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103B1 -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for video call using same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for video call us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3103B1 KR100963103B1 KR1020070069461A KR20070069461A KR100963103B1 KR 100963103 B1 KR100963103 B1 KR 100963103B1 KR 1020070069461 A KR1020070069461 A KR 1020070069461A KR 20070069461 A KR20070069461 A KR 20070069461A KR 100963103 B1 KR100963103 B1 KR 1009631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deo call
- video
- crop
- area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화상통화시에 화상통화 상대방의 영상 전체 또는 특정 부분을 자유자재로 지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화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화상통화시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화상통화시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전체 또는 일부를 확대시키기 위한 크롭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 중에서 상기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중 잘라낼 크롭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크롭 영역에 상응하는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부분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 중 상기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상에 소정 비율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방의 영상 전체를 확대하여 보거나, 영상 중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화상통화시 상대방의 영상을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원하는 크기로 볼 수 있다.Disclosed are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n interface capable of freely designating and displaying an entire video or a specific part of a video call counterpart during a video call, and a video call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A display method during a video call in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a video call includes displaying the video from the video call counterpart when the crop mode for enlarging all or part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is activated during the video call. Selecting a crop region to be cut out of the video of the call counterpart; and expanding the video portion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rop area at a predetermined ratio o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to display the video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And displaying the same. Therefore, the user can enlarge the entire view of the other party's video or enlarge the specific part of the video to freely adjust the other party's video to the desired size during the video call.
화상통화, 디스플레이, 영상, 크롭 Video call, display, video, crop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통화에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화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used for a video call and a video call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음성 통화 서비스 외에도 화상통화 서비스도 제공하게 되었다. 화상통화는 통화시 음성과 함께 이동 통신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동영상도 실시간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서비스로서, 통화를 하고 있는 사용자 자신의 모습이나 주변의 모습을 통화 상대에게 통화와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친밀함, 일치감등을 제공할 수 있다.A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have evolv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provided video call services in addition to voice call services. A video call is a service that simultaneously transmits video recorded by a camera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gether with voice during a call in real time. , Intimacy, and a sense of unity.
이러한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한 화상통화시,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 즉, 전체적으로 풀 프레임(full frame) 상태의 화면으로서, 화면 위쪽에는 화상 통화 상대방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되고, 화면 아래의 왼쪽에는 본인의 모습이 상대방에게 비춰지는 영상을 미리보기(preview)할 수 있는 창이 디스플레이된다.In a video call using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a portable terminal is typically as shown in FIG. 1. In other words, it is a full frame screen, and the video call counterpart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a window for previewing an image of yourself being visible to the other party is displayed at the bottom left of the screen. Is displayed.
그러나, 이러한 형태 등 종래 화상통화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방식은 휴대용 단말기 개발시에 지정된 인터페이스의 틀을 벗어나서는 사용할 방법이 없었다. 즉, 화상통화시에, 사용자는 상대방의 얼굴이 작게 표시될 경우 영상을 전체적으로 확대하여 보고 싶을 수도 있고, 상대방 영상 중 뒷 배경 중에 자세히 보고 싶은 것이 있을 수도 있으나, 종래의 화상통화 인터페이스 환경에서는 미리 지정된 방식의 틀을 벗어날 수 없어 상대방이 화상통화에 사용되는 카메라의 줌(zoom) 기능을 조절하거나 초점(focus)을 조절하지 않는 이상, 원하는 크기의 영상을 보거나, 영상 중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볼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display method used in the conventional video call, such as this form, has no way to use beyond the interface of the interface specified when developing a portable terminal. That is, in a video call, when the face of the other party is displayed small, the user may want to enlarge the image as a whole and may want to see in detail the background of the other party's image, but in the conventional video call interface environment, Because you can't get out of the way, you can watch the video of the size you want or zoom in on a specific part of the video unless the other person adjusts the zoom or focus of the camera used for the video call. There was no problem.
따라서, 화상통화시 화면의 크기를 원하는 대로 조절하거나, 상대방의 영상 중 특정 부분을 잘라내어(crop)하여, 원하는 영상을 원하는 크기로 볼 수 있게 해줌으로써 보다 자유로운 화상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that enables a more free video call by adjusting the screen size as desired during the video call, or by cropping a specific part of the video of the other party to view the desired video in the desired size This is necessary.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화상통화시 상대방의 영상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상통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call displa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mage of a counterpart during a video call.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화상통화시 상대방의 영상을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an image of a counterpart during a video call.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화상통화시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화상통화시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전체 또는 일부를 확대시키기 위한 크롭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 중에서 상기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중 잘라낼 크롭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크롭 영역에 상응하는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부분을 상기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상에 소정 비율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 video call in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rop mode is activated, selecting a crop area to be cut out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image from among areas displaying the video call counterpart image, and displaying the video portion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rop area. And magnifying and displaying the image of the counterpart at a predetermined ratio.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화상통화시의 디스플레이 방법 상기 크롭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크롭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화상통화시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크롭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크롭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좌표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화상통화시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화상통화시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전체 또는 일부를 확대시키기 위한 크롭 모드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cursor for selecting the crop area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crop mode is activated. The display method during the video call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coordinate input window for selecting the crop region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crop mode is activated. The display method of the video call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crop mode for enlarging the whole or part of the video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is activated during the video call.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화상통화시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전체 또는 일부를 확대시키기 위한 크롭 모드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중 잘라낼 크롭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크롭 모드 활성화 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상기 화상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상기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 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크롭 모드 활성화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크롭 영역에 상응하는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 부분을 확대하여 상기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크롭 모드 활성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크롭 영역에 상응하는 화상통화 상대방의 영상이 상기 표시부의 상기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crop mode activation signal for enlarging the whole or part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image during a video call and the video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An input unit for selecting a crop region to cut out, and when the crop mode activation signal is deactivated, the image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is displayed on an area displaying the video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and the crop mode activation signal is activate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enlarges the video portion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rop area and displays the video part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on the display area, and displays the selected crop area in response to a crop mode activation signal from the input unit. The video from the corresponding video call counterpart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image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상기 표시부는 상기 크롭 모드 활성화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크롭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상기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크롭 모드 활성화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크롭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좌표 입력창을 상기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외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crop mode activation signal is activate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cursor for selecting the crop area on an area displaying an image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When the crop mode activation signal is activate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coordinate input window for selecting the crop region in an area other than an area displaying an image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상기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화시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르면,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크롭 모드(crop mode)가 활성화 되고 상대방의 영상 중 크롭 영역이 지정되며 지정된 크롭 영역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화상통화시 상대방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의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화면 중 특정 부분을 잘라내어(crop)하여 확대시킬 수다. 즉, 사용자는 상대방의 영상 전체를 확대하여 보거나, 영상 중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화상통화시 상대방의 영상을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원하는 크기로 볼 수 있다.According to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the interface as described above and a display method during a video call using the same, a crop mode is activated by an input through an input unit, a crop region is designated among the images of the other party, and the specified crop region is enlarged. Is displaye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screen on which the counterpart image is displayed during the video call may be adjusted or a specific portion of the screen may be cut and enlarged. That is, the user may enlarge the entire view of the other party's image, or enlarge the specific part of the video to freely adjust the other party's image during the video call to view the desired siz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A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크롭 모드(crop mode)라 함은 사용자가 상대방의 영상 전체 또는 특정 부분을 잘라내고자(crop)하고자 하는 경우 활성화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p mode refers to a mode that is activated when the user wants to crop an entire image or a specific part of the counterpart's imag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00)는, 제어부(210), 입력부(220), 모드 전환 명령 발생부(230), 영상 처리부(240), 메모리부(250), 표시부(260) 및 카메라(27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200)는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무선 수신모듈(미도시), 음성 처리 모듈(미도시) 등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것이나, 본 발명과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간명한 설명을 위해 이들에 대한 언급은 이하에서 생략한다.As shown in FIG. 2, the
제어부(210)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부(240)로부터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인가받아 운용 대기상태가 되며, 입력부(25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운용될 수 있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입력부(220)는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200)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번호키, 방향키 등과 같은 키패드가 될 수 있다. 화상통화시 디스플레이되는 화상통화 상대방의 영상 전체를 확대하거나 화상통화 상대방의 영상 중 특정 영역을 확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220)의 소정의 키를 누름으로써 크롭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20)의 소정의 키를 누름으로써 크롭 모드 활성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카메라(130)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통화를 하는 사용자의 영상에 상응하는 화상 프레임을 영상 처리부(240)로 제공한다. 영상 처리부(240)는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카메라(270)로부터 제공되는 화상프레임을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부(260)로 제공한다.The camera 130 provides the
모드 전환 명령 발생부(230) 및 영상 처리부(240)는 입력부(220)로부터의 크롭 모드 활성화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부(26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크롭 모드로 전환시키도록 동작한다. 도 2에서는 모드 전환 명령 발생부(230) 및 영상 처리부(240)가 각각 제어부(210)과 별개의 기능 블록으로 표시되었지만, 모드 전환 명령 발생부(230) 및 영상 처리부(240)를 하나의 기능블록으로 통합할 수도 있고, 모드 전환 명령 발생부(230) 및 영상 처리부(240)를 제어부(210)내에 통합하여 제어부(210) 하나의 기능 블록으로 통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mode
메모리부(250)는 제어부(210)의 제어시 필요한 구동 프로그램 및 제어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표시부(260)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요소로서 정상 모드, 즉, 크롭 모드가 아닐 때에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상통화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The
한편, 크롭 모드일 때에는 모드 전환 명령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상대방의 영상 중 크롭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커서, 선택창 또는 좌표 입력창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입력부(220)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크롭 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영역을 확대해서 디스플레이한다. Meanwhile, in the crop mode, a cursor, a selection window, or a coordinate input window for selecting an area to be cropped from the image of the counterpart displayed by the mode switching command may be displayed, and the crop area is input by th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00)를 이용한 화상통화시의 화면 조절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a screen adjustment process during video call using the
휴대용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음성과 함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동영상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화상통화를 개시한다(S310). 이 상태에서 화상통화는 정상 모드로 실행되고, 휴대용 단말기(200)의 표시부(260)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는 도 1에 도시되는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상통화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와 동일하다. The user of the
이러한 정상 모드의 화상통화 중 상대방의 영상 전체를 확대하여 보고 싶거나 상대방의 영상 중 배경 등의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보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크롭 모드를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고(S320), 입력부(220)의 소정의 키를 이용하 여 크롭 모드 활성화 신호가 발생되어 크롭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If the user wants to enlarge the entire video of the other party during the normal video call or wants to enlarge the specific part of the video of the other party, the user decides whether to execute the crop mode (S320), and the input unit ( A crop mode activation signal is generated using a predetermined key of 220 to activate the crop mode.
만약 상대방 영상의 크기가 적절하거나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볼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정상 모드의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S330). 크롭 모드 활성화 신호가 발생되면면 제어부(210)는 크롭 모드 활성화 신호에 응답하여 모드 전환 명령을 내려 표시부(26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크롭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If the size of the other party's image is appropriate or there is no need to enlarge and view a specific part, the video call in the normal mode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S330). When the crop mode activation signal is generated, the
이에 의해 표시부(260)의 디스플레이 형식은 크롭 모드로 전환되고, 디스플레이되는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 중 크롭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커서 또는 영역 선택창 등이 표시된다. 크롭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 또는 영역 선택 창은 디스플레이되는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 상에 바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좌표화시켜 크롭할 영역을 좌표 형식으로 선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좌표 형식의 선택에 있어서 필요한 좌표 선택창은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예를 들면, 우측 하단 영역 등)에 위치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display format of the
표시부(260)에 크롭 영역 선택을 위한 커서 또는 영역 선택창 등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 중 크롭할 영역을 선택한다(S340).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영상 위의 커서를 스크롤함으로써 선택하거나, 또는 좌표 선택창에 평면상 X 및 Y 좌표를 직접 입력시킴으로써 좌표화된 영상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이 밖의 다른 방식으로도 크롭 영역에 대한 선택을 할 수도 있다.When a cursor or a region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 crop region is displayed on the
이러한 방식으로 크롭 영역이 선택되면, 표시부(260)에 표시되는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 중 선택된 크롭 영역이 확대되어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상에 디스플레이 된다(S350).When the crop area is selected in this manner, the selected crop area among the areas displaying the video call counterpart's image displayed on the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00)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크롭 모드를 사용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4A and 4B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crop mode is used during a video call using the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에 상응하는 상대방의 영상 중 크롭 시키고자 하는 영역을 커서 또는 영역 선택창을 이용하여 선택하거나, 또는 우측 하단 등의 영역에 표시되는 좌표 선택창에 X, Y 좌표를 입력시킴으로써 선택하면,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된 특정 부분의 영상이 확대되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4A, a user selects an area to be cropped from the video of the other party corresponding to the area displaying the video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using a cursor or an area selection window, or in an area such as the lower right corner. If the selection is made by inputting the X and Y coordinates to the displayed coordinate selection window, as shown in Fig. 4B, the image of the selected specific portion is enlarged and displayed.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화상통화의 상대방 얼굴이 작게 보이는 경우 영상을 전체적으로 확대시켜 볼 수 있고, 뒷 배경 중 자세히 보고 싶은 것이 있는 경우에도 특정 부분을 선택하여 크롭시킴으로써 상대방이 화상통화에 사용되는 카메라를 조절해주지 않더라도 원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볼 수 있게 된다.By doing so, the user can enlarge the image as a whole when the other party's face in the video call looks small, and control the camera that the other party uses for the video call by selecting and cropping a specific part even if there is something to be seen in detail behind the background. Even if you do not do it, you can zoom in to the desired part.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ould be.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1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during a video call us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during a video call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4A and 4B illustrate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screen during a video call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휴대용 단말기 210 : 제어부200: portable terminal 210: control unit
220 : 입력부 230 : 모드 전환 명령 발생부220: input unit 230: mode switching command generation unit
240 : 영상 처리부 260 : 표시부240: image processing unit 260: display unit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69461A KR100963103B1 (en) | 2007-07-11 | 2007-07-11 |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for video call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69461A KR100963103B1 (en) | 2007-07-11 | 2007-07-11 |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for video call using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06281A KR20090006281A (en) | 2009-01-15 |
| KR100963103B1 true KR100963103B1 (en) | 2010-06-14 |
Family
ID=4048752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69461A Active KR100963103B1 (en) | 2007-07-11 | 2007-07-11 |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for video call using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63103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627370B1 (en) | 2021-12-28 | 2023-04-11 | Kt Corporation | Converting video according to status of user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4175919A1 (en) | 2013-04-26 | 2014-10-30 | Intel IP Corporation | Shared spectrum reassignment in a spectrum sharing context |
| US9386275B2 (en) * | 2014-01-06 | 2016-07-05 | Intel IP Corporation | Interactive video conferencing |
| GB2580625B (en) * | 2019-01-17 | 2023-04-19 | Mo Sys Engineering Ltd | Camera control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34803A (en) * | 2002-10-17 | 2004-04-29 | 주식회사씨엠티 | Module and Method for Resizing Time-varying Images in the Internet Image Communications |
| KR20060067051A (en) * | 2004-12-14 | 2006-06-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KR20060081591A (en) * | 2005-01-10 | 2006-07-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w to print video call images |
| KR20080084335A (en) * | 2007-03-16 | 2008-09-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2007
- 2007-07-11 KR KR1020070069461A patent/KR10096310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34803A (en) * | 2002-10-17 | 2004-04-29 | 주식회사씨엠티 | Module and Method for Resizing Time-varying Images in the Internet Image Communications |
| KR20060067051A (en) * | 2004-12-14 | 2006-06-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KR20060081591A (en) * | 2005-01-10 | 2006-07-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w to print video call images |
| KR20080084335A (en) * | 2007-03-16 | 2008-09-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627370B1 (en) | 2021-12-28 | 2023-04-11 | Kt Corporation | Converting video according to status of user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06281A (en) | 2009-01-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144555B2 (en) | Electronic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JP4680273B2 (en) | Terminal with display function | |
| CN105141742B (en) | The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 |
| KR10117988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creen in mobile terminal | |
| CN111901479A (en) | User interface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 |
| KR20050101162A (en) | Imaging apparatus with communication function, image data sto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 CN111918131A (en) | Video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 |
| KR100963103B1 (en) |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for video call using same | |
| JP2008077655A (en) | Electronic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JP2008065837A (en) | Electronic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CN112463084A (en) | Split screen display method an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 JP4082352B2 (en) | Mobile phone, display control method for mobile phone, and program thereof | |
| JP2009015847A (en) | Method and system for browsing image by using keyboard | |
| JP2011164625A (en) | Electronic applian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JP2005286550A (en) | Display device | |
| KR20180057034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JP2017192123A (en) |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4074233B2 (en) | Portable device | |
| EP4155921A1 (en) | Method for interface control,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CN113919311B (en) | Data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 KR100686162B1 (en) | How to display mobile terminal and thumbnail image | |
| KR100689525B1 (en) | Data control method through mouse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 |
| KR101105077B1 (en) | Video call device and control method | |
| JP4274547B2 (en) | Electronic device setting scre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 CN114520878B (en) | Video shoot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7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3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