지된다. 즉, 도풍부(51a)에 돌출 설치된 지지 보스(86)에 조여지는 볼트(87)로 상기 차륜 커버부(73b)가 지지 보스(86)에 체결된다. Moreover, the front part of the right side wheel cover part 73b among the both wheel cover parts 73a and 73b in the said fender 73 is the figure in the radiator shroud 51 as shown in FIG. It is supported by the abundance 51a. That is, the wheel cover portion 73b is fastened to the support boss 86 by a bolt 87 tightened to the support boss 86 protruding from the wind guide part 51a.

상기 펜더(73)의 후방부, 즉 후방부 연결부(73d)와, 상기 커버(80)는, 상기 파워 유닛(P)에 부착되는 지지 프레임(75)으로 지지된다. 이 지지 프레임(75)은, 상기 리저버 탱크(72)의 일부 및 에어 클리너(66)를 둘러싸는 동시에 평면에서 봐서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좌측을 개방한 대략 C자 형상을 갖는 프레임 주몸체(76)와, 상기 프레임 주몸체(76) 및 파워 유닛(P) 사이에 설정되는 3개의 지주(77, 78, 79)로 이루어진다. The rear portion of the fender 73, that is, the rear portion connection portion 73d and the cover 80 are supported by a support frame 75 attached to the power unit P. The support frame 75 surrounds a part of the reservoir tank 72 and the air cleaner 66, and has a substantially C-shape in which the left side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oscillating automatic tricycle is moved forward. It has a frame main body 76 which has, and three struts 77, 78, 79 set between the said frame main body 76 and the power unit P. As shown in FIG.

프레임 주몸체(76)는, 1개의 파이프를 굴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전동 케이스(59)의 전방부 좌측 상부에 체결되어 전방부가 올라가도록 경사지는 동시에 제1 촉매 컨버터(68)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사 지주부(76a)와, 상기 경사 지주부(76a)의 타단에 일단이 연달아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리저버 탱크(72)를 넘어 우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전방 지지부(76b)와, 전방 지지부(76)의 타단에 일단이 연달아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리저버 탱크(72) 및 에어 클리너(66)의 외방에서 후방이 내려가도록 경사지면서 후방으로 뻗은 측방 지지부(76c)와, 상기 측방 지지부(76c)의 타단에 일단이 연달아 설치되는 동시에 에어 클리너(66)의 후방에서 좌 측으로 수평으로 뻗은 후방 지지부(76d)를 일체로 가진다. 또한, 상기 각 지주(77∼79)도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단부가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에 체결된 지주(77)의 상단은 프레임 주몸체(76)에 있어서의 측방 지지부(76c)의 전방부 근처의 부분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전동 케이스(59)에 체결된 지주(78)의 상단은 상기 측방 지지부(76c)의 후방부 근처의 부분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전동 케이스(59)에 체결된 지주(79)의 상단은 프레임 주몸체(76)에 있어서의 후방 지지부(76d)의 타단 근처 부분에 결합된다. The frame main body 76 is formed by bending one pipe, one end of which is fastened to the upper left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transmission case 59 and inclined so that the front part rises, and inside the first catalytic converter 68. An inclined support portion 76a, a front support portion 76b which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76a, and extends horizontally to the right beyond the reservoir tank 72, and the front support portion ( The other end of the side support portion 76c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76c which extends to the rear side while being inclined so as to descend from the outside of the reservoir tank 72 and the air cleaner 66 at the same time, are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other end. One end is provided in succession, and at the same time, it has the back support part 76d extended horizontally from the back of the air cleaner 66 to the left side. Moreover, each said support | pillar 77-79 also consists of a pip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 pillar 77 which the lower end part was fastened to the radiator shroud 51 is the front part of the side support part 76c in the frame main body 76. The upper end of the strut 78 coupled to an adjacent part, the lower end of which is fastened to the transmission case 59, is coupled to a portion near the rear part of the lateral support 76c, and the lower end is fastened to the transmission case 59.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79 is coupled to a portion near the other end of the back support 76d in the frame main body 76.

도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75)의 프레임 주몸체(76)에 있어서의 후방 지지부(76d)에는, 한쌍의 브래킷(90…)이 상호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고, 후방 지지부(76d)에 일체로 설치되어 브래킷(90…)에 접촉되는 장착판부(92…)가, 상기 브래킷(90…)에 고정된 웰드 너트(91…)에 조여지는 볼트(93…)로 브래킷(90…)에 체결된다. In Fig. 10, a pair of brackets 90 are coupled to the rear support portion 76d of the frame main body 76 of the support frame 75 at a mutually spaced distance, and to the rear support portion 76d. The mounting plate part 92...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and in contact with the bracket 90... Is attached to the bracket 90... With a bolt 93... Which is fastened to the weld nut 91... Fixed to the bracket 90. Is fastened.

도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75)에 있어서의 프레임 주몸체(76)의 전방 지지부(76b)에는, 커버(80)의 전방부가 장착된다. 즉, 상기 전방 지지부(76b)를 양측에서 끼우는 숄더부(94a, 94b)를 갖는 지지 부재(94)가, 상기 커버(80)의 내면에 돌출 설치된 지지 보스(95)에 볼트(96)로 체결된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프레임 주몸체(76)를 중심으로 하여, 커버(80)를 개폐 자유롭게 지지할 수 있고, 커버(80)를 파워 유닛(P)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커버(80)를 열어 메인티넌스를 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FIG. 11, the front part of the cover 80 is attached to the front support part 76b of the frame main body 76 in the said support frame 75.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upport member 94 which has the shoulder parts 94a and 94b which pinches the said front support part 76b from both sides is fastened by the bolt 96 to the support boss 95 protruding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80. do. By adopting such a structure, the cover 80 can be freely opened and closed around the frame main body 76, and the cover 80 is not removed from the power unit P completely. It can open and perform maintenance and can improve work efficiency.

도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75)에 있어서의 프레임 주몸체(76)의 후 방 지지부(76d)에는, 커버(80)의 후방부가 장착된다. 즉, 후방 지지부(76d)에 설치된 한쌍의 브래킷(90…)에 접촉하는 장착판부(100…)가 내방으로 움푹 패는 오목부(101…)를 형성하도록 하여 커버(80)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101…)에 확경 헤드부를 배치하는 볼트(99…)를 상기 브래킷(90…)에 고정된 웰드 너트(98…)에 나사 조임으로써, 후방 지지부(76d)에 커버(80)의 후방부가 장착된다. 12, the rear part of the cover 80 is attached to the rear support part 76d of the frame main body 76 in the said support frame 75. As shown in FIG. That is, the mounting plate portion 100... Which contacts the pair of brackets 90 .. provided on the rear support portion 76d is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cover 80 so as to form recesses 101... The cover 80 is attached to the rear support portion 76d by screwing a bolt 99..., Which has a diameter-diameter head portion in the recess 101..., Into a weld nut 98... Fixed to the bracket 90. The rear part of is mounted.

그런데, 리저버 탱크(72)는, 펜더(73) 및 커버(80)의 적어도 한쪽, 이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더(73)의 전측 연결부(73c) 및 커버(80)의 전방부로 덮여지는 것으로, 이 리저버 탱크(72)는, 지지 프레임(75)에 있어서의 프레임 주몸체(76)의 전방 지지부(76b)에 설치된 브래킷(102)에 나사 부재(103)로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 주몸체(76)의 측방 지지부(76c)에 나사 부재(104)로 체결된다. By the way, the reservoir tank 72 is at least one of the fender 73 and the cover 80,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the front connection part 73c and the cover 80 of the fender 73. The reservoir tank 72 is fastened by a screw member 103 to the bracket 102 provided on the front support portion 76b of the frame main body 76 in the support frame 75. At the same time, the side member 76c of the frame main body 76 is fastened with a screw member 104.

즉, 리저버 탱크(72)는, 지지 프레임(75)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 지지 프레임(75)은 파워 유닛(P)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리저버 탱크(72)는 파워 유닛(P)측에 고정되게 된다. That is, the reservoir tank 72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75. Since this support frame 75 is fixed to the power unit P, the reservoir tank 72 is fixed to the power unit P side. Will be.

상기 리저버 탱크(72)는, 그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세워지는 급수 통부(72a)를 일체로 가지는 것으로, 이 급수통부(72a)의 상단을 향하는 개구부(107)가 커버(80)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급수 통부(72a)의 상단에는 캡(105)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다. The reservoir tank 72 has a water supply tank portion 72a, which is raised upward from the rear portion thereof, and an opening 107 facing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tank portion 72a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over 80. A cap 105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tube part 72a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그런데, 리저버 탱크(72)는, 내부에 저장한 냉각수를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기 위해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 리저버 탱 크(72) 내의 저장액량을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창(106)이, 상기 펜더(73)에 있어서의 전측 연결부(73c)에 설치된다. By the way, the reservoir tank 72 is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in order to visually check the cooling water stored therein from the outside, and to visually check the amount of the storage liquid in the reservoir tank 72 from the outside. A window 106 is provided at the front connection portion 73c in the fender 73.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66)의 클리너 케이스(110)는, 하부 케이스 반체(111) 및 상부 케이스 반체(112)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 케이스 반체(111) 및 상부 케이스 반체(112) 사이에, 클리너 엘리먼트(113)의 지지틀(114)이 끼워 지지된다. 그리고 클리너 엘리먼트(113) 및 지지틀(114)과, 상부 케이스 반체(112) 사이에, 클리너 엘리먼트(113)의 일면을 향하는 미 정화실(115)이 형성되고, 클리너 엘리먼트(113) 및 지지틀(114)과, 하부 케이스 반체(111)와의 사이에, 클리너 엘리먼트(113)의 다른 면을 향하는 정화실(116)이 형성된다. 또한, 스로틀 보디(64)에 연속하는 커넥팅 튜브(65)는 정화실(116)에 상류 단부를 돌입하도록 하여 하부 케이스 반체(111)에 접속된다. 14 and 15, the cleaner case 110 of the air cleaner 66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lower case half 111 and the upper case half 112 with each other, and the lower case half 111 and the upper portion. The support frame 114 of the cleaner element 113 is sandwiched between the case halves 112. And between the cleaner element 113 and the support frame 114, and the upper case half 112, an unclean chamber 115 facing one surface of the cleaner element 113 is formed, the cleaner element 113 and the support frame The purification chamber 116 which faces the other surface of the cleaner element 113 is formed between 114 and the lower case half 111. In addition, the connecting tube 65 continuous to the throttle body 64 is connected to the lower case half 111 so that the upstream end part intrudes into the purification chamber 116.

그런데,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는, 지지 프레임(75) 및 전동 케이스(59)에 지지된다. 즉, 지지 프레임(75)에 있어서의 프레임 주몸체(76)의 측방 지지부(76c)는 클리너 케이스(110)의 우측에서 전후로 뻗도록 배치되고, 이 측방 지지부(76c)에는,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의 하부 케이스 반체(111)에 있어서의 상부에 설치된 한쌍의 장착판부(111a…)에 대응하여 브래킷(11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양 장착판부(111a…)에는 그로밋(grommet)(118…)이 장착되고, 상기 그로밋(118…)을 관통하는 슬리브(119…)에 삽입 통과되는 볼트(120…)가, 상기 브래킷(117…)에 고정된 웰드 너트(121…)에 조여진다. By the way, the cleaner case 1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75 and the transmission case 59. That is, the side support part 76c of the frame main body 76 in the support frame 75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extend back and forth from the right side of the cleaner case 110, and this cleaner case 110 is provided in this side support part 76c. Brackets 117...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mounting plate portions 111a... Which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half 111 of FIG. In addition, a grommet 118... Is mounted on both mounting plate portions 111a .. and a bolt 120... Which is inserted into a sleeve 119... Which penetrates the grommet 118. It is tightened by the weld nut 121... Fixed to (117...).

또한, 상기 프레임 주몸체(76)의 측방 지지부(76c)는 반대측에서, 상기 클리 너 케이스(110)의 하부 케이스 반체(111)에 있어서의 상부에는 장착판부(111b)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장착판부(111b)에 하방에서 접하도록 하여 상하로 뻗은 지지 레그(122)의 하부가, 예를 들면 한쌍의 볼트(123…)로 전동 케이스(59)에 있어서의 좌측 커버(58)의 상부에 체결된다. 또한, 장착판부(111b)에는 그로밋(124)이 장착되고, 상기 그로밋(124)을 관통하는 슬리브(125)에 삽입 통과되는 볼트(126)가, 상기 지지 레그(122)에 고정된 웰드 너트(127)에 조여진다. Moreover, the mounting plate part 111b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half 111 of the said cleaner case 110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support part 76c of the said frame main body 76, and this attachment is carried ou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leg 122 extended up and down in contact with the plate part 111b from below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left cover 58 in the transmission case 59, for example with a pair of bolts 123 ... do. In addition, a grommet 124 is mounted to the mounting plate 111b, and a bolt 126 inserted into the sleeve 125 penetrating the grommet 124 is fixed to the support leg 122 by a weld nut ( 127).

이렇게 하여, 지지 프레임(75) 및 전동 케이스(59)에 지지된 클리너 케이스(110)는, 상기 클리너 케이스(11O)의 상면, 즉 상부 케이스 반체(112)의 상면(112a)이 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 위치가 되도록 경사진 자세가 된다. In this way, the cleaner case 110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75 and the transmission case 59 has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said cleaner case 110, ie,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upper case half 112 facing rearward. It becomes inclined posture so that it may become a downward position.

그런데 상기 커버(80)에는, 상기 에어 클리너(66)에 대응한 부분에서 상방으로 융기된 융기부(80a)가 설치되고, 이 융기부(80a)의 후방을 향하는 측면에는,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외기 도입구(128)가 형성된다. 그리고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은, 상기 외기 도입구(128)측을 향해 하방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되고, 상기 외기 도입구(128)는,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클리너 케이스(110)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좌측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By the way, the cover 80 is provided with a ridge 80a raised upward fro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cleaner 66, and air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on the side facing the rear of the ridge 80a. A rectangular outside air inlet 128 for introduction is formed. And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is inclined so that it may become a downward position toward the said outside air inlet port 128, The said outside air inlet port 128 is a state toward the front of the oscillation type | mold tricycle. At the position closer to the left side from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leaner case 110.

한편,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서,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우측의 전방부에는 하방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12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29)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클리너 케이스(110)의 하부 및 상부 케이스 반체(111, 112) 사이에는 중계실(130)이 형성되며, 이 중계 실(130)은, 연결관(131)을 통해 상기 미 정화실(115)에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13)은 대략 C자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양단을 상기 중계실(130) 및 미 정화실(115)에 연통시키도록 하여 상부 케이스 반체(112)에 부착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the recessed portion 129 which is recessed downward is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right side in the state toward the front of the oscillation type | mold tricycle, and the said recessed part (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129, a relay chamber 13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case halves 111 and 112 of the cleaner case 110, and the relay chamber 130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31. It communicates with the unpurified chamber 115. In addition, the connection pipe 13 is formed to be curv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upper case half 112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lay chamber 130 and the unclean chamber 115.

도 16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있어서의 오목부(129)의 바닥부에는, 흡기통부(133)가 상방으로 세워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기통부(133)의 상단이, 상기 중계실(130)로 통하는 흡기구(134)를 형성하도록 하여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구(134)는, 상기 외기 도입구(128)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일측(이 실시예에서는 우측)으로 오프 셋한 위치에서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설치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6 together, the intake cylinder portion 133 is vertically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129 on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and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intake cylinder portion ( The upper end of 133 is opened so as to form an intake port 134 leading to the relay chamber 130. The inlet 134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at a position offset from one side (the right side in this embodimen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air inlet 128.

그런데, 상기 외기 도입구(128) 및 상기 흡기구(134) 사이에 걸쳐 상기 커버(80)의 융기부(80a) 및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 사이에는 도풍 통로(135)가 형성되고, 이 도풍 통로(135)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는, 상기 상면(112a)의 경사 방향으로 뻗은 복수, 예를 들면 제1∼제4 차폐벽(136, 137, 138, 139)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는 동시에, 1개의 가이드벽(140)이 일체로 돌출 설치된다. However, a guiding passage 135 is formed between the ridge 80a of the cover 80 and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between the outside air inlet 128 and the inlet 134. A plurality of, for example, first to fourth shielding walls 136 extending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112a so as to be disposed in the wind guide passage 135. 137, 138, and 139 are integrally protruded, and one guide wall 140 is integrally protruded.

상기 제1∼제4 차폐벽(136∼139)은, 외기 도입구(128)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차폐벽(136)을 배치하는 동시에 흡기구(134)측에 제4 차폐벽(139)을 배치하여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순차 병렬 배치된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주 가장자리부에는 무단상으로 연속하는 연결벽(141)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경사 방향을 따라 제1∼제4 경사벽(136∼139) 중, 적어도 2개의 하부, 이 실시예에서는 제2 및 제4 차폐벽(137, 139)의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하부는 상기 연결벽(141)으로 연결되고,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제2 및 제4 경사벽(137, 139)의 상단은 연결벽(141)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The first to fourth shielding walls 136 to 139 arrange the first shielding wall 136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air inlet 128 and at the same time, the fourth shielding wall 139 on the inlet port 134 side. They are arranged in sequential parallel with space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an endless continuous connecting wall 141 is protruded from the main edg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and the first wall is disposed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At least two lower portions of the fourth inclined walls 136 to 139,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wall 141 along the inclined directions of the second and fourth shield walls 137 and 139.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and fourth inclined walls 137 and 139 are disposed at intervals between the connecting walls 141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그리고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경사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3 경사벽(136, 138)의 상부는 상기 연결벽(141)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1 차폐벽(136)의 상기 경사 방향에 따라 하단은 연결벽(141)에 근접 배치되고, 제3 경사벽(138)의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하단은 연결벽(141)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In addition, upper portions of the first and third inclined walls 136 and 138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wall 141. The lower end is disposed close to the connection wall 141 in the inclined direction, and the lower end is disposed at intervals between the connection wall 141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third inclined wall 138.

이와 같이 제1∼제4 차폐벽(136∼139)의 형상 및 배치를 정함으로써, 외기 도입구(128) 및 상기 흡기구(134) 사이에 걸쳐 각 차폐벽(136∼139) 및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의해 미로 통로(142)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각 차폐벽(136∼139)은,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경사 방향에 따라 하부측을 흡기구(134)측으로 굴곡시켜 대략 「く」자상으로 형성된다. Thus, by defin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first to fourth shielding walls 136 to 139, the shielding walls 136 to 139 and the cleaner case 110 are disposed between the outside air inlet 128 and the inlet 134. The labyrinth passage 142 is formed by the upper surface 112a. Further, the shielding walls 136 to 139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 k " shape by bending the lower side toward the inlet port 134 side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또한, 요동식 자동 삼륜차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좌측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클리너 케이스(110)의 하부 및 상부 케이스 반체(111, 112) 사이에는 냉각 공기 도입실(143)이 형성되고, 이 냉각 공기 도입실(143)로 통하는 냉각 공기 도입구(144)가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형성된다. In addition, a cooling air introduction chamber 143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cleaner case 110 and the upper case halves 111 and 112 at a portion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left sid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oscillating automatic tricycle. The cooling air introduction port 144 leading to the cooling air introduction chamber 14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그런데 제1∼제4 차폐벽(136∼139) 중, 제1 차폐벽(136)은, 외기 도입구(128)의 대략 중앙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제1∼제4 차폐벽(136∼139)의 일부인 제1 차폐벽(136)은, 외기 도입구(128)로부터 상기 도풍 통로(135)로 도입된 공기를, 상기 흡기구(134)를 향하는 공기와, 상기 냉각 공기 도입구(144)를 향하는 공기로 분리시키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By the way, among the 1st-4th shielding walls 136-139, the 1st shielding wall 136 is arrange |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outside air inlet 128, and the 1st-4th shielding walls 136- The first shielding wall 136, which is a part of 139, receives air introduced into the guiding passageway 135 from the outside air inlet 128 to the air inlet 134, and the cooling air inlet 144. It is arranged in a position to separate the air toward the.

그리고 가이드벽(140)은, 제1 차폐벽(136) 및 냉각 공기 도입구(144) 사이에서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면(112a)의 경사 방향을 따라 가이드벽(140)의 하부는 연결벽(141)에 연결되고,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가이드벽(140)의 상단은 연결벽(141)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경사벽(136) 및 가이드벽(140)과,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서, 외기 도입구(128) 및 냉각 공기 도입구(144) 사이에 걸쳐 미로 통로(145)가 형성되게 된다. The guide wall 140 protrudes from the first shielding wall 136 and the cooling air inlet 144 to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and inclines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112a. Accordingly,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wall 1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wall 141,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wall 140 is disposed at intervals from the connecting wall 141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As a result, the maze passage 14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wall 136 and the guide wall 140 and the top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between the outside air inlet 128 and the cooling air inlet 144. ) Is formed.

그런데, 상기 냉각 공기 도입구(144)로부터 냉각 공기 도입실(143)로 도입된 공기는, 무단 변속기(37)를 수용하도록 하여 전동 케이스(59) 내에 형성된 변속기실(60)로 안내되는 것으로, 변속기실(60) 내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146)(도 2 참조)를 형성하도록 하여 전동 케이스(59)에 있어서의 좌측 커버(58)의 상면에 돌출 설치되는 접속 통부(147)(도 6 및 도 7 참조)와, 냉각 공기 도입실(143)을 통해 클리너 케이스(110)의 하부 케이스 반체(111)에 돌출 설치된 접속 통부(148)가 접속 호스(149)로 접속된다. Howeve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oling air introduction chamber 143 from the cooling air inlet 144 is guided to the transmission chamber 60 formed in the transmission case 59 to accommodate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37. Connection tube part protruding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cover 58 in the transmission case 59 so that the inlet 146 (refer FIG. 2) for introducing cooling air from the outside in the transmission chamber 60 ( 147 (see FIGS. 6 and 7) and a connecting tube portion 148 protruding from the lower case half 111 of the cleaner case 110 through the cooling air introduction chamber 143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se 149. .

또한, 상기 전동 케이스(59)의 좌측 커버(58)에는, 변속기실(60)로부터 외부로 냉각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0)(도 2 참조)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 배출구(150)는, 도 2에 있어서 쇄선 C2로 표시하는 차체(B)의 폭방향 중심측을 향해 전동 케이스(59)에 있어서의 좌측 커버(58)의 내방 측면에 설치된다. In addition, a discharge port 150 (see FIG. 2) for discharging cooling air from the transmission chamber 60 to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left cover 58 of the transmission case 59. 2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eft cover 58 in the transmission case 59 toward the widthwise center side of the vehicle body B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C2 in FIG. 2.

또한, 상기 배출구(150)에는, 좌우 한쌍의 후륜(WR, WR) 사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배출관로(151)의 일단이 접속되는 것으로, 이 배출관로(151)의 타단은, 상기 차체(B)의 폭방향 중심(C2)에 대해 상기 배출구(150)와는 반대측에서 전동 케이스(59)보다 윗쪽에 배치된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discharge conduit 151 disposed to be receiv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rear wheels WR and WR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50, and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conduit 151 is the vehicle body B. It is disposed above the transmission case 59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utlet 150 with respect to the center (C2)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상기 배출관로(151)는, 냉각팬(49)에 의한 냉각풍의 유통 방향에 따라 냉각팬(49)보다 상류측에서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 내로 연통하는 것으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에 설치된 돌출 통부(152)에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접속된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passage 151 communicates with the radiator shroud 51 upstream from the cooling fan 49 in accordance with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wind by the cooling fan 49, and projects upward so that the radiator shroud (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passage 151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cylinder portion 152 provided in the 51.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차체(B)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파워 유닛(P) 측에, 상기 파워 유닛(P)에 공급되는 액체인 냉각수를 저장하는 액체 탱크인 리저버 탱크(72)가 고정되므로, 엔진 탱크(72)에 접속되는 접속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접속관의 배관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차체(B)측에 리저버 탱크(72)를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차체(B) 전체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증대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 reservoir tank which is a liquid tank for storing cooling water, which is a liquid supplied to the power unit P, on the side of the power unit P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B so as to be swingable. Since 72 is fixe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engine tank 72 can be shortened, piping of the connection pipe becomes easy, and the space for arranging the reservoir tank 72 on the vehicle body B side is provided. There is no need to ensure, and the freedom degree of the layout of the whole vehicle body B increases.

또한, 상기 리저버 탱크(72)는, 파워 유닛(P)에 고정되는 라디에이터(50)에 접속되는 것으로, 라디에이터(50) 용의 리저버 탱크(72)는 비교적 작은 것이므로, 상기 리저버 탱크(72)를 배치하는 공간을 파워 유닛(P)측으로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라디에이터(50) 및 리저버 탱크(72)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관이 짧으므로, 냉각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ervoir tank 72 is connected to the radiator 50 fixed to the power unit P. Since the reservoir tank 72 for the radiator 50 is relatively small, the reservoir tank 72 Since the space to arrange | position is easy to ensure to the power unit P side, and the connection pipe which connects between the radiator 50 and the reservoir tank 72 is short, the quantity of cooling water can be reduced.

또한, 리저버 탱크(72)가, 파워 유닛(P)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80) 및 후륜(WR…)을 덮는 펜더(73)의 적어도 한쪽 내부, 이 실시예에서는 커버(80) 및 펜 더(73)의 내부 양쪽에 걸쳐 배치되고, 펜더(73)에, 리저버 탱크(72)의 저장액량을 보기위한 창(106)이 설치되므로, 리저버 탱크(72)를 커버(80) 및 펜더(73)로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리저버 탱크(72)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킴에 의한 외관성의 저하를 회피하면서 용이하게 액량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ervoir tank 72 has at least one interior of the fender 73 covering the cover 80 and the rear wheels WR... Which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power unit P.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80 and the pen. Since the window 106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fender 73 and the fender 73 is provided with a window 106 for viewing the storage liquid amount of the reservoir tank 72, the reservoir tank 72 is covered with the cover 80 and the fender ( 73), the liquid amount can be easily checked while avoiding the deterioration of the appearance by exposing the entire reservoir tank 72 to the outside.

그런데 파워 유닛(P)의 일부를 구성하는 엔진(E)의 엔진 본체(42)는 실린더 축선(C1)이 차체(B)의 전후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라디에이터(50)가 엔진 본체(42)의 측방에 배치되고, 차체(B)의 좌우 방향에서 엔진 본체(42) 및 라디에이터(50)에 끼워지는 영역에 리저버 탱크(72)가 배치되므로, 라디에이터(50) 및 엔진 본체(42)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리저버 탱크(72)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By the way, in the engine main body 42 of the engine E which comprises a part of the power unit P, the cylinder axis C1 is arrange | position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B, and the radiator 50 is the engine main body Since the reservoir tank 7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of 42 and fitted to the engine main body 42 and the radiator 50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B, the radiator 50 and the engine main body 42 The reservoir tank 72 can be arrange | positioned compactly using the space between) efficiently.

또한, 파워 유닛(P)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후륜(WR…)을 갖는 요동식 자동 삼륜차에서는, 그 선회 시의 뱅크가 없고, 또한 지면에 대한 파워 유닛(P)의 요동량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액면 변화량이 작아, 리저버 탱크(72)를 파워 유닛에 배치하는 차량으로서 보다 적합하다. In addition, in the swing-type automatic tricycle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WR ... dispos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power unit P, there is no bank at the time of turning and the amount of swing of the power unit P relative to the ground is relatively high. As a result, the amount of liquid level change is small as a result, and is more suitable as a vehicle for arranging the reservoir tank 72 in the power unit.

또한, 전동 장치(T)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59)에는, 전동 장치(T)의 일부를 구성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37)를 수용하는 변속기실(60)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변속기실(60) 내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146)와, 변속기실(60)로부터 외부에 냉각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0)가 형성되고, 일단이 배출구(150)에 접속되는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전동 케이스(59)의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Moreover, the transmission case 60 which accommodates the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37 which comprises a part of transmission apparatus T is formed in the transmission case 59 which accommodates the transmission apparatus T, and the said transmission chamber An inlet 146 for introducing cooling air from the outside in the 60 and an outlet 150 for discharging the cooling air from the transmission chamber 60 to the outside are forme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150.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path 151 is opened above the transmission case 59.

따라서, 전동 케이스(59)의 형상에 영향받지 않고, 변속기실(60)로부터의 냉각 공기의 배출단을 차체(B)의 적합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레벨의 방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배치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Therefore, the discharge end of the cooling air from the transmission chamber 60 can be set at a suitabl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B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shape of the transmission case 59, so that a sufficient level of waterproof performance can be obtained at the same time.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image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배출구(150)가, 차체(B)의 폭방향 중심(C2)측을 향해 전동 케이스(59)에 설치되고,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차체(B)의 폭방향 중심(C2)에 대해 배출구(150)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므로, 비 등의 차량 측면으로부터의 물이 배출관로(151)에 닿는 것을 막아, 전동 케이스(59) 내로의 물의 침입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150 is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case 59 toward the widthwise center C2 side of the vehicle body B, and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passage 151 is the widthwise center of the vehicle body B ( Since it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discharge port 150 with respect to C2), the water from the vehicle side surface, such as rain, is prevented from touching the discharge pipe path 151, and it can prevent the intrusion of the water into the transmission case 59 more reliably.

또한, 냉각팬(49)에 의한 냉각풍의 유통 방향에 따라 냉각팬(49)보다 상류측에서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 내에, 배출관로(151)가 연통되므로, 냉각팬에 의해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 내에 생기는 부압을 이용하여 변속기실(60)로부터의 냉각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conduit 151 communicates with the radiator shroud 51 in the radiator shroud 51 upstream from the cooling fan 49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wind by the cooling fan 49, the radiator shroud 51 is caused by the cooling fan. The generated negative pressure can efficiently discharge the cooling air from the transmission chamber 60.

또한,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에, 상방으로 돌출한 돌출 통부(152)가 설치되고,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상기 돌출 통부(152)에 접속되므로, 배출관로(151) 내로의 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diator shroud 51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tube portion 152 that protrudes upward, and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passage 151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tube portion 152, thereby preventing the intrusion of water into the discharge tube passage 151. It can be suppressed.

또한, 배출관로(151)가 전동 케이스(59)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후륜(WR…) 사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므로, 좌우 한쌍의 후륜(WR…)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배출관로(151)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conduit 151 is arranged to be accommodated between the rear wheels WR... Which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nsmission case 59, the discharge conduit path ( 151 can be arranged compactly.

또한, 에어 클리너(66)를 덮는 커버(80)의 융기부(80a)에,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128)가 후방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클리너 케이 스(110)의 상면(112a)에는, 클리너 케이스(110) 내의 미 정화실(115)로 통하는 흡기구(134)가 형성되고, 외기 도입구(128) 및 흡기구(134) 사이에 걸쳐 커버(80)의 융기부(80a) 및 클리너 케이스(110) 사이에 형성되는 도풍 통로(135)에 개재하는 제1∼제4 차폐벽(136∼139)이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돌출 설치되는데,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은, 외기 도입구(128)에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 외기 도입구(128)측을 향해 하방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흡기구(134)가 상기 외기 도입구(128)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일측으로 오프셋한 위치에서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설치된다. In addition, in the raised portion 80a of the cover 80 covering the air cleaner 66, an outside air inlet 128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outside is formed to be opened toward the rear, and the cleaner case 110 On the upper surface 112a, an inlet port 134 is formed which leads to the unrefined chamber 115 in the cleaner case 110, and a ridge portion of the cover 80 is provided between the outside air inlet port 128 and the inlet port 134. The first to fourth shielding walls 136 to 139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passage 135 formed between the 80a and the cleaner case 110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110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face the outside air inlet 128 and to be in a downward position toward the outside air inlet 128, and the inlet 134 is formed in the outside air inlet 128.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at a position offset to one side from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따라서, 외기 도입구(128)로부터 도입된 공기에 수반된 이물이 흡입구(134)에 침입하는 것을 제1∼제4 차폐벽(136∼l39)으로 저지할 수 있고, 특히, 이물 중의 물은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을 타고 하방측으로 흐르므로, 흡기구(134)로의 물의 침입을 보다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to fourth shielding walls 136 to 39 can prevent the foreign matter accompany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inlet 128 from entering the suction port 134, and in particular, the water in the foreign matter is cleaner. Since it flows downward by taking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ase 110, invasion of the water to the intake port 134 can be prevented more reliably.

또한, 외기 도입구(128) 및 흡기구(134) 사이에,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경사 방향으로 뻗은 제1∼제4 차폐벽(136∼139)이 배치되고, 이들 차폐벽(136∼139) 중 제2 및 제4 차폐벽(137, 139)의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하부간을 연결하는 연결벽(141)이 클리너 케이스(110)에 설치되므로,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하부측에 물 저장부를 형성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보다 확실히 흡기구(134)로의 물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first to fourth shielding walls 136 to 139 extending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are disposed between the outside air inlet 128 and the inlet 134. Since the connecting wall 141 connecting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and fourth shielding walls 137 and 139 in the inclined direction among the 136 to 139 is installed in the cleaner case 110, The water storage portion can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112a, and the simple structure can prevent the intrusion of water into the intake port 134 more reliably.

또한, 외기 도입구(128) 및 흡기구(134) 사이에 걸쳐 미로 통로(142)가 제1∼제4 차폐벽(136∼139)과,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형성되므로, 흡기 구(134)로의 물을 포함하는 이물의 침입을 보다 확실히 저지할 수 있고, 또한 제1∼제4 차폐벽(136∼139)이,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의 경사 방향에 따라 하부측을 흡기구(134)측으로 굴곡시켜 대략 「く」자형으로 형성되므로, 미로 통로(142)의 형상을 복잡화하는 동시에 통로 거리를 연장하여 기액 분리 작용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byrinth passage 142 is formed on the first to fourth shielding walls 136 to 139 and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between the outside air inlet 128 and the inlet 134. Intrusion of foreign matter including water into the intake port 134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and the first to fourth shielding walls 136 to 139 are inclined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As a result, the lower side is bent toward the inlet port 134 to form a substantially " U " shape, thereby complicating the shape of the labyrinth passage 142 and extending the passage distance to enhance the gas-liquid separation effect.

또한, 클리너 케이스(110)의 상면(112a)에, 흡기구(134) 외에, 전동 케이스(59)의 변속기실(60)에 냉각 공기를 인도하기 위한 냉각 공기 도입구(144)가 형성되고, 외기 도입구(128)로부터 도풍 통로(135)에 도입된 공기를, 흡기구(134)를 향하는 공기와, 냉각 공기 도입구(144)를 향하는 공기를 분리시키는 위치에, 제1∼제4 차폐벽(136∼139)의 일부인 제1 차폐벽(136)이 배치되므로, 제1∼제4 차폐벽(136∼139)의 일부를 이용하여 도풍 통로(135)를 분리할 수 있어,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inlet port 134, a cooling air inlet 144 for guiding cooling air is formed in the transmission chamber 60 of the transmission case 59 on the upper surface 112a of the cleaner case 110. The first to fourth shielding walls (at the position wher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guiding passage 135 from the inlet port 128 is separated from the air toward the inlet port 134 and the air toward the cooling air inlet port 144) Since the 1st shielding wall 136 which is a part of 136-139 is arrange | positioned, the guide passage 135 can be isolate | separated using a part of 1st-4th shielding walls 136-139, and a part score can be reduced. Can b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설계 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design changes, without deviating from this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냉각팬(49)에 의한 냉각풍으로 라디에이터(50)를 냉각하는 수냉식 엔진(E)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냉각팬에 의한 냉각풍으로 엔진 본체를 냉각시키는 강제 공냉 엔진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냉각팬에 의한 냉각풍의 유통 방향에 따라 냉각팬보다 상류측에서 엔진 슈라우드 내에 배출관로(151)가 연통되면 된다.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radiator 50 is applied to the water-cooled engine E that cools the radiator 50 by the cooling wind by the cooling fan 49 has been described.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 forced air-cooled engine, and in this case, the discharge pipe passage 151 may communicate with the engine shroud upstream from the cooling fan in accordance with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wind by the cooling fan.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요동식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rocking typ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2-2선 확대 단면도이다. FIG. 2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 of FIG. 1.

도 3은 도 1의 화살표 3에서 본 도면이다. FIG. 3 is a view seen from arrow 3 of FIG. 1.

도 4는 펜더 및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3에 대응한 도면이다. 4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3 in a state where the fender and the cover are removed.

도 5는 펜더, 커버 및 에어 클리너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3에 대응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3 with the fender, the cover and the air cleaner removed.

도 6은 펜더, 커버 및 후륜을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3의 6-6선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3 with the fender, the cover and the rear wheel omitted.

도 7은 도 3의 7-7선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7-7 of FIG. 3.

도 8은 도 6의 8-8선 확대 단면도이다.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8-8 of FIG. 6.

도 9는 도 7의 9-9선 확대 단면도이다.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 7.

도 10은 도 3의 10-10선 확대 단면도이다.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0-10 of FIG. 3.

도 11은 도 3의 11-11선 확대 단면도이다.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1-11 of FIG. 3.

도 12는 도 3의 12-12선 확대 단면도이다.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12-12 of FIG. 3.

도 13은 도 3의 13-13선 단면도이다.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3-13 of FIG. 3.

도 14는 도 6의 화살표 14에서 본 확대도이다. FIG. 14 is an enlarged view seen from arrow 14 of FIG. 6.

도 15는 도 14의 15-15선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15-15 line of FIG.

도 16은 도 14의 16-16선 단면도이다.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6-16 of FIG. 14.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7 : 무단 변속기 49 : 냉각팬 37: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49: cooling fan

51 : 라디에이터 슈라우드 59 : 전동 케이스51: radiator shroud 59: electric case

60 : 변속기실 146 : 도입구60: transmission chamber 146: inlet

150 : 배출구 151 : 배출관로150: discharge port 151: discharge pipe

152 : 돌출 통부 B : 차체152: protrusion cylinder B: body

E : 엔진 T : 전동 장치E: engine T: transmission

WR : 후륜 WR: Rear Wheel

Claims (5)

엔진(E) 및 후륜(WR) 간에 설치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37)를 적어도 가지는 전동 장치(T)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59)에, 상기 무단 변속기(37)를 수용하는 변속기실(60)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변속기실(60) 내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146)와, 상기 변속기실(60)로부터 외부에 냉각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0)가 형성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Transmission chamber 60 which accommodates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37 in the transmission case 59 which accommodates the transmission T which has at least the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37 provided between the engine E and the rear wheel WR. ) Is formed, and an inlet 146 for introducing cooling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transmission chamber 60 and an outlet 150 for discharging cooling air from the transmission chamber 60 to the outside are formed. In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 vehicle, 일단이 상기 배출구(150)에 접속되는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상기 전동 케이스(59)의 상방에서 개방되고,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passage 15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50, is opened above the transmission case 59, 상기 엔진(E)은 냉각팬에 의한 냉각풍으로 엔진 본체를 냉각하는 강제 공냉 엔진, 또는 상기 냉각팬(49)에 의한 냉각풍으로 라디에이터(50)를 냉각하는 수냉식 엔진이고, 상기 냉각팬(49)에 의한 냉각풍의 유통 방향에 따라 상기 냉각팬(49)보다 상류측에서 엔진 슈라우드(shroud) 또는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 내에, 상기 배출관로(151)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The engine E is a forced air cooling engine for cooling the engine main body with cooling wind by a cooling fan, or a water cooling engine for cooling the radiator 50 with cooling wind by the cooling fan 49, and the cooling fan 49 Cooling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ipe 151 is communicated in the engine shroud or the radiator shroud 51 upstream from the cooling fan 49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wind by rescu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배출구(150)가, 차체(B)의 폭방향 중심측을 향해 상기 전동 케이스(59)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로(151)의 타단이, 상기 차체(B)의 폭방향 중심에 대해 상기 배출구(150)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The said discharge port 150 is formed in the said transmission case 59 toward the width direction center side of the vehicle body B, and the other end of the said discharge pipe path 151 is said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center of the said vehicle body B. Cooling structure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utlet 15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엔진 슈라우드 또는 라디에이터 슈라우드(51)에,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 통부(152)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로(151)가 상기 돌출 통부(152)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The engine shroud or the radiator shroud 51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tubular portion 152 protruding upward, and the exhaust pipe 151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tubular portion 152.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전동 케이스(59)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후륜(WR) 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배출관로(151)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Cooling structure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ipe 151 is disposed so as to be accommodated between the rear wheels (WR) dispos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nsmission case (59).
KR1020070084244A 2006-09-26 2007-08-22 Cooling structure for continous variable transmission of motorcycle Expired - Fee Related KR1008917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60468 2006-09-26
JP2006260468A JP4801814B2 (en) 2006-09-26 2006-09-26 Cooling structure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273A KR20080028273A (en) 2008-03-31
KR100891781B1 true KR100891781B1 (en) 2009-04-07

Family

ID=3925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2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1781B1 (en) 2006-09-26 2007-08-22 Cooling structure for continous variable transmission of motorcycl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01814B2 (en)
KR (1) KR100891781B1 (en)
CN (1) CN100595456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5505A (en) * 2014-03-25 2014-07-02 重庆隆鑫发动机有限公司 CVT (constant-voltage transformer) driving system and motorcycle
JP6331815B2 (en) * 2014-07-22 2018-05-30 スズキ株式会社 Cooling structur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2710554B1 (en) * 2020-02-10 2024-09-26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Retaining ring for tripod joint and tripod joint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953A (en) * 2001-02-22 2002-09-03 Kawasaki Heavy Ind Ltd Riding off-road four-wheel vehicle with V-bel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4203Y2 (en) * 1984-10-26 1987-11-19
JPS61282667A (en) * 1985-06-07 1986-12-12 Honda Motor Co Ltd belt transmission
JPS6275260U (en) * 1985-10-30 1987-05-14
ES2157370T3 (en) * 1995-06-29 2001-08-16 Yamaha Motor Co Ltd TRANSMISSION OF CONTINUOUS VARIATION.
JP2003042270A (en) * 2001-07-25 2003-02-13 Yamaha Motor Co Ltd Cooling structure for belt transmission
JP4293796B2 (en) * 2003-01-31 2009-07-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Cooling structure for V-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N2663734Y (en) * 2003-09-01 2004-12-15 姜永军 V-belt variable-speed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953A (en) * 2001-02-22 2002-09-03 Kawasaki Heavy Ind Ltd Riding off-road four-wheel vehicle with V-bel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3653A (en) 2008-04-02
KR20080028273A (en) 2008-03-31
JP2008082374A (en) 2008-04-10
CN100595456C (en) 2010-03-24
JP4801814B2 (en)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1302B (en) Guard structure of saddle-riding vehicle
EP1186771A2 (en) Motorcycle
JP4661472B2 (en) Motorcycle cowling
US8037958B2 (en) Layout of compact all terrain vehicle for fuel tank, intake duct, and exhaust duct positioning
JP5914317B2 (en) Air cleaner case structure for saddle riding type vehicles
KR100455352B1 (en) Scooter type vehicle
JP4316390B2 (en) Rider riding four-wheeled vehicle for rough terrain
JP4969969B2 (en) Air cleaner air introduction structure in swing type tricycle
KR100891781B1 (en) Cooling structure for continous variable transmission of motorcycle
JP5002351B2 (en) Scooter type vehicle
JP4802727B2 (en) Rough terrain vehicle
US8210297B2 (en) Layout of compact all terrain vehicle for exhaust outlet duct and air inlet duct positioning
JP5414423B2 (en) Saddle riding
US11299034B2 (en) Intake device structure of saddle riding vehicle
JP2007113565A (en) Breather device for motorcycle
JPH09242630A (en) Engine intake structure of under borne type motorcycle
JP4792359B2 (en) Small vehicle
JP6523027B2 (en) Intake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a small vehicle
EP3597518B1 (en) Saddle-riding type vehicle
JP2004124762A (en) Air cleaner device for vehicles
JP5958071B2 (en) Air cleaner device for underbone type motorcycle
JP3168136U (en) Scooter-type vehicle intake system
JP2023147817A (en) Saddle-riding type vehicle
JP2019173646A (en) Air cleaner device of saddle-riding type vehicle
JP2009226987A (en) Intake device of scooter typ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3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32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