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5467B1 - Electric power conn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rrangment in building - Google Patents

Electric power conn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rrangment in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467B1
KR100995467B1 KR1020100002806A KR20100002806A KR100995467B1 KR 100995467 B1 KR100995467 B1 KR 100995467B1 KR 1020100002806 A KR1020100002806 A KR 1020100002806A KR 20100002806 A KR20100002806 A KR 20100002806A KR 100995467 B1 KR100995467 B1 KR 10099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nclosure
communication
terminal block
monitoring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민우
박재훈
장기영
권연택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4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46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3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for energy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접속함 및 건축 시설물의 배전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력 접속함은, 함체와; 버스 덕트의 버스 바로부터 인출된 접속 플러그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브러시(142)를 구비하여 함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브러시 단자대(140)와; 1차측 단자대(152)와 2차측 단자대(154)를 구비하여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1차측 단자대(152)는 상기 접속 브러시(142)와 연결용 버스 바(144)에 의해 접속되고, 2차측 단자대(154)에는 부하측으로 전력을 인출하기 위한 연장 단자(160)가 접속되는 메인 차단기(150)와; 상위 감시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통신 및 감시 모듈(200); 및 상기 통신 및 감시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모듈(310)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은, 아날로그 타입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아날로그 입력부(212)와,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는 디지털 입력부(213)와, 상위 감시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15)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위 감시 시스템에 전송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wer distribution boxes and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of building facilities. The power junction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A brush terminal block 140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brushes 14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s drawn out from the bus bars of the bus duct and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enclosure; A primary terminal block 152 and a secondary terminal block 154 are installed inside the enclosure, and the primary terminal block 152 is connected by the connection brush 142 and a connection bus bar 144, A main circuit breaker 150 to which the secondary terminal block 154 is connected, the extension terminal 160 for drawing power to the load side; A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nclosure for communicating with an upper monitoring system; And a power supply module 31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to supply power to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wherein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ncludes an analog input unit for receiving analog type data 212, a digital input unit 213 for receiving digital data including one or more, a communication unit 215 for communicating with a higher monitoring system, and processing the input data to a higher monitoring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211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for transmitting.

Description

전력 접속함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설물의 배전 설비{Electric Power Conn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rrangment in Building}Electric Power Conn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rrangment in Building}

본 발명은 전력 버스 덕트(Electric Power Bus Duct)를 이용하여 공장이나 건축 시설물의 전력 분배 시스템에서 모선 버스 덕트로부터 전력을 인출하여 개별 부하로 분배하거나 버스 덕트 선로 보호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력 접속함 및 건축 시설물의 배전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위 감시 시스템과의 정보 교환이 용이하고 자체적으로도 정보를 표시하여 현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하위 말단의 부하까지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적합한 전력 접속함 및 이러한 전력 접속함을 이용하여 하위 부하에 대한 통합적인 감시와 관리가 가능한 건축 시설물의 배전 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electric power bus duct (Electric Power Bus Duct) in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a factory or building facility, power distribution box and construction used to draw the power from the bus bus duct to distribute to individual loads or to protect the bus duct line It relates to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of facilities. Especially, it is easy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higher-level monitoring system, displays information on its own, can be checked at the site, and is suitable for constructing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at can individually manage the load at the lower e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distribution box and a distribution facility of a building facility that can be integrated and monitored and managed under load using such a power junction box.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공장 등과 같은 건축 시설물의 전력 설비는 전기실로부터 간선(幹線) 즉, 전력 버스 덕트(이하, 간략히 '버스 덕트(bus duct)'라고 칭한다)나 전력 케이블(이하, 간략히 '케이블'이라고 칭한다)을 연장하여 건축 시설물의 단위 배전 영역(예; 빌딩의 각층이나 룸)을 경유하도록 배선해 두고, 상기 단위배전영역에서는 상기한 간선으로부터 전기를 인출하여 단위배전영역에 할당된 개별 부하들로 재분배한다.In general, the power equipment of building facilities such as apartments, buildings, factories, etc. is connected to the main line from an electrical room, that is, a power bus duc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bus duct) or a power cabl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cable'). Wired through the unit distribution area (e.g., each floor or room of a building) of the building facility, and the unit load area draws electricity from the trunk line and allocates individual loads allocated to the unit distribution area. Redistribute to

도 1에는 일반적인 건축 시설물의 전력 설비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n example of a power facility of a general building facility.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실(2)의 메인 배전반(4)으로부터는 전력 케이블(6)이나 버스 덕트(10)가 연장되어, 건축물의 벽체를 통과하여 단위배전영역을 경유하도록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a power cable 6 or a bus duct 10 extends from the main switchboard 4 of the electrical chamber 2 so as to pass through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pass through the unit distribution area.

또한, 각각의 단위배전영역을 통과하는 버스 덕트(10)에는 접속구(Plug-In Hole)(20)를 만들어, 해당 접속구(20)에 이른바, '플러그 홀 박스(Plug Hole Box; PH BOX)'나 '플러그-인 유닛(Plug-In Unit)'이라고 하는 전력 접속함(30)을 설치하여 전력을 인출하고, 전력 접속함(30)으로부터는 케이블을 연장하여 단위배전영역용 분전반이라고 하는(또는 분전반이 내장되어 있는) 전력 접속함(40)에 연결하며, 상기 분전반(전력 접속함(40))에서 단위 배전 영역에 할당된 개별 부하로 전력을 재분배한다.In addition, a plug-in hole 20 is formed in the bus duct 10 passing through each unit distribution area, so-called 'plug hole box (PH box)'. Or a power junction box 30 called a "plug-in unit" is provided to draw power, and a cable is extended from the power junction box 30 to provide a unit distribution area distribution panel (or It is connected to a power junction box 40 in which a distribution panel is built in, and redistributes power from the distribution panel (power junction box 40) to individual loads allocated to the unit distribution area.

또한, 전기실(2)의 메인 배전반(4)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력 케이블(6)과 단위배전영역에 설치되는 버스 덕트(10)의 연결부에는 이른바 '피드 인 박스(Feed In Box)'라고 하는 전력 접속함(8c)이 설치되고, 메인 배전반(4)으로부터 연장되어 단위 배전영역으로 나가는 버스 덕트(10)의 도중에는 선로 보호를 위해 '브레이커 박스(Breaker Box)'나 '리듀서 박스(Reducer Box)'라고 하는 전력 접속함이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the power cable 6 extending from the main switchboard 4 of the electric chamber 2 and the bus duct 10 provided in the unit distribution area is a power connection called a 'feed in box'. A box 8c is installed and extends from the main switchboard 4 to the unit distribution area. The bus duct 10 is called a 'breaker box' or a 'reducer box' to protect the track. A power junction box is installed.

이러한 건축 시설물의 배전 설비를 도 2를 통하여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본다.The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of these building faciliti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실(2)(도 1 침조)의 메인 배전반(4)으로부터는 케이블(6)이나 버스 덕트(10)가 연장되고, 그로부터 단위 배전영역으로 버스 덕트가 분기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cable 6 or the bus duct 10 extends from the main switchboard 4 of the electrical chamber 2 (FIG. 1 needle), and the bus duct branches from the unit distribution area.

이 경우, 메인 배전반(4)과 단위배전영역 사이의 버스 덕트(10)에는 선로 보호 목적의 차단기 기능을 가지는 전술한 브레이커 박스라고 하는 전력 접속함(8a)이 설치되거나, 고용량에서 소용량으로 감소하는 위치에 선로 보호 목적의 차단기 기능을 가지는 리듀서 박스라고 하는 접속함(8b)이 설치된다. 또한, 케이블(6)과 단위배전영역의 버스 덕트와의 연결부에는 케이블과 버스덕트를 접속하거나 전력인출을 목적으로 하는 피드 인 박스라고 하는 접속함(8c)이 설치된다. In this case, the bus duct 10 between the main switchboard 4 and the unit distribution area is provided with a power junction box 8a called a breaker box, which has a breaker function for line protection purposes, or is reduced from high capacity to small capacity. In the position, a junction box 8b called a reducer box having a breaker function for line protection purposes is provided. Further,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able 6 and the bus duct in the unit distribution area, a junction box 8c called a feed in box for connecting the cable and the bus duct or for drawing out power is provided.

그리고 단위배전영역에 설치되는 버스덕트에서는 전술한 플러그 홀 박스(PH BOX) 또는 플러그인 유닛이라고 하는 전력 접속함(30) 들이 접속되어 전력을 인출하고, 전력 접속함(30)에는 단위배전영역용 분전반이 연결된다.In the bus duct installed in the unit distribution area, the power junction boxes 30 called plug hole boxes (PH boxes) or plug-in units are connected to draw power, and the distribution box for the unit distribution area is connected to the power junction box 30. This is connected.

도 3을 통하여 상술한 접속함에 대한 하나의 예로서 전술한 플러그 홀 박스라고 하는 접속함(30)의 구조를 살펴본다. As an example of the junction box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he structure of the junction box 30 referred to as the plug hole box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덕트(10)는 외함(12)의 내부에 복수의 버스 바(14)가 지나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력인출을 위해, 버스 덕트(10)의 외함(12)의 일측에는 인출함(20)이 설치되며, 상기 인출함(20)에는 내부 버스 바(14)로부터 인출된 접속 플러그(22)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us duct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us bars 14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enclosure 12. For power drawing, a drawer 2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enclosure 12 of the bus duct 10, and the connection plug 22 drawn from the inner bus bar 14 is installed at the drawer 20. It is.

전력 접속함(30)은, 함체(32)와 도어(34)로 이루어지며, 함체(32)의 배면에는 단자대(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자대(40)에는 상기한 인출함(20)의 접속 플러그(22)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브러시(42)들이 설치되어 있다.The power junction box 30 is composed of a housing 32 and a door 34, and a terminal block 4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32. The terminal block 40 is provided with connection brushes 42 which ar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s 22 of the drawer 20.

도 4 및 도 5는 상기한 전력 접속함(30)의 내부 구조를 도면이다. 4 and 5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junction box 30 described abov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접속함(30)의 내부에는 차단기(50)가 설치되는데, 차단기(50)의 1차측 단자대(52)에는 상기한 접속 브러시(42)와 연결되는 연결용 버스 바(44)가 접속되고, 차단기(50)의 2차측 단자대(54)에는 연장 단자(60)가 접속되고, 연장 단자(60)에는 터미널 러그(Terminal Lug)(62)가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 러그(62)에는 케이블(63)(도 5 참조)이 접속되어 개별 부하용 분전반으로 연결된다.4 and 5, the breaker 50 is installed inside the power junction box 30, and the primary terminal block 52 of the breaker 5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rush 42. A connection bus bar 44 is connected, an extension terminal 60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terminal block 54 of the circuit breaker 50, and a terminal lug 62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terminal 60. . A cable 63 (see FIG. 5)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lug 62 and connected to an individual load distribution panel.

이러한 종래의 전력 접속함(30) 및 전력 설비는, 전기실 및 EPS(Electric Pipe Shaft)와 같은 전력시설물에서 전력을 공급하고 관리하는 것으로서, 하위 부하에 대한 개별관리가 아니라 하나의 계통에 연결된 이른바 '총 부하'를 관리, 운영하기 위한 것에 한정되고 있다. 즉, 복수의 하위 부하에 대한 1:1의 개별적인 관리가 아니라 총 부하에 대한 감시 시스템으로 메인 계통(모선)에 대한 감시로 한정되어 있어 개별부하의 사고 발생에 대한 예방 시스템을 확립하기 어렵다.Such a conventional power junction box 30 and a power facility, as a power supply and management in electric facilities and electrical facilities such as electric pipe shafts (EPS), so-called 'connected to one grid, rather than individual management of the lower load' It is limited to managing and operating the total load. That is,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preventive system for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of individual loads because it is limited to monitoring the main system (bus) as a monitoring system for total loads rather than 1: 1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subordinate loads.

그에 따라, 앞의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력 접속함들은 모두, 단순히 버스 덕트로부터 인출한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역할에만 국한되어 있거나, 전력선 사이에 전력을 연결하는 역할에만 국한되어 있지 개별 부하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의 교환이나 확인은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에는 아날로그 타입의 전류 및 전압 데이터는 처리할 수 있으나, 디지털 타입의 데이터는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 또는 도체나 접속함 내부의 온도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타입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처리할 수가 없다. 따라서, 개별 부하를 파악하기 위한 전력관리 데이터를 확보하기가 어렵고, 그에 따라 건축 시설물 전체의 효율적인 전력관리가 어렵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all of the conventional power junction boxes are limited to simply supplying power drawn from the bus duct to the load, or only connecting power between power lines. It is not possible to exchange or verify information on the usage status of individual loads. In addition, conventionally, current and voltage data of analog type can be processed, but digital type data cannot be secured. Therefore, digital type data including on / off state of circuit breaker or temperature inside conductor or junction box, etc. Cannot be processed by typing.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cure power management data for identifying individual loads, and thus,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manage power of the entire building.

하위 말단부하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경우에는, 해당하는 전력 접속함 내에 측정장치를 설치하여 행하고 있으나, 이것마저도 일부분에 한해 운영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현장 확인용이어서 해당 전력 접속함에 직접 가서 확인하여야만 한다.When the lower end load is required, the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relevant power junction box, but this is not only limited to the operation but also for on-site inspection.

또한, 전력 접속함으로부터 전류 및 전압 이외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감시 대상마다 별도의 신호 및 전원 케이블을 설치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케이블이 복잡해지고 설치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또한, 신호 및 전원 케이블은 합성수지 파이프 내부에 신호 및 전원선을 설치한 구조로서, 건축 시설물의 구조에 맞추어 파이프를 굽혀 설치하기 어렵고 부피도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data on states other than current and voltage from the power junction box, a separate signal and power cable must be installed for each monitoring target, which leads to complicated cables and high installation costs. In addition, the signal and power cable is a structure in which signal and power lines are installed inside the synthetic resin pipe, and it is difficult to bend the pipe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of building facilities, and it takes up a lot of space because of its large volum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 전류, 전력과 같은 전기적인 데이터 이외에 온도나 차단기 상태와 같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위 감시 시스템과 쉽게 정보 교환할 수 있어, 하위 말단의 부하까지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적합한 전력 접속함 및 이러한 전력 접속함을 이용하여 하위 부하에 대한 통합적인 감시와 관리가 가능한 건축 시설물의 배전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lectrical data such as voltage, current, power, data such as temperature or breaker status can be collected and easily exchanged information with the upper monitoring syste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junction box suitable for building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at can individually manage loads, and a distribution facility for building facilities that can be integratedly monitored and managed for subordinate loads by using the power junction box.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기 자체에서도 상기한 정보들을 표시하여 현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above information in the circuit breaker itself so that it can be confirmed in the fiel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전용 관로를 사용하는 대신에 버스 덕트를 이용하여 신호 및 전원선을 용이하게 배선함으로써 배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reduce the cost of wiring work by easily wiring signal and power lines using a bus duct instead of using a separate dedicated pip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 시설물의 배전 설비에서 메인 버스 덕트 또는 메인 전력 케이블과 단위배전영역의 버스 덕트를 연결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브레이커 박스, 리듀서 박스, 피드 인 박스와, 단위배전영역의 버스 덕트로부터 개별부하로 전력을 배분하기 위한 플러그인 유닛, 플러그 홀 박스, 분전반, 분전반 일체형 플러그인 유닛, 분전반 일체형 플러그 홀 박스로 사용되는 전력 접속함에, 상위 감시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및 감시 모듈과 전원공급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통신 및 감시 모듈이 전류 검출기, 전압 검출기, 온도 센서, 누설 전류 검출기 등과 연계하여 전류 및 전압 데이터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타입의 데이터와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 함체 내부의 도체 온도, 함체 내부 공기 온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위 감시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여, 하위 부하에 대한 1:1의 감시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전력 접속함 및 건축 시설물의 전력 설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breaker box, reducer box, feed-in box and the unit distribution area, which is installed at a portion connecting a main bus duct or a main power cable and a bus duct of a unit distribution area in a power distribution facility of a building facility.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s and power supplies to communicate with higher-level monitoring systems in power junction boxes used as plug-in units, plug hole boxes, distribution boards, distribution board integrated plug-in units, and distribution board integrated plug hole boxes for distributing power from bus ducts to individual loads. Install the supply module,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in conjunction with the current detector, voltage detector, temperature sensor, leakage current detector and the like, the analog data including the current and voltage data, the on / off state of the breaker, the conductor inside the enclosure Digital data that includes one or more of temperature, This is achieved by providing input and communicating with the higher-level monitoring system, providing power junction boxes and power facilities for building facilities that enable 1: 1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lower loads.

또한, 본 발명은 각 통신 및 감시모듈에 접속되는 통신선로와 전원선로를 일체화하여 단일화 케이블로 만들고, 해당 단일화 케이블을 버스 덕트의 외함에 마련된 슬롯에 삽입 배선하는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mmunication line connected to each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and the power line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cable, and the single cable is inserted into the slot provided in the enclosure of the bus duct.

본 발명은, 전력 접속함마다 전류, 전압,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출기를 설치하고, 상위 감시 시스템의 제어하여 검출기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동작을 수행함과 더불어, 수집한 정보를 다시 상위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적합한 구성을 가지고, 더 나아가서는 전력 접속함 자체에서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한편, 함체에 개폐도어를 마련하여 용이한 설치 및 확인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tector capable of measuring a current, a voltage, a temperature, and the like is installed for each power connection box, and an operation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detector by controlling the upper monitoring system is performed, and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again monitored. It has a suitable configuration for transmission to the outside, and furthermore can be displayed on the outside in the power junction itself,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confirm by providing an opening and closing door in the enclosure.

또한, 상, 하위 부하를 막론하고 모든 전력 접속함들의 통신 및 감시 모듈이 상위 감시 시스템에 통신선로와 전원선로를 통해 연결되어서, 상위 감시 시스템의 통제하에 각각의 검출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이로써 상위 감시 시스템과 하위 부하가 1:1의 정보 교환을 통해 통합적인 감시와 관리가 가능해지고, 전력 접속함 자체적으로도 정보를 표시하여 현장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s of all power junction boxes, regardless of the upper and lower loads, are connected to the upper monitoring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and a power line, and receive data from each detector under the control of the upper monitoring system. The data is transmitted, which allows the upper monitoring system and the lower load to perform integrated monitoring and management through a 1: 1 exchange of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s also displayed on the power junction box itself, making it easy to check on site.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 통신 및 감시모듈에 접속되는 통신선로와 전원선로를 일체화하여 단일화 케이블로 만들고, 해당 단일화 케이블을 버스 덕트의 외함에 마련된 슬롯에 삽입 배선하는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통신선로와 전원선로를 개별로 설치하지 않고 단일화 케이블을 설치하는 한 번의 작업으로 배선할 수 있으므로, 배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supply are integrated by introduc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line connected to each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cable, and the single cable is inserted into the slot provided in the enclosure of the bus duct. Wir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ecause wiring can be done in one operation of installing a single cable instead of separately installing the lines.

도 1은 일반적인 건축 시설물의 전력 설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건축 시설물의 배전 설비의 자세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전력 접속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전력 접속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전력 접속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의 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전력 접속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전력 접속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전력 접속함의 외부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전력 접속함 내부의 벽체를 나타내는 도 7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전력 접속함 내부의 벽체를 나타내는 도 7의 B-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및 감시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전력 접속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전력 접속함의 외부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단위배전영역에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을 설치한 회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의 설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전력 접속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전력 접속함의 외부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전력 접속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전력 접속함의 외부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통신선로와 전원선로에 대한 설치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단면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wer facility of a general building facility.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example of a power distribution facility of a building facility.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ower junction box.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junction box of FIG. 3.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junction box of FIG. 3.
6 is a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power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junction box of FIG. 6.
FIG. 8 is a left sid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junction box of FIG. 6.
FIG. 9 is a right sid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junction box of FIG. 6.
FIG. 10 is a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AA of FIG. 7 showing a wall inside the power junction box. FIG.
FIG. 11 is a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BB of FIG. 7 showing a wall inside the power junction box. FIG.
12A and 12B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power junction box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left sid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junction box of FIG. 13.
FIG. 15 is a right sid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junction box of FIG. 13.
16 is a circuit diagram in which a power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unit distribution area.
17 is a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power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left sid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junction box of FIG. 18.
20 is a right sid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junction box of FIG. 18.
2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power junction box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left sid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junction box of FIG. 21.
FIG. 23 is a right sid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structure of the power junction box of FIG. 21.
24 is a view showing a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line of FIG. 24.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5.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첨부 도면 도 6 내지 도 11, 도 12a 및 도 12b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부하에 대해 1:1의 통합적인 감시와 관리를 하기에 적합하도록 한 전력 접속함(100a)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전력 접속함(100a)은 전술한 단위배전영역의 버스 덕트에 전력을 인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플러그인 박스 또는 플러그 홀 박스로 활용되는 전력 접속함이다.Figures 6-11, 12A and 12B show a power junction box 100a suitable for one-to-one integrated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a lo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junction box 100a of this embodiment is a power junction box utilized as a plug-in box or a plug hole box installed to draw power to the bus duct of the unit distribution area described above.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력 접속함(100a)은, 함체(110)와 도어(120)를 포함하고, 함체(110)의 배면(111)에는 플러그 단자대(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단자대(140)에는 버스 덕트의 인출함(도 3의 '20' 참조)의 접속 플러그(도 3의 '22' 참조)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브러시(142)들이 설치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 6, the power junction box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10 and a door 120, and a plug terminal block 14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It is installed. The plug terminal block 140 is provided with connection brushes 142 that ar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 (see '22' in FIG. 3) of the outlet (see '20' in FIG. 3) of the bus duct.

그리고 함체(110)의 일측면에는 통신 및 감시 모듈(200)과 전원공급모듈(310)이 설치된다. And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and the power supply module 3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은, 접속함(100a)으로부터 전류 및 전압 데이터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타입의 데이터와,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 상기 함체 내부의 도체 온도, 함체 내부 공기 온도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여 상위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ncludes an analog type data including current and voltage data from the junction box 100a, a digital data including on / off state of the breaker, conductor temperature inside the enclosure, and air temperature inside the enclosure. It receives data, processes it, and sends it to the upper monitoring system.

전원공급모듈(310)은, 상기 통신 및 감시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함체(110)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공급모듈(310)에 연결되는 전원선로를 도입하기 위한 구멍(136)이 형성되어 있다.The power supply module 310 supplies power to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One side of the enclosure 110 is formed with a hole 136 for introducing a power lin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odule 310.

또한, 함체(110)의 일측면에는, 표시기(320)와 표시램프(33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표시기(320)는, 부하전류, 누설전류, 도체 온도, 내부 공기 온도, 또는 차단기 상태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현장을 순회하는 관리자가 해당하는 전력 접속함(100a)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램프(330)는, 차단기의 상태, 예를 들어, 차단기(150)(도 7 참조)의 온/오프 상태나 트립(Trip) 상태 등을 램프를 점등하여 표시함으로써 현장을 순회하는 관리자가 해당하는 전력 접속함(100a)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320 and the display lamp 330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nclosure 110. The indicator 320 display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n load current, leakage current, conductor temperature, internal air temperature, or breaker status, so that an administrator who visits the site can directly check the corresponding power junction box 100a. To help. The display lamp 330 corresponds to a manager who tours the site by displaying a state of a breaker, for example, an on / off state or a trip state of the breaker 150 (see FIG. 7) by lighting a lamp. To be confirmed directly from the power junction box (100a).

또한, 함체(110)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함체(110)의 측면(112)에는 개폐 도어(1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n opening / closing door 130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preferably, the side surface 112 of the housing 110.

개폐 도어(130)에는, 상기한 통신 및 감시 모듈(200)과 상기 전원공급모듈(310), 더 나아가서는 표시기(320)와 표시램프(330)까지 설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개폐 도어(130)를 이용하여 함체(110) 내부의 상태나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의 상태 등을 용이하게 확인, 점검, 설치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may be provided with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the power supply module 310, and further, the indicator 320 and the display lamp 330. Accordingly, the state of the interior of the enclosure 110 or the state of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can be easily checked, checked, and installed using the opening / closing door 130.

개폐 도어(130)는, 힌지(132)에 의해 회동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잠금 기구(134)를 통해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다.The opening / closing door 130 may be rotatably coupled by the hinge 132 and may be locked or released through the locking mechanism 134.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는 상기한 개폐 도어(130), 통신 및 감시 모듈(200), 전원공급모듈(310), 표시기(320), 표시램프(330)의 배치 상태와 함체(1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Next, FIG. 7 and FIG. 8 show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the power supply module 310, the indicator 320, and the display lamp 330 and the housing 110.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의 내부에는 메인 차단기(150)가 설치된다. 브러시 단자대(140)로부터는, 전술한 바대로, 함체(110)의 배면(111)(도 6 참조)으로 접속 브러시(142)가 돌출되고, 접속 브러시(142)의 반대측은 함체(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main circuit breaker 150 is installed inside the enclosure 110. From the brush terminal block 14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brush 142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111 (see FIG. 6) of the enclosure 110,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ion brush 142 is formed of the enclosure 110. It extends inside.

상기 메인 차단기(150)는, 1차측 단자대(152)와 2차측 단자대(154)를 구비하여 함체(110)의 내부에 접속 브러시(142)의 하류측(전류의 공급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의 하류(下流))에 설치된다. 1차측 단자대(152)는 상기한 접속 브러시(142)와 연결용 버스 바(144)에 의해 접속되고, 2차측 단자대(154)에는 부하측으로 전력을 인출하기 위한 연장 단자(160)가 접속된다. 연장 단자(160)에는 분전반과 케이블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 러그(162)가 결합할 수 있다.The main circuit breaker 150 includes a primary terminal block 152 and a secondary terminal block 154 and is located downstream of the connection brush 142 inside the enclosure 110 (when the supply direction of the current is referred to. It is installed downstream. The primary terminal block 15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rush 142 and the connection bus bar 144 described above, and an extension terminal 160 for drawing power to the load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terminal block 154. The extension terminal 160 may be coupled to a terminal lug 162 for cable connection with the distribution panel.

전력 접속함(100a)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의 예로서는, 도 7 및 도 8에 직접 도시한 바와 같은, 전류 검출기(예; 계기용 변류기)(411)나 전압 검출기(예; 계기용 변성기), 더 나아가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체, 예를 들어 접속 브러시(142), 연결용 버스 바(144), 연장 단자(160)의 온도나 함체(110) 내부의 온도(특히, 전력 도입측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들, 차단기(150) 하류측에 누설전류 검출기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차단기(150)에 연계된 차단기 온/오프 상태 또는 전력 트립(trip)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기(또는 검출부)를 구비하거나 차단기(150) 자체적으로 검출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detectors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power junction box 100a include a current detector (eg, instrument current transformer) 411 or a voltage detector (eg, instrument transformer), as shown directly in FIGS. 7 and 8. 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conductor, for example, the connection brush 142, the connection bus bar 144, the temperature of the extension terminal 160 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enclosure 110 (in particular, Temperat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 leakage current detector, and the like downstream of the breaker 150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a detector (or detector) that detects a circuit breaker on / off state or a power trip state connected to the circuit breaker 150 may be used, or the circuit breaker 150 may detect itself.

위와 같은 검출기들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통신 및 감시 모듈(200)에 입력된다.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은 상위 감시 시스템의 통제하에 해당 접속함(100a)의 검출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처리하여 상위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한편, 표시기(320) 및 표시램프(330)를 구동한다. 표시기(320) 및 표시램프(330)는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이나 상위 감시 시스템에 의하지 않고 직접 검출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자체적으로 표시하거나 점등하는 종류의 것이어도 좋다.Data measured by the above detectors are input to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receives and processes data from the detector of the junction box 100a under the control of the upper monitoring system, transmits the data to the upper monitoring system, and drives the display 320 and the display lamp 330. . The display 320 and the display lamp 330 may be of a type that displays data or lights itself by directly receiving data from a detector without using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or a higher-level monitoring system.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의 일측에는 개폐감지센서(410)를 설치하여 개폐 도어(130)의 개폐 상태를 센싱하여 통신 및 감시 모듈(200)로 전송하고,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을 통해 표시기(320)에 표시하거나 상위 감시 시스템으로 통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9, one side of the enclosure 110 is installed on the open and close detection sensor 410 senses the open and close state of the open and close door 130 and transmits to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communication and The monitoring module 200 may display the indicator 320 or notify the upper level monitoring system.

다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함체(110) 내부의 메인 차단기(150)의 1차측 단자대(152)의 상류 측에는 벽체(5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and 8,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wall 500 on the upstream side of the primary terminal block 152 of the main circuit breaker 150 inside the enclosure 110.

상기 벽체(500)는 차단기(150)의 1차측 단자대(152)를 포함하는 지점부터 브러시 단자대(140)를 포함하는 전력 인입 부분의 공간 둘레를 막는 형태로 설치되어, 메인 차단기(150)의 1차측 단자대(152), 브러시 단자대(140) 및 연결용 버스 바(144)를 타 부품들과 격리된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한다.The wall 500 is installed in such a way as to block the space around the power inlet portion including the brush terminal block 140 from the point including the primary terminal block 152 of the breaker 150, 1 of the main breaker 150 The vehicle terminal block 152, the brush terminal block 140, and the connection bus bar 144 are disposed in a space separated from other components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이러한 벽체(5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통기공(504)을 형성하여, 두 격리공간 사이의 공기 소통을 가능케 하여 전력 인입 부분의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0 and 11, the wall 500 forms a plurality of vents 504 to enable air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isolation spaces so as to dissipate heat from the power input portion. It is preferable.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기(150)(도 7 및 도 8 참조)의 1차측 단자대(152)(도 7 및 도 8 참조)를 가로지르는 벽체(500) 부분은 1차측 단자대(152)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502)이 형성된다. 또한, 통공(502)의 둘레에는 두 격리공간 사이의 공기 소통을 위한 복수의 통기공(504)이 형성된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500)의 측면에도 복수의 통기공(504)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0, the portion of the wall 500 across the primary terminal block 152 (see FIGS. 7 and 8) of the circuit breaker 150 (see FIGS. 7 and 8) has a primary terminal block 152. A through hole 502 is formed for passage. Further,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504 are formed around the through-holes 502 for air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isolation spaces.
As shown in FIG. 11, a plurality of vent holes 504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wall 500.

도 12a 및 도 12b는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의 실제 구성 예를 나타낸다.12A and 12B show an example of the actual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은, 제어부(211), 아날로그 입력부(212), 디지털 입력부(213), 표시부(203), 키 입력부(214), 통신부(215), 전원감시부(216) 및 전원모듈(3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2A,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11, an analog input unit 212, a digital input unit 213, a display unit 203, a key input unit 214, a communication unit 215, It comprises a power monitoring unit 216 and the power module 310.

제어부(211)는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되어서 내장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통신모듈(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11 i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and preferably implemented with a microprocessor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based on a built-in program.

아날로그 입력부(212)는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이 설치되어 있는 접속함에서 검출한 전류 및 전압 데이터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타입의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제어부(211)에서 판독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제어부(211)에 출력한다.The analog input unit 212 receives the analog type data including the current and voltage data detected by the junction box in which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s installed, and processes the data to be read by the control unit 211. )

디지털 입력부(213)는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이 설치되어 있는 접속함에서 검출한 차단기 상태, 온도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제어부(211)에 출력한다.The digital input unit 213 receives digital data including a breaker state, a temperature, and the like detected from the junction box in which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s installed, and outputs the digital data to the control unit 211.

표시부(203)는 제어부(211)의 통제하에 전류, 전압, 전력, 전원상태, 통신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203 displays the current, the voltage, the power, the power state, the communication state,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1.

키 입력부(214)는 운용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는 키(key)를 구비하여, 키 입력 정보를 제어부(211)에 인가함으로써 수동 키 조작에 의해 제어부(211)에 정보를 입력 가능케 한다.The key input unit 214 includes a key which is manually operated by an operator, and enables the input of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211 by manual key operation by applying the key inpu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211.

통신부(215)는 제어부(211)의 통제하에 상위 감시 시스템과의 직렬 통신을 수행하며, 상위 감시 시스템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211)에 출력하고, 제어부(211)로부터 입력되는 전송 데이터를 상위 감시 시스템에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15 performs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monitoring syste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1, receives a data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from the upper monitoring system,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211, and is input from the control unit 211. Transmit the data to the upper monitoring system.

전원모듈(310)은 전원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전압을 통신 및 감시 모듈(200)에서 사용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한다. 예를 들어, 직류 24V를 직류 5V로 변환하여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한다.The power module 310 converts the voltage of the DC power input through the power line into a voltage used in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and supplies it as operating power. For example, DC 24V is converted into DC 5V and supplied as an operating power source.

또한, 전원감시부(216)는 전원모듈(310)에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정전 여부를 감시하여 정전 발생시에 제어부(211)에 보고한다.In addition, the power monitoring unit 216 monitors whether the DC power input to the power supply module 310 is out of power and reports to the control unit 211 when a power failure occurs.

한편, 제어부(211)는 키 입력부(214)를 통해 키 입력 정보를 입력받고,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아날로그 입력부(212) 및 디지털 입력부(213)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신부(215)를 통해 상위 감시 시스템에 전송하며, 상위 감시 시스템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요청을 받아서 자신에 할당된 전송 타이밍에 통신부(215)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11 receives the key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key input unit 214,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the analog input unit 212 and the digital input unit 213 Receives the data input through the) and transmits to the upper monitoring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5, receives the data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upper monitoring system and transmits the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5 at the transmission timing assigned to it.

또한, 제어부(211)는 아날로그 입력부(212)를 통해 입력된 전류 및 전압 데이터와 산출한 전력 데이터를 표시부(203)에 표시하는 처리를 병행하여 수행하며, 전원감시부(216)를 통해 정전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에 백업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여 정전상태를 표시부(203)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11 performs a process of displaying the current and voltage data input through the analog input unit 212 and the calculated power data on the display unit 203 in parallel, and a power failure signal through the power monitoring unit 216. When is input, the backup power is supplied and driven to display the power failure state on the display unit 203.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의 실제 형상은 도 12b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12a를 병행 참조한다.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의 양측에는 단자대(201, 202)가 구비되며, 일측의 단자대(201)에는 전술한 검출기로부터 인가되는 센싱 데이터를 아날로그 입력부(212) 및 디지털 입력부(213)에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선로가 접속되고, 반대측의 단자대(202)에는 전원모듈(310)에 직류 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선로와 통신부(215)의 통신을 위한 통신선로가 접속된다.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을 개폐 도어(130)(도 7 및 도 8 참조)에 설치하는 경우, 개폐 도어(130)를 열면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의 표시부(203)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접속함(100a)의 내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나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도 여러 가지 상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The actual shape of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s as shown in Figure 12b. See FIG. 12A in parallel. Terminal blocks 201 and 202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and inputting sensing data applied from the above-described detector to the analog input unit 212 and the digital input unit 213 at the terminal block 201 on one side. The data line for the connection is connected, the power supply line for inputting the DC power to the power supply module 310 and the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215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block 202 on the opposite side. When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s install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see FIGS. 7 and 8),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is opened, the display unit 203 of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may be checked. I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interior of the junction box (100a) or the process of maintenance can be easily confirmed a variety of situation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 접속함(100a)에 전류, 전압,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출기를 설치하고, 상위 감시 시스템의 제어하여 검출기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동작을 수행함과 더불어, 수집한 정보를 다시 상위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적합한 구성을 가지고, 더 나아가서는 전력 접속함(100a) 자체에서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한편, 함체(110)에 개폐도어(130)를 마련하여 용이한 설치 및 확인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 detector capable of measuring current, voltage, temperature, and the like is installed in the power junction box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of the upper monitoring system is performed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detector, and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collected. It has a configuration suitable for transmission back to the upper monitoring system, and furthermore can be displayed externally in the power junction box 100a itself, while providing an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in the enclosure 110 for easy installation and confirmation. It is possible.

(실시예 2)(Example 2)

도 13 내지 도 1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100b)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접속함(100b)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100a)에 비해, 내부의 전력 회로만이 상이하고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을 포함하는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제1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13 to 16 illustrate a power junction box 100b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junction box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power junction box 10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ncludes only the internal power circuit and includes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s the same. Only part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100b)은, 하나의 함체(110) 내부에 메인 차단기(150)와 개별 부하용 차단기(180)를 설치하여, 전력 접속함이 버스 덕트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는 플러그인 박스 또는 플러그 홀 박스의 역할과 함께, 인출한 전력을 개별 부하에 분배하는 분전반의 기능을 모두 가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100b)을 버스 덕트의 접속구(20, 도 3 참조)에 설치하면 별도로 분전반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전력 접속함(100b)에서 개별 부하로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and FIG. 14, the power junction box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main breaker 150 and an individual load breaker 180 installed in one enclosure 110 to provide power. The junction box has the role of a plug-in box or plug-hole box that draws power from the bus ducts, as well as the distribution panel's ability to distribute the drawn power to individual loads. Therefore, when the power junction box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 20 (see FIG. 3) of the bus duct, power may be distributed from the power junction box 100b to individual loads even if a distribution panel is not separately installed. .

좀 더 구체적으로, 전력 접속함(100b)의 브러시 단자대(140)에 인접한 하류측에는 메인 차단기(150)가 설치되고, 메인 차단기(150)에 인접한 하류측에는 개별 부하용 차단기(180)가 설치된다. More specifically, the main breaker 150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brush terminal block 140 of the power connection box 100b, and the individual load breaker 180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main breaker 150.

메인 차단기(140)는 양측에 1차측 단자대(152)와 2차측 단자대(154)를 구비하고, 1차측 단자대(152)는 브러시 단자대(140)의 접속 브러시(142)와 연결용 버스 바(144)에 의해 접속되고, 2차측 단자대(154)에는 부하측으로 전력을 인출하기 위한 연장 바(155)가 접속되어 있다.The main circuit breaker 140 includes a primary terminal block 152 and a secondary terminal block 154 on both sides, and the primary terminal block 15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rush 142 of the brush terminal block 140 and the bus bar 144.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terminal block 154, and an extension bar 155 for drawing out power to the load side is connected.

연장 바(155)에는 1차 분기용 버스 바(160a)가 연결되고, 1차 분기용 버스 바(160a)로부터는 2차 분기용 전력선(161)이 연장되며, 2차 분기용 전력선(161)에는 개별 부하용 차단기(180)가 접속된다. 개별 부하용 차단기(180)의 인출측(출력측) 단자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별 부하가 연결된다.The first branch bus bar 160a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bar 155, the second branch power line 161 extends from the first branch bus bar 160a, and the second branch power line 161 is extended. An individual load circuit breaker 180 is connected thereto. A separate load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drawing side (output side) terminal of the individual load circuit breaker 180.

상기 연결용 버스 바(144), 연장 바(155) 및 2차 분기용 전력선(161)은 강성형(剛性形) 버스 바로 구성하여도 좋고 플랙시블형 버스 바로 구성하여도 좋다.The connection bus bar 144, the extension bar 155, and the second branch power line 161 may be configured as a rigid bus bar or a flexible bus bar.

또한, 상기 메인 차단기(150)와 상기 개별 부하용 차단기(180) 사이의 2차 분기용 전력선(161) 중간에는 각각의 개별부하용 차단기에(180) 대응하는 전력량계(170)를 개재할 수 있다. 전력량계(170)는 자체적으로 가지는 표시부를 통해 전력량을 직접 표시하지만, 통신 및 감시 모듈(200)과도 연계시켜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을 통해 함체(110) 외부의 표시기(320)에 표시하는 한편 상위 감시 시스템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력량계(170)를 통신 및 감시 모듈(200) 및 상위 감시 시스템과 연계시키는 경우에는 원격 검침시스템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iddle of the second branch power line 161 between the main circuit breaker 150 and the individual load circuit breaker 180, a power meter 170 corresponding to each individual load circuit breaker 180 may be interposed. . While the electricity meter 170 directly displays the amount of power through its own display unit, the electricity meter 170 is also displayed in the display 320 outside the enclosure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n association with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t is desirable to transmit the data to the upper monitoring system for display. As such, when the electricity meter 17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and the upper monitoring system, the remote meter reading system may be easily implemented.

또한, 각각의 개별 부하용 차단기(180)에는 누전 차단기(185)를 더 설치하여도 좋다. 누전 차단기(185)도 마찬가지로 통신 및 감시 모듈(200)과 연계시켜 검출되는 누설 전류량을 함체(110) 외부의 표시기(320)에 표시하는 한편 상위 감시 시스템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an earth leakage breaker 185 may be further provided in each individual load breaker 180. Similarly, the earth leakage breaker 185 may display the amount of leakage current detected in association with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on the indicator 320 outside the enclosure 110 and transmit and display data to a higher-level monitoring system.

또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차 분기용 버스 바(161)를 기점으로 상부의 전력 인입측 공간과 하부의 전력 인출측의 공간은 벽체(500)에 의해 격리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력 인출측 공간 즉, 전력량계(170) 및 개별 부하용 차단기(180)를 포함하는 하류측 공간 둘레에 벽체(500)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벽체(5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복수의 통기공(504, 도 10 및 도 11 참조)이 형성된다.In addition,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pace at the top of the power draw-in side and the space at the bottom of the power draw-out side are separated by the wall 500 starting from the first branch bus bar 161. In the illustrated figure, the wall 500 is installed around the downstream space including the power drawing side space, that is, the electricity meter 170 and the individual load breaker 180. The wall 5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 holes 504 (see FIGS. 10 and 11) as in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의 전력 접속함(100b)도, 도 15와 같이, 또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류 검출기(411)(도 13 및 도 14 참조) 등의 검출기로부터 검출되는 데이터를 통신 및 감시 모듈(200)에 입력하여 상위 감시 시스템과 통신하면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power junction box 100b of this embodiment also communicates and monitors data detected from a detector such as the current detector 411 (see FIGS. 13 and 14) as in FIG. 15 and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nput to the module 200 can be controlle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monitoring system. Since this configura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first embodiment,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6에는 단위배전영역에 모두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100b)을 설치한 회로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100a)만을 설치하고 별로도 분전반(전력 접속함)을 더 설치하여 좋으며,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100a)과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100b)을 혼용할 수 있다.FIG. 16 illustrates a circuit in which the power junction box 10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installed in all of the unit distribution areas. However, only the power junction box 10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installed, and the distribution panel (power junction box) is separately provided. ) May be further installed, and the power junction box 10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power junction box 10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mixed.

(실시예 3)(Example 3)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700)의 설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700)은 앞에서 설명한 브레이커 박스 또는 리듀서 박스, 또는 피드 인 박스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전력 접속함이다. 이러한 전력 접속함(700)은, 양측의 버스 덕트(10)를 연결하거나, 양측의 전력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일측의 버스 덕트와 타측의 전력 케이블의 연결지점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전력 접속함이다.17 illustrates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power junction box 700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junction box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reaker box or a reducer box described above. Or a power junction box suitable for use as a feed in box. The power junction box 700 is a power junction box suitable for connecting bus ducts 10 on both sides, connecting power cables on both sides, or installing at connection points between bus ducts on one side and power cables on the other side.

우선적으로,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700a)으로서 브레이커 박스 또는 리듀서 박스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접속함의 실시예이다.First, Figs. 18 to 20 show an embodiment of a junction box suitable for use as a breaker box or reducer box as the power junction box 700a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710)의 상류 측에는 인입측 접속 덕트(720)가 설치되고, 하류 측에는 인출측 접속 덕트(740)가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8-20, the inlet side connection duct 720 is provided in the upstream side of the enclosure 710, and the drawout side connection duct 740 is provided in the downstream side.

인입측 접속 덕트(720)에는 버스 덕트의 버스 바 또는 전력 케이블을 접속 연결하기 위한 인입측 버스 바(722)를 구비하는데, 이의 인입측 버스 바(722)는 함체(7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The inlet side connecting duct 720 is provided with an inlet side bus bar 722 for connecting and connecting a bus bar or a power cable of the bus duct, the inlet side bus bar 722 extending inside the enclosure 710. have.

인출측 접속 덕트(740)에도 마찬가지로, 버스 덕트의 버스 바 또는 전력 케이블을 접속 연결하기 위한 인출측 버스 바(742)를 구비하는데, 이의 인출측 버스 바(742)는 함체(7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lead-out connection duct 740 likewise has a draw-out bus bar 742 for connecting and connecting a bus bar or a power cable of the bus duct, with the draw-out bus bar 742 inside the enclosure 710. It is extended.

상, 하류의 인입측 버스 바(722)와 인출측 버스 바(742) 사이에는 메인 차단기(730)가 설치된다. 메인 차단기(730)는 1차측 단자대(732)와 2차측 단자대(734)를 구비한다. A main breaker 730 is provided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intake bus bars 722 and the outtake bus bars 742. The main circuit breaker 730 includes a primary terminal block 732 and a secondary terminal block 734.

메인 차단기(730)의 1차측 단자대(732)는, 제1 연결 바(724)에 의해 인입측 버스 바(722)와 접속되고, 2차측 단자대(734)는 제2 연결 바(744)에 의해 인출측 버스 바(742)와 접속된다.The primary terminal block 732 of the main breaker 730 is connected to the inlet side bus bar 722 by a first connecting bar 724, and the secondary terminal block 734 is connected by a second connecting bar 744. It is connected to the take-out side bus bar 742.

이들 구성 이외의 구성, 즉, 개폐 도어(130), 통신 및 감시 모듈(200), 전원공급모듈(310), 표시기(320), 표시램프(330), 전류 검출기(411) 등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100a)(100b)과 동일하다.Configurations other than these configurations, i.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the power supply module 310, the indicator 320, the display lamp 330, the current detector 411, and the like are described above. Same as the power junction boxes 100a and 100b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다만, 도 18 내지 도 20에서는, 표시기(320)가 개폐 도어(130)에 설치되지 않고 함체(710)의 다른 부분에(도면에서는 정면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표시기(320) 및 표시램프(330)는 그 설치 위치에 대한 제한이 없다.18 to 20, the indicator 320 is not provided in the opening / closing door 130, but is provided in another part of the housing 710 (in the front part in the drawing). In this way, the display 320 and the display lamp 330 is not limit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실시예 4)(Example 4)

다음으로,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700b)으로서, 피드인 박스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접속함의 실시예이다.Next, FIGS. 21 to 23 show an embodiment of a junction box suitable for use as a feed-in box, as the power junction box 700b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력 접속함(700b)은, 제3실시예에의 전력 접속함(710a)에서 차단기(730)를 배제한 채, 인입측 버스 바(722)와 인출측 버스 바(742)를 전력선(750)으로 직접 연결한 형태이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As shown in Figs. 21 to 23, the power junction box 700b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incoming bus bar 722 with the breaker 730 removed from the power junction box 710a of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draw-out side bus bar 74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line 750.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third embodiment.

이러한 본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서 전력 케이블(6)과 버스 덕트(10)를 연결하는 지점에 설치하기 적합한 전력 접속함이다.This embodiment is a power junction box suitable for installation at the point connecting the power cable 6 and the bus duct 10 in FIGS. 1 and 2.

(배전 설비)(Distribution facility)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4 to 26 are views showing a power distribu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전력 접속함들, 즉 상, 하위 부하를 막론하고 모든 전력 접속함들의 통신 및 감시 모듈은 상위 감시 시스템(800)에 통신선로와 전원선로를 통해 연결되어서, 상위 감시 시스템(800)의 통제하에 각각의 검출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4, the above-described power junction boxes, that is,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s of all power junction boxes regardless of upper and lower loads, are connected to the upper monitoring system 800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and a power line. Under the control of the upper monitoring system 800, data is received from each detector and the received data is transmitted.

통신 및 감시 모듈은,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류 검출기(411)나 전압 검출기(412), 누설 전류 검출기(415) 등에서 수집되는 아날로그 데이터와 차단기 상태 검출기(413) 온도 센서(414) 등에서 수집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위 감시 시스템에 보고하는 한편, 전력 접속함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표시기(320)나 표시램프(330)에 출력한다.As already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may collect analog data collected by the current detector 411, the voltage detector 412, the leakage current detector 415, and the like by the breaker state detector 413 and the temperature sensor 414. The digital data is processed and reported to the upper monitoring system, and output to the display 320 or display lamp 330 provided in the power junction box.

따라서, 상위 감시 시스템(800)과의 개별 부하가 1:1의 정보 교환을 통해 하위 부하에 대한 통합적인 감시와 관리가 가능해지고, 전력 접속함 자체적으로도 정보를 표시하여 현장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dividual load with the upper monitoring system 800 can be integrated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the lower load through a 1: 1 exchange of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can also be easily displayed on the site by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power junction box itself. .

또한, 데이터 및 명령의 일괄 전송 방식과 검출 및 보고의 시간차 전송 방식을 병용하면 하위 부하에 대한 총합 관리가 더욱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batch transmission method of data and commands and the time difference transmission method of detection and reporting are used together, total management of subordinate loads becomes more effective and quick.

예를 들어, 각각의 전력 접속함의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이 통신선로를 통해 상위 감시 시스템(800)과 통신하여 자체에서 수집한 전류 및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감시용의 데이터를 상위 감시 시스템(800)에 보고하는 경우에, 상위 감시 시스템(800)으로부터의 전송 요청을 일괄적으로 동시에 수신하여서 자신에게 할당된 전송 타이밍에 데이터를 상위 감시 시스템(800)에 전송함으로써 고속 통신이 가능해진다.For example, the monitoring and monitoring module 200 of each power connection box communicates with the upper monitoring system 800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to monitor the data for power monitoring including current and voltag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pper monitoring system. When reporting to 800, high-speed communication is attained by simultaneously receiving transmission requests from the higher-level monitoring system 800 at the same time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higher-level monitoring system 800 at the transmission timing assigned thereto.

즉, 상위 감시 시스템(800)이 각각의 통신 및 감시 모듈(200)에 일괄적으로 동시에 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각 통신 및 감시 모듈(200)로부터의 정보를 구분하여 순서대로 수신하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예를 들어, 상위 감시 시스템(800)이 전체 통신 및 감시 모듈(200)에 일괄하여 동시에 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각각의 통신 및 감시 모듈(200)로부터는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받는다.That is, the higher-level monitoring system 800 requests each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to simultaneously transmit information simultaneously,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each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n order and receives them in order. Communicate For example, the upper monitoring system 800 collectively requests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t the same time to all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and receives data sequentially from each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이와 같이, 상위 감시 시스템(800)이 전체 통신 및 감시 모듈(200)에 일괄하여 동시에 정보 전송 요청을 한 후, 각 통신 및 감시모듈(2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구분하여 전송받음으로써, 각 통신 및 감시모듈(200)마다 개별로 정보 전송 요청을 하지 않아도 되어 종래에 비하여 고속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monitoring system 800 collectively requests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he entir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at the same time, and then receives data from each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n order to receive the data.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does not need to request information transmission individually, so tha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at a higher speed than in the related art.

도 25 및 도 26에는, 상술한 상위 감시 시스템(800)과 개별 부하의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을 연결하는 통신선로와 전원선로에 대한 설치구성이 도시되어 있다.25 and 26, the installation configuration for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line for connecting the above-described upper monitoring system 800 and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of the individual load is shown.

본 발명에서는 통신선로와 전원선로를 일체화하여 버스 덕트를 따라 용이하게 배선하도록 구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line are integrated to facilitate wiring along the bus duct.

이를 위하여, 복수의 통신 및 감시 모듈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선로와 전원선로는 단일화 케이블(9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일화 케이블(900)은 통신선로로서 이용하기 위한 통신케이블과, 전원선로로서 이용하기 위한 전원케이블을 각각 피복한 다음, 그 외부를 다시 외피로써 한꺼번에 피복한 형태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a communication line and a power line for connecting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s are composed of a unified cable 900. That is, the unified cable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overing a communication cable for use as a communication line and a power cable for use as a power line, and then covering the outside at once with an outer sheath.

이와 같이 통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을 일체화한 단일화 케이블(900)은, 버스 덕트(10)를 따라 배선되는데,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덕트(10)의 외함, 구체적으로는 외함의 배부판(12)에는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삽입용 슬롯(12a)을 형성하고, 상기 단일화 케이블(900)을 상기 슬롯(12a)에 삽입하여, 통신선로와 전원선로가 메인 버스 덕트 및 단위배전영역을 지나는 버스 덕트와 일체화되어 배선되도록 하고 있다.The unified cable 900 in which the communication cable and the power cable are integrated in this way is wired along the bus duct 10. As shown in FIGS. 25 and 26, an enclosure of the bus duct 10, specifically, an enclosure In the distribution plate 12 of the insertion slot 12a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and the unified cable 900 is inserted into the slot 12a, so that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line are connected to the main bus duct. And the bus duct passing through the unit distribution area are integrated and wired.

상기 슬롯(12a)은, 도 26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스 덕트(10)의 외함에 형성되므로, 단일화 케이블(900)을 슬롯(12a)에 끼우는 공정만으로도 쉽게 버스 덕트(10)를 따라 배선할 수 있다.Since the slot 12a is formed in the enclosure of the bus duct 10,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6, the bus duct 10 can be easily removed only by the step of inserting the unified cable 900 into the slot 12a. Can be wired accordingly.

또한, 버스 덕트의 슬롯(12a)에 일체화 케이블(900)을 삽입 설치하는 경우에 해당 슬롯(12a)에 일정 거리 간격으로 일체화 케이블(900)을 더욱 견고하게 잡아주기 위한 고정캡(12b)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고정캡(12b)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2a)에 형성된 홈에 끼워서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tegrated cable 900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slot 12a of the bus duct, a fixing cap 12b is further added to the slot 12a to more firmly hold the integrated cable 9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t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26, the fixing cap 12b can be easily and firmly coupled to the groove formed in the slot 12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통신 및 감시모듈에 접속되는 통신선로와 전원선로를 일체화하여 단일화 케이블(900)로 만들고, 해당 단일화 케이블(900)을 버스 덕트의 외함에 마련된 슬롯(12a)에 삽입 배선함으로써, 통신선로와 전원선로를 개별로 설치하지 않고 단일화 케이블(900)을 설치하는 한 번의 작업으로 배선할 수 있으므로, 배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line connected to each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cable 900, and the single cable 900 is inserted into the slot 12a provided in the enclosure of the bus duct. By inserting wiring, wiring can be performed in one operation of installing the unified cable 900 without separately installing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supply line, so that the wiring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is is only one preferred example, and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Naturally, it belongs to the attached claims of the invention.

2 : 전기실 4 : 메인 배전반
6 : 전력 케이블 8a, 8b, 8c : 전력 접속함
10: 버스 덕트 12 : 외함
12a : 슬롯 12b : 고정캡
14 : 버스 바
100a, 100b, 700, 700a, 700b: 전력 접속함
110 : 함체 120 : 도어
130 : 개폐 도어 132 : 힌지
134 : 잠금기구 140 : 브러시 단자대
142 : 접속 브러시 144 : 연결용 버스바
150 : 메인 차단기 152 : 1차측 단자대
154 : 2차측 단자대 155 : 연장 바
160 : 연장 단자 160a : 1차 분기용 버스바
161 : 2차 분기용 전력선
162 : 터미널 러그 170 : 전력량계
180 : 개별 부하용 차단기 185 : 누전 차단기
200 : 통신 및 감시 모듈 310 : 전원공급모듈
320 : 표시기 330 : 표시램프
410 : 개폐감지센서
411 : 전류 검출기 412 : 전압 검출기
413 : 차단기 상태 검출기 414 : 온도 센서
415 : 누설 전류 검출기 500 : 벽체
502 : 통공 504 : 통기공
710 : 함체 720 : 인입측 접속 덕트
722 : 인입측 버스 바 724 : 제1 연결 바
730 : 차단기 732 : 1차측 단자대
734 : 2차측 단자대 740 : 인출측 접속 덕트
742 : 인출측 버스 바 744 : 제2 연결 바
800 : 상위 감시 시스템 900 : 일체화 케이블
2: electric room 4: main switchboard
6: power cable 8a, 8b, 8c: power connection box
10: bus duct 12: enclosure
12a: slot 12b: fixed cap
14: bus bar
100a, 100b, 700, 700a, 700b: power junction box
110: enclosure 120: door
130: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hinge
134: locking mechanism 140: brush terminal block
142: connection brush 144: connection bus bar
150: main circuit breaker 152: primary terminal block
154: secondary terminal block 155: extension bar
160: extension terminal 160a: bus bar for the first branch
161: power line for the second branch
162: terminal lug 170: power meter
180: circuit breaker for individual load 185: earth leakage breaker
200: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310: power supply module
320: indicator 330: indicator lamp
410: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ensor
411: current detector 412: voltage detector
413 breaker status detector 414 temperature sensor
415: leakage current detector 500: wall
502: air hole 504: air hole
710: enclosure 720: inlet connection duct
722: incoming side bus bar 724: first connecting bar
730: circuit breaker 732: primary terminal block
734: secondary terminal block 740: lead-out connection duct
742: bus side bus bar 744: second connection bar
800: upper monitoring system 900: integrated cable

Claims (1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건축 시설물의 배전 시설에 설치되는 전력 접속함으로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 하류 양측에 설치되고, 버스 덕트의 버스 바 또는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인입측, 인출측 버스 바(722)(742)가 상기 함체의 내, 외로 연장되어 있는 인입측, 인출측 접속 덕트(720)(740)와;
1차측 단자대(732)와 2차측 단자대(734)를 구비하여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차단기(730)와;
상기 인입측 버스 바(722)와 상기 메인 차단기(730)의 1차측 단자대(732)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바(724)와;
상기 메인 차단기(730)의 2차측 단자대(734)와 상기 인출측 버스 바(742)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바(744)와;
상위 감시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통신 및 감시 모듈(200); 및
상기 통신 및 감시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모듈(310)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은,
전류 및 전압 데이터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타입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아날로그 입력부(212)와,
차단기(730)의 온/오프 상태, 상기 함체 내부의 도체 온도, 함체 내부 공기 온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는 디지털 입력부(213)와,
상위 감시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15)와,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212) 및 디지털 입력부(213)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위 감시 시스템에 전송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2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접속함.
By connecting electric power box installed in power distribution facility of building facility,
Enclosure;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which are provided on both upper and downstream sides of the enclosure, and have an inlet side and an outlet side bus bar 722 and 742 for connecting a bus bar or a power cable of a bus duct, extend into and out of the enclosure. Side connecting ducts 720 and 740;
A main breaker 73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with a primary terminal block 732 and a secondary terminal block 734;
A first connecting bar 724 connecting the inlet bus bar 722 to the primary terminal block 732 of the main breaker 730;
A second connection bar 744 connecting the secondary terminal block 734 of the main breaker 730 to the outgoing bus bar 742;
A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nclosure for communicating with an upper monitoring system; And
It includes a power supply module 3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nclosure to supply power to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An analog input unit 212 which receives analog type data including current and voltage data;
A digital input unit 213 which receives digital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on / 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730, a conductor temperature inside the enclosure, and an air temperature inside the enclosure;
Communication unit 215 for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monitoring system,
And a control unit 211 which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of processing data input through the analog input unit 212 and the digital input unit 213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upper monitoring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내부의 메인 차단기(730)의 1차측 단자대(732)를 포함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전력 인입 부분은 벽체(500)에 의해 둘레가 막혀, 메인 차단기(730)의 1차측 단자대(732) 및 인입측 버스 바(722)는 타 부품들과 격리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접속함.
The method of claim 6,
The power lead-in portion including the point including the primary terminal block 732 of the main breaker 730 inside the enclosure is blocked by the wall 500, the primary terminal block 732 of the main breaker 730 and An incoming bus bar 722 is arranged in a space isolated from other component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500)에는 두 격리공간 사이의 공기 소통을 위한 복수의 통기공(50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접속함.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all 500 is a power jun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vents 504 for the air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isolation spaces are formed.
건축 시설물의 배전 시설에 설치되는 전력 접속함으로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 하류 양측에 설치되고, 버스 덕트의 버스 바 또는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인입측, 인출측 버스 바(722)(742)가 상기 함체의 내, 외로 연장되어 있는 인입측, 인출측 접속 덕트(720)(740)와;
상기 함체 내부로 연장된 인입측 버스 바(722)와 인출측 버스 바(742)를 연결하는 전력선(750)과;
상위 감시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통신 및 감시 모듈(200); 및
상기 통신 및 감시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모듈(310)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은,
전류 및 전압 데이터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타입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아날로그 입력부(212)와,
함체 내부의 도체 온도, 함체 내부 공기 온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는 디지털 입력부(213)와,
상위 감시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15)와,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212) 및 디지털 입력부(213)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위 감시 시스템에 전송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2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접속함.
By connecting electric power box installed in power distribution facility of building facility,
Enclosure;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which are provided on both upper and downstream sides of the enclosure, and have an inlet side and an outlet side bus bar 722 and 742 for connecting a bus bar or a power cable of a bus duct, extend into and out of the enclosure. Side connecting ducts 720 and 740;
A power line 750 connecting the draw-in side bus bar 722 and the draw-out side bus bar 742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nclosure for communicating with an upper monitoring system; And
It includes a power supply module 3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nclosure to supply power to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An analog input unit 212 which receives analog type data including current and voltage data;
A digital input unit 213 which receives digital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nductor temperature inside the enclosure and an air temperature inside the enclosure;
Communication unit 215 for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monitoring system,
And a control unit 211 which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of processing data input through the analog input unit 212 and the digital input unit 213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upper monitoring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함체에는 부하전류, 누설전류, 도체 온도, 내부 공기 온도, 또는 차단기 상태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함체 자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기(32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접속함.
The method of claim 6 or 9,
The enclosure further comprises an indicator 320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load current, leakage current, conductor temperature, internal air temperature, or breaker status information on the enclosure itself.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함체에는 차단기 상태를 함체 자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램프(33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접속함.
The method of claim 6 or 9,
The enclosure is a power conne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lamp 330 is further installed to display the breaker state on the enclosure itself.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은, 전원모듈(310)로부터 구동 전원으로서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정전 여부를 감시하여 제어부(211)에 입력하는 전원감시부(2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접속함.
The method of claim 6 or 9,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further includes a power monitoring unit 216 which monitors whether the DC power input from the power supply module 310 as the driving power is out of power and inputs it to the control unit 211. Connected.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함체의 일측면에는 잠금 기구(134)를 구비하는 개폐 도어(130)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 도어(130)에는 상기 통신 및 감시 모듈(200)과 상기 전원공급모듈(3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접속함.
The method of claim 6 or 9,
An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having a locking mechanism 13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nclosure, and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and the power supply module 310 are install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Power junction box.
제13항에 있어서,
함체에는 상기 개폐 도어(130)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개폐감지센서(4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접속함.
The method of claim 13,
The enclosure is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ensor 410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is installed.
전기실(2)의 메인 배전반(4)으로부터 메인 전력 케이블(6) 또는 메인 버스 덕트(10)가 연장되고,
상기 메인 전력 케이블(6) 또는 메인 버스 덕트(10)로부터는, 건축물의 벽체를 통과하여 단위배전영역을 경유하는 버스 덕트(10)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 전력 케이블(6)과 상기 버스 덕트(10)의 연결부분, 상기 메인 버스 덕트(10)와 상기 버스 덕트(10)의 연결부분에는, 상위 감시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을 구비하는 제6항 또는 제9항에 기재된 전력 접속함이 설치되며,
상기 버스 덕트(10)로부터 분기되는 지점에는 단위배전영역으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전력 접속함이 설치되는데, 이의 전력 접속함은, 함체; 버스 덕트의 버스 바로부터 인출된 접속 플러그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브러시(142)를 구비하여 함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브러시 단자대(140); 1차측 단자대(152)와 2차측 단자대(154)를 구비하여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1차측 단자대(152)는 상기 접속 브러시(142)와 연결용 버스 바(144)에 의해 접속되고, 2차측 단자대(154)에는 부하측으로 전력을 인출하기 위한 연장 단자(160)가 접속되는 메인 차단기(150); 상위 감시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통신 및 감시 모듈(200); 및 상기 통신 및 감시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모듈(310)을 포함하는 전력 접속함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함체; 버스 덕트의 버스 바로부터 인출된 접속 플러그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브러시(142)를 구비하여 함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브러시 단자대(140); 1차측 단자대(152)와 2차측 단자대(154)를 구비하여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1차측 단자대(152)는 상기 접속 브러시(142)와 연결용 버스 바(144)에 의해 접속되고, 2차측 단자대(154)에는 부하측으로 전력을 인출하기 위한 연장 바(155)가 접속되는 메인 차단기(150); 상기 연장 바(155)에 접속되는 1차 분기용 버스 바(161); 상기 1차 분기용 버스 바(160a)로부터 연장되는 2차 분기용 전력선(161)에 의해 접속되는 개별 부하용 차단기(180); 상위 감시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통신 및 감시 모듈(200); 및 상기 통신 및 감시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모듈(310)을 포함하는 전력 접속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전력 접속함의 통신 및 감시 모듈(200)을 통제하고, 각 전력 접속함의 통신 및 감시 모듈(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압 및 전류 값을 표시함과 함께, 부하전류, 누설전류, 도체 온도, 내부 공기 온도, 또는 차단기 상태에 대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위 감시 시스템(8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설물의 전력 설비.
The main power cable 6 or the main bus duct 10 extends from the main switchboard 4 of the electric chamber 2,
From the main power cable 6 or the main bus duct 10 is connected to the bus duct 10 passing through the wall of the building via the unit distribution area,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power cable 6 and the bus duct 10,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bus duct 10 and the bus duct 10, a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for communicating with an upper monitoring system 200. A power connection box according to claim 6 or 9 is provided,
A power junction box for distributing power to a unit distribution area is provided at a branch branched from the bus duct 10, the power junction box comprising: a housing; A brush terminal block 140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brushes 14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s drawn out from the bus bars of the bus duct and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enclosure; A primary terminal block 152 and a secondary terminal block 154 are installed inside the enclosure, and the primary terminal block 152 is connected by the connection brush 142 and a connection bus bar 144, A main breaker 150 to which the secondary terminal block 154 is connected an extension terminal 160 for drawing power to the load side; A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nclosure for communicating with an upper monitoring system; And a power connection box including a power supply module 31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enclosure to supply power to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A brush terminal block 140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brushes 14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s drawn out from the bus bars of the bus duct and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enclosure; A primary terminal block 152 and a secondary terminal block 154 are installed inside the enclosure, the primary terminal block 15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rush 142 by a connection bus bar 144, A main breaker 150 to which the secondary terminal block 154 is connected an extension bar 155 for drawing power to the load side; A first branch bus bar 161 connected to the extension bar 155; An individual load circuit breaker 180 connected by a secondary branching power line 161 extending from the primary branch bus bar 160a; A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nclosure for communicating with an upper monitoring system; And a power supply module including a power supply module 31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enclosure to supply power to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of each power junction box, displays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of each power junction box, and load current, leakage current, conductor temperature, internal And an upper monitoring system (800)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air temperature, or data on breaker condition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스 덕트(10)와 단위배전영역의 버스 덕트(10)의 외함에는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삽입용 슬롯(12a)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전력 접속함의 통신 및 감시 모듈(200)과 상위 감시 시스템(800) 사이에 연결되는 통신선로와 전원선로를 상기 슬롯(12a)에 삽입하여 통신선로와 전원선로가 상기 메인 버스 덕트(10)와 단위배전영역의 버스 덕트(10)와 일체화되어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설물의 전력 설비.
16. The method of claim 15,
In the enclosure of the main bus duct 10 and the bus duct 10 of the unit distribution area, an insertion slot 12a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is formed, and th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module 200 of each power connection box is provided. And a communication line and a power line connected between the control system 800 and the upper monitoring system 800 are inserted into the slot 12a so that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line are integrated with the main bus duct 10 and the bus duct 10 of the unit distribution area. Power equipment of a build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ing.
KR1020100002806A 2010-01-12 2010-01-12 Electric power conn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rrangment in building Active KR1009954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806A KR100995467B1 (en) 2010-01-12 2010-01-12 Electric power conn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rrangment in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806A KR100995467B1 (en) 2010-01-12 2010-01-12 Electric power conn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rrangment in build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932A Division KR101549713B1 (en) 2010-10-26 2010-10-26 Electric Power Conn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rrangment in Bui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467B1 true KR100995467B1 (en) 2010-11-18

Family

ID=4340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806A Active KR100995467B1 (en) 2010-01-12 2010-01-12 Electric power conn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rrangment in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46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3390A (en) * 2021-07-27 2021-10-2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Marine Electric Heating Systems and Ships
CN116124194A (en) * 2022-12-29 2023-05-16 中国电建集团河南省电力勘测设计院有限公司 A multi-functional open-air protection system for thermal power plants based on fieldbus technology
CN119542946A (en) * 2024-11-26 2025-02-28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A combined power distribution box for power supply simulator and power supply simul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673B1 (en) * 2008-12-26 2009-10-15 주식회사 부시파워 Temperature detection device of booth duc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673B1 (en) * 2008-12-26 2009-10-15 주식회사 부시파워 Temperature detection device of booth duct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3390A (en) * 2021-07-27 2021-10-2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Marine Electric Heating Systems and Ships
CN116124194A (en) * 2022-12-29 2023-05-16 中国电建集团河南省电力勘测设计院有限公司 A multi-functional open-air protection system for thermal power plants based on fieldbus technology
CN119542946A (en) * 2024-11-26 2025-02-28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A combined power distribution box for power supply simulator and power supply simul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0632B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EP180659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ical power sub-metering
US20200227903A1 (en) Charging Box Unit for a Charging Station
CA2667825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ping a wired network
US76230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tering consumption of energy
KR101186221B1 (en) Distributing board include module type control system
US10615589B2 (en) Digital LOP utilizing integrated module and motor control center system including same
US11264787B2 (en) Load center
KR101545093B1 (en) power monitering module and busduct power monit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995467B1 (en) Electric power conn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rrangment in building
KR20110083469A (en) Power distribution box and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of building facilities using the same
WO2022191374A1 (en) Iot-based integrated monitoring switchboard for fault diagnosis and prediction in advance
JP4914434B2 (en) Switchboard equipment
CN208092155U (en) Transformer substation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and its substation's background monitoring cabinet
KR20080092718A (en) Distribution box for power distribution unit
KR102626989B1 (en) Electric vehicle charger forming a internal multi-level structure
WO2017043748A1 (en) Socket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415269B1 (en) Power Distribution Panel Capable of Controlling on Real Time
WO2011049384A2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762356B1 (en) Breaker with address setting function and power control method using same
KR102705205B1 (en) Building power supply system using AI
KR101093515B1 (en) Switchboard Environmental Monitoring
JP6820780B2 (en) Remodeling proposal system
KR100993099B1 (en) Electric power redistribution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in building facilities using it
KR102190188B1 (en) Short prevention system for interior walls cable of apartment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0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