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728B1 - Large speaker connector - Google Patents
Large speaker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9728B1 KR100969728B1 KR1020080019868A KR20080019868A KR100969728B1 KR 100969728 B1 KR100969728 B1 KR 100969728B1 KR 1020080019868 A KR1020080019868 A KR 1020080019868A KR 20080019868 A KR20080019868 A KR 20080019868A KR 100969728 B1 KR100969728 B1 KR 1009697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aker
- connecting rod
- connection
- hole
- p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6—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30—Side-by-side or stacked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부품이 스피커의 내측에 설치되어 부품의 파손 및 손상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면서 스피커와 스피커 사이의 연결 각도에 대한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대형 스피커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이 연결장치는 하부스피커의 각 모서리부위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상하단부위에 부착되는 핀결합관과, 상기 핀결합관의 끝단에 부착되는 결합너트와, 상기 연결대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수평받침턱과, 상기 연결대와 수평받침턱에 형성되는 장착공을 포함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핀결합관의 선단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하부연결공과, 상단부위에 형성되는 다수의 각도조절공을 갖는 연결부재와; 상부스피커에 관통되게 구비되고 상하로 개방된 중공연결대와, 상기 중공연결대의 상하단부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통공과, 상기 중공연결대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수평밀착턱과, 상기 수평밀착턱에 형성되는 설치공을 포함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핀결합관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통공을 지나 상기 중공연결대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재의 각도조절공에 끼워지는 한 쌍의 연결핀을; 포함한다.A large speaker connection device is disclosed in which parts are installed inside the speaker so that the breakage and damage of the par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while adjusting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speaker is easily performed. The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connecting rod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each corner of the lower speaker, a pin coupling pip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rod, a coupling nut attached to the end of the pin coupling pipe, and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A lower frame including a horizontal support jaw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mounting hole formed at the connection stand and the horizontal support jaw;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lower connection hol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pin coupling tube and a plurality of angle adjustment hole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 hollow connecting rod provided through the upper speaker and opened up and down, a pair of connecting holes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llow connecting rod, a pair of horizontal contact jaws horizontally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hollow connecting rod, An upper frame including an installation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contact jaw; A pair of connecting pins inserted through the lower connection hole and fitted into the pin coupling tube, and fitted into an angle adjusting hole of the connection member inserted into the hollow connecting rod through the connection through hole; Include.
스피커, 무대, 라인어레이, 조립, 연결 Speaker, stage, line array, assembly, conn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대에 다수개의 대형 스피커를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대형 스피커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이 스피커의 내측에 설치되어 부품의 파손 및 손상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면서 스피커와 스피커 사이의 연결 각도에 대한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대형 스피커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speaker connecting device used to connect a plurality of large speakers to each other on a stage, and more particularly, between the speaker and the speaker while the components are installed inside the speaker to prevent breakage and damage of the components in adv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speaker connecting device for easily adjusting the connection angle of the device.
일반적으로 대형 공연이나 콘서트를 위한 무대에서는 한 대의 스피커로 용량이 부족하여 많은 스피커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스피커의 개수가 늘어나면 스피커간의 간섭이 생겨서 음색이 변하므로, 각 스피커에서 나온 파면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하면 스피커간의 간섭이 생기지 않는데 이러한 튜닝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다수의 스피커를 서로 연결하는 라인어레이다.In general, the stage for large performances or concerts are not enough capacity with one speaker, so many speakers are used in combination. However, as the number of speakers increases, the sound changes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peakers, so that if the wavefronts from each speaker are exactly matched,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speakers. It is a line array.
통상적으로, 스피커의 종류나 사용목적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라인어레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스피커들을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쌓아두거나 혹은 무대의 천장에 매달아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there a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speaker and the purpose of use, but in order to construct a line array, it is common to stack a plurality of speakers integrally stacked or suspended on the ceiling of a stage.
이를 위해, 종래에는 각 스피커의 양쪽 외측면 모서리에 앵글을 설치하고, 이 앵글들을 다시 하나의 앵글로 결합해서 다수의 스피커들을 하나로 결합하거나, 혹은 각 스피커 외측면에 프레임을 설치하여 힌지바와 연결핀 등으로 연결 고정시켜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대형 스피커 연결장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To this end, conventionally, an angle is installed at both outer corners of each speaker, and the angles are combined again into one angle to combine a plurality of speakers into one, or a frame is installed at the outside of each speaker to connect the hinge bar and the connecting pin. It is mainly used large speaker connecting device to connect and fix it with one body.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의 대형 스피커 연결장치는 스피커의 외부면에 앵글이나 프레임과 같은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스피커의 이동 시나 라인어레이를 위한 취급 시에 스피커의 외부면에 장착된 부품들이 손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large speaker connection devices are equipped with various components such as angles and fram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eaker, so that the component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eaker are easily damaged or damaged when the speaker is moved or handled for a line array. There is this.
또한,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힌지바에 의한 연결 시에 동일한 각도로 연결되어 스피커와 스피커 사이의 연결 각도에 대한 조절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by the hinge bar is connected at the same angle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or very difficult to adjust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speaker.
또한, 스피커와 스피커를 서로 연결 고정하기 위해서 앵글이나 프레임을 고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연결핀은 퀵릴리스핀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 연결핀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반면에 쉽게 분실되어 조립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ins used to fix the angle or frame to secure the speaker and the connection to each other mainly use the quick release pin, which is easy to combine and detach, but is easily lost and easy to assem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ip.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이 스피커의 내측에 설치되어 부품의 파손 및 손상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면서 스피커와 스피커 사이의 연결 각도에 대한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퀵릴리스핀으로 이루어지는 연결핀이 분실되었을 때 이 연결핀에 손쉽게 대체되어 조립상의 불편함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대형 스피커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adjustment of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speaker easily while the component is installed inside the speaker to prevent damage and damage of the component in advance and when the connection pin made of quick release pin is lost It is to provide a large speaker connect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replaced by this connecting pin to smooth the assembly inconvenienc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스피커 연결장치는 하부스피커의 각 모서리부위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상단과 하단부위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부착되는 핀결합관과, 상기 핀결합관의 끝단에 연통되게 부착되는 결합너트와, 상기 연결대의 상단과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받침턱과, 상기 연결대와 수평받침턱에 형성되는 장착공을 포함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핀결합관의 선단에 대응하여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연결공과, 상단부위에 형성되는 다수의 각도조절공을 갖는 연결부재와; 상부스피커의 각 모서리부위의 내측면에서 상하로 관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로 개방된 중공연결대와, 상기 중공연결대의 상단과 하단부위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통공과, 상부스피커의 내측 상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중공연결대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수평밀착턱과, 상기 수평밀착턱에 형성되는 설치공을 포함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핀결합관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통공을 지나 상기 중공연결대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재의 각도조절공에 끼워지는 한 쌍의 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핀은, 상기 핀결합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너트에 나선결합되는 고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large speaker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each corner portion of the lower speaker and the connection table, horizontally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connection A pin coupling tube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a coupling nut attached to the end of the pin coupling tube, a horizontal supporting jaw formed by bending inwar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connecting stand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jaw. A lower frame including a mounting hole formed therein;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lower connection hole formed at a lower end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pin coupling tube, and a plurality of angle adjustment hole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 hollow connecting rod which is provided to penetrate up and down from the inner side of each corner portion of the upper speaker and is opened up and down to inser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 pair of connecting which is formed to penetrate horizontally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low connecting rod; An upper frame including a through hole, a pair of horizontal contact jaws horizontal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connecto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speaker, and an installation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contact jaws; A pair of connecting pins inserted through the lower connection hole and fitted into the pin coupling tube, and fitted into an angle adjusting hole of the connection member inserted into the hollow connecting rod through the connection through hole; It includes, the connecting pin is inserted into the pin coupling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olt is helix coupled to the coupling nut.
삭제delete
본 발명은 스피커의 내측에 설치되어 부품의 파손 및 손상이 미연에 방지되고, 스피커와 스피커 사이의 연결 각도에 대한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부품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스피커 자체의 취급이 용이해지고 연결 각도의 조절을 통해 설치상의 편리성이 증진되며 퀵릴리스핀으로 이루어지는 연결핀이 분실되었을 때 이 연결핀에 손쉽게 대체되어 조립상의 불편함이 원활히 해소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speaker to prevent damage and damage to the components in advance, and the adjustment of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speaker is made easily,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component, thereby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the speaker itself.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is improved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connection angle, and when the connection pin made of the quick release pin is lost, it is easily replaced by the connection pin,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assembly.
삭제dele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A부분의 확대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according to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스피커 연결장치는 하부스피커(S1)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에 하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부스피커(S2)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30)과, 상기 연결부재(20)와 하부프레임(10) 및 상부프레임(30)을 결합시키는 연결핀(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arge speaker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상기 하부프레임(10)은 하부스피커(S1)의 각 모서리부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부스피커(S1)를 지지한 상태로 연결핀(40)에 의해 연결부재(20)의 하단과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The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은 하부스피커(S1)의 내측면의 모서리부위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연결대(11)와, 상기 연결대(11)의 상단과 하단부위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부착되는 핀결합관(12)과, 상기 핀결합관(12)의 끝단에 연통되게 부착되는 결합너트(13)와, 상기 연결대(11)의 상단과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받침턱(14)과, 상기 연결대(11)와 수평받침턱(14)에 형성되는 장착공(15)을 포함한다.The
상기 연결대(11)는 하부스피커(S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장착되어 하부스피커(S1)를 지지하면서 핀결합관(12)이 부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핀결합관(12)은 연결대(11)에 관통되게 부착된 상태로 하부스피커(S1)의 측면에 노출되어 연결핀(40)이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연결부재(20)와 연결대(11)를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onnecting
상기 결합너트(13)는 연결핀(40)이 분실된 경우에 상기 연결핀(40)을 대체하 여 고정볼트가 핀결합관(12)으로 삽입된 후에 나선결합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받침턱(14)은 하부스피커(S1)의 내측 상면과 하면을 받쳐 지지하면서 하부스피커(S1)의 내측으로 연결대(11)의 장착성 및 결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장착공(15)은 결합용 볼트와 너트가 하부스피커(S1)를 관통하여 체결되면서 연결대(11)와 수평받침턱(14)이 하부스피커(S1)의 내측면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연결부재(20)는 핀결합관(12)의 선단에 대응하여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연결공(21)과 상단부위에 형성되는 다수의 각도조절공(22)을 갖는 것으로,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30)을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상호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하부연결공(21)은 연결핀(40)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연결핀(40)이 핀결합관(12)에 삽입되면서 연결부재(20)와 연결대(11)를 상호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도조절공(22)은 연결부재(20)가 상부프레임(3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높이 조절이 된 후에 연결핀(40)을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30)과 연결부재(20)를 연결시켜 상부스피커(S2)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The lower connecting
상기 상부프레임(30)은 상부스피커(S2)의 각 모서리부위의 내측면에서 상하로 관통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부스피커(S2)를 지지한 상태로 연결핀(40)에 의해 연결부재(20)의 상단과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The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상부프레임(30)은 상하로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 된 중공연결대(31)와, 상기 중공연결대(31)의 상단과 하단부위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통공(32)과, 상기 중공연결대(31)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수평밀착턱(33)과, 상기 수평밀착턱(33)에 형성되는 설치공(34)을 포함한다.The
상기 중공연결대(31)는 각도조절공(22)이 형성된 연결부재(20)의 상단부가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삽입되어 연결핀(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스피커(S2)의 상면과 하면에 관통되게 내측면에 장착되어 연결부재(20)에 의해 상면과 하면에 각각 하부스피커(S1)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연결통공(32)은 상부스피커(S2)의 외측면에서 관통되는 연결핀(40)이 통과되면서 중공연결대(31)의 내측으로 삽입된 연결부재(20)의 각도조절공(22)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밀착턱(33)은 상부스피커(S2)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부스피커(S2)의 내측면으로 중공연결대(3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공(34)은 결합용 볼트와 너트가 상부스피커(S2)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면서 수평밀착턱(33)이 상부스피커(S2)의 내측면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necting
상기 연결핀(40)은 하부스피커(S1)의 외측면에서 연결부재(20)의 하부연결공(21)을 통과하여 연결대(11)의 핀결합관(12)에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부재(20)와 하부프레임(10)을 연결시키고, 상부스피커(S2)의 외측면에서 중공연결대(31)의 연결통공(32)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20)의 각도조절공(22)에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부재(20)와 상부프레임(30)을 상부스피커(S2)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연결시키는 역 할을 한다.The connect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요부 확대 정단면도이다.4 is an enlarged front 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핀(40)은 핀결합관(12)에 삽입되어 결합너트(13)에 나선결합되는 고정볼트(41)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is, the connecting
상기 고정볼트(41)는 핀결합관(12)에 삽입된 연결핀(40)이 분실된 경우에 이 연결핀(40)을 대체하여 상기 핀결합관(12)에 삽입되어 결합너트(13)에 체결되면서 고정되는 것으로, 부품의 분실로 인한 조립상의 불편함을 해소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0)은 하부스피커(S1)의 내측면으로 각 모서리부위 즉 4곳에 장착되고, 하부스피커(S1)의 외측면으로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연결부재(20)의 하단과 연결핀(40)에 의해 연결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연결부재(20)는 그 상단이 상부스피커(S2)에 장착되는 상부프레임(30)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핀(40)에 의해 연결된다.The connecting
상기 상부프레임(30)은 그 개방된 상단과 하단이 상부스피커(S2)의 상면과 하면에 관통되게 상부스피커(S2)의 내측면 모서리부위에 장착됨으로써, 연결부재(20)의 상단이 상기 상부프레임(30)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연결부재(20)의 하단이 상기 상부프레임(3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The
다시 말해서, 상기 상부프레임(30)은 상부스피커(S2)에 설치되어 상부스피 커(S2)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하부스피커(S1)를 연결부재(20)에 의해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스피커(S2)와 하부스피커(S1)가 연속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각도조절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각도조절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Figure 7 is an enlarged front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an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스피커(S1)에 장착된 연결대(11)의 핀결합관(12)과 연결부재(20)의 하부연결공(21)에 연결핀(40)을 삽입하여 하부스피커(S1)와 연결부재(20)의 하단을 연결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부스피커(S2)에 장착된 중공연결대(31)의 연결통공(32)을 통해 상기 중공연결대(31)의 내측으로 삽입된 연결부재(20)의 각도조절공(22)에 다른 하나의 연결핀(40)을 삽입하여 연결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ower speaker (S1) by inserting the connecting
이때, 사용자는 상부스피커(S2)의 후방측을 잡고 높이를 조절하면서 각도를 맞추면 중공연결대(31)의 내측으로 연결부재(20)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적정한 위치에 이르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부스피커(S2)의 외측면에서 연결핀(40)을 연결통공(32)을 통해 각도조절공(22)으로 삽입하면 상부스피커(S2)의 후방측이 전방측에 대응하여 각이동되면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adjusts the angle while holding the rear side of the upper speaker (S2) and adjusts the angle, the connecting
이와 같이 상부스피커(S2)는 하부스피커(S1)에 대응하여 각도조절이 된 상태로 하부스피커(S1)와 연결되고, 이런 연결이 상부스피커(S2)와 하부스피커(S1)에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완만한 각도를 가진 상태로 여러 대의 상부스피커(S2) 및 하부스피커(S1)가 상하로 연결된다.In this way, the upper speaker (S2) is connected to the lower speaker (S1) in an angle-controlled stat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peaker (S1), this connection is made in order to the upper speaker (S2) and the lower speaker (S1) as a whole A plurality of upper speakers (S2) and lower speakers (S1) are connected up and down in a state having a gentle angle.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정단면도,2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따른 A부분의 확대도,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according to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요부 확대 정단면도,4 is an enlarged front 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사시도,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각도조절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Figure 7 is an enlarged front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각도조절 상태를 보인 측면도.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an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하부프레임10: lower frame
11 : 연결대 12 : 핀결합관 11: connecting rod 12: pin coupling pipe
13 : 결합너트 14 : 수평받침턱 13: coupling nut 14: horizontal support jaw
15 : 장착공 15: mounting hole
20 : 연결부재20: connecting member
21 : 하부연결공 22 : 각도조절공 21: lower connection hole 22: angle adjustment hole
30 : 상부프레임30: upper frame
31 : 중공연결대 32 : 연결통공 31: hollow connecting rod 32: connecting hole
33 : 수평밀착턱 34 : 설치공 33: horizontal contact jaw 34: mounting hole
40 : 연결핀40: connecting pin
41 : 고정볼트 41: Fixing bolt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19868A KR100969728B1 (en) | 2008-03-04 | 2008-03-04 | Large speaker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19868A KR100969728B1 (en) | 2008-03-04 | 2008-03-04 | Large speaker connect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94891A KR20090094891A (en) | 2009-09-09 |
| KR100969728B1 true KR100969728B1 (en) | 2010-07-12 |
Family
ID=4129526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198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9728B1 (en) | 2008-03-04 | 2008-03-04 | Large speaker connec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69728B1 (en)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70006325Y1 (en) * | 1995-03-16 | 1997-06-24 | 장남수 | 3-way speaker case with adjustable angle |
| KR200162134Y1 (en) * | 1997-03-31 | 1999-12-01 | 윤종용 | Apparatus for angle adjustment of speaker cabinet |
| KR20010062134A (en) * | 1999-12-17 | 2001-07-07 |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 Semiconductor structure having a crystalline alkaline earth metal silicon nitride/oxide interface with silicon |
| KR20040006247A (en) * | 2002-07-11 | 2004-01-24 | 주식회사 대한전광 | A try vision |
| KR200406247Y1 (en) * | 2005-10-24 | 2006-01-20 | 김태형 | Speaker handle and connection kit |
| US7201251B1 (en) | 2002-07-11 | 2007-04-10 | Derrick Lynn Baird | Modular speaker cabinet |
-
2008
- 2008-03-04 KR KR1020080019868A patent/KR1009697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70006325Y1 (en) * | 1995-03-16 | 1997-06-24 | 장남수 | 3-way speaker case with adjustable angle |
| KR200162134Y1 (en) * | 1997-03-31 | 1999-12-01 | 윤종용 | Apparatus for angle adjustment of speaker cabinet |
| KR20010062134A (en) * | 1999-12-17 | 2001-07-07 |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 Semiconductor structure having a crystalline alkaline earth metal silicon nitride/oxide interface with silicon |
| KR20040006247A (en) * | 2002-07-11 | 2004-01-24 | 주식회사 대한전광 | A try vision |
| US7201251B1 (en) | 2002-07-11 | 2007-04-10 | Derrick Lynn Baird | Modular speaker cabinet |
| KR200406247Y1 (en) * | 2005-10-24 | 2006-01-20 | 김태형 | Speaker handle and connection ki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94891A (en) | 2009-09-0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740218B2 (en) | Stability support TV anti-tip device | |
| JP2010004521A (en) | Head phone | |
| KR101934289B1 (en) | On-off rack fixed clamp | |
| US6810561B1 (en) | On a wheel of a rack | |
| US7918424B1 (en) | Suspending buckle mechanism of output water device | |
| US6533228B1 (en) | Guitar stand | |
| KR100969728B1 (en) | Large speaker connector | |
| US20030222486A1 (en) | Combined chair and object support | |
| KR20230051709A (en) | Sof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ssembly and sofa | |
| CN100473898C (en) | U-shaped lamp | |
| KR100934804B1 (en) | Large speaker connector | |
| TWI781393B (en) | Mounting structure of optical connector receptacle and optical connector moudule using the same | |
| CN208691513U (en) | A kind of adjustable self-supporting earphone | |
| WO2015068950A1 (en) | String instrument stand | |
| US7941880B2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a bed foot | |
| CN214312618U (en) | Guitar support | |
| EP4161317B1 (en) | A shelf | |
| CN202056144U (en) | Furniture connector and combined panel with the furniture connector | |
| CN221671546U (en) | Quick-detachable anti-drop shower room rack | |
| TWM573499U (en) | Drum suspension device with auxiliary device erection function | |
| TWM666733U (en) | Vertical display stand | |
| KR101378127B1 (en) | Reading lamp coupling structure | |
| CN209730403U (en) | A kind of hiding stent-type data line switching device | |
| JP3017034U (en) | Microphone | |
| US20090321594A1 (en) | Shower curtain mount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7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70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