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820B1 - Method of providing teaching plan through internet and system using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teaching plan through internet and system us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1820B1 KR100931820B1 KR1020070115760A KR20070115760A KR100931820B1 KR 100931820 B1 KR100931820 B1 KR 100931820B1 KR 1020070115760 A KR1020070115760 A KR 1020070115760A KR 20070115760 A KR20070115760 A KR 20070115760A KR 100931820 B1 KR100931820 B1 KR 1009318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base
- teaching
- multimedia
- identification code
- pla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교안 제공 방법은, 다양한 형식과 교육 정보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등록 및 저장하는 방식으로 교안 작성자에게 제공하는 제 1 단계; 교안 작성 툴 및 상기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다른 교안 작성자에 의하여 상기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할 경우 교안 데이터베이스의 수정 여부 파악하여 승인 요청 정보를 자동으로 교안 최초 작성자에게 통보하며 이 승인 요청 정보를 통보받은 교안 최초 작성자가 승인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는 제 3 단계;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인터넷 환경에서 회원에게 공개하는 제 4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aching method providing method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providing a teaching plan creator in a manner of registering and storing a multimedia database consisting of various formats and educational information in a multimedia database server; A second step of generating a teaching material database through a teaching material writing tool and the teaching material database; In case that the teaching material database is modified by another teaching creator, the teaching material database determines whether the teaching material database has been modified and automatically informs the author of the subject of the approval request, and allows the first author who is notified of the approval request information to decide whether to approve. Modifying the third step; And a fourth step of publishing the teaching material database to members in the Internet environment.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교안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따르면, 풍부한 기초 교육 자료를 통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교사 스스로 자신만의 교안을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어 기존 CD/DVD의 용량 한계 내지 질적 한계, 비용 부담을 극복할 있는 장점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cher can easily prepare his own teaching in the Internet environment through abundant basic education materials, so the capacity limit, qualitative limit, cost of the existing CD / DVD It has the advantage of overcoming the burden.
교안, 인터넷 교안, 교육 자료, 멀티미디어 교육, 인터넷 교육 Teaching material, internet teaching material, educational material, multimedia education, internet educ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교안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각 과목, 주제별로 풍부하게 기 작성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형식의 다양한 교육 자료를 통하여 교사가 자신만의 독창적인 교안을 손쉽고 편리하게 작성함과 아울러, 다른 교사와 이를 공유하되 최초 교안 작성자의 승인 하에서 신규 교육 자료를 추가 내지 수정하여 교안을 재창출함으로 교안의 진보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통한 교안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teaching plan through the Internet and a system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teach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make his or her own original teaching through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in abundantly pre-written in each subject and topic. Method of providing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e Internet, and sharing them with other teachers, and re-creating the teaching materials by adding or modifying new teaching materials under the approval of the original teaching drafters, and using them. It is about the system.
교안(Teaching Program)이라 함은, 교육용 학습자료 중에서 특히 학생들을 가리키는 입장에 있는 교사가 참조하는 자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과거에는 학생에게 직접 배포가 되기보다는 교사 스스로 관리하여 교육 방안이나 교육 정보를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정도에 그쳤으나 현재에는 멀티미디어 기술 및 인터넷의 발달로 교사가 직접 작성한 교안을 학생 학습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배포되어 사용되기도 한다.Teaching Program refers to the materials that are referred to by the teachers who point out the students, especially the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past, the teaching program or educational information is checked by the teacher's own management, rather than being directly distributed to the students. Although it is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teaching,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technology and the Internet has been distributed to students so that teachers can use their own teaching materials as student learning materials.
이러한 현 시대의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작성된 CD, DVD와 같은 멀티미디어 자료, 즉 교안들은 교실에 배치되어 있는 CD/DVD 플레이어 내지 컴퓨터와 같은 멀티미디어 자료 플레이어에서 실행됨으로 학습 자료로서 활용되고 있는바, 현재까지 교사들은 괘도, 서적 형태로 이루어진 교안문서와 별도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수업 시간마다 가지고 다니거나 다른 교사들이 만든 수업자료를 복사하여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전부였다.In this modern multimedia environment, multimedia materials such as CDs and DVDs, that is, teaching materials, are used as learning materials by being executed in a CD / DVD player in a classroom or a multimedia materials player such as a computer. All of them were to carry the syllabus in the form of books, books, and other multimedia materials in class, or to copy and use the teaching materials made by other teachers.
특히, CD/DVD 형태로 이루어진 교안을 구매하여 사용한다 하여도 자체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수록된 교육 자료의 양적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실제 필요한 교육 자료는 그보다 더 적은 경우가 많으며 이를 검색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등으로 불편함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다.In particular, even if you purchase and use a teaching plan in the form of CD / DVD, there are not only quantitative limitations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listed due to the limitation of its capacity, but also the actual required educational materials are often less than that. In many cases, the inconvenience caused.
더불어, 교안으로 활용하는 자료가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교사의 주관적인 경험과 지식에 의하여 협소한 교육 자료를 수집할 수밖에 없었으며, 특정 교사가 교안을 자신의 수업 자료로 활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다른 교사가 동시에 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따라 결국 하나의 학교에서도 복수 장의 CD/DVD를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의 부담이 되는 현실이었다. In addition, because the materials used for teaching were scattered, we had no choice but to collect narrow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the subjectiv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teacher, while other teachers simultaneously used the teaching material as their teaching materials. As a result of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use, it was a reality that a single school had to buy and use multiple CDs / DVDs.
이러한 기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출원 제 2000-0031057호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장치 및 방법'은 멀티미디어 내지 하이퍼미디어 교육 자료를 통하여 손쉽게 교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다수의 메뉴 및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자료 수집의 용이성 및 교안의 동시 사용 가능성을 확장할 수 있는 특징을 제시하 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basic problem,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0-0031057 'Virtual Educational Teaching Equipment Writing Method and Method' has a plurality of menus and interfaces for data collection to easily prepare teaching materials through multimedia or hypermedia educational materials. It provides features that can extend the ease of use and the simultaneous use of teaching materials.
그런데 상기 기술은 단순히 멀티미디어로 이루어진 교안을 수집하여 이를 공지 방법으로 편집 및 변환하는 정도에 불과하여 진보성이 없어 실제 거절이 된 상태이고, 작성된 교안에 사용되는 기초 교육 자료는 교사 스스로 창작하여 다른 교사의 교안에서도 활용될 수도 있는데 실제 활용에 따른 제반적인 방안에 대해 언급이 되어 있지 않으며, 집대성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통해 교안을 작성하는 것 뿐 아니라 교안 작성 주체에 대한 권리 보호 내지 수정 가능성을 통한 교안 자료의 확대 방향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the above technology is merely a collection of multimedia lesson plans, which are edited and converted into a public notice method, and thus have not been progressively rejected, and the basic teaching materials used in the written lessons are created by the teachers themselves. It may be used in teaching materials, but there are no mentions of the general plans according to the actual application, and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e protection of the right to the teaching subjects or the possibility of modification, as well as the preparation of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e comprehensive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provide a direction of expansion.
따라서 교안의 기초 자료가 되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수집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각 자료에 특정 아이덴티티를 부여하여 자료 제작자의 창작성을 보호하고 완성된 교안에서 자유로운 변형을 주는 것이 용이하여 보다 다양한 교안이 창출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교안 작성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ot only to collect the multimedia material that is the basic material of teaching material but also to give each material a specific identity to protect the creativity of the creators of the material, and to freely transform the finished teaching material so that various teaching materials can be created. There is a need for a new teaching plan and system.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스템 운영자에서 풍부하게 제공되거나 아니면 교안 작성자가 직접 제작한 교육 자료를 인터넷 환경에서 다양하게 편집 및 배치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자신만의 고유한 교안을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교안의 무궁무진한 발전성 및 자유로운 공유 환경을 추구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and is provided in abundance from the system operator, or the teaching materials produced by the master planner to edit and arrange a variety of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Internet environment, and finally own unique teaching plan The main purpose is to pursue the infinite development and free sharing environment of the teaching pla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안 작성자가 직접 제작한 교육 자료를 시스템에 업로딩할 시에 자동으로 시스템의 기본 환경으로 변환하여 다양한 형식을 가진 교육 자료를 편리하게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convert the training materials produced by the planners into the basic environment of the system at the time of uploading them to the system to conveniently utilize the training materials having various forma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육 자료 및 교안에 고유의 식별정보를 삽입함으로 교육자료 및 교안이 어디서 사용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더불어 교육 자료 내지 교안의 수정여부를 자동으로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교육 자료 내지 교안을 최초 제작한 작성자의 권리 보호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aterials to easily determine where th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aterials are used, and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teaching materials or teaching materials are modified or not. Make sure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original author of the lesson plan.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교안의 자유로운 수정 활용을 보장하되, 최초 교안 작성자의 저작권을 감안하여 일정 수정 상태가 확보되거나 승인이 이루어진 경우에서만 수정을 허락하도록 함으로써 수정에 따른 다양성과 저작권 보호의 대립 관계를 최대한 절충하도록 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e free use of the correction of the teaching plan, but in consideration of the copyright of the original teaching plan authors to allow the modification only when a certain state of modification is secured or approved by the conflict between the diversity of the modification and copyright protection The best compromise is 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교안 제공 방 법은, 다양한 형식과 교육 정보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등록 및 저장하는 방식으로 교안 작성자에게 제공하는 제 1 단계; 교안 작성 툴 및 상기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다른 교안 작성자에 의하여 상기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할 경우 교안 데이터베이스의 수정 여부 파악하여 승인 요청 정보를 자동으로 교안 최초 작성자에게 통보하며 이 승인 요청 정보를 통보받은 교안 최초 작성자가 승인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는 제 3 단계;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인터넷 환경에서 회원에게 공개하는 제 4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eaching plan providing method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of providing a lesson planner in a manner of registering and storing a multimedia database consisting of a variety of formats and educational information to the multimedia database server; A second step of generating a teaching material database through a teaching material writing tool and the teaching material database; In case that the teaching material database is modified by another teaching creator, the teaching material database determines whether the teaching material database has been modified and automatically informs the author of the subject of the approval request, and allows the first author who is notified of the approval request information to decide whether to approve. Modifying the third step; And a fourth step of publishing the teaching material database to members in the Internet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교안 작성 시스템은, 다양한 형식과 교육 정보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수록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일정한 포맷에 배치하여 생성된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수록한 교안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에 교육 정보의 주제, 영역, 형식, 요약 내용, 키워드, 작성자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록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모듈;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특정 크기로 리사이즈(resize) 하는 기능 내지 이벤트 부여를 위한 세팅 기능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특정 형식으로 자동 변환 처리하는 컨버팅(converting) 관리모듈; 이벤트 핸들러(handler)를 통하여 상기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에 고유의 이벤트를 부 여하는 이벤트 관리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aching plan writing system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media database server containing a multimedia database consisting of a variety of formats and educational information; An instructional database server for recording an instructional database generated by arranging at least one multimedia database in a predetermined format; A metadata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metadata fo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the multimedia database by recording any one of a subject, an area, a format, a summary, a keyword, and author inform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in the multimedia database; A converting management module having any one of a function of resizing the multimedia database to a specific size or a setting function for assigning an event to automatically convert the multimedia database into a specific format; And an event management module for assigning a unique event to an individual multimedia database constituting the teaching material database through an event handler.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교안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 and the system using the same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풍부한 기초 교육 자료를 통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교사 스스로 자신만의 교안을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어 기존 CD/DVD의 용량 한계 내지 질적 한계, 비용 부담을 극복할 있는 장점을 가지고,1) With abundant basic education materials, teachers can easily create their own teaching materials in the Internet environment, which has the advantage of overcoming the capacity, quality, and cost burden of existing CD / DVD.
2) 다른 교사의 교안을 참조하여 교안을 수정하거나 편집하도록 함으로 보다 우수한 교안의 제작하여 교육 자료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며,2) By modifying or editing the syllabus with reference to other teacher's syllabus,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to make better teaching syllabus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3) 각각의 교육자료에 기본 정보를 삽입함으로 분류의 편의성을 추구함과 아울러 이벤트를 부여하도록 함으로서 교육자료의 입체성을 부각함으로 동일한 교육 자료라도 이벤트 부여 내용에 따라 특색이 있는 교안을 작성할 수 있고,3) By inserting basic information into each educational material, pursuing convenience of classification and assigning an event to highlight the three-dimensionality of the educational material, even the same educational material can be prepared with unique teach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event provisioning contents. ,
4) 교안을 제작한 작성자의 권리를 충분히 보장하도록 하여 교안 창작의 의욕을 고취할 뿐 아니라,4) Encourage the creation of teaching plans by ensuring the rights of the authors who produced them.
5) 교안 수정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무단 도용 내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5)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unauthorized theft or leakage by grasping in real time whether the curriculum is modif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 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교안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략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eaching material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20), 스트리밍 서버(30), 교안 데이터베이스 서버(50), 라이센스 관리 서버(40), 문제 은행 데이터베이스 서버(60) 및 메타데이터 생성모듈(70), 컨버팅 관리모듈(80), 이벤트 관리모듈(90), 식별코드 생성모듈(100), 교안수정 관리 모듈(110)로 구성되어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1, the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는 동영상, 애니메이션, 플래시, 이미지, 음성, 탬플릿, XML, 일반 텍스트 파일로 이루어진 형식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교안의 기초가 되는 각종 교육 내용을 수록한 데이터베이스로서, 교육전문가 내지 현업 교사, 강사에 의하여 분석 및 조합되어 생성된 자료를 의미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에 충분한 양으로 미리 제작된 상태로 구비가 되어 있어 교사가 교안 작성을 위하여 자료를 선별, 수집하는데 애로사항이 없도록 되어 있고 주제별, 영역별, 난이도별 등의 다양한 카테고리 분류 방식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20)에 저장되어 있다.The
교안 데이터베이스 서버(50)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를 통해 교사에 의한 편집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된 교육 자료인 교안 데이터베이스(55)를 수록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교안 데이터베이스(55)는 교육 자료를 수 집한 교안 일반 정보와 교안에 배치된 컨텐츠 정보(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가 1:n의 구조, 즉 교안이 표방하는 하나의 주제에서 이 주제를 구체화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가 다수 개 수록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의 상세 정보는 Array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The teachin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face for producing a teaching material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교안 데이터베이스(55)는 특정 형상과 의미를 가진 탬플릿 폼(form) 내지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다수 개의 멀티미디어 자료가 편집되어 하나의 완성된 교안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의 다양한 형식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를 혼합하고 손쉽고 빠른 자료 검색을 위해 검색창을 구비하거나 동영상 자료의 실행 방법 내지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조절, 미리보기, 목차보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마다 기 부여되어 있는 이벤트의 활성 여부 선택, 특정 멀티미디어 자료상에 메모나 그림을 사용자가 직접 삽입할 수 있는 칠판 기능 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2, the
스트리밍 서버(30)는 교안 데이터베이스(55) 내지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의 효율적인 재생을 위하여 구비된 것으로, wmv, avi, asf, flv 파일 포맷의 동영상 내지 음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이러한 스트리밍 서버(30)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와 음성 스트리밍 서 버(35)로 구분이 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음성 스트리밍 서버(35)는 교육 자료 중 음성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저장하거나 아니면 교사의 강의 육성 내용을 mp3, wav 등의 음성파일 포맷 형태로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에서는 이러한 스트리밍 서버(30)를 이용한 동영상/음성 파일 재생 방식 이외에 다운로드 이후 동영상 등을 재생하는 공지의 방식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Of course, the
라이센스 관리 서버(40)는 기본적으로 교안 데이터베이스(55)의 작성 시에 각 교안 데이터베이스(55)의 라이센스를 설정하는 기능을 가지나,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안 데이터베이스(55)를 작성한 교사의 권한을 보호하기 위하여 최초 작성된 제 1차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제 2,3 차 등의 교안 데이터베이스가 추가로 생성되거나 수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 1차 교안 작성자에게 승인을 받아 수정을 허락하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교안 데이터베이스(55) 관련 라이센스 관리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이는 후술할 메타 데이터 생성모듈(70), 교안수정 관리모듈(110)과 연동이 되어 라이센스 역할을 가지는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교안 수정 관리모듈(110)과 연동되어 상기 식별코드를 통해 특정 교안의 최초 작성자를 판별하고 교안의 위치 내지 수정을 파악 내지 추적하며, 아울러 교안의 무단 사용 내지 변형을 파악하는 기능을 보조한다.The
라이센스 관리서버(40)에서 생성되는 식별코드(구체적으로는 라이센스 관리서버(40) 내의 식별코드 생성모듈(100)에서 생성)는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 내지 교안 데이터베이스(55)에 부여되는 아이덴티티를 의미하는 것으로, 후 술할 메타데이터의 경우에서 각 데이터의 특성을 알기 쉽고 편리하게 노출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과 달리 멀티미디어/ 교안 데이터베이스(25,55) 내에 은닉되어 마치 저작권 표시용 은닉방식의 랜드마크(land mark)와 같이 멀티미디어/ 교안 데이터베이스(25,55)의 출처 관리 내지 복사 방지 기능을 가지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license management server 40 (specifically, generated by the identification
다시 말해, 식별코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루는 파일 구조에서 암호 처리된 다음 헤더에 저장되어 라이센스 관리 서버(40)에서 헤더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도록 하여 해당 멀티미디어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가 조합되어 있는 교안 데이터베이스(55)에서 각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의 위치 내지 포함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좌표값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identification code is encrypted in the file structure of the multimedia data and then stored in the header so that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는 개별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에 부여되는 개별 식별코드와,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가 조합되어 있는 교안 데이터베이스(55)에 부여되는 통합 식별코드로 이루어져 있다.Specifically, the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n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an
개별 식별코드는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의 존재 내지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파일의 헤더에 암호 처리되어 일반인은 그 존재를 파악하지 못하되 라이센스 관리서버(60)에서만 파악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s are used to identify the existence or location of each
또한, 개별 식별코드는 만일 멀티미디어 데이터/데이터베이스(25)가 편집되거나 수정이 된 경우 최초 자료를 통해 수정되었다는 관계(즉, 최초 A라는 자료를 기반으로 B라는 자료로 재창출되었다는 관계 등)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최초 식별코드가 1234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1차 수정 이후 '1234-ABCD'로 원 식별코드는 그대로 포함한 상태에서 후속적인 식별코드를 추가하 는 방식으로 생성이 가능하고, 2차 수정 시에는 '1234-ABCD-KKKK'로 연달아 식별코드의 발급이 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facilitates the relationship that the multimedia data /
이러한 개별 식별코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가 어느 교안 데이터베이스(60)에서 활용되고 있는지 여부 및 여러 번의 수정 시에 그 연혁 등을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may play a role of indicating whether the
통합 식별코드는 교안 데이터베이스(55)의 아이덴티티를 부여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교안 데이터베이스(55) 프레임 내에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가 위치한 위치값, 즉 좌표값과 교안을 이루는 각각의 개별 식별코드의 포함 여부값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integrated identification code gives an identity of
즉, 통합 식별코드는 교안의 수정 시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와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integrated identification code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location of the
이러한 식별코드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40) 자체적으로 파악과 추적을 할 수도 있으나, 후술할 교안 수정 관리모듈(110)에서 파악되는 것이 가능하여 교안 수정 여부, 수정범위 파악을 하는데 유용할 것이다.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identified and tracked by the
문제 은행 데이터베이스 서버(6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의 확장 개념의 데이터베이스를 수록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여기서 문제 은행 데이터베이스(65)라 함은 일반 교육 내용을 수록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와 구분되어 교육 내용에 관련된 주관식/객관식 문제와 정답, 해설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The question
이러한 문제 은행 데이터베이스(65)는 사용자의 공유 여부를 구분하여 문제 은행 데이터베이스 서버(60)에 등록 저장될 수가 있고, 공유가 설정된 경우에는 전체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로서 활용될 수가 있고, 공유 설정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후술할 식별코드 설정에 의하여 제작자의 동의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본 발명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모듈(70)은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를 일관된 카테고리 분류 방식에 의하여 인식과 분류를 하도록 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메타데이터라 함은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에 대하여 멀티미디어의 종류(예를 들어 mp3/jpg/mpeg 등의 파일 형태), 영역(예를 들어 중학교 1학년 사회 과정 등), 주제(예를 들어 국회의 기능), 요약, 키워드, 재생시간, 창작자, 크기 등의 세부 형식과 내용 정보를 수록하고, 아울러 완성된 교안 데이터베이스(55)에도 이와 유사한 정보를 수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Metadata refers to the type of multimedia (e.g., mp3 / jpg / mpeg file types), the area (e.g., first grade social studies, etc.), themes (e.g., the National Assembly) for a
즉, 메타데이터 생성모듈(70)은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 내지 교안 데이터베이스(55)에 고유의 식별정보를 수록하는 역할을 하는바,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를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20)에 등록을 하거나 교안 데이터베이스(50)를 교안 데이터베이스 서버(55)에 등록을 할 때, 파일 크기, 용량 등의 알려진 정보는 미리 파악해서 자동생성을 하고 주제, 요약 내용과 같이 작성자에 의하여 얻어야 할 정보는 작성자에게 입력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메 타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That is, the
이러한 메타데이터는 방대한 멀티미디어 내지 교안이 구축되었을 때 검색의 편의성 및 컨버팅의 용이화 등을 추구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This metadata provides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pursued for the convenience of searching, the ease of converting, etc. when a large multimedia or teaching plan is constructed.
컨버팅 관리모듈(8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를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20)에 업로딩할 때 정규화된 퍼포먼스를 위하여 사이즈의 변경(리사이즈), 파일 형태의 변환 등의 일련의 컨버팅 과정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verting
컨버팅 관리모듈(80)은 네트워크로 실시간 스트리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의 크기 및 포맷 변환과 핵심적인 프레임에 관련된 사진을 저장하는 방식의 물리적 파일의 변환과정과,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창작자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임의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20)에 업로딩하였을 때 객체지향적인 속성과 후술할 이벤트를 자동 상속할 수 있도록 하는 속성 및 이벤트 세팅과정을 수행한다.The converting
이러한 컨버팅 관리모듈(80)의 자동 컨버팅 기능에 의하여, 교안 내지 멀티미디어 데이터 창작자는 특정 데이터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20)에 자신이 작성한 다양한 형식의 자료를 등록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가질 수 있다.By the automatic converting function of the converting
이벤트 관리모듈(90)은 각각의 멀티미디어에 고유 특성으로 부여되는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컨버팅 관리모듈(80)에 의하여 객체지향적으로 변환된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에 파일 종류 내지 특정 분류에 의하여 개별적인 이벤트를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에는 마우스오버 이벤트를 부여하여 이미지 사이즈를 마우스 클릭 내지 스크롤을 통해 변경할 수 있도록 하거나 특정 필터 이벤트를 부여할 수가 있고, 애니메이션/동영상/음성 파일의 경우 마우스 내지 키보드를 통해 독특한 컨트롤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이벤트를 부여할 수가 있다.For example, an image file can be given a mouseover event to change the image size through mouse click or scroll, or a specific filter event. For animation / video / audio files, unique control can be done through mouse or keyboard. You can give an event that can provide a way.
즉, 이벤트 관리모듈(90)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파일 형태에 따라 자동으로 각각의 고유 이벤트를 부여하거나 아니면 사용자 설정 방식에 의하여 동일 형식의 파일 종류라 하더라도 다양한 이벤트를 부여하는 기능을 모두 겸비할 수가 있다.That is, the
이러한 이벤트 관리모듈(90)에 의하여 각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는 교안 데이터베이스(55) 내에서 고유의 이벤트를 구비함으로 보다 생동감 있고 입체적인 교안 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하게 된다.By the
교안수정 관리모듈(110)은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40)와의 연동 기능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 내지 교안 데이터베이스(55)가 가지는 고유의 해당 식별코드를 추적하거나 변형 여부를 인식하는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 내지 교안 데이터베이스(55)의 무단 사용이나 수정 여부 내지 범위 파악, 수정에 따른 최초 데이터 작성자에 대한 승인 여부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teaching
이러한 교안 수정 관리모듈(110)의 기능을 보다 자세히 말하면 통합 식별코드 및 개별 식별코드를 통하여 교안 데이터베이스(55)의 수정 여부를 파악하고, 수정으로 파악된 경우에 교안 최초 작성자에게 승인 요청을 자동으로 통보하여 교안 최초 작성자의 승인 여부를 응답받아, 교안 데이터베이스(55)의 수정 여부를 관리 하는 기능으로 세분화하여 이루어져 있는바, 후속 설명이 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에서 보다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function of the teaching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교안 작성 시스템에 의한 구체적인 인터넷을 이용한 교안 작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A method of preparing a teaching plan using the Internet by the teaching plan writing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교안 작성 방법을 이루는 개략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이러한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목차 별로 설명하도록 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process for forming a teaching plan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1.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1. Steps to Provide a Multimedia Database
제 1 단계는 교안 작성자에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단계,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개별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업로딩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의 컨버팅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The first step is to provide a multimedia database to the writer of teaching, comprising a multimedia database, generating metadata, generating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s, and converting the multimedia database during uploading.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는 상기 언급하였듯이, 시스템 운영자 측에서 미리 제작하여 기 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교사 스스로 직접 작성한 자료를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20)에 공유 활용 방식으로 업로딩 함으로 기타 유저에게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the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는 미리 분류되어 있는 각종 형식, 주 제, 영역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업로딩을 하거나 최소한 파일 형식에 있어서는 자동 분류 방식을 지원할 수가 있다.The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20)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를 업로딩을 하는 동시 내지 이전에는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에 메타데이터가 부여되도록 하는바, 파일 형식 내지 용량 등은 시스템 차원에서 자동 인식하여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외에 작성자에 의하여 기재되어야 할 주제, 요약 등은 메타데이터 입력 단계를 통해 예를 들어 입력창에 직접 작성자가 기입하는 방법을 거쳐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의 호환성을 증가하기 위하여 XML 포맷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e same time or prior to uploading the
메타데이터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20)에 업로딩되는 과정에서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특정 형식으로 컨버팅(converting)이 되는 단계를 거친다. 즉, 상기 언급하였듯이, 물리적 파일의 변경, 속성 및 이벤트 부여를 위한 전단계의 세팅 등의 과정을 자동적으로 이루도록 한다.The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가 특정 양식으로 컨버팅이 되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20)에 등록 및 저장이 되는 동시(또는 즉시 이후)에 라이센스 관리 서버(40)에 의하여 고유의 개별 식별코드가 발급되어 이를 파일 내(구체적으로 헤더 부위)에 삽입 입력을 한다.When the
개별 식별코드는 복호화된 암호 처리방식에 의하여 라이센스 관리 서버(40), 구체적으로는 식별 코드 생성모듈(100)에서 자동으로 생성을 하게 되고, 생성된 개 별 식별코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에 종속되어 있는 상태로 라이센스 관리 서버(40)에 저장이 된다.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2. 교안 작성 단계2. Steps for drafting
교안 작성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교안 작성 툴을 통하여 사용자 제작 컨텐츠 즉 UCC와 같이 다양한 탬플릿과 교안 데이터베이스(55)를 활용하여 작성자 스스로의 자유로운 포맷 설정과 배치에 의하여 교안을 작성하도록 하는 과정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교안 작성 툴을 통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의 배치 및 포맷 설정 단계, 각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이벤트 부여 단계, 통합 식별코드 생성 단계로 이루어져 있고, 추가적으로 음성 삽입 단계를 구비하고 있다.The teaching preparation step is to use the teaching preparation tool provided by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create teaching materials by the user's own free format setting and arrangement using various templates and
교안 작성 툴은 동적 HTML(DHTML) 에디터 내지 XML 파일 에디터 환경에서 다양한 템플릿을 별도의 데이터로 확보하여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의 자유로운 배치와 포맷 설정 및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aching tool creates a variety of templates as separate data in a dynamic HTML (DHTML) editor or an XML file editor environment, and performs a function of freely arranging, formatting, and setting up each
교안 작성 툴은 공지되어 있는 에디터의 기능에 준하므로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 교안 작성 툴을 통하여 교안을 작성하려는 작성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20)에 저장되어 있는 각 데이터 내지 탬플릿을 검색 등의 과정을 통해 호출하여 레이아웃 설정과 설정된 레이아웃 내에 자신만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의 배치와 조합을 꾸미는 일련의 과정을 편리하게 수행하게 된다.Since the teaching tool writing tool conforms to the function of a known edito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 author who wants to write a teaching book through this teaching tool may search each data or template stored in the
예를 들어, 교안 작성 시에 제목 및 키워드 등의 일반 정보를 부여하고, 교안 내용 구성 탬플릿 및 레이아웃 설정, 테두리, 배경을 설정하며 웹 칠판이나 판서기능을 활용할 것인지 여부, 각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를 통상 크기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배치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ther or not to give general information such as titles and keywords when drafting lesson plans, set template and layout settings, borders, and backgrounds for lesson plan contents, and utilize web blackboard or writing functions, and each
이렇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를 배치하면서 교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교안 작성자는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테베이스(25)에 이벤트를 부여할 수가 있다.In the process of preparing a teaching plan while arranging the
이벤트는 상기 언급하였듯이 예를 들어 파일 속성에 따라 자동으로 배치가 되거나 이벤트 핸들러를 작성자에게 미리 제공하여 예를 들어 파일 속성에 상관없이 마우스를 접촉하면 미리보기 기능이 이루어지거나 특정 위치를 클릭하였을 때 요약정보를 볼 수 있도록 개별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예를 들어 Z라는 교안 데이터베이스에서 A라는 이벤트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에 부여되어도 A라는 이벤트는 Z에 종속되는 속성에 한정되는 것이며, X라는 또 다른 교안 데이터베이스에서는 B,C 등의 다른 이벤트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events are automatically arranged according to file properties, or event handlers are provided to the author in advance, for example, when a mouse is touched regardless of file properties, the preview function is performed or when a specific position is clicked. It is possible to give to the
이후, 작성이 완료된 교안은 교안 데이터베이스(55)로서 교안 데이터베이스 서버(50)에 등록 및 저장이 되는바, 이 때 라이센스 관리 서버(40)에서 통합 식별코드가 교안 데이터별로 생성이 되어 저장 및 관리된다.Subsequently, the completed teaching plan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구체적으로,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가 가지는 개별 식별코드를 포함한 상태에서 레이아웃 내에서 각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의 위치 정보를 좌표 값으로 부여한 정보를 통합 식별코드로 생성하여 후술하겠지만 교안의 수정 여부와 수정 범위를 파악하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state that includes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of each
추가적으로, 교안 작성 단계에서 기존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를 활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음성 및 이벤트를 녹음. 녹화하여 e-러닝 강좌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using the existing
구체적으로, 녹음을 위한 타임라인 정보와 싱크를 위한 마커정보, 물리적 음성 파일, 마우스 이벤트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되, 여기서 음성 녹음은 기존의 음성 녹음 기술을 활용하여 작성자의 음성을 mp3 파일 형태 등으로 변화하여 음성 스트리밍 서버에 물리적으로 저장한다. Specifically, the timeline information for recording, the marker information for syncing, the physical voice file, and the mouse event information are separately stored, and the voice recording is performed by using the existing voice recording technology. Change to physical storage on the voice streaming server.
타임라인 정보와 마커정보는 호환성을 위하여 XML 형태로 저장되도록 하고, 마우스 이벤트 정보는 마커의 XML 정보에 하위 트리 형태로 묶어 XML 파일로 관리하도록 하며, 녹음된 파일을 재생할 경우에는 상기 트리 구조의 XML 파일을 다차원 배열로 재현함과 동시에 물리적 음성 파일을 교안 데이터 상에 합체하여 실행하는 방식을 따르도록 한다.The timeline information and the marker information are stored in XML format for compatibility, and the mouse event information is managed in an XML file by binding to the XML information of the marker in a subtree form, and when the recorded file is played, the XML of the tree structure While the files are reproduced in a multidimensional array, a physical voice file is merged and executed on teaching material data.
물론, 교사 스스로의 음성 내지 기타 영상 등을 상술한 컨버팅 과정을 도입하여 호환 가능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하여, 교안의 모든 개체들(이미지,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에 대해 위치를 바꾸거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깨지거나 재생 불가능한 현상 없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Of course, by introducing the above-described converting process of the teacher's own voice or other video to be able to be inserted in a compatible mann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r adjust the size of all objects (images, videos, animations, etc.) of the teacher. It is possible to achieve it naturally without breaking or non-reproducible phenomena.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완성이 된 교안 데이터베이스(55)는 교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 및 물리적 속성정보(이벤트)를 포함하는 RealTime XML Property Information 파일로 생성이 되고, 실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는 교안 데이터 서버에서 내용을 부르지 않고 교안 데이터베이스(55)마다 1개씩 자동 생성된 XML 파일을 호출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안 데이터베이스가 XML 파일 형태로 생성이 되는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process of creating a teaching material database in the form of an XML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자(또는 교안 작성자)가 교안 정보를 등록하여 교안 데이터베이스(25)를 생성하게 될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20), 라이센스 관리 서버(40), 추가적으로 음성 스트리밍 서버(35)와의 연동에 의한 선행 확인에 의하여 RealTime XML Property Information 파일 형태의 교안 데이터를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administrator (or teaching planner) registers teaching plan information to generate the
3. 교안 수정 단계3. Correction Step
본 발명에 따른 교안 데이터베이스(55)는 교사 고유 특성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과 아울러 보다 진보된 교안 작성과 활용을 위하여 수정이 가능한 것을 전제로 하되, 작성자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를 구비함과 동시에 무단 사용을 파악하여 교안 데이터베이스의 건실한 활용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The
구체적으로, 교안 수정 단계는 교안 수정 승인 단계와 교안 무단 사용 파악 단계로 구분이 된다.Specifically, the curriculum amendment phase is divided into a curriculum amendment approval step and an unauthorized grasp of the curriculum.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안 수정 승인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eaching modification approval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교안 데이터베이스(55)는 다른 교사에 의하여 여러 차례 수정되는 것이 가능하되 반드시 수정 이전에 교안 데이터베이스(55)를 최초로 작성한 작성자(A)에게 승인을 받아야 한다.The
교안 수정 승인 단계는 교안 수정 단계, 수정 여부 파악 단계, 수정을 요망하는 자(B,C)가 교안 최초 작성자(A)에게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승인 요청 정보를 교안 최초 작성자(A)에게 통보하는 단계, 교안 최초 작성자가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수정 범위 파악 단계, 자동 승인 여부 결정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The process of approving a draft plan is to follow up on the draft plan, find out whether the plan is corrected, request that the person (B, C) request the amendment request approval from the draft planner (A), and notify the draft planner (A) of the approval request information. It consists of the following steps: determining whether to be approved by the original drafter, determining the scope of revision, and determining whether to approve the automatic approval.
교안 최초 작성자(A)는 자신이 작성한 교안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기본적인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바, 이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B(또는 C의 경우 A 및 B/A 또는 B에게 승인을 받아야 함)가 교안을 수정/편집/추가/재배치할 경우 A에게 자동으로 승인 요청(쪽지, 이메일, SMS 등)이 이루어진다. The first author (A) has a basic copyright on his or her drafting database, and B (or, in the case of C, needs to be approved by A and B / A or B) who wants to use the drafting database. When modifying / editing / adding / relocating, A is automatically requested for approval (note, email, SMS, etc.).
이 때, 우선적으로 교안 데이터베이스가 수정(구체적으로는 첨삭/변형/위치 변경)이 되었는지 여부를 기본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는바 이는 식별코드 생성모듈(100)에서 생성한 통합 식별코드와 개별 식별코드의 정보에 의하여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whether the teaching database has been modified (specifically, correction / deformation / position change). This is because of the integrate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identification
구체적으로, 개별 식별코드의 경우 개별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에 부여된 것으로 최초 교안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개별 식별코드를 수정 이후 교안 데이터베이스(25)가 모두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첨삭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각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의 변형은 역시 본 발명에 따른 수정 승인 단계를 응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안 데이터베이스(55) 승인 단계 이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 승인 단계를 거치게 함(이 때 승인이 있는 경우 상술한 후속 개별 식별코드가 최초 식별코드에 부가되어 2차적 저작물로서 활용될 수 있음)으로 파악이 가능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is given to the
또한, 개별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의 위치 변경은 변경된 좌표값과 통합 식별코드를 비교함으로 변동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change of the
이러한 교안 수정 여부 파악 단계를 통해 교안이 수정된 경우 자동으로 교안 최초 작성자(A)에게 승인 여부를 묻는 통보를 하게 되면, 이 요청에 따라 교안 최초 작성자(A)는 승인 또는 반려를 결정할 수가 있다.If the curriculum is revised through the step of identifying whether the curriculum has been modified, and the curriculum is automatically notified to the first author (A) for approval, the original author (A) may decide to approve or reject the request.
승인이 된 경우에는 수정된 교안 데이터베이스(55)에 대해 별도의 개별/통합 식별코드가 기본 식별코드에 부가되는 방식으로 재생성이 되어 라이센스 관리 서버(40)에 재등록이 됨으로써 교안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수정 연혁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반려가 되는 경우에는 교안 최초 작성자(A)는 반려 이유를 구체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의무로 한다.If approved, the modified history of the teaching policy database is regenerated by adding a separate individual / integrated identification code to the basic identification code for the modified
그러나 일정기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승인 요청에 대한 답변(승인/반려)이 없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교안 공유 원칙에 따라 자동 승인 처리가 된다.However, if there is no response (approval / return) to the approval request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utomatic approval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eaching sharing principle basically pursu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 때, 자동 승인 여부 결정은 교안 데이터베이스(55)의 수정 범위에 따라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실질적인 진보한 수정이 일어나지 않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의 위치 변경만을 수행한 경우, 기존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25) 중 하나를 단순 삭제 처리하는 경우 등은 자동으로 반려 처리를 하는데, 이러한 수정 범위 파악은 통합 식별코드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automatic approval decision is to be made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range of the
예를 들어, 수정 범위를 충족하는 요건으로 신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반드시 1개 이상 추가하거나 1가지 이상의 이벤트를 개별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에 부여하는 경우에 한하도록 설정할 수가 있다.For example, it may be set to only add one or more new multimedia databases or assign one or more events to an individual multimedia database as a requirement to satisfy the modification range.
이러한 일련의 수정 단계를 거쳐, 수정이 승인된 교안 데이터베이스(물론, 개별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도 동일한 방식에 의하여 가능)는 2차적 저작물로서 자리매김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저작권료 수익 분배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하여 원 저작권자와 2차적 저작물의 저작권자 사이에서 분배가 가능하다.Through this series of revision steps, the approved teaching materials database (also of course, individual multimedia databases can be established in the same way) can be established as a secondary work, and the distribution of copyright fees can be set in various ways. Distribution is possible between the copyright holder and the copyright holder of the secondary work.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교안 무단 사용 파악 단계는 최초 교안 작성자에게 허락을 받지 않고 무단으로 교안을 도용할 경우에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작된 교안 데이터베이스가 XML 형식 이외의 고유 확장자 파일로 제작되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서 구동되도록 하여 통합 및 개별 식별코드의 추적에 의하여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나, 상술하였듯이 교안 수정이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최초 교안 작성자에게 통보가 되기 때문에 무단 사용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염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해석이 된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identifying unauthorized use of teach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ching material database p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produced in a unique extension file other than XML format when unauthorized teaching is used without permission from the original teaching author. It is possible to identify by integration and tracking of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s by running on the website operated by the system according to the system.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dification of the teaching plan occurs, the creator of the teaching plan will be notified automatically. It is interpreted as not to worry.
4.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교육 제공 단계4. Steps to Provide Training through the Instructional Database
상기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된 교안 데이터베이스(55)는 유료 회원으로 가입된 유저를 대상으로 인터넷 상에서 공개될 수 있으며, 이 때 회원은 교안을 통해 학습을 희망하는 학생일 수도 있고 교안을 작성하거나 구입하기를 희망하는 교사일 수도 있다.Th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교안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aching method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out being limite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교안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략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mponents of the teaching system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안 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face for producing a teaching plan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교안 작성 방법을 이루는 개략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Figure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process for forming a teaching plan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안 데이터베이스가 XML 파일 형태로 생성이 되는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process of creating a teaching material database in the form of an XML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안 수정 승인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eaching modification approval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60: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서버10:
20: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서버 70: 메타데이터 생성모듈20: multimedia database server 70: metadata generating module
25: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80: 컨버팅 관리모듈25: Multimedia Database 80: Conversion Management Module
30: 스트리밍 서버 90: 이벤트 관리모듈30: streaming server 90: event management module
35: 음성 스트리밍 서버 100: 식별코드 생성모듈35: voice streaming server 100: identification code generation module
40: 라이센스 관리서버 110: 교안수정 관리모듈40: license management server 110: teaching correction management module
50: 교안 데이터베이스 서버 55: 교안 데이터베이스50: instructional database server 55: instructional database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15760A KR100931820B1 (en) | 2007-11-13 | 2007-11-13 | Method of providing teaching plan through internet and system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15760A KR100931820B1 (en) | 2007-11-13 | 2007-11-13 | Method of providing teaching plan through internet and system using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49490A KR20090049490A (en) | 2009-05-18 |
| KR100931820B1 true KR100931820B1 (en) | 2009-12-15 |
Family
ID=4085824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11576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1820B1 (en) | 2007-11-13 | 2007-11-13 | Method of providing teaching plan through internet and system using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3182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007044A (en) | 2013-07-10 | 2015-0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User device, server,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eparing and reproducing contents for digital less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29140B1 (en) * | 2013-08-30 | 2014-08-11 | (주)형설이엠제이 | textbook exhibition system and method of exhibition using the same |
| KR102126900B1 (en) * | 2018-02-14 | 2020-06-25 | (주)디비스쿨 | Lear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nternet moving pictur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0068143A (en) * | 2001-04-28 | 2001-07-13 | 송용호 | A method of two way remote education by using computer system |
| JP2001290781A (en) * | 2000-04-06 | 2001-10-19 | Ntt Communications Kk |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content co-creation via network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supporting content co-creation via network |
-
2007
- 2007-11-13 KR KR1020070115760A patent/KR1009318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90781A (en) * | 2000-04-06 | 2001-10-19 | Ntt Communications Kk |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content co-creation via network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supporting content co-creation via network |
| KR20010068143A (en) * | 2001-04-28 | 2001-07-13 | 송용호 | A method of two way remote education by using computer syste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49490A (en) | 2009-05-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302435B2 (en) | Media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 |
| Dunn et al. | Variations2: Retrieving and using music in an academic setting | |
| KR100931820B1 (en) | Method of providing teaching plan through internet and system using same | |
| Smith et al. | Survey of the state of audio collections in academic libraries | |
| Calamai et al. | Sound archives accessibility | |
| Khoury et al. | Applications and implications of digital audio databases for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A discussion of the CNRS—Musée de l’Homme sound archives | |
| Stockinger | Introduction to audiovisual archives | |
| Camlot et al. | Amodern 4: The Poetry Series | |
| Adam Svec | Folk Media: Alan Lomax’s Deep Digitality | |
| Gilinsky Jr et al. | Are you ready for digital case studies | |
| Garnrunsri et al. | Digital publishing production processes for education | |
| Bressan et al. | Hermeneutic implications of cultural encoding: A reflection on audio recordings and interactive installation art | |
| Erjavec | Architecture for editing complex digital documents | |
| Ehrlich | Back to basics: Electronic pedagogy from the (virtual) ground up | |
| McDowell et al. | A digital archive is born: Revisiting the Cinema Culture in 1930s Britain Collection | |
| Nathan | Planning multimedia documentation | |
| Horová et al. | Non-text theses as an integrated part of the university repository: A case study of the academy of performing arts in Prague | |
| Simonnot | The CNRS-Musée de l'Homme Sound Archives from 1900 to the present: a long way between heritage, knowledge and technologies | |
| Liu et al. | The WSML system: web-based synchronization multimedia lecture system | |
| Hahn | Preserving Legacies In and Through Digital Access | |
| Taurino | Dialogues with Audiovisual Archives | |
| Sullivan et al. | Digital music project at winona state university | |
| Wells | Hypermedia authoring in the classroom: but what is required to make it really creative? | |
| Archives | Introduction to Audiovisual Archives | |
| KR100442417B1 (en) | Educational digital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s divided by concept unit and a processing method via the content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12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6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1208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2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20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