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6573B1 -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car cassette deck - Google Patents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car cassette de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573B1
KR100916573B1 KR1020080107629A KR20080107629A KR100916573B1 KR 100916573 B1 KR100916573 B1 KR 100916573B1 KR 1020080107629 A KR1020080107629 A KR 1020080107629A KR 20080107629 A KR20080107629 A KR 20080107629A KR 100916573 B1 KR100916573 B1 KR 100916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cassette deck
vehicle
main body
casset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95446A (en
Inventor
윤석봉
정찬호
허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지모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지모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지모루
Priority to PCT/KR2008/0077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84882A2/en
Publication of KR2009009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4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573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카세트 데크 내부에 장착되는 본체와, 그리고 상기 본체와 연결확장부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카세트 데크 전면의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 및 외부기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홀더부를 포함한 외부기기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로서, 외부기기에 인가되는 변위나 충격 진동이 카세트 데크 내부에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카세트 데크의 유형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가 충분한 거리로 하강하여 정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의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연결확장부가 상기 본체와의 연결부와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과의 연결부 중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부에서 상하 변위 가능한 조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ommodate the main body mounted in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and the tape inlet fitting end and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ng extension and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cassette tape inlet on the front of the cassette deck.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including an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including a provided holder, so that displacements or shock vibrations a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are not transmitted to a cassette tape-shaped main body mounted inside the cassette deck. The connection extension unit for inter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of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so that the cassette tape-shaped main body is lowered and positioned at a sufficient dist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assette deck. The connection of the tape to At least one connection from the old-fit connection of the fixed end, which is installed in a vehicle tape deck, comprising the upper and lower displaceable joint relates to external equipment connector unit.

카세트 데크, 외부기기, 휴대기기, 커넥터, 인터페이스 Cassette Deck, External Device, Mobile Device, Connector, Interface

Description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Connecting Apparatus for External Device Mounted to Automobile Cassette Deck}Connecting Apparatus for External Device Mounted to Automobile Cassette Deck}

본 발명은 차량의 카세트 데크 내부에 장착되는 본체와, 그리고 상기 본체와 연결확장부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카세트 데크 전면의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 및 외부기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홀더부를 포함한 외부기기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로서, 외부기기에 인가되는 변위나 충격 진동이 카세트 데크 내부에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카세트 데크의 유형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가 충분한 거리로 하강하여 정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의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연결확장부가 상기 본체와의 연결부와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과의 연결부 중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부에서 상하 변위 가능한 조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ommodate the main body mounted in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and the tape inlet fitting end and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ng extension and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cassette tape inlet on the front of the cassette deck.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including an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including a provided holder, so that displacements or shock vibrations a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are not transmitted to a cassette tape-shaped main body mounted inside the cassette deck. The connection extension unit for inter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of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so that the cassette tape-shaped main body is lowered and positioned at a sufficient dist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assette deck. The connection of the tape to At least one connection from the old-fit connection of the fixed end, which is installed in a vehicle tape deck, comprising the upper and lower displaceable joint relates to external equipment connector unit.

최근, 전자기술이 디지탈화되어 가면서 오디오 분야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원 하는 음악 파일, 예컨대, MP3 파일과 같은 음악파일을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운받아 별도의 MP3 플레이어를 통해 저장 및 휴대하여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Recently, as the electronic technology is digitalized, in the audio field, music files desired by the user, for example, music files such as MP3 files, can be downloaded using a computer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stored and listened through a separate MP3 player. It is supposed to be.

또한, 최근에는 언제 어디서나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가 보급되어 대중화되어 있으며, 그 기능의 다양화로 MP3 파일을 저장하여 음악파일을 휴대하면서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making calls anytime and anywhere has been popularized, and by diversifying its functions, MP3 files can be stored and listened to while carrying music files.

한편, 차량에는 카세트 데크가 기본적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차량을 보유한 사용자는 차량 탑승시 음악을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기한 MP3용 휴대장치는 옆에 놓아둔 채로 차량에 장착된 별도의 장치(예컨대, 카세트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를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cassette deck is basically mounted on a vehicle. In addition, when a user who owns a vehicle wants to listen to music while riding the vehicle, the MP3 portable music apparatus is generally used by using a separate device (for example, a cassette player, a CD player, etc.) mounted on the vehicle with the MP3 portable device set aside. Will listen.

또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MP3 음악파일을 듣기 위해서는, 차량에 설치된 음량이 우수한 카세트 데크가 장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휴대용 MP3 플레이어(일반적으로, 저출력 사양)를 통해 음악을 청취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listen to the MP3 music files desired by the user, although the cassette deck installed in the vehicle has excellent volume, it is inconvenient to listen to music through a separate portable MP3 player (generally, a low power specification). .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플레이어와 같은 외부기기(P1)를 차량의 카세트 데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카세트 데크의 내부에 수납되는 카세트 테이프형 하우징(P2)과, 카세트 데크의 전면에 외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홀더(P3), 및 상기 하우징(P2)과 홀더(P3)를 연결하는 연장부(P4)를 구비한 인터페이스 장치가 Lindsay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공보(US 2006/02556475 A1)를 통하여 공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as shown in FIG. 1, a cassette tape type housing P2 housed inside the cassette deck to connect an external device P1 such as an MP3 player to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 A holder (P3) for mounting an external device on the front of the cassette deck, and an extension device (P4) for connecting the housing (P2) and the holder (P3) is US patent application of Lindsay et al. This publication was published through US 2006/02556475 A1.

또한,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0610357 B1호를 통하여, 카세트 테이프와 형상이 거의 동일한 삽입부재(P11)를 이용한 다용도 지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인스트루먼트 패널(P100)에 설치되는 카세트 데크(카세트 플레이어)의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P111)에 삽입되는 삽입부재(P11)와, 상기 삽입부재(P1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P12)와, 상기 연장부(P12)의 단부와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하고자 하는 제품(P200) 즉, 텔레비젼, 위성항법장치, 피디에이(PDA), 핸드폰 등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P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다용도 지지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한편, 여기에서 2가지 유형의 삽입부재가 개시되는데, 그 하나는 카세트 테이프가 카세트 데크에 삽입되어서 플레이어 작동을 위하여 데크 전체가 아래로 하강된 후에 상부에 남게되는 빈 공간에 삽입부재(P11)가 삽입 위치되는 구조로, 이 경우에는 첨부 도면 도 2와 같이 삽입부재(P11)의 안쪽 하방부의 두께가 전방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기기의 지지 작용에 카세트 데크를 직접 이용하는 다른 하나의 유형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재(P11)에 지지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연장부(P12)가 카세트 플레이어(P110)의 카세트 데크가 하강한 상태에서도 간섭을 받지 않고 투입구(P111)의 외부로 돌출되어야 하므로, 삽입부재(P11) 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구조(상부 평면은 동일 높이인 반면에, 하부 평면이 높은 위치를 가짐)를 가지는데,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은 앞서 언급한 미국 특허출원 공개공보에 개시된 Lindsay등의 인터페이스 장치와 사실상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a multipurpose support apparatus using an insertion member P11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a cassette tape is disclosed through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 10-0610357 B1 as shown in FIGS. 2 and 3. Referring to, the insertion member (P11) to be inserted into the cassette tape inlet (P111) of the cassette deck (cassette player) installed in the instrument panel (P100), and the extension portion (P12)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member (P11) and And fixing means (P20) for fixing the product (P200), that is, a television, a satellite navigation apparatus, a PDA, a mobile phone, etc., to be coupled and fixed by an end portion and a coupling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P12. A multipurpose support device for automobiles is disclosed. Meanwhile, two types of insertion members are disclosed herein, one of which has an insertion member P11 in an empty space left at the top after the cassette tape is inserted into the cassette deck so that the entire deck is lowered for the player operation.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P11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ront portion. Another type of directly using a cassette deck for supporting an external device is an extension part P12 supported by the insertion member P11 and projecting outward as shown in FIG. 3. ) Should be projected out of the inlet (P111) without interference even when the cassette deck is lowered, the structure relatively thinner than the insertion member (P11) (the upper plane is the same height, while the lower plane is a high position This structural feature is virtually the same as the interface device of Lindsay et al. Disclosed in the aforementioned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앞서 설명된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카세트 데크에 삽입되는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하우징(도 1의 도면부호 'P2') 또는 삽입부재(도 2의 도면부호 'P11')와 외부기기가 설치되는 홀더(도 1의 도면부호 'P3') 또는 고정수단(도 2의 도면부호 'P20')을 연결하는 중간 부재인 연장부(도 1의 도면부호 'P4', 도 2의 도면부호 'P12')의 접합이 일체형 접합 또는 강접합을 이루고 있어서, 조작자가 외부기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외부기기 거치수단을 움직여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차량의 진동으로 인하여 외부기기 거치수단과 이에 설치되는 외부기기의 중량에 따른 충격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발생된 변위 또는 진동이 연장부를 거쳐서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하우징 또는 삽입부재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이것이 삽입되어 있는 카세트 데크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이 전달되어서 카세트 데크의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차량용 카팩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신호 접속부에서의 불안정한 접촉에 의해 잡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공통적으로 발생하게 된다.Looking at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 cassette tape-shaped housing (inserted 'P2' of FIG. 1) or inserting member (reference numeral 'P11' of FIG. 2) inserted into the cassette deck and the holder is installed (Fig. Joining of the extension part (reference numeral 'P4' of FIG. 1, reference numeral 'P12' of FIG. 2) which is an intermediate member connecting the reference numeral 'P3' of FIG. 1 or the fixing means (reference numeral 'P20' of FIG. 2) In this integral bonding or strong bonding, the operator moves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to operate the external device, the displacement occurs, or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and the external device installed thereon In the event of a shock vibration, the generated displacement or vibration is transmitted directly through the extension to the cassette tape-shaped housing or insertion member, which is undesirable in the cassette deck into which it is inserted. There is a risk that cassette deck malfunction may occur due to the transmission of noise. In particular, when the vehicle is used as a car pack, noise may be generated due to unstable contact at a signal connection unit that transmits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an audio system of a vehicle. Problems are common.

아울러, 차량에 설치되는 카세트 데크의 다양한 구조에 따라서 카세트 데크의 플레이어 부분(릴의 구동 스핀들 및 카세트 헤드 등이 설치되는 부분)이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하우징 또는 삽입부재가 삽입된 카세트 데크의 테이프 가이드가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의 높이에 비하여 깊숙히 낮은 위치로 하강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경우에는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하우징 또는 삽입부재가 충분한 깊이로 하강하지 못하게 되어서 카세트 데크의 플레이어 부분에 정위치하지 못하게 되고, 그리하여 차량용 카팩으로 활용하는 경우에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으로 전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함께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structures of the cassette deck installed in the vehicle, when the player portion of the cassette deck (the portion where the drive spindle of the reel and the cassette head, etc. are installed)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cassette tape inlet, the cassette tape-shaped housing or In some cases, the tape guide of the cassette deck into which the insertion member is inserted may have to be lowered to a position which is deep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assette tape inlet.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cassette tape-shaped housing may be used. Or, the insertion member may not be lowered to a sufficient depth so that the cassette deck may not be positioned correctly in the player portion of the cassette deck, and thus, when used as a car pack,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audio system of the vehicle. Problems also occu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개선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과제를 살펴보면, 그 첫 번째 과제는 외부기기 거치수단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변위가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종래기술에서의 하우징 또는 삽입부재)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카세트 데크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카팩으로 활용하는 경우에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가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신호 접속부에서의 불안정한 접촉을 방지하여 잡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Looking at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first problem is that the vibration or displacement that may occur in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cassette-shaped body By not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housing or the insertion member in the related art, not only can the cassette deck be protected, but also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audio system of the vehicle when used as a vehicle carpack. It is to provide an interface device that prevents unstable contact at the connection to prevent noise from occurring.

본 발명의 두번째 과제는, 차량에 설치되는 카세트 데크의 구조적 다양성에서 적합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종래기술에서의 하우징 또는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하강된 카세트 데크와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의 높이 차이가 큰 경우에도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가 충분한 깊이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세트 데크의 플레이어 부분에 정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sette deck and a cassette tape inlet in which a cassette tape-shaped main body (a housing or an insertion member in the related art) is inserted and lowered so as to provide suitability in structural diversity of a cassette deck installed in a vehicle. Even if the height difference is large, it is to provide a support device that allows the cassette tape-shaped body to be lowered to a sufficient depth so that it can be positioned in the player portion of the cassette dec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는,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s installed in the cassette cassette for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차량의 카세트 데크 내부에 장착되는 본체와, 그리고 상기 본체와 연결확장부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카세트 데크 전면의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 및 외부기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홀더부를 포함한 외부기기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로서, A main body mounted inside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and a tape inlet fitting e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extension and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cassette tape inlet on the front of the cassette deck, and a holder provided to accommodate the external device.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a vehicle cassette deck including an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including a portion,

상기 본체와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의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연결확장부는, 상기 본체와의 연결부와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과의 연결부 중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부에서 상하 변위 가능한 조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connection extension unit inter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of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may include a joint capable of vertically displacing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Provided is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상기 상하 변위 가능한 조인트는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과의 연결부에서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확장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에 가이드 돌기가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연결확장부의 일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The vertically displaceable join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so as to be slidably moved upward and downward in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ape inlet fitting fixed en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tape inlet fitting fixed end.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liding guide including a guide projection, and on the contrary, the guide projec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and the guide groove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

전술한 상하 변위 가능한 조인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연결확장부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연결부는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과의 연결부측 보다 낮도록 상기 연결확장부가 경사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vertically displaceable join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is fix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lower than the connection part side with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여기에서, 상기 연결확장부는 탄성을 가진 재료로 곡면부를 포함하여 형성하 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Here, it will be preferable to form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including a curved part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그리고,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의 측부에는, 상기 본체가 카세트 데크로 삽입되어 테이프 가이드와 함께 강제로 하강되기 전에는 본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확장부가 하부 위치로 하강하지 않고 상부 위치에 일시적으로 고정되어 있도록 지지하는 연결확장부 지지용 탄성 비드가 돌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n, on the side of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the connection extension is temporarily fixed to the upper position without lowering to the lower position by the weight of the main body before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cassette deck and forcedly lowered together with the tape guide.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protruding elastic bead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to be supported.

한편,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의 상면 또는 저면에 테이프 투입구와의 슬라이딩 마찰을 줄이기 위한 막대형 윤활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의 저면 또는 상면에는 테이프 투입구와의 높이 공차를 보정하기 위한 탄성 비드가 돌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rod-like lubrication means for reducing the sliding friction with the tape inlet may be provid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tape inlet fitting end, and the height tolerance of the tape inlet on the bottom or top of the tape inlet fitting end Elastic beads for correcting the protrusion may be provided to protrude.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거치수단이 상기 본체에 대해 접철식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의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연결확장부가 상기 본체와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회전 변위가 가능한 조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나아가, 상기 본체와의 연결부 및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과의 연결부 각각에 형성되는 회전 변위가 가능한 조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for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fixed end of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so that the mounting means is fol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connecting portion with the main body It is made to include a joint capable of rotational displacement is formed in, and further comprising a joint capable of rotational displacement formed in each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is provided. do.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의 홀더부에 수납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카세트 데크를 통하여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앰프 및 스피커 시스템)에 전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 사이에는 신호 전송선이 추가적으로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본 체에는 카세트 데크와 연동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마그네틱 헤드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마그네틱 헤드로 제공하여 카세트 데크를 통해 음성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제어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signal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accommodated in the holder portion of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can be transmitted to the audio system (amplifier and speaker system) of the vehicle through the cassette deck for output. And a signal transmission line is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and the main body has a magnetic head for interfacing with a cassette dec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data and audio data a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magnetic head. It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nic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oice output through the deck.

또한, 본 발명에서, 차량의 카세트 데크에 장착되는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에는, 카세트 데크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롤러가 추가적으로 제공되고, 더불어서 상기 롤러의 주변에는 롤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전원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전원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일정 레벨의 전원을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포트를 통해 외부기기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제어수단이 제공되는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sette tape-shaped main body mounted on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roller that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of the cassette deck, and also in the vicinity of the roller to generate power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ller Provided is a power supply means, and provided with an electronic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o supply a predetermined level of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eans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coupling port electrically coupled with the external devic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기기 거치수단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마이크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자제어수단은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마그네틱 헤드로 제공하여 카세트 데크를 통해 음성출력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마이크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는 상기 결합포트를 통해 외부기기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with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signal, the electronic control means provides a cassette deck by providing a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magnetic head In addition to the voice output through, the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microph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provide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upling por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포트는 USB 단자 또는 커넥터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B terminal or connector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기기 거치수단은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모드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nd outputting the operation mod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에서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충전하거나 차량의 카세트 데크를 이용하여 휴대장치에 저장된 음악의 청취가 가능함은 물론, 휴대장치에 대한 핸즈프리기능을 제공하는 등 차량의 카세트 데크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량 내에서 휴대기기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도록 해 주면서도,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연결확장부의 구성을 통하여 외부기기 거치수단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변위가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종래기술에서의 하우징 또는 삽입부재)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할 수 있어서 카세트 데크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카팩으로 활용하는 경우에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가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신호 접속부에서의 불안정한 접촉을 방지하여 잡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나아가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가 삽입되어 하강되는 카세트 데크와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의 높이 차이가 큰 경우에도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가 충분한 깊이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세트 데크의 플레이어 부분에 정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수단을 제공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charge a portable device in a vehicle or listen to music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by using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as well as provide a hands-free function for the portable device.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cassette tape, vibrations or displacements that may occur in the mounting means of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which makes the use of the portable device easier in the vehicle, are characteriz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buffered so as not to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housing or insertion member in the related art), which not only protects the cassette deck, but also when used as a car car pack,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is transferred to the audio system of the vehicle. Noise is generated by preventing unstable contact at the transmitted signal connection Furthermore, even when the cassette deck-shaped main body is inserted into and descended from the cassette deck and the cassette tape inlet has a large height difference, the cassette tape-shaped main body can be lowered to a sufficient depth so that the cassette deck-shaped main body can be lower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in the cassette cassette for a vehicle that provides a support means to enab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show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의 외관 형상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in the cassette de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세트 데크를 위한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는 본체(100)가 차량의 카세트 데크(D; 도 14 및 도 15 참조)에 장착되는 카세트 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for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sette tape shape in which a main body 100 is mounted on a cassette deck D (see FIGS. 14 and 15) of a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세트 데크를 위한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는 차량의 카세트 데크(D)에 장착되어 사용되며, 카세트 데크에 삽입된 상태에서 카세트 데크가 구동되는 경우, 이로 인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일정 레벨의 전력을 생성하여 외부기기(미도시)로 제공하게 된다.The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for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used in a cassette deck (D) of a vehicle, and when the cassette deck is drive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assette deck, a predetermined level is used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Power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즉,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형상을 가진 차량용 카세트 데크를 위한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에는 기본적으로 차량의 카세트 데크(도 14 및 도 15의 도면부호 'D')에 제공된 릴(도 14 및 도 15의 도면부호 'R')의 구동 스핀들(도 14 및 도 15의 도면부호 'DS')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롤러(A)가 제공됨과 더불어, 차량의 카세트 헤드(미도시)와 연동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마그네틱 헤드(B)가 구비된다. 또한,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차량용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의 일측에는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포트(P)가 구비된다.That is,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for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having a cassette tape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reel provided in the cassette deck (D 'in FIG. 14 and FIG. 15) of the vehicle (FIGS. 14 and 15). A roller A which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driving spindle of reference numeral 'R' (reference numeral 'DS' in FIGS. 14 and 15) is provided, and in conjunction with a cassette head (not shown) of the vehicle to provide an audio signal. A magnetic head B for outputting is provided. In addition, one side of the vehicle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of the cassette tape shap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 (P) for electrically coupling with the external device.

상기 외부기기는 이동통신단말기, MP3 플레이어, 아이팟, 메모리스틱 등과 같은 각종 휴대기기가 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may be various mobile device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MP3 player, an iPod, a memory stick, and the like.

상기 결합포트(P)는 예컨대, USB 단자이거나 커넥터 단자일 수 있다.The coupling port P may be, for example, a USB terminal or a connector terminal.

한편,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의 내부 구성을 기 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shows a functional separation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shown in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의 내부에는 전원부(110)와 전자제어모듈(120)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5,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electronic control module 120 ar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상기 전원부(110)는 롤러(A)의 주변에 배치되어 롤러(A)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전원부(110)는 상기 롤러(A)에 다수의 자석(미도시)을 배치하고, 이 자석과 인접하게 코일(미도시)을 배치하여 롤러(A)가 회전함에 따라 자석으로부터 코일로 유기되는 자계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10)는 코일을 통해 출력되는 전력이 정류회로 및 평활회로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power supply unit 110 is disposed around the roller A to generate electric power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ller A.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10 arranges a plurality of magnets (not shown) on the roller A, and a coil (not shown) adjacent to the magnets so that the roller A rotates from the magnet to the coil. It can be configured to generate power by the induced magnetic field.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more stable power by allowing the power output through the coil is output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and the smoothing circuit.

상기 전자제어모듈(120)은 상기 전원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결합포트(P)로 제공한다. 즉, 결합포트(P)에 결합된 외부기기로 일정 레벨의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The electronic control module 120 provides the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the coupling port (P). That is, a predetermined level of power is su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 (P).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량의 카세트 데크의 구동에 따른 롤러의 회전력을 근거로 전력을 생성하여 외부기기의 공급전원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등의 각종 휴대장치의 전원충전장치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electric power based 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ll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and to provide the electric power to th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it can be used as a power charging device for various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한편, 상기 외부기기는 MP3 파일과 같은 음악파일을 저장 또는 청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차량의 카세트 데크를 이용하여 음악청취가 가능하도록 된 차량용 카세트 데크를 위한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may provide a function of storing or listening to a music file such as an MP3 file.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for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in which music can be listened to using a cassette deck of a vehicl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의 외관 형상을 예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용 카세트 데크를 위한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의 내부 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external device connector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llustrate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vehicle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separation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for the cassette deck for the vehicle shown in FIG.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세트 데크를 위한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외부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외부기기 거치수단(200)과,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확장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for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having a cassette tape shape and the external devic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for stably and comprises a connection expansion unit 300 for connecting them.

상기 본체(100)는 차량의 카세트 데크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은 카세트 데크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사용되어 된다. 이때,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연결확장부(300) 사이의 회전 가능한 조인트(접철 구조)를 통하여 본체(100)에 대해 각도조절이 가능한 접철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0)와 연결확장부(300) 뿐만 아니라 연결확장부(300)와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 사이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회전 가능한 조인트(접철 구조)를 통하여 본체(100)에 대해 각도조절이 가능하면서 설치 높이의 차이도 보완할 수 있도록 접철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is disposed inside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and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is used while being disposed outside the cassette deck. At this time,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through a rotatable joint (folding structure)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expansion unit 300 as shown in FIG. Can be combined fol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rotatable joint (folding structur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300 as well as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300 and the cassett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is provided. The angle can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while being foldable to complement the difference in installation height.

여기에서,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은 본체(100)와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body 100.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은 기본적으로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을 포함하며, 그리고 외부기기를 거치하기 위해 형성되는 거치홈 타입의 홀더부(21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데, 이 홀더부(210)의 저면에는 외부기기와 전자제어모듈(120)을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C)가 배치된다. 이때, 외부기기의 저면에는 상기 커넥터(C)에 대응되는 포트(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C)는 20pin 또는 24pin 커넥터가 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basically includes a cassett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and is formed to include a holder 210 of the mounting groove type formed to mount the external device, the holder A connector C for electrically coupling an external device to the electronic control module 120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unit 210. At this time, the bottom of the external device is provided with a port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C). The connector C may be a 20pin or 24pin connector.

또한,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은 일측에 차량용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의 동작상태를 동작모드정보의 형태로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으로서 표시부(121)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122) 및, 외부기기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포트(P)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is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nd output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 the form of operation mode information on one side, the display unit 121 and a microphone for receiving the user's voice signal 122, and a coupling port (P) for coupling with an external device.

상기 표시부(121)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모드정보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LCD패널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121)는 터치패널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조작명령의 선택 또는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1 includes an LCD panel which displays a current state of operation mode information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onnector device.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21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touch panel function. That is, it can be configured to enable the selection or input of the operation command by the user.

상기 결합포트(P)는 USB 연결장치로서, standard 규격을 만족하는 것과 micro 규격을 만족하는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 (P) is a USB connection device, may be composed of a terminal that satisfies the standard and the micro standard.

한편, 상기 본체(100) 또는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의 내측에는 전원부(110)와 전자제어모듈(120)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electronic control module 12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0 or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상기 전자제어모듈(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122)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123)와, 이후 에 설명할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프로그램 또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 기능 수행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25), 입력되는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마그네틱 헤드(B)로 제공하는 음성처리부(124) 및,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electronic control module 120 converts an analog audio signal applied from the microphone 122 into a digital signal, and an operation of the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Memory 125 for storing various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program for controlling or performing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function, the voice processing unit 124 for converting the input signal into an audio signal to provide to the magnetic head (B),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26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according to.

상기 메모리(12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재 동작모드, 예컨대 전원충전, 음악파일재생, 핸즈프리, 음원파일녹음 등과 같은 모드정보가 저장된다.The memory 125 stores the current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mode information such as power charging, music file playback, hands free, sound source file recording,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126)는 현재 동작모드정보 및 해당 동작모드에 대응되는 모드선택정보를 상기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모드정보를 메모리(125)에 저장한다.The controller 126 displays the current operation mode information and the mode sel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mode through the display unit 121 and stores the mod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in the memory 125.

예컨대, 사용자는 현재 커넥터(C) 또는 결합포트(P)에 결합된 외부기기에 대하여 전원충전/음악재생/음악녹음/핸즈프리 등의 모드선택을 표시부(121)의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set the mode selection such as power charging / music playing / music recording / hands free for the external device current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C or the coupling port P using the touch screen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121. have.

또한, 상기 제어부(126)는 차량 카세트 데크에 제공되는 입력버튼(미도시)의 입력을 근거로 전원충전/음악재생/음악녹음/핸즈프리 등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카세트 데크의 입력버튼에 대한 모드정보는 메모리(125)에 미리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는 차량 카세트 데크의 테이프 되감기 버튼의 누름을 통해 전원충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6 may select an operation mode such as power charging / music playing / music recording / hands free based on an input of an input button (not shown) provided to the vehicle cassette deck. At this time, the mode information on the input button of the vehicle cassette deck is preferably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memory (125).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the power charging mode by pressing the tape rewind button of the vehicle cassette deck.

또한,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전원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커넥터(C)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포트(P)에 결합된 외부기기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6 provides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an external device coupled to the connector C or at least one coupling port P.

또한, 상기 제어부(126)는 커넥터(C) 또는 결합포트(P)에 결합된 외부기기로 부터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음성처리부(124)를 통해 마그네틱 헤드(B)로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카세트 데크를 통해 음성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즉, 커넥터(C) 또는 결합포트(P)에 결합된 이동통신단말기나 MP3플레이어, 아이팟, 또는 USB 메모리로부터 인가되는 MP3음원데이터를 차량의 카세트 데크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6)는 커넥터(C)에 이동통신단말기가 결합되고 핸즈프리 기능 수행시 상기 마이크(122)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는 차량의 카세트 데크를 통해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6 provides an audio signal a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coupled to the connector C or the coupling port P to the magnetic head B through the voice processing unit 124, thereby providing a cassette of the vehicle. Controls audio output through the deck. That is, MP3 sound source data appli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MP3 player, an iPod, or a USB memory coupled to the connector C or the coupling port P is output through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6 is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nnector (C) and processes the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microphone 122 when performing the hands-free function,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audio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제어부(126)는 카세트 데크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마그네틱 헤드(B) 및 음성처리부(124)를 통해 제공받아 커넥터(C) 또는 결합포트(P)에 결합된 외부기기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6 receives the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cassette deck through the magnetic head (B) and the voice processing unit 124 to store in an external device coupled to the connector (C) or coupling port (P). To control.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차량용 카세트 데크를 위한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for the vehicle cassette deck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커넥터 장치의 본체(100)를 차량의 카세트 데크에 장착한다.First, the user mounts the main body 100 of the connector device to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장치,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외부기기를 커넥터(C) 또는 결합포트(P)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어부(126)는 표시부(121)를 통해 모드선택메시지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표시부(121)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선택메시지를 터치스크린 기능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모드선택메시지에는 전원충전/오디오모드/핸즈프리와 같은 종류의 모드를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정보는 메모리(125)에 저장됨과 더불어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출력된다.The user couples his / her portable device, such as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nnector C or the coupling port P.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26 outputs a mode selection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121. The user selects a mode selection mess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21 using the touch screen function. The mode selection message includes a kind of mode such as power charging / audio mode / hands free. Mod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stored in the memory 125 and displayed and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21.

이후, 제어부(126)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26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1. 전원충전모드1. Power Charging Mode

사용자는 전원충전모드정보가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된 상태에서 차량의 카세트 데크에 구비된 입력버튼 중 예컨대 재생버튼이나 되감기버튼 또는 빨리감기버튼을 입력한다.The user inputs, for example, a play button, a rewind button, or a fast forward button among input buttons provided on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while the power charging mod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1.

차량의 카세트 데크는 상기 입력버튼, 예컨대 빨리감기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차량의 카세트 데크에 형성된 릴과 연동되어 본체(100)에 형성된 롤러(A)가 회전한다.As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is pressed, for example, the fast-forward button is pressed, the roller A formed on the main body 100 rotates in association with a reel formed on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롤러(A)가 회전되면, 이 롤러(A) 주변에 배치된 전원부(110)에서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켜 일정 레벨의 공급전원을 생성하게 된다.When the roller A is rotated, power is generated using the rotational force in the power supply unit 110 disposed around the roller A to generate a predetermined level of power supply.

제어부(126)는 전원부(110)에서 생성된 전원을 커넥터(C) 또는 결합포트(P)에 결합된 외부기기로 제공함으로써, 외부기기의 전원을 충전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26)는 일정 양의 전원을 본체(100) 내에 충전하여 대기모드에서 본 장치의 동작전원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controller 126 controls to charge the power of the external device by provid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an external device coupled to the connector C or the coupling port P.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26 may be charg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in the main body 100 to use as the operating power of the device in the standby mode.

2. 오디오모드2. Audio mode

사용자는 오디오모드정보가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된 상태에서 차량의 카세트 데크에 구비된 입력버튼 중 재생버튼을 입력한다.The user inputs a play button among input buttons provided on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while the audio mode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1.

차량의 카세트 데크는 재생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본체(100)에 형성된 롤러(A)가 회전하여 전원부(110)에서 일정 레벨의 공급전원을 외부기기로 제공하게 된다.In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as the play button is pressed, the roller A formed on the main body 100 rotates to provide a predetermined level of supply power to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외부기기를 통해 청취하고자 하는 음악파일을 선택하고, 재생기능을 선택하는 등의 재생관련조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외부기기에서는 음악파일이 커넥터(C) 또는 결합포트(P)를 통해 제어부(126)로 인가된다.In the above state, the user selects a music file to be listened to through an external device, and performs a playback related operation such as selecting a playback function. Accordingly, in the external device, the music file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126 through the connector C or the coupling port P.

제어부(126)는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음악파일을 음성처리부(124)로 제공하고, 음성처리부(124)는 마그네틱 헤드(B)의 오디오신호에 대응되도록 기전력을 변화시켜 오디오신호를 카세트 데크의 카세트 헤드(B')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카세트 헤드는 해당 오디오신호를 카세트 데크와 연결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음성출력을 하게 된다.The controller 126 provides a music file appli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124, and the voice processing unit 124 changes the electromotive for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audio signal of the magnetic head B, thereby transferring the audio signal to the cassette deck. Provided to head B '. Accordingly, the cassette head outputs a corresponding audio signal through a speak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cassette deck.

한편, 사용자는 차량의 라디오 튜너를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하고 있는 상태에서 카세트 데크의 녹음버튼을 입력하여 청취하고 있는 음악을 외부기기, 예컨대 USB 메모리스틱에 저장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user may input the recording button of the cassette deck while listening to music using the radio tuner of the vehicle to store the listening music in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USB memory stick.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오디오모드에서의 전원충전모드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카세트 데크의 재생버튼을 누르고서(이 경우 외부기기로의 전원충전은 이루어지지 않음) 외부기기(자체 배터리를 통하여 작동되는)를 통해 청취하고자 하는 음악파일을 선택하고, 재생기능을 선택하는 등의 재생관련 조작을 수행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ower charging mode in the audio mode described above may not be used, even in this case, the user presses the play button of the cassette deck (in this case, power is not charged to the external device). The music file to be listened to can be selected through a self-battery, and a play related operation such as a play function can be performed.

3. 핸즈프리모드3. Hands free mode

상술한 전원충전모드 또는 오디오모드가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C)또는 결합포트(P)에 결합된 외부기기 즉, 이동통신단말기로 전화가 오게 되면 이동 통신단말기에서는 해당 수신요구정보를 커넥터(C) 또는 결합포트(P)를 통해 제어부(126)로 제공한다.When the external device coupled to the connector (C) or the coupling port (P),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he power charging mode or the audio mode is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corresponding request information. C) or to the control unit 126 through the coupling port (P).

제어부(126)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수신요구정보를 근거로 동작모드를 핸즈프리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이때, 오디오동작은 일시 정지상태가 된다. The control unit 126 automatically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hands-free mode based on the reception request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is time, the audio operation is paused.

상기한 상태에서 제어부(126)는 수신여부메시지를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출력한다.In the above state, the controller 126 displays and outputs the received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121.

사용자가 표시부(121)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여부메시지에 대응하여 통화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통화기능정보가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되고,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상태로 전환하게 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call functio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mess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21, the call func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s to the call state.

이때, 제어부(126)는 마이크(12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고,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는 마그네틱 헤드(B)를 통해 차량의 카세트 데크를 통해 출력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26 provides a voice signal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22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put through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through the magnetic head (B). do.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카세트 데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외부기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휴대용 외부기기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차량의 카세트 데크를 이용하여 보다 향상된 음질의 음악청취가 가능하게 된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can be used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external device of the user, and the music file stored in the portable external devi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Listening is possib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인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개선된 유형의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는데, 이 실시예는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변위가 카세트 데크(D)에 수납되는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100)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할 수 있어서 카세트 데크(D)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카팩으로 활용하는 경우에 외부기기(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가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신호 접속부(본체의 마그네틱 헤드와 카세트 데크의 헤드)에서의 불안정한 접촉을 방지하여 잡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나아가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100)가 삽입되어 하강되는 카세트 데크(D)와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H)의 높이 차이가 큰 경우(도 14 참조)에도 카세트 테이프 형상의 본체(100)가 충분한 깊이로 하강(도 15 참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세트 데크(D)의 플레이어 부분에 정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Hereinafter, a more improved type of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6, which illustrate drawings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a vehicle cassette de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is embodiment can be buffered so that vibration or displacement that may occur in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assette tape-shaped main body 100 accommodated in the cassette deck (D) cassette cassette (D) In addition, it is not only unstable at the signal connection part (the magnetic head of the body and the head of the cassette deck) that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s audio system when used as a car car pack. The cassette deck prevents contact and prevents noise, and furthermore, the cassette tape-shaped main body 100 is inserted and lowered. Even whe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D) and the cassette tape inlet (H) is large (see FIG. 14), the cassette tape-shaped main body 100 can be lowered to a sufficient depth (see FIG. 15) so that the cassette deck (D) It relates to a support device that can be positioned in the player portion.

먼저, 도 8의 카세트 데크로의 완전 삽입 전의 전방 설치 상태 사시도, 도 9의 일부 분해 후방 사시도, 도 10과 도 11의 커넥터 장치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12와 도 13의 카세트 데크로의 완전 삽입 후의 설치 상태도, 및 도 14와 도 15의 카세트 데크로의 완전 삽입 전후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는,First,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installation state before full insertion of the cassette deck of FIG. 8, a partially exploded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9,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or device of FIGS. 10 and 11, and a full insertion of the cassette deck of FIGS. 12 and 13. As shown in a later installation state diagram and an operating stat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full insertion of the cassette decks of FIGS. 14 and 15, the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ssette de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의 카세트 데크 내부에 장착되는 본체(100)와, 그리고 상기 본체(100)와 연결확장부(300)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카세트 데크(D) 전면의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H)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 및 외부기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홀더부(210)를 포함한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로서,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mounted inside the cassette deck of the vehicle, and through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expansion unit 300 and fitted into the cassette tape inlet (H) on the front of the cassette deck (D)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in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including an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including a tape inserting hole fitting end (220) and a holder (210) provided to accommodate an external device.

상기 본체(100)와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의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연결확장부(300)는, 상기 본체(100)와의 연결부와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과의 연결부 중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부에서 상하 변위 가능한 조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300 connect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tape inserting hole fitting end 220 of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to each other is fix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tape inserting hole fitted to the main body 100. It comprises a joint that can be vertically displaced at one or more of the connection with the stage 220.

여기에서, 상기 상하 변위 가능한 조인트는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과의 연결부에서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20h), 및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확장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0p)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형태(도 13의 요부 확대도 참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홈(220h)의 높이(테이프 투입구를 통과하는 본체의 두께에 대략 상응함)에 상당하는 만큼 상기 연결확장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0p, 평면에서 볼 때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어 영문자 T를 형성: 도 9 참조)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반면에 확장연결부(300)의 타단은 본체(100)와 고정 연결되어 있어서 본체(100)는 확장연결부(300)와 함께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으로부터 분리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으로부터 진동이나 이상 변위가 본체(100)로 전달되지 않고 차단된다.(도 8과 도 12의 비교, 도 10과 도 11의 비교, 도 14 및 도 15의 비교)Here, the vertically displaceable joint is a guide groove (220h)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ape inlet fitting fixed end 220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tape inlet fitting fixed end 220,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up and dow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in a sliding guide form (see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13) including a guide protrusion 310p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so as to be slidable in the direction, whereby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is formed. Guide protrusions 310p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pproximately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passing through the tape inlet) formed in the guide groove 220h, the left and right sides when viewed in plan view Protruding to form the letter T: see FIG. 9), while the other end of the expansion connector 30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Therefore, the main body 100 is separated from the tape inserting hole fitting end 220 together with the expansion connection part 300 to move upward and downward, and the vibration or abnormal displacement from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is the main body 100. It is not transmitted to the circuit board but is blocked. (Comparison of Figs. 8 and 12, Comparison of Figs. 10 and 11, Comparison of Figs. 14 and 15)

물론, 앞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조와 반대의 구조로, 상기 상하 변위 가능한 조인트는,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과의 연결부에서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가 끼워져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확장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형태(미도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Of course, in a structure opposite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vertically displaceable join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ape inlet fitting fixed end 220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tape inlet fitting fixed end 220. The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sliding guide shape (not shown) including a guide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protrusion and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확장부(300)가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연결부는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과의 연결부측 보다 낮도록 상기 연결확장부(300)가 경사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카세트 데크(D)가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본체(100)가 정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300 is fixed to the main body 100, the connection expansion portion 300 to be lower than the connection portion side with the tape inlet fitting fixing end 220 Is formed to be inclined more preferably in that the main body 100 can be positioned even when the cassette deck (D) is located in a low position.

상기 가이드홈(220h)의 최상부에 상기 연결확장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0p)가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과 상기 본체(100)가 도 8, 도 1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데, 그리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가 카세트 데크(D)의 테이프 가이드(TG)로 삽입되도록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전면에서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H)를 통하여 투입되는 경우에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 또는 상기 홀더부(210)를 사용자가 파지하고 본체(100)를 먼저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H) 방향으로 밀어넣는 동작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guide protrusion 310p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guide groove 220h,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and the main body 100 are shown in FIGS. 8, 10, And as shown in FIG. 14, may form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so that the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tape guide TG of the cassette deck D as shown in FIG. 8. When the cassette is inserted through the cassette tape insertion hole (H) in the user is holding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or the holder 210 and the body 100 first to push the cassette tape inlet (H) direction Operation can be made easy.

한편, 상기 연결확장부(300)는 탄성을 가진 재료로써 곡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기기 거치수단의 홀더부에 수납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카세트 데크를 통하여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앰프 및 스피커 시스템)에 전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와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 사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 전송선(400)이 상기 연결확장부(300)를 따라서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300 is more preferably formed to include a curved portion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as described above the audio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accommodated in the holder of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A signal transmission line 400 as shown in FIG. 9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so that the cassette deck can be transmitted to and output to an audio system (amplifier and speaker system) of the vehicle. It is provided along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300.

그리고, 첨부 도면 도 16의 저면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의 측부에는, 상기 본체(100)가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H)를 통하여 삽입되어 테이프 가이드(TG)와 함께 카세트 데크(D) 내부에서 강제로 하강되기 전에는 본체(1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확장부(300)가 하부 위치로 하강하지 않고 상부 위치(도 16에 도시된 상태)에 일시적으로 고정되어 있도록 지지하는 연결확장부 지지용 탄성 비드(223)가 돌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s shown in the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16,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through the cassette tape inlet (H) to the side of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the tape guide (TG) and Before being forcedly lowered in the cassette deck D together,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300 is temporarily fixed to the upper position (state shown in FIG. 16) by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00 without lowering to the lower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bead 223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to be supported is provided to protrude.

바람직하기로,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의 상면(도 9 및 도 13 참조) 또는 저면(미도시)에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H)와의 슬라이딩 마찰을 줄이기 위한 막대형 윤활수단(221)이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막대형 윤활수단(221)은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나아가 불화탄소 복합체, 폴리옥시메틸렌, 나일론모노머, MC 나일론, 고분자 폴리에틸렌 및 테프론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자기 윤활성이 있는 재료를 포함한 별도의 소재로 제작하여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 표면에 부착하여 제공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od type lubrication means 221 for reducing the sliding friction with the cassette tape inlet (H) on the upper surface (see Figs. 9 and 13) or the bottom (not shown) of the tape inlet fitting fixing end 220 is The rod-type lubrication means 221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ing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and further, carbon fluoride composite, polyoxymethylene, nylon monomer,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C nylon, high molecular polyethylene, and teflon may be provided by attaching to the surface of the tape inlet fitting end 220 by making a separate material including a self-lubricating material having a main raw material. .

또한,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의 저면(도 16 참조) 또는 상면(미도시)에 테이프 투입구(H)와의 높이 공차를 보정(적절한 수준의 끼워짐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 비드(222)가 돌출 형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bead 222 for correcting the height tolerance with the tape inlet (H) on the bottom (see Fig. 16) or the top (not shown) of the tape inlet fitting fixing end 220 (keeping the appropriate level of fitting) May be provided to protrude.

한편, 앞서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하여 제시된 본체와 외부기기 사이의 전기적 결합 또는 신호 및 제어적 결합과 관련된 구성들, 즉 본체(100)의 마그네틱 헤드(B)와, 본체(100) 또는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던 결합포트(P), 커넥터(C), 전원부(110), 및 전자제어모듈(120)의 상세 구성(예컨대, 전자제어모듈(120)과 관련한 표시부(121), 마이크(122), A/D변환부(123), 음성처리부(124), 메모리(125), 및 제어부(126) 등을 포함한 구성)에 대한 설명과 세부적인 작동 상태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 도 8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기에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electrical coupling or the signal and control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external device presente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that is, the magnetic head B of the main body 100. And,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port (P), the connector (C),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electronic control module 120, which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rovided to the main body 100 or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e.g., electronic Description of the display unit 121, the microphone 122, the A / D converter 123, the voice processor 124, the memory 125, and the controller 126 associated with the control module 120).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state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because it can be commonly applied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8 to 16.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카세트 데크를 위한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의 구성도.1 to 3 is a block diagram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for a conventional vehicle cassette deck.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세트 데크를 위한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for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세트 데크를 위한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for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개선된 연결확장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8 to 16 show embodiments with further improved connection extensions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본체 110 : 전원부100: main body 110: power supply

120 : 전자제어모듈 200 : 외부기기 거치수단120: electronic control module 200: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10 : 홀더부 220 :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10: holder portion 220: tape insertion hole fitting fixed end

300 : 연결확장부300: connection extension unit

A : 롤러A: Roller

B : 마그네틱 헤드B: magnetic head

P : 결합포트P: Joining port

C : 커넥터C: Connector

Claims (17)

삭제delete 차량의 카세트 데크(D) 내부에 장착되는 본체(100)와, 그리고 상기 본체(100)와 연결확장부(300)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카세트 데크(D) 전면의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H)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 및 외부기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홀더부(210)를 포함한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로서, The main body 100 mounted inside the cassette deck D of the vehicle, and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expansion unit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serted into the cassette tape inlet H in the front of the cassette deck D.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in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including an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including a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formed to be formed and a holder part 210 provided to accommodate an external device. , 상기 본체(100)와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의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연결확장부(300)는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과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상하 변위 가능한 조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300 connect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of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is provided to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Including up and down displaceable joints, and 상기 상하 변위 가능한 조인트는 The vertically displaceable joint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과의 연결부에서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20h), 및 상기 가이드홈(220h)에 끼워져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확장부(300)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0p)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A guide groove (220h)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ape inserting hole fitting end 220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20h) so as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in the cassette cassett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sliding guide including a guide protrusion (310p)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expansion portion (30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확장부(300)가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연결부는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과의 연결부측 보다 낮도록 상기 연결확장부(300)가 경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300 is inclined so that the connection part fixed to the main body 100 is lower than the connection part side with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External device connector is installed on the vehicle cassette de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확장부(300)는 탄성을 가진 재료로 곡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4. The connector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30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includes a curved portion. 차량의 카세트 데크(D) 내부에 장착되는 본체(100)와, 그리고 상기 본체(100)와 연결확장부(300)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카세트 데크(D) 전면의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H)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 및 외부기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홀더부(210)를 포함한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로서, The main body 100 mounted inside the cassette deck D of the vehicle, and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expansion unit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serted into the cassette tape inlet H in the front of the cassette deck D.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in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including an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including a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formed to be formed and a holder part 210 provided to accommodate an external device. , 상기 본체(100)와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의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연결확장부(300)는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과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상하 변위 가능한 조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300 connect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of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is provided to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Including up and down displaceable joints, and 상기 상하 변위 가능한 조인트는 The vertically displaceable joint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과의 연결부에서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확장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A guide protrus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at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an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to allow the guide protrusion to slide and move upward and downward. External device connector is installed on the vehicle cassette de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sliding guide including a guide groove form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확장부(300)가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연결부는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과의 연결부측 보다 낮도록 상기 연결확장부(300)가 경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300 is inclined so that the connection part fixed to the main body 100 is lower than the connection part side with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External device connector is installed on the vehicle cassette de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확장부(300)는 탄성을 가진 재료로 곡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8. The connector of claim 6, wherein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30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includes a curved part.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의 측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확장부(300)가 하부 위치로 하강하지 않고 상부 위치에 일시적으로 고정되어 있도록 지지하는 연결확장부 지지용 탄성 비드(223)가 돌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On the side of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by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00, the connection expansion unit 300 is supported to be temporarily fixed to the upper position without lowering to the lower position. External device connector is installed on the vehicle cassette deck,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elastic beads (223) are provided.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의 저면 또는 상면에 테이프 투입구(H)와의 슬라이딩 마찰을 줄이기 위한 막대형 윤활수단(22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The low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tape inlet fitting fixing end 220 is provided with a rod-like lubrication means 221 for reducing the sliding friction with the tape inlet (H)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the cassette deck for a vehicle.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의 저면 또는 상면에 테이프 투입구(H)와의 높이 공차를 보정하기 위한 탄성 비드(222)가 돌출 형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wherein the low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tape inlet fitting fixing end 220 is formed with an elastic bead 222 for correcting the height tolerance with the tape inlet (H)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s installed on the vehicle cassette deck,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삭제delete 차량의 카세트 데크(D) 내부에 장착되는 본체(100)와, 그리고A main body 100 mounted inside the cassette deck D of the vehicle, and 상기 본체(100)와 연결확장부(300)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카세트 데크(D) 전면의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H)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 및 외부기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홀더부(210)를 포함한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로서, It is connected through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expansion unit 300 and can accommodate a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and an external devic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cassette tape inlet (H) on the front of the cassette deck (D).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in a cassette deck for a vehicle including an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including a holder 210 provided to be provided, 상기 본체(100)와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의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연결확장부(300)는,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300 connect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of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to each other,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이 상기 본체(100)에 대해 접철식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100)와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회전 변위가 가능한 조인트 및 상기 테이프 투입구 끼움 고정단(220)과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회전 변위가 가능한 조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In order to allow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to be fol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 joint capable of rotational displacement provided to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main body 100 and a connection part with the tape insertion hole fitting end 220 are provided.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a vehicle cassette de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joint capable of rotational displacement provided. 제2항 내지 제7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and 12,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의 홀더부(210)에 수납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카세트 데크(D)를 통하여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에 전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와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 사이에는 신호 전송선(400)이 추가적으로 제공되고, 그리고The main body 100 to transmit and output the audio signal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accommodated in the holder 210 of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to the audio system of the vehicle through the cassette deck (D). And a signal transmission line 400 is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and 상기 본체(100)에는 카세트 데크(D)와 연동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마그네틱 헤드(B)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마그네틱 헤드(B)로 제공하여 카세트 데크를 통해 음성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제어수단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The main body 100 provides a magnetic head B for interfacing with a cassette deck D to transmit and receive audio data and audio data a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magnetic head B to output a voice through a cassette deck.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the cassette deck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ectronic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o.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마이크(122)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그리고 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122 for receiving a user's voice signal, and 상기 전자제어수단은 상기 마이크(122)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The electronic control means is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the cassette deck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provide a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microphone (122) to an external device. 제2항 내지 제7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and 12, 상기 본체(100)에는,In the main body 100, 상기 카세트 데크(D)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롤러(A),Roller (A)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of the cassette deck (D), 상기 롤러(A)의 주변에는 롤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전원수단, 및Power supply means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ller around the roller (A), and 상기 전원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일정 레벨의 전원을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포트(P)를 통해 외부기기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제어수단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Externally installed on the vehicle cassette deck,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nic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o supply a predetermined level of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eans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upling port (P)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xternal device is provided. Instrument connector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포트(P)는 USB 단자 또는 커넥터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16. The connector of claim 15, wherein the coupling port (P) is composed of a USB terminal or a connector terminal. 제2항 내지 제7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and 12, 상기 외부기기 거치수단(200)에는,The external device mounting means 200,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동작모드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이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And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nd outputting operation mode information set by a user while providing a touch screen function.
KR1020080107629A 2007-12-28 2008-10-31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car cassette deck Expired - Fee Related KR1009165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7724 WO2009084882A2 (en) 2007-12-28 2008-12-26 External device connecting apparatus mountable in automobile cassette de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777 2007-12-28
KR20070139777 2007-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446A KR20090095446A (en) 2009-09-09
KR100916573B1 true KR100916573B1 (en) 2009-09-11

Family

ID=4129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6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6573B1 (en) 2007-12-28 2008-10-31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car cassette de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5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044B1 (en) * 2010-12-14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239024B1 (en) * 2010-10-12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239002B1 (en) * 2010-12-14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WO2012050266A1 (en) * 2010-10-12 2012-04-19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주) Apparatus for mounting a multimedia terminal for use in a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646Y1 (en) 2004-05-17 2004-07-31 최영희 MP3 Car Adapter
KR20060088653A (en) * 2005-02-02 2006-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carpack
KR100610357B1 (en) 2005-06-17 2006-08-11 김의숙 Multi-purpose support device for automobile
US20070223726A1 (en) * 2006-03-22 2007-09-27 Chance Dunn Universal cassette brid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646Y1 (en) 2004-05-17 2004-07-31 최영희 MP3 Car Adapter
KR20060088653A (en) * 2005-02-02 2006-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carpack
KR100610357B1 (en) 2005-06-17 2006-08-11 김의숙 Multi-purpose support device for automobile
US20070223726A1 (en) * 2006-03-22 2007-09-27 Chance Dunn Universal cassette b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446A (en)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397B2 (en) In-vehicle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media player
US200903042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portable media unit
US7660103B2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US8064747B2 (en) Reproducing device and reproducing method
US7783057B2 (en) Music play control apparatus using at least one earphone function key and method thereof
JP4858056B2 (en) Cradle device with music function
KR20110111400A (en) Electrical accessories and how to provide them
US20060094349A1 (en) Dockable portable satellite receiver
KR100916573B1 (en) External device connector device installed on car cassette deck
US20020057390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programming
CA2636137C (en) In-vehicle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media player
WO2009084882A2 (en) External device connecting apparatus mountable in automobile cassette deck
US8154858B2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KR20080039443A (en) Personal computer adapter device, personal computer signal reproducing system, personal computer signal reproducing method, personal computer signal reproducing program, output device control program, personal computer adapter device control program, personal computer control program, power line communication connector device and cradle using the same Device,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reproduction system
US20070257808A1 (en) Remote control for a multimedia player
US7885057B2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JP2009248935A (en) Vehicle-mounted device
CN101765884B (en) On-vehicle system, navigation device, and reproduction device
JP2012018183A (en) On-vehicle system, navigation device, and playback device
CN212847662U (en) Multifunctional mobile integrated audio-visual equipment
CN201788681U (en) Calling/audio and video converter
CA2811991C (en) In-vehicle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media player
KR100608322B1 (en) Stand for DMB Phone
KR200298364Y1 (en) Multi-function sound signal controller system
WO200606269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portable media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09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