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496B1 - Reflective polarizing film,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flective polarizing film,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7496B1 KR100957496B1 KR1020070121132A KR20070121132A KR100957496B1 KR 100957496 B1 KR100957496 B1 KR 100957496B1 KR 1020070121132 A KR1020070121132 A KR 1020070121132A KR 20070121132 A KR20070121132 A KR 20070121132A KR 100957496 B1 KR100957496 B1 KR 1009574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protrusion
- polarizing film
- reflective polarizing
- primer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6—Reflective polariz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1—Phase modulating patterns, e.g. refractive index patter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층, 상기 광학층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 1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하는 반사형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including an optical layer, a first primer layer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optical layer, and a first protrusion disposed on the primer layer.
프라이머 prim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사형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uni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근래에 각종 전기적 신호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등의 우수한 특성을 지닌 다양한 평판표시장치(FPD : Flat Panel Display)가 소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RT : Cathode Ray Tube)을 빠르게 대체하며 각광받고 있다.Recently, the display field for visually expressing various electrical signal information is rapidly developing, and in response to this, various flat panel displays (FPDs) with excellent characteristics such as thinness,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are being developed. It is introduced and rapidly replaced the existing CRT (Cathode Ray Tube).
이러한 평판표시장치의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 Plazma Display Panel), 전계방출표시장치(FED : Field Emission Display), 전기발광표시장치(ELD : ElectroLuminescence Display)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중 액정표시장치는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크고 동화상 표시에 우수한 특징을 보여 현재 노트북용 표시화면, 모니터, TV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Examples of such flat panel display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plasma display panels (PDPs), field emission displays (FEDs),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s (ELD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 high contrast ratio and is excellent in moving image display, and is currently being actively used in the field of display screens, monitors, and TVs for notebook computers.
일반적으로, 수광형 표시장치로 분류되는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이외에 상기 액정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genera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lassified as a light receiving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backlight unit disposed below the liquid crystal panel to provide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in addition to the liquid crystal panel displaying an image.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해 광원 및 광학필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필름은 확산시트, 프리즘 시트 또는 보호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cklight unit may be configured of a light source and an optical film to provide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Here, the optical film may include a diffusion sheet, a prism sheet or a protective sheet.
상기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확산 및 집광이 다수의 광학시트들로 이루어진 광학필름에 이루어지고 있으나, 백라이트 유닛의 제조 수율 향상 및 휘도 향상을 달성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Such a backlight unit is made of an optical film made up of a plurality of optical sheets for diffusing and condensing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but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achieving improvement in manufacturing yield and brightness of the backlight unit.
따라서, 본 발명의 반사형 편광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는 휘도의 분포가 균일한 반사형 편광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the backlight unit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provide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having a uniform distribution of luminance, a backlight unit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은 광학층, 상기 광학층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 1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layer, a first primer layer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optical layer and a first protrusion located on the primer layer.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및 상기 광원 상에 위치하는 반사형 편광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은 광학층, 상기 광학층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 1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and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positioned on the light source, wherein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an optical layer and a first primer layer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optical layer. And a first protrusion located on the primer lay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 상에 위치하는 반사형 편광 필름 및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 상에 위치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은 광학층, 상기 광학층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 1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positioned on the light source and a liquid crystal panel positioned on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an optical layer , A first primer layer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optical layer and a first protrusion positioned on the primer lay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은 광학층, 상기 광학층의 일면에 위치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프라이머층 및 상 기 제 1 프라이머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optical layer, the substrate layer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optical layer, the first primer layer located on the substrate layer and the first primer layer. It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및 상기 광원 상에 위치하는 반사형 편광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은 광학층, 상기 광학층의 일면에 위치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프라이머층 및 상기 제 1 프라이머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and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positioned on the light source, wherein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an optical layer, a base layer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optical layer, It may include a first primer layer located on the substrate layer and a first protrusion located on the first primer lay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 상에 위치하는 반사형 편광 필름 및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 상에 위치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형 편광 필름은 광학층, 상기 광학층의 일면에 위치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프라이머층 및 상기 제 1 프라이머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positioned on the light source and a liquid crystal panel positioned on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an optical layer , A base layer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optical layer, a first primer layer positioned on the base layer, and a first protrusion disposed on the first primer layer.
본 발명의 반사형 편광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는 기재층 또는 광학층과 돌출부와의 접착력을 강화시켜줌으로써, 돌출부의 확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휘도의 분포가 균일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light unit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may enhance the diffusion property of the protrusion by enhancing the adhesion between the substrate layer or the optical layer and the protrusion, and thus the luminance distribution is uniform. There is an advantage that one backlight uni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be provid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의 단면도이다.1A to 1F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200)은 광학층(210), 상기 광학층(210)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 1 프라이머층(220) 및 상기 제 1 프라이머층(220)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1A to 1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광학층(210)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학층(210)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층(211) 및 상기 제 1 층(211)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 1 층(211)과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층(2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상기 제 1 층(211)과 상기 제 2 층(212)은 교대로 반복하여 위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층(211)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일 수 있고, 상기 제 2 층(212)은 폴리에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또한, 광학층(210)은 120 내지 45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의 일부는 광학층(210)을 투과하고 일부는 광학층(210)에서 하부의 광원 방향으로 반사된다. 이때, 광원쪽으로 반사된 빛은 다시 반사되어 광학층(210)으로 입사되게 되고, 광학층(210)에 입사된 빛의 일부는 광학층(210)을 투과하고 일부는 광학층(210)에서 하부의 광원 방향으로 다시 반사된다.Accordingly, some of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즉, 광학층(210)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고분자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고분자의 분자 배향을 한쪽 방향으로 배향시켜 다른 방향의 편광만 투과시키고 같은 방향의 편광은 반사시키는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제 1 프라이머층(220)은 프라이머(Primer) 처리 공정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프라이머 처리는 일반 고분자 필름 상에 고분자 처리를 하여 고분자 필름과 UV 수지 등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rimer treatment may serve to improve adhesion of the polymer film and the UV resin by performing a polymer treatment on a general polymer film.
이때, 프라이머 처리에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로는 아크릴(Acryl), 에스테르(Ester) 또는 우레탄(Urethan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polymer material used for the primer treatment, acrylic (Acryl), ester (Ester) or urethane (Urethane) may be used, and a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may be used to prevent the risk of fire.
프라이머 처리 공정은 전술한 고분자 물질을 프라이머 처리될 기재 상에 도포하고, 이를 코터(Coater) 장치를 사용하여 코팅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imer treatment process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the above-described polymer material on a substrate to be primed, and coating it using a coater device.
이렇게 형성된 제 1 프라이머층(220)은 5 내지 3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라이머층(220)의 두께가 5nm 이상이면,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너무 얇아 접착력 향상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 프라이머층(220)의 두께가 300nm 이하이면, 프라이머 처리 공정 중 코팅 얼룩이 발생하거나 고분자 재료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하기 표 1은 프라이머층의 두께에 따른 투과 특성 및 접착 특성을 측정한 결 과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adhe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 매우 우수, ○: 우수, △: 보통◎: very good, ○: excellent, △: normal
상기 표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프라이머층(220)은 두께에 대해 미세조정을 하여 휘도 개선, 색 좌표 개선 등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따라서, 광학층(210)과 추후 설명될 돌출부(230) 사이에 프라이머 처리를 할 때, 프라이머층(220)의 두께를 조절하면, 광 투과율 및 접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primer treatment between the
한편, 제 1 프라이머층(220)은 물리적 결합을 하는 점착제나 접착제와는 달리 화학적 결합을 통해 광학층(210)과 돌출부가 상호 접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adhesive that is physically bonded to the
즉, 광학층(210)의 재료는 폴리 계열이 선택되고 돌출부의 재료로는 UV(Ultra Violet) 수지계열이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층(210)과 돌출부 간의 일반적인 물리적 결합을 시도하게 되면 상호 부착되는 계면이 매끄러워 월등한 부착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나, 광학층(210)과 돌출부 간에 프라이머층(220)을 형성하여 화학적 결합을 시도하게 되면 물리적 결합보다 더 월등한 부착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상호 부착되는 계면을 보호할 수 있다.That is, the material of the
다음은 위의 설명을 뒷받침하기 위해 돌출부의 재료로 수지를 선택하고, 프라이머층(220)의 재료로 우레탄을 선택했을 때, UV 경화에 따른 두 재료 간의 화학적 반응식을 나타낸다.Next, in order to support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resin is selected as the material of the protrusion and urethane is selected as the material of the
제 1 돌출부(230)는 상기 제 1 프라이머층(22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 1 돌출부(230)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집광 또는 확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제 1 돌출부(23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제 1 돌출부(230)의 단면은 삼각형의 프리즘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230)는 산(231)과 골(232)을 포함하며, 상기 산(231)과 골(232)은 제 1 돌출부(23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여기서, 제 1 돌출부(230)의 산(231)들 간의 거리(P)는 20 내지 60㎛일 수 있으며, 산(231)의 각도(A)는 70 내지 110°일 수 있다. 또한, 제 1 돌출부(230)의 높이는 10 내지 300㎛일 수 있다.Here, the distance P between the
또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230)의 산(231) 또는 골(232)은 제 1 돌출부(2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인 굴곡을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굴곡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일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C, the
즉, 제 1 돌출부(230)의 산(231)은 좌우가 랜덤한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산(231)의 평균 수평 진폭은 1 내지 20㎛일 수 있다.That is, the
또한, 제 1 돌출부(230)의 골(232)은 좌우가 랜덤한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골(232)의 평균 수평 진폭은 1 내지 20㎛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제 1 돌출부(230)의 산(231)의 높이(H)는 각 바닥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굴곡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 1 돌출부(230)의 산(231)의 평균 높이차는 1 내지 2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H of the
전술한 바와는 달리, 제 1 돌출부(230)의 단면 형상은 반구형일 수 있다. Unlike the abov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보다 자세하게는, 제 1 돌출부(230)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렌즈 형태일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여기서, 제 1 돌출부(230)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235)가 배열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235)는 렌즈의 직경과 치밀도에 따라 광의 확산, 굴절 또는 집광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렌즈(235)의 각 렌즈의 직경은 20 내지 200㎛일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235)가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80 내지 90%일 수 있으며, 그 이상일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micro lenses 235 may be arranged in the
그리고, 제 1 돌출부(230)는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렌티큘러 렌즈는 내부가 채워진 터널 형태일 수 있으며, 각각의 피치와 높이에 따라 광의 확산, 굴절 또는 집광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Here, the lenticular lens may be in the form of a tunnel filled inside, and the diffusion, refraction, or concentration of light may vary according to each pitch and height.
그리고, 제 1 돌출부(230)는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부일 수 있다. 즉, 제 1 돌출부(230)는 복수 개의 비드(238)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2 is a sectional view of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사형 편광 필름(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층(310), 광학층(310) 상에 위치하는 제 1 프라이머층(320) 및 제 1 프라이머층(320)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ive
여기서, 제 1 돌출부(330)는 레진(337) 및 복수 개의 비드(338)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진(337)은 아크릴 레진일 수 있으며, 비드(338)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타이렌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Here, the first protrusion 330 may include a
여기서, 상기 레진(337)에 대해 상기 비드(338)는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 될 수 있다. 또한, 레진(337) 내에 분포되는 비드(338)의 입자 직경이 일률적이지 않고 불규칙한 분포를 가질 수 있다. Here, the
상기 비드(338)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눈사람형, 울퉁불퉁한 원형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hape of the
그리고, 레진(337) 내에 분포되는 비드(338)는 레진(337) 내에 규칙적인 분포를 갖지 않고 불규칙한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레진(337) 내에 분포되는 비드(338)가 제 1 돌출부(330)의 표면 위로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히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은 제 1 돌출부 내에 복수 개의 비드를 포함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erefor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an effect of diffusing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by including a plurality of beads in the first protrusion.
그리고, 상기에서는 제 1 돌출부의 단면이 삼각형인 프리즘 형상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다양한 형상의 제 1 돌출부에도 복수 개의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 prism shape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is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protrusion may have a plurality of beads.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층(410), 광학층(410) 일면에 위치하는 제 1 프라이머층(420a) 및 제 1 프라이머층(420a)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430a)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iv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400)은 상기 광학층(410)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 2 프라이머층(420b) 및 상기 제 2 프라이머층(420b) 상에 위치하는 제 2 돌출부(43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lective
상기 광학층(410), 제 1 프라이머층(420a) 및 제 1 돌출부(430a)는 상기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optical layer 410, the
제 2 프라이머층(420b)은 상기 광학층(410)의 타면에 위치하며, 제 1 프라이머층(420a)과 동일하게 프라이머(Primer) 처리 공정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제 2 프라이머층(420b)은 아크릴(Acryl), 에스테르(Ester) 또는 우레탄(Urethan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제 2 프라이머층(420b)은 5 내지 3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 프라이머층(420b)의 두께가 5nm 이상이면,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너무 얇아 접착력 향상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고, 제 2 프라이머층(420b)의 두께가 300nm 이하이면, 프라이머 처리 공정 중 코팅 얼룩이 발생하거나 고분자 재료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제 2 돌출부(430b)는 상기 제 2 프라이머층(420b)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 2 돌출부(430b)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집광 또는 확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제 2 돌출부(430b)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 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제 2 돌출부(430b)는 전술한 제 1 돌출부(430a)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2 돌출부(430b)는 프리즘 형상, 마이크로 렌즈 형상, 렌티큘러 렌즈 형상 또는 확산부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2 돌출부(430b)는 복수의 비드(도시안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고자 간략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brief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ll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500)은 광학층(510), 상기 광학층(510) 상에 위치하는 기재층(520), 상기 기재층(520) 상에 위치하는 제 1 프라이머층(530) 및 상기 제 1 프라이머층(530)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reflective
본 실시 예의 광학층(510), 제 1 프라이머층(530) 및 제 1 돌출부(54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들의 광학층, 제 1 프라이머층 및 제 1 돌출부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기재층(520)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기재층(520)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광투과성 물질,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및 폴리에폭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기재층(520)은 10 내지 1000㎛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기재층(520)의 두께가 10㎛ 이상이면, 필름의 기계적 강도 및 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기재층(520)의 두께가 1000㎛ 이하이면, 필름의 기계적 강도 및 열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필름의 유연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500)은 광학층(510), 상기 광학층(510) 상에 위치하는 기재층(520), 상기 기재층(520) 상에 위치하는 제 1 프라이머층(530) 및 상기 제 1 프라이머층(530)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540)를 포함함으로써, 필름의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및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reflectiv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층(610), 상기 광학층(610)의 일면에 위치하는 기재층(620), 상기 기재층(620) 상에 위치하는 제 1 프라이머층(630a) 및 상기 제 1 프라이머층(630a)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640a)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reflecti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600)은 상기 광학층(610)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 2 프라이머층(630a) 및 상기 제 2 프라이머층(630a) 상에 위치하는 제 2 돌출부(64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lective
본 실시 예의 광학층(610), 제 1 프라이머층(630a) 및 제 1 돌출부(640a)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들의 광학층, 제 1 프라이머층 및 제 1 돌출부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layer 610, the first primer layer 630a and the first protrusion 640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the same as the optical layer, the first primer layer and the first protrus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example, the description is omitted.
제 2 프라이머층(630b)은 상기 광학층(610)의 타면에 위치하며, 제 1 프라이머층(630a)과 동일하게 프라이머(Primer) 처리 공정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second primer layer 630b is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optical layer 610 and may be formed by a primer treatment process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rimer layer 630a.
제 2 프라이머층(630b)은 아크릴(Acryl), 에스테르(Ester) 또는 우레탄(Urethan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second primer layer 630b, acryl, ester, urethane, or the like may be used, and a water-soluble polymer may be used to prevent the risk of fire.
제 2 프라이머층(630b)은 5 내지 3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 프라이머층(630b)의 두께가 5nm 이상이면,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너무 얇아 접착력 향상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고, 제 2 프라이머층(630b)의 두께가 300nm 이하이면, 프라이머 처리 공정 중 코팅 얼룩이 발생하거나 고분자 재료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second primer layer 630b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5 nm to about 300 nm. Here,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rimer layer 630b is 5 nm or more, the disadvantage that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is too thin to improve the adhesive strength may be prevented.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rimer layer 630b is 300 nm or less,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coating stains or agglomeration of polymer materials from occurring during the primer treatment process.
제 2 돌출부(640b)는 상기 제 2 프라이머층(640b)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 2 돌출부(640b)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집광 또는 확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640b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primer layer 640b, and the second protrusion 640b may serve to collect or diffus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제 2 돌출부(640b)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고 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640b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high molecular resin to transmit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Here, the polymer resin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polycarbonate, polypropylene, polyethylen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제 2 돌출부(640b)는 전술한 제 1 돌출부(640a)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2 돌출부(640b)는 프리즘 형상, 마이크로 렌즈 형상, 렌티큘러 렌즈 형상 또는 확산부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2 돌출부(640b)는 복수의 비드(도시안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rotrusion 640b may have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protrusion 640a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econd protrusion 640b may have any one of a prism shape, a micro lens shape, a lenticular lens shape, and a diffuser shape, and the second protrusion 640b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eads (not shown). can do.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고자 간략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brief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ll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6A to 6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cklight unit including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서는 백라이트 유닛으로서 에지형(edge)형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하였고,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전술한 광학 시트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In FIG. 6A, an edge type backlight unit is illustrated as the backlight uni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omitted since the optica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optical sheet.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700)은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되는 액정 패널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6A and 6B, the
백라이트 유닛(700)은 광원(720) 및 광학 시트(7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700)은 도광판(740), 반사판(750), 바텀 커버(760) 및 몰드 프레임(7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광원(72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전원을 사용하여 광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상기 광을 출사할 수 있다.The
광원(720)은 예를 들어, 도광판(740)의 장축 방향을 따라 도광판(740)의 일측에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거나, 도광판(740)의 양측 각각에 적어도 1개 이상씩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7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740) 내부로 직접 입사되거나, 광원(720)의 일부, 예를 들어, 광원(720) 외주면의 3/4 정도를 감싸도록 형성된 광원 하우징(722)에 반사된 후 도광판(740)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광원(720)은, 구체적으로, 냉음극관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열음극관 형광램프(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및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광학 시트(730)는 도광판(74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시트(730)는 광원(72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광학 시트(730)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출부 및 상기 기재 하부에 위치하는 광학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층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 1 층과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제 1 돌출 부 및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제 2 돌출부의 높이와 서로 다를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광학 시트(730)의 하부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입사된 광이 광학층에서 반사 또는 투과된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light is incident from the lower part of the
또한, 광학층을 투과한 광은 복수의 돌출부에서 불규칙적으로 굴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돌출부는 광 간섭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화상의 선명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layer may be irregularly refracted 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herefor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sharpness of the image by preventing the optical interference phenomen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700)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As a result, display quality of the
도광판(740)은 광원(720)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광원(720)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방으로 출사되도록 상기 광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반사판(750)은 도광판(740)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광원(720)으로부터 출사된 광 중에서 도광판(740)을 경유하여 하방으로 출사된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The
바텀 커버(760)는 바닥부(762) 및 상기 바닥부(762)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측부(764)로 이루어져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에는 광원(720), 광학 시트(730), 도광판(740) 및 반사판(750)이 수납될 수 있다.The
몰드 프레임(770)은 대략 사각테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텀 커버(760)의 상측으로부터 탑 다운(top down) 방식으로 바텀 커버(760)와 체결될 수 있다.The
한편,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7A and 7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for describing the configuration of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 도 7a 및 7b에서는 백라이트 유닛으로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배치 및 그에 따른 구성 요소의 변경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그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All. 7A and 7B illustrate a direct backlight unit as the backlight uni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backlight unit illustrated in FIGS. 7A and 7B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acklight unit illustrated in FIGS. 6A and 6B except for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sources and the change in the components thereof,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Only its features will be described.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800)은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되는 액정 패널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7A and 7B, the
상기 백라이트 유닛(800)은 광원(820) 및 광학 시트(8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800)은 반사판(850), 바텀 커버(860), 몰드 프레임(870) 및 확산판(8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광원(820)은 확산판(880)의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광원(8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직접 확산판(880)으로 입사될 수 있다.At least one
광학 시트(830)는 확산판(88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시트(830)는 광원(82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광학 시트(830)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출부 및 상기 기재 하부에 위치하는 광학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층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 1 층과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제 2 돌출부의 높이와 서로 다를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광학 시트(830)의 하부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입사된 광이 광학층에서 반사 또는 투과된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light is incident from the lower part of the
또한, 광학층을 투과한 광은 복수의 돌출부에서 불규칙적으로 굴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돌출부는 광 간섭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화상의 선명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layer may be irregularly refracted 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herefor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sharpness of the image by preventing the optical interference phenomen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800)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As a result, display quality of the
확산판(880)은 광원(820) 및 광학 시트(8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광원(82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이는 광원(820)의 형상이 백라이트 유닛(800)을 통해 보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광을 더욱 확산시키기 위함이다.The
한편,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백라이트 유닛으로서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이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그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8A and 8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illustrate the backlight unit shown in FIGS. 6A and 6B as the backlight uni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cklight unit illustrated in FIGS. 7A and 7B may be used as the backlight unit. Meanwhile, since the backlight units illustrated in FIGS. 8A and 8B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only the features thereof will be described.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900)는 액정의 전기 광학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8A and 8B, the liquid
상기 액정표시장치(900)는 백라이트 유닛(910) 및 액정 패널(10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quid
백라이트 유닛(910)은 액정 패널(1010) 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액정 패널(1010)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백라이트 유닛(910)은 광원(920) 및 광학 시트(9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910)은 도광판(940), 반사판(950), 바텀 커버(960) 및 몰드 프레임(9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액정 패널(1010)은 몰드 프레임(970) 상에 안착되며, 바텀 커버(960)와 탑 다운 방식으로 체결되는 탑 커버(10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액정 패널(1010)은 백라이트 유닛(91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 구체적으로, 광원(92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액정 패널(1010)은 액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컬러 필터 기판(1012)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컬러 필터 기판(1012)은 액정 패널(10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The
컬러 필터 기판(1012)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기판 상에 박막으로 형성된 컬러 필터 어레이, 예를 들어, 적/녹/청색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컬러 필터 기판(1012)의 상부에 상부 편광판이 배치될 수 있다.The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14)은 구동 필름(916)을 통해 다수의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91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14)은 인쇄회로기판(918)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인쇄회로기판(918)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전압을 액정에 인가할 수 있다.The thin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14)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다른 기판 상에 박막으로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hin
여기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14)의 하부에 하부 편광판이 부착될 수 있다.Here, a lower polarizer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hi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는 다수 개의 광학 기능층들이 적층된 광학 필름에 있어서, 특히 광학층 또는 기재층 상에 프라이머 공정을 수행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층 또는 광학층 상에 형성되는 돌출부와의 접착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light uni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in an optical film in which a plurality of optical functional layers are stacked, in particular, a primer process on an optical layer or a base layer By performing the to form a primer lay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nhance the adhesive force with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base layer or the optical layer.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는 기재층 또는 광학층과 돌출부와의 접착력을 강화시켜줌으로써, 돌출부의 확산 또는 집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휘도의 분포가 균일하고 표시품질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the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rove the diffusion or condens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trusion by enhancing the adhesion between the substrate layer or the optical layer and the protrusion.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backlight uni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uniform distribution of luminance and an improved display quality can be provid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may be practic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aspects.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claims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lso, it is to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의 단면도.1A to 1F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을 나타낸 단면도.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편광 필름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6A and 6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cklight unit including an optical fil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7A and 7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8A and 8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반사형 편광 필름 210 : 광학층200: reflective polarizing film 210: optical layer
220 : 제 1 프라이머층 230 : 제 1 돌출부220: first primer layer 230: first protrusion
Claims (22)
Priority Applications (6)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21132A KR100957496B1 (en) | 2007-11-26 | 2007-11-26 | Reflective polarizing film,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JP2008176819A JP2009128904A (en) | 2007-11-26 | 2008-07-07 |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TW097126760A TW200923501A (en) | 2007-11-26 | 2008-07-15 |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US12/174,399 US20090135335A1 (en) | 2007-11-26 | 2008-07-16 |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EP08013750A EP2063314A3 (en) | 2007-11-26 | 2008-07-31 |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CNA2008102159572A CN101446656A (en) | 2007-11-26 | 2008-09-12 |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optical fil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21132A KR100957496B1 (en) | 2007-11-26 | 2007-11-26 | Reflective polarizing film,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54331A KR20090054331A (en) | 2009-05-29 |
| KR100957496B1 true KR100957496B1 (en) | 2010-05-14 |
Family
ID=4074242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1211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7496B1 (en) | 2007-11-26 | 2007-11-26 | Reflective polarizing film,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57496B1 (en) |
| CN (1) | CN101446656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1995601A (en) * | 2009-08-11 | 2011-03-30 | 友辉光电股份有限公司 | Brightness enhanced optical substrate with anti-interference fringe structure |
| CN106842394A (en) * | 2010-06-25 | 2017-06-13 | 安德鲁·理查德·帕克 | Optical effect structure |
| KR101446918B1 (en) * | 2012-03-08 | 2014-10-0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Illuminating device |
| KR101370426B1 (en) * | 2012-06-21 | 2014-03-06 | 주식회사 미뉴타텍 | 3-dimensional complex multi-layere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9841605B2 (en) * | 2012-06-27 | 2017-12-12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Optical component array |
| KR101549791B1 (en) | 2013-09-30 | 2015-09-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cryl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WO2015046844A1 (en) * | 2013-09-30 | 2015-04-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crylic optical film,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same |
| KR20160105442A (en) | 2013-12-30 | 2016-09-06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Optical film including collimating reflective polarizer |
| US9952363B2 (en) * | 2013-12-31 | 2018-04-24 | Toray Korea Chemical, Inc. | Random dispersion-type reflection polarizer |
| CN104791665B (en) * | 2015-04-23 | 2017-05-10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Backlight module, display device and diffusion plate |
| US10466398B2 (en) * | 2015-06-15 | 2019-11-05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Optical stack including reflecting-absorbing polarizer |
| KR102010380B1 (en) * | 2017-11-08 | 2019-08-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377297B1 (en) * | 2021-07-19 | 2022-03-22 | (주) 나노메카 | Transmissive type diffraction optical elem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 WO2023003125A1 (en) * | 2021-07-19 | 2023-01-26 | (주) 나노메카 | Transmissive diffractive optical device, film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lm |
| WO2023003124A1 (en) * | 2021-07-19 | 2023-01-26 | (주) 나노메카 | Reflectiv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film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KR102377294B1 (en) * | 2021-07-19 | 2022-03-22 | (주) 나노메카 | Reflective type film for anti-counterfei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 KR102399615B1 (en) * | 2021-07-19 | 2022-05-17 | (주) 나노메카 | Diffraction optical elem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 KR102403984B1 (en) * | 2022-03-16 | 2022-05-31 | (주)나노메카 | Reflective type film for anti-counterfei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 KR102403987B1 (en) * | 2022-03-16 | 2022-05-31 | (주)나노메카 | Transmissive type diffraction optical elem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79028A (en) * | 2003-03-06 | 2004-09-14 |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 Prism sheet for backlight unit |
| KR20050106634A (en) * | 2004-05-06 | 2005-1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ffuser with integrated prism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60041444A (en) * | 2004-11-09 | 2006-05-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Optical module,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module, backlight assembly having optical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backlight assembly |
-
2007
- 2007-11-26 KR KR1020070121132A patent/KR10095749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9-12 CN CNA2008102159572A patent/CN101446656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79028A (en) * | 2003-03-06 | 2004-09-14 |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 Prism sheet for backlight unit |
| KR100718355B1 (en) * | 2003-03-06 | 2007-05-14 |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 Prism Sheet for Backlight Unit |
| KR20050106634A (en) * | 2004-05-06 | 2005-1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ffuser with integrated prism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60041444A (en) * | 2004-11-09 | 2006-05-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Optical module,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module, backlight assembly having optical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backlight assembl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54331A (en) | 2009-05-29 |
| CN101446656A (en) | 2009-06-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957496B1 (en) | Reflective polarizing film,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101052799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100974195B1 (en) | Optical shee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 EP2063314A2 (en) |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101325975B1 (en) |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 |
| KR100945392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20100012666A (en) | A optical shee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 KR100961702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includ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 |
| KR100962165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100989046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100961700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100939740B1 (en) |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100936713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JP5509532B2 (en) | Optical member,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 |
| KR100829672B1 (en) | Diffusion sheet,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 |
| KR20090054325A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100962442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101438221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includ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 |
| KR100916305B1 (en) | Prism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100986783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100993165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20090118292A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100989047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20090125920A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 KR100961699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5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50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