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675B1 - High-efficient sensor node apparatus of on-the-spot in protocol for processing multi-stages - Google Patents
High-efficient sensor node apparatus of on-the-spot in protocol for processing multi-stag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0675B1 KR100960675B1 KR1020090022281A KR20090022281A KR100960675B1 KR 100960675 B1 KR100960675 B1 KR 100960675B1 KR 1020090022281 A KR1020090022281 A KR 1020090022281A KR 20090022281 A KR20090022281 A KR 20090022281A KR 100960675 B1 KR100960675 B1 KR 1009606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ocol
- communication
- high efficiency
- sensor node
- si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는,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무선으로 통신하는 할 수 있고, 필요한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하고 휴대하여 필요에 따라 바로 회수하는 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제 현장의 작업 여건이나 상황 혹은 환경을 감지하여 현장의 안전상태를 안전하게 관리 감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현장의 센서노드장치이다.Field sensor node device for the high-efficiency multilevel processing protoco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communicate data according to a specific protocol, and by simply configured and configured to be easily used, such as easy to retrieve and carry it as needed by carrying it in the required position It is a sensor node device that can be used to safely monitor and monitor the safety condition of a site by detecting the actual working condition, situation or environment of the site.
본 발명은, 작업현장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현장의 여건 파악을 위해 상기 장치에 기설정된 물리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모듈과;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체계에 따른 통신 중 활성구간 내의 소정 주기내에서 무선센서네트워크 상 다른 단말노드간의 양방향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각 구성 모듈들을 통한 감지량 및 통신의 수행과 연산 및 제어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상기 센싱모듈로부터 감지된 물리량을 프로그래밍되어 설정된 상기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의 체계에 따라 연산 및 변환시키며, 상기 각각의 모듈들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체계에 따라 상기 무선센서네트워크 상 다른 단말노드간의 양방향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중앙의 관리장치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처리하는 중앙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구성 모듈들은 데이터를 고효율로 통신하기 위한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의 체계에 따른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module for detecting a state of a physical quantity preset in the device to determine the conditions of the work site in a state where i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ork site;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other terminal nodes on a wireless sensor network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an active period during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high efficiency multiprocessing protocol system;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data generated in the sensing amount and the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on and control of the respective configuration modules; Calculates and converts the physical quantity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the scheme of the highly efficient multiprocessing protocol set and programmed, and receives data from the respective modules to be different from the wireles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high efficiency multilevel processing protocol scheme. A central control module which controls to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 nodes and processes according to control from a central management apparatus; Each of the configuration modules follows a scheme of a high efficiency multiprocessing protocol for communicating data with high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 및 산업의 현장에서 주변의 온도, 연기, 과전류 등의 센싱를 통해 용접 등 전기 및 불꽃에 따른 현장의 초기 화재 감지하고, 이상 징후의 발생시 초기대처와 신속한 전파를 통하여, 화재 등의 각종 재난 상황의 대처를 통해 피해 규모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initial fire of the site according to electricity and sparks, such as welding through the sensing of ambient temperature, smoke, overcurrent, etc. in the field of work and industry, and through the early response and rapid propaga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such as a fire It provide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scale of damage through coping with various disaster situations.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무선으로 통신하는 할 수 있고, 필요한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바로 회수하는 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제 현장의 작업 여건이나 상황 혹은 환경을 감지하여 현장의 안전상태를 안전하게 관리 감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an be wirelessly communicated according to a specific protocol, and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required location and immediately retrieved as needed, thereby configuring the system to detect work conditions, situations or environments of actual sit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eld sensor node device for a high-efficiency multiprocessing protocol that can be used to safely manage and monitor the safety status of a site.
이러한 본 현장센서노드장치는 본 출원의 공동출원인 일인에 의해 이미 출원된 몇몇 발명기술을 개선 향상시켜 적용시킨 것이다. This field sensor node device is to improve and apply some invention technology already filed by a co-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무선상태에서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내용을 중앙의 제어장치로 전달하여 처리하는 무선센서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s)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icroprocessor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being developed that automatically detect in the wireless state and deliver the detected contents to a central control device for processing.
이러한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는 실제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는 현장, 예컨대 헬스, 군사, 홈 네트워크, 환경 감시, 공장 관리, 재난 감시 등과 가까운 지역에 센서노드들을 설치하고 이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여 통신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In this wireless sensor network, sensor nodes are installed at sites that want to grasp the actual situation, such as health, military, home network, environmental monitoring, factory management, and disaster monitoring, and the necessary information is formed to form 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important.
또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의 특성상 센서 노드에서 수집된 정보는 일정 시간 내에서 유효하기 때문에 센서노드의 정보는 제한된 시간 안에 정확하게 정보 수집기(data collector)에게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며, 주어진 에너지 소모(energy consumption) 상황에서 최대 단-대-단 지연(maximum end-to-end delay) 조건에 맞도록 프로토콜을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 In addition,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or node is valid within a certain time, so it is important that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s accurately delivered to the data collector within a limited time, and given energy consumption. It is required to design the protocol to meet the maximum end-to-end delay condition.
이러한 관점에서 주로 각 계층별로 독립적으로 센서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이들 중 주된 연구로 센서 네트워크의 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 네크워크 계층에서의 에너지 효율적인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중 분산된 구조의 애드혹 기반으로 동작하는 애드혹 센서 네트워크(adhoc sensor networks)에서의 에너지 효율적인 프로토콜들도 제안되었다.From this point of view, protocols for the sensor network environment have been proposed mainly for each layer. Among them, energy-efficient protocols in the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network layers of the sensor network have been proposed. Energy efficient protocols have also been proposed in ad hoc sensor networks operating on a distributed ad hoc basis among wireless sensor networks.
하지만 종래 MAC(Medium Access Control) 타입의 프로토콜은 다른 프로토콜에 비해 에너지 효율성이 떨어지는데, 이의 해결을 위해 듀티 사이클을 낮추면 이번에는 네트워크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MAC 타입 프로토콜은 무선센서네트워 크의 비교적 일반적인 상황인 배터리 등과 같은 제한적인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통신 네트워크의 안정화율이 높지 않는 등 적잖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dium access control (MAC) type protocol is less energy efficient than other protocols. To solve this problem, lowering the duty cycle causes a network delay. In addition, the MAC type protocol has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low stabilization rat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using a limited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which is a relatively common situation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이러한 문제점들과 관련하여, 종래 "선형구조를 가지는 실시간 무선 센서 네트워크 통신 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656385호)"에는 무선센서네트워크에 적용되는 선형구조의 통신프로토콜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기는 하지만, 데이터 또는 명령을 전송하는 다운스트림(downstream)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connection with these problems, the conventional "real-time wireless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having a linear structure (Korean Patent No. 10-656385)" has been proposed a technology for a linear communication protocol applied to the wireless sensor network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downstream of transmitting data or commands is not smooth.
위의 종래 '선형구조를 가지는 실시간 무선 센서 네트워크 통신 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656385호)'에서의 다운스트림(downstream)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공동출원인 일인에 의해 출원된 '양방향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선형구조를 갖는 무선센서네트워크 및 그 방법(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8-8935호)'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ownstream in the conventional 'real time wireless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having a linear structure (Korean Patent No. 10-656385)' filed by the co-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bidirectional Wireless sensor network having a linear structur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and its metho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8-8935).
도 6은 종래 '양방향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선형구조를 갖는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통신의 진행을, 도 7은 업링크 데이터통신의 진행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progress of downlink data communication in a conventional 'wireless sensor network having a linear structure capable of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progress of uplink data communication, respectively.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양방향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선형구조를 갖는 무선센서네트워크'는, 모든 구성노드들이 하나의 상위노드 및 하나의 하위노드와 연결되도록 하여 싱크노드부터 단말노드까지 선형적으로 연결되며, 각 노드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는 활성구간(600, 700)과 비활성구간(650, 750)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며, 상기 활성구간(600, 700)은 싱크노드로부터 단말노드로의 데이터/명령어를 전송하는 다운링크활성구간(610, 710), 휴지구간(620, 720), 단말노드로부터 싱크노드로의 데이터/명령어를 전송하는 업링크활성구간(630, 730)을 구비하며, 상기 다운링크활성구간(610, 710) 및 업링크활성구간(630, 730)은 각각 RX, TX, ACK가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활성구간(600, 700)의 단일주기내에서 싱크노드와 단말노드간의 양방향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the conventional 'wireless sensor network having a linear structure capable of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is linearly connected from the sink node to the terminal node by connecting all the configuration nodes with one upper node and one lower node. Each node sequentially repeats an
하지만 여기서도 2개의 노드에 대한 링크가 차단되거나 비정상적으로 변화되면, 링크의 복구가 힘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even if the link to the two nodes is blocked or abnormally changed, the link recovery is difficult.
또한 무선센서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원활한 무선통신을 위해 감지(센싱)된 데이터가 안정적으로 중앙의 관리제어장치로 전달되고 이를 통해 발생된 제어명령이 상호 원활하게 통신되는 것이 중요하다. In addition,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it is important that the sensed (sensed) data is stably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control device for smoo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commands gener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are smooth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일례로 종래 산업 혹은 작업 현장에서는 페인트/전기/용접 등의 사용이 많아 항상 화재에 노출되어 있으며, 미연에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도 대부분 천정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규모가 큰 산업현장에서 화재를 감지하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한 실정이며, 화재를 감지했을 경우에도 이미 화재가 확산되어 피해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For example, there is a lot of use of paint, electricity, welding, etc. in the conventional industry or on the work site, so it is always exposed to fire, and most of the systems that can detect fire in advance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ceiling, so it is possible to fire in large industrial sites. It is a situation that requires a long time to detect, there is a problem that even if the fire is detected, the fire is already spread to increase the damage.
아울러 화재와 같은 재난이나 사고 등은 신속한 초기대응이 피해 규모를 최소화시키게 되면 그만큼 대응시간이 늦어질수록 피해의 규모가 커지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disasters and accidents, such as fire, if the initial respons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damage, as the response time is delayed, the magnitude of the damage increases, the situation is urgently required measures to solve this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현장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현장의 여건 파악을 위해 상기 장치에 기설정된 물리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모듈과;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체계에 따른 통신 중 활성구간 내의 소정 주기내에서 무선센서네트워크 상 다른 단말노드간의 양방향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각 구성 모듈들을 통한 감지량 및 통신의 수행과 연산 및 제어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상기 센싱모듈로부터 감지된 물리량을 프로그래밍되어 설정된 상기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의 체계에 따라 연산 및 변환시키며, 상기 각각의 모듈들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체계에 따라 상기 무선센서네트워크 상 다른 단말노드간의 양방향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중앙의 관리장치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처리하는 중앙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구성 모듈들은 데이터를 고효율로 통신하기 위한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의 체계에 따르되; 상기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은 상위노드 및 하위노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활성구간(Active Duration)을 구비하고, 상기 활성구간은 단말노드로부터 싱크노드로의 데이터 및 명령어를 전송하는 업링크구간, 및 싱크노드로부터 단말노드로의 데이터 및 명령어를 전송하는 다운링크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다운링크구간 및 업링크구간은 각각 제2수신구간(Second Receive Slot; 'RX2'), 제1수신구간(First Receive Slot; 'RX1'), 송신구간(Transmit Slot;'TX'), 제1확인구간(First Acknowledge Slot;'ACK1'), 제2확인구간(Second Acknowledge Slot;'ACK2')이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구간들의 후단으로는 바로 연이어 다위처리구간 MSPS(multi stage processing slot)을 구비하므로써; 상기 작업현장의 놓인 위치에서 지정된 물리량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the sensing module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physical quantity preset in the device to determine the conditions of the work site in a stat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ork site;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other terminal nodes on a wireless sensor network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an active period during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high efficiency multiprocessing protocol system;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data generated in the sensing amount and the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on and control of the respective configuration modules; Calculates and converts the physical quantity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the scheme of the highly efficient multiprocessing protocol set and programmed, and receives data from the respective modules to be different from the wireles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high efficiency multilevel processing protocol scheme. A central control module which controls to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 nodes and processes according to control from a central management apparatus; Each of the constituent modules according to a scheme of a high efficiency multiprocessing protocol for communicating data with high efficiency; The high efficiency multilevel processing protocol includes an active d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 higher node and a lower node, and the active period includes an uplink interval for transmitting data and instructions from a terminal node to a sink node, and a sink node. A downlink section for transmitting data and instructions from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node; Each of the downlink section and the uplink section includes a second receive slot (RX2), a first receive slot (RX1), a transmit slot (TX), and a first receive section (RX1). A first acknowledgment slot ('ACK1') and a second acknowledgment slot ('ACK2') are sequentially configured ; Immediately after each of the above sections by having a multi-stage processing slot (MSPS); It is to provide a field sensor node device for a high-efficiency multilevel processing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to grasp and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pecified physical quantity at the location of the work site.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센싱모듈은, 현장의 화재 여부를 센싱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현장의 여건 파악을 위한 상기 장치에 기설정된 물리량으로, 전류, 온도, 연기에 대한 물리량을 감지하며; 상기 중앙제어모듈은 직접적인 교체없이 온라인 연결에 따른 웹페이지나 자체 통신망의 관리를 통해 펌웨어를 업데이트(update)하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module, the physical quantity for the current, temperature, smoke as a predetermined physical quantity in the device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s of the work site for sensing whether the fire on the site; The central control module can update the firmware and monitor the status through the management of a web page or its ow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online connection without direct replacement.
아울러 상기 각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에서의 각 구성부 및 각각에 대한 상세한 기술내용을 제공하며, 이러한 각 구성 및 기술내용은 각각 개별적이거나 서로 복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provides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and each in the field sensor node device for the high-efficiency multilevel processing protocol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 objects, each of these configurations and technical details are each carried out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 및 산업의 현장에서 주변의 온도, 연기, 과전류 등의 센싱를 통해 용접 등 전기 및 불꽃을 이용한 현장의 초기 화재 감지해 낸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initial fire in the field using electricity and sparks, such as welding, through sensing of ambient temperature, smoke, overcurrent, etc. at work and industrial sites.
또한 수집된 설정조건 등에 따라 현장의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의 발생시 초기대처와 경보 등을 신속히 울리고 전파하여, 대응 시간이 늦어질수록 피해의 규모가 상승하는 화재 등의 각종 재난 상황의 대처를 통해 피해 규모를 최소화시켜 준다.In addition, by moni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site according to the collected setting conditions, and promptly responding and spreading the initial measures and alarms in the event of abnormal signs, and dealing with various disasters such as fire, the magnitude of the damage increases as the response time is delayed. Minimize the amount of damage.
뿐만아니라, 양방향 통신을 통해 원격지에서 각 장비들의 상태 진단이 가능하고 한번 설치 후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양방향 통신을 통해 무선 장비들의 작동을 변경할 수 있어 효율적인 시스템 관리가 가능하게 해 준다.In addition, two-way communication enables the diagnosis of the status of each device at a remote location, and it is not fixed after installation once. It also enables efficient system management by changing the operation of wireless devices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아울러 휴대용으로 시스템 설치가 간편하며, 무선의 시스템으로 별도 장비 추가나 시스템 변동시 추가 설치나 기존 시설제거 작업이 없어 편리한 유지보수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easy to install the system by portable and convenient maintenance is possible without additional installation or removal of existing facilities when adding additional equipment or changing system by wireless system.
이러한 본 발명은 모든 산업현장 및 일반시설에서도 사용가능하고 또한 화재 감지뿐만 아니라 실내 환경 측정등도 가능하기 때문에 소방에만 국한되지 않은 여러 다양한 시장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ll industrial sites and general facilities, as well as fire detection as well as indoor environment measurement, it is expected to be extended to various markets not limited to firefightin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ield sensor node device for the high-efficiency multilevel processing protoc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 현장센서노드장치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관리시스템에서의 통신 및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field sensor node device for a high-efficiency multilevel processing protocol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mmunication and operation process in the overal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field sensor node device of FIG. .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10)는, 작업현장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설정된 물리량에 대한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모듈(110)과; 통신에 대한 활성구간 내의 소정 주기내에서 다른 단말노드간의 양방향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20)과; 각 구성 모듈들을 통한 감지량 및 통신의 수행과 연산 및 제어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모듈(130)과; 상기 센싱모듈(110)로부터 감지된 물리량을 프로그래밍되어 설정된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의 체계에 따라 연산 및 변환시키고, 상기 각각의 모듈들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체계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며, 중앙의 관리장치로부터의 제어에 받아 처리하는 중앙제어모 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구성 모듈들은 데이터를 고효율로 통신하기 위한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의 체계에 따르되; 상기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은 상위노드 및 하위노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활성구간(Active Duration)을 구비하고, 상기 활성구간은 단말노드로부터 싱크노드로의 데이터 및 명령어를 전송하는 업링크구간, 및 싱크노드로부터 단말노드로의 데이터 및 명령어를 전송하는 다운링크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다운링크구간 및 업링크구간은 각각 제2수신구간(Second Receive Slot; 'RX2'), 제1수신구간(First Receive Slot; 'RX1'), 송신구간(Transmit Slot;'TX'), 제1확인구간(First Acknowledge Slot;'ACK1'), 제2확인구간(Second Acknowledge Slot;'ACK2')이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구간들의 후단으로는 바로 연이어 다위처리구간 MSPS(multi stage processing slot)을 구비하므로써; 작업현장의 놓인 위치에서 지정된 물리량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전송하는 것을 특징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eld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현장센서노드장치(10)는 현장에서 화재를 관리하고 예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센싱모듈(110)은 전류, 온도, 연기에 대한 물리량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eld
그리고 도 2와 같이 앞서 설명한 본 센서노드장치(10)를 이용하는 본 실시예의 현장종합관리시스템(TMS; Total Management System)은, 통합서버(20)와, 중간은 연결하는 게이트웨이(15)와,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센서노드장치(10)와, 네트워크의 중간중간을 연결되는 싱크노드장치(10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the total field management system (TMS) of the present embodiment using the
이러한 본 실시예의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10) 는 도 2와 같은 전체적인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부로, 현장의 상태, 예컨대 불꽃, 이미지, 연기, 온도, 연기, 습도 등 작업이나 산업 현장의 이상유무 파악을 위한 감지 데이터를 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의 체계를 통해 중앙의 관리장치인 통합서버(20)로 전송함과 동시에, 필요한 제어를 받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The field
본 실시예의 통합서버(20)는 본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의 체계에 따라 싱크노드장치(10s)나 센서노드장치(10)와 무선으로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면서, 해당 작업현장의 이상유무 상태를 파악함은 물론, 현장상태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상상황인 경우 관리, 예를 들어 해당 작업현장에 화재가 발생했을 시 소방관재시스템과의 연결이나 비상소방시설 작동 등 필요한 관리를 진행하고 제어한다.The integrated
또한 싱크노드장치(Sink node, 10s)는 무선센서네트워크의 양방향 네트워크를 동작가능케 하는 노드이다. 이러한 싱크노드장치(Sink node, 10s) 내에는 다수의 센서노드장치(10)가 위치하도록 하여 위의 현장종합관리시스템(TMS)가 구성된다.Also, a
이러한 본 현장종합관리시스템(TMS)의 각 구성부들은 앞서 설명한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의 체계에 따라 통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감시와 관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Each component of the TMS can communicate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high efficiency multiprocessing protocol so that more efficient monitoring and management can be performed.
도 3은 도 1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10)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통신의 진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중요개념 파악을 위해 3개의 센서노드장치(10)에서 진행되는 통신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gress of the downlink data communication in the field
그리고 도 4는 도 1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10)에서의 업링크 데이터통신의 진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gress of the uplink data communication in the field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센서노드장치(10)에 적용되는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30)의 구조는, 활성구간(30a)과 비활성구간(30b)으로 크게 구분되고, 활성구간(30a)은 다시 다운링크구간(310) 및 업링크구간(330)으로 구분된다.As shown, the structure of the high efficiency
그리고 이러한 다운링크구간(310) 및 업링크구간(330) 각각은, 각 구간의 맨처음에 작동시키는 주(main)된 내용이 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2수신구간(Second Receive Slot; 311m, 331m, 이하 'RX2'), 제1수신구간(First Receive Slot; 'RX1', 312m, 332m), 송신구간(Transmit Slot;'TX', 313m, 333m), 제1승인구간(First Acknowledge Slot;'ACK1', 314m, 334m), 제2승인구간(Second Acknowledge Slot;'ACK2', 315m, 335m)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각 구간의 후단으로는 각각 다위처리구간 MSPS(multi stage processing slot)를 구비하는 구조를 하고 있다. Each of th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이 되는 기준노드(기준 스테이지, n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이러한 본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30)을 자세히 살펴보면, 기준노드 활성구간(30a)의 다운링크구간(310) 및 업링크구간(330)에 있어, * RX2(311, 331)는 메인RX2(311m, 331m)와 위처리RX2(311p, 331p)로, * RX(312, 332)는 메인RX(312m, 332m)와 위처리RX(312p, 332p)로, * TX(313, 333)는 메인TX(313m, 333m)와 위처리TX(313p, 333p)로, * ACK1(314, 334)는 메인ACK1(314m, 334m)와 위처리ACK1(314p, 334p)로, * ACK2(315, 335)는 메인ACK2(315m, 335m)와 위처리ACK2(315p, 335p)로, 각각 구분된다.As shown in FIG. 4, the present high-efficiency
이러한 각각의 구간에서 '메인'구간은 본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10)에서 통신을 실시할 때 바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이상적(ideal)인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이 '메인'구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면 아무 문제없이 이상적으로 통신이 진행되는 것이다.In each of these sections, the 'main' section represents an ideal part where communication is immediately performed when the field
하지만 무선센서 네트워크의 통신과정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통신이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렇게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감안하고 대비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30)이 개발된 것이다.However,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may not be performed due to various factors.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sider and prepare for the problem that communication is not normally performed, the high efficiency multiprocessing protocol of the
즉 다운링크구간(310)의 메인RX2(311m)의 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되면, 연이어지는 다위처리RX2(311p)의 진행을 통해 상위노느(n+1스테이지)에 기준노드(n스테이지)의 메인RX2(311m)의 진행을 통해 수신하여야 할 신호를 요청하게 되는데, 이 때 기준노드(n스테이지)가 상위노느(n+1스테이지)를 통해서도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면, 차상위노느(n+2스테이지)를 통해 신호를 요청하게 되며, 만약 차상위노느(n+2스테이지)를 통해서도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면, 이러한 원리의 진행은 차차상위노느(n+3스테이지) ... 등 다위(multi stage; 멀티 스테이지)로 계속되어 처리되는 다위처리 MSPS(multi stage processing slot) 구조를 취하고 있다.That is, when reception of the main RX2 (311m) of the
하지만 이러한 진행은 통신의 진행과 효율적인 측면에서 감안되어야 할 사안으로, 이론적으로는 계속될 수 있다고 할지라도 실제 통신상황에서는 상위노느(n+1스테이지)나 차상위노느(n+2스테이지)까지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such progress is a matter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communication progress and efficiency, and although it can be theoretically continued, in actual communication situation, it proceeds to the upper node (n + 1 stage) or the next higher node (n + 2 stage). It is preferable.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30)에서는 각 노드(노드장치)간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간노드를 제외하는 복구과정을 진행하는 특징이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high-
이러한 복구과정은 앞서에 설명한 다위처리(multi-upper stage request/ processing)와는 진행개념이 다르다.This recovery process differs from the concept of multi-upper stage request / processing described above.
후술하는 복구과정에서는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간노드를 제외시키면서 동기 상태를 맞추는 과정을 별도로 진행하게 되지만, 본 실시예의 다위처리 MSPS는 일부러 중간노드를 제외시키거나 동기상태를 맞추는 과정없이 바로바로 상위의 노드로 요청을 하게 되며, (통신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설정된) 몇단의 상위노드로 요청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등 정상적인 과정이 진행되면, 통신은 별도의 특별한 수행과정 없이 처음에 의도된 기본적이고 정상적인 과정을 계속 진행하게 된다.In the recovery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synchronization state is separately performed while excluding the intermediate node that is not in communication. However, the multi-processing MSPS of the present embodiment deliberately excludes the intermediate node or immediately proceeds without adjusting the synchronization state. If a request is made to a node and a normal process is performed, such as receiving a signal in the process of requesting to a plurality of higher nodes (set in consideration of communication efficiency), the communication is initially intended without any special execution process. The normal process will continue.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30)은 진행과정이 대단히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효율성은 통신하는 중간의 지체과정도 줄여주고, 동시에 정확성도 높여준다.As a result, the high-
그리고 이러한 효율성은 바로 작업 또는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수 있도록 해주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무선센서네트워크의 통신효율을 탁월한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And this efficiency acts as a direct factor that can respond quickly to accidents that may occur at work or industrial sites, thereby maintaining the excellent communication efficiency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이러한 본 실시예의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10)는 다른 센서노드용 장치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중앙의 통합서버(20)로 부터의 제어를 받아 신규노드장치로서의 합류하는 합류과정(terminal join)의 진행이 가능하다. The field
또한 본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10)는 무선센서네트워크상 중간의 노드(장치)가 끊어진 경우 끊어진 노드(장치)를 제외한 상태로 통신링크에 대한 복구(recovery)의 진행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field
이러한 본 실시예의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10)는 현장센서노드장치(10)에 대한 직접적인 교체없이 온라인, 즉 인터넷 연결에 따른 웹페이지나 자체 통신망의 관리를 통해 현장센서노드장치(10)들의 펌웨어를 업데이트(update)하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eld
즉 네트워크 관리통합시스템과 본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10)와 통신하는 과정에서 센서노드장치(10)의 모델명과 장치버전이 파악되고, 본 센서노드장치(10)의 해당 모델에 버전업(version-up)된 새로운 펌웨어가 존재하는 경우, 그러한 새로운 펌웨어를 다운받아 새로 설치(install)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model name and the device version of the
본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10)에서는 앞서 설명한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30)에 의한 무선센서네트워크를 통해 현장센서노드장치(10)의 내부에 포함된 소정의 메모리 소자의 특정 영역에 펌웨어 데이터를 전송받고,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레지스터와 같은 소자에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특정값이 기재되면, 본 현장센서노드장치(10)가 자동적으로 메모리 소자의 특정 영역에 기록된 펌웨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소자에 기록되어 있는 본 현장센서노드장치(10) 자체의 펌웨어를 갱신하게 된다.In the field
도 5는 도 1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를 적용한 작업현장에서 재해발생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cting a disaster occurrence in a workplace using the field sensor node device for the high efficiency multilevel processing protocol of FIG. 1.
본 현장센서노드장치(10)를 이용하여 산업현장이나 작업현장의 관리를 수행하는 현장종합관리시스템(TMS)을 구성하는 경우, 여러 가지의 현장 물리량을 감지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현장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지를 자동적으로 관리감독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TMS that manages an industrial site or a work site by using the field
여기서는 현장 상황에 대한 관리감독 중, 특히 많는 관심거리이자 중요 관리감독 대상인 화재관리를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이러한 화재 관리 및 예방을 위해 다양한 현장물리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현장센서노드장치(10)는 전류, 온도, 연기에 대한 물리량의 감지를 통해 화재가 관리되는 상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is section focuses on fire management, which is of particular interest and important management supervision, especially in the supervision of site situations. In addition, it can be configured to detect a variety of on-site physical quantities for the fire management and prevention, the on-site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F)은 작업실(F01), 냉동실(F02), 기계실(F03), 사무실(F04) 등 다수의 격실로 나누어져 있으며, 작업은 이러한 다수의 격실 중 필요한 곳 어디서든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나, 여기서는 작업실(F01)에서 작업하는 상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work site F is divided into a number of compartments, such as a work room (F01), a freezer room (F02), a machine room (F03), and an office (F04), and the work is to be carried out wherever necessary. Although it may be possibl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situation of working in the work room F01.
아울러 이러한 현장(F)의 작업실(F01), 냉동실(F02), 기계실(F03), 사무실(F04) 등 각 격실에는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예컨대 전기를 많이 쓰게 되는 콘센트, 열을 많이 받을 수 있는 전등 주변, 작업현장에서 열을 많이 받을 수 있는 부분, 격실의 벽 중 전기배선이 집중되어 있거나 배선된 전기선이 낡은 부분 등, 다수의 화재발생 예상지점에 본 현장센서노드장치(10)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compartment such as a work room (F01), a freezing chamber (F02), a machine room (F03), an office (F04) of the site (F) may receive a lot of heat, for example, a power outlet, and a lot of heat, which may cause a fire. Install the field sensor node device (10) at a number of potential fire locations, such as near electric lamps, areas that can receive a lot of heat at work sites, and areas where electrical wiring is concentrated or old wires are out of the walls of the compartment. It is desirable to manage.
이렇게 설치한 상황에서 현장종합관리시스템(TMS)을 가동하면서 작업을 진행하는 가운데, 현장(F)에 설치된 다수의 현장센서노드장치(10)에서 해당 콘센트로 흐르는 전류, 혹은 콘센트나 콘센트 주변의 온도, 또다른 측정물리량인 연기량 등에 대한 감지를 진행하게 되고, 감지된 상황은 중앙의 통합서버(20)로 계속 전달된다. 중앙의 통합서버(20)는 다수의 현장센서노드장치(10)로부터 받은 물리량에 대한 측정값을 계속 분석하는 과정에서 설정치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설정된 조건에 따른 분석을 통해 도면에 붉게 [1.이상징후감지]라고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징후를 감지하게 된다.In this situation, while operating the field management system (TMS) in operation,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plurality of field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F)에는 본 현장센서노드장치(10)와 별도로 필요한 수의 지능형알람노드장치(12)와 연계시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eld (F) it can also be configured in connection with the number of intelligent alarm node device (12) required separately from the field sensor node device (10).
이 후 '이상징후'를 판단을 통하여 이상징후가 결정되면, 본 현장센서노드장치(10)와 연계된 지능형알람노드장치(12)에서 [2.이상징후알람]이 수행되고, 이러한 알람은 순차적으로 통보되어 '어느 곳, 어디에서' 화재가 발생되고 있거나 발생될 징후가 있다는 방송이나 알람경보 등이 전체적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이 경미하면 바로 현장에서 소화를 하여 대응하여 처리될 수 있도록 하지만, 상황이 급박한 경우 스프링클러 등을 작동시키거나 소방서나 긴급재난구조기관으로 바로 연락하는 등 비상조치를 수행하게 된다. Then, when the abnormal symptoms ar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abnormal symptoms', [2. abnormal symptoms alarm] is performed in the intelligent
이러한 이상징후 과정은 본 설명을 자세히 하는 과정에서 파악하는 과정이 길어졌으나, 실제에서는 모든 통신과 판단 결정이 완료되고 결정과 동시에 경고가 수행되므로 아주 짧은 순간에 이루어진다.This abnormal symptom process is longer in the process of detailing this description, but in reality, all communication and judgment decisions are completed and a warning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so a very short time.
이외에도 이러한 진행과는 별도로 본 실시예의 현장센서노드장치(10)는 알람장치나 경고방송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중앙의 통합서버(20)와의 진행과는 별도로 자체적인 설정을 통해, 감지하고 있는 물리량이 설정된 상태에 따라 자체적으로 방송이나 경고가 울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동시에 중앙의 통합서버(20)로 통신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상황은 다른 현장센서노드장치(10)로도 통신되므로 전체적으로 경보를 울리고 방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Apart from this progress, the fiel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류, 온도, 연기를 측정물리량으로 하여 측정하여 관리하는 예를 보이고 있지만, 본 현장센서노드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도 위의 한가지 혹은 한가지 이상, 혹은 전체가 개별적 혹은 복합적인 조건에 따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n example of measuring and managing current, temperature, and smoke as a measurement physical quantity is shown. However, in the construction of the field
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현장센서노드장치(10)는 휴대용으로 시스템 설치가 간편하며, 무선의 시스템으로 별도 장비 추가나 시스템 변동시 추가 설치나 기존 시설제거 작업이 없어 편리한 유지보수도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다.In addition, the field
아울러 전류, 온도, 연기 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영상 등을 감지하여 전송하고 이를 통하여 현장의 상황을 자동관리하고 이상이라고 판달될 경우 경고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현장의 재해를 파악하고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detecting and transmitting not only current, temperature, and smoke, but also images and images, the system automatically manages the situation of the site and warns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Can be prevented.
아울러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장치나 시스템 이외에 사용자나 관리자의 편 리를 위한 각종 시설들을 설치하고 각각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설명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ll and control various faciliti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or administrator in addition to the apparatus or system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se various implementation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field sensor node device for a high-efficiency multilevel processing protocol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 현장센서노드장치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관리시스템에서의 통신 및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mmunication and operation process in the overal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field sensor node of Figure 1;
도 3은 도 1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10)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통신의 진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gress of downlink data communication in the field
도 4는 도 1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10)에서의 업링크 데이터통신의 진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gress of the uplink data communication in the field
도 5는 도 1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을 위한 현장센서노드장치를 적용한 작업현장에서 재해발생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t the work site applying the field sensor node device for the high-efficiency multilevel processing protocol of FIG.
도 6은 종래 '양방향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선형구조를 갖는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통신의 진행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the progress of downlink data communication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sensor network having a linear structure capable of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도 7은 종래 '양방향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선형구조를 갖는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의 업링크 데이터통신의 진행을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the progress of the uplink data communication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sensor network having a linear structure capable of two-way data communica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TMS : 현장종합관리시스템TMS: On-site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10 : 현장센서노드장치10: Field sensor node device
110 : 센싱모듈 120 : 통신모듈 110: sensing module 120: communication module
130 : 저장모듈 140 : 중앙제어모듈 130: storage module 140: central control module
10s : 싱크노드장치10s: sink node device
15 : 게이트웨이15: gateway
20 : 통합서버20: integrated server
30 : 고효율 다위처리 프로토콜30: high efficiency multi-processing protocol
30a : 활성구간 30b : 비활성구간30a:
310 : 다운링크구간 330 : 업링크구간310: downlink section 330: uplink sec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22281A KR100960675B1 (en) | 2009-03-16 | 2009-03-16 | High-efficient sensor node apparatus of on-the-spot in protocol for processing multi-stag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22281A KR100960675B1 (en) | 2009-03-16 | 2009-03-16 | High-efficient sensor node apparatus of on-the-spot in protocol for processing multi-stage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960675B1 true KR100960675B1 (en) | 2010-05-31 |
Family
ID=4228219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222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0675B1 (en) | 2009-03-16 | 2009-03-16 | High-efficient sensor node apparatus of on-the-spot in protocol for processing multi-stag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60675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844814B2 (en) | 2002-11-12 | 2005-01-18 | Motorola, Inc. | Wireless sensor apparatus and method |
-
2009
- 2009-03-16 KR KR1020090022281A patent/KR10096067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844814B2 (en) | 2002-11-12 | 2005-01-18 | Motorola, Inc. | Wireless sensor apparatus and metho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864417B2 (en) | Server rack for improved data center management | |
| US20160120144A1 (en) | Livestock hous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 |
| JP2009509237A (en) | Programmed wireless sensor system | |
| KR101665407B1 (en) | AUTOMATIC FIRE DETECTING SYSTEM BASED ON IoT DEVICE VIA A WIRED AND WIRELESS NETWORK | |
| CN113189859B (en) | A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power distribution environment and autonomously removing faults | |
| US12156313B2 (en) | Controlling networked dimmable luminaires based on energy consumption | |
| CN106790096A (en) | A kind of fire-fighting user profile Transmission system and its application | |
| CN111292441A (en) | Maintenance and inspection methods of fire protection facilities | |
| KR20120078891A (en) |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he air conditioner | |
| JP6263368B2 (en) | Fire alarm system | |
| US11791503B2 (en) | Method of characterizing and monitoring energy usage of battery powered wirelessly linked devices | |
| KR100960675B1 (en) | High-efficient sensor node apparatus of on-the-spot in protocol for processing multi-stages | |
| US20160209896A1 (en) | Remote monitoring method, remote monitoring system, first communication apparatus, secon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erver apparatus | |
| CN207907933U (en) | A kind of server room monitoring device | |
| KR102064403B1 (en) | Traditional market fire prevention device | |
| CN111273597A (en) | Centralized monitoring and inspection system for firefighting facilities | |
| JP2004259657A (en) | Lighting equipment condition monitoring system | |
| CN113154642B (en) | A dehumidifier control system for offshore wind turbines | |
| TWI590180B (en) | Debugging system, debugging method, and power management system | |
| CN106352920B (en) | A kind of new machinery room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 |
| CN103617702A (en) | Gas detection alarm system based on ZigBee | |
| KR102242541B1 (en) | Low priced building automatic system util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 |
| KR101761358B1 (en) | Distributed Data Processing Method for Large Scale Sensing Data generated from Smart Building | |
| TWI439970B (en) | Active personal action escap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 |
| US8224499B1 (en) | Remote annuncia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5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52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