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0367B1 -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367B1
KR100980367B1 KR1020030017754A KR20030017754A KR100980367B1 KR 100980367 B1 KR100980367 B1 KR 100980367B1 KR 1020030017754 A KR1020030017754 A KR 1020030017754A KR 20030017754 A KR20030017754 A KR 20030017754A KR 100980367 B1 KR100980367 B1 KR 100980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signal
paper
counterfeit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185A (ko
Inventor
윤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티엠월드
(주)엑스티엠케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티엠월드, (주)엑스티엠케이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티엠월드
Priority to KR102003001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3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36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8Cat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조지폐 감별기에 관한 것으로, 손쉽게 휴대가 가능한 소형의 장치로서 택시와 같은 차량에 설치가 가능하고 짧은 시간에 전자동으로 지폐의 진위여부를 감별하여 표시하는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이송수단으로서 소형의 고속저토크형 스테핑모터, 기어감속장치, 및 지폐이송벨트 등을 결합시키는 이송장치프레임을 구비하고, 검지수단으로서 권종구분수단, 인입방향감지수단, 및 자기분포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인입감지수단, 출력수단, 전원연결수단, 및 케이스를 포함한다.
위조지폐, 감별기, 휴대용, 자기저항소자, 권종구분센서, 지폐이송벨트

Description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PORTABLE FULL-AUTO COUNTERFEIT DETECTOR}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 지폐 감지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a는 상부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b는 상부덮개와 상부 감지부PCB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c는 상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3a는 하부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b는 하부덮개와 제어회로PCB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c는 하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4a,4b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1a,11b: 지폐인입감지센서 21a,21b: 권종구분용적외선센서
22: 인입방향감지용적외선센서 24: 마그네트헤드센서
25: 자기저항소자센서 41: 스테핑모터
43: 기어감속기 45: 지폐이송벨트
본 발명은 위조지폐 감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의 지질, 인쇄된 잉크의 특성, 및 인쇄 패턴의 특성을 감지하여 높은 정확성으로 지폐의 진위여부를 감별할 수 있고, 소형화에 적합한 구성요소를 적용함으로써 휴대가 가능하여 식당, 편의점 등 소형 점포에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의 시거잭을 전원으로 택시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조지폐 감별기는 지폐의 지질, 지폐에 인쇄된 자성물질 및 형광물질의 패턴 또는 컬러 등의 정보를 통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별하는 장치를 말한다.
근래에는 컬러복사기, 스캐너, 레이져 프린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인쇄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를 악용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고, 또한 날로 정교해져 가고있는데, 그 예로서 위조지폐의 제조를 들 수 있다. 특히 달러화 유로화 등 외국환의 위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위조지폐의 감별방법으로는 크게 육안에 의한 방법과 감별장치에 의한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인 육안에 의한 감별방법은 현미경이나 돋보기와 같은 광학기구를 이용하거나, 지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광물질로 인쇄된 패턴 및 음화를 관찰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육안 감별법은 일반 대중이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세심한 관찰을 요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일반 대중은 외국환에 대한 정보를 얻기 힘들고, 개개인의 관찰력에도 차이가 있어 정확도에 있어서 신뢰성이 떨어진다. 특히, 야간에 택시요금을 수령할 때와 같이 어둡고, 시간적 여유가 없는 여건하에서는 현실적으로 감별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후자인 감별장치에 의한 감별방법은 금융기관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위폐 감별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종래의 위폐 감별기는 마그네트헤드, 자기저항소자, 이미지 센서 또는 자외선 센서 등의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지폐에 인쇄된 자기 패턴, 컬러화상 또는 자외선 투과량 등을 검지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별한다.
그러나, 종래의 통상의 위폐 감별기는 부피가 크고 무거워서 휴대가 불편하고, 이동중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휴대용 위폐 감별기의 경우에는 충전배터리를 채용하고 있으나 운행중인 택시에서와 같은 장시간의 이동간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 지폐의 급지방식에 있어서도 위폐 감별기에 수동으로 급지하거나, 지폐를 펼쳐두고 기기를 움직여 스캔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정확도가 저하 되거나 처리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위조지폐 감별기는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이송수단의 동력전달요소로는 벨트와 풀리가 아닌 기어감속장치를 구비하고, 지폐와의 마찰수단으로는 수개의 이송롤러가 아닌 콘베이어벨트를 구비하여 소형화와 아울러 빠르고 안정적인 지폐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야간에 택시 요금을 받을 때와 같이 주변이 어둡고, 빠른 처리를 요하는 여건하에서도 정확하고 신속한 감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육안에 의한 감별을 배제하고 지폐를 자동으로 인입하여 감지 및 판별한 후에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차량에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용 직류전원(12V / 24V)을 시거잭으로부터 인가받아 사용할 수 있는 전원연결수단을 구비한 전자동 휴대용 위조지폐 감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폐의 세팅 여부를 감지하여 지폐를 인입시키는 인입감지수단; 공급된 지폐의 인쇄정보를 센싱하여 위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수단으로 보내는 검지수단; 상기 인입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이송수단을 구동시키고, 상기 검지수단으로부터 받은 입력신호를 미리 저장된 판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신호를 출력수단으로 보내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스테핑 모터와 상기 스테핑모터의 회전운동을 소정의 비율로 감속하여 전달하는 기어감속장치, 상기 기어감속장치의 출력 회전축에 연결되는 타이밍벨트에 의한 콘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콘베이어에 대응되는 지폐면 반대편에 탄성가압수단에의해 지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되는 지폐밀착롤러를 포함하는 마찰수단에 의하여 인입된 지폐를 검지수단을 거쳐 배출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판정신호를 받아 지폐의 진위 여부를 표시하는 출력수단; 차량용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연결수단; 및 상기 각 구성요소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고 외부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폐출입구,및 전원입력구;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상부와 하부를 힌지를 축으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지폐인입구(61)의 중앙부 상하에 지폐인입감지센서(11b), 상기 지폐인입감지센서 안쪽에 3개의 권종구분센서 (21b), 그 안쪽에 센서밀착롤러(28), 및 좌우 양측에 지폐이송벨트(45)에 의한 콘베이어가 구비된다. 상부에는 상기 콘베이어의 풀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지폐밀착롤러(46), 좌측 콘베이어 대응면에 자기저항소자센서(25), 상기 센서밀착롤러(28)의 대응면에 마그네트헤드센서(24), 그 안쪽에 자외선센서(23), 및 상기 마그네트헤드센서(24)와 권종구분센서(21a)의 사이에 4개의 인입방향감지센서(22)를 구비한다. 상기 지폐인입감지센서(11a,11b)와 상기 권종구분센서(21a,21b)는 상하 두개의 소자가 짝을 이룬다.
도2a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상부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판(65b)의 안쪽에 상기의 각종 센서를 포함하는 PCB1(26)이 장착되고, 상기 PCB1의 상부에 출력수단으로서 액정패널(50)이 구비된다. 출력수단으로서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도 추가 또는 대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PCB1(26)에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각종 센서가 연결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폐인입감지센서(11a)로서 포토인터럽터(photo-interrupter)센서가 사용되고, 상기 인입방향감지센서(22)로는 반사형 적외선센서가 사용된다. 다만, 투과형 센서를 적용하여도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권종구분센서(21a)로서는 투과형 적외선센서가 사용되고, 상기 자외선센서(23)도 투과형이 사용되는데 상기 PCB1(26)에는 수광소자가 장착된다. 이 또한 수광소자와 발광소자의 상하 위치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 PCB1(26)과 상판(65b) 사이의 수용부에는 회전축(48)으로 연결된 지폐밀착롤러(46) 2쌍이 상기 콘베이어의 풀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탄성가압수단으로서 스프링(47)에 의하여 지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한 상부의 구성요소들이 조립되는 형태는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3a는 하부덮개를 제거한 본체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부덮개 바로 안쪽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수단과 직류전원입력부(63)를 구비한 제어회로PCB2(30)가 장착되고, 그 내부에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핑모터 (41), 기어감속기(43), 및 상기 기어감속기의 출력회전축(44)에 연결되는 지폐이송 벨트에 의한 콘베이어(45)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프레임(42)이 장착된다. 하판(65b) 저면의 상기 프레임(42) 가운데 공간에 형성되는 수용부에는 센서밀착롤러(28) 및 스프링가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스테핑모터(41)에는 이송수단의 소형화를 위하여 고속,저토크모터가 적용되고 이에따른 토크 보상을 위하여 기어감속장치(43)를 구비함으로써 토크를 보상하고, 안정적인 이송속도를 유지한다.
상기 센서밀착롤러(28)는 상부의 마그네트헤드센서(도1의 24)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지폐와 센서가 밀착 되도록하고, 상기 지폐이송벨트(45)는 지폐와 접촉하여 이송하는 마찰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뿐만아니라 상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자기저항소자센서(도1의 25)를 위치시켜 지폐와 센서가 적정 간극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기어감속장치(43)의 출력축(44)에 이송롤러(미도시)를 적용시켜 지폐와의 마찰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하부 구성요소의 조립형태는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센서밀착롤러(28)는 PCB2(27)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PCB2(27)에는 권종구분센서 (21b)로서 적외선발광소자 및 인입감지센서소자(11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장착된다.
도4a와 도4b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장치의 전면에 인입구(61)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배출구 및 지폐반출용가이드(67)가, 상부의 윗면에는 액정패널(50)이 구비되며, 또한 하부의 후방에는 직류전원입력구(63)가 구비된다.
상기 직류전원입력구(63)는 시거잭으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용 직류전원 또는 교류/직류 어댑터로 정류된 직류전원의 입력을 받을 수 있고, 본 장치의 케이스는 상부덮개(65a)와 그 내부의 상판, 그리고 하판(66b)과 하부덮개(66a), 및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힌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폐반출용가이드(67)는 감별을 마친 지폐가 기기의 전방으로 배출되도록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는다.
상,하부와 힌지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구성은 지폐의 걸림(jam)현상 또는 이물질에 의한 센서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지폐의 걸림 방지수단 및 센서 세척수단을 갖춘 일체형의 케이스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폐인입구와 배출구를 전면 또는 상면의 어느 한 방향으로 설치하거나, 하나의 출입구로 인입하여 검지한 후 배출하는 형태의 구성으로도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의 제어구성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체에 구비된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각종 제반 기기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71)와, 상기 인입감지센서로 감지된 아날로그 신호와 적외선센서 및 자외선센서로 감지된 신호를 신호증폭부(73)를 통하여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전달하는 A/D컨버터(72), 상기 마그네트헤드 및 자기저항소자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처리하여 중앙제어장치(71)에 전달하는 마그네트신호처리부(7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며 내부적으로 처리해야할 데이터를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기억시키기 위한 EEPROM(75)과 각종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내 장된 EPROM(76)과,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소멸되는 S-RAM(77)과, 상기 EPROM(76)과 S-RAM(77)을 중앙처리장치에 연결하는 래치(78) 및 이송수단의 구동신호를 스테핑모터에 전달하는 래치(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입감지센서가 신호를 보내면 중앙처리장치가 이송수단에 구동신호를 보내고, 스테핑모터가 정역회전한다. 지폐의 이송 초기에는 지폐의 권종 및 인입방향을 감별하고 그에 해당하는 진폐의 저장데이터를 마그네트헤드센서, 자기저항소자센서, 및 자외선센서의 출력신호와 비교하여 지폐의 진위여부를 감별한다. 상기 권종구분결과와 감별결과는 액정화면을 통하여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는 소형화에 유리한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차량 또는 작은 상점 내에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용 직류전원을 활용하도록 하여 택시와 같이 장시간의 이동중에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베이어 벨트에 의한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지폐가 구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이송으로 정확한 감별을 가능하게 하는 효 과가 있다. 아울러, 지폐의 인입에서부터 감지,판별,출력, 및 지폐의 배출을 자동화하여 편의를 향상시키고, 감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별에 필요한 감지수단으로서, 자기저항소자센서를 구비하여 지폐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를 검출할 수 있어 감별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비접촉으로 센싱하므로 지폐내부 또는 반대편의 자기분포도 감지할 수 있으며, 자외선센서, 적외선센서, 컬러센서 등 타 감지수단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감별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폐의 세팅 여부를 감지하여 지폐를 인입시키는 인입감지수단;
    공급된 지폐의 인쇄정보를 센싱하여 위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제어수단으로 보내는 검지수단;
    상기 인입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받아 이송수단을 구동시키고, 상기 검지수단으로부터 받은 입력신호를 미리 저장된 판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신호를 출력수단으로 보내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스테핑모터와 상기 스테핑모터의 회전운동을 소정의 비율로 감속하여 전달하는 기어감속장치, 상기 기어감속장치의 출력 회전축에 연결되는 타이밍벨트에 의한 콘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콘베이어에 대응되는 지폐면 반대편에 탄성가압수단에의해 지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되는 지폐밀착롤러를 포함하는 마찰수단에 의하여 인입된 지폐를 상기 검지수단을 거쳐 배출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판정신호를 받아 지폐의 진위 여부를 표시하는 출력수단;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연결수단; 및
    상기 각 구성요소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고 외부로는 전원입력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폐출입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
  2. 지폐의 세팅 여부를 감지하여 지폐를 인입시키는 인입감지수단;
    공급된 지폐의 권종을 감별하기 위한 권종감지수단, 지폐의 인입방향을 감별하기 위한 인입방향감지수단, 및 지폐표면에 인쇄된 형광물질을 감지하기 위한 자외선센서를 구비하고, 지폐에 분포된 자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자기저항소자센서 또는 마그네트헤드센서 중 어느하나 이상을 더 구비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수단으로 보내는 검지수단;
    상기 인입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받아 이송수단을 구동시키고, 상기 검지수단으로부터 받은 입력신호를 미리 저장된 판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신호를 출력수단으로 보내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스테핑모터와 상기 스테핑모터의 회전운동을 소정의 비율로 감속하여 전달하는 기어감속장치, 상기 기어감속장치의 출력 회전축에 연결되는 타이밍벨트에 의한 콘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콘베이어에 대응되는 지폐면 반대편에 탄성가압수단에의해 지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되는 지폐밀착롤러를 포함하는 마찰수단에 의하여 인입된 지폐를 상기 검지수단을 거쳐 배출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판정신호를 받아 지폐의 진위 여부를 표시하는 출력수단;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연결수단; 및
    상기 각 구성요소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고 외부로는 전원입력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폐출입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스테핑모터와 상기 스테핑모터의 회전운동을 소정의 비율로 감속하여 전달하는 기어감속장치 및 상기 기어감속장치의 출력 회전축에 구비되는 이송롤러에 의하여 지폐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롤러에 대응되는 지폐면 반대편에 탄성가압수단에의해 지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되는 지폐밀착롤러를 포함하는 마찰수단에 의하여 인입된 지폐를 상기 검지수단을 거쳐 배출시키는,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
KR1020030017754A 2003-03-21 2003-03-21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 Expired - Lifetime KR100980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754A KR100980367B1 (ko) 2003-03-21 2003-03-21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754A KR100980367B1 (ko) 2003-03-21 2003-03-21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185A KR20040083185A (ko) 2004-10-01
KR100980367B1 true KR100980367B1 (ko) 2010-09-06

Family

ID=3736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754A Expired - Lifetime KR100980367B1 (ko) 2003-03-21 2003-03-21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032B1 (ko) * 2007-03-09 2007-09-07 주식회사 엘티전자 휴대용 위폐 감식기
KR102572033B1 (ko) * 2023-03-08 2023-08-30 (주)현대피씨디 휴대용 위폐 감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4169A1 (en) 1998-09-29 2001-08-16 Liang Louis H. First-order authentication system
KR20020010163A (ko) * 2000-07-27 2002-02-04 박원상 위조지폐 감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4169A1 (en) 1998-09-29 2001-08-16 Liang Louis H. First-order authentication system
KR20020010163A (ko) * 2000-07-27 2002-02-04 박원상 위조지폐 감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185A (ko) 200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44743B2 (ja) 紙葉類鑑別装置
US59664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and counting documents
US7715613B2 (en) UV counterfeit currency detector
KR100582611B1 (ko) 종이류 반송 장치
CN100530251C (zh) 储钞器
AU2007207890B2 (en) Bill handling apparatus
EP1997079B1 (en) Banknote acceptor with visual checking
US8387977B2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JP2003296801A (ja) 紙幣計数装置
KR20010009029A (ko) 지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0215092Y1 (ko) 지폐계수기
KR101992387B1 (ko) 계수기용 통합센서모듈 구조
KR100980367B1 (ko)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
KR100812254B1 (ko) 지폐 감별기
KR20000036310A (ko) 미국달러의 위조여부 판별장치 및 방법
JP3914972B2 (ja) 紙幣の計数・識別装置
KR200394238Y1 (ko) 지폐 계수 겸용 고속 스캐너
KR101884866B1 (ko) 이권종 분류 및 위폐 식별 계수기
JP2018060263A (ja) 紙状体処理装置
KR200302637Y1 (ko)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KR200394059Y1 (ko) 지폐 계수기
KR102572033B1 (ko) 휴대용 위폐 감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
KR20030075664A (ko) 위조지폐 검출장치
KR19990069194A (ko) 지폐 인식장치
KR200357708Y1 (ko) 위폐감별기능을 갖는 지폐 계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1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3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3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92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