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220B1 - A fire escape for an emergency staircase - Google Patents
A fire escape for an emergency stairc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5220B1 KR100995220B1 KR1020100041769A KR20100041769A KR100995220B1 KR 100995220 B1 KR100995220 B1 KR 100995220B1 KR 1020100041769 A KR1020100041769 A KR 1020100041769A KR 20100041769 A KR20100041769 A KR 20100041769A KR 100995220 B1 KR100995220 B1 KR 1009952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ergency
- building
- floor
- intake
- mo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1/00—Devices for reconditioning breathing air in sealed roo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화재와 같은 비상시 건물의 비상계단실에 건물의 실내나 복도에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고, 건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대피자의 호흡에 어려움이 없이 대피할 수 있도록 사다리가 포함된 이동수단이 내부에 설치된 이동통로를 비상계단실에 설치시킨 것으로, 건물의 지하층에서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를 이동통로에 유입하고 이렇게 유입된 신선한 공기는 급기덕트를 통해 비상계단실로 공급되어 이동통로를 이용하지 못하는 대피자들의 안전을 고려한 것이며, 나아가, 비상계단실에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옥상층에 설치되어 가동되는 흡기용송풍기가 흡기덕트 및 보조덕트를 통해 흡입하여 건물외부로 배출시켜 대피자의 호흡 장애를 미연에 방지하며, 더 나아가, 보조덕트 하부에 제연차단판을 설치시켜 상부층으로 이동하는 불길과 유해가스를 차단하여 화염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제연차단판에 대피방향 또는 광고물 등을 형성 또는 인쇄시켜 홍보효과도 올릴 수 있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s toxic gases generated in the interior or hallway of the building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 the emergency staircase of the building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building fire, and can be evacuated without difficulty in evacuation of the evacuator by introducing fresh air outside the building. In order to install a moving passage including a ladder inside the emergency staircase, the fresh air from the basement floor of the building flows into the mobile passage and the fresh air is supplied to the emergency staircase through the air supply duct. Considering the safety of evacuees who cannot use the moving passage, the intake blower installed on the rooftop of the harmful gas flowing into the emergency staircase is sucked through the intake duct and the auxiliary duct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t prevents the respiratory disorder of the pizza in advance, and furthermore, installs the smoke prevention blocking plate under the auxiliary duct. Fire escape equipment for emergency stairs that can prevent flames from growing by blocking flames and harmful gases that move to the upper floors, and increase or promote the effect by forming or printing evacuation directions or advertisements on the smoke blocking panel. To prov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층 또는 저층 건물의 화재로 인한 비상발생시 건물에 있는 대피자를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안전지대로 이동하도록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화재발생시 대피자들이 이용하는 비상계단실에 대피자들이 불길과 유해가스로부터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신선한 공기를 제공받도록 구성된 이동통로가 설치되고, 그 이동통로 외부에는 비상계단실에 유입된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하는 흡기덕트를 구비시켜 대피자가 불길과 유해가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stair fire evacuation device that allows the evacuation of a building to move to a safe area quickly and safely in case of an emergency due to a fire of a high or low rise building. In case of occurrence, the emergency staircase used by the evacuees is installed with a mobile passage configured to receive fresh air while the evacuators are safely moved from flames and harmful gas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scape apparatus for emergency stairs provided with an intake duct to prevent the evacuator from being exposed to flames and harmful gases.
통상적으로 고층 또는 저층건물에는 화재 발생시 불길을 진압하도록 소방설비가 갖춰져 있다.Typically, high-rise or low-rise buildings are equipped with fire-fighting equipment to extinguish the fire in the event of a fire.
이는 건물의 화재를 진압하는 목적으로 설비된 것으로, 건물내의 대피자들은 화염이 없는 건물의 옥상이나 하부층의 안전지대로 신속히 이동하기 위해서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다양한 매스컴에서는 화재시에는 고열과 화염의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없는 엘리베이터는 사용하지 말고 비상계단을 이용하라고 각인시키고 있다. It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extinguishing a fire in a building, and evacuators in a building are installed to move quickly to a safe place on a rooftop or lower floor of a non-flame building. Generally, in various mass media, high heat and flame progress during a fire. I do not use an elevator that can not grasp the situation and imprint it to use emergency stairs.
따라서 화재시에는 건물의 대피자들은 신속하게 비상구를 통해 비상계단을 이용하여야 한다.In the event of a fire, bulldozers in the building must use the emergency stairs quickly through the exit.
이때, 건물의 화재시 발생되는 화염이나 유독가스로부터 비상계단을 이용하려 하는 대피자를 보호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런 종래의 장치가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07-0001065호에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명칭으로 공개되어 있다.At this tim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o protect the evacuator who is trying to use the emergency stairway from the flame or toxic gas generated in the fire of the building, such a conventional device is disclosed i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7-0001065 It is disclosed in the method of the smoke control using the and the device name.
상기 공개된 종래의 기술을 첨부된 도면 도 1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ior art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as follows.
옥상 또는 지상에 급기용 외기취입구(61)를 가지며, 건물내측에 수직급기덕트(12) 및 수평급기덕트(12-1)를 가지며 고층건물의 각층에는 부속실(32)이 마련되고 제연구역경계(부속실출입문 내측 상단)에는 수평급기덕트(12-1)와 접속된 에어커트기기(41)를 설치하여 화재시 에어커튼기기(41)가 작동하면 외기취입구(61)에서 취입된 옥외의 신선한 공기가 수직급기덕트(12) 및 수평급기덕트(12-1)를 통하여 에어커튼기기 토출구로 토출되며 이때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압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커튼(공기막)으로 화재층의 거실또는 복도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부속실(32)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직접차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및 업무용건물등 고층건물의 제연방법과;It has an
옥상 또는 옥상 및 지하층에 설치된 급기용 송풍기삭제하고 그 대신 각층 제연구역 중 제연구역 경계부(부속실출입문내측 상단)에 외기취입구(61), 수직급기덕트(12) 및 수평급기덕트(12-1)와 연결된 에어커튼기기(41)설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장치로 공개된 것으로, 건물 실내에 발생된 유독가스가 부속실이나 비상계단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을 설치한 것으로 알 수 있다.Remove the air supply blower installed on the rooftop or rooftop and basement floor, and replace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은However,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첫째, 화재발생시 전원의 차단으로 각층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커튼기기의 전원공급이 곤란한 문제가 발생 된다. First, when a fire occurs, it is difficult to supply power to the air curtain device installed on each floor due to the power off.
둘째, 화재시 발생가능한 폭발로 인해 에어커튼기기에 화재가 발생되면 그 층의 비상계단을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 된다.Second, if a fire occurs in the air curtain device due to the explosion that can occur during the fire, it is difficult to use the emergency stairs of the floor.
셋째, 많은 대피자가 부속실이나 비상계단으로 몰려 문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비좁지 않고 넓게 설치시켜야 하는데, 그에 따라 발생되는 막대한 운용비가 소비된다.Third, many evacuees have to be installed in a narrow and wide area to pass through doors to annex or emergency stairs, which consumes huge operating costs.
넷째, 노약자들이나 임산부 및 장애자가 에어커튼기기의 전면에 설치된 중량체인 방화문을 열고 통과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발생 된다. Fourth,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pregnant women and the disabled to open and pass through the weight chain fire door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air curtain device.
다섯째, 에어커튼기기에서 나오는 강한 바람은 화염을 가중시켜 불길이 커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Fifth, the strong wind coming from the air curtain equipment ha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flame to increase the flam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화재와 같은 비상시 대피자가 건물의 옥상 또는 하부층으로 안전하게 이동통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건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이동통로로 유입된 공기는 비상계단실로 배출되어 대피자의 호흡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며, 나아가 비상계단실로 유입된 건물의 실내나 복도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켜 이동통로로 미처 진입하지 못한 대피자들의 생명을 보호하도록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a building to evacuate to the roof or lower floor of the building safely through the mobile passage, and also fresh air outside the building flowed into the mobile passage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emergency staircase so that there is no difficulty in evacuation of the evacuator. Furthermore, the lives of the evacuees who have not entered the mobile passage by discharging the harmful gas generated in the interior or corridor of the building introduced into the emergency staircas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o provide a fire escape device for an emergency stairway which protects the fire escape device.
건물의 화재와 같은 비상시 대피자들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도록 각층에 구성된 비상구와 연결된 비상계단실에 있어서, 상기 비상계단실에는 대피자들이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건물의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에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건물의 각층마다 대피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가 형성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이동공간과 비상계단실로 공급하는 급기댐퍼가 형성된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의 외측둘레를 따라 나선형태로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설치되고, 비상계단실의 유해가스를 흡입하도록 적정위치에 설치되는 흡기댐퍼가 마련된 흡기덕트와 상기 이동통로의 최상부층은 폐쇄되고, 최하부층에는 신선한 공기가 비상계단실에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급기용송풍기와, 상기 흡기덕트의 최하부층은 폐쇄되고, 최상부층에는 비상계단실의 유해가스를 흡기덕트로 흡입하여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흡기용송풍기와, 상기 이동통로의 내부 이동공간에는 건물 각층의 바닥면과 동일 위치한 바닥을 공기가 통풍되는 격자형태로 형성된 구획면이 마련되고, 상기 구획면에는 대피자가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n emergency staircase room connected to an emergency exit configured on each floor to allow evacuators to a safe place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a building, the emergency staircase is built vertically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top floor of the building so that evacuators can move to a safe area. A moving space is formed inside, a door is formed to allow evacuators to enter and exit each floor of the building, a moving passage having an air supply damper for supplying fresh air to the moving space and the emergency stairs, and an outside of the moving passage. The intake duct is installed spirally along the circumference from the lowermost layer to the uppermost layer, the intake duct provided with an intake damper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suck harmful gas from the emergency staircase, and the uppermost layer of the mobile passage is closed, and the lower layer is fresh air. An air blower for blowing air into the emergency staircase; The lowermost floor is closed, and the uppermost floor is an intake blower provided to inhale harmful gas from the emergency staircase into the intake duct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he floor located on the same floor as each floor of the building in the moving space of the mobile passage. The partition surfa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rid in which air is ventilated, the partition surfa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means for allowing the evacuator to move to the safe area.
또는, 건물의 화재와 같은 비상시 대피자들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도록 각층에 구성된 비상구와 연결된 비상계단실에 있어서, 상기 비상계단실에는 대피자들이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건물의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에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건물의 각층마다 대피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가 형성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이동공간과 비상계단실로 공급하는 급기댐퍼가 형성된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의 외측에는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수직으로 설치되고, 비상계단실의 유해가스를 흡입하도록 적정위치에 설치되는 흡기댐퍼가 마련된 흡기덕트와, 상기 이동통로의 최상부층은 폐쇄되고, 최하부층에는 신선한 공기가 비상계단실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급기용송풍기와, 상기 흡기덕트의 최하부층은 폐쇄되고, 최상부층에는 비상계단실의 유해가스를 흡기덕트로 흡입하여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흡기용송풍기와, 상기 이동통로의 내부 이동공간에는 건물 각층의 바닥면과 동일한 위치에 바닥이 격자형태로 형성된 구획면이 마련되고, 상기 구획면에는 대피자가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Or an emergency staircase connected to an emergency exit constructed on each floor so as to move the emergency piles to a safe plac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a building, the emergency staircase is vertically arranged from the lowermost floor to the uppermost floor of the building A mov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moving space, a door for evacuating the evacuator is form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 moving passage formed with an air supply damper for supplying fresh air to the moving space and the emergency stairs, and the moving passage An intake duct provided vertically from the lowermost layer to the uppermost layer and provided with an intake damper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suck harmful gas from the emergency staircase, and the uppermost layer of the mobile passage is closed, and the lowermost layer is fresh air. A blower for supplying air to the staircase; The lower floor is closed, and the uppermost floor is an intake blower provided to inhale harmful gas from the emergency staircase into the intake duct an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he floor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loor of each floor in the moving space of the moving passage. A partition surface formed in the form of a grid is provided, and the partition surface includes moving means for allowing the evacuator to move to the safe area.
그리고, 상기 흡기덕트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흡기댐퍼가 설치된 보조덕트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nlet duct is horizontally connected, and the auxiliary duc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take dampers ar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이동통로에 설치되는 급기댐퍼는 도어와 일체로 형성된다.Further, the air supply damper installed in the moving passag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oor.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구획면에 개구된 탈출구가 마련되고, 그 탈출구에 설치되어 건물의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oving means is provided with an escape opening is provided in the partition surface, and is provided in the escape port is composed of a ladder to move to the upper floor or lower floor of the building.
한편, 상기 사다리는, 상부사다리와 하부사다리로 구분하고, 상부사다리는 상부가 탈출구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사다리 하부는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하부사다리는 양측에 형성된 지지대와 그 지지대 하부에 설치된 디딤판으로 구성시키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그 연결구멍에 삽입되는 연결핀으로 고정시켜 복수의 디딤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부사다리는 이동통로의 내부 벽체면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The ladder is divided into an upper ladder and a lower ladder. The upper ladder is fixed to an escape opening, and the lower ladder is rotatably installed. The lower ladd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and a support Wherein the upper ladder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frame, and a plurality of tread plates can be installed by being fixed by a connecting pin inserted in the connecting hol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탈출구는 건물의 층과 층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구획면에 지그재그식으로 위치되게 구성되고, 상기 사다리는 지그재그로 형성된 탈출구에 수직으로 설치된다.In addition, the escape exit is configured to be located in a zigzag manner in each partition surface formed between the floor and the floor of the building, the ladder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escape exit formed in a zigzag.
그리고, 상기 급기,흡기댐퍼는 사각틀 내부에 힌지핀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차단판이 종열로 설치되고, 차단판의 후단에는 결합편이 각각 형성되며, 그 결합편에 차단판을 일괄적으로 동작시키도록 복수로 이루어진 작동편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편 하부에는 링크로 연결되는 편심축을 갖는 회전판과 사각틀을 회전축으로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and the intake damper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coupled by hinge pins in a rectangular frame, and a coupling piece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blocking plate, and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are collectively operated on the coupling pieces. And a knob attached to the rotary shaft to rotate the rotary plate. The rotary shaft has an eccentric shaft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shaft.
또한,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에는, 회전판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실린더는 건물의 별도 인입 동력 또는 발전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각층에 형성된 급기,흡기댐퍼를 일괄 작동시키거나 일부층만 작동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motor cylinder for automatically rotating the rotat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plate, and the motor cylinder is connected to a separate inlet power of the building or the generator control unit to operate the air supply and intake dampers formed on each floor in a batch or only a partial floor. It is configured to work.
그리고, 상기 보조덕트의 하부에는 힌지로 결합되는 제연차단판을 설치시키되, 상기 제연차단판과 힌지로 결합되는 위치에 보조덕트에 힌지구멍이 형성된 브래킷이 설치되고, 브래킷의 힌지구멍 주위로 복수의 요홈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제연차단판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요홈부에 대응하는 탄성볼이 설치되고, 상기 제연차단판의 전면에는 대피시 이동방향 또는 광고물 등이 부착 또는 인쇄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보조덕트 하부에 부착되는 내열성이 강한 불연시트로 구성된다.
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duct is provided with a hinge block is coupled to the hinge, the bracket is formed with a hinge hole in the auxiliary duct in a position coupled to the hinge and the smoke blocking plate, a plurality of around the hinge hole of the bracket Concave groove is formed radially,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moke blocking plat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all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ortion, the movement direction or advertising materials or the like when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smoke blocking plate is configured or printed or Resistant non-combustible sheet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duc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화재와 같은 비상발생시 대피자가 이용하는 비상계단실에 화염과 유해가스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이동통로를 별도로 구비시키고 그 내부 설치된 이동수단을 통해 대피자가 안전한 장소로 이동을 할 수 있는 효과와, 또한, 상기 이동통로를 통해 급기댐퍼로 공급되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통로의 외부에 설치된 흡기덕트의 흡기댐퍼는 비상계단실에 유입된 유해가스는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대피자의 호흡에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와, 또한, 상기 흡기덕트에 설치된 별도의 보조덕트는 이동통로로 진입하지 못한 대피자들을 유해가스로부터 보호하도록 하여 노약자가 어려움 없이 대피자가 용이하도록 하며,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 화재시 폭발로 인한 인명사고를 방지하고, 또한, 장치의 비설치로 시공 및 운영의 제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stair room used by the evacuato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a building is provided with a separate passage to protect against flames and harmful gases, and the evacuator can move to a safe place through the means installed therein. And the intake damper of the intake duct provided outside the moving passage provides the fresh air introduced into the emergency staircase through the moving passage to the outside And the auxiliary duct installed in the intake duct protects the large pizzas that can not enter the passageway from the noxious gas so that the elderly can easily escape without difficulty Do not install a separate device to prevent personal injury due to explosion in case of fire. And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construction and operation by non-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제연설비가 설치된 건물을 간략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계단실을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인 흡기덕트가 설치된 비상계단실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기용 보조덕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로를 발췌하여 부분절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인 이동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흡기댐퍼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차단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제연차단판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시트가 부착된 상태를 간략 도시한 단면도Figure 1 is a simplifi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ilding in which the conventional smoke control facility is install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ergency stair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ergency staircase in which the intake duct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ake auxiliary duct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cut out of the mobile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supply and intake damp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ntilation block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ntilation blocking plate is operated
Figure 12 is a simplifi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n-combustible sheet is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 발명은, 건물(10)의 화재와 같은 비상시 대피자들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도록 각층에 구성된 비상구와 연결된 비상계단실(100)에 있어서, 상기 비상계단실(100)에는 대피자들이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건물(10)의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수직으로 세워지고, 그 내부에는 이동공간(230)이 형성되며, 건물(10)의 각층마다 대피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240)가 형성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이동공간(230)과 비상계단실(100)로 공급하는 급기댐퍼(210)가 형성된 이동통로(200)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통로(200)의 외측둘레를 따라 나선형태로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설치되고, 비상계단실(100)의 유해가스를 흡입하도록 적정위치에 설치되는 흡기댐퍼(310)가 마련된 흡기덕트(300)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통로(200)의 최상부층은 폐쇄되고, 최하부층에는 신선한 공기가 비상계단실(100)로 배출하도록 하는 급기용송풍기(220)가 구비되며, 상기 흡기덕트(300)의 최하부층은 폐쇄되고, 최상부층에는 비상계단실(100)의 유해가스를 흡기덕트(300)로 흡입하여 건물(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흡기용송풍기(320)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통로(200)의 내부 이동공간(230)에는 건물(10) 각층의 바닥면과 동일 위치한 바닥을 공기가 통풍되는 격자형태로 형성된 구획면(400)이 마련되고, 상기 구획면(400)에는 대피자가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2 and 3,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ergency stair room (100) connected to the emergency exit configured on each floor to evacuate the evacuation to a safe place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a fire in the building (10), the emergency stair room (100) ) Is built vertically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top floor of the building (10) so that evacuees can move to a safe area, the interior of the moving space 230 is formed, the evacuator to each floor of the building (10) A door 2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240 and a traveling passage 200 formed with an air supply damper 210 for supplying fresh outside air to the moving space 230 and the emergency staircase 100, The intake duct 300 is provided in a spiral form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mergency staircase 100 in the form of a spiral from the lowermost layer to the uppermost layer and provided with an intake damper 310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suck the noxious gas in the emergency staircase 100 , The movement passage 200 ), The uppermost floor is closed, and the lowermost floor is provided with an air supply blower 220 for discharging fresh air to the emergency stair chamber 100, and the lowermost floor of the intake duct 300 is closed, and the uppermost floor is emergency An air blowing fan 320 for sucking harmful gas from the staircase 100 into the intake duct 300 and discharging the harmful gas from the staircase 100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10, The partition 1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surface 400 formed in a lattice shape in which air is ventilated on the floor that is identical to the floor surface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10, and the partition surface 400 includes moving means for allowing the evacuator to move to a safe area (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통로(200)는 비상계단실(100)의 하부층에서 상부층으로 올라가도록 구성된 계단난간의 안쪽에 다수의 대피자를 수용할 수 있는 적정크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 이유는 상기 이동통로(200)는 비상시에만 사용을 하고 그외에는 계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o use the
상기 흡기덕트(300)는 이동통로(200)를 나선형태로 감아 설치된 형태로 계단이 설치된 형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많은 유해가스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다른 실시례로는 흡기덕트(300')를 이동통로(200)의 외측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첨부된 도면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10)의 화재와 같은 비상시 대피자들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도록 각층에 구성된 비상구와 연결된 비상계단실(100)에 있어서, 상기 비상계단실(100)에는 대피자들이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건물(10)의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에는 이동공간(230)이 형성되며, 건물(10)의 각층마다 대피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240)가 형성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이동공간(230)과 비상계단실(100)로 공급하는 급기댐퍼(210)가 형성된 이동통로(200)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통로(200)의 외측에는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수직으로 설치되고, 비상계단실(100)의 유해가스를 흡입하도록 적정위치에 설치되는 흡기댐퍼(310)가 마련된 흡기덕트(300')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통로(200)의 최상부층은 폐쇄되고, 최하부층에는 신선한 공기를 비상계단실(100)에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급기용송풍기(220)와 상기 흡기덕트(300')의 최하부층은 폐쇄되고, 최상부층에는 비상계단실(100)의 유해가스를 흡기덕트(300')로 흡입하여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흡기용송풍기(320)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통로(200)의 내부 이동공간(230)에는 건물 각층의 바닥면과 동일 위치한 에 바닥을 공기가 통풍되는 격자형태로 형성된 구획면(400)이 마련되고, 상기 구획면(400)에는 대피자가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in the emergency stair room (100) connected to the emergency exit configured on each floor to evacuate to a safe plac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the
상기와 같이 제2 특징으로 구성된 흡기덕트(300')는 필요에 따라 이동통로(200)의 외측에 복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ake duct 300 'configured as the second feature may be installed in plural on the outer side of the moving
상기의 제1 특징과 제2 특징 구성은 흡기덕트(300)(300')의 나선형과 수직형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제1 특징의 흡기덕트(300)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first and second features are divided into a spiral shape and a vertical shape of the
또한,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와 같이, 상기 이동통로(200)의 구획면(400)을 격자형태로 형성시킴으로 써, 신선한 공기가 어느 층에 갇히지 않고 상부층으로 용이하게 도달 가능하게 한 것이다.2 to 7, by forming the
또한, 상기 이동통로(200)에는 별도의 투시창(250)을 형성하거나, 내열성이 강한 투명재질로 형성시켜, 비상계단실(100)의 대피자가 이동공간(230)의 상황을 파악하고, 이동공간(230)의 대피자는 이동하는 비상계단실(100)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
또한,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상부로 상승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흡기댐퍼(310)는 비상계단실(100)의 상부에 위치되고, 급기댐퍼(210)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승하는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흡기덕트(300)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보조덕트(600)를 더 포함시켜 구성시키되, 그 보조덕트(600)는 비상계단실(100)의 각층 또는 층간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흡기댐퍼(310)가 설치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discharge the harmful gas rising as described abov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further comprises an
그리고, 상기 이동통로(200)에 설치되는 급기댐퍼(210)는 도어(240)와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분리시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건물(10)의 크기와 이동통로(200)에 수용되는 인원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일체형으로 도시하였다. The
한편, 상기 이동수단(500)은, 상기 이동통로(200) 내부에 형성된 구획면(400)에는 개구된 탈출구(510)가 마련되고, 그 탈출구(510)에 설치되어 건물(10)의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520)로 구성된다.The moving means 500 is provided with an
상기 사다리(520)는, 상부사다리(530)와 하부사다리(540)로 구분하고, 상부사다리(530)는 상부가 탈출구(510)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사다리(540) 하부는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하부사다리(540)는 양측에 형성된 지지대(541)와 그 지지대(541) 하부에 설치된 디딤판(542)으로 구성시키고, 상기 지지대(54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연결구멍(543)이 형성되며, 그 연결구멍(543)에 삽입되는 연결핀(544)으로 고정시켜 복수의 디딤판(542)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부사다리(530)는 이동통로의(200) 내부 벽체면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The
상기 상부사다리(530)와 하부사다리는(540)은 브래킷(545)으로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상부사다리(530)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은, 첨부된 도면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부층 탈출구(510)와 하부층 탈출구(510)의 위치가 동일하게 되면, 대피자가 실수로 낙상하면 최하부층까지 낙상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사다리(520)를 하부층 탈출구(510)에서 벗어나게 설치시켜 대피자가 안전한 구획면(400)으로 유도하는 목적과, 또한, 경사지게 형성하여 노약자가 손쉽게 사다리(520)를 오르거나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The
또한, 상기 상부사다리(530)는 하부사다리(540)보다 비교적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각의 하부사다리(540)를 연결핀(544)으로 결합하는 것은 건물(10)의 층간 높이를 고려한 것으로, 사다리(520)를 구성하는 상부사다리(530)의 길이가 짧을 경우 하부사다리(540)를 더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상부층과 하부층의 탈출구(510)가 동일선상에 위치할 경우 대피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사다리(520)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고, 첨부된 도면 도 8과 같이, 상기 탈출구(510)를 건물의 층과 층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구획면(400)에 지그재그식으로 위치되게 구성되고, 상기 사다리(520')는 지그재그로 형성된 탈출구(510)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8, the structure of the
한편, 첨부된 도면 도 9와 같이, 상기 급기,흡기댐퍼(210)(310)는 사각틀(700) 내부에 힌지핀(701)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차단판(702)이 종열로 설치되고, 차단판(702)의 후단에는 결합편(703)이 각각 형성되며, 그 결합편(703)에 차단판(702)을 일괄적으로 동작시키도록 복수로 이루어진 작동편(704)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편(704) 하부에는 링크(705)로 연결되는 편심축(706)을 갖는 회전판(707)과 사각틀(700)을 서로 회전축(708)으로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708)에 설치되어 회전판(707)을 회전시키는 손잡이(709)로 구성시켜 필요에 따라 외부공기와 유해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9, the air supply and
상기는 수동으로 각층의 급기, 흡기댐퍼(210)(310)를 작동시키는 상태이고, 건물(10)을 제어하도록 건물의 별도 인입 동력 또는 발전기 제어부(711)를 통해 일괄적으로 통제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above operation is a state in which the air supply and
상기 회전판(707)에는, 회전판(707)을 회전시키는 모터실린더(71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실린더(710)는 건물(10)의 별도 인입 동력 또는 발전기 제어부(711)에 연결되어 각층에 형성된 급기,흡기댐퍼(210)(310)를 일괄 작동시키거나 일부층만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도면에서는 수동형태와 자동형태를 함께 도시하였다. In the drawings, a manual form and an automatic form are shown together.
상기 차단판(702)을 작동시키는 모터실린더(710)는 그 자체가 축이 수직으로 운동시키는 장치로 회전판(707)을 제거하고 작동편(704)에 축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나아가, 상기 비상계단실(100)에 열감지센서를 설치시켜 열감지센서가 비상계단실(100)의 열을 감지하면 제어부(711)에 신호를 보내고 이를 제어부(711)가 모터실린더(710)에 신호를 보내 작동할 수도 있고, 또는, 각층에 설치된 모터실린더(710)에 열감지센서를 직접 설치시켜 열을 감지한 층에서 자동으로 모터실린더(71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Further, when the heat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in the
그리고 상기 이동통로(20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711)에 의해 통제되도록 연결된 비상전화, CCTV 및 스프링클러와 같은 안전장치를 설치할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더 나아가, 첨부된 도면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보조덕트(600)의 하부에는 힌지(801)로 결합되는 제연차단판(800)을 설치시키되, 상기 제연차단판(800)과 힌지(801)로 결합되는 위치에 보조덕트(600)에 힌지구멍(802)이 형성된 브래킷(803)이 설치되고, 브래킷(803)의 힌지구멍(802) 주위로 복수의 요홈부(804)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제연차단판(8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요홈부(804)에 대응하는 탄성볼(805)이 설치되고, 상기 제연차단판(800)의 전면에는 대피시 이동방향 또는 광고물 등이 부착 또는 인쇄되도록 구성된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탄성볼(805)은, 상기 요홈부(804)와 결합하는 볼 형태로 제연차단판의 내측에는 볼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탄성편이 설치된다.The
상기와 같이 제연차단판(800)을 보조덕트(600)로부터 회전되게 설치하여 비사용시에는 접어두었다가 사용시에는 제연차단판(800)을 내려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첨부된 도면 도 12와 같이, 보저덕트(600) 하부에 내열성이 강한 불연시트(810)를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이 제연차단판(800) 또는 불연시트(810)을 비상계단실(100)에 설치함으로써, 비상계단실(100)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광고 또는 홍보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비상시에는 화염으로부터 대피자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By installing the smok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건물(10)에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각층의 비상구를 통해 비상계단실(100)로 대피자를 유도하고, 이동통로(200)의 급기용송풍기(220)와, 흡기덕트(300)의 흡기용송풍기(320)를 가동시켜 급기,흡기댐퍼(210)(310)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비상계단실(100)에 유입시키고, 보조덕트(600)의 하부에 설치된 제연차단판(800)을 세워지도록 회전시켜 상부층으로 옮겨가는 불길과 유해가스를 차단한다.Whe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s in the
이렇게 비상계단실(100)에 준비가 완료되면 몰려든 대피자는 각층에 형성된 이동통로(200)의 도어(240)를 통해 내부로 들어가서 상부층 또는 하부층으로 탈출구의 사다리(520)(520')를 통해 안전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preparation for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allow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건물:10 비상계단실:100
이동통로:200 급기댐퍼:210 급기용송풍기:220 이동공간:230
도어:240 투시창:250
흡기덕트:300,300' 흡기댐퍼:310 흡기용송풍기:320
구획면:400
이동수단:500 탈출구:510
사다리:520,520' 상부사다리:530 하부사다리:540 지지대:541
디딤판:542 연결구멍:543 연결핀:544 브래킷:545
보조덕트:600
사각틀:700 힌지핀:701 차단판:702 결합편:703
작동편:704 링크:705 편심축:706 회전판:707
회전축:708 손잡이:709 모터실린더:710 제어부:711
제연차단판:800 힌지:801 힌지구멍:802 브라켓:803
요홈부:804 탄성볼:805
불연시트:810Building: 10 Emergency Stairs: 100
Movement passage: 200 Air supply damper: 210 Air supply blower: 220 Moving space: 230
Door: 240 viewing window: 250
Intake duct: 300,300 'Intake damper: 310 Intake blower: 320
Compartment: 400
Transport: 500 Escape: 510
Ladder: 520,520 'Upper Ladder: 530 Lower Ladder: 540 Support: 541
Tread: 542 Connection Hole: 543 Connection Pin: 544 Bracket: 545
Secondary duct: 600
Rectangular frame: 700 Hinge pin: 701 Block plate: 702 Combined piece: 703
Actuator: 704 Link: 705 Eccentric shaft: 706 Spindle: 707
Rotary shaft: 708 Handle: 709 Motor cylinder: 710 Control unit: 711
Smoke barrier: 800 Hinge: 801 Hinge hole: 802 Bracket: 803
Groove: 804 Elastic Balls: 805
Non-combustible Seat: 810
Claims (10)
상기 비상계단실(100)에는 대피자들이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건물(10)의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에는 이동공간(230)이 형성되며, 건물(10)의 각층마다 대피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240)가 형성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이동공간과 비상계단실(100)로 공급하는 급기댐퍼(210)가 형성된 이동통로(200)와;
상기 이동통로(200)의 외측둘레를 따라 나선형태로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설치되고, 비상계단실(100)의 유해가스를 흡입하도록 적정위치에 설치되는 흡기댐퍼(310)가 마련된 흡기덕트(300)와;
상기 이동통로(200)의 최상부층은 폐쇄되고, 최하부층에는 신선한 공기가 비상계단실(100)에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급기용송풍기(220)와;
상기 흡기덕트(300)의 최하부층은 폐쇄되고, 최상부층에는 비상계단실(100)의 유해가스를 흡기덕트(300)로 흡입하여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흡기용송풍기(320)와;
상기 이동통로(200)의 내부 이동공간(230)에는 건물(10)의 각층의 바닥면과 동일 위치한 바닥을 공기가 통풍되는 격자형태로 형성된 구획면(400)이 마련되고, 상기 구획면(400)에는 대피자가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In the emergency stairs (100) connected to the emergency exit configured on each floor to evacuate to a safe place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the building (10),
The emergency stair room 100 is vertically erected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top floor of the building 10 so that evacuees can move to a safe area, and a moving space 230 is formed therein, and evacuated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10. A moving passage (200) having a door (240) for allowing self entry and exit, and an air supply damper (210) for supplying fresh air to the moving space and the emergency stair chamber (100);
Intake duct 300 is provid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ving passage 200 in a spiral form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uppermost floor and provided with an intake damper 310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suck harmful gas from the emergency stair chamber 100. )Wow;
An air supply blower 220 provided with a top layer of the moving passage 200 closed and having a fresh air flowing into the emergency stair chamber 100 in the bottom layer;
An intake blower 320 configured to close the lowermost layer of the intake duct 300 and to inhale the harmful gas of the emergency staircase room 100 into the intake duct 300 and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 partition wall 400 formed in a grid shape in which air is ventilated is provided at the bottom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loor of each layer of the building 10 in the internal moving space 230 of the moving passage 200, Emergency fire escape apparatus for a staircase comprising a; means (500) for moving the evacuator to the safe area.
상기 비상계단실(100)에는 대피자들이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건물(10)의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에는 이동공간(230)이 형성되며, 건물(10)의 각층마다 대피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240)가 형성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이동공간과 비상계단실(100)로 공급하는 급기댐퍼(210)가 형성된 이동통로(200)와;
상기 이동통로(200)의 외측에는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수직으로 설치되고, 비상계단실(100)의 유해가스를 흡입하도록 적정위치에 설치되는 흡기댐퍼(310)가 마련된 흡기덕트(300')와;
상기 이동통로(200)의 최상부층은 폐쇄되고, 최하부층에는 신선한 공기가 비상계단실(100)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급기용송풍기(220)와;
상기 흡기덕트(300')의 최하부층은 폐쇄되고, 최상부층에는 비상계단실(100)의 유해가스를 흡기덕트(300')로 흡입하여 건물(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흡기용송풍기(320)와;
상기 이동통로(200)의 내부 이동공간(230)에는 건물(10)의 각층의 바닥면과 동일 위치한 바닥을 공기가 통풍되는 격자형태로 형성된 구획면(400)이 마련되고, 상기 구획면(400)에는 대피자가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In the emergency stairs (100) connected to the emergency exit configured on each floor to evacuate to a safe place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the building (10),
The emergency stair room 100 is vertically erected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top floor of the building 10 so that evacuees can move to a safe area, and a moving space 230 is formed therein, and evacuated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10. A moving passage (200) having a door (240) for allowing self entry and exit, and an air supply damper (210) for supplying fresh air to the moving space and the emergency stair chamber (100);
An intake duct 300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moving passage 200 vertically from a lowermost layer to an uppermost layer and provided with an intake damper 310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suck harmful gas from the emergency stair chamber 100; ;
An air supply blower 220 having the uppermost layer of the moving passage 200 closed and the lowermost layer provided with fresh air flowing into the emergency stair chamber 100;
The lowermost floor of the intake duct 300 'is closed, and the uppermost floor is an intake blower provided to inhale harmful gas from the emergency stair chamber 100 into the intake duct 300'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10 ( 320;
A partition wall 400 formed in a grid shape in which air is ventilated is provided at the bottom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loor of each layer of the building 10 in the internal moving space 230 of the moving passage 200, Emergency fire escape apparatus for a staircase comprising a; means (500) for moving the evacuator to the safe area.
상기 흡기덕트(300)(300')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흡기댐퍼(310)가 설치된 보조덕트(6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duct (600)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intake ducts (300, 300 ')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take dampers (310).
상기 이동통로(200)에 설치되는 급기댐퍼(210)는 도어(24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ir supply damper 210 installed in the moving passage 200 is an emergency escape fire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door 240.
상기 이동수단(500)은, 상기 구획면(400)에 개구된 탈출구(510)가 마련되고, 그 탈출구(510)에 설치되어 건물의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5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oving means 500 includes a ladder 520 having an escape opening 510 opened in the partition surface 400 and installed at the escape opening 510 to allow the escape port 510 to move to an upper or lower level of the building Fire escape device for emergency stairs.
상기 사다리(520)는, 상부사다리(530)와 하부사다리(540)로 구분하고, 상부사다리(530)는 상부가 탈출구(510)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사다리(540) 하부는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하부사다리(540)는 양측에 형성된 지지대(541)와 그 지지대(541) 하부에 설치된 디딤판(542)으로 구성시키고, 상기 지지대(54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연결구멍(543)이 형성되고, 그 연결구멍(543)에 삽입되는 연결핀(544)으로 고정시켜 복수의 디딤판(542)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부사다리(530)는 이동통로(200)의 내부 벽체면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adder 520 is divided into an upper ladder 530 and a lower ladder 540, the upper ladder 530 is fixed to the escape port 510, the upper ladder 540, the lower ladder 540 is installed rotatably However, the lower ladder 540 is composed of a support 541 formed on both sides and a stepping plate 542 installed under the support 541, and the connection hole 543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541, respectively. The upper ladder 530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connecting pin 544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543 so as to install a plurality of stepping plates 542, and the upper ladder 530 face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ving passage 200. Wherein the fire escape device for the emergency staircase is installed at an inclined angle.
상기 탈출구(510)는 건물(10)의 층과 층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구획면(400)에 지그재그식으로 위치되게 구성되고, 상기 사다리(520')는 지그재그로 형성된 탈출구(510)에 수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xit 510 is configured to be zigzag positioned on each partition surface 400 formed between the floor and the floor of the building 10, and the ladder 520 ′ is perpendicular to the exit 510 zigzag formed. Wherein the fire escape device for the emergency stairway is installed.
상기 급기,흡기댐퍼(210)(310)는 사각틀(700) 내부에 힌지핀(701)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차단판(702)이 종열로 설치되고, 차단판(702)의 후단에는 결합편(703)이 각각 형성되며, 그 결합편(703)에 차단판(702)을 일괄적으로 동작시키도록 복수로 이루어진 작동편(704)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편(704) 하부에는 링크(705)로 연결되는 편심축(706)을 갖는 회전판(707)과 사각틀(700)을 회전축(708)으로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708)에 설치되어 회전판(707)을 회전시키는 손잡이(70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ir supply and intake dampers 210 and 31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702 coupled to the hinge pins 701 in a quadrangular frame 700 in a vertical row, and a coupling piece at the rear end of the blocking plate 702. A plurality of actuating pieces 704 are provided on the engaging pieces 703 so as to integrally operate the blocking plate 702. A link 705 is provided below the actuating pieces 704, Combination of the rotating plate 707 having a eccentric shaft 706 and the square frame 700 to the rotating shaft 708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708, the handle 709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708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707 Fire escape device for emergency stairs.
상기 회전판(707)의 회전축(708)에는, 회전판(707)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실린더(71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실린더(710)는 건물(10)의 별도 인입 동력 또는 발전기 제어부(711)에 연결되어 각층에 형성된 급기,흡기댐퍼(210)(310)를 일괄 작동시키거나 일부층만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대피장치.
The method of claim 8,
On the rotating shaft 708 of the rotating plate 707, a motor cylinder 710 for automatically rotating the rotating plate 707 is installed, and the motor cylinder 710 is a separate drawing power or generator control unit 711 of the building 10. ) Connected to the air supply, the air intake damper (210) (310), the emergency stair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operate only a partial floor.
상기 보조덕트(600)의 하부에는 힌지(801)로 결합되는 제연차단판(800)을 설치시키되, 상기 제연차단판(800)과 힌지(801)로 결합되는 위치에 보조덕트(600)에 힌지구멍(802)이 형성된 브래킷(803)이 설치되고, 브래킷(803)의 힌지구멍(802) 주위로 복수의 요홈부(804)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제연차단판(8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요홈부(804)에 대응하는 탄성볼(805)이 설치되고, 상기 제연차단판(800)의 전면에는 대피시 이동방향 또는 광고물 등이 부착 또는 인쇄되게 구성되거나 또는, 보조덕트(600)의 하부에 부착되는 내열성이 강한 불연시트(810)로 구성된 것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The method of claim 3,
A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duct 600 is provided with a hinge blocking plate 800 coupled to the hinge 801, but hinged to the auxiliary duct 600 at a position coupled to the smoke blocking plate 800 and the hinge 801. A bracket 803 having a hole 802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recesses 804 are radially formed around the hinge hole 802 of the bracket 803, an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moke blocking plate 800. An elastic ball 805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804 is provided and a moving direction or advertisement or the like is attached or pri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nnular end plate 800, Emergency stair fire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consisting of a heat-resistant non-flammable sheet 810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lternativ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41769A KR100995220B1 (en) | 2010-05-04 | 2010-05-04 | A fire escape for an emergency stairca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41769A KR100995220B1 (en) | 2010-05-04 | 2010-05-04 | A fire escape for an emergency staircas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995220B1 true KR100995220B1 (en) | 2010-11-17 |
Family
ID=4340987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41769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5220B1 (en) | 2010-05-04 | 2010-05-04 | A fire escape for an emergency staircas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95220B1 (en) |
Cited By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46271B1 (en) | 2011-03-22 | 2011-07-05 | 지엘테크(주) | Evacuation device for emergency stairs of building |
| KR101195437B1 (en) | 2010-12-15 | 2012-11-01 | 박주휘 | Emergency evacuation device for building |
| KR101347569B1 (en) * | 2013-06-24 | 2014-01-03 | 정민시 | Fire protection system |
| KR101863067B1 (en) * | 2018-03-09 | 2018-05-31 | 심상진 |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bulding |
| CN109045503A (en) * | 2018-06-09 | 2018-12-21 | 广东工贸职业技术学院 | Private air replacement system of students' dormitory |
| KR20190022229A (en) * | 2017-08-26 | 2019-03-06 | (주)아이 에스 피 엘 | Air-circulating Escaping Equipment during fire in apartment and buildings |
| KR102004850B1 (en) * | 2019-04-25 | 2019-10-01 |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 Control apparatus for firefighting equipment of apartment house |
| KR102037771B1 (en) | 2019-04-26 | 2019-10-29 | 신호원 | Electricity control system |
| KR102048358B1 (en) | 2019-05-17 | 2019-11-26 | 주식회사 리얼솔루션 | Fire suppression system using hologram and method therefor |
| KR102108323B1 (en) | 2019-02-07 | 2020-05-07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A fire escape for an emergency staircase |
| KR102115610B1 (en) * | 2020-01-07 | 2020-05-26 | 주식회사 리한 건축사사무소 | Emergence escape system |
| KR102156937B1 (en) | 2019-03-30 | 2020-09-16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Evacuation way of slide type an emergency |
| KR20200133708A (en) * | 2018-09-27 | 2020-11-30 | 이복상 | Emergency stairway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
| KR102219405B1 (en) | 2020-04-14 | 2021-02-25 |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information and exit guide |
| CN113856079A (en) * | 2021-10-26 | 2021-12-31 | 湖北灵坦机电设备有限公司 | A life support system for fire escape |
-
2010
- 2010-05-04 KR KR1020100041769A patent/KR1009952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95437B1 (en) | 2010-12-15 | 2012-11-01 | 박주휘 | Emergency evacuation device for building |
| KR101046271B1 (en) | 2011-03-22 | 2011-07-05 | 지엘테크(주) | Evacuation device for emergency stairs of building |
| KR101347569B1 (en) * | 2013-06-24 | 2014-01-03 | 정민시 | Fire protection system |
| WO2014208865A1 (en) * | 2013-06-24 | 2014-12-31 | Jung Min Shy | Fire protection system |
| KR20190022229A (en) * | 2017-08-26 | 2019-03-06 | (주)아이 에스 피 엘 | Air-circulating Escaping Equipment during fire in apartment and buildings |
| KR102126829B1 (en) | 2017-08-26 | 2020-06-25 | (주)아이 에스 피 엘 | Air-circulating Escaping Equipment during fire in apartment and buildings |
| KR101863067B1 (en) * | 2018-03-09 | 2018-05-31 | 심상진 |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bulding |
| CN109045503A (en) * | 2018-06-09 | 2018-12-21 | 广东工贸职业技术学院 | Private air replacement system of students' dormitory |
| KR20200133708A (en) * | 2018-09-27 | 2020-11-30 | 이복상 | Emergency stairway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
| KR102259133B1 (en) * | 2018-09-27 | 2021-06-01 | 이복상 | Emergency stairway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
| KR102108323B1 (en) | 2019-02-07 | 2020-05-07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A fire escape for an emergency staircase |
| KR102156937B1 (en) | 2019-03-30 | 2020-09-16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Evacuation way of slide type an emergency |
| KR102004850B1 (en) * | 2019-04-25 | 2019-10-01 |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 Control apparatus for firefighting equipment of apartment house |
| KR102037771B1 (en) | 2019-04-26 | 2019-10-29 | 신호원 | Electricity control system |
| KR102048358B1 (en) | 2019-05-17 | 2019-11-26 | 주식회사 리얼솔루션 | Fire suppression system using hologram and method therefor |
| KR102115610B1 (en) * | 2020-01-07 | 2020-05-26 | 주식회사 리한 건축사사무소 | Emergence escape system |
| KR102219405B1 (en) | 2020-04-14 | 2021-02-25 |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information and exit guide |
| CN113856079A (en) * | 2021-10-26 | 2021-12-31 | 湖北灵坦机电设备有限公司 | A life support system for fire escap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995220B1 (en) | A fire escape for an emergency staircase | |
| KR102113241B1 (en) | Smoke control system and the smoke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101306151B1 (en) | Restroom system of high-rise building as fire-refuge compart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20070001065U (en) | Smoke control method using air curtain device and its device | |
| KR10226317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helter for the Old and the Infirm | |
| KR101934034B1 (en) | apparatus for smoke-proof of building | |
| KR200437361Y1 (en) | Air supply damper | |
| KR101529463B1 (en) | Metod of fire smoke control and apparatus of smoke-proof of building | |
| KR10248487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oke of high-rise building | |
| KR20200036957A (en) | Emergency stairway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 |
| KR102308356B1 (en) | Fire evacuation chamber | |
| CN106123195B (en) | An air supply system and method applied to high-rise buildings | |
| KR101046271B1 (en) | Evacuation device for emergency stairs of building | |
| KR20130006253U (en) | Smoke System Damper | |
| KR101195437B1 (en) | Emergency evacuation device for building | |
| KR102037262B1 (en) | Safety rail for veranda in building | |
| US3915258A (en) | Escape system | |
| KR101191732B1 (en) | Structure for refuge stair case with an exhaust duct | |
| KR102368341B1 (en) | Smoke control system using stairwells | |
| KR20180111072A (en) | Ventilation system using emergency stairs of multi-story building | |
| JP3283950B2 (en) | Smoke prevention equipment | |
| KR20230124488A (en) | Smoke control system | |
| JP3706985B2 (en) | Operation method of smoke prevention system in commercial facilities | |
| JP3177076B2 (en) | Smoke exhaust method and equipment | |
| KR200317598Y1 (en) | The ventilation of subway sta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11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1112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