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728B1 -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9728B1 KR100989728B1 KR1020070121745A KR20070121745A KR100989728B1 KR 100989728 B1 KR100989728 B1 KR 100989728B1 KR 1020070121745 A KR1020070121745 A KR 1020070121745A KR 20070121745 A KR20070121745 A KR 20070121745A KR 100989728 B1 KR100989728 B1 KR 1009897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message
- wireless internet
- coa
- n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망과 이동 통신망을 연동한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무선망 접속을 제어하여 파워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무선랜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 이동 통신망의 특정 노드에서 전송하는 웨이크 업 메시지(WAKEUP_WLAN)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웨이크 업 메시지(WAKEUP_WLAN)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파워 온 시켜 트래픽을 수신하고, 상기 트래픽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파워 오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a wireless network connec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interworking a wireless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wireless LAN or wireless internet access.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a wake-up message WAKEUP_WLAN transmitted from a specific n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wake-up message WAKEUP_WLAN is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powered on to receive traffic.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powering off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when the reception of the traffic is comple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망과 이동 통신망을 연동한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무선망 접속을 제어하여 파워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a wireless network connec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interworking a wireless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종래의 무선랜 접속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경우에는 무선 인터넷 모듈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방법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파워 소모를 절감하였다. The conventional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wireless LAN reduces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when there is n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파워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에 대하여 각각 종래 기술1(Wake on Wireless: An Event Driven Energy Saving Strategy for Battery Operated Devices/ E. Shih, P. Bahl, and M. J. Sinclair/Mobicom 2002)과, 종래 기술2(An Efficient Power-Saving Mechanism for Integration of WLAN and Cellular Networks/S. Lee, S. Seo, and N. Golmie/IEEE Communications Letters, vol.9, no.12)에 기술되어 있다. 특히, 종래 기술2는 듀얼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이동IP 버전6(Mobile IPv6)'를 이용한 신호 체계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Regarding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the above manner, the conventional techniques 1 (Wake on Wireless: An Event Driven Energy Saving Strategy for Battery Operated Devices / E. Shih, P. Bahl, and MJ Sinclair / Mobicom 2002), An Efficient Power-Saving Mechanism for Integration of WLAN and Cellular Networks / S. Lee, S. Seo, and N. Golmie / IEEE Communications Letters, vol. 9, no. 12. In particular, the
또한, 종래 기술3(공개, 10-1999-0059011)에서는 종래 기술1,2와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을 때에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켜 파워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으며, 종래 기술4(공개, 10-2006-0094561)에서는 송수신 데이터에 따라서 파워 절감(power saving) 모드와 활성(active) 모드를 적절히 선택하여 무선랜의 전송 속도를 높이고 아울러 소모 전력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3 (published, 10-1999-0059011), as in the
종래 기술1은 복수의 무선랜 어댑터를 구비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을 경우에는 파워 소모가 많은 무선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대신 파워 소모가 작은 저전력 무선 송수신기(low-power radio transceiver)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로의 데이터 수신이 감지되면, 다시 무선 인터넷 모듈를 구동하여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파워 소모를 절감하였다.The
또한, 종래 기술2는 종래 기술1과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을 경우에는 무선 인터넷 모듈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대신 이동통신 모듈를 통해 데이터 수신을 감지한다. 즉,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BS: Base Station)이 이동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페이징(Paging)을 통해 데이터 수신이 감지되면, 다시 무선 인터넷 모듈를 구동하여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파워 소모를 절감하였다.In addition, the
또한, 종래 기술3은 무선랜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슬립(sleep) 모드일 때 소모되는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끝 나면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가 전송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킴으로써 파워 소모를 절감하였다. In addition, the
또한, 종래 기술4는 기존의 무선 인터넷 모듈의 파워 절감(power saving) 모드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는 무선 인터넷 모듈가 데이터 송수신을 확인하기 위해 도우즈(doze)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어웨이크(awake) 하였으나, 종래 기술4는 데이터 송수신이 있을 때에만 활성(active) 모드로 변경하고, 활성(Active) 모드 유지 시간이 종료되면 다시 파워 절감(power saving) 모드로 돌아감으로써 파워 소모를 절감하였다. In addition, the
그러나, 종래 기술1은 AP(Access Point)와 이동 단말기에 저전력 무선 송수신기(low-power radio transceiver) 기능을 추가로 구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동 단말기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는 경우에도 여전히 파워를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또한, 종래 기술2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이 동일한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밀결합(tightly-coupled) 연동망 구조에 적합한 것으로, 무선랜과 셀룰러 망이 서로 다른 사업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는 약결합(loosely-coupled) 연동망 구조에 비해 연동 비용이 비싸고, 연동망 전개(deployment)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종래 기술3은 이동 단말기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구현해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시적인(short-lived) 트래픽이 반복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전원이 반복적으로 온/오프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종래 기술4는 종래 기술1과 마찬가지로 도우즈(doze)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여전히 파워를 소모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무선망과 이동 통신망을 연동한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무선망 접속을 제어하여 파워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a wireless network connec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interworking a wireless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약결합(loosely-coupled) 연동망 구조의 IP 계층에서의 신호 전달체계를 이용해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때에는 무선 인터넷 모듈의 파워 소모가 없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of a wireless Internet module when there is n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in an IP layer of a loosely-coupled interworking network structure,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또한, 본 발명은 지속적인(long-lived) 트래픽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무선 인터넷 모듈를 동작시킴으로써 파워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operating a wireless Internet module only when long-lived traffic is received,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Mobile IPv6를 기반으로 한 신호 체계를 이용해 데이터 송수신을 감지함으로써, 도우즈(doze) 상태에서 파워 소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in a doze state by detect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a signaling system based on Mobile IPv6,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무선랜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 이동 통신망의 특정 노드에서 전송하는 웨이크 업 메시지(WAKEUP_WLAN)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웨이크 업 메시지(WAKEUP_WLAN)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파워 온 시켜 트래픽을 수신하고, 상기 트래픽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 인 터넷 모듈을 파워 오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wireless LAN or wireless Internet acces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wake-up message (WAKEUP_WLAN) transmitted from a specific n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Receiving the wake-up message (WAKEUP_WLA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powers on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to receive the traffic, and when the reception of the traffic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powering off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콘(Beacon) 신호가 있더라도 데이터 송수신이 없으면 무선 인터넷 모듈을 파워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며, 일시적인 트래픽의 수신은 무시하고, 지속적인 트래픽이 수신되면 무선 인터넷 모듈을 파워 온 시켜 어웨이크(Awake)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 지속적인 트래픽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 시키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problem, even if there is a beacon signal (Beacon) signal, if there is n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n the power-off state, ignoring the reception of temporary traffic, if the continuous traffic is received wireless Internet module Power on to maintain an awake state, and when the reception of the continuous traffic is completed is made to switch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to the power off stat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무선랜과 이동 통신망을 연동한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무선망 접속을 제어하여 파워 소모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wireless network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interworking a wireless LAN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약결합(loosely-coupled) 연동망 구조의 IP 계층에서의 신호 전달체계를 이용해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때에는 무선 인터넷 모듈에서 파워 소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does not occur when there is n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in the IP layer of a loosely-coupled interworking network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지속적인(long-lived) 트래픽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무선 인터넷 모듈를 동작시킴으로써 파워 소모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by operating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only when long-lived traffic is received.
또한, 본 발명은 Mobile IPv6를 기반으로 한 신호 체계를 이용해 데이터 송수신을 감지함으로써, 도우즈(doze) 상태에서 파워 소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in the doze (Doze) state by detect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a signaling system based on Mobile IPv6.
이하,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ell-known technology and its configuration which are determined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The mobile terminal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or the like. have.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illustra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nd media forward link (MediaFLO). Digital broadcast signals can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only),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built in or externally.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A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 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3 and the touch pad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It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In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allow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 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appearance. Hereinafter, a slider type mobile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among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and the like for clarity of explan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lider type mobi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mobile terminal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type.
도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mobile terminal mainly operates in a standby mode in a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oper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mobi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the mobil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manipul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1 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 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The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ouch pad is superimposed on the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제1 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Like the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제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 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a wheel or jog method of rotating a key, or a manipulation method such as a joystick. May also be implemented.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In functional terms, the first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The
제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The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도3은 도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도3을 참조하면, 제2 바디(205)의 제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 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예를 들어, 제1 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제2 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250 and the
제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상기 제2 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 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또한, 제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 바디(205)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제1 바디(200)의 제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A portion of the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The other part of the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 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예를 들어, 제2 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200),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3 may operate i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frame or packet, includ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satellite-based communication system. It can be configured to.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The communication system may use different air interfaces and / or physical layers. For example, a radio interface usable by a communication system may include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 (especially Long Term Evolution (LT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etc. May be includ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CDMA. However,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th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 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Each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The intersection of sectors and frequency assignments may be called a CDMA channel.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4, a broadcasting transmitter (BT) 295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to
뿐만 아니라, 도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In addition, FIG. 4 illustrates several satellite positioning systems (GPS)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During typical ope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삭제delete
도5는 본 발명에 관련된 무선랜과 이동 통신망의 약결합 연동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eak coupling interworking structure of a wireless LAN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동 단말기(MN : Mobile Node), 상대 노드(CN : Correspondent Node), 무선망 제어기(RNC : Radio Network Controller),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 Serving GPRS Supoort Node), 패킷 제어부(PCF : Packet Control Function), 패킷 관문 지원 노드(GGSN : Gateway GPRS Support Node), 홈 에이전트(HA : Home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통신망의 셀 영역(Cell Coverage, 300) 내에 복수의 무선랜 영역(WLAN Coverage, 310, 320)이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therein, a plurality of mobile nodes (MNs), counter nodes (CNs), radio network controllers (RNCs),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s (SGSNs), It may include a Packet Control Function (PCF), a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and a Home Agent (HA). Here, a plurality of
본 발명은 'Mobile IPv6' 기반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파워 절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이 이동 통신망과는 별개의 사업자에 의해 전개됨으로써, 무선랜 게이트웨이(gateway)가 인터넷에 직접 연결된 형태인 약결합(loosely-coupled) 연동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ducing power of a mobile terminal based on 'Mobile IPv6'. As shown in FIG. 5, a wireless LAN is deployed by an operator separat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a wireless LAN gateway is provided. It can be applied to loosely-coupled interlocking structures that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et.
도6은 종래의 파워 절감 모드에서 동작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과 본 발명의 동면(Hibernation)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의 상태전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와이브로(Wi-bro), 와이파이(Wi-Fi)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무선랜(WLAN)에 접속할 수 있다.FIG. 6 is a graph comparing state transitions between a wireless Internet module operating in a conventional power saving mode and a wireless Internet module operating in a hibernation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may be connected to a WLAN by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Wi-bro or Wi-Fi.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워 절감(Power Save) 모드에서 동작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은, 도우즈(doze) 상태에 있는 무선 인터넷 모듈이 데이터 송수신을 확인하기 위해, 즉 AP로부터 비콘(Beacon)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어웨이크(awake) 상태로 전환되어야 한다. 또한, 도우즈(doze) 상태에 머물러 있을 때에도 지속적으로 파워를 소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operating in the conventional power save mode is used to confir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n a doze state, that is, the AP. It must be repeatedly awake to receive a Beacon message from i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ower is continuously consumed even while staying in the doze state.
그러나, 본 발명은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Beacon) 신호가 있더라도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경우 무선 인터넷 모듈의 파워를 완전히 오프(OFF) 시키고, 일시적인(Short-lived) 트래픽은 무시하고 지속적인(long-lived) 트래픽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무선 인터넷 모듈의 파워를 온(ON) 시키는 동면(Hibernation) 모드로 동작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b), even if there is a beacon (Beacon) signal when there is n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power of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OFF) completely off (Short-lived) traffic It operates in hibernation mode, which turns on the power of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only when it receives neglected and long-lived traffic.
이때, 상기 지속적인(Long-lived) 트래픽의 수신을 알리기 위해, 즉 이동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파워 온 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Mobile IPv6'에 기반한 신호 체계를 제공한다.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gnaling system based on 'Mobile IPv6' in order to notify the reception of the long-lived traffic, that is, to power on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모듈(112)로부터 무선 인터넷 모듈(113)로의 스위칭에 따른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각 AP(Access Point)가 속해 있는 802.11 무선랜 게이트웨이의 IP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무선랜 게이트웨이의 IP 주소 정보는 AP가 이동 단말기들에게 비콘(Beacon) 메시지를 보낼 때 SSID(Service Set Identifier) 필드에 포함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delay time due to switching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o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nd stores the IP address information of the 802.11 WLAN gateway to which each AP (Access Point) belongs, The stored IP address of the WLAN gateway is included in the SSID (Service Set Identifier) field when the AP sends a beac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s.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SID 필드는, '게이트웨이의 IP 주소(예 : 2001:1302:A83B:1104)', '구분자(/(슬래쉬))', 'IP 주소의 프리픽스(prefix) 길이(예 : 64)', '적어도 한 개의 공백문자' 및 '서비스 세트(Service set)의 아이디(identity)(예 : API)'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SSID field includes an IP address of a gateway (eg, 2001: 1302: A83B: 1104), a delimiter (/ (slash)), and a prefix length (IP address) of the IP address. For example, 64), at least one space character, and a service set identity (eg, API).
본 발명에서 제어부(180)는 AP로부터 비콘 메시지를 받자마자 CoA(Care-of Address)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비교할 때 무선 인터넷 모듈(113)로의 스위칭에 따른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본 발명에서는 4세대 무선망에서의 트래픽이 상향식 패킷 전송보다는 주로 하향식 패킷 전송이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특성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를 고려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이동통신 모듈(112)만을 파워 온 시켜두고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파워 오프 시킨 상태라고 가정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traffic in the fourth generation wireless network mainly takes the top down packet transmission rather than the bottom up packet transmiss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terminal has onl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powered on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powered off.
도8은 이동 단말기로의 수신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신호 흐름을 구체적으로 보인 상태도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signal flow for received data traffic to a mobile terminal.
먼저, 첫 번째 단계로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상대 노드(corresponding node)가 이동 단말기에게 보낼 지속적(long-lived) 트래픽이 있는 경우, IP 패킷의 특정 필드(flow label)를 1로 설정한다. 상대 노드는 자신의 바인딩 캐시(Binding Cache)로부터 얻은 이동 단말기의 CoA를 IP 패킷의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여 패킷을 전송한다(S101).First, as a first step, if there is long-lived traffic to be sent to the mobile terminal by a correspondent node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a specific field (flow label) of the IP packet is set to one. The partner node sets the CoA of the mobile terminal obtained from its binding cache as the destination address of the IP packet and transmits the packet (S101).
두 번째 단계로서 이동 단말기와 인터넷 사이에서 IP 연결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이 상대 노드가 이동 단말기로 보낸 패킷을 수신하면, 먼저 상기 특정 필드(flow label)를 검사한다(S102). 상기 필드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세 번째 단계를 수행한다(S103). 그렇지 않은 경우, 수신한 패킷이 일시적인(short-lived) 트래픽이므로, 해당 패킷을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에게 전송하고, SGSN은 이 패킷을 이동 단말기(MN)의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전송한다(S104).As a second step, when the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which controls IP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ternet, receives a packet sent from the opposite node to the mobile terminal, the specific field (flow label) is first checked. (S102). If the field is set to 1, a third step is performed (S103). Otherwise, since the received packet is short-lived traffic, the packet is transmitted to a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which sends the packe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of the mobile terminal (MN). It transmits (S104).
세 번째 단계로서 상기 특정 필드(Flow label)가 1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GGSN은 전달받은 패킷이 지속적인(long-lived) 트래픽임을 인식하고 무선 인터넷 모듈가 파워 온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해당 이동 단말기로 향하는 패킷들을 자신의 버퍼에 저장한다(S105). 이와 동시에 GGSN은 이동 단말기(MN)에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파워 온 시키도록 알리는 웨이크 업 메시지(WAKEUP_WLAN)를 전송한다(S106). As a third step, when the specific field (Flow label) is set to 1, GGSN recognizes that the received packet is long-lived traffic and moves until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ceive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powered on. Packets destined for the terminal are stored in its own buffer (S105). At the same time, the GGSN transmits a wake-up message WAKEUP_WLAN informing the mobile terminal MN to power on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S106).
상기 웨이크 업 메시지(WAKEUP_WLAN)는 본 발명에서 파워 절감을 위해 제공하는 메시지로서, 이동성 헤더 타입(Mobility Header type)이 10으로 설정된 Mobile IPv6 메시지이다.The wake-up message WAKEUP_WLAN is a message provided for power sav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Mobile IPv6 message in which a mobility header type is set to 10.
네 번째 단계로서 상기 웨이크 업 메시지(WAKEUP_WLAN)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MN)는 지속적인(long-lived) 트래픽을 받기 위해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파워 온 시키고(S107), 비콘 스캐닝을 통해 연결할 수 있는 AP를 찾은 후 적절한 AP로의 결합(association)을 수행한다(S108).As a fourth step, the mobile terminal MN receiving the wake-up message WAKEUP_WLAN may power on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o receive long-lived traffic (S107) and connect through beacon scanning. After the AP is found, an association with the appropriate AP is performed (S108).
다섯 번째 단계로서 적절한 AP에 결합한 후,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비콘 메시지에 포함된 802.11 게이트웨이의 IP 주소 프리픽스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CoA를 구성한다(S109). After coupling to the appropriate AP as a fifth step, the mobile terminal configures a new CoA using the IP address prefix information of the 802.11 gateway included in the received beacon message (S109).
여섯 번째 단계로서 이동 단말기(MN)는 새로운 CoA에 대한 설정을 마치자마자, GGSN에게 새롭게 구성된 CoA를 포함하는 터널요구 메시지(REQ_TUNNEL)를 전송 한다(S110). 상기 웨이크업 메시지(WAKEUP_WLAN)와 마찬가지로 터널요구 메시지(REQ_TUNNEL) 역시 본 발명에서 파워 절감을 위해 제공하는 Mobile IPv6 메시지로써 이동성 헤더 타입(Mobility Header type)은 11로 설정한다.As a sixth step, as soon as the mobile terminal (MN) completes setting of a new CoA, the mobile terminal (MN) transmits a tunnel request message (REQ_TUNNEL) including the newly configured CoA to the GGSN (S110). Like the wake-up message WAKEUP_WLAN, the tunnel request message REQ_TUNNEL is also a Mobile IPv6 message provided for power sav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ity header type is set to 11.
상기 이동 단말기(MN)는 또한 상대 노드(CN)에게 새로운 CoA를 알려주기 위해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BU : Binding Update)를 전송한다(S111). 이때 전송하는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BU)의 원타임 플래그(O : One-time)를 1로 설정하는데, 이 원타임 플래그는 본 발명에서 파워 절감을 위해 제공하는 이동성 헤더(Mobility Header)에서 사용되지 않는 필드(Reserved field)에 새롭게 추가된 필드로써, 1로 설정된 경우 상대 노드는 해당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BU)에 포함된 CoA를 현재 세션을 위해서만 사용하고 자신의 바인딩 캐시(Binding Cache)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이동 단말기의 CoA 값은 변경하지 않는다. The mobile terminal MN also transmits a binding update message (BU: Binding Update) to inform the counterpart node CN of a new CoA (S111). At this time, the one-time flag (O: One-time) of the binding update message (BU) to be transmitted is set to 1, which is a field not used in the mobility header provided for power sav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newly added field in the Reserved field, if set to 1, the partner node uses the CoA included in the binding update message (BU) only for the current session and is stored in its binding cache. Does not change the CoA value.
일곱 번째 단계로서 GGSN이 이동 단말기(MN)로부터 터널요구 메시지(REQ_TUNNEL)를 받으면, 버퍼링한 패킷들을 이 메시지에 포함된 새로운 CoA로 터널링한다(S112). 또한 GGSN은 버퍼링한 패킷들뿐만 아니라 상대 노드가 여전히 이동 단말기의 이전 CoA로 전송한 패킷들도 이동 단말기의 새로운 CoA로 터널링한다. 결과적으로 이들 패킷들은 이동 단말기(MN)의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해 전송되게 된다.As a seventh step, when the GGSN receives the tunnel request message REQ_TUNNEL from the mobile terminal MN, the GGSN tunnels the buffered packets to the new CoA included in the message (S112). In addition, the GGSN tunnels not only the buffered packets but also packets transmitted by the other node to the previous CoA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new CoA of the mobile terminal. As a result, these packet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of the mobile terminal (MN).
여덟 번째 단계로서 상대 노드(CN)는 이동 단말기에서 보낸 바인딩 업데이트(BU) 메시지를 받으면(S111), 현재 세션의 패킷들의 목적지 주소를 바인딩 업데이트(BU) 메시지에 포함된 CoA로 변경하여 보낸다(S113). 수신한 바인딩 업데이 트(BU) 메시지의 원타임 플래그(O)가 1이면, 상대 노드는 해당 이동 단말기의 바인딩 캐시(Binding Cache) 엔트리를 변경하지 않는다.As an eighth step, when the counter node CN receives the binding update (BU) message sent from the mobile terminal (S111), the destination node (C111) changes the destination address of packets of the current session to the CoA included in the binding update (BU) message (S113). ). If the one-time flag O of the received binding update message is 1, the counterpart node does not change the binding cache entry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통한 지속적인(long-lived) 트래픽의 수신이 완료되면,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의 어웨이크(Awake) 상태를 파워 오프(Power-off) 상태로 전환한다. 즉,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파워 오프시킨다. 상기 여섯 번째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파워 오프 시키고 이동통신 모듈로 동작을 시작하더라도 제어부(180)는 이를 상대 노드(CN)에게 알리기 위해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BU)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이는 상대 노드가 자신의 바인딩 캐시(Binding Cache)에 이동통신 모듈(112)에 대한 CoA를 계속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When reception of the long-lived traffic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6B,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과 이동 통신망의 연동 구조에서의 Mobile IPv6 기반 파워 절감 방법의 성능을 측정한 실험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존의 무선 인터넷 모듈이 파워 절감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와 본 발명에 의한 방법과의 성능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experimental data measured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IPv6-based power saving method in the interworking structure of the wireless LA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wireless Internet module operating in the power saving mode 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arison with the method by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본 실험을 위한 데이터 세션의 지속 시간은 지속적인(long-lived) 트래픽과 일시적인(short-lived) 트래픽에 대해 각각 5분과 1분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의 활성(active) 상태와 도우즈(doze) 상태에서의 파워 소모량은 각각 1.4 W(와트)와 0.06 W로 설정하고, 이동통신 모듈(112)의 활성(active) 상태와 아이들(idle) 상태에서의 파워 소모량은 각각 1.254 W와 0.125 W로 설정하여 실험하였다.The duration of the data session for this experiment was set to 5 minutes and 1 minute for long-lived and short-lived traffic,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active state and the doze state of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set to 1.4 W (watts) and 0.06 W, respectively, the active state and id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idle state was set to 1.254 W and 0.125 W, respectively.
도9는 상대 노드가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보내지 않는 아이들 타임(idle time)이 평균 1분과 10분일 때, 데이터 세션의 도착률에 따른 파워 소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FIG. 9 is a graph measuring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arrival rate of a data session when an idle time in which a counterpart node does not send data to a mobile terminal is 1 minute and 10 minutes on average.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면(Hibernation) 모드를 갖는 파워 절감 기법이 파워 절감(Power Save) 모드로 동작하는 종래의 방법(WLAN PS로 도시된 그래프)과 비교하여 평균 아이들 타임(idle time)이 1분일 때와 10분일 때 모두 파워 소모량 측면에서 더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아이들 타임(idle time)이 1분일 때와 10분일 때, 각각 최고 29%와 55%의 성능 향상을 보여준다.Referring to Figure 9, the power saving technique with hiberna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operating in the power save mode (graph shown by WLAN PS), average idle time (idle). Both 1 minute and 10 minutes show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Specifically, when the average idle time is 1 minute and 10 minute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s up to 29% and 55%, respectively.
도10은 전체 트래픽에서 지속적인(long-lived) 트래픽이 차지하는 비율(R)이 70%와 40%일 때, 데이터 세션의 도착률에 따른 파워 소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FIG. 10 is a graph measuring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rrival rate of a data session when the ratio R of 70% and 40% of long-lived traffic in total traffic is 70% and 40%.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절감 방법이 종래의 파워 절감(Power Save)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WLAN PS로 도시된 그래프)과 비교하여 비율(R)이 70%일 때와 40%일 때 모두 파워 소모량 측면에서 더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40% compared to the method of operating in the conventional power save mode (graph shown by WLAN PS) when the ratio R is 70%. It can be seen that both show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적인(short-lived) 트래픽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경우, 즉 지속적인(long-lived) 트래픽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은 경우에도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워 절감 효과가 더 큼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even when the proportion of short-lived traffic is high, that is, the proportion of long-lived traffic is low, the power sa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The effect is gre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mmunication system operable by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무선랜과 이동 통신망의 약결합 연동 구조를 보인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eak coupling interworking structure of a wireless LAN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동면(Hibernation)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과 종래의 파워 절감 모드에서 동작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의 상태전이를 비교한 그래프.FIG. 6 is a graph comparing state transitions between a wireless Internet module operating in a hibernation mode and a wireless internet module operating in a conventional power saving mode.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 메시지가 포함되는 SSID 필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SSID field including a beacon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의 수신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신호 흐름을 구체적으로 보인 상태도.8 is a state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signal flow for the received data traffic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과 종래 기술에 대하여 상대 노드가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보내지 않는 아이들 타임이 평균 1분과 10분일 때, 데이터 세션의 도착률에 따른 파워 소모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FIG. 9 is a graph comparing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rrival rate of a data session when the idle time in which a counterpart node does not send data to a mobile terminal is 1 minute and 10 minut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ed art. FIG.
도 10은 본 발명과 종래 기술에 대하여 전체 트래픽에서 지속적인 트래픽이 차지하는 비율(R)이 70%와 40%일 때, 데이터 세션의 도착률에 따른 파워 소모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FIG. 10 is a graph comparing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rrival rate of a data session when the ratio R of continuous traffic in total traffic is 70% and 40%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ed art.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21745A KR100989728B1 (en) | 2007-11-27 | 2007-11-27 |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21745A KR100989728B1 (en) | 2007-11-27 | 2007-11-27 |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54850A KR20090054850A (en) | 2009-06-01 |
| KR100989728B1 true KR100989728B1 (en) | 2010-10-26 |
Family
ID=4098672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1217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9728B1 (en) | 2007-11-27 | 2007-11-27 |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8972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12612B1 (en) * | 2010-04-02 | 2012-02-14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Low power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07820277B (en) * | 2017-10-27 | 2021-09-21 | 三星(中国)半导体有限公司 | Parent node device for wireless network, terminal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50129009A1 (en) | 2003-12-16 | 2005-06-16 | Kitchin Duncan M. | Power sav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 KR20060028956A (en) * | 2004-09-30 | 2006-04-04 | 주식회사 케이티 | Indoor terminal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
| KR20070008233A (en) * | 2005-07-13 | 2007-0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iFi relay device and method |
| KR20070020952A (en) * | 2005-08-17 | 2007-02-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Wi-Fi module having a host wake-up function and a host wake-up method in the Wi-Fi module |
-
2007
- 2007-11-27 KR KR1020070121745A patent/KR1009897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50129009A1 (en) | 2003-12-16 | 2005-06-16 | Kitchin Duncan M. | Power sav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 KR20060028956A (en) * | 2004-09-30 | 2006-04-04 | 주식회사 케이티 | Indoor terminal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
| KR20070008233A (en) * | 2005-07-13 | 2007-0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iFi relay device and method |
| KR20070020952A (en) * | 2005-08-17 | 2007-02-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Wi-Fi module having a host wake-up function and a host wake-up method in the Wi-Fi modu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54850A (en) | 2009-06-0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5848268B (en) | A kind of method and terminal reducing power consumption | |
| EP4203573A1 (en) | Method for determining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parameter,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CN10264054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power saving in a mobile computing device | |
| WO2023283952A1 (en) | Channel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
| CN118400803B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 WO2022205303A1 (en) |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network device, us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 CN105933452A (en) | A method and device for push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 |
| WO2022140951A1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CN114128366A (en) | Paging parameter determination metho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KR100989728B1 (en) |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 |
| WO2018120032A1 (en) | Cell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 |
| KR101619960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CN114026905B (en) |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s, device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a | |
| CN106535305B (en) | Dormancy control method and terminal | |
| KR101652444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CN112075049B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s, network equipment, us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 KR101495184B1 (en) | Mobile terminal and synchronization obtaining method thereof | |
| CN103369644A (en) | Terminal awakening method and device | |
| KR101674951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101422018B1 (en) |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ortable Internet function and a power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1561904B1 (en) | Uma terminal and battery consuption saving method thereof | |
| US2025022057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wake up signal configuration inform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ake up signal configuration information, network device, ue, and storage medium | |
| CN106572521B (en) | Serial port awakening method and terminal | |
| CN113424485B (en) | Indication information configuration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medium | |
| KR101467792B1 (en) |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sleep mod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0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01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