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9029B1 -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 설정을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 설정을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029B1
KR100939029B1 KR1020080023306A KR20080023306A KR100939029B1 KR 100939029 B1 KR100939029 B1 KR 100939029B1 KR 1020080023306 A KR1020080023306 A KR 1020080023306A KR 20080023306 A KR20080023306 A KR 20080023306A KR 100939029 B1 KR100939029 B1 KR 100939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t
maximum
absolute
scheduling
absolute gr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4675A (ko
Inventor
리-치 쳉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8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0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04L1/000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involving special memory structures, e.g. look-up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5Adaptation of specific ARQ protocol parameters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 중 서빙그랜트 설정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을 제공하여, 상대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먼저 수신된 절대 그랜트 메시지에 의해 결정되는 참고치를 근거로 서빙그랜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그랜트를 설정하기 전,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 설정을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improving configurations of serving grants for a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serving grant) 설정을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6 직교진폭변조(16QAM) 또는 더 높은 변조성능을 구비한 고속업링크 패킷액세스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 설정을 개선하는 방법 및 그 관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의 무선액세스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고도의 주파수 스펙트럼 이용 효율, 거리에 상관없는 커버율 및 고품질, 고속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동시에, 각종 상이한 QoS 서비스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탄력성을 구비한 다양화된 양방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비교적 우수한 통신 품질을 제공하여, 통신 중단률을 효과적으로 낮추었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는 무선통신장치(예를 들어 핸드폰)로 실시간 영상통 신, 전화 회의(Conference Call), 실시간 게임, 온라인 음악방송, 전자메일 송수신 등이 가능해졌다. 그런데 이러한 기능들은 반드시 신속한 실시간 전송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3세대 이동통신기술에 대해서 종래에는 고속 다운링크패킷액세스 기술(High Speed Downlink Package Access, HSDPA) 및 고속 업링크패킷엑세스 기술(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HSUPA)을 제공하여 광대역의 사용효율 및 패킷 데이터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의 전송속도를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그 중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은 시스템의 상행 네트워크성능을 향상시켜, 전송에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를 신속하게 재전송할 수 있음으로써 전송 지연을 감소시키고, 또한 채널 품질의 상태를 근거로 전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전송률 제어」를 실현하기 위하여,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은 기지국 스케쥴링(NodeB Scheduling),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기술(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 및 쇼트 프레임 전송(Short Frame Transmission) 등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대응하여,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서는 향상된 전용전송채널(Enhanced Dedicated Transport Channel, E_DCH)을 정의하여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의 운행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향상된 전용 전송채널은 새로운 물리층 채널인 E-HICH, E-RGCH, E-AGCH, E-DPCCH, E-DPDCH를 도입하여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확인정보(ACK/NACK),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Uplink Scheduling Information), 제어평면(Control Plane) 정보 및 사용자 평면(User Plane) 정보 등 을 전송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정의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에서 제정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 통신 프로토콜 규범(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25.321 V7.3.0을 참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기지국의 신속한 스케쥴링 메커니즘을 통하여, 기지국은 그 신호 전송 범위 내(Cell)의 사용자장치의 전송률, 즉 서빙그랜트(Serving Grant)를 제어하여 사용자장치가 업링크하는 전송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엑세스제어 통신프로토콜 규범에서 알 수 있듯이, 네트워크터미널은 향상된 전용채널 상대 그랜트 정보채널(E-DCH Relative Grant Channel, E-RGCH) 및 향상된 전용채널 절대 그랜트 정보채널(E-DCH Absolute Grant Channel, E-AGCH)을 통하여, 상대 그랜트(Relative Grant) 정보 및 절대 그랜트(Absolute Grant) 정보를 사용자장치로 송출함으로써 사용자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전송률을 제어한다.
그 중 상대 그랜트 정보는 하나의 상태변수 reference_ETPR(즉 이전의 서빙그랜트로서, 상세한 정의는 상기 미디어엑세스제어 통신프로토콜규범을 참조한다)을 참고치로 삼고, 이와 대응되도록 사용자장치의 서빙그랜트를 조정하며, 이는 서빙 상대 그랜트(Serving Relative Grant) 정보 및 논-서빙 상대 그랜트(Non-serving Relative Grant) 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서빙 상대 그랜트 정보는 업로드 데이터 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링크세트(Radio Link Set, RLS) 중 주로 상기 사용자장치의 전송량을 제어하는 기지국(이하 서비스 기지국이라 칭함)에 의해 발송되어, 세 가지 명령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사용자장치의 서빙그랜트를 조정함으로 써 무선리소스 사용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세 가지 명령은 각각 「업」(UP), 「다운」(DOWN) 및 「홀드」(HOLD)이며, 또한 동일한 시간에는 한 가지 명령만 존재한다. 논-서빙 상대 그랜트 정보는 즉 상기 사용자장치의 전송량을 제어하지 않는 인근의 기지국(이하 비서비스 기지국이라 칭함)에 의해 발송되어, 사용자장치의 서빙그랜트를 조정함으로써 시스템에 과부하(Overload)가 발생되는 상황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며, 그 명령은 「다운」 및 「홀드」를 포함한다.
이 밖에, 사용자장치 중 별도로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Scheduling Grant Table, SG-Table)을 배치하여, 사용자장치가 상대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서빙그랜트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상태변수 reference_ETPR 중 대응되는 이전의 서빙그랜트를 스케줄링 그랜트 지표로 전환하고, 나아가 상대 그랜트 메시지 중에 휴대되는 명령을 근거로 다음번에 전송되는 서빙그랜트를 조정한다. 상기 미디어액세스제어 통신 프로토콜 규범에 따르면, 사용자장치가 서빙그랜트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반드시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에서 이전의 서빙그랜트(즉 상태변수 referece_ETPR)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스케줄링 그랜트 및 그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그랜트 지표를 선택하여 다음번에 전송하는 서빙그랜트를 업데이트할 근거로 사용해야 한다.
이와 비교하여, 절대 그랜트 정보는 직접 사용자장치의 전송률값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는 1차(Primary) 및 2차(Secondary)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1차 절대 그랜트 정보를 통하여, 기지국은 그 서비스 범위 내의 어느 특정한 사용자장치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으며, 2차 절대 그랜트 정 보를 통하여, 기지국은 어느 한 그룹의 사용자장치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동시에 제어하여 필요한 시그널링 전송을 절약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장치 중에도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배치하여, 사용자장치가 절대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절대 그랜트 메시지 중에 휴대되는 절대 그랜트 지표를 근거로 사용자장치가 다음번에 전송할 서빙그랜트(또는 전송률값)를 설정하는데 제공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상기 미디어액세스제어 통신 프로토콜 규범 중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및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추가하여, 16 직교진폭변조(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16QAM) 성능을 구비한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시스템을 지원하는데 사용함으로써, 사용가능한 서빙그랜트 범위를 확장하여 시스템의 리소스 전송 효율을 대폭 향상시켰다는 점이다.
그런데,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 중의 최대 절대 그랜트가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의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보다 크기 때문에, 사용자장치가 상대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서빙그랜트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어떤 상황에서는 예기치 못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사용자장치가 어느 한 전송시간 간격(Transmit Time Interval, TTI) 동안 최대 절대 그랜트를 갖는 절대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사용자장치는 다음번에 전송되는 서빙그랜트를 상기 최대 절대허용치(본 예에서는 (377/15)2×4)로 설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이를 상태변수 reference_ETPR 중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만약 사용자장치가 상대 그랜 트 메시지(일반적으로 「다운」(DOWN))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장치는 반드시 서빙그랜트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다음 번에 전송되는 서빙그랜트를 이에 대응하도록 조정해야 한다. 그런데 상태변수 reference_ETPR 중에 저장된 이전의 서빙그랜트가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최대치(즉(376/15)2× 4)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장치는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 이전의 서빙그랜트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스케줄링 그랜트 및 그와 대응되는 스케줄링 그랜트 지표를 선택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음번에 전송되는 서빙그랜트는 정확하게 설정될 수 없으며, 또한 소프트웨어 에러를 초래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 설정을 개선하는 방법 및 관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 설정을 개선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을 제공하여, 상대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절대 그랜트에 의해 결정되는 참고치를 근거로 서빙그랜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그랜트를 설정하기 전,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높은 변조성능을 구비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서빙그랜트의 설정을 개선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개시한다. 이 통신장치는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쓰이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을 제공하여, 상대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절대 그랜트에 의해 결정되는 참고치를 근거로 서빙그랜트를 설정하는 수단; 및 상기 서빙그랜트를 설정하기 전,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 중 서빙그랜트 설정을 개선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과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제공하여,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의 최대치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의 최대치로 설정하고, 또한 16직교진폭변조를 활성화할 때,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과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높은 변조성능을 구비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서빙그랜트의 설정을 개선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개시한다. 이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쓰이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과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제공하여,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의 최대치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의 최대치로 설정하고, 또한 16직교진폭변조를 활성화할 때,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과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사용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빙그랜트를 설정하기 전에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여, 상대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할 때 서빙그랜트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실행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에러를 초래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도 1에서는 무선통신장치(100)의 입력장치(102), 출력장치(104), 제어회로(106), 중앙처리장치(108), 메모리장치(110), 프로그램코드(112) 및 송수신기(114)만 표시하였다. 무선통신 장치 중에서 제어회로(106)는 중앙처리장치(108)를 통하여 메모리장치(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112)를 실행시키고, 나아가 무선통신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며, 이는 입력장치(102)(예를 들어 키보드)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출력장치(104)(예를 들어 모니터, 스피커 등)를 통하여 영상이나 음성 등 신호를 출력한다. 송수신기(114)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발송하는데 사용되며, 수신한 신호를 제어회로(106)로 전송하거나, 혹은 제어회로(106)에서 형성된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통신프로토콜의 구조로 말하면, 송수신기(114)는 제1층의 일부로 볼 수 있고, 제어회로(106)는 제2층 및 제3층의 기능을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무선통신장치(100)는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2는 도 1 중의 프로그램코드(112)의 설명도이다. 프로그램코드(112)는 응용프로그램층(200), 제3층 인터페이스(202) 및 제2층 인터페이스(206)를 포함하고, 제1층 인터페이스(218)와 연결된다. 제2층 인터페이스는 두 개의 서브(sub)층이 포함되며, 각각 하나의 무선링크제어유닛(224) 및 미디어 액세스 제어유닛(226)이다. 무선링크제어유닛(224)의 주요 기능은 각기 다른 전송품질 처리를 제공하고, 각기 다른 전송품질의 요구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명령에 대하여 분할(Segmentation), 재조합(Reassembly), 연결(Concatenation), 패딩(Padding), 재전송(Retransmission), 데이터 암호화(Ciphering), 시퀀스 체크(Sequence Check), 중복 검사(Duplicate detection) 등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다. 미디어 액세스 제어유닛(226)은 제3층 인터페이스(무선 리소스 제어층)(202)의 무선 리소스 분배 명령에 따라, 무선링크제어유닛(224)으로부터 나온 상이한 로직 채널(Logic Channel)의 패킷을 보통, 공유 또는 전용 등 성질의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에 대응시킴으로써, 채널 매핑(Channel Mapping), 다중화(Multiplexing), 전송포맷 선택(Transport Format Selection), 랜덤 액세스 제어(Random Access Control) 등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
어떤 활용 상태에서는, 만약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능을 실현시키고자 할 때, 미디어 액세스 제어유닛(226)은 네트워크터미널이 송출하는 상대 그랜트 메시지를 근거로 무선통신장치(100)의 전송률을 조정함으로써, 서빙그랜트(Serving Grant)로 시스템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은 서빙그랜트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한 서빙그랜트 설정 프로그램코드(220)를 제공하여, 소프트웨어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로우(3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플로우(30)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 중 서빙그랜트의 설정을 개선하는데 사용되며, 서빙그랜트 설정 프로그램코드(220)로 컴파일링될 수 있다. 플로우(30)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0): 시작.
단계(302):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을 제공하여, 상대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참고치를 근거로 서빙그랜트를 설정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참고치는 절대 그랜트 메시지를 근거로 결정된다.
단계(304): 상기 서빙그랜트를 설정하기 전,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
단계(306): 종료.
플로우(30)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빙그랜트를 설정하기 전,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함으로써, 상기 상대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서빙그랜트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소프트웨어 에러를 초래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참고치는 상태변수 reference_ETPR 중에 저장된 이전의 서빙그랜트이며,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상기 최대 절대 그랜트는 절대 그랜트 대조표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 테이블 및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는 16 직교진폭변조(16 A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16QAM) 또는 하이레벨 변조성능을 갖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시스템을 구비한 사용자장치에 저장하고, 아울러 상층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설정한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의 최대 스케 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 중의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함으로써, 서빙그랜트를 정확하게 설정한다. 어떤 실시 방식 중에서, 본 발명은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상기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높여 상기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가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 중의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만들거나, 또는 기타 실시예에서 역시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 중의 최대 절대 그랜트를 낮추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플로우(40)를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면, 플로우(40)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 중 서빙그랜트의 설정을 개선하는데 사용되며, 서빙그랜트 설정 프로그램코드(220)로 컴파일링 될 수 있다. 플로우(40)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00): 시작.
단계(402):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과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제공하여,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 중의 최대치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의 최대치로 설정하고, 또한 16 직교진폭변조를 활성화할 때,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과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사용하는 단계.
단계(404): 종료.
플로우(40)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16 직교진폭변조에 적용되는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과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제공하고, 아울러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의 최대치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의 최대치로 설정한다. 따라서 상층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16 직교진폭변조를 활성화할 때, 무선통신장치(100)는 상 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과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사용할 수 있어 서빙그랜트가 정확하게 설정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진행하면, 사용자장치가 상대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서빙그랜트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에서 이전의 서빙그랜트(상태변수 reference_ETPR에 저장된)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스케줄링 그랜트 및 이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그랜트 지표를 선택하여 다음 번에 전송되는 서빙그랜트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현상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라면 실제적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여 종래 기술이 서빙그랜트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서빙그랜트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상태변수 reference_ETPR에 저장된 이전의 서빙그랜트가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만약 상기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초과한 경우, 이 실시예에서는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 지표를 직접 선택하여 후속되는 서빙그랜트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변화는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게 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일 뿐,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에 의거하여 진행한 동등한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이 포괄하는 범위 내에 속한다.
도 1은 무선통신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3 중 프로그램코드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 주요부의 설명>
100: 무선통신장치 102: 입력장치 104: 출력장치 106: 제어회로 108: 중앙처리장치 110: 메모리장치 112: 프로그램코드 114: 송수신기 200: 응용프로그램층 202: 제3층 인터페이스 206: 제2층 인터페이스 218: 제1층 인터페이스 220: 서빙그랜트 설정 프로그램코드 224: 무선링크제어유닛 226: 미디어액세스제어유닛

Claims (18)

  1.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 설정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을 제공하여, 상대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절대 그랜트 메시지에 의해 결정되는 참고치를 근거로 서빙그랜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그랜트를 설정하기 전,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고치를 근거로 상기 서빙그랜트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 상기 참고치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스케줄링 그랜트를 선택하여 상기 서빙그랜트를 설정하는 근거로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에서 지정할 수 있는 상기 최대 절대 그랜트는 절대 그랜트 대조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는 상층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설 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상기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상기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것은,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상기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높임으로써, 상기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상기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같도록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상기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는 상기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상기 최대 절대 그랜트를 낮춤으로써, 상기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상기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같도록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변조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16 직교진폭변조(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16QAM) 기능을 갖춘 고속 업링크 패킷액세스(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서빙그랜트 설정을 개선하기 사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을 제공하여, 상대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절대 그랜트 메시지에 의해 결정되는 참고치를 근거로 서빙그랜트를 설정하는 수단; 및
    상기 서빙그랜트를 설정하기 전,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참고치를 근거로 상기 서빙그랜트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 상기 참고치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스케줄링 그랜트를 선택하여 상기 서빙그랜트를 설정하는 근거로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에서 지정할 수 있는 상기 최대 절대 그랜트는 절대 그랜트 대조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는 상층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상기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상기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것은,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상기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높임으로써, 상기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상기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같도록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 중의 상기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는 상기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 거나 또는 같도록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상기 최대 절대 그랜트를 낮춤으로써, 상기 최대 스케줄링 그랜트를 상기 절대 그랜트 메시지가 지정할 수 있는 상기 최대 절대 그랜트보다 크거나 같도록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변조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16 직교진폭변조(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16QAM) 기능을 갖춘 고속 업링크 패킷액세스(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7.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 설정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과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제공하여,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의 최대치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의 최대치로 설정하고, 또한 16 직교진폭변조(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16QAM)를 활성화할 때,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과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서빙그랜트 설정을 개선하기 사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과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제공하여,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의 최대치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의 최대치로 설정하고, 또한 16 직교진폭변조(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16QAM)를 활성화할 때,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테이블과 상기 절대 그랜트 대조표를 사용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20080023306A 2007-03-14 2008-03-13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 설정을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0939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469507P 2007-03-14 2007-03-14
US60/894,695 2007-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675A KR20080084675A (ko) 2008-09-19
KR100939029B1 true KR100939029B1 (ko) 2010-01-27

Family

ID=3952876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352A Active KR100972405B1 (ko) 2007-03-14 2008-03-1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기능을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80023491A Active KR100962037B1 (ko) 2007-03-14 2008-03-1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송블록 크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장치
KR1020080023306A Active KR100939029B1 (ko) 2007-03-14 2008-03-13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 설정을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352A Active KR100972405B1 (ko) 2007-03-14 2008-03-1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기능을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80023491A Active KR100962037B1 (ko) 2007-03-14 2008-03-1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송블록 크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8625499B2 (ko)
EP (3) EP1971067B1 (ko)
JP (3) JP4680275B2 (ko)
KR (3) KR100972405B1 (ko)
CN (3) CN101267278B (ko)
ES (2) ES2742534T3 (ko)
TW (3) TWI3872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8151B (zh) * 2005-08-10 2013-03-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操作一通信裝置與系統的方法,通信裝置及包含該通信裝置之系統
JP4976498B2 (ja) 2006-10-02 2012-07-1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効率的な多重化を用いた制御信号送信方法
CN101627595B (zh) 2006-10-02 2016-12-21 Lg电子株式会社 传输下行链路控制信号的方法
CN101170817B (zh) * 2006-10-24 2010-06-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减小分组业务控制信道信息负荷的方法
ES2657117T3 (es) 2007-03-19 2018-03-01 Lg Electronics, Inc. Método y aparato para transmitir/recibir información de asignación de recurso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móvil
KR101049138B1 (ko) * 2007-03-19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확인신호 수신 방법
KR100908063B1 (ko) 2007-06-13 200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산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US8219119B2 (en) 2007-06-13 2012-07-10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DRX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913090B1 (ko) * 2007-06-13 200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확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JP4783402B2 (ja) * 2007-06-13 2011-09-28 イノヴァティヴ ソニック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harq機能を改善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900289B1 (ko) 2007-06-21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JP5087479B2 (ja) 2007-07-16 2012-12-05 イノヴァティヴ ソニック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harq機能を改善する方法及び装置
US9066306B2 (en) 2007-09-21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power control
US9374791B2 (en) 2007-09-21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power and attenuation profiles
US9137806B2 (en) * 2007-09-2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time reuse
US9078269B2 (en) * 2007-09-21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HARQ interlaces
US8824979B2 (en) * 2007-09-21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frequency reuse
CN106301711B (zh) * 2007-10-23 2019-09-13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通信的方法、装置和存储器
US8948095B2 (en) 2007-11-27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frequency selective transmission
US20090135754A1 (en) 2007-11-27 2009-05-28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verhead channel power control
WO2009096658A1 (en) 2008-01-31 2009-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ransport block size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1651897B (zh) * 2008-08-12 2012-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资源调度的方法、装置和系统
EP2178248A1 (en) * 2008-10-14 2010-04-21 Thomson Licensing A method to improve channel utilization in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based protocol
CN102461299B (zh) 2009-05-18 2016-04-13 诺基亚技术有限公司 便于向终端分配公共资源的系统、方法和装置
US20110244877A1 (en) 2009-10-08 2011-10-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93678B2 (en) 2009-10-08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Muting scheme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and signaling thereof
US9030977B2 (en) * 2009-10-15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 block size determination
CN102111251B (zh) * 2009-12-29 2014-09-10 开曼晨星半导体公司 一种ue侧tdd hsupa数据重传处理方法
US8510621B2 (en) * 2009-12-29 2013-08-1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source unit based data block partition
CN102377551B (zh) * 2010-08-17 2016-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节点b确定相对授权和绝对授权映射的处理方法及系统
CN102378347B (zh) * 2010-08-20 2016-06-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及其授权处理方法
US9065584B2 (en) 2010-09-29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rise-over-thermal threshold
CN103036637B (zh) * 2011-09-30 2017-04-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激活多流传输的ue发送hs‑dpcch的方法及ue
CN104333405B (zh) 2011-12-26 2018-07-20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发送方法及基站
CN103188816B (zh) * 2011-12-30 2015-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邻区用户终端的服务授权的方法和装置
US9014150B2 (en) * 2012-03-06 2015-04-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of enhancing performance of downlink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070608B (zh) 2012-05-11 2020-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支持harq的无线通信方法、用户设备和基站
EP2888832B1 (en) * 2012-08-24 2019-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receiving mimo transmissions and related device
WO2014067090A1 (en) * 2012-10-31 2014-05-08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xed transmission of data from multiple harq processes for a switching operation
US9066362B2 (en) * 2013-03-08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izing time critical data for transmission during power limited state in DC-HSUPA operation
CN107733575B (zh) * 2016-08-11 2021-05-04 北京华为数字技术有限公司 上行传输进程号指示方法及相关设备
RU2632407C1 (ru) * 2016-11-21 2017-10-04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harq,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US11025374B2 (en) * 2017-08-04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and feedback in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US11533729B2 (en) * 2020-09-16 2022-12-20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block size determination for downlink transmissions including multiplex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S20220322307A1 (en) * 2021-03-31 2022-10-06 Nokia Technologies Oy Modulation coding scheme table extension for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user equip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278B1 (ko) 2004-11-15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장치
US20070025300A1 (en) 2005-08-01 2007-02-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enhanced dedicated channel transmissions
US20070036108A1 (en) 2005-08-15 2007-02-1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o maintain user equipment serving grant at cell change
KR20070055004A (ko) * 2005-11-24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스케쥴링 그랜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8818B2 (ja) 2001-06-25 2008-12-03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Tfci信号システムによるmcs及びマルチコードの最適化
US7447967B2 (en) * 2001-09-13 2008-11-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IMO hybrid-ARQ using basis hopping
US7283508B2 (en) * 2002-02-07 2007-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erving HS-SCCH set information in an HSDPA communication system
KR100842652B1 (ko) 2002-02-08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0079631A (ko) 2002-04-06 200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순방향패킷접속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전송 블록의 크기 정보 송/수신장치 및 방법
US7301929B2 (en) * 2002-08-09 2007-11-27 Spyder Navig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 block size signaling based on modulation type for HSDPA
US7289452B2 (en) 2002-10-24 2007-10-30 Nokia Corporation Transport block size (TBS) signaling enhancement
JP3929388B2 (ja) * 2002-11-11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US7668125B2 (en) * 2003-09-09 2010-02-23 Qualcomm Incorporated Incremental redundancy transmission for multiple parallel channels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724701B2 (en) * 2003-09-30 2010-05-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verse link data rate of a mobile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with reverse link common rate control
GB0421663D0 (en) * 2004-09-29 2004-10-27 Nokia Corp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network
JP2006115358A (ja) 2004-10-15 2006-04-27 Ntt Docomo Inc パケット送信制御装置及びパケット送信制御方法
US20060093056A1 (en) 2004-10-29 2006-05-04 Pekka Kaasila Signal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P1699158A1 (en) 2005-03-02 2006-09-06 Evolium S.A.S. A method for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HARQ retransmission scheme for data transmission, a base station and a program therefor
US20070058595A1 (en) * 2005-03-30 2007-03-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ound trip latency and overhead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ATE515165T1 (de) * 2005-04-01 2011-07-15 Panasonic Corp Happy-bit-einstellung in einem mobilkommunikationssystem
JP2006345501A (ja) 2005-05-10 2006-12-21 Ntt Docomo Inc 伝送速度制御方法及び移動局
ATE524946T1 (de) 2005-05-11 2011-09-15 Nokia Corp Verfahren, vorrichtung und computerprogramm zur bereitstellung von signalisierung der null- leistungszuteilung für schnellen aufwärtsstreckenpaketzugang (hsupa)
WO2006126085A1 (en) * 2005-05-27 2006-11-30 Nokia Corporation Expanded signalling capability for network element, user equipment and system
CN100449981C (zh) * 2005-08-15 2009-01-0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多载波高速下行分组接入中混合自动重传方法
KR100950453B1 (ko) * 2005-08-19 2010-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궤환 신호의 신뢰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6074587A1 (fr) * 2005-10-12 2006-07-20 Zte Corporation Procede et dispositif de signalisation rapide a base d'identificateur de process harq
CN1917447B (zh) 2006-02-08 2011-01-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高速上行分组接入系统中服务授权的配置方法及设备
JP2009528000A (ja) * 2006-02-22 2009-07-30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チャネルidを介してシグナリング情報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903614B2 (en) 2006-04-27 2011-03-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link adaptation parameters for CDMA-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4124794B2 (ja) 2006-08-23 2008-07-2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0576779C (zh) * 2006-09-15 2009-12-30 Ut斯达康通讯有限公司 高速下行分组接入系统自适应调制和编码方法
KR101449890B1 (ko) 2006-10-27 2014-10-1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PL3503449T3 (pl) * 2006-10-31 2021-03-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posób i urządzenie do kontroli błędów w systemach telekomunikacyjnych
KR101265637B1 (ko) * 2007-03-14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 개의 harq 프로세스 채널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278B1 (ko) 2004-11-15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장치
US20070025300A1 (en) 2005-08-01 2007-02-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enhanced dedicated channel transmissions
US20070036108A1 (en) 2005-08-15 2007-02-1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o maintain user equipment serving grant at cell change
KR20070055004A (ko) * 2005-11-24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스케쥴링 그랜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682A (ko) 2008-09-19
ES2742534T3 (es) 2020-02-14
US8625499B2 (en) 2014-01-07
JP2008228311A (ja) 2008-09-25
EP1971066A3 (en) 2010-03-24
EP1971067A3 (en) 2010-03-17
CN101267232A (zh) 2008-09-17
EP1971066A2 (en) 2008-09-17
TWI360985B (en) 2012-03-21
TWI366415B (en) 2012-06-11
KR20080084687A (ko) 2008-09-19
US7957282B2 (en) 2011-06-07
JP2008228312A (ja) 2008-09-25
KR100962037B1 (ko) 2010-06-08
CN101267232B (zh) 2013-05-29
CN101267278A (zh) 2008-09-17
JP4680275B2 (ja) 2011-05-11
CN101267278B (zh) 2012-01-11
TWI387253B (zh) 2013-02-21
ES2721429T3 (es) 2019-07-31
US20080225966A1 (en) 2008-09-18
EP1971048A2 (en) 2008-09-17
TW200838238A (en) 2008-09-16
US20080225764A1 (en) 2008-09-18
JP4902576B2 (ja) 2012-03-21
TW200838331A (en) 2008-09-16
EP1971067A2 (en) 2008-09-17
EP1971048A3 (en) 2010-03-03
JP2008228310A (ja) 2008-09-25
US8184577B2 (en) 2012-05-22
KR100972405B1 (ko) 2010-07-26
US20080225784A1 (en) 2008-09-18
EP1971067B1 (en) 2019-05-22
CN101267286B (zh) 2012-12-12
JP4693856B2 (ja) 2011-06-01
CN101267286A (zh) 2008-09-17
TW200838209A (en) 2008-09-16
EP1971048B1 (en) 2016-01-13
KR20080084675A (ko) 2008-09-19
EP1971066B1 (en)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029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 설정을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US8031738B2 (en) Method of enhancing 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USRE44797E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user equipment operation by considering scheduling information with regard to the use of relative grants
JP463441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アップリンク伝送起動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JP5101704B2 (ja) Ulレート違反検知
JP5439578B2 (ja) 瞬間データ速度の高速化による効率的上り回線動作
KR100892658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및장치
JP200724395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スケジューリング情報再送を起動させる方法及び装置
KR10088525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200800705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erving gra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944236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채널의 컨피겨레이션을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2534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빙그랜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