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248B1 - Rail vehicle bogi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 Google Patents
Rail vehicle bogi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2248B1 KR100912248B1 KR1020080010386A KR20080010386A KR100912248B1 KR 100912248 B1 KR100912248 B1 KR 100912248B1 KR 1020080010386 A KR1020080010386 A KR 1020080010386A KR 20080010386 A KR20080010386 A KR 20080010386A KR 100912248 B1 KR100912248 B1 KR 1009122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riable
- rail beam
- bogie frame
- coupling plate
- beam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B61F5/52—Bogie fra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8—Railway vehi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대차프레임을 지면에 이격시켜 하중과 반력을 가하기 위한 지지로드와 유압가력기를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직립시켜 지면에 지지되는 4개의 지주빔;과, 상기 각 지주빔 중 2개의 지주빔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고정레일빔;과, 상기 고정레일빔의 하단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수단을 통해 다수 설치되되, 고정레일빔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을 구비한 다수의 가변레일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가변레일빔에는 대차프레임을 지면에 이격시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지지로드 또는 유압가력기와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bogi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provided for installing a support rod and a hydraulic force for applying a load and reaction force by separating the bogie frame of the railway vehicle to the ground, for this purpose is supported by the ground upright 4 And a pair of fixed rail beams each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wo top beams of each of the beam beams; and a plurality of post beams are installed through connecting mean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ttom of the fixed rail beams. A plurality of variable rail beams having a moving means to move on the fixed rail beams, wherein each variable rail beam is connected to a supporting rod or a hydraulic force to apply a load by spaced apart from the bogie frame on the grou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pport means is installed.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유압가력기, 지지로드, 지주빔, 하중, 반력 Rolling stock, bogie frame, hydraulic press, support rod, prop beam, load, reaction fo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대차프레임에 수직하중과, 수직 비틀림 하중 및 측면 하중 부과에 따른 반력 성분을 시험할 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가 설치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에 대응하여 그 간격이 가변되는 가변레일빔을 통해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분해 조립할 필요가 없이 지상에서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의 간격을 맞추고 더불어 해당 대차프레임을 지상에서 유압가력기 및 대차프레임과 결합시켜 작업이 용이한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bogi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in which a hydraulic force and a support rod are installed to build an environment in which a vertical load and a reaction force component due to vertical torsional loads and side loads are applied to a railway vehicle bogie frame. In more detail, the distance between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or and the support rod on the ground without the need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hydraulic force and the support rod through the variable rail beam that the interval is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railway vehicle bogie frame having a variety of sizes In addition, it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bogi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that is easy to work by combining the bogie frame with hydraulic press and bogie frame on the ground.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안전요소는 바퀴가 장착되는 대차프레임에 의해 크게 결정된다.In general, the safety factor of railway vehicles is largely determined by the bogie frame on which the wheels are mounted.
때문에 이러한 철도차량의 대차프레임의 안전시험은 항시적으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안전시험은 크게 2가지 종류로 구분되는데, 이는 사람이 망치로 두들겨 하는 소리를 통해 대차프레임의 안전요소를 시험하는 간이 안전시험과, 별도의 시험장치에 설치하여 대차프레임의 하중을 시험하는 주 안전시험으로 구분된다.For this reason, the safety test of the trolley frame of such a railway vehicle is carried out at all times, and these safety tests are divided into two types, which are simple safety tests in which the safety element of the bogie frame is tested through the sound of a hammer being hit by a human being. And, it is divided into the main safety test to test the load of the bogie frame by installing in a separate test device.
상기에서 후자인 주 안전시험은 객차에 대차프레임을 분리한 후 안전시험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대차프레임은 바퀴와 현가장치 등 부가적인 장치를 분리한 후 대차프레임만을 시험장치에 올려놓고 하중 시험을 하게 된다.The latter main safety test is a safety test after separating the bogie frame to the passenger car, wherein the bogie frame is to separate the additional devices such as wheels and suspension, and then load the bogie frame only on the test device and load test Done.
이러한 종래의 대차프레임 시험장치는 상기 대차프레임을 지면에 설치된 4지점에 로드셀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대차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올려놓고 대차프레임의 상부로 유압가력기를 통해 강제로 하중을 발생시켜 지지대에 설치된 로드셀로 하여금 대차프레임에 분포되는 하중을 측정하여 대차프레임의 불량유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하였다.The conventional bogie frame testing apparatus installs a load cell at four points installed on the bogie frame and then plac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bogie frame thereon and forcibly loads the hydraulic frame to the top of the bogie frame. The load cell installed in the load gauge was measured to distribute the load on the bogie frame to determine whether the bogie frame was defective.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대차프레임 무게 자체의 무게 하중을 지지대에 골고루 분포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distribute the weight load of the bogie frame weight evenly on the support.
즉, 4지점의 로드셀은 대차프레임의 4개소를 지지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되는 센터 점이 잘못되었을 경우 각각의 로드셀에 측정된 값이 각기 다르므로, 정확 한 지지점을 찾기가 매우 어려웠다.In other words, the load cell of four points supports four places of the bogie frame. In this case, when the supported center point is wrong, the measured values of each load cell are different, so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he exact support point.
때문에 정확한 지지점을 찾기 위해서는 수차례에 걸쳐 대차프레임을 다시 들었다가 다시 올려놓아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항시적으로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find the exact support point, it is very time-consuming and safety risks have to be raised because it has to be lifted and reloaded several times.
근래에 들어 대차프레임을 지면에 이격시켜 대차프레임에 수직하중과, 수직 비틀림 하중 및 측면 하중 부과에 따른 반력 성분을 시험할 수 지지구조 환경을 구축하였다.Recently, the bogie frame was spaced from the ground, and a support structure environment was constructed to test the reaction force component due to the vertical load, the vertical torsional load and the side load imposed on the bogie frame.
하지만 이러한 지지구조는 정적인 철골 빔 구조물로 대차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철골 빔 구조물에 분해 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support structure is a static steel beam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support rod to be assembled to the steel beam structur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gie frame.
즉,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차프레임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천정에 있는 철골 빔 구조물에 올라가 그 측정값에 맞게 사람이 일일이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install the hydraulic press and the supporting rod, first, the size of the bogie frame is measured, and the maneuver must be installed on the steel beam structure in the ceiling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and the human being should install the hydraulic press and the supporting ro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There was a problem.
따라서 대차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철골 빔에 분해하지 않고, 먼저 지상에서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의 간격을 맞추고 해당 대차프레임에 유압가력기 및 대차프레임을 결합시켜 작업이 용이한 구조의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stead of disassembling the hydraulic presser and the supporting rod to the steel beam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gie frame, it is easy to work by first arranging the gap between the hydraulic press and the supporting rod on the ground and combining the hydraulic presser and the bogie frame with the corresponding bogie frame. There is a demand for a variable support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bogie frame having a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직립시 켜 지면에 지지되는 4개의 지주빔;과, 상기 각 지주빔 중 2개의 지주빔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고정레일빔;과, 상기 고정레일빔의 하단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수단을 통해 다수 설치되되, 고정레일빔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을 구비한 다수의 가변레일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가변레일빔에는 대차프레임을 지면에 이격시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지지로드 또는 유압가력기와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four upright beams supported on the ground when standing up; and a pair of each of which is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top of the two support beams of each of the support beams And a plurality of fixed rail beams and a plurality of variable rail beams installed through connecting mean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wer ends of the fixed rail beams and having moving means to move on the fixed rail beams. Each variable rail beam is to provide a railway vehicle bogi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pporting means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or hydraulic force is installed so that the bogie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o apply a load.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에 따르면, 대차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철골 빔에 분해하지 않고, 먼저 지상에서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의 간격을 맞추고 해당 대차프레임에 유압가력기 및 대차프레임을 결합시켜 작업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railway vehicle bogi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isassembling the hydraulic pressor and the support rod to the steel beam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gie frame, first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hydraulic pressurizer and the support rod on the ground and the corresponding bogie frame It is easy to work by combining the hydraulic force and the bogie frame.
또한 지상에서의 작업만으로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대차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ydraulic press and the support rod can be installed on the bogie frame only by working on the ground,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의 가변 지지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support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bogi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에 설치되는 유입가력 기와 지지로드에 대차프레임을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에서 발췌된 지주빔 및 지주빔에 고정된 고정레일빔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1에서 발췌된 고정레일빔과, 가변레일빔과, 연결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olley frame is coupled to an inflow force device and a support rod installed in the railway vehicl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lway vehicle fram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beam beam fixed to the support beam and the support beam extracted in FIG. 1, and FIG. 2C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fixed rail beam, the variable rail beam, and the connecting means extracted from FIG. Perspective view.
도 1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200)에 대응하여 그 간격이 가변되는 가변레일빔(30)을 통해 유압가력기(220) 또는 지지로드(210)를 분해 조립할 필요가 없이 지상에서 유압가력기(220) 및 지지로드(210)의 간격을 맞춰 보다 쉽게 해당 대차프레임(200)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100)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2c,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100)는 크게 3개의 빔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지주빔(10)과, 상기 지주빔(10)에 고정되는 고정레일빔(20)과, 상기 고정레일빔(20)의 상단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가변레일빔(30)으로 구성된다.The railway vehicle bogie frame
여기서 지주빔(10)은 총 4개로 구성되며 직립시켜 지면에 고정되는 구조이다.Here, the
아울러 고정레일빔(20)은 총 2개로 구성되어 상기 각 지주빔(10) 중 2개의 지주빔(10)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그리고 가변레일빔(30)은 상기 고정레일빔(20)의 하단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 설치되되, 고정레일빔(2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50)을 구비한 구조이다.In addition, the
이 때 상기 고정레일빔(20)과 가변레일빔(30)은 단면이 "ㄷ"자 형상을 취하는 2개의 레일빔(2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레일빔(21)은 중앙에 공간부(22)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 " 의 형상을 취하며, 양단부에는 고정플레이트(23)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가변레일빔(30)과 고정레일빔(20)은 연결수단(40)을 통해 연결된다.The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40)은 고정레일빔(20)의 상단에 밀착되는 제 1결합플레이트(41)와, 상기 가변레일빔(3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2결합플레이트(42)와, 상기 고정레일빔(20) 및 가변레일빔(30)의 공간부(22)를 가로질러 상기 제 1결합플레이트(41)와 제 2결합플레이트(42)를 고정하는 장볼트(70) 및 너트(80)로 구성된다.Wherein the
아울러 상기 가변레일빔(30)은 고정레일빔(20) 상에서 이동수단(50)을 통해 이동되는데, 상기 이동수단(50)은 상기 가변레일빔(30)에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판(51)과, 상기 각 지지판(51)의 안측면에 결합되는 롤러(52)로 구성되되, 상기 롤러(52)는 상기 고정레일빔(20)의 레일빔(21) 하단 절곡부(211)의 상부에 안착되게 배치되는 구조이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각 가변레일빔(30)에는 대차프레임(200)을 지면에 이격시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지지로드(210) 또는 유압가력기(220)와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수단(60)이 설치된 구조이다.Meanwhile, each of the
여기서 지지수단(60)은 가변레일빔(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 3결합플레이트(61)와, 상기 가변레일빔(3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 4결합플레이트(62)와, 상기 제 3결합플레이트(61) 및 제 4결합플레이트(62)를 가변레일빔(30)에 고정시키는 장볼트(70) 및 너트(80)로 구성된다. 이 때 제 3결합플레이트(61)와 제 4결합플레이트(62)는 상기 가변레일빔(30)에서 중심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변레일빔(30)의 공간부(22)에 삽입되는 돌출부(63)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이다.The support means 60 may include a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레일빔(30)은 고정레일빔(20) 상에 연결수단(40)을 통해 고정되는 구조이다.As shown in FIG. 3, the
여기서 연결수단(40)의 제 1결합플레이트(41)는 고정레일빔(20)의 상부에 밀착되고, 제 2결합플레이트(42)는 가변레일빔(30)의 하부에 밀착된다.Here, the
그리고 연결수단(40)의 장볼트(70)는 머리부가 상기 제 2결합플레이트(42)의 하부면에 거치되고, 단부가 제 2결합플레이트(42)를 거쳐 가변레일빔(30)의 공간부(22)와, 고정레일빔(20)의 공간부(22)를 가로질러 제 1결합플레이트(41)를 관통되고, 장볼트(70)의 단부는 너트(80)로 임시 고정된다.(①에 도시) And the
만약 가변레일빔(30)을 고정레일빔(20) 상에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너트(80)를 풀어 제 2결합플레이트(42)를 느슨하게 하면, 상기 가변레일빔(30)은 자중에 의해 제 2결합플레이트(42)와 함께 장볼트(70) 상에서 하부로 이동된다.(②에 도시)If the
그러면 가변레일빔(30)에 고정된 이동수단(50)의 롤러(52)가 고정레일빔(20)의 레일빔(21) 하단 절곡부(211)의 상부에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가변레일빔(30)을 밀면 가변레일빔(30)이 상기 고정레일빔(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Then, the
따라서 가변레일빔(30)에 장착되는 지지로드(210) 또는 유압가력기(220)는 분해 조립이 필요하지 않고, 다만 지상에서 보다 쉽게 대차프레임(200)의 크기에 따라 지지로드(210) 또는 유압가력기(220)를 조립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레일빔(30)에는 대차프레임(200)을 지면에 이격시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지지로드(210) 또는 유압가력기(220)와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수단(60)이 설치된 구조이다.As shown in FIG. 4, the
이러한 지지수단(60)은 가변레일빔(30)의 상단에 밀착되는 제 3결합플레이트(61)와, 가변레일빔(30)의 하단에 밀착되는 제 4결합플레이트(62)로 구성된다.The support means 60 is composed of a
이 때 제 3결합플레이트(61) 및 제 4결합플레이트(62)의 돌출부(63)는 상기 가변레일빔(30)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마련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지지수단(60)의 장볼트(70) 역시 제 4결합플레이트(62)의 하부면과 가변레일빔(30)의 공간부(22)를 거쳐 제 3결합플레이트(61)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어 너트(80)로 고정되는 구조이다.The
아울러 제 4결합플레이트(62)의 저면으로는 결합공(62a)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로드(210) 또는 유압가력기(220)가 결합되는 결합판(230)이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In addition, the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에 설치되는 유입가력기와 지지로드에 대차프레임을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olley frame is coupled to the inflow force and the support rod is installed in the rail vehicl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의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lway vehicle bogi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b는 도 1에서 발췌된 고정레일빔 또는 가변레일빔을 도시한 사시도,FIG. 2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xed rail beam or the variable rail beam taken from FIG. 1; FIG.
도 2c는 도 1에서 발췌된 고정레일빔과, 가변레일빔과, 연결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 2C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xed rail beam, the variable rail beam, and the connecting means extracted from FIG. 1;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a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도이다.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4b는 도 4a의 분해사시도,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A;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지주빔10: prop beam
20: 고정레일빔 21: 레일빔 211: 절곡부20: fixed rail beam 21: rail beam 211: bent portion
22: 공간부 23: 고정플레이트22: space 23: fixed plate
30: 가변레일빔30: variable rail beam
40: 연결수단 41: 제 1결합플레이트 42: 제 2결합플레이트40: connecting means 41: first coupling plate 42: second coupling plate
50: 이동수단 51: 지지판 52: 롤러50: moving means 51: support plate 52: roller
60: 지지수단 61: 제 3결합플레이트 62: 제 4결합플레이트60: support means 61: third coupling plate 62: fourth coupling plate
62a: 결합공 63: 돌출부62a: coupling hole 63: protrusion
70: 장볼트70: long bolt
80: 너트80: nut
100: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100: railway vehicl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0: 대차프레임 210: 지지로드 220: 유압가력기200: bogie frame 210: support rod 220: hydraulic press
230: 결합판230: binding plat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10386A KR100912248B1 (en) | 2008-01-31 | 2008-01-31 | Rail vehicle bogi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10386A KR100912248B1 (en) | 2008-01-31 | 2008-01-31 | Rail vehicle bogi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84303A KR20090084303A (en) | 2009-08-05 |
| KR100912248B1 true KR100912248B1 (en) | 2009-08-14 |
Family
ID=4120487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10386A Active KR100912248B1 (en) | 2008-01-31 | 2008-01-31 | Rail vehicle bogi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12248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55281B1 (en) | 2022-02-23 | 2022-10-18 | 형제금속산업(주) | Automatic levelling system and method for railway vehicl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3868701A (en) * | 2012-12-13 | 2014-06-18 | 南车洛阳机车有限公司 | Framework platform movable detection unit |
| CN103424270B (en) * | 2013-08-07 | 2016-01-27 | 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gate chassis headwall stationary installation for railway vehicle end relation test |
| CN104458290B (en) * | 2014-12-05 | 2017-03-29 |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 A kind of dynamic cable device for testing wiring of city rail vehicl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0120288B1 (en) * | 1994-11-09 | 1997-10-20 | 석진철 | Body load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ailway vehicle |
| KR0166494B1 (en) * | 1994-05-25 | 1999-02-01 | 김주용 | Word line boostrap circuit |
| KR20030084870A (en) * | 2003-10-15 | 2003-11-0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Load testing system of bogie frame for rolling stock |
| KR20030086520A (en) * | 2003-10-15 | 2003-11-10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Load testing system and the method of body structure for rolling stock |
-
2008
- 2008-01-31 KR KR1020080010386A patent/KR10091224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0166494B1 (en) * | 1994-05-25 | 1999-02-01 | 김주용 | Word line boostrap circuit |
| KR0120288B1 (en) * | 1994-11-09 | 1997-10-20 | 석진철 | Body load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ailway vehicle |
| KR20030084870A (en) * | 2003-10-15 | 2003-11-0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Load testing system of bogie frame for rolling stock |
| KR20030086520A (en) * | 2003-10-15 | 2003-11-10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Load testing system and the method of body structure for rolling stock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55281B1 (en) | 2022-02-23 | 2022-10-18 | 형제금속산업(주) | Automatic levelling system and method for railway vehicle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84303A (en) | 2009-08-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1408470B (en) | Combined vehicle body-in-white dynamic and static performance flexible comprehensive test system | |
| CN102042901B (en) | Test bench for suspension self-vibration property of steering frame of railway vehicle based on sine frequency sweeping method | |
| KR100872072B1 (en) | Rail vehicle bogie frame tester support structure | |
| CN113483978B (en) | Free boundary simulation unit and simulation system for aircraft modal test | |
| CN110361183B (en) | Assembled anti-instability test loading device for T-beam and its experimental method | |
| KR100912248B1 (en) | Rail vehicle bogie frame variable support device | |
| CN104374597A (en) | Railway cable-stayed bridge test model | |
| CN105544398A (en) | Horizontal force self-balancing type splayed heavy type upper air support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
| KR101285439B1 (en) | Performance Tester and the Methods of Spring Hanger | |
| KR101237824B1 (en) | The truck scale for a live load measuring | |
| CN106441952B (en) | Car body tests loading equipemtn | |
| CN204718822U (en) | Railway cable-stayed bridge test model | |
| CN109421749B (en) | Straddle Rail Transit System | |
| CN110080540B (en) | Large-span steel structure slid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CN116290359A (en) | A steel structure anti-seismic device for prefabricated buildings | |
| CN101408483A (en) | Gantry type frame for detecting white body performance of automobile | |
| CN206573386U (en) | Angle steel X-braced panels stability bearing capacity experimental rig | |
| US7584671B2 (en) | Apparatus for testing the load bearing strength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 |
| CN108166379B (en) | Replaceable transverse wind-resistant structure and method suitable for cable-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 |
| CN215893944U (en) | Aircraft modal test free boundary simulation unit and simulation system | |
| CN210037206U (en) | Elastic-like foundation beam type internal force self-balancing jack static load test bed | |
| CN113984537A (en) | Quasi-static crush test device for rail vehicle | |
| CN112304651B (en) | Track beam static load test b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CN207351640U (en) | Battery system vibration-testing apparatus | |
| CN205808621U (en) | A kind of power assembly test clamp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3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3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