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001B1 - generator - Google Patents
gen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6001B1 KR100906001B1 KR1020070085326A KR20070085326A KR100906001B1 KR 100906001 B1 KR100906001 B1 KR 100906001B1 KR 1020070085326 A KR1020070085326 A KR 1020070085326A KR 20070085326 A KR20070085326 A KR 20070085326A KR 100906001 B1 KR100906001 B1 KR 1009060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
- core
- central axis
- coil
- st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02K16/04—Machines with one rotor and two st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02K21/16—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having annular armature cores with salient po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자석과,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구비하고, 제1 자석과 제1 코일과 제2 코일은 중심축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코일, 제1 자석, 제2 코일의 순서대로 배치되고, 제1 자석과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은 그 어느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nerator, comprising a first magnet, a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wherein the first magnet,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sequentially form a first coil, a first magnet,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coil, the first magnet and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configured such that either one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relative to the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써 발전기의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코깅억제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발전기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generator which can improv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generator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can sufficiently achieve cogging suppression.
발전기, 코깅토그, 자석, 코일 Generator, Cogging Toggle, Magnet, Coil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코깅현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generator of a new structure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improv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also can sufficiently suppress cogging phenomenon.
영구자석 등의 자석을 구비한 로터(회전자)와 코어의 주위에 감긴 코일을 구비한 스테이터(고정자)를 구비한 발전기에 있어서, 코일의 권수가 많을수록 발전기의 발전효율의 향상을 기할 수 있다. 그러나 코일의 권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발전기가 대형화된다.In a generator having a rotor (rotor) having a magnet such as a permanent magnet and a stator (stator) having a coil wound around the core, the larger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the better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generator. However, when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increases, the generator becomes large.
한편,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제2006-340425호에는 로터의 자석과 스테이터의 코일을 소정의 위치관계로 배치함으로써 소형화와 출력의 향상을 도모한 모터가 개시된다. 따라서 해당 모터의 자석과 코일의 위치관계를 발전기에 채용하면 발전효율이 높은 발전기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340425 discloses a motor that has been miniaturized and improved in output by arranging a magnet of a rotor and a coil of a stator in a predetermined positional relationship. Therefore, by adopt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gnet and the coil of the motor to the generator, it is thought that a generator having high power generation efficiency can be obtain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자석을 구비한 로터와 코어의 주변에 코일이 감긴 스테이터(고정자)를 구비한 발전기는 로터가 회전할 때 코어와의 사이에 코깅토크가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코깅토크는 로터와 코어의 자극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에 기인한 것으로서, 로터의 회전에 코깅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코깅토크에 의해 로터의 회전이 불안정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 관하여 일본 특허공개 제2006-101695호에는 로터의 자석을 부착하는 부분의 형상을 소정의 형상으로 하여 로터의 회전시의 자속의 변화를 부드럽게 하여 코깅을 억제하는 수단이 개시된다.In addition, it is known that a cogging torque is generated between the rotor having a magnet as described above and a generator having a stator (stator) wound around a core when the rotor rotates. This cogging torque is due to the attractive force or repulsive force generated between the rotor and the magnetic pole of the core, which causes cogging to occur in the rotation of the rotor.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rotor becomes unstable due to the cogging torque. In this regar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101695 discloses a means for suppressing cogging by smoothing the change in magnetic flux during rotation of the rotor by making the shape of the portion to which the magnet attaches to the rotor as a predetermined shap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발전기의 발전효율의 향상이 만족스럽지 못하며, 또한 코깅의 억제도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improvement of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generator is not satisfactory, and the suppression of cogging is also insufficient.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가 아니면서도 발전기의 발전효율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코깅의 억제를 충분히 기할 수 있는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enerator capable of further improv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a generator without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and sufficiently suppressing cogging.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축(9)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코일(11), 제1 자석(26), 제2 코일(14)이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자석(26)과 상기 제1 코일(11) 및 상기 제2 코일(14)은 그 어느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중심축(9)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코일(11)상에 설치되고 이 제1 코일(11)의 축방향을 따라 자극이 배치된 제2 자석(17)과, 상기 제2 코일(14)상에 설치되고 이 제2 코일(14)의 축방향을 따라 자극이 배치되는 제3 자석(21)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자석(26), 제2 자석(17) 및 제3 자석(21)은 각각 상기 중심축(9)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석(17)과 제3 자석(21)은 서로 중심축(9)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2 자석(17) 및 상기 제3 자석(21)의 자극의 방향은 중심축(9)을 따라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자석(26)의 자극의 방향은 상기 제2 자석(17) 및 상기 제3 자석(21)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써 발전기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제1 자석과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제1 자석과 제2 자석 및 제3 자석의 사이에 발생되는 코깅이 억제되므로, 발전기의 발전효율이 향상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generator by a simple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magnet and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relatively rotate Since cogging generated between the first magnet, the second magnet and the third magnet is suppressed,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generator is improv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제1 자석과, 제2 자석과, 제3 자석을 동일 갯수로 복수개 구비하고, 이들 제1 자석, 제2 자석 및 제3 자석의 중심축의 둘레방향의 폭의 중심축에 대한 중심각은 제1 자석, 제2 자석 및 제3 자석의 각각의 개수를 n으로 할 때, 360도/2n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자석과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때에 제1 자석과 제2 자석 및 제3 자석 사이에 발생되는 코깅이 더 한층 억제되므로, 발전기의 발전효율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second magnets, and third magnets ar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nd the first magnets, the second magnets, and the third magnets The center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width | variety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center axis | shaft is an angle of 360 degree / 2n, when each number of a 1st magnet, a 2nd magnet, and a 3rd magnet is n. According to this structure, cogging generated between the first magnet, the second magnet, and the third magnet is further suppressed when the first magnet,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relatively rotated, so that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generator is improved. d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제1 자석은 중심축 둘레에서 회전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회전체를 단일 부재로 할 수 있어서, 회전에너지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rst magnet rotates around the central axis.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a rotating body can be made into a single member and the loss of rotational energy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써 발전기의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코깅억제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발전기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generator which can improv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generator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can sufficiently achieve cogging suppress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발전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발전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선 D-D를 따라 절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generator, FIG. 2 is a side view of the generator,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 and FIG. 5 is a line of FIG. 2. It is sectional drawing taken along CC, and FIG. 6 is sectional drawing of the part cut along the line DD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1)는 기대(2)와, 제1 고정자(3)(도 4, 5 참조)와, 제2 고정자(4)와, 회전자(5)를 포함한다. 기대(2)는 기판(6)과, 제1 고정자(3)가 지지되는 지주(7)와, 제2 고정자(4)가 지지되는 지지대(8)를 포함한다. 기판(6)은 원판형태이고, 지주(7)는 대략 원주형태이다. 지지대(8)는 대략 직육면체이다. 기판(6), 지주(7) 및 지지대(8)는 수지재료 등의 비자성재로 형성되고, 지주(7) 및 지지대(8)는 기판(6)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장착된다.As shown, the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판(6)에 대하여 지주(7)가 입설되는 쪽을 상측, 그 반대쪽을 하측으로 하고, 지주(7)의 중심을 중심축(9)으로 하고, 중심축(9)에서 떨어진 방향을 외측(외주측), 중심축(9) 주위로부터 중심축(9)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내주측)으로 설명한다. 또한 중심축(9)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반경(또는 직경)을 따른 방향을 반경방향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below, the side on which the
제1 고정자(3)와, 제2 고정자(4)와, 회전자(5)는 지주(7)의 주위에 중심축(9)으로부터 순서대로 외측을 향하여, 제1 고정자(3), 회전자(5) 및 제2 고정 자(4)의 순서대로 배치된다. 제1 고정자(3)는 지주(7)에, 제2 고정자(4)는 지지대(8)에 각각 부착된다. 즉, 제1 고정자(3)와 제2 고정자(4)는 공히 기대(2)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이다. 한편, 회전자(5)는 제1 고정자(3) 및 제2 고정자(4) 사이에 배치되고, 중심축(9)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주(7)에 부착된다.The
제1 고정자(3)는 4개의 코어(10)와, 이들 4개의 코어(10)에 공통적으로 구비되는 제1 코일로서의 코일(11)을 구비한다. 코어(10)는 중심축(9)의 주위에 등간격의 4개소에 배치된다. 또한 코어(10)에는 중심축(9)의 둘레방향에 관통하는 관통공(12)이 형성된다. 코일(11)은 이 관통공(12)에 삽입되고, 지주(7)의 주위에 감긴다.The
제2 고정자(4)는 코어(10)보다 외측 위치에, 코어(10)와 동일하게, 중심축(9)의 주위에 등간격의 4개소에 배치된다. 4개의 제2 고정자(4)는 각각 코어(13)와 제2 코일로서의 코일(14)을 구비한다. 그리고 코어(10)와 제2 고정자(4)는 중심축(9)의 둘레방향에 교호로 배치된다.The
회전자(5)는 원통형이고, 이 원통형의 회전자(5)는 지지부(15)에 의해 지주(7)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자(5)의 내주측에는 전술한 4개의 코어(10)와 이들 4개의 코어(10)에 공통적인 코일(11)을 가지는 제1 고정자(3)가 배치되고, 외주측에는 전술한 4개의 제2 고정자(4)가 배치되어 있다. 즉, 회전자(5)는 제1 고정자(3)의 코어(10)와 제2 고정자(4)의 사이에, 즉 코어(10)의 외주측의 면을 연결하는 원주와, 제2 고정자(4)의 내주측의 면을 연결하는 원주의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도록 지지부(15)를 매개하여 지주(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The
이어서 제1 고정자(3)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고정자(3)의 코어(10)는 도 4 내지 도 6 및 코어(10)의 분해사시도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재로 형성된 철재코어(16)와 제2 자석으로서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자석코어(17)로 구성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철재코어(16)에는 중심축(9)의 둘레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철재코어(16)에는 이 관통공(12)에서 철재코어(16)의 외주측에 개구되는 개구부(18)(도 7 참조)가 자석코어(17)의 지지부로서 형성된다. 이 개구부(18)는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서 본 형상이 사각형이다. 또한 개구부(18)의 상하방향의 폭은 관통공(12)의 상하방향의 폭보다 좁아서, 철재코어(16)는 중심축(9)을 통하는 상하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C형상을 나타낸다. 철재코어(16)는 상면(16A), 하면(16B) 및 내측면(16C)이 각각 평면으로 형성되고, 개구부(18)를 사이에 둔 상하에 위치하는 외측면(16D,16D)은 중심축(9)에 곡률중심을 가지는 원호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관통공(12)의 내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내측면(16E)과 이 내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내부외측면(16F)도 모두 중심축(9)에 곡률중심을 가지는 원호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18)의 상하방향의 폭과 관통공(12)의 상하방향의 폭은 동일하여도 좋다.The
자석코어(17)는 외주측에서 본 형상이 개구부(18)와 동일하게 사각형을 나타내고, 또한 상하방향에서 본 형상에 있어서, 외주면(17A)은 철재코어(16)의 외측면(16D,16D)의 곡률과 동일한 원호이고, 내주면(17B)은 철재코어(16)의 내부외측면(16F)의 곡률과 동일한 원호인 판체를 나타낸다. 자석코어(17)와 이 자석코어(17)를 지지하는 개구부(18)는 자석코어(17)가 간격없이 정확하게 끼워지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즉, 자석코어(17)가 개구부(18)에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개구부(18)의 상하 부분과 자석코어(17)의 상하 부분은 간극이 없는 상태이고, 또한 자석코어(17)의 둘레방향 단부면(17C,17C)과 철재코어(16)의 둘레방향의 측면(16G.16G)은 연속된 면, 즉 동일면이 된다.The
자석코어(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주면(17A)이 철재코어(16)의 외측면(16D,16D)의 곡률과 동일하고, 또한 내주면(17B)은 철재코어(16)의 내측내주면(16F)의 곡률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자석코어(17)가 개구부(18)에 끼워질 때,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면(17A)은 철재코어(16)의 외측면(16D,16D)과 연속된 원호상의 면이 된다. 또한 내측면(17B)은 철재코어(16)의 내부외측면(16F)과 연속된 연호상의 면이 된다. 즉, 자석코어(17)의 외측면(17A)과 철재코어(16)의 외측면(16D,16D)이 동일면이 된다. 또한 자석코어(17)의 내측면(17B)과 철재코어(16)의 내부외측면(16F)도 동일면이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자석코어(17)는 상측을 N극, 하측을 S극으로 하여 개구부(18)에 삽입된다. 따라서 코어(10)에는 자석코어(17)의 N극에서 철재코어(16)를 통하여 자석코어(17)의 S극으로 돌아오는 자속(19)이 관통공(12) 주위에 형성된다. 즉, 자속(19)은 폐자로로 형성된다.The
4개의 코어(10)는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7)의 외주면(17A)에는 중심축(9) 주위에 등간격으로 4개의 오목부(7B)가 형성된다. 각 코어(10)는 각각 철재코어(16)의 내측면(16C)의 부분이 오목부(7B)에 끼워지고, 지주(7)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로 부착된다.The four
자석코어(17)는 중심축(9)의 둘레방향 폭이 중심축(9)에 대하여 45도의 중심각을 갖는 폭으로 형성된다. 즉 자석코어(17)의 중심축(9)의 둘레방향 폭의 중심축(9)에 대한 중심각은 360도/(2*4)(여기서 4는 자석코어(17)의 개수)의 각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코어(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중심축(9)의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므로, 자석코어(17)는 중심축(9) 주위에 45도 간격으로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4개의 코어(10)가 지주(7)에 부착된 상태에서, 지주(7)의 주위에는 4개의 코어(10)의 관통공(12)이 배치되게 된다. 그러므로 이 4개의 관통공(12)을 통하여 지주(7)의 주위에 코일(11)이 감긴다. 즉, 1개의 코일(11)에 4개의 코어(10)가 구비된 것이 된다.The
다음에, 제2 고정자(4)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2 고정자(4)의 코어(13)는 도 3 내지 도 6, 및 코어(13)의 분해사시도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재로 형성된 철재코어(20)와 제3 자석으로서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자석코어(21)로 구성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철재코어(2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9)의 둘레방향에 관통되는 관통공(22)이 형성된다. 또한, 철재코어(20)에는 이 관통공(22)에서 철재코어(20)의 내주측에 개구되는 개구부(23)가 자석코어(21)의 지지부로서 형성된다. 이 개구부(23)는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서 볼 때 형상이 사각형을 나타낸다. 또한, 개구부(23)의 상하방향의 폭은 관통공(22)의 상하방향의 폭보다 좁아서, 철재코어(20)는 중심축(9)을 통하는 상하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C형상을 나타낸다. 철재코어(20)는 상면(20A), 하면(20B) 및 외측면(20C)은 각각 평면으로 형성되고, 개구부(23)를 사이에 둔 상하에 위치하는 내측면(20D,20D)은 중심축(9)에 곡률중심을 가지는 원호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관통공(22)의 내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내측면(20E)과 이 내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내부외측면(20F)도, 공히 중심축(9)에 곡률중심을 가지는 원호면에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23)의 상하방향의 폭과 관통공(22)의 상하방향의 폭을 동일하게 하여도 좋다.As shown in FIG. 8, the
자석코어(21)는 내주측에서 본 형상이 개구부(23)와 동일한 사각형이고, 또한 상하방향에서 본 형상은 외주면(21A)이 철재코어(20)의 내부내측면(20E)의 곡률과 동일한 원호이고, 또한 내주면(21B)이 철재코어(20)의 내측면(20D,20D)의 곡률과 동일한 원호인 판체이다. 자석코어(21)와 이 자석코어(21)를 지지하는 개구부(23)는 자석코어(21)가 간극없이 정확하게 삽입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즉, 자석코어(21)가 개구부(23)에 지지되는 형상은 개구부(23)의 상하의 부분과 자석코어(21)의 상하의 부분이 간극없는 상태이고, 또한 자석코어(21)의 둘레방향의 단부면(21C,21C)과 철재코어(20)의 둘레방향의 측면(20G,20G)과는 동일면이다.The
자석코어(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주면(21A)이 철재코어(20)의 내부내측면(20E)의 곡률과 동일한 원호이고, 또한 내주면(21B)은 철재코어(20)의 내측면(20D,20D)의 곡률과 동일한 원호이다. 그러므로 자석코어(21B)가 개구부(23)에 끼워지면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면(21B)은 철재코어(20)의 내측면(20D,20D)과 연속된 원호상의 면이 된다. 또한 외측면(21A)은 철재코어(20)의 내측내주면(20E)과 연 속된 원호상의 면이 된다. 즉, 자석코어(21)의 내측면(21B)과 철재코어(20)의 내측면(20D,20D)은 동일면이 된다. 또한 자석코어(21)의 외측면(21A)과 철재코어(20)의 내부내측면(21E)도 동일면이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자석코어(21)는 자석코어(17)와 동일하게 상측을 N극, 하측을 S극으로 하여 개구부(23)에 끼워진다. 따라서 코어(13)에는 자석코어(21)의 N극에서 철재코어(20)를 통하여 자석코어(21)의 S극으로 돌아오는 자속(24)이 관통공(22)의 주위에 형성된다. 즉, 자속(24)은 폐자로로 형성된다. 그리고 철재코어(20)와 자석코어(21)로 구성된 코어(13)에는 관통공(22)에서 외측면(20C)측에 감긴 코일(14)이 설치되어, 제2 고정자(4)가 구성된다.The
제2 고정자(4)는 4개가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4개의 제2 고정자(4)는 중심축(9) 주위에 등간격이고, 제1 고정자(3)의 외주측에 배치된다. 기판(6)의 상면에는 수지 등의 비자성체로 된 지지대(8)가 중심축(9)의 주위에 등간격으로 4개소에 형성되고, 4개의 제2 고정자(4)는 각각 각 지지대(8) 상에 고정상태로 부착된다.Four
자석코어(21)는 자석코어(17)와 동일하게, 중심축(9)의 둘레방향의 폭이 중심축(9)에 대하여 45도의 중심각을 갖는 폭으로 형성된다. 즉, 자석코어(21)도 그 중심축(9)의 둘레방향 폭의 중심축(9)에 대한 중심각은 360도/(2*4)(여기서 4는 자석코어(21)의 개수)의 각도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고정자(4)가 중심축(9)의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자석코어(21)는 중심축(9)의 주위에 45도 간격으로 배치되게 된다.The
그러므로 코어(10)와 코어(13)는 중심축(9)의 주위에 서로 45도 벗어난 위치에 교호로 배치된다. 또한 자석코어(17)와 자석코어(21)는 서로 중심축의 둘레방향에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또한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이 없도록 서로 중심축(9)의 주위에 45도 벗어난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서로 이와 같이 배치된 자석코어(17)와 자석코어(21)는 자석코어(17)의 둘레방향의 단부가장자리(단면 17C,17C)와 자석코어(21)의 둘레방향의 단부가장자리(단부면(21C,21C))가 중심축(9)의 둘레방향에 간격이 없도록 배치된다. 즉, 단부면(17C,17C)과 단부면(21C,21C)은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Therefore, the
또한, 철재코어(16)의 측면(16G,16G)은 자석(17)의 단부면(17C,17C)과 동일면이고, 철재코어(20)의 측면(20G,20G)도 자석(21)의 단부면(21C,21C)과 동일면이다. 따라서 철재코어(16)의 측면(16G,16G)과 철재코어(20)의 측면(20G,20G)도 중심축(9)의 둘레방향에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측면(16G,16G)과 측면(20G,20G)은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철재코어(16)의 외측면(16D,16D)과 철재코어(20)의 내측면(20D,20D)에 있어서도 자석코어(17)와 자석코어(21)와 동일하게, 서로 중심축(9)의 둘레방향에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또한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 있어서 중첩부분이 없도록 상호 중심축(9)의 주위에 45도 벗어난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In addition, the side surfaces 16G and 16G of the
또한 자석코어(17)와 자석코어(21)는 상하방향의 폭이 동일하게 구성되고, 자속코어(17)와 자석코어(21)는 기판(6)에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코어(10)와 코어(13)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다음에 회전자(5)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전자(5)는 회전자(5)의 사시도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재료 등의 비자성체(25)와, 제1 자석으로서 영구자석인 자석(26) 및 철 등의 자성체(27)로 구성되고, 이들이 조합된 전체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즉, 비자성체(25), 자석(26) 및 자성체(2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합되었을 때는 원통형을 구성하도록 각각 동일 곡률의 원호상의 판체로 형성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5)의 상부와 하부에는 회전자(5)를 지주(7)에 지지하는 지지부(15,15)가 설치되고, 이 지지부(15,15)를 매개로 회전자(5)가 지주(7)에 지지된다. 지지부(15,15)의 중앙부에는 지주(7)가 통과하는 원통상의 슬리브(28,28)가 형성된다. 이 슬리브(28,28) 내에는 지주(7)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볼베어링(29,29)이 구비된다. 이 볼베어링(29,29)에 의해 지지부(15,15) 및 회전자(5)는 중심축(9)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자전가능하게 지주(7)의 주위에 지지된다. 또한, 도 9는 상측의 지지부(15)를 생략한 회전자(5)의 구성만을 보여주는 것인데, 도 1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5)는 지지부(15,15)를 매개로 지주(7)에 부착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자석(26)은 중심축(9)의 주위에 4 개소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자석(26)과 자석(26)의 사이에는 비자성체(25)로 된다. 또한 각 자석(26)의 상하에는 자성체(27)가 설치된다. 자석(26)은 중심축(9)의 둘레방향의 폭이 중심축(9)에 대하여 45도의 중심각을 가지는 폭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26)은 중심축(9) 주위의 4개소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러므로 중심축(9)에 대하여 45도의 중심각을 가지는 폭의 자석(26)은 중심축(9)의 주위에 자석코어(17) 및 자석코어(21)와 동일하게 중심축(9)에 대하여 중심각이 45도의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자석(26)은 자석코어(17) 및 자석코어(21)와는 역으로, 하측에 N극 상측에 S극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하방향의 폭은 자석코어(17) 및 자석코어(21)와 동일하게 된다. 또한 회전자(5)는 자석(26)이 기판(6)에 대하여 자석코어(17) 및 자석코어(21)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지주(7)에 부착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자(5)는 원통형의 회전자(5)가 제1 고정자(3)와 제2 고정자(4)와 사이를 통과하도록, 지주(7)에 지지부(15)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고정자(3)와 제2 고정자(4)는 각각 제1 고정자(3)의 외측면(16D,16D)과 제2 고정자(4)의 내측면(20D,20D)과의 사이에, 회전자(5)의 두께(H)보다 약간 넓은 간격이 벌어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회전자(5)가 지주(7)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자(5)의 내주측에 제1 고정자(3)가 수용되고 또한 회전자(5)의 주위에 제2 고정자(4)가 배치되도록 된다. 그러므로 지주(7)의 주위에 회전하는 회전자(5)는 제1 고정자(3)와 제2 고정자(4)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지주(7)의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The
코어(10), 코어(13) 및 회전자(5)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회전자(5)가 회전하면, 자석(26)은 자석코어(17)와 자석코어(21)가 교호로 대향하도록 된다. 또한 자석(26)은 자석코어(17) 또는 자석코어(21) 중 어느 하나에 전면에 걸쳐서 대향할 때는 다른 자석코어(17) 또는 자석코어(21)는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지 않도록 된다. 또한, 회전자(5)가 어느 회전위치에 있더 라도 자석(26)이 자석코어(17)와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서 중첩되는 면의 중심축(9)에 대한 중심각과, 자석(26)이 자석코어(21)와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면의 중심축(9)에 대한 중심각의 합계는 일정하게 된다. 또한 회전자(5)가 회전하면 자성체(27,27)도 철재코어(16)의 외측면(16D,16D)과 철재코어(20)의 내측면(20D,20D)에 교호로 대향하게 된다. 그러므로 자성체(27,27)는 철재코어(16,16)의 외측면(16D,16D) 또는 철재코어(20)의 내측면(20D,20D)의 어느 하나가 전면에 걸쳐서 대향할 때는 다른 외측면(16D,16D) 또는 내측면(20D,20D)의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지 않게 된다. 또한 회전자(5)가 어느 회전위치에 있더라도, 자성체(27,27)가 외측면(16D,16D)과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면의 중심축(9)에 대한 중심각과, 자성체(27,27)가 내측면(20D,20D)과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면의 중심축(9)에 대한 중심각의 합계가 일정하게 된다.Since the
이러한 구성을 가진 발전기(1)는 회전자(5)가 회전하면, 회전자(5)의 자석(26)이 제1 고정자(3)의 자석코어(17)의 외측을 통과할 때, 코어(10)를 통과하는 자속(19)이 변화되고, 코일(11)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한다. 또한, 회전자(5)의 자석(26)이 제2 고정자(4)의 자석코어(21)의 내측을 통과할 때, 코어(13)를 통과하는 자속(24)이 변화되어, 각 제2 고정자(4)의 코일(14)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회전자(5)가 예를 들면, 수력이나 풍력 등의 외력을 받아서 회전하면, 코일(11)과 코일(14)에 각각 기전력이 발생되어 발전을 행할 수 있다. 코일(11)과 4개의 코일(14)에는 각각 도시되지 않은 단자가 구비되어, 이 단자로부터 전력이 출력된다. 즉, 발전기(1)에서 회전자(5)의 내주측과 외주측에 각각 코일(11) 및 코일(14)을 배치하므로, 발전 효율이 향상된다.The
또한, 일반적으로 발전기는 회전자와 고정자 간에 회전자측의 자석과 고정자측의 자석의 자기력에 기인하는 코깅토크가 발생하여, 회전자의 회전에 저항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1)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회전자(5)의 자석(26)과 제1 고정자(3)의 자석코어(17)와의 자기력 및 회전자(5)의 자석(26)과 제2 고정자(4)의 자석코어(21)간의 자기력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코깅토크가 작도록 억제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코깅토크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Also, in general, a generator generates cogging torque due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on the rotor side and the magnet on the stator side between the rotor and the stator, thereby resisting the rotation of the rotor. However, since the
회전자(5)와 제1 고정자(3)의 사이의 자력선은 회전자(5)측의 자성체(27)와 제1 고정자(3) 측의 코어(10)가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대향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자성체(27,27)와 코어(10)의 외측면(16D,16D)이 서로 대향하는 부분은 자석(26)과 자석코어(17)에 의한 자력선은 대향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자(5)와 제2 고정자(4)간의 자력선도 회전자(5)측의 자성체(27)와 제2 고정자(4)측의 코어(13)가 서로 대향하는 부분의 자력선은 대향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자성체(27,27)와 코어(3)의 내측면(20D,20D)이 서로 대향하는 부분은 자석(26)과 자석코어(21)에 의한 자력선이 대향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회전자(5)가 회전할 때 자성체(27)는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서 자성체(27,27)의 전체가 제1 고정자(3)의 외측면(16D,16D)과 제2 고정자(4)의 내측면(20D,20D)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항상 중첩되는 부분을 가진다. 따라서 회전 자(5)와 제1 고정자(3) 및 회전자(5)와 제2 고정자(4)간의 자력선은 자속누설 등을 고려하지 않는 이상적인 상태에서는 자성체(27,27)와 자석(10)의 외측면(16D,6D)이 대향하는 부분의 대향면에 수직인 자력선과, 자성체(27,27)와 코어(13)의 내측면(20D,20D)의 대향하는 부분의 대향면에 수직인 자력선만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자성체(27,27)와 코어(10)의 외측면(16D,16D)의 사이, 및 자성체(27,27)와 코어(13)의 내측면(20D,20D)의 사이에는 자성체(27)의 이동방향(중심축(9) 주위의 회전방향)을 따라 자력선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자성체(27,27)와 코어(10)의 외측면(16D,16D)의 사이 및 자성체(27,27)와 코어(13)의 내측면(20D,20D)의 사이에는 자성체(27)(회전자(5))가 중심축(9) 주위에서 회전하는 방향의 코깅토크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 자성체(27,27)와 코어(10)의 외측면(16D,16D) 사이 및 자성체(27,27)와 코어(13)의 내측면(20D,20D) 사이의 코깅토크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회전자(5)의 회전이 부드럽고, 안정된 발전을 행할 수 있다.The line of magnetic force between the
자석코어(17)와 자석코어(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심축(9)에 대하여 45도의 중심각을 가진 폭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중심축(9) 주위에 45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러므로 자석코어(17)의 둘레방향의 단부가장자리와 자석코어(21)의 둘레방향의 단부가장자리는 중심축(9)의 둘레방향에 간격이 없이 배치되게 된다. 또한 자석(26)도 중심축(9)에 대하여 45도의 중심각을 갖는 폭으로 형성되고, 중심축(9)의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회전자(5)가 회전하더라도 자석(26)이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서 자석코어(17)와 중첩되는 면과 자석코어(21)와 중첩되는 면의 중심축(9)에 대한 중심각의 합계는 일정하다. 또한 자성체(27,27)와 철재코어(16)의 외측면(16D,16D) 및 철재코어(20)의 내측면(20D,20D)도 서로 중심축(9)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이 없도록 그리고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 있어서 중첩부분이 없도록, 서로 중심축(9)의 주위에 45도 벗어난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그러므로 자성체(27,27)가 외측면(16D,16D)과 중심축(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면의 중심축(9)에 대한 중심각과 자성체(27,27)가 내측면(20D,20D)과 중심각(9)을 통하는 반경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면의 중심축에 대한 중심각의 합계는 일정하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같이 자석(26), 자석코어(17) 및 자석코어(21)를 배치하고, 또한 자성체(27,27)와 철재코어(16)의 외측면(16D,16D) 및 철재코어(20)의 내측면(20D,20D)을 배치하므로, 코일(11)을 통과하는 자속(19) 및 코일(14)을 통과하는 자속(24)의 변화량을 많게 하므로, 자석(26)과 자석코어(17)와의 자기력, 자석(26)과 자석코어(21)와의 자기력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코깅토크의 변동을 가능한 작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즉, 예를 들면, 도 10에 개념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자석코어(17)와 자속코어(21)의 중심축(9)에 대하여 30도의 중심각을 가진 폭으로 하고, 각각의 중심축(9)의 주위에 60도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자석코어(17)의 둘레방향의 단부가장자리와 자석코어(21)의 둘레방향 단부가장자리와의 간격은 중심축에 대하여 15도의 간격(S)이 벌어진다. 이 간격(S) 부분에서, 자석(26)은 자석코어(17)에도 자석코어(21)에도 대향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간격(S) 부분은 자성체(27)와 코 어(10)의 외측면(16D,16D)과의 사이 및 자성체(27)와 코어(13)의 내측면(20D,20D)의 사이에는 자성체(27)의 이동방향(회전자(5)의 회전방향)을 따라 인력을 가진 자기력이 작용하고, 자성체(27)와 코어(10)의 사이 및 자성체(27)와 코어(13)의 사이에 코깅토크가 발생한다. 즉 회전자(5)의 회전의 부드러움이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비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간격(S)이 벌어져서 코깅토크가 발생하므로, 간격(S)이 벌어져도 그 양을 줄이면 발생하는 코깅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That is, for example, as shown conceptually in FIG. 10, the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자석코어(17)의 둘레방향의 단부가장자리(단부면(17C,17C))와 자석코어(21)의 둘레방향 단부가장자리(단부면(21C,21C))와 중심축(9)의 둘레방향에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또한 철재코어(16)의 측면(16G,16G)과 철재코어(20)의 측면(20G,20G)에 있어서도 서로 중심축(9)의 둘레방향에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배치하므로, 발전효율의 향상 및 코깅토크의 증감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발전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코깅을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nd edges (end face surfaces 17C and 17C)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변형예)(Variation)
전술한 실시예는 코어(10), 제2 고정자(4) 및 자석(26)은 각각 4개 설치된 것이나, 4개에 한정되지 않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씩,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씩,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설치하여 구성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10)의 자석코어(17), 제2 고정자(4)의 자석코어(21) 및 회전자(5)의 자석(26)의 중심축(9)에 대한 둘레방향의 폭의 중심축(9)에 대한 중심각을 360도/2n(n은 각 자석의 개수이고, 도 11의 경우는 3개, 도 12의 경우는 6개임)로 하고, 자석코어(17), 자석코어(21) 및 자석(26)은 각각 중심 축(9)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코어(17)의 둘레방향의 단부가장자리와 자석코어(21)의 둘레방향의 단부가장자리는 중심축(9)의 둘레방향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배치되어, 발전효율을 향상시키고, 코깅토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코깅토크는 어느 정도 발생하므로, 전술한 도 10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1 고정자(3)와 제2 고정자(4)를 함께 회전자(5)의 외측에 배치하거나, 함께 내측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자석코어(17)와 자석코어(21)를 중심축(9)에 대하여 60도의 중심각을 갖는 폭으로 하고, 각각 중심축(9) 주위에 30도의 간격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이 도 13의 경우에는 자석코어(17)와 자석코어(21)에는 중심축(9)의 주위에 중첩부분(J)이 형성되므로, 이 중첩부분(J)을 작게 하면, 발생되는 코깅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Also, cogging torque So much it generated, and may be the configuration of FIG. 10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전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고정된 제1 고정자(3) 및 제2 고정자(4)에 대하여, 회전자(5)를 회전시키는 것인데, 회전자(5)를 고정하고 제1 고정자(3) 및 제2 고정자(4)를 중심축(9) 주위로 회전시켜도 좋다. 그러나 회전자(5)에 비해 제1 고정자(3) 및 제2 고정자(4)는 중량이 크고, 또한 구성이 복잡하다. 따라서 회전자(5)를 회전시키는 것이 회전에너지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자석(26)의 자극의 방향을 자석코어(17,21)의 자극의 방향과 다르게 하였으나, 동일방향으로 해도 좋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nts are those in which the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발전기(1)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모터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코일(1) 및 코 일(14)에 교류전류를 흘림으로써 회전자(5)가 동력의 출력부로서 회전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the
도 1은 발전기의 평면도이고1 is a plan view of a generator
도 2는 발전기의 측면도이고2 is a side view of the generator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1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5는 도 2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 6은 도 5의 선 D-D를 따라 절취한 부분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도 7은 도 5의 제1 고정자를 구성하는 코어의 분해사시도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re constituting the first stator of FIG. 5;
도 8은 도 5의 제2 고정자를 구성하는 코어의 분해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re constituting the second stator of FIG. 5;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부분생략 요부 구성도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artial omiss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10 to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JP-P-2007-00197794 | 2007-07-30 | ||
| JP2007197794A JP2009033930A (en) | 2007-07-30 | 2007-07-30 | Power generat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12974A KR20090012974A (en) | 2009-02-04 |
| KR100906001B1 true KR100906001B1 (en) | 2009-07-14 |
Family
ID=4040381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853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6001B1 (en) | 2007-07-30 | 2007-08-24 | generator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JP (1) | JP2009033930A (en) |
| KR (1) | KR10090600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5789182B2 (en) | 2011-12-16 | 2015-10-07 | 三四郎 荻野 | Generator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459185B1 (en) * | 1998-08-24 | 2002-10-01 | Magnet-Motor Gesellschaft Fur Magnetmotorische Technik Mbh | Electrical machine with permanent magnets |
| JP2002335658A (en) * | 2001-05-08 | 2002-11-22 | Nsk Ltd | motor |
| US20060220491A1 (en) | 2002-11-18 | 2006-10-05 | Seiko Epson Corporation | Brushless motor stator, brushless motor having same and coil structure |
| JP2007185094A (en) | 2007-01-24 | 2007-07-19 | Seiko Epson Corp | Electric motor |
-
2007
- 2007-07-30 JP JP2007197794A patent/JP2009033930A/en active Pending
- 2007-08-24 KR KR1020070085326A patent/KR10090600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459185B1 (en) * | 1998-08-24 | 2002-10-01 | Magnet-Motor Gesellschaft Fur Magnetmotorische Technik Mbh | Electrical machine with permanent magnets |
| JP2002335658A (en) * | 2001-05-08 | 2002-11-22 | Nsk Ltd | motor |
| US20060220491A1 (en) | 2002-11-18 | 2006-10-05 | Seiko Epson Corporation | Brushless motor stator, brushless motor having same and coil structure |
| JP2007185094A (en) | 2007-01-24 | 2007-07-19 | Seiko Epson Corp | Electric mot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12974A (en) | 2009-02-04 |
| JP2009033930A (en) | 2009-02-1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97965B1 (en) | Motor using complex flux | |
| US5117142A (en) | Permanent magnetized synchronous machine designed according to the transverse flux principle | |
| KR101255951B1 (en) | Transverse Type Switched Reluctance Motor | |
| US20050029900A1 (en) | Generator | |
| JP6330183B1 (en) | Two-axis integrated motor | |
| KR101741006B1 (en) | Outer rotor type switched reluctance motor | |
| KR102527294B1 (en) | Axial field flow rotating machine | |
| JP4586717B2 (en) | motor | |
| JP5117813B2 (en) | Rotating electric machine | |
| JP4569839B2 (en) | AC motor | |
| JP2009195055A (en) | Rotating electric machine | |
| KR101614685B1 (en) | Wound field type synchronous motor and rotor thereof | |
| KR100906001B1 (en) | generator | |
| KR102771167B1 (en) | Motor | |
| WO2011036723A1 (en) | Synchronous generator | |
| JP2019037026A (en) | Stator structure and brushless motor | |
| JP2005237191A (en) | Motor | |
| JP2021145419A (en) | Brushless motor | |
| KR102538380B1 (en) | Electrical machine | |
| JPWO2018123841A1 (en) | Rotor and motor | |
| JP2011078225A (en) |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 |
| WO2023101029A1 (en) | Axial gap motor | |
| JP2025073892A (en) | Rotor and motor equipped with same | |
| JP2011172355A (en) | Rotary electric machine | |
| JP2024166515A (en) | Interior permanent magnet mo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9-X000 | Request for party data change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9-oth-X00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6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