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059B1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8059B1 KR100918059B1 KR1020080002754A KR20080002754A KR100918059B1 KR 100918059 B1 KR100918059 B1 KR 100918059B1 KR 1020080002754 A KR1020080002754 A KR 1020080002754A KR 20080002754 A KR20080002754 A KR 20080002754A KR 100918059 B1 KR100918059 B1 KR 1009180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zel
- cut portion
- cut
- display panel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2—Interconnections, e.g. terminals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제1 베젤 및 패드 영역이 형성된 표시 패널의 측으로 제1 베젤과 결합되는 제2 베젤을 포함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pad area, a first bezel for receiving the display panel, and a second bezel coupled to a side of the display panel on which the pad area is formed. It include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베젤(bezel), 충격흡수, 측면 베젤 OLED display, bezel, shock absorbing, side bezel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ul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최근, 표시 장치에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표시 패널 중에서도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반도체 기술에 수반하여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표시 패널이 주목 받고 있다.Recently, display panel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due to rapidly developing semiconductor technologies among various display panels applied to display devices.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한 능동 구동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위에 화상 표현의 기본 단위인 화소(pixel)를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하고, 각 화소마다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및 유기 발광 소자를 배치하여 독립적으로 화소를 제어한다. 여기서, 유기 발광 소자는 정공 주입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전자 주입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유기 발광층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ex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진다.In an active driving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ixels, which are basic units of image expression, are arranged on a substrate in a matrix manner, and thin film transistors (TFT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re disposed for each pixel. Control the pixels independent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hole injection electrode, an organic emission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electrode, and is formed by energy generated when an exciton generated by combining electrons and holes in an organic emission layer falls from an excited state to a ground state. Light emission is achieved.
이러한 원리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 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지녀 모바일 전자 기기의 사용에 적합하다.In this mann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s a self-luminous property and, unlik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thereby reducing thickness and weight.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s high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high luminance, and high response speed, and thus is suitable for use in mobile electronic devices.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실런트에 의해 고정된 두 장의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베젤과, 가요성 회로기판을 통해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모듈을 구성한다.In genera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two substrates fixed by a sealant, a bezel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and a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through a flexible circuit board. Configure the module.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 등의 구조물이 표시 패널과 베젤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표시 패널과 베젤 사이에 다른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낙하 등의 돌발 상황시, 충격이 표시 패널에 그대로 전달되어 표시 패널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취약성이 있다.Unlike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 which a structure such as a backlight unit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ezel, there is no other structure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ezel. Thus, when an accident occurs such as a drop, an impact is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There is a vulnerability that can be transmitted as it is, the display panel can be easily broken.
특히,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가요성 회로기판이 간섭 없이 구부러질 수 있도록 그 일부가 절개된 베젤의 부위로 이 충격이 집중됨에 따라 다른 베젤의 부위에 비해 기구적 강도가 취약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may be weaker than that of other bezels as the impact is concentrated to a portion of the bezel in which a portion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is bent without interference.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그 사용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낙하로 인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특성을 지녀야만 표시 장치로서 우수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perform an excellent function as a display device only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 property that is not easily broken due to a fall due to a user's mistake according to its use environment.
기구적 강도 특성이 우수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characteristics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제1 베젤 및 패드 영역이 형성된 표시 패널의 측으로 제1 베젤과 결합되는 제2 베젤을 포함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pad area, a first bezel for receiving the display panel, and a second bezel coupled to a side of the display panel on which the pad area is formed. It includes.
상기 제2 베젤이 제1 베젤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bezel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side of the first bezel.
상기 제2 베젤이 패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베젤의 측면에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bezel may be coupled to only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ezel corresponding to the pad region.
상기 제1 베젤은 바닥부와,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 스컷트부 및 패드 영역 측으로 제1 스컷트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 스컷트부를 포함하고, 제2 베젤은 제2 스컷트부와, 제2 스컷트부로부터 구부러진 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ezel includes a bottom portion, a first cut portion protruding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cut portion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first cut portion toward the pad region, and the second bezel includes a second cut portion. And a bending portion bent from the second cut portion.
상기 제1 스컷트부의 측면에는 걸림턱을 갖는 추가 스컷트부가 형성되고, 걸림턱에 밴딩부가 삽입될 수 있다.An additional cut part having a locking step may be formed at a side of the first cut part, and a banding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step.
상기 제1 스컷트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며, 제2 스컷트부는 복수의 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돌기가 홀에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cut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second cut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protrusion may be fastened to the hole.
상기 밴딩부의 선단이 바닥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부러져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tip of the bending portion may be bent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portion to form a support portion.
상기 지지부가 패드 영역 위에 위치할 수 있다.The support may be located above the pad area.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터치 패널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touch panel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nel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the touch panel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상기 제1 베젤은 바닥부와,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 스컷트부 및 제1 스컷트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 스컷트부를 포함하고, 제2 베젤은 패드 영역을 덮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2 스컷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ezel includes a bottom portion, a first cut portion protruding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cut portion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first cut portion, and the second bezel includes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pad area; It may include a second cu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cover portion.
상기 제1 스컷트부 및 절개 스컷트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며, 제2 스컷트부에는 복수의 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돌기가 홀에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cut portion and the cut cut portion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second cut portion, and the protrusions may be fastened to the holes.
상기 제1 베젤의 강도와 제2 베젤의 강도가 상이할 수 있다.The strength of the first bezel and the strength of the second bezel may be different.
상기 제1 베젤이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Using Steel; SUS), 냉간압연강판(Steel plate Cold Commercial; SPCC), 알루미늄 및 니켈-은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ezel may include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inless steel (SUS), cold plate cold commercial (SPCC), aluminum and nickel-silver alloys.
상기 표시 패널과 제1 베젤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tap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first bezel.
상기 표시 장치가 휴대용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be porta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을 바텀 베젤과 측면 베젤을 이용하여 수납하고, 측면 베젤은 바텀 베젤 중 다른 부위에 비해 기구적 강도가 취약한 부위 의 강도를 보상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표시 패널이 낙하되는 경우, 충격을 베젤의 모든 부위로 분산시키며 이 베젤이 표시 패널보다 먼저 충격을 흡수하므로 표시 패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기구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is accommodated using the bottom bezel and the side bezel, and the side bezel compensates for the str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mechanical strength is weak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bottom bezel. Accordingly, when the display panel is dropped due to user's carelessness, the impact is distributed to all parts of the bezel, and the bezel absorbs the shock before the display panel, thereby effectively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trength can be improv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layers, films, panels, regions, etc., are exaggerated for clarity. When a portion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ortion, this includes not only when the other portion is "right ov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portion in the middle. On the contrary, when a part is "just above" another par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 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이 제1 베젤(50) 및 제2 베젤(30)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과 표시 패널(10)을 수납하는 제1 베젤(50) 및 이 제1 베젤(50)에 결합되어 표시 패널(10)을 보호하도록 하는 제2 베젤(30)을 포함한다.1 and 2, the organic light
표시 패널(10)은 일례로 터치패널(또는 스크린) 방식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 표시 패널(10)은 모바일용 외에 텔레비젼과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용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표시 패널(10)은 제1 기판(12)과 제1 기판(1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2 기판(14)을 포함한다. 이 표시 패널(10)에는 실제 영상 표시가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DA)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가 능동형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시 영역(DA)에 대응하여 제1 기판(12)에는 유기 발광 소자와 이를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2)에는 제2 기판(14)보다 연장된 부위로 패드 영역(PA)이 형성되는데 이 패드 영역(PA)에는 표시 영역(DA)의 배선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패드(미도시)가 위치한다. 이 패드들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을 통하여 인쇄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집적회로칩(16)은 제1 기판(12)의 패드 영역(PA)에 실장되어 표시 패널(10) 을 제어한다. 집적회로칩(16)은 데이터 구동 신호 및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신호들을 각각 표시 패널(10)의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인가한다. 집적회로칩(16) 주위에는 보호막(미도시)이 형성되어 집적회로칩(16)을 보호한다.The integrated
인쇄회로기판(20)에는 구동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소자들(미도시)이 실장되며, 외부 신호를 인쇄회로기판(20)으로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미도시)가 설치된다. 표시 패널(10)이 제1 베젤(50)에 수납된 상태에서 표시 패널(10)에 고정된 연성회로기판(18)은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지만 제1 베젤(50)의 뒤쪽으로 구부러져 인쇄회로기판(20)이 제1 베젤(50)의 뒷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Electronic components (not shown) for processing driving signals are mounted on the printed
제1 베젤(50)은 표시 패널(10)의 하부에 위치하며, 표시 패널(10)을 수납하고 실 적용 제품의 케이스에 고정 설치된다 The
제1 베젤(50)은 표시 패널(10)의 크기에 대응하는 바닥부(502)와 이 바닥부(502)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고 직각 상태로 배치되어 형성된 제1 스컷트부(504)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이 배치되는 측의 제1 스컷트부(504)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이 간섭 없이 위치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고려하여 절개된다.The
제1 스컷트부(504) 중 일부가 절개된 측의 제1 스컷트부(504)를 절개 스컷트부(504')라 하면, 절개 스컷트부(504')에는 복수의 돌기(5041)가 형성된다. 돌기(5041)는 절개 스컷트부(504')의 외측면으로부터 도 1의 +y축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1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 스컷트부(504')의 측면에는 걸림턱(5043)을 갖는 추가 스컷트부(5042)가 형성된다. When the
제2 베젤(30)은 제1 베젤(50)의 절개 스컷트부(504') 측에 위치하며, 제1 베젤(50)과 체결된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이 제1 베젤(50)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2 베젤(30)은 절개 스컷트부(504')를 감싸서 보호한다.The
제2 베젤(30)은 절개 스컷트부(504')에 평행하게 제2 스컷트부(302)와, 제2 스컷트부(302)로부터 도 1의 -z축 방향을 향해 제1 베젤(50)의 내측으로 구부러진 밴딩부(304)를 포함한다. 여기서, 밴딩부(304)의 일부는 밴딩부(304)로부터 도 1의 -y축을 향해 다시 구부러진 지지부(306)를 형성한다.The
제2 스컷트부(302)에는 절개 스컷트부(504')에 형성된 돌기(5041)에 대응하여 복수의 홀(3021)이 형성된다. 제1 베젤(50)과 제2 베젤(30)의 결합은 제2 베젤(30)의 밴딩부(304)가 제1 베젤(50)의 걸림턱(5043)에 삽입되도록 밀어넣게되면 돌기(5041)의 경사면을 따라 제2 베젤(30)이 내려가면 돌기(5041)가 홀(3021)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돌기(5041)의 단부가 홀(3021)에 걸리게 된다. 이로써, 제2 베젤(30)이 제1 베젤(50)의 절개 스컷트부(504')에 체결되면서 제1 베젤(50)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제1 베젤(50)과 제2 베젤(30)의 체결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plurality of
제2 베젤(30)이 제1 베젤(50)과 체결되면서 절개 스컷트부(504')를 감싸는 구조는 절개 스컷트부(504') 사이에 제공된 절개 스컷트부가 형성되지 않은 공간을 제2 베젤(30)이 대체하게 된다. 이에 의해, z축을 기준으로 상기 노출 공간 부위 에 대해서는 이 자리에 배치되는 제2 베젤(30)의 제2 스컷트부(302)가 절개 스컷트부(504')를 이어주는 형상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낙하 등의 외부 충격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 가해지더라도 이 충격이 제1 베젤(50)의 4방 측(+x축,-x축,+y축 및 -y축)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절개 스컷트부(504') 측으로 충격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한편, 제1 베젤(50)과 제2 베젤(30)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서로 강도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제1 베젤(50)은 표시 패널(10)을 비롯한 내부 부품들을 지지하면서 수납하므로, 내부 부품들을 잘 보호할 수 있도록 비교적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젤(50)은 일정 강도를 가지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SUS), 냉간압연강판(Steel Plate Cold Commercial; SPCC), 알루미늄 및 니켈-은 합금 등의 금속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물론, 제1 베젤(50)의 재질이 상술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ince the
제2 베젤(30)은 제1 베젤(50)과 같이 금속 재질이거나 수지(樹脂)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The
도 3a는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고, 도 3b는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and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제1 베젤(50) 내에 수납되고, 제2 베젤(30)이 제1 베젤(50)의 일측에 체결된다. 이때, 제2 베젤(30)의 제2 스컷 트부(302)가 제1 베젤(50)의 절개 스컷트부(504')에 맞닿으며, 밴딩부(304)의 선단은 추가 스컷트부(5042)의 걸림턱(5043)에 삽입된다. 밴딩부(304) 중 일부, 즉 제1 베젤(50)의 절개된 부위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밴딩부(304)의 부위는 -y축 방향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된 지지부(306)를 형성하면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의 위에 위치한다. 3A and 3B, the
즉,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베젤(30)은 제2 스컷트부(302)가 절개 스컷트부(504') 사이의 절개 부위를 감싸면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을 보호한다. 이에 의해 절개 스컷트부(504')의 기구적 강도가 보강되고,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B, the
더욱이, 밴딩부(304)로 인해 형성된 제2 베젤(30)의 밴딩 부위는 도 3b의 z축을 기준으로 상단 높이가 표시 패널(10)의 발광면(141)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부주의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를 떨어뜨리는 경우, 밴딩 부위는 표시 패널(10)보다 먼저 바닥에 닿게 되어 외부 충격을 먼저 흡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nding portion of the
한편,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완충 테이프(미도시), 예를 들어 이른바 포론(phorone) 테이프라 불리우는 완충 테이프를 표시 패널(10)과 제1 베젤(50)의 바닥부(502) 사이에 더 배치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를 나타내 분 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이 제1 베젤(50)에 수납되고, 제3 베젤(31)이 제1 베젤(50)과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인용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제3 베젤(31)을 포함한다.4 and 5, the organic light emitting
제3 베젤(31)은 제1 베젤(50)과 결합되고, 제1 베젤(50)의 제1 스컷트부(504) 일부를 감싸면서 표시 패널(10)의 패드 영역(PA)을 덮어서 보호한다. The
제3 베젤(31)은 제1 베젤(50)의 바닥부(504)에 평행하고 패드 영역(PA)및 발광면(141)의 일부를 덮는 커버부(312)와, 이 커버부(312)의 가장자리로부터 직각 상태로 배치되어 형성된 제3 스컷트부(314)를 포함한다.The
제3 스컷트부(314)와 제1 스컷트부(504)는 각각 커버부(312)와 바닥부(502)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제3 스컷트부(314)는 커버부(312)로부터 -z축 방향을 향해 돌출되며, 제1 스컷트부(504)는 바닥부(502)로부터 +z축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스컷트부(314)의 일부는 제3 스컷트부(314)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이 부위는 절개 스컷트부(504')의 절개 부위에 대응된다. 이에 의해 제3 베젤(31)이 제1 베젤(5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3 스컷트부(314)의 돌출 부위(3142)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과 간섭 없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The
또한, 제3 스컷트부(314)에는 절개 스컷트부(504') 및 제1 스컷트부(504)에 형성된 돌기들(504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홀들(3141)이 형성된다. 이 돌기(5041)와 제2 홀(3141)의 체결 방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돌기(5041)와 제1 홀(3021)의 체결 방법과 동일하다.In addition,
이와 같이, 제3 베젤(31)이 구비된 구조는 제3 스컷트부(314)가 절개 스컷트부(504')의 기구적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3 베젤(31)의 커버부(312)가 패드 영역(PA)을 덮으므로, 패드 영역(PA)에 위치하는 집적회로칩(16)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uch, the structure having the
한편, 제1 베젤(50)과 제3 베젤(31)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서로 강도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3 베젤(31)은 제1 베젤(50)과 같이 금속 재질이거나 수지(樹脂)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Meanwhile, the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제1 베젤(50) 내에 수납되고, 제3 베젤(31)이 제1 베젤(50)의 일측에 체결된다. 이때, 제3 베젤(31)의 제3 스컷트부(314)가 제1 베젤(50)의 절개 스컷트부(504')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 외측에 위치하여 이들을 보호한다. 제3 베젤(31)의 커버부(312)는 집적회로칩(16) 위에 위치하면서 표시 패널(10)의 발광면(141) 일부를 덮는다. 이에 의해 절개 스컷트부(504')의 기구적 강도가 보강되고,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 및 집적 회로칩(16)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이들을 보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더욱이, 커버부(312)의 상단 높이가 도 6의 z축을 기준으로 발광면(141)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부주의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를 떨어뜨리는 경우, 커버부(312)는 표시 패널(10)보다 먼저 바닥에 닿게 되어 외부 충격을 먼저 흡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p height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는 도 1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 터치 패널(70)을 적용시킨 일례이고, 도 7에서는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인용 부호를 사용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도 7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는 제4 베젤(32)과 터치 패널(7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organic light emitting
터치 패널(70)은 표시 패널(10) 위에 위치하고, 일례로 사용자가 터치 패널(70)을 누르면 그 압력에 따라 해당 신호가 표시 패널(10)의 집적회로칩(16) 등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에서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터치 패널(70)은 별도의 접착 테이프(71) 등을 통해 표시 패널(10)과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터치 패널(70)과 표시 패널(10)의 결합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터치 패널의 좀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The
제4 베젤(32)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제2 베젤(30)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제2 베젤(30)의 제2 스컷트부(302), 밴딩부(304) 및 지지부(306)에 대응되는 제3 스컷트부(322), 제3 밴딩부(324) 및 제3 지지부(32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지지부(326)는 제3 밴딩부(324)로부터 -y축 방향을 향해 구부러진다. The
이때, 터치 패널(70)이 제3 지지부(326) 위에 위치하여 제3 지지부(326)는 터치 패널(7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베젤(32)은 제1 실시예의 제2 베젤(30)과 같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절개 스컷트부(504')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8)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10) 위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70)을 지지하여 터치 패널(70)의 하중에 의해 표시 패널(10)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와 같이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200)(300)는 실 제품을 구성하는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200)(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베젤(50)과 결합되는 다른 베젤들(30)(31)(32)로 인해 기구적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제2 베젤(30)과 같은 측면 베젤을 구비하지 않은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별도의 밴딩 테스트 장치에 장착하여 밴딩 강도를 측정하였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f the comparative example, which does not have side bezels such as the organic light emitting
밴딩 테스트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별도의 테스트 장치에 장착하고(이때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양단은 그 하부에 위치된 봉에 의해 지지됨),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중심부에 힘을 가하여 5㎜/min의 속도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중심부가 가압 방향으로 처지게 되면 그 처짐량(변위)과 반발력(강도)을 측정한다. 여기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파손되는 순간까지 처짐량과 힘을 측정하였다. 밴딩 테스트는 실시예와 비교예에 해당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를 각각 20개씩 준비하고, 이들에 대해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측정값 중 최대값, 최소값, 평균 및 표준 편차)를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banding test is to moun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a separate test device (in which both end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re supported by a rod located at the bottom thereof), and apply a force to the cent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by applying a force of 5 mm / min. Pressurized at the rate of. As a result, 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sag in the pressing direction, the amount of deflection (displacement) and the repulsive force (intensity) are measured. Here, the amount of deflection and the force were measured until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as damaged. In the bending test, 20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s correspon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respectively, and the test resul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maximum value, minimum valu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measured valu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경우 평균 2.5㎜ 및 표준 편차 0.3의 처짐량을 보이고, 평균 10.64㎏ 및 표준 편차 0.94의 반발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비교예의 경우 평균 2.8㎜ 및 표준 편차 0.4의 처짐량을 보이고, 평균 8.68㎏ 및 표준 편차 1.10의 반발력을 보이고 있다. 즉,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 밴딩 테스트 결과에서 작은 처짐량과 큰 강도 값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비교예에 비해 물리적 힘에 대한 기구적 강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the embodiment shows a deflection amount of 2.5 mm and a standard deviation of 0.3, and a repulsive force of 10.64 kg and a standard deviation of 0.94. In comparison, the comparative example showed a deflection of 2.8 mm and a standard deviation of 0.4, and a repulsive force of 8.68 kg and a standard deviation of 1.10. That is, since the Example shows a small deflection amount and a large strength value in the bending test resul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physical force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the range 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FIG.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llustrated in FIG. 1.
도 3a는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도 3b는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FIG.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llustrated in FIG. 4.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200,3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50; 제1 베젤100,200,300; An organic light emitting
30; 제2 베젤 31; 제3 베젤 32; 제4 베젤30;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02754A KR100918059B1 (en) | 2008-01-09 | 2008-01-09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US12/318,857 US7960913B2 (en) | 2008-01-09 | 2009-01-09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second bez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02754A KR100918059B1 (en) | 2008-01-09 | 2008-01-09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76678A KR20090076678A (en) | 2009-07-13 |
| KR100918059B1 true KR100918059B1 (en) | 2009-09-22 |
Family
ID=4133374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02754A Active KR100918059B1 (en) | 2008-01-09 | 2008-01-09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18059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70543A (en) * | 2003-12-30 | 2005-07-07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Organic emitting light diode display mounting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070000698A (en) * | 2005-06-28 | 2007-01-03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LCD Display |
| KR20070113134A (en) * | 2006-05-24 | 2007-11-28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
| KR20080002379A (en) * | 2006-06-30 | 2008-01-04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LCD and top cover |
-
2008
- 2008-01-09 KR KR1020080002754A patent/KR10091805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70543A (en) * | 2003-12-30 | 2005-07-07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Organic emitting light diode display mounting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070000698A (en) * | 2005-06-28 | 2007-01-03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LCD Display |
| KR20070113134A (en) * | 2006-05-24 | 2007-11-28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
| KR20080002379A (en) * | 2006-06-30 | 2008-01-04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LCD and top cov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76678A (en) | 2009-07-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92095B1 (en) | Display divce | |
| US8780579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 US8436958B2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 KR101117638B1 (en) | Flat display and mobile device using of the same | |
| KR100965251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 US7948743B2 (en) | Bezal support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 |
| US20090174825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 KR100927723B1 (en) | OLED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EP2086008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 KR20090086846A (en) | Flat Panel Display | |
| KR100949338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 KR100889532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 KR100918058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 KR100918054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 KR20070087310A (en) | Display device | |
| KR101769548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 KR101445657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 KR100922360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 KR100927726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 KR100918059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 KR100918062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 KR100918060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 US7999465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 |
| KR20120079677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 KR20100088884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1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