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843B1 - Hanok Structure with Fire Protection - Google Patents
Hanok Structure with Fire Prot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8843B1 KR100938843B1 KR1020080039482A KR20080039482A KR100938843B1 KR 100938843 B1 KR100938843 B1 KR 100938843B1 KR 1020080039482 A KR1020080039482 A KR 1020080039482A KR 20080039482 A KR20080039482 A KR 20080039482A KR 100938843 B1 KR100938843 B1 KR 100938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extinguishing material
- house body
- roof body
- roof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방재 기능을 갖는 한옥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한옥 구조물은 다수개의 기둥들과 일정의 거주 공간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벽체들로 이루어지는 지지부를 갖는 가옥 몸체와, 상기 가옥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붕체와, 상기 가옥 몸체와 상기 지붕체의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기둥들에 끼워져 설치되는 소화물질 공급관을 통하여 소화 물질을 유입시키어 상기 거주 공간 또는 상기 지붕체에 분사하여 상기 가옥 몸체 또는 상기 지붕체를 소화시키는 소방 방재 설비를 구비함으로써, 목재로 건축되는 한옥 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거주 공간 및 지붕체에 발생되는 화재를 단시간에 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화 물질을 공급하는 배관을 기둥 또는 지붕체에 설치하여 문화재와 같이 목재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외형적 보존 가치를 손상하지 않고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다.
한옥, 소방, 방재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ok structure having a fire protection function. The hanok structure comprises a house body having a plurality of pillars and a support bod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alls to form a predetermined living space, a roof body disposed above the house body, and a fire of the house body and the roof body.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for detecting and extinguishing the house body or the roof body by inject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through th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pipe installed to be fitted to the pillars and spraying the living space or the roof body, When a fire occurs in a Hanok structure, it can quickly detect fires in residential spaces and roofs in a short time, and install pipes to supply fire extinguishing materials to columns or roofs, such as cultural assets. Facilitate fire without compromising the apparent preservation value of structures built of wood. Can suppressors.
Hanok, firefighting, disaster preven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방 방재 기능을 갖는 한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로 건축되는 한옥 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거주 공간 및 지붕체에 발생되는 화재를 단시간에 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화 물질을 공급하는 배관을 기둥 또는 지붕체에 설치하여 문화재와 같이 목재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외형적 보존 가치를 손상하지 않고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는 소방 방재 기능을 갖는 한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ok structure having a fire-fighting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fire occurs in a hanok structure constructed of wood, it is possible to quickly extinguish a fire generated in a living space and a roof in a short tim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pipes to supply fire extinguishing materials on pillars or roofs to provide a fire protection system that can easily extinguish fires without compromising the external preservation value of structures constructed of wood such as cultural assets. It is about.
전형적으로, 오랜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는 탑(塔), 사찰(寺刹), 각(閣), 종(鐘)과 같은 많은 문화재가 전국 각지에 산재해 있는데, 특히 산세가 험한 산중에 사찰이 자리 잡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사찰에는 많은 문화재들이 보전되고 있다.Typically, Korea has a long history in which many cultural assets such as pagoda, temples, temples, and bells are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In many cases, many cultural assets are preserved in these temples.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건축 문화재인 탑, 사찰, 각 등은 그 건축 재료가 대부분 목재로 이루어진다.Tower, temples and temples, which represent Korea's architectural cultural assets, are mostly made of wood.
따라서, 산불과 같은 화재 발생시 산불이 문화재에 옮겨 붙어 소중한 문화재 가 소실될 우려가 많은 실정이다.Therefore, when a fire such as a forest fire occurs, the forest fire is transferred to the cultural property,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precious cultural property is lost.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문화재의 소재 위치 및 미관상으로 소방 장비의 설치는 사실상 불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a lot of effort is put into disaster prevention so that a fire does not occur for the above reasons, installation of firefighting equipment is practically impossible due to the location and aesthetics of cultural assets.
즉, 대형 문화재가 위치한 곳은 대부분 산림 지역이기 때문에 소방차와 같은 대형 소방 장비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진화에 어려움이 있다.That is, since most of the large cultural assets are located in the forest area, large firefighting equipment such as fire trucks are not easily accessible, and thus there is difficulty in extinguishing.
따라서, 산불과 같은 화재 발생시 불이 문화재에 옮겨 붙지 않도록 진화해야 하지만, 종래의 화재에 대한 대비는 현실적으로 문화재 주변에 소화기 정도를 비치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화재 발생시 진화가 어렵고, 방재를 위하여 관리인이 상시 머물 수가 없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빠른 대응을 할 수 없어 문화재가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event of a fire such as a wildfire, the fire must be evolved so as not to be transferred to the cultural property, but the preparation for the conventional fire is only a degree of extinguishers in the vicinity of the cultural proper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ltural property is lost because it is unable to respond quickly in case of fi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로 건축되는 한옥 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거주 공간 및 지붕체에 발생되는 화재를 단시간에 소화할 수 있는 소방 방재 기능을 갖는 한옥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quickly detect when a fire occurs in the hanok structure is built of wood in a short time to detect the fire generated in the living space and roof body It is to provide a hanok structure having a fire fighting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that can be extinguish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화 물질이 공급되는 배관을 기둥 또는 지붕체에 설치하여 문화재와 같이 목재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외형적 보존 가치를 손상하지 않고 화재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소방 방재 기능을 갖는 한옥 구조물을 제공함 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pipe to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to the pillar or roof body Hanok having a fire protection function that can easily solve the fire without compromising the external preservation value of the structure built of wood, such as cultural assets To provide a structure.
본 발명의 소방 방재 기능을 갖는 한옥 구조물은 다수개의 기둥들과 일정의 거주 공간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벽체들로 이루어지는 지지부를 갖는 가옥 몸체와, 상기 가옥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붕체와, 상기 가옥 몸체와 상기 지붕체의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기둥들에 끼워져 설치되는 소화물질 공급관을 통하여 소화 물질을 유입시키어 상기 거주 공간 또는 상기 지붕체에 분사하여 상기 가옥 몸체 또는 상기 지붕체를 소화시키는 소방 방재 설비를 포함한다.Hanok structure having a fire prot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e body having a plurality of pillars and the support bod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alls to form a predetermined living space, a roof body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e body, the house body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that detects the fire of the roof, and extinguish the extinguishing material through th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pipe is inserted into the pillars and sprayed into the living space or the roof body to extinguish the house body or the roof body It includes.
여기서, 상기 소방 방재 설비는 일정량의 소화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와, 상/하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기둥들에 끼워져 설치되는 상기 소화물질 공급관과, 상기 저장 탱크와 상기 소화물질 공급관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소화물질 공급관의 타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가옥 몸체의 상부를 따라 상기 거주 공간의 상부에 위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어 소화 물질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들과, 상기 가옥 몸체와 상기 지붕체의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저장 탱크의 소화 물질을 분사 노즐들을 통하여 분사시키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e protection equipment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for storing a certain amount of extinguishing material, th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pipe is inserted into the pillars so that the upper / lower end is exposed, and one end of the storage tank and th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pipe And one or more spray pipes branched from the other end of th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pipe and positioned above the living body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e body,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pray pipe to spray extinguishing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have a spray module, and a control module for detecting the fire of the house body and the roof body to spray the extinguishing material of the storage tank through the spray nozzles.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공급 펌프와, 상기 거주 공간 또는 상기 지붕체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공급 펌프를 구동시키어 상기 소화 물질을 상기 분사 노즐들을 통하여 분사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supply pump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ipe, a detector for detecting a fire generated in the living space or the roof, and the supply pump if the fire is detected at the detector to drive the extinguishing material. It is preferred to have a controller for injecting through the spray nozzles.
또한, 상기 감지기는 연기 감지기 또는 열 감지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tector is preferably either a smoke detector or a heat detector.
또한, 상기 지붕체와 상기 거주 공간의 사이에는 격자 구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반자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ate-shaped half-shape having a lattice structure is provided between the roof body and the living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저장 탱크는 지상에 상부가 노출되도록 설치 되는 깔대기 형상의 집수 장치와 연통되고, 상기 가옥 몸체의 주변 지상에는 일정 깊이의 하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수로는 상기 집수 장치와 연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unnel-shaped water collecting device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exposed to the ground, a sewer of a certain depth is formed on the ground around the house body, the sew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collecting device Can be.
본 발명은 목재로 건축되는 한옥 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거주 공간 및 지붕체에 발생되는 화재를 단시간에 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quickly detecting when a fire occurs in the hanok structure built of wood to extinguish the fire generated in the living space and the roof in a short time.
또한, 본 발명은 소화 물질이 공급되는 배관을 기둥 또는 지붕체에 설치하여 문화재와 같이 목재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외형적 보존 가치를 손상하지 않고 화재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solved without damaging the external preservation value of the structure that is built of wood, such as cultural assets by installing the pipe to which the extinguishing material is supplied to the column or the roof.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소방 방재 기능을 갖는 한옥 구조물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a hanok structure having a fire prot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소방 방재 기능을 갖는 한옥 구조물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노즐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anok structure having a fire prot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pray nozz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소방 방재 기능을 갖는 한옥 구조물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 1, it will be described an example of the hanok structure having a fire prot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한옥 구조물은 지면을 기준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기둥들(111)과 일정의 거주 공간(a)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벽체들(112)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10)를 갖는 가옥 몸체(100)와, 상기 가옥 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붕체(200)와, 상기 가옥 몸체(100)와 상기 지붕체(200)의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110)를 통하여 소화 물질을 유입시키어 상기 거주 공간(a) 또는 상기 지붕체(200)에 분사하여 상기 가옥 몸체(100) 또는 상기 지붕체(200)를 소화시키는 소방 방재 설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옥 구조물의 지지부(110)는 일반적으로 상기 기둥들(111)에는 길이 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에 상기 벽체들(112)이 끼워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hanok structure is a
At this time, the support 110 of the hanok structure is generally formed in the
여기서, 상기 지붕체(200)와 상기 거주 공간(a)의 사이에는 격자 구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반자(120)가 설치된다.Here, a plate-shaped half-
상기 소방 방재 설비는 일정량의 소화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300)와, 상/하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기둥들(111)의 끼움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소화물질 공급관(321)과, 상기 저장 탱크(300)와 상기 소화물질 공급관(321)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311)과, 상기 소화물질 공급관(321)의 타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가옥 몸체(100)의 상부를 따라 상기 거주 공간(a)의 상부에 위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분사관(331)과, 상기 분사관(331)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어 소화 물질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들(341)과, 상기 가옥 몸체(100)와 상기 지붕체(200)의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저장 탱크(300)의 소화 물질을 분사 노즐들(341)을 통하여 분사시키는 제어 모듈(400)로 구성된다. The fire prevention disaster prevention facility is a
상기 제어 모듈(400)은 상기 연결관(311)에 설치되는 공급 펌프(410)와, 상기 거주 공간(a) 또는 상기 지붕체(200)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420)와, 상기 감지기(420)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공급 펌프(410)를 구동시키어 상기 소화 물질을 상기 분사 노즐들(341)을 통하여 분사시키는 제어기(430)로 구성된다.The
상기 감지기(430)는 연기 감지기 또는 열 감지기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상기 연기 감지기와 열 감지기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다음은, 상기의 소방 방재 설비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 fire protection equipment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감지기(420)는 거주 공간(a)과 지붕체(200)의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열 감지기는 거주 공간(a) 또는 지붕체(200)의 온도를 감지하고, 연기 감지기는 화재로 인한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1 and 3, the
이와 같이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감지기(420)는 제어기(43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한다.As such, when a fire occurs, the
이어, 상기 제어기(430)는 공급 펌프(410)를 작동시킨다. 상기 공급 펌프(410)는 저장 탱크(300)에 저장되는 빗물 또는 물과 같은 소화 물질을 연결관(311)을 통하여 소화물질 공급관(321)으로 유동시킨다.The
이때, 소화물질 공급관(321)은 기둥(111)의 끼움홈 내부에서 기둥(111)을 따라 삽입 설치되기 때문에, 기둥(111)의 외부에서는 상기 소화물질 공급관(321)이 보이지 않는다.At this time, since the extinguishing
이와 같이 소화물질 공급관(321)으로 유동되는 소화 물질은 반자(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분사관(331)으로 유동되고, 분사관(331)으로 유동되는 소화 물질은 분사관(331)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분사 노즐들(341)을 통하여 분사된다.In this way, the extinguishing material flowing into the extinguishing
이때, 상기 분사 노즐(341)의 분사 방향은 반자(120)의 저부 즉 거주 공간(a)을 향할 수도 있고, 반자(120)의 상부 즉 지붕체(200)를 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방향이 혼용 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따라서, 가옥 몸체(100) 및 지붕체(200)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가옥 몸체(100)의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소화 물질을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 fire occurs in the
이에 더하여, 소화 물질이 유동되는 소화물질 공급관(321)이 기둥(111)의 끼움홈에 내설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소화물질 공급관(321)은 문화재로써의 외형적 가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소화 물질의 공급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tinguish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언급한 한옥 구조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저장 탱크(300)는 지상에 상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깔대기 형상의 집수 장치(500)와 연통되고, 상기 가옥 몸체(100)의 주변 지상에는 일정 깊이의 하수로(510)가 형성되고, 상기 하수로(510)는 상기 집수 장치(500)와 연통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hanok structure mention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the
따라서, 기후의 영향에 의하여 비가 오는 경우에, 빗물은 가옥 몸체(100)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하수로(510)로 유입되고, 이 하수로(510)로 유입되는 빗물은 집수 장치(500)로 유동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rai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weather, the rainwater flows into the
이에 따라, 일정량의 빗물이 집수되면 상기 집수 장치(500)는 상기 빗물을 저장 탱크(300)로 유입시키어 소화수로써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Accordingly, when a certain amount of rainwater is collected, the
도 1은 본 발명의 소방 방재 기능을 갖는 한옥 구조물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anok structure having a fire prot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노즐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pray nozz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가옥 몸체100: house body
110 : 지지부110: support
111 : 기둥111: pillar
112 : 벽체112: wall
200 : 지붕체200: roof body
300 : 저장 탱크300: storage tank
311 : 연결관311 connector
321 : 소화물질 공급관321: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pipe
341 : 분사 노즐341: spray nozzle
삭제delete
400 : 제어 모듈400: control module
500 : 집수 장치500: water collecting unit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39482A KR100938843B1 (en) | 2008-04-28 | 2008-04-28 | Hanok Structure with Fire Prot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39482A KR100938843B1 (en) | 2008-04-28 | 2008-04-28 | Hanok Structure with Fire Protectio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113649A KR20090113649A (en) | 2009-11-02 |
| KR100938843B1 true KR100938843B1 (en) | 2010-01-26 |
Family
ID=4155495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394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8843B1 (en) | 2008-04-28 | 2008-04-28 | Hanok Structure with Fire Prote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38843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70743B1 (en) | 2022-11-02 | 2023-08-24 | 장원 | A wooden building with firefighting and earthquake-resistance functions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113012A (en) * | 2005-04-29 | 2006-11-02 | 이순채 | Forest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system with wireless alarm system |
-
2008
- 2008-04-28 KR KR1020080039482A patent/KR10093884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113012A (en) * | 2005-04-29 | 2006-11-02 | 이순채 | Forest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system with wireless alarm system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70743B1 (en) | 2022-11-02 | 2023-08-24 | 장원 | A wooden building with firefighting and earthquake-resistance function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113649A (en) | 2009-11-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828069B2 (en) | Fire extinguishing roof soaker | |
| US20140209330A1 (en) | Automated wildfire prevention and protection system for dwellings, buildings, structures and property | |
| KR101162065B1 (en) | Prevent combustion spread system of building facade | |
| KR102570743B1 (en) | A wooden building with firefighting and earthquake-resistance functions | |
| AU2022202542A1 (en) | Preserving Buildings and Other Assets from Bushfires | |
| KR101050817B1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embedded in the roof by inclined straight pipe arrangement | |
| KR101331616B1 (en) | Ground water layer tower for forest fire prenention | |
| KR100938843B1 (en) | Hanok Structure with Fire Protection | |
| KR20140046773A (en) | Ground water supply system for forest fire prenention using ground water layer | |
| KR102082567B1 (en) | Fire Protection System of Building | |
| KR101700136B1 (en) | Apparatus for ejecting fire | |
| US20140374127A1 (en) | System for self-protection against forest fires in an urban forest interface | |
| US7165626B2 (en) | Fire prevention fence | |
| KR100932322B1 (en) | Water film facility system to protect building from surrounding fire | |
| KR100968064B1 (en) | Disaster Prevention Fire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 |
| KR101157403B1 (en) | System for extinguishing fire of the outside | |
| JP2000282623A (en) | Column for building and sprinkler fire extinguishing facility using column | |
| JP3357923B2 (en) | Fire fighting system | |
| US6719214B1 (en) | Fire-extinguishing device | |
| KR100990476B1 (en) | Fire Extinguisher of Wooden Roof | |
| EP1844819A1 (en) | Room fire extinguisher column | |
| KR200419164Y1 (en) | Forest fire prevention device | |
| KR100383899B1 (en) | Forest fire prevention device | |
| KR100689777B1 (en) | Forest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system with wireless alarm system | |
| CN207076045U (en) | A kind of depot fire-fighting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
|
| B701 | Decision to grant |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1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12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