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020B1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C mode in M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C mod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C mode in M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C mod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0020B1 KR100910020B1 KR1020070052477A KR20070052477A KR100910020B1 KR 100910020 B1 KR100910020 B1 KR 100910020B1 KR 1020070052477 A KR1020070052477 A KR 1020070052477A KR 20070052477 A KR20070052477 A KR 20070052477A KR 100910020 B1 KR100910020 B1 KR 1009100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c
- stc mode
- mode
- channel capacity
- sin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91—Space-time divers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6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different channel coding between antenn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7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1—Receiver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56—Cyclotomic systems, e.g. Bell Labs Layered Space-Time [BLAS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68—Orthogonal systems, e.g. using Alamouti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MIMO 무선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주어진 채널 상태에 따라 STC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에 따르면, STC 모드의 결정을 채널용량 추정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채널 특성을 추정하고, 이 채널 추정치를 통해 얻어진 각 STC 모드 별 신호 대 잡음비를 구한 후, 이 STC 모드 별 신호대 잡음비를 이용하여 얻어진 채널용량을 기준으로 STC 모드를 결정함으로써, 실제 구현 시 발생되는 각 오차와 복호화 방식에 따른 특성이 대부분 고려되어 보다 정확하게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STC mode according to a given channel condition at a receiver of a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disclosed. According to this, the determination of the STC mode is performed using the channel capacity estimation. For this purpose, the channel characteristics are estimated, the signal-to-noise ratio for each STC mode obtained through the channel estimate is obtained, and then the signal-to-noise ratio for each STC mode is obtained. By determining the STC mode based on the channel capacity, most errors due to the actual implem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coding method are considered and data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Description
도 1은 SISO 시스템과 MIMO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explaining the outline | summary of a SISO system and a MIMO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M MIMO 시스템의 송신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tter of an N × M MIM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M MIMO 시스템의 수신기를 나타내는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ceiver of an N × M MIM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2 × 2 MIMO 시스템에서 STTD의 송수신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TTD in a 2 × 2 MIMO system.
도 5는 2 × 2 MIMO 시스템에서 SM의 송수신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M in a 2 × 2 MIMO system.
도 6은 도 3의 선호 STC 모드 결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STC mode determiner of FIG. 3.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 STC 모드 결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preferred STC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송신기200: transmitter
210: 부호화부 220: 인터리버210: encoder 220: interleaver
230: 변조부 240: 다중화 및 공간 부호화부230: modulator 240: multiplexer and spatial encoder
250: 피드백 메시지 복호화부 260: 스케줄러250: Feedback message decoder 260: Scheduler
270: STC 모드 선택부270: STC mode selector
300: 수신기300: receiver
310: 역다중화 및 공간 복호화부 320: 복조부310: demultiplexing and spatial decoding unit 320: demodulation unit
330: 디인터리버 340: 복호화부330: deinterleaver 340: decoder
350: MIMO 채널 파라미터 추정부 360: 선호 STC 모드 결정부350: MIMO channel parameter estimator 360: preferred STC mode determiner
본 발명은 다중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IMO 무선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주어진 채널 상태에 따라 STC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상기 결정된 STC 모드를 송신기로 응답하는 응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STC mode according to a given channel state in a receiver of a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determined STC mo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onse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sponding to a transmitter.
일반적으로, 무선 채널 환경은 다중경로 간섭(multi-path interference)과, 쉐도잉(shadowing)과, 전파 감쇠와, 시변 잡음과, 간섭 및 페이딩(fading)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로 인해 불가피한 오류가 발생하여 정보의 손실이 생긴다. 이러한 정보 손실은 실제 송신 신호에 심한 왜곡을 발생시켜 무선통신 시스템 전체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In general, wireless channel environments inevitably introduce errors due to many factors such as multi-path interference, shadowing, propagation attenuation, time-varying noise, interference and fading, etc. This leads to loss of information. This loss of information causes severe distortion in the actual transmission signal, which causes a decrease in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한편, 페이딩 현상으로 인한 통신의 불안정성을 제거하기 위해 다이버시 티(diversity)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송수신기에 다수의 안테나를 장착하여 자원 활용을 위한 공간적인 영역을 추가로 확보함으로써 대역폭의 증가 없이 다이버시티 이득을 통한 통신 링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공간 다중화를 통한 병렬 전송을 통하여 전송 용량을 높일 수도 있다.Meanwhile, a diversity method is used to remove instability of communication due to fad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communication link through diversity gain without increasing the bandwidth by equipping the transceiver with multiple antennas to secure additional space for resource utilization, and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capacity through parallel transmission through spatial multiplexing. You can also increase it.
도 1은 SISO 시스템과 MIMO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utline of a SISO system and a MIMO system.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시스템은 하나의 송신 안테나(TxAnt)와 하나의 수신 안테나(RxAnt) 사이에 형성된 하나의 채널(H)을 통해 단일 입출력 전송을 수행하는 기술로서, 무선 통신에서 송신측과 수신측이 각각 하나의 안테나로 통신하는 경우, 언덕, 철탑 등 전파 경로상 장애로 다중 경로 현상이 나타나 페이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디지털 통신에서는 데이터 속도의 저하 및 오류 증가의 원인이 된다.As shown in FIG. 1A, a single input single output (SISO) system performs a single input / output transmission through one channel H formed between one transmit antenna TxAnt and one receive antenna RxAnt. As a technology to perform, when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each communicate with one antenn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a multipath phenomenon occurs due to obstacles in a propagation path such as a hill or a steel tower, causing a problem due to fading. In communication, it causes a decrease in data rate and an increase in errors.
이와는 달리, 다중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은 기지국과 단말기의 안테나를 복수 개로 늘려 데이터를 여러 경로로 전송하고, 수신단에서 각각의 경로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해 간섭을 줄이며 송신단에서 시공간 다이버시티 및 공간 다중화를 통해 전송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b)는 그 중 2개의 송신 안테나와 2개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2×2 MIMO 시스템을 예시한 것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송신 안테나(TxAnt1, TxAnt2)와 제1 및 제2 수신 안테나(RxAnt1, RxAnt2) 사이에는 4개의 채널, 즉 제1 채널(H11), 제2 채널(H12), 제3 채널(H21) 및 제4 채널(H22)이 형성된다.In contrast,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system transmits data through multiple path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antennas of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reduces interference by detecting signals received on each path at the receiving end, and reduces space-time at the transmitting end. Diversity and spatial multiplexing can improve transmission efficiency. FIG. 1 (b) illustrates a 2 × 2 MIMO system using two transmit antennas and two receive antennas, of which a first and second transmit antennas TxAnt1 and TxAnt2 and a first are shown. Four channels, that is, a first channel H11, a second channel H12, a third channel H21, and a fourth channel H22 are formed between the second reception antennas RxAnt1 and RxAnt2.
이러한 MIMO 모드의 경우, 복수의 안테나와 송신될 심볼들을 할당하는 방식 에 따라, 시공간 전송 다이버시티(STTD: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공간 다중화(SM; Spatial Multiplexing) 모드로 구분될 수 있고, 특히 IEEE 802.16d/e 기반의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STTD와 SM이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규정하였기 때문에 채널 상태에 따라 이러한 공간 부호화(STC: Space Time Coding) 모드를 선택하는 방식이 개발 중에 있다. In the case of the MIMO mode, a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STTD) and a spatial multiplexing (SM) mode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a method of allocating a plurality of antennas and symbols to be transmitted, and in particular, IEEE In the 802.16d / e-based portable Internet system, STTD and SM are specified to be selectively transmitted. Therefore, a method of selecting such a space time coding (STC) mode according to channel conditions is under development.
특히, 단순히 채널 상태에 관한 매우 근본적인 채널 특성(예컨대, MIMO 채널의 강도 및 MIMO 채널 강도의 편차)만을 고려하여 STC 모드를 선택할 경우, 채널 추정에 따른 오차의 영향이 무시되어 성능 열화가 발생하며, 상기 STC 모드 별로 그 복호 방식이 다양하고 그 특성들이 서로 상이하므로 구현된 결과가 이상적인 특성을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the STC mode is selected by considering only the very fundamental channe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variation of the MIMO channel strength and the MIMO channel strength) regarding the channel state, the influence of the error due to the channel estimation is ignored and performance degradation occurs. Since the decoding schemes vary depending on the STC mode and the characteristics thereof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mplemented results do not show ideal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입출력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고려하여 STC(Space-Time Coding)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pace-time coding (STC) mode in consideration of errors that may occur in channel estimation in a multi-input / output system.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입출력 시스템에서 STC 모드 복호화 방식에 따른 특성이 반영된 STC(Space-Time Coding)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pace-time coding (STC) mode in which characteristics of the STC mode decoding scheme are reflected in a multi-input / output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입출력 시스템에서 송신기와 수신기가 폐루프 다중 입출력 구조인 경우, 채널 추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고려하고, STC 모드 복호화 방식에 따른 특성이 반영된 파라미터를 통해 보다 실질적인 STC(Space-Time Coding) 모드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STC 모드를 피드백 함으로써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한 응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re practical STC through parameter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the STC mode decoding method and considering errors that may occur wh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re closed loop multiple input / output structures in a multiple input / output system. To determine a (Space-Time Coding) mode, and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by feeding back the determined STC mode.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MIMO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STC(Space-Time Coding)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a)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를 STC 모드 별로 복호화(decoding)한 신호로부터 상기 STC 모드 별 채널용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추정된 채널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STC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the above purpose, a method of determining a space-time coding (STC) mode in the receiver of the MIMO syste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receiving antennas for each STC mode ( estimating channel capacity for each STC mode from the decoded signal; And (b) determining the STC mode using the estimated channel capacity.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MIMO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들에 대해 송신기로 응답하는 방법은, (a) 상기 수신신호들을 STC 모드 별로 복호화(decoding)한 신호로부터 상기 STC 모드 별로 추정된 채널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기의 STC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결정된 STC 모드를 피드백 메시지에 실어 상기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responding to a transmitter with respect to received signals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reception antennas in a receiver of a MIMO syste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 signal in which the received signals are decoded for each STC mode; Determining an STC mode of the transmitter by using the estimated channel capacity for each STC mode from; And (b) transmitting the determined STC mode in a feedback message to the transmitter.
한편,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MIMO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STC(Space-Time Coding)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는,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를 STC 모드 별로 복호화(decoding)한 신호로부터 각 채널이득 및 잡음 전력을 추정하는 채널 파라미터 추정부; 상기 채널이득 및 잡음 전력 추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STC 모드 별로 복호화한 신호로부터 신호대 간섭과 잡음비(SINR: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를 추정하는 STC SINR 추정부; 상기 SINR 추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STC 모드 별로 채널용량을 연산하는 채널용량 연산부; 및 상기 STC 모드 별로 연산된 상기 채널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STC 모드를 결정하는 STC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STC (Space-Time Coding) mode in the receiver of the MIMO syste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receiving antennas from the signal decoded for each STC mode A channel parameter estimator for estimating channel gain and noise power; An STC SINR estimator for estimating a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from the signal decoded for each STC mode using the channel gain and noise power estimates; A channel capacity calculator for calculating channel capacity for each STC mode using the SINR estimate; And an STC mode determin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TC mode using the channel capacity calculated for each STC mode.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MIMO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들에 대해 송신기로 응답하는 장치는, 상기 수신신호들을 STC 모드 별로 복호화(decoding)한 신호로부터 상기 STC 모드 별로 추정된 채널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기의 STC 모드를 결정하는 STC 모드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STC 모드를 피드백 메시지에 실어 상기 송신기로 전송하는 피드백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responding to a transmitter with respect to received signals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reception antennas at a receiver of a MIMO syste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C from a signal decoded by the STC modes. An STC mode determiner configured to determine an STC mode of the transmitter using the estimated channel capacity for each mode; And a feedback message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determined STC mode in a feedback message to the transmitter.
한편,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수신기로부터의 수신응답을 토대로 송신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장치는, 상기 수신응답 -상기 수신기에서 STC 모드 별로 복호화(decoding)한 신호로부터 상기 STC 모드 별로 추정된 채널용량을 이용하여 결정된 STC 모드 정보를 포함함- 을 복호화하는 피드백 메시지 복호화부; 상기 수신응답을 토대로 상기 STC 모드 -시공간 전송 다이버시티(STTD: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또는 공간 다중화(SM: Spatial Multiplexing)- 를 선택하는 STC 모드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STC 모드에 따라 상기 송신신호를 부호화하는 시공간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IMO syste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the receiver based on a reception response from a receiver includes the STC mode from a signal decoded by the reception response-STC mode in the receiver. A feedback message decoder for decoding STC mode information determined by using the estimated channel capacity for each device; An STC mod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STC mode-Space-Time Transmit Diversity (STTD) or Spatial Multiplexing (SM)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And a space-time encoder that encodes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selected STC mode.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수신기로부터의 수신응답을 토대로 송신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방법은, (a) 상기 수신응답 -상기 수신기에서 STC 모드 별로 복호화(decoding)한 신호로부터 상기 STC 모드 별로 추정된 채널용량을 이용하여 결정된 STC 모드 정보를 포함함- 을 복호화하는 단계; (b) 상기 수신응답을 토대로 상기 STC 모드 -시공간 전송 다이버시티(STTD: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또는 공간 다중화(SM: Spatial Multiplexing)- 를 선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선택된 STC 모드에 따라 상기 송신신호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IMO syste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the receiver based on a reception response from a receiver includes: (a) from the reception response-a signal decoded for each STC mode in the receiver; Decoding STC mode information determined using the channel capacity estimated for each STC mode; (b) selecting the STC mode-Space-Time Transmit Diversity (STTD) or Spatial Multiplexing (SM)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And (c) encoding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selected STC mode.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M MIMO 시스템의 송신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M MIMO 시스템의 수신기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송신기를 기지국(BS; Base Station)으로, 수신기를 단말(MS; Mobile Station)로 나타낼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송신기 또는 수신기에 대한 기지국 및 단말의 역할이 서로 전환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tter of an N × M MIM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ceiver of an N × M MIM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base station (BS), a receiver may be referred to as a mobile station (M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it can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roles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for the transmitter or the receiver can be switched with each other. .
도 2를 참조하면, 송신기(200)는 부호화부(210)와, 인터리버(220)와, 변조부(230)와, 다중화 및 공간 부호화부(240)와, 복수의 안테나와, 피드백 메시지 복호화부(250)와, 스케줄러(260)와, STC 모드 선택부(270)를 포함하고, 도 3을 참조하면, 수신기(300)는 복수의 안테나와, 역다중화 및 공간 복호화부(310)와, 복조부(320)와, 디인터리버(330)와, 복호화부(340)와, MIMO 채널 파라미터 추정부(350)와, 선호 STC 모드 결정부(3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송신기의 동작을 먼저 설명하고, 연이어 본 발명과 관련된 STC(Space-Time Coding)에 대하여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수신 기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will be described first, followed by a brief description of the space-time coding (STC)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ollowed by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송신기(200)에서, 부호화부(210)는 전송할 정보를 담은 n번째 비트 un를 FEC(Forward Error Correction)등과 같은 방식으로 채널 부호화(channel encoding)하여 부호화된 비트 ci를 출력한다. 예컨대, 부호화 방식으로는 길쌈 부호화(Convolutional encoding), CTC(Convolutional Turbo Codes) 등을 사용한다. 이 부호화된 비트 ci에 대하여, 인터리버(220)는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연속된 ci들 각각이 상호 상관도가 낮은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재배열한다. 예컨대, 연속된 ci들에 대하여 인접되지 않은 부반송파로 맵핑하거나, 연속된 ci들에 대하여 성상도(constellation) 중에서 하위 또는 상위 비트에 교대로 맵핑하도록 상술한 규칙을 정할 수 있다. 이처럼 인터리빙된 bi들에 대하여, 변조부(230)는 QPSK 또는 QAM등과 같은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하나의 심볼에 하나 이상의 비트를 맵핑한다. 또한, 다중화 및 공간 부호화부(240)는 변조된 심볼을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등과 같은 방식으로 다중화한 후, 선택된 STC 모드에 따라 전체 심볼의 일부나 또는 전부를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기(300)로 송출할 수 있다.In the
이때, 심볼과 안테나 간의 맵핑을 시공간 부호화(STC: Space-Time Coding)라 하고, 부호화 방식에 따라 시공간 전송 다이버시티(STTD: Space-Time Transmit Diversity)와 공간 다중화(SM: Spatial Multiplexing)로 구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pping between the symbol and the antenna is called space-time coding (STC), and is classified into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STTD) and spatial multiplexing (SM) according to an encoding scheme. Can be.
STTD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심볼을 전송함에 있어서 심볼 각각의 위상과 그 심볼 각각을 송출할 안테나를 바꾸어 반복 전송하는 방식으로, 대표적으로 알라무티(Alamouti) 방식이 있으며, 공간에 따른 페이딩을 완화시킴으로써 비교적 안정되고 향상된 전송율을 보장한다. 한편, SM은 각기 다른 다수의 심볼을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동시에 송출하고 수신하는 방식으로, 대표적으로 BLAST 방식이 있으며,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킨다. 특히, IEEE 802.16d/e 기반의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STTD와 SM이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규정하였기 때문에 적절한 성능 비교 후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STTD is a method of repeatedly transmitting two different symbols by repeatedly changing the phase of each symbol and an antenna to transmit each symbol, and an Alamouti method is typical. It guarantees stable and improved data rate. On the other hand, SM is a method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typically the BLAST method, and increases the data rate. In particular, in IEEE 802.16d / e-based portable Internet system, since STTD and SM are specified to be selectively transmitted, a technology for transmitting them after proper performance comparison is required.
STTD와 SM의 상대적인 성능은 채널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수신기(300)는 송신기(200)에서 송출된 신호로부터 채널 특성을 분석한 후 사전에 정해진 판단 기준에 따라 STTD 또는 SM을 결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여 송신기(200)로 전송, 즉 피드백 한다. 이때, 상기 부호화된 정보는 수신기(300)에서 결정된 STC 모드와 유효 CINR(Effective CINR) 등을 포함하며, 정해진 시점에 송신기(200)로 전송된다.Since the relative performance of the STTD and the SM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nnel state, as described above, these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To this end, 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되어 전송되는 정보를 피드백 메시지라 하고, 수신기(300)에서 결정된 STC 모드를 선호 STC 모드(preferred STC mode) 라 한다. 그리고, STTD와 SM에 대하여서는 후술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formation encoded and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is called a feedback message, and the STC mode determined by the
다시 도 2에서, 피드백 메시지 복호화부(250)는 수신기(3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STC 모드 선택부(270)에 제공하고, 스케줄러(260)는 자원 상태 및 스케줄링 전략 등을 STC 모드 선택부(27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STC 모드 선택부(270)는 자원 상태 및 스케줄링 전략 등을 고려하여 수신기(300)로 전송할 STC 모드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FIG. 2, the
한편, 도 3에서, 수신기(300)는 복수의 안테나에서 수신신호들을 심볼 단위로 역다중화 및 공간 복호화부(310)에서 역다중화를 수행하고 공간 복호(ST decoding)를 수행한다. 특히, STC 모드가 STTD인 경우에는 적어도 두 개의 심볼 인덱스를 이용하여 복호하고, STC 모드가 SM인 경우에는 각 수신 심볼에 대하여 복호한다. 복조부(320)는 이렇게 역다중화 되고 복호된 심볼들을 복조하여 비트 매트릭스를 산출하며, 디인터리버(330)는 송신기(200)에서 적용된 인터리빙 방식의 역으로 디인터리빙 하며, 복호화부(340)는 이 디인터리빙된 비트열을 토대로 원래 송신기(200)에서 전송된 정보 비트 추정치를 출력한다.Meanwhile, in FIG. 3, the
또한, 수신기(300)는 송신기(200)에서 송출된 신호로부터 MIMO 채널 특성, 예컨대 MIMO 채널 추정 및 잡음 전력 등을 분석하는 MIMO 채널 파라미터 추정부(350)와, 추정된 MIMO 채널 및 잡음 전력을 이용하여 선호 STC 모드를 결정하는 선호 STC 모드 결정부(360)를 더 포함하며, MIMO 채널 파라미터 추정부(350)는 선호 STC 모드 결정부(360)의 구성에 포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각각의 STC 모드와, 각 STC 모드 별로 SINR을 연산하는 과정을 설명한 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C 모드 결정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fter describing the STC mode and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SINR for each STC mode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e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STC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4는 2 × 2 MIMO 시스템에서 STTD의 송수신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TTD in a 2 × 2 MIMO system.
도 4를 참조하면, 두 개의 전송할 심볼(또는 OFDMA의 부심볼(sub-symbol))을 각각 s1, s2라 하고, 각 행이 각 안테나에 대응하는 벡터로 나타낼 수 있으면, k 및 k+1번째 전송할 심볼벡터 s(k) 및 s(k+1)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k는 STTD 심볼 인덱스 중 우수(even number)로 가정하며, k = 0, 2, 4, ...이다.Referring to FIG. 4, if two transmission symbols (or sub-symbols of OFDMA) are s 1 and s 2 , respectively, and each row can be represented by a vector corresponding to each antenna, k and k + The first transmission symbol vectors s (k) and s (k + 1) may be represented by
[수학식 1][Equation 1]
송신기(200)의 안테나에서 일련의 송신신호의 송신 심볼벡터들 s(k), s(k+1), s(k+2), ...이 송출되면, 수신기(300)의 안테나에서 수신신호로부터 수신 샘플벡터들 r(k), r(k+1), r(k+2), ...이 얻어진다. 여기서, 송신기(200)의 n(n=1,2)번째 안테나와 수신기(200)의 m(m=1,2)번째 안테나 간의 채널이득을 hn ,m라 하고, m번째 수신안테나의 수신신호로부터 k번째 수신 샘플의 잡음 성분을 vm(k)라 하면, 수신 샘플벡터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When the transmission symbol vectors s (k), s (k + 1), s (k + 2), ... are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of the
[수학식 2][Equation 2]
STTD의 경우, 수신 샘플벡터 r(k)와 r(k+1)로부터 송신기(200)로부터 전송된 심볼 sk 와 sk + 1를 복구하는 STC 복호는 비교적 단순하며, 한 개의 안테나로도 가능하고 두 개의 안테나(2×2)를 사용할 경우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 등을 더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수신기(300)의 m번째 안테나에서 잡음 전력이 σm 2일 때, 복구된 심볼 Sk 와 Sk + 1는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the case of STTD, STC decoding recovering the symbols s k and s k + 1 transmitted from the
[수학식 3][Equation 3]
이 수학식 3에서 4개의 채널이득 hn ,m 중 적어도 하나라도 0이 아니면, 복구된 심볼 Sk 와 Sk + 1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기(200)로부터 전송된 심볼 에너지를 Es/N = 1/2라 하고, 잡음성분이 공간적(서로 다른 안테나), 시간적(서로 다른 시간 인덱스)으로 상호 상관관계가 없으며, 정상적(stationary)이라면, 추정된 심볼들의 신호대 잡음 비(SNRSTTD)는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If at least one of four channel gains h n , m is not 0 in
[수학식 4] [Equation 4]
한편, 도 5는 2 × 2 MIMO 시스템에서 SM의 송수신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M에서는 시간 인덱스 k에 대하여 모든 송신 심볼벡터가 독립적이다. 따라서, 상술한 STTD에서 s(k)에 대하여 r(k)와 r(k+1)의 두 연속된 수신신호의 수신 샘플벡터로부터 복호되는 것과는 다르게, SM에서는 s(k)가 r(k)만으로 복호되어야 한다.Meanwhile,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principle of an SM in a 2 × 2 MIMO system. Referring to FIG. 5, in the SM, all transmission symbol vectors are independent of time index k. Therefore, unlike decoded from the received sample vectors of two consecutive received signals of r (k) and r (k + 1) for s (k) in the above-described STTD, s (k) is equal to r (k) in SM. It must be decrypted with bay.
SM에서 최적인 복호 방법은 MLD(Maximum Likelihood Decoding)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ZF(Zero-Forcing) 및 MMSE(Minimum Mean Squared Error)이 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MMSE 방식을 이용하는 SM 복호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optimal decoding method in SM is known as Maximum Likelihood Decoding (MLD), and zero-forcing (ZF) and 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are presen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SM decoding method using the MMSE metho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MMSE 방식의 SM 복호 방법에서는 각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수신샘플을 선형 조합함으로써, 송신기(200)로부터 전송된 심볼 sk 와 sk + 1를 추정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위 첨자「H」는 매트릭스 트랜스포즈 컨쥬게이트(matrix transpose conjugate)를 의미한다.In the MMSE SM decoding method, a symbol s k and s k + 1 transmitted from the
[수학식 5][Equation 5]
따라서, MMSE 방식의 STC 복호에서, n 번째 송신안테나에서 송출된 심볼에 대한 복호 후에 그 심볼에 대한 SINR은 다음 수학식 6 또는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수학식 7은 수학식 6에서 인 경우에 해당하며, 수학식 6과 수학식 7에서 R rr은로 나타나는 수신 샘플벡터에 대한 상관 매트릭스이고, H는 채널행렬이며, h n =[hn ,1, ...,hn ,M] T 이다. 또한, I N은 N×N 단위 행렬(identity matrix)이다.Accordingly, in the MMSE type STC decoding, after decoding the symbol transmitted from the nth transmission antenna, the SINR for the symbol may be expressed as in
[수학식 6][Equation 6]
[수학식 7][Equation 7]
결과적으로, 상술한 수학식 4와 수학식 6 (혹은 수학식 7)을 참조하면, STTD의 복호 후 SINR과 SM의 복호 후 SINR(즉 STTD 포스트 SINR과 SM 포스트 SINR)은 채널이득 hn,m 뿐만 아니라, STC 모드 및 STC 모드에 따른 복호 방법에 따라서도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수신기(300)에서 결정되는 선호 STC 모드는 단순히 채널특성만으로 결정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STC 모드에 따른 복호 방법을 고려하고, 이러한 STTD 또는 SM의 복호 후 SINR들로부터 비교 가능한 파라미터를 유도함으로써 선호 STC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채널용량을 사용하여 선호 STC 모드를 결정하면 주어진 채널상황에 적합한 선호 STC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전송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referring to Equations 4 and 6 (or Equation 7) described above, SINR after decoding of STTD and SINR after decoding of SM (that is, STTD post SINR and SM post SINR) are channel gains h n, m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t also depends on the decoding method according to the STC mode and STC mode.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preferred STC mode determined by the
도 6은 도 3의 선호 STC 모드 결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이 선호 STC 모드 결정부(360)는 정확한 채널 특성만으로 STC 모드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채널 특성을 추정하고, 이 채널 추정치를 통해 얻어진 각 STC 모드 별 포스트 신호 대 잡음비(Post SINR; Post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를 구한 후, 이 STC 모드 별 포스트 SINR을 이용하여 얻어진 채널용량을 기준으로 선호 STC 모드를 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제 구현 시 발생되는 각 오차와 복호화 방식에 따른 특성이 대부분 고려되어 보다 정확하게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포스트 SINR(post SINR)은 STC 모드 별 복호된 후의 SINR을 의미한다.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referred STC mode determiner of FIG. 3. The preferred
도 6을 참조하면, 선호 STC 모드 결정부(360)는, 도3의 MIMO 채널 파라미터 추정부(350)에서 추정된 채널 및 잡음전력 추정치로부터 STC 포스트 SINR을 추정하는 STC 포스트 SINR 추정모듈(362)과, 전술한 포스트 SINR 추정치로부터 수학식 또는 미리 작성된 참조 테이블을 이용하여 STC별 채널용량을 연산하는 채널용량 연산모듈(363)와, 각 STC 모드 별 채널용량의 차에 대하여 누적 평균을 연산하는 누적 평균 연산모듈(364)과, 누적 평균치를 참조하여 선호 STC를 결정하는 STC 모드 결정모듈(365)을 포함한다. 여기서, STC 포스트 SINR 추정모듈(362)은 STTD 복호 후 SINR을 추정하는 STTD 포스트 SINR 추정모듈(362a)과 SM 복호 후 SINR을 추정하는 SM 포스트 SINR 추정모듈(362b)을 포함하며, 채널용량 연산모듈(363)은 STTD 채널용량 연산모듈(363a)과 SM 채널용량 연산모듈(363b)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preferred
STC 포스트 SINR 추정모듈(362)은 MIMO 채널 파라미터 추정부(350)에서 추정된 채널 및 잡음전력 추정치로부터 STC 포스트 SINR을 추정한다. 이 STC 포스트 SINR 추정모듈(362)은 OFDM 또는 OFDMA 모드에서 l 번째 프레임에 대한 k번째 처리 단위로 표현되며, l 번째 프레임 전체에 대해서는 상기 k번째 처리단위로부터 대표값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이 SINR 추정모듈(362)은 상기 처리단위를 송신안테나에 할당하는 방식에 따라 STTD 복호 후 SINR을 추정하는 STTD 포스트 SINR 추정모듈(362a)과 SM 복호 후 SINR을 추정하는 SM 포스트 SINR 추정모듈(362b)로 구분된다.The STC post
채널용량 연산모듈(363)은 전술한 포스트 SINR 추정치로부터 수학식 또는 미리 작성된 참조 테이블을 이용하여 STC 모드 별 채널용량을 연산한다. 예컨대 수학식을 이용하는 경우 샤논의 채널용량을 이용하여 각 STC 모드 별 채널용량을 산출 하며, 참조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포스트 SINR 추정치에 따른 채널용량을 미리 저장해두고 특정 포스트 SINR 추정치에 따른 채널용량을 참조 테이블에서 읽어오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채널용량 연산모듈(363)은 상기 처리단위를 송신안테나에 할당하는 방식에 따라 STTD 채널용량 연산모듈(363a)과 SM 채널용량 연산모듈(363b)로 구분된다.The channel
누적 평균 연산모듈(364)은 각 STC 모드 별 채널용량의 차에 대하여 누적 평균을 연산한다. 예컨대, 매 프레임마다 STTD 채널용량으로부터 SM 채널용량의 차를 구한 후 이를 누적한다. 이때 SM 채널용량의 경우 n 번째 송신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의 프레임에서 송신안테나의 개수에 따라 SM 채널용량이 누적됨에 유의해야 한다.The cumulative
STC 모드 결정모듈(365)은 상술한 누적 평균치를 참조하여 선호 STC를 결정한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누적 평균치는 STTD 채널용량으로부터 SM 채널용량의 차 또는 SM 채널용량으로부터 STTD 채널용량의 차로부터 구해지며, 누적 평균치가 양이냐 음이냐에 따라 선호 STC 모드가 결정된다.The STC
한편,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송신기(200)와 수신기(300)가 폐루프 MIMO 구조인 경우, 수신기(300)는 상기 결정된 선호 STC 모드를 피드백 메시지에 실어 상기 송신기로 전송하는 피드백 메시지 전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송신기(20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한 응답 장치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6, 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C 모드 결정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 method of determining an STC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각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RF 부(미도시)에서 적절히 처리되고, 양자화되어 기저대역 OFDMA 심볼 프레임을 형성하는데 있어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표본 집단에 대하여, 각각의 부반송파 단위 또는 주파수-시간(부반송파-OFDMA 심볼) 2D 영역상에서 인접한 부반송파들이 일정한 규모의 집단(클러스터)으로 클러스터링되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이 부반송파 표본 집단은 해당 프레임에서 STC를 사용하는 OFDMA 심볼 전부가 될 수도 있고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에서 처리되는 단위(부반송파 또는 클러스터)에 대한 인덱스를 k라 하고, 그 프레임에 대한 인덱스를 l 이라 한다.For each subcarrier unit or frequency-time (subcarrier-OFDMA symbol), the signal received from each antenna is properly processed in the RF section (not shown), quantized to form a baseband OFDMA symbol frame, and for each preset subcarrier sample population. Adjacent subcarriers in the 2D region may be clustered and processed into a cluster of a certain size. In addition, this subcarrier sample population may be all or part of an OFDMA symbol using STC in a corresponding frame. Therefore, hereinafter, an index for a unit (subcarrier or cluster) processed in one frame is referred to as k, and an index for the frame is referred to as l .
먼저, 포스트 SINR을 추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인 채널이득과 잡음전력을 추정한다(S710). 이때, 채널이득과 잡음전력은 각 프레임마다 각각의 처리단위(예컨대, 부반송파 또는 클러스터)에 대하여 추정된다. 여기서, 이 채널이득의 추정은 파일럿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파일럿을 이용한 보간 방식 또는 평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First, channel gain and noise power, which are parameters required for estimating post SINR, are estimated (S710). In this case, channel gain and noise power are estimated for each processing unit (eg, subcarrier or cluster) for each frame. In this case, a pilot may be used to estimate the channel gain, and in this case, an interpolation method or an average method using a pilot may be applied.
이어, 채널 및 잡음전력 추정치로부터 STC 모드 별 포스트 SINR을 추정한다(S720). Subsequently, the post SINR for each STC mode is estimated from the channel and noise power estimates (S720).
STTD의 경우, 채널 이득 및 잡음전력 추정치로부터 l 번째 프레임의 표본 집단에 해당하는 STTD 포스트 SINR 을 추정한다. 예컨대, OFDM 또는 OFDMA 방식에서는 다수의 부반송파를 사용하므로 다중경로 채널을 고려하게 되고, 이때 채널 특성과 간섭을 포함한 잡음 전력 모두 전술한 처리단위(부반송파 또는 클러스터)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다음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hn ,m(l, k)는 l 번째 프레임의 k번째 처리단위에 대한 채널이득을 나타내고, σm 2(l, k)은 수신기(300)의 m번째 안테나로 수신한 l 번째 프레임의 k번째 처리단위에 대한 간섭 및 잡음전력을 의미한다.For STTD, the STTD post SINR corresponding to the sample population of the l th frame from the channel gain and noise power estimates. Estimate For example, in the OFDM or OFDMA scheme, since a plurality of subcarriers are used, a multipath channel is considered. In this case, both channel characteristics and noise power including interference may have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aforementioned processing units (subcarriers or clusters). It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8. Where h n , m ( l , k) represents the channel gain for the k-th processing unit of the l- th frame, and σ m 2 ( l , k) represents the l- th frame received by the m-th antenna of the
[수학식 8][Equation 8]
또한, l 번째 프레임 전체에 대한 STTD 포스트 SINR 대표값을 설정하는 방법은 인덱스 k에 대한 기하평균, 산술평균 또는 중앙값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하평균은 수학식 9로, 산술평균은 수학식 10로, 중앙값은 수학식 11로 나타낼 수 있으며, 수학식 11에서 median<x(l, k)ㅣl>는 l이 주어졌을 때 x(l, k)에 대한 중앙값이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setting the STTD post SINR representative value for the entire l- th frame may use one of a geometric mean, an arithmetic mean, or a median value for the index k. Here, the geometric mean may be represented by Equation 9, the arithmetic mean by Equation 10, and the median by Equation 11, where median <x ( l , k) | l > is given by l when x is given. Median for ( l , k).
[수학식 9] [Equation 9]
[수학식 10] [Equation 10]
[수학식 11] [Equation 11]
한편, SM의 경우, 채널 이득 및 잡음전력 추정치로부터 상술한 수학식 6 또는 수학식 7에 따라 송신기(200)의 n번째 송신안테나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대한 SM 포스트 SINR 을 구할 수 있다. 예컨대, OFDM 또는 OFDMA 방식에서는 다수의 부반송파를 사용하므로 다중경로 채널을 고려하게 되고, 이때 채널 특성과 간섭을 포함한 잡음 전력 모두 전술한 처리단위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n번째 송신안테나로부터 전송된 l 번째 프레임의 k번째 처리단위에서의 SM 포스트 SINR 은 다음 수학식 12 또는 수학식 1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처리단위는 부반송파 또는 클러스터를 나타낸다.Meanwhile, in the case of SM, the SM post SINR for a frame transmitted from the nth transmission antenna of the
[수학식 12][Equation 12]
[수학식 13][Equation 13]
또한, n번째 송신안테나의 l 번째 프레임 전체에 대한 SM 포스트 SINR 대표 값을 설정하는 방법은 인덱스 k에 대한 기하평균, 산술평균 또는 중앙값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하평균은 수학식 14로, 산술평균은 수학식 15로, 중앙값은 수학식 16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수학식 16에서 median<x(l, k)|l>는 l이 주어졌을 때 x(l, k)에 대한 중앙값이다.In addition, the method of setting the SM post SINR representative value for the entire l- th frame of the nth transmission antenna may use one of a geometric mean, an arithmetic mean, or a median value for the index k. Here, the geometric mean may be represented by Equation 14, the arithmetic mean by Equation 15, and the median value by Equation 16. In Equation 16, median <x ( l , k) | l> is the median value for x (l, k) when l is given.
[수학식 14] [Equation 14]
[수학식 15] [Equation 15]
[수학식 16] [Equation 16]
다음으로, 전술한 STC 모드 별 포스트 SINR 추정치로부터 수학식 또는 미리 작성된 참조 테이블을 사용하여 STC 모드 별 채널용량을 연산한다(S730). 예컨대, 수학식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 수학식 17로부터 STTD의 채널용량을 구하고, 다음 수학식 18로부터 SM의 채널용량을 구한다. 여기서, 수학식 18의 경우, SM에서 N개의 송신안테나에 대한 누적 채널용량을 의미한다. Next, the channel capacity for each STC mode is calculated from the above-described post SINR estimation value for each STC mode using an equation or a reference table prepared in advance (S730).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the equation, the channel capacity of the STTD is obtain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17), and the channel capacity of the SM is obtain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18). In Equation 18, the cumulative channel capacity for N transmission antennas in the SM is represented.
[수학식 17][Equation 17]
[수학식 18]Equation 18
이러한 채널용량은 기본적으로 다음 수학식 19 및 수학식 20에서 유도된 것이다. 즉, 무선채널에서 주파수 효율은 단위 주파수당 데이터 전송율로 정의되며 그 단위가 bps/Hz인 경우, 최대의 에러 없이 전송 가능한 주파수 효율은 샤논(Shannon)의 채널용량에 의해 정의된다. 하나의 송수신 안테나를 가진 SISO시스템의 경우 샤논의 채널용량은 다음 수학식 1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ρ는 SNR이다.This channel capacity is basically derived from Equations 19 and 20 below. That is, in the wireless channel, the frequency efficiency is defined as the data rate per unit frequency, and when the unit is bps / Hz, the frequency efficiency that can be transmitted without error is defined by the channel capacity of Shannon. In the case of the SISO system having on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the channel capacity of Shannon may be expressed as in Equation 19 below. Where p is the SNR.
[수학식 19][Equation 19]
C = log2(1+ρ)C = log 2 (1 + ρ)
샤논의 채널용량이 여러 개의 안테나를 이용한 송수신 시스템(특히 2 × 2 MIMO 시스템에서), 즉 MIMO 시스템에 적용되면 그 채널용량은 다음 수학식 2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If Shannon's channel capacity is applied to 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s (particularly in a 2 × 2 MIMO system), that is, a MIMO system, the channel capacity may be expressed by Equation 20 below.
[수학식 20][Equation 20]
C = log2(Det(I+ρHHH/2))C = log 2 (Det (I + ρHH H / 2))
한편, 참조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 채널 특성과 관련된 MCS 레벨 별 채널용량을 미리 테이블에 작성해두고, 선호 STC 모드 결정 시마다 이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reference table, the channel capacity for each MCS level related to the channel characteristics is created in advance in the table, and the table can be referred to whenever the preferred STC mode is determined.
이어, 각 STC별 채널용량의 차에 대하여 누적 평균을 연산한다(S740). 즉, 매 프레임마다 각 STC 모드에 대한 채널용량의 차를 다음 수학식 21 또는 수학식 22을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 23과 같이 누적 평균한다. 여기서, α(l)은 계산시에 가 기여하는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변수이다.Next, a cumulative average is calculated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in channel capacity for each STC (S740). That is, the difference in the channel capacity for each STC mode for each frame is cumulatively averaged as in Equation 23 using Equation 21 or 22 below. Where α ( l ) is At the time of calculation Is a variable to control the contribution rate.
[수학식 21][Equation 21]
[수학식 22][Equation 22]
[수학식 23][Equation 23]
그리고, 상술한 누적 평균치를 참조하여 선호 STC 모드를 결정한다(S750). 즉, 누적 평균치가 양이냐 음이냐에 따라 STC 모드를 결정한다. 예컨대, 누적 평균치를 구하는 과정에서 상술한 수학식 21를 사용하면, > 0일 때 SM를 선택하고, ≤ 0일 때 STTD를 선택한다. 하지만, 누적 평균치를 구하는 과정에서 상술한 수학식 22을 사용하면, ≥ 0일 때 STTD를 선택하고, < 0일 때 SM를 선택한다. The preferred STC mode is determined with reference to the cumulative average value described above (S750). That is, the STC mo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cumulative average value is positive or negative.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cumulative average value, using the above-described Equation 21, Select SM when> 0, Select STTD when ≤ 0. However,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cumulative average value, the equation (22) described above is used. When S≥D, select STTD, Select SM when <0.
이렇게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용량을 사용하여 선호 STC 모드를 결정하면 주어진 채널상황에 적합한 선호 STC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전송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By doing so,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ferred STC mode is determined using the channel capacity, the preferred STC mode suitable for a given channel situation can be selected, thereby maximizing transmission efficiency.
한편,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송신기(200)와 수신기(300)가 폐루프 MIMO 구조인 경우, 수신기(300)가 상기 결정된 선호 STC 모드를 피드백 메시지에 실어 상기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송신기(20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한 응답 방법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7, when the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 × 2 MIMO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N × M MIMO 시스템(M ≥ N)에서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 example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focused on a 2 × 2 MIMO system, but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n N × M MIMO system (M ≧ N).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입출력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 차를 고려하여 선호 STC(Space-Time Coding) 모드를 결정함으로써, 채널 상황에 적합한 STC 모드를 결정하여 전송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a preferred space-time coding (STC) mode in consideration of an error that may occur in channel estimation in a multi-input and output system,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TC mode suitable for the channel situation to maximiz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입출력 시스템에서 STC 모드 별 복호화 방식에 따른 특성이 반영된 선호 STC(Space-Time Coding) 모드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the preferred space-time coding (STC) mod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coding scheme for each STC mode in the multi-input output syste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etermined more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입출력 시스템에서 송신기와 수신기가 폐루프 다중 입출력 구조인 경우, 채널 추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고려하고, STC 모드 별 복호화 방식에 반영된 선호 STC(Space-Time Coding) 모드를 결정하여 이를 송신기로 피드백 함으로써, 송신기가 다음 프레임 전송 시에 보다 실질적이고 정확한 채널 특성이 고려된 STC 모드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re closed loop multi-input / output structures in a multi-input / output system, the error that may occur in channel estimation is considered, and the preferred space-time coding (STC) mode reflected in the decoding method for each STC mode. By deciding and feeding it back to the transmitter, the transmitter can determine the STC mode in which more substantial and accurate channel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in the next frame transmission.
Claims (28)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52477A KR100910020B1 (en) | 2007-05-30 | 2007-05-30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C mode in M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C mode |
| PCT/KR2008/002989 WO2008147107A1 (en) | 2007-05-30 | 2008-05-28 | Method and apparatus for space-time coding mode i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52477A KR100910020B1 (en) | 2007-05-30 | 2007-05-30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C mode in M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C mod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35852A Division KR20090045906A (en) | 2009-04-24 | 2009-04-24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TC mode in M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sponse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ed STC mod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105211A KR20080105211A (en) | 2008-12-04 |
| KR100910020B1 true KR100910020B1 (en) | 2009-07-30 |
Family
ID=4007526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52477A Active KR100910020B1 (en) | 2007-05-30 | 2007-05-30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C mode in M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C mod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10020B1 (en) |
| WO (1) | WO2008147107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03136B1 (en) * | 2009-04-08 | 2012-01-04 | 주식회사 세아네트웍스 |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MIO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1636404B1 (en) * | 2009-08-27 | 2016-07-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multi cell mimo schemes in multiple antenna system |
| KR20240084862A (en) | 2022-12-07 | 2024-06-14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communication parameters in tacti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351499B1 (en) | 1999-12-15 | 2002-02-26 | Iospan Wireless, Inc. | Method and wireless systems using multiple antennas and adaptive control for maximizing a communication parameter |
| WO2003085876A1 (en) | 2002-04-01 | 2003-10-16 | Intel Corporation | A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optimizing a transmission mode of wirelessly transmitted information |
| KR20050031841A (en) * | 2003-09-30 | 2005-04-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scheme according to channel state in a communication system |
| KR20060022630A (en) * | 2004-09-07 | 2006-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ulti-input / output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aptive transmission mode switching |
-
2007
- 2007-05-30 KR KR1020070052477A patent/KR100910020B1/en active Active
-
2008
- 2008-05-28 WO PCT/KR2008/002989 patent/WO200814710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351499B1 (en) | 1999-12-15 | 2002-02-26 | Iospan Wireless, Inc. | Method and wireless systems using multiple antennas and adaptive control for maximizing a communication parameter |
| WO2003085876A1 (en) | 2002-04-01 | 2003-10-16 | Intel Corporation | A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optimizing a transmission mode of wirelessly transmitted information |
| KR20050031841A (en) * | 2003-09-30 | 2005-04-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scheme according to channel state in a communication system |
| KR20060022630A (en) * | 2004-09-07 | 2006-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ulti-input / output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aptive transmission mode switching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08147107A1 (en) | 2008-12-04 |
| KR20080105211A (en) | 2008-12-0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82522B1 (en) |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ple antenna system | |
| KR101161873B1 (en) | Mimo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aptive transmission mode switching technique | |
| JP4197482B2 (en) | Base station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 RU2560818C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in mu-mimo communication networks | |
| US7206606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diversity transmission and reception | |
| US8693561B2 (en) | Receive signal detection of multi-carrier signals | |
| EP1643661B1 (en) | MIMO system with adaptive switching of transmission scheme | |
| KR2003009334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 |
| JPWO2008062587A1 (en) | MIMO-OFDM communication system and MIMO-OFDM communication method | |
| JP2008278338A (en) | MIMO receiver | |
| US828032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d beamforming simultaneousl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US7321564B2 (en) | Hybrid IMMSE-LMMSE receiver processing technique and apparatus for a MIMO WLAN | |
| KR10091002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C mode in M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C mode | |
| KR10097287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method of MIO system | |
| KR101339587B1 (en) | Method of determining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in multiple antenna system | |
| KR20090045906A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TC mode in M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sponse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ed STC mode | |
| KR2012004567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hannel state indicato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Ismail et al. | A simple and robust equal-power transmit diversity scheme | |
| KR10101370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JP4672047B2 (en) | Communication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1519141B1 (en) | Controlling method of Multi input multi output system | |
| KR2010012413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 |
| Hoshino et al. | A study on an antenna selection scheme for space-time turbo code for OFDM systems | |
| HK1170897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nnel quality index in multiple user-mimo communication network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3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0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10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9032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0506 Appeal identifier: 2009101002696 Request date: 20090325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AMND | Amendm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4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4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2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 B701 | Decision to grant |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905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50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