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052B1 - Optional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 Google Patents
Optional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3052B1 KR100893052B1 KR1020020085084A KR20020085084A KR100893052B1 KR 100893052 B1 KR100893052 B1 KR 100893052B1 KR 1020020085084 A KR1020020085084 A KR 1020020085084A KR 20020085084 A KR20020085084 A KR 20020085084A KR 100893052 B1 KR100893052 B1 KR 1008930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ss
- signal
- amplifier
- switching control
- p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72—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1/00
- H03F2201/32—Indexing scheme relating to 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2201/3215—To increase the output power or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선택적 스마트 전력 증폭기 모듈은, 송신단 구조를 이중화 구조로 함으로써, 대체성을 확보하고, 각종 PCB 크기에 적합한 송신단 이득 특성을 선택적으로 조정하고, 이를 통하여 송신단의 특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선택적 스마트 전력 증폭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스위칭 제어 신호 및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A급/B급 증폭 과정을 모두 제공하도록 이중화되어 있으며, 송신을 위하여 입력된 RF 전력 신호에 있어서 제1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A급 증폭 기능 또는 B급 증폭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드라이버 증폭부; 및 A급/B급 증폭 과정을 모두 제공하도록 이중화되어 있으며, 드라이버 증폭부의 출력 신호에 있어서 제2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A급 증폭 기능 또는 B급 증폭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전력 증폭부를 포함한다.
A급 증폭기, B급 증폭기, 전력 증폭기, 드라이버 증폭기
In the optional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a redundant structure of the transmitter stag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replaceability, selectively adjust the transmitter gain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various PCB sizes, and thereby optim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tter stag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ower amplifier modul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A driver amplification unit which is duplexed to provide both class A / B class amplification processes and selectively provides a class A amplification function or a class B ampl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n an RF power signal inputted for transmission; And a power amplifier for selectively providing both a class A / B class amplification process and selectively providing a class A amplification function or a class B ampl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n the output signal of the driver amplification unit.
Class A amplifier, Class B amplifier, power amplifier, driver amplifi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전력 증폭기 모듈을 나타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power amplifier modu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택적 스마트 전력 증폭기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lective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택적 스마트 전력 증폭기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lective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0 : 제어부 220 : 드라이버 증폭부210: controller 220: driver amplifier
230 : 전력 증폭부
230: power amplifier
본 발명은 선택적 스마트 전력 증폭기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송신단의 입력 전력에 따라서 드라이버 증폭기와 전력 증폭기 내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효율, 전류 소비 및 스펙트럼 재발생(Spectral Regrowth)을 조정할 수 있는 선택적 스마트 전력 증폭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onal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overall efficiency, current consumption and spectral regrowth by allowing the path in the driver amplifier and the power amplifier to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power of the terminal transmitter. An optional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도 1은 종래의 전력 증폭기 모듈을 나타난 블록도로서, 이러한 종래의 전력 증폭기 모듈은,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드라이버 증폭기(110); 및 드라이버 증폭기(110)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12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power amplifier module, which includes a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력 증폭기 모듈에 의하면, 1개의 경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드라이버 증폭기(110) 및 전력 증폭기(120)에 성능에 전체 성능이 의존되므로, 결국 송신 시스템의 성능이 제한을 받게되고, 고장 시 대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이솔레이터(isolator)가 채용되지 않을 경우, 증폭기에 계속적인 데미지가 올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전류 소비를 증가시키게 되고, 최종적으로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단말기의 PCB 크기에 따른 발열과 전도성 방사 특성이 트레이드-오프될 수 없으므로, 송신단의 성능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ower amplifier module described above, since it consists of one path, each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송신단 구조를 이중화 구조로 함으로써, 대체성을 확보하고, 각종 PCB 크기에 적합한 송신단 이득 특성을 선택적으로 조정하고, 이를 통하여 송신단의 특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선택적 스마트 전력 증폭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dundant structure by using a transmitter structure, which ensures replacement and selectively adjusts gain characteristics of a transmitter suitable for various PCB sizes, thereby optimizing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tt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optional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택적 스마트 전력 증폭기 모듈은, 제1 스위칭 제어 신호 및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RF 전력 신호에 대하여 A급 증폭 과정을 수행하는 A급 드라이버 증폭기와, 상기 RF 전력 신호에 대하여 B급 증폭 과정을 수행하는 B급 드라이버 증폭기를 포함하여, A급 증폭 기능과 B급 증폭 기능을 모두 제공하도록 이중화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송신을 위하여 입력된 상기 RF 전력 신호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A급 증폭 기능 또는 B급 증폭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드라이버 증폭부; 및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A급 증폭 과정을 수행하는 A급 드라이버 증폭기와,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B급 증폭 과정을 수행하는 B급 드라이버 증폭기를 포함하여, A급 증폭 기능과 B급 증폭 기능을 모두 제공하도록 이중화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의 출력 신호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A급 증폭 기능 또는 B급 증폭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전력 증폭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ptional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A class A driver amplifier that performs a class A amplification process on the RF power signal, and a class B driver amplifier that performs a class B amplification process on the RF power signal. A driver for receiving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selectively performing a class A amplification function or a class B ampl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n the RF power signal inputted for transmission. Amplification unit; And a class A driver amplifier performing a class A amplification process on the output signal of the driver amplifying unit, and a class B driver amplifier performing a class B amplification process on the output signal of the driver amplifying unit. It is redundant to provide all of the class B amplification functions, and receives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selectively selects the class A amplification function or the class B ampl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n the output signal of the driver amplification unit. It includes a power amplifier to perform.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택적 스마트 전력 증폭기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선택적 스마트 전력 증폭기 모듈은, 제어부(210), 드라이버 증폭부(220) 및 전력 증폭부(230)를 포함한다.First,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lective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ive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어부(210)는, 제1 스위칭 제어 신호 및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를 후술하는 드라이버 증폭부(220)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를 후술하는 전력 증폭부(23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는, RF 전력 신호가 소신호인 경우에는 제1 논리 단계(Low)이고, 상기 RF 전력 신호가 대신호인 경우에는 제2 논리 단계(High)로 조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임의로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 위칭 제어 신호는, RF 전력 신호가 소신호인 경우에는 제1 논리 단계(Low)이고, 상기 RF 전력 신호가 대신호인 경우에는 제2 논리 단계(High)로 조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임의로 조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10)는, MSM을 사용할 수 있다.The
또한, 드라이버 증폭부(220)는, 상기 제어부(210)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송신을 위하여 입력된 RF 전력 신호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A급(A-Class) 증폭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B급(B-Class) 증폭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22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220) 내에 장착된 A급(A-Class) 드라이버 증폭기(221)는, A급(A-Class) 증폭 과정을 통하여 상기 RF 전력 신호에 대한 스펙트럼 재발생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펙트럼 재발생이 향상됨으로써, 전도성 방사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 class-
또한,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220) 내에 장착된 B급(B-Class) 드라이버 증폭기(222)는, B급(B-Class) 증폭 과정을 통하여 상기 RF 전력 신호에 대한 전류 소비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B급(B-Class) 드라이버 증폭기(222)에 의하여 발열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
한편, 복수개의 스위치부(223, 224)는,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1 논리 단계(Low)인 경우에는 상기 RF 전력 신호가 상기 A급(A-Class) 드라이버 증폭기(221)를 통과한 후 출력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2 논리 단계(High)인 경우에는 상기 RF 전력 신호가 상기 B급(B-Class) 드라이버 증폭기(222)를 통과한 후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전력 증폭부(230)는, 상기 제어부(210)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220)의 출력 신호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A급(A-Class) 증폭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B급(B-Class) 증폭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증폭부(23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전력 증폭부(230) 내에 장착된 A급(A-Class) 전력 증폭기(231)는, A급(A-Class) 증폭 과정을 통하여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220)의 출력 신호에 대한 스펙트럼 재발생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펙트럼 재발생이 향상됨으로써, 전도성 방사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 A-Class
또한, 상기 전력 증폭부(230) 내에 장착된 B급(B-Class) 전력 증폭기(232)는, B급(B-Class) 증폭 과정을 통하여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220)의 출력 신호에 대한 전류 소비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B급(B-Class) 전력 증폭기(232)에 의하여 발열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ass B (B-Class)
한편, 복수개의 스위치부(233, 234)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1 논리 단계(Low)인 경우에는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220)의 출력 신호가 상기 A급(A-Class) 전력 증폭기(231)를 통과한 후 출력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2 논리 단계(High)인 경우에는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220)의 출력 신호가 상기 B급(B-Class) 전력 증폭기(232)를 통과한 후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역 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택적 스마트 전력 증폭기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선택적 스마트 전력 증폭기 모듈은, 제어부(310), 드라이버 증폭부(320) 및 전력 증폭부(330)를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tional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ive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어부(310)는, 제1 스위칭 제어 신호, 제2 스위칭 제어 신호 및 복수개의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 및 복수개의 온/오프 신호 중 제1 온/오프 신호 및 제2 온/오프 신호를 후술하는 드라이버 증폭부(320)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 및 복수개의 온/오프 신호 중 제3 온/오프 신호 및 제4 온/오프 신호를 후술하는 전력 증폭부(33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는, RF 전력 신호가 소신호인 경우에는 제1 논리 단계(Low)이고, 상기 RF 전력 신호가 대신호인 경우에는 제2 논리 단계(High)로 조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임의로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는, RF 전력 신호가 소신호인 경우에는 제1 논리 단계(Low)이고, 상기 RF 전력 신호가 대신호인 경우에는 제2 논리 단계(High)로 조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임의로 조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310)는, MSM을 사용할 수 있다.The
또한, 드라이버 증폭부(320)는, 상기 제어부(310)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 상기 제1 온/오프 신호 및 상기 제2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온/오프 신호에 따라 A급(A-Class) 증폭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하며, 상기 제2 온/오프 신호에 따라 B급(B-Class) 증폭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하고, 송신을 위하여 입력된 RF 전력 신호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A급(A-Class) 증폭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B급(B-Class) 증폭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32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320) 내에 장착된 A급(A-Class) 드라이버 증폭기(321)는, 상기 제1 온/오프 신호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고, A급(A-Class) 증폭 과정을 통하여 상기 RF 전력 신호에 대한 스펙트럼 재발생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펙트럼 재발생이 향상됨으로써, 전도성 방사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 class
또한,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320) 내에 장착된 B급(B-Class) 드라이버 증폭기(322)는, 상기 제2 온/오프 신호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고, B급(B-Class) 증폭 과정을 통하여 상기 RF 전력 신호에 대한 전류 소비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B급(B-Class) 드라이버 증폭기(322)에 의하여 발열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ass
한편, 복수개의 스위치부(323, 324)는,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1 논리 단계(Low)인 경우에는 상기 RF 전력 신호가 상기 A급(A-Class) 드라이버 증폭기(321)를 통과한 후 출력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2 논리 단계(High)인 경우에는 상기 RF 전력 신호가 상기 B급(B-Class) 드라이버 증폭기(322)를 통과한 후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전력 증폭부(330)는, 상기 제어부(310)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 상기 제3 온/오프 신호 및 상기 제4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온/오프 신호에 따라 A급(A-Class) 증폭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하며, 상기 제2 온/오프 신호에 따라 B급(B-Class) 증폭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하고,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320)의 출력 신호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A급(A-Class) 증폭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B급(B-Class) 증폭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증폭부(33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상기 전력 증폭부(330) 내에 장착된 A급(A-Class) 전력 증폭기(331)는, 상기 제3 온/오프 신호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고, A급(A-Class) 증폭 과정을 통하여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320)의 출력 신호에 대한 스펙트럼 재발생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펙트럼 재발생이 향상됨으로써, 전도성 방사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전력 증폭부(330) 내에 장착된 B급(B-Class) 전력 증폭기(332)는, 상기 제4 온/오프 신호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고, B급(B-Class) 증폭 과정을 통하여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320)의 출력 신호에 대한 전류 소비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B급(B-Class) 전력 증폭기(332)에 의하여 발열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ass B (B-Class)
한편, 복수개의 스위치부(333, 334)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1 논리 단계(Low)인 경우에는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320)의 출력 신호가 상기 A급(A-Class) 전력 증폭기(331)를 통과한 후 출력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2 논리 단계(High)인 경우에는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320)의 출력 신호가 상기 B급(B-Class) 전력 증폭기(332)를 통과한 후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상술한 본 발명의 선택적 스마트 전력 증폭기 모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lective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RF 전력 신호가 약한 경우에는, 제1 스위치 제어 신호 및 제2 스위치 제어 신호가 제1 논리 단계(Low)로 됨으로써, A급 증폭기를 도통하는 경로를 제공하게 되어 스펙트럼 재발생을 향상시키고, RF 전력 신호가 강한 경우에는, 제1 스위치 제어 신호 및 제2 스위치 제어 신호가 제2 논리 단계(High)로 됨으로써, B급 증폭기를 도통하는 경로를 제공하게 되어 전류 소비를 줄이게 된다.First, when the RF power signal is weak, the first switch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switch control signal go to the first logic stage (Low), thereby providing a path for conducting the Class A amplifier, thereby improving the spectrum regeneration, When the power signal is strong, the first switch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switch control signal go to the second logic step High, thereby providing a path for conducting the Class B amplifier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이 때, 드라이버 증폭부(220, 320) 및 전력 증폭부(230, 330)에서 모두 동일한 급의 증폭기를 적용할 수도 있지만, 각각 다른 급의 증폭기를 적용함으로써, 트레이드-오프(Trade Off)를 수행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although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shown.
본 발명은 송신단 구조를 이중화 구조로 함으로써, 대체성을 확보하고, 각종 PCB 크기에 적합한 송신단 이득 특성을 선택적으로 조정하고, 이를 통하여 송신단의 특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redundant structure of the transmitting end ensures replacement and selectively adjusts the gain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tting end suitable for various PCB sizes, thereby opt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tting end.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20085084A KR100893052B1 (en) | 2002-12-27 | 2002-12-27 | Optional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20085084A KR100893052B1 (en) | 2002-12-27 | 2002-12-27 | Optional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58707A KR20040058707A (en) | 2004-07-05 |
| KR100893052B1 true KR100893052B1 (en) | 2009-04-15 |
Family
ID=3735078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200850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3052B1 (en) | 2002-12-27 | 2002-12-27 | Optional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93052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281924A (en) | 1989-11-13 | 1994-01-25 | Italtel Societa Italiana Telecomunicazione S.P.A. | Fully differential CMOS power amplifier |
| JPH10313265A (en) * | 1997-05-13 | 1998-11-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Microwave transceiver module |
| KR19990076806A (en) * | 1995-12-27 | 1999-10-15 | 러셀 비. 밀러 | Efficient Parallel Stage Power Amplifier |
| US6232841B1 (en) | 1999-07-01 | 2001-05-15 | Rockwell Science Center, Llc | Integrated tunable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 |
-
2002
- 2002-12-27 KR KR1020020085084A patent/KR10089305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281924A (en) | 1989-11-13 | 1994-01-25 | Italtel Societa Italiana Telecomunicazione S.P.A. | Fully differential CMOS power amplifier |
| KR19990076806A (en) * | 1995-12-27 | 1999-10-15 | 러셀 비. 밀러 | Efficient Parallel Stage Power Amplifier |
| JPH10313265A (en) * | 1997-05-13 | 1998-11-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Microwave transceiver module |
| US6232841B1 (en) | 1999-07-01 | 2001-05-15 | Rockwell Science Center, Llc | Integrated tunable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58707A (en) | 2004-07-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35331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ransmitter circuit efficiency of mobile radio units | |
| JP2004007405A (en) | Efficient power amplifier | |
| EP276698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efficiency in power amplifier | |
| JP4836253B2 (en) | Power amplification device and mobile phone terminal | |
| US906539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xpanding operation region of power amplifier | |
| CN102197584B (en) | Power amplifier and amplifying method employed therein | |
| JP4754019B2 (en) | MIMO transmitter | |
| US20140266428A1 (en) | Envelope tracking power supply voltage dynamic range reduction | |
| US8081777B2 (en) | Volume-based adaptive biasing | |
| JP5322166B2 (en) | Laser drive circuit | |
| JP2006197556A (en) | amplifier | |
| JP3180711B2 (en) | Gain control device | |
| KR100893052B1 (en) | Optional smart power amplifier module | |
| JP2009260472A (en) | Power amplifier | |
| JPH09107299A (en) | Receiving amplifier | |
| JP6611394B2 (en) | Power amplifier, power amplification method, and power amplif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 CN105099489B (en) | A kind of radio-frequency signal processing module,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amplifying RF signal | |
| JPWO2008035396A1 (en) | Power amplifier | |
| KR100244974B1 (en) | Low noise amplifier of switching type fo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 |
| US8259766B2 (en) | Laser diode drive circuit, electronic circuit, method for controlling laser diode drive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duty | |
| JP2013055413A (en) | Power amplifier circuit | |
| WO2014155501A1 (en) | Power amplifying device and power amplifying method | |
| CN117811235A (en) | Radio frequency system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quipment | |
| JP2010068283A (en) | Transmitter | |
| JP2015171081A (en) | Variable gain amplifier, transmitter u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4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40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