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9280B1 -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during handover in network interface - Google Patents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during handover in network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280B1
KR100949280B1 KR1020080035216A KR20080035216A KR100949280B1 KR 100949280 B1 KR100949280 B1 KR 100949280B1 KR 1020080035216 A KR1020080035216 A KR 1020080035216A KR 20080035216 A KR20080035216 A KR 20080035216A KR 100949280 B1 KR100949280 B1 KR 100949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uffer
network interface
handover
net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9803A (en
Inventor
서영주
김동욱
임완선
김우재
김용성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35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280B1/en
Publication of KR20090109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8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28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user and termina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핸드오버시의 인터페이스 버퍼 제어 방법은,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위 IP 레이어로부터 상기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통된 버퍼를 구비한 멀티모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공통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소정의 핸드오버 정책에 따라 핸드오버 동작을 실행 중인 경우, 상기 공통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및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새로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해당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n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for hand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mod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units and a common buffer for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an upper IP layer to each of the network interface units. Transmitting the data stored in the buffer to a previously set buffer of the first network interface unit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a receiving terminal; When performing a handover oper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handover policy, copying data stored in the common buffer and transmitting data to buffers of the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units; And when the handover is completed, transmitting data to the newly set buffer of the second network interface unit,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corresponding second network.

Descriptio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의 핸드오버 시의 인터페이스 버퍼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buffer during hand-over in network interface}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buffer during hand-over in network interface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버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장착한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간의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간의 핸드오버 시 발생하는 패킷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버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for minimizing packet loss occurring during handover between networks, that is, between network interface cards, in a multimode terminal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cards.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두개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멀티모드 단말기는 사전에 설정된 특정 정책에 따라 현재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중 가장 적합한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In general, a multimode terminal having two or more network interface functions selects the most suitable network among the currently connectable network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olicy and performs communication.

이러한 멀티모드 단말기에서는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가 장착하게 되며, 복수의 네트워크가 혼재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간의 데이터의 이전이 바로 네트워크 기술 간의 핸드오버 즉,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In such a multi-mode terminal,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cards are mounted, and in a region where a plurality of networks are mixed, data transfer between the network interfaces causes handover between network technologies, that is,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frequently. do.

도 1은 일반적인 복수개의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이 중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접속도이다. 1 is a system connection diagram for explaining data transmission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general network service areas overlap.

도 1에서, 멀티모드 단말기인 제1단말기(114)는 예컨대, 802.16과 802.11의 각 네트워크의 영역(112, 116)이 중복되어 서비스하는 영역에서 해당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가 장착되어 있다. 제1단말기(114)에서 전송한 데이터는 기지국(BS)(110)이나 액세스 포인트(AP)(116)에 중계되고, 제1단말기(114)를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하는 액세스 라우터(AR)(108) 및 홈 에이전트(HA)(106)와 액세스 네트워크와 공중 인터넷(104,102)을 통하여 제2단말기(100)로 전송된다. In FIG. 1, the first terminal 114, which is a multi-mod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respective network interface card in an area where, for example, the areas 112 and 116 of each network of 802.16 and 802.11 overlap each other.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114 is relayed to the base station (BS) 110 or the access point (AP) 116, and access router (AR) 108 to connect the first terminal 114 to the network. And home agent (HA) 106 and access network and public Internet 104 and 102 to second terminal 100.

이때, 제1단말기(114)가 현재 802.16 네트워크(112)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해당 네트워크를 통한 송수신 감도의 저하 등에 기초한 특정 핸드오버 정책에 따라 802.11 네트워크(116)로 진입을 하게 되면 802.16 네트워크에서 802.11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first terminal 114 is currently using the 802.16 network 112 and enters the 802.11 network 116 according to a specific handover policy based on a decrease in transmission / reception sensitivity through the corresponding network, the 802.16 network Handover to an 802.11 network is performed.

제1단말기(114)에서는 802.16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했기 때문에 802.11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전에 이전 802.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에는 송수신 중에 있는 데이터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경우 사용자가 802.11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된 후에는 더 이상 802.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802.16 네트워크 버퍼에 일시 저장되어 있는 해당 데이터는 손실될 수밖에 없었다. Since the first terminal 114 performs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802.16 network, the data being transmitted / received exists in the buffer of the previous 802.16 network interface card before performing the handover to the 802.11 network. In the case of such data, since the user can no longer use the 802.16 network interface for data communication after the handover to the 802.11 network, the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802.16 network buffer is inevitably lost.

도 2는 종래의 멀티모드 단말기의 버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uffer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ulti-mode terminal.

멀티 모드 단말기의 구조는 예로서, 802.16과 802.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가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는 제1버퍼(20)와 제 2버퍼(22)가 있으며, 해당 버퍼는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해 임시 저장되는 장소로서 사용된다. For example, the structure of the multi-mode terminal is equipped with 802.16 and 802.11 network interface cards, and each network interface card includes a first buffer 20 and a second buffer 22, and a corresponding buffer is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t is used as a temporary storage place.

데이터 통신 중에 단말기가 다른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경우, 즉 802.16에서 802.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이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제1버퍼(20)에 저장된 데이터는 손실된다. 손실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으로 전달이 된다고 하더라도 이미 해당 네트워크의 범위 밖으로 벗어난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는 수신자측 단말기로 전송이 되지 않는다. When the terminal performs a handover to another network during data communication, that is, when switching from 802.16 to an 802.11 network interface card, data stored in the first buffer 20 of the previous network interface is lost. Even if the data is transmitted wirelessly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without being lost, the data is not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because it is already out of range of the network.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시에 패킷 손실이 핸드오버 지연시간에 의한 데이터 손실뿐만 아니라 이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버퍼(20)에 존재하는 데이터마저 손실되기 때문에 많은 핸드오버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rminal transmits data, a large number of hands are lost because packet loss during handover between networks causes not only data loss due to handover delay time but also data existing in the buffer 20 of the previous network interface. It will cause over performance degradation.

이러한 문제는 제1단말기(114)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마다 버퍼를 할당하는 종래의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 인하여 발생하며, 상기 문제점은 제1단말기(114)가 송신자측인 경우에 한하여 발생한다. 제1단말기(114)가 수신자측일 경우에는 해당 버퍼에 있는 데이터가 802.11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더라도 수신된 데이터를 제1 단말기에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This problem occurs due to the conventional data processing method of allocating a buffer for each network interface in the first terminal 114. The problem occurs only when the first terminal 114 is the sender side. 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terminal 114 is the receiver side, the received terminal can process the received data even if the data in the corresponding buffer performs a handover to the 802.11 network.

이러한 중복된 네트워크상에서 단말기의 핸드오버시 송신되는 데이터 손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퍼의 제어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controlling a buffer to solve a problem of data loss transmitted during handover of a terminal in such a redundant network and to transmit data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의 과제는 송신 단말기가 이종 네트워크 핸드오버 시 단말기내에 구비한 공통의 버퍼를 제어하여 패킷 손실을 방지하는 송신측의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버퍼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ffer control method in a multi-mode terminal on a transmitting side that prevents packet loss by controlling a common buffer included in the terminal in a heterogeneous network handover.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핸드오버시의 인터페이스 버퍼 제어 방법은, The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at the time of handover in the multi-mod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위 IP(Internet Protocol) 레이어로부터 상기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통된 버퍼를 구비한 멀티모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공통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소정의 핸드오버 정책에 따라 핸드오버 동작을 실행 중인 경우, 상기 공통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및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새로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해당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 multi-mod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units and a common buffer for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an upper IP layer to the respective network interface units, comprising: a first set of data stored in the common buffer in advance; Transmitting data to a buffer of a network interface unit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a receiving terminal; When performing a handover oper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handover policy, copying data stored in the common buffer and transmitting data to buffers of the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units; And when the handover is completed, transmitting data to the newly set buffer of the second network interface unit,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corresponding second network.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핸드오버시의 인터페이스 버퍼 제어 방법은, In addition, the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during hand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위 IP 레이어로부터 상기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통된 버퍼를 구비한 멀티모드 단말 기에 있어서, In the multi-mode terminal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unit and a common buffer for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upper IP layer to each of the network interface unit,

상기 공통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Transmitting the data stored in the common buffer to a previously set buffer of the first network interface unit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a receiving terminal;

소정의 핸드오버 정책에 따라 핸드오버가 작동되어 완료되면,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공통된 버퍼로 재전송하는 과정; 및Retransmitting data stored in a buffer of a first network interface unit to the common buffer when the handover is operated and comple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handover policy; And

상기 공통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핸드오버시 새로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로 전송하고, 해당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측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nd transmitting the data stored in the common buffer to the newly set buffer of the second network interface unit during handover,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corresponding second network.

또한, 상기 공통된 버퍼에서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하여 재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공통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최우선 순위로 처리하여 상기 새로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data received and retransmitted from the first network interface unit in the common buffer may be processed as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common buffer and transmitted to the newly set second network interface unit buffer.

또한, 상기 공통된 버퍼에서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하여 재전송되는 데이터의 패킷의 헤더는 상기 새로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에서 전송하는 헤더로 수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eader of the packet of data received and retransmitted from the first network interface unit in the common buffer is modified to a header transmitted from the newly set second network interface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측 단말기가 이종 네트워크 핸드오버시 손실될 수 있는 데이터를 공통의 버퍼에서 복사하여 다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에도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핸드오버전에 전송된 데이터를 재처리하여 재설정된 해당 네트 워크 인터페이스부로 재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의 손실을 방지하여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terminal copies data that may be lost in a heterogeneous network handover from a common buffer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data to other network interface units or reprocesses the data transmitted before the handover. By retransmitting to the work interface unit, the data packet is prevented from being lost and the data is stably transmitte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멀티 모드 단말기는 802.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와 802.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즉, 2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장착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802.16 네트워크와 802.11 네트워크는 도 1과 같이 구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multi-mode terminal is equipped with an 802.16 network interface card and an 802.11 network interface card, that is, two network interfaces.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802.16 network and the 802.11 network are constructed as shown in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2.16네트워크와 802.11 네트워크는 약간의 중복된 서비스 영역이 존재하며, 단말기는 두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시의 송신자로서 수신자와 통신을 하는 것을 가정한다. As shown in FIG. 1, the 802.16 network and the 802.11 network have some overlapping service areas, and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receiver as a sender during handover between the two network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된 멀티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extended multi-mod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멀티 모드 단말기의 구조는 각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별로 버퍼가 따로 존재하며 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버퍼(32, 34)로 데이터 송신시에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상위에 공통된 데이터 버퍼(30)를 구비한다. 모든 데이터는 상위 IP 레이어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가기 전에 공통된 버퍼를 거치게 된다. In the structure of the multi-mod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ffer exists separately for each network interface card, and the network interface buffers 32 and 34 have a common data buffer 30 according to the Internet protocol when transmitting data to the network interface buffers 32 and 34. All data goes through a common buffer before going from the upper IP layer to the network interface.

해당 공통된 버퍼(30)는 버퍼에 쌓이는 데이터 순서대로 현재 사용가능 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버퍼(32)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며, 전송된 해당 데이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공통된 버퍼(30)를 구비함으로써, 멀티 모드 단말기가 이용하는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전체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e common buffer 30 transmits the data to the buffer 32 of the currently available network interface in the order of data accumulated in the buffer, and the transmit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By providing a common buffer 3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veral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transmitting the data to a specific network interface used by the multi-mode terminal.

이런 방법을 통해, 멀티 모드 단말기는 핸드오버 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multi-mode terminal can minimize data loss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network interface during handover.

상술된 공통된 버퍼(30)는 멀티 모드 단말기에서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한번에 관리함으로써, 종래 기술보다 핸드오버 시의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mmon buffer 30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of reducing data loss that may occur during handover by managing all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at the multi-mode terminal at once.

그러나, 확장된 멀티 모드 단말기가 핸드오버시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전환하는 시점에도 이미 공통된 데이터 버퍼(30)에서 이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전달되어 버린 데이터는 손실된다. However, even when the extended multi-mode terminal switches the network interface during handover, data that has already been transferred from the common data buffer 30 to the previous network interface is lost.

즉, 확장된 멀티 모드 단말기가 공통된 데이터 버퍼(30)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핸드오버 시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 전에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32)에 데이터가 저장되며, 핸드오버 완료후에는 도 4b와 같이 공통 버퍼(30)에 저장된 데이터가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34)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핸드오버 완료 직전에 버퍼(32)에 전송되었던 데이터는 전송되지 못하고 그대로 손실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even when the extended multi-mode terminal has a common data buffer 30, during handover, data is stored in the buffer 32 of the first network interface card before handover as shown in FIG. 4A. After the over is completed, the data stored in the common buffer 30 is transferred to the buffer 34 of the second network interface card as shown in FIG. 4B.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data transmitted to the buffer 32 just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handover is not transmitted and is los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전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32)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다시 처리해 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원 발명에서는 데이터를 재처리 하는 방법에 대하여 2가지 버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rocess of reprocessing the data existing in the buffer 32 of the previous first network interface card is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buffer control method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a method of reprocessing data.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오버시의 데이터 복사를 이용하여 버퍼를 제어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A to 5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a buffer is controlled using data copy during hand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멀티 모드 단말기가 핸드오버 시에 공통된 버퍼(50)에 존재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복사하여 단말기에 장착된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각각 전달을 하는 방법이다. 확장된 멀티모드 단말기의 구조는 같으나 설명의 편의상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The multi-mode terminal is a method for copying the data existing in the common buffer 50 at the time of handover, and transfers the data to all network interfaces mounted in the terminal. Although the structure of the extended multi-mode terminal is the same,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5a는 핸드오버 전의 상태로서, 현재 확장된 멀티모드 단말기가 802.16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며, 공통된 버퍼(50)에 있는 데이터가 802.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52)로만 전달된다. 도 5b는 단말기가 802.11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 중인 상태로서, 공통된 버퍼(50)에 있는 데이터가 802.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52)로 전달됨과 동시에 802.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54)에도 전달하게 된다. 5A shows a state before handover, in which an extended multimode terminal currently transmits data through an 802.16 network, and data in a common buffer 50 is transferred only to the buffer 52 of the 802.16 network interface card. . 5B shows that the terminal is performing a handover to the 802.11 network, in which data in the common buffer 50 is transferred to the buffer 52 of the 802.16 network interface card and also to the buffer 54 of the 802.11 network interface card. do.

이렇게 전달된 데이터는 802.16 네트워크와 802.11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자측 단말기로 전달되며, 도 5c는 핸드오버가 완료된 후의 상태로서 전환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54)로만 데이터를 전송한다. The transfer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through the 802.16 network and the 802.11 network, and FIG. 5C transmits data only to the buffer 54 of the switched network interface card as a state after the handover is completed.

상술된 방법은 데이터의 손실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으나 멀티 모드 단말기가 핸드오버 중 공통된 버퍼(50)의 각 데이터를 복사하여 802.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52)뿐만 아니라 802.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54)로도 데이터를 전달을 하기 때문에 데이터 복사 오버헤드 및 수신자측 단말기에서 중 복된 데이터가 도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The above-described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data loss is prevented, but the multi-mode terminal copies each data in the common buffer 50 during the handover so that not only the buffer 52 of the 802.16 network interface card but also the buffer 54 of the 802.11 network interface card can be used. Since data is also delivered by), data copy overhead and duplicated data may arrive at the receiver terminal.

도 6a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제이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확장된 멀티모드 단말기에서의 주요 데이터의 흐름도이다. 6A and 6C are flowcharts of main data in an extended multimode terminal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처리 방법에서의 데이터 중복 수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이실시예로 도시된 도6a는 현재 확장된 멀티모드 단말기가 802.16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며, 공통된 버퍼(60)에 있는 데이터가 802.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62)로만 전달된다. 6A,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 of data duplication reception in the processing method of FIG. 5, shows an operation state in which an extended multi-mode terminal transmits data through an 802.16 network, and has a common buffer. Data in 60 is only transferred to the buffer 62 of the 802.16 network interface card.

도 6b는 802.11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동작을 완료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802.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62)에 전송되지 못한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해당 데이터를 공통 버퍼(60)로 다시 전송을 한다. 재전송된 데이터는 공통 버퍼(60)에서 최우선 순위를 가지고 처리가 되며 처리된 데이터는 다시 802.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64)를 통해 해당 수신자측 단말기로 전송이 된다. FIG. 6B illustrates a state immediately after the handover operation is completed in the 802.11 network. When data that is not transmitted to the buffer 62 of the 802.16 network interface card exists, the corresponding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mmon buffer 60 again. The retransmitted data is processed with the highest priority in the common buffer 60, and the processed data is transmitted back to the corresponding receiver terminal through the buffer 64 of the 802.11 network interface card.

이 때 공통 버퍼(60)에서 해당 데이터를 추출할 때는 부가적인 동작이 필요하다. 이는 데이터 패킷의 모든 헤더들(IP, MAC, 등)이 이미 완성된 상태기 때문에 새로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MAC 및 IP 헤더를 수정하여 다시 전송을 해야 한다. In this case, when extracting the data from the common buffer 60, an additional operation is required. Since all headers (IP, MAC, etc.) of the data packet are already completed, the MAC and IP headers must be modified and transmitted again in order to transmit data through the new network interface.

따라서, 공통 버퍼(60)에서는 헤더 정보 등을 수정하여 802.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버퍼(64)로 전달을 함으로써, 수신자측 단말기로 데이터가 손실없이 전송을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2실시예의 방법은 상술된 제1실시예에 비 하여 데이터를 재조립해야 하는 오버헤드가 존재하지만, 수신자측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중복 수신과 같은 문제를 야기함이 전송되는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ommon buffer 60, the header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modified and transferred to the buffer 64 of the 802.11 network interface card,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without loss. Although the method of this second embodiment has an overhead of reassembling data a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t causes problems such as duplicate data reception at the receiver terminal, thereby preventing loss of transmitted data. can do.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or variations may be made. Therefore, changes in the fut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able to escape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이 중복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도면이다. 1 is a system diagram for explaining data transmission in a state where network service areas overlap.

도 2는 종래의 멀티모드 단말기의 버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uffer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ulti-mode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된 멀티 모드 단말기의 주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ain structure of an extended multi-mod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서 핸드오버시의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A and 4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the flow of data during handover in FIG. 3.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버퍼를 제어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A to 5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embodiment of controlling a buf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제이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확장된 멀티모드 단말기에서의 주요 데이터의 흐름도이다. 6A and 6C are flowcharts of main data in an extended multimode terminal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위 IP 레이어로부터 상기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통된 버퍼를 구비한 멀티모드 단말기에 있어서, A multi-mod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units and a common buffer for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upper IP layer to each of the network interface units, 상기 공통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Transmitting the data stored in the common buffer to a previously set buffer of the first network interface unit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a receiving terminal; 소정의 핸드오버 정책에 따라 핸드오버 동작을 실행 중인 경우, 상기 공통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및 When performing a handover oper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handover policy, copying data stored in the common buffer and transmitting data to buffers of the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units; And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새로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해당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핸드오버시의 인터페이스 버퍼 제어 방법. When the handover is completed, transmitting data to the newly set buffer of the second network interface unit,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second network. How to control interface buffers.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위 IP 레이어로부터 상기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통된 버퍼를 구비한 멀티모드 단말기에 있어서, A multi-mod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units and a common buffer for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upper IP layer to each of the network interface units, 상기 공통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Transmitting the data stored in the common buffer to a previously set buffer of the first network interface unit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a receiving terminal; 소정의 핸드오버 정책에 따라 핸드오버가 작동되어 완료되면,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공통된 버퍼로 재전송하는 과정; 및Retransmitting data stored in a buffer of a first network interface unit to the common buffer when the handover is operated and comple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handover policy; And 상기 공통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핸드오버시 새로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로 전송하고, 해당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측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핸드오버시의 인터페이스 버퍼 제어 방법. Transmitting the data stored in the common buffer to a newly set buffer of the second network interface unit during handover,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corresponding second network. Override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된 버퍼에서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하여 재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공통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최우선 순위로 처리하여 상기 새로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버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핸드오버시의 인터페이스 버퍼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network interface unit in the common buffer and retransmitted are processed as the highest priority among data stored in the common buffer and transmitted to the newly set second network interface unit.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during handover in a multimode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된 버퍼에서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하여 재전송되는 데이터의 패킷의 헤더는 상기 새로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에서 전송하는 헤더로 수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핸드오버시의 인터페이스 버퍼 제어 방법. 4. The handover of a multimode terminal of claim 3, wherein a header of a packet of data received and retransmitted from the first network interface unit in the common buffer is modified to a header transmitted from the newly set second network interface unit. How to control the interface buffer of a city.
KR1020080035216A 2008-04-16 2008-04-16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during handover in network interface Expired - Fee Related KR100949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216A KR100949280B1 (en) 2008-04-16 2008-04-16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during handover in network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216A KR100949280B1 (en) 2008-04-16 2008-04-16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during handover in network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803A KR20090109803A (en) 2009-10-21
KR100949280B1 true KR100949280B1 (en) 2010-03-25

Family

ID=4153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2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9280B1 (en) 2008-04-16 2008-04-16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during handover in network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2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6509A1 (en) * 2010-10-27 2012-05-03 Thomas Klingenbrunn Data reprocessing in radio protocol lay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964A (en) * 1998-12-28 2000-07-15 서평원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phone system
KR20040067343A (en) * 2003-01-22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Network connecting device for controlling TCP transmission between wired network and wireless network
WO2007033238A2 (en) 2005-09-13 2007-03-22 Ist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cket connectivity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component and packet therefor
KR100730238B1 (en) 2006-01-03 2007-06-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system and its data communic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964A (en) * 1998-12-28 2000-07-15 서평원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phone system
KR20040067343A (en) * 2003-01-22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Network connecting device for controlling TCP transmission between wired network and wireless network
WO2007033238A2 (en) 2005-09-13 2007-03-22 Ist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cket connectivity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component and packet therefor
KR100730238B1 (en) 2006-01-03 2007-06-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system and its data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803A (en)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3442C1 (en) Cell switching system and method
US88178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 control between RLC and PDCP in a communication
CN103379172B (en) Method and its device of content are provided during switching
US8488627B2 (en) Multi-communications-media network device
CN117337555A (en) Creating two simultaneous VPN connections for VPN clients
US809462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2938025B1 (en) Method of data retransmission in collaborative service transmission and access network gateway thereof
JPH11163947A (en) Gateway device, wireless terminal device, router device, and gateway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network
US20220191745A1 (en) Group Handover with Delayed or Omitted Signalling for Layer 2 Sidelink Relaying
US632724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seamless switchover from a primary packet router to a secondary packet router
EA010335B1 (en) Method for performing packet switched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11163946A (en) Gateway device,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router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device
CN104519524A (en) Data sorting method based on multi-stream transmission and receiving device
CN111405625B (en) A handover method,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220053369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AU201432092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7684369B2 (en) Radio based station apparatus and base station controller
US2009018043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andover method
US67632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a computer product
KR100949280B1 (en) Interface buffer control method during handover in network interface
RU2466513C2 (en) Changes in service points of access of forward communication line and reverse communication line
KR20050113613A (en) Method and system for avoiding tcp packet retransmission during mobile device handoff
EP1113649A2 (en) Packet communication method, node apparatus and packet communication system
JP4741401B2 (en) Information transfer device
CN101588607B (en) Data retransmission method, wireless entity and base station in switch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3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31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