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4026B1 -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026B1
KR100954026B1 KR1020080037775A KR20080037775A KR100954026B1 KR 100954026 B1 KR100954026 B1 KR 100954026B1 KR 1020080037775 A KR1020080037775 A KR 1020080037775A KR 20080037775 A KR20080037775 A KR 20080037775A KR 100954026 B1 KR100954026 B1 KR 100954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employment information
recommendation keyword
recommendation
keywo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086A (ko
Inventor
오규덕
김지훈
임지원
Original Assignee
인크루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크루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크루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7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026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0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은, 입력된 검색어와 연관되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연결 속성을 고려하여 제2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와,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작성된 제2 리스트를 제1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제2 리스트에 대한 제2 선택에 연동하여 검색되는 취업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검색어, 추천키워드, 자동 완성, 취업 정보

Description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XPOSURING RECRUIT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검색어의 입력에 따라 검색어와 연관되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표시하고, 제1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고려하여 상기 연결 속성과 대응하도록 사전 결정된 필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리스트를 표시하고, 제2 리스트에 대한 선택에 따라 필드 식별자 별로 세부적으로 분류된 취업 정보를 노출 함으로써, 검색어를 입력한 사용자의 관심에 부합할 만한 취업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사원을 모집하는 경우, 신문지상이나 구인구직 전용신문이나 잡지 등을 이용하여 사원모집공고를 내거나 취업알선업체에 의뢰하고, 구직자들은 사원모집공고나 취업알선업체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따라 직접 취직을 원하는 회사에 방문하여 입사원서나 필요한 구비서류 등을 제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최근들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가 활성화되면서, 구직자에게는 신속한 실시간 취업 정보를 제공하고, 사원을 모집하는 구인업체에게는 좀 더 능력있고 업무에 적합한 사원을 채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통한 구인구직활동을 펼치는 취업정보업체들이 활성화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상에서 구직자 및 구인업체의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인/구직 정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사이트가 다수 개설되어 있으며,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는 사용자(구직자 또는 구인업체)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어와 매칭되거나 연관되는 취업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인/구직 사이트의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검색어가 입력되고 검색 실행이 요청되면, 단순히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공할 뿐, 입력된 검색어와 연관된 추천키워드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관심에 부합할만한 취업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는 없었다. 즉, 종래에는 검색하고자 하는 취업 정보에 정확히 포함되는 검색어가 입력될 경우에 사용자가 원하는 취업 정보가 검색 결과로서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취업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여러 개의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 결과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시행 착오를 거쳐야 하는 등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취업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검색어의 입력에 따라 검색어와 연관되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표시하고, 제1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고려하여 상기 연결 속성과 대응하도록 사전 결정된 필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리스트를 표시하고, 제2 리스트에 대한 선택에 따라 필드 식별자 별로 세부적으로 분류된 취업 정보를 노출 함으로써, 검색어를 입력한 사용자의 관심에 부합할 만한 취업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추천키워드 별로 설정된 연결 속성을 기준으로 상기 취업 정보를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세부 기준에 관한 취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천키워드에 대해 산출되는 입력 누적 횟수 또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카운트한 정보 개수에 따라 추천키워드를 정렬하여 상기 제1 리스트에 표시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에 의해 검색되거나 보다 많은 취업 정보와 연관된 추천키워드를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광고 정보 또는 알림 부가 정보를 포 함하는 제3 리스트를, 상기 추천키워드의 제1 선택에 따라 표시 함으로써, 타겟 광고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색어에 대한 그룹 속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추천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방법은, 입력된 검색어와 연관되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연결 속성을 고려하여 제2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작성된 제2 리스트를 상기 제1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리스트에 대한 제2 선택에 연동하여 검색되는 취업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입력된 검색어와 연관되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 리스트 표시 수단과, 상기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연결 속성을 고려하여 제2 리스트를 작성하는 제2 리스트 작성 수단, 상기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작성된 제2 리스트를 상기 제1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하는 제2 리스트 표시 수단, 및 상기 제2 리스트에 대한 제2 선택에 연동하여 검색되는 취업 정보를 노출하는 취업 정보 노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어의 입력에 따라 검색어와 연관되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표시하고, 제1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고려하여 상기 연결 속성과 대응하도록 사전 결정된 필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리스트를 표시하고, 제2 리스트에 대한 선택에 따라 필드 식별자 별로 세부적으로 분류된 취업 정보를 노출 함으로써, 검색어를 입력한 사용자의 관심에 부합할 만한 취업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포괄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추천키워드 별로 설정된 연결 속성을 기준으로 상기 취업 정보를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세부 기준에 관한 취업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천키워드에 대해 산출되는 입력 누적 횟수 또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카운트한 정보 개수에 따라 추천키워드를 정렬하여 상기 제1 리스트에 표시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에 의해 검색되거나 보다 많은 취업 정보와 연관된 추천키워드를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광고 정보 또는 알림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리스트를, 상기 추천키워드의 제1 선택에 따라 표시 함으로써, 타겟 광고 효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어에 대한 그룹 속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추천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필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광고 정보 또는 알림 부가 정보를 추천키워드 별로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임시 저장 공간인 버퍼(135)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은 검색어 입력에 따라 제공된 제1 리스트 내 추천키워드에 대한 선택이며, 클릭 또는 마우스 오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추천키워드가 포커싱되며, 상기 제1 선택에 따라 제공된 제2 리스트가 활성화(예컨대, 마우스 오버)되는 경우, 상기 추천키워드에 대한 포커싱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리스트에 대한 제2 선택은 추천키워드의 제1 선택에 따라 제공된 제2 리스트 내 필드 식별자에 대한 선택이며, 클릭 또는 마우스 오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스트에 대한 제2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필드 식별자와 연관된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노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100)은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 제2 리스트 작성 수단(120), 데이터베이스(130), 제2 리스트 표시 수단(140), 제3 리스트 표시 수단(150), 및 취업 정보 표시 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입력된 검색어와 연관되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즉,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포함된 검색어입력창으로의 검색어 입력에 따라, 상기 검색어와 연관되는 추천키워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선정된 추천키워드를 정렬한 상기 제1 리스트를 상기 검색어입력창에 연관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상기 입력된 검색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검색어, 또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와 상관되는 검색어를, 상기 추천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검색어 '서울'이 입력 됨에 따라, 검색어 '서울'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검색어 '서울, 서울문고, 서울푸드앤씨, 서울인스피아, …', 또는 검색어 '서울'과 상관되는 검색어 '서울특별시, 수도권,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를 상기 추천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그룹 속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될 추천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속성은, 검색어와 연관된 검색결과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 출하기 위한 분류 기준(예컨대, 지역, 직종, 근무형태 등)으로,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 속성은 검색어와 연관된 추천키워드를 선정하기 위한 분류 기준이 될 수 있으며, 검색어 별로 사전에 선정될 수 있다. 예컨대, 검색어 '서울'에 대해서는 그룹 속성 '직종'이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검색어 '서울'이 입력될 경우, 검색어 '서울'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검색어, 또는 검색어 '서울'과 상관되는 검색어 중에서, 검색어 '서울'의 그룹 속성 '직종'과 연관되는 검색어, 즉, 기업, 학교, 공공기관 등의 취업 정보에 관한 검색어 '서울, 서울문고, 서울푸드앤씨, 서울인스피아, …'를 상기 추천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그룹 속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추천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상기 선정된 추천키워드 뿐만 아니라, (1) 상기 추천키워드에 대해 산출되는 입력 누적 횟수, 또는 (2) 상기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의 정보 개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추천키워드의 입력 누적 횟수는, 상기 추천키워드가 상기 검색어입력창에 검색어로서 입력되는 검색어 입력 누적 횟수, 과거 제공된 제1 리스트에서 상기 추천키워드가 제1 선택되는 추천키워드 입력 누적 횟수, 또는 상기 검색어 입력 누적 횟수와 추천키워드 입력 누적 횟수를 합산한 합산 입력 누적 횟수 중 적어도 하 나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정보 개수는,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되는 취업 정보 중에서 상기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카운트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상기 선정된 추천키워드와 함께, 상기 추천키워드의 입력 누적 횟수, 및 상기 정보 개수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상기 검색어입력창에 연관시켜 표시 함으로써, 검색어를 입력한 사용자가 입력 누적 횟수, 및 상기 정보 개수를 고려하여 추천키워드를 제1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상기 선정된 추천키워드를, 상기 추천키워드의 입력 누적 횟수 또는 상기 정보 개수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제1 리스트를 표시 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에 의해 검색되거나 보다 많은 취업 정보와 연관된 추천키워드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리스트 작성 수단(120)은 상기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연결 속성을 고려하여 제2 리스트를 작성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선택은 검색어 입력에 따라 제공된 제1 리스트 내 추천키워드에 대한 선택이며, 클릭 또는 마우스 오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2 리스트 작성 수단(120)은 상기 식별된 연결 속성과 대응하도록 사전에 결정되는 필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2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리스트 작성 수단(120)은 추천키워드 '서울'의 연결 속성 '근무형태'를 고려하 여 제2 리스트 '정규직, 계약직, 파견대행, 인턴, 기타'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속성은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필드 식별자를 식별하기 위한 분류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추천키워드 별로 사전에 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속성은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검색결과(즉, 취업 정보)를 필드 식별자 별로 추출하기 위한 분류 기준이 될 수 있다.
제2 리스트 작성 수단(120)은 상기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지역', '직종', 또는 '근무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추천키워드 '서울'에 대해서는 연결 속성 '근무형태'가 결정될 수 있으며, 추천키워드 '영어강사'에 대해서는 연결 속성 '지역'이 결정될 수 있으며, 추천키워드 '삼성전자'에 대해서는 연결 속성 '직종'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추천키워드 별로 하나 이상의 연결 속성이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필드 식별자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유지된 취업 정보를 분류하는 세부 기준으로, 상기 필드 식별자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에 따라 나눠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드 식별자는 연결 속성 '근무형태'에 따라 '정규직, 아르바이트, 계약직, 생활구인, 파견대행, 인턴, 기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필드 식별자는 연결 속성 '지역'에 따라 '서울, 경기,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경북, 기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필드 식별자는 연결 속성 '직종'에 따라 '경영 인사 총무 사무, 재무 회계 경리, 마케팅 광고 홍보, 전문직 특수직, 서비스, 영업 판매, 매장관리, 고객상담 TM, 교사 강사 교직원, 인터넷 IT, 정보통신, 건설 건축, 디자인, 전자 기계 기술 공학, 유통 무역 물류 운수, 생산 정비 기능 노무, 기 타'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2 리스트 작성 수단(120)은 상기 포커싱된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하여 버퍼(135)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된 연결 속성에 의해 결정된 필드 식별자 별로, 상기 버퍼(135)에 저장된 취업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필드 식별자 별로 분류된 취업 정보를 카운트하여, 상기 필드 식별자와 상기 카운트한 결과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리스트 작성 수단(120)은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 '서울'을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130) 내 임시 저장 공간인 버퍼(135)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리스트 작성 수단(120)은 추천키워드 '서울'의 연결 속성 '근무형태'에 대응하도록 사전에 결정되는 필드 식별자 '정규직, 아르바이트, 계약직, 생활구인, 파견대행, 인턴, 기타'에 따라, 버퍼(135)에 유지된 취업 정보를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상기 필드 식별자 별로 분류된 취업 정보를 카운트한 결과값을 더 포함하여 상기 추천키워드 '서울'에 관한 제2 리스트를, '정규직(3), 계약직(4), 파견대행(3), 인턴(1), 기타(1)'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제2 리스트 표시 수단(140)은 상기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작성된 제2 리스트를, 상기 제1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제2 리스트 표시 수단(140)은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 '서울'에 관해 작성된 상기 제2 리스트 '정규직(3), 계약 직(4), 파견대행(3), 인턴(1), 기타(1)'을, 추천키워드 '서울'에 대한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할 수 있다.
제3 리스트 표시 수단(150)은 상기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광고 정보 또는 알림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리스트를, 상기 제1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제3 리스트 표시 수단(150)은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 '서울'과 연관된 광고 정보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재단 행정팀 지원인력 모집공고'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하여 추천키워드 '서울'에 대한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리스트 또는 상기 제2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광고 정보 또는 알림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리스트를, 상기 추천키워드의 제1 선택에 따라 표시 함으로써, 타겟 광고 효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취업 정보 표시 수단(160)은 상기 제2 리스트에 대한 제2 선택에 연동하여 검색되는 취업 정보를 노출하는 기능을 한다.
즉, 취업 정보 표시 수단(160)은 상기 제2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상기 제2 리스트 내 필드 식별자와 연관되는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검색하여 노출할 수 있다.
예컨대, 취업 정보 표시 수단(160)은 상기 제2 리스트 '정규직(3), 계약직(4), 파견대행(3), 인턴(1), 기타(1)'에 대한 제2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필드 식별자 '정규직'과 연관되는 3건의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검색어 '서울'의 추천키워드 '서울'의 필드 식별자 '정규직'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어 '서울'에 관한 단순하고 포괄적인 검색 결과(즉, 취업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검색어 '서울'에 관해 제1 선택된 추천키워드 '서울'의 연결 속성 '근무형태'에 따라 결정된 필드 식별자 별로 세부적으로 분류한 취업 정보를, 필드 식별자 '정규직'의 제2 선택에 연동하여 상기 검색어 '서울'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에 부합할 만한 취업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에서,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과 그에 대응하는 필드 식별자를 도시한 표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에서는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필드 식별자'를 식별하기 위한 분류 기준인 '연결 속성'이, '추천키워드' 별로 사전에 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속성은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검색결과(즉, 취업 정보)를 필드 식별자 별로 추출하기 위한 분류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드 식별자'는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된 취업 정보를 분류하는 세부 기준으로, 상기 필드 식별자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은, '지역', '직종', 또는 '근무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될 수 있으며,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에 따라 필드 식별자가 결 정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천키워드 '서울'에 대해서는 연결 속성 '근무형태'가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속성 '근무형태'에 따라 '정규직, 아르바이트, 계약직, 생활구인, 파견대행, 인턴, 기타'와 같은 필드 식별자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리스트 내 추천키워드 '서울'이 제1 선택되는 경우, 상기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추천키워드 '서울'의 연결 속성 '근무형태'에 따라 결정된 필드 식별자 '정규직, 아르바이트, 계약직, 생활구인, 파견대행, 인턴, 기타' 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된 취업 정보를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정된 필드 식별자가 포함된 제2 리스트에 대한 제2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필드 식별자와 연관된 취업 정보를, 검색 결과로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ⅰ)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에서, 검색어 입력에 따라 제1 리스트를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포함된 검색어입력창(310)으로의 검색어 '서울' 입력에 따라, 검색어 '서울'과 연관되는 추천키워드 '서울, 서울문고, 서울푸드앤씨, 서울인스피아'를 선정하고, 추천키워드 별로 산출되는 입력 누적 횟수 또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카운트한 정보 개수에 따라 상기 선정된 추천키워드를 정렬한 제1 리스트(320)를 검색어입력창(310)에 연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ⅱ)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에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에 따른 제2 리스트 및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제3 리스트를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제1 리스트(320)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 '서울'(330)의 연결 속성 '근무형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연결 속성 '근무형태'에 대응하도록 결정된 필드 식별자 및 상기 필드 식별자 별로 취업 정보를 카운트한 결과값이 포함된 제2 리스트(340)를 작성하여, 상기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제1 리스트(320)에 연관시켜 제2 리스트(34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상기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추천키워드 '서울'(330)과 연관된 광고 정보 또는 알림 부가 정보가 포함된 제3 리스트(350)를, 제1 리스트(320) 또는 제2 리스트(340)에 연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제2 리스트(340) 내 필드 식별자 '정규직'(360)에 대한 제2 선택에 따라, 필드 식별자 '정규직'(360)에 연관되는 3건의 취업 정보를, 검색어 '서울'의 추천키워드 '서울'(330)의 필드 식별자 '정규직'(360)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취업 정보 노출 방법은 본 발명의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도 4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도 4를 설명하여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단계 S405에서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포함된 검색어입력창으로의 검색어 입력을 판단한다.
상기 S405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검색어 입력이 판단되는 경우, 단계 S410에서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상기 검색어와 연관되는 추천키워드를 선정한다.
예컨대,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검색어 '서울'이 입력 됨에 따라, 검색어 '서울'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검색어 '서울, 서울문고, 서울푸드앤씨, 서울인스피아, …', 또는 검색어 '서울'과 상관되는 검색어 '서울특별시, 수도권,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를 상기 추천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검색어 '서울'이 입력될 경우, 검색어 '서울'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검색어, 또는 검색어 '서울'과 상관되는 검색어 중에서, 검색어 '서울'의 그룹 속성 '직종'과 연관되는 검색어, 즉, 기업, 학교, 공공기관 등의 취업 정보에 관한 검색어 '서울, 서울문고, 서울푸드앤씨, 서울인스피아, …'를 상기 추천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그룹 속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추천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415에서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상기 선정된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작성하고, 작성된 제1 리스트를 검색어입력창에 연관시켜 표시한다.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상기 선정된 추천키워드 뿐만 아니라, (1) 상기 추천키워드에 대해 산출되는 입력 누적 횟수, 또는 (2) 상기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의 정보 개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상기 선정된 추천키워드와 함께, 상기 추천키워드의 입력 누적 횟수, 및 상기 정보 개수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상기 검색어입력창에 연관시켜 표시 함으로써, 검색어를 입력한 사용자가 입력 누적 횟수, 및 상기 정보 개수를 고려하여 추천키워드를 제1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제1 리스트 표시 수단(110)은 상기 선정된 추천키워드를, 상기 추천키워드의 입력 누적 횟수 또는 상기 정보 개수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제1 리스트를 표시 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에 의해 검색되거나 보다 많은 취업 정보와 연관된 추천키워드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제1 리스트 내 추천키워드에 대한 제1 선택을 판단한다.
상기 단계 S420에서의 판단 결과, 제1 리스트 내 추천키워드에 대한 제1 선택이 이루어질 경우, 단계 S425에서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식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선택은 검색어 입력에 따라 제공된 제1 리스트 내 추천키워드에 대한 선택이며, 클릭 또는 마우스 오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속성은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필드 식별자를 식별하기 위한 분류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추천키워드 별로 사전에 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속성은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검색결과(즉, 취업 정보)를 필드 식별자 별로 추출하기 위한 분류 기준이 될 수 있다.
제2 리스트 작성 수단(120)은 상기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지역', '직종', 또는 '근무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추천키워드 '서울'에 대해서는 연결 속성 '근무형태'가 결정될 수 있으며, 추천키워드 '영어강사'에 대해서는 연결 속성 '지역'이 결정될 수 있으며, 추천키워드 '삼성전자'에 대해서는 연결 속성 '직종'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추천키워드 별로 하나 이상의 연결 속성이 결정될 수도 있다.
단계 S430, S435, S440에서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포커싱된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하여 버퍼(135)에 임시로 저장하고, 상기 식별된 연결 속성에 의해 결정된 필드 식별자 별로, 상기 버퍼(135)에 저장된 취업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필드 식별자 별로 분류된 취업 정보를 카운트하여, 상기 필드 식별자와 상기 카운트한 결과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리스트를 작성한다.
예컨대, 제2 리스트 작성 수단(120)은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 '서울'을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130) 내 임시 저장 공간인 버퍼(135)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리스트 작성 수단(120)은 추천키워드 '서울'의 연결 속성 '근무형태'에 대응하도록 사전에 결정되는 필드 식별자 '정규직, 아르바이트, 계약직, 생활구인, 파견대행, 인턴, 기타'에 따라, 버퍼(135)에 유지된 취업 정보를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상기 필드 식별자 별로 분류된 취업 정보를 카운트한 결과값을 더 포함하여 상기 추천키워드 '서울'에 관한 제2 리스트를, '정규직(3), 계약직(4), 파견대행(3), 인턴(1), 기타(1)'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리스트 표시 수단(140)은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 '서울'에 관해 작성된 상기 제2 리스트 '정규직(3), 계약직(4), 파견대행(3), 인턴(1), 기타(1)'을, 추천키워드 '서울'에 대한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420에서의 판단 결과, 제1 리스트 내 추천키워드에 대한 제1 선택이 이루어질 경우, 단계 S445에서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상기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광고 정보 또는 알림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리스트를, 상기 제1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한다.
예컨대, 제3 리스트 표시 수단(150)은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 '서울'과 연관된 광고 정보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재단 행정팀 지원인력 모집공고'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하여 추천키워드 '서울'에 대한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리스트 또는 상기 제2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광고 정보 또는 알림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리스트를, 상기 추천키워드의 제1 선택에 따라 표시 함으로써, 타겟 광고 효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450에서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제2 리스트에 대한 제2 선택이 이루어지는지 판단한다.
단계 S450에서의 판단 결과, 제2 리스트에 대한 제2 선택이 이루어질 경우, 단계 S455에서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은 제2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상기 제2 리스트 내 필드 식별자와 연관되는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검색하여 노출한다.
예컨대, 취업 정보 표시 수단(160)은 상기 제2 리스트 '정규직(3), 계약직(4), 파견대행(3), 인턴(1), 기타(1)'에 대한 제2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필드 식별자 '정규직'과 연관되는 3건의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검색어 '서울'의 추천키워드 '서울'의 필드 식별자 '정규직'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어 '서울'에 관한 단순하고 포괄적인 검색 결과(즉, 취업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검색어 '서울'에 관해 제1 선택된 추천키워드 '서울'의 연결 속성 '근무형태'에 따라 결정된 필드 식별자 별로 세부적으로 분류한 취업 정보를, 필드 식별자 '정규직'의 제2 선택에 연동하여 상기 검색어 '서울'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에 부합할 만한 취업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 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에서,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과 그에 대응하는 필드 식별자를 도시한 표이다.
도 3의 (ⅰ)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에서, 검색어 입력에 따라 제1 리스트를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ⅱ)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에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에 따른 제2 리스트 및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제3 리스트를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업 정보 노출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
110: 제1 리스트 표시 수단
120: 제2 리스트 작성 수단
130: 데이터베이스 135: 버퍼
140: 제2 리스트 표시 수단
150: 제3 리스트 표시 수단
160: 취업 정보 표시 수단

Claims (19)

  1. 입력된 검색어와 연관되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연결 속성을 고려하여 제2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작성된 제2 리스트를, 상기 제1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리스트에 대한 제2 선택에 연동하여 검색되는 취업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리스트를 작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식별된 연결 속성과 대응하도록 사전에 결정되는 필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2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취업 정보를 노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상기 제2 리스트 내 필드 식별자와 연관되는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된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연결 속성에 의해 결정된 필드 식별자 별로, 상기 추출된 취업 정보를 분류하여 카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리스트를 작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필드 식별자와 상기 카운트한 결과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식별하는 상기 단계는,
    '지역', '직종', 또는 '근무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리스트를 표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검색어, 또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와 상관되는 검색어를, 상기 추천키워드로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리스트를 표시하는 상기 단계는,
    (1) 상기 추천키워드에 대해 산출되는 입력 누적 횟수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또는
    (2)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취업 정보 중에서 상기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카운트한 정보 개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광고 정보 또는 알림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리스트를, 상기 제1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방 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리스트를 표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그룹 속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될 추천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1. 입력된 검색어와 연관되는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 리스트 표시 수단;
    상기 제1 리스트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연결 속성을 고려하여 제2 리스트를 작성하는 제2 리스트 작성 수단;
    상기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작성된 제2 리스트를, 상기 제1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하는 제2 리스트 표시 수단; 및
    상기 제2 리스트에 대한 제2 선택에 연동하여 검색되는 취업 정보를 노출하는 취업 정보 노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스트 작성 수단은,
    상기 식별된 연결 속성과 대응하도록 사전에 결정되는 필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2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취업 정보 노출 수단은,
    상기 제2 선택에 따라 포커싱되는 상기 제2 리스트 내 필드 식별자와 연관되는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스트 작성 수단은,
    상기 포커싱된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식별된 연결 속성에 의해 결정된 필드 식별자 별로, 상기 추출된 취업 정보를 분류하여 카운트하여, 상기 필드 식별자와 상기 카운트한 결과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스트 작성 수단은,
    상기 포커싱되는 추천키워드의 연결 속성을, '지역', '직종', 또는 '근무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스트 표시 수단은,
    상기 입력된 검색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검색어, 또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와 상관되는 검색어를, 상기 추천키워드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스트 표시 수단은,
    (1) 상기 추천키워드에 대해 산출되는 입력 누적 횟수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리스트를 작성하거나, 또는 (2)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취업 정보 중에서 상기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취업 정보를 카운트한 정보 개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추천키워드와 연관된 광고 정보 또는 알림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리스트를, 상기 제1 리스트와 연관시켜 표시하는 제3 리스트 표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스트 표시 수단은,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그룹 속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될 추천키워드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업 정보 노출 시스템.
KR1020080037775A 2008-04-23 2008-04-23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954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775A KR100954026B1 (ko) 2008-04-23 2008-04-23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775A KR100954026B1 (ko) 2008-04-23 2008-04-23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086A KR20090112086A (ko) 2009-10-28
KR100954026B1 true KR100954026B1 (ko) 2010-04-20

Family

ID=4155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7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4026B1 (ko) 2008-04-23 2008-04-23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0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632A (ko) * 2004-08-23 2004-09-10 현인호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및 방법
KR20060006587A (ko) * 2004-07-16 2006-01-19 이팔진 인터넷상에서의 광고정보검색 및 맞춤형정보 제공시스템
KR20060006377A (ko) * 2004-07-16 2006-01-19 정의신 웹 사이트에서의 1차 키워드 검색에 대해 관련성 있는 2차키워드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587A (ko) * 2004-07-16 2006-01-19 이팔진 인터넷상에서의 광고정보검색 및 맞춤형정보 제공시스템
KR20060006377A (ko) * 2004-07-16 2006-01-19 정의신 웹 사이트에서의 1차 키워드 검색에 대해 관련성 있는 2차키워드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78632A (ko) * 2004-08-23 2004-09-10 현인호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086A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4813B1 (en) Dynamically categorizing entity information
CA2750609C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tching records and normalizing names
US20100268673A1 (en) Associate memory learning agent technology for travel optimization and monitoring
CN111125343A (zh) 适用于人岗匹配推荐系统的文本解析方法及装置
US20150032645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of performing contract review
US20080147630A1 (en) Recommender and payment methods for recruitment
US20050080657A1 (en) Matching job candidate information
US200701362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file matching with an unstructured document
JP2002297883A (ja) 知識情報管理方法、知識情報生成方法、知識情報利用方法および知識情報管理装置
Dornbusch et al. Identification of university-based patents: A new large-scale approach
US20110082803A1 (en) Business flow retrieval system, business flow retrieval method and business flow retrieval program
US20120271775A1 (en)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mproved candidate search and selection and recruitment management
EP2075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database
JP5384281B2 (ja) Dm配布エリア分析装置
US200201987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relationship with a venture company
US8429149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O*NET codes from job descriptions
Uvidia Fassler et al. Moving towards a methodology employing 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s to assist in decision making regarding academic placement and student admissions for universities
Yeon An overview of high impact law journals in Asian countries
Yu et al. Developing a revised QFD technique to meet the needs of multiple-customer groups: a case of public policy analysis
WO2005038584A2 (en) Matching job candidate information
KR100954026B1 (ko)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
JP6160503B2 (ja) 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3108598A (ja) 法律類データベース閲覧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Muhammad et al. Constituent of information governance framework for a successful implementation in Nigerian Universities
Stewart et al. The Orthodox icons collection of the Regional Historical Museum—Burgas: A digital library for iconographic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4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