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706B1 - heat transmitter - Google Patents
heat transmit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1706B1 KR100941706B1 KR1020020050440A KR20020050440A KR100941706B1 KR 100941706 B1 KR100941706 B1 KR 100941706B1 KR 1020020050440 A KR1020020050440 A KR 1020020050440A KR 20020050440 A KR20020050440 A KR 20020050440A KR 100941706 B1 KR100941706 B1 KR 1009417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igerant
- tube
- tube member
- heat exchanger
- f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2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with multiple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03—Multiple wall conduits, e.g. for leak det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being formed of p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 F28F1/1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e.g. formed by 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헤더파이프사이에 접속/결합되는 튜브부재에 다수의 핀부재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열성능을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exchanger capable of improving heat transfer performance and increasing overall structural rigidity by integrally forming a plurality of fin members in a tube member connected / coupled between a pair of header pipes. It is about.
이에 본 발명은 냉매가 유입/배출될 수 있도록 입출구 파이프(6)(7)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헤더파이프(2)와; 표면에 굴곡부(23)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기유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독립된 복수개의 냉매유로(22)를 갖는 튜브부재(21); 및 상기 튜브부재(21)의 표면에 튜브부재(2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다수의 핀부재(24)로 이루어진 냉매튜브(20);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헤더파이프(2) 사이에 접속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열교환기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키고, 구조의 견고성 증대로 불량률이 감소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ir of header pipes (2) which are install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inlet and outlet pipes (6) and (7) are installed so that the refrigerant can be introduced / discharged; A tube member 21 having a bent portion 23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refrigerant passages 22 that are independen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ir flow direction; And a refrigerant tube (2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in members (24)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member (21) on the surface of the tube member (21). 2)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m. Therefore,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f the heat exchanger is improved, and the failure rate is reduc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structure.
열교환기, 냉매튜브, 헤더파이프, 튜브부재, 핀Heat exchanger, refrigerant tube, header pipe, tube member, fin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heat exchanger,
도 2는 종래의 냉매튜브에 방열핀이 개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 dissipation fin is interposed in a conventional refrigerant tub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재에 핀부재가 상하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n member is formed up and down in the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튜브를 나타낸 도면.4 to 9 is a view showing a refrigerant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튜브가 적용된 열교환기의 부분 사시도,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to which a refrigerant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1은 도 10에서의 냉매튜브를 나타낸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frigerant tube of FIG.
도 12는 냉매튜브의 핀부재가 인접한 다른 냉매튜브의 튜브부재 외측면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n member of a refrigerant tube is joined to an outer surface of a tube member of another adjacent refrigerant tub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 열교환기 2: 헤더파이프1: heat exchanger 2: header pipe
3,20: 냉매튜브 4,24: 핀부재3,20:
5: 배플 6: 입구파이프5: baffle 6: inlet pipe
7: 출구파이프 8: 엔드플레이트7: outlet pipe 8: end plate
21: 튜브부재 22: 냉매유로 21: tube member 22: refrigerant flow path
23: 굴곡부23: bend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헤더파이프사이에 접속/결합되는 튜브부재에 다수의 핀부재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열성능을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exchanger capable of improving heat transfer performance and increasing overall structural rigidity by integrally forming a plurality of fin members in a tube member connected / coupled between a pair of header pipes. It is about.
공조장치, 특히 자동차용 냉방장치는 유로상에 흐르는 작동유체를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고, 상기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작동유체를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고, 이 응축된 작동유체를 증발기에서다시 외부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즉 상기 증발기내의 작동유체가 외부공기열을 흡열하여 그 주위의 공기 온도를 낮춤으로써 저온화된 외부공기를 차실내로 공급하여 자동차 실내를 냉방시키게 된다.An air conditioner, especially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compresses a working fluid flowing in a flow path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in a compressor, and condenses the working fluid compressed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with a liquid in a condenser to condense it into a liquid state. By heat-exchanging the working fluid with the external air in the evaporator, that is, the working fluid in the evaporator absorbs the external air heat and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air, thereby cooling the inside of the car by cooling the outside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
이와 같이 작동유체를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응축기와 증발기를 통상 열교환기라고 일컫는다.As such, the condenser and evaporator for exchanging the working fluid with the outside air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heat exchanger.
이들 열교환기는 상기와 같이 냉방장치에 사용됨은 물론이고, 내부에 흐르는 작동유체가 외부공기를 가열하여 난방장치에서도 사용되므로 그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는 데, 도 1 에서는 냉방장치에서 작동유체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도시하였다.These heat exchangers are not only used in the cool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but because the working fluid flowing inside is used in the heating device by heating the external air, various heat exchangers a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purpose of use. A condenser is shown for condensing the working fluid into the liquid state.
이 응축기는 통상의 열교환기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헤더 파이프(2) 사이에 복수개의 냉매튜브(3)가 병렬식으로 고정되고, 이 양측 헤더파이프(2) 내부에는 작동유체가 상기 냉매튜브(3)들을 일련의 구획단위로 지그재그식으로 통과할 수 있게 복수개의 배플(5)이 적절하게 설치되고, 상기 냉매튜브(3)들 사이에는 넓은 전열면적을 가진 핀부재(4)가 고정되며, 상기 최외측 냉매튜브(3)에는 상기 핀부재(4)를 보호하는 엔드플레이트(8)가 설치된다.The condenser has a plurality of
이와 같이 구성된 응축기에서 작동유체의 흐름경로는 도면의 화살표와 같다. 즉, 입구파이프(6)로 유입된 기체상태의 작동유체는 양측 헤더파이프(2)에 고정된 다수개의 배플(5)들을 경계로 하여 냉매튜브(3)들을 각각의 구획단위로 지그재그식으로 통과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여 액체상태로 상변화된 후 출구파이프(7)로 배출된다.The flow path of the working fluid in the condens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dicated by the arrow in the figure. That is, the gaseous work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6 is zigzag-passed through the
이와 같이 작동유체가 상기 냉매튜브(3)를 흐르면서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러한 흐름과정에서 기상에서 액상으로 상변화되므로 매우 복잡한 유동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As such, the working fluid performs heat exchange with external air while flowing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기상에서 액상으로 상변화가 이루어지는 작동유체는 냉매튜브(3)를 흐를 때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더욱 활발하게 하여 보다 완전한 액체상태로 상변화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fluid in which the phase change from the gas phase to the liquid phase changes the phase to a more complete liquid state by more actively exchanging heat with external air when the
이를 위한 종래 냉매튜브(3)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 내부 공간을 복수개의 격벽(9)으로 구분하여 복수개의 단일유로(10)를 형성하고, 그 상하 외측면에는 핀부재(4)가 브레이징 접합되게 된다.The conventional refrigerant tube (3) for this purpose is to form a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격벽(9)들은 냉매튜브(3)의 수력직경을 다분화하여 내부 유체 의 전열성능을 높이고, 상하면의 지지대 역할을 하여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내구성을 유지시키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이에 따라 작동유체가 상기 입구파이프(6)로 유입되어 냉매튜브(3)를 통과하면서 상기 단일유로(10)들의 양측 격벽(9)과 부딪쳐 흐르면서 외부공기와 열교환하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은 흐름이 계속됨에 따라 점차 액체상태로 상변화되어 상기 출구파이프(7)로 배출될 때는 액체상태로 변화된다.Accordingly, the working fluid flows into the inlet pipe 6 and passes through the
그런데 이와 같이 종래 냉매튜브(3)는 내부의 전열효과 상승에는 매우 높은 효율을 발휘하지만, 외측으로는 단순한 평탄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내측의 전열상승 효과를 전체적인 방열량 증대로 이어주는 대는 한계가 있다. 즉, 외측 전열효과는 따로 제작되어 조립/브레이징 되는 핀부재(4)에 전적으로 의존하므로 상기 핀부재(4)가 그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방열량의 직접적인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By the way, the conventional refrigerant tube (3) is very high efficiency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effect inside, but because of the simple flat surface on the outside there is a limit to the heat transfer effect of the inside to increase the amount of heat dissipation. That is, since the outer heat transfer effect depends entirely on the
또한, 열전달 과정중 상기 냉매튜브(3)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경우에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비산되는 현상을 저지하는 구조적 방지 장치가 전혀 없기 때문에 열교환기 주변의 다른 장치들에게 좋지않은 피해를 주고 있다.In addition, when dew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부재의 외측 표면에 다수의 굴곡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냉매유로상의 튜브부재 외측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핀부재를 일체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냉매튜브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측과의 전열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상기 냉매튜브 표면에 맺히는 이슬이 비산되는 현상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열교환기 전체의 구조적 강성도 높일 수 있는 열교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form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member and at the same time to form a plurality of fin members integrally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ube member outer surface on the refrigerant flow path, To effectively improve the heat transfer to the air side passing through each of the refrigerant tube, and to reduce the phenomenon that the dew condensation on the surface of the refrigerant tube and to provide a thermal bridge to increas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entire heat exchanger have.
이에 본 발명은 냉매가 유입/배출될 수 있도록 입출구 파이프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헤더파이프와; 표면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기유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독립된 복수개의 냉매유로를 갖는 튜브부재; 및 상기 튜브부재의 표면에 튜브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다수의 핀부재로 이루어진 냉매튜브;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헤더파이프 사이에 접속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header pipes install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inlet and outlet pipes are installed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in and out; A tube member having a bent portion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refrigerant passag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ir flow direction; And a refrigerant tube made up of a plurality of fin members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member on the surface of the tube member.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parts as in the prior ar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재에 핀부재가 상하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튜브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n member is formed up and down in the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9 are views showing a refrigerant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는 냉매가 유입/배출될 수 있도록 입출구파이프(6)(7)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헤더파이프(2) 사이에 복수개의 냉매튜브(20)가 병렬식으로 고정되고, 이 양측 헤더파이프(2) 내부에는 작동유체가 상기 냉매튜브(20)들을 일련의 구획단위로 지그재그식으로 통과할 수 있게 복수개의 배플(5)이 적절하게 설치되고, 상기 최외측 냉매튜브(20)에는 상 기 냉매튜브(20)의 핀부재(24)들을 보호하는 엔드플레이트(8)가 설치된다.First, the
상기한 열교환기(1)에 있어서, 상기 냉매튜브(20)의 일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 표면에 다수의 굴곡부(23)가 대칭적으로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그 최외측은 각각 폐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각각의 굴곡부(23) 내측을 연결 형성하여 각각 독립된 복수개의 냉매유로(22)를 갖는 튜브부재(21)와; 상기 냉매유로(22)상의 튜브부재(21) 외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튜브부재(21)의 전열면적을 넓히는 다수의 핀부재(24)로 구성된다.In the
여기서, 상기 핀부재(24)들은 이웃하는 다른 냉매유로(22)상의 튜브부재(21) 표면에는 형성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핀부재(24)들은 상기 튜브부재(21)의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Here, the
또한, 상기 핀부재(24)는 상기 튜브부재(21)의 상하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하측 어느 한 방향에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냉매유로(22)는 모두 동일 선상에서 수평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유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냉매튜브(20)의 냉매유로(22)를 통과하는 작동유체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면서 점차 냉각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다수의 핀부재(24)들 사이로 공기가 통과 하면서 상기 핀부재(24)들과 부딪치게 됨에 따라 전열이 효과적으로 향상되게 된다. Therefore, the work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또한, 상기 다수의 핀부재(24)들은 공기유동방향에 대하여 교차되게 일정한 면적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가 직접적으로 부딪치는 부분이 종래의 핀부재(4) 보다 넓어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튜브부재(21)도 굴곡부(23)를 통해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열교환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이하, 도 4 내지 도 9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일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4 to 9 will be described only for the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튜브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부재(21)의 상하 외측 표면에 공기유동방향으로 배열 형성되는 핀부재(24)의 높이를 상호 다르게 형성한 것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frigerant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height of the
따라서, 상기 핀부재(24)를 통과하는 공기가 난류형태로 통과하게 됨에 따라 열교환이 더욱 증대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a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또한, 상기 핀부재(24) 중 높이가 다소 낮은 핀부재(24)에서는 공기가 저항없이 그냥 통과하게 하여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튜브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핀부재(24)들은 상기 모든 냉매유로(22)상의 튜브부재(21) 외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a refrigerant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핀부재(24)들은 상기한 일실시예 보다 더욱더 많은 전열 면적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열교환 성능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Accordingly,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튜브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다수의 핀부재(24)들은 상기 모든 냉매유로(22)상의 튜브부재(21) 외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다만, 상기 각 냉매유로(22)상의 튜브부재(21)에 형성된 핀부재(24)들은 공기유동방향에 대하여 상호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게 된다.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refrigerant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plurality of
따라서, 지그재그형으로 배열 형성된 핀부재(24)들의 사이로 통과되는 공기는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핀부재(24)들 보다 공기가 직접적으로 부딪치는 전열 면적이 증가하여 열교환 성능이 더욱더 향상되게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zigzag-shap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튜브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조이며, 다만 튜브부재(21)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핀부재(24)가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된 것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refrigerant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따라서, 상기 튜브부재(24) 자체의 무게나 가조립을 위한 압착으로 상기 튜브부재(21)가 길이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할 때, 상기 핀부재(24)가 인접한 다른 튜브부재(21)의 핀부재(24)와 겹치거나 끼이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튜브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부재(21)에 다수의 냉매유로(22)가 지그재그형으로 배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각 냉매유로(22)상의 상하 최외측의 튜브부재(21)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핀부재(24)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핀부재(24)는 각각의 냉매유로(22)상의 튜브부재(21) 외측 표면에 상하 교번적으로 형성되게 된다.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nt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따라서,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된 튜브부재(21)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지그재그형으로 되는 굴곡부(23)를 따라 유동함으로써, 전열면적이 증가하여 열교환성 능이 향상 되게 된다.Therefor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zigzag-shape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튜브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비슷한 구조를 보이며, 다만 상기 튜브부재(21)의 전열면적을 더 높히기 위해 상기 튜브부재(21)의 각각의 냉매유로(22)들이 지그재그형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구간을 상기 도 8의 구조 보다 더 크게 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냉매유로(22)들은 적어도 2개이상씩 동일선상에서 배열되도록 한다.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nt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which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FIG. 8, except that the heat transfer area of the
그리고, 핀부재(24)들은 각각의 냉매유로(22)상의 튜브부재(21) 외측 표면에 상하 교번적으로 형성되게 된다.The
따라서, 상기 튜브부재(21)를 통과하는 공기는 지그재그형으로 되는 굴곡면(23)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전열면적이 더욱 증가되어 열교환성능을 향상 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튜브가 적용된 열교환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의 냉매튜브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상기 냉매유로(22)가 모두 동일 선상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튜브부재(21)의 상하 외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핀부재(24)들이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된 냉매튜브(20)가 적용된 것을 일예로 나타낸 것이다.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to which a refrigerant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nt tube in FIG. 10, in which all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헤더파이프(2) 사이에 복수개의 냉매튜브(20)가 병렬식으로 고정 설치되고, 이 양측 헤더파이프(2) 내부에는 작동유체가 상기 냉매튜브(20)들을 일련의 구획단위로 지그재그식으로 통과할 수 있게 복수개의 배플(5)이 적절하게 설치되고, 상기 최외측 냉매튜브(20)에는 상기 냉매튜브(20)의 핀부재(24)들을 보호하는 엔드플레이트(8)가 설치된다.As shown, a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냉매튜브(20)의 핀부재(24)들은 인접하는 다른 냉매튜브(20)의 핀부재(24)들과 맞닿게 되어 열교환기(1) 전체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냉매튜브(20)의 냉매유로(22)내를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상기 냉매튜브(20)와 핀부재(24)들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측과 열교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도 12는 도 8에서 설명한 다수의 냉매유로가 지그재그형으로 배열 형성된 냉매튜브와 인접하는 다른 냉매튜브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상기 각각의 냉매유로(22)에 대하여 튜브부재(21) 외측 표면에 상하 교번적으로 돌출 형성된 핀부재(24)가 인접한 다른 냉매튜브(20)의 튜브부재(21) 외측면에 맞닿게 된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igerant tubes formed in a zigzag arrangement with a plurality of refrigerant passages described in FIG. 8 and other refrigerant tub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outer side of the
따라서, 상기의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한 냉매튜브(20)의 핀부재(24)와 인접한 다른 냉매튜브(20)의 핀부재(24)가 맞닿는 경우에 상기 핀부재(24)의 폭방향 두께가 얇아서 서로 맞닿은 핀부재(24)가 안정적으로 맞닿아 있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상기 핀부재(24)들은 인접한 다른 냉매튜브(20)의 튜브부재(21) 외측 표면에 맞닿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thicknes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그래서, 상기 냉매튜브(2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측 통로가 안정적으로 확보되며 열교환기(1) 전체의 구조적 강성도 더욱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us, the air-side passage passing between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1)에 따르면, 상기 헤더파이프(2) 및 입출구파이프(6)(7)와 냉매튜브(20), 엔드플레이트(8) 등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브 레이징로에 투입하여 브레이징 접합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따라서, 입구파이프(6)로 유입된 기체상태의 작동유체는 양측 헤더파이프(2)에 고정된 다수개의 배플(5)들을 경계로 하여 냉매튜브(20)들을 각각의 구획단위로 지그재그식으로 통과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여 액체상태로 상변화된 후 출구파이프(7)로 배출되게 된다.Accordingly, the gaseous work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6 is zigzag-passed through the
그리고, 본 발명의 냉매튜브(20)는 튜브부재(21)의 표면에 다수의 굴곡부(23)를 가지며 각각의 냉매유로(22)상의 튜브부재(21) 외측 표면에는 핀부재(24)들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냉매튜브(20)를 통과하는 공기측과의 전열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냉매유로(22)를 지그재그형으로 배열 형성한 다수의 튜브부재(21)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게 되면 상기 튜브부재(21) 외측 표면의 굴곡부(23)를 따라 공기가 유동함으로써 상기 핀부재(24)들과 더불어 상기 냉매유로(22)내에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전열을 향상시켜 열교환 성능을 최대로 높힌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air passes between the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튜브부재(21) 표면에 이슬이 맺힐 경우에는 상기 튜브부재(21)의 굴곡부(23)와 공기유동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게 면을 갖는 핀부재(24)들에 의해 이슬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When dew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교환기에 따르면, 상기 튜브부재의 표면에 굴곡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튜브부재의 냉매유로를 지그재그형으로 배열 형성 함과 아울러 상기 냉매유로상의 튜브부재 외측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핀부재를 일체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냉매튜브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측과의 전열이 향상되어 열교환 성능이 높아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curved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ube member or the refrigerant flow path of the tube member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and a plurality of length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member on the refrigerant flow path. By integrally protruding the fin members, heat transfer to the air side passing between the respective refrigerant tubes is improved, and heat exchange performance is increased.
그리고, 상기 냉매튜브의 핀부재와 인접한 다른 냉매튜브의 핀부재 또는 튜브부재와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냉매튜브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측 통로가 안정적으로 확보되며 열교환기 전체의 구조적 강성도 더욱 높아지게 된다.In addition, by contacting the fin member or the tube member of the other refrigerant tube adjacent to the fin member of the refrigerant tube, the air-side passage passing between the refrigerant tube is secured stably and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entire heat exchanger is further increased.
또한, 상기 튜브부재 표면의 굴곡부와 공기유동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게 면을 갖는 핀부재들에 의해 튜브부재 표면에 발생하는 이슬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ew from occurring on the surface of the tube member by the fin members having a surface intersecting the bent portion of the tube memb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air flow direction.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20050440A KR100941706B1 (en) | 2002-08-26 | 2002-08-26 | heat transmit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20050440A KR100941706B1 (en) | 2002-08-26 | 2002-08-26 | heat transmitt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19432A KR20040019432A (en) | 2004-03-06 |
| KR100941706B1 true KR100941706B1 (en) | 2010-02-11 |
Family
ID=3732422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2005044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1706B1 (en) | 2002-08-26 | 2002-08-26 | heat transmit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41706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20740B1 (en) | 2014-09-19 | 2016-05-12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Heat exchanger for an air conditioning plant of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of |
| KR20180046165A (en) * | 2016-10-27 | 2018-05-08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High efficiency heat exchang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34612B1 (en) * | 2015-01-27 | 2015-07-10 | 구일공조주식회사 | Out-door condenser |
| KR101963715B1 (en) | 2016-12-09 | 2019-03-29 | (주)에스엔피시스템 | Container for agricultural products sorting apparatus |
| KR102556167B1 (en) * | 2021-05-25 | 2023-07-14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Radiator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771825A (en) * | 1987-01-08 | 1988-09-20 | Chen Hung Tai | Heat exchanger having replaceable extended heat exchange surfaces |
| JPH02115665U (en) * | 1989-02-28 | 1990-09-17 | ||
| US5383517A (en) * | 1993-06-04 | 1995-01-24 | Dierbeck; Robert F. | Adhesively assembled and sealed modular heat exchanger |
| WO2000043722A1 (en) * | 1999-01-22 | 2000-07-27 |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Heat exchanger with tube plates |
| KR20010093539A (en) * | 2000-03-29 | 2001-10-29 | 황한규 | Coolant tube of heat exchanger |
| KR20010093593A (en) * | 2000-03-29 | 2001-10-29 | 김충한 | Talking dolls and techniques using radios |
| KR20020045685A (en) * | 2000-12-09 | 2002-06-20 | 구자홍 | Heat exchanger with pin fin |
-
2002
- 2002-08-26 KR KR1020020050440A patent/KR1009417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771825A (en) * | 1987-01-08 | 1988-09-20 | Chen Hung Tai | Heat exchanger having replaceable extended heat exchange surfaces |
| JPH02115665U (en) * | 1989-02-28 | 1990-09-17 | ||
| US5383517A (en) * | 1993-06-04 | 1995-01-24 | Dierbeck; Robert F. | Adhesively assembled and sealed modular heat exchanger |
| WO2000043722A1 (en) * | 1999-01-22 | 2000-07-27 |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Heat exchanger with tube plates |
| KR20010093539A (en) * | 2000-03-29 | 2001-10-29 | 황한규 | Coolant tube of heat exchanger |
| KR20010093593A (en) * | 2000-03-29 | 2001-10-29 | 김충한 | Talking dolls and techniques using radios |
| KR20020045685A (en) * | 2000-12-09 | 2002-06-20 | 구자홍 | Heat exchanger with pin fi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20740B1 (en) | 2014-09-19 | 2016-05-12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Heat exchanger for an air conditioning plant of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of |
| KR20180046165A (en) * | 2016-10-27 | 2018-05-08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High efficiency heat exchang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19432A (en) | 2004-03-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265657B1 (en) | Evaporator or evaporator / condens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US9651317B2 (en) |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 |
| KR100913141B1 (en) | Evaporator Using Microchannel Tube | |
| US6273184B1 (en) | Parallel-disposed integral heat exchanger | |
| US6401809B1 (en) | Continuous combination fin for a heat exchanger | |
| US20120227945A1 (en) | Free-draining finned surface architecture for heat exchanger | |
| KR20060025082A (en) | Evaporator Using Microchannel Tube | |
| US20090173480A1 (en) | Louvered air center with vortex generating extensions for compact heat exchanger | |
| JP5421859B2 (en) | Heat exchanger | |
| JP5716499B2 (en) |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 |
| KR101977817B1 (en) | Heat exchanger | |
| WO2018040037A1 (en) | Micro-channel heat exchanger and air-cooled refrigerator | |
| JP2001027484A (en) | Serpentine heat-exchanger | |
| WO2017135442A1 (en) | Heat exchanger | |
| KR100941706B1 (en) | heat transmitter | |
| KR100522668B1 (en) | Heat exchanger tube | |
| JP7001917B2 (en) | Heat exchanger with heat transfer tube unit | |
| JPH0623806U (en) | Heat exchanger for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 |
| US20080202731A1 (en) | One-Piece Turbulence Insert | |
| KR19990074845A (en) | Parallel flow heat exchanger | |
| KR100393564B1 (en) | Condenser for air-conditioner | |
| EP4300026B1 (en) | Heat exchange fin, heat exchanger, and heat pump system | |
| KR100606332B1 (en) | Flat Tubes for Heat Exchangers in Air Conditioning Equipment | |
| CN116157644B (en) |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same | |
| KR200168000Y1 (en) | Evaporator for room airconditio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2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