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081B1 -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 Google Patents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4081B1 KR100974081B1 KR1020080072321A KR20080072321A KR100974081B1 KR 100974081 B1 KR100974081 B1 KR 100974081B1 KR 1020080072321 A KR1020080072321 A KR 1020080072321A KR 20080072321 A KR20080072321 A KR 20080072321A KR 100974081 B1 KR100974081 B1 KR 1009740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eth
- bracket
- orthodontic
- remov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교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교정이 필요한 환자의 개개의 치아의 치형과 동일한 공동이 형성되어 있어 치아에 착탈이 가능한 다수개의 포켓 표면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상기 브라켓의 중단 영역에 마련된 관통공에 와이어를 삽입하고 긴장력을 가하는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포켓과 브라켓을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하고, 상기 포켓과 브라켓을 투명 레진으로 접착시킴으로써 교정 환자가 사회 활동을 할 때 발생하는 불면과 심리적 부담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orthodontics, and more particularly, the same cavity as the tooth of each tooth of a patient who needs to be orthodontic is formed to attach the bracket to a plurality of pocket surfaces detachable from the too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for inserting a wire into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stopping area and applying a tension forc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nsomnia and psychological burden caused when the orthodontic patient social activities by making the pocket and the bracket with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and the pocket and the bracket by adhering the transparent resin.
치아교정, 교정기구, 착탈식, 투명, 포켓, 브라켓, 와이어 Orthodontics, Orthodontics, Detachable, Clear, Pocket, Bracket, Wi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아 교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교정이 필요한 환자의 개개의 치아의 치형과 동일한 공동이 형성되어 있어 치아에 착탈이 가능한 다수개의 포켓 표면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상기 브라켓의 중단 영역에 마련된 관통공에 와이어를 삽입하고 긴장력을 가하는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포켓과 브라켓을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함으로써 교정 환자가 사회 활동을 할 때 발생하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orthodontics, and more particularly, the same cavity as the tooth of each tooth of a patient who needs to be orthodontic is formed to attach the bracket to a plurality of pocket surfaces detachable from the too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for inserting a wire into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stopping area and applying a tension forc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caused when the orthodontic patient social activities by making the pocket and the bracket with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미용상의 목적 또는 그 밖의 이유로 치아의 위치를 바로 잡는 치아교정은 일반적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다. 치아교정에 사용되는 기구를 일컫는 치아 교정기구는 덧니나 뻐드렁니 등 치아와 턱의 위치가 맞지 않는 부정교합이 있을 경우 이들 치아가 정위치 또는 정상각도로 자리잡도록 치아와 턱을 올바른 위치로 맞추어 주는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서, 대체로 치아의 바깥쪽에 고정되는 교정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Orthodontics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eeth for cosmetic or other reasons are generally widely practiced. Orthodontic appliance, which is used for orthodontic appliances, is a device that adjusts teeth and jaws to the correct position so that they can be positioned at the correct or normal angle when there is misalignment of teeth and jaw, such as teeth or slack teeth. In general, the orthodontic device that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teeth is used a lot.
도 1은 치아의 바깥쪽에 고정되는 치아 교정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치아(T)의 표면을 약산으로 약간 부식시킨 후 강력한 접착제로 부착 고정시키는 브라켓(11)과, 상기 브라켓(11)의 중단에 고정시켜 당길 수 있도록 사용하는 와이어(12)와, 상기 브라켓(11) 또는 와이어(12)에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지지부재(13)와, 스프링(14) 및 상기 와이어(12)와 지지부재(13) 등의 고정부 역할을 하기 위한 치아밴드(15) 또는 치조골용 나사(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치아 교정장치는 각각의 치아의 표면에 부착된 브라켓(11)을 와이어(12)로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12)를 당겨서 고정시킴으로써 교정에 필요한 긴장력이 치아에 작용하도록 하고 있다.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orthodontic device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teeth, a slightly corroded surface of the tooth (T) with a weak acid after the bracket (11) for fixing with a strong adhesive, and the bracket 11
이와 같은 전통적인 방식의 치아 교정장치는, 치아에 교정력을 직접 작용시킨다는 점에서 우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나, 치아 교정장치가 일상생활 중에 빈번히 노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교정 환자가 대외적인 활동을 영위하는데 심리적으로 많은 제약을 준다는 단점이 있다.This traditional type of orthodontic device exhibits excellent orthodontic effects in that the orthodontic force acts directly on the teeth, but the orthodontic device is often psychologically involved in external activities because the orthodontic device is frequently exposed in daily life. The disadvantage is that it gives a lot of restrictions.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치아 교정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이 1997년도에 개발된 바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nvisalign System"이라는 이름으로 미국의 "Align Technology, Inc."사(社)가 개발한 치아 교정장치로서, 미국특허 제5,975,893호와 제6,217,325호 등에 그 기술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Invisalign System"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이 시스템은 치아에 대한 삼차원 스캔 자료를 특수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상에서 치아를 하나씩 자르고,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종적으로 치아들이 이동해야 하는 위치까지 단계별로 20∼30쌍의 모형을 만든 후, 각각의 모형별로 치아 이동이 가능한 투명한 플라스틱 틀을 제작하여 환자에게 나누어 주는 것이다.A new system was developed in 1997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device as shown in FIG. This is a dental orthodontic device developed by "Align Technology, Inc." of the United States under the name "Invisalign System", as shown in Figure 2, US Patent Nos. 5,975,893 and 6,217,325 and the like Is disclosed. To briefly describe the "Invisalign System", the system cuts the teeth one by one on a computer using a special program of three-dimensional scan data for the teeth, and 20 to 30 step by step to the position where the teeth finally move through virtual simulation. After making a pair of models, each model is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frame that can move the tooth to give to the patient.
"Invisalign System"의 특징으로는 치아에 부착되는 구조물이 전혀 없기 때문에 시술과정에 환자가 참여해야 하는 횟수가 매우 적고, 준비된 일련의 플라스틱 틀을 단계별로 치아에 끼워넣음으로써 교정되어야 할 치아를 조금씩 최종 목표지점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플라스틱 틀이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져 외관이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기 때문에 교정 환자의 일상적인 사회 생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고, 또한 환자가 필요에 따라 교정장치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The feature of the "Invisalign System" is that there is no structure attached to the teeth, so the patient has less time to participate in the procedure, and by inserting a series of prepared plastic molds into the teeth step by step, the final teeth are to be corrected little by little. Since the plastic fram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appearance is not prominent, so it can be a great help for the daily social life of the orthodontic patient, and the patient can easily detach the orthodontic device as needed. It can be mentioned.
그러나 상기 "Invisalign System"은 이렇듯 교정 환자에게 많은 편의를 준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교정장치의 본래의 기능이라는 점에서는 불완전한 부분이 많다. 우선 20∼30쌍의 많은 플라스틱 틀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도 교정기간이 연장될 수밖에 없고, 일련의 플라스틱 틀을 제조할 때 삼차원 스캔 장비와 특수한 프로그램이 필요하기 때문에 교정장치의 제작비용으로 인한 가격이 크게 상승하여 많은 환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많은 부담을 느끼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 치아, 예를 들면 앞니의 1∼2개 치아만을 교정할 때에도 교정장치의 유지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하악 또는 상악 전체의 치열을 감싸야만 하는 플라스틱 틀이 필요하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However, the "Invisalign System"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lot of convenience to the orthodontic patient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many incomplete in that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orthodontic device. First of all, it requires 20 ~ 30 pairs of plastic molds, so the calibration period can be extended by itself, and the cost of manufacturing calibration equipment is needed because three-dimensional scanning equipment and special programs are required to manufacture a series of plastic molds. This greatly rises a problem that many patients feel a lot of burden to use. In addition, even when correcting only some teeth, for example one or two teeth of the incisor is pointed out as a problem that a plastic mold must be wrapped around the mandibular or the entire upper jaw in order to secure the holding force of the orthodontic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교정 환자의 치아에 직접 부착되는 구조물이 없고 착탈이 가능하여 교정 환자의 일상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정이 필요한 개개의 치아의 치형과 동일한 공동이 형성되어 있어 치아에 착탈이 가능한 다수개의 포켓 표면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상기 브라켓의 중단 영역에 마련된 관통공에 와이어를 삽입하고 긴장력을 가함으로써 필요한 교정력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tructure that is directly attached to the teeth of the orthodontic patient an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help the daily life of the orthodontic patient, as well as the same cavity is formed with the teeth of the individual teeth need cor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capable of sufficiently obtaining the necessary orthodontic force by attaching a bracket to a plurality of detachable pocket surfaces, inserting a wire into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stop area of the bracket, and applying a tension forc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포켓과 브라켓을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함으로써 교정 환자가 사회 활동을 할 때 발생하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that can minimize the inconvenience caused when the orthodontic patient social activities by making the pocket and the bracket with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는 교정이 필요한 다수개의 치아의 치형에 대응하는 공동(cavity)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치아에 착탈이 가능하고, 상기 교정이 필요한 다수개의 치아의 치열에 대응하도록 배열된 일련의 포켓과, 상기 다수개 의 포켓 각각의 표면에 부착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중단 영역에 마련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긴장력을 가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vity corresponding to the teeth of a plurality of teeth that need to be corrected is formed, respectively, so that the teeth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nd a series of teeth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teeth of the plurality of teeth that need to be corrected. It comprises a pocket, a bracket attached to the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ockets and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interruption area of the bracket to apply a tension forc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교정 환자의 치아에 직접 부착되는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교정 환자가 필요에 따라 쉽게 착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에 끼워지는 포켓 표면에 부착된 브라켓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하여 교정력을 가하기 때문에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임에도 비교적 충분한 교정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no structure attached directly to the teeth of the orthodontic patient, the orthodontic patient can be easily removable as needed, as well as the wire connected to the bracket attached to the pocket surface fitted to the teeth Through the application of orthodontic force, even a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can bring relatively sufficient orthodontic effects.
또한 본 발명의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는 상기 다수개의 포켓과 상기 브라켓의 재질을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외관상 치아 교정기구가 잘 띄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상기 브라켓을 투명 레진을 이용하여 상기 포켓에 부착시킴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not prominent in appearance by forming the plurality of pockets and the material of the bracket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and the bracket to the pocket using a transparent resin By attaching, this effect can be maximized more.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교정이 필요한 치아의 표면에 인공적인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포켓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요홈부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가 의도하지 않게 치아에서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nd preferably by forming an artificial projection on the surface of the tooth that needs to be corrected, and by forming a groove in which the projection is fitt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pocket,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advertently removed from the tooth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의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는 교정이 필요한 치아 각각에 개별적으로 포켓을 끼워넣기 때문에 치아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구조물이 없어 교정 환자가 필요에 따라 쉽게 치아 교정기구를 착탈할 수 있는 동시에, 치아에 끼워지는 포켓 표면에 부착된 브라켓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하여 강한 교정력을 치아에 가하기 때문에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임에도 충분한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irst,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tructure attached directly to the teeth because the pockets are individually inserted into each of the teeth needing correction, so that the orthodontic patient can easily detach the orthodontic appliance as needed, Since a strong orthodontic force is applied to the tooth through a wire connected to the bracket attached to the pocket surface to be fitted in the pocket surface, a sufficient orthodontic effect can be expected even if it is a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더욱이 종래의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는 같이 앞니와 같은 일부 치아만을 교정하는 경우에도 상악이나 하악 전체의 치열을 감싸도록 플라스틱 틀을 제작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의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는 교정이 필요한 치아와 그 주변의 일부 치아를 감싸는 포켓만을 구비해도 되기 때문에 제작비용은 물론 교정 환자가 느끼는 착용상의 이물감을 최소한으로 제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Moreover, the conventional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had to be made of a plastic frame to cover the entire upper or lower jaw even when only some teeth such as the incisor were to be corrected, but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the teeth and their surroundings that need to be corrected. Since only a portion of the pocket surrounding the teeth may be provided, the manufacturing cost as well as the orthodontic patient feel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limit the foreign body to a minimum.
둘째, 종래의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는 삼차원 스캔기술과 특수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0∼30쌍의 많은 플라스틱 틀이 필요했기 때문에 고가의 제조비용이 필요하여 교정 환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컸으나, 본 발명의 착틸식 치아 교정기구는 전통적인 방식의 몰딩기술로 제작할 수 있고 하나의 치아 교정기구만으로도 교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Second, since the conventional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requires many plastic molds of 20 to 30 pairs using three-dimensional scanning technology and a special program, expensive manufacturing costs are required and economic burden on the orthodontic patients is great. Tilted orthodontic appliances can be manufactured with traditional molding techniques and the economic burden is greatly reduced because only one orthodontic appliance can be used to correct them.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치아교정기구는 와이어를 제외한 모든 구성부품을 투명한 재질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교정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심리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교정기구를 탈거할 필요가 크지 않기 때문에 교정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ird, since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all the components except the wi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sychological burden that the orthodontic patient feels in daily life, and thus it is not necessary to remove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rrection effect can be maximized mo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10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정이 필요한 다수개의 치아의 치형에 대응하는 공동(cavity, 1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포켓(pocket, 110)과, 상기 다수개의 포켓(110) 각각의 표면에 부착된 브라켓(120)과, 그리고 상기 브라켓(120)의 중단 영역에 마련된 관통공(122)에 삽입되어 브라켓(120)에 끼워진 치아에 긴장력을 가하는 와이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movable dental
상기 포켓(110)은 보철 치과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몰딩 기술에 의하여 제작됨으로써 상기 공동(112)은 상기 포켓(110)에 끼워지는 치아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켓(110)은 치아와 서로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 포켓(110)은 교정이 필요한 치아의 위치 및 갯수 등을 고려하여, 교정이 필요한 치아에 충분한 교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갯수로 선택된다. 예를 들어 4개 정도의 앞니를 교정하는 경우라도, 앞니에 가해지는 교정력 을 지탱할 수 있는 받침대 역할을 하는 치아, 이를테면 소구치 또는 어금니까지도 포켓(110)으로 끼워야할 것이다. 적절한 포켓(110)의 갯수는 교정 환자의 치아 상태 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일률적으로 결정하기는 어려우며, 많은 부분은 숙련된 의사의 경험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다. 이러한 다수개의 포켓(110)들은 각각의 포켓(110)이 대응하는 치아의 배열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배열되고 서로 연결되어야 함은 물론이다.The
상기 포켓(110)의 전면, 즉 치아의 앞면 쪽에 해당되는 표면에는 브라켓(120)이 강력한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된다. 상기 브라켓(120)의 중단 영역에는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공에는 와이어(130)이 삽입되어 다수개의 포켓(110)들을 연결하는 동시에 교정이 필요한 치아들에 긴장력을 가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포켓(110)에 부착되는 브라켓(120)의 접착면에는 상기 관통공(122)에 평행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1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124)의 빈 공간으로 접착제가 들어감으로써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슬롯(124)과 관통공(122)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라켓(120)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제작 비용이 절감된다.At least one
또한 상기 포켓(110)과 브라켓(120) 사이의 접착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포켓(110)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120)의 접착면을 상기 포켓(110)의 표면형상에 대응되는 만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상기 브라켓(120)의 관통공(122)에 삽입되는 와이어(130)는 탄성이 좋은 금속제로 제작되며, 이는 종래의 치아 교정기구에서 사용되었던 와이어와 크게 다른 점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특히, 본 발명의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를 구성하는 포켓(110)과 브라켓(120)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투명한 외관은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100)가 눈에 잘 띄지 않도록 함으로써 교정 환자가 사회생활을 하며 느낄 수 있는 심리적 부담감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더욱이 투명 레진을 이용하여 상기 포켓(110)에 브라켓(120)을 부착시킨다면 이러한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필요하다면, 교정이 필요한 치아의 표면에 인공적인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포켓(110)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요홈부(114)를 형성함으로써 포켓(110)과 치아와의 결합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요홈부(114)의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100)가 의도하지 않게 치아로부터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f necessary, an artificial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 that needs to be corrected, and 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100)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movable removable
도 1은 치아의 바깥쪽에 고정되는 치아 교정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orthodontic devic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teeth.
도 2는 미국특허 제5,975,893호 및 제6,217,325호에 개시된 Invisalign System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visalign System disclosed in US Pat. Nos. 5,975,893 and 6,217,32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에 사용된 브라켓에 대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used in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0 :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 110 : 포켓100: removable tooth orthodontic appliance 110: pocket
112 : 공동(cavity) 114 : 요홈부112: cavity 114: groove
120 : 브라켓 122 : 관통공120: bracket 122: through hole
124 : 슬롯 130 : 와이어124: slot 130: wir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72321A KR100974081B1 (en) | 2008-07-24 | 2008-07-24 |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72321A KR100974081B1 (en) | 2008-07-24 | 2008-07-24 |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11201A KR20100011201A (en) | 2010-02-03 |
| KR100974081B1 true KR100974081B1 (en) | 2010-08-04 |
Family
ID=4208570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7232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4081B1 (en) | 2008-07-24 | 2008-07-24 |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7408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MX360618B (en) * | 2013-01-02 | 2018-11-12 | Geniova Tech S L | Removable lingual-vestibular dental alignment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
| KR102159799B1 (en) * | 2020-06-16 | 2020-09-24 | 이종형 |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
| KR102499868B1 (en) | 2022-02-23 | 2023-02-13 | 이선희 | System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function of positioning by using selective hybrid typ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30190576A1 (en) | 2000-04-25 | 2003-10-09 | Align Technology, Inc. A Delaware Corporation | Embedded features and methods of a dental appliance |
| US20030198912A1 (en) * | 2002-04-23 | 2003-10-23 | James Mah | Thin, polymeric orthodontic appliance with headgear channels |
| US20040180912A1 (en) * | 2001-06-15 | 2004-09-16 | Rene Beerli | Quinazoline derivatives |
| KR100691797B1 (en) * | 2005-01-05 | 2007-03-12 | 윤태호 | Braces for orthodontics with wire fixing clips using materials with shape memory properties |
-
2008
- 2008-07-24 KR KR1020080072321A patent/KR1009740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30190576A1 (en) | 2000-04-25 | 2003-10-09 | Align Technology, Inc. A Delaware Corporation | Embedded features and methods of a dental appliance |
| US20040180912A1 (en) * | 2001-06-15 | 2004-09-16 | Rene Beerli | Quinazoline derivatives |
| US20030198912A1 (en) * | 2002-04-23 | 2003-10-23 | James Mah | Thin, polymeric orthodontic appliance with headgear channels |
| KR100691797B1 (en) * | 2005-01-05 | 2007-03-12 | 윤태호 | Braces for orthodontics with wire fixing clips using materials with shape memory propertie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11201A (en) | 2010-02-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278793B2 (en) | Orthodontic indirect bonding tray including stabilization features | |
| KR101841345B1 (en) | Masticatory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 |
| US20210244507A1 (en) | An orthodontic system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 method for the placement of an appliance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nd a use of the appliance of such an orthodontic system | |
| KR102105919B1 (en)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dentures and dentures for edentulous patients that can be replaced repeatedly | |
| KR20050004256A (en) | Dental appliances having attachable upper and lower halv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alocclusions | |
| KR101579455B1 (en) |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 |
| KR101509655B1 (en) | A dental appliance | |
| KR101343129B1 (en) | Tooth correction device | |
| CN114845661B (en) | Custom tool for bonding orthodontic appliances and method of designing custom tool | |
| KR20130125132A (en) | Orthodontic device | |
| EP0891163A4 (en) | Customized dental abutment | |
| KR102027338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partial denture | |
| CN106236300B (en) | For fatigue and the fixed Biodge device of the tooth-planting of tension tes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JPWO2020033528A5 (en) | ||
| KR100974081B1 (en) |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 |
| CN114010347B (en) | Self-fixing type individuation mandibular retain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KR101152709B1 (en) | Tooth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by sensor | |
| KR20110083199A (en) | Orthodontic device | |
| KR20230019116A (en) | Mouthpiece-type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 |
| US20250000612A1 (en) | Dental retainer | |
| US20210244509A1 (en) | An assembly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nd an orthodontic system for such a treatment, a method for the placement of an assembly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assembly, and a use of such an orthodontic system | |
| CN110811877A (en) | Transparent jaw sleeve assembly | |
| CN214049142U (en) | A self-fixing individualized mandibular retainer | |
| Trushkowsky | Fiber-reinforced composite bridge and splint | |
| US20060068357A1 (en) | Metal dental impression tra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7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