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5153B1 - Filters, Interpolation Filters, and Decimation Filters for Digital Up-Down Converters - Google Patents

Filters, Interpolation Filters, and Decimation Filters for Digital Up-Down Conver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153B1
KR100905153B1 KR1020070141745A KR20070141745A KR100905153B1 KR 100905153 B1 KR100905153 B1 KR 100905153B1 KR 1020070141745 A KR1020070141745 A KR 1020070141745A KR 20070141745 A KR20070141745 A KR 20070141745A KR 100905153 B1 KR100905153 B1 KR 10090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lter
delay
accumulator
signa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7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희관
유경모
Original Assignee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1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15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6Non-recursive filters
    • H03H17/0621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 H03H17/0635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characterized by the ratio between the input-sampling and output-delivery frequencies
    • H03H17/065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characterized by the ratio between the input-sampling and output-delivery frequencies the ratio being integer
    • H03H17/0657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characterized by the ratio between the input-sampling and output-delivery frequencies the ratio being integer where the output-delivery frequency is higher than the input sampling frequency, i.e.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6Non-recursive filters
    • H03H17/0621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 H03H17/0635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characterized by the ratio between the input-sampling and output-delivery frequencies
    • H03H17/065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characterized by the ratio between the input-sampling and output-delivery frequencies the ratio being integer
    • H03H17/0664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characterized by the ratio between the input-sampling and output-delivery frequencies the ratio being integer where the output-delivery frequency is lower than the input sampling frequency, i.e. decim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1/00Adaptive networks
    • H03H21/0012Digital adaptive filters

Landscapes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기저대역 주파수 또는 IF 주파수를 가진 IQ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폴레이션 필터는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I신호 및 Q신호에 대해 N배 업 샘플링을 행하는 M탭 인터폴레이션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마다 상기 I신호 및 Q신호를 상기 주기만큼 연속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부; 상기 지연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2N배에 해당하는 클락마다 M/(2×N)개씩 선택하는 지연 신호 선택부; 상기 클락마다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를 선택하는 필터계수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와 상기 선택된 필터계수의 곱을 통해 부분합을 산출하고, 상기 부분합의 전체합을 통해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terpol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processing an IQ signal having a baseband frequency or an IF frequency is an M-tap interpolation filter that performs N-up up-sampling on an I signal and a Q signal input at a first sampling frequency. A delay unit configured to continuously delay the I signal and the Q signal by the period for each peri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 delay signa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delayed I or Q signals by M / (2 × N) for each clock corresponding to 2N times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 filter coefficient selector for selecting a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 or Q signal for each of the clocks; And an accumulator for calculating a partial sum through a product of the selected I signal or Q signal and the selected filter coefficient, and calculating a filtering result value through the total sum of the partial sums.

Description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 인터폴레이션 필터, 및 데시메이션 필터 {Filter For Digital Up-down Converter, Interpolation Filter, and Decimation Filter}Filter For Digital Up-down Converter, Interpolation Filter, and Decimation Filter

본 발명은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 인터폴레이션 필터, 및 데시메이션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저대역 주파수 또는 IF 주파수를 가진 IQ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 인터폴레이션 필터, 및 데시메이션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ilters for digital up-down converters, interpolation filters, and decimation filters, and more particularly, filters for digital up-down converters, interpolation filters, and decimations capable of processing IQ signals having baseband or IF frequencies. It is about a filter.

일반적으로, 디지털 기저대역 주파수(Digital Baseband)의 신호와 디지털 중간대역(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주파수의 신호 사이에서, 샘플링 주파수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회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업다운 샘플링 기술, 디지털 필터, 및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 컨버젼 기술이 필요하다.In general, to implement a circuit that provides the function of raising or lowering the sampling frequency between a signal of a digital baseband frequency and a signal of a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an up-down sampling technique, There is a need for filters and frequency conversion techniques for digital signals.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 컨버젼을 위해 필요한 업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업 컨버터는 기저대역의 디지털 IQ신호를 중간대역(IF)의 디지털 IQ신호로 변환시키며, 다운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다운 컨버터는 IF의 디지털 IQ신호를 기저대역의 디지털 IQ신호로 변환시킨다. The digital upconverter, which supports upsampling required for frequency conversion of digital signals, converts the baseband digital IQ signal into an intermediate band (IF) digital IQ signal. Convert the signal to a baseband digital IQ signal.

그리고, 상기 디지털 업 컨버터 또는 디지털 다운컨버터에서 샘플링 주파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터폴레이터(Interpolator)를 통해 기저대역 입력 신호를 업 샘플링하고, 이미지 스펙트럼(Image Spectrum)을 제거하기 위해 저역통과 필터를 통과시킨다. 또한, 샘플링 주파수를 낮추기 위해서는 IF 입력신호에서 저역통과 필터를 통해 엘리어싱(Aliasing)을 제거하고, 데시메이터(Decimator)를 통해 다운 샘플링한다.In order to increase the sampling frequency in the digital up-converter or the digital down-converter, the baseband input signal is upsampled through an interpolator, and a low-pass filter is passed to remove the image spectrum. In addition, to reduce the sampling frequency, eliminating aliasing through a low pass filter in the IF input signal and down sampling through a decimator.

그런데, 디지털 주파수 컨버젼 과정에서 기저대역의 IQ신호는 I와 Q로 분리되어 송수신 되어야 하므로, 송수신 과정에서 아날로그와 디지털 변환을 위한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또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가 2개씩 필요하게 되고, I신호 및 Q신호의 송수신 지연으로 인해 두 신호간의 시간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digital frequency conversion process, the baseband IQ signal must be separated and transmitted by I and Q, and thus, two 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 or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for analog and digital conversion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gnals is large due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lay of the I signal and the Q signal.

또한, 디지털 업다운 컨버젼 과정에서 I신호와 Q신호는 각각 디지털 필터를 통해 필터링 되어야하므로, 디지털 필터의 개수 또는 디지털 필터의 내부 로직이 많아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I and Q signals must be filtered through the digital filter in the digital up-down conversion process, the number of digital filters or the internal logic of the digital filter increases.

또한, TDD(Time Division Duplexing)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업 샘플링과 다운 샘플링을 모두 지원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를 사용해야 하고, 이때 송신 신호뿐만 아니라 수신 신호까지 필터링을 수행해야 하므로 디지털 필터의 개수 또는 디지털 필터의 내부 로직은 더욱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TDD (Time Division Duplexing) technology, a digital up-down converter that supports both upsampling and downsampling should be use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filter not only a transmission signal but also a reception signal. Internal logic has had a problem that increase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업다운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의 필터, 인터폴레이션 필터, 및 데시메이션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filter, an interpolation filter, and a decimation filter of a digital up-down converter supporting up-down sampling.

또한, 본 발명은 I신호 Q신호로 분리된 신호를 1개의 디지털 필터를 통해 필터링할 수 있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 인터폴레이션 필터, 및 데시메이션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up-down converter filter, an interpolation filter, and a decimation filter that can filter a signal separated into an I signal Q signal through one digital filter.

또한, 본 발명은 TDD를 구현하기 위한 업다운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신호를 1개의 디지털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할 수 있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 인터폴레이션 필터, 및 데시메이션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up-down converter that supports up-down sampling to implement TDD, and includes a digital up-down converter filter, an interpolation filter, and a decimation filter that can filter a transmission and a reception signal through one digital filter. It is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터폴레이션 필터는,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I신호 및 Q신호에 대해 N배 업 샘플링을 행하는 M탭 인터폴레이션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마다 상기 I신호 및 Q신호를 상기 주기만큼 연속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부; 상기 지연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2N배에 해당하는 클락마다 M/(2×N)개씩 선택하는 지연 신호 선택부; 상기 클락마다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를 선택하는 필터계수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 와 상기 선택된 필터계수의 곱을 통해 부분합을 산출하고, 상기 부분합의 전체합을 통해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terpolation filt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M-tap interpolation filter for performing N-fold up-sampling on the I and Q signals input at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 delay unit for continuously delaying the I signal and the Q signal by the period at each corresponding period; A delay signa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delayed I or Q signals by M / (2 × N) for each clock corresponding to 2N times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 filter coefficient selector for selecting a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 or Q signal for each of the clocks; And an accumulator that calculates a partial sum through the product of the selected I signal or Q signal and the selected filter coefficient, and calculates a filtering result value through the total sum of the partial sum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인터폴레이션 필터는,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I신호 및 Q신호에 대해 N배 업 샘플링을 행하는 M탭 인터폴레이션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마다 상기 I신호 및 Q신호를 상기 주기만큼 연속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부; 상기 지연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K×N배에 해당하는 클락마다 M/(K×N)개씩 선택하는 지연 신호 선택부; 상기 클락마다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를 선택하는 필터계수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와 상기 선택된 필터계수의 곱을 통해 부분합을 산출하고, 상기 부분합의 전체합을 통해 FIR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terpolation filt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M-tap interpolation filter that performs N-up up-sampling on an I signal and a Q signal input at a first sampling frequency. A delay unit for continuously delaying the I signal and the Q signal by the period at each corresponding period; A delay signal selector for selecting the delayed I or Q signals by M / (K × N) for each clock corresponding to K × N times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 filter coefficient selector for selecting a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 or Q signal for each of the clocks; And an accum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partial sum through a product of the selected I signal or Q signal and the selected filter coefficient, and calculate a FIR filtering result through the total sum of the partial sum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데시메이션 필터는,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I신호 및 Q신호에 대해 1/N배 다운 샘플링을 행하는 M탭 데시메이션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1/2배에 해당하는 주기 마다 상기 I신호 및 Q신호를 연속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부; 상기 지연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2배에 해당하는 클락마다 M/(2N)개씩 선택하는 지연 신호 선택부; 상기 클락마다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를 선택하는 필터계수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와 상기 선택된 필터계수의 곱을 통해 부분합을 산출하고, 상기 부분합의 전체합을 통해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ecimation filt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 tap decimation filter for performing 1 / N times down sampling of the I signal and the Q signal input at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 delay unit for continuously delaying the I signal and the Q signal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1/2 times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 delay signal selector for selecting the delayed I or Q signals by M / (2N) for each clock corresponding to twice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 filter coefficient selector for selecting a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 or Q signal for each of the clocks; And an accumulator for calculating a partial sum through a product of the selected I signal or Q signal and the selected filter coefficient, and calculating a filtering result value through the total sum of the partial sum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데시메이션 필터는,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I신호 및 Q신호에 대해 1/N배 다운 샘플링을 행하는 M탭 데시메이션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1/2배에 해당하는 주기 마다 상기 I신호 및 Q신호를 상기 주기만큼 연속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부; 상기 지연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2K배에 해당하는 클락마다 M/(K×N)개씩 선택하는 지연 신호 선택부; 상기 클락마다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를 선택하는 필터계수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와 상기 선택된 필터계수의 곱을 통해 부분합을 산출하고, 상기 부분합의 전체합을 통해 FIR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ecimation filt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tap decimation filter for performing 1 / N times down sampling on an I signal and a Q signal input at a first sampling frequency. A delay unit for continuously delaying the I and Q signals by the period every cycle corresponding to one-half times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 delay signal selector for selecting the delayed I or Q signals by M / (K × N) for each clock corresponding to 2K times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 filter coefficient selector for selecting a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 or Q signal for each of the clocks; And an accum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partial sum through a product of the selected I signal or Q signal and the selected filter coefficient, and calculate a FIR filtering result through the total sum of the partial sum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는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제1 신호에 대해 N배 업 샘플링을 수행 하거나 제2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제2 신호에 대해 1/N배 다운 샘플링을 수행하는 M탭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에 해당하는 제1 주기마다 상기 제1 주기만큼 연속적으로 지연시키고, 제2 신호를 제2 샘플링 주파수의 1/2배에 해당하는 주기마다 연속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부; 기 지연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각각 I신호 및 Q신호를 포함하되, 상기 I신호 또는 Q신호를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2N배에 해당하는 클락마다 M/(2N)개씩 선택하는 지연 신호 선택부; 상기 클락마다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를 선택하는 필터계수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와 상기 선택된 필터계수의 곱을 통해 부분합을 산출하고, 상기 부분합의 전체합을 통해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for a digital up-down convert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N-ups up sampling on a first signal input at a first sampling frequency or a second signal input at a second sampling frequency. A filter for an M-tap digital up-down converter that performs 1 / N times down sampling with respect to a first filter, wherein the first signal is continuously delayed by the first period at every first peri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nd the second signal is performed. A delay unit for continuously delaying the signal every cycle corresponding to 1/2 times the second sampling frequency; The delayed first and second signals include an I signal and a Q signal, respectively, and a delay signal for selecting the I signal or the Q signal by M / (2N) for each clock corresponding to 2N times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 selection unit; A filter coefficient selector for selecting a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 or Q signal for each of the clocks; And an accumulator for calculating a partial sum through a product of the selected I signal or Q signal and the selected filter coefficient, and calculating a filtering result value through the total sum of the partial su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I신호 및 Q신호를 하나의 업다운 샘플링을 제공하는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여 신호 처리하게 되므로 I신호 및 Q신호간에 발생하는 불균형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by using a digital filter that provides one up-down sampling of the I signal and the Q signal, so that an imbalance between the I signal and the Q signal can be overco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리된 I 및 Q신호를 1개의 디지털 필터를 통해 필터링함으로써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디지털 필터의 개수 또는 내부 로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iltering the separated I and Q signals through one digital filter, there is another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r internal logic of the digital filter for the digital up-down conver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 IQ신호와 수신 IQ신호를 1개의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여 신호 처리함으로써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디지털 필터의 개수 또는 내부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transmission IQ signal and the reception IQ signal using one digital filter can reduce the number or internal area of the digital filter for the digital up-down conver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다운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의 전체적인 블록도이다.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digital up-down converter supporting up-down sam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다운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는 업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업 컨버터(102) 및 다운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다운 컨버터(112)를 포함한다.As shown, a digital up-down converter supporting up-down sam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gital up converter 102 supporting up sampling and a digital down converter 112 supporting down sampling.

업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업 컨버터(102)는 SP변환기(104), 인터폴레이터(Interpolator: 106), 디지털 저역통과 필터(108), 및 디지털 업 컨버터(110)를 포함한다.Digital up converter 102 that supports upsampling includes an SP converter 104, an interpolator 106, a digital lowpass filter 108, and a digital upconverter 110.

SP변환기(104)는 기저대역의 I/Q신호를 직병렬 변환(Serial to Parallel Converting)기술을 통해 기저대역의 I신호와 Q신호로 분리한다. 그리고, 인터폴레이터(106)는 분리된 I신호와 Q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를 높이기 위해 업 샘플링한다.The SP converter 104 separates the baseband I / Q signal into baseband I and Q signals through a serial to parallel converting technique. Then, the interpolator 106 upsamples to increase the sampling frequency of the separated I and Q signals.

상기 업 샘플링된 신호는 디지털 저역통과 필터(108)를 통해 이미지 스펙트럼(Image Spectrum)이 제거된 후, 디지털 업 컨버터(110)를 거쳐 중간대역(IF)의 리얼(Real) 신호가 된다.The up-sampled signal is removed from the image spectrum through the digital low pass filter 108 and then becomes a real signal of the intermediate band IF through the digital up converter 110.

다운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업 컨버터(112)는 디지털 다운 컨버터(114), 디지털 저역통과 필터(116), 데시메이터(Decimator: 118), 및 PS변환기(120)를 포함한다.The digital up converter 112 supporting down sampling includes a digital down converter 114, a digital low pass filter 116, a decimator 118, and a PS converter 120.

리얼 신호는 디지털 다운 컨버터(114)를 거쳐 IF 주파수의 I 및 Q신호로 분리된 후, 엘리어싱(Aliasing)을 방지하기 위해 디지털 저역통과 필터(116)를 거친다. 그리고, 데시메이터(118)에 의해 다운 샘플링된 후, PS변환기(120)를 통해 직렬의 기저대역 I/Q 신호로 변환된다.The real signal is separated into I and Q signals at the IF frequency via the digital down converter 114 and then through the digital low pass filter 116 to prevent aliasing. After down-sampling by the decimator 118, it is converted into a series baseband I / Q signal by the PS converter 120.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업 컨버터 및 디지털 다운 컨버터를 통해 리얼 또는 IQ 신호를 기저대역과 IF 주파수 사이에서 컨버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A and 2B illustrate a process of converting a real or IQ signal between a baseband and an IF frequency through a digital up converter and a digital down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디지털 업 컨버터(202a)를 통해 기저대역 신호(BB)를 IF 신호(IF)로 변환해 주면, I신호와 Q신호 대신에 1개의 리얼 신호만을 송신하면 되고, 역으로 1개의 리얼 신호만을 수신하면 된다. 여기서, 기저대역 신호(BB)를 IF 신호(IF)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IF 주파수를 갖는 캐리어(Carrier: 204a)를 곱해 주어야 한다. Referring to FIG. 2A, when the baseband signal BB is converted to the IF signal IF through the digital up converter 202a, only one real signal may be transmitted instead of the I and Q signals. Only real signals need to be received. In order to convert the baseband signal BB to the IF signal IF, a carrier 204a having an IF frequency needs to be multiplied.

그리고, 디지털 다운 컨버터(206a)를 통해 IF 신호(IF)를 기저대역 신호(BB)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IF 주파수를 갖는 캐리어(208a)를 곱해 주어야 한다.In order to convert the IF signal IF into the baseband signal BB through the digital down converter 206a, the carrier 208a having the IF frequency needs to be multiplied.

일 예로, 상기 캐리어(204a)의 주파수를 기저대역 신호(BB)의 샘플링 주파수의 1/4로 설정하면 주파수 컨버젼이 매우 단순한 과정으로 구현되며, 하기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requency of the carrier 204a is set to 1/4 of the sampling frequency of the baseband signal BB, the frequency conversion is implemented in a very simple process, and may be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112007095131370-pat00001
Figure 112007095131370-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τ는 위상 오프셋(Phase Offset)이고 n은 샘플 인덱스(Index)이다. τ를 0으로 가정하면, 업 컨버젼에 사용되는 캐리어(204a)는 {(1,0),(0,1),(-1,0),(0,-1)}과 같이 4개의 복소 샘플들로 표현할 수 있고, 다운 컨버젼에 사용되는 캐리어(208a)는 {(1,0),(0,-1),(-1,0),(0,1)}로 표현할 수 있다.In Equation 1, τ is a phase offset and n is a sample index. Assuming τ is 0, the carrier 204a used for up-conversion has four complex samples: {(1,0), (0,1), (-1,0), (0, -1)}. The carrier 208a used for down conversion may be expressed as {(1,0), (0, -1), (-1,0), (0,1)}.

도 2b를 참조하면, 개념적으로 상기 기저대역 신호(BB)의 샘플링 주파수의 1/4로 설정된 캐리어에 의해, 디지털 업다운 컨버젼된 결과는 간단하게 표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a digital up-down converted result can be simply expressed by a carrier conceptually set to one quarter of the sampling frequency of the baseband signal BB.

디지털 업 컨버터(202b)는 입력 I 및 Q신호 열을 I신호와 Q신호가 번갈아 나오도록 직렬로 컨버젼한다. 이때, 출력 심볼 열은 부호도 번갈아 가며 바뀌게 된 다. The digital up converter 202b converts the input I and Q signal strings in series so that the I and Q signals alternate. At this time, the output symbol string is also changed alternately.

디지털 다운 컨버터(204b)는 직렬 리얼 심볼 열을 리얼 신호와 0이 번갈아 출력되는 I 및 Q신호로 컨버젼한다. 이때, 입력 리얼 심볼을 부호를 번갈아 가며 바꾸어서 컨버젼에 사용한다. The digital down converter 204b converts the serial real symbol string into I and Q signals which are alternately outputted with the real signal. At this time, the input real symbols are alternately used for conversion.

결국, 상기 입력 샘플링 주파수의 1/4에 해당하는 IF 캐리어를 통해 디지털 업다운 컨버젼은 입력 신호 중 소정 신호의 선택 또는 부호의 반전이라는 쉬운 연산으로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the digital up-down conversion through the IF carrier corresponding to 1/4 of the input sampling frequency is made possible by an easy operation of selecting a predetermined signal among the input signals or inverting a sign.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터폴레이터(106), 데시메이터(118), 디지털 업다운 컨버젼에 필요한 모든 디지털 저역 통과 필터를 1개의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122)로써 구현한다. 이하, 도 3을 통해 상기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122)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polator 106, the decimator 118, and all the digital low pass filters required for the digital up-down conversion are implemented as one filter 122 for the digital up-down converter. do. Hereinafter, the filter for the digital up-down converter 1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다운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filter for a digital up-down converter supporting up-down sam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다운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302)는 지연부(304), 지연 신호 선택부(310), 필터계수 저장부(312a), 필터계수 선택부(312b), 누산부(314), 1차 저장부(322), 및 유효 비트수 설정부(324)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the digital up-down converter filter 302 supporting up-down sam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lay unit 304, a delay signal selector 310, a filter coefficient storage unit 312a, and a filter. A coefficient selector 312b, an accumulator 314, a primary storage 322, and an effective number of bits setter 324 ar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302)는 입력 I신호 및 Q신호에 대해 6배(N=6)의 업 샘플링 또는 1/6배의 다운 샘플링을 수행하는 인터폴레이션 및 데시메이션 필터이고, 192 탭(Tab) FIR 디지털 필터이다. 여기서, 필터의 클락(Clock) 주파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는 입력 샘플링 주파수의 12배(=2×N배)이고, 데시메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는 필터(302) 출력의 샘플링 주파수의 1/12배이다.The digital up-down converter filter 3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interpolation and decimation for performing 6 times (N = 6) or 1/6 times down sampling on the input I and Q signals. Filter, a 192 Tab FIR digital filter. Here, the clock frequency of the filter is 12 times (= 2 × N times) of the input sampling frequency when operating as an interpolation filter, and 1/12 of the sampling frequency of the output of the filter 302 when operating as a decimation filter. It is a ship.

상기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302)의 입력 I신호 또는 Q신호는 병렬로 분리되어 입력되고, 필터링 결과는 직렬로 출력된다.The input I signal or Q signal of the digital up-down converter filter 302 is separated and input in parallel, and the filtering results are output in series.

상기 클락의 주파수는 입력 샘플링 주파수의 (K×N)배와 같이 일반적인 식이 될 수 있다. 이하, N은 업 샘플링 비율, M은 탭 수, K는 입력 샘플링 주파수의 N배에 해당하는 주파수에 대한 클락 주파수의 비율이라 가정하고 설명하겠다.The frequency of the clock may be a general formula such as (K × N) times the input sampling frequency. Hereinafter, assuming that N is the up-sampling ratio, M is the number of taps, and K is the ratio of the clock frequency to the frequency corresponding to N times the input sampling frequency.

지연부(304)는 I신호 및 Q신호에 대해 각각 96개의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306,308)를 포함한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306,308)는 필터(302)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와 데시메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에 각각 필요한 개수가 다르다.The delay unit 304 includes 96 shift registers 306 and 308 for the I and Q signals, respectively. The shift registers 306 and 308 differ in the number required 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and when it operates as a decimation filter.

지연부(304)는 필터(302)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상기 입력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각각 M/N개의 쉬프트 레지스터(306,308)를 이용하여 입력 샘플링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마다 지연시킨다.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the delay unit 304 delays the input I signal or Q signal for each period corresponding to the input sampling frequency by using M / N shift registers 306 and 308, respectively. .

지연부(304)는 필터(302)가 데시메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상기 입력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각각 M/2개의 쉬프트 레지스터(306,308)를 이용하여 탭 지연시킨다.The delay unit 304 delays the input I signal or Q signal using M / 2 shift registers 306 and 308, respectively, 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 decimation filter.

필터(302)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쉬프트 레지스터(306,308)는 입력 샘플링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 즉 12클락의 주기마다 연속적으로 입력된 I 및 Q신호를 지연한다. 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the shift registers 306 and 308 delay the inputted I and Q signals successively every cycl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ampling frequency, i.e., 12 clock cycles.

일 예로서 탭 지연된 I신호를 설명하면, 일반적인 FIR 필터의 입출력 방정식에 따르면 192 탭 FIR 필터의 경우 1개의 필터 출력을 위해서는 192개의 순차적으로 지연된 I신호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302)의 경우 6배의 업 샘플링을 수행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이므로 192개의 순차적으로 지연된 I신호가 존재한다면, 그 중 5/6은 0으로 보간된 값일 것이고, 필터링을 위한 연산 시 어차피 0이 되는 값이므로 필요 없는 정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개의 필터 출력을 위해 32개의 순차적으로 지연된 I신호가 필요하며, 쉬프트 레지스터(306)의 수도 32개만 필요하다.As an example, when the tap delayed I signal is described, according to an input / output equation of a general FIR filter, the 192 tap FIR filter requires 192 sequentially delayed I signals for one filter output,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 302 is an interpolation filter that performs 6 times upsampling, if there are 192 sequentially delayed I signals, 5/6 of them will be interpolated to 0, and will be 0 anyway during the operation for filtering. Value is unnecessary information. Thu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sequentially delayed I signals are required for one filter output, and only 32 shift registers 306 are required.

한편, 필터(302)가 데시메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Q신호의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하면, 쉬프트 레지스터(308)는 입력 샘플링 주파수의 1/2배에 해당하는 주기, 즉 4클락마다 연속적으로 입력된 Q신호를 지연한다. 여기서, 입력 샘플링 주파수의 1/2배에 해당하는 주기마다 지연시키는 이유를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데시메이션 필터로 동작하는 경우, 디지털 다운 컨버터(204b)의 출력이 데이메이션 필터의 입력이 된다. 그런데, 디지털 다운 컨버터(204b)의 출력은 Q신호의 경우 0 과 0이 아닌 신호값이 번갈아 나오는 형태이다. In the meantime, 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 decimation filter, the Q sig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shift register 308 is continuously provided with a period corresponding to 1/2 times the input sampling frequency, that is, every four clocks. Delay the input Q signal. Here, the reason for delaying at every cycle corresponding to 1/2 times the input sampling frequency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2B. This is the input to the filter. However, the output of the digital down converter 204b alternates between 0 and a non-zero signal value in the case of the Q signal.

따라서, 입력된 Q신호 중 절반은 연산 시 0이 되는 필요 없는 값이며, 필터링 연산 시 필요하며 쉬프트 레지스터(308)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연된 Q신호는 96개만이 필요하다.Therefore, half of the input Q signals are not necessary to be zero in the calculation, and only 96 Q signals are required in the filtering operation and sequentially delayed by the shift register 308.

지연 신호 선택부(310)는 필터(302)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306,308)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연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클락마다 M/(2×N)개씩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M은 탭의 개수인 192이고 N은 업 샘플링 비율인 6이다. 따라서, 선택되는 순차적으로 지연된 I신호 또는 Q신호는 16개가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선택되는 신호의 수는 M/(K×N)라는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selects M / (2 × N) signals for each clock, which are sequentially delayed by the shift registers 306 and 308.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M is 192, the number of taps, and N is 6, the upsampling rate. Therefore, there will be 16 sequentially delayed I or Q signals to be selected. Here, the number of the selected signal can be expressed by M / (K × N).

도 4는 필터(302)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지연 신호 선택부(3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먼저, 지연 신호 선택부(310)는 멀티플렉서를(D_SEL) 통해 32개의 지연된 I신호 중 가장 지연 시간이 큰 I신호부터 16개(402)를 선택한다. 상기 16개의 지연된 I신호(402)는 16개의 멀티플렉서(D-MUX0~15)를 통해 분배되어 출력된다. 상기 출력된 I신호들(402)은 추후 누산부(314)에서 FIR 필터링 연산을 위해 해당 필터계수들과 곱해 진다.First, 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selects 16 402 from the I signals having the largest delay time among the 32 delayed I signals through the multiplexer D_SEL. The 16 delayed I signals 402 are distributed and output through 16 multiplexers D-MUX0 to 15. The output I signals 402 are then multiplied by the corresponding filter coefficients for the FIR filtering operation in the accumulator 314.

다음으로, 16개의 지연된 I신호(404)를 선택하고, 멀티플렉서(D-MUX0~15)를 통해 출력한다.Next, 16 delayed I signals 404 are selected and output through the multiplexers D-MUX0 to 15.

다음으로, Q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가장 지연 시간이 큰 Q신호부터 16개(406)를 선택하여 멀티플렉서(D-MUX0~DMUX15)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남은 16개(408)의 Q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Next, similarly to the Q signal, 16 406 are selected from the Q signal having the largest delay time and output through the multiplexers D-MUX0 to DMUX15. Then, the remaining 16 Q signals are selected and output.

따라서, 지연된 32개의 I신호는 2번의 선택 과정을 거쳐 모두 출력되게 되고, 이어서, 지연된 32개의 Q신호도 모두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I신호 또는 Q신호에 대해 각각 2번의 선택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승산기를 16개로 줄이기 위함이 다. 누산부(314)는 1개의 필력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32번의 승산을 해야 하지만, 상술한 선택 과정을 통해 16개의 승산기를 이용하여 2번에 걸쳐 필요한 승산을 모두 행할 수 있다.Therefore, all 32 delayed I signals are output through two selection processes, and then all 32 delayed Q signals are also output. Here, the reason for performing two selection processes for the I signal or the Q signal, respectively, is to reduce the multipliers to 16. The accumulator 314 must multiply 32 times in order to generate one writing force output, but it is possible to perform all necessary multiplications twice using the 16 multipliers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lection process.

또한, 승산을 2번에 걸쳐 수행해도 클락 주파수가 입력 샘플링 주파수의 2N배이므로, 누산부(314)의 계산 결과는 지연 없이 정해 진 시간에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multiplication is performed twice, since the clock frequency is 2N times the input sampling frequency,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accumulator 314 may be output at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delay.

그리고, 지연 신호 선택부(310)는 필터(302) 입력으로 1개의 I신호 및 Q신호가 입력되면, 6배 업샘플링된 해당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기 위해, 총 12번의 선택 과정을 거친다. 즉, 지연된 16개의 I신호가 6(=2×3)번 선택되고, 16개의 Q신호가 6번(=2×3)선택된다.In addition, when one I signal and a Q signal are input to the filter 302, 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undergoes a total of 12 selection processes in order to calculate a six-fold upsampled corresponding filtering result. That is, 16 delayed I signals are selected 6 times (= 2 × 3), and 16 Q signals are selected six times (= 2 × 3).

상술한 바와 같이, 지연 신호 선택부(310)는 상기 지연된 I신호를 K번 선택한 후 상기 지연된 Q신호를 K번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lay signal selecting unit 310 may be regarded as repeatedly performing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delayed Q signal K times after selecting the delayed I signal K times.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지연 신호 선택부(310)는 필터(302)가 데시메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306,308)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연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클락마다 M/(2×N)개씩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되는 I신호의 수는 M/(K×N)라는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3, 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 decimation filter, 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may sequentially change the I signal or Q signal delayed by the shift registers 306 and 308 for each clock M / ( 2 x N) In this case, the number of I signals to be selected may be expressed as M / (K × N).

도 5는 필터(302)가 데시메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지연 신호 선택부(3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 decimation filter.

먼저, 지연 신호 선택부(310)는 96개의 지연된 I신호 중 가장 지연 시간이 큰 I신호부터 16개(502)를 멀티플렉서(D_SEL)를 통해 선택한다. 상기 16개의 지연 된 I신호(502)는 16개의 멀티플렉서(D-MUX0~15)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출력된 I신호들(502)은 추후 누산부(314)에서 FIR 필터링을 위해 해당 필터계수들과 곱해진다.First, 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selects 16 502 from the 96 delayed I signals having the largest delay time through the multiplexer D_SEL. The 16 delayed I signals 502 are output through 16 multiplexers D-MUX0 to 15. The output I signals 502 are later multiplied by the corresponding filter coefficients for FIR filtering in the accumulator 314.

다음으로,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I신호에 대해서 16개씩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멀티플렉서(D-MUX0~15)를 통해 분배되어 출력한다.Next, 16 pieces of the remaining unselected I signals are repeatedly selected and distributed through the multiplexers D-MUX0 to 15 to output.

다음으로, Q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가장 지연 시간이 큰 Q신호부터 16개(504)를 선택하여 멀티플렉서(D-MUX0~15)를 통해 출력한다. Next, similarly to the Q signal, 16 504 are selected from the Q signal having the largest delay time and output through the multiplexers D-MUX0 to 15.

그리고,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Q신호에 대해서 16개씩 반복적으로 선택한다. 따라서, 지연된 96개의 I신호는 6번의 선택 과정을 거쳐 모두 출력되게 되고, 지연된 96개의 Q신호도 이어지는 6번의 선택 과정을 거쳐 모두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I신호 또는 Q신호에 대해 3번이 아닌 각각 16개씩 6번의 선택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누산부(314)의 FIR 필터링 결과값 산출 시 사용되는 승산기를 16개로 줄이기 위함이다.Then, 16 pieces are repeatedly selected for the remaining unselected Q signals. Therefore, all 96 delayed I signals are output through 6 selection processes, and all 96 delayed Q signals are output through 6 subsequent selection processes. Here, the reason why the six or six selection processes are selected for the I signal or the Q signal instead of three is to reduce the multipliers used to calculate the FIR filtering result of the accumulator 314 to 16.

다시 도3을 참조하면, 필터계수 저장부(312a)는 192 탭 FIR 필터의 입출력 연산을 위해 192개의 필터계수(h0~h191)를 저장한다. 소정의 적절한 방식으로 필터계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3, the filter coefficient storage unit 312a stores 192 filter coefficients h0 to h191 for input / output operations of the 192 tap FIR filter. The filter coefficients may be stored in any suitable manner and stored in the memory device.

필터계수 선택부(312b)는 클락마다 지연 신호 선택부(310)에서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The filter coefficient selector 312b selects and outputs a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I signal or the Q signal selected by 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for each clock.

도 6은 필터(302)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필터계수 선택부(312b)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lter coefficient selection unit 312b 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먼저, 필터계수 선택부(312b)는 지연 신호 선택부(310)에서 출력되는 I신호 또는 Q신호에 매핑(Mapping)되는 16개의 필터계수(602)를 선택한다. 필터계수 저장부(312a)로부터 멀티플렉서(H_SEL)를 통해 획득한 상기 16개의 필터계수(602)는 다시, 16개의 멀티플렉서(H-MUX0~15)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출력된 필터계수(602)는 누산부(314)에서 FIR 필터링을 위해 해당 I 또는 Q신호와 곱해진다.First, the filter coefficient selector 312b selects 16 filter coefficients 602 mapped to an I signal or a Q signal output from 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The sixteen filter coefficients 602 obtained through the multiplexer H_SEL from the filter coefficient storage unit 312a are again output through the sixteen multiplexers H-MUX0 to 15. The output filter coefficient 602 is multiplied by the corresponding I or Q signal for FIR filtering in the accumulator 314.

다음으로, 다음 16개의 필터계수(604)를 선택하고, 멀티플렉서(H-MUX0~15)를 통해 분배하여 출력한다. 이하, h(96), h(102), h(108)의 순서로 h(186)까지 배열되어 있는 h들의 집합을 h(96:6:18)라 하겠다.Next, the next 16 filter coefficients 604 are selected, distributed through the multiplexers H-MUX0 to 15, and output. Hereinafter, a set of h arranged up to h (186) in the order of h (96), h (102), and h (108) will be referred to as h (96: 6: 18).

상기 필터계수 선택부(312b)의 제어신호는 h(96:6:18)로 표현될 수 있는 16개의 필터계수(602)를 선택하고, h(97:6:187)로 표현될 수 있는 16개의 필터계수(604)를 선택한다. 같은 방식으로 총 12번의 선택 과정을 통해 192개의 필터계수를 모두 출력한다.The control signal of the filter coefficient selector 312b selects 16 filter coefficients 602, which may be represented by h (96: 6: 18), and 16, which may be represented by h (97: 6: 187). Filter coefficients 604 are selected. In the same way, a total of 192 filter coefficients are output through a total of 12 selection processes.

도 7은 필터(302)가 데시메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필터계수 선택부(312b)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lter coefficient selector 312b 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 decimation filter.

먼저, 필터계수 선택부(312b)는 지연 신호 선택부(310)에서 출력되는 I신호 또는 Q신호에 매핑(Mapping)되는 16개의 필터계수(702)를 선택한다. 필터계수 저장부(312a)로부터 획득한 상기 16개의 필터계수(702)는 16개의 멀티플렉서(H-MUX0~15)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출력된 필터계수(702)는 누산부(314)에서 FIR 필터링을 위해 해당 I 또는 Q신호와 곱해진다.First, the filter coefficient selector 312b selects 16 filter coefficients 702 mapped to an I signal or a Q signal output from 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The sixteen filter coefficients 702 obtained from the filter coefficient storage unit 312a are output through sixteen multiplexers H-MUX0 to 15. The output filter coefficient 702 is multiplied by the corresponding I or Q signal for FIR filtering in the accumulator 314.

따라서, 상기 필터계수 선택부(312b)는 총 12번의 선택 과정을 통해 192개의 필터계수를 모두 출력한다.Accordingly, the filter coefficient selector 312b outputs all 192 filter coefficients through a total of 12 selection processes.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누산부(314)는 승산기(316), 가산기(318), 쉬프트 레지스터(320), 및 1차 저장부(322)를 포함한다.Referring again to FIG. 3, the accumulator 314 includes a multiplier 316, an adder 318, a shift register 320, and a primary storage 322.

누산부(314)는 지연 신호 선택부(310)에서 선별된 I 또는 Q 신호와 필터계수 선택부(312b)에서 선별된 필터계수를 곱하는 16개의 승산기(3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승산기의 출력들을 가산기(318)들을 통해 모두 더한다.The accumulator 314 includes 16 multipliers 316 that multiply the I or Q signal selected by 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and the filter coefficient selected by the filter coefficient selector 312b. And add all of the outputs of the multiplier through adders 318.

여기서, 누산부(314)가 사용하는 승산기(316)의 수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Here, the number of multipliers 316 used by the accumulator 314 may be expressed by Equation 2 below.

승산기의 개수 = M/(K×N)Number of multipliers = M / (K × 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6배 업 샘플링을 행하는 192탭 인터폴레이션 필터(302) 및 1/6배로 다운 샘플링을 행하는 데시메이션 필터(302)는 순차적으로 지연된 32개의 I 또는 Q신호와 해당 필터 계수를 곱하여 FIR 필터링 연산을 수행해야 하지만, 필터(302)의 클락을 업 샘플링 비율의 2배로 결정함으로써, 16개의 승산기(316)만을 요구한다. 대신, 16개의 승산기(316)로 2번의 승산 과정을 행함으로써, 32개의 I 또는 Q신호와 해당 필터계수의 승산값을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192-tap interpolation filter 302 which performs 6 times upsampling and the decimation filter 302 which performs downsampling 1/6 times sequentially 32 delayed I or Q signals and corresponding filter coefficients. The FIR filtering operation should be performed by multiplying, but by determining the clock of the filter 302 to be twice the upsampling rate, only 16 multipliers 316 are required. Instead, by multiplying the multiplier twice with 16 multipliers 316, the multiplication value of the 32 I or Q signals and the corresponding filter coefficient can be calculated.

1차 저장부(322)는 지연 신호 선택부(310)에서 출력된 16개의 I신호 또는 Q신호와 필터계수 선택부(312b)에서 출력된 16개의 해당 필터계수의 승산값을 모두 더한 부분합을 저장한다. 그리고, 연이어 같은 방식으로 생성되는 부분합과 합하여 전체합을 산출한다. 상기 전체합을 통해 해당 입력에 대한 FIR 필터링 결과값을 획득한다. The primary storage unit 322 stores a partial sum of 16 multiplication values of 16 I signals or Q signals output from the delay signal selecting unit 310 and 16 corresponding filter coefficients output from the filter coefficient selecting unit 312b. do. Subsequently, the total sum is calculated by adding up the subtotals generated in the same manner. The FIR filtering result for the corresponding input is obtained through the total sum.

제1 저장부(322)는, 필터(302)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신호 선택부(310)에 의해 K번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상기 I신호들 또는 Q신호들에 있어서, 상기 누산부는 1번째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대한 부분합을 저장하고, 같은 방식으로 상기 K번째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까지 부분합들을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전체합을 산출할 수 있다.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the first storage unit 322 may accumulate the I signals or Q signals that are consecutively selected K times by the delay signal selection unit 310. The unit may calculate the total sum by storing a partial sum of the first selected I signal or the Q signal and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partial sums up to the Kth selected I signal or the Q signal in the same manner.

제1 저장부(322)는, 필터(302)가 데시메이션 필터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지연 신호 선택부에 의해 6번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상기 I신호 또는 Q신호에 있어서, 상기 누산부는 1번째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대한 부분합을 저장하고, 같은 방식으로 상기 6번째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까지 부분합들을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전체합을 산출할 수 있다.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 decimation filter, the first storage unit 32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ccumulating unit is first selected in the I signal or the Q signal that is selected six times consecutively by the delay signal selecting unit. The total sum can be calculated by storing a partial sum for an I signal or a Q signal and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partial sums up to the sixth selected I or Q signal in the same manner.

그리고, 누산부(314)는 다수의 신호에 대해 여러 번의 멀티플렉싱, 승산, 가산 등의 연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 처리 지연 시간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FIR 필터링 연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딜레이 소자로서 쉬프트 레지스터(320)를 사용한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320)를 거친 신호들은 클락을 기준으로 동기되어 타이밍적인 오동작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accumulator 314 shifts the shift register 320 as a delay element to perform a more stable FIR filtering operation on a signal processing delay time that occurs during a plurality of operations such as multiplexing, multiplying, and adding a plurality of signals. ). The signal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hift register 320 are synchronized with respect to the clock so that no timing malfunction occurs.

누산부(314)는 상기 필터(302)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하는 경우, 업 샘플링에 해당하는 주기로 필터링된 I신호와 Q신호를 번갈아 가며 직렬로 출력한다.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the accumulator 314 alternately outputs the filtered I signal and the Q signal in series in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upsampling.

누산부(314)는 상기 필터(302)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다운 샘플링에 해당하는 주기로 필터링된 I신호와 Q신호를 번갈아 가며 직렬로 출력한다.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the accumulator 314 alternately outputs the filtered I and Q signals in series in a cycle corresponding to the downsampling.

유효 비트수 설정부(324)는 누산부(314)의 출력을 유효 자리 비트(Bit)만큼 남기고 나머지 비트는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효 비트수 설정부(324)는 누산부(314)의 출력이 필터(302)에 입력된 I신호 또는 Q신호의 비트수보다 많을 경우, 입출력 신호의 비트 수를 일치시켜 주도록 출력 I신호 또는 Q신호의 유효 비트수를 조절할 수 있다.The effective bit number setting unit 324 leaves the output of the accumulator 314 by the significant digit bit and removes the remaining bits. In one embodiment, the effective bit number setting unit 324 matches the number of bits of the input / output signal when the output of the accumulation unit 314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bits of the I signal or the Q signal input to the filter 302. The effective number of bits in the output I or Q signal can be adjusted.

상기 필터(302)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필터(302)는 상기 누산부(314)에서 출력되는 I신호 및 Q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업 샘플링에 해당하는 주기로 리얼 심볼을 생성하는 제1 컨버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the filter 302 generates a first real symbol at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upsampling by using the I and Q signals output from the accumulator 314. It may further include a converting unit (not shown).

이와 같이 제1 컨버팅부(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기저대역 신호(BB)의 샘플링 주파수의 1/4로 설정된 캐리어(204a)에 의해, 디지털 업다운 컨버젼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고, 필터(304)는 직렬로 I 및 Q신호를 번갈아 가며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304)가 제1 컨버팅부를 사용하여 출력 신호의 부호를 번갈아 가며 바꾸어 출력하기만 하면, 디지털 업 컨버터의 효과를 낼 수 있다. By further including a first converting unit (not shown), referring to FIG. 2B, the digital up-down conversion is simply performed by the carrier 204a set to 1/4 of the sampling frequency of the baseband signal BB. Since the filter 304 may alternately output the I and Q signals in series, the filter 304 may alternately output the sign of the output signal alternately using the first converting unit. The effect of the up converter can be achieved.

상기 필터(302)가 데시메이션 필터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필터(302)는 직렬로 입력되는 리얼 심볼을 사용하여 필터(302)의 입력 샘플링 주파수를 가진 I신호 및 Q신호를 생성하는 제2 컨버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 decimation filter, the filter 302 uses a real symbol input in series to generate a second converting signal having an I and Q signal having an input sampling frequency of the filter 302. It may further include a portion (not shown).

이와 같이 제2 컨버팅부(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도 2b를 참조하면, 필터(302)는 입력으로 병렬 I 및 Q신호를 필요로 하고, 상기 제2 컨버팅부를 사용하여 직렬 리얼 심볼열을 리얼 신호와 0이 번갈아 출력되는 I 및 Q신호로 컨버젼하 되, 부호를 번갈아 가며 바꾸어 출력하면 쉽게 필터(302) 입력 측에서 디지털 다운 컨버터의 효과를 낼 수 있다.By further including a second converting unit (not shown), referring to FIG. 2B, the filter 302 requires parallel I and Q signals as inputs, and uses the second converting unit to generate a serial real symbol string. By converting the I and Q signals, which are alternately output between the real signal and 0, and alternating the codes, the digital down converter can be easily produced at the input side of the filter 302.

상기 필터(302)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하는 경우, 필터(302)는 직렬로 입력되는 입력 심볼에서 상기 I신호 및 Q신호를 병렬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직병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ilter 302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the filter 302 may further include a serial / parallel unit (not shown) for separating and outputting the I and Q signals in parallel from input symbols input in series. hav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하는 경우,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8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when a digital up-down converter filter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타이밍도에 대해 도 1 및 도 3의 블럭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클락(CLK_12x: 802)의 주파수는 입력 직렬 IQ신호(DIN_IQ: 804)의 샘플링 주파수를 6배 업 샘플링한 주파수보다도 2배 크다.Referring to the timing diagram of FIG. 8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s of FIGS. 1 and 3, first, the frequency of the clock CLK_12x 802 is a frequency obtained by up-sampling the sampling frequency of the input serial IQ signal DIN_IQ 804 by six times. 2 times larger than

입력 I신호(S/P_I: 806)는 SP변환기(104)의 I성분 출력이며, 입력 Q신호(S/P_Q: 808)는 SP변환기(104)의 Q성분 출력이다. 일 예로, "i32"는 인터폴레이션 필터의 32번째로 입력된 I신호를 의미한다.The input I signal S / P_I 806 is an I component output of the SP converter 104, and the input Q signal S / P_Q 808 is a Q component output of the SP converter 104. For example, “i 32 ” refers to the 32nd input I signal of the interpolation filter.

쉬프트 레지스터의 지연된 I신호(REG_I: 810) 및 쉬프트 레지스터의 지연된 Q신호(REG_Q: 812)는 인터폴레이션 필터 입력인 입력 I신호(806)와 입력 Q신호(808)가 쉬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일정 주기(=12클락 주기)로 지연된 값이다.The delayed I signal (REG_I: 810) of the shift register and the delayed Q signal (REG_Q: 812) of the shift register have a predetermined period (=) between the input I signal 806 and the input Q signal 808, which are interpolation filter inputs, by the shift register. 12 clock cycles).

일 예로, I[32:1]은 32개의 쉬프트 레지스터에 i1에서 i32의 32개 I신호들이 순차적으로 지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For example, I [32: 1] means that 32 I signals of i 1 to i 32 are sequentially delayed in 32 shift registers.

지연된 필터 입력 신호(FIN_D: 814)는 지연 신호 선택부(310)로부터 선택되 어 누산부(314)의 입력이 되는 I신호 또는 Q신호이다.The delayed filter input signal FIN_D 814 is an I signal or a Q signal which is selected from 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and inputs to the accumulator 314.

해당 필터계수(FIN_H: 816)는 지연된 필터 입력 신호(814)와 누산부(314)에서 승산되는 필터계수이다.The filter coefficient FIN_H 816 is a filter coefficient multiplied by the delayed filter input signal 814 and the accumulator 314.

입력 지연을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에 i32가 지연되어 저장되면, I[32:1]신호가 발생하고, i32에 대한 인터폴레이션 FIR 필터링 연산이 시작된다.If i 32 is delayed and stored in the shift register for input delay, an I [32: 1] signal is generated and the interpolation FIR filtering operation for i 32 is started.

먼저, I[32:1]에서 D0(815a)가 선택되고 그에 해당하는 필터계수 H0가 선택된다. 지연된 필터 입력 신호 D0(815a)와 필터계수 H0의 매핑관계는 표(822)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H0=H[96:6:186]"은 h96부터 h186까지 6을 간격으로 나열되는 필터계수들을 의미한다.First, in I [32: 1], D0 815a is selected and the corresponding filter coefficient H0 is selected.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elayed filter input signal D0 815a and the filter coefficient H0 is shown in table 822. In addition, "H0 = H [96: 6: 186]" means filter coefficients arranged at intervals of 6 from h 96 to h 186 .

클락마다 지연 신호 선택부(310)에 의해 D0(815a)에서 D11(815b)까지 순차적으로 선택되며, 누산부(314)에서는 순차적으로 승산과 가산을 하게 된다. 이때, D0(815a) 및 D1은 I신호이고, D2 및 D3는 Q신호이다. 그리고, I와 Q신호가 누산부(314)에서 번갈아 가며 연산되게 된다.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sequentially selects D0 815a to D11 815b for each clock, and the accumulator 314 sequentially multiplies and adds the signals. At this time, D0 815a and D1 are I signals, and D2 and D3 are Q signals. The I and Q signals are alternately calculated by the accumulator 314.

필터 출력(F_OUT: 818)은 FIR 필터링된 값이며, I신호와 Q신호가 번갈아 나오게 된다. 일 예로, 누산부(314)에서 D0(815a)과 H0의 승산값들을 다 더해 부분값을 산출한 후 1차 저장부(322)에 저장한다. 그리고, D1과 H1의 승산값을 다 더해 부분값을 산출한 후 1차 저장부(322)에 저장된 값과 합산하여 최종 I32 ,0 값을 산출한다.The filter output (F_OUT: 818) is an FIR filtered value, and the I and Q signals are alternated. For example, the accumulator 314 calculates a partial value by adding the multiplication values of D0 815a and H0 and stores the partial value in the primary storage unit 322. Then, the multiplication value of D1 and H1 is added to calculate the partial value, and the sum is added to the value stored in the primary storage unit 322 to calculate a final value of I 32 , 0 .

상술한 바와 같이 I신호 또는 Q신호를 16개씩 선택하여 2번의 승산 과정을 통해 필터 출력(F_OUT: 818)을 구함으로써, 승산기(316)를 32개에서 16개로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outputs F_OUT 818 are obtained through two multiplication processes by selecting 16 I signals or Q signals, and thus the multipliers 316 can be reduced from 32 to 16.

디지털 업 컨버터 출력(DU_OUT: 820)은 디지털 업 컨버터(110)의 출력값으로서 직렬로 출력되는 필터 출력(F_OUT: 818)의 값을 이용하여 단지 I신호와 Q신호의 부호를 번갈아 가며 바꾸어 출력한 것이다. 이는, 도 2b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The digital up-converter output (DU_OUT: 820) is an output value of the digital up-converter 110, and alternately outputs the signals of the I and Q signals alternately using the values of the filter output (F_OUT: 818) output in series. .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2B and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가 데시메이션 필터로 동작하는 경우,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FIG. 9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when the digital up-down converter filter operates as a decim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타이밍도를 도 1 및 도 3의 블럭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클락(CLK_12x: 902)은 필터 출력(FOUT: 918)의 샘플링 주파수를 6배 업 샘플링한 주파수보다도 2배 크다.Referring to the timing diagram of FIG. 9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s of FIGS. 1 and 3, first, the clock CLK_12x: 902 is twice as large as the frequency of up-sampling the sampling frequency of the filter output FOUT 918 by six times.

디지털 다운 컨버터(114)의 입력 신호(DD_IN: 904)는 직렬로 전송되는 리얼 신호이다. 그리고, 디지털 다운 컨버터(114)의 출력 I신호(DDO_I: 906) 및 Q신호(DDO_Q: 908)는 입력의 리얼 값을 0을 포함하여 번갈아 취하며, 마이너스 부호도 번갈아 취한다. 이는 도 2b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input signal DD_IN 904 of the digital down converter 114 is a real signal transmitted in series. The output I signal (DDO_I) 906 and the Q signal (DDO_Q) 908 of the digital down converter 114 alternately take a real value of the input including 0, and alternately take a minus sign. Since this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B,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쉬프트 레지스터의 지연된 I신호(REG_I: 910) 및 쉬프트 레지스터의 지연된 Q신호(REG_Q: 912)는 데시메이션 필터 입력인 입력 I신호(906)와 입력 Q신호(908)가 쉬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일정 주기(=4클락 주기)로 지연된 것이다. The delayed I signal (REG_I: 910) of the shift register and the delayed Q signal (REG_Q: 912) of the shift register have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etween the input I signal 906 and the input Q signal 908, which are the decimation filter inputs, by the shift register. = 4 clock cycles).

지연된 필터 입력 신호(FIN_D: 914)는 지연 신호 선택부(310)로부터 선택되어 누산부(314)의 입력이 되는 I신호 또는 Q신호이다.The delayed filter input signal FIN_D 914 is an I signal or a Q signal which is selected from the delay signal selector 310 and inputs to the accumulator 314.

해당 필터계수(FIN_H: 916)는 지연된 필터 입력 신호(914)와 누산부(14)에서 승산되는 필터계수이다.The filter coefficient FIN_H 916 is a filter coefficient multiplied by the delayed filter input signal 914 and the accumulator 14.

이하, I192 .0(915c)의 출력 과정을 설명하면, 입력 지연을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에 r192가 저장되면, I[192:2:2]신호가 발생한다. 그런데, I192 .0(915c)의 출력을 위한 데시메이션 FIR 필터링 연산은 이미 D0(915a)이 선택되는 시점에서 시작되었다. Hereinafter, the output process of I 192 .0 915c will be described. When r 192 is stored in the shift register for input delay, an I [192: 2: 2] signal is generated. However, the decimation FIR filtering operation for the output of I 192 .0 915c has already begun at the point where D0 915a is selected.

그리고, r192가 입력되어 쉬프트 레지스터에 저장된 후 D5가 선택되어 연산되면 I192 .0(915c)의 출력을 위한 필터링 연산이 끝나게 된다. 지연된 필터 입력 신호 D0(915a)와 필터계수 H0의 매핑관계는 표(920)에 나타나 있다. When r 192 is input, stored in the shift register, and D5 is selected and operated, the filtering operation for the output of I 192 .0 (915c) is completed.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elayed filter input signal D0 915a and the filter coefficient H0 is shown in the table 920.

I192 .0(915c) 및 I191 .1의 출력을 위해 I[192:2:2] 및 Q[191:2:1]의 신호 중에서 D0(915a)에서 D11(915b)까지의 신호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며, 누산부(314)에서는 순차적으로 승산과 가산을 하게 된다. For the outputs of I 192 .0 (915c) and I 191 .1 , the signals from D0 915a to D11 915b are sequential among the signals of I [192: 2: 2] and Q [191: 2: 1]. It is selected as, the accumulator 314 is to multiply and add sequentially.

필터 출력(FOUT: 918)은 FIR 필터링된 값이며, I신호와 Q신호가 번갈아 나오게 된다. 일 예로, 누산부(314)에서 D0(915a)과 H0의 승산값들을 다 더해 부분값을 산출한 후 1차 저장부(322)에 저장한다. 그리고, D1과 H1의 승산값들을 다 더해 부분값을 산출한 후 1차 저장부(322)에 저장된 값과 합산한다.The filter output (FOUT) 918 is a FIR filtered value, and the I and Q signals are alternated. For example, the accumulator 314 adds the multiplication values of D0 915a and H0 to calculate a partial value and stores the partial value in the primary storage unit 322. Then, the multiplication values of D1 and H1 are added together to calculate a partial value and then summed with the values stored in the primary storage unit 322.

이러한, 과정을 D5까지 반복하면, 96개의 지연된 I신호에 대해 16개씩 6번에 걸쳐 승산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결국 I192 .0(915c)의 FIR 출력값을 획득할 수 있 다.This, by repeating the process until D5, it is possible to perform a multiplication process over by 16 6 times for 96 delayed I signal, it can eventually be obtained by the output value of the FIR I 192 .0 (915c).

상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지연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16개씩 6번에 걸쳐 선택하고 연산하여 필터 출력(FOUT: 818)을 구함으로써, 승산기(316)를 32개에서 16개로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lier 316 can be reduced from 32 to 16 by selecting and calculating sixteen delayed I or Q signals six times and calculating the filter output FOUT 818.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다운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의 전체적인 블록도.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digital up-down converter that supports up-down sampling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업 컨버터 및 디지털 다운 컨버터를 통해 리얼 또는 IQ 신호를 기저대역과 IF 주파수 사이에서 컨버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A and 2B illustrate a process of converting a real or IQ signal between a baseband and an IF frequency through a digital up converter and a digital down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다운 샘플링을 지원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filter for a digital up-down converter that supports up-down sampling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필터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지연 신호 선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delay signal selector when a filter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도 5는 필터가 데시메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지연 신호 선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elay signal selection unit when the filter operates as a decimation filter.

도 6은 필터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필터계수 선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lter coefficient selector when the filter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도 7은 필터가 데시메이션 필터로 동작할 때, 필터계수 선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lter coefficient selector when the filter operates as a decimation filter.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가 인터폴레이션 필터로 동작하는 경우,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도.8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when a filter for a digital up-down converter operates as an interpol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가 데시메이션 필터로 동작하는 경우,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도.9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when the digital up-down converter filter operates as a decim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2: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 304: 지연부302: filter for the digital up-down converter 304: delay

306, 308: 쉬프트 레지스터 310: 지연 신호 선택부306 and 308: shift register 310: delay signal selector

312a: 필터계수 저장부 312b: 필터계수 선택부312a: filter coefficient storage unit 312b: filter coefficient selection unit

314: 누산부 316: 승산기314: accumulator 316: multiplier

318: 가산기 320: 쉬프트 레지스터318: adder 320: shift register

322: 1차 저장부 324: 유효 비트수 설정부322: primary storage unit 324: effective bit number setting unit

Claims (32)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I신호 및 Q신호에 대해 N배 업 샘플링을 행하는 M탭 인터폴레이션 필터에 있어서,An M-tap interpolation filter which performs N-fold up-sampling on an I signal and a Q signal input at a first sampling frequency,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마다 상기 I신호 및 Q신호를 상기 주기만큼 연속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부;A delay unit for continuously delaying the I signal and the Q signal by the period for each peri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상기 지연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2N배에 해당하는 클락마다 M/(2×N)개씩 선택하는 지연 신호 선택부;A delay signa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delayed I or Q signals by M / (2 × N) for each clock corresponding to 2N times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상기 클락마다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를 선택하는 필터계수 선택부; 및A filter coefficient selector for selecting a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 or Q signal for each of the clocks; And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와 상기 선택된 필터계수의 곱을 통해 부분합을 산출하고, 상기 부분합의 전체합을 통해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누산부;An accumulator for calculating a partial sum through a product of the selected I signal or Q signal and the selected filter coefficient, and calculating a filtering result value through the total of the partial sum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Interpolation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연 신호 선택부는 상기 지연된 I신호를 2번 선택한 후 상기 지연된 Q신호를 2번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And the delay signal selecting unit repeatedly selects the delayed I signal twice and then selects the delayed Q signal tw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연 신호 선택부에 의해 2번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상기 I신호 또는 Q신호에 있어서, 상기 누산부는 1번째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대한 부분합을 저장한 후, 2번째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대한 부분합을 산출하여 저장된 부분합과 더함으로써 상기 전체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In the I signal or the Q signal selected two times in succession by the delay signal selecting section, the accumulating section stores a partial sum of the first selected I signal or the Q signal, and then stores the sub sum of the first selected I signal or the Q signal. And calculating the subtotal to add the stored subtotal to the subtotal to calculate the total su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누산부는 M/(2×N)개의 승산기를 사용하여 상기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And the accumulator calculates the filtering result using M / (2 × N) multiplier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누산부는 상기 업 샘플링에 해당하는 주기에 따라 상기 필터링 결과값인 I신호와 Q신호를 번갈아 가며 직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And the accumulator outputs the I and Q signals, which are the filtering result values, in series and in series according to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upsampl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입력 심볼의 I신호 및 Q신호를 병렬(Parallel)로 분리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입력되는 I신호 및 Q신호를 생성하는 직병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And a serial / paralle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input I and Q signals by separating and outputting the I and Q signals of an input symbol in paralle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누산부에서 출력되는 I신호 및 Q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입력 심볼에 대해 상기 업 샘플링에 해당하는 주기로 리얼(Real) 심볼을 생성하는 제1 컨버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And a first converting unit generating a real symbol at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upsampling with respect to the input symbol by using the I signal and the Q signal output from the accumul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누산부에서 출력되는 I신호 또는 Q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비트수를 가진 I신호 및 Q신호를 출력하는 유효 비트수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And an effective bit number setting unit for receiving an I signal or a Q signal output from the accumulator and outputting an I signal and a Q signal having a specific number of bi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필터링 결과값은 FIR 필터링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And the filtering result is an FIR filtering valu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연부는 상기 입력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각각 M/N개의 쉬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And the delay unit delays the input I signal or the Q signal by using M / N shift register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누산부는 상기 지연 신호 선택부의 입력을 상기 클락을 이용하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통해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And the accumulator delays an input of the delay signal selector through a shift register using the clock.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I신호 및 Q신호에 대해 N배 업 샘플링을 행하는 M탭 인터폴레이션 필터에 있어서,An M-tap interpolation filter which performs N-fold up-sampling on an I signal and a Q signal input at a first sampling frequency,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마다 상기 I신호 및 Q신호를 상기 주기만큼 연속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부;A delay unit for continuously delaying the I signal and the Q signal by the period for each peri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상기 지연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K×N배에 해당하는 클락마다 M/(K×N)개씩 선택하는 지연 신호 선택부;A delay signal selector for selecting the delayed I or Q signals by M / (K × N) for each clock corresponding to K × N times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상기 클락마다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를 선택하는 필터계수 선택부; 및A filter coefficient selector for selecting a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 or Q signal for each of the clocks; And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와 상기 선택된 필터계수의 곱을 통해 부분합을 산출하고, 상기 부분합의 전체합을 통해 FIR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누산부;An accumulator for calculating a partial sum through a product of the selected I signal or Q signal and the selected filter coefficient, and calculating an FIR filtering result value based on the total sum of the partial sum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Interpolation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지연 신호 선택부는 상기 지연된 I신호를 K번 선택한 후 상기 지연된 Q신호를 K번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And the delay signal selecting unit repeatedly selects the delayed Q signal K times after selecting the delayed I signal K times.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지연 신호 선택부에 의해 K번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상기 I신호 또는 Q신호에 있어서, 상기 누산부는 1번째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대한 부분합부터 K번째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대한 부분합까지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전체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In the I signal or the Q signal sequentially selected K times by the delay signal selector, the accumulator accumulates from a partial sum of the first selected I signal or the Q signal to a partial sum of the K selected I or Q signals. And calculating the total sum by storing the interpolation filter.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누산부는 M/(K×N)개의 승산기를 사용하여 상기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폴레이션 필터.And the accumulator calculates the filtering result using M / (K × N) multipliers.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I신호 및 Q신호에 대해 1/N배 다운 샘플링을 행하는 M탭 데시메이션 필터에 있어서,In the M-tap decimation filter for down sampling 1 / N times the I and Q signals input at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1/2배에 해당하는 주기 마다 상기 I신호 및 Q신호를 연속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부;A delay unit for continuously delaying the I signal and the Q signal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1/2 times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상기 지연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2배에 해당하는 클락마다 M/(2N)개씩 선택하는 지연 신호 선택부;A delay signal selector for selecting the delayed I or Q signals by M / (2N) for each clock corresponding to twice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상기 클락마다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를 선택하는 필터계수 선택부; 및A filter coefficient selector for selecting a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 or Q signal for each of the clocks; And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와 상기 선택된 필터계수의 곱을 통해 부분합을 산출하고, 상기 부분합의 전체합을 통해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누산부;An accumulator for calculating a partial sum through a product of the selected I signal or Q signal and the selected filter coefficient, and calculating a filtering result value through the total of the partial sum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메이션 필터.A decimation filter comprising a.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지연 신호 선택부는 상기 지연된 I신호를 6번 선택한 후 상기 지연된 Q신호를 6번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메이션 필터.And the delay signal selector repeatedly selects the delayed I signal six times and then selects the delayed Q signal six times.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지연 신호 선택부에 의해 M/(2N)번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상기 I신호 또는 Q신호에 있어서, In the I signal or the Q signal continuously selected M / (2N) times by the delay signal selector, 여기서 상기 M/(2N)은 6이며, 상기 누산부는 1번째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대한 부분합부터, 6번째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까지 부분합들까지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전체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메이션 필터.Here, M / (2N) is 6, and the accumulator calculates the total sum by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partial sums from the partial sum of the first selected I signal or the Q signal to the sixth selected I signal or the Q signal. A decimation filter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누산부는 M/(2N)개의 승산기를 사용하여 상기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메이션 필터.And the accumulating unit calculates the filtering result value using M / (2N) multipliers.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누산부는 상기 다운 샘플링에 해당하는 주기에 따라 필터링된 I신호와 Q신호를 번갈아 가며 직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메이션 필터.And the accumulator outputs the filtered I and Q signals alternately in series according to th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own sampling.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직렬로 입력되는 리얼 심볼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I신호 및 Q신호를 생성하는 제2 컨버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메이션 필터.And a second conver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I signal and a Q signal input at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using real symbols input in series.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누산부에서 출력되는 I신호 또는 Q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비트수를 가진 I신호 및 Q신호를 출력하는 유효 비트수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메이션 필터.And a valid bit number setting unit for receiving an I signal or a Q signal output from the accumulator and outputting an I signal and a Q signal having a specific number of bits.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필터링 결과값은 FIR 필터링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메이션 필터.The filtering result is a decimation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 filtering value.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지연부는 상기 입력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각각 M/2의 쉬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메이션 필터.And the delay unit delays the input I signal or the Q signal by using a shift register of M / 2, respectively.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I신호 및 Q신호에 대해 1/N배 다운 샘플링을 행하는 M탭 데시메이션 필터에 있어서,In the M-tap decimation filter for down sampling 1 / N times the I and Q signals input at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1/2배에 해당하는 주기 마다 상기 I신호 및 Q신호를 상기 주기만큼 연속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부;A delay unit for continuously delaying the I signal and the Q signal by the period every cycle corresponding to 1/2 times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상기 지연된 I신호 또는 Q신호를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2K배에 해당하는 클락마다 M/(K×N)개씩 선택하는 지연 신호 선택부;A delay signal selector for selecting the delayed I or Q signals by M / (K × N) for each clock corresponding to 2K times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상기 클락마다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를 선택하는 필터계수 선택부; 및A filter coefficient selector for selecting a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 or Q signal for each of the clocks; And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와 상기 선택된 필터계수의 곱을 통해 부분합을 산출하고, 상기 부분합의 전체합을 통해 FIR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누산부;An accumulator for calculating a partial sum through a product of the selected I signal or Q signal and the selected filter coefficient, and calculating an FIR filtering result value based on the total sum of the partial sum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메이션 필터.A decimation filter comprising a.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제1 신호에 대해 N배 업 샘플링을 수행하거나 제2 샘플링 주파수로 입력되는 제2 신호에 대해 1/N배 다운 샘플링을 수행하는 M탭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에 있어서,A filter for an M-tap digital up-down converter that performs N-up up-sampling on a first signal input at a first sampling frequency or 1 / N-down down-sampling on a second signal input at a second sampling frequency.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에 해당하는 제1 주기마다 상기 제1 주기만큼 연속적으로 지연시키고, 제2 신호를 제2 샘플링 주파수의 1/2배에 해당하는 주기마다 연속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부; A delay for continuously delaying the first signal by the first period at every first peri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nd continuously delaying the second signal at a period corresponding to 1/2 times the second sampling frequency part; 상기 지연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각각 I신호 및 Q신호를 포함하되, 상기 I신호 또는 Q신호를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의 2N배에 해당하는 클락마다 M/(2N)개씩 선택하는 지연 신호 선택부;The delayed first and second signals include an I signal and a Q signal, respectively, and a delay signal for selecting the I signal or the Q signal by M / (2N) for each clock corresponding to 2N times the first sampling frequency. A selection unit; 상기 클락마다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를 선택하는 필터계수 선택부; 및A filter coefficient selector for selecting a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 or Q signal for each of the clocks; And 상기 선택된 I신호 또는 Q신호와 상기 선택된 필터계수의 곱을 통해 부분합을 산출하고, 상기 부분합의 전체합을 통해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누산부;An accumulator for calculating a partial sum through a product of the selected I signal or Q signal and the selected filter coefficient, and calculating a filtering result value through the total of the partial sum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Digital up-down converter filter comprising a.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지연 신호 선택부에 의해 2번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상기 제1 신호의 I신호 또는 Q신호에 있어서, 상기 누산부는 1번째 선택된 상기 제1 신호의 I신호 또는 Q신호에 대한 부분합을 저장한 후, 2번째 선택된 상기 제1 신호의 I신호 또는 Q신호에 대한 부분합을 산출하여 상기 저장된 부분합과 더함으로써 상기 전체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In the I signal or the Q signal of the first signal selected two times in succession by the delay signal selection unit, the accumulating unit stores a partial sum of the I signal or the Q signal of the first signal selected first, And calculating the subtotal of the second selected I signal or the Q signal and adding the subtotal to the stored subtotal to calculate the total sum.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지연 신호 선택부에 의해 6번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상기 제1 신호의 I신호 또는 Q신호에 있어서, 상기 누산부는 1번째 선택된 상기 제1 신호의 I신호 또는 Q신호에 대한 부분합으로부터, 6번째 선택된 상기 제1 신호의 I신호 또는 Q신호에 대한 부분합까지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전체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In the I signal or the Q signal of the first signal selected six times in succession by the delay signal selector, the accumulator is selected sixth from a partial sum of the I or Q signal of the first signal selected first. And accumulating and storing up to a partial sum of an I signal or a Q signal of the first signal to calculate the total sum.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누산부는 M/(2N)개의 승산기를 사용하여 상기 필터링 결과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And said accumulator calculates the filtering result using M / (2N) multipliers.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누산부는 상기 업 샘플링 또는 다운 샘플링에 해당하는 주기에 따라 상기 필터링 결과값의 I신호와 Q신호를 번갈아 가며 직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And the accumulator outputs the I and Q signals of the filtering result alternately in series according to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upsampling or downsampling.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누산부에서 출력되는 I신호 또는 Q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비트수를 가진 I신호 및 Q신호를 출력하는 유효 비트수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And a valid bit number setting unit for receiving an I signal or a Q signal output from the accumulator and outputting an I signal and a Q signal having a specific number of bits.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필터링 결과값은 FIR 필터링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업다운 컨버터용 필터.The filtering result value is a filter for a digital up-down conver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 filtering value.
KR1020070141745A 2007-12-31 2007-12-31 Filters, Interpolation Filters, and Decimation Filters for Digital Up-Down Converters Active KR100905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745A KR100905153B1 (en) 2007-12-31 2007-12-31 Filters, Interpolation Filters, and Decimation Filters for Digital Up-Down Conver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745A KR100905153B1 (en) 2007-12-31 2007-12-31 Filters, Interpolation Filters, and Decimation Filters for Digital Up-Down Conver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153B1 true KR100905153B1 (en) 2009-06-29

Family

ID=4098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745A Active KR100905153B1 (en) 2007-12-31 2007-12-31 Filters, Interpolation Filters, and Decimation Filters for Digital Up-Down Conver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15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6120A (en) * 2012-06-06 2014-01-29 美国亚德诺半导体公司 Downsampling with partial-sum re-use
US20220397589A1 (en) * 2021-06-10 2022-12-15 Rohde & Schwarz Gmbh & Co. Kg Oscilloscope and signal analysis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0942A (en) 1998-07-22 2000-02-08 Sharp Corp Digital filter
JP2005020659A (en) 2003-06-30 2005-01-20 Maruko & Co Ltd Programmable digital fil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0942A (en) 1998-07-22 2000-02-08 Sharp Corp Digital filter
JP2005020659A (en) 2003-06-30 2005-01-20 Maruko & Co Ltd Programmable digital filt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6120A (en) * 2012-06-06 2014-01-29 美国亚德诺半导体公司 Downsampling with partial-sum re-use
US9069689B2 (en) 2012-06-06 2015-06-30 Analog Devices, Inc. Downsampling with partial-sum re-use
KR101617496B1 (en) * 2012-06-06 2016-05-02 아나로그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Downsampling with partial-sum re-use
US20220397589A1 (en) * 2021-06-10 2022-12-15 Rohde & Schwarz Gmbh & Co. Kg Oscilloscope and signal analysis method
US12055564B2 (en) * 2021-06-10 2024-08-06 Rohde & Schwarz Gmbh & Co. Kg Oscilloscope and signal analysis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3567B1 (en) Low complexity high-speed multi-dac system
US20050262176A1 (en) Polyphase filter with optimized silicon area
CN102035502B (en) Implementation structure of finite impulse response (FIR) filter
JP5142342B2 (en) AD converter circuit
KR20070025937A (en) Sampling Rate Conversion Method and Its Circuit
WO20090650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interpolation factors in sample rate conversion systems
JP2003069388A (en) Digital filter
US7864080B1 (en) Sample rate conversion by controlled selection of filter outputs
KR100893740B1 (en) Decimation filter
JPH0828649B2 (en) Digital filter
KR100295257B1 (en) Digital filter
KR100905153B1 (en) Filters, Interpolation Filters, and Decimation Filters for Digital Up-Down Converters
CN101540749B (en)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of pretreatment unit capable of being configured with length-variable DFT
JP4581288B2 (en) Demodulator
EP1708363A2 (en) Interpolation and decimation filters with polyphase configurations
IE47419B1 (en) Self-adapting equaliser
US9923737B2 (en) Analog-digital compatible re-sampling
GB2382506A (en) Communications receiver data processing for quadrature modulated data
KR100641741B1 (en) A digital filter and a method for filtering sample data
CN110190829B (en) Filter and filtering method
JP5557339B2 (en) Decimation filter and deci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9232079A (en) Interpolation filter
TWI482427B (en) Time division decimation filter bank and time division decimation filtering method
JP2628506B2 (en) Digital filter
JP5665770B2 (en) Signal generation apparatus and signal gene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6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