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102B1 -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takeover - Google Patents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takeo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6102B1 KR100966102B1 KR1020030042617A KR20030042617A KR100966102B1 KR 100966102 B1 KR100966102 B1 KR 100966102B1 KR 1020030042617 A KR1020030042617 A KR 1020030042617A KR 20030042617 A KR20030042617 A KR 20030042617A KR 100966102 B1 KR100966102 B1 KR 1009661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rtual
- cables
- connection point
- providing
- accumul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인수공(Virtual Man Hole)을 이용하여 통신구 및 공동구 내의 각종 선로 시설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여러 조의 케이블을 단일 개수의 일직선 라인으로 표현하고, 일직선 라인 상에는 케이블간의 접속점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수용할 수 있는 가상 인수공을 포함하는 디지털 축적 도면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때, 제공한 도면 내의 가상 인수공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케이블, 케이블간의 접속점, 접속점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수용할 수 있는 가상 인수공 등)간의 연관 관계를 조회하여 바로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제공한 도면 내의 선로 시설을 정보의 누락 없이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구, 공동구, 선로 시설, 가상 인수공, 접속점, 케이블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various track facilities in communication and common areas using a virtual man ho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ts of cables are represented by a single number of straight lines, and a digital accumulation diagram including virtual receiving holes capable of accommodating at least one or more connection points between the cables is provided and provided on the straight lines. At this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including the cable,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cable, the virtual acceptance hole that can accommodate at least one connection point, etc.) in the provided drawing is inquired and provided immediately.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manage the track facilities in the drawings provided without mis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District, Common Area, Track Facility, Virtual Takeover, Junction, Cabl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로 시설 관련 디지털 축적 도면과 비축적 도면을 도시한 각각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accumulation diagram and a stockpile diagram relating to a rail facility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spectivel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에 도시한 케이블 집합 DB 내지 가상 인수공 DB 내의 정보 구성을 세부적으로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3A to 3D are diagrams each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information in the cable set DB to the virtual accept hole DB shown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디지털 축적 도면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ource / digital accumul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케이블 집합 DB 내지 가상 인수공 DB 내 정보간의 상호 연관 관계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for conceptually explaining a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in a cable set DB to a virtual acceptance hole DB shown in FIG. 2.
본 발명은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구 및 공동구 내의 복잡한 선로 시설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complex track facility in communication and community areas.
일반적으로, 통신구 및 공동구의 선로 시설을 표현할 경우, 동일 구간에 여러 조의 케이블이 조밀한 간격으로 밀집되어 있으며, 여러 조의 각 케이블에는 다수의 접속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3차원의 시설물을 2차원의 디지털 축척 도면에 표현하여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expressing the line facilities of communication and common areas, a plurality of sets of cables are densely spaced in the same section, and each set of cables has a large number of connection points. It is very difficult to represent and manage the digital scale drawing.
예를 들어, 디지털 축적 도면에서 1/1000 축척을 사용하는 경우, 이는 실제 거리 1m를 축정 도면 상에서는 0.1cm로 표현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통신구 및 공동구 내에는 시설물이 겹쳐져 있거나 또는 시설물간 간격이 1m 이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대다수이다. For example, when using a 1/1000 scale in a digital accumulation drawing, this represents an actual distance of 1 m on the scale drawing, which is typically 0.1 cm on the scale drawing. Most are installed within.
따라서, 이러한 선로 시설 정보를 디지털 축적 도면에 구분하여 표시하기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케이블마다 조밀한 간격으로 존재하는 접속점 관리 역시 어려운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not only to display such line facility information separately on the digital accumulation drawing, but also to manage the connection points that exist at close intervals for each cable.
이로 인하여, 기존의 디지털 축척 도면에서는 통신구 및 공동구 내의 선로 시설 관리를 위해, 여러 조의 케이블에 대해서는 집합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라인으로 표현하였으며, 실제 여러 조의 케이블과 케이블에 존재하는 접속점 관리를 위해서는 비축척 도면인 펼친 도면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축적 도면과 상호 연동시켜 관리 하였다. For this reason, in the existing digital scale drawing, for managing line facilities in communication and community areas, multiple sets of cables are represented as a single line using aggregate information, and in order to manage connection points existing in multiple sets of cables and cables, The unfolded drawing, which is a non-scale drawing, was used to manage the interworking with the digital accumulation drawing.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기존의 디지털 축척 도면은 통신구 및 공동구 내의 각종 시설 또는 시설 정보 관리시 별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즉, 기존의 디지털 축척 도면은 통신구 및 공동구 내의 선로 시설에 대해, 전화국 심볼로부터 최초로 만나게 되는 인수공(man hole)까지의 선로 시설을 하나의 라인으로만 표현하였다. As can be seen from this, the existing digital scale drawing was not helpful for the management of various facilities or facility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and community areas. In other words, the existing digital scale drawings represent only one line of the line facilities from the telephone station symbol to the first man hole for the line facilities in the communication zone and the common zo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로 시설 관련 디지털 축적 도면과 비축적 도면을 도시한 각각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accumulation diagram and a stockpile diagram relating to a rail facility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spectively.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기존의 디지털 축적 도면은 전화국에서 맨홀(◎) 까지의 선로 시설이 하나의 라인으로만 표현되어 있으며, 기존의 비축적 도면인 펼친 도면은 실제 여러 조의 케이블과 케이블에 존재하는 접속점 관련 심볼만이 각각 표현되어 있을 뿐이다.As shown in Fig. 1, the existing digital accumulation diagram shows a line facility from a telephone station to a manhole (◎) as a single line, and an existing stockpile, an expanded drawing, exists in a plurality of cables and cables. Only the symbols related to the connection points are represented.
따라서, 기존의 디지털 축척 도면은 통신구 및 공동구 내의 선로 시설이 누락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보 누락은 사용자로 하여금 디지털 축적 도면을 이용한 시설 관리를 정확하게 할 수 없게 한다.Thus, existing digital scale drawings often not only cause line facilities in communication and community areas to be missing, but this missing information also prevents users from accurately managing facilities using digital accumulated drawing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동구 및 통신구 내 선로 시설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단순 및 정확하게 표현한 디지털 축적 도면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로 하여금 시설 정보의 누락 없이 선로 시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도면 내 각 구성 요소(케이블, 가상 인수공, 케이블 등)간의 연관 정보를 조회하여 제공할 수 있는 가상 인수공을 이용한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by providing a digital accumulation drawing that simply and accurately express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ilway facilities in the common and communication districts, the user can create a railway facility without missing the facility information. It is to provide a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virtual takeover that can be easily managed and can be provided by inquiring related information between each component (cable, virtual takeover, cable, etc.) in the drawing.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가상 인수공을 이용한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은, 공동구 및 통신구 내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선로 시설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여러 조의 케이블을 단일 개수의 일직선 라인으로 표현하고, 상기 표현한 일직선 라인 상에는 케이블간의 접속점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수용할 수 있는 가상 인수공을 포함하는 축적 도면을 제공하며, 상기 제공한 도면 내의 가상 인수공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간의 연관 관계를 조회하여 제공하는 선로 시설 관리 서버; 및 상기 여러 조의 케이블 관련 정보에서부터 상기 케이블간의 접속점, 상기 접속점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수용하는 가상 인수공 정보에 이르는 각종 선로 시설 관리와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The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a virtual acceptor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 a system for managing a track facility including cables in the common ward and communication ward, a single number of straight lines of a plurality of cables And an accumulation diagram including a virtual accepting hole capable of accommodating at least one or more connection points between cables on the straight line expressed above, where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including the virtual accepting hole in the provided drawing is provided. Track facility management server provided by inquiry; And a database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a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track facility managements, ranging from the various sets of cable related information to connection points between the cables and virtual acceptance information for accommodating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points, is stored.
이때, 상기 선로 시설 관리 서버는, 상기 제공한 축적 도면을 펼친 도면인 소스 도면을 제공하며, 상기 소스 도면 내의 공동구 및 통신구를 포함하는 특정 지역과 일대일로 매핑되어 있는 지형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track facility management server provides a source diagram which is an expanded view of the provided accumulation diagram, and provides a topographic map that is mapped one-to-one with a specific area including a common district and a communication district within the source diagram. do.
그리고, 상기 선로 시설 관리 서버는, 상기 소스 도면에 상기 여러 조의 케이블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일직선 라인으로 표현하고, 상기 표현한 각 일직선 라인 상에 상기 케이블간의 접속점을 해당 위치에 접속점 심볼로 각각 표현하는 접속점 집계/관리부; 상기 표현한 각 접속점과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갖는 가상 인수공을 생성하여 상기 소스 도면상에 표현하는 가상 인수공 생성/관리부; 및 상기 표현한 가상 인수공과 그에 소속되어 있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소스 도면과의 연동을 통해 축적 도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도면 연동/제공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line facility management server represents the plurality of sets of cables as at least one straight line in the source diagram, and each connection point expresses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cables on each of the expressed straight lines as a connection point symbol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ggregation / management department; A virtual accepting hole generating / managing unit for generating a virtual accepting hole having the same positional information as each of the connection points represented on the source drawing; And a drawing interlocking / providing unit generating and providing an accumulation drawing by interworking with the source drawing including the virtual acceptor represented and the cable belonging to the expressed drawing.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가상 인수공을 이용한 선로 시설 관리 방법은, 공동구 및 통신구 내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선로 시설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여러 조의 케이블을 단일 개수의 일직선 라인으로 표현하고, 상기 표현한 일직선 라인 상에는 케이블간의 접속점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수용할 수 있는 가상 인수공을 포함하는 축적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 b)상기 생성한 축적 도면 내의 가상 인수공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간의 연관 관계를 조회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c)상기 생성한 축적 도면을 펼친 도면인 소스 도면을 상기 축적 도면과 연동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track facility management method using a virtual receiving hole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managing a track facility including a cable in a common ward and a communication ward, a) a plurality of sets of cables represented by a single number of straight lines Generating an accumulation diagram including a virtual receiving hole which can accommodate at least one connection point between cables on the straight line represented above; b) querying and providing an association between components including a virtual acceptance hole in the generated accumulation drawing; And c) providing a source drawing which is an expanded view of the generated accumulation drawing in association with the accumulation drawing.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는, 공동구 및 통신구 내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선로 시설을 관리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여러 조의 케이블을 단일 개수의 일직선 라인으로 표현하고, 상기 표현한 일직선 라인 상에는 케이블간의 접속점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수용할 수 있는 가상 인수공을 포함하는 축적 도면을 생성하는 기능; b)상기 생성한 축적 도면 내의 가상 인수공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간의 연관 관계를 조회하여 제공하는 기능; 및 c)상기 생성한 축적 도면을 펼친 도면인 소스 도면을 상기 축적 도면과 연동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method for managing a track facility comprising a cable in the common and communication ports, a) a plurality of cables in a single number of straight lines A function of generating an accumulation drawing including a virtual receiving hole capable of accommodating at least one connection point between cables on the expressed straight line; b) a function of querying and providing an association between components including a virtual acceptance hole in the generated accumulation drawing; And c)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including a function of providing a source drawing which is an expanded view of the generated accumulation drawing in conjunction with the accumulation drawin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 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Like part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200)은 선로 시설 관리 서버(210)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2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track
선로 시설 관리 서버(210)는 중앙 제어부(211)와 접속점 집계/관리부(212), 가상 인수공 생성/관리부(213), 연도면 연동/제공부(214) 및 연관 정보 조회/제공부(215)를 포함한다. The line facility management server 210 includes the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220)는 케이블 집합 DB(221), 케이블 DB(222), 접속점 DB(223), 가상 인수공 DB(224) 및 도면 DB(225)를 포함한다.The
그러면,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200)에 대해 알아보면, 먼저 외부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지역의 공동구 및 통신구 내의 케이블과 같은 선로 시설에 대한 정보 또는 관련 도면 요청을 수신하면, 선로 시설 관리 서버(210)는 수신한 요청 사항에 따라 우선 소스 도면(-디지털 비축적 도면, 펼친 도면-)상에 실제 겹쳐져 있거나 또는 다중 접속되어 있는 여러 조의 케이블들을 하나의 일직선 라인으로 각각 표현한다. 이때, 표현하는 각각의 일직선 라인들은 가상적인 개념의 일직선 라인들이다.
Then, with respect to the track
그리고, 표현한 일직선 라인상에 케이블간의 접속점을 특정 심볼로 정확한 위치에 표현한 후, 이러한 접속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접속점 위치마다 가상 인수공(Virtual Man Hole)을 생성한다.Then, the connection points between the cables on the straight line expressed at a specific symbol in the correct position, and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points, a virtual man hole is generated for each connection point position.
이후, 선로 시설 관리 서버(210)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생성한 소스 도면상의 가상 인수공과 접속점 및 해당 케이블간의 연관성을 해당 DB 내의 정보를 통해 파악한 후, 이러한 구성 요소간의 연관성 정보를 통해 디지털 축적 도면을 생성하여 외부의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와 함께 제공한다.Thereafter, the line facility management server 210 identifi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virtual acceptance hole and the connection point on the source drawing generated through this process and the corresponding cable through the information in the DB, and then stores the digital accumulation drawing through the associ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components. Create and provide it with the information to external users.
자세히 설명하면, 중앙 제어부(211)는 소스 도면 생성에서부터 이를 이용한 디지털 축적 도면 생성 및 생성한 디지털, 소스 도면 제공에 이르기까지, 공동구 및 통신구 내 케이블과 같은 선로 시설 관리와 관련된 전반적인 중앙 제어를 수행한다. In detail, the
접속점 집계/관리부(212)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요청 사항에 따라, 우선 실제 겹쳐져 있거나 또는 다중 접속되어 있는 여러 조의 케이블들을 소스 도면상에 일직선 라인으로 각각 표현한다. 그리고, 접속점 집계/관리부(212)는 특정 공동구 및 통신구 내 케이블간의 접속점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 접속점이 존재하면, 이러한 접속점 관련 정보(예를 들어, 접속점명과 가상 인수공 번호 등을 포함하는 연관 관계 정보)를 해당 메모리에 모두 로드(load)시킨다. According to the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 the connection point aggregation /
그리고, 접속점 집계/관리부(212)는 로드시킨 접속점 관련 정보 중 설치 장소(Place)와 포인트(-접속점 위치의 X,Y 포인트-) 및 연관 관계(-접속점이 연결된 케이블 정보-) 등을 이용하여 소스 도면상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속점을 특정 심볼로 각각 표현한다. 이때, 접속점 집계/관리부(212)는 실제 접속점 위치와 대응하는 소스 도면상 위치에 접속점 심볼을 정확히 표현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int counting /
가상 인수공 생성/관리부(213)는 각각의 일직선 라인에 표현되어 있는 접속점 관련 정보(설치 장소)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속점들을 포함할 수 있는 가상 인수공(◎)을 소스 도면상에 기재한다. 즉, 가상 인수공 생성/관리부(213)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속점들 중, Y 포인트가 동일한 접속점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가상 인수공을 소스 도면에 기재하는데, 이때, 가상 인수공은 수용하는 접속점들과 동일한 Y 포인트 값을 갖는다. The virtual acceptor creation /
도면 연동/제공부(214)는 일직선 라인 상에 각각 표현되어 있는 접속점 또는 가상 인수공 등을 포함하는 소스 도면을 그와 일대일대응 하는 디지털 축적 도면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요청시 제공한 디지털 축적 도면의 소스 도면을 관련 지형도와 함께 제공한다.The drawing interlocking / providing
연관 정보 조회/제공부(215)는 소스 또는 디지털 축적 도면 생성시 필요한 케이블, 접속점 및 가상 인수공 간의 연관 정보를 바로 조회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요청시 해당 연관 정보를 바로 조회하여 제공한다. The related information inquiry / providing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지털 축적 도면상의 가상 인수공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속점 관련 정보를 요청하면, 연관 정보 조회/제공부(215)는 가상 인수공의 간선명과 인수공 번호를 이용하여 접속점이 실제 설치되어 있는 장소 및 소속 케이블명 등을 바로 조회 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requests at least one connection point relat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irtual acceptance hole on the digital accumulation drawing, the association information inquiry / providing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220)는 여러 조의 케이블 관련 정보에서 부터 가상 인수공 및 접속점 관련 정보에 이르기까지 각종 선로 시설 관리와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들을 관리한다. Next, the
케이블 집합 DB(221)는 일정의 집합을 이루는 여러 조의 케이블 관련 정보들이 집합 단위로 저장된다.The cable set
도 3a는 도 2에 도시한 케이블 집합 DB 내의 정보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는 DB(221) 내 각 항목들과 그에 따른 부연 설명이 동시에 도시되어 있다.FIG. 3A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information in the cable set DB shown in FIG. 2, in which each item in the
도 3a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블 집합 DB(221)는 간선명과 총코아수, 구간 길이, 입상인입거리, 지세할증, 휘다집합(-케이블 집합 정보-), 시작점, 끝난점 및 폴리 라인(Polyline, 케이블별 위치 관련 폴리라인-)을 포함하는 정보들이 저장된다.As shown in FIG. 3A, the
케이블 DB(222)는 케이블별 관련 정보들이 개별 단위로 각각 저장된다.The
도 3b는 도 2에 도시한 케이블 DB 내의 정보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는 DB(222) 내 각 항목들과 그에 따른 부연 설명이 동시에 도시되어 있다.FIG. 3B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information in the cable DB shown in FIG. 2, in which each item in the
도 3b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블 DB(222)는 수용 선번과 구간 거리, 심선수, 케이블명, 설치장소, 시작점, 끝난점, 폴리라인 및 연관 관계를 포함하는 정보들이 저장된다.As shown in FIG. 3B, the
접속점 DB(223)는 케이블간의 접속점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The
도 3c는 도 2에 도시한 접속점 DB 내의 정보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 으로서, 도면에는 DB(223) 내 각 항목들과 그에 따른 부연 설명이 동시에 도시되어 있다.FIG. 3C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information in the connection point DB shown in FIG. 2, in which each item in the
도 3c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속점 DB(223)는 간선명과 접속점명, 케이블명, 설치장소, 포인트 및 연관 관계와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된다. 이를 통해, 해당 접속점에는 어떠한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지 등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3C, the
가상 인수공 DB(224)는 접속점별 가상 인수공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The
도 3d는 도 2에 도시한 가상 인수공 DB 내의 정보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는 가상 인수공(224) 내 각 항목들과 그에 따른 부연 설명이 동시에 도시되어 있다.FIG. 3D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information in the virtual accepting hole DB shown in FIG. 2, in which each item in the virtual accepting
도 3d에 도시되어 있듯이, 가상 인수공 DB(224)는 간선명과 인수공 번호, 구간면, 인수공 종류, 운용 구분, 포인트 및 연관 관계와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된다. 이를 통해, 가상 인수공별 포함되어 있는 접속점 관련 정보까지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3D, the
도면 DB(225)는 소스 도면에서부터 소스 도면과 일대일대응 하는 디지털 축적 도면 및 관련 지형도 뿐만 아니라, 관련 정보까지 저장된다.The drawing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인수공을 이용한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우선 소스 도면상에 복잡한 여러 조의 케이블을 일직선의 라인으로 각각 표기한 후, 표기한 라인 상에 케이블간의 접속점 심볼을 표기한다. 그리고, 표기한 접속점의 2차원적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가진 접속점들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수용할 수 있는 가상 인수공을 소스 도면에 표기함으로써, 복잡하면서도 고차원적인 선로 시설을 정보의 누락 없이 정확하게 표현하여 관 리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virtual acceptance ho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mark a complex set of cables in a straight line, respectively, on the source drawing, and then the connection point symbol between the cables on the marked line. Indicate And, by using the two-dimensional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connection point indicated by the virtual drawing hole that can accommodate at least one connection point having the sam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source drawing, the complex and high-level line facilities without missing information It can be accurately expressed and managed.
그리고, 이러한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은 소스 또는 디지털 축적 도면상에 표현되어 있는 구성 요소간의 연관 관계(예를 들어, 접속점에 어떠한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지 또는 케이블별 접속점까지의 구간 거리가 정확히 어느 정도 되는지 등)를 바로 조회하여 제공함으로써, 정보 요청자로 하여금 그로 인한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has an association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represented on a source or digital accumulation diagram (e.g., what kind of cabl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or exactly how long is the section distance to the connection point for each cable, etc.). By directly search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requestor can increase the service satisfa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인수공을 이용한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동구 및 통신구 내 선로 시설 중 케이블을 이용한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외 다른 선로 시설에 대해서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a virtual take-up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described a management method using a cable of the track facilities in the common district and communication district, but this is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management services may be provided for other track facilities.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통해 알아본다.The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constitut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found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외부의 사용자가 특정 지역의 공동구 및 통신구 내의 케이블과 같은 선로 시설에 대한 연관 정보 또는 관련 도면 요청을 의뢰하면,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200)의 접속점 집계/관리부(212)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요청 사항에 따라, 실제 겹쳐져 있거나 또는 다중 접속되어 있는 여러 조의 케이블들을 소스 도면상에 일직선 라인으로 각각 표현한다(S410).Referring to FIG. 4, first, when an external user requests a request for related information or a related drawing about a line facility such as a cable in a common area and a communication area of a specific region, the access point counting /
이후, 접속점 집계/관리부(212)는 특정 공동구 및 통신구 내 케이블간의 접 속점이 존재하는지를 확인(S420)한 후, 접속점이 존재하면, 이러한 접속점 관련 정보(예를 들어, 접속점명과 가상 인수공 번호 등을 포함하는 연관 관계 정보)를 해당 메모리에 모두 로드(load)시킨다(S430). Thereafter, the connection point counting /
그리고, 접속점 집계/관리부(212)는 로드시킨 접속점 관련 정보 중 설치 장소(Place)와 포인트(-접속점 위치의 X,Y 포인트-) 및 연관 관계(-접속점이 연결된 케이블 정보-) 등을 이용하여 소스 도면상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속점을 특정 심볼로 각각 표현한다(S440). 이때, 접속점 집계/관리부(212)는 실제 접속점 위치와 대응하는 소스 도면상 위치에 접속점 심볼을 정확히 표현하는데, 이때 2차원적(X, Y 포인트)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int counting /
이후, 가상 인수공 생성/관리부(213)는 각각의 일직선 라인에 표현되어 있는 접속점 관련 정보(설치 장소)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속점들을 포함할 수 있는 가상 인수공(◎)을 소스 도면상에 기재한다(S440). 즉, 가상 인수공 생성/관리부(213)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속점들 중, Y 포인트가 동일한 접속점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가상 인수공을 소스 도면에 기재하는데, 이때, 가상 인수공은 수용하는 접속점들과 동일한 Y 포인트 값을 갖는다.Thereafter, the virtual acceptance hole generation /
이후, 도면 연동/제공부(214)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생성한 소스 도면 및, 소스 도면과 일대일대응 하는 디지털 축적 도면을 생성하여 제공(S450)하며, 사용자로부터 요청시 관련 지형도도 함께 제공한다.Thereafter, the drawing interworking / providin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디지털 축적 도면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ource / digital accumul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도면(왼쪽)은 전화국과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가상 일직선 라인 및 가상 일직선 라인상의 접속점,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갖는 접속점을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가상 인수공 등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5, the source diagram (le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irtual straight lines and connection points on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ed to a telephone station,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oint having the same location information. Virtual takeovers and the like.
그리고, 이러한 소스 도면과 일대일대응 하는 디지털 축적 도면(오른쪽)은 상기 다수의 가상 일직선 라인을 모두 연결한 단일 개수의 일직선 라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단일 일직선 라인 상에는 가상 인수공 및, 가상 인수공 내에 소속되어 있는 케이블간 접속점들이 포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accumulation diagram (right) corresponding to the source drawing one-to-one includes a single number of straight lines connecting all of the plurality of virtual straight lines, and the virtual drawing hole and the virtual receiving hole are arranged on the single straight line. Connection points between the cables to which they belong are included.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은 서로 겹쳐 있거나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을 가상적인 개념의 일직선 라인으로 단일 개수 표기한 후, 표기한 일직선 라인에 동일한 위치 정보(동일한 케이블 및 동일한 Y 포인트 정보 등)를 갖는 케이블 접속점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수용할 수 있는 가상 인수공을 표기한 디지털 축적 도면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통신구 및 공동구내 각종 선로 시설을 정보의 누락 없이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As such, the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ingle number of cables overlapping or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of a virtual concept, and then displays the same position information (same cable and the same Y point) on the straight line. Generate and provide a digital accumulation diagram indicating a virtual acceptance hole that can accommodate at least one cable connection point having information, etc.).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manage the various line facilities in the communication and community premises without missing information.
다음으로, 연관 정보 조회/제공부(215)는 소스 또는 디지털 축적 도면 생성시 필요한 케이블, 접속점 및 가상 인수공 간의 연관 정보를 해당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바로 조회하여 각 기능부로 제공(S460)하는 한편, 사용자로부터 요청시 바로 조회하여 제공한다. Next, the association information inquiry /
즉, 사용자가 디지털 축적 도면상의 가상 인수공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속점 관련 정보를 요청하면, 연관 정보 조회/제공부(215)는 가상 인수 공의 간선명과 인수공 번호를 이용하여 접속점이 실제 설치되어 있는 장소 및 실제 연관되어 있는 케이블, 접속점부터 각 케이블까지의 거리 등을 바로 조회 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requests at least one connection point relat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irtual acceptance hole on the digital accumulation drawing, the association information inquiry / providing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케이블 집합 DB 내지 가상 인수공 DB 내 정보간의 상호 연관 관계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for conceptually explaining a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in a cable set DB to a virtual acceptance hole DB shown in FIG. 2.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블 집합 정보는 케이블 정보 내의 케이블명(CABNAME)과 연관성이 있는 휘다집합(LCOSET) 항목을 포함하고 있으며, 케이블 정보는 접속점 정보 내의 접속점명(SPLNAME)과 연관성이 있는 연관 관계(ICPTEST)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관 관계 항목은 가상 인수공 정보 내의 인수공 번호(MANNO)와 연관성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able set information includes an LCOSET item associated with a cable name (CABNAME) in the cable information, and the cable information is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point name (SPLNAME) in the connection point information. Contains the relationship ICPTEST. This association item is associated with a MANNO in the virtual takeover information.
또한, 가상 인수공 정보 내의 간선명(BRNAME)과 인수공 번호(MANNO)는 접속점 정보 내의 설치 장소(PLACE) 항목과 상호 연관성을 가진다. 이는 곧, 가상 인수공의 간선명과 인수공 번호만으로도 인수공 내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접속점의 정보(예를 들어, 설치 장소 등)를 알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trunk name BRNAME and acceptance number MANNO in the virtual acceptance information are correlated with the entry item PLACE in the connection point information. This means that th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connection point (for example, installation location, etc.) contained in the acceptor can be known only by the trunk name of the acceptor and the acceptor number.
다음으로, 선로 시설 관리 서버(210)는 사용자로부터 추가 정보 요청 또는 도면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S470)하여, 확인 결과 추가 요청이 있으면, 앞서 언급한 동작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반면, 추가 요청이 없으면 상기한 동작 과정을 종료한다.Next, the line facility management server 210 checks whether there is an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or a drawing request from the user (S470), and if there is an additional request as a result of the check, repeat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process, while there is no additional request. The above operation is terminated.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인수공을 이용한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공동구 및 통신구 내 선로 시설과 관련된 정보를 단순하면서도 정확하게 표현한 디지털 축적 도면을 제공함으로써, 도면 이용자로 하여금 정보의 누락 없이 선로 시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공한 도면 내 각 구성 요소(케이블, 가상 인수공, 케이블 등)간의 연관성 정보를 바로 조회하여 제공함으로써, 정보 이용자로 하여금 그로 인한 만족도 증대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As such, the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virtual accep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digital accumulation drawing that simply and accurately represen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ck facility in the common and communication districts, thereby allowing the drawing user to Easily manage track facilities without omissions. In addition, by directly querying and providing the association information between each component (cable, virtual takeover, cable, etc.) in the provided drawings, the information users can bring the increase in satisfaction.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re merely exemplary of the invention, which are u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인수공을 이용한 선로 시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공동구 및 통신구 내 각종 선로 시설과 관련된 정보를 단순 및 정확하게 표현한 디지털 축적 도면 또는 소스 도면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로 하여금 제공한 도면 내의 선로 시설을 정보의 누락 없이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The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virtual accep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by the user by providing a digital accumulation drawing or a source drawing that simply and accurately expresses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track facilities in the common area and the communication area. It is possible to easily manage the track facilities within the facility without missing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제공한 도면 내 각 구성 요소(케이블, 가상 인수공 및 케이블 등)간의 연관성 정보를 바로 조회하여 제공함으로써, 정보 이용자로 하여금 그로 인한 만족도 증대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information user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by providing a direct inquiry of the association information between each component (cable, virtual take-up hole and cable, etc.) in the drawings provided.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42617A KR100966102B1 (en) | 2003-06-27 | 2003-06-27 |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takeo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42617A KR100966102B1 (en) | 2003-06-27 | 2003-06-27 |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takeov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01065A KR20050001065A (en) | 2005-01-06 |
| KR100966102B1 true KR100966102B1 (en) | 2010-06-28 |
Family
ID=3721692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300426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6102B1 (en) | 2003-06-27 | 2003-06-27 |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takeov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66102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70303A (en) * | 1998-02-18 | 1999-09-15 | 이계철 | Line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Method for Improved Readability in Digital Maps |
| JPH11341004A (en) * | 1998-05-29 | 1999-12-10 | Tokyo Gas Co Ltd | Network tracking data creation device, network tracking device, network tracking data creation method, network track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KR20030050539A (en) * | 2001-12-19 | 2003-06-25 | 주식회사 케이티 | Apparatus for Managing a underground facilities with a manhole information |
-
2003
- 2003-06-27 KR KR1020030042617A patent/KR10096610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70303A (en) * | 1998-02-18 | 1999-09-15 | 이계철 | Line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Method for Improved Readability in Digital Maps |
| JPH11341004A (en) * | 1998-05-29 | 1999-12-10 | Tokyo Gas Co Ltd | Network tracking data creation device, network tracking device, network tracking data creation method, network track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KR20030050539A (en) * | 2001-12-19 | 2003-06-25 | 주식회사 케이티 | Apparatus for Managing a underground facilities with a manhole information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01065A (en) | 2005-01-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245241B2 (en)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lanning resources based on primary and alternate location relief strategies | |
| US8819206B2 (en) | Graph based flexible service discovery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 CN102164186B (en) |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cloud search service | |
| CN109783076A (en) | Code administration method, apparatus,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git | |
| CN101464894B (en) | Data query method and system | |
| US2009000644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information | |
| CN109063138A (en) | For in block chain, that is, service platform search data metho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 CN101488955B (en) | Method and devices for handling access privileges | |
| CN108256718A (en) | Declaration form service role distributio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device | |
| US6708183B1 (en) | Spatial information search system | |
| CN107730375A (en) | A kind of method, system and the terminal device of tax management map | |
| US20180248881A1 (en) | Information lin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 JP2009080785A (en) | Event management system | |
| CN1329863C (en) |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nd searching user position information | |
| CN108140027B (en) | Access point for maps | |
| KR100966102B1 (en) | Track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takeover | |
| CN110611591B (en) | Network topology establishing method and device | |
| KR10195710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staff relationship diagram | |
| US2006022216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mputing data into a database | |
| KR20120000327A (en) | Partial update system of map data | |
| US2004010721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automated loop makeup process | |
| CN111881119B (en) | Data management system for contracting local sub-database | |
| KR100586318B1 (en) | Transmission network management metho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 KR102154840B1 (en) | System for simplified address management service | |
| CN118051622A (en) | Data storage and data query method, system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206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61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