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4664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664B1
KR100934664B1 KR1020070080312A KR20070080312A KR100934664B1 KR 100934664 B1 KR100934664 B1 KR 100934664B1 KR 1020070080312 A KR1020070080312 A KR 1020070080312A KR 20070080312 A KR20070080312 A KR 20070080312A KR 100934664 B1 KR100934664 B1 KR 100934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ignal
channel
transmitted
transmission
dpc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498A (ko
Inventor
안준기
김봉회
윤영우
김기준
노동욱
윤석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524,529 priority Critical patent/US8040846B2/en
Priority to US13/476,982 priority patent/USRE44317E1/en
Priority to AT08712324T priority patent/ATE530044T1/de
Priority to RU2009121455/08A priority patent/RU2432687C2/ru
Priority to EP08712324A priority patent/EP2084933B1/en
Priority to MX2009008299A priority patent/MX2009008299A/es
Priority to ES08712324T priority patent/ES2375853T3/es
Priority to JP2009548166A priority patent/JP4906008B2/ja
Priority to BRPI0807061A priority patent/BRPI0807061B1/pt
Priority to CN201310014574.XA priority patent/CN103188812B/zh
Priority to PCT/KR2008/000673 priority patent/WO2008094023A2/en
Priority to CN2008800039076A priority patent/CN101627655B/zh
Priority to GB0910564.4A priority patent/GB2463749B/en
Publication of KR2008007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664B1/ko
Priority to US12/651,949 priority patent/US7894398B2/en
Priority to JP2012000667A priority patent/JP5319793B2/ja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문서는 불연속 송신 방식과 압축 모드 송신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채널 송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의 프리엠블 및/또는 포스트엠블이 압축 모드 송신 방식에 따른 CM 구간에 걸치는 경우(overlapped) 해당 송신 단위를 전체로 송신하지 않거나 CM 구간에 걸치는 프리엠블 및/또는 포스트엠블을 제외하고 나머지 해당 송신 단위의 신호들을 송신하는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E-DCH, HS-DPCCH, DPCCH, CM, DTX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송신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향링크 송신 즉 사용자 기기가 송신의 주체가 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휴대 지속시간을 증가할 수 있도록 배터리 용량을 증가하거나 사용자 기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력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의 일종으로서 불연속 송신 방식을 들 수 있다.
불연속 송신 방식이란 예를 들어, 이동 전화나 휴대 무선 전화기에 음성 신호가 없을 때와 같이 순간적으로 데이터 송신을 출력을 줄이거나 묵음 상태로 만드는 방법이다. 두 사람이 통화할 때 각자의 통화 시간은 각각 전체의 절반 이하에 해당하므로 만약에 송신기에 음성 입력 시간만 연결된다면 송신 시간이 50% 이하가 될 수도 있다. 이는 전지 소모 절약, 송신기 증폭기의 부하 감소, 시분할 다중화(TDM) 면에서 다른 신호와 채널 공유 등의 이점을 살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라 압축 모드(compressed mode) 송신 방식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채널 신호 송신 시 상기 제1 채널 복조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채널 신호를 함께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채널의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를 송신하는 송신 구간이 상기 압축 모드 송신 방식에 따라 신호 송신을 할 수 없는 송신 제한 구간과 일부 겹치는 경우 상기 송신 제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송신 구간에 해당하는 제2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송신을 개시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제1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라 제1 채널 신호 송신 시 상기 제1 채널 복조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프리엠블에 동기화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프리엠블이 상향링크 송신이 제한되는 시간 구간과 일부 겹치는 경우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를 모두 송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에 따라 다른 채널 복조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채널보다 앞선 타이밍에 프리엠블을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는 제어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은, 상기 제어 채널의 프리엠블을 송신하는 송신 구간이 상기 압축 모드 송신 방식에 따라 신호 송신을 할 수 없는 송신 제한 구간과 일부 겹치는 경우 상기 송신 제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송신 구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상응하는 다른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양태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또는 다른 채널은 E-DCH 및 HS-DPCCH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채널 또는 제어 채널은 DPCCH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채널 신호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다른 코드를 사용하여 다중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는 송신/미송신 여부에 대한 신호 송신 패턴에 따라 미송신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첫 번째 및 세 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의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가 동기화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을 모두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로서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불연속송신모드 (DTX mode)의 사용자 기기 (UE)가 압축모드전송영역을 포함하는 소정 프레임에서 제 2 채널신호(예를 들어, DPCCH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채널신호(예를 들어, E-DCH 신호, E-DPDCH 신호 및/또는 E-DPCCH 신호)를 제 1 채널(예를 들어, DPCCH)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 기기가 소정 프레임에서 제 1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시작한 후에 제 2 채널을 통해 제 2 채널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채널신호는 소정 프레임에서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지 않는 모든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 1 채널은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이고, 제 2 채널은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은 확장된 전용물리데이터채널 (E-DPDCH) 및 확장된 전용물리제어채널 (E-DPCC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실시예에서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은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을 검출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되, 제어정보는 피드백 정보 (FBI), 전력제어 코맨드 (TPC) 및 전송포맷조합 지시자 (TFCI)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 4 실시예에서 제 1 채널신호의 프리엠블은 제 2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2 슬롯 전에 먼저 전송될 수 있으며, 제 1 채널신호의 포스트엠블은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된 다음 1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 1 채널신호는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4 실시예에서 압축모드전송영역은 사용자 기기가 인근 셀을 검색하기 위한 구간일 수 있다. 이때, 제 1 채널신호 및 제 2 채널신호는 불연속 송신모드에 따라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 불연속송신구간 (DTX interval)으로 구분되는 소정의 송신구간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4 실시예에서 제 1 채널신호의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가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면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는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4 실시예에서 제 1 채널은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이고, 제 2 채널은 고속하향링크전용물리제어채널 (HS-DPCCH)일 수 있다. 이때, 확장된 전용물리데이터채널 (E-DPDCH) 및 확장된 전용물리제어채널(E-DPCCH)은 전용물리채널 전송구간 (E-DCH TTI)에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서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불연속송신방식 (DTX)으로 상향링크 채널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기기 (UE)는, 제 2 채널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채널신호를 압축모드전송영역을 포함하는 소정 프레임에서 제 1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수단과 소정 프레임에서 제 1 채널신호를 전송한 후에 제 2 채널신호를 제 2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채널신호는 소정 프레임에서 압축모드전송영역을 제외한 모든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 1 채널은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이고, 제 2 채널은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일 수 있으며, E-DCH는 전용물리데이터채널 (E-DPDCH) 및 확장된 전용물리제어채널(E-DPCC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5 실시예에서 제 1 채널신호는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을 포함하되, 프리엠블은 제 2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2 슬롯 전에 먼저 전송되고, 포스트엠블은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된 다음 1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 1 채널신호는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5 실시예에서 압축모드전송영역은, 사용자 기기가 인근 셀 검색을 수행하는 구간이다. 이때, 제 1 채널신호 및 제 2 채널신호는 불연속송신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불연속송신구간 (DTX interval)으로 구분되는 소정의 송신구간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5 실시예에서 제 1채널신호의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가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면,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는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로서 무선 접속 시스템의 기지국(node-B)에서 상향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불연속송신모드 (DTX mode)의 사용자 기기 (UE)로부터 압축모드전송영역을 포함하는 소정 프레임에서 제 2 채널신호(예를 들어, E-DCH 신호, E-DPCCH 신호 및/또는 E-DPDCH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채널신호를 제 1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기기로부터 소정 프레임에서 제 1 채널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제 2 채널을 통해 제 2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채널신호는 소정 프레임에서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지 않는 모든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6 실시예에서 제 1 채널은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이고, 제 2 채널은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일 수 있다. 이때,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은 확장된 전용물리데이터채널 (E-DPDCH) 및 확장된 전용물리제어채널 (E-DPCC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6 실시예에서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은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을 검출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되, 제어정보는 피드백 정보 (FBI), 전력제어 코맨드 (TPC) 및 전송포맷조합 지시자 (TFC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6 실시에에서 제 1 채널신호의 프리엠블은 제 2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2 슬롯 전에 먼저 전송될 수 있고, 제 1 채널신호의 포스트엠블은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된 다음 1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 1 채널신호는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6 실시예에서, 제 1 채널신호 및 제 2 채널신호는 불연속 송신모드에 따라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 불연속송신구간 (DTX interval)으로 구분되는 소정의 송신구간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6 실시예에서 제 1 채널신호의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가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면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는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로서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불연속송신방식 (DTX)으로 상향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node-B)은, 제 2 채널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채널신호를 압축모드전송영역을 포함하는 소정 프레임에서 제 1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수단과 소정 프레임에서 제 1 채널신호를 수신한 후에 제 2 채널신호를 제 2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채널신호는 소정 프레임에서 압축모드전송영역을 제외한 모든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서 제 1 채널은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이고, 제 2 채널은 전용물리데이터채널 (E-DPDCH) 및 확장된 전용물리제어채널(E-DPCCH)을 포함하는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일 수 있다.
상기 제 7 실시예에서 제 1 채널신호는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을 포함하되, 프리엠블은 제 2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2 슬롯 전에 먼저 수신되고, 포스트엠블은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된 다음 1 슬롯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제 1 채널신호는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7 실시에에서 제 1 채널신호 및 제 2 채널신호는 불연속송신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불연속송신구간 (DTX interval)으로 구분되는 소정의 송신구간에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 7 실시예에서 제 1채널신호의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가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면,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는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송신 오류가 예상되더라도 일 송신 단위의 일부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 나머지 신호라도 송신하여 송신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인 자원 스케줄링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는 채널에 적용되는 오류 정정 및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송수신 성공 확률을 높임으로써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 일정 용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들 용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용어로서 지칭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또는 장치는 생략될 수 있고, 각 구조 및/또는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도시한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압축 모드(Compressed mode) 송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압축 모드 송신 방식에 따르는 개략적인 프레임 구조를 알 수 있다. 압축 모드 송신 방식에 따르면 어느 하나 혹은 연속한 두 개의 프레임을 프레임 중간 혹은 두 개의 프레임 사이에 압축 모드에 의한 송신 제약 구간(CM gap)이 포함하는 압축 프레임으로 사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압축 프레임으로 사용되도록 결정된 프레임 중에서 일부 슬롯 즉 송신 제약 구간에 포함되는 슬롯들은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송신 제약 구간 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잠시 중단하고 이웃 셀 및 이웃 네트워크 검색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송신 제약 구간의 존재로 감소되는 프로세싱 게인에 의한 영향을 줄이고 통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압축 프레임의 일부 슬롯에 대해서는 송신 전력을 증가시켜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듯이 증가되는 송신 전력을 데이터를 송신하는 슬롯들은 상술한 송신 제약 구간의 시작 전 및 종료 후 슬롯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축 프레임의 일부 슬롯에서 증가되는 전력량은 송신 시간 감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통신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요소로는 비트 오류 율(Bit Error Rate), 프레임 오류 율(Frame Error Rate) 등을 들 수 있다.
무슨 프레임을 상술한 압축 프레임으로 사용할지 여부는 네트워크 상에서 결정할 수 있고 압축 모드에서 압축 프레임은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요청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압축 프레임의 비율 및 타입은 다양하고 채널 환경 및 측정에 의한 요구 사항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력 제어 방법의 하나로서 상향링크 불연속 송신 (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상향링크 채널 용량을 증가하기 위해서 상향링크 송신에서 불연속 송신 동작이 설계된다. 이는 사용자 기기의 데이터를 불연속적으로 송신함을 의미 한다. 즉, 사용자 기기의 측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과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구간 즉 불연속 송신 구간(DTX interval)을 구분하여 전력제어를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이 불연속 송신 구간을 구분하여 사용하면 항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아닌 만큼 데이터 송신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사용자 기기의 전력을 사용하거나 전원을 켬 상태로 유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면 상태 또는 전원 끔 상태 등 전력 소모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상태 등으로 상태를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상향링크 불연속 송신 방식과 압축 모드 송신 방식이 함께 운영될 경우 사용자 기기의 정확한 동작이 규명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서 상향링크 압축 모드 방식과 상향링크 불연속 송신 방식이 함께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 기기의 동작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확장전용채널 (E-DCH: Enhanced-Dedicated CHannel), 확장전용물리데이터채널 (E-DPDCH: E-DCH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확장전용물리제어채널 (E-DPCCH: E-DCH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고속전용물리제어채널 (HS-DPCCH: High Speed-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또는 고속하향링크공용채널(HS-DSCH: High Speed-Downlink Shared Channel) 등은 특정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 등 (예를 들어, 채널신호)이 송수신될 수 있는 논리적인 전송 통로를 나타낸다.
다만, 이러한 채널들은 전송 통로로서의 역할 만이 아니라 채널신호의 전송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채널들은 물리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채널이 아니라, 시간, 주파수 및 코드에 의해 구분되는 논리적인 채널이기 때문이다. 즉, 상술한 채널들은 물리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채널이 아니며, 채널신호들은 특정 시간, 주파수 및 코드 중 하나 이상으로써 특정 채널로 구분되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특정 채널을 전송한다는 의미는 특정 채널을 통해 채널신호 (즉,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 등)를 전송한다는 의미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특정 채널들이 전송통로뿐만 아니라 전송포맷, 즉 데이터 패킷 또는 제어정보들의 전송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을 반영하여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범위에서 본원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E-DCH(Enhanced-Dedicated CHannel)의 불연속 송신과 관련되는 사용자 기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E-DCH의 불연속 송신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E-DCH은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전송 채널의 하나로서 E-DPDCH(E-DCH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및 E-DPCCH(E-DCH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의 물리 채널로 매핑 된다. E-DPDCH는 E-DCH과 관련되는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E-DPCCH는 E-DCH과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 채널이다. E-DPDCH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와 E-DP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는 함께 송신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E-DPDCH와 E-DPCCH를 통해 E-DCH 신호를 송신할 때 수신 단 예를 들어, 노드 B(node-B)에서 E-DCH의 검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E-DCH의 검출이라 함은 E-DCH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 등(채널신호 등)을 디코딩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채널 추정에 이용하여 E-DCH 복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돕기 위해서 DPCCH(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신호도 함께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DPCCH를 통해서는 제1 계층에서 생성되는 제어 정보가 송신된다. 예를 들어, 채널 추정을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파일럿을 포함하여 피드백 정보(FBI: feedback information), 전력 제어(TPC: transmit power control) 코멘드 및 전송 포맷 조합 지시자(TFCI: transport-format combination indicator),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할 수 있다. 반면 E-DPCCH를 통해서는 E-DCH 복조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로서 DPCCH를 통해 전송되지 않는 즉, E-DCH에 특징적인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PCCH를 통해 E-DPDCH의 TFCI, HARQ 정보 및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E-DPDCH와 E-DPCCH 및 DPCCH는 동시에 송신될 수 있으며, 각각 서로 다른 코드를 사용하여 다중화가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사용자 기기는 E-DPDCH와 E-DPCCH을 송신하기에 앞서 먼저 DPCCH 송신을 개시한다. 다시 말해서 DPCCH 송신을 개시하고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수의 슬롯을 송신한 후에 E-DPDCH와 E-DPCCH 송신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E-DPDCH와 E-DPCCH 송신 이전에 먼저 송신되는 DPCCH를 DPCCH 프리엠블 (또는, DPCCH 신호 프리엠블)이라고 칭한다. 도 3에서는 DPCCH 프리엠블로 2 개의 슬롯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후 DPCCH 프리엠블로 사용되는 슬롯의 수를 N 이라고 한다.
또한, 사용자 기기는 E-DPDCH와 E-DPCCH 송신을 완료한 이후에도 DPCCH을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수의 슬롯을 송신한 후에 E-DCH 송신과정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E-DPDCH와 E-DPCCH 송신을 완료한 이후 송신되는 DPCCH를 DPCCH 포스트엠블 (또는, DPCCH 신호 포스트엠블)이라고 칭한다. 도 3에서는 DPCCH 포스트엠블로 1 개의 슬롯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후 DPCCH 포스트엠블로 사용되는 슬롯의 수를 M 이라고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E-DPDCH와 E-DPCCH 송신 이전 및 이후에 DPCCH 프리엠블 및 DPCCH 포스트엠블을 각각 송신함으로써 수신 단 예를 들어 노드 B에서 E-DCH 검출을 보다 높은 성공 확률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DPCCH 프리엠블에 있어서 DPCCH 프리엠블로 사용되는 슬롯의 수는 사용자 기기에서의 데이터 송신 상태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DCH 송신 이전에 기 설정된 시간 구간보다 더 긴 시간 동안에 사용자가 송신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또는 더 짧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송신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보다 더 많은 수의 슬롯을 DPCCH 프리엠블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또는 더 짧은 시간 동안 사용자가 송신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 DPCCH 프리엠블로 사용되는 슬롯의 수 (N1)가 2 개라면, 기 설정된 시간 구간보다 더 긴 시간 동안에 사용자가 송신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 DPCCH 프리엠블로 사용되는 슬롯의 수 (N2)는 15 개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더 오랜 시간 동안 데이터 송신이 없다면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도 송신되어야 할 것이고,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어 정보가 더 많이 송신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PCCH 송신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E-DPDCH와 E-DPCCH 송신 이전에 일정 개수 (N)의 슬롯 예를 들어 2 슬롯만큼 먼저 DPCCH 프리 엠블이 송신되고, E-DPDCH와 E-DPCCH 송신 이후 일정 개수 (M)의 슬롯 예를 들어 1 슬롯만큼 DPCCH 포스트엠블이 송신된다. 이와 같이 DPCCH 프리엠블이 송신되면서 E-DPDCH와 E-DPCCH가 송신되고 DPCCH 포스트엠블이 송신되고 종료되는 일 과정을 일 송신 단위로 볼 수 있다. 도 2에서 왼쪽에 도시되는 일 송신 단위를 제1 송신 단위, 도 2에서 오른쪽에 도시되는 일 송신 단위를 제2 송신 단위로 칭한다.
이 경우 제1 송신 단위와 제2 송신 단위 사이에 일정 불연속 구간(DTX interval)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 불연속 구간 동안에는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후 불연속 구간이 종료되면 다시 DPCCH 프리엠블이 송신되면서 E-DCH 즉 E-DPDCH와 E-DPCCH가 송신되고 DPCCH 포스트엠블이 송신됨으로써 일 송신 단위의 데이터 송신이 종료된다.
상술한 E-DCH의 불연속 송신 방식과 압축 모드 송신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 기기에서 E-DCH을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E-DCH 송신에 있어서 압축 모드 송신 방식과 불연속 송신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E-DCH 송신을 위해 E-DPDCH와 E-DPCCH이 송신되고 E-DPDCH와 E-DPCCH와 함께 DPCCH도 송신된다. 또한, 먼저 송신되는 제1 송신 단위와 그 다음에 송신되는 제2 송신 단위에 대한 송신 사이에는 불연속 송신 방식 적용에 따라 불연속 구간(DTX interval)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제1 송신 단위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신이 완료되고 불연속 구간이 지난 후 DPCCH 프리엠블이 송신되면서 제2 송신 단위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신이 개시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송신 단위의 DPCCH 프리엠블의 일부가 압축 모드 송신 방식 적용에 따라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송신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일부 혹은 전체가 겹치는 슬롯에는 DPCCH 프리엠블을 송신하지 않지만, 나머지 DPCCH 프리엠블과 DPCCH 신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PPCH 신호는 DPCCH 프리엠블 및 DPCCH 포스트엠블을 제외한 나머지 DPCCH를 통해 전송되는 채널신호를 의미한다) 및 DPCCH 포스트엠블뿐만 아니라 E-DPDCH와 E-DPCCH도 모두 송신한다. 만약 DPCCH 포스트엠블이 압축 모드 송신 방식 적용에 따라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송신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일부 혹은 전체가 겹치는 슬롯에는 DPCCH 포스트엠블을 송신하지 않지만, DPCCH 프리엠블과 DPCCH 신호 및 나머지 DPCCH 포스트엠블뿐만 아니라 E-DPDCH와 E-DPCCH도 모두 송신한다.
왜냐하면, E-DCH 신호는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ECS (Error Check Sum)이 사용될 수 있고, HARQ 동작이 수반되어, DPCCH 프리엠블 및 DPCCH 포스트엠블 중 하나이상이 제약 구간(CM gap)에 송신되도록 결정되어 송신할 수 없더라도 수신 단에서 DPCCH 프리엠블 및 DPCCH 포스트엠블의 결여로 인해 발생하는 수신 성능 감소가 쉽게 회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E-DCH 송신에 있어서 압축 모드 송신 방식과 불연속 송신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2를 통해 설명한 불연속 송신 방식의 일례로서 E-DCH 송신 이전에 기 설정된 시간 구간보다 더 긴 시간 동안에 사용자가 송신한 데이터가 없는 도 3의 도시된 실시예에서보다 더 많은 수의 슬롯을 DPCCH 프리엠블로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기 설정된 시간 구간보다 더 긴 시간 동안에 사용자가 송신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DPCCH 프리엠블로 사용되는 슬롯의 수 (N2)는 15 개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더 오랜 시간 동안 데이터 송신이 없다면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도 송신되어야 할 것이고,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어 정보가 더 많이 송신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 3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긴 길이의 DPCCH 프리엠블의 일부가 압축 모드 송신 방식 적용에 따라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송신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본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일부 혹은 전체가 겹치는 슬롯에는 DPCCH 프리엠블을 송신하지 않지만, 나머지 DPCCH 프리엠블과 DPCCH 신호 및 DPCCH 포스트엠블뿐만 아니라 E-DPDCH와 E-DPCCH도 모두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만약 DPCCH 포스트엠블이 압축 모드 송신 방식 적용에 따라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송신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일부 혹은 전체가 겹치는 슬롯에는 DPCCH 포스트엠블을 송신하지 않지만, DPCCH 프리엠블과 DPCCH 신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DPCCH 신호는 DPCCH 프리엠블 및 DPCCH 포스트엠블을 제외한 나머지 DPCCH를 통해 전송되는 채널신호를 의미한다) 및 나머지 DPCCH 포스트엠블뿐만 아니라 E-DPDCH와 E-DPCCH도 모두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E-DCH 송신에 있어서 압축 모드 송신 방식과 불연속 송신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불연속 송신 방식의 일례로서 E-DCH 송신 이전에 기 설정된 시간 구간보다 더 긴 시간 동안에 사용자가 송신한 데이터가 없는 도 3의 도시된 실시예에서보다 더 많은 수의 슬롯을 DPCCH 프리엠블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와 다르게 긴 길이의 DPCCH 프리엠블의 일부가 압축 모드 송신 방식 적용에 따라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송신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본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겹치는 슬롯뿐만 아니라, 이 DPCCH 프리엠블과 관련되는 송신 단위 전체에 대하여 DPCCH 및 나머지 채널 신호도 모두 송신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이 DPCCH 프리엠블과 관련되는 나머지 DPCCH 프리엠블과 DPCCH 신호, DPCCH 포스트엠블, E-DPDCH 및 E-DPCCH를 모두 송신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만약 DPCCH 포스트엠블이 압축 모드 송신 방식 적용에 따라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송신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겹치는 슬롯뿐만 아니라, 이 DPCCH 프리엠블과 관련되는 송신 단위 전체에 대하여 DPCCH 및 나머지 채널 신호도 모두 송신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DPCCH 프리엠블과 DPCCH 신호, 나머지 DPCCH 포스트엠블, E-DPDCH 및 E-DPCCH를 모두 송신하지 않는다.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송신이 없는 후 송신되는 긴 길이의 DPCCH 프리엠블을 통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기 위한 제어 정보와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 등이 송신된다 .따라서 긴 길이의 DPCCH 프리엠블을 올바르게 수신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향링크 동기 수립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런 경우 데이터 송수신에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HS-DPCCH(High Speed-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의 불연속 송신과 관련되는 사용자 기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HS-DPCCH의 불연속 송신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HS-DPCCH는 하향링크 HS-DSCH(High Speed-Downlink Shared Channel) 송신과 관련되는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가 송수신되는 채널이다. HS-DSCH 관련 피드백 신호는 HARQ 확인(ACK/NACK) 및 채널 품질 지시(Channel Quality Indication) 정보를 포함한다.
HS-DPCCH를 송신할 때 상술한 E-DCH와 마찬가지로 수신 단 예를 들어, 노드 B(node-B)에서 HS-DPCCH의 검출 또는 채널 추정에 이용하여 HS-DPCCH 복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돕기 위해서 DPCCH(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도 함께 송신한다. 즉, DPCCH를 통해서 채널 추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파일럿을 포함하여 전력 제어 및 필요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도 HS-DPCCH 및 DPCCH는 동시에 송신될 수 있으며, 각각 서로 다른 코드를 사용하여 다중화가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사용자 기기는 HS-DPCCH을 송신하기에 앞서 먼저 DPCCH 송신을 개시한다. 다시 말해서 DPCCH 송신을 개시하고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수의 슬롯을 송신한 후에 HS-DPCCH 송신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HS-DPCCH 송신 이전에 먼저 송신되는 DPCCH를 DPCCH 프리엠블 (또는, DPCCH 신호의 프리엠블) 이라고 칭한다. 도 7에서는 DPCCH 프리엠블로 2 개의 슬롯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후 DPCCH 프리엠블로 사용되는 슬롯의 수를 N 이라고 한다.
또한, 사용자 기기는 HS-DPCCH 송신을 완료한 이후에도 DPCCH을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수의 슬롯을 송신한 후에 HS-DPCCH 송신과정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HS-DPCCH 송신 완료 이후 송신되는 DPCCH 신호를 DPCCH 포스트엠블 (또는, DPCCH 신호의 포스트엠블)이라고 칭한다. 도 6에서는 DPCCH 포스트엠블로 1 개의 슬롯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후 DPCCH 포스트엠블로 사용되는 슬롯의 수를 M 이라고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HS-DPCCH 송신 이전 및 이후에 DPCCH 프리엠블 및 DPCCH 포스트엠블을 각각 송신함으로써 수신 단 예를 들어 노드 B에서 HS-DPCCH 검출을 보다 높은 성공 확률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PCCH 송신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HS-DPCCH 송신 이전에 일정 개수 (N)의 슬롯 예를 들어 2 슬롯만큼 먼저 DPCCH 프리엠블이 송신되고, HS-DPCCH 송신 이후 일정 개수 (M)의 슬롯 예를 들어 1 슬롯만큼 DPCCH 포스트엠블이 송신된다. 이와 같이 DPCCH 프리엠블이 송신되면서 시작하고 HS-DPCCH가 송신되고 DPCCH 포스트엠블이 송신되고 종료되는 일 과정을 일 송신 단위로 볼 수 있다. 도 6에서 왼쪽에 도시되는 일 송신 단위를 제1 송신 단위 도 6에서 오른쪽에 도시되는 일 송신 단위를 제2 송신 단위로 칭한다.
이 경우 제1 송신 단위와 제2 송신 단위 사이에 일정 불연속 구간(DTX interval)이 설정되며 불연속 구간 동안에는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후 불연속 구간이 종료되면 다시 DPCCH 프리엠블이 송신되면서 HS-DPCCH가 송신되고 DPCCH 포스트엠블이 송신됨으로써 일 송신 단위의 데이터 송신이 종료된다.
이때 상술한 E-DCH의 불연속 송신 방식과 비교하면 상술한 E-DCH의 불연속 송신 방식에서는 DPCCH 프리엠블이 송신되는 2 개의 슬롯의 바로 다음 슬롯 시작부터 E-DPDCH와 E-DPCCH가 송신되지만, HS-DPCCH의 불연속 송신 방식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PCCH 프리엠블이 송신되는 슬롯 바로 다음 슬롯의 중간 정도부터 HS-DPCCH가 송신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DPCCH 포스트엠블 송신에 있어서도, 상술한 E-DCH의 불연속 송신 방식에서는 DPCCH 포스트엠블의 슬롯이 시작되는 타이밍 직전까지 E-DPDCH와 E-DPCCH가 송신되지만 HS-DPCCH의 불연속 송신 방식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되는 DPCCH 포스트엠블 슬롯 이전 슬롯의 중간 정도까지만 HS-DPCCH가 송신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중간 정도라고 함은 슬롯의 시작과 끝 사이의 임의의 지점을 지칭하는 것이다.
상술한 HS-DPCCH의 불연속 송신 방식과 압축 모드 송신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 기기에서 HS-DPCCH을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HS-DPCCH 송신에 있어서 압축 모드 송신 방식과 불연속 송신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HS-DPCCH 송신을 위해 HS-DPCCH이 송신되고 HS-DPCCH와 함께 DPCCH도 송신된다. 또한, 먼저 송신되는 제1 송신 단위와 그 다음에 송신되는 제2 송신 단위에 대한 송신 사이에는 불연속 송신 방식 적용에 따라 불연속 구간(DTX interval)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제1 송신 단위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신이 완료되고 불연속 구간이 지난 후 DPCCH 프리엠블이 송신되면서 제2 송신 단위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신이 개시된다.
이때 제2 송신 단위의 DPCCH 프리엠블의 일부가 압축 모드 송신 방식 적용에 따라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송신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일부 혹은 전체가 겹치는 슬롯에서는 DPCCH 프리엠블을 송신하지 않지만, 나머지 DPCCH 프리엠블과 DPCCH 신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DPPCH 신호는 DPCCH 프리엠블 및 DPCCH 포스트엠블을 제외한 나머지 DPCCH를 통해 전송되는 채널신호를 의미한다) 및 DPCCH 포스트엠블뿐만 아니라 HS-DPCCH도 모두 송신한다.
만약 DPCCH 포스트엠블이 압축 모드 송신 방식 적용에 따라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송신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일부 혹은 전체가 겹치는 슬롯에는 DPCCH 포스트엠블을 송신하지 않지만, DPCCH 프리엠블과 DPCCH 신호 및 나머지 DPCCH 포스트엠블뿐만 아니라 HS-DPCCH도 모두 송신한다.
도 8은 HS-DPCCH 송신에 있어서 압축 모드 송신 방식과 불연속 송신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의 실시예에서와 다르게 DPCCH 프리엠블의 일부가 압축 모드 송신 방식 적용에 따라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송신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겹치는 슬롯뿐만 아니라, 이 DPCCH 프리엠블과 관련되는 송신 단위 전체에 대하여 DPCCH 및 나머지 채널 신호도 모두 송신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이 DPCCH 프리엠블과 관련되는 나머지 DPCCH 프리엠블과 DPCCH 신호, DPCCH 포스트엠블, HS-DPCCH를 모두 송신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만약 DPCCH 포스트엠블이 압축 모드 송신 방식 적용에 따라 송신 제약 구간(CM gap)에 송신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 제약 구간(CM gap) 에 겹치는 슬롯뿐만 아니라 이 DPCCH 프리엠블과 관련되는 송신 단위 전체에 대하여 DPCCH 및 나머지 채널 신호도 모두 송신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DPCCH 프리엠블과 DPCCH 신호, 나머지 DPCCH 포스트엠블, HS-DPCCH를 모두 송신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HS-DPCCH 데이터는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ECS (Error Check Sum)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고, HARQ 동작 또한 수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DPCCH 프리엠블 및 DPCCH 포스트엠블 중 하나이상이 제약 구간(CM gap)에 송신되도록 결정되어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신 단에서 DPCCH 프리엠블 및 DPCCH 포스트엠블의 결여로 인해 발생하는 수신 성능이 감소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상술한 실 시 예들을 통해서는 E-DPDCH/E-DPCCH 및 HS-DPCCH와 DPCCH를 함께 송신하는 경우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외의 다양한 채널 신호에 대해서도 본 명세서 내에 기술된 송신 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본 특허는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개시된 원리들 및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 광의의 범위에 대한 권리를 부여 받기 위함을 알 것이다.
도 1은 압축 모드(Compressed mode) 송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E-DCH의 불연속 송신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E-DCH 송신에 있어서 압축 모드 송신 방식과 불연속 송신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E-DCH 송신에 있어서 압축 모드 송신 방식과 불연속 송신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E-DCH 송신에 있어서 압축 모드 송신 방식과 불연속 송신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HS-DPCCH의 불연속 송신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HS-DPCCH 송신에 있어서 압축 모드 송신 방식과 불연속 송신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HS-DPCCH 송신에 있어서 압축 모드 송신 방식과 불연속 송신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43)

  1. 압축 모드(compressed mode) 송신 방식과 불연속 송신(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방식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채널신호의 검출에 이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채널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신호의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송신 구간이 상기 압축 모드 송신 방식에 따라 신호 송신을 할 수 없는 송신 제한 구간과 일부 겹치는 경우 상기 송신 제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송신 구간에 해당하는 제2 채널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신호의 송신을 개시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1 채널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신호 송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신호는 E-DCH 및 HS-DPCCH 중 하나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제2 채널신호는 DPCCH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신호 송신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신호는 상기 제1 채널신호와 다른 코드를 사용하여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신호 송신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신호의 프리엠블이 동기화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기 위한 긴 길이의 프리엠블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채널신호 및 제2 채널신호를 모두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신호 송신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신호 및 제2 채널신호는 송신/미송신 여부에 대한 신호 송신 패턴에 따라 미송신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신호 송신방법.
  6. 압축 모드(compressed mode) 송신 방식과 불연속 송신(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방식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신호를 송신하는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1 채널신호의 검출에 이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채널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신호의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송신 구간이 상기 압축 모드 송신 방식에 따라 신호 송신을 할 수 없는 송신 제한 구간과 일부 겹치는 경우 상기 송신 제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송신 구간에 해당하는 제2 채널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2 채널신호의 송신을 개시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1 채널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신호는 E-DCH 및 HS-DPCCH 중 하나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제2 채널신호는 DPCCH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8.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불연속송신모드 (DTX mode)의 사용자 기기 (UE)가 압축모드전송영역(CM gap)을 포함하는 소정 프레임에서 제 2 채널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채널신호를 제 1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소정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시작한 후에 상기 제 2 채널을 통해 제 2 채널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널신호는 상기 소정 프레임에서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지 않는 모든 슬롯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신호 전송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이고,
    상기 제 2 채널은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인, 채널신호 전송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은 확장된 전용물리데이터채널 (E-DPDCH) 및 확장된 전용물리제어채널 (E-DPCCH)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채널신호 전송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피드백 정보 (FBI), 전력제어 코맨드 (TPC) 및 전송포맷조합 지시자 (TFC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채널신호 전송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의 프리엠블은,
    상기 제 2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2 슬롯 전에 먼저 전송되는, 채널신호 전송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의 포스트엠블은,
    상기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된 다음 1 슬롯에서 전송되는, 채널신호 전송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는,
    상기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함께 전송되는, 채널신호 전송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인근 셀을 검색하기 위한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신호 전송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 및 상기 제 2 채널신호는 상기 불연속 송신모드에 따라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 불연속송신구간 (DTX interval)으로 구분되는 소정의 송신구간을 통해 전송되는, 채널신호 전송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의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가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면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는 상기 프리엠블 및 상기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는 전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신호 전송방법.
  1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이고,
    상기 제 2 채널은 고속하향링크전용물리제어채널 (HS-DPCCH)인, 채널신호 전송방법.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전용물리데이터채널 (E-DPDCH) 및 상기 확장된 전용물리제어채널(E-DPCCH)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제 2 채널신호는 전용물리채널 전송구간 (E-DCH TTI)에서 전송되는, 채널신호 전송방법.
  20.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불연속송신방식 (DTX)으로 상향링크 채널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기기 (UE)는,
    제 2 채널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채널신호를 압축모드전송영역을 포함하는 소정 프레임에서 제 1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소정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채널신호를 전송한 후에 상기 제 2 채널신호를 제 2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널신호는 상기 소정 프레임에서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을 제외한 모든 슬롯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이고,
    상기 제 2 채널은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인, 사용자 기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은 전용물리데이터채널 (E-DPDCH) 및 확장된 전용물리제어채널(E-DPCCH)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는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을 포함하되,
    상기 프리엠블은 상기 제 2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2 슬롯 전에 먼저 전송되고,
    상기 포스트엠블은 상기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된 다음 1 슬롯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는,
    상기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함께 전송되는, 사용자 기기.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인근 셀 검색을 수행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 및 상기 제 2 채널신호는 상기 불연속송신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불연속송신구간 (DTX interval)으로 구분되는 소정의 송신구간에서 전송되는, 사용자 기기.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채널신호의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가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면,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는 상기 프리엠블 및 상기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는 전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8.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이고,
    상기 제 2 채널은 고속하향링크전용물리제어채널 (HS-DPCCH)인, 사용자 기기.
  29. 무선 접속 시스템의 기지국(node-B)에서 상향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불연속송신모드 (DTX mode)의 사용자 기기 (UE)로부터 압축모드전송영역 (CM gap)을 포함하는 소정 프레임에서 제 2 채널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채널신호를 제 1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소정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채널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제 2 채널을 통해 제 2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널신호는 상기 소정 프레임에서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지 않는 모든 슬롯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신호 수신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이고,
    상기 제 2 채널은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인, 채널신호 수신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은 확장된 전용물리데이터채널 (E-DPDCH) 및 확장된 전용물리제어채널 (E-DPCCH)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채널신호 수신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의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가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면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는 상기 프리엠블 및 상기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는 전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신호 수신방법.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피드백 정보 (FBI), 전력제어 코맨드 (TPC) 및 전송포맷조합 지시자 (TFC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채널신호 수신방법.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의 프리엠블은,
    상기 제 2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2 슬롯 전에 먼저 전송되는, 채널신호 수신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의 포스트엠블은,
    상기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된 다음 1 슬롯에서 전송되는, 채널신호 수신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는,
    상기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함께 전송되는, 채널신호 수신방법.
  37.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 및 상기 제 2 채널신호는 상기 불연속 송신모드에 따라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 불연속송신구간 (DTX interval)으로 구분되는 소정의 송신구간을 통해 전송되는, 채널신호 수신방법.
  38.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불연속송신방식 (DTX)으로 상향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node-B)은,
    제 2 채널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채널신호를 압축모드전송영역을 포함하는 소정 프레임에서 제 1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소정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채널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 2 채널신호를 제 2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널신호는 상기 소정 프레임에서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을 제외한 모든 슬롯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전용물리제어채널 (DPCCH)이고,
    상기 제 2 채널은 전용물리데이터채널 (E-DPDCH) 및 확장된 전용물리제어채널 (E-DPCCH)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확장된 전용채널 (E-DCH)인, 기지국.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채널신호의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가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면, 상기 압축모드전송영역과 겹치는 상기 프리엠블 및 상기 포스트엠블 중 하나의 일부는 전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는 프리엠블 및 포스트엠블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엠블은 상기 제 2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2 슬롯 전에 먼저 수신되고,
    상기 포스트엠블은 상기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된 다음 1 슬롯에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는,
    상기 제 2 채널신호가 전송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함께 전송되는, 기지국.
  43.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신호 및 상기 제 2 채널신호는 상기 불연속송신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불연속송신구간 (DTX interval)으로 구분되는 소정의 송신구간에서 수신되는, 기지국.
KR1020070080312A 2007-02-02 2007-08-0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송신 방법 Active KR100934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76,982 USRE44317E1 (en) 2007-02-02 2008-02-02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2/524,529 US8040846B2 (en) 2007-02-02 2008-02-02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2008800039076A CN101627655B (zh) 2007-02-02 2008-02-04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传输控制信道的方法
EP08712324A EP2084933B1 (en) 2007-02-02 2008-02-04 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X2009008299A MX2009008299A (es) 2007-02-02 2008-02-04 Un metodo para transmitir un canal de control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movil.
ES08712324T ES2375853T3 (es) 2007-02-02 2008-02-04 Método para transmitir un canal de control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móvil.
JP2009548166A JP4906008B2 (ja) 2007-02-02 2008-02-04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チャネル送信方法
BRPI0807061A BRPI0807061B1 (pt) 2007-02-02 2008-02-04 método de transmissão de um sinal de canal de uplink em sistema de acesso via rádio
AT08712324T ATE530044T1 (de) 2007-02-02 2008-02-04 Verfahren zur übertragung eines kontrollkanals in einem mobilkommunikationssystem
PCT/KR2008/000673 WO2008094023A2 (en) 2007-02-02 2008-02-04 Methods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2009121455/08A RU2432687C2 (ru) 2007-02-02 2008-02-04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в системе подвижной связи
GB0910564.4A GB2463749B (en) 2007-02-02 2008-02-04 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201310014574.XA CN103188812B (zh) 2007-02-02 2008-02-04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传输控制信道的方法
US12/651,949 US7894398B2 (en) 2007-02-02 2010-01-04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12000667A JP5319793B2 (ja) 2007-02-02 2012-01-05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チャネル送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806007P 2007-02-02 2007-02-02
US60/888,060 2007-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498A KR20080072498A (ko) 2008-08-06
KR100934664B1 true KR100934664B1 (ko) 2009-12-31

Family

ID=3988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312A Active KR100934664B1 (ko) 2007-02-02 2007-08-0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8040846B2 (ko)
EP (1) EP2084933B1 (ko)
JP (2) JP4906008B2 (ko)
KR (1) KR100934664B1 (ko)
CN (2) CN103188812B (ko)
AT (1) ATE530044T1 (ko)
BR (1) BRPI0807061B1 (ko)
ES (1) ES2375853T3 (ko)
GB (1) GB2463749B (ko)
MX (1) MX2009008299A (ko)
RU (1) RU2432687C2 (ko)
WO (1) WO20080940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2083A1 (en) * 2007-07-16 2009-01-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synchronizing frame in mmr network
WO2009088219A2 (en) * 2008-01-07 200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hanced rach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4019181A1 (zh) 2012-08-01 2014-02-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信道传输方法及装置
EP2944150B1 (en) * 2013-01-10 2020-08-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hich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EP3110213B1 (en) * 2014-03-18 2018-01-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8432326B (zh) * 2016-01-07 2021-12-31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窄带物联网的时间非连续传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0786A1 (en) * 1999-05-12 2000-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upporting a discontinuous transmission mode in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0074289A1 (en) * 1999-05-29 2000-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outer-loop power control while in dtx mode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81566A (ko) * 2004-02-14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압축 모드에 따른 복합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KR20060053077A (ko) * 2004-11-13 200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압축 모드를 고려하여 스케쥴링을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06102B (ko) * 1993-06-14 1997-05-21 Ericsson Telefon Ab L M
US5883899A (en) * 1995-05-01 1999-03-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de-rate increased compressed mode DS-CDMA systems and methods
DE19956492A1 (de) * 1999-11-24 2001-05-31 Siemens Ag Verfahren zum Abbilden von Formatkennungs-Bits auf einen in einem Komprimiermodus zu sendenden Rahmen
KR100464485B1 (ko) 2000-11-09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무선 패킷 데이터의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JP3462476B2 (ja) 2001-03-28 2003-11-05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
US6785250B2 (en) 2001-07-09 2004-08-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sharing channelization code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791997B2 (en) 2001-08-25 2004-09-14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free transmission scheduling using neighborhood information and advertised transmission times
JP3576525B2 (ja) * 2001-11-09 2004-10-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ケジュール作成装置、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945613B1 (ko) 2002-02-15 2010-03-04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데이터 전달 방법
US6925095B2 (en) 2002-04-16 2005-08-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7116651B2 (en) 2002-09-20 2006-10-0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S-DPCCH signalling with activity information in HSDPA
JP4175510B2 (ja) 2003-08-29 2008-11-05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体端末、無線中継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
US7680094B2 (en) * 2003-09-29 2010-03-16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aligning physical channels for uplink transmission
CN100474961C (zh) 2003-09-30 2009-04-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发送压缩模式中的下行传播路径质量信息的方法和装置
US7400643B2 (en) * 2004-02-13 2008-07-15 Broadcom Corporation Transmission of wide bandwidth signals in a network having legacy devices
WO2005125049A1 (ja) * 2004-06-18 2005-1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通信端末装置、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送信電力導出方法
US7580386B2 (en) 2005-04-19 2009-08-25 Intel Corporation Cooperative scheduling of master and slave base station transmissions to provide coexistence between networks
US7813312B2 (en) * 2005-05-06 2010-10-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transmissions loss
US9301318B2 (en) * 2006-01-20 2016-03-29 Nokia Technologies Oy Random access procedure with enhanced coverage
US8565195B2 (en) 2006-08-21 2013-10-2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providing support for packet data user continuous uplink connectivity
US8094554B2 (en) 2006-10-26 2012-01-10 Qualcomm Incorporated Compressed mode operation and power control with discontinuous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0786A1 (en) * 1999-05-12 2000-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upporting a discontinuous transmission mode in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0074289A1 (en) * 1999-05-29 2000-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outer-loop power control while in dtx mode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81566A (ko) * 2004-02-14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압축 모드에 따른 복합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KR20060053077A (ko) * 2004-11-13 200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압축 모드를 고려하여 스케쥴링을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807061B1 (pt) 2020-04-28
EP2084933A2 (en) 2009-08-05
RU2432687C2 (ru) 2011-10-27
USRE44317E1 (en) 2013-06-25
CN101627655B (zh) 2013-11-13
CN101627655A (zh) 2010-01-13
US20100061303A1 (en) 2010-03-11
GB2463749A (en) 2010-03-31
GB2463749B (en) 2011-12-14
CN103188812A (zh) 2013-07-03
JP4906008B2 (ja) 2012-03-28
CN103188812B (zh) 2016-08-10
EP2084933B1 (en) 2011-10-19
JP5319793B2 (ja) 2013-10-16
ES2375853T3 (es) 2012-03-06
JP2012100327A (ja) 2012-05-24
KR20080072498A (ko) 2008-08-06
US7894398B2 (en) 2011-02-22
ATE530044T1 (de) 2011-11-15
MX2009008299A (es) 2009-08-24
WO2008094023A2 (en) 2008-08-07
US20100103881A1 (en) 2010-04-29
EP2084933A4 (en) 2010-07-28
WO2008094023A3 (en) 2009-09-11
JP2010518678A (ja) 2010-05-27
BRPI0807061A2 (pt) 2015-06-02
GB0910564D0 (en) 2009-07-29
US8040846B2 (en) 2011-10-18
RU2009121455A (ru)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2265B1 (en) Synchronized interference mitigation scheme fo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EP232828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gated transmission of a dedicated channel in a W-CDMA communication system
US7403789B2 (en) Synchronization establishment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system and method used for them
DK2234451T3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communications in wireless systems
US72309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scheme and power saving mode for user equipment in packet access mode
US8521205B2 (en) Preamble length for discontinuous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US9088940B2 (en) Method for facilitating synchronisation between a communications network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operating in a CPC DTX mod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87808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s
KR100934664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송신 방법
KR20110020151A (ko) 채널 품질 지시자 전송 방법
CN105472697A (zh) 无线通信系统中发信号通知业务模式转换的方法
TWI427978B (zh) 多重時槽封包資料傳輸方法
CN101026432B (zh) 基于高速分组信道的分组数据业务传输方法及其系统
CN102149121B (zh) Td-scdma系统中用户终端检测非连续发射方法及用户终端
EP29639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edicated channel
US20150382330A1 (en) Channel Configu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JP4099758B2 (ja) 送信電力制御システム
CN120415654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01202574A (zh) 移动通信系统、移动终端、控制程序和发送功率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1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8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