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848B1 - Liquid drink ejector using red LED sensor - Google Patents
Liquid drink ejector using red LED sen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2848B1 KR100972848B1 KR1020070121323A KR20070121323A KR100972848B1 KR 100972848 B1 KR100972848 B1 KR 100972848B1 KR 1020070121323 A KR1020070121323 A KR 1020070121323A KR 20070121323 A KR20070121323 A KR 20070121323A KR 100972848 B1 KR100972848 B1 KR 1009728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beverage
- cup
- liquid
- storage container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67D1/000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67D1/0008—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based on weig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는, 컵 받침부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및 조작버튼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액상음료를 수용하는 액상음료 저장용기; 상기 액상음료 저장용기에 연결되어 액상음료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액상음료 양 측정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버튼 가압시 구동되어 액상음료 저장용기로부터의 액상음료를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컵 받침부에 안착된 컵에 일정량씩 토출시키는 액상음료 배출수단; 상기 컵 받침부의 액상음료 투출위치에 적색광을 출력하고, 물체에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컵의 유무를 판단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컵 인식 센서부; 및 상기 컵 인식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컵이 상기 컵 받침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량의 액상음료가 투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액상음료 배출수단을 제어하여 액상음료를 투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갈색 컵 또는 투명 컵의 인식이 가능하며, 제어부의 출력 펄스신호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컵 인식 센서부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액상음료, 배출기, 자판기, 투출시간, 솔레노이드밸브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beverage ejector using a red LED sensor, the liquid beverage ejector using the red LED sensor, the main body having a cup support, a door and an operation button mounted to open and close; A liquid beverage storage container detachably fixed inside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a liquid beverage; A liquid beverage amount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liquid beverage storage container to measure and output a liquid beverage amount; A liquid beverage discharging mean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driven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to discharge the liquid beverage from the liquid beverage storage container by a predetermined amount into a cup seated on the cup support through the discharge port; A cup recognition sensor unit for outputting red light to the liquid beverage dispensing position of the cup support,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an objec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up is present and outputting it to the controller; And a control unit for discharging the liquid beverage by controlling the liquid beverage discharging means so that the liquid beverage can be dispensed when the cup is determined to be located in the cup support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from the cup recognition sensor unit. Liquid beverage ejector using a red LED sensor comprising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own cup or a transparent cup can be recognized, and the user can adjust the output pulse signal of the controller to adjust the sensitivity of the cup recognition sensor unit.
Liquid drink, ejector, vending machine, dispensing time, solenoid val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일반 표시용 적색 LED를 이용하여 컵 유무의 인식이 가능한 액상음료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beverage ejector using a red LED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beverage eject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up using a red LED for general display.
액상음료 배출기에 있어서 컵 인식 센서부는 액상음료를 투출하기 전에 지정된 투출위치에 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로서, 지정된 위치에 컵이 없으면 액상음료 배출기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액상음료를 바닥에 투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In the liquid beverage dispenser, the cup recognition sensor unit is a sensor that determines whether a cup exists at a designated dispensing position before dispensing a liquid beverage.If there is no cup at a designated position, the cup beverage dispensing machine stops the operation of the liquid beverage dispenser. It is a device to prevent shipping.
종래기술에 의한 컵 인식 센서부는 송신부(발광부)를 적외선 LED(IRLED)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는 경우 적정한 감도조절이 불가능하여 외부의 물체에 영향을 받거나, 또는 갈색이나 투명컵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cup recognition sensor unit is configured as an infrared LED (IRLED) transmitting unit (light emitting unit).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proper sensitivity cannot be controlled and is affected by an external object, or a brown or transparent cup. There was a problem that does not recognize.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액상음료 배출기는, 커피와 같은 액상음료를 이송시 키는 플렉시블한 호스, 호스에 의해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 회전체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좌우대칭형으로 설치되고, 회전체의 회전시 플렉시블한 호스를 압착하여 호스에 내장된 액상음료를 일정량씩 토출시키는 압착롤러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iquid beverage ej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ircular arc formed by a flexible hose, a hose for conveying a liquid beverage such as coffee, the rotating body rotated by a drive motor, both ends of the rotating body It is rotatably installed in a left-right symmetric type, and consists of a pressing roller for pressing a flexible hose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to discharge the liquid beverage contained in the hose by a predetermined amount.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상음료 배출기는, 액상음료를 토출하기 위하여 압착롤러의 가압으로 호스를 반복적으로 압착하므로 호스의 탄력성이 저하되어 액상음료의 토출량이 일정하지않게 된다. 이로 인해 물과 혼합되는 액상음료(일예로서, 액상커피인 경우를 말함)의 농도가 희석되어 맛이 반감되므로 신뢰성이 떨어지고, 호스의 사용수명이 짧아 잦은 교체로 인한 유지관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The liquid beverage ej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hose is repeatedly pressed by the pressing roller to discharge the liquid beverage, the elasticity of the hose is lowered, the discharge amount of the liquid beverage is not constant.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 of the liquid beverage (for example, liquid coffee) mixed with water is diluted, and the taste is halved, thereby reducing the reliability and shortening the service life of the hose, thereby increasing maintenance costs due to frequent replacement. Have
또한, 압착롤러 사이의 호스 길이에 의해 액상음료의 일회 토출량이 결정되므로 토출량을 반복적으로 일정하게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압착롤러의 가압에 의한 액상음료 토출량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전술한 구동모터에 컨버터와 별도의 부품을 추가시킬 경우 부품수 증가로 인해 원가비용이 증가되고, 전력 소비량이 증가되어 유지관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amount of the liquid beverage is determined by the hose length between the pressing rollers, the discharge amount cannot be repeatedly and constantly controlled. Therefore, when the converter and the separate parts are added to the above-described driving motor to control the liquid beverage discharge amount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pressing roller, the cost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to maintain the maintenance cost. This has an increasing problem.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터와 펌프를 이용하여 정량의 액상음료를 투출할 수 있는 배출기가 제안되었다. 즉, 일정한 양의 액상음료를 투출할 수 있도록 모터와 펌프의 구동시간을 설정하고, 정해진 구동시간 동안 모터와 펌프가 구동되어 정량의 액상음료가 투출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has been proposed an ejector capable of dispensing a liquid drink of a certain amount using a motor and a pump. That is, the driving time of the motor and the pump is set to discharge a certain amount of liquid beverage, and the motor and the pump are driven for a predetermined driving time, so that the liquid beverage of the fixed quantity is discharged.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와 펌프를 이용하여 액상음료 배출기를 구성하 는 경우 미처 배출되지 않은 액상음료가 펌프에 잔류되어 액상음료가 변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액상음료의 맛이 변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펌프를 이용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고, 배출기의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liquid beverage discharger is configured using the motor and the pump 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beverage that is not discharged may remain in the pump, and thus the liquid beverage may be deteriorated, and thus the taste of the liquid beverage may be deteriorated. There was this.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pump must be used, the cost is additionally generated, and the structure of the ejector has been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 표시용 적색 LED를 이용하여 컵 유무 식별이 가능한 액상음료 배출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beverage ejector capable of identif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up by using a red LED for general display.
또한, 본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부의 출력 펄스신호의 대역을 조절하여 컵 인식 센서부의 감도조절이 가능한 액상음료 배출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beverage discharger capable of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cup recognition sensor unit by adjusting the band of the output pulse signal of the control uni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컵 받침부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및 조작버튼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액상음료를 수용하는 액상음료 저장용기; 상기 액상음료 저장용기에 연결되어 액상음료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액상음료 양 측정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버튼 가압시 구동되어 액상음료 저장용기로부터의 액상음료를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컵 받침부에 안착된 컵에 일정량씩 토출시키는 액상음료 배출수단; 상기 컵 받침부의 액상음료 투출위치에 적색광을 출력하고, 물체에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컵의 유무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컵 인식 센서부; 및 상기 컵 인식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컵이 상기 컵 받침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량의 액상음료가 투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액상음료 배출수단을 제어하여 액상음료를 투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having a cup support, a door and an operation button mounted to be opened and closed; A liquid beverage storage container detachably fixed inside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a liquid beverage; A liquid beverage amount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liquid beverage storage container to measure and output a liquid beverage amount; A liquid beverage discharging mean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driven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to discharge the liquid beverage from the liquid beverage storage container by a predetermined amount into a cup seated on the cup support through the discharge port; A cup recognition sensor unit for outputting red light to the liquid beverage dispensing position of the cup support,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an object,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cup exists; And a control unit for discharging the liquid beverage by controlling the liquid beverage discharging means so that the liquid beverage can be dispensed when the cup is determined to be located in the cup support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from the cup recognition sensor unit. Provided is a liquid beverage discharger using a red LED sensor comprising a.
여기서 상술한 컵 인식 센서부는, 상기 제어부로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적색광을 출력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빛이 물체에 반사되어 입력되는 반사광을 수광하고 컵의 유무를 판단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up recognition sensor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nd output red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is reflected by the object, and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up is present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또한, 상술한 발광부는 적색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상기 발광부로 출력되는 펄스 신호 대역이 조절되도록 구성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light emitting unit may be composed of a red LED,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pulse signal band output to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에 따르면 갈색 컵 또는 투명 컵의 인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iquid beverage ejector using the red LED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brown cup or transparent cup can be recogn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의 출력 펄스신호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컵 인식 센서부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sensitivity of the cup recognition sensor by adjusting the output pulse signal of the control uni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iquid beverage discharger using a red LED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 상음료 배출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quid beverage ejector using a red L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상음료 배출기는, 컵 받침부(10)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11) 및 조작버튼(12)(12;진한커피용 제1조작버튼(12a), 보통커피용 제2조작버튼(12b), 연한커피용 제3조작버튼(12c) 등 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갖는 본체(15)와,As shown in Figure 1, the liquid beverage dis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체(15)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액상음료(일예로서, 액상커피를 말함)를 수용하며, 토출구(미도시)가 하측에 형성되는 액상음료 저장용기(미도시)(예를들어, 일회용 액상음료 팩을 말함)와,A liquid beverage storage container (not shown) fixedly detach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상술한 액상음료 저장용기에 연결되어 액상음료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액상음료 양 측정부(220)와,A liquid beverage
본체(15) 내부에 장착되고, 조작버튼(12) 가압시 구동되어 액상음료 저장용기(미도시)로부터의 액상음료를 배출구(미도시)를 통하여 컵 받침부(10)에 안착된 컵(17)(일예로서, 일회용 컵 또는 머그컵 등을 말함)에 일정량씩 토출시키는 액상음료 배출수단(미도시)과,The cup 17 mounted inside the
컵 받침부(10)의 액상음료 투출위치에 적색광을 출력하고, 물체에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컵의 유무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컵 인식 센서부(22)와,A cup
컵 인식 센서부(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컵이 상기 컵 받침부(10)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량의 액상음료가 투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액상음료 배출수단을 제어하여 액상음료를 투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is located i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조작버튼(12)의 가압여부를 판단하고, 조 작버튼(12)이 가압되는 경우 상술한 액상음료 배출수단을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양만큼 액상음료가 투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다양한 제어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액상음료의 양에 따라 또는 액상음료 투출횟수에 따라 투출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정량의 액상음료가 투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 양 측정부(220)와 제어부(2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2,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That is,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 배출기는 전술한 컵 받침부(10)에 컵(17) 안착유무를 검출하는 컵 인식 센서부(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컵 인식 센서부(22)는 컵 받침부(10)에 컵(17)이 안착된 경우에만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제어부(200)는 컵 인식 센서부(22)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액상음료를 투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즉 컵 받침부(10)에 컵(17)이 안착되지않는 상태에서 조작버튼(12)을 가압하는 경우에도 액상음료는 배출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liquid beverage e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up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의 내부 구성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인식 센서부의 구성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의 액상음료 양 측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liquid beverage ejector using a red L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up recogni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quid beverage amount measuring unit of the liquid beverage discharger using the red L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상음료 배출기는 제어부(200), 조작버튼(12), 전류드라이브(207), 솔레노이드 밸브(208), 디스플레이부(206) 및 컵 인식 센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2 attached to the liquid beverage dis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조작버튼(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액상음료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12)으로서 조작버튼(12)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압되는 경우 제어부(200)가 이를 인지하여 액상음료 배출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디스플레이부(206)는 액상음료 배출기의 동작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온도, 액상음료 잔량 등)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LED 또는 LCD 등의 상용화된 다양한 표시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컵 인식 센서부(22)는 액상음료를 투출하기 전에 컵 받침부(10)에 컵(17) 안착유무를 검출하여 제어부(200)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컵 인식 센서부(22)의 구성블록도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인식 센서부(22)는 발광부(230) 및 수광부(240)로 구성된다. The cup
발광부(230)은 제어부(200)로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적색 LED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한 대역의 펄스신호로 셋팅될 수 있으나, 디폴트셋팅은 30~38KHz 대역의 펄스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대역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컵의 종류에 따라 컵 유무 인신센서(22)의 센싱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발광부(230)는 적외선 LED(IRLED) 대신 통상적으로 사용되 는 일반 표시용 적색 LE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LED를 사용하는 경우, 적정한 센싱감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외부의 물체에 영향을 받거나, 갈색 또는 투명컵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일반 표시용 적색 LED를 이용하여 발광부(230)를 구성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수광부(240)는 발광부(230)로부터 출력된 빛이 물체에 반사되어 입력되는 반사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신호를 분석하여 컵의 유무를 판단한 후 이를 제어부(200)로 출력하게 된다. 즉, 수광부(240)는 물체에 반사된 빛을 수광한 후,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코드로 판단되면 컵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빛이 수광되지 않거나 또는 신호를 분석한 결과 틀린 코드가 인식되면 컵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제어부(200)로 출력하게 된다.The
제어부(200)는 수광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컵의 유무를 인식하고, 컵이 지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액상음료 배출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 배출기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펌프를 이용하지 않고 자연압을 이용하여 정해진 양의 액상음료를 투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량투출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2가지 방법을 제안한다.On the other hand, the liquid beverage dis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a predetermined amount of liquid beverage using natural pressure without using a pump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For this quantitative administ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wo methods.
첫번째 방법은 투출시간을 제어하여 정량의 액상음료가 투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투출시간을 제어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 배출기가 구성되는 경우 상술한 액상음료 양 측정부(220)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 투출시 간 제어를 이용한 정량투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irst method i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time to be dispensed with a liquid beverage of quantitative, when the liquid beverage e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charging time, the above-mentioned liquid beverage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액상음료의 투출을 펌프의 압력에 의존하지 않고 액상음료 저장용기(액상팩)과 투출구 간의 낙차를 두어 액상음료가 자연압을 이용하여 정량이 투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액상음료 투출 후 액상음료 투출횟수에 따라 투출설정시간을 재설정하게 된다. The
즉, 자연압에 의한 투출방식을 이용하게 되므로 액상음료의 양에 따라서 정량이 투출되기 위한 액상음료 배출수단의 조작시간이 다르게 설정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최초 투출설정시간을 저장하고 있으며, 최초 액상음료 투출이 수행된 이후 최초 투출설정시간에 추가투출시간을 더하여 이를 다음 투출에 필요한 투출설정시간으로 재설정하게 된다. That is, since the use of the dispensing method by the natural pressure, it is necessary to set the operation time of the liquid beverage discharging means for dispens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liquid beverage, the
따라서, 투출구에 솔레노이드밸브(208)를 장착하여 솔레노이드밸브(208)가 작동하는 시간만큼 액상음료가 투출되고, 자연압을 이용한 투출방식에서는 액상음료의 양이 많을 때와 적을 때에 동일한 시간에 투출되는 양이 다르므로, 제어부(200)는 항상 동일한 양의 액상음료가 투출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208)의 작동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refore, the liquid beverage is discharged as long as the
액상음료의 양이 최대일 때 정량투출에 필요한 최소투출시간(T_min)을 측정하고, 액상음료의 양이 최소일 때 정량투출시간에 필요한 최대투출시간(T_max)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액상팩의 투출가능 횟수를 산출한다. 투출가능 횟수는 액상팩의 총용량/1회 투출량으로 산출될 수 있다. Measure the minimum dispensing time (T_min) required for quantitative dispensing when the amount of liquid beverage is maximum, and measure the maximum dispensing time (T_max) required for quantitative dispensing time when the amount of liquid beverage is minimum. Next, calculate the number of possible dispensing of the liquid pack. The number of times that can be dispensed can be calculated as the total volume of the liquid pack / one dose.
상술한 과정이 수행된 후, 사용할 때마다 증가시킬 투출시간(추가투출시간)을 산출한다. 추가투출시간은 (최대투출시간(T_max)-최소투출시간(T_min))/투출횟수로 결정될 수 있다.After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performed, the discharging time (additional discharging time) to be increased for each use is calculated. The additional dispensing time may be determined by (maximum dispensing time (T_max)-minimum dispensing time (T_min)) / dispensing frequency.
상술한 과정을 통해 산출된 최대투출시간(T_max), 최소투출시간(T_min), 추가투출시간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에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는 최초 액상음료 투출시 최소투출시간(T_min)을 투출설정시간으로 설정하여 솔레노이드밸브(208)의 작동을 제어하여 액상음료를 투출한 후, 현재 투출설정시간(최소투출시간(T_min))에 추가투출시간을 더하여 투출설정시간을 재설정한다. 액상음료의 투출이 수행될 때마다 투출설정시간은 점점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n번째 투출이 수행되는 경우 투출설정시간은 최소투출시간(T_min)+(n-1)*추가투출시간으로 결정되며, 제어부(200)는 '최소투출시간(T_min)+(n-1)*추가투출시간' 동안 솔레노이드밸브(208)를 오픈하여 액상음료를 배출하게 된다.The maximum dispensing time (T_max), the minimum dispensing time (T_min), the additional dispensing time calculat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stored in the
이때, 액상팩을 다 소비하여 액상팩을 교체하는 경우, 사용자는 액상팩 교체 후 리셋버튼(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며, 상술한 제어부(200)는 리셋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저장된 투출설정시간을 최소투출시간(T_min)으로 재설정하여 상술한 과정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liquid pack is used up to replace the liquid pack, the user operates the reset button (not shown) after replacing the liquid pack, and the
한편, 정량의 액상음료를 투출하기 위한 두번째 방법은 액상음료 양 측정부(220)를 이용하여 액상음료의 잔량에 따라 투출시간을 제어하여 정량의 액상음료가 투출될 수 있도롤 하는 방법이다. 이하에서 액상음료 양 측정부(220)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ethod for dispensing a liquid beverage in a quantitative manner is to control the dispensing time according to the remaining amount of the liquid beverage using the liquid beverage
액상음료 양 측정부(220)는 액상음료 저장용기에 연결되어 액상음료량을 측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 양 측정부(220)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셀(300)을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liquid beverag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셀(30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경우, 액상음료 양 측정의 정확성이 담보되어 보다 정확한 액상음료 투출이 수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a, when configuring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로드셀(300)은 일종의 전자저울로서, 로드셀(300)이 액상음료의 무게에 따라 압축되거나 늘어나는 등 변형이 되며, 이 변형량을 변형측정장치(미도시)가 전기신호로 검출한 뒤 출력하게 된다.The
로드셀(300)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액상음료의 현재 양)은 차등증폭기(302)에 입력되고, 차등증폭기는 신호를 증폭하여 제어부(200)로 출력하게 되며, 제어부(200)는 액상음료의 현재 양을 입력받아 액상음료 투출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The electrical signal (current amount of liquid beverage) output from the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저항과 브리지회로(310) 및 차등증폭기(312)를 이용하여 액상음료 양 측정부(220)를 구성하는 경우,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b, when configuring the liquid beverage
가변저항은 액상음료 저장용기에 연결되어 액상음료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게 되고, 브리지회로(310)는 가변저항에 연결되어 현재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측 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브리지회로(310)로부터 출력되는 저항값은 차등증폭기(312)를 통해 증폭되어 제어부(200)로 입력된다. 제어부(200)는 입력되는 저항값을 이용하여 현재 액상음료의 잔량을 판단하고, 잔량에 따라 액상음료 투출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The variable resistor is connected to the liquid beverage storage container and th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quid beverage, and th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투출시간 산출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대략적으로 산출된 액상음료의 현재량(정밀저울이 사용되지 않은 경우)을 입력받고, 일정한 알고리즘에 따라 투출시간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일종의 보정 알고리즘을 통해서 보다 정확한 투출시간을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이용되는 알고리즘은 일종의 투출시간 산출식으로서 실험적으로 측정되어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액상음료의 투출을 펌프의 압력에 의존하지 않고 액상음료 저장용기(액상팩)과 투출구 간의 낙차를 두어 액상음료가 자연압을 이용하여 정량이 투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액상음료 투출시 현재 액상음료의 양에 따라 투출시간을 결정하게 된다.The
즉, 자연압에 의한 투출방식을 이용하게 되므로 액상음료의 양에 따라서 정량이 투출되기 위한 액상음료 배출수단의 조작시간이 다르게 설정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투출구에 솔레노이드밸브(208)를 장착하여 솔레노이드밸브(208)가 작동하는 시간만큼 액상음료가 투출되고, 자연압을 이용한 투출방식에서는 액상음료 의 양이 많을 때와 적을 때에 동일한 시간에 투출되는 양이 다르므로, 제어부(200)는 항상 동일한 양의 액상음료가 투출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208)의 작동시간을 제어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use of the dispensing method by the natural pressure, it is necessary to set the operation time of the liquid beverage discharging means to be dispen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quid beverage. Therefore, the liquid beverage is discharged as long as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액상음료 양 측정부(220)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액상음료 양에 따라 투출시간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에는 액상음료량에 따른 투출설정시간 또는 액상음료량에 따른 투출설정시간 산출식이 저장된다. Accordingly, the
여기서 액상음료량에 따른 투출설정시간 산출식은 실험적으로 또는 수학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Here,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dispensing setting tim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quid drink may be derived experimentally or mathematically.
예를 들어 액상음료의 양이 최대일 때 정량투출에 필요한 최소투출시간(T_min)을 측정하고, 액상음료의 양이 최소일 때 정량투출에 필요한 최대투출시간(T_max)을 측정하면, 투출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1차방정식이 도출될 수 있다. 즉, 투출시간 = a*현재 액상음료량 + b의 투출설정시간 산출식이 도출될 수 있으며, 여기서 a, b는 실험결과 측정되는 임의의 상수가 된다. For example, if the minimum amount of liquid dispensing time (T_min) is measured when the amount of liquid beverage is the maximum, and the maximum amount of dispensing time (T_max) required for the fixed amount of liquid beverage is measured, the dispensing time is measured. The following linear equations can be derived: That is, the dispensing time = a * current liquid beverage volume + b dispensing set time calculation formula can be derived, where a, b is an arbitrary constant measured by the experimental results.
이 이외에도 액상음료의 양, 밀도, 압력, 온도 등을 이용하여 액상음료의 양에 따른 투출속도를 수학적으로 산출하여, 1회에 투출시키고자 하는 액상음료양을 투출하기 위한 액상음료 양에 따른 투출시간을 산출하는 수학식을 도출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학식을 도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고 있는 바 더 이상은 설명은 생략하며,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공지기술이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mount of liquid beverage is calculated by mathematically calculating the dispensing r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quid beverage using the amount, density, pressure, temperature, etc. of the liquid beverage, and the amount of liquid beverage to be dispensed at on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derive and use an equation for calculating time. Since a method for deriving the equation is already known,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known techniques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투출의 비직선성을 보정하기 위하여 일정량 단위로 투출시간을 가감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액상음료를 배출하기 위한 액상음료 배출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는 호스와 전류드라이브(207) 및 솔레노이드밸브(208)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Meanwhile, the liquid beverage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liquid beverage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but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se and the
호스(미도시)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액상음료 저장용기의 토출구에 결합되는 연결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투출구를 통해 액상음료로를 공급하게 된다. The hose (not shown) is detachably connected by a connector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liquid beverage storage container install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to supply the liquid beverage passage through the discharge port.
솔레노이드밸브(208)는 상술한 조작버튼(12) 가압시 개폐되도록 호스와 투출구 사이에 연결되고,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액상음료를 일정량씩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밸브(208)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류드라이브(207)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며, 전류드라이브(207)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208)에 전원을 공급하여 솔레노이드밸브(208)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The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 배출기는 온도센서(210), 냉소자(212) 및 팬(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210), 냉소자(212), 팬(214)은 여름철 액상음료 변질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도센서(210)는 액상음료 저장용기의 액상음료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200)로 출력하게 된다. 제어 부(200)는 온도센서(210)로부터 출력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액상음료 저장용기에 연결된 냉소자(212)와 팬(214)를 작동시켜 액상음료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냉소자(212)는 반도체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Also more preferably, the liquid beverage dis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quid beverage ejector using a red L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인식 센서부의 구성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cup recogni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의 내부 구성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liquid beverage discharger using the red L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의 액상음료 양 측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quid beverage amount measuring unit of the liquid beverage discharger using the red L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컵 받침부 11 : 도어10: coaster 11: door
12 : 조작버튼(12) 15 : 본체12: operation button (12) 15: main body
17 : 컵 22 : 컵 인식 센서부17: cup 22: cup recognition sensor unit
200 : 제어부 206 : LCD200: control unit 206: LCD
207 : 전류드라이브 208 : 솔레노이드밸브207: current drive 208: solenoid valve
210 : 온도센서 212 : 냉소자210: temperature sensor 212: cold element
214 : 팬 220 : 액상음료 양 측정부214: fan 220: liquid beverage amount measurement unit
230 : 발광부 240 : 수광부230: light emitting unit 240: light receiving unit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21323A KR100972848B1 (en) | 2007-11-27 | 2007-11-27 | Liquid drink ejector using red LED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21323A KR100972848B1 (en) | 2007-11-27 | 2007-11-27 | Liquid drink ejector using red LED sens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54585A KR20090054585A (en) | 2009-06-01 |
| KR100972848B1 true KR100972848B1 (en) | 2010-07-28 |
Family
ID=4098650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1213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2848B1 (en) | 2007-11-27 | 2007-11-27 | Liquid drink ejector using red LED sens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72848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39216A (en) | 2023-09-13 | 2025-03-20 | 한정호 | Beverage container capable of quantitative suppl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23356B1 (en) * | 2015-02-02 | 2015-05-28 | (주) 넥스인테크놀러지스 | System for Supplying Bever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14873551B (en) * | 2022-05-07 | 2024-05-10 | 深圳安吉尔饮水产业集团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outflow of a liquid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80041546A (en) * | 1996-11-30 | 1998-08-17 | 배순훈 | Vending machine with cup detection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
| KR19980073774A (en) * | 1997-03-19 | 1998-11-05 | 최진호 | Ice cream vending machine |
| KR100200251B1 (en) * | 1997-03-20 | 1999-06-15 | Haitai Electronics Co Ltd | Drop content control apparatus and its method for slush/shake vending machine |
| KR20060082720A (en) * | 2005-01-13 | 2006-07-19 | 학교법인 인제학원 | Cup Dispenser of Coffee Vending Machine |
-
2007
- 2007-11-27 KR KR1020070121323A patent/KR10097284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80041546A (en) * | 1996-11-30 | 1998-08-17 | 배순훈 | Vending machine with cup detection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
| KR19980073774A (en) * | 1997-03-19 | 1998-11-05 | 최진호 | Ice cream vending machine |
| KR100200251B1 (en) * | 1997-03-20 | 1999-06-15 | Haitai Electronics Co Ltd | Drop content control apparatus and its method for slush/shake vending machine |
| KR20060082720A (en) * | 2005-01-13 | 2006-07-19 | 학교법인 인제학원 | Cup Dispenser of Coffee Vending Machin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39216A (en) | 2023-09-13 | 2025-03-20 | 한정호 | Beverage container capable of quantitative suppl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54585A (en) | 2009-06-0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13157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remaining doses of product in a refillable dispenser | |
| US8167168B2 (en) | Dispenser with an automatic pump output detection system | |
| US7494028B2 (en) | Fluid dispensing system suitable for dispensing liquid flavorings | |
| US5012955A (en) | Syrup dispensing system | |
| US9738507B2 (en) | High precision liquid dispenser | |
| US12139389B2 (en) | Motor and pump system | |
| US20070009365A1 (en) | Fluid dispensing system suitable for dispensing liquid flavorings | |
| US20140110426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user-specified fixed volumes of liquids | |
| KR20090027754A (en) | Beverage Dispenser with Freshness Indicator | |
| KR101441240B1 (en) | Automatic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supply water | |
| US20160114301A1 (en) | Beverage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of Dispensing Beverages From Beverage Dispensing Systems | |
| NZ532824A (en) | Fuel level indicator for combustion tools | |
| CA261375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ump control | |
| KR100972848B1 (en) | Liquid drink ejector using red LED sensor | |
| US10520300B2 (en) | Optical liquid level measurement system for dispensing apparatus | |
| JP7465809B2 (en) | Apparatus for assisting in the use of a liquid product dispensing device - Patent Application 20070233633 | |
| KR20170053194A (en) | Cup capable of measuring drinking amount | |
| KR100966548B1 (en) | Liquid Volume Dispenser | |
| KR20150073603A (en) |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102140987B1 (en) | A Spice Supply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Seasoning Dispensing Apparatuses Are Interlocked | |
| KR20170054036A (en) | Cup capable of measuring drinking amount | |
| US9538872B2 (en) | Pressurized viscous condiment dispenser | |
| US6332559B1 (en) | Liquor dispensing apparatus | |
| KR20090053482A (en) | Discharge Time Controlled Liquid Beverage Dispenser | |
| KR20180001348U (en) | Water purifier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tilting of the cup has a function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7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723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